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924A -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 Google Patents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24A
KR20220055924A KR1020200140508A KR20200140508A KR20220055924A KR 20220055924 A KR20220055924 A KR 20220055924A KR 1020200140508 A KR1020200140508 A KR 1020200140508A KR 20200140508 A KR20200140508 A KR 20200140508A KR 20220055924 A KR20220055924 A KR 2022005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aser projector
image
ultr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현
박창혁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102020014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924A/en
Publication of KR2022005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2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focal length laser proje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focal length laser projector, which uses an ultrashort focal length laser projector to implement a large smart mirror of 100 inches or more and implement 1:1 scale with a subject, thereby implementing an interactive training environment. In addition, guidelines are provided on a screen during exercise in a fitness center and the like to correct the user's incorrect posture and 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as feedback on the basis of augmented reality to increase exerci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e present patent (invention)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research fund support of 2020 Post-R&D Global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 of the Jeonnam Information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The smart mirror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a camera module, a storage module, an analysis and processing module, an ultrashort focal length laser projector, a control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Description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본 발명은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100인치 이상의 대형 스마트 미러를 구현할 수 있고, 피사체와의 1:1 스케일을 구현함으로써 인터렉티브한 트레이닝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nd more particularly, a large smart mirror of 100 inches or more can be implemented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nd interactive by implementing a 1:1 scale with the subject. It relates to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that can implement a training environment.

거울은 인류가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매우 친근한 물건으로서, 자기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사람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게 되는데 이는 실시간 확인만 가능할 뿐 그 모습을 저장해 둘 수가 없다. A mirror is a very friendly object that mankind has used for a long time, and is mainly used as a means to check oneself. In other words, people look at themselves through the mirror several times a day, and this can only be checked in real time and cannot be saved.

최근에는 카메라 기능의 발달로 인해 셀프 사진 촬영을 하여 자신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뿐 아니라 하거나 기록해 두어 차후에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camera function, it is possible to not only check the appearance of oneself in real time by taking a self-portrait, but also to record it and check it later.

그러나, 자신의 모습을 기록해 두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매번 휴대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 사진을 촬영하기란 번거로운 일이다. However, it is cumbersome to take a self-portrait using the camera you carry every time with the will to record your appearance.

이에 따라 거울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거울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볼 때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이 있으나, 단순 촬영된 사진을 활용하는 방식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on a mirror and a user takes a picture when the user reflects his or her appearance in the mirror, but a method using a simple photographed picture is still insufficient.

최근에는 이러한 거울에 정보통신(IT, Information technology)기술을 접목시켜 평상시에는 거울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미러(Smart mirror)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by graf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T) technology to these mirrors, smart mirrors that can be used as mirrors in everyday life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users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 미러는 패널 사이즈의 한계로 대형 화면의 구현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화면 구현시 피사체와의 1:1 스케일 구현이 매우 어렵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mart mirror,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a large scree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anel siz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a 1:1 scale with a subject when implementing the screen.

대형 패널을 이용하여 대형 화면을 구현하더라도 비용이 매우 높아 상업화가 어렵고, 상단에 위치한 카메라로 인해 촬영시 피사체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Even if a large screen is implemented using a large panel, commercializ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cost is very hig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ject is distorted during shooting due to the camera located on the top.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408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408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557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5576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100인치 이상의 대형 스마트 미러를 구현할 수 있고, 피사체와의 1:1 스케일을 구현함으로써 인터렉티브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arge smart mirror of 100 inches or mor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nd to implement an interactive environment by realizing a 1:1 scale with the subj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센터 등에서 운동시 화면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고, 관련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피드백하여 운동 효율 및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line on the screen during exercise in a fitness center, etc. using an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that can correct a user's incorrect posture and feed back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increase exercise efficiency and eff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irro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운동 정보를 전용 앱을 통해 연동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동 히스토리와 성과를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service by linking exercise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 and provides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that enables sharing of exercise history and performance through SNS. .

