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265A -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 Google Patents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265A
KR20220060265A KR1020200146072A KR20200146072A KR20220060265A KR 20220060265 A KR20220060265 A KR 20220060265A KR 1020200146072 A KR1020200146072 A KR 1020200146072A KR 20200146072 A KR20200146072 A KR 20200146072A KR 20220060265 A KR20220060265 A KR 2022006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sign
module
ite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인보
이학곤
강경원
손정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265A/en
Publication of KR2022006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1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computer simulation, e.g. finite element method [FEM]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Th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comprises: a step (S110) of establishing an initial production plan based on prior information of each project; a step (S120) of modeling, by ship design software, a unit view module from which production information is excluded, according to the initial production plan, and building a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by subdividing the unit view module into assembly modules, in which default items, list items, and argument items are variables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ombined; and a step (S130) of building an integrated base structure (600)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are combined in a 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view module is subdivided into the assembly modules by using modeling information stored in a production and design integration DB (200) including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of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so that the structural desig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production plans for ship design.

Description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본 발명은 단위 뷰의 모듈을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베이스 스트럭처 생산계획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여서, 베이스 스트럭처 설계 작업 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which can minimize the number of hours of base structure design work by subdividing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to assembly modules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base structure production plan.

통상, 선박수주를 위한 영업설계 업무 프로세스는 선주로부터 선박에 대한 용량, 속력, 흘수, 배수량, 척수, 납기, 피로수명 또는 주엔진(M/E)의 요구조건을 접수하면, 선주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선형을 개발하고 배치를 검토한다.In general, the business design business process for a ship order meets the ship owner's requirements when the ship owner receives the requirements for capacity, speed, draft, displacement, number of ships, delivery date, fatigue life, or main engine (M/E) for the ship. Develop an alignment and review its layout.

이후, 납기 및 생산 시수 확정의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영업설계를 수행하여 기술사양서 작성, 선형과 주요 치수 확정, G/A와 M/A 작성, 개념적(conceptual) MS작성, 자재비 견적, 직접경비견적 및 설계시수를 확정한 후, 기술사양과 납기와 견적정보의 선주요구조건이 충족되면 최종 계약을 수행하고, 충족안되면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선주요구조건을 재검토하여 선형개발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After that, a production plan is established to determine the delivery date and production time, and a business design is performed to prepare a technical specification, confirm the alignment and major dimensions, prepare G/A and M/A, prepare a conceptual MS, estimate material cost, direct expenses After confirming the estimate and design time, the final contract is executed if the shipowner’s requirements of technical specifications, delivery date and estimate information are satisfied. .

한편, 초기 구조와 선형 및 의장품 간의 배치검토가 2D도면기반으로 실적선 대비 추정값으로 결정되어서 투입시간 대비 정확한 값이 산출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an accurate value compared to the input time because the initial structure and layout review between the alignment and equipment is determined as an estimated value compared to the actual ship based on 2D drawings.

또한, 종래의 영업설계, 기본설계 및 구조상세설계는 해당부서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초기 영업설계단계에서 발생되는 선형변경, 탱크 재배치 또는 데크레벨(deck level)변경의 변경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고, 중복입력에 따른 오류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usiness design, basic design, and detailed structural design ar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relevant department, so it is difficult to quickly respond to changes in the alignment, tank relocation, or deck level changes that occur in the initial business design stage. ,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errors due to duplicate input.

또한, 2D도면을 바탕으로, 구조중량을 산출하고 의장제공용 구조모델링 업무를 수행하여서, 설계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렵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lexibly cope with design changes by calculating the structural weight based on the 2D drawings and performing structural modeling for design provision.

이를 극복하고자, 영업설계와 기본설계의 정보가 반영된 모듈 생성시에, 횡단면과 측면과 평면의 뷰 단위 모듈의 조합으로 베이스 스트럭처를 생성하여서, 초기 영업설계단계에서의 변경사항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부서 간 설계정보 중복입력에 따른 오류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overcome this, when creating a module that reflects the information of sales design and basic design, the base structure is created with a combination of cross-section, side, and plan view unit modules to respond flexibly to changes in the initial sales design stage, It should be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errors due to duplicate input of design information between departments.

하지만, 뷰 단위의 모듈 사용시 해당 모듈의 관리, 조합 및 구조 변경이 어렵고, 베이스 스트럭처 생성 후 블록 단위로의 분할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using a view unit module, it is difficult to manage, combine, and change the structure of the modul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vision efficiency into blocks after the base structure is created is lower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19572호 (초기 의장 설계용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201811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19572 (3D mode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nitial design design. 2018111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9559호(선박 부재의 조립 트리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20131101)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0119559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tree assembly of ship members. 20131101)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위 뷰의 모듈을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베이스 스트럭처 생산계획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여서, 베이스 스트럭처 설계 작업 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bdivid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to assembly modules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plan of the base structure,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hours for designing the base structure, based on an assembly module for ship design It is to provide a structural design proces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프로젝트별 선행정보를 기준으로 초기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초기 생산계획에 따라, 선박설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산정보가 배제된 형태의 단위 뷰의 모듈을 모델링하고, 상기 단위 뷰의 모듈을 디폴트 아이템과 리스트 아이템과 인수 아이템을 변수로 하고 상기 생산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상세 설계통합 DB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 내의 다수의 모듈을 링 단위로 조합한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설계통합 DB에 저장된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위 뷰의 모듈을 상기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stablishing an initial production plan based on prior information for each project; According to the initial production plan,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 which production information is excluded is modeled by the ship design softwar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the default item, the list item, and the takeover item are variables,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building a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by subdividing it into a combined assembly module; and constructing an integrated base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modules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in a ring unit; using model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ion design integration DB including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 provides a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that subdivides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to the assembly module.

