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892A -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 Google Patents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892A
KR20220059892A KR1020210061929A KR20210061929A KR20220059892A KR 20220059892 A KR20220059892 A KR 20220059892A KR 1020210061929 A KR1020210061929 A KR 1020210061929A KR 20210061929 A KR20210061929 A KR 20210061929A KR 20220059892 A KR20220059892 A KR 20220059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server
text data
color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1343B1 (en
Inventor
김상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프로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프로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프로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21006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4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8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2Digital storefront, e.g. e-ordering, web2print, submitting a job from a remote submissi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An online printed matter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input from a user comprises: a server generating a sample image;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text data containing print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ing the sample image from the server, wherein the print information includes size information of print paper. The server is configured to: extract main keywords in the text data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generate a front with a character size interpolated from a preset master font by using the text data; set a character color with an average value of color code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searched images resulted from search by the main keywords; and determine a background color by using an average value of colors of all pixels in a character block which is a rectangular block with a minimum size that can include a character with a character color, wherein the main keywords are extracted on the basis of a preset mathematical equation through related word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text data.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duce printed matter.

Description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의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인쇄물 제작 시스템{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인쇄물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의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인쇄물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based print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input from a user.

최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상거래, 전자광고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예전에는 모든 상거래가 오프라인을 통해 물리적으로 수행되던 것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었다.Recently, various services such as e-commerce and electronic advertisement have been provided based on the Internet. In the past, all commerce transactions were physically performed offline, but an infrastructure was built to easily receive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캘린더, 카탈로그, 포스터, 팜플렛(리플렛), 전단, 메뉴얼(교재), 사보(월간, 계간 등), 명함, 봉투, 특수 인쇄물 등과 같은 인쇄물을 온라인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온라인 인쇄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인쇄물에 들어갈 내용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면, 서비스 제공자가 인쇄물에 들어갈 내용을 기반으로 샘플 시안을 준비하고, 준비된 샘플 시안을 고객이 최종적으로 컨펌(confirm)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an online printing service that wants to produce printed materials such as calendars, catalogs, posters, pamphlets (leaflets), flyers, manuals (textbooks), newsletters (monthly, quarterly, etc.), business cards, envelopes, special prints, etc. online, the customer When the contents to be entered ar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the service provider prepares a sample proposal based on the contents to be entered in the printed matter, and the customer finally confirms the prepared sample proposal is common.

최근에는 고객의 선택권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하여 인쇄물에 들어갈 내용뿐만 아니라 인쇄물의 서식이나 디자인을 고객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는 온라인 인쇄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ufficiently guarantee the customer's choice, online printing services are emerging that allow the customer to select the format or design of the print as well as the content in the pri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그런데, 고객이 이처럼 인쇄물의 서식이나 디자인을 모두 선택하도록 할 경우, 고객에게 상당한 업무 부담을 지우는 셈이어서 고객의 만족도가 저해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고, 서비스 제공자가 인쇄물의 서식이나 디자인을 내부적으로 결정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경우 투입되는 노동력의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해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customer chooses both the format and design of the printed matter, it will put a significant burden on the customer, which will impair customer satisfaction and make it difficult to provide quality service. When a design is decided internally and provided to customers, there is a problem that competitiveness is lowered due to an increase in cost due to an increase in the input labor force.

따라서, 인쇄물의 서식이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충분히 부여하면서도 적은 노동력으로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샘플 이미지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디자인 선택 부담을 경감하고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쟁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 method to increas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burden of design selection by customers and minimizing costs by providing customers with sample images that can satisfy customers with little labor while giving enough authority to choose the format or design of printed matter This is a necessary situ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의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input by a user.

본 개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의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서버로 인쇄 정보와 텍스트들의 정보가 담긴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샘플 이미지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 정보는 인쇄 용지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 내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해 마스터 글꼴로부터 보간된 글자 크기를 가진 글꼴을 생성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로 검색되는 소정의 개수의 이미지의 색상 코드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글자 색상을 설정하고, 상기 글자 색상을 가진 글자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사각 블록인 글자 블록 내 모든 픽셀의 색상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배경 색상을 결정한다.An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nnected to a server for generating a sample image, and the server and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the server and a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print information and text data containing information on texts, and receives a sample image from the server, wherein the print information includes size information of a print paper, and the server, Extracting main keywords in text data, using the text data to generate fonts having interpolated letter sizes from the master font, and using the average value of color code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s searched for by the main keywords to color text , and the background color is determined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lors of all pixels in the letter block, which is the smallest rectangular block that can contain the letters having the letter color.

상기 보간된 글자 크기는 상기 마스터 글꼴의 글자 블록에서 너비와 높이를 확대한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글리프에 용지 면적 대비 글자 개수의 q 제곱으로 지정되는 가중치 값(상기 q는 상기 가중치 값이 0 초과 2 미만의 실수 값을 가지도록 조절됨)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interpolated character size generates a glyph with an enlarged width and height in the character block of the master font, and a weight value designated as the q square of the number of characters compared to the paper area in the glyph (where q is the weight value exceeds 0) scaled to have a real value less than 2).

