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07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072A
KR20220060072A KR1020200145178A KR20200145178A KR20220060072A KR 20220060072 A KR20220060072 A KR 20220060072A KR 1020200145178 A KR1020200145178 A KR 1020200145178A KR 20200145178 A KR20200145178 A KR 20200145178A KR 20220060072 A KR20220060072 A KR 2022006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refractive
disposed
refractive lens
electrod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경선
김영구
박지윤
서봉성
손정호
이연희
전백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072A/ko
Priority to US17/445,114 priority patent/US20220140289A1/en
Priority to CN202111294592.9A priority patent/CN114447059A/zh
Publication of KR2022006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01L51/527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H01L27/3244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뱅크층,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뱅크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고 측면이 맞닿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큰 고굴절 렌즈, 및 상기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고굴절 렌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을 밀봉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 경로 조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 필름은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 패턴들 및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인접한 상기 돌출 패턴의 이격 공간 상에 구비된 커버층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작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광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휘도 및 시야각이 크고,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기 발광 소자를 덮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데,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된 광은 봉지 부재와 봉지 부재의 외측과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봉지 부재의 하부에서 트랩(Trap)되어, 전반적인 광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광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뱅크층,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뱅크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고 측면이 맞닿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큰 고굴절 렌즈, 및 상기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고굴절 렌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을 밀봉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 경로 조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 필름은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 패턴들 및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인접한 상기 돌출 패턴의 이격 공간 상에 구비된 커버층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작다.
상기 고굴절 렌즈는 하면, 상기 하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가까운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은 1.4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44°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기 측면과 맞닿는 물질은 공기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렌즈는 고굴절 경화형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의 두께는 1μm 내지 30μm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 렌즈의 단면 형상은 역사다리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뱅크층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의 평면 형상은 상기 고굴절 렌즈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은 상면, 상기 상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더 가까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 및 측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과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 차이는 0.12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의 폭은 5μm 내지 7μm이고, 상기 인접한 돌출 패턴들의 피치는 10μm 내지 30μm일 수 있다.
복수의 돌출 패턴들의 피치의 무작위도는 2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의 폭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의 두께의 비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의 하면과 상기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80° 내지 89°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들,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층, 상기 제1 전극 상의 상기 화소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뱅크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고 측면이 맞닿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큰 고굴절 렌즈, 및 상기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고굴절 렌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을 밀봉하는 글라스를 포함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 패턴들 및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인접한 상기 돌출 패턴의 이격 공간 상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조절 필름을 포함하되, 두께 방향에서 하나의 상기 고굴절 렌즈는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중첩 배치된다.
상기 고굴절 렌즈는 하면, 상기 하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가까운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지고. 상기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은 1.4 내지 2.0이며,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44°내지 60°이되,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기 측면과 맞닿는 물질은 공기일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은 상면, 상기 상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더 가까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지고, 상기 커버층은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 및 측면과 직접 접하며, 상기 커버층과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 차이는 0.12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은 해당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측면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출광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 선, Ⅱ-Ⅱ' 선, 및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굴절 렌즈와 광 경로 조절 필름을 이용하여 휘도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개선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굴절 렌즈와 광 경로 조절 필름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과 제1 경사각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소 영역, 고굴절 렌즈, 및 광 경로 조절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과 발광 효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화소 영역과 고굴절 렌즈의 얼라인 공차(Align miss)와 정면 휘도 비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얼라인 공차에 따른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과 증가 발광 효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글자 번짐(Blur)을 개선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돌출 패턴의 경사각이 88°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이 85°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별(85°, 88°)로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휘도 유지율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 개선율을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2에 따른 표시 영역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Ⅰ-Ⅰ' 선, Ⅱ-Ⅱ' 선, 및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22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이 88°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돌출 패턴의 경사각이 85°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별(85°, 88°)로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휘도 유지율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 개선율을 나타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소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소자는 시점에 따라 다른 소자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포함하는 모서리가 각진 직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 정사각형, 기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화상을 생성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하고 화상을 생성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은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표시 영역(DA)의 평면 형상으로는 예컨대, 직사각형이 적용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A)은 표시 영역(DA)의 테두리들을 에워쌀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광 경로 조절 필름(200), 반사 방지 패널(300) 및 커버 윈도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그 예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은 무기 발광 표시 패널,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 나노 LED 표시 패널 등의 자발광 표시 장치의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의 수광 표시 장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특별한 구분을 요하지 않는 이상 실시예에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단순히 표시 패널(100)로 약칭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을 공유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열거된 또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른 표시 패널(100)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 구동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구동층은 화소 영역의 발광층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구동층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구동층 상부에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발광 소자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의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회로 구동층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고굴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렌즈는 각 화소 영역에 배치되어 발광 효율을 높이고, 해당 발광층에서 생성된 광이 인접한 화소 영역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굴절 렌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고굴절 렌즈를 통과한 광을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광 경로 조절 필름(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제1 접착 부재(510)를 통해, 광 경로 조절 필름(200)과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커버 윈도우(400)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광에 의한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300)은 일 실시예로 위상 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 패널(300)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패널이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및 컬러 필터(Color Filter)일 경우 표시 패널(100)에 형성된다.
