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121A -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121A
KR20220059121A KR1020200144338A KR20200144338A KR20220059121A KR 20220059121 A KR20220059121 A KR 20220059121A KR 1020200144338 A KR1020200144338 A KR 1020200144338A KR 20200144338 A KR20200144338 A KR 20200144338A KR 20220059121 A KR20220059121 A KR 2022005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al
customer
matrix
similarit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770B1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Priority to KR102020014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7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06T7/0016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involving temporal compari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81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edge growing; involving edge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06V10/469Contour-based spatial representations, e.g. vector-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은,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로부터 안면이미지를 도출하여, 각 고객의 계정에 귀속시키는 단계, 복수의 고객 중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사대상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alculating face similarity using matrix calculation}
본 발명은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영상통화에서 추출된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영상통화의 안면유사도를 빠르게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의 발전, 그리고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달로 인하여 종래 대면으로 이루어지던 은행업무를 포함하는 여러 업무들이 온라인/무선을 이용한 비대면 업무처리 형태로 전환되었다.
비대면 업무처리를 위하여, 금융사들은 필요한 경우 고객과 영상통화를 수행하며,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고객이 본인이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안면유사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금융사들은 고객과의 영상통화에 대해 다른 영상통화 또는 레퍼런스 이미지와의 안면유사도를 산출함으로써, 고객과 블랙리스트가 유사한지 여부, 특정 고객의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얼굴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 특정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얼굴과 다른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얼굴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융사는 주기적으로 고객의 신원이 도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금융사고 예방과 금융서비스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서버에 누적되는 영상통화량이 증가될수록 안면유사도 판단에 이용되는 시스템의 리소스가 증가되며, 안면유사도 산출에 소요되는 시간도 급격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짧은 시간 내에 적은 리소스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에 대한 니즈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양의 영상통화에서 추출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을 산출하고, 최대 영상통화수에 대응되는 벡터값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안면이미지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유사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여부가 확인된 케이스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 시킴으로써,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은,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로부터 안면이미지를 도출하여, 각 고객의 계정에 귀속시키는 단계, 복수의 고객 중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사대상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는, 상기 영상통화수에 관한 제1 행렬과,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에 관한 제2 행렬의 곱으로 표현되며, 상기 제1 행렬은,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의 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또는 상기 원소는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대상에 속한 고객들의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행렬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면이미지에서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이미지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된 안면이미지에 대해,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안면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여부가 발견되는 경우, 해당 케이스에 대한 육안검사결과를 기초로 동일인물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해당 케이스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벡터값이 출력되도록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되, 상기 딥러닝 모듈은, 상기 안면이미지를 입력 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와, 상기 안면유사도를 출력 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와, 상기 입력 레이어와 상기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상기 딥러닝 모듈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벡터값이 출력되도록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되, 상기 딥러닝 모듈은, 서로 다른 이미지가 입력되는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에서 출력된 값들에 대한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판단 모듈과, 상기 산출된 각각의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는 가중치 모듈과, 상기 가중치 모듈에서 출력되는 결과값의 오차에 대한 피드백을 상기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에 전달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검사방법을 기초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검사방법은, 고객과,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레퍼런스 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1 검사방법과, 특정 고객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2 검사방법과, 서로 다른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3 검사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검사방법과 상기 제3 검사방법은, 고객마다 동일한 크기로 변환된 상기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방법은, 상기 블랙리스트의 업데이트 여부 또는 상기 고객이 신규고객인지 여부를 기초로 수행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은, (a)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로부터 안면이미지를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도출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여 해당 고객의 계정에 귀속시키는 단계, (d) 복수의 고객에 대해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e)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f)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 및 (g)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은,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복수의 고객 중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검사대상 결정부, 상기 검사대상의 상기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하여 안면이미지를 도출하는 안면이미지 도출부, 및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검사대상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는 피쳐 산출부와,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매트릭스 생성부와,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매트릭스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안면유사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는, 상기 영상통화수에 관한 제1 행렬과,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에 관한 제2 행렬의 곱으로 표현되며, 상기 제1 행렬은,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의 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변환부는, 상기 검사대상에 속한 고객들의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하고, 상기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행렬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쳐 산출부는, 동일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벡터값이 출력되도록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되, 상기 딥러닝 모듈은, 상기 안면이미지를 입력 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와, 상기 안면유사도를 출력 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와, 상기 입력 레이어와 상기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상기 딥러닝 모듈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대상 결정부는,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검사방법을 기초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하되, 상기 검사방법은, 고객과,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레퍼런스 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1 검사방법과, 특정 고객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2 검사방법과, 서로 다른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3 검사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은,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통화에서 추출한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을 산출하고, 최대 영상통화수에 대응되는 벡터값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이용함으로써, 많은 양의 영상통화에서 추출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이에 통해, 본 발명은 대량의 영상통화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이상고객 존재여부에 대한 판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은, 안면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여부가 확인된 케이스를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벡터값을 출력하는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킴으로써,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유사도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금융사고를 예방하고, 금융서비스 제공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융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면이미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복수의 영상통화에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영상통화와 레퍼런스 이미지 간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S140 단계의 딥러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딥러닝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딥러닝 모듈의 학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3의 S120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검사방법에 따라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 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금융사 서버(100), 고객 단말(200) 및 상담원 단말(300)을 포함한다.
