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267A -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 Google Patents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267A
KR20220060267A KR1020200146076A KR20200146076A KR20220060267A KR 20220060267 A KR20220060267 A KR 20220060267A KR 1020200146076 A KR1020200146076 A KR 1020200146076A KR 20200146076 A KR20200146076 A KR 20200146076A KR 20220060267 A KR20220060267 A KR 2022006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sensor system
alarm
leak detection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3443B1 (en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로텍
주식회사 엠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로텍, 주식회사 엠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로텍
Priority to KR102020014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443B1/en
Publication of KR2022006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y simple and convenient solution leak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leaks of liquids such as strong acids and strong bases at an early stage in various workplace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conductive carbon rods are connec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n insulator connection part, wherein a carbon rod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expose the bottom of the carbon rod so that the carbon rod can reach the floor or the wal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istance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change in circuit resistance by forming a short circuit when a liquid is filled between the carbon rods,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to sound an alarm for a resistance change, and an alarm unit for operating an alarm by the signal.

Description

누액 감지 센서 시스템{Leak Detection Sensor System}Leak Detection Sensor System

본 발명은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체 누설 감지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누액감지센서는 강산, 강염기와 같은 위험물질 혹은 유기용매, 오일등의 비전도성 액체의 누출, 누수감지의 역할을 하여 위험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게 한다. The leak detection sensor plays the role of detecting leaks or leaks of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strong acids and strong bases, or non-conductive liquids such as organic solvents and oils, so that the risk can be blocked at an early stage.

기존의 누액감지센서는 주로 도선의 소재로 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누출을 감지하는 액체의 종류가 물이나 산성용액에 한정되어 있었고 알카리 용액의 경우 도선을 쉽게 부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누액감지센서는 도전 라인이 절연필름이나 베이스필름 위에 부착되어 있어 사업장 바닥이나 벽에 빈번히 누출되어 존재하는 액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Existing leak detection sensors mainly use metal as the material of the wire, so the type of liquid that detects leakage is limited to water or acidic solu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lkaline solution easily corrodes the wire. In addition, the leak detection sensor has a limit in effectively detecting the liquid that frequently leaks on the floor or wall of the workplace because the conductive line is attached on the insulating film or the base film.

등록특허 10-0827385호, 출원번호 10-2011-0053704호, 등록실용신안 20-0471278호, 등록특허 10-1787372호, 10-1903907호, 공개번호 10-2015-0140007호는 모두 도선이 놓이는 곳이 절연필름과 같은 베이스 위이기 때문에 실질상 현장의 바닥이나 벽면의 누액을 검출하기 어렵다. Registered Patent No. 10-0827385, Application No. 10-2011-0053704,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1278, Registered Patent No. 10-1787372, No. 10-1903907, and Publication No. 10-2015-0140007 are all places where conducting wires are laid Since it is on the same base as the insulating film,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detect the leakage on the floor or wall of the site.

상기 문제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사업장 환경에서 액체의 누출을 조기에 감지하는 매우 간단하고 간편한 용액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y simple and convenient solution leakage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leakage of liquid at an early stage in various workplace environments.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2개의 전도성 탄소봉을 절연체 연결부로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되, 탄소봉이 바닥이나 벽에 닿을 수 있도록 탄소봉 고정부재가 탄소봉 저면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소봉 사이에 액체가 채워지면 단락회로를 형성하여 회로 저항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저항측정장치와 저항변화에 대해 알람을 울리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신호에 의해 알람을 구동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wo conductive carbon rods with an insulator connection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the carbon rod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expos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rod so that the carbon rod can touch the floor or wall, and the liquid between the carbon rods It includes a resistance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change in circuit resistance by forming a short circuit when fille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sound an alarm for a change in resistance, and an alarm unit for driv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signal.

한편, 바닥에 비교적 적은 면적에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액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누액감지 센서시스템을 벽면에 수직형으로 설치하고 절연성 고정부재를 제거하여 양 탄소봉의 선단부가 바닥의 액체에 직접접촉하게 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he liquid locally present in a relatively small area on the floor,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ll and the insulating fixing member is removed so that the tips of both carbon rods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liquid on the floor. can be changed to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알람부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누액센서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o provide a leak sensor system that the alarm unit can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including one or more of a smart phone, a tablet, a notebook computer, and a comput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누액센서가 존재하는 공간을 감시하는 CCTV와 연동하여 알람제공시 해당 시점의 화면을 캡처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에 함께 전송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screen at the time when an alarm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CCTV monitoring the space in which the leak sensor exists.

