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884A -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 Google Patents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884A
KR20220055884A KR1020200140429A KR20200140429A KR20220055884A KR 20220055884 A KR20220055884 A KR 20220055884A KR 1020200140429 A KR1020200140429 A KR 1020200140429A KR 20200140429 A KR20200140429 A KR 20200140429A KR 20220055884 A KR20220055884 A KR 2022005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finishing material
support plate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정기
Original Assignee
우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기 filed Critical 우정기
Priority to KR102020014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884A/en
Publication of KR2022005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that can simply and directly fix a finishing material to a building wall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comprises: a fixed shaft unit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n anchor part fixed to the building wall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having a horizontal surface formed vertically; a first suppor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unit; a first fixing nut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plate to the fixed shaft unit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unit; a fixing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support part; and a fixing pin formed in a T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to be fixed.

Description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본 발명은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외벽에 보호와 미감을 고려한 마감재 등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capable of safely fixing a finishing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protection and aesthetics to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건물외벽에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은 크게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구별할 수 있는 데, 습식공법은 건물외벽과 패널의 후면에 각각 시멘트 몰탈을 발라 패널을 건물외벽에 직접 시공하는 방법이고, 건식공법은 앙카볼트와 앵글을 사용하여 패널을 물리적으로 건물외벽에 부착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이다.The method of installing panels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wet method and a dry method. The we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cement mortar is applied to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ack of the panel, respectively, and the panel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dry method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physically attaches and fixes the panel to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using anchor bolts and angles.

이러한 시공공법 중 습식공법은 시공이 간편하기는 하지만 시멘트 몰탈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패널이 건물외벽에서 떨어져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안정성을 위해 건식공법이 더 널리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식공법은 건물외벽에 앙카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앙카에 마감패널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다.Among these construction methods, the wet method is easy to install, but it takes a lot of time to cure the cement mortar, and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panel falls of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causes a safety accident. there is a situation. The dry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 anchor is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nd fixed, and the finishing panel is fixed to the anchor.

근래들어 얇은 두께의 마감패널을 일정크기로 규격화하여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외장마감재로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들 다수의 마감패널을 건물외면에 부착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은, 마감패널 상,하면에 구멍을 뚫고 연결부재를 끼움결합한 상태에서 이 마감패널을 건물 건물벽에 설치된 브라켓에 부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건물 건물벽에 마감재로서 다수의 마감패널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었다.Recently, thin-walled finishing panels are standardized to a certain size and are widely used as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to make the exterior of buildings beautiful.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for attaching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these finishing panels to the exterior of a building is by making holes in the top and bottom of the finishing panel and attaching and fixing the finishing panel to a bracket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member is fitted. It was to install a number of finishing panels as a finishing material on the building wall.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마감패널이 얇거나 유리와 같이 깨지기 쉬운 경우이면 마감패널에 구멍을 뚫기가 어렵고 뚫는다고 해도 결합상태 등이 불안하여 설치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finished panel is thin or fragile, such as glass, it is difficult to drill a hole in the finished panel, and even if it is drilled, the bonding state is unstable, resulting in poor installation durability.

등록특허 제 10-186944호Registered Patent No. 10-18694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감재를 그대로 건물의 건물벽에 간단하게 바로 고정할 수 있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capable of simply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 directly to the building wall of the building as it 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건물벽에 고정되는 앵커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하로 수평의 면이 형성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고정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제 1지지판과,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지지판을 상기 고정축부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너트와, 상기 지지부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과,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vice for fixing a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n anchor portion fixed to the building wall,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in which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are formed. A fixed shaft portion, a first suppor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portion, and a first fixing nut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plate to the fixed shaft portion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T'-shaped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s fixed.

상기 고정축부의 축 중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의 축에는 나선이 마련되고, 상기 제 1고정너트 내부에는 나선이 마련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piral is provided on an axis of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among the axes of the fixing shaft, and a spiral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ing nut to engage with each other.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pin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and a horizontal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having a siz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vertical portion.

상기 고정축부의 축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앵커부와 상기 제 1지지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지지판과,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2지지판을 상기 고정축부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shaft portion of the fixed shaft portion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portion and provided between the anchor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ixing nut for fixing the shaft portion.

