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533A -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 Google Patents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533A
KR20220055533A KR1020200139369A KR20200139369A KR20220055533A KR 20220055533 A KR20220055533 A KR 20220055533A KR 1020200139369 A KR1020200139369 A KR 1020200139369A KR 20200139369 A KR20200139369 A KR 20200139369A KR 20220055533 A KR20220055533 A KR 2022005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unit
coupled
harness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8303B1 (en
Inventor
조정산
한상철
박상신
김진탁
김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0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61H2201/162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of the spine and le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comprises: a harness part including an upper harness worn on an upper part of the torso and a lower harness worn on the thighs of the body; and a variable elastic modul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a lower end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being arranged along the back of the body and elastic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according to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spine, the legs and the hips to assist the spine and legs. The variable elastic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and elastically expands and contracts along the flexion and extension angles of the spine, the legs, and hips joints. By assisting different magnitudes of force according to the wearer's joint flexion angl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Description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본 발명은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 및 다리 부위의 근력을 보조하기 위한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for supporting muscle strength in the spine and leg regions.

공장이나 물류산업 종사자나 소방관 및 군인 등 무거운 중량물을 들고 옮기거나 휴대해야 하는 분야 및 신체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부담을 경감시켜 주기 위하여 근력보조장치 또는 외골격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n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moving or lifting heavy objects such as factories or logistics industry workers, firefighters and soldiers, and the like, a muscle support device or an exoskeleton device is being developed.

이러한 근력보조장치 또는 외골격장치는 모터나 엑츄에이터 등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근력을 능동적으로 보조한다.Such a strength assisting device or exoskeleton device is provided with a motor or an actuator to actively assist the wearer's muscle strength.

그런데, 이러한 능동적 근력보조장치나 외골격장치는 배터리 및 모터 등으로 인해 그 제조비용이 고가이며,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고, 무게가 무거우며 배터리로 인해 가동시간의 한계가 있다.However, such an activ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r exoskeleton device is expensive to manufacture due to a battery and a motor, requires complicated control, is heavy, and has a limitation in operating time due to the battery.

따라서, 별도 파워 등을 인가하지 않고 탄성유닛의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근력보조장치를 제작하는 시도가 연구되고 있다.Therefore, an attempt to manufacture a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without applying a separate power or the like is being studied.

그런데, 신체의 관절은 굴곡 각도에 따라 관절을 움직이기 위하여 필요한 힘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런 상황에 맞게 근력을 보조해주지 않고 일률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힘을 보조해주면 신체의 근육이 학습해왔던 근육의 패턴과 상이한 움직임을 하게 되어 착용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익숙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오히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size of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joint varies according to the angle of flexion of the body's joints. In this situation, if you do not support the muscle strength but provide a uniform amount of force, the body's muscles will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learned muscl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rer may feel a sense of rejection due to the movement different from the pattern, and an accident such as a fall may occur in an unfamiliar state.

일본공개특허 2015-190623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906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관절 굴곡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을 보조함으로써 착용자가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ssisting the wearer with different magnitudes of force depending on the wearer's joint flexion angle, the wearer can not feel repulsive and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an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보다 적은 힘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보조력을 제공하는 착용형 근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that provides assisting force so that a wearer can easily get up with less force when getting up from a sitt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보조력을 제공할 때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는 착용형 근력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when providing assisting force to a wear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착용자의 몸통 상측에 착용되는 상부 하네스 및 상기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에 착용되는 하부 하네스를 포함하는 하네스부; 상단이 상기 상부 하네스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하네스에 결합되며, 신체의 등에 척추를 따라 배열되어 상기 척추의 굴신 및 상기 다리의 고관절의 굴신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어 상기 척추 및 상기 다리를 보조하는 가변 탄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 탄성 모듈은,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은 상기 척추 및 상기 다리 고관절의 굴신 각도를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형성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가 개시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rness unit including an upper harness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d a lower harness worn on the thighs of the legs of the wearer;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and is arranged along the spine on the back of the body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spine and the extension of the hip joint of the leg to secure the spine and the legs. an auxiliary variable elastic module; includes, wherein the variable elastic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ncludes a flexion angle of the spine and the hip joint of the leg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is disclosed, which is formed to be elastically stretched along the

상기 가변 탄성 모듈은, 상기 상부 하네스에 결합되는 상측 고정유닛; 상기 하부 하네스에 결합되는 하측 고정유닛 및 상기 상측 고정유닛 및 상기 하측 고정유닛 사이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elastic module may include: an upper fix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It may include; a lower fix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and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coupled in series between the upper fixing unit and the lower fixing unit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되는 제1탄성유닛; 및 상기 제1탄성유닛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직렬 결합되는 제2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may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nd a second elastic unit coupled in series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below the first elastic unit.

상기 하측 고정유닛은 상기 하부 하네스에 텐던 또는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harness by a tendon or a wire.

상기 제1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1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연결핀; 상기 제1연결핀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핀; 및 상기 제1연결핀과 상기 상측 고정유닛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plates in which first slit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i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a first fixing pin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a first elastic body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in and the upper fixing unit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상기 제2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2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유닛의 상기 제1슬릿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핀; 상기 제1슬라이드핀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핀; 및 상기 제1탄성유닛의 상기 제1고정핀과 상기 제1슬라이드핀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슬라이드핀의 이동거리가 제한됨으로써 신장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un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plates in which second slit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first slide pi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and slidably installed in the first slit of the first elastic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xing pin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lide pin; and a second elastic body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in and the first slide pin of the first elastic unit and elastically expands and contracts, wherein the second elastic body is limited b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slide pin Stretch length may be limited.

상기 제2탄성유닛 하측에 상기 제2탄성유닛과 동일한 구조로 상호 직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탄성유닛의 상기 제2탄성체와 다른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탄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elastic units coupl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lastic unit under the second elastic unit and having an elastic body having an elastic for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elastic body of the second elastic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can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의 탄성체는 상측에 위치된 탄성체일수록 탄성계수가 클 수 있다.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body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may be greater as the elastic body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상기 척추 또는 상기 다리 고관절이 굴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의 상기 탄성체 중 탄성계수가 작은 탄성체부터 순차적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As the spine or the hip joint of the leg bends, the elastic body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may be sequentially stretched or contracted from the elastic body having a small elastic modulus.

상기 하측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 중 최하측에 배치된 탄성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fixing unit may be coupled to an elastic unit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탄성유닛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lit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상기 탄성체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The elastic body may be an elastic band.

상기 제1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4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4플레이트의 상기 제1홀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 상기 상측 고정유닛과 상기 제2연결핀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4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unit may include a pair of fourth plates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second connection pin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of the pair of fourth plates; It may include; a fourth elastic body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elastically expandable.

상기 제2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3홀 및 제4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5플레이트; 상기 제1탄성유닛의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제2홀에 삽입되는 제3연결핀; 상기 제5플레이트의 상기 제3홀에 삽입되는 제4연결핀; 상기 제3연결핀 및 제4연결핀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6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fth plates in which a third hole and a fourth hole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third connecting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of the fourth plate of the first elastic unit; a fourth connection pin inserted into the third hole of the fifth plate; and a sixth elastic body coupled to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pins and elastically stretched.

일단이 상기 제1탄성유닛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의 신장길이를 제한하는 리미트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unit,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elastic un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may further include a limit wire for limiti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lastic body.

상기 리미트 와이어는 상기 탄성체가 늘어나기 전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mit wire may be formed to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before the elastic body is stretched.

본 발명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는 전력인가 없이 탄성력으로서 착용자의 근력을 보조함으로써 중량이 가볍고 가동시간의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in weight and not limited in operation time by assisting the wearer's muscular strength as an elastic force without applying electric power.