또한, 상기 어셈블리 모듈의 텍스트 형태의 구조 구문정보를 편집하는 구조 편집기와, 상기 디폴트 아이템과 상기 리스트 아이템과 상기 인수 아이템의 생성 및 변경을 수행하는 템플릿 툴 박스와, 상기 어셈블리 모듈을 3D 형상으로 표현하는 주 모델 뷰와, 상기 주 모델 뷰에서 선택된 부재를 3D 형상으로 표현하는 하위 모델 뷰로 이루어진,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을 통해 상기 세분화된 어셈블리 모듈을 검색, 수정 및 모델링 수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ructure editor for editing the textual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of the assembly module, a template toolbox for generating and changing the default item, the list item, and the argument item, and the assembly module are expressed in a 3D shape A function of searching, modifying, and modeling the subdivided assembly modul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which consists of a main model view and a sub-model view that expresses a member selected in the main model view in a 3D shape.

또한, 상기 템플릿 툴 박스에서, 상기 디폴트 아이템은, 기초적인 호선 스펙, 및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 정보와 연동되는 초기구획정보와 선형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emplate toolbox, the default item, the basic line specification, and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information may be made of an item type including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and linear information interlocked.

또한, 상기 템플릿 툴 박스에서, 상기 리스트 아이템은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기준으로 정형화되어 설정된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emplate toolbox, the list item may be of an item type set standardized based on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또한, 상기 템플릿 툴 박스에서, 상기 인수 아이템은 조선소별 생산능력 정보를 기준으로 비정형화된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emplate toolbox, the acquisition item may be formed of an atypical item type based on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또한, 상기 디폴트 아이템 및 상기 리스트 아이템의 변경은 상기 아이템 타입의 선택을 통해 구조정보를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ge of the default item and the list item may convert the structure information into a set text through selection of the item type.

또한, 상기 인수 아이템은 상기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정보를 텍스트로 입력하여 변경하거나, 상기 구조 편집기의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고 추가하여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gument item may be changed by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type as text, or by selecting and adding specific text in the structure editor.

또한, 북마크 기능을 통해, 상기 구조 편집기의 구조 구문정보에 대하여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bookmark func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hange the same text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editor.

또한, 상기 인수 아이템의 변경시, 상기 구조 편집기의 선택된 특정 구조 구문정보에 대하여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Also, when the argument item is changed, the same text may be collectively changed for the specific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selected in the structure editor.

또한,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는 선박생산을 위한 영업설계정보와 기본설계정보와 구조설계정보를 3D캐드 소프트웨어기반으로 구축된 단일 통합 DB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may be a single integrated DB constructed based on 3D CAD software for business design information, basic design information, and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for ship production.

또한, 상기 단위 뷰의 모듈은 단면구조모듈(section module)과 측면구조모듈(elevation module)과 평면구조모듈(plan module)의 조합의 단위 뷰의 구조해석정보 및 두께와 재질정보를 포함하는 물성치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모델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cludes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of a unit view of a combination of a section module, an elevation module, and a plan module, and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ickness and material information can be modeled in a combined form.

또한, 상기 어셈블리 모듈은 어셈블리 단위의 모듈의 구조해석정보, 두께와 재질정보를 포함하는 물성치정보, 및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모델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module may be modeled in a form in which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of the module in the assembly unit,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ickness and material information, and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are combined.

또한,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와 상기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의 비교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parative verification of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and the integrated base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뷰의 모듈을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베이스 스트럭처 생산계획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여서, 베이스 스트럭처 설계 작업 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bdividing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to assembly modules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plan of the base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hours for designing the base structure.

또한, 생산설계단계 이후의 현장 작업 조건의 다양한 변수에 따른 부분적인 모듈 변경사항에 대해 효율적이며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생산설계단계 이전에 정확한 3D 모델링 정보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immediately respond to partial module changes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of field work conditions after the production design stage,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ccurate 3D modeling information early before the production design stage.

더 나아가, 리스트 아이템을, 키입력 방식이 아닌, 항목 선택 방식을 적용하여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화물창 구역에서 초기구획정보를 활용하여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조업능력이 적용된 어셈블리 모듈을 사용하여 베이스 스트럭처의 블록 단위 분할시 추가 정보 입력 및 수정 작업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it minimizes human error by applying the item selection method, not the key input method, to the list item, effectively arranges the structure using the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in the cargo hold area, and uses the assembly module to which the operation ability is applied to the base When dividing the structure into block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ork of inputting and modifying additional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의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을 예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에 의한 각 아이템의 변경 과정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의 모델링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1 shows a flowchart of a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of th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the ship design of FIG. 1 .
3 to 5 each exemplify a process of changing each item by the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of FIG. 2 .
6 illustrates a modeling process of th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of FIG. 1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는, 프로젝트별 선행정보를 기준으로 초기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S110)와, 초기 생산계획에 따라, 선박설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산정보가 배제된 형태의 단위 뷰의 모듈을 모델링하고, 단위 뷰의 모듈을 디폴트 아이템과 리스트 아이템과 인수 아이템을 변수로 하고 생산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상세 설계통합 DB(100)를 구축하는 단계(S120)와, 상세 설계통합 DB(100) 내의 다수의 모듈을 링 단위로 조합한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600)를 구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설계통합 DB(200)에 저장된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단위 뷰(view)의 모듈을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서, 생산계획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establishing an initial production plan based on prior information for each project (S110), and according to the initial production plan, ship design By softwar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modeled in a form in which production information is excluded, and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subdivided into an assembly module in which the default item, list item, and argument item are variables, and production information is combined, Including the step (S120) of building the integrated design DB 100 (S120) and the step (S130) of building an integrated base structure 600 combining a plurality of modules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100 in a ring unit (S130), the shipyard By using the model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ion design integration DB 200 including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tar or assembly shop,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subdivided into assembly modules, so as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plan. do.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a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designing a ship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선행적으로, 신규 프로젝트인 경우에, 초기 생산계획 수립단계(S110)에서는, 선박제작공정을 위한 호선 프로젝트별 각종 선행정보를 기준으로 블록별 설계일정과 생산일정과 생산계획의 초기 생산계획을 수립한다.First of all, in the case of a new project, in the initial production plan establishment step (S110), the design schedule for each block and the production schedule and the initial production plan of the production plan based on various prior information for each ship project for the ship manufacturing process to establish

후속하여, 상세 설계통합 DB 구축단계(S120)에서는, 초기 생산계획에 따라, 선박설계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트라이본, AM 또는 NAPA 등의 조선전용 선박설계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산설계단계(S140) 이후의 생산정보가 배제된 형태의 단위 뷰의 모듈을 모델링하고(S121), 단위 뷰의 모듈을 디폴트 아이템(default item)과 리스트 아이템(list item)과 인수 아이템(argument item)을 변수로 하고 생산설계단계(S140) 이후의 생산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어셈블리 단위의 모듈(이하,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S122), 상세 설계통합 DB(100)를 구축한다.Subsequently,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construction step (S120), according to the initial production plan, by the ship design software, for example, ship design 3D modeling software for shipbuilding such as Tribone, AM or NAPA,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Models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 a form in which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excluded (S121), and sets the module of the unit view to the default item, list item, and argument item as variables and subdivided into modules (hereinafter, assembly modules) of an assembly unit in a form in which production information after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is combined (S122), and a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is built.