커버 윈도우(400)는 외부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반사 방지 패널(300) 상에 배치되되, 제2 접착 부재(5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3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접착 부재(510 내지 520)는 일 실시예로 감압 접착 부재(PSA),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 또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R)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된 뱅크층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뱅크층은 상기 화소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화소 전극의 상면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각각 덮고, 상기 화소 전극의 상면의 중앙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뱅크층에 의해 노출된 상면의 중앙부 에는 광을 생성하는 유기 발광층이 배치된다. 광을 생성되는 유기 발광층이 배치된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뱅크층에 의해 노출된 상면의 중앙부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영역을 이하에서는 화소 영역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화소 영역을 광이 생성된다는 측면에서 발광 영역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복수의 화소 영역들은 제1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1 화소 영역(PX1), 제2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2 화소 영역(PX2), 및 제3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3 화소 영역(PX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X1~PX3)들의 평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화소 영역(PX1~PX3)의 평면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화소 영역들(PX1~PX3)이 모두 상이한 평면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 화소 영역(PX1~PX3)들의 평면 형상이 마름모 형상으로 적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는 화소 영역(PX1~PX3)들이 펜타일 방식으로 배열된 것을 예시한다. 즉, 제1 화소 영역(PX1)은 제2 화소 영역(PX2)과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번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화소 영역(PX3)은 제1 및 제2 화소 영역(PX1, PX2)과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3 화소 영역(PX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화소 영역(PX1, PX2)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화소 영역(PX1)은 적색, 제2 화소 영역(PX2)은청색, 제3 화소 영역(PX3) 및 제4 화소 영역(PX4)은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의 배치 관계는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화소 영역들의 배치 관계는 화소 영역의 표시 색,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해상도 및 개구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는 각 화소 영역(PX1~PX3)마다 배치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는 각 화소 영역(PX1~PX3)과 중첩하여 배치되고, 평면상 각 화소 영역(PX1~PX3)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평면 형상은 중첩하는 각 화소 영역(PX1~PX3)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각 화소 영역(PX1~PX3)의 평면 형상이 마름모 형상을 갖는 경우, 각 화소 영역(PX1~PX3)과 중첩하는 고굴절 렌즈(180)의 평면 형상도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는 각 화소 영역(PX1~PX3) 내의 트랩된 광(예컨대, 봉지 부재와 외부 사이에서 전반사된 광 등)이나,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전면 발광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평면상 각 화소 영역(PX1~PX3)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적어도 고굴절 렌즈(180)의 하면의 폭이 각 화소 영역(PX1~PX3)의 폭보다 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굴절 렌즈(180)의 평면 형상은 중첩하는 각 화소 영역(PX1~PX3)의 평면 형상과 동일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고굴절 렌즈 재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Ⅰ-Ⅰ' 선, Ⅱ-Ⅱ' 선, 및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굴절 렌즈와 광 경로 조절 필름을 이용하여 휘도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개선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굴절 렌즈와 광 경로 조절 필름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기판(110), 도전층(120),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131 내지 133), 뱅크층(140), 제1 내지 제3 유기 발광층(151 내지 153), 공통 전극(160), 고굴절 렌즈 접착 부재(170), 고굴절 렌즈(180), 봉지 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일 실시예로,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리지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판(110)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고분자 물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전층(120)은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도전층(120)은 버퍼층, 복수의 도전성 배선, 절연층 및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배치된 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아몰퍼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산화물 반도체, 유기 반도체 등을 채널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층의 종류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역할 또는 공정 순서를 고려하여, 산화물(oxide)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화소 영역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131~133) 중 제1 화소 전극(13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화소 전극(131)은 도전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31)은 일 실시예로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31)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 복수의 화소 전극은 투명 전극 또는 반투명 전극이나, 또는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및 AZO(Alumin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성 재료는 일 실시예로, 은(Ag), 마그네슘(Mg), 크롬(Cr), 금(Au), 백금(Pt), 니켈(Ni), 구리(Cu), 텅스텐(W) 및 알루미늄(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층(140)은 화소 전극들(131~13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140)은 화소 전극들(131~133)의 상면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뱅크층(14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뱅크층(140)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51~153)들은 화소 전극들(131~133) 및 뱅크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층(151)은 제1 화소 영역(PX1)에 배치되고, 제2 유기 발광층(152)은 제2 화소 영역(PX2)에 배치되며, 제3 유기 발광층(153)은 제3 화소 영역(PX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층(151)은 적색의 광을 생성하여 발광하고, 제2 유기 발광층(152)은 청색의 광을 생성하여 발광하며, 제3 유기 발광층(153)은 녹색의 광을 생성하여 발광할 수 있다.
