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324A -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324A
KR20220060324A KR1020200146194A KR20200146194A KR20220060324A KR 20220060324 A KR20220060324 A KR 20220060324A KR 1020200146194 A KR1020200146194 A KR 1020200146194A KR 20200146194 A KR20200146194 A KR 20200146194A KR 20220060324 A KR20220060324 A KR 2022006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layer
face material
insulatio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훈
박인성
김명희
배성재
강길호
하혜민
김채훈
박건표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4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324A/en
Publication of KR2022006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3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Abstract

Provided is a surface material for insulation comprising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wherein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10-100 nm, and having an adhesive strength of 30-60 kPa for a wall comprising a concrete or a morta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Description

단열재용 면재, 단열재 및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insul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face material for insulation

본 발명은 단열재용 면재, 단열재 및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material for a heat insulator, a heat insul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or.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단열재는 열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온도 변화가 건축물의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보다 적은 에너지로 일정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단열 역할을 수행하는 발포체와 발포체를 둘러싼 면재로 구성되어 있다. Insulation materials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reduce the effect of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uilding by preventing the transfer of heat,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indoor temperature with less energy. Such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s generally composed of a foam that substantially performs a thermal insulation role and a face material surrounding the foam.

단열재는 면재를 이용하여 벽체 등에 부착하여 사용되는데, 잘 부착되지 않으면 틈새가 벌어지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The insulating material is used by attaching it to a wall using a face material, but if it is not attached we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ructural stability is deteriorated, such as a gap widening.

또한, 단열재가 부착되는 벽체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지는데,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알칼리성을 띄어, 부식이 발생하는 등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면재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으나, 코팅층이 형성되면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wall to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is attached is made of concrete or mortar, and the concrete or mortar is alkaline,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corros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a coating layer is sometimes formed on the face material, but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on strength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부착강도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 단열재용 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or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while imparting structural stability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열재용 면재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ore economically manufacturing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열재용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insulator including the face material for the heat insulato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용 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Including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e metal layer having a surface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nd containing concrete or mort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on strength to the wall of 30 kPa to 60 kP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equentially laminating the metal layer, the glass scrim layer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pare a laminate; and plasma or corona treatment on the laminate to form a surface roughness, wherein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nd adhesion strength to a wall including concrete or mortar It ca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 material f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of 30 kPa to 60 kP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 및 상기 발포체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를 제공 할 수 있다.Also foam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a face material attach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oam, wherein the face material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metal layer having a surface roughness of 10 nm to 100 nm (roughness, Ra) and can provide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on strength of 30 kPa to 60 kPa to a wall containing concrete or mortar.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용 면재는 벽체 및 발포체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부착강도, 내부식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는 우수한 물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화재시 화재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면재는 코팅층 없이도 상기 효과를 달성하는바, 경제적이다.The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in relation to the wall and the foam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the face material can maintain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can prevent the spread of fire in case of fire. And, the face material achieves the above effect without a coating layer, and is economic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은 코팅층 형성 등의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상기 효과를 달성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above effect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such as forming a coating layer, thereby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는 상기 면재를 포함하여, 우수한 부착강도, 내부식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face material, can exhibit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at the same tim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열재용 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입니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a fac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upper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에 따른 단열재용 면재 및 단열재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face material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insula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 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용 면재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wherein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concrete or mortar It provides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on strength of 30 kPa to 60 kPa to a wall comprising a.

단열재는 발포체 및 면재로 구성되며, 발포체는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갖는 것으로서, 면재를 통해 벽체 등에 부착되는데, 잘 부착되지 않으면 틈새가 벌어지는 등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면재로 부직포를 사용하여 부착력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으나, 부직포는 수분 흡수가 쉽고, 건조되면서 수축하여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계면에 틈이 발생하면서 결과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The insulat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foam and a face material, and the foam has a weight above a certain level, and is attached to a wall or the like through the face material. In some cases, a nonwoven fabric is used as a face material to impart adhesion, but the nonwoven fabric is easy to absorb moisture, and shrinks as it dries, and wrinkles are likely to occur.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 gap is generated at the interface and consequently, structural stability is lowered.

