KR20220060986A - 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986A
KR20220060986A KR1020210091253A KR20210091253A KR20220060986A KR 20220060986 A KR20220060986 A KR 20220060986A KR 1020210091253 A KR1020210091253 A KR 1020210091253A KR 20210091253 A KR20210091253 A KR 20210091253A KR 20220060986 A KR20220060986 A KR 2022006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analog beam
pane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동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6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9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for operating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the best analog beam and the second best analog beam based on a utility function for each base station among the set of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first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analog beam having the maximal utility function among the best analog beams;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second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analog beam having the maximal utility function among the best analog beams and the second best analog beams transmitted by a second panel different from a first panel transmitting the first analog beam; and assigning the first analog beam to the first panel and assigning the second analog beam to the second panel. Therefore, a terminal using a dual antenna panel additionally obtains more duplication gain and more diversity gain than a terminal using a single antenna panel.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셀 환경에서 듀얼 안테나 패널을 구비한 단만들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technology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for terminals having dual antenna panels in a multi-cell environment. It relates to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techniques.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Representati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and new radio (NR) defined i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s. LTE may be one of 4G (4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NR may be one of 5G (5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For the processing of wireless data rapidly increasing after commercialization of a 4G communication system (eg,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LTE), a frequency band of a 4G communication system (e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ess) as well as a 4G communication system A 5G communication system (eg,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R) using a frequency band (e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more) higher than the frequency band of ' is being considered. The 5G communication system may support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and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셀 환경은 다수의 기지국이 물리적 셀 경계를 기반으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멀티셀 환경에서 가장 지지를 받는 통신 구현 방식은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현재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단말은 두 개의 안테나 패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이 듀얼 안테나 패널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 그에 따르는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the multi-cell environment may mean an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to a terminal based on a physical cell boundary. The communication implementation method most supported in such a multi-cell environment may be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hybrid beamforming in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A general terminal currently using hybrid beamforming may select one of two antenna panels to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uses all of the dual antenna panels, downlink scheduling and a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may be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안테나 패널을 구비하여 듀얼 안테나 패널을 모두 사용하는 단만들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includes a dual antenna panel to perform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for terminals using all of the dual antenna panel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집합들에서 기지국별로 효용 함수에 기반하여 최선 아날로그 빔과 차선 아날로그 빔을 선별하는 단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에서 최대 효용 함수를 갖는 제1 아날로그 빔에 대하여 해당하는 제1 기지국에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아날로그 빔을 송신하는 제1 패널과 다른 제2 패널이 송신하는 상기 최선 아날로그 빔들과 상기 차선 아날로그 빔들에서 효용 함수가 최대인 제2 아날로그 빔에 대하여 해당 제2 기지국에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날로그 빔은 상기 제1 패널에 배정하고, 상기 제2 아날로그 빔은 상기 제2 패널에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n utility function for each base station in analog beam sets for each base station. selecting a best analog beam and a next best analog beam;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corresponding first base station for a first analog beam having a maximum utility function in best analog beams;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corresponding second base station for a second analog beam having a maximum utility function in the best analog beams and the suboptimal analog beams transmitted by a second panel different from the first panel transmitting the first analog beam; ; and allocating the first analog beam to the first panel and allocating the second analog beam to the second panel.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안테나 패널을 사용하는 단말이 단일 안테나 패널을 사용하는 단말에 비하여 더 많은 다중화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 등을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using a dual antenna panel can additionally obtain more multiplexing gain and diversity gain than a terminal using a single antenna pane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안테나 패널을 사용하는 단말이 다중화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 등을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어 이를 활용하여 더 높은 전송률 및 전송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using a dual antenna panel can additionally obtain a multiplexing gain, a diversity gain, and the like, so that a higher data rate and transmission stability can be obtained by utilizing the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향링크 전송 성능이 하위권에 속했던 단말에 대하여 양측 패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신호 두절(outage) 확률을 낮출 수 있어 단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panels receive services by different base stations for a terminal belonging to a lower rank in downlink transmission performance, the probability of signal outag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terminal user experie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낮은 메모리 복잡도, 연산 복잡도로 아날로그 빔 스위핑 및 배정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실용적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alog beam sweeping and allocation scheme can be implemented with low memory complexit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hich can be practical.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지국의 천정형(ceiling-mount) 방식의 안테나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단말의 백투백 방식의 안테나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communication nodes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mount type antenna module of a base sta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ck-to-back antenna module of a termina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network”.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support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includ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 wideband CDMA (WC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F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C (single carrier)-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etc. may be supported.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 a memory 220 , and a transceiver 230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 a storage device 260 , and the like.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by a bus 2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wever,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mmon bus 270 but to the processor 210 through an individual interface or an individual bus. For example, the processor 21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 the transceiver 230 , the input interface device 240 , the output interface device 250 ,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 The processor 2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terminal)(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form a macro cell.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and the fifth base station 120-2 may form a small cell.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third terminal 130-3,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terminal 130-2,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The fifth base station 120-2,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fifth terminal 130-5, and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within the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110-3. . The first terminal 130-1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fth base station 120-2.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UE(user equipment),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is a NodeB (NodeB), an advanced NodeB (evolved NodeB),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A radio base station, a radio transceiver, an access point, an access node, a road side unit (RSU), a digital unit (DU), a cloud digital unit (CDU) , a radio remote head (RRH), a radio unit (RU), a transmission point (TP),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a relay node, and the lik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an access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station, It may be referred to as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user equipment (UE), a node, a device, and the like.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may support cellular (cellular)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advanced), etc. defin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or may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eal backhaul, and the ideal backhaul Alternatively,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non-ideal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a core network (not shown)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eal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30-1, 130-2, 130-3, 130 -4, 130-5, 130-6),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transmitted to the core network can be sent to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DL)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UL)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support OFDMA-based downlink (DL) transmission, and SC-FDMA-based uplink (uplink, UL) transmission may be supported.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eg, single user (SU)-MIMO, MU (multi user)-MIMO, massive MIMO, etc.),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carrier aggreg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in an unlicensed band, device to device, D2D ) communication (or Proximity services (ProSe), etc.), etc.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a base station. (110-1, 110-2, 110-3, 120-1, 120-2) and corresponding operation, by the base station (110-1, 110-2, 110-3, 120-1, 120-2) Supported actions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transmit a signal based on the SU-MIMO method. A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2 . Alternatively,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 - 4 and the fifth terminal 130 - 5 based on the MU-MIMO scheme, and the fourth terminal 130 - 4 . and each of the fifth terminals 130 - 5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2 by the MU-MIMO method.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CoMP scheme, and the fourth The terminal 130-4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by the CoMP metho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ncludes the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and a signal may be transmitted/received based on the CA method.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oordinates D2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coordination), each of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is D2D communication by the coordination of each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an be performed.

