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540A -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540A
KR20220056540A KR1020200141224A KR20200141224A KR20220056540A KR 20220056540 A KR20220056540 A KR 20220056540A KR 1020200141224 A KR1020200141224 A KR 1020200141224A KR 20200141224 A KR20200141224 A KR 20200141224A KR 20220056540 A KR20220056540 A KR 20220056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wearable device
determinatio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3011B1 (en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Priority to KR102020014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011B1/en
Publication of KR2022005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0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itoring system which comprises: a wearing device having a wearing member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of a user, a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and detecting a body temperature of bio-signals of the use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and detecting a bio-signal different from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an intermediate processor for receiving and collecting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transmitting the signals to the outside;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s collec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Description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Monitoring system and method}Monito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virus infection.

감염병의 발생이 확인되면 환자를 격리하고, 잠복기 동안 환자와 접촉이 있는 접촉자를 역학 조사하게 되는데, 감염병의 발생이 늦게 신고될수록 조사 범위가 커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염병이 의심되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 감염병 확진 전이라도 감염병 관리기관에 즉각 통지하여 확진에 대비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When an outbreak of an infectious disease is confirmed, the patient is isolated and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contacts who have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tient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tect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an infectious disease at an early stage and immediately notify the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gency even before the confirma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so that measures can be taken to prepare for the confirmation.

다만, 종래의 경우 회사 등 근무 환경에 출근하거나, 특정 구역에 방문 시, 출입부에서 일회적으로만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무 중 근로자 상태 확인할 수 없고, 근무 환경에 출입한 이후 감염병 확진자 발생 시 확진자의 동선 파악이 불가능하여, 근무 환경 내의 전체 작업장을 폐쇄하고, 방역 조치를 취해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going to work in a work environment such as a company or visiting a specific area, it is checked for infection by measuring body temperature only once at the entrance. Accordingly, there are problems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status of workers during work, and when a confirmed case of an infectious disease occurs after entering the working environment,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movement of the confirmed person, so there are problems that the entire workplace within the working environment must be closed and quarantine measures must be take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밀도 작업장에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실시간으로 근무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workers in real tim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in high-density workplac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가능한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체온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착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체온과 다른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취합한 후 외부로 전달하는 중간 프로세서와, 상기 중간 프로세서에서 취합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감염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member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a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and detecting body temperature of the user's biosignals, , A wearable device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and having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other biosignals, and an intermediate for receiving and collecting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nd then transmitting them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the signals collec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3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sensor detecting the user's motion, and the determining unit is based on the user's motion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the wearable device of the user You can decide whether to wear it or n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의 유입,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로부터 외부로 이탈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이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third signal,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unit comprise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moves into the preset rang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and moves within the preset ran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복수개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위치감지부는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pla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복수개의 상기 위치감지부 각각에서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취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unit may receive and collect information det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and track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중간 프로세서는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의 상기 사용자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중간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각각의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사용자 중 감염병에 감염된 사용자를 색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the intermediate processor receives the biosignal from each wearable device to generat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the determination unit is the Based on each of th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or, a user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may be searched o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감염병 감염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서로 다른 복수개의 기준값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감염 의심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reference value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reference values,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suspected infection state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Whe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f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중간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may detect the user's bio-signal in real time and transmit it to the intermediate proces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감염병에 감염된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에 감염병에 감염된 사용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user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a notif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existence of an externally infected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염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감염자 발생 시 신속한 상황 인지 및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척하여, 감염자 발생 시 감염자와 접촉한 다른 근무자들을 파악 및 격리하고, 감염자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한 작업장만을 선별하여 폐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염병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고, 감염병 발생에 의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user's biosignal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us, thereby enabling rapid situation recognition and response when an infected person occu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ck the location and movement route of the user in real time, identify and isolate other workers who have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fected person when an infected person occurs, and to take closure measures by selecting only the workplaces located within the movement route of the infected pers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t an early stage and to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the occurrence of infectious disease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착용한 사용자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각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에 따른 체온 변화를 보여주는 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자의 감염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llustrates a wearable device and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movement paths of users wearing a monitoring system and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able show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movement paths of each user of FIG. 3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monitoring system to determine a user's infection st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착용한 사용자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다. 1 illustrates a wearable device and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시스템(1)은 특정 장소 또는 복수의 작업장을 포함하는 근무 환경 내에서 업무를 수행사는 근무자의 감염병 감염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시스템(1)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감염병은, 예를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한 근무자를 사용자(P)로 지칭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시스템(1)은 웨어러블 장치(10)와, 중간 프로세서(30)와, 판단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1)은 위치감지부(20) 및 알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monitoring system 1 may monitor the infectious disease infection status of a worker performing a task in a specific place or a work environ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workplaces. In this case, the infectious disease monitored by the monitoring system 1 may be, for example, corona virus infection (COVID-19).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work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 will be referred to as a user P. The monitoring system 1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10 , an intermediate processor 30 , and a determination unit 40 . In addition, the monitoring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unit 20 and a notification unit 50 .

웨어러블 장치(10)는 사용자(P)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는 후술할 위치감지부(20)와의 통신을 통해, 수집한 사용자(P)에 관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10)는 위치감지부(20)를 통해 중간 프로세서(30)와 통신할 수 있으나, 웨어러블 장치(10)가 직접 중간 프로세서(30)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P)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는 착용부재(100)와,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는 제3 센서(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 may collect at least one of the user P's sta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wearable device 10 may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P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location sensing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wearable device 1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through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0, but the wearable device 1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and wirelessly communicat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P can also be sent.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10 may include a wearing member 100 , a first sensor 110 , and a second sensor 120 . Also, the wearable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nsor 130 .