또한, 평소 신체의 근육의 움직임 패턴과 유사하도록 고관절의 굴곡 각도에 따라 보조하는 힘의 크기를 달리 함으로써, 평소 익숙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어 적응이 빠르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according to the flexion angle of the hip joint so that it is similar to the movement pattern of the muscles of the body, it provides a familiar feeling and reduces the wearer's reluctance to adapt quickly and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has the effect of reducing i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가 착용자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기능적 개념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를 착용한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설 때를 자세 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착용자의 자세별로 신장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를 구간 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신축에 따라 착용자에 착용되는 보조력의 크기를 구간 별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가변 탄성 모듈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1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2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가변 탄성 모듈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1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0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2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 이다.
The summary set forth above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in the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weare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imple functional concept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wearer wearing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FIG. 1 by posture when standing up after sitting dow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that is stretched for each posture of the wearer of FIG. 3 for each sec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worn by the wearer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FIG. 4 for each sec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first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ure 6;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ure 6;
10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10;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ure 10;
13 is a view showing a second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ure 10;
14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of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부(105) 및 가변 탄성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harness unit 105 and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130 .

상기 하네스부(105)는 상부 하네스(110)와 하부 하네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rness unit 105 may include an upper harness 110 and a lower harness 120 .

상기 상부 하네스(110)는 착용자의 몸통 상측에 착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하네스(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 등을 통해 어깨에 걸어서 착용자의 몸통 등쪽에 착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harness 110 may be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 the upper harness 110 may be worn and fixed to the back of the wearer's body by hanging on the shoulder through a string or the like.

상기 하부 하네스(120)는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에 끈이나 벨트 등으로 착용될 수 있다.The lower harness 120 may be worn on the wearer's leg or thigh as a strap or a belt.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은 상단이 상기 상부 하네스(110)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하네스(120)와 결합되며, 착용자의 등에 척추를 따라 배열되어 척추의 굴신 및 다리 고관절의 굴신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어 척추 및 다리를 보조할 수 있다.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has an upper end coupled with the upper harness 110 , a lower end coupled with the lower harness 120 , and is arranged along the spine on the wearer's back according to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spine and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hip joint of the leg. It can be elastically stretched to support the spine and legs.

또한,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은, 직렬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은 상기 척추 및 다리 고관절의 굴신 각도에 따라 같이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유닛(160)은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coupled in series,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ride together according to the angle of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spine and leg and hip joints. Can be sexually stretched. At this time, the elastic unit 160 may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은 상기 상부 하네스(110)에 결합되는 상측 고정유닛(140), 상기 하부 하네스(120)에 결합되는 하측 고정유닛(150), 그리고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includes an upper fixing unit 140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110 , a lower fixing unit 150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120 , and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 can do.

상기 상부 고정유닛(140)은 상기 상부 하네스(110)의 등쪽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유닛(160)과 결합되기 위한 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하네스(110)의 끈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부 고정유닛(140)의 상측에 상기 끈이 결속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fixing unit 140 is fixed to the back of the upper harness 110 , and a pin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unit 160 may be provided. If necessary,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tring of the upper harness 110. For this, a ring for binding the str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ixing unit 140 for this purpose.

또한,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중 최하단의 탄성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허벅지에 장착된 하부 하네스(120)와 와이어(152) 내지는 텐던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와이어(152) 또는 텐던은 상기 하부 하네스(120)의 착용자 후측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상기 와이어(152)와 결속되기 위한 고리가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unit 1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most elastic unit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 In addition, the lower fixing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harness 120 mounted on the thigh with a wire 152 or a tendon. At this time, the wire 152 or the tendon may be coupl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wearer of the lower harness 120 . In the lower fixing unit 150 , a ring for binding to the wire 15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탄성유닛(160)은 복수개가 직렬적으로 결합되며, 각 탄성유닛(160)은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탄성유닛(160a, 160b, 160c, 160d)이 결합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the elastic units 160 are coupled in series, and each elastic unit 160 may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In this embodiment, four elastic units (160a, 160b, 160c, 160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combination.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 중 최상단에 위치된 탄성유닛(160a)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 중 최하단에 위치된 탄성유닛(160D)은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elastic unit 160a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is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140, and the elastic unit 160D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is the 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fixing unit 150 .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유닛(160)은 탄성부(161)와 제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elastic unit 160 may include an elastic part 161 and a limiting part 162 .

상기 탄성부(161)는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 또는 직렬적으로 배치된 탄성유닛(160) 중 상측에 배치된 탄성유닛(160)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61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unit 16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ixing unit 140 or the elastic units 160 disposed in series so as to be elastically expanded and contracted.

그리고, 상기 제한부(162)는 상기 탄성부(161)의 신장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ing part 162 may limit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lastic part 161 .

즉, 상기 탄성유닛(160)이 직렬적으로 배치된 탄성유닛(160)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160a)인 경우, 상기 탄성부(161)는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유닛(160)이 직렬적으로 배치된 탄성유닛(160) 중 최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중 어느 하나일 경우, 상기 탄성부(161)는 상측에 배치된 탄성유닛(160)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astic unit 160 is an elastic unit 160a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astic units 160 disposed in series, the elastic part 16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140 . And, when the elastic unit 160 is any one of the elastic units 160 disposed in series except for the uppermost end, the elastic part 161 is elastically attached to the elastic unit 16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t can be coupled to be stretchable.

또한, 상기 제한부(162)는 상기 탄성부(161)가 설정된 길이만큼 신장된 이후에는 더 이상 신장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161)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Also, the limiting part 162 may limit the length of the elastic part 161 so that it is not extended any more after the elastic part 161 is stretched by a set length.

이 때, 상기 탄성부(161)는 탄성유닛(160)마다 그 탄성계수가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에 위치된 탄성유닛(160)의 탄성부(161)일수록 탄성계수가 크며, 하측에 위치된 탄성유닛(160)의 탄성부(161)일수록 탄성계수가 작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161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elastic modulus for each elastic unit 160 . For example,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part 161 of the elastic unit 160 located on the upper side may be higher,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part 161 of the elastic unit 160 located on the lower side may be smaller.

따라서, 착용자가 앉는 등 척추나 고관절이 굴곡되면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의 탄성유닛(160)들이 신장되는데, 이 때, 하측에 위치된 탄성유닛(160)부터 순차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이 때, 각 탄성유닛(160)들은 소정 길이만큼 신장되면 상기 제한부(162)에 의해 더 이상 신장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pine or hip joint is bent, such as when the wearer sits, the elastic units 160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are stretched. At this time, when each of the elastic units 160 is stretch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may be formed so that it is no longer stretched by the limiting part 162 .

물론, 필요하다면, 상기 탄성유닛(160)이 직렬적으로 배치된 탄성유닛(160)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160a)에도 상기 제한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limiting part 162 may also be provided in the elastic unit 160a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astic units 160 in which the elastic unit 160 is arranged in series.

상기 제한부(162)는 상기 탄성부(161)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탄성부(161)의 신장에 따라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부재가 서로 접촉된 경우 상기 두 부재의 간섭에 의해 상기 탄성부(161)의 신장이 제한될 수 있다.The limiting part 162 includes two member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part 161 and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elastic part 161, and when the two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he extension of the elastic part 161 may be limit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two members.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를 착용한 착용자가 서있는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자세를 변화할 때,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의 변화 및 작용되는 탄성력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nges in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and changes in the elastic force applied when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changes his or her posture from a standing posture to a sitting posture. am.

도 3의 (a)는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이며, (d)는 착용자가 쪼그려 앉은 상태이다. (b) 및 (c)는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쪼그려 앉은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의 중간 자세들이다.3A is a state in which the wearer is standing, and (d) is a state in which the wearer is squatting. (b) and (c) are intermediate postures during the transition of the wearer from a standing state to a squatting state.