한편,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셀 환경은 다수의 기지국이 물리적 셀 경계를 기반으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멀티셀 환경에서 스케쥴링하는 방법은 가장 단순한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에서부터 비례 공평(proportional fair) 방식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술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멀티셀 환경에서 협력 전송 방식은 CoMP 전송, 간섭 정렬 전송 등의 기술들이 존재할 수 있다. 현재 멀티셀 환경에서 가장 지지를 받는 통신 구현 방식은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단말은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다수 보유하여 한정된 물리적 형태에서 다중 경로 채널을 통해 서로 독립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독립된 입출력은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 또는 다중화 이득의 추구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의 개별 안테나 엘리먼트 각각 모두에 RF(radio frequency) 프론트엔드를 연결하는 방식은 과도한 하드웨어적 부담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식으로 단순한 하드웨어의 아날로그 빔포머에 제어 활용성이 높은 디지털 빔포머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빔포밍이 개발되었을 수 있다.Meanwhile, 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the multi-cell environment may mean an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to a terminal based on a physical cell boundary. As a scheduling method in a multi-cell environment, there may be many techniques ranging from the simplest round robin method to a proportional fair method. In addition, in the multi-cell environment,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 may include technologies such as CoMP transmission and interference alignment transmission. A communication implementation method most supported in the current multi-cell environment may be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hybrid beamforming in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The terminal has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by using the millimeter wave band, so that independent signals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multi-path channel in a limited physical form. The independent input/output of such a terminal may enable the pursuit of a diversity gain or a multiplexing gain. However, sinc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RF (radio frequency) front-end to each of the individual antenna elements of the terminal causes an excessive hardware burden, a digital beamformer with high control and utility is a method to compensate for this. Hybrid beamforming that combines