상기 서버는, 상기 텍스트들의 경계로부터 소정의 간격의 가진 가상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인쇄 용지의 여백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The server may generate a virtual block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texts, and set the size of the blank space of the printing paper based on the virtual block.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확대한 글리프에 상기 가중치 값의 절대 값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enlarged glyph by an absolute value of the weight value.

상기 글자 색상은 상기 소정의 개수의 이미지의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 및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을 개별적으로 평균한 값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color of the text may be determined using a color indicated by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red, a factor representing the degree of green, and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blu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s. there is.

상기 주요 키워드는 복수의 키워드에 대한 연관어들을 검색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들 중에서 상기 각 키워드 및 상기 각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어들의 개수의 합이 가장 많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main keyword may search for related word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keywords,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m of the respective keywords and the number of related word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keywords is the largest among the plurality of keywor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본적인 인쇄 정보 및 인쇄 내용을 가지고서도 샘플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손쉽게 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로서도 최소한의 노동력 부담으로 높은 퀄리티의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쟁력이 증가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user can receive a sample image even with basic print information and print conten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print, and as a service provider, a high-quality sample image can be created with minimal labor burden. This can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reduce costs.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이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쇄 정보와 텍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자연어 처리를 통한 텍스트 내용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글꼴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여백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여백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에서 텍스트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텍스트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배경을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ri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by a pri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print information and text received from a user in a method for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dentifying text content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font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blank space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8 .
10 is a second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blank space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ep of determining a color of an area in which text is not arranged in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determining a background of an area where text is not arranged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ri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용자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에게 인쇄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인쇄물 제작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손쉽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공되는 인쇄물 제작 서비스를 통해 의뢰한 인쇄물에 대한 예상 결과물을 이미지 등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The print production system can provide a print production service to the user anytime, anywhere through the user terminal.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roduce a print using the print production service provided. For example, the user can check the expected result for the printed matter requested through the provided print production service, such as an image, so that more efficient work is possible.

예를 들어, 인쇄물은 책자, 명함, 상품권, 스티커, 현수막, 캘린더, 카탈로그, 포스터, 팜플렛(리플렛), 전단, 메뉴얼(교재), 사보(월간, 계간 등), 봉투, 특수 인쇄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printed materials a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such as booklets, business cards, gift certificates, stickers, banners, calendars, catalogs, posters, pamphlets (leaflets), flyers, manuals (textbooks), newsletters (monthly, quarterly, etc.), envelopes, special printed materials, etc. can be implemented.

도 1을 참조하면,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또는 주문자)가 입력한 정보를 입력 받아 통신 네트워크(40)를 이용하여 인쇄물 제작에 사용될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버(20), 샘플 이미지를 출력하는 프린팅 기기(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rint production system receives information input by a user (or orderer)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 and user terminals 10 and uses a communication network 40 to produce a sample image to be used in print production. It may include a server 20 that generates the , and a printing device 30 that outputs a sample image.

서버(20)는 수신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예, 인쇄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에 응답하여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 샘플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rver 20 may generate a sample image through a plurality of algorithms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eg, print information and text data), and may provide the sample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 . The server 20 is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uses any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 the like. It may be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calculation ope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복수의 알고리즘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된 인쇄 정보와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 인쇄물에 대한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선호 유형들이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유형은 인쇄물의 내용에 따라 글꼴, 여백 및 배경에 대한 깔끔함, 따뜻함, 어울림 등에 대한 선호 유형이 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algorithms may be algorithms for generating a sample image for the final printed matter based on the print information and text data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Such an algorithm may reflect general user preference types. For example, the preference type may be a preference type for cleanliness, warmth, harmony, etc. for fonts, margins, and background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print.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선호 유형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거나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가 서버(20)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DB)가 서버(20)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여 통신 네트워크(40)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DB)는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적절한 기억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eference types for a plurality of users may be stored or updated in the database DB of the server 20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eg, in real time). In FIG. 1 , the database DB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erver 20 ,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DB exists separately outside the server 20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 may be For example, the database DB may be implemented using a disk drive, magnetic disk, optical disk or other suitable storage device.