여기서, 단위 뷰의 모듈은, 도 6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구역(hold area)인 규칙적인 횡단면구조모듈(section module)(310)과 측면구조모듈(elevation module)(410)과 평면구조모듈(plan module)(510)의 조합의 단위 뷰의 구조해석정보, 및 두께와 재질정보를 포함하는 물성치정보를 결합시켜서 각 모듈을 모델링할 수 있다.Her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as illustrated in (a) to (c) of FIG. 6 , a regular section module 310 that is a hold area and an elevation module Each module can be modeled by combining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of a unit view of a combination of ) 410 and a plan module 510, and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ickness and material information.

또한, 어셈블리 모듈은 어셈블리 단위의 모듈의 구조해석정보, 두께와 재질정보를 포함하는 물성치정보, 및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yard capacity)에 따른 기본저인 생산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모델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module will be modeled in a combined form of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of the module of the assembly unit,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ickness and material information, and basic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yard capacity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can

한편, 규칙적인 횡단면구조모듈(310)과 측면구조모듈(410)과 평면구조모듈(510)의 조합으로 인해, 모듈 조합의 변경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re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module 310, the side structure module 410, and the planar structure module 510,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module combination.

구체적으로, 횡단면구조모듈(310)은,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초대형 원유운반선)기준으로, 대표적 횡격벽(TYP TRANS BHD SECTION)(311), 선수부 횡늑골(FWD TRANS WEB SECTION)(312), 단수 또는 다수의 대표적 횡늑골(TYP(S) TRANS WEB SECTION)(313), 선미부 횡늑골(AFT TRANS WEB SECTION)(314) 및 제수격벽(SWASH BHD SECTION)(315)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module 310 is a typical transverse bulkhead (TYP TRANS BHD SECTION) 311, FWD TRANS WEB SECTION (312) based on a Very Large Crude Oil Carrier (VLCC). ), single or multiple representative transverse frames (TYP(S) TRANS WEB SECTION) (313), aft transverse frames (AFT TRANS WEB SECTION) (314) and SWASH BHD SECTION (315). there is.

또한, VLCC기준으로, 측면구조모듈(410)은, 측면외판 측면구조(SIDE SHELL ELEV)(411), 내선체 종격벽 측면구조(INNER HULL LONGITUDINAL BHD ELEV)(412) 및 종격벽 측면구조(LONGITUDINAL BHD ELEV)(413)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VLCC, the side structure module 410 includes a side shell side structure (SIDE SHELL ELEV) 411, an inner hull longitudinal bulkhead side structure (INNER HULL LONGITUDINAL BHD ELEV) 412, and a longitudinal bulkhead side structure (LONGITUDINAL). BHD ELEV) 413 .

또한, VLCC기준으로, 평면구조모듈(510)은, 갑판 플랜(DECK PLAN)(511), 스트링거 플랜(STRINGER PLAN)(512), 내저 플랜(INNER BOTTOM PLAN)(513) 및 선저 외판 플랜(BOTTOM SHELL PLAN)(514)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VLCC, the planar structure module 510 is a deck plan (DECK PLAN) (511), a stringer plan (STRINGER PLAN) (512), an inner bottom plan (INNER BOTTOM PLAN) (513), and a bottom shell plan (BOTTOM) SHELL PLAN) 514 .

이에, 전술한 구조의 횡단면구조모듈(310)과 측면구조모듈(410)과 평면구조모듈(510)의 범위 및 조합을 적색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변경하여, 다수의 모듈이 결합된 형태의 링단위 조합의 베이스 스트럭처(600)를 모델링할 수 있어서, 설계변경 관련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by changing the ranges and combinations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module 310, the side structure module 410, and the planar structure module 510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red arrow, respectively, a ring unit combination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are combined Since it is possible to model the base structure 600 of the design change-related work can be simplified.

한편, 상세 설계통합 DB(100)는 선박생산을 위한 영업설계정보와 기본설계정보와 구조설계정보를 3D캐드 소프트웨어기반으로 구축된 단일 통합 DB일 수 있으며, 이에, 해당 부서간, 상세 설계통합 DB(100)를 공유하여서, 정보의 중복입력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고, 상위 설계정보는 하위 설계정보와 연계하여 설계통합DB로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may be a single integrated DB constructed based on 3D CAD software of business design information, basic design information, and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for ship production, and thus, the inter-departmental,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By sharing (100), errors due to redundant input of information are prevented, and upper design information can be input into the design integration DB in connection with lower design information.