이와 같은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통상적으로 백투백(back-to-back) 형태로 붙어 있는 두 개의 안테나 패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에서 각 안테나 패널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엘리먼트들은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정렬된 두 안테나 엘리먼트 집단으로 나뉘어 두 종류의 편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현재 존재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단말은 두 개의 안테나 패널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이 듀얼 안테나 패널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 그에 따르는 하향링크 스케쥴링 및 협력 전송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멀티셀 환경에서 단말이 듀얼 안테나 패널을 장착할 수 있고, 장착한 듀얼 안테나 패널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 수용능력이 있는 경우에 하향링크 스케쥴링 및 협력 전송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이 듀얼 안테나 패널을 통하여 동시에 독립적인 경로로 수신하는 경우에 스케쥴링 방식과 협력 전송 방식을 새로이 정의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such a millimeter wave, a terminal may have two antenna panels attached to each other in a typical back-to-back form. In such a terminal, each antenna panel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In addition, the antenna elements may be divided into two antenna element groups align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to receive two types of polarized signals. A general terminal using hybrid beamforming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may perform transmission/reception by selecting one from two antenna panels. Accordingly, when the UE uses all of the dual antenna panels, a method for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may be required. That is, in a case where the terminal can mount a dual antenna panel in a multi-cell environment and there is a hardware capacity capable of using the mounted dual antenna panels at the same time, a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this need, when the UE receives the downlink signal through the dual antenna panel at the same time through independent paths, the scheduling scheme and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 can be newly defined.

이처럼 새롭게 정의되는 스케쥴링 방식과 협력 전송 방식이 작동하는 통신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형적인 기지국과 단말의 안테나 모듈이 갖는 특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엘리멘트는 파장의 절반의 거리로 떨어져 있으면 채널의 위상이 서로 확률적으로 독립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은 안테나 모듈에 밀리미터파를 갖는 짧은 파장 특성을 결합하여 많은 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과 단말이 많은 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갖는 경우에 개별 안테나 엘리먼트에 각각 RF 프론트엔드를 장착하게 되면 큰 하드웨어 비용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기지국과 단말은 몇 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묶어 단순한 아날로그 구조를 통한 아날로그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고, 안테나 엘리먼트 묶음의 출력 포트에 RF 프론트엔드를 연결하여 디지털 빔포밍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빔포밍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the newly defined scheduling method and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operate, it may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module of the typical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general, if the antenna elements are separated by a distance of half a wavelength, the phases of the channels may be probabilistically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 elements by combining the short wavelength characteristic of the millimeter wave with the antenna module. In this way, wh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have a large number of antenna elements, if each RF front end is mounted on each antenna element, it may act as a burden of a large hardware cost. For this reaso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perform analog beamforming through a simple analog structure by bundling several antenna elements, and a hybrid beamforming method in which digital beamforming is performed by connecting an RF front end to the output port of the antenna element bundle can be employed