또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샘플 이미지가 최종 이미지로 선택되는 경우,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최종 이미지 데이터를 프린팅 기기(30)에 전송할 수 있다. Also, when the sample image is selected as the final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20 may transmit the final image data to the printing device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

프린팅 기기(30)는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최종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팅 기기(30)는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복합기 또는 3D 프린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inting device 30 may output the final image by using the final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20 . For example, the printing device 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nkjet printer, a laser printer, a multifunction printer, or a 3D printer.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인쇄 정보와 인쇄물의 내용(예,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인쇄물 제작에 사용될 샘플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샘플 이미지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적절한 단말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데스크 탑, 노트북 등의 일반 PC 및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버(20)와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로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입력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펜 또는 스틸러스, 마이크로폰, 동작 인식 센서 등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may input print information and contents (eg, text) of the printed matter into the user terminal 10 . In addi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sample image to be used in print produc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Her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n appropriate terminal device hav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receiving download request information for a sample image from a user.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general PCs such as desktops and laptops, and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t can be broadly interpreted a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20 . Also, the input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touch display, a keyboard, a mouse, a touch pen or stylus, a microphone, a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설명한 통신 네트워크(40)는 서버(20)가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40)는, 설치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40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rver 20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 . Communication network 40,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Ethernet (Ethernet), wired home network (Power Line Communication),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d network such as RS-serial communication or WLAN (Wireless LAN), Bluetooth and A wireless network such as ZigBee may be variously selected and configur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이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by a pri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인쇄물 제작 시스템이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인쇄 정보와 텍스트를 수집하는 단계(S110), 자연어 처리를 통해 텍스트의 주요 내용을 식별하는 단계(S120), 글꼴 조절 단계(S130), 여백 조절 단계(S140) 및 배경 조절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순서도에 따라 각 단계가 차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각 단계 사이에 다른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2 , the method for the print production system to generate a sample image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print information and text from the user terminal 10 ( S110 ), and identifying main contents of the text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S120 ). , a font adjustment step (S130), a blank space adjustment step (S140), and a background adjustment step (S150)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described that each step is performed in turn according to the flowchart, but unless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changed, some steps shown to be performed in succession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order of each step is changed, or some steps are performed It is obvious that , may be omitted, or other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each step.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쇄 정보와 텍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print information and text received from a user in a method for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정보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했고, 도 4는 수집되는 텍스트의 일 예를 도시했다. 도 4 내지 도 5에서 텍스트는 전래동화 "토끼전"의 일부 내용을 예시로서 도시했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int information inpu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collected text. 4 to 5, the text is shown as an example of som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 "Rabbit Je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정보와 텍스트를 수집하는 단계(S110)는 서버(20)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인쇄 정보(101)에 대한 데이터와 텍스트(102)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 정보(101)와 텍스트(102)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쇄물에 삽입되는 도면, 이미지의 해상도 정보, 컬러 정보, 폰트 정보, 선 정보, 인쇄 용지 크기 정보, 재단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쇄 정보(101) 및 인쇄물에 삽입되는 텍스트(102)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인쇄 정보(101) 및 텍스트(102)에 관한 데이터를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인쇄 정보(101) 및 텍스트(102)의 각 내용은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본 실시예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2 to 4 , in the step of collecting print information and text ( S110 ), the server 20 collects data about print information 101 and data about text 102 from the user terminal 10 . corresponds to the step The user terminal 10 may collect print information 101 and text 102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can print information 101 including drawings, image resolution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font information, line information, printing paper size information, crop line information, etc. inserted into the printed matter and text ( 102)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10 . The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the print information 101 and data related to the text 102 to the server 20 . Each content of the print information 101 and the text 102 shown in FIGS. 3 and 4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자연어 처리를 통한 텍스트 내용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dentifying text content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는, 수집된 텍스트(102_1)에 대해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여 텍스트(102_1)의 주요 내용을 식별할 수 있다(S120). 즉, 서버(20)는 수신한 텍스트(102_1)에 대하여 키워드들(102_1에서 하이라이트 처리된 부분 참조)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함으로써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는, 자연어 처리를 구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framework) 또는 알고리즘인 파이썬의 NTLK(Python NLTK), 샌포드의 코어NLP(Sanford CoreNLP), 아파치의 오픈NLP(Apache OpenNLP), 마이크로소프트의 튜링 (Turing), 또는 BERT, GPT-2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2 and 5 , the server 20 may perform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n the collected text 102_1 to identify main contents of the text 102_1 ( S120 ). That is, the server 20 extracts keywords (refer to the highlighted portion of 102_1) from the received text 102_1, and determines what content is being dealt with by perform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on the extracted keywords. can do. For exampl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a framework or algorithm that can implemen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ython's NTLK (Python NLTK), Sanford's CoreNLP (Sanford CoreNLP), Apache's OpenNLP (Apache OpenNLP), Microsoft It can be implemented using Turing, BERT, GPT-2, or the lik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버(20)는 수신한 텍스트(102_1)에 대하여 문맥 분석(context analsys) 및/또는 형태소 분석 등을 수행함으로써 텍스트(102)의 주요 내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방법은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서버(20)는 대상 주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리 구축된 데이터 사전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20)는 데이터 사전을 통해 텍스트(102_1)에서 연관어를 판단하고 주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20 may determine the main content of the text 102 by performing context analysis and/or morphological analysis on the received text 102_1 . For this determination method, deep learning technology may be used. The server 20 may use a pre-built data dictionary as a means for determining a target subject. The server 20 may determine a related word from the text 102_1 through the data dictionary and extract a main keyword.