즉, 본 발명은,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2개의 전도성 봉이 서로 이격되되 한쪽 단부가 도체로 연결되어 전기적 회로를 이루는 누액센서;a leak sensor in which two conductive ro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is connected with a conductor to form an electrical circuit;

상기 누액센서의 전도성 봉 사이에 액체가 채워져 전기적으로 단락회로를 이루면 저항 또는 전류변화를 감지하고 알람을 지시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that detects a change in resistance or current and instructs an alarm when a liquid is filled between the conductive rods of the leak sensor to electrically short circuit; and

상기 제어부의 알람지시에 따라 알람을 발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omprising; an alarm unit that emits an alarm according to an alarm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누액센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es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leak sensor alarm to the user terminal.

상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웹 서버로부터 내려받은 앱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한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user terminal provides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web server is installed to receive the alarm signal by the control unit.

상기에 있어서, 상기 누액센서는 2개의 전도성 봉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성 봉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절연재로 구성되어 전도성 봉을 기계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타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2개의 전도성 봉에 대해 기계적 고정 및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주도록 도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leak sensor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wo conductive rods, and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one end of the conductive ro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serves to mechanically hold the conductive ro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he fixing member provides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ductor to make mechanical fix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two conductive rods.

상기에 있어서, 2개의 전도성 봉은 고정부재에 결합된 부분 외의 다른 곳은 공간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two conductive rods provide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is exposed to the space.

상기에 있어서, 누액센서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된 크기로 구성되어, 바닥면, 벽면, 또는 파이프라인 연결부에 전도성 봉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above, the leak sensor is configured to have a size that is custom designed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and provides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with the conductive rod exposed on the floor, wall, or pipeline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액센서시스템의 누액센서에 있어서, 사용 후 세척건조로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센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k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k sensor of the leak sensor system is reused by washing and drying after use.

또한, 바닥에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액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누액감지 센서시스템을 벽면에 수직형으로 설치하고 절연성 고정부재를 제거하여 양 탄소봉의 선단부가 바닥의 액체에 직접접촉하게 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he liquid locally on the floor,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ll and the insulating fixing member is removed so that the tip of both carbon rods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iquid on the floor. Do.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는 산성 및 알칼리 용액을 불문하고 액체중 전해질이 있는 액체, 전해질이 없더라도 물보다 전도성이 낮은 액체까지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leak detec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both a liquid having an electrolyte in the liquid, and a liquid having a lower conductivity than water, even if there is no electrolyte, regardless of acidic or alkaline solution.

즉, 본 발명의 누액센서는 전도성인 탄소소재를 적용하여 산, 알칼리를 비롯한 모든 액체에 적용이 가능하고 부식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파손이 일어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liquids including acids and alkalis by applying a conductive carbon material, does not cause corrosion,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damage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전도체로 된 2개의 봉 양단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연결하여 지지하되, 한쪽의 고정부재는 단순한 기계적 연결을 이루고, 다른 쪽 고정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전압이 인가되어 2개의 전도성 봉을 연결하는 일체의 절연필름이나 베이스필름 등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바닥이나 벽면에 누출된 액체층이 2개의 전도봉 사이에서 다른 방해요소 없이 전도봉 사이의 전기적인 쇼트현상을 유발하게 하여 누액을 감지하므로 현장상황에 매우 유용하다. 기계적 연결을 이루는 한 쪽의 고정부재는 사용방법 혹은 제품모델에 따라 제거 할 수 있다. The two ends of the conductors are connected and supported by a fixing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one fixing member forms a simple mechanical connection, and the other fixing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an input voltage is applied to connect the two conductive rods. By not installing any insulating film or base film to be connected, the leaked liquid layer on the floor or wall causes an electrical short between the two conductive rods without any other interfering factors to detect the leakage. very useful for The fix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can be removed depending on the usage method or product model.

또한, 본 발명의 누액센서는 원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어,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소형의 누액센서는 파이프라인연결부와 같이 평면이 아닌 곳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o a desired size, it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small leak sensor can be applied to a non-planar place such as a pipeline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의 누액센서는 사용 후 세척 건조만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관리가 쉽다. In addition, since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used only after washing and drying, it is easy to manage.