도 3의 (a) 내지 (d)에서 볼 수 있듯이, 착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쪼그려 앉은 상태로 자세를 변화시킬 때 고관절이 굴곡되며, 그에 따라 허벅지에 결합된 하부 하네스(120)에 결합된 와이어(152)도 하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와 결합된 가변 탄성 모듈(130) 또한 하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a) to (d) of Figure 3, when the wearer changes the posture from a standing state to a squatting state, the hip joint is flexed, and accordingly, the wire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120 coupled to the thigh ( 152) is also pulled downward. In addition,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coupled to the wire may also be pulled downward.

상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의 각 탄성유닛(160)들도 신장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wearer is standing as shown in (a) of FIG. 3, as shown in (a) of FIG. 4, each of the elastic units 160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may also be in a non-stretched state. there is.

상기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앉기 시작하여 고관절이 굴곡되면서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 탄성유닛(160d)부터 신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장 하측에 위치된 탄성유닛(160d)이 상기 제한부(162)에 의해 그 신장한계에 도달하게 되며, 순차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탄성유닛(160c, 160b, 160a)들이 신장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b) and (c), as the wearer starts to sit and the hip joint is flexed, the elastic unit 160d located at the bottommost side as shown in FIGS. 4 (b) and (c) ) can be extended from At this time, the elastic unit 160d located on the lowermost side reaches its extension limit by the limiting part 162, and the elastic units 160c, 160b, 160a located on the upper side sequentially can be stretched. there is.

상기 탄성유닛(160)이 신장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해당 탄성유닛(160)은 더 이상 탄성적으로 신장되지 못하며 하나의 강체로 작용할 수 있다.When the elastic unit 160 reaches the extension limit, the elastic unit 160 may no longer be elastically stretched and may act as a single rigid body.

그리고,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완전히 앉게 되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든 탄성유닛(160)이 신장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 물론, 이 때에도 제한부(162)가 구비되지 아니한 최상단의 탄성유닛(160 a)은 신장한계에 도달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And, as shown in (d) of Figure 3, when the wearer sits completely, as shown in Figure 4 (d), all the elastic units 160 can reach the extension limit. Of course, even at this time, the uppermost elastic unit 160 is not provided with the limiter 162 . a) may not reach the elongation limit.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보조력의 변화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A change in the assisting force applied to the wearer in the above process is shown in FIG. 5 .

즉,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앉기 시작할 때에는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보조력이 점진적 및 단계적으로 증가하다가 도 5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관절의 굴곡각도가 더 증가하면서 작용되는 보조력의 증가 기울기가 커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5A and 5B , when the wearer starts to sit in a standing state, the assisting force applied to the wearer gradually and stepwise increases, and then in FIGS. 5B to 5D As shown in Fig., as the flexion angle of the hip joint further increases, the slope of the increase in the assisting force applied becomes larger.

이는 상측에 배치된 탄성유닛(160)의 탄성부(161)의 탄성계수가 하측에 배치된 탄성유닛(160)의 탄성계수보다 크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part 161 of the elastic unit 16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great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unit 160 disposed on the lower side.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도 3의 (a))에서 무릎을 굽혀 앉게 되면 그에 따라 착용자의 고관절도 굽혀지게 되며, 착용자의 상체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장 탄성력이 작은 탄성유닛의 길이부터 신장된다. When the wearer sits with the knee bent in a standing state (FIG. 3(a)), the wearer's hip joint is also bent accordingly, and the wearer's upper body moves downward, extending from the length of the elastic unit with the smallest elastic force.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로부터 무릎이 약간 굽혀진 상태(도 3의 (b))로 움직이는 경우 탄성력이 가장 작은 탄성유닛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착용자가 무릎을 굽히는 동안 탄성유닛이 늘어나는 힘의 저항이 크지 않다. When the wearer moves from a standing state to a slightly bent state (FIG. 3 (b)), the length of the elastic unit with the smallest elastic force is increased, so the resistance of the elastic unit is not large while the wearer bends the knee .

착용자가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도 3의 (b))에서 무릎을 많이 굽힌 상태(도 3의 (c))가 되는 동안 가장 탄성력이 작은 탄성 유닛은 최대로 늘어나 제한부에 의하여 더 이상 길이가 신장되지 않고 그 상부의 탄성 유닛이 길이가 늘어나면서 탄성 유닛의 탄성력이 탄성체 내에 축적된다. While the wearer's knee is slightly bent (FIG. 3(b)) to the knee-bent state (FIG. 3(c)), the elastic unit with the smallest elastic force is stretched to the maximum and the length is no longer extended by the limiter As the length of the elastic unit above the elastic unit is increased without being elongat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unit is accumulated in the elastic body.

이 때, 복수의 탄성유닛에 축적된 복수의 탄성체의 탄성력은 착용자가 앉은 상태(도 3의 (d))가 될 때, 최대가 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odies accumulated 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becomes the maximum when the wearer is in a sitting state (FIG. 3 (d)).

이와 같이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앉는 동안 복수의 탄성유닛에 축적된 탄성력은 착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서는 경우 착용자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력으로 작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while the wearer sits in a standing state acts as an auxiliary force for allowing the wearer to stand when the wearer stands in a seated state.

따라서, 착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시작할 때 상기 탄성유닛(106)이 상기 허벅지를 당기는 보조력의 크기가 최대가 되며 이후 착용자의 기립이 진행되면서 허벅지를 일으켜 세우도록 당기는 보조력의 크기가 점진적 및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earer starts to get up from a sitting position,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that the elastic unit 106 pulls the thigh is maximum, and then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that pulls the thigh up as the wearer's standing progresses gradually and stepwise. can be reduced to

일반적으로, 앉았다가 일어설 때 직후 및 일어선 상태에서 앉을 때의 말기 부분에서 가장 큰 힘이 필요하므로, 그 후에는 점진적으로 필요한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를 통해 가장 큰 힘이 필요할 때 가장 큰 보조력을 작용시키며, 그 후에는 점진적으로 보조력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착용자에게 익숙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greatest force is required immediately after standing up from sitting and at the end of sitting from a standing state, the force required may gradually decrease thereafter. Therefore, when the greatest force is needed through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the greatest assisting force is applied, and thereafter, familiarity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by gradually decreasing the size of the assisting force.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및 가변 탄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6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nd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FIG. 6 ;

도 8은 도 6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1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2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first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6 . FIG.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6 .

이와 같은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1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고정유닛(140), 하측 고정유닛(150) 및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variable elasticity module 130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may include an upper fixing unit 140 , a lower fixing unit 150 and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 can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은 상기 상부 하네스(110)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 고정유닛(140)은 상기 상부 하네스(110)의 등쪽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유닛(160)과 결합되기 위한 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하네스(110)의 끈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부 고정유닛(140)의 상측에 상기 끈이 결속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fixing unit 140 is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110 . The upper fixing unit 140 is fixed to the back of the upper harness 110 , and a pin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unit 160 may be provided. If necessary,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tring of the upper harness 110. For this, a ring for binding the str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ixing unit 140 for this purpose.

그리고,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상기 하부 하네스(120)와 결합된다.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중 최하단의 탄성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허벅지에 장착된 하부 하네스(120)와 와이어(152) 내지는 텐던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와이어(152) 또는 텐던은 상기 하부 하네스(120)의 착용자 후측방향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상기 와이어(152)와 결속되기 위한 고리가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unit 150 is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120 . The lower fixing unit 1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most elastic unit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 In addition, the lower fixing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harness 120 mounted on the thigh with a wire 152 or a tendon. At this time, the wire 152 or the tendon may be coupl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wearer of the lower harness 120 . In the lower fixing unit 150 , a ring for binding to the wire 152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탄성유닛(160)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 및 하측 고정유닛(150)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unit 16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140 and the lower fixing unit 15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by being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은 착용자의 등에 척추를 따라 배치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is disposed along the spine of the wearer's back,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은 제1탄성유닛(170)과 제2탄성유닛(180) 및 제3탄성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170 , a second elastic unit 180 , and a third elastic unit 190 .

