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636A - 의자 좌판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좌판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636A
KR20220060636A KR1020200146451A KR20200146451A KR20220060636A KR 20220060636 A KR20220060636 A KR 20220060636A KR 1020200146451 A KR1020200146451 A KR 1020200146451A KR 20200146451 A KR20200146451 A KR 20200146451A KR 20220060636 A KR20220060636 A KR 20220060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hair
support structure
coupling member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915B1 (ko
Inventor
김태욱
김건욱
Original Assignee
김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욱 filed Critical 김태욱
Priority to KR102020014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9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때, 자세가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좌판의 각도가 그에 따라 적절하게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좌판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 좌판 지지 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a seat for a chair}
본 발명은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때, 자세가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좌판의 각도가 그에 따라 적절하게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좌판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등과 엉덩이가 각각 접촉될 수 있는 등받이부와 좌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장시간 업무를 보는 사무용 의자는 회사나 가정에서 일 또는 공부 등을 하기 위해 책상과 사용되는 것으로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에 앉아 고정된 자세에서 오랜 시간동안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의 혈액 및 양분 공급을 차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며, 특히 잘못된 자세의 척추는 정상적인 척추라인을 이루지 못하고 '뒤로 굽는 라인(척추후만 : kyphosis)'을 이루게 되는데, 척추후만이 지속되면 척추의 추간연골이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수시로 등을 젖히고 펴서 척추에 적당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추간연골 및 주변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 및 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동작에 따라 의자가 기울어지는 틸팅기능을 가진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의자의 틸팅기능은 몸을 펼 수 있는 기능부여에서 점차 오픈 앵글(open angle)과 스위블(swivel)을 결합하여 틸팅감(tilting feeling)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3절 또는 4절 링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힌지점에 의해 좌판과 등판이 연동하여 움직이는 싱크로(syncro) 개념의 틸팅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 싱크로 개념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2)이 안착하여 고정되는 안착부재(4)가 구비되고, 이 안착부재(4)가 제1힌지축(6)에 의해 틸팅베이스(8)와 연결되며, 상기 틸팅베이스(8)는 다리(10)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 베이스(8)에는 상기 제1힌지축(6)의 후측으로 치우쳐져 제2힌지축(12)이 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축(12)에는 등판(14)에 연결되는 등판 커넥터(16)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등판 커넥터(16)의 중간부(제2힌지축의 후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링크에 의해 상기 제1힌지축(6) 및 제2힌지축(12)과 일정구간 공통 궤적을 가지는 제3힌지축(1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에서 사용자가 몸을 뒤로 젖히면, 좌판(2)은 제1힌지축(6)을 힌지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등판(14)은 제2힌지축(1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좌판(2)과 등판(14)이 연동하여 움직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틸팅하게 된다. 이때 제3힌지축(18)은 제1, 제2힌지축(6, 12)에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6, 12)을 중심으로 하여 제3힌지축(18)이 그리는 두 개의 회전궤적이 겹치는 부분까지만 틸팅되게 하여 틸팅량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틸팅장치가 적용된 의자는 단순히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상태에서 좌판의 각도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공부를 하거나 PC 작업 등을 수행할 경우에 등이 앞쪽으로 기울어져 대퇴부 허벅지와 척추부의 힙 앵글각이 기본 착석자세의 각도보다 줄어들게 되는데, 이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면 의자 좌판과 허벅지의 압박량이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등과 허벅지간의 압박으로 인해 혈액순환에 장애를 받게 된다.
또한,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인한 힙 앵글의 감소는 앞서 설명한 척추 후만을 유발시켜 척추관련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08735호(2009,07,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는 좌석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수용부의 내측 전면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전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몸을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일 경우 좌판부가 전방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상황에서도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적절한 각도로 한정함으로써, 좌판부가 전방으로 너무 기울어져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판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후부 양측에는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의 후부 양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탄성력을 가지면서도 과도하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좌판부가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질 때,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과 함께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의 하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의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부의 외측에는 부시가 더 구비되되, 상기 부시의 전단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걸림홈의 외측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용부의 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후부 양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의 후부 양측에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후부 양측에는 지지바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강블럭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보강블럭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 후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전부 양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는 좌석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수용부의 내측 전면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전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몸을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일 경우 좌판부가 전방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상황에서도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하도록 하며,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적절한 각도로 한정함으로써, 좌판부가 전방으로 너무 기울어져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판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후부 양측에는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의 후부 양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블럭을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탄성력을 가지면서도 과도하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좌판부가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질 때,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과 함께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가 적용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걸림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좌판부가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좌판부가 측방으로 틸팅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탄성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 실시 예에 따른 걸림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가 적용된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걸림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좌판부가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좌판부가 측방으로 틸팅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탄성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 좌판 지지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 실시 예에 따른 걸림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좌판부(100), 등받이부(200) 및 다리부(300)로 이루어지는 의자의 좌판을 지지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의자의 좌판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0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에는 다리부(300)가 연결되는 결합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결합부재(500)의 후부와 연결되는데, 상기 등받이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500)의 후부에 형성되는 등받이 연결부(530)와 연결되는 탄성지지부(21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에는 수용부(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재(5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410)는 전방과 측방이 단턱지게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되어 상기 결합부재(500)의 후부에 연결되는 탄성지지부(210)가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등받이부(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 전면에는 걸림홈(415)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걸림홈(415)에 삽입되는 걸림돌부(510)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다리부(30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500)와 상기 좌판부(100)가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400)는 상기 걸림홈(415) 및 걸림돌부(510)의 힌지 결합에 의해 좌우 용이하게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움직이더라도 그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회전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415)의 하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417)가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부(417)의 각도는 과도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너무 기울어져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510)의 외측에는 부시(5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부시(520)의 외경은 상기 걸림홈(415)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걸림홈(415)에 삽입되어 걸림홈(415) 및 걸림돌부(510)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415)의 내측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5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부시(520)의 전단도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상태에서 좌판부(100)를 전방으로 기울일 때, 상기 걸림홈(415)과 부시(520)의 반원 형상의 단부에 의해 용이하게 상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시(520)의 후단 외주면에는 걸림턱(522)이 돌출 형성되어 걸림홈(415)의 외측에 지지되어 부시(520) 및 걸림돌부(510)가 걸림홈(415)의 내측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수용부(410)의 후부 양측에는 탄성부재(60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결합부재(500)의 후부 양측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좌판부(100)를 전방이나 좌우로 회전시킬 때,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410)의 후부 양측에는 설치부(42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부(420)에는 상기 탄성부재(60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500)의 후부 양측에는 지지바(55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55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600)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00)가 전방 또는 좌우로 회전할 때,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세 변화에 의한 편안함과 함께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600)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보강블럭(6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6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블럭(620) 중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보강블럭(620a)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622)가 형성되고, 타측에 설치되는 보강블럭(620b)에는 결합홈(6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6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홈(624)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어 의자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과 결합할 때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몸체(610)의 내측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블럭(620)을 구비함으로써, 적절한 탄성력을 가지면서도 과도하게 수축 및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좌판부(100)를 적절한 지지력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낄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00)의 하면에는 수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410)에는 상기 결합부재(5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 후면에는 걸림홈(41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부 후단에는 상기 걸림홈(415')에 삽입되는 걸림돌부(510')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415') 및 걸림돌부(510')에 의해 좌판부(100)가 좌우로 틸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415')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417')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10)의 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재(500)의 전부 양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6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410)의 전부 양측에는 설치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420')에는 상기 탄성부재(600)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600)와 결합부재(500)는 지지바(550)에 의해 연결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00)가 전방 또는 좌우로 회전할 때,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세 변화에 의한 편안함과 함께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때, 자세가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좌판의 각도가 그에 따라 적절하게 전방이나 좌우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좌판이 급격하게 각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좌판부 200 : 등받이부
300 : 다리부 400 : 지지 플레이트
410 : 수용부 420,420' : 설치부
500 : 결합부재 510,510' : 걸림돌부
520 : 부시 530 : 등받이 연결부
550 : 지지바 600 : 탄성부재
610 : 몸체 620 : 보강블럭