공통 전극(160)은 유기 발광층(151~153) 및 뱅크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160)은 일 실시예로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160)은 일 실시예로 Li. Ca, Lif/Ca, LiF/Al, Al, Ag, 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전극(160)은 일함수가 낮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160)은 일 실시예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 Oxide), (IGO, Indium Gallium Oxide) 및 AZO(Alumin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다.
각 화소 전극(131~133), 해당 화소 전극과 중첩하는 유기 발광층(151~153), 및 공통 전극(16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는 각 화소 영역(PX1~PX3)들 상에 배치되고, 고굴절 렌즈 접착 부재(170)를 통해 공통 전극(16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하면(180a)은 고굴절 렌즈 접착 부재(170)와 접하고, 상면(180b)은 봉지 부재(190)에 접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는 각 화소 영역(PX1~PX3)에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은 공기층(AR)과 맞닿을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화소 영역(PX1~PX3) 내의 트랩된 광(L1c 참조)이나, 유기 발광층(151~153)으로부터 생성된 광(L1a 참조)의 진행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도록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굴절 렌즈(180)의 해당 기능은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 및 형상을 조절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화소 영역(PX1)에 배치된 고굴절 렌즈(18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고굴절 렌즈(180)의 하면의 폭(w1)은 제1 화소 영역(PX1)의 제1 유기 발광층(151)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최대한 제공받기 위해 제1 화소 영역(PX1)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의 폭(w2)은 하면의 폭(w1)보다 클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의 폭(w2)은 하면(180a)의 폭(w1)과 제1 경사각(θt1)을 통해 도출된다.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의 폭(w2)을 하면의 폭(w1)보다 큼게 형성하여 측면(180s)이 상면(180b)으로부터 하면(180a)에 이르기까지 하향 경사(역테이퍼 형상)진 형상(또는 역사다꼴 형상)을 갖게된다. 이로 인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 발광층(151)으로부터 생성된 광 중 봉지 부재(190)의 표면(봉지 부재(190)와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L1c)을 측면(180s)에서 전반사시켜 전면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제1 유기 발광층(151)으로부터 생성된 광 중 인접 화소 영역(제2 및 제3 화소 영역(PX2, PX3))을 향해 발광된 광(L1a)을 측면(180s)에서 전반사시켜 전면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광(L1a, L1c)들을 측면(180s)에서의 전반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도 6의 확대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굴절 렌즈(180)와 해당 측면(180s)에서 접하는(또는 맞닿는) 물질 간 굴절률 차이와 상면(180a)과 측면(180s)이 이루는 제1 경사각(θt1)을 조절하여야 한다.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으로 입사되는 광들 중 수평 방향에서의 입사광(L1c), 및 해당 입사광(L1c)보다 입사각(θ1)(법선(ML)과 입사 방향 간의 각도)이 큰 광들이 모두 전반사되도록 해당 굴절률 차이와 제1 경사각(θt1)이 조절되면 전반사 효율은 극대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과 맞닿는 물질은 공기층(AR)이므로,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에서 접하는(또는 맞닿는) 물질의 굴절률은 1.0이다.
도 7은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과 제1 경사각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이 커질수록 측면(180s)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입사(입사각(θ1)이 법선(ML)과 하면(180a) 연장 방향 간 사이각과 동일)하는 입사광(L1c)을 전반사(출사각(θ2)이 측면(180s) 연장 방향과 동일)시키기 위한 제1 경사각(θt1)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제1 경사각(θt1)을 조절하여 입사광(L1c)의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면, 입사광(L1c)보다 입사각이 큰 광들을 모두 전반사되어, 전반적인 전반사 효율이 증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에 따라 제1 경사각(θt1)을 조절하면, 굴절률에 무관하게 전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고굴절 렌즈(180)의 재료 비용이나, 물질 선택 자유도 측면에서 하기와 같이 바람직한 굴절률 범위가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은 1.4 내지 2.0일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이 1.4 이상이면 측면(180s)과 맞닿는 공기층(AR)과의 굴절률 차이를 크게 할 수 있어, 입사광(L1c)의 입사각(θ1)(법선(ML)과 입사 방향 간의 각도)보다 입사각이 큰 광들을 모두 전반사시키는 제1 경사각(θt1)이 작아져, 상면(180b)의 폭(w2)이 크게 늘어나야하고, 이는 고굴절 렌즈 물질 소모 및 그에 따른 비용 추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이 2.0 이하이면 고굴절 렌즈(180)의 물질로서, 고려할 수 있는 물질 선택 자유도가 증가된다. 해당 굴절률 범위를 만족시키는 물질이면,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고굴절 렌즈(180)는 유기 절연 수지, 또는 무기 절연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 범위에서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제1 경사각(θt1) 범위는 44°내지 60°일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180b)으로부터 하면(180a)까지의 두께(h1)는 제1 폭(w1), 제1 경사각(θt1)에 의존하여 결정되지만, 1μm 내지 30μm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 렌즈(180)의 두께(h1)가 1μm 이상이면,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전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고굴절 렌즈(180)의 두께(h1)가 30μm 이하이면, 고굴절 렌즈(180)의 두께를 박막화하여, 표시 장치의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고굴절 렌즈(180)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1이 더 참조된다.