착용부재(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재(100)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 가능한 밴드형 부재(예를 들어, 도 1의 110)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착용부재(100-2)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전자 시계형 부재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착용부재(100-3)는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목걸이형 부재이거나,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머리띠, 헬멧, 밴드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착용부재(100)가 사용자의 팔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밴드형 부재(예컨대, 도 1의 100)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wearing member 100 may be formed to be worn on the user's body. As exemplarily shown in FIG. 1 , the wearing member 100 may be a band-like member (eg, 110 in FIG. 1 )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ar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wearing member 100 - 2 may be an electronic watch type member that can be worn on a user's wrist. As another embodiment, the wearing member 100-3 may be a necklace-type member that a user can wear, or a member in the form of a headband, a helmet, or a band worn on the user's head.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wearing member 100 is a band-shaped member (eg, 100 in FIG. 1 ) formed to be worn on the user's arm.

제1 센서(110)는 착용부재(100)에 배치되며, 사용자(P)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110)는 사용자(P)의 체온을 감지하고, 감지된 체온값에 기초하여 제1 감지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서(110)는 생성된 제1 감지신호(S1)를 위치감지부(20) 또는 중간 프로세서(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신호(S1)는 해당 체온이 측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해당 체온이 측정된 시간이 검출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10 is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100 , and may detect a biosignal of the user P. As an embodiment, the first sensor 110 may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and generate a first detection signal S1 based on the sensed body temperature value. The first sensor 110 may provide the generated first detection signal S1 to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or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In this case, the first detection signal S1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me the corresponding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whereby the time at which the corresponding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may be detected.

제1 센서(110)는 사용자(P)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110)는 사용자(P)의 체온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는 일정 단위 시간마다 사용자(P)의 체온을 측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P)의 체온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10 may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first sensor 110 may detect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n real time over time. Specifically, the first sensor 110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every predetermined unit time, and accordingly,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can be detected.

제2 센서(120)는 착용부재(100)에 배치되며, 제1 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와 다른 사용자(P)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센서(120)는 사용자(P)의 심박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제2 감지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생성된 제2 감지신호(S2)를 위치감지부(20) 또는 중간 프로세서(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감지신호(S2)는 해당 심박수가 측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해당 심박수가 측정된 시간이 검출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120 is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100 and may detect a biosignal of the user P different from the biosignal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10 . As an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120 may detect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and generate a second detection signal S2 based on the detected heart rate. The second sensor 120 may provide the generated second detection signal S2 to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or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In this case, the second detection signal S2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the corresponding heart rate was measured, whereby the time at which the corresponding heart rate was measured may be detected.

제2 센서(120)는 사용자(P)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120)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사용자(P)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120)는 1분을 단위 시간으로 설정한 후 최초의 1분간 사용자(P)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그 다음 1분간 다시 사용자(P)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P)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센서(120)는 단위 시간 동안의 사용자(P)의 심박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P)의 심박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120 may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in real time.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120 may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s an example, the second sensor 120 measures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for the first minute after setting 1 minute as the unit time, and then repeats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again for 1 minute In this way,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may be measured. In this case, the second sensor 120 may measure the change in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for a unit time in real time, and thus may detect the change in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센서(120)는 사용자(P)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나, 상기한 착용부재(100)와는 착용되는 별개의 착용부재(이하, 추가 착용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120)는 사용자(P)의 손목부에 착용 가능한 추가 착용부재(예를 들어, 도 1의 100-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센서(120)는 추가 착용부재(100-2)에 의해 사용자(P)의 손목부에 배치되어, 사용자(P)의 맥박수(또는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120)는 감지한 맥박수에 기초하여 제2 감지신호(S2)를 생성하여 위치감지부(20) 또는 중간 프로세서(30)로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체적인 특징은, 제2 센서(120)가 착용부재(100)에 배치되는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120 may be worn on the body of the user P, but may be disposed on a separate wearing member (hereinafter, additional wearing member) to be worn from the above-described wearing member 100 .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120 may be disposed on an additional wearing member (eg, 100-2 of FIG. 1 )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P. In this case, the second sensor 120 may be disposed on the wrist of the user P by the additional wearing member 100 - 2 to detect the pulse rate (or heart rate) of the user P. The second sensor 120 may generate a second detection signal S2 based on the sensed pulse rate and provide it to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or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Other specific features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sensor 120 is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100 .

제3 센서(130)는 착용부재(100)에 배치되며, 사용자(P)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3 센서(130)는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속도 센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센서(130)는 사용자(P)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P)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3 감지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센서(130)는 생성된 제3 감지신호(S3)를 위치감지부(20) 또는 중간 프로세서(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3 감지신호(S3)는 해당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해당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The third sensor 130 is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100 and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P. As an embodiment, the third sens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In this case,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ay be a gyro sensor. In this case, the third sensor 130 may detect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P, and generate a third detection signal S3 inclu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 The third sensor 130 may provide the generated third detection signal S3 to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or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In this case, the third detection signal S3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corresponding motion is sensed, and thereby, the time at which the corresponding motion is sensed may be detected.

한편, 복수의 사용자(P)가 각각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하는 경우, 각각의 웨어러블 장치(10)는 고유의 식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식별 신호에 의해, 후술할 판단부(40)는 각각의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P)가 누구인지를 구분 및 특정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lurality of users P respectively wear the wearable device 10 , each wearable device 10 may generate a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By such a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the determination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distinguish and specify who the user P wearing each wearable device 10 is.

