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464A - Vacuum container - Google Patents

Vacuum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464A
KR20220060464A KR1020210090191A KR20210090191A KR20220060464A KR 20220060464 A KR20220060464 A KR 20220060464A KR 1020210090191 A KR1020210090191 A KR 1020210090191A KR 20210090191 A KR20210090191 A KR 20210090191A KR 20220060464 A KR20220060464 A KR 2022006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receptor
opening
tra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8020B1 (en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228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22419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KR102021009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74B1/en
Priority to PCT/KR2021/011325 priority patent/WO2022097887A1/en
Priority to JP2023524472A priority patent/JP2023547851A/en
Priority to CN202180074450.3A priority patent/CN116546909A/en
Publication of KR2022006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case in which a vacuum pump is installed; and upper and lower receiving bodies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cas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which has an inner reception space for receiving food, wherein the inn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pump so that the inner reception space is evacuated by the vacuum pump.

Description

진공용기{VACUUM CONTAINER}Vacuum container {VACUUM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용기로서, 음식을 진공에서 보관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ontainer for storing food in a vacuum.

일반적으로 쌀과 같은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서 보관해야 한다.In general, for long-term storage of grains such as rice, it should be stored in a cool, well-ventilated place.

구내식당이나 음식점과 같이 대량으로 쌀을 소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창고가 구비되어 있거나 짧은 시간 내에 쌀을 소비하기 때문에 쌀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규모가 작은 식당이나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는 쌀을 쌀통에 넣어 보관하고 있는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쌀통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도자기로 만든 쌀통에 쌀을 보관하고 있다.In cases where a large amount of rice is consumed, such as in a cafeteria or restaurant, there are cases where a separate storage warehouse is provided or the rice box is not used because rice is consum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rice is stored in rice barrels, and the rice barrels used in ordinary households are stored in rice bowls made of synthetic resin or ceramics.

정미한 쌀의 보존기간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쌀이 수확되는 가을부터 이듬해 3월경까지는 쌀 자체가 햅쌀이기 때문에 신선하고 기온도 낮기 때문에 2개월 정도 보존할 수 있지만, 봄이 되면 수확기로부터 반년 정도 지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쌀은 점차 묵은쌀이 되고 기온도 올라가 보존환경이 나빠져서 4-5월경의 보존 기간은 1개월 정도이고, 시간이 더 지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이 되면 보존기간은 더 줄어든다.The preservation period of polished rice varies depending on the season. From the fall when rice is harvested to around March of the following year, the rice itself is new rice, so it is fresh and the temperature is low, so it can be preserved for about 2 months. As the rice becomes stale, the temperature gradually rises and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deteriorates. The preservation period from April to May is about one month, and as time passes and the hot and humid summer comes, the preservation period is further reduced.

즉, 기온이 30℃를 넘으면 쌀이 산화되면서 쌀의 질은 뚝 떨어지고 흰 가루가 생기고 맛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30℃, the rice is oxidized and the quality of the rice drops, white powder is formed, and the taste deteriorates remarkably.

이에 따라, 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신선한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밀폐용기에 보존하는 것이 제일 좋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of rice and preserve fresh quality, it is best to store it in an airtight container.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실내가 항상 따뜻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쌀통은 쌀을 저장하더라도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조금만 지나면 쌀통에 보관된 쌀이 변색이 된다든가 쌀통에 습기가 차게 되면서 쌀벌레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since the interior is always warm, most rice casks used so far are difficult to store for a long time even if they store rice. Or mold may develop.

즉, 종래의 쌀통은 쌀을 저장하는 기능만 있을 뿐 실질적으로 쌀을 장기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에는 쌀벌레가 발생될 수 있으며 쌀통에 장기간 보관된 쌀로 밥을 지을 경우 밥맛이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쌀 이외에도, 보리나 조 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곡물에 동시에 발생된다.That is, because the conventional rice cask only has a function of storing rice and is not practically suitable for long-term storage of rice, rice worms may occur during long-term storage, and when rice is cooked with rice stored for a long time in a rice cask, the taste of rice is not go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problems occur simultaneously with all kinds of grains, including barley and millet, in addition to rice.

따라서 가정에서 곡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쌀통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new structure of rice casks that can keep grains fresh for a long time at hom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753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475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여러 가지 음식을 진공에서 보관할 수 있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ontainer that can store various foods in a vacuu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및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각각 지니고, 상기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case in which a vacuum pump is installed; and an upper receptor and a lower receptor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pump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ontainer case and each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is evacuated by the vacuum pump. includes ;

여기에서,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면에 상부커버로 개폐되는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에 하부커버로 개폐되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고,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Here, the container case has an upper opening that opens and closes with an upper cov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opening that opens and closes with a lower cov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receptor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opening, and the lower The receptor may be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lower opening.

이때,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상부개구부와 하부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lock switch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losed and locked may be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r at one side of the upper opening and the lower opening. .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된 격벽이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복수 개의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인입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테이블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receiver may include: a turntable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ase,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and a table tray that is seated on the turntable and is inserted between a plurality of the partition walls of the turntable, the plurality of table tray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urntable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or lock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ntabl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수용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측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재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블모터로서, 상기 측부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기어를 가질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otation driving member for rotating the lower receptor, wherein the turntable has a side gear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and the rotary driving member is a tabl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ase As a motor, it may have a drive shaft gear which rotates the said side gear.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 출입되도록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lower receptor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ase so as to slide in and out through the lower opening.

한편, 상기 상부수용체는 하방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케이스의 측면에는 정량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량개구부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정량트레이를 가진 정량수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receptor is formed to be tapered downward, a lower out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a quantitative opening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case. It may further include a quantitative receptor with;

구체적으로, 일례로서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와 대응되게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정량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면커버가 형성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정량트레이의 상부 후측을 덮도록 상기 정량트레이에 장착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정량트레이에 연동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폐쇄하는 배출구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an example, the quantitative receptor has an upper portion open to correspond to the lower outlet of the upper receptor, and the metering tray has a front cover that closes the metering opening when it does not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And it is mounted on the metering tray to cover the upper rear side of the metering tray, and opens the lower discharge port when it does not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and is interlocked with the metering tray to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It may be provided with a; outlet stopper to close the.

