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706A -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 Google Patents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706A
KR20220057706A KR1020200142638A KR20200142638A KR20220057706A KR 20220057706 A KR20220057706 A KR 20220057706A KR 1020200142638 A KR1020200142638 A KR 1020200142638A KR 20200142638 A KR20200142638 A KR 20200142638A KR 20220057706 A KR20220057706 A KR 2022005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ing
ceramics
picture
glaze
fir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3618B1 (en
Inventor
박광천
Original Assignee
박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천 filed Critical 박광천
Priority to KR102020014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6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5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6Specific sintering techniques, e.g. centrifugal sintering
    • C04B2235/661Multi-step sin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and a firing method. The drawing method includes: a first firing step of manufacturing pottery and then preliminary firing it; a second firing step of applying a mat glaze to the pottery after the preliminary firing step and then firing it; a drawing step of applying a pigment composition to a painting tool after the second firing step and then drawing pictures on the surface of the pottery; and a tertiary firing step of applying glaze to the dried pictures after the drawing step and then firing it.

Description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본 발명은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nting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도자기 표면에 문양을 표현하기 위하여, 붓이나 붓과 유사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자기 표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안료가 점착된 전사지를 이용하여 인쇄된 문양을 도자기 표면에 전사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은 크게 상회방식과 하회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회방식은 초벌구이 후 유약을 도포한 후 유약 위에 그림을 그린 후 마무리 소성하는 과정을 거치고, 하회방식은 초벌구이 후 유약을 도포하기 전에 초벌기물에 그림을 그린 후 유약을 도포하여 마무리 소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각 방식은 도자기 기물의 점토 원료의 성질과 그림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 안료 및 유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In general, to express patterns on the surface of ceramics, you can use a brush or a tool similar to a brush to draw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s, or transfer the printed patterns to the surface of the ceramics using transfer paper with pigments. there is. The method of painting on ceramic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upper-level method and the lower-level method. In the upper method, after unglazing, the glaze is applied, a picture is painted on the glaze, and the final firing process is carried out. . Each metho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the clay raw material of the pottery, the intention to express the picture, and the pigment and glaze.

다만, 기존의 상회방식의 단점은 유약을 도포한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리다 보니 안료와 반응이 잘 되는 성질의 유약이 도포된 경우 작가가 의도한 그림 그대로 안료가 기물 표면에 도포되어 있지 않고 유약에 의해 왜곡(번짐, 지워짐 등)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기존의 하회방식은 초벌 도자기 기물에 그림을 먼저 그려 안료가 도자기 기물에 흡수된 후에 유약을 도포하므로 위의 상회방식에서의 번짐 지워짐 등의 단점은 없으나 그림 위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게 되므로 유약이 그림을 덮는 모양새가 되어 안료가 유약을 뚫고 밖으로 선명하게 표현이 되지 못해 전체적으로 그림이 탁하고 빛 바랜 느낌이 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above method is that after applying the glaze and drawing on it, if a glaze with a property that reacts well with the pigment is applied, the pigment is no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as the artist intended.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tortion (smearing, erasing, etc.) The conventional lower-level method does not have disadvantages such as smearing and erasing in the above method because the painting is first drawn on the rough ceramic object and the glaze is applied after the pigment is absorbed into the ceramic object. As it is in the shape of covering the glaze, the pigment penetrates the glaze and cannot be clearly expressed outside, so the overall picture looks cloudy and faded.