상기 고정홀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고정홀에 맞물리는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hol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as a plate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and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a width of the fixing hole.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건물 건물벽에 고정되는 고정축부와, 판상의 마감재의 하방은 축부의 평면인 지지부가, 마감재의 전면과 후면은 각각 제 1지지판과 고정핀이 지지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고 안전하게 다양한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fixed shaft part fixed to the building wall, the flat support part of the shaft part below the plate-shaped finishing material, and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fixing pin are suppor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nishing material, respectively,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nd safely install various panel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제 1실시예에 패널이 고정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nel is fix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xing pin constituting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인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건물벽에 고정되는 앵커부(12)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하로 수평의 면이 형성되는 지지부(14)가 마련되는 고정축부(10)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제 1지지판(20)과,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지지판(20)을 상기 고정축부(10)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너트(22)와, 상기 지지부(14)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16)과,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18)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as shown in Figure 1,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is provided with an anchor portion 12 fixed to the building wall,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horizontal surface up and down The fixed shaft portion 10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14 is provided, the first support plate 2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11 of the fixed shaft portion 10, and the fixed shaft portion 10 A first fixing nut 22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plate 20 to the fixing shaft portion 10 while moving along the shaft 11, and a fixing hole 16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4; , may include a fixing pin 18 formed in a 'T'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6 to be fixed.

먼저, 본 발명인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에는 고정축부(1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축부(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건물의 건물벽(W)에 고정되는 앵커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하로 수평의 지지면(14a)이 형성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된다. First, the fixing shaft portion 10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The fixed shaft portion 10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of the anchor portion 12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support portion 14 having a vertical support surface 14a formed thereon. ) is formed.

즉, 상기 앵커부(12)는 건물의 건물벽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4)는 지지면(14a)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하여 건물의 건물벽에 고정되는 마감재(F)의 상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앵커부(12)는 고르지 않은 건물벽에 상관없이 상기 고정축부(10)가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at is, the anchor part 1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uilding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support part 14 allows the support surface 14a to be positioned up and dow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nishing material F fixed to the building wall of the building. plays a supporting role. The anchor part 12 is to allow the fixed shaft part 10 to protrude vertically regardless of an uneven building wall.

그리고, 상기 고정축부(10)에는 나선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부(11a)는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 중 상기 지지부(14)의 가장자리의 축 부분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 1고정너트(22)가 상기 나선부(11a)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spiral portion 11a is formed in the fixed shaft portion 10 . The spiral portion 11a is formed on an axial portion of the edge of the support portion 14 among the shafts 11 of the fixed shaft portion 10, and a first fixing nut 22 to be described below is provided with the spiral portion 11a. ) in order to be fixed while selectively moving along the

상기 고정축부(10)에는 제 1지지판(2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지지판(2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지지판(20)은 상기 축(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A first support plate 20 is provided on the fixed shaft portion 10 .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shaft 11 of the fixed shaft part 1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the shaft 11 . to be able to move along.

상기 제 1지지판(20)과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18) 사이에는 마감재(F)의 판재가 삽입되어 상기 마감재(F)가 상기 건물의 건물벽(W)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xing pins 18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support the finishing material F to be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

상기 제 1지지판(20)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지지판(20)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시 안전 등을 위함이다. The first support plate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his is for safety, etc. during operation by preventing the first support plate 20 from forming an edge.

그리고, 상기 제 1지지판(20)의 일측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지지판(20)이 마감재(F)의 일측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 1지지판(20)에 상기 마감재(F)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20 . This is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late 20 supports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and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tably fixed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20 .

상기 제 1지지판(20)과 상기 마감재(F)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An adhesive may be further added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F contact each other.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에는 제 1고정너트(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고정너트(22)는 상기 축(1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1지지판(20)의 일측면에 맞물려 상기 제 1지지판(20)이 상기 고정축부(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너트(22)의 내부의 나선은 상기 고정축부(10)의 나선부(11a)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A first fixing nut 22 is provided on the shaft 11 of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The first fixing nut 22 moves along the shaft 11 , and engages with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20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fixed to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In addition, the inner spiral of the first fixing nut 22 is configured to engage the spiral portion 11a of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상기 제 1지지판(20)과 상기 제 1고정너트(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지지판(20)의 접착에 의하여 마감재(F)의 판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마감재(F)의 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rst fixing nut 22 may be integrally formed. This is to ensure that th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tably fixed when th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upported by the adhesion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20).