상기 제1탄성유닛(170)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160) 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160)로서,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unit 170 is an elastic unit 160 dispos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 and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140 to expand and contract.

상기 제2탄성유닛(180)은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을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유닛(160) 중 상기 제1탄성유닛(170)의 하측에 결합된 탄성유닛(160)이다. 상기 제2탄성유닛(180)은 상기 제1탄성유닛(170)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유닛(180)의 하측에 상기 제2탄성유닛(18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 또는 복수개의 제3탄성유닛(190)이 추가적으로 상호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직렬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unit 180 is an elastic unit 16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astic unit 170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160 constituting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 The second elastic unit 180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astic unit 170 so as to expand and contract. In addition, one or more or a plurality of third elastic units 19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lastic unit 180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are add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utually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can be combined.

이 때,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3탄성유닛(190)의 수는 착용자의 신장 및 필요한 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third elastic units 190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wearer's elongation and the size of the required force.

상기 제1탄성유닛(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71), 제1연결핀(173), 제1고정핀(177) 및 제1탄성체(17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first elastic unit 170 may include a first plate 171 , a first connection pin 173 , a first fixing pin 177 , and a first elastic body 175 . there is.

상기 제1플레이트(171)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71)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1슬릿(179)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7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air of bars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lates 17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first slits 179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연결핀(173)은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핀(173)은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7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7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in 17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171 . The first connection pins 173 may be disposed to cross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171 , and both ends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the pair of first plates 171 .

상기 제1고정핀(177)은 상기 제1연결핀(17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7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제1플레이트(17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n 177 is disposed to cross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171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n 173, and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 171), respectively.

상기 제1탄성체(175)는 상기 제1연결핀(173)과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에 결합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체(175)는 상기 제1연결핀(173)과 상기 상측 고정유닛(140)을 둘러싸며 감기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밴드 대신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17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in 173 and the upper fixing unit 140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a load applied thereto.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body 175 may be an elastic band wound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in 173 and the upper fixing unit 14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pring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elastic band.

상기 제2탄성유닛(18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81), 제1슬라이드핀(183), 제2고정핀(187) 및 제2탄성체(18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elastic unit 180 may include a second plate 181 , a first slide pin 183 , a second fixing pin 187 , and a second elastic body 185 . there is.

상기 제2플레이트(18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플레이트(181)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2슬릿(189)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18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ir of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an be formed.

상기 제1슬라이드핀(183)은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18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유닛(170)의 제1슬릿(179)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lide pin 18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181 , and may be installed slidably in the first slit 179 of the first elastic unit 17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상기 제2고정핀(187)은 상기 제1슬라이드핀(18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181) 사이를 가로지도록 배치되며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18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in 187 is disposed to cross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181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lide pin 183 and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plates (181) respectively.

상기 제2탄성체(185)는 상기 제1탄성유닛(170)의 제1고정핀(177)과 상기 제1슬라이드핀(183)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체(185)는 상기 제1슬라이드핀(183)의 이동거리가 제1슬릿(179)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신장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185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in 177 and the first slide pin 183 of the first elastic unit 170 to be elastically stretched. The elongation length of the second elastic body 185 may be limited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slide pin 183 is limited by the first slit 179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탄성체(185)는 상기 제1고정핀(177)에 감기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밴드 대신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2탄성체(185)는 상기 제1탄성체(175)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체(175)보다는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lastic body 185 may be an elastic band wound around the first fixing pin (17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pring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elastic band. In this case, the second elastic body 18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astic body 175 , and may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first elastic body 175 .

또한, 상기 제2탄성유닛(180)의 하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별도의 제3탄성유닛(190)들이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측에 위치된 제3탄성유닛(190)의 구조는 상측에 위치된 제2탄성유닛(18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separate third elastic units 190 may be serial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to be disposed vertically.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third elastic unit 190 located on the lower sid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located on the upper side.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유닛(180)의 하측에 제3탄성유닛(19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유닛(19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플레이트(191), 제2슬라이드핀(193), 제3탄성체(195) 및 제3고정핀(197)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9 , the third elastic unit 19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 As shown in FIG. 9 , the third elastic unit 190 may include a third plate 191 , a second slide pin 193 , a third elastic body 195 , and a third fixing pin 197 . there is.

상기 제3플레이트(19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플레이트(191)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3슬릿(199)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late 19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ir of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hird slit 199 is formed in the third plate 191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can

상기 제2슬라이드핀(193)은 상기 한 쌍의 제3플레이트(19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탄성유닛(180)의 제2슬릿(189)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lide pin 19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ird plates 191 , and may be slidably installed in the second slit 189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in the vertical direction. .

상기 제3고정핀(197)은 상기 제2슬라이드핀(19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3플레이트(19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third fixing pin 197 may be disposed and fixed to cross the pair of third plates 191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second slide pin 193 .

제3탄성체(195)는 상기 제2탄성유닛(180)의 제2고정핀(187)과 상기 제2슬라이드핀(193)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체(195)는 상기 제2슬라이드 핀의 이동거리가 제2슬릿(189)에 의해 제한됨으로서 신장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체(195)는 상기 제2탄성체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탄성체(195)는 상기 제2탄성체(185)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체(185)보다는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elastic body 195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in 187 and the second slide pin 193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to be elastically stretched. The elongation length of the third elastic body 195 may be limited a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slide pin is limited by the second slit 189 . In addition, the third elastic body 195 may have a smaller elastic force than the second elastic body. To this end, the third elastic body 19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elastic body 185 , and may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second elastic body 185 .

이와 같이, 상기 제1탄성유닛(170) 내지 제3탄성유닛(190)이 상호 직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유닛(190)의 하측에 다른 제3탄성체가 직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elastic unit 170 to the third elastic unit 190 may be coupl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nother third elastic body may be coupled in series to the lower side of the third elastic unit 190 .

따라서, 착용자가 앉는 등의 동작을 취하게 되어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제1탄성유닛(170) 내지 제3탄성유닛(190)의 탄성체(175, 185, 195)가 탄성적으로 신장되면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핀(183)이 상기 제1플레이트(171)에 형성된 제1슬릿(179) 또는 제2플레이트(181)에 형성된 제2슬릿(189) 또는 제2슬라이드핀(193)이 상기 제3플레이트(191)에 형성된 제3슬릿(199)에 결합되어 그 신장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earer takes an action such as sitting and the lower fixing unit 150 is pulled, the elastic bodies 175, 185, 195 of the first elastic unit 170 to the third elastic unit 190 are burnt. As you sexually elongate, elastic forces can act. In addition, the first slide pin 183 is a first slit 179 formed on the first plate 171 or a second slit 189 or a second slide pin 193 formed on the second plate 181 is It may be coupled to the third slit 199 formed in the third plate 191 so that the elongation length thereof may be limited.

이 때, 상기 상측에 배치된 제1탄성유닛(170) 또는 제2탄성유닛(180)의 탄성체(175, 185) 일수록 탄성계수가 클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175, 185)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은 상측에 배치된 탄성체(175, 185)일 수록 더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elastic unit 170 or the second elastic unit 18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bodies 175 and 185 may be greater. That is,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plurality of elastic bodies 175 and 185 may be greater for the elastic bodies 175 and 185 disposed on the upper side.

따라서, 척추 또는 다리가 굴곡됨에 따라 탄성계수가 작은 하측의 탄성유닛(160)부터 순차적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되며, 굴곡각도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측의 탄성유닛(160)이 순차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즉, 굴곡각도가 커짐에 따라 작용되는 탄성력의 크기 또한 커질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spine or leg is bent, the elastic unit 160 on the upper side is elastically stretched sequentially from the lower elastic unit 160 with a small elastic modulus, and as the bending angle increases, the upper elastic unit 160 can be sequentially stretched. there is. That is, as the bending angle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applied may also increase.