또한, 벽체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데,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Ca(OH)2로 인해 알칼리성을 나타내어,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면재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내부식성은 부여할 수는 있으나,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wall includes concrete or mortar, and the concrete or mortar exhibits alkalinity due to Ca(OH)2, causing problems such as corrosion. Accordingly, corrosion resistance can be provided by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face material,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on strength is lowered.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가지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하여 약 30 kPa 내지 약 60 kPa 의 우수한 부착강도와 함께, 향상된 내부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으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전파 속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ion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nd includes concrete or mortar It can exhibit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of about 30 kPa to about 60 kPa to the wall to be used. In addition,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can minimize the propagation speed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due to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용 면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우수한 부착강도, 치수 안정성 및 난연성과 함께 우수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ace material for a building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ion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excellent air permeability can be imparted along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dimensional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there is.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수증기 투과성이 우수하면서, 발포 조성물 중의 수분이나 페놀 수지 축합시에 발생하는 물에 의해 면재에 수축 등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초지법에 의해 제조되어, 균일한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초지법이란 부직포를 구성하는 원재료를 물과 혼합한 뒤 메쉬(mesh)망을 통해 일정 평량을 떠서 압력이나 열로 물을 탈수함으로써 부직포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has excellent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due to shrinkage or the like in the face material due to moisture in the foam composition or water generated during condensation of the phenol resin.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have a uniform structure by being prepared by a papermaking method. Papermaking method refers to obtaining a nonwoven fabric by mixing the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with water, scooping out a certain basis weight through a mesh network, and dehydrating the water with pressure or heat.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폴리올레핀 찹(chop) 및 글라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찹(chop)은 약 5 ㎜ 내지 약 20 ㎜의 길이를 가는 것으로, 우수한 분산성을 갖고 향상된 앵커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include a polyolefin chop and glass fibers. The polyolefin chop (chop) is to have a length of about 5 mm to about 20 mm, it may have excellent dispersibility and exhibit an improved anchoring effect.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우수한 치수 안정성 및 부착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layer. In addition,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can provid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adhesion strength, including glass fibers.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약 0.1 ㎜ 내지 약 0.2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가 얇아 취급시 찢어질 수 있고, 공정상에서 품질 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격적인 비용상승과 더불어 면재의 두꺼운 두께로 인해 권취 품질 및 발포체와의 부착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1 mm to about 0.2 m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thickness is thin and may be torn during handling, and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quality defects in the process. Due to this, there may be problems with the winding quality and adhesion with the foam.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약 20g/㎡ 내지 약 40g/㎡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상기 범위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부착강도 및 난연성을 부여하며, 캐터필러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금속층 및 글래스 스크림층과 함께 면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범위의 평량을 가짐으로써, 글래스 스크림층과의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의 평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글래스 스크림층의 폭 또는 길이 방향에서의 높이 차를 평활하게 보완해주지 못할 수 있고, 발포체와의 부착강도가 저하 될 수 있다. 그리고, 평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have a basis weight of about 20 g/m 2 to about 40 g/m 2 .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has a basis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flame retardancy,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of caterpillars. In addition,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constitutes a face material together with the metal layer and the glass scrim layer, and has a basis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thereby preventing a step difference with the glass scrim layer. Specifically,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may not be possible to smoothly compensate for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of the glass scrim layer, and the adhesion strength with the foam may be reduced. And, when the basis weigh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flame retardancy may be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글래스 스크림(scrim)층을 포함하여,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상된 부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스크림(scrim)층은 이웃하는 글래스 섬유들이 약 5㎜ 내지 약 10㎜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진 망상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 스크림은 1인치 * 1인치의 일정 크기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약 3 개 내지 약 8 개와 글래스 섬유들이 옆으로 나란히 배열된 망상 구조를 가져, 면재의 치수안정성 뿐만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치수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may include a glass scrim layer to provide dimensional stability, and may improv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 building insulation including the same, and may exhibit improved adhesion strength. The glass scrim layer may have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neighboring glass fibers are separated by a wide interval of about 5 mm to about 10 mm. In addition, the glass scrim has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about 3 to about 8 and glass fib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size of 1 inch * 1 inch. It can provide dimensional stability of insulation materials for construction.

상기 글래스 스크림(scrim)층은 약 0.1㎜ 내지 약 0.3㎜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치수안정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효과가 없을 수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The glass scrim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1 mm to about 0.3 m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dimensional stability effect may be insignificant and there may be no protective effect against external impact, and if it exceeds the thickness,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금속층을 포함하여,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을 반사시킴으로써 여름에는 실외의 태양 복사열을 차단하고, 겨울에는 실내의 난방 복사열을 보존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ion includes a metal layer, by reflecting radiation in the infrared region, blocks outdoor solar radiation in summer, and preserves indoor heating radiation in winter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and can exhibit flame retardancy there is.

상기 금속층은 약 15㎛ 내지 약 3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되거나 금속층에 스크래치가 나기 쉽고 그로 인해 난연 특성 발현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격상승 문제가 있어 상용성이 어렵고 면재의 권취량이 작아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The metal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5 μm to about 35 μ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flame retardancy is lowered or the metal layer is easily scratched, and thus the flame retardant properties may not be expressed. There may be a problem.