상기 지지부(14)에는 고정홀(16)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홀(16)은 상기 지지부(14)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18)이 삽입되어 상기 마감재(F)의 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슬릿에 고정핀(18)이맞물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A fixing hole 16 is provided in the support 14 . The fixing hole 16 is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14 . A fixing pin 18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6 so that the fixing pin 18 can be engaged and supported in a slit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그리고, 상기 고정홀(16)에는 고정핀(18)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핀(18)은 상기 고정홀(16)에 맞물리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핀(18)이 'T'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6)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xing pin 18 is provided in the fixing hole 16 . The fixing pin 18 may be variously configured to engage the fixing hole 16,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18 may be configured in a 'T' shape. The fixing hole 16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핀(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16)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수직부(18a)와, 상기 수직부(18a)의 상단에 상기 수직부(18a) 보다 상대적으로 큰 수평부(18b)로 구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in 18 is, as shown in FIG. 3, a vertical portion 18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6, and the vertical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8a. It can be divided into a relatively larger horizontal portion (18b) than (18a).

즉, 상기 수직부(18a)는 상기 고정홀(16)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18b)는 상기 고정홀(16) 상방 즉 상기 지지부(14)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4)의 상방에 있는 마감재(F)의 일측면의 슬릿에 맞물려 지지하도록 한다. That is, the vertical portion 18a is fixed through the fixing hole 16 , and the horizontal portion 18b is located above the fixing hole 16 , that is, above the support portion 14 . to engage and support the slit on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locat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수직부(18a)는 상기 고정홀(16)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18a) 중 상기 고정홀(16)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14)의 하방에 있는 마감재(F)의 일측면의 슬릿에 맞물려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18a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fixing hole 16 . That is, a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8a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hole 16 and exposed downward is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a slit on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under the support portion 14 .

상기 수직부(18a)는 상기 고정홀(16)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홀(16)을 따라 상기 수직부(18a)가 상기 지지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직부(18a)가 상기 고정홀(16)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감재(F)의 슬릿의 위치에 쉽게 대응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vertical portion 18a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hole 16 . This allows the vertical portion 18a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4 along the fixing hole 16 so that the vertical portion 18a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6 and , so that it can easil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lit of the finishing material (F).

또한, 상기 지지부(14)의 선단은 상기 마감재(F)의 전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핀(18)을 위치시킨다. 이는 건물의 외벽의 전면의 미려함을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tip of the support part 14 is positioned so that the fixing pin 18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This is in order not to damage the aesthetics of the front of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고정축부(10)에는 기능성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부(10)에서 상기 건물벽(W)과 상기 제 1지지판(20) 사이에 기능성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성부(30)가 단열재부로 상기 건물벽(W)과 상기 제 1지지판(20) 사이에 삽입되어 건물의 건물벽(W)의 단열특성을 높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 functional part 3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xed shaft part 10 . In the fixed shaft part 10 , the functional part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uilding wall W and the first support plate 20 . For example, the functional part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uilding wall W and the first support plate 20 as an insulator part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of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4에 따르면,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건물벽(W)에 고정되는 앵커부(12)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하로 수평의 면이 형성되는 지지부(14)가 마련되는 고정축부(10)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제 1지지판(20)과,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지지판(20)을 상기 고정축부(10)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너트(22)와, 상기 지지부(14)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16)과,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18)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앵커부(12)와 상기 제 1지지판(20)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지지판(40)과,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2지지판(40)을 상기 고정축부(10)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너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Figure 4,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is provided with an anchor portion 12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and the other end is a support portion ( A fixed shaft portion 10 provided with 14), a first support plate 2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11 of the fixed shaft portion 10, and the axis of the fixed shaft portion 10 ( 11)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fixing nut 22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plate 20 to the fixing shaft portion 10, and a fixing hole 16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support portion 14; The fixing pin 18 is formed in a T'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6 and fixed, and the fixing pin 18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11 of the fixing shaft part 10 and the anchor part ( 12) and a second support plate 40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40 while moving along the axis 11 of the fixed shaft portion 10, the fixed shaft portion 10 ) may include a second fixing nut 42 for fixing to the.