위치감지부(20)는 웨어러블 장치(10)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감지부(20)는 제3 센서(130)로부터 제3 감지신호(S3)를 전달받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부(20)는 소정의 감지 범위(이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P)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감지부(20)는 제3 센서(130)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컨 디바이스(beacon device)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위치감지부(20)는 GPS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센서(130)는 비컨 디바이스와 GPS를 모두 이용하여,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position sensing unit 2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wearable device 1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user P. Specifically, the position sensing unit 20 may receive the third sensing signal S3 from the third sensor 130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user P based thereon. In this case,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0 may set a predetermined detection r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set range), and may detec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user P within this preset range. As an example,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0 may be a beacon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P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sensor 130 , and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0 .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P using the GPS method. As another example, the third sensor 130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P using both the beacon device and the GPS.

일 실시예로서, 위치감지부(20)는 사용자(P)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 들어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입실 신호(S3a)를 생성하여 중간 프로세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위치감지부(20)는 사용자(P)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계속 위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이동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정지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위치 유지 신호(S3b)를 생성하여 중간 프로세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치감지부(20)는 사용자(P)가 미리 설정된 범위 밖으로 나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퇴실 신호(S3c)를 생성하여 중간 프로세서(30)로 전달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when the user P comes within a preset range,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0 may detect this and generate an entrance signal S3a and transmit it to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0 continues to position the user P within a preset range (for example, if the user P moves only within a preset range or stops within a preset range), By detecting this, a position maintenance signal S3b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And,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P goes out of a preset range,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0 may detect this and generate an exit signal S3c and transmit it to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위치감지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위치감지부(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위치감지부(20)는 서로 이격된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위치감지부(20)는 사용자(P)가 복수개의 위치감지부(2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장소 또는 미리 설정된 범위로부터 이탈을 감지하고, 그 이후 사용자(P)가 복수개의 위치감지부(20)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된 장소 또는 미리 설정된 범위로 들어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P)의 이동 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least one position sensing unit 20 may be provided. As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2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20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pl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20 detects that the user P deviates from a place or a preset range in whic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20 is disposed, and after that, the user P detects a plurality of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P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that the other one of the position sensing units 20 enters a place where the dog is disposed or a preset rang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상술한 바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10) 및 위치감지부(20)는 일 예로, 전용 로라 네트워크(Private LoRa Network)를 이용하여, 수집한 정보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를 중간 프로세서(30)로 전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10 and the position sensing unit 20 may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a signal includ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using, for example, a Private LoRa Network. there is.

중간 프로세서(30)는 웨어러블 장치(10)로부터 사용자(P)의 생체 신호 및/또는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취합한 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프로세서(3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may receive and collect the biosignal and/or motion signal of the user P from the wearable device 10 , and then transmit it to the outside. Here,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may refer to, 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as a code or an instruction included in a program.

중간 프로세서(3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감지신호(S1)를 전달받고, 제2 센서(120)로부터 제2 감지신호(S2)를 전달받으며, 제3 센서(130)로부터 제3 감지신호(S3)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중간 프로세서(30)는 착용신호 취합부(31)와 상태신호 취합부(32)와, 위치신호 취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receives the first detection signal S1 from the first sensor 110 , receives the second detection signal S2 from the second sensor 120 , and receives the second detection signal S2 from the third sensor 130 . 3 The detection signal S3 may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may include a wearing signal collecting unit 31 , a state signal collecting unit 32 , and a position signal collecting unit 33 .

착용신호 취합부(31)는 제3 감지신호(S3)를 수신하고, 제3 감지신호(S3)에 포함된 사용자(P)의 가속도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취합하여, 웨어러블 장치(10)가 사용자(P)에게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착용신호(S31)를 생성할 수 있다. 착용신호 취합부(32)는 생성된 착용신호(S31)를 판단부(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wearing signal collecting unit 31 receives the third detection signal S3, and collects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user P included in the third detection signal S3, and the wearable device 1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wearing signal (S31)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worn by the user (P). The wearing signal collecting unit 32 may transmit the generated wearing signal S31 to the determining unit 40 .

상태신호 취합부(32)는 제1 감지신호(S1)와 제2 감지신호(S2)를 취합하여 사용자(P)의 상태 신호(S12)를 생성하고, 이러한 상태 신호(S12)를 판단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tate signal collecting unit 32 collects the first detection signal S1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S2 to generate the state signal S12 of the user P, and determines the state signal S12 by the determination unit ( 40) can be transferred.

위치신호 취합부(33)는 제3 센서(130)에서 생성된 입실 신호(S3a), 위치 유지 신호(S3b) 및 퇴실 신호(S3c)를 취합하여, 사용자의 위치 신호(S33)를 생성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 신호(S32)를 판단부(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position signal collection unit 33 collects the entry signal S3a, the position maintenance signal S3b, and the exit signal S3c generated by the third sensor 130 to generate the user's position signal S33, The user's location signal S32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40 .

판단부(40)는 웨어러블 장치(10), 중간 프로세서(30) 또는 위치감지부(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웨어러블 장치(10) 착용 여부 또는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40)는 상기한 신호에 기초하여 감염 상태라고 판단된 사용자(P)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판단부(40)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 시스템(1)의 제어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이나,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컴퓨터 칩이나, 컴퓨터 칩에 내장되거나 제어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 wears the wearable device 10 or the infection stat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 ,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or the location detection unit 20 . can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track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P determined to be infected based on the signal. The determination unit 4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circuit board mounted on a control comput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a computer chip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software embedded in a computer chip or embedded in a control computer, etc. can be

이때, 판단부(40)는 제1 감지신호(S1), 상태 신호(S12), 착용신호(S31), 위치 신호(S32)가 제공되면, 노이즈 제거 및 신호 품질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의 품질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판단부(40)는 사용자(P)의 감염 상태 판단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노이즈 제거 및 신호 품질 증폭 과정은 중간 프로세서(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 프로세서(30)는 웨어러블 장치(10) 또는 위치감지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1 감지신호(S1), 제2 감지신호(S2) 및 제3 감지신호(S3)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의 품질을 증폭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unit 40 is provided with a first detection signal (S1), a state signal (S12), a wearing signal (S31), and a position signal (S32), noise removal and noise through a signal quality amplifier (not shown) can be removed and the quality of the signal can be amplified.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40 can reduce the error in determining the infection state of the user P. In another embodiment, noise removal and signal quality amplific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removes noise from the first detection signal S1 , the second detection signal S2 , and the third detection signal S3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 or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0 . can be removed and the quality of the signal can be amplified.