금융사 서버(100)(이하, 서버)는 고객 단말(200)에게 다양한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고객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에 앞서, 고객이 본인이 맞는지에 대한 신원확인 또는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고객의 신원확인 또는 본인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영상통화를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과 상담원 단말(300) 간의 영상통화를 중개하며,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기초로 고객의 신원확인 또는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고객의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고객의 신원확인 또는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신원확인 또는 본인인증이 완료된 경우,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에 고객이 요청한 금융 서비스(또는, 고객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이 위의 동작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응용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객과의 영상통화 중 도출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의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00)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의 수행주체로써 동작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로부터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은, 검사방법에 따라 검사대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고객과 미리 등록된 블랙리스트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제1 검사방법과, 특정 고객의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하여 얼굴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검사방법과, 특정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얼굴과 다른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얼굴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검사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검사방법의 몇몇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2 또는 제3 검사방법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신규 가입고객이 있거나, 블랙리스트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서버(100)는 많은 수의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해 안면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이미지들에 대한 다양한 조합에 대하여 안면유사도를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서버(100)에 저장된 영상통화의 수가 증가될수록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리소스는 증가되고, 안면유사도의 산출에 필요한 시간 역시 급격히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100)는 고객마다 매트릭스를 생성하여 안면유사도의 연산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트릭스는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이력과,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는, 해당 고객에게 귀속된 영상통화의 개수에 관련 제1 행렬과, 해당 고객에게 귀속된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에 관한 제2 행렬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행렬 및 제2 행렬은 영상통화의 개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성분 또는 원소는, '양의 정수'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은,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딥러닝 모듈에 대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다만,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각 고객에 대한 매트릭스에 동일한 크기의 행렬로 구성되어야 하나, 고객별로 영상통화를 수행한 횟수가 다르기에 각 고객별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행렬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일률적인 매트릭스 연산이 가능하도록 검사대상이 되는 고객 중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제1 행렬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의 영상통화수가 3인 경우, 해당 고객의 매트릭스는 1x3 크기의 제1 행렬과, 3x1 크기의 제2 행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검사대상인 고객 중에서 영상통화수가 가장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즉, 최대 영상통화수)가 5인 경우, 서버(100)는 해당 고객의 제1 행렬을 1x5 크기로, 제2 행렬을 5x1크기로 변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크기가 0인 스칼라값 또는 벡터값을 각 행렬에 추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각 고객의 매트릭스는 동일한 크기(또는, 동일한 차원)으로 변환되며, 서버(100)는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통화들 간의 안면유사도 판단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버(100)와 고객 단말(200)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고객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자문서관리시스템(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EDMS)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각 고객의 계정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운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각 고객 계정에 영상통화 데이터 및 미리 입력받은 안면 이미지(예를 들어, 신분증 이미지 또는 과거에 검출된 안면이미지 등)를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금융정보 제공 및 영상통화 등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고객 단말(200)에 설치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고객 단말(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고객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고객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1에서 고객 단말(200)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는 장치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200)은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휴대폰,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하나의 고객 단말(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는 복수의 고객 단말(20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고객 단말(200)은 고객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고객의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부, 및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고객 단말(200) 내부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고객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가 고객 단말(200) 내부에서 수행하는 명령은 고객 단말(200)이 수행하는 것으로 통칭한다.
한편, 상담원 단말(300)은 서버(100)와 상호 연계되어 동작하며, 고객 단말(200)과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상대방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00)는 복수의 상담원 단말(300)과 연계되어 동작하며, 고객 단말(200)로부터 영상통화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상담원 단말(3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영상통화를 요청한 고객 단말(200)과 매칭시킬 수 있다.
서버(100)는 매칭된 고객 단말(200)과 상담원 단말(300)에 상호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과 상담원 단말(300) 간의 영상통화의 내역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0)은 서버(100), 고객 단말(200) 및 상담원 단말(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고객 단말(200) 또는 상담원 단말(3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금융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데이터 수집부(110), 검사대상 결정부(120), 안면이미지 도출부(130), 및 연산부(140)를 포함한다.