여기에서,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내부 양측면에 자석이 내장된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마개는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정량트레이의 측부홀에 인입되게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정량트레이가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핀이 상기 걸림홈부에 인접 시,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걸림홈부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마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정량트레이의 이동이 계속 시 상기 배출구마개가 상기 정량트레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Here, in the container case, engaging grooves having magnets embedded therein are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metering opening, and the outlet stopper has a locking pin reciprocally movable in both directions on both sides, and the locking pin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etering tray.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into the hole, and when the locking pin is adjacent to the locking groove while the metering tray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the locking pin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e movement of the outlet stopper is restricted by being drawn into the locking groove, so that when the metering tray continues to move, the outlet stopper may be separated from the metering tray.

이때, 상기 정량트레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트레이의 전면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lock switch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front cover of the metering tray is closed and locked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metering tray or one side of the metering opening.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정량개구부는 정량커버로 개폐되며,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상부수용체와 정량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를 통해 받은 음식을 작동 시 상기 정량트레이의 내부 수용공간에 낙하시키는 계량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metering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with a metering cover, and the metering receptor includes: the metering tray disposed below the upper receptor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weigh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receptor and the quantitative tray, and dropping food received through the lower outlet of the upper receptor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quantitative tray during operation.

여기에서, 상기 계량유닛은,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덮개와, 상기 통덮개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통덮개에 회전되게 구성되고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종동기어가 형성된 통본체를 가진 계량통; 및 상기 용기케이스에 수직방향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본체의 종동기어에 기어체결되는 구동기어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량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 작동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metering unit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outlet of the upper receptor and is configured to rotate on the barrel cover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rel cover and the bottom of the barrel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outer surface. Weighing bin having a main body in which a driven gear is formed; and an operating lever installed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container case, a driving gear geared to the driven gear of the barrel body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andle extending through the fixed opening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용기케이스에 대한 상기 작동레버의 체결부분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수직하강된 상기 작동레버의 손잡이에 대한 하강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가 수직상승되어 위치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a torsion spring is mount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case, and when the downward pressure on the handle of the vertically descended operation lever is removed, the operation lever is vertically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can be restored.

이때, 상기 정량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lock switch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metering cover is closed and locked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metering cover or at one side of the metering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내부에 종방향으로 순차적 배치되어 각각 음식이 수용되며, 진공펌프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수용체에 음식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하부수용체에도 별도로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ontainer case in which the vacuum pump is installed, each food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receptor and a lower receptor in which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is evacuated by the vacuum pump are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receptor In addition to receiving food in the lower receptor, it has the effect of separately receiving food in the lower receptors.

또한, 본 발명은 하부수용체가 턴테이블과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에 여러 가지 음식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고,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그 중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빼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receptor is composed of a turntable and a plurality of table trays, various types of food can be placed on the plurality of table trays by type, and one of them can be easily selected and taken out by rotating the turntable. have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정량수용체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커버를 열지 않고도 상부수용체 내에 있는 음식을 정량씩 빼낼 수 있음에 따라, 상부수용체에 남은 음식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quantitative receptor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ceptor, the food in the upper receptor can be withdrawn by a quantitative amount without opening the upper cover, thereby preventing the food remaining in the upper receptor from being easily deteriorat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수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진공용기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정량수용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배출구마개가 걸림홈부까지 이동된 후 이동이 제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진공용기에서 계량유닛에 의해 음식물이 계량되어 정량트레이에 담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of FIG. 1 .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lower receptor rotated manually in the vacuum vessel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lower receptor automatically rotated in the vacuum container of FIG.
6 and 8 are diagram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quantitative receptor in the vacuum vessel of FIGS. 1 and 2 .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movement is restricted after the outlet stopper is moved to the engaging groove in FIG. 6 .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of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that food is measured by a measuring unit in the vacuum container of FIG. 11 and put in a quantity tray.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upper', 'upper', 'upper surface', 'lower', 'lower', 'lower surface', 'side', etc.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in fact, the components are arranged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you are going.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cludes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수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of Figure 1, Figure 3 is a lower receptor rotated manually in the vacuum container of Figure 2 It is a drawin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용기케이스(100), 상부수용체(200), 및 하부수용체(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case 100 , an upper receptor 200 , and a lower receptor 300 .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진공펌프(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진공펌프는 외부물체와의 간섭을 피하고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ainer case 100 is provided with a vacuum pump (not shown), which may be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in consideration of design aspects and avoiding interference with external objects.

여기에서, 상기 진공펌프는 작동 시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이 진공 하에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열기, 습기를 포함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내부의 공기 또한 제거됨으로써, 박테리아의 증식에 따른 부패와 산소에 노출됨에 따른 영양소 파괴를 방지하고, 나아가 맛과 향의 유지를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음식의 신선도를 오랜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vacuum pump is operated,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case 100 is stored under vacuum, thereby blocking contact with the air including external heat and moisture while also removing the internal air, thereby removing the bacteria. By preventing decay due to proliferation and destruction of nutrients due to exposure to oxyge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aste and aroma, so that the freshness of food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이러한 진공펌프는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의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도록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과 연통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Such a vacuum pump may have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so that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each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is evacuated.

일례로서 본 발명의 개략도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는 하부수용체(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3,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pump (P)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eceptor (300).

상기 진공펌프(P), 상부수용체(200), 및 하부수용체(300)는 밸브유닛(9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밸브유닛(900)은 삼방밸브와 같은 구조를 취한다.The vacuum pump (P),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may be connected by a valve unit 900, wherein the valve unit 900 takes the same structure as a three-way valve.

상기 밸브유닛(900)은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으로부터 에어흡입만 가능하도록,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과 연결된 부위에 체크밸브(910)가 장착될 수 있다.The valve unit 900 has a check valve 910 at a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so that only air intake from each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is possible. can

여기에서, 상기 체크밸브(910)는 상부수용체(200)가 개방 시 하부수용체(300)의 진공상태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하부수용체(300)가 개방 시 상부수용체(300)의 진공상태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Here, the check valve 910 prevents the vacuum state of the lower receptor 300 from being affected when the upper receptor 200 is opened, and when the lower receptor 300 is opened, the vacuum state of the upper receptor 300 is avoid being affected.

