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787A -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787A
KR20220057787A KR1020200142801A KR20200142801A KR20220057787A KR 20220057787 A KR20220057787 A KR 20220057787A KR 1020200142801 A KR1020200142801 A KR 1020200142801A KR 20200142801 A KR20200142801 A KR 20200142801A KR 20220057787 A KR20220057787 A KR 20220057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y
user
service
information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혁진
Original Assignee
성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혁진 filed Critical 성혁진
Priority to KR102020014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787A/ko
Publication of KR2022005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도시에 구비된 도시 시설 및 도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에 정보, 도시에 구비된 도시 시설 정보, 및 도시와 연관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도시 시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A CITY DEVELOPMENT AND OPERATION PLATFORM BASED ON DIGITAL ARTIT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디지털 시티 혹은 스마트 시티의 설계와 운영과 관련된다.
로봇에 의한 자동화 기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의 기술 및 서비스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일반 기업 뿐 아니라 국가 단위까지 포함하는 관련 산업을 적용하고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다.
또한 환경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면서 사회전반적으로 저탄소, 친환경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고, 일례로 수소차,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의 이용을 장려하는 것이 그것이다.
현재 로봇 기술이나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기술은 다양한 기업, 기관들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관련 산업이 비대 해짐에 따라 서로 다른 기업들의 서로 교차되는 영역의 통합 기술, 통합 서비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서비스의 고도화와 다양화를 위해서다. 일반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업 합병이나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복잡한 비즈니스 과정을 거쳐야만 통합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기때문에, 그 서비스 질의 향상이나 고도화의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도시가 주체가 되어 거주민이나 해당 지역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서비스, 인공지능, 빅데이터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시 플랫폼은 다양한 써드 파티와 협력하여 도시 이용자에게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자동화, 디지털화된 도시 생활 및 저탄소 배출을 실현할 수 있는 친환경 도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는 도시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도시에 구비된 도시 시설 및 도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에 정보, 도시에 구비된 도시 시설 정보, 및 도시와 연관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도시 시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시 제어 센터는 자동화 기술, 인공 지능/빅 데이터 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도시 이용자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 및 도시 제어 센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도시 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로봇 대여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팜 관련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차 충전 예약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거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 플랫폼(10)은 대도시의 특성에 맞추어 설계된 자동화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한 디지털 도시 플랫폼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 플랫폼(10)은 특정 도시에 맞춤화 설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도시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10)은 도시제어센터(100), 도시시설(400), 외부 서비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적어도 하나의 도시시설(4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서비스(300)를 통합한 통합 서비스를 도시 이용자(15)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시시설(400)은 도시내 구축된 인프라 시설이나 도시 내에서 사용되는 공공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시설(4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도시시설(4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도시시설(400)에 필요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도시시설(400)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플랫폼(10)은 해당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비스 프로그램 또는 앱 서비스 프로그램(20)(이하, 서비스 프로그램(20))을 운영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15) 소유의 디바이스 그룹(200) 상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상기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그룹(200)은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15)가 소유한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포터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 이용자(15)가 집안이나 사무 공간에 구비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그룹(200)은 도시가 직접 설치해서 운영하는 공공 디스플레이, 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도 3의 공공 디스플레이(417)로 참조될 수 있다.
도시 이용자(15)는 도시 플랫폼(10)이 적용된 도시와 연관된 사람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 이용자(15)는 도시의 거주자를 포함할 수 있다. 거주자에게는 거주지와 관련된 IoT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행정 서비스, 주차 서비스, 친환경 자동차 충전 서비스 등이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시 이용자(15)는 도시의 근로자, 사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나 사업자에게는 비즈니스와 관련된 오피스 임대 서비스, 비대면 원격 회의 서비스 등이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시 이용자(15)는 도시에 방문한 방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에게는 도시 문화 서비스, 교통 서비스, 호텔 예약 서비스 등이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20)은 복수의 프로그램들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 근로자, 및 방문자를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20)은 각각 다른 프로그램들로 구현될 수 있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프로그램(20) 도시와 협약된 써드 파티에 의하여 운영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 및 도시 제어 센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 플랫폼(10)은 도시제어센터(100),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예: 도 1의 디바이스 그룹(200)), 외부 서버(301), 도시시설장치(4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플랫폼(10)의 도시제어센터(100) 외부 서버(301) 및 도시시설장치(401)과 상호 협력하여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시설장치(401)는 도 1의 도시시설(400)과 연관된 디바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시설장치(401)는 도시시설(400)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를 위하여 설치된 디바이스로 일 수 있다. 도시시설장치(401)는 도시시설(4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복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시설장치(401)는 예를 들어, 각종 센서, 카메라, 모니터일 수 있다. 또는 도시시설(400) 자체가 디바이스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도시시설장치(401) 없이 도시시설(400)이 단독으로 도시제어센터(100)와 외부 서버(301)와 상호협력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시 플랫폼(10)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각각의 서비스를 위하여 구비될 수 있는 도시시설장치(40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시제어센터(100)의 통신 대상은 도시시설(400) 또는 도시시설장치(401)로 구분되어 기술되나, 통칭하여 도시시설(400)로 지칭될 수 있다.
