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842A -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842A
KR20220057842A KR1020200142910A KR20200142910A KR20220057842A KR 20220057842 A KR20220057842 A KR 20220057842A KR 1020200142910 A KR1020200142910 A KR 1020200142910A KR 20200142910 A KR20200142910 A KR 20200142910A KR 20220057842 A KR20220057842 A KR 20220057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eography
learning
skeleton
coordinate valu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창혁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유지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14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842A/en
Publication of KR2022005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8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15Danc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2Dan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36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20044Skeletonization; Medial axis trans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recognition dance learning device comprises: a model danc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model dance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a dance image of a dancer; a learning danc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earning dance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a learning image of a learner inputted in real time; a data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model dance data and the learning dance data to determine a similarity degree; and a scor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core based on the determined similarity degree.

Description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device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모션인식을 이용한 안무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using motion recognition.

종래의 안무학습 장치는 단순히 안무 동영상을 재생하고 재생된 안무 동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따라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안무학습 장치는 단방향 학습으로 사용자의 안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The conventional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is made in a form in which a user simply reproduces a choreography video and follows the reproduced choreography video. That is, the conventional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does not provide feedback on the user's choreography through unidirectional learning.

이러한 종래의 안무학습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안무 동작들 중에서 잘못된 동작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잘못된 동작으로 연습을 반복할 수 있고, 이후 안무 수정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since the user cannot check the wrong action among his or her choreography actions, practice may be repeated with the wrong action, and subsequent choreography correction may be more difficul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습자의 안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feedback on a learner's choreograph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기초로 프레임(frame) 별로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기초로 프레임 별로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 상기 모범 안무 데이터와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결정된 유사도를 기초로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xample for storing exemplary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a choreography image of a choreographer A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a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a learner's learning image input in real time,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comparator that compares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a score calculator that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similarit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는, 학습자의 안무 동작을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안무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쌍방향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e choreography movement of the learner and provide feedback on the choreography movement in real tim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in bo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스켈레톤 좌표값을 포함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 또는 모범 안무 데이터가 학습자의 학습 영상에 오버랩되어 출력됨으로써, 학습자의 동작과 안무가의 동작 간의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keleton coordinate values or model choreography data is overlapped with the learner's learning image and output,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motion and the choreographer's mo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학습 영상에 대한 점수를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안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learner's own choreography by displaying the score for the learner's learning image.

또한, 본 발명은 구간 별로 점수를 산출하고, 점수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다음 구간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성취감을 줄 수 있고,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ive a sense of achievement to the learner and maximize the motivation for learning by calculating a score for each section and allowing learning to proceed to the next section when the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스켈레톤 좌표값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이 학습 영상에 오버랩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ome screen displayed on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or shown in FIG. 1 .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keleton coordinate value.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1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are overlapped with a training image.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identical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known in the art and cases not related to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that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are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ample of a home screen displayed o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tting screen displayed on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 및 학습자의 안무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또는 안무학습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또는 안무학습 프로그램)은 앱 스토어 등과 같은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에 설치되거나 장치 제조 업체에 의해 제조시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1 to 3 ,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on a choreography image of a choreographer and a choreography action of a learner. To this end,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with a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or choreography learning program). The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or choreography learning program) may be downloaded through an online market such as an app store and installed i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or may be installed in the device when manufactured by a device manufacturer.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0), 표시부(120), 설정부(130) 및 안무 학습부(140)를 포함한다.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mera 110 , a display unit 120 , a setting unit 130 , and a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as shown in FIG. 1 .

카메라(110)는 학습자의 안무 동작을 촬영하여 학습자의 학습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카메라(110)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1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카메라(110)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10)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The camera 110 captures the learner's choreography and acquires the learner's learning image data in real time. The camera 110 may be built i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amera 110 may be a separate device connected to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10 .

표시부(120)는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20)는 학습자에 의해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홈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무학습 동영상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안무학습 동영상에 대한 정보는 음악 및 안무가에 관한 정보(210), 사용자 선호도에 관한 정보(220) 및 학습 아이콘(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복수의 안무학습 동영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안무학습을 시작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screen provided by the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Specifically, when the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is executed by the learner,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the home screen. As an example, the home screen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horeography learning videos as shown in FIG. 2 .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choreography learning video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music and a choreographer 210 , information about user preference 220 , and a learning icon 230 . The learner may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choreography learning videos to start choreography learning.

한편, 표시부(120)는 복수의 안무학습 동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안무학습 동영상에 대한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무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 아이콘들(310), 예컨대, 0.5배속 아이콘, 0.7배속 아이콘, 1.0배속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학습자는 복수의 속도 아이콘들(3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안무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choreography learning videos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setting screen for the selected choreography learning vide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setting screen may display speed icons 310 that can adjust the playback speed of the choreography image, for example, a 0.5x icon, a 0.7x icon, and a 1.0x icon. The learner may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eed icons 310 to adjust the playback speed of the choreography image.

또한, 표시부(120)는 하나의 안무 영상에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는 구간 설정 아이콘(미도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학습자는 구간 설정 아이콘을 통해 학습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에 대한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Also, the display unit 120 may further display a section setting icon (not shown) for setting a section in one choreography image. The learner can set the learning section through the section setting icon and can also adjust the playback speed for the set section.