판단부(40)는 위치감지부(20)로부터[또는 착용신호 취합부(32)로부터] 착용신호(S31)를 전달받아, 웨어러블 장치(10)가 사용자(P)에게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40 receives the wearing signal S31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20 (or from the wearing signal collecting unit 32),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 is in a state worn by the user P. can judge

구체적으로, 판단부(40)는 전달받은 착용신호(S31)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10)가 소정의 시간 이상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P)가 해당 웨어러블 장치(10)를 착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부(40)는 특정 장소에서 웨어러블 장치(10)의 존재는 감지되나,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는 사용자(P)에게 착용된 상태가 아니며, 사용자(P)로부터 이탈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device 10 has mov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based on the received wearing signal S31, the user P wears the wearable device 10 can be judged to be in progress.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cts the presence of the wearable device 10 in a specific place, but maintains a stationary state without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wearable device 10 is worn by the user P It is not a state that has been completed,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separated from the user P.

이처럼, 사용자(P)의 웨어러블 장치(10)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함으로써, 각 웨어러블 장치(10)의 고유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P)의 웨어러블 장치(10) 착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웨어러블 장치(10)가 사용자(P)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P)에게 이를 알림으로써 웨어러블 장치(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사용자(P)가 웨어러블 장치(10)를 계속적으로 착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0) 미착용으로 인한 감염 상태인 사용자(P)의 발견을 누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by determining whether the wearable device 10 is worn by the user P in real time,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signal of each wearable device 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each user P wears the wearable device 10 there i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wearable device 10 is separated from the user P, loss of the wearable device 10 can be prevented by notifying the corresponding user P. Accordingly, all users P can manage to keep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 continuously, and as a result, the detection of the user P who is in an infected state due to not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0 is omitted. it can be prevented

판단부(40)는 중간 프로세서(30)로부터 전달받은 제1 감지신호(S1) 및 제2 감지신호(S2)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 is infec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S1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S2 received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

일 실시예로서, 판단부(40)는 웨어러블 장치(10)로부터, 또는 중간 프로세서(30)로부터 제1 감지신호(S1)를 전달받아, 사용자(P)의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40)는 사용자(P)의 체온 이상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값(이하,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부(40)는 감지된 사용자(P)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receive the first detection signal S1 from the wearable device 10 or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e of the user P.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set a referenc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eset reference value) serving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abnormal.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fected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을 포함하는 두 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이 구비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t least one preset reference value may be provided. As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preset reference values may be provided. Here, the number of preset reference values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mbodiment in which two preset reference values including a first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reference value are provided will be mainly described.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부(40)는 감지된 사용자(P)의 체온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P)가 감염 의심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P)의 체온이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P)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n embodiment,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P is in a suspected infection state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P is in an infected state.

이처럼 복수개의 기준값을 이용하여 사용자(P)의 감염 상태 판단 기준을 세분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분화된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감염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낮은 값의 기준값을 포함함으로써, 감염 의심 상태인 사용자(P)를 초기에 발견 및 격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염 확산을 초기에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ection status determination criteria of the user P can be subdivided by us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and the infection status of the user P can be more precisely determined based on the subdivided determination criteria. In addition, by including a low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initially detect and isolate the user P in a suspected infection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n at an early stage.

다른 실시예로서, 판단부(40)는 중간 프로세서(30)로부터[또는 상태신호 취합부(32)로부터] 상태 신호(S12)를 전달받아, 사용자(P)의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부(40)는 상태 신호(S12)에 포함된 사용자(P)의 체온 및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P)의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P)가 감염병에 감염되어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이에 의해 사용자(P)의 심박수 역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40)는 감지된 사용자(P)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 및 사용자(P)의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 이상인지 여부를 함께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40)가 사용자(P)의 체온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receive the status signal S12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or from the status signal aggregator 32 )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us of the user P.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 is infected by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on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of the user P included in the state signal S12 . Specifically, when the user P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and the body temperature rises,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may also rise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ther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normal heart rate. Meanwhile, that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for determin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사용자(P)의 체온이 기준값을 초과하고, 동시에 사용자(P)의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를 초과하는 경우, 판단부(40)는 사용자(P)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P)의 체온은 기준값에 인접하더라도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를 초과한다고 감지되면, 사용자(P)가 감염 의심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판단부(40)는 사용자(P)의 체온뿐만 아니라 심박수의 이상 여부도 함께 판단함으로써, 감염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exceeds the normal heart rate at the same tim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P is infect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heart rate exceeds the normal heart rate even though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close to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P is in a suspected infection state. As such,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 is infected more precisely by determining not only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but also whether the heart rate is abnormal.

판단부(40)는 중간 프로세서(30)로부터[또는 위치신호 취합부(33)로부터] 위치 신호(S33)를 전달받아, 사용자(P)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파악 및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부(40)는 위치 신호(S33)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P)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P)가 특정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P)가 이동한 장소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P)가 이동하는 장소는 위치감지부(20)가 배치된 장소일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receive the location signal S33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or from the location signal aggregator 33 ) to determine and track the location and movement path of the user P.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current user P in real time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S33 . In addition, when the user P moves from a specific place to another place, the places to which the user P has moved may be detected in the order of time. In this case, the place to which the user P moves may be a place where the position sensing unit 20 is disposed.

