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709A -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709A
KR20220059709A KR1020200145214A KR20200145214A KR20220059709A KR 20220059709 A KR20220059709 A KR 20220059709A KR 1020200145214 A KR1020200145214 A KR 1020200145214A KR 20200145214 A KR20200145214 A KR 20200145214A KR 20220059709 A KR20220059709 A KR 2022005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data
image processing
map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8466B1 (en
Inventor
이민규
김성수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466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to smoothly connect a stored three-dimensional (3D) object and an updated 3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comprises: a storage unit storing first map data; an input unit receiving second map data; and a control unit checking an updated object between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performing 3D modeling of the updated object on the basis of the attribute data and numerical elevation model of the updated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performing depth interpolation on the basis of the depth data of the modeled 3D object and the depth data of the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so that the modeled 3D objec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and updating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a storage unit on the basis of data of the 3D object on which depth interpolation has been performed.

Description

3차원 지하시설물의 부분갱신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본 발명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위한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3D modeling on updated map data.

3차원 모델링이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가상의 3차원 공간 속에 특정 모형을 재현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델링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3D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reproducing a specific model in a virtual 3D space in the field of computer graphics, and in general, such modeling is based on data in a form that a computer can understand.

3차원 모델링은 가상공간의 3차원 모델을 통해 실 세계의 물체를 묘사하거나 물리적 환경을 모델링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 물체의 모습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시뮬레이션 등 실제 공간에서 수행하기에는 다소 곤란한 작업을 가능케 해 준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가진다. 3D modeling can create the appearance of an object in a virtual environment by depicting an object in the real world through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virtual space or model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t is useful in that it enables

최근에는 이와 같은 3차원 모델링을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각종 실험 시뮬레이션, 건축, 디자인 등의 설계 및 예술의 표현 수단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Recently, such three-dimensional modeling has been actively used in entertainment fields such as movies, animations, and advertisements, and it is also in the spotlight as a means of design and art expression for various experimental simulations, architecture, and design.

한편, 3차원 모델링이 가능한 시설물을 지상 및 지하의 시설물로 나눌 때, 기존 지상 시설물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지상에 존재하는 시설물들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각 시설물들의 주요 수치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3차원 모델의 구현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ree-dimensional modeling-capable facilities are divided into above-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it has been common for existing above-ground facility modeling to be done manually through a three-dimensional modeling program. That is, facilities existing on the ground can be visually checked, and a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implemented by directly measuring the main values of each facility.

그러나 시각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지하 매설 시설물의 경우, 해당 시설물의 정확한 위치 및 깊이 정보를 가지는 3차원 모델의 생성이 곤란하였으며, 이에 지하 시설물에 대한 관련 데이터들은 지상 시설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밖에 없어 시설물 관리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n underground facility that cannot be visually confirmed, it was difficult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model with accurate location and depth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re were problems with management.

또한 기존에는 새로운 지하 시설물이나 변경된 지하 시설물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작업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money were incurred because the update of new or changed underground facilities was manually performed in the past.

10-2020-0065797 ㅁ (2020.06.09.)10-2020-0065797 Klitschko (2020.06.09.)

일 측면은 변화가 생긴 오브젝트만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지하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신속하게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quickly generating 3D map data for an underground facility by updating only the changed object and performing 3D modeling on the updated object.

다른 측면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와 미리 저장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하여 미리 저장된3차원 오브젝트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를 부드럽게 연결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moothly connecting a pre-stored 3D object and an updated 3D object by performing depth interpolation on the updated 3D object and the pre-stored 3D object.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간의 변경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제2지도 데이터 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 및 수치 표고 모델에 기초하여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의 심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하고, 심도 보간이 수행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first map data; an input unit for receiving second map data; and confirming the changed object between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and perform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on the changed object based on the attribute data and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of the changed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and the modeled three-dimensional object performs depth interpolation based on depth data of a 3D object model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and depth data of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depth interpolation is performed and a controller for updating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data on the 3D object.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 간의 차이가 존재하고,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제2 지도 데이터 내에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한다.If a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second map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 it is determined that a newly added object exists in the second map data, and 3D modeling is performed on the newly added object.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가 동일하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 중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저장부의 제1지도 데이터에서 삭제하도록 한다.If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second map data are the same, the controller selects an object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among the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from the first map data of the storage unit. let it be deleted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제2지도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attribute data of the changed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is the same as the attribute data of the changed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change to data.

제어부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교차하거나 연결되는 3차원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가 상이하면 심도 보간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checks a 3D object that intersects or is connected to the modeled 3D object among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and interpolates the depth if the confirmed depth data of the 3D object and the depth data of the modeled 3D object are different carry out

영상 처리 장치는 제 2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cond map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변경된 오브젝트의 관경값을 변경하고, 관경값이 변경된 오브젝트를 기존의 지도 데이터에 저장하여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최소 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고, 메모리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build 3D map data for underground facilities at a minimum cost by changing the view value of the changed object and updating the 3D map data by storing the object with the changed view value in the existing map data.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memory used.