표시부(12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 및 학습자의 학습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학습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 화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120 may provide a learning screen on which at least one of a choreography image of a choreographer and a learning image of a learner is displayed. The learning scree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설정부(130)는 학습 정보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30)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안무 영상에 관한 정보, 안무 영상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구간에 관한 정보 및 재생 속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130 sets learning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etting unit 130 may set information about a choreography image that the learner wants to learn, information about a section to be learned from the choreography image, and a playback speed.

학습 정보는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통하여 학습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학습 정보는 초기 설정값을 가지거나 안무학습을 제공하는 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설정부(130)는 학습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을 가지더라도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The learning information may be set by the learner through the screen provided by the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learning information may have an initial setting value or a value set by a person who provides choreography learning. The setting unit 130 may change the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learner's request even if the learning information has a preset value.

안무 학습부(14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제공하고, 안무가의 안무 영상과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비교한 학습 결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안무 학습부(140)는 카메라(110)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안무 학습부(14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 데이터와 안무가의 안무 영상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학습자의 안무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안무 학습부(140)는 학습자의 안무에 대한 점수를 기초로 안무 숙지도를 평가할 수 있다.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provides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and provides a learning result obtained by comparing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with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Specifically,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may receive the learner's learning image data from the camera 110 in real time.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may compare and analyze the learner's learning image data and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image data, and calculate a score for the learner's choreography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may evaluate the choreography mastery level based on the learner's choreography score.

안무 학습부(14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한 학습자의 안무 숙지도를 평가할 수 있다. 안무 학습부(140)는 특정 구간에 대한 안무 숙지도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다음 구간으로 학습이 진행되어 다음 구간에 대한 안무 숙지도를 평가할 수 있다.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may divide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evaluate the learner's choreography familiarity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When the choreography mastery level for a specific sec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may evaluate the choreography mastery level for the next section by proceeding to the next section.

이러한 안무 학습부(140)는 안무 숙지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160),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 데이터 비교부(180) 및 점수 산출부(19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무 학습부(140)는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includes a model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160 , a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170 , a data comparison unit 180 , and a score calculation unit 190 in order to evaluate the choreography mastery level. In an embodiment,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50 .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기초로 프레임(frame) 별로 복수의 제1 스켈레톤(skeleton)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or 150 generates model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도 1에서는 안무 학습부(140)가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안무학습 서버(미도시)로부터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때, 안무가의 안무 영상 데이터와 함께 모범 안무 데이터도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별도의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In FIG. 1 , the choreography learning unit 140 includes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5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downloads a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from an external choreography learning server (not shown) through a network, exemplary choreography data may also be downloaded along with the choreography image data of the choreographer. In this case,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not include a separat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or 150 .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스켈레톤 좌표값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or shown in FIG. 1 ,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keleton coordinate value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는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 제1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430),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 및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는 제1 크기 조절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and 5 ,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ation unit 420 , a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ion unit 430 , and a first skeleton It includes a central coordinate determining unit 440 and a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450 . In an embodiment, th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ize adjustment unit 410 .

제1 크기 조절부(41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크기 조절부(41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크기 조절부(410)는 안무 영상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와 다르면, 안무 영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The first size adjustment unit 410 may adjust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to a preset size. Specifically, the first size adjustment unit 410 may check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When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size, the first size adjustment unit 410 may change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to a preset size.