또한, 본 발명은 PT, 요가, 필라테스 등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여 앱스토어와 같은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I for registering various exercise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smart mirror devices, such as PT, yoga, and Pilates, to create a profit model such as an app store. Smart using an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rro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거울에 비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suitable for users by photographing an image of a user reflected in the mirror, databaseizing and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는 하프미러와, 상기 하프미러의 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하프미러와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스크린의 중앙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형정보를 추출하며, 현재 추출된 체형정보와 상기 저장모듈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체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변화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처리모듈과; 상기 하프미러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측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와; 상기 분석처리모듈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체형정보에 따른 현재 체형라인과 이전 체형정보에 따른 이전 체형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각각 표시되게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체형변화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변화를 유도하도록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트레이닝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게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alf-mirror, a scree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half-mirr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raps around the half-mirror and the edges of the screen a body including a bezel formed so as to a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screen to photograph a user;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 analysis processing module that extracts the user's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analyzes the user's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currently extracted body shape information with the user's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module class;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provided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screen and projecting an image toward the screen;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current body shape line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analyzed in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the previous body shape line according to the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extracting at least one of the training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to induce a change in the body shape of the body and controlling i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처리모듈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체형정보에 따른 현재 체형라인과 이전 체형정보에 따른 이전 체형라인을 상기 스크린에 각각 표시되게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신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위가 상기 스크린상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촬영가이드라인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게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so that a current body line according to the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analyzed by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a previous body line line according to the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respectively,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is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screen a shooting guideline guiding that at least one or more specific parts are located in at least one or more preset specific areas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100인치 이상의 대형 스마트 미러를 구현할 수 있고, 피사체와의 1:1 스케일을 구현함으로써 인터렉티브한 트레이닝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The smart mirror device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large smart mirror of 100 inches or more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nd implement an interactive training environment by implementing a 1:1 scale with the subject. .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센터 등에서 운동시 화면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고, 관련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피드백하여 운동 효율 및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a user's wrong posture by providing guidelines on the screen during exercise in a fitness center, etc., and feed back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increase exerci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닝 정보를 전용 앱을 통해 연동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동 히스토리와 성과를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ersonalized service by linking training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 and share exercise history and performance through SNS.

또한, 본 발명은 PT, 요가, 필라테스 등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여 앱스토어와 같은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I for registering various exercise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smart mirror devices, such as PT, yoga, and Pilates, to create a revenue model such as an app store.

또한, 본 발명은 거울에 비치지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분석하여 이전에 촬영된 영상과 함께 현재 촬영된 영상을 비교 및 비교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 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체형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운동정보 및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the user's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databaseizes and analyzes the captured image, compares the currently captured image with the previously captured image, and projects the comparison image to allow the user to change his or her body shape. It is easy to recognize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itable for users by providing exercise information and images for inducing changes in body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
1 is a view showing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user's smart terminal.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mirror device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는 본체(110)와, 카메라모듈(120)과, 저장모듈(130)과, 분석처리모듈(140)과,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와, 제어모듈(160)과, 통신모듈(170) 및 조작모듈을 구비한다.1 to 4 show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the smart mirror device 1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camera module 120, a storage module 130, and an analysis processing module ( 140),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a control module 160, a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an operat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가 하프미러 상측 후방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거울로 보이지만,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에서 스크린 측으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에만 영상이 하프미러를 통과하여 그 영상을 사용자(5)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적용하였다. In the smart mirro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150 is dispos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half-mirror so that it usually looks like a mirror, but only when the image is output from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150 to the screen side, the image is half What wa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5 could check the image through the mirror was applied.

본체(110)는 크게 평판형 하프미러(111)와, 하프미러(111)의 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과, 하프미러(111)와 스크린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하프미러(111)와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마감 및 보호하는 베젤(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는 본체(110)의 상단 측 하프미러(111)와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린 측으로 영상을 투사한다.The main body 110 has a large flat-type half mirror 111, a screen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half mirror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to which an image is projected, and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half mirror 111 and the scree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irror 111 and a bezel 112 for finishing and protecting the edge of the screen. Here,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half mirror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creen and projects an image toward the screen.

본체(110)은 전방에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5)를 비춰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동시에 내부에 위치한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에서 스크린으로 투사시중인 영상이 하프미러(111)를 투과하여 표시됨으로써, 사용자(5)는 자신의 모습과 영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can reflect and display the user 5 located in the front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mage being projected onto the screen by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located insi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half mirror 111 . By being displayed, the user 5 can check his/her appearance and the image at the same time.