이 때, 상기 하측 고정유닛(150)은, 상기 복수개의 제2탄성유닛(180) 중 최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180)의 제2고정핀(18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52) 또는 텐던을 통해 전해지는 다리의 움직임 및 고관절의 움직임을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에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fixing unit 1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in 187 of the second elastic unit 180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units 180 . there is.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leg and the movement of the hip joint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152 or the tend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ariable elasticity module 130 .

또한, 상기 슬릿(179, 189, 199)의 길이는 상기 탄성유닛(160)마다 다를 수 있다. 즉, 하측에 배치된 탄성유닛(160)의 슬릿(179, 189, 199)일 수록 그 길이가 짧으며, 상측에 배치된 탄성유닛(160)의 슬릿(179, 189, 199)일 수록 그 길이가 길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거나 상기 탄성유닛(16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의 슬릿(179, 189, 199)이 모두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s of the slits 179 , 189 , and 199 may be different for each elastic unit 160 . That is, the slits (179, 189, 199) of the elastic unit 160 disposed on the lower side have a shorter length, and the more the slits 179, 189, 199 of the elastic unit 16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re, the longer the length is. can be long Or vice versa, the slits 179 , 189 , and 199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may all have the same length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elastic unit 160 .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변 탄성 모듈(130)을 신축성을 가진 섬유 등의 피복등으로 감싸 착용자의 피부나 모발 또는 의복이 탄성유닛(160)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er's skin, hair, or clothes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elastic units 160 by wrapping the variable elastic module 130 with a covering such as elastic fibers.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가변 탄성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1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가변 탄성 모듈의 제2탄성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10 . FIG.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10 .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elastic unit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of FIG. 10 .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2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네스(110), 하부 하네스(120) 및 가변탄성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harness 110 , a lower harness 120 , and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230 .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하네스(110) 및 하부 하네스(120)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harness 110 and the lower harness 120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탄성 모듈(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고정유닛(240), 복수개의 탄성유닛(260) 및 하측 고정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variable elastic module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fixing unit 240 ,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260 , and a lower fixing unit 250 .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 및 하측 고정유닛(250)은 전술한 실시예의 상측 고정유닛(140) 및 하측 고정유닛(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upper fixing unit 240 and the lower fixing unit 25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fixing unit 140 and the lower fixing unit 15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은 상기 상부 하네스(110)와 결합된다.The upper fixing unit 240 is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110 .

그리고, 상기 하측 고정유닛(250)은 상기 하부 하네스(120)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unit 250 is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120 .

상기 탄성유닛(260)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 및 하측 고정유닛(250)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unit 260 is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240 and the lower fixing unit 25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by being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상기 가변 탄성 모듈(230)은 착용자의 등에 척추를 따라 배치되므로, 상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26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variable elastic module 230 is disposed along the spine on the wearer's back,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260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260)은 제1탄성유닛(270)과 제2탄성유닛(280) 및 제3탄성유닛(29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26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270 , a second elastic unit 280 , and a third elastic unit 290 .

상기 제1탄성유닛(270)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260) 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260)로서,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unit 270 is an elastic unit 260 dispos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260 , and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240 to expand and contract.

상기 제2탄성유닛(280)은 상기 가변 탄성 모듈(230)을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유닛(260) 중 상기 제1탄성유닛(270)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된 탄성유닛이다. 또한, 상기 제2탄성유닛(280)의 하측에 상기 제2탄성유닛(28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 또는 복수개의 제3탄성유닛(290)이 추가적으로 상호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직렬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unit 280 is an elastic unit coupled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below the first elastic unit 270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260 constituting the variable elastic module 230 . In addition, one or more or a plurality of third elastic units 29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lastic unit 280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are add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utually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can be combined.

이 때,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상기 제3탄성유닛(290)의 수는 착용자의 신장 및 필요한 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third elastic units 290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wearer's elongation and the size of the required force.

즉, 상기 가변 탄성 모듈(230)을 이루는 탄성유닛(260) 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260)은 제1탄성유닛(270)이고, 그 외에는 제2탄성유닛(28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유닛(270)은 그 신장길이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2탄성유닛(280)은 그 신장길이에 제한이 가해질 수 있다.That is, the elastic unit 260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astic units 260 constituting the variable elastic module 230 may be the first elastic unit 270 , and other elastic units may be the second elastic units 280 .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unit 270 is not limited in its elongation length, and the second elastic unit 280 may be limited in its elongation length.

상기 제1탄성유닛(2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플레이트(271), 제2연결핀(277) 및 제4탄성체(27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first elastic unit 270 may include a fourth plate 271 , a second connection pin 277 , and a fourth elastic body 275 .

상기 제4플레이트(27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플레이트(27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1홀(272) 및 제2홀(27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plate 27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ir of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the fourth plate 271 has a first hole 272 and a first hole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Two holes 273 may be formed.

상기 제2연결핀(277)은 상기 한 쌍의 제4플레이트(271)의 제1홀(27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4플레이트(27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in 277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272 of the pair of fourth plates 271 to cross the pair of fourth plates 271 .

그리고, 상기 제4탄성체(275)는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과 상기 제2연결핀(277)에 결합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탄성체(275)는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과 상기 제2연결핀(277)을 둘러싸며 감기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밴드 대신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elastic body 275 is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2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277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a load applied thereto.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elastic body 275 may be an elastic band wound around the upper fixing unit 2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277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pring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elastic band.

상기 제2탄성유닛(280)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플레이트(281), 제3연결핀(286), 제4연결핀(287) 및 제5탄성체(28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and 13 , the second elastic unit 280 includes a fifth plate 281 , a third connection pin 286 , a fourth connection pin 287 , and a fifth elastic body 285 . may include

상기 제5플레이트(28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플레이트(28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3홀(282) 및 제4홀(28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fth plate 28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pair of bar shap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fifth plate 281 , a third hole 282 and a fourth hole 283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상기 제3연결핀(286)은 상기 제1탄성유닛(270)의 제4플레이트(271)의 제2홀(273)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5플레이트(28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pin 28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273 of the fourth plate 271 of the first elastic unit 270 to be disposed to cross the pair of fifth plates 281 . can

상기 제4연결핀(287)은 상기 제5플레이트(281)의 제3홀(28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5플레이트(28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connection pin 287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hole 282 of the fifth plate 281 to cross the pair of fifth plates 281 .

상기 제5탄성체(285)는 상기 제3연결핀(286) 및 제4연결핀(287)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fth elastic body 285 may be coupled to the third connecting pin 286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287 so as to be elastically contra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5탄성체(285)는 상기 제3연결핀(286) 및 제4연결핀(287)에 감기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밴드 대신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fth elastic body 285 may be an elastic band wound around the third connecting pin 286 and the fourth connecting pin 287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pring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elastic band.

또한, 상기 제2탄성유닛(280)의 하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별도의 제3탄성유닛(290)들이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측에 위치된 제3탄성유닛(290)의 구조는 상측에 위치된 제2탄성유닛(28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도 13 참조하여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제3탄성유닛(290)은 제6플레이트(291), 제6탄성체(295), 제5연결핀(296) 및 제6연결핀(297)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separate third elastic units 290 may be serial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to be disposed vertically. 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third elastic unit 290 located on the lower side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located on the upper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 The third elastic unit 290 may include a sixth plate 291 , a sixth elastic body 295 , a fifth connection pin 296 , and a sixth connection pin 297 .

상기 제6플레이트(29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6플레이트(291)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5홀(292) 및 제6홀(29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xth plate 29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ir of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ixth plate 291 has a fifth hole 292 and a sixth hole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hole 293 may be formed.