예를 들어, 영상 크기는 1280*720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크기 조절부(41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가 1920*1080인 경우, 안무 영상에 대하여 1280*720로 리사이즈(resize)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size may be preset to 1280*720. When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is 1920*1080, the first size adjuster 410 may resize the choreography image to 1280*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제1 크기 조절부(410)를 통해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안무가의 안무 영상과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스케일(scale)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동일한 동작임에도 불구하고, 영상 크기에 따라 동작이 다르게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ize of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image through the first size adjustment unit 410, thereby scaling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image and the learner's learning image. ) can match the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recognition of different motion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mage despite the same motion.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가 제1 크기 조절부(4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를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는 제1 크기 조절부(410)가 생략될 수 있다.In FIG. 4 ,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first size adjusting unit 41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size of the learner's learning image to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In this case, in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ze adjusting unit 410 may be omitted.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안무 이미지들 각각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중심점을 결정한다.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determines a first image center poi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horeography images included in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구체적으로, 안무가의 안무 영상은 프레임으로 분할된 복수의 안무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1초당 N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N은 0보다 큰 자연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A 안무 영상의 재생 시간이 4분이고, 1초당 15개의 프레임으로 이미지를 분할하는 경우,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A 안무 영상을 60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A 안무 영상은 60개의 안무 이미지들로 분할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oreography images divided into frames.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may divide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into N frames per second. The N may represent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0. For example, whe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choreography image A is 4 minutes and the image is divided into 15 frames per second,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may divide the choreography image A into 60 frames. A choreography image may be divided into 60 choreography images.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복수의 안무 이미지들 각각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중심점을 결정한다.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안무 이미지의 크기를 기초로 중심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안무 영상의 크기가 1280*720인 경우, 안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안무 이미지들의 크기도 1280*720이 된다.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1280의 중간인 640을 X축 값으로 결정하고, 720의 중간인 360을 Y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420)는 (640, 360)을 제1 이미지 중심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determines a first image center poi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horeography images.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may determine the center point based on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is 1280*720,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choreography images included in the choreography image is also 1280*720.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may determine 640, which is the middle of 1280, as the X-axis value, and may determine 360, which is the middle of 720, as the Y-axis value. As a result,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420 may determine (640, 360) as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제1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430)는 각 안무 이미지에서 복수의 제1 스켈레톤(skeleton) 좌표값들을 추출한다.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사람의 동작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로서, 사람의 특정 신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7개의 키포인트(keypoint)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7개의 키포인트(keypoint)들은 왼쪽 눈(left eye), 오른쪽 눈(right eye), 왼쪽 귀(left ear), 오른쪽 귀(right ear), 코(nose), 왼쪽 어깨(left shoulder), 오른쪽 어깨(right shoulder), 왼쪽 팔꿈치(left elbow), 오른쪽 팔꿈치(right elbow), 왼쪽 손목(left wrist), 오른쪽 손목(right wrist), 왼쪽 힙(left hip), 오른쪽 힙(right hip), 왼쪽 무릎(left knee), 오른쪽 무릎(right knee), 왼쪽 발목(left ankle) 및 오른쪽 발목(right ank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ion unit 430 extracts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rom each choreography image.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are information that may represent a characteristic of a person's motion, and may indicate a location of a specific body of a person. 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17 keypoints as shown in FIG. 5 . Here, 17 keypoints are left eye, right eye, left ear, right ear, nose, left shoulder, right right shoulder, left elbow, right elbow, left wrist, right wrist, left hip, right hip, left knee (left knee), right knee (right knee), left ankle (left ankle), and may include a right ankle (right ankle).

제1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430)는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안무 이미지에서 복수의 제1 스켈레톤(skeleton) 좌표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딥러닝 알고리즘은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ework, CNN) 알고리즘 또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일 수 있다. 일 예로, 딥러닝 알고리즘은 ResNet(Residual Network) 알고리즘일 수 있다.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or 430 may extract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rom each choreography image by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The deep learning algorithm may b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or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s an example, the deep learning algorithm may be a ResNet (Residual Network) algorithm.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는 추출된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기초로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한다.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는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적어도 둘을 이용하여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440 determines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s based on the plurality of extracted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440 may determine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s by us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는 인체의 중심에 근접한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 및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는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 및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의 중심을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는 아래 수식 1을 이용하여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keleton central coordinate determining unit 440 determines the first skeleton central coordinates us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left hip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ight hip close to the center of the human body. can decide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440 may determine the center of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left hip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ight hip as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s.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440 may calculate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s using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left hip은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을 나타내고, 상기 right hip은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이 (640, 500)이고,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이 (642, 300)인 경우,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440)는 (641, 400)을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The left hip may indicate a coordinate value of a left hip, and the right hip may indicate a coordinate value of a right hip. For example, when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hip is (640, 500)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hip is (642, 300),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440 is (641) , 400) may be determined as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first skeleton.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아래 수식 2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450 corrects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coincide. Specifically,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450 may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In an embodiment,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450 may calculate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using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거리값은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와 제1 이미지 중심점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X축 거리값 및 Y축 거리값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tance value represents a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first skeleton and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image, and may include an X-axis distance value and a Y-axis distance value.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산출된 거리값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할 수 있다.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450 may correct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coincide with each other using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구체적으로,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거리값을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하거나 감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X축값이 제1 이미지 중심점의 X축값 보다 크면, X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감산할 수 있다. 또는,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X축값이 제1 이미지 중심점의 X축값 보다 작으면, X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450 may add or subtract the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xample, when the X-axis value of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greater than the X-axis value of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450 subtracts the X-axis distance valu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can Alternatively, when the X-axis value of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smaller than the X-axis value of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450 adds the X-axis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can

그리고,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Y축값이 제1 이미지 중심점의 Y축값 보다 크면, Y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감산할 수 있다. 또는,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450)는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Y축값이 제1 이미지 중심점의 Y축값 보다 작으면, Y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할 수 있다.And, when the Y-axis value of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greater than the Y-axis value of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450 may subtract the Y-axis distance valu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there is. Alternatively, if the Y-axis value of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smaller than the Y-axis value of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450 adds the Y-axis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ca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160)는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프레임 별로 생성되고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를 저장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model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160 stores model choreography data that is generated for each frame of a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160)는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150)에 의하여 생성된 모범 안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160)는 외부의 안무학습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된 모범 안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model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160 may store th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ed by th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or 15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160 may stor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provided from an external choreography learning server (not shown).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는 카메라(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기초로 프레임 별로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70 generates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image input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110 . Hereinafter,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7은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이 학습 영상에 오버랩된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or shown in FIG. 1 ,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are overlapped with a training imag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는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 제2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630),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640) 및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는 제2 크기 조절부(610) 및 보정부(6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and 7 ,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 a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or 630 , and a second skeleton It includes a central coordinate determining unit 640 and a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650 . In an embodiment,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size adjusting unit 610 and the correcting unit 660 .