우선, 데이터 수집부(110)는 고객 단말(200)과 상담원 단말(300) 간의 영상통화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고객의 계정별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블랙리스트의 업데이트 여부, 신규 고객의 유입여부에 대한 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검사대상 결정부(1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고객 중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한다. 검사대상 결정부(120)는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검사방법을 기초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대상 결정부(120)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검사방법의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과 블랙리스트가 될 수 있고, 제2 검사방법의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가 될 수 있으며, 제3 검사방법의 검사대상은 복수의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영상통화가 될 수 있다. 즉, 검사대상은 검사방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검사방법은 미리 설정된 조건의 충족여부, 미리 설정된 시기의 도래여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영상통화가 누적되는 경우 등에 따라 수행여부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안면이미지 도출부(130)는 검사대상의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하여 안면이미지를 도출한다. 안면이미지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연산부(140)는 도출된 안면이미지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연산부(140)는 피쳐 산출부(141), 매트릭스 생성부(143), 매트릭스 변환부(145), 안면유사도 산출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쳐 산출부(141)는 검사대상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한다. 이때,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은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매트릭스 생성부(143)는,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매트릭스 변환부(145)는, 각 고객별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안면유사도 산출부(147)는,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연산부(140)의 각 모듈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면서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에서, 우선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과의 영상통화를 통해 고객별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한다(S110).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는 고객의 계정에 귀속될 수 있으며, 각 고객의 계정에는 복수의 영상통화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한다(S120). 검사대상은 검사방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검사방법은 미리 설정된 조건의 충족여부, 미리 설정된 시기의 도래여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영상통화가 누적되는 경우 등에 따라 수행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가입고객이 있거나 블랙리스트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전술한 제1 검사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기가 도래하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영상통화가 누적되는 경우, 제2 검사방법 또는 제3 검사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몇몇 예시에 불과하며,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이 수행되는 조건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은 시스템 관리자의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검사방법에서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과 블랙리스트가 될 수 있고, 제2 검사방법에서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가 될 수 있으며, 제3 검사방법에서 검사대상은 복수의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영상통화가 될 수 있다.
이어서, 검사대상이 특정된 경우, 서버(100)는 검사대상의 영상통화 데이터로부터 안면이미지를 도출한다(S130). 예를 들어, 서버(100)는 비디오 형태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샘플링을 통해 몇몇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몇몇 프레임에서 고객의 얼굴에 해당하는 안면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안면이미지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서버(100)는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추출된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또는, 피쳐(feature))을 산출한다(S140).
여기에서, 딥러닝 모듈은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하나의 벡터값을 출력한다. 또한, 딥러닝 모듈은 동일한 인물 대한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또는, 유사한) 벡터값을 출력하도록 트레이닝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의 구조 및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서버(100)는 특정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해당 고객에 대한 매트릭스를 생성한다(S150). 서버(100)는 각 고객마다 고유의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매트릭스는 해당 고객에게 귀속된 영상통화의 개수에 관련 제1 행렬과, 해당 고객에게 귀속된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에 관한 제2 행렬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행렬 및 제2 행렬은 영상통화의 개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의 계정에 3개의 영상통화 데이터가 귀속된 경우, 해당 고객의 매트릭스는 1x3 크기의 제1 행렬과, 3x1 크기의 제2 행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행렬의 각 성분은 스칼라값을 갖고, 제2 행렬의 각 성분은 벡터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 행렬은 특정 영상통화를 나타내는 레퍼런스번호 또는 유효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행렬은 특정 영상통화와 관련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행렬의 조합과, 각 행렬의 크기 및 구성성분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서버(100)는 각 고객별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한다(S160). 이는 서버(100)에서 일률적인 매트릭스 연산이 가능하도록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맞추는 작업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검사대상이 되는 고객 중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한다(S161).
이어서, 서버(100)는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행렬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변환한다(S163).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의 영상통화수가 3인 경우, 해당 고객의 매트릭스는 1x3 크기의 제1 행렬과, 3x1 크기의 제2 행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검사대상인 고객 중에서 영상통화수가 가장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즉, 최대 영상통화수)가 5인 경우, 서버(100)는 해당 고객의 제1 행렬을 1x5 크기로, 제2 행렬을 5x1크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서버(100)는 크기가 0인 스칼라값을 제1 행렬에 추가하고, 크기가 0인 벡터값을 제2 행렬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대상에 포함된 각 고객의 매트릭스의 크기는 동일하게 변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매트릭스의 크기를 변환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변환된 매트릭스를 이용한 매트릭스 간 연산을 통하여, 검사대상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한다(S170). 여기에서, 서버(100)는, 벡터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예를 들어, 코사인 디스턴스(cosine distance))을 통하여, 각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는 안면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미 공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영상통화에서 추출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빠른 시간 내에 계산할 수 있으며, 영상통화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이상고객존부에 대한 판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00)는 산출된 안면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또는,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검사대상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이상여부가 발견되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케이스를 상담원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미도시)에 전달하여 이상여부에 대해 육안검사를 실시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동일인물여부를 재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상담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육안검사결과를 기초로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 서버(100)는 상기 해당 케이스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켜, 동일한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이상여부가 확인된 케이스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킴으로써,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유사도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금융사고를 예방하고, 금융서비스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안면이미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복수의 영상통화에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영상통화와 레퍼런스 이미지 간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이 결정되고(도 3의 S120), 검사대상이 되는 고객의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안면이미지를 도출한 이후(도 3의 S130), 서버(100)는 영상통화 데이터의 샘플링 이미지로부터 고객의 얼굴(즉, 안면이미지)을 검출한다(S210).