외부 서버(301)는 외부 회사의 도 1의 외부 서비스(300)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되는 서버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회사는 도시 플랫폼(10)의 협력 회사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외부 서버(301)에게 로 하여금 도시시설장치(401) 또는 도시시설(400)에 대한 모니터링 또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도록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플랫폼(10)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통신 회로(105), 프로세서(110),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통신 회로(105)를 통하여 외부 서버(301), 도시시설장치(401),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제어센터(100)의 동작은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의 메모리(120)는 도시 이용자 리스트(121)와 도시 시설 리스트(122)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리스트(121)는 도시의 거주자, 근로자, 사업자와 같이 도시에 상주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리스트(121)는 도시 이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예: 아이디, 주민번호)와 거주지 정보, 사업지 정보와 같은 이용자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리스트(121)는 각각의 도시 이용자에게 도시 플랫폼(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이용 권한에 대한 정보(예: 도시 이용자 별 이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시설 리스트(122)는 도시 플랫폼(10)에 의하여 관리되는 시설들에 대한 정보(예: 도시 시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시설 리스트(122)에 포함되는 시설들의 예시들은 이하 도 3을 통하여 후술된다.
도시제어센터(100)의 메모리(120)는 도 1의 서비스 프로그램(20)을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20)은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 서비스 프로그램(123), 및 도시 시설 관리 프로그램(1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서비스 프로그램(123)은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와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의 상호 동작을 정의한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로부터 특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도시 이용자 서비스 프로그램(123)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201)의 구동에 따라 결정되는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201), 외부 서버(301) 또는 도시시설장치(401) 또는 도시시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 시설 관리 프로그램(124)은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와 도시 시설(400) 및 도시시설장치(401)의 상호 동작을 정의한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의하여 요청되거나, 도시시설(400)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필요하다고 미리 정의된 조건이 되면, 상기 도시 시설 관리 프로그램(12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201)의 구동에 따라 결정되는 데이터나 제어 명령을 상기 디바이스(201), 외부 서버(301) 또는 도시시설장치(401) 또는 도시시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서비스 프로그램(123) 및 도시 시설 관리 프로그램(124)을 실행시키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동작들은 외부 서버(301), 도시시설장치(401),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명령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의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도시 플랫폼(1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구동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 플랫폼(10)에서 제공하는 도시 시설(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며, 도시시설(400)과 연관되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모빌리티(mobility)(40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403)는 도시 이용자(15)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빌리티(403)는 자율주행일 지원할 수 있다. 모빌리티(403)는 도시 이용자들의 도시 내 이동을 지원할 수 있고, 도시 이용자들의 물건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모빌리티(403)의 이용을 지원하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흐름도가 예를 들어 도시되었다.
도시 이용자는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를 통하여 도시제어센터(100)에 모빌리티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4001).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를 통해 서비스 프로그램(20)을 구동시키고, 모빌리티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모빌리티 사용 요청은 도시 이용자의 식별 정보와 모빌리티 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 이용 정보는 시간, 출발지, 도착지, 용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로부터 특정 요청을 수신한 경우, 도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요청을 보낸 도시 이용자가 그 요청을 할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 리스트(121)에 포함된 식별 정보 및 권한 정보를 기초로, 식별 정보를 검증하고, 그 요청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전제로, 도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모빌리티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모빌리티 리스트를 검색하고 해당 요청에 대한 특정 모빌리티를 선택할 수 있다(4003). 도시제어센터(100)의 도시시설리스트(122)는 도시 플랫폼(10)에서 운영되는 모빌리티들의 목록과 각각의 모빌리티에 대한 상세 정보(이하, 모빌리티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 리스트 각각의 모빌리티에 대하여 형태(예: 로봇, 승용차, 트럭, 버스), 용도(예: 사람 이동, 물건 이동), 수용 인원수 또는 수용 무게 정보, 이용료 등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모빌리티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모빌리티 사용 요청에 가장 적합한 모빌리티(403)를 선택할 수 있다.
모빌리티(403)가 선택되면, 도시제어센터(100)는 선택된 모빌리티(403)에 이용자 식별 정보와 모빌리티 이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4005). 또한 도시제어센터(100)는 배정 완료 알림을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에 송신할 수 있다(4007). 배정 완료 알림은 배정된 모빌리티(40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를 통해 배정된 모빌리티(403)의 사용을 수락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4009).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은 상기 수락 여부와 결제 정보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이용자는 배정된 모빌리티(403)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배정된 모빌리티에 대한 사용을 수락하지 않고, 다른 모빌리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는 다른 모빌리티의 배정을 요청을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배정된 모빌리티(403)는 모빌리티 이용 정보에 따라 이용 시간에 맞추어 출발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403)의 운행 시작 요청을 모빌리티(403)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모빌리티(403)에 구비된 NFC 센서를 태그할 수 있고,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운행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모빌리티(403)는 도시제어센터(100)로부터 수신된 모빌리티 이용 정보(4005)를 기초로 운행을 진행할 수 있다(4013). 운행이 완료되면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이용자 디바이스(201)로부터 운행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015).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모빌리티(401)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4017).