제2 크기 조절부(61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를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 또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크기 조절부(64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크기 조절부(64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가 안무 영상의 크기 또는 미리 설정된 크기와 다르면, 학습 영상의 크기를 안무 영상의 크기 또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610 may adjust the size of the learner's learning image to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image or to a preset size. Specifically,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640 may check the size of the learner's learning image. When the size of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is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r a preset size, the second size adjusting unit 640 may change the size of the learning image to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r a preset size.

예를 들어, 영상 크기는 1280*720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2 크기 조절부(61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가 1920*1080인 경우, 학습 영상에 대하여 1280*720로 리사이즈(resize)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size may be preset to 1280*720. When the size of the learner's learning image is 1920*1080,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610 may resize the learning image to 1280*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제2 크기 조절부(610)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안무가의 안무 영상과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스케일(scale)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동일한 동작임에도 불구하고, 영상 크기에 따라 동작이 다르게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ize of the learner's learning image through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610, thereby scaling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 can match the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recognition of different motion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mage despite the same motion.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이미지들 각각에 대하여 제2 이미지 중심점을 결정한다.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determines a second image center poi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included in the learner's learning image.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영상은 프레임으로 분할된 복수의 학습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1초당 M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M은 0보다 큰 자연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B 학습 영상의 재생 시간이 2분이고, 1초당 15개의 프레임으로 이미지를 분할하는 경우,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B 학습 영상을 30개의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B 학습 영상은 30개의 학습 이미지들로 분할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divided into frames.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may divide the learner's learning image into M frames per second. M may represent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0. For example, whe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learning image B is 2 minutes and the image is divided into 15 frames per second,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may divide the learning image B into 30 frames. The B training image may be divided into 30 training images.

한편, 동일한 안무에 대한 안무가의 안무 영상과 학습자의 학습 영상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동일할 수 있다. 학습자는 선택에 따라 구간 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안무가의 안무 영상과 학습자의 학습 영상은 재생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재생 시간이 상이하더라도, 안무가의 안무 영상과 학습자의 학습 영상은 프레임 레이트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무 영상의 안무 이미지와 학습 영상의 학습 이미지가 일대 일로 대응되어, 유사도 산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video and the learner's learning video for the same choreography may have the same frame rate. Since the learner can learn se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e playback time of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video and the learner's learning video may be different. However, even if the playback time is different, the frame rat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may be the same. In this case,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y image and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ing image are matched one-to-one, so that it is easy to calculate the degree of similarity.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복수의 학습 이미지들 각각에 대하여 제2 이미지 중심점을 결정한다.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학습 이미지의 크기를 기초로 중심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 영상의 크기가 1280*720인 경우, 학습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이미지들의 크기도 1280*720이 된다.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1280의 중간인 640을 X축 값으로 결정하고, 720의 중간인 360을 Y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620)는 (640, 360)을 제2 이미지 중심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determines a second image center poi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may determine the center point based on the size of the training image.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training image is 1280*720,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training images included in the training image is also 1280*720.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may determine 640, which is the middle of 1280, as the X-axis value, and may determine 360, which is the middle of 720, as the Y-axis value. As a result,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620 may determine (640, 360) as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제2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630)는 각 학습 이미지에서 복수의 제2 스켈레톤(skeleton) 좌표값들을 추출한다.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사람의 동작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로서, 사람의 특정 신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안무 영상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과 같이, 17개의 키포인트(keypoint)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7개의 키포인트(keypoint)들은 왼쪽 눈(left eye), 오른쪽 눈(right eye), 왼쪽 귀(left ear), 오른쪽 귀(right ear), 코(nose), 왼쪽 어깨(left shoulder), 오른쪽 어깨(right shoulder), 왼쪽 팔꿈치(left elbow), 오른쪽 팔꿈치(right elbow), 왼쪽 손목(left wrist), 오른쪽 손목(right wrist), 왼쪽 힙(left hip), 오른쪽 힙(right hip), 왼쪽 무릎(left knee), 오른쪽 무릎(right knee), 왼쪽 발목(left ankle) 및 오른쪽 발목(right ank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ion unit 630 extracts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rom each training image.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are information that may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a person's motion, and may indicate a location of a specific body of a person. 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17 keypoints, like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choreography image. Here, 17 keypoints are left eye, right eye, left ear, right ear, nose, left shoulder, right right shoulder, left elbow, right elbow, left wrist, right wrist, left hip, right hip, left knee (left knee), right knee (right knee), left ankle (left ankle), and may include a right ankle (right ankle).