먼저, 본 발명인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에는 고정축부(1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축부(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건물의 건물벽(W)에 고정되는 앵커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하로 수평의 지지면(14a)이 형성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된다. First, the fixing shaft portion 10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The fixed shaft portion 10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of the anchor portion 12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support portion 14 having a vertical support surface 14a formed thereon. ) is formed.

즉, 상기 앵커부(12)는 건물의 건물벽(W)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4)는 지지면(14a)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하여 건물의 건물벽(W)에 고정되는 마감재(F)의 상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anchor part 1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and the support part 14 is a finishing material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such that the support surface 14a is positioned vertically. It serves to support the top and bottom of (F).

그리고, 상기 고정축부(10)에는 나선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부(11a)는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 중 상기 지지부(14)의 가장자리의 축(11) 부분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 1고정너트(22)가 상기 나선부(11a)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spiral portion 11a is formed in the fixed shaft portion 10 . The spiral portion 11a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haft 11 of the edge of the support portion 14 among the shafts 11 of the fixed shaft portion 10, and a first fixing nut 22 to be described below is attached to the spiral portion. This is to be fixed while selectively moving along the portion 11a.

상기 고정축부(10)에는 제 1지지판(2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지지판(2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지지판(20)은 상기 축(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A first support plate 20 is provided on the fixed shaft portion 10 .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shaft 11 of the fixed shaft part 1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the shaft 11 . to be able to move along.

상기 제 1지지판(20)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지지판(20)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시 안전 등을 위함이다. The first support plate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his is for safety, etc. during operation by preventing the first support plate 20 from forming an edge.

그리고, 상기 제 1지지판(20)의 일측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지지판(20)이 마감재(F)의 일측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 1지지판(20)에 상기 마감재(F)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20 . This is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late 20 supports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and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tably fixed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20 .

상기 제 1지지판(20)과 상기 마감재(F)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An adhesive may be further added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F contact each other.

상기 고정축부(10)의 축에는 제 1고정너트(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고정너트(22)는 상기 축(1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1지지판(20)의 일측면에 맞물려 상기 제 1지지판(20)이 상기 고정축부(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너트(22)의 내부의 나선은 상기 고정축부(10)의 나선부(11a)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A first fixing nut 22 is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The first fixing nut 22 moves along the shaft 11 , and engages with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late 20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fixed to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In addition, the inner spiral of the first fixing nut 22 is configured to engage the spiral portion 11a of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상기 제 1지지판(20)과 상기 제 1고정너트(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지지판(20)의 접착에 의하여 마감재(F)의 판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마감재(F)의 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rst fixing nut 22 may be integrally formed. This is to ensure that th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tably fixed when th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upported by the adhesion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20).

상기 지지부(14)에는 고정홀(16)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홀(16)은 상기 지지부(14)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18)이 삽입되어 상기 마감재(F)의 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슬릿에 고정핀(18)이맞물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A fixing hole 16 is provided in the support 14 . The fixing hole 16 is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14 . A fixing pin 18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6 so that the fixing pin 18 can be engaged and supported in a slit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그리고, 상기 고정홀(16)에는 고정핀(18)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핀(18)은 상기 고정홀(16)에 맞물리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핀(18)이 'T'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6)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xing pin 18 is provided in the fixing hole 16 . The fixing pin 18 may be variously configured to engage the fixing hole 16,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18 may be configured in a 'T' shape. The fixing hole 16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핀(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16)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수직부(18a)와, 상기 수직부(18a)의 상단에 상기 수직부(18a) 보다 상대적으로 큰 수평부(18b)로 구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in 18 is, as shown in FIG. 3, a vertical portion 18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6, and the vertical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8a. It can be divided into a relatively larger horizontal portion (18b) than (18a).

즉, 상기 수직부(18a)는 상기 고정홀(16)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18b)는 상기 고정홀(16) 상방 즉 상기 지지부(14)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4)의 상방에 있는 마감재(F)의 일측면의 슬릿에 맞물려 지지하도록 한다. That is, the vertical portion 18a is fixed through the fixing hole 16 , and the horizontal portion 18b is located above the fixing hole 16 , that is, above the support portion 14 . to engage and support the slit on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locat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수직부(18a)는 상기 고정홀(16)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부(18a) 중 상기 고정홀(16)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14)의 하방에 있는 마감재(F)의 일측면의 슬릿에 맞물려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18a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fixing hole 16 . That is, a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8a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hole 16 and exposed downward is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a slit on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under the support portion 14 .