예컨대, 3D캐드 소프트웨어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영업설계정보를 상세 설계통합DB(100)에 입력하여 저장하며, 후속하여, 앞서 입력된 영업설계정보와 연계하여 기본설계정보를 상세 설계통합DB(100)로 입력하여 저장하고, 후속하여, 앞서 입력된 기본설계정보와 연계하여 구조설계정보를 상세 설계통합DB(100)로 입력하여 저장하여서, 상호 독립적 설계작업이 아닌 연계된 일종의 흐름작업으로 설계업무를 진행하도록 한다.For example, based on 3D CAD software, sales design information is sequentially input and stored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100, and subsequently, the basic design information is linked with the previously inputted business design information to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100 ) to input and store, and subsequently,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ly input basic design information, the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is input and stored into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and design work is performed as a flow work linked rather than independent design work. to proceed with

즉, 영업설계정보가 입력된 DB에 기본설계정보를 추가로 입력하고, 기본설계정보가 입력된 DB에 구조설계정보를 추가로 입력하여, 상세 설계통합 DB(100)를 구축하여서, 상위 설계정보인 구조설계정보 또는 기본설계정보의 입력시 또는 수정시, 하위 설계정보인 기본설계정보 또는 영업설계정보는 연계되어 입력되거나 수정되도록 함으로써, 중복 설계작업시수를 제거하고 별도의 도면작업없이 데이터베이스화된 해당설계정보를 하위부서로 전송할 수 있다.That is, by additionally inputting basic design information to the DB in which the business design information is input, and additionally inputting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to the DB in which the basic design information is input,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is built, and the upper design information When inputting or modifying human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or basic design information, the basic design information or business design information, which are sub-level design information, is input or modified in connection, thereby eliminating the number of duplicate design work hours and converting it into a database without separate drawing work. The corresponding desig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sub-departments.

여기서, 영업설계정보는 초기구획정보와 선형정보와 중량정보와 주요치수(main dimension)와 흘수와 용량과 배수량을 포함하고, 구조설계정보는 화물창구역 중심의 구조형상과 구조위치와 두께정보와 재질정보와 용접각목정보와 개구정보를 포함하여, 상세 설계통합DB(100)의 하위 구조모델링DB에 저장되고, 기본설계정보는 트림(trim)(선수흘수와 선미흘수의 차이)과 복원력(stability)정보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종강도(longistrength)와 흘수정보를 산출하여 상세 설계통합DB(100)의 하위 계산정보DB에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business design information includes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linear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main dimensions, draft, capacity, and displacement, and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includes structural shape, structure location, thickness information, and materials centered on the cargo hold area. Including information, welding angle information, and opening information, it is stored in the lower structural modeling DB of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100, and the basic design information is trim (difference between bow and stern draft) and stability. Including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ongitudinal strength (longistrength) and draft information through this, and store it in the lower calculation information DB of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참고로, 영업설계의 관련업무흐름(work flow)은, 3D캐드 소프트웨어의 초기 설계통합DB를 생성하며, 해당업무단계에서 결정되는 선형정보와 초기구획정보(Longi & Frame Spacing, Block No. 등)과 데크레벨(Deck Level)과 탱크 및 주요 부품(Compartment) 배치 정보를 입력하며, 3D모델에서 2D도면 추출기능을 사용하여 계약용 G/A 도면을 추출하며, 3D모델에서 견적 중량을 추출하며, 유사선 설계정보 보유와 무관하게 3D모델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구조물량 및 자재비 산출하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통한 대 선주업무를 수행한다.For reference, the related work flow of sales design creates the initial design integration DB of 3D CAD software, and linear information and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Longi & Frame Spacing, Block No., etc.) determined at the relevant business stage Input deck level and tank and main parts arrangement information, extract G/A drawings for contract using 2D drawing extraction function from 3D model, extract estimated weight from 3D model, Regardless of the possession of similar ship design information, accurate data is extracted from the 3D model to calculate the structure mass and material cost, and the large ship owner business is performed through reliable data.

또한, 기본설계의 관련업무흐름은, 영업설계에서 작업한 설계통합DB에 추가 작업을 진행하며, 모형시험으로 선형이 변경된 경우 설계통합DB에서 선형만 수정하여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선형이 결정된 설계통합DB에서 트림 및 복원력을 계산하며, G/A도면에 필요한 구획을 모델링하며, 3D모델에서 G/A 도면을 추출하며, 3D 모델에서 중량을 추출하며, 구조설계에서 추가작업을 진행하며, 트림 및 복원력 계산을 바탕으로 구조강도를 계산하며, 3D캐드 소프트웨어에 내재된 각선급룰(rule)을 활용하여 구조강도를 계산하며, 구조강도계산을 바탕으로 기존 키플랜(keyplan)도면에 포함될 정보를 3D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델링업무를 수행하며, 3D모델을 각 선급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스캔틀링하며(Scantling), 3D모델의 구조해석/피로해석을 위한 FE모델로 변환하고, 2D도면이 아닌, 3D모델을 통한 선주/선급 업무를 수행한다.In addition, for the basic design related work flow, additional work is carried out in the design integrated DB worked on in the sales design. Calculating trim and restoring force in the design integration DB, modeling the compartments required for G/A drawings, extracting G/A drawings from 3D models, extracting weights from 3D models, performing additional work in structural design, Structural strength is calculated based on trim and restoration force calculations, and structural strength is calculated using the angular classification rules built into 3D CAD software.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existing keyplan drawings based on structural strength calculations performs modeling work using 3D CAD software, converts 3D models to each classification program and scantling them, converts 3D models into FE models for structural analysis/fatigue analysis, not 2D drawings, Carry out shipowner/classification work through 3D model.

또한, 구조설계의 관련업무흐름은, 기본설계에서 작업한 설계통합DB에 추가작업을 진행하며, 각 구조도면에 필요한 정보를 3D캐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D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며, 필요한 구조강도 검증은 3D캐드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각 선급룰을 바탕으로 계산하며, 완성된 3D모델을 바탕으로 의장설계에서 의장품 배치용으로 활용하며, 3D모델을 선수미 구조해석을 위한 FE모델로 변환하고, 2D도면이 아닌, 3D모델을 통한 선주/선급 업무를 수행한다.In addition, for the related work flow of structural design, additional work is carried out in the design integration DB worked on in the basic design, 3D modeling is performed using 3D CAD software for information necessary for each structural drawing, and the necessary structural strength verification is It is calculated based on each classification rule included in the 3D CAD software, and based on the completed 3D model, it is used for the arrangement of equipment in the design design, the 3D model is converted into an FE model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fore and aft, and the 2D drawing is Instead, it carries out shipowner/classification tasks through 3D models.