여기에서, 안면 검출은 특정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이라고 인식되는 부분을 바운딩 박스로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S11 단계를 살펴보면, 샘플링된 이미지에서 고객의 안면 부분을 사각형의 바운딩 박스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예를 들어, MTCNN, Retinaface, 또는 Blazeface)을 이용하여 샘플링 이미지 내에서 고객의 안면을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서버(100)에서 사용되는 딥러닝 모델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검출된 바운딩 박스 내의 안면이미지에서 안면 랜드마크를 검출한다(S220). 여기에서, 안면 랜드마크란, 눈, 코, 입, 턱선 및 콧대와 같은 안면의 특징을 구성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안면 랜드마크의 수는 최소 5점(예를 들어, 눈 2점, 코 1점, 입 2점)부터 68점, 96점, 109점까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예를 들어, MTCNN, Retinaface, 또는 Blazeface)을 이용하여 검출된 바운딩 박스 내에서 안면의 랜드마크를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100)에서 사용되는 딥러닝 모델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검출된 안면 랜드마크를 기초로 안면 정렬을 수행한다(S230). 여기에서, 안면 정렬은, 이미지에서 검출된 안면이 정면이 아닌 다른 각도를 향해 있다면 안면이미지를 회전하여 정면 중앙 방향을 바라보도록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즉, 도 6의 S12 단계).
예를 들어, 5점 랜드마크를 사용하는 경우, 서버(100)는 눈과 눈 사이에 직선을 형성하고, 해당 직선과 가로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반대각도만큼 안면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안면 정렬의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서버(100)는 정렬된 안면이미지에 대해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피쳐(feature; 즉, 벡터값)을 추출한다(S240). 서버(100)는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딥러닝 모듈은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하나의 실수 벡터값을 출력한다. 딥러닝 모듈은 안면 고유의 특징을 실수 벡터로 치환할 수 있고, 각 벡터간의 거리는 유사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듈은 '512차원의 벡터값' 또는 '512 차원의 플로팅(floating) 32 벡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벡터값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딥러닝 모듈은 동일한 인물 대한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또는, 유사한) 벡터값을 출력하도록 트레이닝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의 구조 및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서버(100)는 추출된 벡터값을 기초로 고객별로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하여 매트릭스 간 안면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S250). 이를 통해, 서버(100)는 많은 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빠르게 연산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산출된 안면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또는, 기준범위)를 비교하여 고객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260). 추가로, 안면유사도의 판단이 잘못 이루어진 샘플의 경우,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안면이미지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서로 다른 제1 영상통화 데이터(VD1) 및 제2 영상통화 데이터(VD2)를 수신한다. 이때, 각각의 영상통화 데이터(VD1, VD2)는 동일 고객에 관한 것이거나(예를 들어, 제2 검사방법), 서로 다른 고객에 관한 것일 수 있다(예를 들어, 제3 검사방법).
이어서, 서버(100)는 각각의 영상통화 데이터(VD1, VD2)에 대해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는 샘플링 과정을 수행한다(S11, S21).
예를 들어, 서버(100)는 영상통화 데이터(VD1, VD2)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을 샘플링하거나, 옵티컬 플로우가 기준치보다 작은 영상 프레임을 도출하여 샘플링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00)는 특정 음성패턴이 감지되는 구간을 검출하여, 해당 구간 내에서 특정 프레임을 샘플링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100)는 추출된 영상데이터(VD)에 대해 포즈 검출 알고리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포즈 검출 알고리즘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포즈가 검출된 경우, 서버(100)는 포즈 검출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검출된 포즈와 관련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영상 프레임을 도출하는 몇몇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서버(100)는 샘플링된 프레임으로부터 안면 검출을 통해 안면이미지를 검출한다(S12, S22).
이어서, 서버(100)는 검출된 안면이미지가 정면 중앙을 바라보도록 안면 정렬을 수행한다(S13, S23). 이때, 서버(100)는 전술한 안면 랜드마크의 검출을 통하여 안면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즉, 피쳐)를 추출한다(S14, S24).
이어서, 서버(100)는 추출된 벡터값에 대한 유사도를 판단하여, 각각의 안면이미지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한다(S41). 이때, 서버(100)는 추출된 벡터값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고객별로 생성하여, 매트릭스 연산을 통해 복수의 영상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특정 영상통화 데이터와 레퍼런스 이미지 간 안면이미지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특정 고객의 영상통화 데이터(VD)와, 레퍼런스 이미지 데이터(ID)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레퍼런스 이미지 데이터는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 또는 미리 등록된 블랙리스트에 관한 이미지가 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검사방법). 이때,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로부터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블랙리스트 또는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각각의 영상통화 데이터(VD)에 대해 특정 프레임을 추출하는 샘플링 과정을 수행한다(S11). 샘플링 과정에 대한 자세한 예시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서버(100)는 샘플링된 프레임 및 레퍼런스 이미지 데이터(ID)로부터 안면 검출을 통해 각각의 안면이미지를 검출한다(S12, S32).
이어서, 서버(100)는 검출된 안면이미지가 정면 중앙을 바라보도록 안면 정렬을 수행한다(S13, S33). 이때, 서버(100)는 전술한 안면 랜드마크의 검출을 통하여 안면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각각의 안면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즉, 피쳐)를 추출한다(S14, S34).