다양한 실시 에에서, 도시제어센터(100)는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도시시설(400) 또는 도시시설장치(401)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관련 도시시설(400) 또는 도시시설장치(4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시설(400) 또는 도시시설장치(401)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들은 도시 이용자에게 맞추어 고도화될 수 있다.
업데이트 데이터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도시 시설(400)에 대한 설정 변경 정보일 수 있다. 피드백 데이터와 변경해야할 설정 정보는 도시 시설 관리 프로그램(124)에 의하여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는 외부 서버(301)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특정 도시 시설(400)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기 특정 도시 시설(400)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3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서버(301)로 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모빌리티 서비스는 다양한 종류의 모빌리티를 기초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빌리티는 도시의 방문객의 이동 지원하는 자율주행 셔틀,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음식 배송을 위한 배달 로봇, 편의점 등 물류를 지원하는 배송 로봇, 사업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프로그래밍된 식당 셔틀, 건강검진 셔틀, 편의점 셔틀, 브랜드샵 셔틀 등 사업을 보조할 수 있는 모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의 방문객을 위한 도시 탐방 셔틀의 경우라면, 도시의 방문객이 신청한 시간에 맞추어 미리 정해진 코스를 운행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이용자의 개입 없이 도시제어센터(100)에서 모빌리티를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플랫폼(10)에서 도시의 미리 정해진 루트에 따라 물류를 수집하기 위한 화물 셔틀(예: 폐기물 수집 차량, 도시 외로 배송될 물류 수집 차)을 운영하는 경우라면, 자율 주행 트럭이 정해진 루트에 따라 운행되면서 물류를 수집하고, 수집된 물류를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운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스마트 로봇(405)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405)이란 자동화를 위하여 고안된 로봇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 플랫폼(10)은 다양한 용도의 스마트 로봇(405)를 구비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도시에서 구비한 스마트 로봇(405)을 용도에 따라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405)은 호텔, 레스토랑 등 도시의 상업 지구에서 사업자들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내에서 소매업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고객 응대, 음식 서빙 등 단순 반복 업무를 보조할 수 있는 스마트 로봇(405)을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업무가 집중되는 특정 요일이나 시간에 보조 점원으로서 스마트 로봇(405)을 임대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탄력적으로 업장을 운영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 플랫폼(10)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월간 구독료를 지불하는 형식으로 스마트 로봇(405)의 대여를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로봇 대여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의 사업자가 스마트 로봇(405)을 대여하고, 다른 도시 이용자(손님)에게 스마트 로봇(405)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었다.
도시의 사업자는 자신의 디바이스(203)를 통하여 스마트 로봇 대여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요청할 수 있다(5001).예를 들어, 사업자는 디바이스(203)를 통해 서비스 프로그램(20)을 구동시키고, 스마트 로봇의 대여를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 대여 요청은 이용자(도 5: 사업자)의 식별 정보와 스마트 로봇 이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자의 식별 정보는 개인 정보 외에 사업장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 이용 정보는 용도, 장소,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스마트 로봇 대여 요청에 응답하여, 스마트 로봇 리스트를 검색하고 해당 요청에 대한 특정 스마트 로봇을 선택할 수 있다(5003). 도시제어센터(100)의 도시시설리스트(122)는 도시 플랫폼(10)에서 운영되는 스마트 로봇들의 목록과 각각의 스마트 로봇에 대한 상세 정보(이하, 스마트 로봇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 리스트 각각의 스마트 로봇에 대하여 용도(예:음식 서빙, 벨 보이, 캐쉬어), 협력 사업 분야(예: 요식업, 호텔업, 소매업), 이용료 등 스마트 로봇 대여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스마트 로봇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로봇 대여 요청에 가장 적합한 스마트 로봇(405)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405)이 선택되면, 도시제어센터(100)는 선택된 스마트 로봇(405)에 이용자 식별 정보와 스마트 로봇 대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5005). 또한 도시제어센터(100)는 배정 완료 알림을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에 송신할 수 있다(4007). 배정 완료 알림은 배정된 스마트 로봇(405)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자는 디바이스(203)를 통해 배정된 스마트 로봇(405)의 대여를 수락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5009).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은 상기 수락 여부와 결제 정보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이용자는 배정된 스마트 로봇(405)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배정된 스마트 로봇에 대한 대여를 수락하지 않고, 다른 스마트 로봇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자 디바이스(203)는 다른 스마트 로봇의 배정을 요청을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배정된 스마트 로봇(405)은 사업자의 사업장으로 이동하여 체크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로봇(405)은 사업자의 사업장에 배치된 디바이스(205)를 통해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5011). 체크인이 완료되면, 스마트 로봇(405)은 사업자가 요청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405)이 사업장에 방문한 다른 도시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스마트 로봇(405)은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송신할 수 있다(5013).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푸시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서 특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는 스마트 로봇(405)을 특정 서비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5015). 스마트 로봇(405)은 상기 특정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즉시 특정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5017).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가 사업장의 디바이스(205)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라면, 스마트 로봇(405)은 사업장의 디바이스(205)로 상기 특정 서비스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5019). 사업장의 디바이스(205)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즉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5021).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가 “사업장의 음악 볼륨을 낮추어 달라.”, “온도를 조절하여 달라.”