도 1은 본 발명의 누액센서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누액센서 구성을 설명하는 탄소봉 양단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누액센서 실시예에서의 탄소봉 양단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 구성을 설명하는 탄소봉 중간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의 성능시험에 의해 측정된 각종 액체의 컨덕턴스의 비교값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누액센서 구성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누액센서 구성 실시예 도 6a의 고정부재 내부를 공개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의 제어부의 실시예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를 다수 연결하여 필요한 장소에 배치한 누액감지센서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eak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specific components of the leak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ends of the carbon rod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ends of the carbon ro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ddle part of the carbon rod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able showing comparative values of conductance of various liquids measured by the performance test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shows another configuration embodiment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of FIG. 6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leak senso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leak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arranged in necessary place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누액센서시스템의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eak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누액센서(100)는 2개의 전도성 봉과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2개의 봉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한쪽 고정부재는 단순한 기계적 연결이지만 다른 쪽 고정부재는 전도성 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단순 기계적 연결을 이루는 고정부재는 생략되고 전도성 봉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접속부를 포함한 고정부재만 설치할 수도 있다. The leak sensor 100 includes two conductive rods and a fixing member, and the two rods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fixing member is a simple mechanical connection, but the other fixing member includes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rods.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constituting the simple mechanical connection may be omitted, and only the fixing member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rods may be installed.

이와 같은 누액센서는 바닥에 놓이거나 벽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고, 바닥이나 벽면에 누출된 액체로 인해 단락회로를 형성한다. 혹은 탄소봉을 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수직형으로 제작하여 바닥에 국부적로 존재하는 액체로 인해 단락회로를 형성한다. 단락회로를 형성함에 따라 회로의 저항이 변화하는 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알람할 수 있는 제어부(200)와 알람을 표출하는 알람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나의 누액센서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Such a leak sensor may be placed on the floor or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nd form a short circuit due to the liquid leaked to the floor or wall. Alternatively, a short circuit is formed due to the liquid locally present on the floor by manufacturing the carbon rod in a vertical type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As a short circuit is formed, one leak sensor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control unit 200 capable of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resistance of the circuit changes and alarming it and the alarm unit 300 displaying an alarm.

또한, 좀 더 편리하게 누액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600)에 알람을 보낼 수 있다. 스마트폰은 누액감지알람을 전송받을 수 있는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웹 서버(500)가 설치되고 제어부(200)의 통신모듈과 소통하는 통신모듈(400)이 데이터 전송을 중계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o send an alarm to the user terminal 600 such as a user's smart phone so as to more conveniently detect a leak. The smartphone can install an app that can receive a leak detection alarm, and for this, a web server 500 is installed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400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ntrol unit 200 relays data transmission.

도 2, 도 3,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시스템의 실시예이며, 그 구체적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3, and 4 are views showing specific components of the leak sens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누액센서(100)는 2개의 전도성 봉(10)이 이격 배열되며, 종래 기술과 달리 어떠한 베이스 부재나 베이스 필름을 설치하지 않고 공간에 노출된다. 액체, 특히, 부식성이 강한 산이나 알칼리에 닿기 때문에 내식성이 강하면서도 전도성이 좋은 탄소막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는 2개의 탄소봉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쪽은 절연재로 만들어지고,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쪽은 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절연재로 고정하면서 내부에 도선을 배열하여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leak sensor 100, two conductive rods 1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nd unlike the prior art, it is exposed to the space without installing any base member or base film. Since it comes in contact with a liquid, particularly a highly corrosive acid or alkali, it is preferable to use a carbon rod with strong corrosion resistance and good conductivity. The fixing member 2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n the side that mechanically connects the two carbon rods, and the side that makes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onducto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n electric circuit by arranging the conductors inside while fixing it with an insulating material.

제어부(200)는 탄소봉이 이루는 전기회로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액으로 인한 전기회로의 단락현상을 저항 변화 등 전기적 신호로 감지하며, 연결된 알람부(300)를 스위칭 온시킨다. 제어부에는 전도성 봉이 이루는 전기회로의 저항 또는 전기적 신호값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가 입력되어 있고 이를 넘어서는 값이 감지되면 알람을 발한다. The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formed by the carbon rod by wir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detects a short circuit of an electric circuit due to leakage as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change in resistance, and switches on the connected alarm unit 300 .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the resistance or electrical signal value of the electrical circuit formed by the conductive ro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a value exceeding this is detected, an alarm is issued.

알람부는 경광등 또는 벨, L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제어부(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alarm unit may include a warning light, a bell, an LED, etc., and these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by wire or wireless.