서버(20)는 텍스트(102_1)에서 연관어 분석을 통해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주요 키워드(Kmain)를 추출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extract the main keyword (K main )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ed word from the text 102_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i는 1보다 큰 자연수로서 텍스트(102_1)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Ki에는 텍스트 내에서 i번째 키워드 및 i번째 키워드의 연관어를 통산한 개수이다.Here, i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and means the number of keywords included in the text 102_1. K i is the total number of related words of the i-th keyword and the i-th keyword in the text.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서버(20)는 텍스트(102_1)의 내용 중 데이터 사전을 통해, '남해', '용궁', '해산물', '용왕' 이라는 용어(제1 연관어들)가 '바다'(제1 키워드)에 대한 연관어임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는 '바다' 및 '바다'에 대한 연관어가 텍스트(102_1) 내 총 8개가 배치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텍스트(102_1)의 내용 중 데이터 사전을 통해, '술', '마시며', '약', '먹으면'이라는 용어(제2 연관어들)가 '음식' (제2 키워드)에 대한 연관어임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는 '음식' 및 '음식'에 대한 연관어가 텍스트(102_1) 내 총 5개가 배치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rver 20 includes the terms 'Namhae', 'Yonggung', 'Seafood', and 'Yongwang' (first related words) through the data dictionary among the contents of the text 102_1.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 related word for 'sea' (the first keyword). The server 20 may determine that a total of eight related words for 'sea' and 'sea' are disposed in the text 102_1. In addition, the server 20, through the data dictionary among the contents of the text 102_1, the terms 'alcohol', 'drinking', 'medicine', 'eat' (second related words) are 'food' (the first 2 keyword) can be judged as a related word. The server 20 may determine that a total of five related words for 'food' and 'food' are arranged in the text 102_1.

서버(20)는 [수학식 1]을 통해 텍스트(102_1)에서'바다'가 주요 키워드(Kmain)로 판단하고, '바다'와 관련된 내용이 주요 내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determine that 'sea' is the main keyword (K main ) in the text 102_1 through [Equation 1], and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related to 'sea' is the main conten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글꼴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font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글자 크기 및 폰트를 조절하는 단계 일부를 도시하고, 도 7은 글자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일부를 도시한다.6 shows a part of the step of adjusting the font size and font, and FIG. 7 shows a part of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acter color.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글꼴 조절 단계(S130)는 서버(20)가 텍스트(102)의 글꼴을 조절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글꼴은 글자 크기, 글자 색상 및 폰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6 and 7 , the font adjustment step S130 corresponds to the server 20 adjusting the font of the text 102 . For example, the font may include a font size, a font color, and the like.

서버(20)는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해 굵기 또는 폭넓이, 디자인특징 등을 변화시켜 마스터 글꼴로부터 보간된 새로운 글자 크기(예, 마스터 글꼴의 글자 크기와 다른)를 가진 글꼴을 포함하는 텍스트(102_2)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는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마스터 글꼴로 지정(Small 값으로 지정)하고, Small 값(또는 마스터 글꼴)을 이용해 3개의 글리프(glyph)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글리프는 글자 하나의 모양에 대한 기본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3개의 글리프는 Goal, Wide, Tall을 포함하고, 여기서, Wide는 Small의 가로 확대형, Tall은 Small의 세로 확대형, Goal은 Small의 가로 및 세로 확대형(도 6의 (A)참조) 또는 축소형(도 6의 (B)참조) 글리프이다. 서버(20)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해 Small 값을 통한 Tall, Wide, Goal 등의 글리프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20 uses the text data to change the thickness or width, design features, etc., and interpolates the text 102_2 from the master font to include a font having a new font size (eg, different from the font size of the master font). can create The server 20 may designate the input text data as a master font (designate as a small value), and automatically generate three glyphs using the small value (or master font). A glyph may mean a basic unit for the shape of a single character. The three glyphs include Goal, Wide, and Tall, where Wide is a horizontally enlarged form of Small, Tall is a vertical enlarged form of Small, Goal is a horizontally and vertically enlarged form of Small (refer to (A of FIG. 6)) or It is a reduced type (refer to FIG. 6(B)) glyph. The server 20 may generate glyphs such as Tall, Wide, and Goal through Small values using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여기서, α는 텍스트(102_1)의 개수와 출력될 용지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가중치 값으로서, 예를 들어