와 같은 요청을 한 경우 사업장에 구비된 디바이스를 통하여 음악 볼륨을 조절하거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마트 로봇(405)의 서비스 처리 상황을 사업장의 디바이스(20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5)가 스크린을 구비한 경우, 스마트 로봇(405)의 처리 현황을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 로봇(405)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면, 사업자와 도시 이용자 모두로부터 스마트 로봇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5023,5025).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로봇(405)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5027).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스마트 팜(407)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팜(407)은 농작물을 심는 과정부터, 양육, 재배, 포장, 배송, 판매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한 농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 플랫폼(10)은 도시 내의 스마트 팜들을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스마트 팜(407)을 관리할 수 있는 외부 업체와 협업하여 스마트 팜(407)을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외부 업체의 외부 서버(3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협력하여 스마트팜(407)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팜(407)에는 스마트팜(407)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407-1)가 설치될 수 있다. 관리 장치(407-1)는 예를 들어, 방수 IP 카메라, 자동 관수 장치, 전열 교환기, 환기 장치, IoT 원격 온습도 관리 모니터링, CO2 센서, 센서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팜(407)은 지상 야외형 일반 농지 및 지상 건물형 농장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1)와 도시제어센터(100)는 관리 장치(407-1)를 이용하여 스마트팜(407)의 작물의 양육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 플랫폼(10)은 도시 이용자에게 스마트 팜(107)을 분양하고, 원격 관리 해주는 스마트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팜 관련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팜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6001). 도시제어센터(100)의 도시시설리스트(122)는 도시 플랫폼(10)에서 운영되는 스마트팜들의 목록과 각각의 스마트팜에 대한 상세 정보(이하, 스마트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팜 리스트는 각각의 스마트 팜에 대하여 위치, 해당 위치의 기후, 여건 등의 환경 정보, 재배 작물, 소유자 등 스마트팜 관련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스마트팜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신규 정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 이용자는 스마트팜(407)을 분양받을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를 통해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분양 가능한 스마트팜 리스트를 조회하고, 예를 들어 특정 A 스마트팜에 대한 분양 신청을 할 수 있다(6003). 이 때, 이용자는 A 스마트팜(407)에 대한 이용료를 결제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의 분양 신청을 수락하고 이용자의 분양 정보를 스마트팜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6005). 도시제어센터(100)는 외부 서버(301)에도 A 스마트 팜(407)에 대하여 소유자가 등록되었음을 알리고, 관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6007). 관리 요청은 스마트팜 식별 정보, 도시 이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팜 분양단계는 예를 들어 동작 6001 내지 6007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분양이 완료되면 도시 이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팜에 대한 관리 정보 조회, 재배, 배송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1)는 스마트팜 관리 장치(407-1)를 통하여 스마트팜(407)을 원격관리할 수 있다(6009). 외부 서버(301)는 관리 정보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6011). 도시제어센터(100)는 수신된 관리 정보를 반영하여 스마트팜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를 통해 도시제어센터(100)에 자신의 A 스마트팜(407)에 대한 관리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6013).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팜(407)에서 작물의 재배가 완료된 경우 외부 서버(301)는 농작물이 수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1)는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스마트 로봇(405)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수확된 농작물은 도시제어센터(100)의 물류 센터(409)(이하, 도 7을 통하여 후술)에 보관될 수 있다.
스마트팜(407)에서의 수확이 완료되면, 외부 서버(301)는 수확 정보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수확 정보는 수확량, 농작물 보관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스마트팜(407)에게 수확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6017).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에 의하여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의 팝업 메시지를 통하여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송 또는 판매를 신청하는 요청을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6019).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이용자의 신청 요청을 외부 서버(301)에 전달하고(6021), 외부 서버(301)는 도시제어센터(100)와 스마트팜 관리장치(407-1)와 상호협력하여 상기 신청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6023). 예를 들어, 상기 요청이 배송 신청인 경우, 외부 서버(301)는 물류 센터(409)에서 도시 이용자의 거주지로 수확된 농작물을 배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상기 요청이 판매 신청인 경우, 도시제어센터(100)는 농작물의 구입을 원하는 구입자와 상기 도시 이용자의 판매를 매칭시켜 매매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의 신청 요청이 모두 처리되면 도시제어센터(100)는 처리 결과를 디바이스(201)로 전달할 수 있다. 처리 결과는 예를 들어, 배송 관련 정보와 배송 완료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처리 결과는 판매 관련 정보와 판매 대금 납부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 대금은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가 납부해야 할 공과금에서 공제될 수 있고, 도시 이용자가 미리 등록한 계좌에 입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물류 센터(409)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센터(409)는 도시 전체의 물동량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로 이해될 수 있다. 물류 센터(409)에서는 도시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inbound / outbound) 모든 물동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물류 센터(409)는 스마트 로봇(405)과 모빌리티(403)를 활용하여 도시 내의 가정, 업체, 상가 등에 무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류 센터(409) 내의 상하차 절차는 스마트 로봇(405)을 통해 자동화될 수 있다. 물류 센터(409) 내에는 상기 자동화를 위한 시각 센서, 코디 인식 장치,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물류 센터(409)를 관리할 수 있는 외부 업체와 협업하여 물류 센터(409)를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외부 업체의 외부 서버(3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협력하여 물류와 관련된 서비스를 도시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시 이용자는 도시 플랫폼(10)에서 제공하는 물류 서비스를 통하여 물류 배송을 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를 통하여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물류 예약 신청을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7001). 