Claims (11)

  1. 의자의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리부가 연결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 전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하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의 외측에는 부시가 더 구비되되,
    상기 부시의 전단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걸림홈의 외측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좌 좌판 지지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후부 양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후부 양측에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후부 양측에는 지지바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강블럭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보강블럭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 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 후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상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전부 양측과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지지 구조.
KR1020200146451A 2020-11-05 2020-11-05 의자 좌판 지지 구조 KR10249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451A KR102499915B1 (ko) 2020-11-05 2020-11-05 의자 좌판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451A KR102499915B1 (ko) 2020-11-05 2020-11-05 의자 좌판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636A true KR20220060636A (ko) 2022-05-12
KR102499915B1 KR102499915B1 (ko) 2023-02-15

Family

ID=8159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451A KR102499915B1 (ko) 2020-11-05 2020-11-05 의자 좌판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9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5B1 (ko) 2008-12-31 2009-07-22 엄옥순 의자
KR20180078673A (ko) * 2016-12-30 2018-07-10 이재현 스프링이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19188126A (ja) * 2018-04-25 2019-10-31 嚴澄宇 弾性的シーソー型フリーリクライニング機構および自由調節可能な回転椅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35B1 (ko) 2008-12-31 2009-07-22 엄옥순 의자
KR20180078673A (ko) * 2016-12-30 2018-07-10 이재현 스프링이 적용된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2019188126A (ja) * 2018-04-25 2019-10-31 嚴澄宇 弾性的シーソー型フリーリクライニング機構および自由調節可能な回転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915B1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397B1 (ko)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US4157203A (en) Articulated double back for chairs
CA2473978C (en) Sacral support member for seating
AU2016287479B2 (en) Back support
US8544955B2 (en) Tiltable chair
US4575151A (en) Chair tilting mechanism
US20110233979A1 (en) Chair with separate and interconnecting type lumbar and thoracic supports
US20180125240A1 (en) Seat assembly for task-oriented seating
JP5313167B2 (ja) 椅子(改良型)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0743933B1 (ko) 의자의 좌판 틸팅장치
KR20220060636A (ko) 의자 좌판 지지 구조
JP4159850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2245900B1 (ko)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102324422B1 (ko) 틸팅형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프레임
KR102293114B1 (ko) 신축성을 갖는 틸팅형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KR20180120410A (ko) 기능성 의자
AU595304B2 (en) Tilting seat
JPH0236536Y2 (ko)
KR20230084789A (ko) 자세 교정 의자
CA1106747A (en) Articulated double back for chai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