도 3은 기지국의 천정형(ceiling-mount) 방식의 안테나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eiling-mount type antenna module of a base sta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의 천정형 방식의 안테나 모듈은 하나의 패널(300)로 이루어져 있으며, 64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64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의 크기는 파장 단위로 정규화되어 있어 단위 없이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64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안테나 엘리멘트들(310)과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은 서로 다른 편파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64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에서 16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을 모아서 4개의 안테나 그룹들(320-1~320-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지국의 천정형 방식의 안테나 모듈은 동일 안테나 그룹의 동일 편파를 이용하는 안테나 엘리먼트들(310)을 하나의 출력 포트를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64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310)은 8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eiling type antenna module of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one panel 300 , and may include 64 antenna elements 310 . In addition, the size of the 64 antenna elements 310 is normalized to a wavelength unit, so that it can be expressed numerically without a unit. Among these 64 antenna elements 310 , the antenna elements 310 indicated by thick solid lines and the antenna elements 310 indicated by thin solid lines may use different polarizations. And, by collecting the 16 antenna elements 310 out of the 64 antenna elements 310, four antenna groups 320-1 to 320-4 may be formed. The above-described ceiling-type antenna module of the base station may allow the antenna elements 310 using the same polarization of the same antenna group to have one output port. Accordingly, 64 antenna elements 310 may configure 8 antenna ports.

도 4는 단말의 백투백 방식의 안테나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ck-to-back antenna module of a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의 백투백 방식의 안테나 모듈은 각각 16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을 포함하는 2개의 패널들(400-1, 400-2)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의 크기는 파장 단위로 정규화되어 있어 단위 없이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2개의 패널들(400-1, 400-2)은 반대면을 서로 맞대고 있으나 도면상에서는 이해를 위해 간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의 백투백 방식의 안테나 모듈에서 제1 패널(400-1)은 전면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안테나 엘리멘트들(410)과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은 서로 다른 편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패널(400-1)은 동일 편파를 이용하는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을 아날로그 빔포밍 구조로 묶여 하나의 출력 포트를 갖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terminal's back-to-back antenna module may be configured with two panels 400 - 1 and 400 - 2 each including 16 antenna elements 410 . Here, since the size of the antenna elements 410 is normalized in units of wavelengths, they can be expressed numerically without units. Although the two panels 400 - 1 and 400 - 2 face opposite sides to each other, a gap may be formed in the drawing for understanding. In the back-to-back type antenna module of the terminal, the first panel 400-1 uses different polarizations between the antenna elements 410 indicated by thick solid lines and the antenna elements 410 indicated by thin solid lines on the front side. can The first panel 400 - 1 may have one output port by binding the antenna elements 410 using the same polarization in an analog beamforming structure.

이에 따라, 제1 패널(400-1)의 16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은 2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패널(400-2)은 후면에 굵은 파선으로 표시한 안테나 엘리멘트들(410)과 가는 파선으로 표시한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은 서로 다른 편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패널(400-2)은 동일 편파를 이용하는 안테나 엘리먼트들(410)을 아날로그 빔포밍 구조로 묶여 하나의 출력 포트를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400-2)의 16개의 안테나 엘리멘트들(410)은 2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의 백투백 방식의 안테나 모듈은 32개 안테나 엘리먼트들(410)을 사용하여 4개 출력 포트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16 antenna elements 410 of the first panel 400 - 1 may configure two antenna ports. Next, in the second panel 400 - 2 , the antenna elements 410 indicated by thick dashed lines and the antenna elements 410 indicated by thin broken lines on the rear side may use different polarizations. The second panel 400 - 2 may have one output port by grouping the antenna elements 410 using the same polarization in an analog beamforming structure. Accordingly, the 16 antenna elements 410 of the second panel 400 - 2 may configure two antenna ports. As such, the terminal's back-to-back antenna module may form four output ports using 32 antenna elements 410 .