본 발명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와 미리 저장된 3차원 오브젝트 간 심도 보간을 수행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3차원 오브젝트와 업데이트된 3차원 오브젝트를 부드럽게 연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connect the pre-stored 3D object and the updated 3D object by performing depth interpolation between the updated 3D object and the pre-stored 3D obje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과 같이 실물의 시각적 확인이 어려운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map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facilitie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he real thing.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내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각 지도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교차 지점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속성 데이터의 비교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속성 데이터의 변경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오브젝트의 3차원 모델링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심도 변경 시 심도 변경 지점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ler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3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each map data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tersection point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determining an updated object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omparison of attribute data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of attribute data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updated objects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3D modeling of an object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depth change point 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nges the depth according to one aspec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content that overlaps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to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전후좌우"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p and dow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내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and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영상 처리 장치(1)는 입력부(10), 통신부(20), 제어부(30), 저장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n input unit 10 , a communication unit 20 , a control unit 30 , a storage unit 40 , and a display unit 50 .

입력부(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The input unit 10 receives a user comm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입력부(10)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receive a map data update command, and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n area for map data update.

위치 정보는, 경위도의 좌표 정보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of longitude and latitude or address information.

위치 정보는 지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ap.

입력부(1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 중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오브젝트의 선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receive a command to display an updated object, and may receive a command to select an object for 3D modeling from among the updated objects.

입력부(10)는 3차원 모델링 명령, 3차원 지도 데이터의 검색 명령 및 표시 명령, 3차원 지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receive a 3D modeling command, a search command and display command for 3D map data, and a transmission command for 3D map data.

입력부(10)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receive map data.

여기서 지도 데이터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지도 데이터로, 2차원 지도 데이터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p data is map data for an underground facility, and may include two-dimensional map data or three-dimensional map data.

지도 데이터는 교차 지점의 식별 정보나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타입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p data may include data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tersection, and data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ype of an object.

지하 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을 포함할 수 있다.Underground facilities may include water supply, sewerage, telecommunications, electricity, gas, and heating.

입력부(1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hardware device such as various buttons or switches, a keyboard, a mouse, and a track-ball for user input.

입력부(10)는 지도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캐너,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is a device for acquiring an image for a map, and may include a scanner, a camera, and the like.

또한, 입력부(1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표시부(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Also,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uch as a touch pad for user input, that is, a device that is software. The touch pad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TSP) to form a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50 .

통신부(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통신부(20)는 제어부(3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거나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transmit 3D map data to an external device or transmit 2D map data to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30 .

통신부(20)는 외부 장치로부터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receive 3D map data or 2D map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여기서 2차원 지도 데이터 및 3차원 지도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일 수도 있고,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일 수 있다.Here, the 2D map data and the 3D map data may be map data stored in a database or updated map data.

통신부(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signal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short distance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module, a WLA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variou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module, a Wide Area Network (WAN) module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module, as well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module.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232), power line communication, or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may include various cabl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Wi-Fi module and the Wireless broadband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Long Term Evolution (LTE), etc.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외부 장치는 지하공간통합 지도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지하공간 통합 지도를 관리하기 위한 2차원 지도 데이터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erver for managing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or a terminal for storing 2D map data or 3D map data for managing the integrated underground map.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 tablet PC, a slate PC, and the lik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s, for example, portability and mobility. As a cover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all kinds of handheld based such as smart phon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단말기는 지하시설물 탐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include an underground facility exploration device.

예를 들어, 지하시설물 탐사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오브젝트인 관로 상의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지하에 매설된 관로에 설치된 RFID 태그(RFID Ta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의 위치를 인식하는 RFID 리더(RFID Reader)와, RFID 리더, GPS 수신기 및 영상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안테나와,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된 RFID 태그의 위치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부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 GPS 수신기와 연동하는 전자지도에 RFID 리더에서 인식한 RFID 태그의 점과 이들을 잇는 선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영상 처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nderground facility exploration device recognizes the location of a moving part that enables movement along the ground on a pipeline, which is an object buried underground, and an RFID tag (RFID Ta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an RFID reader, a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an RFID reader, a GPS receiver,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a display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RFID tag recognized by the RFID reader on a map, and a mobile unit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o display the points of the RFID tag recognized by the RFID reader and the line connecting them on the electronic map interworking with the GPS receiver while performing movement control,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map data to the imag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제어부(30)는 입력부(10)에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 및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영상 처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각종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an operation for an update command of map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0 and an image processing for 3D modeling, or may control an operation for transmitting/receiving various types of data.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3차원 지도 데이터의 검색 명령의 수신과 위치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저장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 may search for 3D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 search command for 3D map data and reception of location information.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표시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표시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50 to search for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 map data display command and to display the retrieved map data.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전송 명령의 수신 및 위치 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저장부(4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0 to search for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 map data transmission command and recep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earched map data.