이에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상회와 하회의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도자기 표면에 그림을 매우 선명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발명하게 되어,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ame to invent a method of expressing a picture very clearly on a ceramic surface that compensated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upper and lower methods through numerous experiments and studies, leading to the proposal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국특허 제 10-1138140호(공개일자: 2012.4.23., 발명의 명칭: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Korean Patent No. 10-1138140 (published on: April 23, 2012, title of invention: painting method of ceramics)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한, 도자기의 표면에 보다 선명하게 그림이 표현되는 도시 및 소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wing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expressed more clearly on the surface of ceramics, which compensates for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도자기 기물을 제조한 후 초벌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상기 초벌 소성 단계 이후 도자기 기물에 매트(matt)유약을 도포한 후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상기 2차 소성 단계 이후 그림 도구에 안료조성물을 적용하여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 및 상기 그림 도시 단계 이후 그림이 건조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firing step of primary firing after manufacturing a ceramic object; a secondary firing step of firing after applying a matt glaze to the ceramics after the rough firing step; A picture showing step of drawing a picture on the surface of a ceramic object by applying a pigment composition to a picture tool after the second firing step; And after the figure showing step, after the figure is dried, it provides a picture above and a firing method in which the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the porcelain, including a third firing step of applying a glaze and firing.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Additional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part in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and in part will be readily ascertained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do not limit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을 선명하게 도시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은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매우 선명하고 입체적이며 사실적인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and fir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a picture on ceram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ress a very clear, three-dimensional and realistic pi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블록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그림 도시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단계에서 최적 온도의 경우와 최적 온도가 아닌 경우의 기물과 그림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3차 마무리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0 및 11은 종래의 하회/상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정확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1 is a block flow diagram of the above illustration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first low-temperature prime firing step of the above-illustrated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of the above illustration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figure showing step of the above-mentioned drawing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the state of the object and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he case where the picture is not at the optimum temperature in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of the above-illustrated and firing method in which the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the ceram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third finishing firing step of the above illustration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comparing the clarity of the drawings of the ceramics by the conventional Hahoe technique and the ceramics by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drawings surrogate pictures comparing the clarity/accuracy of the drawings of the ceramics made by the conventional lower/higher technique and the ceramics made by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블록 순서도이다.1 is a block flow diagram of the above illustration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은 1차 초벌 소성 단계(S100),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00), 그림 도시 단계(S300), 3차 마무리 소성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bove illustration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rough firing step (S100),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S200), the figure shown It may include a step (S300) and a third finishing firing step (S4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first low-temperature pre-firing step of the above-illustrated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차 초벌 소성 단계(S100)는 1차 소성 단계,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primary firing step ( S100 ) may be used synonymously with the first firing step and the first low temperature prime firing step.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초벌 소성 단계(S100)는 도자기 기물을 제조하는 도자기 제조 단계(S110), 1차로 상온(20-25℃)에서 기물을 반 건조시키는 반 건조 단계(S120), 도자기 기물의 하부의 굽을 깎는 굽 깎기 단계(S130) 및 2차로 상온에서 도자기 기물을 완전 건조하는 완전 건조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first rough firing step (S100) is a ceramic manufacturing step (S110) of manufacturing a ceramic object, a semi-drying step of semi-drying the object at room temperature (20-25 ° C) first (S120), It may include a heel-shaving step (S130) of shaving the lower part of the ceramic object and a second complete drying step (S140) of completely drying the ceramic object at room temperatu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of the above illustrated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그림 도시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figure showing step of the above-mentioned drawing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단계에서 최적 온도의 경우와 최적 온도가 아닌 경우의 기물과 그림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5 to 7 show the state of the object and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he case where the picture is not at the optimum temperature in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of the above-illustrated and firing method in which the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the ceram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00)는 매트(matt)유약 시유 단계(S210) 및 정착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00)는 2차 소성 단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도시 단계(S300)는 도시용 안료조성물을 마련하는 안료 마련 단계(S310) 및 도자기 기물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 S200 ) may include a matt glaze application step ( S210 ) and a fixing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 S220 ). The second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S200 may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second firing step. Next, as shown in FIG. 4 , the picture showing step ( S300 ) may include a pigment providing step ( S310 ) of preparing a pigment composition for illustration and a picture showing step ( S320 ) of showing a picture on a ceramic object.

매트(matt)유약 시유 단계(S210)는 광택이 없는 거친 질감이 나는 유약을 시유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무광택의 매트 유약이 사용되는 이유는 광택이 나는 광택유에 비하여 덜 매끄럽고 거친 성질이 있어 후술하는 그림 도시 단계에서 그림을 도시하는 데 더 좋은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In the matt glaze application step (S210), the process of applying a glaze having a rough texture without gloss may be performed. The reason why matte matte glaze is used is that it has less smooth and rough properties than glossy luster, and thus shows better characteristics for drawing in the painting stage described later.

정착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20)는 후술하는 그림 도시 단계(S300)에서 그림이 도시되는 경우 안료가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정착이 잘 되도록 그 정착성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정착성을 극대화하는 정착 최적 온도의 조건은, 소성 진행 시의 그 최고 온도가 1065 내지 1075 ℃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ixing optimum temperature firing step (S220) may be performed under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s to maximize the fixing property so that the pigment is well fix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object when a picture is shown in the picture showing step (S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dition of the optimum fixing temperature for maximizing the fixing property is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during firing is 1065 to 1075°C.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소성 온도의 최고 온도가 1065℃ 이하인 경우 도자기 기물(100)의 표면에 도포된 유약(200)이 제대로 액체화 되지 않으므로 유약 분말이 도구(T)의 브러쉬에 묻어나오게 되고, 안료조성물(30)이 유약(200)에 뒤엉켜 버리게 되어 작가가 의도한 그림이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firing temperature is 1065° C. or less, the glaze 200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ramic object 100 is not liquefied properly, so that the glaze powder is smeared on the brush of the tool T. , and the pigment composition 30 is entangled in the glaze 200, so the painting intended by the artist may not be expressed.

