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905A -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905A
KR20220053905A KR1020200138230A KR20200138230A KR20220053905A KR 20220053905 A KR20220053905 A KR 20220053905A KR 1020200138230 A KR1020200138230 A KR 1020200138230A KR 20200138230 A KR20200138230 A KR 20200138230A KR 20220053905 A KR20220053905 A KR 2022005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user
information
users
data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980B1 (ko
Inventor
김용우
김기환
심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브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브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브랩
Priority to KR102020013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9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데이터를 제공 받을 사용자의 특성을 사전에 저장하고, 공공 기관 등으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내용과 동일한 취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진, 동영상, 그래픽 이미지,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들의 특성에 따라서 결합하고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갖은 사용자 및 노약자들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받고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tus for converting information data}
본 발명은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데이터를 제공 받을 사용자들의 특성에 따라서 정보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가 사용자들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음에 따라서, 많은 기관 및 단체들이 자신들의 회원 및 사용자들에게 SMS 및 MMS 와 같은 정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태풍, 지진,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을 SMS 또는 MMS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휴대전화로 전송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 데이터들은 대부분 단순한 텍스트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어, 시각장애인, 노인들, 색맹 또는 색약자, 장애인 및 어린이들은 상황을 빠르게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의 휴대 전화 등은 텍스트를 기계음성을 출력해주는 TTS(Text to Speech)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나, 청력이 약한 노인들이나, 청각 장애인들의 이용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하고, 단순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형태의 정보 데이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나이, 장애 유형 등과 같은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를 공개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은,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사용자들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정보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수신하는 단계; (c) 인공지능 기반의 의미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의미 분석 결과에 따라서 콘텐츠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검색된 콘텐츠들을 결합하여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을 각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변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키워들을 추출하고, 상기 (d) 단계는, 각 키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청각 장애 및 시각 장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나이, 색맹 및 색약 여부, 모국어, 선호하는 정보 제공 방식(문자, 음성,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정보 데이터의 논리적 순서 또는 상기 정보 데이터에 제시된 키워들의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로서 추출된 이미지들을 배치하고 결합하여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의 크기 및 색상을 변형하거나, TTS 엔진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형하거나, 음성 데이터의 볼륨 또는 특정 음역의 피치를 조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소정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한 상기 프로세서는 (a)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사용자들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정보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수신하는 단계; (c) 인공지능 기반의 의미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의미 분석 결과에 따라서 콘텐츠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검색된 콘텐츠들을 결합하여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을 각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변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키워들을 추출하고, 상기 (d) 단계는, 각 키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청각 장애 및 시각 장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나이, 색맹 및 색약 여부, 모국어, 선호하는 정보 제공 방식(문자, 음성,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정보 데이터의 논리적 순서 또는 상기 정보 데이터에 제시된 키워들의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로서 추출된 이미지들을 배치하고 결합하여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의 크기 및 색상을 변형하거나, TTS 엔진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형하거나, 음성 데이터의 볼륨 또는 특정 음역의 피치를 조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보 데이터를 제공 받을 사용자의 특성을 사전에 저장하고, 공공 기관 등으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내용과 동일한 취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진, 동영상, 그래픽 이미지,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들의 특성에 따라서 결합하고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갖은 사용자 및 노약자들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받고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가 연결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가 연결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20)과 연결되고,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30)와도 연결된다. 아울러, 콘텐츠 서버(40)는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와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30)는 태풍, 지진,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질병, 전염병, 교통 정보(지하철 고장 정보, 차량 사고 정보, 주요 도로의 혼잡 상황 등) 등과 같은 공공 목적의 정보 데이터를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은 휴대 전화 및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되어,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로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하고,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로부터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변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의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장애 유형(청각 장애 또는 시각 장애), 나이, 색맹(색약) 여부, 모국어, 선호하는 정보 제공 방식(문자, 음성, 사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는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30)로부터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 다양한 사용자들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콘텐츠 서버(40)는 정보 데이터의 의미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정보 데이터에 대응되는 내용과 동일한 취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진, 동영상, 그래픽 이미지, 그림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로 제공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3), 입력부(15) 및 출력부(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는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는 메모리(13)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한다. 메모리(13)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매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 대체 운영될 수도 있다.
입력부(15)는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전형적인 입력 수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설정 정보 및 선택 정보 등을 입력받아 프로세서(11)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7)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1)에서 생성한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는 사용자 특성 정보 수집부(110), AI기반 의미 분석부(120),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 콘텐츠 융합부(140), 및 정보 데이터 변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기능적 구성 및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에 포함된 사용자 특성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들(20)로부터 해당 사용자들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310).