일반적인 단말은 2개의 패널들(400-1, 400-2)에서 하나의 패널을 선택하여 2개 출력 포트를 스위칭하면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단말은 2개의 패널들(400-1, 400-2)의 4개의 출력 포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예시한 8-포트 기지국과 4-포트 단말로 이루어진 멀티셀 네트워크에서 각 단말의 패널들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연결되어 패널당 2개 레이어 전송을 받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8-포트 기지국은 채널의 모든 디멘션(full dimension)을 모두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2개의 레이어들을 3개의 단말들에게 각각 서비스하여 총 6개 레이어들을 서비스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A general terminal may select one panel from the two panels 400-1 and 400-2 and transmit a signal while switching two output ports. However, here, the terminal may use all four output ports of the two panels 400-1 and 400-2. In the multi-cell network including the 8-port base station and the 4-port terminal illustrated above, it can be assumed that the panels of each terminal are connected to different base stations and receive two-layer transmission per panel. An 8-port base station may not use all dimensions of a channel, and may assume a situation in which two layers are respectively serviced to three terminals to service a total of six layers.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은 아날로그 빔 스위핑 단계(S510), 스케쥴링 단계(S520) 및 아날로그 빔 배정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 스위핑 단계에서 단말들은 기지국들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별 전체 아날로그 빔 후보들로 이루어진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집합들에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을 선별할 수 있다(S511). 그리고, 단말들은 선별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의 빔 인덱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이란 일예로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 집합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화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an analog beam sweeping step S510 , a scheduling step S520 , and an analog beam assignment step S530 . In the analog beam sweeping step, terminals may select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from analog beam sets for each base station including all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base stations (S511). In addition, the terminals may store beam indices of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selected base station. Here,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may mean, for example, an analog beam candidate for each base station that maximizes a utility function in a set of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base station for one terminal to transmit data to one base station.

다음으로, 단말들은 기지국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 집합들에서 기지국별 차선 아날로그 빔들을 선별할 수 있다(S512). 그리고, 단말들은 선별한 기지국별 차선 아날로그 빔들의 빔 인덱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별 차선 아날로그 빔은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 집합에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을 송수신하는 해당 단말의 패널이 사용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들을 제외한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들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화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일예로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기지국에 대하여 선별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이 단말의 제1 패널을 사용하여 해당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빔이라면 차선 아날로그 빔은 제2 패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들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로 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별 차선 아날로그 빔은 기지국의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들은 그대로 둔 채로 단말의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을 송신하는 패널의 반대편 패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후보들의 집합으로 한정할 때의 최대 효용 함수를 달성할 수 있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후보 빔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효용 함수는 대표적으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값을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terminals may select sub-optimal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from the analog beam candidate sets for each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base stations (S512). In addition, the terminals may store beam indices of the selected next-lane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Here, the sub-optimal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is a base station that maximizes the utility function in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base station except for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base station used by the panel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in the analog beam candidate set for each base station It may mean an analog beam candidate.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for example, if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selected by one terminal for one base station is a beam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panel of the terminal, the second best analog beam is used for the second panel Thus, it may mean an analog beam candidate for each base station that maximizes a utility function among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base station that transmits data to the base station. In this way, the analog beam candidate for each base station is the analog beam candidate for each base st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panel opposite to the panel that transmits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while leaving the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terminal of the base station as it is. It may mean an analog candidate beam for each base station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utility function when limited to a set. Here, the utility function may typically use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value.

다음으로, 스케쥴링 단계(S520)에서 단말들은 각 타임 슬롯에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의 효용 함수를 비교하여(S521) 최대 효용 함수를 갖는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에 해당하는 기지국에 우선적으로 스케쥴링을 요청할 수 있다(S522). 이후에, 단말들은 스케쥴링을 요청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을 사용하는 패널이 아닌 다른 패널을 통하여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해당 패널과 관련하여 선별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과 기지국별 차선 아날로그 빔들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로 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을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들은 선별한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에 해당하는 기지국들에 스케쥴링을 요청할 수 있다(S523).Next, in the scheduling step (S520), the terminals compare the utility functions of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in each time slot (S521) and preferentially request scheduling from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having the maximum utility function. There is (S522). Thereafter, when the terminals transmit data with the base stations through a panel other than the panel using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requesting scheduling,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and the sub-optimal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selected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panel It is possible to select an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that maximizes the utility function in . Then, the terminals may request scheduling from the base sta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S523).