이와는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소성 온도의 최고 온도가 1075℃ 이상인 경우 유약(200)이 액체화 후 과냉각되는 정도가 표면 코팅 유리질을 형성할 정도로 진행되어, 이에 그림을 그리게 되면 안료조성물(50)이 도자기 기물(100)에 스며들지 못하게 되고 유리화된 유약(200)의 표면에 머무르게 되므로 이 후 여기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가 진행되는 경우 역시 그림이 번지거나 지워지는 등 의도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when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firing temperature is 1075° C. or higher, the degree of supercooling after liquefaction of the glaze 200 progresses to such a degree that the surface coating glass quality is formed. 50) does not permeate into the ceramic object 100 and stays on the surface of the vitrified glaze 200, so when the third firing step of firing the glaze is performed thereafter, the picture is also smeared or erased, etc. It may not be expressed as intended.

본 발명자는 온도 조건을 미세하게 조정하며 수십수백차례 실험을 진행한 결과 2차 소성 온도 조건이 최고온도 1065 내지 1075℃인 경우에 안료조성물(50)이 도자기 기물(100)에 잘 스며들게 되어 이 후 3차 소성 단계가 진행된 후의 결과물에서 그림이 매우 선명하게 표현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온도 조건 하에서 유약(200)은 그 과냉각정도가 유리질을 형성하지 않을 정도로 진행될 수 있다. 유약(200)이 그 원료들이 함께 혼합된 고체분말의 형태에서 액체화 된 후 과냉각이 진행되면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하게 되는 유리질을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유리질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으면서 고체분말이 묻어나오지 않는 정도로 과냉각이 진행된 상태가 안료조성물(50)이 도자기 기물에 잘 흡수되어 정착되는 최적의 상태인 것으로 파악을 하였다. 이 정도의 과냉각정도를 유리질이 완전히 형성된 상태의 과냉각정도를 100%로 기준 잡아 70 내지 80%로 정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 finely adjusts the temperature condition and conducts experiments several tens or hundreds of times. As a result, when the secondary firing temperature condition is the highest temperature of 1065 to 1075 ° C., the pigment composition 50 is well permeated into the ceramic object 100, In the result after the 3rd firing step, it was confirmed that the picture was expressed very clearly. An explanation for this is shown in FIG. 6 . As shown in FIG. 6, under this temperature condition, the glaze 200 may proce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degree of supercooling does not form a glassy substance. When the glaze 200 is liquefied in the form of a solid powder in which the raw materials are mixed together, and supercooling proceeds, a glassy material that smoothly coats the surface can be formed. It was determined that the state in which the supercooling has progressed to such an extent is the optimal state in which the pigment composition 50 is well absorbed and settled in the porcelain object. This degree of supercooling can be defined as 70 to 80% by taking the supercooling degree in a state in which glass is completely formed as 100%.

안료조성물은 색 안료와 투명유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색 안료에 대한 투명유약의 중량비는 대략 10:1.5 내지2 로서 이를 환산하면 15 내지 20:3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색 안료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도구(T)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 안료의 균일한 도포를 돕고 보다 매끄러운 그림이 그려질 수 있도록 투명유약을 상기의 비율로 색 안료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유약은 산화인(P2O5)을 투명유약 전체 중량 대비 15중량%이상 포함하고 산화철(Fe2O3)을 투명유약 전체 중량 대비 1중량%이하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igment composition may include a color pigment and a transparent glaze. The weight ratio of the transparent glaze to the color pigment is approximately 10:1.5 to 2, and if converted, it may be composed of 15 to 20:3. In the past, color pigments were used as they are, but when drawing with the tool (T), transparent glaze can be mixed with color pigments in the above ratio to help uniform application of the pigment and to draw a smoother picture. . The transparent glaze may contain phosphorus oxide (P 2 O 5 ) in an amount of 15% by weight or more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ransparent glaze and iron oxide (Fe 2 O 3 ) in an amount of 1% by weigh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ransparent glaz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3차 마무리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the third finishing firing step of the above illustration and firing method in which a picture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차 마무리 소성 단계(S400)는 3차 소성 단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3차 마무리 소성 단계(S400)는 그림의 선명도를 극대화 하기 위한 선명도 최적 온도로 소성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3차 소성 단계의 온도 조건은 최고온도 1250 내지 1300℃일 수 있다.The third finishing firing step S400 may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third firing step. The third finishing firing step (S400) may include a step of firing at an optimum temperature for sharpness to maximize the sharpness of the picture (S410).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third firing step may be a maximum temperature of 1250 to 1300 °C.