카메라모듈(120)은 스크린의 중앙에 하프미러 측을 향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모듈(1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The camera module 12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o take an image toward the half-mirror,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160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모듈(120)은 스크린의 중앙에 1개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스크린의 좌측 상하단, 우측 상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3D 형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후술하는 분석처리모듈(140)에서는 복수의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 및 종합하여 사용자(5)의 영상을 3D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camera module 1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but unlike this,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hoot a 3D image by installing the camera module 120 at the upper and lower left corners and upper and lower right corners of the scree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to be described later processes and synthesizes the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to generate the image of the user 5 in 3D form.

저장모듈(130)은 제어모듈(16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모듈(130)에는 카메라모듈(120)에 촬영되는 사용자(5)의 동작들 중 후술하는 제어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정보 및 사용자(5)의 체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트레이닝 영상이 미리 저장된다.The storage module 130 stor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60 . 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130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60 to be described later among the operations of the user 5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120 . Information and training images for guiding to manage the body type of the user 5 are stored in advance.

분석처리모듈(140)은 카메라모듈(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5)를 식별하고, 현재 촬영된 사용자(5)의 현재 체형정보를 추출하며, 현재 추출된 체형정보와 저장모듈(130)에 기저장된 사용자(5)의 이전 체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5)의 체형변화정보를 분석한다.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identifies the user 5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extracts the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photographed user 5, and stores the currently extracted body shape information The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5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5 pre-stored in the module 130 .

또한, 분석처리모듈(140)은 체형정보를 추출하기 이전에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5)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상태로 사용자(5)의 특정 신체 일부분이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continuously receives the image of the user 5 obtain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before extracting the body type information, and a specific body part of the user 5 is subjected to the ultra-short focus la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jector 150 is located in a specific area.

일 예로, 분석처리모듈(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5)의 머리(B1), 양쪽 어깨(B2, B3), 양쪽 손(B4, B5), 양쪽 발(B6, B7)이 각각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상의 특정한 제1영역(A1), 제2영역(A2) 및 제3영역(A3), 제4영역(A4) 및 제5영역(A5), 제6영역(A6) 및 제7영역(A7)에 각각 위치하는 지를 판정한다. As an example,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as shown in Figure 3, the user 5's head (B1), both shoulders (B2, B3), both hands (B4, B5), both feet (B6, B7) The specific first area A1, second area A2, and third area A3, fourth area A4, fifth area A5, and sixth area on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respectively. A6) and the seventh area A7 are determined respectively.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는 하프미러와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고, 스크린 측으로 영상을 투사한다.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는 UHD급, 4K급, 8K급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is provided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screen, and projects the image toward the screen.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capable of realizing UHD, 4K, and 8K image quality.

제어모듈(160)은 분석처리모듈(140)에서 판정된 결과가 어느 한 부위라도 해당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사용자(5)의 특정 부위를 해당 영역에 위치시키도록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5)의 촬영 영상이 사용자(5)의 자세에 따라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사용자(5)가 일정 자세를 취한 상태로 촬영함으로써 분석처리모듈(140)의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If the result determined by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is that any one part is not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 control module 160 may provide a guide message or signal can be sent. This is to prevent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5 from being chang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user 5. When comparing the previous image and the current image of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by shooting the user 5 in a certain posture This is to minimize errors.

또한, 분석처리모듈(140)은 사용자(5)의 식별을 위한 이미지처리부와, 계산부와, 식별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identification of the user 5 , a calculation unit, and an identification unit.

이미지처리부는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사용자(5)의 전체 영상과,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사용자(5)의 전체 영상 중에서 사용자(5)의 팔에 해당하는 상지부 영상과,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사용자(5)의 전체 영상 중에서 사용자(5)의 다리에 해당하는 하지부 영상을 각각 추출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n image of the upper limb corresponding to the arm of the user 5 among the entire image of the user 5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entire image of the user 5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120, From among the entire images of the user 5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 images of the lower extremities corresponding to the legs of the user 5 are respectively extracted.