물류 예약 신청은 물품 정보, 출발지, 배송지, 발신인, 수신인과 같은 배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외부 서버(301)로 상기 물품 정보,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7003). 외부 서버(301)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물류를 수거할 스케쥴과 물류 비용을 결정하고 해당 정보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송신할 수 있다(7005).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디바에스(201)에 물류 수거 스케쥴 정보와 상기 비용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7007). 물류 배송 예약 단계는 예를 들어 동작 7001 내지 7007 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류 예약이 완료되면 외부 서버(301)는 물류 센터(409) 내의 스마트 로봇(405), 모빌리티(403)에 물품 정보와 배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수거 스케쥴, 수거 루트에 따라 모빌리티(403)가 제품을 물류 센터(409)로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스케쥴에 따라서 모빌리티(403)는 목적지로 물류를 배송할 수 있다(7015). 이 때 스마트 로봇(405)이 모빌리티(403)로의 상하차를 진행하게 된다(7013). 물류 센터(409)에서 모빌리티(403)는 예를 들어, 무인 지게차, 무인 배송 트럭, 배송 로봇일 수 있다.
배송이 완료되면, 배송을 담당한 모빌리티(7015)는 외부 서버(301)에 배송 완료 알림을 전송한다(7017). 외부 서버(301)는 도시제어센터(100)로,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로 배송 완료 안내를 전송한다(7019, 7021).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를 포함할 수 있다.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는 전기, 수소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플랫폼(10)에 설치된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에 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는 도시제어센터(100)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의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의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각 충전소의 검색, 이용, 결제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도시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의 현재 이용 현황, 남은 시간과 같은 실시간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도시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차 충전 예약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8001).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로부터 충전소 예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8003). 충전소 이용 요청은 도시 이용자의 차종 정보, 예약 희망 시간, 현재 위치 또는 출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충전소 이용 요청에 응답하여, 충전소 리스트를 검색하고 해당 요청에 대한 특정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8005).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이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출발 위치로부터 충전소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약 희망 시간에 충전소의 충전 가능여부가 가능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선택한 충전소 관련 정보와 도시이용자의 위치로부터 충전소 까지의 경로 정보를 도시이용자 디바이스(201)에 전송할 수 있다(8007). 다른 예에서,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거리순으로 가까운 정렬한 충전소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소 관련 정보는 충전소 위치, 충전 예약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는 선택된 충전소 또는 복수개의 충전소 중에서 원하는 충전소를 선택하고 예약을 확정할 수 있다(8009).
도시제어센터(100)는 예약자인 도시 이용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예약 정보를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로 전송할 수 있다(8011).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는 예약된 시간에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에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8013). 디바이스(201)는 체크인 시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0)로 도시 이용자의 식별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는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미리 예약한 정당한 이용자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충전이 시작되면, 도시제어센터(100)는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로부터 실시간 충전 현황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8015),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는 해당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8017).
충전이 완료되면,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는 충전 완료 알림을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8019). 상기 충전 완료 알림은 충전 용량 정보,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충전 완료 알림에 응답하여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로 충전 용량 정보 및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8021). 도시 이용자는 서비스 프로그램(20)내에서 바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해당 결제 금액을 공과금과 함께 추후에 납부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이용자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도시 플랫폼(10)내의 친환경 에너지 충전소(411)를 검색하고, 이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친화경 에너지 충전소(411)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예상 대기시간이나 예상 대기자 수에 관한 정보를 도시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이를 기반으로 가장 예상 대기시간이 적은 충전소를 추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에너지 생산 설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생산 설비(412)는 도시의 거주자가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태양광 설비, 풍력 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에너지 생산 설비(412)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시제어센터(100)는 에너지 생산 설비(412)와 직접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거나,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제어센터(100)는 에너지 생산 설비(412)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에너지 생산 설비(412)를 통해 생산된 에너지를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에너지 거래 서비스는 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거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시 이용자 A가 자신이 소유한 에너지 생산 설비를 통해 생산한 에너지를 도시 이용자 B에게 판매하는 시나리오가 예를 들어 기술되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A의 에너지 생산 설비(412)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9001).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생산된 전력량, 전력의 생산 속도, 전력 사용량과 같은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A는 디바이스(201)를 통하여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자신의 에너지 생산 설비(412)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9003).