구체적으로, 사용자(P)가 특정 장소에 들어오는 경우, 판단부(40)는 위치감지부(20)에서 생성된 입실 신호(S3a)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특정 장소로의 입실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한 특정 장소로부터 나가는 경우, 판단부(40)는 위치감지부(20)에서 생성된 퇴실 신호(S3c)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한 특정 장소로부터의 퇴실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40)는 사용자(P)가 상기한 특정 장소에 계속 위치하는 경우, 위치감지부(20)에서 생성된 위치 유지 신호(S3b)에 기초하여, 상기한 특정 위치 내에서의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P)가 복수의 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판단부(40)가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P enters a specific place,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cts the user P's entrance to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entrance signal S3a generated by the location detection unit 20. can Thereafter, when the user leaves the specific plac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ct the user's exit from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exit signal S3c generated by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0 .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40, when the user P continues to be located in the specific place, based on the position maintenance signal (S3b) generat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20, the user within the specific position The position of (P) can be detected. When the user P moves between a plurality of places, a specif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unit 40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P will be described later.

판단부(40)는 사용자(P)의 감염병 감염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알림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50)는 판단부(40)에 의해 어느 사용자(P)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감염자 발생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50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40 that a certain user P is infected, the notification unit 50 may notify the outside of the occurrence of an infected person.

알림부(5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 발생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알림부(5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경광등(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 발생하면, 알림부(50)는 판단부(4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에게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의 발생을 알리고, 동시에 또는 이시에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가 발생한 작업장 및 그와 인접한 장소에 경광등을 통해 경고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장소에서 근무하는 근무자(또는 작업자)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알림부(50)는 음향경고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경광등에 의한 시각적 경고뿐만 아니라, 음향경고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의 발생을 외부에 알림으로써, 보다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알림부(50)는 관리자 및 근무자에게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50 may notify the outside of the occurrence of an infected person or a suspected infection by using various methods. As an embodiment, the notification unit 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a warning light (not shown). In this case, when an infected person or a suspected infection occurs, the notification unit 50 is controlled by the determination unit 40 to notif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occurrence of an infected person or a suspected infection,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By displaying a warning signal through a warning light at the workplace where an infected person or suspected infection occurred and a place adjacent thereto,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notify the workers (or workers) working at the place. Additionally, the notification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warning unit. In this case, not only the visual warning by the above-described warning light, but also a more rapid response can be made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through the acoustic warning unit to notify the outside of the occurrence of an infected person or a suspected inf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otification unit 50 may notify the occurrence of an infected person or a suspected infection to a manager and a worker using various other method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각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에 따른 체온 변화를 보여주는 표를 도시한다.3 shows movement paths of users wearing the monitoring system and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table show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s of each user of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또는 이시에, 복수개의 작업장을 구비한 근무 환경(2)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P) 또는 작업장의 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는 제1 사용자(PA)와, 제2 사용자(PB)와, 제3 사용자(PC)를 포함하며, 근무 환경(2)은 1개의 출입부(L0)와, 복수개의 작업장, 즉 제1 작업장(L1)과, 제2 작업장(L2)과, 제3 작업장(L3)과, 제4 작업장(L4)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 a plurality of users may enter a working environment 2 having a plurality of workplaces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number of users (P) or workplaces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ers include a first user (PA), a second user (PB), and a third user (PC), The environment 2 includes one entrance L0, a plurality of workplaces, namely, a first workplace L1, a second workplace L2, a third workplace L3, and a fourth workplace L4. I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the embodiment including.

복수개의 작업장 각각에는 위치감지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작업장(L1)에는 제1 위치감지부(20-1)가 배치되고, 제2 작업장(L2)에는 제2 위치감지부(20-2)가 배치되며, 제3 작업장(L3)에는 제3 위치감지부(20-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작업장(L4)에는 제4 위치감지부(20-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위치감지부(20)의 미리 설정된 감지 범위는, 각 위치감지부(20)가 배치되는 작업장의 크기와 동일한 범위일 수 있다.A position sensing unit 20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laces. Specifically, the first position detecting unit 20-1 is disposed in the first workplace L1, the second position detecting unit 20-2 is disposed in the second workplace L2, and the third workplace L3 ), the third position sensing unit 20-3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he fourth position detecting unit 20 - 4 may be disposed in the fourth workplace L4 . In this case, the preset sensing range of each position sensing unit 20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workplace in which each position sensing unit 20 is disposed.

제1 사용자(PA)와, 제2 사용자(PB)와, 제3 사용자(PC)는 출입부(L0)를 통해 근무 환경(2)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출입부(L0)에는 열영상촬영부(C)가 배치될 수 있다. 열영상촬영부(C)는 출입부(L0)를 통과하는 근무자 또는 사용자(P)의 열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열영상은 사용자(P)의 체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열영상촬영부(C)는 예를 들어, 근적외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과 같이, 인체의 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열영상카메라일 수 있다.The first user PA, the second user PB, and the third user PC may enter the work environment 2 through the access unit L0. In this case, the thermal imaging unit C may be disposed at the entrance L0. The thermal imaging unit (C) may take a thermal image of the worker or user (P)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L0). Such a thermal im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The thermal imaging unit C may be, for example, a thermal imaging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a thermal image of a human body, such as a near-infrared camera or an infrared camera.