상기 금속층은 철, 스테인레스강(SUS),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은 비중이 작고, 열 및 전기 전도성이 크며, 내식성이 강하므로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고,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metal layer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stainless steel (SUS), aluminum, magnesium, copper, and combinations thereof. Specifically, the metal layer may include aluminum, and aluminum has a small specific gravity, high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trong corrosion resistance, so it can be easily processed into various shapes and provided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cy.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알루미늄 박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박막을 포함하여 난연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수분에 대한 저항성 및 강도를 보강하고,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포체의 발포 가스에 대한 배리어층으로 작용하여 장기간 단열성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글래스 스크림층과 결합하여, 우수한 열반사 효과, 강도 보강 및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부착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발포체에 부착되도록 적용할 수 있다.The metal layer may be an aluminum thin film as a layer including an aluminum foil. In this way, by including an aluminum thin film, it is possible to realize flame retardancy, reinforce resistance to moisture and strength, and improve dimensional stability. And, it acts as a barrier layer for the foaming gas of the foam, and long-term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can be implemented at a high level. The metal layer may be combined with the glass scrim layer to provide an excellent heat reflection effect, strength reinforcement,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The metal layer may be attached to a wall including concrete or mortar,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be applied to be attached to the foam.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상기 적층체에, 예를 들어, 상기 금속층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 각각에 요철을 포함하여, 일정 표면 조도를 갖고, 벽체와의 접촉 표면적 및 발포 조성물의 함침 면적과 발포체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힐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체, 예를 들어, 상기 금속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로 표면 개질되어, 일정 표면 조도를 갖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에 요철을 형상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UV 처리하거나, 엠보싱 롤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호일 등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UV 처리시 상기 금속층에는 표면 조도가 잘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엠보싱 롤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큰 표면 조도, 예를 들어, 수십 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조도가 형성되어 목적하는 효과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엠보싱 롤 등을 이용할 경우, 일정 이상의 열 및 압력이 가해지는바 면재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면재는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로 표면 개질되어, 일정 표면 조도를 갖는 요철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면재가 갖는 물성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laminate, for example, each of the metal layer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includes irregularities and has a certain surface roughness, and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the wall and the impregnated area of the foam composition and the foa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area,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strength. The laminate, for example, the metal layer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include irregularities having a predetermined surface roughness by surface-modifying the surface by plasma or corona treatment. As a method of forming the unevenness on the surface, for example, there may be a method of UV treatment or a method of using an embossing roll or the like.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al layer such as aluminum foil, and the surface roughness is not well formed on the metal layer during UV treatment. And, when using an embossing roll or the like, a large surface roughness of a certain level or more, for example, roughness of several tens to hundreds of micrometers is formed, so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a desired effect. And, in general, when an embossing roll or the like is us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ce material may be deteriorated when a certain amount of heat and pressure is applied. The face material is surface-modified by plasma or corona treatment, and includes irregularities having a certain surface roughness,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by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ce material.

상기 금속층은 약 10㎚ 내지 약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가져,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하여 향상된 부착강도를 가지면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표면 조도(roughness, Ra)는 중심선 평균 조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부착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적은 넓어지나, 부착력이 오히려 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면재는 단열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면재의 표면에 형성된 조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발포체 제조시 및 단열재 사용 중에 발생하는 온도 차와 흡수된 수분으로 인해 결로가 생기고, 이에 따라 계면 사이에 틈이 생성되기 쉬어진다. 이에, 결과적으로 부착강도 등이 저하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about 10 nm to about 100 nm, and has improved adhesion strength to a wall including concrete or mortar, and may exhibit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Surface roughness (roughness, Ra) refers to the average roughness of the center line, and may be measured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When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metal layer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mproving adhesion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urface area is widened, but the adhesive force may be further reduced. For example, the face material is used f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when the roughnes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ace material exceeds the above range, condensation occur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absorbed moisture occurring during foam manufacturing and us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ccordingly It is easy to create a gap between the interfaces. Accordingly, as a result,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like may be lowered, and structural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약 100 ㎚ 내지 약 300 ㎚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열재는 면재상에 발포 조성물을 토출하고, 발포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상기 범위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포함하여, 휘발성 기체 등의 배출(outgasing) 성능은 유지하면서, 발포 조성물의 함침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체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일정 범위로 조절하여 우수한 부착강도 및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Ra) of about 100 nm to about 300 nm. In general,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an be prepared by discharging the foaming composition on the face material, and foaming and curing. At this time,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ion includes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having a surface roughness (Ra) in the above range, while maintaining the outgasing performance of volatile gases, etc., the degree of impregnation of the foaming com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re is. In addition,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arted by controlling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foam within a certain range.