상기 제5연결핀(296)은 상기 제2탄성유닛(280)의 제4홀(283)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제5플레이트(28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fth connection pin 296 may be inserted into the fourth hole 283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and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pair of fifth plates 281 .

상기 제6연결핀(297)은 제6플레이트(291)의 제5홀(29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6플레이트(29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ixth connection pin 297 may be inserted into the fifth hole 292 of the sixth plate 291 to cross the pair of sixth plates 291 .

제6탄성체(295)는 상기 제5연결핀(296) 및 제6연결핀(297)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sixth elastic body 295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fifth connecting pin 296 and the sixth connecting pin 297 to be elastically stretched.

이와 같은 제3탄성유닛(290)이 상호 직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때, 하측의 제3탄성유닛(290)의 제6탄성체(295)는 상측의 제5탄성체(285)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elastic unit 290 is coupl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sixth elastic body 295 of the lower third elastic unit 290 has a smaller elastic force than the upper fifth elastic body 285 . can

이와 같이, 상기 제1탄성유닛(270) 내지 제3탄성유닛(290)이 상호 직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탄성유닛(290)의 하측에 다른 제3탄성유닛(290)이 직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elastic unit 270 to the third elastic unit 290 may be coupl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nother third elastic unit 290 may be coupled in series to the lower side of the third elastic unit 290 .

그리고, 본 실시예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230)은 리미트 와이어(2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variable elasticity module 230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mit wire 289.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는 일단이 상기 제1탄성유닛(270) 또는 상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280)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280)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의 신장길이를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리미트 와이어(289)는 유연하면서도 탄성이 없거나 적은 섬유 또는 강철선 등의 재질의 로프일 수 있다.The limit wire 289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unit 270 or the second elastic unit 28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elastic unit 28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t is a component that limits the elongation length of the elastic body. The limit wire 289 as described above may be a rop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fiber or a steel wire with little or no elasticity while being flexible.

이 때,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는 상기 제4플레이트(271) 또는 상기 제5플레이트(281)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3연결핀(286) 또는 제4연결핀(287)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mit wire 289 may be coupled to the fourth plate 271 or the fifth plate 281 or coupled to the third connection pin 286 or the fourth connection pin 287 . .

또한,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는 상기 제5플레이트(281)와 제6플레이트(192) 또는, 상기 제5연결핀(296)과 제6연결핀(297)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mit wire 289 may be coupled to the fifth plate 281 and the sixth plate 192 , or the fifth connecting pin 296 and the sixth connecting pin 297 .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는 상기 제5탄성체(285) 및 제6탄성체(295)가 늘어나기 전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285, 295)의 탄성적인 신축은 허용하면서도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보다 더 신장되지는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The limit wire 289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length before the fifth elastic body 285 and the sixth elastic body 295 are stretched to allow elastic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astic bodies 285 and 295 while allowing the limit wire. (289) can be limited so that it does not elongate further.

이 때,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는 상기 제1탄성유닛(270)과 상기 상측 고정유닛(240)의 사이에는 배치되지 아니하며, 상기 제1탄성유닛(270)과 상기 제2탄성유닛(280)의 사이 및 상기 제2탄성유닛(280)과 상기 제3탄성유닛(29) 및 상기 복수개의 제3탄성유닛(2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mit wire 289 is not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unit 270 and the upper fixing unit 240, the first elastic unit 270 and the second elastic unit (280) It may be disposed between and between the second elastic unit 280 and the third elastic unit 29 and the plurality of third elastic units 290 .

따라서, 상기 제1탄성유닛(270)의 탄성체는 그 신장길이가 제한되지 아니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탄성유닛(270)도 그 신장길이가 제한되도록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lastic body of the first elastic unit 270 may not be limited. Of course, if necessary, the limit wire 289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unit 270 so that the extension length thereof is limited.

이 때, 상기 하측 고정유닛(250)은, 상기 복수개의 제2탄성유닛(280) 중 최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280)의 제4연결핀(28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52) 또는 텐던을 통해 전해지는 다리의 움직임 및 고관절의 움직임을 상기 가변 탄성 모듈(230)에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fixing unit 2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ourth connecting pin 287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units 280 . there is.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leg and the movement of the hip joint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152 or the tend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ariable elasticity module 230 .

또한, 상기 리미트 와이어(289)의 길이는 상기 제2탄성유닛(280) 또는 제3탄성유닛(290)마다 다를 수 있다. 즉, 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280)의 리미트 와이어(289)일 수록 그 길이가 짧으며, 상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280)의 리미트 와이어(289)일 수록 그 길이가 길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도 있거나 상기 제2탄성유닛(280) 및 제3탄성유닛(29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가변 탄성 모듈(230)의 리미트 와이어(289)가 모두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imit wire 289 may be different for each second elastic unit 280 or the third elastic unit (290). That is,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limit wire 289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limit wire 289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disposed on the upper side. can Or vice versa, the limit wire 289 of the variable elastic module 230 may all have the same length regardless of the positions of the second elastic unit 280 and the third elastic unit 290 .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변 탄성 모듈(230)을 신축성을 가진 섬유 등의 피복등으로 감싸 착용자의 피부나 모발 또는 의복이 탄성유닛(260)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variable elastic module 230 may be covered with a covering such as elastic fibers to prevent the wearer's skin, hair, or clothes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elastic units 260 .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네스(110), 하부 하네스(120) 및 가변탄성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harness 110 , a lower harness 120 , and a variable elasticity module 330 .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하네스(110) 및 하부 하네스(120) 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harness 110 and the lower harness 120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탄성 모듈(3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고정유닛(340), 복수개의 탄성유닛(360) 및 하측 고정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variable elastic module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fixing unit 340 ,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360 , and a lower fixing unit 350 .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 및 하측 고정유닛(350)은 전술한 실시예의 상측 고정유닛(340) 및 하측 고정유닛(3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upper fixing unit 340 and the lower fixing unit 35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fixing unit 340 and the lower fixing unit 35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은 상기 상부 하네스(110)와 결합된다.The upper fixing unit 340 is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110 .

그리고, 상기 하측 고정유닛(350)은 상기 하부 하네스(120)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unit 350 is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120 .

상기 탄성유닛(360)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 및 하측 고정유닛(350)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unit 360 is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340 and the lower fixing unit 350, and is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가변 탄성 모듈(330)은 착용자의 등에 척추를 따라 배치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36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variable elastic module 330 is disposed along the spine of the wearer's back,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360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360)은 제1탄성유닛(370)과 제2탄성유닛(38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36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unit 370 and a second elastic unit 380 .

상기 제1탄성유닛(370)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360) 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360)로서,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unit 370 is an elastic unit 360 dispos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360 , and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340 to be elastically stretched.

상기 제2탄성유닛(380)은 상기 가변 탄성 모듈(330)을 이루는 복수개의 탄성유닛(360) 중 상기 제1탄성유닛(370)을 제외한 나머지 탄성유닛(360)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몰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탄성유닛(370) 또한 그 신장길이가 제한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cond elastic unit 380 may be the remaining elastic units 360 except for the first elastic unit 370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360 constituting the variable elastic module 330 , and the first elastic unit 380 . 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nit 370 to be elastically stretched. Mollon, if necessary, the first elastic unit 370 may also be made to have a limited elongation length.

즉, 상기 가변 탄성 모듈(330)을 이루는 탄성유닛(360) 중 최상단에 배치된 탄성유닛(360)은 제1탄성유닛(370)이고, 그 외에는 제2탄성유닛(38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유닛(370)은 그 신장길이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2탄성유닛(380)은 그 신장길이에 제한이 가해질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신장길이 또한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the elastic unit 360 disposed at the top of the elastic units 360 constituting the variable elastic module 330 may be the first elastic unit 370 , and other elastic units may be the second elastic units 380 .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unit 370 has no limitation in its elongation length, and the second elastic unit 380 may be limited in its elongation length. Of course, if necessary,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may also be limited.