이어서, 서버(100)는 추출된 벡터값에 대한 유사도를 판단하여, 각각의 안면이미지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한다(S42). 이때, 서버(100)는 추출된 벡터값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고객별로 생성하여, 매트릭스 연산을 통해 복수의 영상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추출하는 딥러닝 모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3의 S140 단계의 딥러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딥러닝 모듈(DM)은 고객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에 대한 출력으로 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는 미리 추출되어 정렬된 안면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출력되는 벡터값은 512 차원의 플로팅(floating) 32 벡터일 수 있다. 다만, 출력되는 벡터값의 형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딥러닝 모듈(DM)은 빅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안면이미지에 대한 고유의 벡터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딥러닝 모듈(DM)은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벡터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은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도출된 별도의 파라미터에 대한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은 학습 인자로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의 메모리에는 머신 러닝에 사용되는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하는 것이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단계를 높여가면서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낸다.
딥러닝 모듈(DM)은 공지된 다양한 딥러닝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듈(DM)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GNN(Graph Neural Network) 등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은 사람이 물체를 인식할 때 물체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추출한 다음 뇌 속에서 복잡한 계산을 거쳐 그 결과를 기반으로 물체를 인식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람의 뇌 기능을 모사한 모델이다.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은 자연어 처리 등에 많이 이용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 처리에 효과적인 구조로 매 순간마다 레이어를 쌓아올려 인공신경망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DBN(Deep Belief Network)은 딥러닝 기법인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을 다층으로 쌓아 구성되는 딥러닝 구조이다.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 학습을 반복하여 일정 수의 레이어가 되면, 해당 개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DBN(Deep Belief Network)이 구성될 수 있다.
GNN(Graphic Neural Network, 그래픽 인공신경망, 이하, GNN)는 특정 파라미터 간 매핑된 데이터를 기초로 모델링된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 간의 유사도와 특징점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된 인공신경망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딥러닝 모듈(DM)의 인공신경망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정(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학습에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서버(100)의 메모리에는 머신 러닝으로 미리 학습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탑재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은 도출된 파라미터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추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공신경망의 머신 러닝 방법으로는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듈(DM)은 설정에 따라 이상여부가 발견된 샘플데이터에 대하여 정확한 벡터값을 출력하기 위한 인공신경망 구조를 자동 업데이트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딥러닝 모듈(DM)의 동작은 서버(100) 또는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모듈(DM)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도 8의 딥러닝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딥러닝 모듈(DM)은 추출되어 정렬된 안면이미지를 입력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input)와, 해당 안면이미지의 특징점에 대한 벡터값을 출력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Output)와,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M 개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레이어들의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에는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혹은 에지의 유무는 학습 과정에서 추가, 제거, 또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과정을 통하여, k개의 입력노드와 i개의 출력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노드들 및 에지들의 가중치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이 학습을 수행하기 전에는 모든 노드와 에지는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누적하여 정보가 입력될 경우, 노드 및 에지들의 가중치는 변경되고, 이 과정에서 학습인자로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즉, 구간 별 음성데이터 및 음성 패턴)과 출력노드로 할당되는 값(즉, 구간 별 음성 유사도) 사이의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 딥러닝 모듈(DM)은 많은 수의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딥러닝 모듈(DM)은 방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을 구성하는 입력노드와 출력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딥러닝 모듈(DM)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듈(DM)에서 출력되는 파라미터는 이미지에 대한 벡터값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로 추가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듈(DM)은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를 출력하도록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확장 실시예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삼중항 손실(Triplet Loss)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딥러닝 모듈(DM)이 학습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이는 딥러닝 모듈의 학습과정의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도 8의 딥러닝 모듈의 학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딥러닝 모듈(DM)은 서로 다른 이미지가 입력되는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11), 각 뉴럴 네트워크 모듈에서 출력된 값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판단 모듈(13)(distance calculator), 산출된 각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는 가중치 모듈(15)(weight calculator) 및 결과값의 오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모듈(17)(feedback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은 기본적으로 삼중항 손실(triplet loss)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따라서, 뉴럴 네트워크 모듈(11)에는 서로 다른 3개의 뉴럴 네트워크 서브 모듈(11a, 211b, 211c)이 포함되며, 각각의 서브 모듈(11a, 11b, 11c)에는 서로 다른 이미지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모듈(11a)에는 판단의 대상이 되는 기준 이미지(I1)(Anchor Image)가 입력되고, 제2 서브 모듈(11b)에는 기준 이미지(I1)와 동일한 대상을 포함하는 포지티브 이미지(I2)(Positive Image)가 입력되며, 제3 서브 모듈(11c)에는 I1, I2와 비유사한 네가티브 이미지(I3)(Negative Image)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모듈(11a, 11b, 11c) 간에는 뉴럴 네트워크의 가중치(weight)가 공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모듈(11a, 11b, 11c)에서 출력된 출력값(Av, Pv, Nv)은 벡터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벡터값은 전술한 벡터값과 동일한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서브 모듈(11a, 11b, 11c)에서 출력된 출력값(Av, Pv, Nv)은 유사도 판단 모듈(13)에 입력된다. 또한, 유사도 판단 모듈(13)에는 입력된 기준 이미지(I1)에 대한 기준값(Ground Truth; GT)이 입력된다.