한편, 생산설계단계(S140)에서의 모델링 정보를 상위 설계단계인 상세 설계통합 DB(100) 구축을 위한 상세설계단계에서 활용하도록 하고, 생산계획변경에 따른 설계 변경사항을 즉각적으로 반영하도록, 뷰 단위의 모듈을 생산설계단계(S140) 이후의 생산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o utilize the modeling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in the detailed design step for building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which is the upper design step, and to immediately reflect the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plan change, view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module of the unit into an assembly module in which the production information after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is combined.

이에,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설계통합 DB(200)에 저장된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단위 뷰의 모듈을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할 수 있다(S122).Accordingly, by using the model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ion design integration DB 200 including the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for each assembly shop, it is possible to subdivid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to the assembly module (S122).

도 2는 도 1의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의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은 어셈블리 모듈의 텍스트 형태의 구조 구문정보(scheme)를 편집하는 구조 편집기(scheme editor)(210)와, 디폴트 아이템과 리스트 아이템과 인수 아이템의 생성 및 변경을 각각 수행하는 템플릿 툴 박스(template tool box)(220)와, 어셈블리 모듈을 3D 형상으로 표현하는 주 모델 뷰(main model view)(230)와, 주 모델 뷰(230)에서 선택된 부재를 3D 형상으로 표현하는 하위 모델 뷰(sub model view)(240)와, 기타 관련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시지 박스(message box)(250)로 이루어져서,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을 통해 세분화된 어셈블리 모듈을 검색, 수정 및 모델링 수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G. 2 illustrates an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of th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of FIG. 1 . Referring to FIG. 1 , the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edits the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scheme) in text form of the assembly module. A scheme editor 210, a template tool box 220 for creating and changing a default item, a list item, and an argument item, respectively, and a main model expressing the assembly module in a 3D shape A message box for outputting a view (main model view) 230, a sub model view (240) representing a member selected in the main model view (230) in a 3D shape, and other related messages (message box) ) 250 ,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modify, and model the subdivided assembly module through the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에 의한 각 아이템의 변경 과정을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changing each item by the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respectively.

템플릿 툴 박스(220)는, 어셈블리 모듈 사용시, 디폴트 또는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 변환 타입을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타입(Input Type) 선택창(221)과, 변환되는 텍스트의 아이템 타입을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템 타입(Item Type) 선택창(222)과,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텍스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수(Argument) 입력창(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mplate toolbox 220 specifies an input type selection window 22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designating an item conversion type of a default or a list when using an assembly module, and an item type of text to be converted It may be composed of an Item Type selection window 222 performing a function to perform a function, and an Argument input window 223 performing a function of converting text by inputting a text desired by the user.

여기서, 디폴트 아이템은, 기초적인 호선 스펙, 및 상세 설계통합 DB(100)의 설계 정보와 연동되는 초기구획정보와 선형정보(PROJECT ID, PROJECT NO. 등)를 포함하는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져 설정된 값으로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고, 리스트 아이템은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기준으로 정형화되어 설정된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선택하여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고, 인수 아이템은 조선소별 생산능력 정보를 기준으로 비정형화된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텍스트 변환을 수행한다.Here, the default item consists of an item type including basic line specifications,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interlocked with desig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100 and linear information (PROJECT ID, PROJECT NO., etc.), and is a set value. Text conversion is performed, and list items consist of item types that are standardized and set based 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The text is converted by inputting the text desired by the user.

참고로, 비정형화된 인수 아이템은 규칙성과 반복성이 없는 항목으로 호선 사용자의 상황별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아이템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an atypical argument item is an item without regularity and repeatability, and means an item that can be free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of the ship.

즉, 디폴트 아이템 및 리스트 아이템의 변경은, 입력 타입 선택창(221)에 의해 지정된 아이템 변환 타입에 하위 종속되는 아이템 타입의 항목을 아이템 타입 선택창(222)을 통해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에 대한 구조정보를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하여 완료될 수 있다.That is, to change the default item and list item, an item of an item type subordinate to the item conversion type specified by the input type selection window 221 is selected through the item type selection window 222, and the structure of the selected item is selected. This can be done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into set text.

예컨대,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조 편집기(210)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텍스트(101)를 선택하고, 입력 타입 선택창(221)에서 디폴트 아이템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아이템 타입 선택창(222)에 하위 종속되는 아이템 타입의 항목(Block, ProjBlk, ProjID, ProjNo 등)을 선택하면, '101'의 텍스트가 '{"T":"Default","IT":"Blcok"}'로 변경 완료되고, 도 4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조 편집기(210)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텍스트(SOVN)를 선택하고, 입력 타입 선택창(221)에서 리스트 아이템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아이템 타입 선택창(222)에 하위 종속되는 아이템 타입의 항목(Block, ProjBlk, ProjID, ProjNo, Surface, RSO, AS2, AS4, BEV, BVS, BVT, COR, DATA_TYPE 등)을 선택하면, 'SOVN'의 텍스트가 '{"T":"List","IT":"BVT"}'로 변경 완료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a) of FIG. 3 , a text 101 to be changed is selected in the structure editor 210 , a default item is selected in the input type selection window 221 , and an item type is selected accordingly When an item of an item type subordinate to the window 222 (Block, ProjBlk, ProjID, ProjNo, etc.) is selected, the text of '101' is '{"T":"Default","IT":"Blcok"} ', and as illustrated in (a) of FIG. 4 , select the text (SOVN) to be changed in the structure editor 210, select a list item in the input type selection window 221, and According to the item type selection window 222, if you select an item of an item type (Block, ProjBlk, ProjID, ProjNo, Surface, RSO, AS2, AS4, BEV, BVS, BVT, COR, DATA_TYPE, etc.) subordinate to the item type selection window 222, 'SOVN ' is changed to '{"T":"List","IT":"BVT"}'.

한편, 도 5의 (a)와 같이 인수 아이템은 인수 입력창(223)에서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CUT=2231,100/'101-TB561')로 입력하여 변경하거나, 도 5의 (b)와 같이 구조 편집기(210)의 특정 텍스트(CUT=2231,100/'101-TB561')를 선택하고 추가하여 변경하여서 인수 입력창(223)에 인수 리스트로 등록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a) of FIG. 5 , the argument item is changed by the user directly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type in the argument input window 223 as text (CUT=2231,100/'101-TB561'), As shown in FIG. 5B , a specific text (CUT=2231,100/'101-TB561') of the structure editor 210 is selected, added, changed, and registered as an argument list in the argument input window 223 .