즉, 사용자가 상부수용체(200)의 상부커버(도 2의 110)를 열어서 상부개구부(도 2의 100a)를 통해 음식이 출입 시, 상부개구부(100a)를 통해 상부수용체(200)로 들어온 공기가 밸브유닛(900)을 통해 하부수용체(3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opens the upper cover (110 in FIG. 2)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food enters through the upper opening (100a in FIG. 2), the air that enters the upper receptor 200 through the upper opening 100a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lower receptor 300 through the valve unit 900 .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하부수용체(300)의 하부커버(도 2의 110)를 열어서 하부개구부(도 2의 100a)를 통해 음식이 출입 시,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하부수용체(300)로 들어온 공기가 밸브유닛(900)을 통해 상부수용체(2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opens the lower cover (110 in FIG. 2) of the lower receptor 300 and food enters through the lower opening (100a in FIG. 2), the air that enters the lower receptor 300 through the lower opening 100b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receptor 200 through the valve unit 900 .

그리고, 진공펌프(P)가 작동 시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에서 진공상태가 아닌 것으로부터만 밸브유닛(90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신속하게 진공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공펌프(P)의 부하도 저감시킬 수 있다.And, when the vacuum pump (P) is operated, air is sucked through the valve unit 900 only from the non-vacuum state in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so that it can be quickly changed to a vacuum st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f the vacuum pump (P).

참고로, 상기 밸브유닛(900)에서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과 연통된 부위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920)가 장착될 수 있다.For reference, a filter 92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valve unit 900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는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순차적 이격배치되는데, 각각 음식이 수용되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 and each has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to accommodate food.

이러한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는 내부에 보관된 음식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바람직하게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may preferably have an open top structure so that the food stored therein is safely stored without being separated.

아울러,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 각각의 내부 수용공간은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고, 후술되는 정량수용체(400)도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도록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며, 이때의 연통구조는 일례로서 진공펌프에 연결된 튜브들이 각각의 내부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측으로 용기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연통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each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pump to be evacuated by the vacuum pump, and the quantitative receptor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evacuated so that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evacuated. It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pump, 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at this time is, as an example, the tube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case 100 as an open upper side of each inner accommodation sp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any communication structure may be used.

이와 같은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가 용기케이스(100)에 설치된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are installed in the container cas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상면에 상부커버(110)로 개폐되는 상부개구부(100a)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에 하부커버(120)로 개폐되는 하부개구부(100b)가 형성된다.The container case 100 has an upper opening 100a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upper cover 110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opening 100b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ower cover 1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이때, 용기케이스(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수용체(200)는 용기케이스(100)의 상부개구부(100a)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고, 용기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수용체(300)는 용기케이스(100)의 하부개구부(100b)에 의해 외부에 개방된 구조를 지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receptor 20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case 100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opening 100a of the container case 100 , and the lower receptor 300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ase 100 . ) has a structure open to the outside by the lower opening (100b) of the container case (100).

또한, 본 발명은 용기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장착된 상부커버(110)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S)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lock switch (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upper cover 110 mounted to be rotated on the container case 100 is closed and locked.

상기 잠금스위치(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개구부(100a)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커버(110)가 회전되어 상부개구부(100a)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S)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The lock switch S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upper cover 1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opening 100a, and the upper cover ( When the 110) is rotated to close the upper opening 100a and then locked by the lock switch S, the vacuum pu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so that the vacuum pump is automatically operated.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용기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장착된 하부커버(120)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S)가 마련될 수 있다.Like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ck switch 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lower cover 120 rotatably mounted to the container case 100 is closed and locked may be provided.

상기 잠금스위치(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12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개구부(100b)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커버(120)가 회전되어 하부개구부(100b)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S)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The lock switch S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lower cover 12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opening 100b, and the lower cover ( When 120) is rotated to close the lower opening 100b and then locked by the lock switch S, the vacuum pum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so that the vacuum pump is automatically operated.

이때, 상술된 잠금스위치(S)는 회전형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어떠한 잠금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locking switch S may utilize any conventional locking member including a rotary locking member.

한편, 상기 하부수용체(300)는 수용된 복수 개의 음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receptor 3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accommodated food and take it out through the lower opening 100b.

구체적으로, 하부수용체(300)는 텐테이블과, 테이블트레이(320)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receptor 300 may include a tent table and a table tray 320 .

상기 턴테이블(310)은 용기케이스(1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일례로서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도 8의 310a)에 용기케이스(100)의 원형 축기둥(도 8의 100d)이 삽입됨으로써, 축기둥(100d)을 중심으로서 원활하게 회전되는 구조를 취한다.The turntable 3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ase 100, for example, a circular shaft column (100d in FIG. 8) of the container case 100 in a central hole (310a in FIG. 8) formed in the center. By being inserted, it takes a structure that smoothly rotates around the shaft pillar (100d).

또한, 상기 턴테이블(310)은 상부에 격벽(31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311)은 중앙홀(310a)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아울러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rntable 310 has a partition wall 311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partition wall 311 may be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hole 310a,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1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테이블트레이(320)는 음식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부재로서, 복수 개의 격벽(311) 사이에 인입되어 배치되고, 턴테이블(3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안착된다.In addition, the table tray 320 is a member of a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portion to accommodate food, and is inserted betwee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11 , and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rntable 3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테이블트레이(320)는 복수 개의 격벽(311) 사이에 인입되어 턴테이블(310)에 안착될 때에는 턴테이블(3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사용자가 하부커버(120)를 열고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빼낼 때에는 복수 개의 격벽(311) 사이로부터 빼져서 탈거된다.When the table tray 320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11 and is seated on the turntable 310, it rotates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310, and the user opens the lower cover 120 and the lower opening 100b ) is removed from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11 when withdrawing through.

이와 같은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에는 각각 별도의 음식이 담길 수 있는데, 일례로서 여러 가지 잡곡류가 종류별로 수용될 수 있고, 또는 여러 가지 과일이 종류별로 수용될 수도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able trays 320 may contain separate food. For example, various kinds of grains may be accommodated for each type, or various types of fruits may be accommodated for each type.