유사도 판단 모듈(13)은 입력된 출력값(Av, Pv, Nv) 및 기준값(GT)을 이용하여 각 값들 간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유사도 판단 모듈(13)은 코사인 디스턴스(Cosine distance)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된 값들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 판단 모듈(13)은 기준 이미지에 대한 제1 결과값(Av)과 포지티브 이미지에 대한 제2 결과값(Pv) 간의 제1 유사도, 제1 결과값(Av)과 네가티브 이미지에 대한 제3 결과값(Nv) 간의 제2 유사도, 제2 결과값(Pv)과 제3 결과값(Nv) 간의 제3 유사도, 제1 결과값(Av)과 기준값(GT) 간의 제4 유사도, 제2 결과값(Pv)과 기준값(GT) 간의 제5 유사도를 도출하여, 가중치 모듈(1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사도 판단 모듈(13)은 제3 결과값(Nv)과 기준값(GT) 간의 제6 유사도를 추가적으로 도출하여, 가중치 모듈(15)에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가중치 모듈(15)은 수신된 유사도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시점의 결과값(T(t))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 모듈(15)은 제1 내지 제3 유사도에는 제1 가중치를 적용하고, 제4 및 제5 유사도에는 제1 가중치와 다른 제2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제1 시점의 결과값(T(t))을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가중치 모듈(15)에서 출력된 결과값(T(t))은 피드백 모듈(17)에 제공될 수 있으며, 피드백 모듈(17)은 가중치 모듈(15)로부터 제1 시점에 수신한 제1 결과값(T(t))과 제2 시점에 수신한 제2 결과값(T(t-1)) 사이의 차이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값을 피드백 값으로 뉴럴 네트워크 모듈(11)에 제공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 모듈(11)은 수신된 피드백 값을 이용하여 각 뉴럴 네트워크 서브 모듈(11a, 11b, 11c)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듈(DM)은 학습 모드와 수행 모드로 나누어 동작할 수 있다.
학습 모드에서, 딥러닝 모듈(DM)은 미리 설정된 학습 데이터셋을 통해 각 이미지들의 유사도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학습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은 데이터셋을 이용한 충분한 학습을 통해, 동일한 대상을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와 포지티브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또는 유사도가 높은 벡터값을 출력할 수 있다.
수행 모드에서, 딥러닝 모듈(DM)에는 하나의 이미지만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딥러닝 모듈(DM)은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입력된 이미지에 대한 벡터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DM)에서 출력된 벡터값은 각 입력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고객의 계정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의 매트릭스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S120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선택된 검사방법을 기초로 안면유사도 산출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의 충족여부, 미리 설정된 시기의 도래여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영상통화가 누적되는 경우 등에 따라 특정 검사방법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이에 따라 검사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가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검사방법을 기초로 검사대상을 결정한다(S310).
예를 들어, 서버(100)가 제1 검사방법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특정 고객과 미리 설정된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레퍼런스 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41). 이 경우,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레퍼런스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00)가 제2 검사방법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특정 고객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43). 이 경우,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영상통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100)가 제3 검사방법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서로 다른 고객에 귀속된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45). 이 경우, 검사대상은 특정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영상통화 데이터와, 다른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영상통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검사방법 및 제3 검사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마다 동일한 크기로 변환된 고유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검사방법은, 미리 등록된 블랙리스트의 레퍼런스 이미지의 수에 대응되는 행렬과, 검사대상이 되는 고객의 영상통화수에 대응되는 행렬의 크기를 일치시킨 뒤, 매트릭스 연산을 통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제1 검사방법에서 검사대상이 되는 고객이 복수인 경우, 레퍼런스 이미지의 수와 복수의 고객에 대한 영상통화수 중 가장 큰 값을 기초로 변환될 매트릭스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방법이 제1 내지 제3 검사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검사방법 또는 변형된 검사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서버(100)에서 검사방법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검사방법의 실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에 새로 가입한 신규고객이 발생한 경우, 서버(100)는 전술한 제1 검사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S320).
또한, 서버(100)에 새로 가입된 신규고객이 없더라도, 서버(100)에서 관리하는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서버(100)는 전술한 제1 검사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S330).