여기서, 도 5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수 리스트의 등록 후, 구조 편집기(210)의 구조 구문의 커서 위치 또는 구조 구문에 삽입된 북마크 위치에서 등록된 리스트에 해당하는 텍스트로 변경할 수 있다.Here, as illustrated in (c) of FIG. 5 , after registration of the argument list,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list can be changed from the cursor position of the structure syntax of the structure editor 210 or the bookmark position inserted into the structure syntax. there is.

또한, 인수 리스트 등록시, 인수 당 하나의 번호가 할당되며 이를 통해 템플릿 사용시 저장된 인수를 인식하여 정보 획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gistering the argument list, one number is assigned to each argument, and through this, the stored argument can be recognized when the template is used an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또한, 북마크(Bookmark) 기능을 통해, 구조 편집기(210)의 구조 구문정보에 대하여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bookmark func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hange the same text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editor 210 .

예컨대,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북마크 내 구조 구문정보의 동일 '101'의 텍스트를 모두 '{"T":"Default","IT":"Blcok"}'로 일괄적으로 변경 완료하고, 도 4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북마크 내 구조 구문정보의 동일 'SOVN'의 텍스트를 모두 '{"T":"List","IT":"BVT"}'로 일괄적으로 변경 완료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b) of FIG. 3, the text of the same '101' in the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in the bookmark is all '{"T":"Default","IT":"Blcok"}' to complete the change to '{"T":"List","IT":"BV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y completing changes in batches.

한편, 인수 아이템의 변경시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폴트 아이템 및 리스트 아이템의 북마크 내 구조 구문정보의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도 5의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조 편집기(210)의 선택된 특정 구조 구문정보에 대하여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hanging the argument item, as mentioned above, the same text of the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in the bookmark of the default item and the list item may be collectively changed, and as illustrated in FIG. 5(d), the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ively change the same text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specific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of the editor 210 .

이에, 디폴트 아이템과 리스트 아이템의 선택 및 변경시에, 키 입력 방식이 아닌, 항목 선택 방식에 의해 인적 오류를 제거할 수 있고, 세분화된 어셈블리 모듈의 검색과 수정과 사용 기능으로 모듈 및 베이스 스트럭처 생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되어 필요한 모듈 부분만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selecting and changing default items and list items, human errors can be eliminated by the item selection method rather than the key input method, and modules and base structures are created with the search, modification and use functions of the subdivided assembly modul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it can be subdivided into assembly modules so that only necessary module parts can be modified.

후속하여, 베이스 스트럭처 모델링단계(S130)에서는, 도 6의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세 설계통합 DB(100) 내의 다수의 모델링된 모듈을 링 단위로 조합한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600)를 구축한다.Subsequently, in the base structure modeling step (S130), as illustrated in (d) of FIG. 6, the integrated base structure 600 that combines a number of modeled modules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in a ring unit. buil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폴트 아이템과 리스트 아이템과 인수 아이템의 입력 및 변경을 통해 상세 설계통합 DB(100)와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600) 사이의 비교 검증을 수행하여서, 상세 설계통합 DB(100) 내의 선형 정보와 베이스 스트럭처 사이의 정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comparative verification betwee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and the integrated base structure 600 through input and change of default items, list items, and argument items,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100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between the linear information and the base structure.

이후, 생산설계단계(S140)는, 베이스 스트럭처(600)로부터 블록 정보를 생성하고, 도크 및 조립샵별 조업능력에 따라 블록분할을 수행하는 단계(141)와, 조립샵과 탑재공법을 결정하는 단계(142)로 구성된다.Thereafter,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is a step of generating block information from the base structure 600, performing block divi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apacity of each dock and assembly shop (141), and determining the assembly shop and the mounting method (142).

즉, 블록 분할 수행단계(S141)에서는, 구조해석정보와 물성치정보를 가진 상세설계 상의 베이스 스트럭처(600)로부터 블록정보를 생성하는데, 세부조립절차서(DAP;Detailed Assembly Procedure) 및 조립샵 조업능력(capacity)과 연동하여 어셈블리정보를 생성하고, 밀(mill)특성 및 조립샵 장비의 조업능력에 연동하여 부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in the block division performing step (S141), block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base structure 600 on the detailed design having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and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detailed assembly procedure (DAP) and assembly shop operation capability ( capacity) to generate assembly information, and to generate member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mill characteristics and the operation capability of assembly shop equipment.

여기서, 초기 생산계획 수립 후 발생하는 변수에 따라, 정형화된 현장 작업장인 도크 및 조립샵의 조업능력에 따라 블록정보를 생성하여 블록분할을 자동화하거나, 신공법/신선형/신선종 작업시에는 작업자에 의해 블록을 수동 분할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at occur after the initial production plan is established, block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apability of the standardized on-site workshop, the dock and the assembly shop, to automate block division, or to Blocks can be manually partitioned by

또한, 생산설계단계(S140)에서, 블록분할을 수행하며, 세부조립절차서를 적용하고, 용접수축치 및 2주 사상관리도와, 주판 가공 요령도와 임시 접근통로(temporary access)와 홀플랜 리프팅(hole plan lifting) NC 반영도를 적용한다.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block division is performed, detailed assembly procedures are applied, welding shrinkage values and 2-week finishing control chart, abacus processing tips, temporary access, and hole plan lifting (hole) plan lifting) NC reflectivity is applied.

또한, 조립샵 및 탑재공법 결정단계(S142)에서는, 사내 각 부작업장/사외 조립 협력업체/국외 협력업체의 조립샵을 결정하고, 링(ring) PE/플로팅 도크(floating dk)/도크(dock)의 탑재공법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ssembly shop and the mounting method determination step (S142), the assembly shop of each sub-workshop/outside assembly partner/foreign partner is determined, and the ring PE/floating dock/dock ) can be determined.