도 9는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9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comparing the clarity of the drawings of the ceramics by the conventional Hahoe technique and the ceramics by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종래의 하회 기법(1차 초벌 소성 후 그림을 그리고 유약 도포 후 2차 소성으로 종료)에 의한 도자기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이다. 언뜻 비교해보아도 그림의 선명도가 확연히 차이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Fig. 9 (a) is ceramics made by the conventional Hahoe technique (drawing a picture after primary firing and ending with secondary firing after glazing is applied), and Fig. 9 (b) is ceramics according to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t first glance, it can be seen that the sharpness of the pictures is clearly different.

도 10 및 11은 종래의 하회/상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정확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10 and 11 are drawings surrogate photographs comparing the clarity/accuracy of the drawings of the ceramics made by the conventional lower/higher technique and the ceramics made by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역시 도 9(a)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로서, 도 10(b)의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그림의 선명도가 확연히 차이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Fig. 10(a) is also a ceramic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Hahoe technique, similar to that of Fig. 9(a),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larity of the pictu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ram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b).

도 11(a)는 종래의 상회 기법(1차 초벌 소성 후 유약을 도포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린 후 2차 소성으로 종료)에 의한 도자기로서 그림이 지워지거나 번져 있는 반면에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로서 그림의 명확도, 선명도 및 정확도가 매우 뛰어난 것을 파악할 수 있다.Figure 11 (a) is a ceramic by the conventional above technique (after applying a glaze after primary firing, drawing a picture on it and ending with secondary firing), whereas Figure 11 (b) is It can be seen that the clarity, sharpness and accuracy of the figure are very excellent as ceramics made by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신기하게도 10(b)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로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도자기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야외에 잠시 두었다가 실제 야생 호랑나비(10)가 도자기 표면 그림을 생화로 착각하여 앉게 된 장면을 포착하게 되었다. 나비(10)는 한참을 앉아있다가 떠났는데, 나비(10)가 생화로 착각할 만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도자기 표면 그림이 실제를 방불케 할 정도로 색감이 매우 뛰어나고 선명하게 표현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Strangely, 10(b) and 11(b) are ceram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ere placed outdoors for a while to take a picture of the ceramics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he actual wild tiger butterfly 10 turned the ceramic surface painting into live flowers. I was able to capture the scene where I was seated by mistake. The butterfly 10 sat for a while and then left,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lor of the ceramic surface painting is very excellent and vivid enough to be mistaken for a live flower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is embodiment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explain,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도자기 기물을 제조한 후 초벌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상기 초벌 소성 단계 이후 도자기 기물에 매트(matt)유약을 도포한 후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상기 2차 소성 단계 이후 그림 도구에 안료조성물을 적용하여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 및
상기 그림 도시 단계 이후 그림이 건조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
를 포함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A primary firing step of primary firing after manufacturing the ceramic object;
a secondary firing step of firing after applying a matt glaze to the ceramics after the rough firing step;
A picture showing step of drawing a picture on the surface of a ceramic object by applying a pigment composition to a picture tool after the second firing step; and
After the picture shown step, after the picture is dried, the 3rd firing step of applying a glaze and firing
The painting is clearly expressed on pottery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소성 단계는,
상기 안료조성물이 도자기 기물에 적절하게 흡수되어 정착될 수 있는 상태로 소성하기 위한 정착 최적 온도 조건 하에서 진행되고,
상기 정착 최적 온도 조건은, 최고 온도가 1065 내지 1075℃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firing step is
It proceeds under optimum fixing temperature conditions for calcining in a state in which the pigment composition can be properly absorbed and fixed in the ceramics;
The optimum fixing temperature condition is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is 1065 to 1075 ° C.
Above-mentioned city and firing method in which painting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조성물은,
색 안료와 투명유약을 포함하고, 색 안료에 대한 투명유약의 중량비는 15 내지 20:3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gment composition is
It contains a color pigment and a transparent glaze, and the weight ratio of the transparent glaze to the color pigment is 15 to 20:3.
Above-mentioned city and firing method in which painting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소성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정착 최적 온도 조건 하에서 진행됨에 따라 도포된 매트유약의 과냉각정도가 70내지80%에 도달하게 되어, 도자기 기물 표면이 상기 안료조성물이 흡수되어 정착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second firing step is performed,
As the fixing progresses under the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 the degree of supercooling of the applied mat glaze reaches 70 to 80%, and the surface of the ceramic object is in a state in which the pigment composition can be absorbed and fixed.
Above-mentioned city and firing method in which painting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과냉각된 매트유약을 지나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흡수되어 정착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a portion of the pigment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ramic object, passes through the supercooled mat glaze, and is absorbed and fix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object.
Above-mentioned city and firing method in which painting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소성 단계는,
투명유약이 도포된 후1250 내지 1300℃에서 수행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rd firing step is
After the transparent glaze is applied, it is carried out at 1250 to 1300 ° C.
Above-mentioned city and firing method in which painting is clearly expressed on ceramics.
KR1020200142638A 2020-10-30 2020-10-30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KR102513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38A KR102513618B1 (en) 2020-10-30 2020-10-30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38A KR102513618B1 (en) 2020-10-30 2020-10-30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06A true KR20220057706A (en) 2022-05-09
KR102513618B1 KR102513618B1 (en) 2023-03-22