이와 같은 턴테이블(310)은 측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310b)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Such a turntable 31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10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사용자가 하부커버(120)를 열고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 중 하나를 고르기 위해 턴테이블(3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림되는 걸림돌기(310b)가 턴테이블(3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user to open the lower cover 120 and easily rotate the turntable 310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table trays 320 , the locking protrusion 310b through which the user's finger is caught is the turntable 310 . It may be formed on the side.

이러한 걸림돌기(310b)는 턴테이블(3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턴테이블(3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원하는 테이블트레이(320)를 마주할 때까지 턴테이블(310)을 돌린 후, 원하는 테이블트레이(320)를 하부개구부(100b)를 통해 빼낸 다음, 테이블트레이(320)에 수용된 음식을 꺼낼 수 있다.A plurality of these locking protrusions 310b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ntable 310 , so that a user can easily rotate the turntable 310 until it faces the desired table tray 320 . After turning the turntable 310 , the desired table tray 320 may be pulled out through the lower opening 100b , and then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table tray 320 may be taken out.

나아가, 상기 턴테이블(310)에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걸림돌기(310b) 대신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걸림홈도 걸림돌기(310b)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걸림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urntable 310 instead of the locking protrusion 310b. Of course, such a locking groove also has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s finger to be easily caught, similarly to the locking projection 310b.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턴테이블(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turntable 310 tak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manually by a user as shown in FIG. 3 , bu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utomat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진공용기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는 하부수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lower receptor automatically rotated in the vacuum container of FIG. 4 .

참고로, 도 4의 도면부호 중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상술되었기에 설명을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1 among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 4 are omitted because they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수용체(3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member for rotating the lower receptor (300).

상기 회전구동부재는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블모터(390)가 활용될 수 있다.As the rotational driving member, a table motor 390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may be utilized.

구체적으로, 상기 턴테이블(310)은 측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측부기어(310c)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모터(390)는 턴테이블(310)의 측부기어(310c)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기어(390a)를 가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rntable 310 has a side gear 310c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and the table motor 390 rotates the side gear 310c of the turntable 310. A drive shaft gear 390a. can take a structure with

이때, 테이블모터(3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케이스(100)의 측부에 장착된 제어판(C)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판(C)에는 테이블트레이(320)의 번호가 새겨진 복수 개의 버튼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번호의 테이블트레이(320)가 하부개구부(100b)와 마주보도록 턴테이블(310)을 회전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table motor 390 can be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panel C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case 100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control panel C is engraved with the number of the table tray 320 . By providing a plurality of buttons,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s, the turntable 310 is rotated so that the table tray 320 of the selected number faces the lower opening 100b.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수용체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 출입되도록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Furthermore, as another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lower receptor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ase to slide in and out through the lower opening.

즉, 상기 하부수용체는 서랍 타입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하부개구부를 통해 나오게 되고, 밀어지면 하부개구부를 통해 들어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ower receptor is pulled by the user like a drawer type, it comes out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when pushed, it can take a structure to enter through the lower opening.

이러한 하부수용체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십자가 형태의 격벽에 의해 나눠져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uch lower receptors may be disposed, and for example, may be divided and disposed by a cross-shaped partition wall.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수용체에는 개방된 상면을 덮는 수용체마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수용체마개에는 하부수용체 내부 공기의 유출은 허여하고 역유입은 차단하는 에어체크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receptor may be provided with a receptor stopp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and the receptor stopper may be equipped with an air check valve that permits the outflow of air inside the lower receptor and blocks the reverse inflow.

참고로, 상기 하부수용체는 내부 수용공간이 여러 개로 나누어진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ower recept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수용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quantitative receptor 400 as shown in FIG. 2 and FIGS. 6 to 8 .

일례로서 상부수용체(200)에 쌀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가 상부커버(110)를 열어서 상부개구부(100a)를 통해 쌀을 꺼낼 때마다, 상부수용체(200) 내에 있는 나머지 쌀은 외기와 접촉됨으로써 눅눅해지거나 변질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외기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나아가 쌀을 설정된 양만큼 정량씩 꺼낼 수 있도록 정량수용체(400)가 구성된다.As an example, when rice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ptor 200, whenever the user opens the upper cover 110 and takes out rice through the upper opening 100a, the remaining rice in the upper receptor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nd becomes soggy. It may be damaged or alter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inimize such contact with external air and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receptor 400 is configured to take out rice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a set amount.

도 6 및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진공용기에서 정량수용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정량수용체에서 배출구마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6 and 8 ar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quantitative receptor in the vacuum container of FIGS. 1 and 2 ,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the outlet stopper is limited in the quantitative receptor of FIG. 6 .

도 2와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수용체(200)는 하방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배출구(200a)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측면에 정량개구부(도 8의 100c)가 형성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ogether with FIG. 2 , the upper receptor 200 is tapered downward and has a lower outlet 200a at the lower end, and the container case 100 has a quantitative opening on the side (in FIG. 8 ). 100c) may have a formed structure.

이때, 상기 정량수용체(40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정량개구부(100c) 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quantitative receptor 4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to reciprocate toward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일례로서, 정량수용체(400)는 정량트레이(410)와, 배출구마개(420)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quantitative receptor 400 may include a quantitative tray 410 and an outlet stopper 420 .

상기 정량트레이(41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와 대응되게 상부가 개방되는데,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낙하하면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에 인입되어 담겨진다.The quantitative tray 410 has an upper portion open to correspond to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When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ptor 200 falls through the lower outlet 200a, the inside through the open top is inserted and contained in

이러한 정량트레이(410)는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하는 전면커버(410a)가 형성된다.The metering tray 410 is formed with a front cover 410a that closes the metering opening 100c when it does not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즉, 정량트레이(410)는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나오지 않고 정량개구부(100c)의 내측에 머물 때, 다시 말해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 시, 앞부분인 전면커버(410a)가 정량개구부(100c)와 대응되는 크기를 지님으로써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quantitative tray 410 does not come out through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and stays inside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that is, when positioned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the front cover 410a, which is the front part. By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etering opening 100c, the metering opening 100c is closed.