Figure pat00008
이고, q는 0 초과 2 미만의 실수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BoundingBox는 Small 값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사각 블록인 글자 블록에 해당하며, BoundingBoxWidth와 BoundingBoxHeight는 글자블록의 너비와 높이이고, Small_left_Top_Point는 글자블록의 좌측최상단과 대응하는 좌표일 수 있다. x, y는 각각 글자의 너비 및 높이에 대한 변수로서, 예를 들어, Smallx는 글자블록에 포함된 글자의 너비이고, Smally는 글자블록에 포함된 글자의 높이이며, Widex는 Wide에 따른 글자의 너비이고, Tally는 Tall에 따른 글자의 높이이다.Here, α is a weight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xts 102_1 and the paper size to be output, for example,
Figure pat00008
, and q may be preset to a real valu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2. In Equation 2, BoundingBox corresponds to a letter block, which is a rectangular block with the smallest size that can contain a Small value, BoundingBoxWidth and BoundingBoxHeight ar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letter block, and Small_left_Top_Point is a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letter block. there is. x and y are variables for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haracter, respectively. For example, Small x is the width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character block, Small y is the height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character block, and Wide x is the width of the character block. is the width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all, and Tall y is the height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all.

서버(20)는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해 글자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주요 키워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개 포털 서버(google, naver 등)에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검색 이미지를 획득하고,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기술을 통해 검색 이미지의 색상 코드를 분석하여 글자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검색 이미지를 브라우저 상에서 열람하였을 때 HTML 코드 분석을 통해 글자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주요 키워드인 '바다'와 관련된 소정의 개수(예, n개, 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HTML 코드는 #과 6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코드(#abcdef)(예, #FFFF00은 노랑색을 나타내는 HTML 코드)이다.The server 20 may adjust the character color using text data. For example, the server 20 acquires a search image by performing an image search in various public portal servers (google, naver, etc.) using a main keyword, and a color code of the search image through computer vision technology can be analyzed to determine the text color. For example, the server 20 may determine the text color through HTML code analysis when the search image is viewed on the browser. For example, the server 20 searche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s (eg,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related to the main keyword 'sea', and determines the color through [Equation 3] below. can Here, the HTML code is a code (#abcdef) consisting of # and 6 digits (eg, #FFFF00 is the HTML code for yellow color).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3에서 #abcdef는 특정 색상과 대응하는 HTML 코드이며, #abcdef 중 ab, cd, ef는 각각 00 내지 FF 사이의 16 진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b, cd, ef는 각각 10진법에서의 0 내지 255 사이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abcdef로 표현되는 HTML 코드에서 ab는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고, cd는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고, ef는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다. 즉, 서버(20)는, 소정의 개수의 검색 이미지에서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 및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을 개별적으로 연산하고,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값의 평균,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의 평균, 및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값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In Equation 3, #abcdef is an HTML cod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lor, and among #abcdef, ab, cd, and ef may be hexadecimal numbers between 00 and FF, respectively. For example, ab, cd, and ef may each represent an integer between 0 and 255 in the decimal system. In the HTML code expressed by #abcdef, ab is the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red, cd is the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green, and ef is the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blue. That is, the server 20 separately calculates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red,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green, and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blue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search images, and a factor representing the degree of red The average of the values, the average of the print values indicating the green level, and the average of the print values indicating the blue color may be calculated.

서버(20)는, 산출된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값의 평균,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의 평균, 및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값의 평균에 의해 지시되는 색상을 색상 반전(예를 들면 흑색을 백색으로 반전하는 것과 같이 보색 반전)시킴으로써, 글꼴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The server 20 converts the color indicated by the calculated average of the factor values representing the degree of red, the mean of factor values representing the degree of green, and the mean of factor values representing the degree of blue to color inversion (for example, By inverting complementary colors (like inverting black to white), you can determine the color of the fon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여백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여백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8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blank space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8 . 10 is a second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 blank space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10은 각각 여백 조절 단계(S140) 일부를 도시한다.8 and 10 respectively show a part of the blank adjustment step ( S140 ).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여백 조절 단계(S140)는 서버(20)가 용지(200)의 여백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로, 여백 조절 단계(S140)는 텍스트(102_2)를 블록화 하는 단계 및 블록화된 해당 블록(110)을 기준으로 여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8 to 10 , the step of adjusting the blank space ( S140 ) corresponds to the step of the server 20 adjusting the size of the blank of the paper 200 . In one embodiment, adjusting the blank space ( S140 ) may include blocking the text 102_2 and setting a blank space based on the blocked block 110 .

텍스트(102_2)를 블록(110)화 하는 단계는 텍스트(102_2)들의 경계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진 가상의 블록(110)을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만약, 블록화 하는 단계 없이(즉, 소정의 간격이 없는 경우) 여백이 미소하게 설정되는 경우, 프린팅 기기(30)에 따라 용지(200)의 가장자리에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The step of turning the text 102_2 into a block 110 corresponds to a step of generating a virtual block 11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undary of the text 102_2. If the margin is set to be minute without the step of blocking (that is, when there is no predetermined interval), printing may not be performed on the edge of the paper 200 depending on the printing device 30 .