제어부(30)는 3차원 모델링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2차원 지도 데이터 및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generate 3D map data by performing 3D modeling based on 2D map data and attribute data corresponding to attribu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receiving a 3D modeling command.

여기서 속성 데이터는, 심도 값과 관경 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tribute data may include data about a depth value and a view value.

속성 데이터는 오브젝트인 관로의 타입 및 관로의 단면 형상에 대한 데이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tribute data may further include data on a type of a pipe, which is an object,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ipe.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즉 제1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제2지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시설물에 대한 새로운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performs 3D modeling based on the map data (that is,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e, the first map data), the updated map data (the second map data), and the attribute data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map data update command. New 3D map data for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cre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데이터 수신부(31), 데이터 비교부(32), 모델 생성부(33) 및 보간부(3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ler 30 may include a data receiver 31 , a data comparator 32 , a model generator 33 , and an interpolator 34 .

데이터 수신부(31)는 입력부(10) 및 통신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data receiving unit 31 may receive the second map data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0 .

제2지도 데이터는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와, 오브젝트의 타입, 시종점의 위치 정보, 속성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ap data may include data on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tersection, data on an object type, location information of a start and end point, attribute information, and data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데이터 비교부(32)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와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한다.The data comparison unit 32 compares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received second map data.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The data comparison unit 32 may compa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개수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The data comparison unit 32 may compare the number of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map data with the number of intersection points of the second map data.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과 제2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지도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개수,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의 위치 정보와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The data comparison unit 32 determines whether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is the sam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number of intersections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number of intersections of the second map data. You can compar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데이터 비교부(32)는 제1 지도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시종점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시종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The data comparison unit 32 may compare location information of a start/end point of an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a start/end point of an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모델 생성부(33)는 데이터 비교부(32)에서 비교된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 간의 변화가 생긴 오브젝트나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삭제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model generating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object in which a change occurs between an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and an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or a newly added object exists in response to the comparison result compared in the data comparison unit 32,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eleted object exists.

모델 생성부(33)는 변경화 생긴 오브젝트 및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되, 수치 표고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del generator 33 may perform 3D modeling on the changed object and the newly added object, but may perform 3D modeling using a numerical elevation model.

보간부(34)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 내 3차원 오브젝트들 중 3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와 인접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와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한다.The interpolator 34 identifies the modeled 3D object and the object adjacent to the 3D modeled object among the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firms the data for the 3D object and the modeled 3D object. Depth interpo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on the object.

좀 더 구체적으로, 보간부(34)는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 내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값을 확인하고,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값을 확인하며, 두 심도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terpolator 34 checks the depth value of the 3D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based on the confirmed data on the 3D object, and the 3D modeled 3D object based on the data on the modeled 3D object. The depth value of the dimension object may be checked, and depth interpol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pth values.

보간부(34)는 심도 보간에 의한 데이터를 3차원 모델 파일(3DS)로 변환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The interpolation unit 34 converts the data by depth interpolation into a three-dimensional model file (3DS) and stores it in a database.

제어부(3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unit 30 means software and/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을 위해 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각 기능은,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수행할 수 있다.Each function performed by the controller 30 for updating map data and 3D modeling may be performed by each component.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의 수행 구성을 제어부 하나로 통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updating map data and performing 3D modeling will be integrated into one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어부(30)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리드하고, 제2지도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제2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a map data update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ler 30 reads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when the second map data is received, the controller 30 compares the first map data with the second map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map data is updated can be judged

제2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변경이나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second map data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changed or newly added object exists.

제2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삭제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second map data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deleted object exists.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할 때 공간 검색을 통해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들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제1지도 데이터 내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When comparing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the control unit 30 searches for data on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objects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through a spatial search, and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point in the first map data and Data for intersection points in the second map data may be compared.

제어부(30)는 공간 검색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whether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match based on the spatial search and comparison results.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제2지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가 아니거나, 이미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보류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match,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second map data is not the updated map data, or that the second map data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 is complete, and the update of the map data may be suspended.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지도 데이터 상에서 삭제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match, the control unit 30 compares the data on the object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and displays the data on the second map data.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eleted object exists.