이미지처리부는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사용자(5)의 영상 즉, 원본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한 RGB 타입의 색정보를 YCbCr 타입의 색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YCbCr 방식의 색정보에서 색차정보를 제거하여 단순 휘도 성분만을 갖는 이미지로 변환처리하며, 변환된 이미지로부터 엣지(Edge)를 검출하여 엣지이미지를 생성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converts RGB type color information for each pixel of the image of the user 5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that is, each pixel of the original image, into YCbCr type color information, and a color difference from the converted YCbCr type colo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removed and converted into an image having only a simple luminance component, and an edge is detected from the converted image to generate an edge image.

상술한 RGB 타입은 픽셀에 대한 색정보를 적색 성분과, 녹색 성분과 청색 성분으로 나타내고, YCbCr 타입은 픽셀에 대한 색정보를 휘도 성분과, 색차 성분 상세하게는 휘도 성분과 청색 성분의 차이, 휘도 성분과 적색 성분의 차이로 나타낸다. 이미지처리부의 변환처리 과정에서는 색차 정보뿐만 아니라, 설정된 휘도 값 이하의 휘도 값을 갖는 픽셀의 휘도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원본 영상을 흑색과 백색으로 표현되는 이진 색정보를 갖는 이미지로 변환처리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RGB type represents color information for a pixel with a red component, a green component, and a blue component, and the YCbCr type represents color information for a pixel with a luminance component and a color difference component, 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component and the blue component, luminance It is express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red component.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original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n image having binary color information expressed in black and white by removing not only the color difference information but also the luminance information of pixels having a luminance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set luminance value.

그리고, 이미지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엣지이미지는 원본 영상로부터 서로 다른 명암을 지닌 두 영역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는 엣지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미지처리부의 엣지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은 크게 입력된 이미지를 가우시안필터(Gaussian filter)를 이용하여 평활화(Smoothing) 처리하는 단계와, 소벨 마스크(Sobel Mask)를 이용하여 그레디언트(gradients)를 검출(픽셀의 명암 값이 급격하게 변하는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더블 스레스홀딩(Double thresholding)하는 단계 및 엣지 트래킹(Edge tracking)단계를 포함하는 캐니 엣지 검출(Canny Edge Detec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더블 스레스홀딩 단계에서는 두 개의 임계값을 기준으로 약 엣지와 강 엣지를 판단하고, 엣지 트래킹단계에서는 끊어진 엣지를 연결한다.And, the edg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detected from the original image through an edge detection algorithm that detects a boundary between two regions having different contrasts. In this embodiment, the algorithm for edge detec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step of smoothing a large input image using a Gaussian filter, and gradients using a Sobel mask. Canny Edge Detection algorithm is applied, which includes a step of detection (detecting a portion in which the contrast value of a pixel changes rapidly), a step of double thresholding, and a step of edge tracking. do. In the double thresholding stage, a weak edge and a strong edge are judged based on two thresholds, and the broken edge is connected in the edge tracking stage.

이미지처리부는 엣지이미지에서 밝은 부분은 확장시키면서 어두운 부분은 약화시키는 팽창(Dilation) 연산 즉, 밝게 표시되는 엣지 영역을 그 주변으로 확장(dilation of canny image)시키는 연산을 통해 제1보정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보정이미지 중에서 국소적으로 위치하는 흑색 영역을 백색으로 채워 제2보정이미지를 생성(Filling)한다. 이는 엣지이미지에서 어두운 영역에 대한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a first corrected image through a dilation operation that expands the bright part and weakens the dark part in the edge image, that is, expands the brightly displayed edge area to its periphery (dilation of canny image), , fills a locally located black region in the first corrected image with white to create a second corrected image (Filling). This is to clearly distinguish the dark area in the edge image.

그리고, 이미지처리부는 제2보정이미지 중에서 원하는 영역 즉, 관심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필터링 하기 위한 마스크(ROI MASK ; Region of interest)에 대하여 제2보정이미지를 컨벌루션(convolution) 적분하여 제3보정이미지를 생성하고, 제3보정이미지 중에서 외곽의 엣지에 대응되는 각각의 픽셀에 라벨을 부여한다(labelling). 이는 제3보정이미지에서 아웃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T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a third corrected image by convolutional integration of the second corrected image with respect to a region of interest (ROI MASK) for selectively filtering only a desired region, that is, only a region of interest among the second corrected images. and labeling each pixel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third corrected image (labeling). This is to set the outline in the third corrected image.