블록(110)은 아래의 [수학식 4]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The block 110 may be set through [Equation 4] below.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여기서, P1(X)는 텍스트(102_2)들의 경계로부터 수평방향 간격이고, Q1(Y)는 텍스트(102_2)들의 경계로부터 수직방향 간격에 해당하며, Widex와 Tally는 마스터 글꼴을 통해 생성된 3개의 글리프들 중에서 Wide에 따른 글자의 너비와 Tall에 따른 글자의 높이일 수 있다.Here, P 1 (X) is the horizontal spacing from the boundary of the texts 102_2, Q 1 (Y) corresponds to the vertical spacing from the boundary of the texts 102_2, Wide x and Tall y are through the master font. Among the three generated glyphs, it may be the width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Wide and the height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all.

생성된 블록(110)은 용지(200) 내에서 아래의 [수학식 5]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The generated block 110 may be arranged in the paper 200 through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여기서, P2(X)는 용지(200)의 좌측 변으로부터 블록(110)의 경계까지의 여백이고, P3(X)는 용지(200)의 우측 변으로부터 블록(110)의 경계까지의 여백이고, Q2(Y)는 용지(200)의 상측 변으로부터 블록(110)의 경계까지의 여백이고, Q3(Y)는 용지(200)의 하측 변으로부터 블록(110)의 경계까지의 여백이다. A와 B는 각각 용지(200)의 가로, 세로 사이즈이다. β와 γ는 각각 용지(200)의 글자 크기에 따라 부여된 파라미터 값이다. m은 임의의 수로서 예를 들어, 1.3 내지 1.4 중 임의의 유리수가 선택될 수 있다.Here, P 2 (X) is the margin from the left side of the paper 200 to the boundary of the block 110 , and P 3 (X) is the margin from the right side of the paper 200 to the boundary of the block 110 . , Q 2 (Y) is the margin from the upper side of the paper 200 to the boundary of the block 110 , and Q 3 (Y) is the margin from the lower side of the paper 200 to the boundary of the block 110 . am. A and B a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of the paper 200, respectively. β and γ are parameter values assigned according to the text size of the paper 200, respectively. m is any number, for example any rational number from 1.3 to 1.4 may be selected.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에서 텍스트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ep of determining a color of an area in which text is not arranged in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경 조절 단계(S150)는 서버(20)가 용지(200) 내에서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블록(110)의 내부 및 배경(120))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에 해당한다.2, 11, and 12, the background adjustment step (S150) is the server 20, the text 102_2 within the paper 200 in the non-arranged area (the inside of the block 110 and the background 120) )) corresponds to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lor of

일 실시예로, 서버(20)는 조절된 글자 색상을 기초로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색상은 글자(글꼴 조절 단계(S130)에서 형성된 보간된 새로운 글자)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사각 블록인 글자 블록(130) 및 글자 색상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색상은 글자 블록(130) 내 모든 픽셀의 색상의 평균 값을 가지고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글자가 배치되지 않는 픽셀은 백색의 코드(#000000)를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서버(20)는 아래의 [수학식 6]를 통해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server 20 may adjust the color of the area where the text 102_2 is not arranged based on the adjusted character color. The color of the area where the text 102_2 is not placed is to be determined based on the letter block 130 and the letter color, which is a rectangular block of the minimum size that can include letters (interpolated new letters formed in the font adjustment step S130). can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region where the text 102_2 is not arranged may be determined by using an average value of the colors of all pixels in the text block 130 . Here, a pixel in which characters are not arranged is defined as having a white code (#000000). That is, the server 20 may determine the color of the area where the text 102_2 is not arranged through [Equation 6] below.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여기서, L, M은 각각 글자 블록(130)의 너비, 높이를 나타내고, 글자 블록(130)은 가로와 세로로 i×j(i, j는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때, ab(i,j)는 가로로 i번째 세로로 j번째 픽셀의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고, cd(i,j)는 가로로 i번째 세로로 j번째 픽셀의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고, ef(i,j)는 가로로 i번째 세로로 j번째 픽셀의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고, gh는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에서 적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 값이고, ij는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에서 녹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값이고, kl은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에서 청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자값일 수 있다.Here, L and M represent the width and height of the letter block 130, respectively, and when the letter block 130 includes i × j (i, j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pixel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b ( i,j) is a factor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red of the i-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j-th pixel, cd(i,j) is a factor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green of the i-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j-th pixel, ef(i,j) is a factor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blue of the i-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j-th pixel, gh is a factor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redness in the area where the text 102_2 is not arranged, and ij is the text (102_2) may be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green in the non-arranged area, and kl may be a factor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blue in the area where the text 102_2 is not dispos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텍스트가 비배치되는 영역의 배경을 결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determining a background of an area where text is not arranged in a method of generating a sa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는, 용지(200) 내에서 텍스트(102_2)가 비배치되는 영역(배경(120))을 검색 이미지를 이용하여 채울 수 있다.The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ll an area (background 120) where the text 102_2 is not arranged in the paper 200 using a search image.