도 9는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과 발광 효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화소 영역과 고굴절 렌즈의 얼라인 공차(Align miss)와 정면 휘도 비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얼라인 공차에 따른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과 증가 발광 효율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가로축은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증가된 발광 효율(%)을 나타낸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 렌즈 샘플들을 준비한다. 도 6에서 상술한 각 고굴절 렌즈 샘플들의 두께, 형상, 제1 경사각은 모두 동일하고, 각 샘플이 적용된 표시 장치의 증가된 발광 효율(%)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이 큰 샘플일수록 고굴절 렌즈가 적용되지 않은 표시 장치 대비하여 발광 효율의 증가가 커짐이 확인되었다. 도 9의 그래프를 통해,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이 표시 장치의 발광 효율 증가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굴절 렌즈의 화소 영역의 얼라인 정도가 모두 상이한 11개의 표시 장치 샘플을 준비한다. 도 10을 통해 고굴절 렌즈와 화소 영역이 정얼라인된 경우,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의 휘도를 100%이라했을 때, 고굴절 렌즈와 화소 영역 간 미스 얼라인(Miss Align) 정도(고굴절 렌즈의 중심과 화소 영역의 중심 간 벗어난 길이, 또는 얼라인 공차)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의 휘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고굴절 렌즈와 화소 영역 간 미스 얼라인(Miss Align) 정도가 커질수록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의 휘도가 대체로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고굴절 렌즈와 화소 영역 간 미스 얼라인이 10μm인 경우, 고굴절 렌즈와 화소 영역이 정얼라인된 경우 대비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의 휘도가 80%로 낮아짐이 확인된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굴절 렌즈와 화소 영역 간 미스 얼라인이 10μm인 경우에도 표시 장치에 고굴절 렌즈가 적용되면 전혀 고굴절 렌즈가 적용되지 않은 표시 장치 대비하여 발광 효율이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봉지 부재(190)는 복수의 고굴절 렌즈(180)들과 접하고, 하부의 유기 발광층(151, 152, 153)들을 덮어 외기,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 부재(190)는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리지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부재(190) 상에는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배치된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복수의 화소 영역(PX1, PX2, PX3)에 걸쳐 배치된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하부의 고굴절 렌즈(180)를 통해 전반사되어 제공된 광(L1a)이나, 유기 발광층(151)으로부터 직접 제공된 광(L1b)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L1c 참조), 측면 방향으로 경로를 바꿔 통과(L1b 참조)시킬 수 있다. 하부의 고굴절 렌즈(180)를 통해 전반사되어 전면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량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측면으로 진행하는 광량이 줄어드는데, 이는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나 글자 번짐(Blur) 등을 야기한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고굴절 렌즈(180)를 통해 화소 영역(PX1~PX3) 내의 트랩된 광의 진행 경로를 전면으로 향하도록 변경시켜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고굴절 렌즈(18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나 글자 번짐(Blur) 등을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발광 효율 증가,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나 글자 번짐(Blur)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봉지 부재(190) 상에 배치된 돌출 패턴(231)과 지지부(235)를 포함하는 패턴부(230), 패턴부(230) 상에 배치된 커버층(220), 및 커버층(220) 상에 배치된 광 경로 조절 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하면(231a)은 지지부(235)와 접하고, 상면(231b) 및 측면(231s)은 커버층(220)과 접할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은 지지부(235)의 상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 패턴(231)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개의 돌출 패턴(231)은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인접한 돌출 패턴(231)의 이격 공간)에서 지지부(235)의 상면은 커버층(220)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봉지 부재(190)로부터 광 경로 조절 필름(200)으로 제공된 광(L1a, L1b, L1c)들 중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으로 입사된 광(예컨대, L1b)은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과 커버층(220)의 계면에서 측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굴절된다. 측면(231s)으로 입사된 광(L1b)을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과 커버층(220)의 계면에서 측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굴절시키기 위해서는 돌출 패턴(231)의 굴절률보다 커버층(220)의 굴절률이 더 커야하며, 측면(231s)이 상면(231b)으로부터 하면(231a)에 이르기까지 하향 경사져(정테이퍼 형상), 돌출 패턴(231)의 하면(231a)과 측면(231s) 간의 제2 경사각(θt2)이 예각인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돌출 패턴(231)의 하면(231a)과 측면(231s) 간의 제2 경사각(θt2)이 예각인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돌출 패턴(231)의 하면(231a)의 폭은 상면(231b)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하면(231a)과 측면(231s) 간의 제2 경사각(θt2)은 80° 내지 89°일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하면(231a)과 측면(231s) 간의 제2 경사각(θt2)이 80° 내지 89°이면, 실효적으로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으로 제공된 광의 진행 경로를 측부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는 0.12 내지 0.2일 수 있다.