참고로, 상기 정량트레이(410)의 내부공간이 진공화되도록 정량트레이(410)가 설치된 설치공간이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For reference,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metering tray 410 is installe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etering tray 410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pump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metering tray 410 is evacuated.

그리고, 상기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즉 정량트레이(410)의 상부 후측을 덮도록 정량트레이(410)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outlet stopper 420 is mounted on the metering tray 410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etering tray 410 , that is, to cover the upper rear side of the metering tray 410 .

이러한 배출구마개(420)는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하부배출구(200a)를 개방하고, 정량트레이(410)에 연동되어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이동 시 하부배출구(200a)를 폐쇄한다.This outlet stopper 420 opens the lower outlet 200a when non-moving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and is linked to the metering tray 410 to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Lower outlet 200a close the

즉,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에 장착됨에 따라, 정량트레이(410)가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나오지 않고 정량개구부(100c)의 내측에 머물 때, 다시 말해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 시에는, 배출구마개(420)도 전측으로 이동되지 않음에 따라, 전측에 배치된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를 막지 않게 됨으로써,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정량트레이(410)에 떨어지게 된다.That is, as the outlet stopper 420 is mounted on the metering tray 410, when the metering tray 410 does not come out through the metering opening 100c and stays inside the metering opening 100c, that is, the container case. When located inside the 100, as the outlet stopper 420 does not move to the front side, it does not block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thereby to the upper receptor 200. The accommodated food falls on the quantitative tray 410 through the lower outlet 200a.

이때,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와 정량트레이(410)의 이격거리는 크지 않음에 따라, 쌀과 같은 음식이 설정된 정량만큼만 정량트레이(410)에 떨어져서 경사지게 쌓이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quantitative tray 410 is not large, only a set amount of food such as rice falls on the quantitative tray 410 and is stacked obliquely.

또한,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가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이동 시에는, 이와 함께 전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측에 배치된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를 막게 됨으로써,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let stopper 420 has a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as the quantity tray 410 moves to the front side with it when the quantity tray 410 mov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quantity quantity opening part 100c. By blocking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ptor 200 does not fall through the lower outlet (200a).

상술된 정량트레이(410)는 정량개구부(100c)를 통해 외부로 빼낼 수 있는데, 이때 정량트레이(410)에 장착된 배출구마개(420)가 정량트레이(410)로부터 분리되어 용기케이스(100) 내에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위치고정된 배출구마개(42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을 막은 상태로 유지된다.The above-described quantitative tray 410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At this time, the outlet stopper 420 mounted on the quantitative tray 410 is separated from the quantitative tray 410 and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position. For reference, the position-fixed outlet stopper 420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is blocked.

이를 위해, 용기케이스(100)는 자석(M)이 내장된 걸림홈부(100e)가 형성되고, 배출구마개(420)는 잠금핀(421)과 탄성부재(422)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ainer case 1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portion 100e in which the magnet M is embedded, and the outlet stopper 420 may include a locking pin 421 and an elastic member 422 .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케이스(100)는 정량개구부(100c)의 내부 양측면에 자석(M)이 내장된 걸림홈부(100e)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case 100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portion 100e having a magnet (M) built-in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quantitative opening portion 100c.

또한, 상기 배출구마개(420)는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잠금핀(421)과, 상기 잠금핀(421)을 상기 정량트레이(410)의 측부홀(410b)에 인입되게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42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stopper 420 includes a locking pin 421 reciprocating in both directions on both sides,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locking pin 421 into the side hole 410b of the metering tray 410. An elastic member 422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6의 우측 도면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트레이(410)가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잠금핀(421)이 걸림홈부(100e)에 인접 시, 잠금핀(421)이 걸림홈부(100e)에 내장된 자석(M)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걸림홈부(100e)에 인입됨으로써 배출구마개(420)가 전측방향(정량트레이(410)가 빼내지는 방향) 이동제한되어 위치고정됨에 따라, 정량트레이(410)의 이동이 계속 시 배출구마개(420)가 정량트레이(410)로부터 분리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right drawing of FIG. 6 and FIG. 7 , the locking pin 421 is adjacent to the locking groove 100e while the quantitative tray 41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At this time, the locking pin 421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 built in the engaging groove 100e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00e, so that the outlet stopper 420 moves in the front direction (the weighing tray 410 is pulled out). direction) movement is restricted and the position is fixed,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metering tray 410 continues, the outlet stopper 420 is separated from the metering tray 410 .

즉, 배출구마개(420)가 위치고정된 상태로, 정량트레이(410)가 계속해서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배출구마개(420)는 정량트레이(410)로부터 분리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outlet stopper 420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metering tray 410 continues to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the outlet stopper 420 is separated from the metering tray 410 and fixed in position. will maintain the status quo.

다시 말해, 정량트레이(410)는 배출구마개(420)로부터 분리되어 정량개구부(100c)의 외측으로 완전하게 빼내어 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etering tray 41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let stopper 420 and completely pulled out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그리고, 본 발명은 정량트레이(410)의 전면커버(410a)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S)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lock switch (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front cover (410a) of the metering tray 410 is closed and locked.

상기 잠금스위치(S)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트레이(41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량개구부(100c)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면커버(410a)가 후진되어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S)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ck switch S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metering tray 41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and the front cover ( When 410a) is moved backward to close the metering opening 100c and then locked by the lock switch S, the vacuum pump take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so that the vacuum pump operates automatically.

이때, 상술된 잠금스위치(S)는 회전형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어떠한 잠금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locking switch S may utilize any conventional locking member including a rotary locking member.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진공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진공용기에서 계량유닛에 의해 음식물이 계량되어 정량트레이에 담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of FIG. 10, and FIG. 12 is a measurement unit in the vacuum container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at food is weighed and put in the quantification tray.

상기 정량수용체(400)는 다른 일례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트레이(410)와, 계량유닛(MU)을 구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quantitative receptor 400 may include a quantitative tray 410 and a measurement unit MU, as shown in FIGS. 10 to 12 .

상기 정량트레이(410)는 상부수용체(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지니며, 정량개구부(100c) 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용기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metering tray 4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ceptor 200, has an open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case 100 to reciprocate toward the metering opening 100c.