열영상촬영부(C)는 촬영한 열영상을 중간 프로세서(30)를 통해 판단부(40)로 전달하거나, 또는 직접 판단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단부(40)는 전달받은 열영상을 기초로, 출입부(L0)를 통과하는 사용자(P)의 감염 여부를 1차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40)는 영영상에 포함된 사용자(P)의 체온이 상기한 바와 같은 기준값 이상인 경우(예를 들어, 도 3에서 PC의 경우), 해당 사용자(P)의 작업장으로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염 상태 또는 감염 의심 상태인 사용자(P)의 작업장 출입을 사전 통제함으로써, 전체 근무 환경(2)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hermal imaging unit C may transmit the captured thermal image to the determination unit 40 through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or directly to the determination unit 40 .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primarily detect whether the user P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L0 is infected based on the received thermal image. Specifically,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ncluded in the video im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described above (eg, in the case of a PC in FIG. 3 ), the determination unit 40 returns to the workplace of the user P. You can control acce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ire working environment 2 from being closed by pre-controlling access to the workplace of the user P who is in an infected state or a suspected infection state.

상술한 근무 환경(2)은, 출입부(L0)가 한 개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입부(L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출입부(L0)에 열영상촬영부(C)가 설치되어, 각각의 출입부(L0)를 통과하는 근무자 또는 사용자(P)의 열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working environment 2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case in which one entrance L0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entrances L0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locations. . In this case, a thermal imaging unit C is installed in each entrance L0 to capture a thermal image of a worker or user P passing through each entrance L0.

일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PA)가 출입부(L0)를 정상적으로 통과한 후, 제1 작업장(L1)에서, 제2 작업장(L2)을 지나, 제4 작업장(L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PA)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10)는[또는 제3 센서(130)]는 차례로, 제1 위치감지부(20), 제2 위치감지부(20) 및 제3 위치감지부(20)와 통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PA)의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판단부(40)는 제1 사용자(PA)의 이동 경로를 추적 및 저장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fter the first user PA normally passes through the entrance L0, the first user PA may move from the first workplace L1, through the second workplace L2, to the fourth workplace L4. .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10 worn by the first user PA (or the third sensor 130 ) sequentially performs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20 ,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20 , and the third By communicating with the location detecting unit 20 ,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PA may be transmitted. The determination unit 4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track and store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user PA.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사용자(PB)가 출입부(L0)를 정상적으로 통과한 후, 제3 작업장(L3)에서, 제1 작업장(L1)을 지나, 제2 작업장(L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사용자(PB)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10)는[또는 제3 센서(130)]는 차례로, 제3 위치감지부(20), 제1 위치감지부(20) 및 제2 위치감지부(20)와 통신함으로써, 제2 사용자(PB)의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판단부(40)는 제2 사용자(PC)의 이동 경로를 추적 및 저장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second user PB normally passes through the entrance L0, the second user PB may move from the third workplace L3, through the first workplace L1, to the second workplace L2. .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10 worn by the second user PB (or the third sensor 130 ) sequentially performs the third position sensing unit 20 ,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20 , and the second By communicating with the location sensing unit 20 ,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PB may be transmitted. The determination unit 4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track and store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user PC.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PC)가 출입부(L0)의 열영상촬영부(C)에 의해 감지된 체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판단부(40)는 제3 사용자(PC)가 출입부(L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알림부(50)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염 상태인 제3 사용자(PC)가 작업장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ody temperature sensed by the thermal imaging unit C of the third user PC at the entrance L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the third user A warning may be given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50 to prevent the PC from passing through the access unit L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fected third user (PC) from entering the workplace.

도 4(a)는 제1 사용자(PC)의 이동 경로에 따른 체온 변화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a)를 참조하면, 판단부(40)에 의해 검출된 제1 사용자(PC)의 이동 경로는, 출입부(L0)를 통과하여, 제1 작업장(L1)과 제2 작업장(L2)을 차례로 지나, 제4 작업장(L4)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PA)는 상기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정상 체온 범위 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판단부(40)는 제1 사용자(PA)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부(40)는 알림부(5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4A shows an example of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user PC. Referring to FIG. 4A ,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user PC det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40 passes through the entrance L0, and the first and second workplaces L1 and L2 ), it can be identified as being located in the fourth workplace (L4). In this case, the first user PA maintains a normal body temperature range while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and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user PA is in a normal state.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50 not to operate.

도 4(b)는 제2 사용자(PB)의 이동 경로에 따른 체온 변화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b)를 참조하면, 판단부(40)에 의해 검출된 제2 사용자(PB)의 이동 경로는, 출입부(L0)를 통과하여, 제3 작업장(L3)과 제1 작업장(L1)을 차례로 지나, 제2 작업장(L2)에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사용자(PB)는 출입부(L0)에서 제3 작업장(L3)까지는 정상 체온 상태이나, 제1 작업장(L1)에서부터 기준값 이상의 체온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때 판단부(40)는 제2 작업장(L2)에서 제2 사용자(P)의 체온 정보를 전달받아, 제2 사용자(P)가 감염 상태 또는 감염 의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b) shows an example of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user PB. Referring to FIG. 4(b) ,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user PB det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40 passes through the entrance L0, and the third work site L3 and the first work site L1 ), it can be identified as being located in the second workshop L2. In this case, the second user PB has a normal body temperature from the entrance L0 to the third workplace L3, but has risen to a body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from the first workplace L1. By receiving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P in the second workplace L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user P is in an infected state or a suspected infection state.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판단부(40)는 알림부(50)가 제2 작업장(L2)에 감염 상태인 사용자(P)가 있음을 외부에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작업장(L2)과, 제2 사용자(P)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작업장들을 폐쇄하고, 방역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장에서 제2 사용자(P)와 함께 근무하고 있던 사용자(P)들을 파악하여 격리함으로써, 감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50 to notify the outside of the user P in the infection state in the second workplace L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ose the second workplace L2 and the workplaces locat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user P, and perform necessary measures for quarantine, and in this workplace, the second user P and the second user P By identifying and isolating users (P) who have been working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한편, 도 4(c)를 참조하면, 출입부(L0)에서 열영상촬영부(C)에 의해 체온 이상이 감지된 제3 사용자(PC)는 작업장 내부로의 출입이 불가능하기에, 출입부(L0) 이외의 장소에서는 체온 및 위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c) , the third user PC whose body temperature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thermal imaging unit C at the entrance L0 is not allowed to enter the workplace. It can be confirmed that body temperature and location are not detected in places other than (L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자의 감염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monitoring system to determine a user's infection st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follows.