이후에, 아날로그 빔 배정 단계(S530)에서 단말들은 각 단말이 각 타임 슬롯에서 스케쥴링시에 구한 효용 함수를 최대화하는 2개의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들을 양 패널에 각각 배정할 수 있다(S531). 즉, 단말들은 스케쥴링 단계에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의 효용 함수를 비교하여 최대 효용 함수를 갖는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에 대하여 해당하는 패널에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들은 다른 패널에 대하여 선별한 기지국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과 기지국별 차선 아날로그 빔들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로 하는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을 해당하는 다른 패널에 배정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analog beam allocating step (S530), the terminals may allocate the two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that maximizes the utility function obtained when each terminal performs scheduling in each time slot to both panels (S531). That is, in the scheduling step, the terminals may compare the utility functions of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and preferentially allocate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having the maximum utility function to the corresponding panel. In addition, the terminals may allocate the analog beam for each base station that maximizes the utility function from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and the next best analog beams for each base station selected for the other panel to the corresponding other panel.

도 6은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스케쥴링과 협력 전송 방법은 빔 스위핑 단계(S610), 스케쥴링 단계(S620) 및 아날로그 빔 배정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빔 스위핑 단계에서 기지국들은 각각의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단말별 전체 아날로그 빔 후보들로 이루어진 단말별 아날로그 빔 집합들에서 단말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을 선별할 수 있다(S611). 그리고, 기지국들은 선별한 단말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의 빔 인덱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별 최선 아날로그 빔이란 일예로 하나의 기지국이 하나의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 집합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화하는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downlink scheduling and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a beam sweeping step S610 , a scheduling step S620 , and an analog beam assignment step S630 . In the beam sweeping step, the base stations may select the best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from analog beam sets for each terminal including all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to each terminal ( S611 ). In addition, the base stations may store beam indices of the selected best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Here,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terminal may mean, for example, an analog beam candidate for each terminal that maximizes a utility function in a set of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terminal for one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to one terminal.

다음으로, 기지국들은 각각의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 집합들에서 단말별 차선 아날로그 빔들을 선별할 수 있다(S612). 그리고, 기지국들은 선별한 단말별 차선 아날로그 빔들의 빔 인덱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별 차선 아날로그 빔은 단말별 최선 아날로그 빔을 수신하는 해당 단말의 패널과 다른 패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 집합에서 효용 함수를 최대화하는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일예로 기지국이 선별한 단말별 최선 아날로그 빔이 듀얼 안테나 패널을 구비한 단말의 제1 패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빔이라면 단말별 차선 아날로그 빔은 제2 패널에 기지국이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효용 함수를 최대로 하는 단말별 아날로그 빔 후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효용 함수는 대표적으로 RSRP값을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base stations may select sub-optimal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from the analog beam candidate sets for each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to each terminal ( S612 ). In addition, the base stations may store beam indices of the selected next-lane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Here, the sub-optimal analog beam for each terminal is an analog beam for each terminal that maximizes a utility function from a set of analog beam candidates for each terminal that can be used when data is transmitted for a panel different from the panel of the terminal that receives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terminal It could mean a candidate.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an example, if the best analog beam for each terminal selected by the base station is a beam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first panel of the terminal having a dual antenna panel, the next best analog beam for each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anel by the base sta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using beam candidates, it may mean an analog beam candidate for each terminal that maximizes a utility function. Here, the utility function can typically use the RSRP value.