제2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630)는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학습 이미지에서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딥러닝 알고리즘은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ework, CNN) 알고리즘 또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일 수 있다. 일 예로, 딥러닝 알고리즘은 ResNet(Residual Network) 알고리즘일 수 있다.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or 630 may extract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rom each training image by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The deep learning algorithm may b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or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s an example, the deep learning algorithm may be a ResNet (Residual Network) algorithm.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640)는 추출된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기초로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한다.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640)는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적어도 둘을 이용하여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640 determines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s based on the plurality of extracted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640 may determine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s by us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640)는 인체의 중심에 근접한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 및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640)는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 및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의 중심을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640)는 상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keleton central coordinate determiner 640 determines the second skeleton central coordinates us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left hip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ight hip close to the center of the human body. can decide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640 may determine the center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hip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hip as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er 640 may calculate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s using Equation 1 above.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제2 이미지 중심점과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제2 이미지 중심점과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상기 수식 2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650 corrects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and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coincide. Specifically,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650 may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and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s. In an embodiment,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650 may calculate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using Equation 2 above.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산출된 거리값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 중심점과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할 수 있다.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650 may correct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and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coincide with each other using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구체적으로,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거리값을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하거나 감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X축값이 제2 이미지 중심점의 X축값 보다 크면, X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감산할 수 있다. 또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X축값이 제2 이미지 중심점의 X축값 보다 작으면, X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or 650 may add or subtract the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xample, if the X-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greater than the X-axis value of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650 subtracts the X-axis distance valu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can Alternatively,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650 may add the X-axis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when the X-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smaller than the X-axis value of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can

그리고,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Y축값이 제2 이미지 중심점의 Y축값 보다 크면, Y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감산할 수 있다. 또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650)는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의 Y축값이 제2 이미지 중심점의 Y축값 보다 작으면, Y축 거리값을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할 수 있다.And, when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greater than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650 may subtract the Y-axis distance valu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there is. Alternatively, when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is smaller than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650 adds the Y-axis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can

보정부(660)는 안무하는 사람의 체형 또는 카메라(110)의 촬영각도를 고려하여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할 수 있다. The correcting unit 660 may correct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shape of the choreographer or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110 .

안무가와 학습자의 체형이 다른 경우,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스켈레톤 좌표값 간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안무가가 학습자 보다 키가 큰 경우,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평균값이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평균값 보다 클 수 있다. 키 차이가 클수록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값과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값 간의 차이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과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간의 유사도는 낮아지게 된다.If the body type of the choreographer and the learner are different, a large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skeleton coordinate values even if the same motion is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choreographer is taller than the learner, the Y-axis average value of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be greater than the Y-axis average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As the height difference increa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value of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and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creases. In this case,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and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s will be lowered

또한, 카메라(110)의 촬영 각도가 안무 영상의 촬영 각도와 상이한 경우,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스켈레톤 좌표값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Also, when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110 is different from the shooting angle of the choreography image,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skeleton coordinate values even if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X축 값 및 Y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부(660)는 X축 보정부(662) 및 Y축 보정부(664)를 포함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foregoing,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ct the X-axis value and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Specifically, the corrector 660 may include an X-axis corrector 662 and a Y-axis corrector 664 .

X축 보정부(662)는 안무 영상과 학습 영상에서 왼쪽 힙(left hip)과 오른쪽 힙(right hip) 사이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X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The X-axis corrector 662 may correct the X-axis values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distances between the left hip and the right hip in the choreography image and the learning image match.

일 실시예에 있어서, X축 보정부(662)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 및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의 X축 상 거리가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왼쪽 힙(left hip)의 좌표값 및 오른쪽 힙(right hip)의 좌표값의 X축 상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X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X-axis compensator 662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on the X-axis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hip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hip among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s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The X-axis values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be corrected to be equal to the distance on the X-axis of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left hip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ight hip among the values.

Y축 보정부(664)는 안무 영상과 학습 영상에서 왼쪽 어깨(left shoulder), 오른쪽 어깨(right shoulder), 왼쪽 눈(left eye), 오른쪽 눈(right eye), 왼쪽 귀(left ear) 및 오른쪽 귀(right ear) 중 어느 하나와 왼쪽 발목(left ankle) 및 오른쪽 발목(right ankle) 중 어느 하나 간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The Y-axis correction unit 664 is a left shoulder, a right shoulder, a left eye, a right eye, a left ear, and a right in the choreography image and the learning image.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be correc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any one of the right ear and any one of the left ankle and the right ankle match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Y축 보정부(664)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좌표값, 오른쪽 어깨(right shoulder)의 좌표값, 왼쪽 눈(left eye)의 좌표값, 오른쪽 눈(right eye)의 좌표값, 왼쪽 귀(left ear)의 좌표값, 오른쪽 귀(right ear)의 좌표값, 왼쪽 발목(left ankle)의 좌표값 및 오른쪽 발목(right ankle)의 좌표값의 Y축 상의 최대 거리가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좌표값, 오른쪽 어깨(right shoulder)의 좌표값, 왼쪽 눈(left eye)의 좌표값, 오른쪽 눈(right eye)의 좌표값, 왼쪽 귀(left ear)의 좌표값, 오른쪽 귀(right ear)의 좌표값, 왼쪽 발목(left ankle)의 좌표값 및 오른쪽 발목(right ankle)의 좌표값의 Y축 상의 최대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Y-axis corrector 664 is a left shoulder coordinate value, a right shoulder coordinate value, and a left eye coordinate value among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ey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ea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ea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ankle,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ankle of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the maximum distance on the Y-axis i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shoulde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shoulde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eye,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eye. The maximum distance on the Y axis of the coordinate values of , left ear, right ear, left ankle, and right ankle coordinates To be the same, the Y-axis values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be corrected.