도시 이용자 A는 디바이스(201)를 통하여 생산된 전력에 대한 판매 요청을 도시제어센터(100)에 송신할 수 있다(9005). 전력 판매 요청은 판매할 전력량 정보, 판매할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B의 디바이스(207)가 도시제어센터(100)에 전력 구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9007). 판매 요청과 구매 요청은 도시제어센터(10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에너지에 대한 판매, 구매 요청을 게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제어센터(100)는 판매 요청과 구매 요청을 매칭시키고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9009).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 A의 판매 요청과 도시 이용자 B의 구매 요청이 서로 부합되는 경우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플랫폼(10)에 미리 구비된 인프라를 통해 에너지 생산 설비(412)에 축적된 에너지를 수집하고, 도시 이용자 B가 사용을 원하는 용도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거래가 매칭된 경우,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A 디바이스(201), 도시 이용자 B 디바이스(207) 모두에게 거래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 B 디바이스(207)는 도시제어센터(100)에 대하여 구매금을 결제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구매대금에서 수수료를 제외한 수익 금액을 정산 할 수 있다(9013). 도시제어센터(100)는 수익금을 도시 이용자 A에게 지급하고, 도시 이용자 A의 디바이스(201)에 수익금 지급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9015). 에너지 생산 설비(412)를 운영하는 도시 이용자는 실시간으로 에너지 판매 현황이나 수익 현황을 디바이스(201)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이용자는 친환경 차량의 충전된 전기를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양방향 전기/수소차 충전 기술을 통해 전력망으로부터 전기차를 충전해 주행한 후, 남은 전기를 다시 전력망으로 송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비교적 수요가 적은 심야 시간대에 전력을 구매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력 수요가 많은 피크 시간대에 전력을 되팔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은 도시 플랫폼(10)에 설치된 공원이나 기타 자연 시설에 대하여 환경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모니터링 결과 수집된 생태환경정보를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은 환경 시설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RGB 카메라, IR 카메라, 시각센서, 온습도 센서, 방사능 검출 센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 검출 센서(CO2, CO, VOCs), 오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은 모니터링 결과 이상 징후가 확인될 경우 도시제어센터(1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은 도시 내 설치된 시각 센서, 대기 센서, 공기 센서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미세먼지 감지 기기와 같은 고도의 전문 기기는 고층 빌딩의 옥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는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청결이나 위생 수준을 결정하고, 방역 소독과 같은 특정 조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치가 필요한 공간이 발견된 경우, 도시 환경 관리 시설(413)은 해당 정보를 도시제어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디지털 교육 시설(4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제어센터(100)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하여 도시 거주민 전용의 교육 섹터를 운영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20)은 디지털 교과서 및 컨텐츠, 출석 관리, 화상 교육을 학교 시스템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프로그램(20)은 장애 학생들을 위한 특수 교육 컨텐츠를 전자 점자책, 소리 북 등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학생들은 디바이스(201)로서 학습 전용 테블릿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공공 디스플레이(4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 플랫폼(10)의 도시 내의 공공장소, 상업공간 등에 공공 디스플레이(417)가 설치될 수 있다. 공공 디스플레이(417)는 예를 들어, 월 스크린, 대형 전광판일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공공 디스플레이(417)를 통하여 정보와 광고 등의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도시제어센터(100)는 공공 디스플레이(417)를 통하여 미디어아트 전시, 도시갤러리를 주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공공 디스플레이(417)에 카메라와 블루투스/비콘 등의 보조 장치들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보조장치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앞의 도시 이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예: 성별, 나이, 구매패턴)를 기초로 맞춤형 콘텐츠를 공공 디스플레이(417)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공공 디스플레이(417)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LED, LCD 전광판일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상기 전광판을 통해 도시경관을 재현하는 조명 패턴을 표출하여 도시의 랜드마크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도시제어센터(100)는 계절, 시간대, 날씨, 온도 등을 고려하여 다이나믹 미디어 컨텐츠를 공공 디스플레이(417)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을 은 도시 플랫폼(10) 내에서 운행되는 대중 교통(예: 택시, 자율주행 버스, 무인드론)과 공공 모빌리티 (예:자전거, 전동 킥보드)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이에 대한 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서버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와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은 도시 이용자가 대중 교통이나 공공 모빌리티를 이용할 때,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이용 금액을 자동으로 결제되도록 하고, 환승 여부도 체크하여 요금에 할인을 적용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대중 교통이나 공공 모빌리티의 실시간으로 위치와 예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이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입력하면, 도시제어센터(100)와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은 상호 협력하여 최적의 교통 수단 및 환승 정보, 소요시간과 금액 정보를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은 도시 플랫폼(10) 내의 도로에 대한 교통 정보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은 도시 지상, 지하의 도로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시각 센서를 통해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은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응급 차량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급차, 소방차와 같은 응급 차량이 이동할 경우, 해당 응급 차량이 향하는 사고 현장이나 수송 목적지를 판단하고, 해당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이동 경로를 기초로, 응급 차량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신호체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차량의 이동 정보'를 인근 