또한, 이미지처리부는 제3보정이미지에서 밝은 영역은 약화시키면서 어두운 영역은 강화시키기 위한 침식(Erosion) 연산을 수행하여 제4보정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4보정이미지의 경계를 검출하여 제5보정이미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5보정이미지를 재차 침식 연산을 수행하여 제6보정이미지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a fourth corrected image by performing an erosion operation to strengthen dark areas while weakening bright areas in the third corrected image, and detects the boundary of the generated fourth corrected image to obtain a fifth corrected image. A corrected imag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ifth corrected image is eroded again to generate a sixth corrected image.

그리고, 이미지처리부는 제6보정이미지에 대하여 관심 영역 스레스홀딩(ROI Threshold) 연산을 통해 제7보정이미지 생성한다. 또한, 이미지처리부는 제6보정이미지를 이용하여 상지 또는 하지 마스크(Cabbage Mask)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지 또는 하지 마스크(Cabbage Mask)에 대하여 Filling, Erosion, Labelling 처리를 통해 사용자(5) 대한 전체보정이미지를 생성한다.T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a seventh corrected image by performing an ROI threshold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ixth corrected image.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an upper or lower extremity mask (Cabbage Mask) using the sixth correction image, and fills, erosion, and labeling processes for the created upper extremity or lower extremity mask (Cabbage Mask) for the entire user (5). Create a correction image.

한편, 이미지처리부는 전체보정이미지의 추출이 완료된 후 또는 전체보정이미지의 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지부 이미지 또는 하지부 이미지의 추출을 위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체보정이미지 추출 과정에서 생성된 제7보정이미지로부터 상지부 또는 하지부에 해당하는 제8보정이미지를 생성하고, 원본이미지로부터 제8보정이미지가 해당하는 영역과 매칭되는 영역을 추출하여 상지부 이미지 또는 하지부 이미지를 생성한다.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a process for extracting the upper extremity image or the lower extremity image after the extraction of the entire corrected image is completed or dur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entire corrected image. This creates an eighth correct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extremities from the seventh corrected image generated in the entire corrected image extrac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and a region matching the eighth corrected image from the original image. By extraction, an image of an upper limb or an image of the lower limb is generated.

계산부는 이미지처리부에서 추출된 사용자(5)의 전체 영상과 상지부 영상의 길이 비율정보와, 전체 영상과 하지부 영상의 길이 비율정보와, 상지부 영상과 하지부 영상의 길이 비율정보 및 전체 영상과 하지부 영상 또는 상지부 영상의 면적 비율정보를 각각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비율정보들을 식별부로 송출한다. 계산부에서 계산된 비율정보들은 저장모듈(130)에 별도로 저장된다.The calculation unit includes length ratio information of the entire image of the user 5 and the upper extremity image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length ratio information of the entire image and the lower extremity image, length ratio information of the upper extremity image and the lower extremity image, and the total image and area ratio information of the lower limb image or the upper limb image is calculated, respectively. Then, the calculated rat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dentification unit. The ratio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is separately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