상기 수직부(18a)는 상기 고정홀(16)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홀(16)을 따라 상기 수직부(18a)가 상기 지지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직부(18a)가 상기 고정홀(16)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감재(F)의 슬릿의 위치에 쉽게 대응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vertical portion 18a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hole 16 . This allows the vertical portion 18a along the fixing hole 16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14 so that the vertical portion 18a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6 and , so that it can easil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lit of the finishing material (F).

또한, 상기 지지부(14)의 선단은 상기 마감재(F)의 전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핀(18)을 위치시킨다. 이는 건물의 외벽의 전면의 미려함을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tip of the support part 14 is positioned so that the fixing pin 18 does not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This is in order not to damage the aesthetics of the front of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고정축부(10)에는 기능성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부(10)에서 상기 건물벽(W)과 상기 제 1지지판(20) 사이에 기능성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성부(30)가 단열재부로 상기 건물벽(W)과 상기 제 1지지판(20) 사이에 삽입되어 건물의 건물벽(W)의 단열특성을 높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 functional part 3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xed shaft part 10 . In the fixed shaft part 10 , the functional part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uilding wall W and the first support plate 20 . For example, the functional part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building wall W and the first support plate 20 as an insulator part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of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상기 고정축부(10)에는 제 2지지판(4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지지판(4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 2지지판(40)은 상기 축(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A second support plate 40 is provided on the fixed shaft portion 10 . The second support plate 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shaft 11 of the fixed shaft part 1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econd support plate 40 is the shaft 11 . to be able to move along.

상기 제 2지지판(40)과 상기 건물의 건물벽(W) 사이에 상기 기능성부(30)가 삽입되어 상기 기능성부(30)가 상기 건물의 건물벽(W)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functional part 30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plate 40 and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functional part 30 to be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of the building. .

상기 제 2지지판(40)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지지판(40)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시 안전 등을 위함이다. The second support plate 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his is for safety, etc. during operation by preventing the second support plate 40 from forming an edge.

그리고, 상기 제 2지지판(40)의 일측면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지지판(40)이 상기 기능성부(30)의 일측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 2지지판(40)에 상기 기능성부(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40 . This is to ensure that the second support plate 40 supports one side of the functional part 30 , and the functional part 30 is stably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40 .

상기 제 2지지판(40)과 상기 기능성부(30)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An adhesive may be further added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support plate 40 and the functional part 30 contact each other.

상기 고정축부(10)의 축(11)에는 제 2고정너트(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고정너트(42)는 상기 축(1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2지지판(40)의 일측면에 맞물려 상기 제 2지지판(40)이 상기 고정축부(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너트(42)의 내부의 나선은 상기 고정축부(10)의 나선부(11a)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A second fixing nut 42 is provided on the shaft 11 of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The second fixing nut 42 moves along the shaft 11 and engages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40 so that the second support plate 40 is fixed to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In addition, the inner spiral of the second fixing nut 42 is configured to engage the spiral portion 11a of the fixing shaft portion 10 .

다음으로 본 발명인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정축부(10)의 앵커부(12)를 건물벽(W)에 수직으로 고정시킨 후 제 1지지판(20)과 제 1고정너트(22)를 고정축부(10)에 고정시킨다. After the anchor part 12 of the fixed shaft part 10 is vertically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rst fixing nut 22 are fixed to the fixed shaft part 10 .

그리고, 지지부(14)에 고정홀(16)에 고정핀(18)을 삽입한 후 상기 지지부(14)의 상하에 각각 마감재(F)의 슬릿이 맞물리도록 한다. Then, after inserting the fixing pin 18 into the fixing hole 16 in the support portion 14, the slits of the finishing material F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 14, respectively.