이러한 정량트레이(410)는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계량유닛(MU)에 낙하한 후, 계량유닛(MU)의 작동 시 계량유닛(MU)으로부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에 인입되어 담겨진다.The metering tray 410 has the upper part opened from the metering unit MU when the metering unit MU is operated after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ptor 200 falls to the metering unit MU through the lower outlet 200a. It is introduced and contained inside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계량유닛(MU)은 상부수용체(200)와 정량트레이(41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를 통해 받은 음식을 작동 시 정량트레이(410)의 내부 수용공간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etering unit (MU)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quantitative tray 410, and when the food received through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is operated, the inside of the quantitative tray 410 It is configured to fall into the receiving space.

구체적으로, 상기 계량유닛(MU)은 계량통(450)과 작동레버(460)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ering unit MU may include a metering container 450 and an operation lever 460 .

상기 계량통(450)은 통덮개(451)와, 통본체(45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된 통덮개(451)와 통본체(452)의 내부에는 음식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수용공간을 지닌다.The weighing container 450 may consist of a barrel cover 451 and a barrel body 452, and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food can be accommodated in the assembled barrel cover 451 and the barrel body 452. have

여기에서, 상기 통덮개(451)는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취한다.Here, the tube cover 451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takes an open structure.

상기 통본체(452)는 통덮개(451)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회전하면서 통덮개(451)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구조를 취하기만 한다면, 통덮개(451)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용기케이스(100)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arrel body 452 is installed to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rel cover 451, and at this time, as long as it takes a structure to open and close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rel cover 451 while rotating, the barrel cover 451) It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ntainer case 100 may be rotatably installed.

이러한 통본체(452)는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종동기어(452a)가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후술되는 작동레버(460)의 수직방향 구동기어(460a)에 의해 종동기어(452a)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통본체(452)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cylindrical body 452 has a driven gear 452a formed on its outer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riven gear 452a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vertical driving gear 460a of the operating lever 460 to be described later. If it is, the cylindrical body 45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계량통(450)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덮개(451)는 상부에 연통구(451a)가 형성되어 상부수용체(200)의 하부배출구(200a)와 통하는 구조를 이루며, 일측부에는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가 인입배치되고 종동기어(452a)가 작동레버(460) 측으로 노출되는 기어홀(451b)이 형성될 수 있다.Looking at such a weighing container 450 in more detail, the tube cover 451 has a communication port 451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o form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outlet 200a of the upper receptor 200, and one side has the tube A gear hole 451b through which the driven gear 452a of the main body 452 is retracted and the driven gear 452a is exposed toward the operating lever 460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작동레버(460)는 용기케이스(100)에 수직방향 회전되게 설치되며,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에 기어체결되는 구동기어(460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460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tainer case 100, the driving gear 460a geared to the driven gear 452a of the main body 452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아울러, 작동레버(460)는 정량개구부(100c)를 통하여 용기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460b)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460 may have a handle 460b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case 100 through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즉, 작동레버(460)는 계량통(450) 방향의 부분에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와 대응되는 구동기어(460a)가 배치되고, 반대 측인 정량개구부(100c) 방향의 부분에는 손잡이(460b)가 배치된다.That is, in the operation lever 460, the driven gear 452a and the corresponding driving gear 460a of the cylinder body 452 are disposed in th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metering tube 450, and th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metering opening 100c, which is the opposite side. A handle 460b is disposed there.

이와 같은 계량유닛(MU)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통본체(452)가 통덮개(451)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부수용체(200)에 수용된 음식이 통덮개(451)의 연통구(451a)를 통해 계량통(450) 내부 수용공간에 인입되어 수용된다.Such a metering unit (MU) may be operated as shown in FIG. 12 , an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In one state,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ptor 20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weighing container 450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451a of the barrel cover 451 and is accommodated.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레버(460)의 손잡이(460b)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내리게 되면, 작동레버(460)에서 손잡이(460b)의 반대 측에 위치된 구동기어(460a)가 올려짐으로써, 통본체(452)의 종동기어(452a)를 상측으로 밀어올려서 통본체(452)를 회전시켜 통덮개(451)의 하부를 개방시킴에 따라, 계량통(450) 내부의 음식을 하측의 정량트레이(410) 내부로 낙하시키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b ),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460b of the operation lever 460 with a finger and lowers it, the driving gea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460b from the operation lever 460 ( As 460a) is raised, the driven gear 452a of the barrel body 452 is pushed upward to rotate the barrel body 452 to open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cover 451, The food is dropp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quantitative tray 410 .

이후 사용자가 정량트레이(410)를 잡아당겨 외부로 꺼내게 되면, 정량트레이(410)에 수용된 음식을 빼낼 수 있게 된다.Afterwards, when the user pulls the metering tray 410 and takes it out,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metering tray 410 can be taken out.

물론 이때, 용기케이스(100)에 대한 작동레버(460)의 체결부분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됨으로써, 수직하강된 작동레버(460)의 손잡이(460b)에 대한 하강압력이 제거되면(사용자가 손잡이(460b)를 누르지 않게 되면) 손잡이(460b)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상승되어 위치복원된다.Of course, at this time, when a torsion spring (not shown) is mount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46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case 100, the downward pressure on the handle 460b of the vertically lowered operation lever 460 is removed (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andle 460b), the handle 460b is vertically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to restore its position.

나아가, 사용자가 정량트레이(410)를 꺼내기 전에 손잡이(460b)를 여러 번 누르게 되면, 계량통(450)에 수용된 음식의 양에 손잡이(460b)를 누른 횟수만큼 곱해진 음식의 양이, 정량트레이(410)에 들어가게 됨에 따라, 상부수용체(2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음식을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460b several times before taking out the metering tray 410, the amount of food multipli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handle 460b is pressed by the amount of food accommodated in the weighing container 450 is equal to the amount of food received in the metering tray 450. As it enters the 410,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easily withdraw as much food as the user wants from the upper receptor 200.

한편, 상기 정량개구부(100c)는 정량커버(130)로 개폐되는데, 정량커버(130)가 닫혀서 잠김 시 진공펌프(미도시)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C)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ering opening 100c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etering cover 130, and a locking switch C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a vacuum pump (not shown) when the metering cover 130 is closed and locked may be provided. .