상기 제1탄성유닛(370)은 제5연결핀(377) 및 제7탄성체(3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unit 370 may include a fifth connecting pin 377 and a seventh elastic body 375 .

상기 제5연결핀(377)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fth connection pin 377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fixing unit 340 .

그리고, 상기 제7탄성체(375)는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과 상기 제5연결핀(377)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7탄성체(375)는 상기 상측 고정유닛(340)과 상기 제5연결핀(377)을 둘러싸며 감기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밴드 대신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venth elastic body 375 may be elastically contract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340 and the fifth connecting pin 377 . In this embodiment, the seventh elastic body 375 may be an elastic band wound around the upper fixing unit 340 and the fifth connecting pin 377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pring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elastic band.

상기 제2탄성유닛(380)은, 제6연결핀(386) 및 제7연결핀(387) 및 제8탄성체(3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unit 380 may include a sixth connection pin 386 , a seventh connection pin 387 , and an eighth elastic body 385 .

상기 제6연결핀(386)은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7연결핀(387)은 상기 제6연결핀(386)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ixth connection pin 38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 In addition, the seventh connection pin 387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xth connection pin 386 .

상기 제8탄성체(385)는 상기 제6연결핀(386)과 상기 제7연결핀(387)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8탄성체(385)는 상기 제6연결핀(386)과 상기 제7연결핀(387)을 둘러싸며 감기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밴드 대신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eighth elastic body 385 may be coupled to the sixth connecting pin 386 and the seventh connecting pin 387 to be elastically stretchable. In this embodiment, the eighth elastic body 385 may be an elastic band wound around the sixth connecting pin 386 and the seventh connecting pin 387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spring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elastic band.

그리고, 본 실시예의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의 가변 탄성 모듈(330)은 리미트 와이어(3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variable elastic module 330 of the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mit wire 389.

상기 리미트 와이어(389)는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제5연결핀(377)과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하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2탄성유닛(380)의 제6연결핀(386)을 고정하고,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탄성유닛(380)의 제7연결핀(387) 및 그 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380)의 제6연결핀(386)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5연결핀(377) 및 제6연결핀(386)과 제7연결핀(387)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상기 탄성체(375, 385)의 신장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The limit wire 389 is a fifth connection pin 377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and a sixth of the second elastic unit 380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 The connecting pin 386 is fixed, the seventh connecting pin 387 of the second elastic unit 380 and the sixth connecting pin 386 of the second elastic unit 380 disposed below it are continuously extended. By fixing the fifth connecting pin 377 , the sixth connecting pin 386 , and the seventh connecting pin 387 , it is possible to limit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lastic bodies 375 and 385 at the same time.

이 때, 상기 제6연결핀(386)과 제7연결핀(387) 사이의 상기 리미트 와이어(389)의 길이는 상기 제2탄성유닛(380)의 제8탄성체(385)의 신장 전 최소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8탄성체(385)의 탄성적인 신축은 허용하면서도 상기 리미트 와이어(389)보다 더 신장되지는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limit wire 389 between the sixth connecting pin 386 and the seventh connecting pin 387 is the minimum length before the elongation of the eighth elastic body 385 of the second elastic unit 380 . By being formed to be longer, the elastic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ighth elastic body 385 can be restricted while not being extended more than the limit wire 389 .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리미트 와이어(389)가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상기 제5연결핀(377)까지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탄성유닛(370)의 신장길이까지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by fixing the limit wire 389 to the fifth connection pin 377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as necessary, eve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may be limited.

또한, 상기 제3탄성유닛(390)은 상기 제2탄성유닛(380)의 하측에 직렬적으로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2탄성유닛(38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탄성유닛(390)은 하나 이상 또는 복수개가 상호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직렬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신장길이가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탄성유닛(390)은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착용자의 신장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elastic unit 390 is serial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380 , and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lastic unit 380 . One or more or a plurality of the third elastic units 390 may be serial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utually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nd the extension length may be limited. One or a plurality of these third elastic units 390 may be provided, and the number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earer.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변 탄성 모듈(330)을 신축성을 가진 섬유 등의 피복등으로 감싸 착용자의 피부나 모발 또는 의복이 탄성유닛(360)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variable elastic module 330 may be covered with a covering such as elastic fibers to prevent the wearer's skin, hair, or clothing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elastic units 360 .

이와 같이 상기 제1탄성유닛(370) 및 복수개의 제2탄성유닛(380)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unit 37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units 380 may be disposed vertically.

따라서, 착용자가 앉는 등의 동작을 취하게 되어 상기 하측 고정유닛(35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제1탄성유닛(370) 내지 제3탄성유닛(390)의 탄성체가 탄성적으로 신장되면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wearer takes an action such as sitting and the lower fixing unit 350 is pulled, the elastic body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to the third elastic unit 390 is elastically stretched and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can be

이 때, 상기 상측에 배치된 제1탄성유닛(370), 제2탄성유닛(380) 및 제3탄성유닛(390)의 탄성체(375, 385) 일수록 탄성계수가 클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375, 385)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은 상측에 배치된 탄성체일 수록 더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odulus 375 and 385 of the first elastic unit 370 , the second elastic unit 380 , and the third elastic unit 390 disposed on the upper side may have a larger elastic modulus. That is,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plurality of elastic bodies 375 and 385 may be greater as the elastic body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creases.

따라서, 척추 또는 다리가 굴곡됨에 따라 탄성계수가 작은 하측에 배치된 탄성체(385)부터 순차적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되며, 굴곡각도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탄성체(375, 385)가 순차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즉, 굴곡각도가 커짐에 따라 작용되는 탄성력의 크기 또한 커질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spine or leg is bent, the elastic body 385 sequentially elastically stretches from the lower elastic modulus 385 with a small elastic modulus, and as the bending angle increases, the elastic body 375 and 385 disposed at the upper side gradually increase sequentially. can be extended to That is, as the bending angle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applied may also increa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5: 하네스부 110: 상측 하네스
120: 하측 하네스 130: 가변 탄성 모듈
140: 상측 고정유닛 150: 하측 고정유닛
152: 와이어 160: 탄성유닛
161: 탄성부 162: 제한부
170: 제1탄성유닛 171: 제1플레이트
173: 제1연결핀 175: 제1탄성체
177: 제1고정핀 179: 제1슬릿
180: 제2탄성유닛 181: 제2플레이트
183: 제1슬라이드핀 185: 제2탄성체
187: 제2고정핀 230: 가변 탄성 모듈
240: 상측 고정유닛 250: 하측 고정유닛
260: 탄성유닛 270: 제1탄성유닛
271: 제4플레이트 272: 제1홀
273: 제2홀 275: 제4탄성체
277: 제2연결핀 280: 제2탄성유닛
281: 제5플레이트 282: 제3홀
283: 제4홀 285: 제5탄성체
286: 제3연결핀 287: 제4연결핀
330: 가변 탄성 모듈 340: 상측 고정유닛
350: 하측 고정유닛 360: 탄성유닛
370: 제1탄성유닛 375: 제7탄성체
377: 제5연결핀 380: 제2탄성유닛
385: 제8탄성체 386: 제6연결핀
387: 제7연결핀 389: 리미트 와이어
105: harness unit 110: upper harness
120: lower harness 130: variable elastic module
140: upper fixed unit 150: lower fixed unit
152: wire 160: elastic unit
161: elastic part 162: limiting part
170: first elastic unit 171: first plate
173: first connection pin 175: first elastic body
177: first fixing pin 179: first slit
180: second elastic unit 181: second plate
183: first slide pin 185: second elastic body
187: second fixing pin 230: variable elastic module
240: upper fixed unit 250: lower fixed unit
260: elastic unit 270: first elastic unit
271: 4th plate 272: 1st hole
273: second hole 275: fourth elastic body
277: second connection pin 280: second elastic unit
281: 5th plate 282: 3rd hole
283: 4th hole 285: 5th elastic body
286: third connection pin 287: fourth connection pin
330: variable elasticity module 340: upper fixed unit
350: lower fixed unit 360: elastic unit
370: first elastic unit 375: seventh elastic body
377: fifth connection pin 380: second elastic unit
385: eighth elastic body 386: sixth connecting pin
387: seventh connection pin 389: limit wire