도로의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는 교통량이 많아 교통체증이 발생한 구간을 발견한 경우, 해당 구간의 차량 물동량을 계산하고,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신호체계를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야간이나 교통량이 적은 시간대이거나 그러한 구간이 발견된 경우, 예를 들어, 최소의 신호 대기로 통과하도록 지원하여(예: 새벽 3시 신호 대기 3분씩 하지 않도록) 도로의 실시간 상황에 따라 플렉서블한 신호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은 미리 지정된 상황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교통 시스템(419)이 1차선에 버스, 밴 등 다인승 차량이 아닌 승용차나 트럭 등이 일정 시간 이상 주행하는 것을 감지할 경우(예:긴급한 목적이 아닌 빠른 통과를 위해 3분 이상 주행)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를 도시제어센터(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차량 번호를 기초로 해당 차량의 주인인 도시 이용자에게 실시간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시설(400)은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은 사람이 쓰러지는 모션, 사람의 관절 좌표값 등을 AI가 학습하여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센서, 사전에 학습한 위급 음성(예: 살려줘, 살려주세요, 으악)을 인지할 수 있는 음성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체온을 실시간 측정, 기준치 이상의 고온을 감지하는 열화상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은 시각 센서가 포함된 CCTV 를 통하여 안면 인식, 범죄상황인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은 센서가 설치된 스마트폴(가로등)을 통하여, 도시내 도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범죄 발생 현황이 탐지하거나 위험 인물이나 객체가 인지된 경우 도시제어센터(100)에 이를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은 도시 내에서 사용자가 쓰러지거나 위급상황을 외칠 경우에, 이를 인식하고 도시제어센터(100)에 통보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응급상황에 맞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은 도시 특정 구역에 대한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건물에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입장할 경우, 안면 인식 센서 등을 통해 침입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 안전 관리 시설(421)은 도시제어센터(100)에 이를 통보하고, 도시제어센터(100)는 건물의 입장 시설을 제어하여 침입자의 입장을 저지하거나 건물의 보안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침입 감지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이나 특정 구역에 경계면을 미리 설정하고, 감지 센서(예: 마이크로웨이브, PIR, 정전식, AIR 감지기)를 통하여 해당 경계면에 대한 침입이 감지된 경우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건물이나 특정 구역에 물리적인 펜스를 설치하고, 펜스에 장력이나 진동으로 발생하면 이를 감지 센서(예: 마이크로폰, 광섬유, 장력, 진동, 지진파 센서)가 감지하여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특정 구역의 땅 속에 센서를 매립하여 설치하고, 이곳을 밟고 지나가는 경우 침입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시 안전 관리 시설(412)은 도시 이용자에게 보급되는 RFID, 스마트 워치, 활동 센서, 도시 이용자의 공간 내의 동작 감지 센서, 전동 휠체어, 스쿠터와 같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도시 이용자 중 치매노인, 어린이,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가 착용한 RFID나 전용 단말기(예: 스마트 워치)를 인식하고,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지정된 지역을 이탈시 보호자에게 통보하고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노약자 안전 상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약자가 착용한 활동 센서, 노약자의 생활공간에 설치된 동작감지센서 및 응급호출장비를 통해 노약자의 낙상, 무동작과 같은 응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응급 상황이 감지된 경우 신속하게 구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노약자의 이동을 지원하는 전동휠체어, 스쿠터에 부착된 단말(예: 도시 이용자 디바이스(201))을 통해 주행 경로 안내, 응급 호출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가 독거 노인인 경우 거주지 내에 설치된 센서 장비를 통하여 24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제어센터(100)는 독거 노인의 거주지 내의 가스 누출, 화재발생 감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위급상황이 감지된 경우 119 상황실에 위급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 이용자의 스마트폰이 디바이스(201)의 예시로 도시 되었다. 도시 이용자는 디바이스(201)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시 이용 서비스(1001)는 예를 들어, 도시 소개 서비스, 교통 호출 서비스, 도시 문화 시설 예약 서비스, 호텔/게스트하우스 예약 서비스, 오피스 공간 예약, 의료 센터 예약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특정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시제어센터(100)는 서비스 이용 이력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거주자 서비스(1003)는 도시의 거주자로 등록된 도시 이용자에게 노출되는 메뉴일 수 있다. 거주자 서비스(1003)는 예를 들어, 홈 IoT 관리 서비스, 홈 에너지 관리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공과금 납부 서비스, 주차 서비스, 친환경차 충전 예약 서비스, 도시 시설/서비스 예약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홈 IoT 서비스는 도시 이용자의 거주지에 구비된 각종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제어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이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통해 집안의 온도, 습도, 공기질 등 상태를 확인 할 수 있고, 조명, 난방, 에어컨, 드레서, 냉장고, 공기청정기 등 스마트가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전자 기기들에 대한 개인화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장 모드로 바꿔줘'의 명령에 대해 TV와 스피커가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외출 할거야' 라는 명령에 대해 집안의 전자 기기들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홈 에너지 관리 서비스는 도시 이용자의 거주지 내에 에너지에 관련한 통합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홈 에너지 관리 서비스는 거주지 의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시설에 설치된 IoT 센서 및 보안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홈 에너지 관리 서비스는 분석 결과를 기초로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추천하거나, 직접 에너지 시설을 제어하여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커뮤니티 서비스는 도시 이용자의 주거단지 내 공지 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 단지 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통해 음성으로 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거주자는 주거 단지에서 발생한 하자 신고 접수, 주거 단지 내 시설 안내, 주거 단지의 전자 투표, 방문 차량 신청 등을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공과금 납부 서비스는 도시가스, 전기, 수도 이용 내용 정보를 서비스 프로그램(20)을 통해 제공하고, 도시 이용자로 하여금 공과금을 쉽게 납부하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과금 납부 서비스는 도시 이용자의 물류 서비스 이용료, 모빌리티 이용료 등을 공과금과 함께 청구할 수 있다.