상기 금속층은 물에 대한 접촉각이 약 0 ° 내지 약 20 ° 일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범위의 친수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계면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범위의 물 접촉각을 가짐으로써,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서 Ca(OH)2의 알칼리성 물질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물질을 빠르게 스프래드 아웃(spread out)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계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부착강도 및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접촉각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부식성이 저하되고, 기포가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The metal layer may have a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of about 0° to about 20°. The metal layer may exhibit excellent interfacial adhesion by having a hydrophilicity within the above range. In addition, since the metal layer has a water contact angle in the above range, even if an alkaline material of Ca(OH)2 is generated in concrete or mortar, the material rapidly spreads out and bubbl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there 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gaps between the interfaces despite long-term us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structural stability. When the contact angle exceeds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problems in that corrosion resistance is lowered, air bubbles are generated to lower structural stability, and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약 0° 내지 약 95° 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0° 내지 약 65° 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상기 범위의 물에 대한 접촉각으로 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발포체에 대하여 우수한 계면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페놀 발포체는 -OH를 포함하여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바, 상기 범위의 물 접촉각을 갖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페놀 발포체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부착강도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exhibit a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of about 0° to about 95°. For example, it may exhibit a contact angle for water of about 0° to about 65°.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may exhibit excellent interfacial adhesion to the foam including the phenol resin at a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within the above range. In particular, the phenolic foam contains a phenolic resin exhibiting high hydrophilicity including -OH,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layer having a water contact angle in the above range can impart structural stability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in relation to the phenolic foam. there is.

상기 금속층은 1wt% Ca(OH)2 용액 0.25ml 처리하였을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부착하여 장기간 동안 사용하여도 계면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틈이 형성되지 않는바 우수한 부착력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metal layer is treated with 0.25 ml of a 1 wt% Ca(OH)2 solution, bubbles may not occur. Accordingly, even if it is attached to a wall containing an alkaline material or a wall containing a mortar and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no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interfaces and no gaps are formed, so structural stability can be exhibited with excellent adhesion.

벽체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Ca(OH)2로 인해 알칼리성을 나타내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층을 부식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일반적으로 금속층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였으나, 이 경우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The wall includes concrete or mortar, and the concrete or mortar exhibits alkalinity due to Ca(OH)2, causing a problem of corrosion of metal layers such as aluminum. Accordingly, in general,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to prevent corrosion,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on strength is lowered.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상기 금속층의 어느 일면에 코팅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우수한 내부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may not include a coating layer on any one surface of the metal layer. Accordingly, the adhesive strength may not be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may exhibit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상기 단열재용 면재의 금속층 표면은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로 표면 개질될 수 있으며, 순수한 금속층과 비교하여, X선 광전자 분석법(XPS)에 의해 측정시 금속-O 결합이 증가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호일층일 수 있으며, 순수한 알루미늄 호일층을 기준으로, Al-O의 결합이 약 5% 내지 약 25%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코팅층 형성 없이도, 금속층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우수한 부착강도로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of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may be surface-modified by plasma or corona treatment, and compared to a pure metal layer,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metal-O bonding is increased as measured by X-ray photoelectron analysis (XPS). For example, the metal layer may be an aluminum foil layer, and Al-O bonding may be increased by about 5% to about 25% based on the pure aluminum foil layer. Accordingly, an oxide film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without forming a separate coating layer, and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provided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약 30kPa 내지 약 60kPa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면재는 발포체에 대하여 약 300gf/25mm 내지 약 500gf/25mm의 우수한 부착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부착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면재가 탈락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상기 범위의 부착강도를 가짐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발포체 내로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으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may have an adhesion strength of about 30 kPa to about 60 kPa to a wall including concrete or mortar. And, the face material may exhibit excellent adhesion strength of about 300gf/25mm to about 500gf/25mm with respect to the foam. If the adhesive strength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face material is dropped.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has an adhesion strength within the above range, so that, despite long-term use, it is possible to maintain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foam, and structural stability can minimize the damage of fire in the event of a fire. .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에 플라즈마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quentially stacking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to prepare a laminate; and forming a surface roughness by plasma treatment or corona treatment on the laminate, wherein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nd for a wall including concrete or mortar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strength of 30 kPa to 60 kPa.