식별부는 계산부에서 계산된 비율정보들과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사용자별 표본정보와의 상호 유사도를 분석 및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5)를 식별한다.The identification unit analyz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ratio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and the sample information for each user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and identifies the user 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식별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표본정보 즉, 사용자(5)별 전체 이미지 길이 인 키와, 팔 길이와, 다리 길이와, 키 대비 팔 길이 비율, 키 대비 다리 길이 비율, 팔 길이 대비 다리 길이 비율 정보와, 전체 이미지 면적, 상지부 면적, 하지부 면적, 전체 이미지 면적 대비 상지부 면적 비율, 전체 이미지 면적 대비 하지부 면적 비율, 상지부 면적 대비 하지부 면적 비율정보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로딩하고 분석된 길이정보, 비율정보, 면적정보, 면적비율정보 각각에 대하여 로딩된 표본정보와 유사도를 비교하며, 유사도가 가장 큰 표본정보가 나타날 시 사용자(5)를 유사도가 가장 큰 표본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5)로 판별한다. 이때, 후술하는 제어모듈(160)은 판별된 사용자(5)의 이전 촬영 영상 및 체형정보를 로딩하여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sample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that is, the total image length for each user (5): height, arm length, leg length, height-to-arm length ratio, height-to-leg length ratio, arm Leg length to length ratio information, total image area, upper limb area, lower limb area, upper limb area ratio to total image area, lower limb area ratio to total image area, and lower limb area ratio information to upper limb area Loaded and analyzed length information, ratio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and area ratio information for each of the loaded sample information and the similarity, and when the sample information with the greatest similarity appears, the user (5) is assigned to the sample information with the greatest similarity. It is determined as the user 5 corresponding to .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60 to be described later loads the previously captured image and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user 5 and controls to be displayed on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150 .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 및 분석처리모듈(140)에서 분석된 사용자(5)의 현재 체형정보, 이전 체형정보, 체형변화정보를 출력한다.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15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outputs the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and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5 analyzed by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 do.

제어모듈(160)은 카메라모듈(120) 및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 respectively.

제어모듈(160)은 분석처리모듈(140)에서 분석된 사용자(5)의 현재 체형정보에 따른 현재 체형라인과 이전 체형정보에 따른 이전 체형라인을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게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를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160 uses the ultra-short focus laser projector 150 to display the current body shape line according to the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5 analyzed by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and the previous body shape line according to the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on the screen. ) to control

또한, 제어모듈(160)은 사용자(5)의 체형변화정보에 따라 사용자(5)의 체형변화를 유도하도록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트레이닝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게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60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training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to induce a change in the body shape of the user 5 according to the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5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Controls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

또한, 제어모듈(160)은 사용자(5)의 신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위가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상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촬영가이드라인을 스크린상에 표시되게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60)은 분석처리모듈(140)을 통해 스크린상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5)의 특정 부위가 위치한 것으로 분석되면,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사용자(5)를 촬영 및 촬영된 영상을 저장모듈(130)에 저장되게 제어 및 분석처리모듈(140)을 통해 사용자(5)를 식별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60 displays on the screen a shooting guideline for guiding that at least one or more specific parts of the body of the user 5 are located in at least one or more preset specific areas on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150 . Controls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to be so.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module 160 is analyzed that a specific part of the user 5 is located in a specific area on the screen through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 the user 5 is photographed and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20 . The image is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and the user 5 is identified through the control and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

또한, 제어모듈(160)은 카메라모듈(120)에 동작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5)의 동작이 촬영되면, 동작제어정보에 따라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a motion of the user 5 corresponding to the motion control information is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 the control module 160 controls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according to the motion control information.

일 예로, 제어모듈(160)은 사용자(5)가 손을 우에서 좌로 이동시킬 때,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이전의 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5)가 손을 좌에서 우로 이동시킬 때,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다음의 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5)가 손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킬 때,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5)가 손을 아래서 위로 이동시킬 때, 현재 정지된 영상이 다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5 moves his hand from right to left, the control module 160 controls an image prior to the currently played image to be played back, and when the user 5 moves his hand from left to right , control so that the image following the currently played image is played, when the user 5 moves his hand from top to bottom, the currently playing image is controlled to stop, and the user 5 moves his hand from bottom to top When you do this, you can control the currently stopped image to be played again.

제어모듈(160)은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5)의 동작을 인식 및 감지하여 영상의 재생 및 정지와 관련된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 및 재생되는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160 recognizes and detects the user's 5 motion to perform control related to reproduction and stop of the image, but differently projected and reproduced on the screen through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 Of course, you can perform various controls depending on the content being used.

또한, 제어모듈(160)은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트레이닝 영상들 중에서 분석처리모듈(140)에서 분석된 사용자(5)의 체형변화정보에 따라 사용자(5)의 체형을 변화시키기 적합한 트레이닝 영상을 추출하여 스크린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5)가 트레이닝 영상을 따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분석처리모듈(140)은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사용자(5)의 트레이닝 동작을 촬영한 뒤 사용자(5)의 동작이 트레이닝 영상에 표시되는 동작과 동일 여부를 판별하고, 제어모듈(160)은 판별 결과가 동일하면 스크린에 표시되는 트레이닝 영상을 다음 영상으로 스킵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해당 영상을 지속적으로 나타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60 is a training image suitable for changing the body shape of the user 5 according to the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5 analyzed by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among the training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 By extracting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user 5 can follow the training image. In this case,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captures the training operation of the user 5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user 5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displayed in the training image, and controls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he same, the module 160 skips the training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o the next image, and if not the same, controls the image to continuously appear.