즉 제어부(30)는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 중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삭제할 오브젝트로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30 may identify an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an object to be deleted from among the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 중 결정된 오브젝트를 삭제한 후, 결정된 오브젝트가 삭제된 지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After deleting the determined object from among the first map data, the controller 30 may store the deleted map data in the database again. Through this,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ay be updated.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제2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are different,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map data is the updated map data.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고 상이한 교차 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예, 두 개)를 초과하면 제2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map data are different, and the number of different intersection points exceeds a preset number (eg, two), the controller 30 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ap data is updated map data.

제어부(30)는 제2지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비교하되,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별로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과 종점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과 종점의 위치 정보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오브젝트 별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있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가 변경된 오브젝트인지,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map data is the updated map data, the controller 30 compares the first map data with the second map database again, but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of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for each object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of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pdate for each object, and whether the updated object is a changed object or a newly added object in the updated object can do.

여기서 위치 정보는 경위도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 상의 X, Y축의 값일 수 있다.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of longitude and latitude and may be values of X and Y axes on map data.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제1, 2 지도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More specifically, if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data on the object updated in response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exis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is the same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

제어부(30)는 위치 정보가 동일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해 변경된 오브젝트라고 판단(1차 판단)하고, 위치 정보가 상이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라고 판단한다.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updated object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is a changed object (first determination), and newly determines the updated object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having different location information. It is judged as an added object.

제어부(30)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오브젝트가 변경된 오브젝트인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 may finally determine whether the updated object is a changed object by comparing the attribute data of the updated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which is determined to have been primarily changed.

제어부(30)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변경된 오브젝트로 최종 판단(2차 판단)할 수 있고,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동일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를 변경 사항이 없는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with respect to the object determined to have been primarily changed,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updated object as the changed object as a final judgment (second determination) if the attribute data is different If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is the same, the updated object may be determined as an object without change.

제어부(30)는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데이터는 관경값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For the changed object, the controller 30 may change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to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Here, the attribute data may be data corresponding to a view value.

제어부(30)는 제2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2지도 데이터의 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신규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제1지도 데이터 내 존재하지 않는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라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object existing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econd map data does not exist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map data,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e object existing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econd map data as a new object. . That is,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at an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that does not exist in the first map data is a newly added object.

제어부(3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 즉 변경된 오브젝트 및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 may perform 3D modeling on the updated object, that is, the changed object and the newly added object.

제어부(3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 중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오브젝트를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2차원 지도 데이터, 심도값, 관경값 및 수치 표고 모델(DEM)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troller 30 to receive a selection of an object to be performed 3D modeling from among the updated object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0 may perform 3D modeling of the selected object based on the 2D map data, the depth value, the view value, and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DEM) of the selected object.

제어부(30)는 수치 표고 모델(DEM)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매립된 위치에 대응하는 지표의 높이 값을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acquire a height value of an index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the selected object is embedded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DEM.

제어부(30)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반영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acquire and store 3D map data in which data for a modeled 3D object is reflected.

제어부(30)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심도 데이터(예, 평균 심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형태의 데이터(Polyline z)로 자동 변환한 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automatically convert the data on the modeled 3D object into data in the form of spatial information (Polyline z) including preset depth data (eg, average depth data) and then store it in the database. .

제어부(30)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3차원 오브젝트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의 심도값을 각각 확인하고, 두 심도 값이 상이한지 판단하며 연결 부분의 심도값이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연결 부분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30 checks the depth values of the connection parts to which the modeled 3D object and other 3D objects stored in the database are connected, respectively, determines whether the two depth values are different, and connec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pth values of the connection parts are different. Perform depth interpolation on the part.

제어부(30)는 심도 보간이 수행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 파일(3DS)로 변환하고 심도 보간에 의해 생성된 심도값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30 finally converts the data on the objects on which the depth interpolation has been performed into a 3D model file 3DS, and stores attribut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pth value generated by the depth interpolation in the database.

제어부(30)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에 대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 may check the updated objects in the database in response to a display command of the updated object and display data on the checked objects.

제어부(30)는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to display data on the updated and 3D modeled object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n update and display command of the 3D modeled object.

본 실시 예는 변경되거나 추가된 오브젝트(즉 관로)만을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only changed or added objects (ie, pipelines) are updated, 3D map data for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generated.

제어부(30)는 영상 처리 장치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3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r a program reproducing the algorithm,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not shown).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제어부(30)는 예컨대, CPU(또는 DSP, MPU 등),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SoC, MICOM(MICRO 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3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CPU (or DSP, MPU, etc.),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 SoC, a MICRO COMPUTER (MICOM), or the like.

제어부(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by driving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본 실시 예는 6종(상하수, 광역상수, 하수, 가스, 전력, 열수송, 통신) 지하시설물 2차원 지도 데이터를 3차원 지도 데이터로 자동 변환시키는 3차원 모델링에 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3D modeling that automatically converts 2D map data of 6 types of underground facilities (water and sewage, regional water supply, sewage, gas, power, heat transport, and communication) into 3D map data.