우선, 출입부(L0)에서 열영상촬영부(C)를 통해 사용자(P)의 열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S10). 이때, 판단부(40)는 열영상에 포함된 사용자(P)의 체온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 사용자(P)의 체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P)(즉, 감염자)의 작업장 출입을 통제하고, 격리 조치를 취할 수 있다(S11-2). 반면에, 사용자(P)의 체온이 기준값 미만(즉, 정상 체온)인 경우, 사용자(P)의 작업장 내부로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다. First, a thermal image of the user P may be photographed through the thermal imaging unit C at the entrance L0 (S10).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whether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ncluded in the thermal im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S11).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user P (ie, the infected person) can control access to the workplace and take quarantine measures (S11-2).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e, normal body temperature), the user P may be allowed to enter the workplace.

다음, 웨어러블 장치(10) 및 위치감지부(20)에 의해, 작업장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P)의 생체 신호 및 위치가 실시간으로 감지될 수 있다(S20).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에 의해 사용자(P)의 체온이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제2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P)의 심박수가 실시간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P)의 생체 신호들은 중간 프로세서(30)를 통해 판단부(40)로 전달되거나, 직접 판단부(40)로 전달될 수 있다.Next, by the wearable device 10 and the position sensing unit 20, the biosignal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P who entered the workplace may be sensed in real time (S20). Specifically,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P may be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10 in real time, and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may be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20 in real time. These biosignals of the user P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40 through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or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40 .

다음, 판단부(40)는 전달받은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P)의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판단부(40)는 사용자(P)의 체온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P)의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사용자(P)의 감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체온이 기준값 이상이거나,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가 아닌 사용자(P)가 감지되니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각자의 업무를 수행하고, 동시에 모니터링 시스템(1)은 계속하여 사용자(P)의 감염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S50).Next,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e infection state of the user P based on the received bio-signal (S30).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e infection state of the user P by comparing whether the user P's body temperat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or whether the user P's heart rate is a normal heart rate. . At this time, if the body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user P is not detected whose heart rate is not a normal heart rate, the user performs their respective tasks and at the same time the monitoring system 1 continues the infection status of the user P is monitored (S50).

다음, 판단부(40)는 사용자(P)가 감염자라고 판단된 경우, 알림부(50)가 외부에 감염자 발생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 구체적으로, 판단부(40)는 사용자(P)의 체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및/또는 사용자(P)의 심박수가 정상 심박수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P)가 감염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단부(40)는 알림부(50)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에게 감염자 발생 사실을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when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that the user P is an infected person,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50 to notify the outside of the infected person (S40).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the user (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or when the heart rate of the user 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ormal heart r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P is an infected person.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40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50 to notify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that an infected person has occurred, so that the manager can tak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infectious disease.

다음, 판단부(40)는 감염 상태의 사용자(즉, 감염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한 후, 해당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폐쇄할 수 있다(S41). 예를 들어, 감염자가 제1 작업장(L1)과 제2 작업장(L2)을 지나, 현재 제4 작업장(L4)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판단부(40)는 감염자의 현재 위치인 제4 작업장(L4)과, 감염자가 지나간 제1 작업장(L1) 및 제2 작업장(L2)을 감염자의 이동 경로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작업장들을 폐쇄할 수 있다. Next,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and movement path of the infected user (ie, the infected person), and then close the location and movement path ( S41 ). For example, if the infected person is currently performing work in the fourth workplace L4 after passing the first workplace L1 and the second workplace L2,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the fourth workplace, which i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fected person. The workplace L4 and the first workplace L1 and the second workplace L2 passed by the infected person may be identified as the movement path of the infected pers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ose the corresponding workplaces.

다음, 판단부(40)는 파악된 감염자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다른 근무자를 파악한 후 격리할 수 있다(S42). 예를 들어, 위와 같이 감염자가 제1 작업장(L1)과 제2 작업장(L2)을 지나, 현재 제4 작업장(L4)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판단부(40)는 감염자가 각 작업장에 머물렀던 시간을 파악하고, 동일 시간에 동일한 작업장에 있었던 다른 근무자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염자와 접촉한 다른 근무자들을 선별하여, 격리시킬 수 있다. Next, the determination unit 40 may identify and quarantine other workers who have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fected person based on the identified movement path of the infected person (S42). For example, if the infected person is currently performing work in the fourth workplace L4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workplace L1 and the second workplace L2 as described above, the determination unit 40 determines that the infected person is at each workplace You can figure out how long you've stayed, and you can figure out other workers who were in the same workplace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other workers who have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fected person can be selected and quarantined.