일반적으로 내부식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면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벽체 등에 대한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우수한 내부식성과 함께, 향상된 부착강도 등을 나타낼 수 있어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부착강도와 함께, 향상된 내부식성으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열재용 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용 면재에 대한 사항은 하기에서 특별히 기재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같다. In general, when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face material in order to impart corrosion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hesion strength to a wall or the like is lowered.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can exhibit improved adhesion strength, etc.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 for forming a coating layer, thereby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As described abov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ce material for an insulator that can provide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minimize fire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The matters regarding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ose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상기 제조방법은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적층체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열재용 면재를 제조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manufacturing a laminate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a surface roughness by plasma or corona treatment on the laminate.

구체적으로,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는 상기 적층체 전체 또는 금속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 각각의 표면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표면이 개질되어, 금속층 및 부직포층의 표면에 친수성 작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향상된 부착강도, 향상된 친수성 및 내부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면재의 물성 저하를 최소화시키면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asma or corona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entire laminate or the surface of each of the metal layer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The surface of the laminate may be modified through, for example, plasma treatment to form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on the surfaces of the metal layer and the nonwoven fabric layer.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hibit improved adhesion strength, improved hydrophilicity and corrosion resistance. 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can achieve the desired effect while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ce material through plasma treatment.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상압(25℃, 1atm)에서, 대기(Air) 플라즈마 처리로, 5W 내지 약 20W의 전력 하에 약 5초 내지 약 60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의 전력 및 시간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적층체의 손상 없이 요구되는 수준의 친수성 작용기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하는 경우, 조도의 상승효과가 미비하여 비경제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ma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about 5 seconds to about 600 seconds under a power of 5 W to about 20 W in atmospheric pressure (25° C., 1 atm) at atmospheric pressure (Air) plasma treatment. When the power and time of the plasma treatment satisfy the above rang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quired level of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without damaging the laminate. When the plasma treatm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illuminance may be insufficient, which may be uneconomical.

상기 면재를 포함하는 면재 사이에 발포 조성물을 토출하고, 가열로에서 발포, 경화하여 단열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포체는 상기 면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발포 및 경화가 적절히 잘 조절되어 열전도율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벽체 등에 우수한 부착성,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By discharging the foaming composition between the face materials including the face material, foaming and curing in a heating furnace, the insulating material can be continuously manufactured. The foam formed in this way is formed using the above-mentioned face material, and foaming and curing are appropriately well controlled to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adhesion to walls, dimensional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상기 발포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페놀계 수지, 발포체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발포제는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hydrofluoroolefin, HFO)계 화합물, 탄화수소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모노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펜, 트리플루오로프로펜,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펜타플루오로프로펜, 헥사플루오로부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탄소수 1개 내지 8개의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디클로로에탄, 프로필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클로라이드, 부틸클로라이드, 이소부틸클로라이드, 펜틸클로라이드, 이소펜틸클로라이드,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헥산, 헵탄, 시클로펜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am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a phenol-based resin, a foam, and a curing agent. , The blowing agent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fluoroolefin (HFO)-based compound, a hydrocarbon-based compound, and combinations thereof. Specifically, the hydrofluoroolefin-based compound is, for example, monochlorotrifluoropropene, trifluoropropene, tetrafluoropropene, pentafluoropropene, hexafluorobuten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the hydrocarbon-based compound may include a hydrocarbon having 1 to 8 carbon atoms. For example, the hydrocarbon-based compound is dichloroethane, propyl chloride, isopropyl chloride, butyl chloride, isobutyl chloride, pentyl chloride, isopentyl chloride, n-butane, isobutane, n- pentane, isopentane, cyclopentan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ne, heptane, cyclopentane,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페놀계 수지인 경우, 상기 경화제는 산성 경화제로, 톨루엔 술폰산, 자일렌 술폰산, 벤젠술폰산, 페놀 술폰산, 에틸벤젠 술폰산, 스티렌 술폰산, 나프탈렌 술폰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산성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thermosetting resin is a phenolic resin, the curing agent is an acid curing agent, and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luene sulfonic acid, xylene 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henol sulfonic acid, ethylbenzene sulfonic acid, styrene sulfonic acid, naphthalene sulfon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Acid curing agents may be included.

상기 단열재용 면재는 우수한 부착강도와 함께, 향상된 내부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으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전파 속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ace material for the insulator may exhibit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long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pagation speed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due to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는, 발포체; 및 상기 발포체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am; and a face materia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oam, wherein the face material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metal layer having a surface roughness of 10 nm to 100 nm ( It has roughness, Ra), and provides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adhesion strength of 30 kPa to 60 kPa to a wall containing concrete or mortar.