이후, 도크 및 조립샵 일정인 호선 중일정(middle scheduling) 계획에 따라, 호선에 특화된 조립/가공도면 작업을 수행하고(S151), 도크 및 조립샵의 현장작업을 수행한다(S153).Thereafter, according to the middle scheduling plan, which is the dock and assembly shop schedule, assembly/processing drawing work specialized for the line is performed (S151), and field work of the dock and assembly shop is performed (S153).

여기서, 호선에 특화된 조립/가공도면 작업 수행(S151) 후, 중일정 변경시에 생산설계단계(S140)로 피드백하여, 변경된 중일정에 연동하여 블록과 어셈블리와 피스를 분할 및 추출할 수 있다(S152).Here, after performing assembly/processing drawing work specialized for the ship (S151), it is fed back to the production design step (S140) when the mid-schedule is changed, and blocks, assemblies, and pieces can be divided and extracted by interlocking with the changed mid-schedule ( S152).

이에, 중일정별 생산정보를 반영하여, 도크 및 조립샵의 초기 중일정 정보를 바탕으로 설계 모델링 작업 후 중일정 변경시 유기적 대응이 가능할 수 있고, 변경된 중일정에 연동되는 블록과 어셈블리와 피스의 분할 및 추출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rganically respond to changes in the mid-schedule after design modeling work based on the initial mid-schedule information of the dock and assembly shop by ref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mid-schedule, and the division of blocks, assemblies, and pieces linked to the changed mid-schedule and to enable extraction.

또한, 프로젝트를 반복하는 경우에, 실적 호선을 기준으로, 선박설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단위 뷰의 모듈을 모델링하여서, 실적선에서 축적된 모델링 정보를 선행 설계에서 활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peating the project,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modeled by the ship design software based on the performance ship, and the modeling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performance ship can be utilized in the prior design.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의 구성에 의해서, 단위 뷰의 모듈을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베이스 스트럭처 생산계획변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여서, 베이스 스트럭처 설계 작업 시수를 최소화하고, 생산설계단계 이후의 현장 작업 조건의 다양한 변수에 따른 부분적인 모듈 변경사항에 대해 효율적이며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생산설계단계 이전에 정확한 3D 모델링 정보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고, 리스트 아이템을, 키입력 방식이 아닌, 항목 선택 방식을 적용하여 인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화물창 구역에서 초기구획정보를 활용하여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조업능력이 적용된 어셈블리 모듈을 사용하여 베이스 스트럭처의 블록 단위 분할시 추가 정보 입력 및 수정 작업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as described abov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subdivided into assembly modules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base structure production plan,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hours of base structure design work and , can efficiently and immediately respond to partial module changes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of field work conditions after the production design stage, can provide accurate 3D modeling information early before the production design stage, list items, Minimize human error by applying the item selection method instead of the key input method, effectively arrange the structure by using the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in the cargo hold area, and use the assembly module to which the operation ability is applied to add when dividing the base structure into blocks Information input and correction work can be reduced.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S110 : 초기 생산계획 수립단계 S120 : 상세 설계통합 DB 구축단계
S121 : 단위 뷰 모듈 모델링단계 S122 : 어셈블리 모듈 세분화단계
S130 : 베이스 스트럭처 모델링단계 S140 : 생산설계단계
S141 : 블록 분할 수행단계 S142 : 조립샵 및 탑재공겁 결정단계
S151 : 조립/가공도면작업 수행단계 S153 : 현장자업 수행단계
100 : 상세 설계통합 DB 200 : 생산 설계통합 DB
210 : 구조 편집기 220 : 템플릿 툴 박스
230 : 주 모델 뷰 240 : 하위 모델 뷰
250 : 메시지 박스 310 : 횡단면구조모듈
311 : 대표적 횡격벽 312 : 선수부 횡늑골
313 : 대표적 횡늑골 314 : 선미부 횡늑골
315 : 제수격벽 410 : 측면구조모듈
411 : 측면외판 측면구조 412 : 내선체 종격벽 측면구조
413 : 종격벽 측면구조 510 : 평면구조모듈
511 : 갑판 플랜 512 : 스트링커 플랜
513 : 내저 플랜 514 : 선저 외판 플랜
600 : 베이스 스트럭처
S110: Initial production plan establishment phase S120: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establishment phase
S121: unit view module modeling step S122: assembly module subdivision step
S130: Base structure modeling stage S140: Production design stage
S141: Block division performing step S142: Assembling shop and mounting effort determination step
S151: Assembly/processing drawing work execution stage S153: On-site self-employment execution stage
100: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200: production design integration DB
210: structure editor 220: template toolbox
230: main model view 240: sub model view
250: message box 310: cross-sectional structure module
311: Representative transverse bulkhead 312: Transverse frame at the fore end
313: Representative transverse ribs 314: Stern transverse ribs
315: water bulkhead 410: side structure module
411: side shell side structure 412: inner hull longitudinal bulkhead side structure
413: longitudinal bulkhead side structure 510: flat structure module
511: deck plan 512: stringer plan
513: bottom plan 514: bottom shell plan
600: base structure

Claims (13)