예를 들어, 서버(20)는, 텍스트(102_2) 내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키워드 및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어를 통산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 중에서 객체(object)와 대응하는 키워드들을 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20 extracts keywords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keywords and related words corresponding to the keyword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from among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text 102_2, and from among the extracted keywords, an object ) and corresponding keywords can be selected.

서버(20)는, 선정된 키워드들과 대응하는 객체를 앞선 수학식 1에 따라 선정된 주요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된 복수의 검색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수가 가장 많은 검색 이미지를 이용해 배경(120)을 채울 수 있다. 이때, 검색 이미지들에서 객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으로는,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들 중에서 이미지 인식에 유리한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객체 검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는데, 객체 검출 알고리즘의 예를 들면 SSD(W. Liu, D. Anguelov, D. Erhan, C. Szegedy, and S. E. Reed. SSD: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CoRR, abs/1512.02325,2015.) 등이 있다.The server 20 det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words from a plurality of search images searched using the main keyword selected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and uses the search image with the largest number of detected objects. The background 120 may be filled. In this case, as an algorithm for detecting an object in the search images,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hich is advantageous for image recognition amo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may be used. Examples include SSDs (W. Liu, D. Anguelov, D. Erhan, C. Szegedy, and S. E. Reed. SSD: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CoRR, abs/1512.02325, 2015.).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텍스트(102_2) 내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키워드 및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어를 통산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키워드들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물이나 객체와 대응하는 키워드들(예를 들어, 용왕, 신선, 토끼 등)을 선정하고, 선정된 키워드들과 대응하는 객체(용왕, 신선, 토끼)가 가장 많은 검색 이미지를 이용해 배경(120)을 도 13과 같이 채울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from among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text 102_2 , keywords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keywords and related words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are extracted, and from among the extracted keywords, a thing or an object Selecting corresponding keywords (for example, dragon king, new god, rabbit, etc.), and using the search image with the most selected keywords and corresponding objects (yong king, new god, rabbit), the background 120 is shown in FIG. 13 can be filled together.

한편, 도 13에 따른 실시예와 도 11에 따른 실시예를 결합하여, 서버(20)는, 텍스트(102_2)를 블록화한 블록(110) 내부의 배경 색상을 도 11에 따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텍스트(102_2)의 외부 배경(120)을 도13에 따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채울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combin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3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1 , the server 20 sets the background color inside the block 110 in which the text 102_2 is blocked us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1 . It may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background 120 of the text 102_2 may be filled us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3 .

배경 조절이 완료되면, 서버(20)는, 글꼴, 여백, 배경 등이 조절된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샘플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background adjustment is completed, the server 20 may generate a sample image in which the font, blank space, background, etc. are adjusted, and transmit the generated sample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 .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을 통해 제공받은 인쇄 정보 및 텍스트 정보에 따라 글자 크기와 색상, 배경 색상 및 배경 이미지를 동적으로 결정하여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샘플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하므로, 사용자로서는 글자부터 배경까지 세세한 내용들을 모두 설정하는 번거로움이 적고 텍스트 내용에 가장 최적화된 샘플 이미지를 받아 일부 수정을 통해 최종 인쇄물을 원격으로 인쇄할 수 있다.As such, the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ynamically determines a font size and color, a background color, and a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the print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o generate a sample image. And, since the generated sample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 the user has less hassle of setting all the details from the text to the background, and receives the sample image most optimized for the text content and performs some modifications to remotely control the final print. can be printed with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have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implemented a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사용자 단말기 20: 서버
30: 프린팅 기기 40: 통신 네트워크
101: 인쇄 정보 102: 텍스트
110: 블록 120: 배경
130: 글자 블록 200: 용지
10: user terminal 20: server
30: printing device 40: communication network
101: print information 102: text
110: block 120: background
130: block of letters 200: paper

Claims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의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인쇄물 제작 시스템으로서,
샘플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서버로 인쇄 정보와 텍스트들의 정보가 담긴 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샘플 이미지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쇄 정보는 인쇄 용지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상기 텍스트 데이터 내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해 미리 설정된 마스터 글꼴로부터 보간된 글자 크기를 가진 글꼴을 생성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로 검색되는 소정의 개수의 검색 이미지들의 색상 코드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글자 색상을 설정하고, 상기 글자 색상을 가진 글자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사각 블록인 글자 블록 내 모든 픽셀의 색상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배경 색상을 결정하고,
상기 보간된 글자 크기는,
상기 마스터 글꼴의 글자 블록에서 너비와 높이를 확대한 글리프를 생성하고, 상기 글리프에 용지 면적 대비 글자 개수의 q 제곱으로 지정되는 가중치 값(상기 q는 상기 가중치 값이 0 초과 2 미만의 실수 값을 가지도록 미리 설정된 상수)을 곱하여 결정되고,
상기 주요 키워드(Kmain)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연관어 분석을 통해 하기 수학식을 기반으로 추출되며,
Figure pat00016