이와 같이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지하 구조물 정보나 지반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지하 공간 통합 지도가 구축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underground facilities has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ree-dimensional modeling using information on underground structures or ground information. In this way, an integrated map of the underground space can be built.

지하공간 통합지도는 지하 공간을 개발, 이용,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15종의 지하 정보(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지반)를 3차원 기반으로 통합한 지도를 말한다.An integrated map of underground space refers to a map that integrates 15 types of underground information (underground facilities, underground structures, and ground) necessary to develop, use, and manage underground spaces based on three dimensions.

15종의 지하정보는 6종의 지하시설물 정보(상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 6종의 지하구조물정보(공동구, 지하철, 지하보도, 지하차도,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3종의 지반정보(시추, 관정, 지질)을 포함한다.15 types of underground information include 6 types of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water and sewage, communication, electric power, gas heating), 6 types of underground structure information (communal district, subway, underpass, underpass, underground shopping mall, underground parking lot), 3 types of underground information Includes geotechnical information (drilling, wells, geology).

저장부(40)는 영상 처리 장치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program that manages components and resources (software and hardware)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저장부(40)는 평균 심도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data about the average depth value.

저장부(40)는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bases DB.

저장부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지하 시설물들은, 상수도, 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Here, various underground facilities may include water supply, sewage, communication, electric power, gas, heating, and the like.

각종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에는 2차원 지도 데이터, 심도 데이터, 속성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속성 데이터에는 심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various facilities may include two-dimensional map data, depth data, and attribute data. In addition, the attribute data may include depth data.

2차원 지도 데이터는 x축과 y축이 직교하는 평면을 가정할 때, x축 방향의 크기 및 y축 방향의 크기로 나타내어진 점, 복수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선 또는 면이 될 수 있다. 즉, 2차원 평면 데이터는 하나의 좌표점 또는 복수개의 좌표점 집합의 형태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Assuming a plane in which the x-axis and the y-axi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2D map data may be a point represented by a magnitud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magnitud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line or a surface made of a plurality of points. That is, the two-dimensional planar data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one coordinate point or a set of a plurality of coordinate points.

또한 심도 데이터는 시설물이 매설된 깊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시설물의 가로/세로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이 상호 교차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당 중심점이 지표면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Also, the depth data indicates the depth at which the facility is buried, and indicates how far the center point is from the ground based on the center point at which the straight lines formed by the horizontal/vertical cross sections of the facility intersect each other.

속성 데이터는 시설물의 입체 구조를 정의하는데 필요한 값 또는 값들의 집합으로서, 속성 데이터는 시설물의 입체 구조에 따라 그 구성 값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시설물이 관 형상의 입체 구조인 경우, 속성 데이터는 관 지름의 크기를 나타내는 관경 값이 될 수 있다. The attribute data is a value or a set of values required to defin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facility, and the constituent values of the attribute data may vary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facility. For example, when the underground facility has a tube-shap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attribute data may be a tube diameter value indicating the size of the tube diameter.

저장부의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는 비 갱신된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비 갱신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atabases of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non-updated 2D map data and a database storing non-updated 3D map data.

복수 개의 데이터 베이스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비 갱신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atabases may update and store non-updated 2D or 3D map data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저장부(40)는 업데이트를 위해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the received second map data for update.

즉 저장부(40)의 복수 개의 데이터베이스는 갱신되는 지역의 지하 시설물에 대한 2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갱신되는 지역의 지하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databases of the storage unit 40 may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two-dimensional map data for underground facilities in the area to be updated,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ree-dimensional map data for underground facilities in the area to be updated. .

여기서 갱신되는 지역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의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지하시설물에 변화가 생긴 지역일 수 있다.Here, the updated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a change has occurred in the underground facility within a preset period from the present time to the past.

저장부(40)는 지하 시설물의 오브젝트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DEM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위치별 오브젝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information for each object of the underground facility, and may store DEM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object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오브젝트별 정보는, 타입, 시점 위치 정보, 종점 위치 정보 및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for each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ype, start point location information, end point location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delete a part of the stored first map data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에 새로 생성된 지도 데이터를 더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store the newly created map data by further including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의 일부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may change and store a part of the stored first map data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즉 저장부(40)는 제어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40 may update the first map data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저장부(4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40 i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or RAM such as a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unit,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표시부(50)는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display updated map data and updated object data.

표시부(50)는 3차원 모델링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50 displays 3D map data of the 3D modeled underground facility.

표시부(50)는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위치(지역 위치)에 대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display 3D map data of an underground facility for a location (local location) selected by the input unit.

표시부(50)는 업데이트 및 3차원 모델링 과정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display an image for the update and 3D modeling process.