통신모듈(170)은 제어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5)의 스마트단말기(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통신모듈(170)은 제어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통해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된 영상 및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영상 콘텐츠 및 분석처리모듈(140)에서 분석된 분석정보를 스마트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support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200 of the user 5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60 .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through Bluetooth or Wi-Fi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60 and the imag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and analyzed by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140 . The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200 .

통신모듈(170)을 통해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와 연결된 사용자(5)의 스마트단말기(200)에는 사용자(5)의 체형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5)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체형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e smart terminal 200 of the user 5 connected to the smart mirror device 1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an application for monitoring and managing body shape 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5 is installed, and through this application, the user (5) can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one's body type anytime, anywhere.

스마트단말기(200)는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와 연동하여 사용자(5) 체형 관리 서비스를 처리한다. 즉,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와 연동하여 사용자(5) 체형 관리 및 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공유 처리하고, 체형을 관리하는 영업점이나 상품 정보를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150)에 표시 또는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에 표시되게 처리한다.The smart terminal 200 processes the user 5 body shape management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mirror device 1 . That is,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mirror device 1, the user 5 body shape management and related service information are shared, and the branch or product information that manages the body shape is displayed on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50 or the smart mirror device Process as indicated in (1).

스마트단말기(200)는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와 통신하는 통신부,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5)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5) 관련 정보 서비스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와 연동하여 서비스 정보를 공유 처리한다.The smart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mirror device 1 , 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5 provided from the smart mirror device 1 , and a user 5 provided from the smart mirror device 1 .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related information service is included, and the control unit works with the smart mirror device 1 to share servic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는 카메라모듈(120)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5)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5) 정보에 따른 이전 영상을 저장모듈(130)에서 추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mirro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user 5 by analyzing the curren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and stores the previous imag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er 5 information. Extracted from module 130 .

그리고,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5)의 특정 부위에 따른 특징점을 추출하고, 해당 특징점을 이용하여 사용자(5)를 식별하는 기능을 통해 사용자(5)를 식별한다. 다시 말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5)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5)에 대응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에 구비되거나 외부 장치에 구비된 저장매체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이전의 영상들을 추출한다.Then, the image is analyzed to extract a feature point according to a specific part of the user 5 , and the user 5 is identified through a function of identifying the user 5 using the feature point.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real-time captured image, the user 5 is identified, and as described above to correspond to the user 5, previous images that are provided in itself or are databased in a storage medium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are used. extract

그리고, 카메라모듈(120)에서 촬영되는 현재 영상과 저장모듈(130)에서 추출된 해당 사용자(5)의 이전 영상에 따른 화면을 생성하여 스크린에 표시한다. Then, a screen according to the curren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previous image of the user 5 extracted from the storage module 130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는 현재 영상과 이전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비교결과를 도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비교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The smart mirror device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rive and display the comparison result by comparing the current image with the previous image, for example, it can display the comparison result so as to overlap the current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1)는 스마트 체중계(300)와 통신 및 연동하여 스마트 체중계(3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 체지방정보 등을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 mirror device 1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and interworks with the smart scale 300 to receive the user's weight and body fa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mart scale 300 and display the information. It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100인치 이상의 대형 스마트 미러를 구현할 수 있고, 피사체와의 1:1 스케일을 구현함으로써 인터렉티브한 트레이닝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The smart mirror device using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implement a large smart mirror of 100 inches or more using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and an interactive training environment by implementing a 1:1 scale with the subject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은 피트니스센터 등에서 운동시 화면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고, 관련 정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피드백하여 운동 효율 및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a user's wrong posture by providing guidelines on the screen during exercise in a fitness center, etc., and feed back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increase exerci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닝 정보를 전용 앱을 통해 연동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동 히스토리와 성과를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ersonalized service by linking training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app, and share exercise history and performance through SNS.