예를 들어, Y축 보정부(664)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좌표값과 왼쪽 발목(left ankle)의 좌표값의 Y축 상의 거리가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왼쪽 어깨(left shoulder)의 좌표값과 왼쪽 발목(left ankle)의 좌표값의 Y축 상의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Y-axis corrector 664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on the Y-axis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shoulder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ankle among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s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be corrected so tha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middle left shoulder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left ankle are equal to the distance on the Y-axis.

다른 예를 들어, Y축 보정부(664)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오른쪽 눈(right eye)의 좌표값과 오른쪽 발목(right ankle)의 좌표값의 Y축 상의 거리가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오른쪽 눈(right eye)의 좌표값과 오른쪽 발목(right ankle)의 좌표값의 Y축 상의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의 Y축 값을 보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Y-axis corrector 664 may determine that the distance on the Y-axis of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eye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ankle among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s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Among them, the Y-axis value of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may be corrected so that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eye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ight ankle are equal to the distance on the Y-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170)에 의하여 생성된 학습 안무 데이터를 표시부(120)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ed by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ng unit 170 to the learner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

표시부(12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A1) 및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표시부(120)의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학습 영상에 오버랩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모범 안무 데이터를 표시부(120)의 제2 영역(A2)에 표시되는 안무 영상에 오버랩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모범 안무 데이터 및 학습 안무 데이터를 표시부(120)의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학습 영상에 오버랩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모범 안무 데이터와 학습 안무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하여, 모범 안무 데이터는 제1 색으로 표시되고, 학습 안무 데이터는 제1 색과 다른 제2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area A1 that displays a learner's learning image and a second area A2 that displays a choreography image of a choreographer. In an embodiment,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displays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FIG. 7 . It can b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learning image. Although not shown in FIG. 7 , in another embodiment,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displays the model choreography data stored in the model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160 in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120 . It can also b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horeography video. In another embodiment,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overlap and display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learned choreography data on the learning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120 . In this cas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odel choreography data from the learned choreography data, the model choreography data may be displayed in a first color, and the learned choreography data may be displayed in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학습자는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모범 안무 데이터 또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통해 자신의 동작과 안무가의 동작 간의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The learn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his or her own motion and that of the choreographer through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r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비교부(180)는 모범 안무 데이터와 학습 안무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비교부(180)는 모범 안무 데이터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및 학습 안무 데이터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compares the model choreography data with the learned choreography data to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Specifically,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비교부(180)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범 안무 데이터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및 학습 안무 데이터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80)는 유클리드 거리를 기초로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80)는 유클리드 거리에 따른 유사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유사도는 유클리드 거리가 작을수록 높은 값을 가지며, 반대로, 유클리드 거리가 클수록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유사도는 유클리드 거리가 270 내지 370인 경우 1로 설정되고, 유클리드 거리가 371 내지 470인 경우 2로 설정되며, 471 내지 570인 경우 3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exemplary choreography data and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by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algorithm. there is. The data comparator 18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ased on the Euclidean distance.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preset similarity according to the Euclidean distance. The similarity may have a higher value as the Euclidean distance is smaller, and conversely, may have a smaller value as the Euclidean distance is larger. For example, the similarity may be set to 1 when the Euclidean distance is 270 to 370, set to 2 when the Euclidean distance is 371 to 470, and set to 3 when the Euclidean distance is 471 to 570.

한편, 데이터 비교부(180)는 프레임 별로 모범 안무 데이터와 학습 안무 데이터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비교부(180)는 모범 안무 데이터와 학습 안무 데이터를 일대 일로 대응시키고, 대응된 데이터들만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learned choreography data for each frame. In this case,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match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one-to-one and compare only the corresponding data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비교부(180)는 한 프레임의 모범 안무 데이터를 일정 구간에 입력되는 복수의 학습 안무 데이터들 각각과 비교하고, 가장 유사도가 높은 학습 안무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프레임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compares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f one frame with each of a plurality of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put 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similarity of the frame based on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can be decided

예를 들어 설명하면, 데이터 비교부(180)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직전의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직후의 제3 프레임의 학습 안무 데이터를 상기 제1 프레임의 모범 안무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비교부(180)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학습 안무 데이터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모범 안무 데이터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간의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비교부(180)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학습 안무 데이터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모범 안무 데이터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간의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비교부(180)는 상기 제3 프레임의 학습 안무 데이터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모범 안무 데이터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간의 제3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compares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immediately after the second frame, with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can be compared. That is,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calculate a firs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training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calculate a second distance between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training choreography data of the second frame and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In addition,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may calculate a thir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of the third frame and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of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데이터 비교부(180)는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 중 가장 작은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프레임에서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비교부(180)는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프레임의 유사도를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모범 안무 데이터와 학습 안무 데이터 간의 유사도로 결정할 수 있다. The data comparator 180 may determine the similarity in the first frame based on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first distance, the second distance, and the third distance. As a result,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determines the similarity of the frame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among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as the similarity between the model choreography data for the first frame and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can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프레임 마다 학습 안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안무학습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나 카메라(110)로부터 프레임 별로 데이터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acquire a learner's learning image in real time, and may generate learning choreography data for each frame. At this time,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cause a delay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data within the choreography learning application or in the process of receiving data for each frame from the camera 110 .