단열재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면재를 배치하고,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 조성물을 토출하고, 가열로에서 발포, 경화하여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체는 상기 면재 사이에 토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발포 및 경화가 적절히 잘 조절되어 열전도율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상기 단열재는 벽체 및 발포체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성 및 내부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으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continuously manufactured by disposing a face material on a conveyor belt, discharging a foaming composition between the face materials, and foaming and curing in a heating furnace. At this time, the foam is formed by discharging between the face materials, and foaming and curing are appropriately well controlled to exhibi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exhibit excellent adhesion and corrosion resistance to walls and foams. And,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due to fire in the event of a fire.

도 2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체를 포함한다. 발포체는 열경화성 발포체일 수 있으며, 취성이 약한 열경화성 발포체는 상기 면재를 포함하여 우수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2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a fac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sulating material includes a foam. The foam may be a thermosetting foam, and the thermosetting foam with weak brittleness may exhibit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including the face material.

상기 발포체는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페놀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페놀 발포에를 포함하여 상기 면재와의 관계에서 우수한 부착강도 등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The foam may be a phenol foam exhibiting high hydrophilicity. The insulating material can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with excellent adhesion strength in relation to the face material, including phenol foam.

상기 발포체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면재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가진다. 그리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이다. 상기 면재 및 부착강도 등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face material attach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oam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nd, the adhesion strength to the wall including concrete or mortar is 30 kPa to 60 kPa. Matters regarding the face material and adhesion strength, etc.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실시예)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최외각층으로부터 두께 25㎛의 알루미늄 호일층, 1인치 * 1인치의 일정 크기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의 글래스 섬유들이 옆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망상 구조를 갖는 두께 0.2 ㎜의 글래스 스크림층, 및 폴리프로필렌 찹(chop)과 글라스 섬유를 포함하는 평량 30g/㎠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을 열압착 라미네이팅하여 면재를 제조하였다. An aluminum foil layer with a thickness of 25 μm from the outermost layer, a glass scrim layer with a thickness of 0.2 mm having a network structure in which five glass fib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size of 1 inch * 1 inch, and a poly A face material was prepared by laminating a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layer having a basis weight of 30 g/cm 2 including propylene chop and glass fiber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그리고, 상기 면재에 대하여 7.2 W의 전력으로, 15 초 동안, 상압하에서, 대기 플라즈마를 처리하였다. 이에,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으로 측정한 알루미늄 호일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10㎚가 되고,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100㎚가 되었다.Then, the plate was treated with atmospheric plasma at a power of 7.2 W, under normal pressure, for 15 seconds. Accordingly,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luminum foil layer measured with an atomic force microscop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is 10 nm,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is 100 nm became

실시예 2:Example 2:

상기 면재에 대하여 7.2 W의 전력으로, 300 초 동안 플라즈마 처리하여, 알루미늄 호일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50㎚가 되고,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200㎚가 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열재용 면재를 제조하였다.Plasma treatment was performed for 300 seconds at a power of 7.2 W with respect to the face material,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luminum foil layer was 50 nm,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was 200 nm. A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실시예 3:Example 3:

상기 면재에 대하여 7.2W의 전력으로, 600초 동안 플라즈마 처리하여,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으로 측정한 알루미늄 호일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100㎚가 되고,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300㎚가 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열재용 면재를 제조하였다.The plate wa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at a power of 7.2 W for 600 seconds,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luminum foil layer measured with an atomic force microscop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was 100 nm, and the poly A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propylene nonwoven fabric was 300 nm.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상기 면재에 대하여 0.025W의 전력으로, 300초 동안 UV/O3 처리하였다. 이에,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으로 측정한 알루미늄 호일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표면 조도가 30nm 가 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열재용 면재를 제조하였다. UV/O3 treatment was performed for 300 seconds at a power of 0.025W with respect to the face material. Accordingly,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luminum foil layer measured with an atomic force microscop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was 1 nm,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was 30 nm. A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면재에 대하여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호일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1000㎚,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표면 조도가 700nm 가 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열재용 면재를 제조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luminum foil layer was 1000 nm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was 700 nm using an embossing roll for the face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as prepar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면재에 대하여 7.2W의 전력으로, 2초 동안 플라즈마 처리하여, 알루미늄 호일층의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3㎚가 되고,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표면 조도(roughness, Ra)가 50㎚가 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열재용 면재를 제조하였다.With respect to the face material, plasma treatment was performed for 2 seconds at a power of 7.2W, so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luminum foil layer was 3 nm,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was 50 nm. A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평가evaluation

캐터필러에 알루미늄 호일층이 부착되도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면재 사이에 페놀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토출한 후, 발포 경화시켜 열경화성 발포체 및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재를 포함하는 단열재를 제조하였다.The face material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continuously supplied so that the aluminum foil layer is attached to the caterpillar, and the phenol foamable resin composition is discharged between the face materials, and then foamed and cured to a thermosetting foam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the face material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repared.