표시부(50)는 심도 보간 전후의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미리 저장된 다른 3차원 오브젝트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 may display images of the modeled 3D object before and after depth interpolation and other 3D objects stored in advance.

표시부(5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isplay unit 50 is a cathode ray tube (CRT),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enal),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n electroluminescence ( Electro Luminescence (EL) panel, Electrophoretic Display (EPD) panel, Electrochromic Display (ECD) panel,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 may be provided as a pan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 .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utual position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ystem.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지도 업데이트의 제어 순서도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p update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

영상 처리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지도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an update command of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s receiv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check whether the second map data is received.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지도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update command of the first map data is receiv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request input of the second map data.

제2지도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은, 2차원 지도 데이터 또는 3차원 지도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Requesting the input of the second map data may include requesting the input of the 2D map data or the 3D map data.

제1, 2지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시점의 위치 정보, 종점의 위치 정보, 속성 정보 및 타입에 대한 데이터와, 오브젝트인 관로들의 교차 지점에 대한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bject,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 starting point, location information of an end point, attribute information and data about a typ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of an intersection of conduits that are objects. It may contain data about information.

제1지도 데이터는 3차원으로 모델링된 지하시설물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The first map data may be data about an underground facility modeled in three dimensions.

제2지도 데이터는 컴퓨터 내 프로그램에 의해 설계된 데이터일 수 있고, 전산 데이터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일 수도 있다.The second map data may be data designed by a program in the computer, computerized data, or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지도 데이터의 업데이트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리드하고, 제1지도 데이터와 수신된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102)함으로써 제2지도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ads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 map data update command, and compares (102) the first map data with the received second map data. Whether to update the second map data may be determin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비교할 때 공간 검색을 통해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획득하고 각각 획득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when comparing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btains data for intersection points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through a spatial search, and obtains first, 2 You can compare data about intersections in map data.

여기서 교차 지점에 대한 데이터는, 교차 지점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교차 지점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ata on the intersec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intersections.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whether data at the intersection in the first map data and data at the intersection in the second map data match each other.

일 예로,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 중 일부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제2지도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some of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are differen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map data is updated map data.

다른 예로,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2지도 데이터의 교차 지점 중 상이한 교차 지점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제2지도데이터를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number of different intersection points among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and determine that the second map data is the updated map data if the checked number exceeds a preset number.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지도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제1지도 데이터 내 삭제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103)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map data is the updated map dat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ares the data on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n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respectively, for the deleted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It may be determined ( 103 ) whether data exists or whether data for an updated object exists in the second map data.

좀 더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들 중 제2지도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whether an object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exists among the objects of the first map data.

즉,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중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할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결정(104)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dentify an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 104 ) data on an object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as data of an object to be deleted among data on an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중 결정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105)한 후, 결정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삭제된 제1지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106)할 수 있다.Afte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letes (105) data on the determined object from among the first map dat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store the first map data from which the data of the determined object is deleted again in the database. Through this, the first map data of the database may be updated (106).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다시 비교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object data exist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ares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again based on the updated object data. can

여기서, 제2지도 데이터 중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는 변경되거나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다시 비교함으로써 변경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또한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data of the updated object among the second map data may be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or added object. That is, by comparing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aga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check the data of the changed object and also the data of the newly added objec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도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를 다시 비교할 때,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의 위치정보와 종점의 위치 정보 및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시점의 위치 정보와 종점의 위치 정보를 각각 비교(107)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when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are compared aga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nd point may be compared (107), respectively.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는 각 교차 지점에서 교차하는 오브젝트들의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제1지도 데이터에서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에서의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제2지도 데이터에 변경되거나 새롭게 추가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map data with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map data, which corresponds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objects intersecting at each intersection point, and is changed or newly added to the second map data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of the object that has been created exists.

여기서 위치 정보는 경위도의 좌표 정보 및 지도 상의 X, Y축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of longitude and latitude and coordinate values of X and Y axes on the map.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는 오브젝트의 타입,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지도 데이터 중에서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check object data corresponding to the updated object data from among the first map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bject ty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108)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d object data exist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is the same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 108 ).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 중 위치 정보가 동일한 제1,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변경된 오브젝트라고 판단(1차 판단)하고,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 중 제1지도 데이터와 위치 정보가 상이한 제 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라고 판단(109)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object in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updated object data is a changed object (first determination), and among the data of the updated object, the first map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different It is determined (109) that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is a newly added object.

예를 들어,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의 1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2지도 데이터의 제1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신규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bject existing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econd map data does not exist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map dat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the object existing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second map data as a new object can do.

즉 영상 처리 장치는 제1지도 데이터 내 존재하지 않는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해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at data of an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that does not exist in the first map data is data of an object newly added.