주차 서비스는 도시 이용자의 거주지, 또는 상업 공간의 주차장의 주차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 플랫폼(10)내의 주차 시설, 주차 공간에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 이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 한 경우, 주차 서비스는 도시 이용자의 디바이스(201) 또는 주차장에 구비된 공공 디스플레이 인입 시 사용자 모바일앱 메시지 또는 주차장 입구 디스플레이(417)를 통해 주차 공간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서비스는 거주 공간에 가장 가까운 주차 공간을 추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서비스는 현재 위치로부터 주차 공간 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친환경차 충전 예약 서비스는 도 8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 이용자의 거주 단지 내 주차장에 설치된 수소/전기 차량 충전 공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 시설/서비스 예약 서비스는 도시 내의 음식점, 수영장, 세탁소, 게스트 하우스와 같은 서비스 시설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1005)는 도시의 근로자 또는 사업자로 등록된 도시 이용자에게 노출되는 메뉴일 수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1005)는 예를 들어, 비대면 화상 회의 서비스, 원격 협업 서비스, 모바일 오피스 대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 화상 회의 서비스는 도시 플랫폼(10)내에 서로 다른 위치에 근무하는 근무자끼리 각각의 오피스 공간에 설치된 TV화면 또는 개인 PC, 태블릿, 모바일앱을 통해 화상 및 음향 시설을 이용한 회의를 지원할 수 있다.
원격협업 서비스는 도시 내의 근무자들 사이에  자유롭고 안전하게 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공동 작업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 문서 작업, 자료 저장 및 공유가 가능하게 된다.
모바일 오피스 대여 서비스는 도시 플랫폼(10) 내의 근로자가 가용한 업무 공간에 검색, 예약, 이용, 결제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시 맵 서비스(1007)는 도시 플랫폼(10)내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 등의 장비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시 맵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맵 서비스(1007)는 미터 단위의 초고화질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 이용자는 도시 맵 서비스(1007)를 통해 도시 전반, 상가, 각종 시설을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시제어센터(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120))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도시제어센터(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도시에 구비된 도시 시설 및 도시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에 정보, 도시에 구비된 도시 시설 정보, 및 도시와 연관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도시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도시 시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로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도시 시설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도시 시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시 시설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시 시설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처리 결과 정보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시 시설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시 시설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200142801A 2020-10-30 2020-10-30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KR20220057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801A KR20220057787A (ko) 2020-10-30 2020-10-30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801A KR20220057787A (ko) 2020-10-30 2020-10-30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87A true KR20220057787A (ko) 2022-05-09

Family

ID=8158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01A KR20220057787A (ko) 2020-10-30 2020-10-30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7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89254A (zh) * 2022-12-30 2023-02-03 中交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服务平台
CN115880113A (zh) * 2022-11-24 2023-03-31 浙江省通信产业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乡村综合治理的数字化管理系统及管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0113A (zh) * 2022-11-24 2023-03-31 浙江省通信产业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乡村综合治理的数字化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15689254A (zh) * 2022-12-30 2023-02-03 中交路桥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服务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823B2 (en) Multifunctional interactive beacon with mobile device interaction
US20210039930A1 (en) Overriding control of motorize transport unit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07155407A (zh) 用于交互式光传感器网络的应用框架
US99968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gather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ssets
ES2601903T3 (es) Sistema de localización de aparcamiento que incluye identificadores de vehículo y de usuario
US20170323227A1 (en) System for managing parking spa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er vision
KR101265456B1 (ko)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2088680B (zh) 基于有线和无线传感网络的通用移动通信系统
US20170337528A1 (en) Apparatus for Managing Transaction Settlement
CN108765766A (zh) 一种智慧式无人果蔬产品运售车及共享系统及商业模式
CN108667702A (zh) 用于设有智能传感器的住家的安全的装置、方法和关联的信息处理
WO2001027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in a wide-area facility having a distributed, bounded environment
KR20220057787A (ko) 디지털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도시개발 및 운영 플랫폼
US10826763B2 (en) Portable outdoor construction site data center
CN109032139A (zh) 智慧式自动跟随学生箱包及其控制系统和商业模式
JP2003241833A (ja) 移動型ロボットによる情報配信サービス及び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30090207A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US20150371167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ooperative network of businesses
CN107852131A (zh) 智能太阳能瓦片网络
CN111210316A (zh) 基于物联网的新型购物模式和模块化物联网购物车系统
EP4006810A1 (en) Multifunctional interactive beacon and management system
CN109034702A (zh) 一种智慧式无人五金建材运售车、共享系统及商业模式
KR102340374B1 (ko)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레저차량의 컨트롤시스템
CN108765773A (zh) 智慧式无人小型植物、宠物运售车及商业模式
JP2017016610A (ja) 集合住宅施設の入居者等及び設備等の総合監視警備連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