실험예 1:물 접촉각(°)Experimental Example 1: Water contact angle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재를 사이즈 50mm x 60mm의 샘플로 준비하고, 상기 샘플에서 임의의 3개의 지점에서 접촉각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face materia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as samples having a size of 50 mm x 60 mm, and contact angles were measured at three arbitrary points in the samples, and the average values thereof are shown in Table 1.

구체적으로, 각 시편의 알루미늄 호일층 위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한 방울의 증류수(Di water)를 떨어뜨리고, 방울이 맺힌 형태를 접촉각 측정기(독일 KRUSS社, DSA100)에 구비된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좌측 및 우측 끝의 임계점에서 상기 시편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수가 떨어지자마자 옆으로 퍼지는 경우, 접촉각은 0°로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on the aluminum foil layer of each specimen, a drop of distilled water (Di water) is dropped using a syringe, and the form in which the droplets are formed is enlarged with a microscope equipped with a contact angle measuring instrument (KRUSS, DSA100, Germany) to the left and right ends. The angle formed with the surface of the specimen at the critical point of was measured. When distilled water spreads sideways as soon as it falls, the contact angle is shown as 0°.

실험예 2: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대한 부착강도Experimental Example 2: Adhesive strength to concrete or mortar (kPa)(kPa)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재를 포함하는 상기 단열재를 200㎜(너비, W)X200㎜(길이, L)X70 ㎜(두께, T)의 샘플로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샘플에 대하여 부착강도 시험기, UTM (Instron, UTM)을 사용하여 모르타르 부착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The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the face material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repared as a sample of 200 mm (width, W) X 200 mm (length, L) X 70 mm (thickness, T). And,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mortar was measured for the sample using an adhesion strength tester, UTM (Instron, UTM),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KS F 4716방법에 따르며 단열재 면재 표면인 알루미늄 호일에 모르타르를 40㎜(W)X40㎜(L)X2㎜(T) 크기로 올려서 2주간 양생을 하였다. 그 이후에 에폭시 접착제로 인장 지그와 접착을 한 뒤 상기 시험기를 이용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KS F 4716 method, the mortar was placed on the aluminum foil, which is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face material, in a size of 40 mm (W) X 40 mm (L) X 2 mm (T), and cured for 2 weeks. After that, after bonding to the tensile jig with an epoxy adhesive, the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the tester. And the result was described in Table 1.

실험예 3: 페놀 발포체에 대한 부착강도 (gf/25㎜)Experimental Example 3: Adhesive strength to phenolic foam (gf/25mm)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면재를 포함하는 상기 단열재를 200㎜(W)X200㎜(L)X70 ㎜(T)의 샘플로 준비하고, 부착강도 시험기, UTM (Instron, UT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재 표면을 25㎜ 간격으로 칼집을 내고 끝단부를 인장 지그에 고정하여 300mm/min 인장속도로 상기 발포체로부터 90° 필링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Prepared as a sample of 200 mm (W) X 200 mm (L) X 70 mm (T)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the face material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measured using an adhesion strength tester, UTM (Instron, UTM) did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face plate was cut at intervals of 25 mm, the ends were fixed to a tensile jig, and 90° peeling from the foam at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was measured. And the result was described in Table 1.

실험예 4: 내부식성(기포 발생 여부)Experimental Example 4: Corrosion resistance (whether or not bubbles are generated)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면재를 사이즈 50mm x 60mm의 샘플로 준비하고, 상기 샘플의 알루미늄 호일층 위로 임의의 3개의 지점에, 1wt% Ca(OH)2 용액 0.25ml 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떨어뜨리고, 기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기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O" 발생한 경우는 "X"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기재하였다.Prepare the face material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s a sample of size 50mm x 60mm, and drop 0.25ml of 1wt% Ca(OH)2 solution using a syringe at any three points on the aluminum foil layer of the sample using a syringe, and air bubbles Whether or not occurred was visually confirmed. In the case of no bubble generation, "O" was defined as "X",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물 접촉각water contact angle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 (kPa)Adhesive strength to wall (kPa) 발포체에 대한 부착강도 (gf/25mm)Adhesive strength to foam (gf/25mm) 내부식성corrosion resistance 실시예 1Example 1 12.7812.78 4242 350350 OO 실시예 2Example 2 00 4343 365365 OO 실시예 3Example 3 00 4646 425425 OO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5.7145.71 2121 250250 XX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5.9765.97 2020 265265 XX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0.5740.57 2525 285285 XX