이러한 경우,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모범 안무 데이터와 처리가 지연된 학습 안무 데이터 간에 싱크(sync)를 맞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해당 프레임뿐만 아니라 이전 프레임 및 이후 프레임의 학습 안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프레임에 대한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의 학습 안무 데이터 중 모범 안무 데이터와 싱크가 가장 맞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선택하여, 해당 프레임에 대한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needs to synchronize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delayed learning choreography data. To this end,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frame by using not only the corresponding frame but also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of the previous and subsequent frames.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may select learning choreography data most in sync with model choreography data from among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of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determine the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frame.

점수 산출부(190)는 데이터 비교부(180)에 의하여 결정된 유사도를 기초로 점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점수 산출부(190)는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합산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간 별로 점수를 산출하는 경우, 점수 산출부(190)는 해당 구간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합산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score calculation unit 190 calculates a score based on the degree of similarity determined by the data comparison unit 180 . Specifically, the score calculator 190 may calculate a score by summing the similariti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rames. When calculating a score for each section, the score calculator 190 may calculate a score by summing the similariti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점수 산출부(190)는 산출된 점수를 표시부(190)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core calculation unit 190 may provide the calculated score to the learner through the display unit 19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에 대한 점수를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안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learner's own choreography by displaying the score for the learner's learning im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는 구간 별로 점수를 산출하고, 점수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다음 구간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성취감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score for each section, and when the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the learning proceeds to the next section, thereby giving the learner a sense of achievement. there i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에이전트와 같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복수개의 프로그램이 분할되어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들 중 일부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100)에 설치되고 프로그램들 중 나머지 일부는 외부의 안무학습 서버(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r a program such as an agent. When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re implemented as a program, codes for implementing a specific function may be implemented as one program, or a plurality of programs may be divided and implemented, and some of the programs is installed in th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100, and some of the programs may be installed in an external choreography learning server (not show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110: 카메라
120: 표시부 130: 설정부
140: 안무학습부 150: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
160: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 170: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
180: 데이터 비교부 190: 점수 산출부
100: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device 110: camera
120: display unit 130: setting unit
140: choreography learning unit 150: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160: model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170: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180: data comparison unit 190: score calculation unit