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1.2 이상이면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과 커버층(220) 간 게면에서 굴절률 차이를 크게 할 수 있어, 실효적으로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으로 제공된 광의 진행 경로를 측부 방향으로 바꿀 수 있고,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2.0 이하이면,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 각각의 물질 선택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상술한 굴절률 차이 범위를 만족하는 물질이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돌출 패턴(231)은 모노머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고, 커버층(220)은 모노머 계열, 또는 아크릴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굴절률 조절은 불소(F) 첨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커버층(220)의 굴절률 조절은 무기 입자(예컨대, ZrO2, 또는 TiO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235)는 돌출 패턴(23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등을 포함하는 광 경로 조절 기판(210) 상에 커버층의 물질층을 전면적으로 도포하고, 스탬퍼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층의 물질층을 가압하여 스탬퍼의 돌출부를 통해 상기 커버층의 물질층에 돌출 패턴(231)과 대응하는 오목 패턴을 형성한 다음, 해당 오목 패턴 상 및 오목 패턴과 인접한 영역 상에 패턴부 물질층을 전면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소 영역, 고굴절 렌즈, 및 광 경로 조절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의 평면도에서는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의 돌출 패턴(231)의 상면(231b),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180b)을 도시하였다.
도 4 내지 도 6에 도 8을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고굴절 렌즈(180)는 복수의 돌출 패턴(231)들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고굴렌 렌즈(180)는 제1 방향(DR1)으로 최대 5개의 돌출 패턴(231)들과 중첩(도 6 참조)할 수 있다. 각 돌출 패턴(231)들은 소정의 상면 폭(w3), 피치(P), 두께(h2)를 가질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피치(P)는 인접한 돌출 패턴(231)을 등분하는 등분선(CL)들 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돌출 패턴(231)의 피치(P)는 10μm 내지 30μm일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피치(P)가 30μm 이하이면, 실효적으로, 돌출 패턴(231)의 측면(231s)으로 제공된 광의 진행 경로를 측부 방향으로 바꿀 수 있고, 돌출 패턴(231)의 피치(P)가 10μm 이상이면, 인접한 돌출 패턴(231)들이 서로 접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상면(231b)의 폭(w3)은 5μm 내지 7μm일 수 있다. 돌출 패턴(231)의 상면(231b)의 폭(w3) 5μm 이상이면, 스탬퍼의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부 형성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돌출 패턴(231)의 물리적 유지가 가능하고, 돌출 패턴(231)의 상면(231b)의 폭(w3)이 7μm 이하이면, 스탬퍼의 오목 패턴들 사이의 볼록 패턴에 대응되는 만입부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돌출 패턴(231)의 상면(231b)으로부터 하면(231a)까지의 두께(h2)는 돌출 패턴(231)의 상면 폭(w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면 폭(w3)과 두께(h2)의 비는 1:1 내지 1:1.5일 수 있다. 상면 폭(w3)과 두께(h2)의 비가 1:1 이상이면, 상면 폭(w3) 대비하여 충분한 두께(h2)를 확보할 수 있어 측면(231s)의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상면 폭(w3)과 두께(h2)의 비가 1:1.5 이하이면, 돌출 패턴(231)의 물리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돌출 패턴(231)의 피치(P)의 무작위도(%)는 20% 내지 50%일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 돌출 패턴(231)의 상면(231b)과 등분선(CL)이 만나는 지점을 등분점(CP)(또는 중심점)이라 정의하고, 예시적으로 평면상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180b)의 중심 부근에 위치한 제1 고굴절 렌즈의 상면(231b1), 제1 고굴절 렌즈의 제1 방향(DR1)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고굴절 렌즈의 상면(231b2), 및 제1 고굴절 렌즈의 제1 방향(DR1) 타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3 고굴절 렌즈의 상면(231b3)이 도시된다. 제1 고굴절 렌즈의 중심점(CP)과 제2 고굴절 렌즈의 중심점(CP)은 제1 피치(P1)를 갖고, 제1 고굴절 렌즈의 중심점(CP)과 제3 고굴절 렌즈의 중심점(CP)은 제2 피치(P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피치(P1, P2)는 기준 피치의 무작위도(%) 내에서 각각 피치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준 피치는 10μm 내지 30μm 범위 내에 있고, 기준 피치의 무작위도(%) 내에서 각각 피치값을 갖는 제1 및 제2 피치(P1, P2)들도 10μm 내지 30μm 범위를 만족한다. 예를 들어, 돌출 패턴(231)의 피치(P)의 무작위도(%)가 20%인 경우, 제1 및 제2 피치(P1, P2)는 각각 상기 기준 피치의 0.8배 내지 1.2배의 범위 내의 피치를 갖고, 돌출 패턴(231)의 피치(P)의 무작위도(%)가 50%인 경우, 제1 및 제2 피치(P1, P2)는 각각 상기 기준 피치의 0.5배 내지 1.5배의 범위 내의 피치를 갖는다.