실시예의 면재는, 비교예의 면재와 달리, 벽체 및 발포체에 대하여 우수한 부착강도를 갖고, 동시에 향상된 내부식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face material of the example has excellent adhesion strength to the wall and foam, and at the same time exhibits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unlike the face material of the comparative examp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단열재용 면재
110: 금속층
120: 글라스 스크림층
130: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
200: 발포체
1000: 단열재
100: cotton for insulation
110: metal layer
120: glass scrim layer
130: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200: foam
1000: insulation

Claims (10)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용 면재.
It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dhesive strength to a wall containing concrete or mortar is 30 kPa to 60 kPa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0 ° 내지 20 ° 인
단열재용 면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layer has a contact angle of 0° to 20° with respect to water.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로 표면 개질되어, 표면 조도를 갖는
단열재용 면재.
According to claim 1,
The laminate is surface-modified by plasma or corona treatment to have a surface roughness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는 상기 금속층의 어느 일면에 코팅층을 포함하지 않는
단열재용 면재.
According to claim 1,
The face material does not include a coating layer on either side of the metal layer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에 1wt% Ca(OH)2 용액 0.25ml 처리하였을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단열재용 면재.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etal layer was treated with 0.25 ml of 1 wt% Ca(OH)2 solution, no bubbles were generated.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부착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은 발포체에 부착되도록 적용하는,
단열재용 면재.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layer is attached to a wall comprising concrete or mortar, and the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is applied to be attached to the foam,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는 발포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0gf/25mm 내지 500gf/25mm 인
단열재용 면재.
According to claim 1,
The face material has an adhesion strength to the foam of 300gf/25mm to 500gf/25mm
Cotton material for insulation.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에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하여 표면 조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a laminate by sequentially stacking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nd
Plasma or corona treatment on the laminate to form a surface roughness,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dhesive strength to a wall containing concrete or mortar is 30 kPa to 60 kPa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제8항에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5W 내지 약 20W의 전력 하에 약 5초 내지 약 600초 동안 수행되는
단열재용 면재의 제조방법.
In claim 8,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for about 5 seconds to about 600 seconds under a power of 5W to about 20W.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 material for insulation.
발포체; 및
상기 발포체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는 금속층, 글라스 스크림층 및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10㎚ 내지 100㎚ 의 표면 조도(roughness, Ra)를 갖고,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벽체에 대한 부착강도가 30kPa 내지 60 kPa 인
단열재.
foam; and
Including; a face material attached to any one surface of the foam;
The face material includes a laminate in which a metal layer, a glass scrim layer, and a polyolefin-based nonwoven fabric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metal layer has a surface roughness (roughness, Ra) of 10 nm to 100 nm,
Adhesive strength to a wall containing concrete or mortar is 30 kPa to 60 kPa
insulator.
KR1020200146194A 2020-11-04 2020-11-04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2200603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94A KR20220060324A (en) 2020-11-04 2020-11-04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94A KR20220060324A (en) 2020-11-04 2020-11-04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324A true KR20220060324A (en) 2022-05-11

Family

ID=8160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194A KR20220060324A (en) 2020-11-04 2020-11-04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32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6289C1 (en) Segmented gel composites and rigid panels made from them
US11192332B2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RU2471889C2 (en) Sheets of thermoplastic with surface coating reinforced by fibers
KR20140009451A (en) Composite elements
KR101957642B1 (en) Semi-fireproof insulation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680443C2 (en) Mineral fiber batting for manufacture of thermally insulation composite
KR101987040B1 (en)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and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KR102130654B1 (en) Sandwich Panel Containing Wafer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60324A (en)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927737B2 (en) Laminated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3094483B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2495183B1 (en)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for building
KR102220944B1 (en)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3239417A (en) Noncombustible heat insulation panel
KR200428856Y1 (en) A multilayer radiant insulaion using OPP film for prevention of phenomenon of dew condensation
KR102417250B1 (en) Composite insulation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fire resistance
KR20190139116A (en) A semi-inflammable insula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t
KR20220060610A (en) Skin material of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993165B2 (en) Phenol resin foam laminated board
KR102356528B1 (en) Phenol resin foa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insulating material
JP7050579B2 (en) Phenol resin foam laminated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91417A (en) Skin material and Insulator
KR102603257B1 (en) Condensation-preventing composite insulating sheet and exposed sheet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is
EP4324994A1 (en) Quasi-incombustible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2863B1 (en) Panel for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