누액감지에 대한 상황대응의 신속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어부(200)의 알람을 전송받을 수 있는 앱을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컴퓨터에 앱을 내려받을 수 있도록 웹 서버에 앱 설치 모듈을 구성한다. In order to quickly respond to a situation in response to leakage detec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pp capable of receiving an alarm from the control unit 200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app installation module is configured on the web server so that the app can be downloaded to a smartphone, tablet, or computer.

한편, 대부분의 현장에 설치된 CCTV와도 연동하여 누액센서 영상을 감시하는 CCTV 영상을 알람 발동 시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00) 통신모듈에서 CCTV의 통신모듈로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수신 즉시, 해당 시점에서 누액센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앱은 알람 신호와 함께 알람시각의 누액센서 영상을 받아볼 수 있도록 설계된다.On the other hand, in conjunction with CCTV installed in most sites, the CCTV image monitoring the leak sensor image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alarm is triggered. To this end,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ntrol unit 20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CTV, and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signal, the leak sensor image is transmitted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view it at the corresponding point in time. Accordingly, the app is designed to receive the leak sensor image at the alarm time along with the alarm signal.

도 3a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가 기존의 것과 달리 원통형인 전도성 봉의 원주면 전체가 공간에 노출되게 구성된 것을 보여준다. 적당한 직경을 갖는 전도성 봉(10)은 고정부재(20)에 고정될 때, 접선부분이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고정부재(20)에 노출부 내지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에 노출부 내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도 3의 아래편 그림과 같이 전도성봉의 자중에 의해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저면과의 접촉이 일어날 수 있고, 혹은 누액층 자체의 두께에 의하여 전도성봉에 접촉할 수 있지만, 전도성봉이 있는 전 구간에서 민감하게 누액을 감지하고 벽면이나 곡면부에서도 감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A shows that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nductive rod is exposed to spac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When the conductive rod 10 having an appropriate diameter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20, it is preferable that an exposed portion or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ixing member 20 so that the tangent portion can touch the floor. Even when no exposed portion or opening is formed in the fixing member 20 ,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3 ,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s a whole centered on the central part by the weight of the conductive rod may occur, or the tear layer itself Although the conductive rod can be contacted by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rod,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fix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eakage can be sensitively sensed in the entire section where the conductive rod is and can be detected even on the wall or curved surface.

도 3b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의 다른실시예의 탄소봉 양단의 단면도이다. 이 전도성봉의 자중에 의해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저면과의 접촉이 일어날 수 있고, 혹은 누액층 자체의 두께에 의하여 전도성봉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누액센서는 바닥에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액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누액센서를 수직형으로 설치하고 절연성 고정부재를 제거하여 양 탄소봉의 선단부가 바닥에 직접접촉하게 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단순히 기계적으로 전도성봉을 고정하는 일측 단부의 고정부재는 제거된 상태로 설치되어 탄소봉의 자유단은 직접 바닥에 닿아 바닥의 누액상태를 감지한다.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ends of the carbon ro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gned so that contact with the bottom can occur as a whole centered on the central part by the weight of the conductive rod, or the conductive rod can be contacted by the thickness of the tear layer itself. On the other hand, the leak sensor of this embodiment installs the leak sensor vertically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he liquid locally present on the floor, and removes the insulating fixing member so that the tip of both carbon rods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Do. The fixing member at one end, which simply mechanically fixes the conductive rod, is installed in a removed state, and the free end of the carbon rod directly touches the floor to detect the leakage of the floor.

도 4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 구성을 설명하는 탄소봉 중간부분의 단면도이다. 중간부분은 고정부재 없이 서로 이격된 탄소봉만 존재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carbon rod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ddle part, there are only carbon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a fixing member.