돌출 패턴(231)의 피치(P)의 무작위도(%)가 20% 이상이면, 표시 장치의 일정한 피치를 갖는 화소 영역들(PX1~PX3)과 돌출 패턴(231)들에 의해 무아레(Moir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 패턴(231)의 피치(P)의 무작위도(%)가 50% 이하이면, 돌출 패턴(231)들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돌출 패턴(231)들끼리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고굴절 렌즈(180)와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을 동시에 적용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글자 번짐(Blur)을 개선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고굴절 렌즈(180)와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동시에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과 상술한 광 경로 조절 필름(200)만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을 준비한다. 각 표시 장치 샘플들은 동일한 글자가 표시된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만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과 고굴절 렌즈(180)와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동시에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은 정면에서 해당 표시된 글자를 바라볼 때, 글자 번짐이 거의 없지만, 측면(좌측 45°)에서 해당 표시된 글자를 바라볼 때, 고굴절 렌즈(180)와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동시에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의 경우 광 경로 조절 필름(200)만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 대비 글자의 번짐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12에서 확인되듯이, 상술한 고굴절 렌즈(180)와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동시에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은 광 경로 조절 필름(200)만 적용된 표시 장치 샘플 대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발생되는 이중상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도 13은 돌출 패턴의 경사각(도 6의 제2 경사각(θt2))이 88°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도 6의 제2 경사각(θt2))이 85°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와 함께 도 13을 참조하면,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되지 않은 표시 장치 샘플(Ref),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9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94),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57인 표시 장치 샘플(Δn=0.157),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2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24)을 준비하고, 각 샘플들을 시야각을 바꾸어가며 색 좌표 변화량(Δu'v')을 측정하였다. 도 13의 해당 샘플들의 봉지 부재로는 리지드 물질을 적용하였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된 각 샘플들의 돌출 패턴(231)의 경사각은 88°이다. 도 13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각 샘플들은 시야각이 45°전후까지는 색 좌표 변화량(Δu'v')이 큰 차이가 없지만, 시야각이 45° 이상부터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되지 않은 표시 장치 샘플(Ref)이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된 샘플들 대비하여 색 좌표 변화량(Δu'v')이 크게 증가한다.
도 4와 함께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과 달리,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된 각 샘플들의 돌출 패턴(231)의 경사각은 85°이다. 나머지 설명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별(85°, 88°)로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휘도 유지율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 개선율을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15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정면 휘도 유지율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 개선율을 나타낸다. 시야각은 45°이다. 해당 샘플들의 봉지 부재로는 리지드 물질을 적용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 돌출 패턴(231)의 제2 경사각(θt2)이 85°인,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9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94),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57인 표시 장치 샘플(Δn=0.157),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2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24)과 돌출 패턴(231)의 제2 경사각(θt2)이 85°인,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9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94),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57인 표시 장치 샘플(Δn=0.157),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2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24) 각각 정면 휘도 유지율(%)과 색감 변화 개선율(%)을 측정하였다.