한편, 스케쥴링 단계(S620)에서 기지국들은 각 타임 슬롯에 대하여 단말들로부터 스케쥴링 요청들을 수신할 수 있다(S621). 그리고, 기지국들은 각 타임 슬롯에 단말들의 스케쥴링 요청들에 따른 단말별 아날로그 빔들을 사용하여 스케쥴링들을 수행할 수 있다(S622). 그리고, 기지국들은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스케쥴링들을 단말들에게 통지할 수 있다(S623). 기지국들은 스케쥴링할 때 각 기지국에 스케쥴링한 단말의 수가 최대 수용가능 단말 수를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cheduling step (S620), the base stations may receive scheduling requests from the terminals for each time slot (S621). In addition, the base stations may perform scheduling in each time slot using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according to the scheduling requests of the terminals (S622). Then, the base stations may notify the terminals of the scheduling for each time slot (S623). When scheduling, the base stations may ensure that the number of terminals scheduled to each base station does not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accommodating terminals.

이후에, 아날로그 빔 배정 단계에서 기지국들은 각 타임 슬롯마다 단말들의 스케쥴링 요청들에 따른 단말별 아날로그 빔들을 안테나 그룹들에 배정할 수 있다(S631). 그리고, 기지국들은 잔여 안테나 그룹들에는 이미 배정한 단말별 아날로그 빔들을 중복하여 배정할 수 있다(S632).Thereafter, in the analog beam assignment step, the base stations may allocate the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to the antenna groups according to the scheduling requests of the terminals for each time slot ( S631 ). Then, the base stations may overlap the already allocated analog beams for each terminal to the remaining antenna groups (S632).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nfiguration or function,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1)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별 아날로그 빔 집합들에서 기지국별로 효용 함수에 기반하여 최선 아날로그 빔과 차선 아날로그 빔을 선별하는 단계;
최선 아날로그 빔들에서 최대 효용 함수를 갖는 제1 아날로그 빔에 대하여 해당하는 제1 기지국에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아날로그 빔을 송신하는 제1 패널과 다른 제2 패널이 송신하는 상기 최선 아날로그 빔들과 상기 차선 아날로그 빔들에서 효용 함수가 최대인 제2 아날로그 빔에 대하여 해당 제2 기지국에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날로그 빔은 상기 제1 패널에 배정하고, 상기 제2 아날로그 빔은 상기 제2 패널에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electing a best analog beam and a next best analog beam from the analog beam sets for each base station based on a utility function for each base station;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corresponding first base station for a first analog beam having a maximum utility function in best analog beams;
requesting scheduling from a corresponding second base station for a second analog beam having a maximum utility function in the best analog beams and the suboptimal analog beams transmitted by a second panel different from the first panel transmitting the first analog beam; ; and
and allocating the first analog beam to the first panel and allocating the second analog beam to the second panel.
KR1020210091253A 2020-11-05 2021-07-12 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6098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88 2020-11-05
KR20200147188 2020-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986A true KR20220060986A (en) 2022-05-12

Family

ID=8159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253A KR20220060986A (en) 2020-11-05 2021-07-12 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9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1749B (en) Antenna selection ind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5229942B (en) The user equipment jumped and method are found to equipment for resource allocation and equipment
US978833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lied to a base station, a data receiving method applied to a user equipment, a data transmission device applied to a base station, and a data receiving device applied to each user equipment in a UE group
US114640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KR201600260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beam hopping in multi cell multi user communication system
KR102346979B1 (en) Beam management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US2015024538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11622362B2 (en) Parallel scheduler architecture
US11025314B2 (en) 3D MIMO based radio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30020102A (en) A relay and a terminal in a multi-pair two-way relay network and a communicaton method thereof
JP2022520920A (en) Methods, terminal devices, network devices, and programs
CN110768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CN114080036A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JP71503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EP2677830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Meta-scheduler
EP32586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JP71530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frequency hopping,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101198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line-of-sight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60986A (en) 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cheduling and coordinate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87161A (en) Multiple wireless service using multi-beam forming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WO2023160357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677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terminal-centric cooperative transmission
KR202100603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using load balancing in communication system
WO2024065113A1 (en) Uplink waveform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and product
US2024017889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irst terminal device, and second termin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