도 5는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의 성능시험에 의해 측정된 저항의 역수인 컨덕턴스 값 [비교값] 을 보여주는 표이다. 아무 누액도 없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표에 "기본"으로 표시됨] 수돗물 증류수 등 전해질의 요소가 있으면 저항이 감소하고 컨덕턴스(conductance)가 증가함을 보여준다. 여러번 반복하여도 매우 안정적으로 누액상태를 감지한다. 용액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컨덕턴스 평균값이 차이가 나는 점을 이용하여 누액센서 시스템의 제어부에 소정 범위의 컨덕턴스 값 별로 감지된 액체의 종류를 예측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액체 판단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현장에서 특별히 누출여부 판단이 중요한 황산, NaOH의 검출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표의 에탄올의 경우처럼 수돗물이나 증류수보다 컨덕턴스가 낮은 비전해질의 경우도 기준치 [즉 누액이 전연 없는 경우의 컨덕턴스값]에 비해 유의차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누액 감지가 가능하며 같은 원리에 의하여 비전해질이거나 극히 전도성이 낮는 액체인 유기용매나 오일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5 is a table showing the conductance value [comparative value] that is the reciprocal of the resistance measured by the performance test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sence of any leakage [indicated as "default" in the table], the presence of elements of the electrolyte, such as tap water, distilled water, etc., shows that the resistance decreases and the conductance increases. It detects the state of leakage very stably even after repeated several times. Using the point that the average conductance valu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the liquid determination module that can predict and display the type of liquid detected for each conducta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ontrol unit of the leak sensor system or generate a voice signal is configured can do.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the detection of sulfuric acid and NaOH, which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determining whether leakage occurs in the field. 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ethanol in the table, non-electrolyte, which has a lower conductance than tap or distilled water, also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standard value [that is, conductance value when there is no leakage]. It can also be applied to organic solvents or oils, which are liquids with low conductivity.

도 6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누액센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누액센서가 평면형이라면 도 6a에 보인 것은 수직형으로 전도성봉 단부가 자유단으로 누액을 감지한다.6A shows a leak sensor that can be installed vertically as described above. If the leak sensor shown in FIGS. 1 to 2 is a flat type, the one shown in FIG. 6A is a vertical type, and the conductive rod end detects the leak at the free end.

벽면과 같은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전도성봉(1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0)가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전도성봉(10)은 그 아래로 연장된다. 전도성봉은 바닥면에 닿을 수 있어, 저면에 누출된 누액센싱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A fixing member 20 for fixing the conductive rod 10 so as to be installed on a wall or the like is constituted by a bracket, and the conductive rod 10 extends below it. Since the conductive rod can touch the bottom surface, it can react very sensitively to the leaking leakage sensing on the bottom surface.

도 6b와 도 6c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의 다른실시예의 고정부재의 상부 및 하부 사진이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둥근 원통형 홈에 탄소봉을 끼우고 [탄소봉은 도 6c에 투명봉으로 표시] 상하부를 합쳐서 조립한다. 6b and 6c are upper and lower photos of the fixing memb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eak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 the carbon rod into the round cylindrical groove seen in the photo [the carbon rod is shown as a transparent rod in Fig. 6c] and assemble the upper and lower parts together.

도 6b,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과 전도성봉(10) 사이에 오링이 놓이거나 액체 표면장력을 차단할 수 있는 테이프가 전도성 봉을 감싸도록 하여 이물이 브라켓 안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오링의 경우 전도성봉을 감싸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한, 브라켓 안쪽에 전도성봉이 배열 고정되는 곳을 포함한 주변부에 구리와 같은 금속 플레이트를 펼쳐 배열함으로써 전기접속부를 이루게 한다. 도 6d는 누액센서의 수직형으로 설치하는 실시예에서 2개의 누액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양을 나타난다. As shown in FIGS. 6b and 6c, an O-ring is plac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conductive rod 10 or a tape capable of blocking the liquid surface tension is wrapped around the conductive ro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bracket. In the case of O-rings, they ar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y surround the conductive rods. In addition,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by spreading and arranging a metal plate such as copper in the periphery including the place where the conductive rods are arranged and fixed inside the bracket. 6D shows the shape in which two leak sens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leak sensor is installed vertically.

도 7은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의 제어부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나의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의 제어부에서 다수의 누액센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스위치(30)와 알람버튼(40)은 전체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6개의 센서 채널을 구비한 제어부를 보여준다. 센서 채널은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제어부에는 채널별 감도조절유닛(60)과 미세감도조절유닛(50)이 설치되어 채널별로 감지할 물질에 대한 감도를 테스트한 후, 감도조절유닛(60)의 버튼을 돌려 적정화한 후, 미세감도조절유닛(50)으로 최적화한다. 각 감도조절유닛(60) 버튼은 12바퀴를 돌려 감도를 키우거나 줄이거나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leak sensors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on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and the power switch 30 and the alarm button 40 are applied to the entire system. 7 shows a control unit having six sensor channels. The sensor channel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A sensitivity control unit 60 and a fine sensitivity control unit 50 for each channel are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to test the sensitivity to a substance to be detected for each channel, then turn the button of the sensitivity control unit 60 to adjust the sensitivity, and then fine sensitivity Optimized with the control unit (50). Each sensitivity control unit 60 button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ensitivity by turning 12 turns.