Claims (16)

착용자의 몸통 상측에 착용되는 상부 하네스 및 상기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에 착용되는 하부 하네스를 포함하는 하네스부;
상단이 상기 상부 하네스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하네스에 결합되며, 착용자의 등에 척추를 따라 배열되어 상기 척추의 굴신 및 상기 다리의 고관절의 굴신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어 상기 척추 및 상기 다리를 보조하는 가변 탄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 탄성 모듈은,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탄성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은 상기 척추 및 상기 다리의 고관절의 굴신 각도를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a harness unit including an upper harness worn on the upper side of the wearer's torso and a lower harness worn on the wearer's legs and thighs;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and is arranged along the spine on the wearer's back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spine and the extension of the hip joint of the leg to secure the spine and the legs. It includes; a variable elastic module to assist;
The variable elasticity module,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are elastically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the flexion angle of the hip joint of the spine and the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탄성 모듈은,
상기 상부 하네스에 결합되는 상측 고정유닛;
상기 하부 하네스에 결합되는 하측 고정유닛 및
상기 상측 고정유닛 및 상기 하측 고정유닛 사이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직렬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탄성유닛;
을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elasticity module,
an upper fix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harness;
a lower fix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harness; and
a plurality of elastic units coupled between the upper fixing unit and the lower fixing unit and coupled in series to exert different elastic forces;
Including, a wearable strength suppor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은,
상기 상측 고정유닛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결합되는 제1탄성유닛; 및
상기 제1탄성유닛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직렬 결합되는 제2탄성유닛을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a first elastic unit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and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elastic unit coupled in series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below the first elastic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고정유닛은 상기 하부 하네스에 텐던 또는 와이어로 연결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fix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harness by a tendon or a wire,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1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연결핀;
상기 제1연결핀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핀; 및
상기 제1연결핀과 상기 상측 고정유닛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1탄성체;
를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lastic unit,
a pair of first plates in which first slit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i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a first fixing pin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tes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a first elastic bod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in and the upper fixing unit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Including, a wearable strength suppor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제2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유닛의 상기 제1슬릿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핀;
상기 제1슬라이드핀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핀; 및
상기 제1탄성유닛의 상기 제1고정핀과 상기 제1슬라이드핀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슬라이드핀의 이동거리가 제한됨으로써 신장길이가 제한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elastic unit,
a pair of second plates in which second slit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first slide pi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and slidably installed in the first slit of the first elastic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xing pin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slide pin; and
a second elastic bod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in and the first slide pin of the first elastic unit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includes,
In the second elastic body, the elongation length is limited by limi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slide pin,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유닛 하측에 상기 제2탄성유닛과 동일한 구조로 상호 직렬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탄성유닛의 상기 제2탄성체와 다른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One or more elastic units coupl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lastic unit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unit and having an elastic body having an elastic for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elastic body of the second elastic unit. , a wearable strength suppor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의 탄성체는 상측에 위치된 탄성체일수록 탄성계수가 큰,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lastic body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has a larger elastic modulus as the elastic body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또는 상기 다리의 고관절이 굴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의 상기 탄성체 중 탄성계수가 작은 탄성체부터 순차적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s the spine or the hip joint of the leg bends, the elastic body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is sequentially stretched or contracted from an elastic body having a small elastic modul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고정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유닛 중 최하측에 배치된 탄성유닛에 결합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fixing unit,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coupled to an elastic unit disposed on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탄성유닛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ngth of the slit is form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units,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밴드인,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elastic body is an elastic band,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4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4플레이트의 상기 제1홀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 및
상기 상측 고정유닛과 상기 제2연결핀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4탄성체;
를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lastic unit,
a pair of fourth plates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second connection pin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of the pair of fourth plates; and
a fourth elastic body coupled to the upper fix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pin to elastically expand and contract;
Including, a wearable strength support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3홀 및 제4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5플레이트;
상기 제1탄성유닛의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제2홀에 삽입되는 제3연결핀;
상기 제5플레이트의 상기 제3홀에 삽입되는 제4연결핀; 및
상기 제3연결핀 및 제4연결핀에 결합되어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제6탄성체;
를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elastic unit,
a pair of fifth plates having a third hole and a fourth hol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third connecting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hole of the fourth plate of the first elastic unit;
a fourth connection pin inserted into the third hole of the fifth plate; and
a sixth elastic body coupled to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pins and elastically stretched;
Including, a wearable strength support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탄성유닛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에 배치된 제2탄성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의 신장길이를 제한하는 리미트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unit,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elastic un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further comprising a limit wire for limiti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lastic body, wearable strength support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와이어는 상기 탄성체가 늘어나기 전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착용형 근력보조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limit wire is a wearable strength assisting device that is formed in a longer length than the length before the elastic body is stretched.
KR1020200139369A 2020-10-26 2020-10-26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KR102488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69A KR102488303B1 (en) 2020-10-26 2020-10-26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69A KR102488303B1 (en) 2020-10-26 2020-10-26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33A true KR20220055533A (en) 2022-05-04
KR102488303B1 KR102488303B1 (en) 2023-01-16

Family

ID=8158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369A KR102488303B1 (en) 2020-10-26 2020-10-26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30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2396A (en) * 2011-12-26 2013-07-08 Aisin Seiki Co Ltd Operation assisting device and mounting instrument
JP2015190623A (en) 2014-03-28 2015-11-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link assembly
KR20160031603A (en)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ssisting device for muscle strength
JP2020503183A (en) * 2016-11-28 2020-01-30 パク、ドングァンPark, Donggwan Human body bending and stretching assist device using elastic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2396A (en) * 2011-12-26 2013-07-08 Aisin Seiki Co Ltd Operation assisting device and mounting instrument
JP2015190623A (en) 2014-03-28 2015-11-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link assembly
KR20160031603A (en)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ssisting device for muscle strength
JP2020503183A (en) * 2016-11-28 2020-01-30 パク、ドングァンPark, Donggwan Human body bending and stretching assist device using elastic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303B1 (en)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2159B2 (en) Flexible wearable muscle assist device
KR102583289B1 (en) Human body flexion and extension assist device
US7544155B2 (en) Gravity balanced orthosis apparatus
JP6527629B1 (en) Motion assistance work clothes
EP3545917B1 (en) Device for assisting human body bending/stretching using elastic body
JP7042363B2 (en) Bending and stretching operation assisting device
CN105473116A (en) External structural support device
US20190125613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2130886B1 (en)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488303B1 (en)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JP4472577B2 (en) spats
JP6475725B2 (en) Knee joint orthosis
CN114712796B (en) Single leg hard pull auxiliary training device
KR101740138B1 (en) Device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DE202018002263U1 (en) Modular dynamic mechanical orthosis system to aid walking - Neuron Swing Assist (HKAFO) orthosis
JP2017018243A (en) Training tool
US20210315514A1 (en) Wearable passive assisting device
US20220219313A1 (en) Moment arm extension system for exosuit
JP3968416B2 (en) Multi-DOF leg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KR102079426B1 (en) Tensioning and Supporting Equipment for Waist Bending and Returning
TWI466699B (en) Musculature training device
WO2013179440A1 (en) Tights
KR102250723B1 (en) Lower body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KR201700670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lking practice
WO2018038125A1 (en) Harness type safety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