도 15에서 확인되듯이, 각 표시 장치 샘들들에 의하면, 색감 변화 개선율(%)이 개선되지만,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커질수록 정면 휘도 유지율(%)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커질수록 커버층(220)의 외측과의 표면에서 전반사 비율이 커져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개선됨과 동시에 정면 휘도 유지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을 통해 색감 변화 개선율(%)이 개선하고, 커버층(220)의 굴절률로 인해 발생되는 정면 휘도 유지율 감소는 상술한 고굴절 렌즈(180)를 통해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줄이고, 정면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16은 도 2에 따른 표시 영역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화소 영역(PX1~PX3)들의 평면 형상과 고굴절 렌즈(180)의 평면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PX1~PX3) 및 고굴절 렌즈(18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고굴절 렌즈(180)의 평면 형상이 중첩하는 각 화소 영역(PX1~PX3)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고굴절 렌즈(180)가 평면상 각 화소 영역(PX1~PX3)을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불필요하게 고굴절 렌즈 재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_1)은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과 접하는 물질이 저굴절 물질층(185)을 더 포함하고, 고굴절 렌즈 접착 부재(170_1)가 저굴절 물질층(185)과 고굴절 렌즈(180) 각각을 공통 전극(160)에 결합시킨다는 점에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저굴절 물질층(185)은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고굴절 렌즈(180)의 측면(180s)과 접하는 물질로서, 공기층이 아닌 고굴절 렌즈(18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이 적용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광 경로 조절 필름(200_1)이 지지부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6에 따른 광 경로 조절 필름(200)과 상이하다. 돌출 패턴(231)은 봉지 부재(19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조절 필름(200_1)은 스탬퍼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층의 물질층을 가압하여 스탬퍼의 돌출부를 통해 상기 커버층의 물질층에 돌출 패턴(231)과 대응하는 오목 패턴을 형성한 다음, 해당 오목 패턴 상에만 패턴부 물질층을 형성하는 방식(예컨대, 슬릿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광 경로 조절 필름(200_2)은 돌출 패턴(231_1)의 상면이 광 경로 조절 기판(210)의 하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6에 따른 광 경로 조절 필름(200)과 상이하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_2)에 의하면, 돌출 패턴(231_1)이 커버층(220_1)을 완전히 관통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돌출 패턴(231)의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커버층(220_1)의 두께를 늘릴 필요가 없으므로, 광 경로 조절 필름(200_2)의 전반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광 경로 조절 필름(200_3)은 지지부가 추가로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9의 광 경로 조절 필름(200_2)과 상이하다. 커버층(220_1)의 하면과 돌출 패턴(231_1)의 하면은 각각 봉지 부재(19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Ⅰ-Ⅰ' 선, Ⅱ-Ⅱ' 선, 및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22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이 88°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돌출 패턴의 경사각이 85°인 경우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 별로 시야각(Veiwing angle)과 색 좌표 변화량(Δu'v')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돌출 패턴의 경사각별(85°, 88°)로 돌출 패턴과 커버층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휘도 유지율 및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 개선율을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_2)은 기판(110_1)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이 적용되고, 봉지 부재(190_1)로서, 박막 봉지층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4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봉지 부재(190_1)는 고굴절 렌즈(180) 상에 배치된 제1 무기 봉지층(191), 제1 무기 봉지층(191) 상의 유기 봉지층(193), 및 유기 봉지층(193) 상의 제2 무기 봉지층(195)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봉지층(191, 195)들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유기 봉지층(193)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 렌즈(180)의 상면은 제1 무기 봉지층(191)에 직접 접할 수 있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은 제2 무기 봉지층(195)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 21와 함께 도 22를 참조하면,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되지 않은 표시 장치 샘플(Ref),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9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94),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57인 표시 장치 샘플(Δn=0.157),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2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24)을 준비하고, 각 샘플들을 시야각을 바꾸어가며 색 좌표 변화량(Δu'v')을 측정하였다. 도 13의 해당 샘플들의 봉지 부재로는 박막 봉지층을 적용하였다.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된 각 샘플들의 돌출 패턴(231)의 경사각은 88°이다. 도 2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각 샘플들은 시야각이 45°전후까지는 색 좌표 변화량(Δu'v')이 큰 차이가 없지만, 시야각이 45° 이상부터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되지 않은 표시 장치 샘플(Ref)이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된 샘플들 대비하여 색 좌표 변화량(Δu'v')이 크게 증가한다.
도 21과 함께 도 23을 참조하면, 도 22와 달리,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이 적용된 각 샘플들의 돌출 패턴(231)의 경사각은 85°이다. 나머지 설명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22 및 도 23에서 설명한 돌출 패턴(231)의 제2 경사각(θt2)이 85°인,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9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94),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57인 표시 장치 샘플(Δn=0.157),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2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24)과 돌출 패턴(231)의 제2 경사각(θt2)이 85°인,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9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94),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57인 표시 장치 샘플(Δn=0.157),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0.124인 표시 장치 샘플(Δn=0.124) 각각 정면 휘도 유지율(%)과 색감 변화 개선율(%)을 측정하였다.