Claims (15)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프레임(frame) 별로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 저장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기초로 프레임 별로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
상기 모범 안무 데이터와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결정된 유사도를 기초로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a model choreography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model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of a choreography image of a choreographer;
a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or each frame based on a learner's learning image input in real time;
a data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model choreography data with the learned choreography data to determine a degree of similarity; and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omprising a scor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score based on the determined similarity.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된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or for generating model choreography data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based on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image provided from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안무가의 안무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안무 이미지들에 대하여 제1 이미지 중심점을 결정하는 제1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
각 안무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제1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적어도 둘을 이용하여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하는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상기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하는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를 포함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comprises:
a first image center point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first image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choreography images included in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a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from each choreography image;
a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us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and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coinc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안무가의 오른쪽 힙(hip) 좌표값 및 왼쪽 힙 좌표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는, 상기 오른쪽 힙(hip) 좌표값 및 상기 왼쪽 힙 좌표값 사이의 중심을 상기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clude a right hip coordinate value and a left hip coordinate value of a choreographer,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ing unit,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center between the right hip (hip) coordinate value and the left hip coordinate value as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중심점과 상기 제1 스켈레톤 중심좌표 간의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값을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에 합산하거나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on unit,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calcula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first image center point and the first skeleton center coordinates, and adding or subtracting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범 안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하는 제1 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odel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comprises: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iz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to a preset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일정 구간에 입력되는 복수의 학습 안무 데이터와 모범 안무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가장 유사도가 높은 학습 안무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프레임에 대한 유사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comparison unit,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omparing a plurality of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put in a certain section and exemplary choreography data in units of frames,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to the corresponding frame based on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with the highest similarity learn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직전의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직후의 제3 프레임의 학습 안무 데이터와 상기 제1 프레임의 모범 안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유사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comparison unit,
determining the similarity to the first frame by comparing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frame, and the third frame immediately after the first frame with the model choreography data of the first frame A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이미지들에 대하여 제2 이미지 중심점을 결정하는 제2 이미지 중심점 결정부;
각 학습 이미지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추출하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 추출부;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중 적어도 둘을 이용하여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를 결정하는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 결정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중심점과 상기 제2 스켈레톤 중심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보정하는 제2 스켈레톤 좌표값 보정부를 포함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a second image center poin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second image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included in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a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from each training image;
a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s us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and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second image center point and the second skeleton center coordinates coinci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영상의 크기를 상기 안무가의 안무 영상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 또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조절하는 제2 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iz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to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or a preset siz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안무가의 오른쪽 힙 좌표값 및 왼쪽 힙 좌표값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학습자의 오른쪽 힙 좌표값 및 왼쪽 힙 좌표값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학습자의 오른쪽 힙 좌표값 및 왼쪽 힙 좌표값의 X축 상의 거리가 상기 안무가의 오른쪽 힙 좌표값 및 왼쪽 힙 좌표값의 X축 상의 거리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의 X축 값을 보정하는 X축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clude the choreographer's right hip coordinate value and the left hip coordinate valu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clude the learner's right hip coordinate value and the left hip coordinate value,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such that the distance on the X axis of the learner's right hip coordinate value and the left hip coordinate value has the same value as the distance on the X axis of the right hip coordinate value and the left hip coordinate value of the choreographer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X-axis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each X-axis val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안무가의 오른쪽 눈 좌표값, 왼쪽 눈 좌표값, 오른쪽 어깨 좌표값, 왼쪽 어깨 좌표값, 오른쪽 발목 좌표값 및 왼쪽 발목 좌표값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은 학습자의 오른쪽 눈 좌표값, 왼쪽 눈 좌표값, 오른쪽 어깨 좌표값, 왼쪽 어깨 좌표값, 오른쪽 발목 좌표값 및 왼쪽 발목 좌표값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학습자의 오른쪽 눈 좌표값, 왼쪽 눈 좌표값, 오른쪽 어깨 좌표값, 왼쪽 어깨 좌표값, 오른쪽 발목 좌표값 및 왼쪽 발목 좌표값의 Y축 상의 최대 거리가 상기 안무가의 오른쪽 눈 좌표값, 왼쪽 눈 좌표값, 오른쪽 어깨 좌표값, 왼쪽 어깨 좌표값, 오른쪽 발목 좌표값 및 왼쪽 발목 좌표값의 Y축 상의 최대 거리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 각각의 Y축 값을 보정하는 Y축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first skeleton coordinate values include a choreographer's right eye coordinate value, left eye coordinate value, right shoulder coordinate value, left shoulder coordinate value, right ankle coordinate value, and left ankle coordinate valu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s The coordinate values include the learner's right eye coordinate value, left eye coordinate value, right shoulder coordinate value, left shoulder coordinate value, right ankle coordinate value and left ankle coordinate value,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generation unit,
The maximum distance on the Y axis of the learner's right eye coordinate value, left eye coordinate value, right shoulder coordinate value, left shoulder coordinate value, right ankle coordinate value, and left ankle coordinate value is the choreographer's right eye coordinate value, left eye coordinate value Correcting the Y-axis val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to have the same value as the maximum distance on the Y-axis of the value, the right shoulder coordinate value, the left shoulder coordinate value, the right ankle coordinate value, and the left ankle coordinate value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Y-axis corr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학습 영상 및 상기 안무가의 안무 영상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and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have the same frame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교부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모범 안무 데이터와 상기 학습 안무 데이터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유사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comparison unit,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a Euclidean distance algorithm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model choreography data and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제1 영역에 상기 학습자의 학습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안무가의 안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스켈레톤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학습 안무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 영상에 오버랩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인식 안무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in a first area and displaying the choreography image of the choreographer in a second area,
The display unit, Motion recognition choreography lea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verlapping the learning choreography data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cond skeleton coordinate values on the learning image of the learner.
KR1020200142910A 2020-10-30 2020-10-30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KR202200578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10A KR20220057842A (en) 2020-10-30 2020-10-30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10A KR20220057842A (en) 2020-10-30 2020-10-30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42A true KR20220057842A (en) 2022-05-09

Family

ID=8158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910A KR20220057842A (en) 2020-10-30 2020-10-30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84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0717A (en) * 2023-09-22 2023-10-31 北京小糖科技有限责任公司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deo decomposition proces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0717A (en) * 2023-09-22 2023-10-31 北京小糖科技有限责任公司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deo decomposition processing
CN116980717B (en) * 2023-09-22 2024-01-23 北京小糖科技有限责任公司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deo decomposition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5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arget motion, capturing motion, analyzing motion, and improving motion
CN108615055B (en) Similarity calcul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36692B1 (en) D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utomatic generation of dance key motion
US9939887B2 (en) Avatar control system
KR101989447B1 (en) Dance motion feedback system providing video feedback to user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1061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by using action recognition
CN112911393B (e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part
CN111080752B (en) Audio-based action sequenc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946211A (en) Method for interacting multiple objects based on metauniverse and related equipment
CN110263745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pupil of human positioning
CN110544302A (en) Human body action re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ulti-view vision and action training system
KR1014917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of stage
WO2019175425A1 (en) Use of a human pose estimation model for generating and/or refining a movement model
CN107422844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703574A (en) VR medical lear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5G
CN114022512A (en) Exercise assisting method, apparatus and medium
CN115131879B (en) Action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KR20220057842A (en) Device for learning dance by using motion recognition
Tharatipyakul et al. Pose estimation for facilitating movement learning from online videos
CN106708266A (en) AR action correction proj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nocular gesture recognition
WO2017113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motion-sensing control based on intelligent device, and intelligent device
KR102095647B1 (en) Comparison of operation using smart devices Comparison device and operation Comparison method through dance comparison method
CN116433718A (en) Featur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2303603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N114356100B (en) Body-building action guiding method, body-building action guid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