상기 잠금스위치(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커버(13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량개구부(100c)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정량커버(130)가 회전되어 정량개구부(100c)를 폐쇄한 후 잠금스위치(C)에 의해 잠김 시,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ck switch (C)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quantitative cover 130,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quantitative opening 100c, and the quantitative cover ( 130) is rotated to close the metering opening 100c and then, when locked by the lock switch C, take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so that the vacuum pump is automatically operated.

이때, 상술된 잠금스위치(C)는 회전형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어떠한 잠금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lock switch C can be used with any conventional locking member, including a rotary locking member.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100) 내부에 종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각각 음식이 수용되며, 진공펌프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이 진공화되는 상부수용체(200)와 하부수용체(300)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수용체(200)에 음식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하부수용체(300)에도 별도로 음식을 수용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o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case 100 in which the vacuum pump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receptor 200 and the lower receptor 300 are vacuum pumped to evacuate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 by being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food separately in the lower receptor 300 as well as accommodate the food in the upper receptor 200 .

또한, 본 발명은 하부수용체(300)가 턴테이블(310)과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테이블트레이(320)에 여러 가지 음식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고, 턴테이블(310)을 회전시켜 그 중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빼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receptor 300 is composed of a turntable 310 and a plurality of table trays 320 , various types of food can be placed on the plurality of table trays 320 by type, and the turntable 310 is provided. It can be rotated to easily select one of them and pull it out.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수용체(200)의 하측에 정량수용체(400)가 구성됨으로써, 상부커버(110)를 열지 않고도 상부수용체(200) 내에 있는 음식을 정량씩 빼낼 수 있음에 따라, 상부수용체(200)에 남은 음식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quantitative receptor 400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eceptor 200, the food in the upper receptor 200 can be taken out by a quantitative amount without opening the upper cover 110, the upper receptor ( 200) can prevent the food left over from being easily spoil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용기케이스 100a : 상부개구부
100b : 하부개구부 100c : 정량개구부
100d : 축기둥 C : 제어판
M : 자석 100e : 걸림홈부
110 : 상부커버 120 : 하부커버
130 : 정량커버 S : 잠금스위치
200 : 상부수용체 200a : 하부배출구
300 : 하부수용체 310 : 턴테이블
310a : 중앙홀 310b : 걸림돌기
310c : 측부기어 311 : 격벽
320 : 테이블트레이 390 : 테이블모터
390a : 구동축기어 400 : 정량수용체
410 : 정량트레이 410a : 전면커버
401b : 측부홀 420 : 배출구마개
421 : 잠금핀 422 : 탄성부재
MU : 계량유닛 450 : 계량통
451 : 통덮개 451a : 연통구
451b : 기어홀 452 : 통본체
452a : 종동기어 460 : 작동레버
460a : 구동기어 460b : 손잡이
100: container case 100a: upper opening
100b: lower opening 100c: fixed opening
100d: shaft column C: control panel
M: Magnet 100e: Locking groove
110: upper cover 120: lower cover
130: fixed amount cover S: lock switch
200: upper receptor 200a: lower outlet
300: lower receptor 310: turntable
310a: central hall 310b: stumbling block
310c: side gear 311: bulkhead
320: table tray 390: table motor
390a: drive shaft gear 400: positive receptor
410: quantitative tray 410a: front cover
401b: side hole 420: outlet plug
421: lock pin 422: elastic member
MU: Weighing unit 450: Weighing container
451: tube cover 451a: communication hole
451b: gear hole 452: body
452a: driven gear 460: operating lever
460a: drive gear 460b: handle

Claims (16)