영상 처리 장치는 제2지도 데이터의 제2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가 제1지도 데이터의 제2위치에 존재하면 제2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제1, 2 지도 데이터에 모두 존재하는 오브젝트로 판단하되 변경된 오브젝트로 1차 판단할 수 있다.If the object existing in the second position of the second map data exists in the second position of the first map data,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the object present in the second position as an object present in both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The changed object can be judged firs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비교(110)하고, 제1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변경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ares 110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change, 110 , and the object of the first map data When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is different from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second map data, the updated data of the object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the data of the changed object.

즉 영상 처리 장치는 1차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해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동일한지를 판단(111)하고,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변경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최종 판단(2차 판단)할 수 있고, 제1, 2 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오류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변경 사항이 없는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is the same with respect to the data of the object determined to be primarily changed ( 111 ), and determines that the attribute data of the object of the first and second map data is different. If it is determined, the data of the updated object can be finally determined (secondary judgment) as the data of the changed object. can recognize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ata of the updated object as the data of the object that has not been changed.

아울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대해, 속성 데이터가 아닌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시종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제2지도 데이터의 오브젝트의 데이터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changing the updated object data to the object data of the second map data by determining that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ha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updated object data It is possible.

여기서 속성 데이터는 관경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tribute data may include data about a pipe diameter valu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제2 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112)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 for the changed objec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change ( 112 ) attribute data of an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to attribute data of an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의 표시 명령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을 확인하고 확인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된 오브젝트는, 속성 데이터가 변경된 오브젝트일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check updated objects in response to a display command of the updated object and display data on the checked objects. The object displayed here may be an object whose attribute data is changed.

영상 처리 장치는 업데이트된 오브젝트들 중 입력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113)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114)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at least one object is selected 113 from among the updated objects through the input uni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perform 3D modeling 114 on the selected object.

영상 처리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2차원 지도 데이터, 수치 표고 모델 및 심도값에 기초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perform 3D modeling on the selected object based on the 2D map data,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the depth value of the selected object.

영상 처리 장치는 오브젝트를 선택받을 때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Whe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object,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selected.

영상 처리 장치는 3차원 모델링을 통해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오브젝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처리 장치는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모델 생성부를 통해 업데이트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형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obtain a 3D object of the object through 3D modeling.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acquire data about the 3D object, and may generate and store the 3D shape file for the updated object through the model generator.

영상 처리 장치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심도값과 제1지도 데이터 내 다른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값을 비교(115)한다.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ares ( 115 ) a depth value of the modeled 3D object with a depth value of another 3D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제1지도 데이터 내 다른 3차원 오브젝트 사이에 심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a depth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modeled 3D object and another 3D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여기서 다른 3차원 오브젝트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들 중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연결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Here, the other 3D object may be an object connected to the modeled 3D object among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아울러 다른 3차원 오브젝트는, 제1지도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들 중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인접한 오브젝트 또는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교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3D object may be an object adjacent to the modeled 3D object or an object intersecting the modeled 3D object among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이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는 연결 부분의 심도값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연결 부분의 두 심도 값이 상이한지를 판단(116)한다.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two depth values of the connected portion are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epth values of the connected portion ( 116 ).

영상 처리 장치는 연결 부분의 심도값이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연결 부분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117)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pth values of the connected parts are differen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s depth interpolation on the connected parts ( 117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3차원 관로와 모델링된 3차원 관로에 대한 심도 보간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3차원 관로와 모델링된 3차원 관로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11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n naturally connect the 3D pip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modeled 3D pipe with the 3D pipe stored in the database by performing depth interpolation on the 3D pipe and the modeled 3D pipe. .

심도 보간된 오브젝트들에 대한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3차원 모델 파일(3DS)로 변환되고 심도 보간에 의해 생성된 속성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Data for depth interpolated objects are finally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model file (3DS), and attribute data generated by depth interpol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영상 처리 장치는 심도 보간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106)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update (106) the database by storing data on the depth-interpolated 3D object in the database.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업데이트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display updated 3D map data as an image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영상 처리 장치는 변화가 생기거나 새롭게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지하시설물에 대한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generate 3D map data for an underground facility by performing 3D modeling on a changed or newly added object.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a program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readable by the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ublished embodiment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ublished embodiment.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영상 처리 장치
10: 입력부
20: 통신부
30: 제어부
40: 저장부
50: 표시부
1: image processing device
10: input
20: communication department
30: control unit
40: storage
50: display unit

Claims (6)