또한, 본 발명은 PT, 요가, 필라테스 등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여 앱스토어와 같은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I for registering various exercise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smart mirror devices, such as PT, yoga, and Pilates, to create a revenue model such as an app sto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smart mirror device using the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herefrom.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
110 : 본체
120 : 카메라모듈
130 : 저장모듈
140 : 분석처리모듈
150 :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
160 : 제어모듈
170 : 통신모듈
200 : 스마트단말기
1: Smart Mirror Device
110: body
120: camera module
130: storage module
140: analysis processing module
150: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160: control module
170: communication module
200: smart terminal

Claims (2)

하프미러와, 상기 하프미러의 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하프미러와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스크린의 중앙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형정보를 추출하며, 현재 추출된 체형정보와 상기 저장모듈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체형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변화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처리모듈과;
상기 하프미러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측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와;
상기 분석처리모듈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체형정보에 따른 현재 체형라인과 이전 체형정보에 따른 이전 체형라인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각각 표시되게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체형변화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변화를 유도하도록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트레이닝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통해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게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
a main body including a half mirror, a scree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half mirr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bezel formed to surround the half mirror and edges of the screen;
a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screen to photograph a user;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 analysis processing module that extracts the user's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and analyzes the user's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currently extracted body shape information with the user's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module class;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provided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screen and projecting an image toward the screen;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current body shape line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body shape information analyzed in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the previous body shape line according to the previous body shape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change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extracting at least one of the training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to induce a change in the body shape of the body and controlling i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A smart mirror device using an ultra-short throw laser projector comprising a;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with a user's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처리모듈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체형정보에 따른 현재 체형라인과 이전 체형정보에 따른 이전 체형라인을 상기 스크린에 각각 표시되게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신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위가 상기 스크린상의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촬영가이드라인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게 상기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초점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to display a current body line according to the current body type information of the user analyzed by the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a previous body line line according to the previous body type information on the screen, respectively, Smart using an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ultra-short-throw laser projector to display on the screen a shooting guideline guiding that at least one or more specific areas are located in at least one or more preset specific areas on the screen mirror device.
KR1020200140508A 2020-10-27 2020-10-27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KR202200559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08A KR20220055924A (en) 2020-10-27 2020-10-27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08A KR20220055924A (en) 2020-10-27 2020-10-27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24A true KR20220055924A (en) 2022-05-04

Family

ID=8158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08A KR20220055924A (en) 2020-10-27 2020-10-27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92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762A (en) 2004-06-08 2004-06-26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 mirr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a method thereof
KR20170034086A (en)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퓨처리스트 Smart mirror and system for management service of user style using it and terminal for it and server for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762A (en) 2004-06-08 2004-06-26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A mirr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a method thereof
KR20170034086A (en)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퓨처리스트 Smart mirror and system for management service of user style using it and terminal for it and server for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7423A1 (en) Skin type detection method, skin type grade classification method and skin type detection apparatus
CN106056064B (en) A kind of face identification method and face identification device
KR101554403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 program
JP2020522807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user to take a selfie
US10805543B2 (en) Display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4888217B2 (en) Person attribute estimation device
US20150262403A1 (en) Makeup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akeup
US102548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gaze of a viewer
RU2016107189A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VIRTUALIZATION OF THE MIRROR
EP2945372A1 (en) Electronic mirror device
CN113034354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556336B (en) Multimedia file processing metho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medium
CN108876753A (en) Optional enhancing is carried out using navigational figure pairing growth exposure image
KR101923177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ased on user
CN112135041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pecial effect of human face and storage medium
US1060207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eye-gaze correction
JP2019048026A (en) Bi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hand skin analysis method
JP5771647B2 (en) Skin analysis device, skin analysis system, skin analysis method, and skin analysis program
CN107301390A (en) Shoot remind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190370988A1 (en) Document imaging using depth sensing camera
US20200311417A1 (en) Method of detecting defects on face automatically
KR102071410B1 (en) Smart mirror
CN111784604B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55924A (en) Smart mirror device using ultra short throw laser projector
CN109189246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scribbled content on handwrit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