상기 제 1지지판(2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제 1고정너트(22)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지지판(20)이 상기 마감재(F)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rst fixing nut 22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또한, 마감재(F)가 큰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8)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1지지판(2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마감재(F)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inishing material F is large, as shown in FIG. 5 ,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0 without using a fixing pin 18 , an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F do.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4)가 전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하에 마감재(F)가 적재되도록 한다. 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upport portion 14 is not exposed to the front so that the finishing material (F) is stacked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인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판(20)과 제 1고정너트(22) 없이 지지부(14)의 고정핀(18)에 상하의 마감재의 슬릿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slits of the upper and lower finishing materials are fastened to the fixing pins 18 of the support part 14 without the first support plate 20 and the first fixing nut 22 . can be made to be fixed.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고정축부 11: 축
11a: 나선부 12: 앵커부
14: 지지부 14a: 지지면
16: 고정홀 18: 고정핀
18a: 수직부 18b: 수평부
20: 제 1지지판 22: 제 1고정너트
30: 기능성부 40: 제 2지지판
42: 제 2고정너트
10: fixed shaft part 11: shaft
11a: spiral part 12: anchor part
14: support portion 14a: support surface
16: fixing hole 18: fixing pin
18a: vertical portion 18b: horizontal portion
20: first support plate 22: first fixing nut
30: functional part 40: second support plate
42: second fixing nut

Claims (5)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건물벽에 고정되는 앵커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상하로 수평의 면이 형성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고정축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제 1지지판;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지지판을 상기 고정축부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너트;
상기 지지부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홀; 및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
It is formed in a bar shape, one end is provided with an anchor portion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other end is a fixed shaf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in which a horizontal surface is formed vertically;
a first suppor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a first fixing nut for fixing the first support plate to the fixing shaft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ing shaft;
a fixing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part; and
a fixing pin formed in a 'T'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to be fixed;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부의 축 중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의 축에는 나선이 마련되고, 상기 제 1고정너트 내부에는 나선이 마련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piral is provided on an axis of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among the axes of the fixing shaft, and a spiral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ixing nut to engage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수평부;
를 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in is
a vertical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and
a horizontal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vertical portion;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부의 축부에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앵커부와 상기 제 1지지판 사이에 마련되는 제 2지지판;
상기 고정축부의 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2지지판을 상기 고정축부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haft portion of the fixed shaft portion,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ed shaft part and provided between the anchor part and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fixing nut for fixing the second support plate to the fixing shaft whil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fixing shaft;
Building wall finishing material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고정홀에 맞물리는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의 두께는 상기 고정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hol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of a plate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and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portion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hole.

KR1020200140429A 2020-10-27 2020-10-27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KR202200558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29A KR20220055884A (en) 2020-10-27 2020-10-27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29A KR20220055884A (en) 2020-10-27 2020-10-27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84A true KR20220055884A (en) 2022-05-04

Family

ID=8158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29A KR20220055884A (en) 2020-10-27 2020-10-27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88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944B1 (en) 1996-06-21 1999-05-01 최대수 Device for manufacturing pocket album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944B1 (en) 1996-06-21 1999-05-01 최대수 Device for manufacturing pocket album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685B1 (en)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ssembly For Building Wall
CN210342732U (en) Supporting device for positioning prefabricated wallboard
KR20220055884A (en) A Finish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Wall
US20200217081A1 (en) Mounting member and building wall structure
JP3194011B2 (en) Tile panel and dry construction method of wall surface using the tile panel
KR1008061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stone-panel
KR101512959B1 (en) The building outer wall insulation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09914728B (en) Hanging structure of wallboard and laminate
EP2736138B1 (en) Box for installing and wiring electrical devices
JP2018009383A (en) Fixing hardware for fixing exterior wall panel
KR20200112234A (en) Outer Wall Panel Fixing Structure
CN220928521U (en) Level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grooved butt joint strip of built-in plate
JP2020007762A (en) Heat insulation waterproof structure and heat insulation waterproofing method
RU2565287C1 (en) Device to fix lining of walls and ceilings (versions)
CN212716022U (en) Positioning protection device for renovating exterior wall decoration material
JP2007186925A (en) Fixture for vertical slit member
CN215948621U (en) Dry-hanging plate connecting structure and curtain wall assembly
RU2184196C1 (en) Adjustable support for building structures
KR200247957Y1 (en) Assembly panel construction system
KR102627222B1 (en) Noncombustible composite insulation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CN109610769B (en) Wall connecting piece structure
KR20210001954U (en) Insulation fixture
CN112854638A (en) Ceramic heat-insulation integrated board with side notches and embedded hanging pieces
US11796125B1 (en) Secure wall hanger and methods of use
KR101972909B1 (en) Flat-type led lighting device improved construct ability for direct fix to ce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