진공펌프가 설치된 용기케이스; 및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각각 지니고, 상기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화되도록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
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a container case in which a vacuum pump is installed; and
an upper and a lower receptor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case, each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od, the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pump to be evacuated by the vacuum pump;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면에 상부커버로 개폐되는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에 하부커버로 개폐되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고,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case has an upper opening that is opened and closed with an upper cover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opening that opens and closes with a lower cov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upper receptor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opening, and the lower receptor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lower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상부개구부와 하부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lock switch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losed and locked is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r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Vess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된 격벽이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복수 개의 상기 격벽 사이에 각각 인입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테이블트레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receptor is
a turntable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case,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able tray seated on the turntable and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of the turntable, the plurality of table tray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urntable is a vacuum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or locking grooves are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은 측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측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재는 상기 용기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테이블모터로서, 상기 측부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기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driving member for rotating the lower receptor;
The turntable has a side gear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he rotary drive member is a table motor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rive shaft gear for rotating the side ge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체는,
상기 하부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드 출입되도록 상기 용기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receptor is
Vacuum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case so as to slide in and out through the lower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용체는 하방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케이스의 측면에는 정량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량개구부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정량트레이를 가진 정량수용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receptor is formed to be tapered downward, a lower out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a quantitative opening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container case,
a quantitative receptor disposed below the upper receptor and having a quantitative tray reciprocating toward the quantitative opening;
A vacuum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와 대응되게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정량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면커버가 형성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정량트레이의 상부 후측을 덮도록 상기 정량트레이에 장착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비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정량트레이에 연동되어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하부배출구를 폐쇄하는 배출구마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quantitative receptor is
the metering tray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correspond to the lower outlet of the upper receptor and having a front cover for closing the metering opening when the metering opening is not moved to the outside; and
It is mounted on the metering tray to cover the upper rear side of the metering tray, and opens the lower outlet when it does not move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and is linked to the metering tray to close the lower outlet when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plugging outlet plug;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케이스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내부 양측면에 자석이 내장된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마개는 양측부에 양측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을 상기 정량트레이의 측부홀에 인입되게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정량트레이가 상기 정량개구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핀이 상기 걸림홈부에 인접 시, 상기 잠금핀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걸림홈부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마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정량트레이의 이동이 계속 시 상기 배출구마개가 상기 정량트레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ainer case is formed with engaging grooves with magnets built-in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quantitative opening,
The outlet stopper includes a locking pin reciprocally movable in both directions on both sides,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locking pin into the side hole of the metering tray,
When the locking pin is adjacent to the locking groove while the quantitative tray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opening, the locking pin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introduced into the locking groove, thereby limiting movement of the outlet stopper. The vacuum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ovement of the metering tray continues, the outlet stopper is separated from the metering tr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트레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트레이의 전면커버가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 vacuum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lock switch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front cover of the metering tray is locked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metering tray or one side of the metering open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개구부는 정량커버로 개폐되며,
상기 정량수용체는,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기 정량트레이; 및
상기 상부수용체와 정량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를 통해 받은 음식을 작동 시 상기 정량트레이의 내부 수용공간에 낙하시키는 계량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ering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with a metering cover,
The quantitative receptor is
The quantitative tray is disposed below the upper receptor and has an open top; and
a mete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receptor and the metering tray and dropping the food received through the lower outlet of the upper receptor into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metering tray during operation;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유닛은,
상기 상부수용체의 하부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통덮개와, 상기 통덮개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회전되게 구성되고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종동기어가 형성된 통본체를 가진 계량통; 및
상기 용기케이스에 수직방향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통본체의 종동기어에 기어체결되는 구동기어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량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 작동레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tering unit is
a metering container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outlet of the upper container and having an open lower part, and a cylindrical body configured to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lower part of the barrel cover and have a driven gea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operation lever installed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container case, a driving gear geared to the driven gear of the barrel body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andle extending through the fixed opening portion is formed;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케이스에 대한 상기 작동레버의 체결부분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수직하강된 상기 작동레버의 손잡이에 대한 하강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상승되어 위치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용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torsion spring is mount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operation lever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case, and when the downward pressure on the handle of the vertically lowered operation lever is removed, the handle is vertically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the position is restored. Features a vacuum vess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커버의 일부분 또는 상기 정량개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정량커버가 닫혀서 잠김 시 상기 진공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 vacuum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lock switch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vacuum pump when the metering cover is closed and locked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metering cover or one side of the metering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 상부수용체, 및 하부수용체는 밸브유닛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 각각으로부터 공기흡입만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수용체와 하부수용체 각각과 연결된 부위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vacuum pump, the upper receptor, and the lower receptor are connected by a valve unit,
The valve unit is a vacuum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ck valve is mounted at a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receptors so that only air intake from each of the upper and lower receptors is possible.
KR1020210090191A 2020-02-25 2021-07-09 Vacuum container KR102448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92A KR102448374B1 (en) 2020-11-04 2021-07-09 Vacuum container
PCT/KR2021/011325 WO2022097887A1 (en) 2020-11-05 2021-08-25 Vacuum container
JP2023524472A JP2023547851A (en) 2020-11-05 2021-08-25 vacuum container
CN202180074450.3A CN116546909A (en) 2020-11-05 2021-08-25 Vacuum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74A KR20200022419A (en) 2020-02-25 2020-02-25 A Refrigerator Having a Thermo Electric Module Integrated with a Heat Pipe
KR1020200146450 2020-11-04
KR20200146450 2020-11-05
KR1020210082475A KR20210082147A (en) 2020-02-25 2021-06-24 A Refrigerator Having a Thermo Electric Module Integrated with a Heat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64A true KR20220060464A (en) 2022-05-11
KR102448020B1 KR102448020B1 (en) 2022-09-28

Family

ID=8165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91A KR102448020B1 (en) 2020-02-25 2021-07-09 Vacuum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2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61U (en) * 1995-06-24 1997-01-21 김종록 From album
KR200258608Y1 (en) * 2001-10-08 2001-12-29 고려알파라인(주) container for vacuum having multi-step type
US20080011697A1 (en) * 2006-06-21 2008-01-17 Berg David G Rotary food storage system
KR20080001187U (en) * 2006-11-15 2008-05-20 주식회사 제로팩 Acceptable type vacuum storage equipment
KR100883776B1 (en) * 2008-02-22 2009-02-18 배창석 Vacuum rice box
KR200460867Y1 (en) * 2011-10-18 2012-06-13 이행우 Vacuum rice bin
JP3184783U (en) * 2012-04-17 2013-07-18 ニンボ ティーエルシー エレ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Vacuum rice storage box
KR102147530B1 (en)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Vacuum ric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783B2 (en) * 1997-06-20 2001-07-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Damp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61U (en) * 1995-06-24 1997-01-21 김종록 From album
KR200258608Y1 (en) * 2001-10-08 2001-12-29 고려알파라인(주) container for vacuum having multi-step type
US20080011697A1 (en) * 2006-06-21 2008-01-17 Berg David G Rotary food storage system
KR20080001187U (en) * 2006-11-15 2008-05-20 주식회사 제로팩 Acceptable type vacuum storage equipment
KR100883776B1 (en) * 2008-02-22 2009-02-18 배창석 Vacuum rice box
KR200460867Y1 (en) * 2011-10-18 2012-06-13 이행우 Vacuum rice bin
JP3184783U (en) * 2012-04-17 2013-07-18 ニンボ ティーエルシー エレ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Vacuum rice storage box
KR102147530B1 (en)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Vacuum ric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020B1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848B2 (en) Vacuum storage apparatus with sliding drawers
US6148875A (en) Vacuum food storage system
KR100883776B1 (en) Vacuum rice box
US8443620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US8281606B2 (en) Refrigerator vacuum storage system
AU2016433678B2 (en) A crisper
KR102448020B1 (en) Vacuum container
CN211740358U (en) Intelligent rice bucket
KR20200015259A (en) Storing apparatus having double vacuum function
EP3250863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that has a tilting crisper and a removable filter
KR101785053B1 (en) Vacuum tumbler
CN105996846B (en) A kind of control method of dried food and nuts storage facilities and the storage facilities
KR102448374B1 (en) Vacuum container
KR102465937B1 (en) Automatic emission vacuum rice cask
KR20220134503A (en) Vacuum container
CN206080336U (en) Dried food and nuts storage device
MX2009001676A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US7677165B2 (en) Food storage device
CN209996035U (en) Cooking machine and batching feeding device
WO2017039555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KR102142613B1 (en) Complex type refrigerator
CN209915689U (en) Cooking machine and solid batching dampproof device
KR102288691B1 (en) Rice canister
KR101688617B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torage containers cover for rice refrigerator
KR100621055B1 (en) Complex type Kimchi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