또한, 도면에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서버(100)는 전술한 제2 검사방법 또는 제3 검사방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특정 검사방법의 실시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부가적으로, 제1 검사방법에서, 서버(100)는 전체 고객과 블랙리스트 레퍼런스 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고객의 각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와 블랙리스트 레퍼런스 이미지 각각에 대해서 512 차원의 벡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고객에 대하여 '영상통화수' x '512차원의 벡터값'에 관한 매트릭스가 생성되며, 블랙리스트의 경우 '레퍼런스 이미지수' x '512차원의 벡터값'에 관한 매트릭스가 생성된다. 이어서. 서버(100)는 고객과 블랙리스트에 대한 두 매트릭스 대하여, '512 차원의 벡터값'에 대해서 안면유사도를 산출한다. 이에 대한 결과로, '영상통화수' x '레퍼런스 이미지수'에 관한 결과값 매트릭스가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결과값 매트릭스에 포함된 각각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영상통화와 블랙리스트가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검사방법에서, 서버(100)는 전체 고객에 대하여 각 고객별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각각의 안면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에 대해서 영상통화의 수가 n건이라면,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의 비교 조합수는 “n 콤비네이션 2”가 된다. 즉, 서버(100)는 각 조합의 경우의 수만큼 안면유사도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전체 고객으로 확장하면, 각 고객별 영상통화들의 조합의 수만큼 안면유사도에 대한 연산을 반복해야 한다. 다만, 각 고객의 영상통화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고객마다 순차적으로 조합의 수만큼 안면유사도를 산출해야 하는데, 이 경우 시스템에 많은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하고, 모든 고객에 대해서 '512 차원의 0 벡터'를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행렬에 추가해서 모든 고객이 동일한 수의 '512 차원 벡터값'을 갖도록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고객은 동일한 크기(또는, 차원)의 매트릭스를 가질 수 있으며, 매트릭스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서버(100)는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의 연산을 고속화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3 검사방법에서, 서버(100)는 전체 고객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고객별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각각의 안면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3 검사방법은 제2 검사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산출된 안면유사도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만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2 검사방법 및 제3 검사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안면유사도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안면이미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키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검사방법에 따라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 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을 상담원 단말(300)이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의 주체는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3의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S170 단계에 이어서, 서버(100)는 산출된 안면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이어서, 안면유사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서버(100)는 수행된 검사방법이 제2 검사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1).
이어서, 제2 검사방법으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고, 안면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서버(100)는 해당 케이스를 상담원 단말(300)에 전달하여 이상여부에 대해 육안검사를 실시할 것을 요청한다(S423). 즉, 서버(100)가 검사대상이 동일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검사방법을 수행하였기에, 상담원 단말(300)은 해당 케이스에 대하여 동일인물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425).
만약, 상담원 단말(300)의 육안검사결과, 해당 케이스가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케이스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킨다(S427). 즉, 해당 케이스는 동일인물에 대한 이미지를 유사도가 낮다고 잘못 판단한 케이스에 해당하므로, 딥러닝 모듈이 해당 케이스에 대해 향후 정확한 유사도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를 재학습시킨다.
반면, 안면유사도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 서버(100)는 수행된 검사방법이 제3 검사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1).
이어서, 제3 검사방법으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고, 안면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대하여, 서버(100)는 해당 케이스를 상담원 단말(300)에 전달하여 이상여부에 대해 육안검사를 실시할 것을 요청한다(S433). 즉, 서버(100)가 검사대상이 서로 다른 인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검사방법을 수행하였기에, 상담원 단말(300)은 해당 케이스에 대하여 동일인물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435).
만약, 상담원 단말(300)의 육안검사결과, 해당 케이스가 동일인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100)는 해당 케이스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킨다(S437). 즉, 해당 케이스는 서로 다른 인물에 대한 이미지를 유사도가 높다고 잘못 판단한 케이스에 해당하므로, 마찬가지로 딥러닝 모듈이 해당 케이스에 대해 향후 정확한 유사도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를 재학습시킨다.
이러한 딥러닝 모듈의 재학습 과정은, 판단이상여부가 발견될 때마다 수행되거나, 미리 정해진 숫자 이상의 케이스가 누적된 경우에 한꺼번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딥러닝 모듈의 재학습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유사도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금융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고, 금융서비스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100)는 전자 장치(1000)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컨트롤러(1010, controller), 입출력 장치(1020, I/O), 메모리 장치(10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040, interface) 및 버스(10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10), 입출력 장치(1020), 메모리 장치(1030) 및/또는 인터페이스(1040)는 버스(105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버스(10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0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30)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10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 장치(1030)는 컨트롤러(10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메모리로서, 고속의 디램 및/또는 에스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장치(1030)는 내부에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 및 고객 단말(200)은 각각 복수의 전자 장치(1000)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모듈 또는 모듈의 조합들이 전자 장치(1000)로 구현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서버(100)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데이터 센터,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IDC)), DAS(direct attached storage) 시스템, SAN(storage area network) 시스템,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시스템,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시스템, 및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에 의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은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M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및 5G NR(New Radio)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5G NR (New Rad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서버(10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 및 표준 통신 방식을 준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통신 방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및 5G NR(New Rad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고객 단말과 연계된 서버에서 수행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로부터 안면이미지를 도출하여, 각 고객의 계정에 귀속시키는 단계;
    복수의 고객 중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사대상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상기 영상통화수에 관한 제1 행렬과,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에 관한 제2 행렬의 곱으로 표현되며,
    상기 제1 행렬은,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의 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또는 상기 원소는, 양의 정수인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대상에 속한 고객들의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행렬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면이미지에서 랜드마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이미지를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된 안면이미지에 대해,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안면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여부가 발견되는 경우, 해당 케이스에 대한 육안검사결과를 기초로 동일인물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해당 케이스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딥러닝 모듈을 재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벡터값이 출력되도록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되,
    상기 딥러닝 모듈은,
    상기 안면이미지를 입력 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와,
    상기 안면유사도를 출력 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와,
    상기 입력 레이어와 상기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상기 딥러닝 모듈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동일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벡터값이 출력되도록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되,
    상기 딥러닝 모듈은,
    서로 다른 이미지가 입력되는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에서 출력된 값들에 대한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판단 모듈과,
    상기 산출된 각각의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는 가중치 모듈과,
    상기 가중치 모듈에서 출력되는 결과값의 오차에 대한 피드백을 상기 복수의 뉴럴 네트워크 모듈에 전달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검사방법을 기초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검사방법은,
    고객과,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레퍼런스 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1 검사방법과,
    특정 고객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2 검사방법과,
    서로 다른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3 검사방법을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사방법과 상기 제3 검사방법은, 고객마다 동일한 크기로 변환된 상기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방법은, 상기 블랙리스트의 업데이트 여부 또는 상기 고객이 신규고객인지 여부를 기초로 수행여부가 결정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11. 고객 단말과 연계된 서버에서 수행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에 있어서,
    (a)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수집된 영상통화 데이터로부터 안면이미지를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도출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여 해당 고객의 계정에 귀속시키는 단계;
    (d) 복수의 고객에 대해 (a) 내지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e)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f)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단계; 및
    (g)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방법.