제1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2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지도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간의 변경된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 및 수치 표고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가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의 심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도 보간을 수행하고, 상기 심도 보간이 수행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지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map data;
an input unit for receiving second map data; and
confirming a changed object between the first map data and the second map data, and perform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on the changed object based on attribute data and a numerical elevation model of the changed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Depth interpolation is performed based on depth data of the modeled 3D object and depth data of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so that the modeled 3D objec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3D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date the first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data on the 3D object on which the depth interpolation has been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 간의 차이가 존재하고,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면, 상기 제2 지도 데이터 내에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신규로 추가된 오브젝트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second map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that a newly added object exists in the second map data, and performs 3D modeling on the newly added obje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교차 지점의 데이터가 동일하면,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오브젝트 중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에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를 상기 저장부의 제1지도 데이터에서 삭제하도록 하는 영상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first map data and the data of the intersection in the second map data are the same, the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tha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map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ap of the storage unit. A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causes data to be de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와 상기 제2지도 데이터 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속성 데이터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변경된 오브젝트의 속성 데이터를 상기 제2지도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로 변경하는 영상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ttribute data of the changed object in the first map data is the same as the attribute data of the changed object in the second map data. A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converts data into attribut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도 데이터 내의 3차원 오브젝트들 중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와 교차하거나 연결되는 3차원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와 상기 모델링된 3차원 오브젝트의 심도 데이터가 상이하면 상기 심도 보간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three-dimensional object intersecting or connected to the modeled three-dimensional object is identified among three-dimensional objects in the first map data, and if the confirmed depth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depth data of the modeled three-dimensional objec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depth interpo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cond map data.

KR1020200145214A 2020-11-03 2020-11-03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KR102448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14A KR102448466B1 (en) 2020-11-03 2020-11-03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14A KR102448466B1 (en) 2020-11-03 2020-11-03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09A true KR20220059709A (en) 2022-05-10
KR102448466B1 KR102448466B1 (en) 2022-09-30

Family

ID=8159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214A KR102448466B1 (en) 2020-11-03 2020-11-03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466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18B1 (en) * 2013-07-10 2013-12-09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3-dimensional modelling underground facilities
KR101572413B1 (en) * 2015-02-27 2015-11-26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Portable underground-uni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unit using thereof
KR101659779B1 (en) * 2016-02-23 2016-09-27 (주)이지스 Method for Constructing Three Dimentional Drawing of GIS
KR20170011235A (en)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Structure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inquiry apparatus
KR101720755B1 (en) * 2016-07-27 2017-03-30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system for 3-dimensional modeling data of underground facilities
KR20180132183A (en) *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차후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KR20190114696A (en)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on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pipeline data with vertical drop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200065797A (en) 2018-11-30 2020-06-09 (주) 지오씨엔아이 3D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210022343A (en)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버넥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ixed reality contents related to underground faciliti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18B1 (en) * 2013-07-10 2013-12-09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3-dimensional modelling underground facilities
KR101572413B1 (en) * 2015-02-27 2015-11-26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Portable underground-uni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underground-unit using thereof
KR20170011235A (en)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Structure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inquiry apparatus
KR101659779B1 (en) * 2016-02-23 2016-09-27 (주)이지스 Method for Constructing Three Dimentional Drawing of GIS
KR101720755B1 (en) * 2016-07-27 2017-03-30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system for 3-dimensional modeling data of underground facilities
KR20180132183A (en) * 2017-05-30 2018-12-12 주식회사 차후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KR20190114696A (en)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on method for managing underground pipeline data with vertical drop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200065797A (en) 2018-11-30 2020-06-09 (주) 지오씨엔아이 3D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210022343A (en)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버넥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ixed reality contents related to underground fac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466B1 (en)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0514B2 (en) Mixed-reality and CAD architectural design environment
AU201620254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tems on multiple floors in multi-level maps
KR102032974B1 (en)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US20190371055A1 (en) 3d monitoring server using 3d bim object model and 3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it
CN106463056B (en) Solution for the interactive moving map that height customizes
US9424371B2 (en) Click to accept as built modeling
KR102160990B1 (en) Server and method for 3d city modeling based on object,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200012416A1 (en) Providing graphical indication of label boundaries in digital maps
KR102120680B1 (en) 3D BIM object modeling server and 3D BIM object modeling system comprising it
CN106980633A (en) Th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indoor map data
CN105575253A (en) Indoor map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230128282A1 (en) Method for fusing map data, and electronic device
KR1010442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y using space model
CN10317764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ging pixel coordinates
KR20210040294A (e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querying historical street view
US9922246B2 (en) Determination of point of interest views from selected vantage points
KR102453427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3d underground facility processing
KR102448466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partial renewal of 3D underground facilities
JP2013257280A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program for map display
KR102553567B1 (en) Indoor maps using floor plans based on actual measurements and methods for creating them
US8872831B2 (en) Semantic-driven profile curve interpolation for swept-surface extrusion
KR1021256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JP5986816B2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MAP DISPLAY PROGRAM
KR20210039700A (en) Underground development BIM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JP5711501B2 (en) Data structure of map data and map image ge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