누액감지로 인한 알람 발생 후에는 전도성봉을 물로 세척한 다음 알람버튼(40)을 리셋시켜 재사용 한다. After an alarm occurs due to leakage detection, the conductive rod is washed with water and then the alarm button 40 is reset to reuse.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누액센서를 다수 연결하여 필요한 장소에 배치한 것을 모식적으로 보여준다. 8 and 9 schematically show that a plurality of leak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arranged in necessary places.

도 8은 평면형 누액센서들이 서로 직렬연결되어 하나의 제어부(콘트롤 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필요한 지역에 다수의 누액센서들이 직렬연결된 상태로 산재되어 누액을 감시하며, 어느 하나의 누액센서에서 누액이 감지되면 알람이 발생된다. 직렬연결 방법은 제1 누액센서 연결부재(브라켓 등) 안쪽에 깔린 금속 플레이트(50)와 전도성봉이 접속되고, 각 전도성봉 또는 전도성봉에 접속된 금속플레이트에 접속된 전선 2가닥이 제2 누액센서의 전도성봉 또는 금속 플레이트에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8 is a planar type leakage sensor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control unit (control box). A number of leak sensors are scattered in a necessary area in a serially connected state to monitor leaks, and an alarm is generated when a leak is detected in any one of the leak sensors. In the serial connection method, the metal plate 50 laid on the inside of the first leak sensor connection member (bracket, etc.) and the conductive rod are connected, and two wires connected to each conductive rod or the metal plat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ro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leak sensor. is connected to a conductive rod or metal plate.

도 9는 수직형 누액센서가 다수 연결된 것을 보여준다. 수직형 누액센서에서도 브라켓 안쪽에 금속 플레이트가 전도성봉이 놓이는 곳에 배열되고 전선으로 다수의 수직형 누액센서들이 직렬연결된다 [도 6d]. 누액센서 중 하나라도 누액이 감지되면 알람이 발생된다. 누액센서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누액센서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은 주름관 [도 6d] 안에 배열된다. 9 shows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leak sensors are connected. Even in the vertical leak sensor, a metal plate is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bracket where the conductive rod is placed, and a number of vertical leak sensor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wires [Fig. 6d]. If any of the leak sensors detect a leak, an alarm is generated. In order to free the position of the leak sensors, the wires connecting the leak sensors to each other are arranged in the corrugated pipe [Fig. 6d].

한편, 평면형 누액센서와 수직형 누액센서는 모두 각각 병렬연결되어 설치된 지점별로 누액 여부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oth the flat type leak sensor and the vertical type leak sensor are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f leakage at each installed point.

본 발명에 따른 누액센서는 강산, 강염기, 각종 용매, 용액에 대해 감도가 좋아 반응이 빠르며, 사용 후 세척 건조로 반복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탄소봉으로 만든 전도성봉은 내부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의 사용될 수 있다. The leak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good sensitivity to strong acids, strong bases, and various solvents and solutions, so it responds quickly, and can be used repeatedly by washing and drying after use. In particular, the conductive rod made of carbon rod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durability, so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유독물 저장고, 실험실 등에 원하는 크기의 누액센서를 설치할 수 있고, 저장고의 파이프라인 연결부분에도 소형으로 제작된 누액센서를 설치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A leak sensor of a desired size can be installed in a toxic substance storage room, laboratory, etc., and a small leak sensor can be installed in the pipeline connection part of the storage, so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t low cost.

한편, 상기 실시 예와 실험 예들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수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numerical values present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exemplary and can be modified as need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hange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누액센서(100)
제어부(200)
알람부(300)
통신모듈(400)
서버(500)
전도성 봉(10)
고정부재(20)
leak sensor (100)
control unit 200
Alarm unit 300
Communication module (400)
Server (500)
Conductive Rod(10)
Fixing member (20)