상기 수학식에서 i는 1보다 큰 자연수로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 내에 포함된 키워드들의 개수이고, Ki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 내에서 i번째 키워드와 i번째 키워드의 연관어를 통산한 개수인, 인쇄물 제작 시스템.
An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input by a user,
a server that generates sample images;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text data containing print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 sample image from the server;
The print information includes size information of the print paper,
The server extracts the main keywords in the text data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generates a font having a font size interpolated from a preset master font using the text data, and sear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searched for the main keywords. The text color is set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lor codes of the images, and the background color is determined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lors of all pixels in the letter block, which is the smallest square block that can contain the text with the text color. do,
The interpolated font size is
A glyph with an enlarged width and height is generated from the letter block of the master font, and a weight value assigned to the glyph as the q square of the number of characters compared to the paper area (where q is a real value in which the weight value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2) It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by a preset constant to have
The main keyword (K main ) is extrac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through a related word analysis for the text data,
Figure pat00016

In the above equation, i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and is the number of keywords included in the text data, and K i is the total number of related words between the i-th keyword and the i-th keyword in the text data.
KR1020210061929A 2020-11-03 2021-05-1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KR102471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29A KR102471343B1 (en) 2020-11-03 2021-05-1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017A KR102254379B1 (en) 2020-11-03 2020-11-0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KR1020210061929A KR102471343B1 (en) 2020-11-03 2021-05-1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017A Division KR102254379B1 (en) 2020-11-03 2020-11-0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92A true KR20220059892A (en) 2022-05-10
KR102471343B1 KR102471343B1 (en) 2022-11-29

Family

ID=761574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017A KR102254379B1 (en) 2020-11-03 2020-11-0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KR1020210061929A KR102471343B1 (en) 2020-11-03 2021-05-1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using keyword analysis of text data input from users
KR1020210061925A KR102459921B1 (en) 2020-11-03 2021-05-1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that supports font colors automatically determined using color codes of searched image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017A KR102254379B1 (en) 2020-11-03 2020-11-0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25A KR102459921B1 (en) 2020-11-03 2021-05-13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that supports font colors automatically determined using color codes of searched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543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83B1 (en) * 2022-04-20 2023-11-16 (주)프린파크 Print design recommendation system
KR102490621B1 (en) * 2022-06-29 2023-01-19 장규오 Method and system for color-based flower product registration and retrieval ser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268B1 (en) * 2002-12-20 2011-03-07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Text display terminal device and server
KR20200021843A (en)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디에프그룹 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service
KR102195642B1 (en) * 2019-01-23 2020-12-29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Terminal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information based on color information
KR102206838B1 (en) * 2019-01-21 2021-01-25 박준희 System for publishing book by matching images and tex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974B1 (en) * 2000-06-08 2001-12-28 김동훈 Production method of POP advertisement things using internet
KR102616496B1 (en) * 2019-08-12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268B1 (en) * 2002-12-20 2011-03-07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Text display terminal device and server
KR20200021843A (en)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디에프그룹 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service
KR102206838B1 (en) * 2019-01-21 2021-01-25 박준희 System for publishing book by matching images and texts
KR102195642B1 (en) * 2019-01-23 2020-12-29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Terminal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information based on color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379B1 (en) 2021-05-21
KR20220059891A (en) 2022-05-10
KR102459921B1 (en) 2022-10-28
KR102471343B1 (en) 2022-11-29
KR20220059893A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508B2 (en) Font recognition using text localization
US10699166B2 (en) Font attributes for font recognition and similarity
US8958644B2 (en) Creating tables with handwriting images,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media images from forms
JP6596511B2 (en) Automatic translation of digital graphic novels
US8891860B2 (en) Color name determination device, color name determination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9824304B2 (en) Determination of font similarity
CN103488711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of quick Fabrication vector font library
CN109657204B (en) Auto-pairing fonts using asymmetric metric learning
KR102459921B1 (en)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that supports font colors automatically determined using color codes of searched images
US10949664B2 (e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raining data generation for neural networks by parsing page description language jobs
JP2001319200A (en) Machine recognizable code and its encoding decoding method
US20150193387A1 (en) Cloud-based font service system
US9177199B2 (en) Semantic magazine pages
US11710304B2 (en) Text recognition for a neural network
EP4150480A1 (en) Descriptive insight generation and presentation system
KR20220032538A (en) Training method for character generation model, character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medium
KR102665467B1 (en) Online print production system that supports text interpolation based on text input from users
KR20220034077A (en) Training method for character generation model, character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06547891A (en) For the quick visualization method of the pictured text message of palm display device
CN112101356A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specific text in picture and storage medium
KR102339812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prints containing text and images
KR1026670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sample images for printed matter containing text and images
JP6968353B2 (en) Feature extrac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N117743720A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target webpage and storage medium
CN116578215A (en) Data visualization large screen display system supporting dynamic custo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