  12. 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복수의 고객 중에서, 안면유사도 판단에 대한 검사대상을 결정하는 검사대상 결정부;
    상기 검사대상의 상기 복수의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하여 안면이미지를 도출하는 안면이미지 도출부; 및
    상기 안면이미지에 대한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검사대상에 포함된 고객의 계정에 귀속된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산출하는 피쳐 산출부와,
    각 고객별로,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수와,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매트릭스 생성부와,
    각 고객별 상기 매트릭스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매트릭스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매트릭스 간 연산을 이용하여 안면유사도를 산출하는 안면유사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상기 영상통화수에 관한 제1 행렬과, 각각의 영상통화에 대응되는 안면이미지의 벡터값에 관한 제2 행렬의 곱으로 표현되며,
    상기 제1 행렬은, 해당 고객의 영상통화의 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entry) 또는 원소(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변환부는,
    상기 검사대상에 속한 고객들의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가장 통화이력이 많은 고객의 영상통화수를 '최대 영상통화수'로 설정하고,
    상기 최대 영상통화수를 기초로, 각 고객의 상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행렬의 크기를 동일하게 변환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산출부는,
    동일 인물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벡터값이 출력되도록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벡터값을 산출하되,
    상기 딥러닝 모듈은,
    상기 안면이미지를 입력 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와,
    상기 안면유사도를 출력 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와,
    상기 입력 레이어와 상기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노드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상기 딥러닝 모듈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 결정부는,
    복수의 검사방법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검사방법을 기초로 상기 검사대상을 결정하되,
    상기 검사방법은,
    고객과,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레퍼런스 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1 검사방법과,
    특정 고객에 귀속된 복수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2 검사방법과,
    서로 다른 고객의 영상통화에 대한 안면이미지 간의 안면유사도를 판단하는 제3 검사방법을 포함하는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KR1020200144338A 2020-11-02 2020-11-02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54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38A KR102548770B1 (ko) 2020-11-02 2020-11-02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38A KR102548770B1 (ko) 2020-11-02 2020-11-02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21A true KR20220059121A (ko) 2022-05-10
KR102548770B1 KR102548770B1 (ko) 2023-06-28

Family

ID=8159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338A KR102548770B1 (ko) 2020-11-02 2020-11-02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167A (ko) * 2015-01-13 201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80092775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코스콤 본인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83119A (ko) * 2018-12-31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167A (ko) * 2015-01-13 201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80092775A (ko)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코스콤 본인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83119A (ko) * 2018-12-31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770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7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mage quality
EP4075395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ining anti-spoofing model,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anti-spoofing, and device
WO2021115356A1 (zh) 自适应窗宽窗位调节方法、装置、计算机系统及存储介质
US20220147695A1 (en) Model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font library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2052761A (zh) 一种对抗人脸图像的生成方法和装置
CN109657615A (zh) 一种目标检测的训练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23016007A1 (zh) 人脸识别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AU2019100349A4 (en) Face - Password Certifica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O2021088640A1 (zh) 一种基于启发式高斯云变换的人脸识别技术
CN112364803B (zh) 活体识别辅助网络的训练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705428B (zh) 一种基于脉冲神经网络的脸部年龄识别系统及方法
US20230036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restoration model, medium and program product
CN111144566A (zh) 神经网络权重参数的训练方法、特征分类方法及对应装置
CN113269010B (zh) 一种人脸活体检测模型的训练方法和相关装置
CN114120413A (zh) 模型训练方法、图像合成方法、装置、设备及程序产品
CN109614780B (zh) 生物信息认证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6152938A (zh) 身份识别模型训练和电子资源转移方法、装置及设备
CN11675837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77367A1 (en) Face detection method using voice
CN111460416B (zh) 一种基于微信小程序平台的人脸特征与动态属性的认证方法
KR102548770B1 (ko) 매트릭스 연산을 이용한 안면유사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CN115457365B (zh) 一种模型的解释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019371A (zh) 异常状态确定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CN115880530A (zh) 对抗攻击的检测方法和系统
CN115439916A (zh) 面部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