Claims (10)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에 있어서,
2개의 전도성 봉이 서로 이격되되 한쪽 단부가 도체로 연결되어 전기적 회로를 이루는 누액센서;
상기 누액센서의 전도성 봉 사이에 액체가 채워져 전기적으로 단락회로를 이루면 저항 변화를 감지하고 알람을 지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알람지시에 따라 알람을 발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
In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a leak sensor in which two conductive ro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is connected with a conductor to form an electrical circuit;
a control unit that detects a change in resistance and instructs an alarm when a liquid is filled between the conductive rods of the leak sensor to electrically short circuit; and
and an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an alarm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누액센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 leak sensor alarm to the user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웹 서버로부터 내려받은 앱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한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 downloaded from the web server is installed to receive the alarm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센서는 2개의 전도성 봉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성 봉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절연재로 구성되어 전도성 봉을 기계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타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2개의 전도성 봉에 대해 기계적 고정 및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주도록 도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k sensor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wo conductive rods,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one end of the conductive rod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erves to mechanically hold the conductive rod, the other end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ductor to make mechanical fix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two conductive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센서는 2개의 전도성 봉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성 봉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2개의 전도성 봉에 대해 기계적 고정 및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주도록 도체를 포함하고 타측단에는 고정부재가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k sensor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wo conductive rods,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one end of the conductive rod includes a conductor to make mechanical fixation and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two conductive rods and a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omitted from the other end.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전도성 봉은 고정부재에 결합된 부분 외의 다른 곳은 공간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two conductive rods other than the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is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spac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누액센서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된 크기로 구성되어, 바닥면, 벽면, 또는 파이프라인 연결부에 전도성 봉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Claim 7] The leak detection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leak sensor has a size that is custom designed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with the conductive rod exposed on the floor, wall, or pipeline connection part. sens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봉은 탄소 또는 탄소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센서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rod is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ctive material based on carbon or a carbon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액센서에서 측정된 저항 값 또는 컨덕턴스 값을 측정하여 소정 범위의 저항 값 또는 컨덕턴스 값 별로 감지된 액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액체 판단모듈을 구비한 것을 누액감지센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by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r the conductance value measured by the leak sensor, a liquid determination module capable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detected liquid for each resistance value or conducta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누액감지센서 시스템의 누액센서는 사용 후 세척건조 하여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센서 사용방법.







The method of using a leak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leak sensor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is washed and dried after use and reused.







KR1020200146076A 2020-11-04 2020-11-04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KR102603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76A KR102603443B1 (en) 2020-11-04 2020-11-04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76A KR102603443B1 (en) 2020-11-04 2020-11-04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67A true KR20220060267A (en) 2022-05-11
KR102603443B1 KR102603443B1 (en) 2023-11-17

Family

ID=8160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76A KR102603443B1 (en) 2020-11-04 2020-11-04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4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534A (en) * 2002-05-10 2003-11-19 Tobishima Corp Conductive layer coated wire electrode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chemical solution and liquid leakage loc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109919A (en)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Liquid leak detect sensor of outdoors 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534A (en) * 2002-05-10 2003-11-19 Tobishima Corp Conductive layer coated wire electrode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chemical solution and liquid leakage loc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109919A (en)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Liquid leak detect sensor of outdoors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443B1 (en)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6009A (en) Detector system using extremely low power to sen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ert or hazardous fuild
CN1157695C (en) Test apparatus for testing detectors
US8508373B2 (en) Fluid leak detection and alarm
JP4669533B2 (en) Water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RU2545485C1 (en) Electroconductive liquid leak sensor
US10935508B2 (en) Liquid detection device and liquid detection system for abnormal liquid on a surface
KR20220060267A (en) Leak Detection Sensor System
TW201215867A (en) Liquid leak detection device and liquid leak detection system
JP7426811B2 (en) Self-powered water leak detector
RU2672814C1 (en) Humidity sensor
RU179730U1 (en) Humidity sensor
JP2010190574A (en) Liquid leak detector
RU2662252C1 (en) Electric conductivity liquids leakage sensor
KR102076294B1 (en) Connectors with installed film-type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EP3499216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etecting air-borne particles
RU2636280C1 (en) Unit for detecting leakage of process fluids
RU222542U1 (en) Sewage blockage detection sensor
CN218628834U (en) Particle size analyzer test solution leakage alarm device
KR102126902B1 (en) Harmful chemical solution leakage sensor with IoT
CN210833667U (en) Temperature and conductance induction integrated sensor
KR100855280B1 (en) A Leakage Of Water
RU186924U1 (en) Cable humidity and leakage sensor
US20240019338A1 (en) Disconnection detection method and disconnection detection device
JP6984500B2 (en)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JP2005274158A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liquid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