프로젝트별 선행정보를 기준으로 초기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초기 생산계획에 따라, 선박설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산정보가 배제된 형태의 단위 뷰의 모듈을 모델링하고, 상기 단위 뷰의 모듈을 디폴트 아이템과 리스트 아이템과 인수 아이템을 변수로 하고 상기 생산정보가 결합된 형태의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여, 상세 설계통합 DB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 내의 다수의 모듈을 링 단위로 조합한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설계통합 DB에 저장된 모델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위 뷰의 모듈을 상기 어셈블리 모듈로 세분화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establishing an initial production plan based on prior information for each project;
According to the initial production plan,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 which production information is excluded is modeled by the ship design software,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s the default item, the list item, and the takeover item are variables,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building a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by subdividing it into a combined assembly module; and
Constructing an integrated base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modules in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in a ring unit; including,
subdividing the module of the unit view into the assembly module by using the model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ion design integration DB including the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for each assembly shop,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모듈의 텍스트 형태의 구조 구문정보를 편집하는 구조 편집기와, 상기 디폴트 아이템과 상기 리스트 아이템과 상기 인수 아이템의 생성 및 변경을 수행하는 템플릿 툴 박스와, 상기 어셈블리 모듈을 3D 형상으로 표현하는 주 모델 뷰와, 상기 주 모델 뷰에서 선택된 부재를 3D 형상으로 표현하는 하위 모델 뷰로 이루어진, 어셈블리 모듈 편집툴을 통해 상기 세분화된 어셈블리 모듈을 검색, 수정 및 모델링 수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The method of claim 1,
A structure editor for editing the textual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of the assembly module, a template toolbox for creating and changing the default item, the list item, and the argument item, and a note for expressing the assembly module in a 3D shape A model view and a sub-model view that expresses the member selected in the main model view in a 3D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divided assembly module is searched for, modified and modeled through an assembly module editing tool,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툴 박스에서,
상기 디폴트 아이템은, 기초적인 호선 스펙, 및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 정보와 연동되는 초기구획정보와 선형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template toolbox,
The default i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item type including initial division information and linear information interlocked with the basic line specification, and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informatio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툴 박스에서,
상기 리스트 아이템은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를 기준으로 정형화되어 설정된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4.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template toolbox,
The list i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item type set standardized based on the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툴 박스에서,
상기 인수 아이템은 조선소별 생산능력 정보를 기준으로 비정형화된 아이템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template toolbox,
The acquisition i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typical item type based on the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아이템 및 상기 리스트 아이템의 변경은 상기 아이템 타입의 선택을 통해 구조정보를 설정된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hange of the default item and the list i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set text through selection of the item typ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아이템은 상기 아이템 타입에 해당하는 정보를 텍스트로 입력하여 변경하거나, 상기 구조 편집기의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고 추가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rgument item is changed by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type as text, or by selecting and adding specific text in the structure editor,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7 항에 있어서,
북마크 기능을 통해, 상기 구조 편집기의 구조 구문정보에 대하여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bookmark function, the same text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editor is collectively changed,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아이템의 변경시, 상기 구조 편집기의 선택된 특정 구조 구문정보에 대하여 동일 텍스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9. The method of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rgument item is changed, the same text is collectively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structure syntax information selected in the structure editor,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는 선박생산을 위한 영업설계정보와 기본설계정보와 구조설계정보를 3D캐드 소프트웨어기반으로 구축된 단일 통합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iled design integration D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ingle integrated DB constructed based on 3D CAD software of business design information, basic design information, and structural design information for ship production,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뷰의 모듈은 단면구조모듈(section module)과 측면구조모듈(elevation module)과 평면구조모듈(plan module)의 조합의 단위 뷰의 구조해석정보 및 두께와 재질정보를 포함하는 물성치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of the unit view combines the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of the unit view of a combination of a section module, an elevation module, and a plan module, and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ickness and mater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deled in the form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모듈은 어셈블리 단위의 모듈의 구조해석정보, 두께와 재질정보를 포함하는 물성치정보, 및 조선소별 또는 조립샵별 생산능력 정보가 결합된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assembl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deled in a combined form of structural analysis information of the module of the assembly unit,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cluding thickness and material information, and production capacity information for each shipyard or assembly shop,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계통합 DB와 상기 통합 베이스 스트럭처의 비교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설계를 위한 어셈블리 모듈 기반 구조설계 프로세스.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performing comparative verification of the detailed design integrated DB and the integrated base structure,
Assembly module-based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ship design.
KR1020200146072A 2020-11-04 2020-11-04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KR20220060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72A KR20220060265A (en) 2020-11-04 2020-11-04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72A KR20220060265A (en) 2020-11-04 2020-11-04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65A true KR20220060265A (en) 2022-05-11

Family

ID=8160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72A KR20220060265A (en) 2020-11-04 2020-11-04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26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59A (en) 2012-04-24 2013-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ssembly tree modeling system and method for member of vessel
KR101919572B1 (en) 2016-12-27 2018-11-20 성동조선해양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models for initial ship outfitting desig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59A (en) 2012-04-24 2013-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ssembly tree modeling system and method for member of vessel
KR101919572B1 (en) 2016-12-27 2018-11-20 성동조선해양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models for initial ship outfitting de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 Monaca et al. Integrated ship design: An innovative methodological approach enabled by new generation computer tools
Bucci et al. Evolution in design methodology for complex electric ships
Kremer Design for Mass Customised Manufacturing and Assembly (DfMCMA): A framework for capturing off-site and on-site efficiencies in mass timber construction
KR20220060265A (en)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based on assembly module for vessel design
KR20120140421A (en) Method for designing and modeling, and building lifting hole for vessels
Kim et al. A simulation-based shipbuilding system for evaluation of validity in design and manufacturing
KR100634639B1 (en) The generation method of global ship structure and vibration analysis model using ship design information in initial design stage without CAD model
KR102647348B1 (en) Design process for modeling base structure based on module
Ruy et al. Implementation of welding material quantity evaluation system combined with ship design CAD system
Papanikolaou et al. Tools and applications for the holistic ship design
Fragassa From Design to Production: An Integrated Methodology to Speed Up the Industrialization of Wooden Hulls
Lee et al. Study on a layout design method for leisure ship production factories using a heuristic location-allocation algorithm
KR20200071895A (en) Structure and design process through unique unified design database based on 3d cad
KR20110086387A (en) Standard bom structure auto generation method
Fernandez Designing submarines 4.0 with CAD/CAM/CAE tools. The application of the Industry 4.0 to submarine design
Yrjänäinen et al. Intelligent general arrangement
Martínez et al. Shipbuilding 3D CAD Tools as an Integrated Solution from Concept to Product
Fernandez What the shipbuilding future holds in terms of CAD/CAM/CIM systems
Afif et al. A modular interlocking element for material-efficient stereotomy construction
Gušani 3D-model data transfer of ship hull structure features between cad programs
Perez et al. The ultimate approach for general arrangement definition
Arens et al. Utilizing process automation and intelligent design space exploration for simulation driven ship design
Alonso et al. Innovative 3D Approach for the Basic/Class Design in a Remote Engineering Environment
KR1024764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on of Assembly Man-hour using Geometric and Production Information of Shipbuilding Block Models
Perumana Thomas Automated Modelling of Ship Structures in Early Ship Design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