다음, 모니터링 시스템(1)의 관리자는 감염자 및 접촉자의 격리 및 작업장의 폐쇄가 완료된 이후, 감염자의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한 작업장들의 방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염병의 확산을 신속하게 방지하고, 감염병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감염자의 증상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Next,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ystem 1 may perform quarantine of the workplaces located within the movement path of the infected person after the quarantine of the infected person and the contact person and the closing of the workplace are completed. Thereby,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can be quickly prevented, and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for a patient with an infectious disease, thereby preventing worsening of symptoms of an infected person.

상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링 방법의 각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 위치감지부(20), 중간 프로세서(30) 및 판단부(40)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each step of the monito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wearable device 10,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0, the intermediate processor 30, and the determining unit 4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은 사용자(P)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염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감염자 발생 시 신속한 상황 인지 및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P)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척하여, 감염자 발생 시 감염자와 접촉한 다른 근무자들을 파악 및 격리하고, 감염자 이동 경로 내에 위치한 작업장만을 선별하여 폐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염병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고, 감염병 발생에 의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system 1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user P's biosignal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us, thereby enabling rapid situation recognition and response when an infected person occurs. In addition, by tracking the location and movement path of the user P in real time, when an infected person occurs, other workers who have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fected person are identified and quarantined, and only workplaces located within the movement route of the infected person can be selected and clo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t an early stage and to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the occurrence of infectious disease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모니터링 시스템
10: 웨어러블 장치
100: 착용부재
110: 제1 센서
120: 제2 센서
130: 제3 센서
20: 위치감지부
30: 중간 프로세서
40: 판단부
50: 알림부
1: Monitoring system
10: Wearable devices
100: wearing member
110: first sensor
120: second sensor
130: third sensor
20: position detection unit
30: Intermediate processor
40: judgment unit
50: notification unit

Claims (10)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가능한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체온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착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체온과 다른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취합한 후 외부로 전달하는 중간 프로세서; 및
상기 중간 프로세서에서 취합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감염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 wearable member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a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to detect a body temperature of the user's biosignals,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on the wearing member and configured to detect a biosignal different from the user's body temperature a wearable device having a sensor;
an intermediate processor that receives signals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collects them, and transmits them to the outside; and
A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a determination unit that receives the signals collected from the intermediate proces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3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movement,
The determination unit,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monitoring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로의 유입,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로부터 외부로 이탈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이동 여부를 검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a position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The position sensing unit,
A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enters the preset rang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and moves within the preset rang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부는 복수개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위치감지부는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the position sensing unit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are disposed in different place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복수개의 상기 위치감지부 각각에서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취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judging unit,
A monitoring system that receives and collects information det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units to track a movement path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중간 프로세서는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생체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의 상기 사용자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중간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각각의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사용자 중 감염병에 감염된 사용자를 색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are multiple user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The intermediate processor receives the biosignal from each of the wearable devices and generates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The determination unit searches for a user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among a plurality of users based on each of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termediate proces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infected, the monitoring system.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은 서로 다른 복수개의 기준값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감염 의심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set reference value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reference values,
The judging unit,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n infection-suspecting state, and when the detected body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n infection st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중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detect the user's bio-signals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m to the intermediate proces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감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에 감염병에 감염된 사용자의 존재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user is in an infected state,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existence of an externally infected user with an infectious disease.
KR1020200141224A 2020-10-28 2020-10-28 Private LoRa based Real-time Untac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4130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24A KR102413011B1 (en) 2020-10-28 2020-10-28 Private LoRa based Real-time Untac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24A KR102413011B1 (en) 2020-10-28 2020-10-28 Private LoRa based Real-time Untac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40A true KR20220056540A (en) 2022-05-06
KR102413011B1 KR102413011B1 (en) 2022-06-24

Family

ID=8158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224A KR102413011B1 (en) 2020-10-28 2020-10-28 Private LoRa based Real-time Untac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01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011A (en) * 2009-11-04 2011-05-12 (주)아이블포토닉스 Safety band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
KR101691142B1 (en) 2015-07-22 2017-01-09 주식회사 이피텍 Wearable smartband
KR20170053145A (en)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racking and managing system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KR20170108583A (en)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nalyzing health signal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011A (en) * 2009-11-04 2011-05-12 (주)아이블포토닉스 Safety band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
KR101691142B1 (en) 2015-07-22 2017-01-09 주식회사 이피텍 Wearable smartband
KR20170053145A (en)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racking and managing system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KR20170108583A (en)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nalyzing health signal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011B1 (en)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277B1 (en) Health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using face monitoring and thermal image monitoring, health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JP5927691B2 (en) Area monitoring system
CN107077214A (en) For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communication used within the hospital
CN107133564A (en) A kind of frock work hat detection method
JP3979141B2 (en) Autonomous mobile robot for guidan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962002B1 (en) workers healthcare monitoring method using biological signals based safety menagement woking clothes
US20230162857A1 (en) Biological signal analysis algorithm, system, and method
KR102413011B1 (en) Private LoRa based Real-time Untact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20174849A (en) Safety monitoring system on operator
KR20230140616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worker location tracking
WO2019176222A1 (en) Anomaly sensing system, anomaly sensing method, and anomaly sensing program
KR102187389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person in quarantine
CN110620980A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system and hearing device system
KR101951538B1 (en) Safety management work clothes based on biological signals
KR20200076240A (en) System for managing lonely-death
JP4120379B2 (en) Behavior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WO20170695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bio-signal on basis of wireless network
KR20220003220A (en) Wearable device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Mitabe et al. An intelligent support system for elderly care with RFID tags and a cleaning robot
JP2021065974A (en) Robot safety system
KR20110006070A (en) Method for transmitting user's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proximity camera to guardian at emergency state
KR102540146B1 (en) System for managing the person in quarantine
RU2751146C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lerting of condition of user
TWI747390B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KR102614706B1 (en) Convalescent hospital nursing robot ser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