Family

ID=8158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38A KR102513618B1 (en) 2020-10-30 2020-10-30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61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107A (en) * 2009-05-27 2010-12-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a green-ceramic pigment for reduction fire using copper oxide and a green ceramic thereof
KR20100138750A (en) * 2009-06-24 2010-12-31 한국도자기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pottery decorated with chilbo adornment and pottery thereby
KR20100138230A (en) * 2009-06-24 2010-12-31 한국도자기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pottery decorated with pearl mark and pottery thereby
KR101138140B1 (en) 2011-12-19 2012-04-23 정민정 Painting method for porcelain
KR20120092959A (en) * 2011-02-14 2012-08-22 이경희 Method for manufacturing small size ceramic ware adornments having texture of natural object
KR20180123308A (en)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카멜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resistant ceramic using a multi-colored high-strength pigment composition for ceramics and a multi-colored high-strength pigment composition for ceramics and a heat-resistant ceramic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107A (en) * 2009-05-27 2010-12-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a green-ceramic pigment for reduction fire using copper oxide and a green ceramic thereof
KR20100138750A (en) * 2009-06-24 2010-12-31 한국도자기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pottery decorated with chilbo adornment and pottery thereby
KR20100138230A (en) * 2009-06-24 2010-12-31 한국도자기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pottery decorated with pearl mark and pottery thereby
KR20120092959A (en) * 2011-02-14 2012-08-22 이경희 Method for manufacturing small size ceramic ware adornments having texture of natural object
KR101138140B1 (en) 2011-12-19 2012-04-23 정민정 Painting method for porcelain
KR20180123308A (en) *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카멜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resistant ceramic using a multi-colored high-strength pigment composition for ceramics and a multi-colored high-strength pigment composition for ceramics and a heat-resistant ceram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618B1 (en)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ys et 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eramics
CN106062102A (en) Colored pencil lead
US5803788A (en) Figurine having a sublimated image for a face
CN109551912A (en) A kind of ceramic green pasted with high temperature-resistant fire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wo dimensional code or one-dimension code
Nicholson Faience technology
KR20220057706A (en)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KR20220071389A (en) Drawing method of clearly drawing pictures on pottery
CN100542994C (en) A kind of on the porcelain plate surface method of sintering colorful vitrotype
US20130161880A1 (en) Method for creating ceramic photos
Sharon et al. Two traditions: A comparison of roof tile manufacture and usage in Angkor and China
US9333789B2 (en) Decal printing paper for ceramics
Reijnders The ceramic process: A manual and source of inspiration for ceramic art and design
CN104529557A (en) Method for drawing enamel on purple stoneware
Husband Valencian Lusterware of the Fifteenth Century: Notes and Documents
Papulova et al. Development of compositions of pigmented colored lead-free glazes for improving ceramic product design
WO2005090254A1 (en) Procedure for reproduction of a photographic picture in an article of glass
Kriznar et al. Microanalysis of Gothic mural paintings (15th century) in Slovenia: Investigation of the technique used by the Masters
Huet et al. Late La Tène figurative painted pottery: diffusion of a product or a concept?
Sigel et al. Harvard’s First Sculpture
Mutafchieva et al. Silicate Design of Hollow Ceramic Book to Illustrate Scientific and Secular Events
Azaz Lithography as a printing technique and its impact on form and content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ceramics
Martínez Simó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tile decoration
Kilchitskaya Technologies of using colored clay in the manufacture of ceramic products
Barry et al. Monochrome: Painting in Black and White: National Gallery, London, October 30, 2017–February 18, 2018
Dunkerton et al. Two wings of an Altarpiece by Martin van Heemsker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