도 24에서 확인되듯이, 각 표시 장치 샘들들에 의하면, 색감 변화 개선율(%)이 개선되지만,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커질수록 정면 휘도 유지율(%)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돌출 패턴(231)과 커버층(220)의 굴절률 차이가 커질수록 커버층(220)의 외측과의 표면에서 전반사 비율이 커져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개선됨과 동시에 정면 휘도 유지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 경로 조절 필름(200)을 통해 색감 변화 개선율(%)이 개선하고, 커버층(220)의 굴절률로 인해 발생되는 정면 휘도 유지율 감소는 상술한 고굴절 렌즈(180)를 통해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를 줄이고, 정면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110: 기판;
120: 도전층;
131 내지 133: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
140: 뱅크층;
151 내지 153: 제1 내지 제3 유기 발광층;
160: 공통 전극;
180: 고굴절 렌즈
200: 광 경로 조절 필름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뱅크층,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뱅크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고 측면이 맞닿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큰 고굴절 렌즈, 및
    상기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고굴절 렌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을 밀봉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광 경로 조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조절 필름은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 패턴들 및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인접한 상기 돌출 패턴의 이격 공간 상에 구비된 커버층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는 하면, 상기 하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가까운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지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은 1.4 내지 2.0인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44°내지 60°인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기 측면과 맞닿는 물질은 공기인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는 고굴절 경화형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의 두께는 1μm 내지 30μm인 표시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의 단면 형상은 역사다리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층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의 평면 형상은 상기 고굴절 렌즈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은 상면, 상기 상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더 가까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지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 및 측면과 직접 접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과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 차이는 0.12 내지 0.2인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의 폭은 5μm 내지 7μm이고, 상기 인접한 돌출 패턴들의 피치는 10μm 내지 30μm인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 패턴들의 피치의 무작위도는 20% 내지 50%인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의 폭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의 두께의 비는 1.0 내지 1.5인 표시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의 하면과 상기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80° 내지 89°인 표시 장치.
  1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전극들,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층,
    상기 제1 전극 상의 상기 화소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뱅크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고 측면이 맞닿는 물질보다 굴절률이 큰 고굴절 렌즈, 및
    상기 기판과 대향하고, 상기 고굴절 렌즈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을 밀봉하는 글라스를 포함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 패턴들 및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인접한 상기 돌출 패턴의 이격 공간 상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조절 필름을 포함하되,
    두께 방향에서 하나의 상기 고굴절 렌즈는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과 중첩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 렌즈는 하면, 상기 하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가까운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기 상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크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지고.
    상기 고굴절 렌즈의 굴절률은 1.4 내지 2.0이며,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44°내지 60°이되,
    상기 고굴절 렌즈의 상기 측면과 맞닿는 물질은 공기인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은 상면, 상기 상면보다 상기 봉지 부재에 더 가까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하면의 폭보다 작고,
    상기 측면은 하향 경사지고,
    상기 커버층은 상기 돌출 패턴의 상면, 및 측면과 직접 접하며,
    상기 커버층과 상기 돌출 패턴의 굴절률 차이는 0.12 내지 0.2인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들은 해당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생성된 광을 측면 유도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KR1020200145178A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KR20220060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78A KR20220060072A (ko)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US17/445,114 US20220140289A1 (en) 2020-11-03 2021-08-16 Display device
CN202111294592.9A CN114447059A (zh) 2020-11-03 2021-11-0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178A KR20220060072A (ko)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72A true KR20220060072A (ko) 2022-05-11

Family

ID=8136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178A KR20220060072A (ko) 2020-11-03 2020-11-0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40289A1 (ko)
KR (1) KR20220060072A (ko)
CN (1) CN114447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9620A (ja) * 2021-01-15 2022-07-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4578A (ja) * 2006-01-31 2007-09-1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面発光体、表示装置及び調光部材
KR20190087689A (ko) * 2018-01-15 2019-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47059A (zh) 2022-05-06
US20220140289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6808B2 (ja) 入力検知ユニットを備える表示装置
US11038151B2 (en) Display device
US11770949B2 (en)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 display device
US106442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10144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20220165993A1 (en) Display panel with a display function layer and display device
KR10247232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178529B (zh) 显示面板
CN109309108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640879A (zh) 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870841B (zh) 显示装置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WO2023246492A1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车载显示系统
KR102658174B1 (ko) 표시 장치
US2020008130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gray scal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20060072A (ko) 표시 장치
JP2004233957A (ja) 光学素子、面状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11616213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light extraction structure
CN110246873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407544B (zh) 反射式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102562A (ko) 표시 장치
CN110518149A (zh) 显示装置及显示面板
CN115642215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9531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US11822169B2 (en) Display device
US20230327047A1 (en) Transfer device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