이 때, 수집되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장애 유형(청각 장애 또는 시각 장애), 나이, 색맹(색약) 여부, 모국어, 선호하는 정보 제공 방식(문자, 음성, 사진, 동영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 S310 단계는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그 후, 화재 발생이나 전염병 환자 발생과 같이 사용자들에게 정보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30)가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생성하여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로 전송하고,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는 이를 수신한다(S320).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AI 기반 의미 분석부(120)는 인공지능 기반의 의미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수신된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한다(S330). 여기서,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은 공지의 다양항 알고리즘들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구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예컨대, 입력된 텍스트 형식의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형태소 분석을 통해서 정보 데이터를 형태소 별로 분류하고, 형태소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단어들을 조합함으로써 해당 정보 데이터가 포함하는 키워드들을 확인한다. 만약, 정보 데이터가 '산불이 발생하였으므로, 산의 동쪽으로 대피하라'라는 메시지라면, '산불','발생','동쪽','대피'라는 키워드들이 추출되고, 해당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정보 데이터의 내용이 파악된다.
그 후,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는 AI 기반 의미 분석부(120)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들을 콘텐츠 서버(40)에 검색하여, 키워드들에 대응되는 가장 적합한 콘텐츠들을 추출한다(S340). 이 때,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는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특성 정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들을 검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서버(40)에 저장된 콘텐츠 들을 음성, 사진, 그래픽,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는 '산불'이라는 키워드가 입력되면, 콘텐츠 서버(40)에서 1차적으로 산불에 대한 이미지 및 동영상을 검색하고, '산불'에 직접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없으면 범위를 확장하여 '불','화재'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동영상들을 검색할 수 있다.
아울러,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는 검색된 콘텐츠들에 대해서, 사용자들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필터링이 수행되는 사용자들의 특성 정보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전체 사용자들의 공통된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을 다수의 사용자들 중 적녹 색맹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위한 이미지를 검색한다고 가정하면,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는 검색된 이미지들에 대해서 컬러히스토그램을 구하여 적색과 녹색 성분이 가장 적은 이미지를 선별할 수 있다.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을 사용자들 중에서 서로 상충되는 특성을 가진 사용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예컨대, 전색맹인 사용자들, 적녹 색맹인 사용자, 단순 색약인 사용자 및 색맹(색약)이 아닌 사용자들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는 해당 사용자 특성을 가지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콘텐츠를 각각 검색할 수 있다.
그 후,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10)의 콘텐츠 융합부(140)는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서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에서 검색된 콘텐츠들을 결합하여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S3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콘텐츠를 융합하여 정보 데이터를 변환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콘텐츠 융합부(140)는 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인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콘텐츠 검색부(130)에 검색된 다양한 이미지들 중'산불'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모닥불을 촬영한 사진이나 그래픽을 선택하고,'동쪽'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중 영어로 기재된 EAST 라는 안내판 또는 표지판을 선택하며,'대피'에 대응되는 이미지로서 병원에서 건물에서 사용자들이 머리를 숙이고 한 방향을 향해서 달려가는 이지미를 선택한다.
그 후, 콘텐츠 융합부(14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적 순서 또는 정보 데이터에 제시된 키워들의 순서에 따라서 이미지들을 배치하고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고, 이러한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될 수 있다.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텍스트 형식의 정보 데이터를 3장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변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황 및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서 하나의 이미지에 음향 또는 음성을 결합하여 정보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융합부(140)는 각 사용자의 전체적인 특성 정보 유형 별로 콘텐츠를 융합하고, 이를 입력받은 정보 데이터 변환부(150)는 사용자 특성 정보를 제공받아, 각 개별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융합된 정보 데이터를 변형하고(S360), 변형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S370).
도 4의 예를 참조하면, 콘텐츠 융합부(140)로부터 입력된 융합 콘텐츠의 이미지가 특정 사용자에게 너무 작다고 판단되고, 해당 사용자 단말(20)이 융합 콘텐츠에서 생성된 원본 이미지보다 더 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 데이터 이미지를 보다 크게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40)에 저장된 이미지 콘텐츠들 중 색맹인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이미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콘텐츠 융합부(140)는 일반 컬러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정보 데이터 변환부(150)에서 색맹인 각 사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에 컬러 필터를 적용하여 색을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콘텐츠 융합부(140)로부터 입력된 정보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이고, 이를 제공받을 사용자가 고음 난청자인 경우에, 음성 데이터를 저음으로 피치를 변형하거나 볼륨을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로서 청각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 정보 데이터 변환부(150)는 정보 데이터를 TTS(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서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청각 및 시각에 장애가 없고, 단순히 나이가 많아 노안이 우려되는 경우에, 정보 데이터 변환부(150)는 텍스트 형식의 정보 데이터의 글자 크기를 크게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외국인인 경우에는 정보 데이터의 텍스트를 해당 외국인의 모국어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
20: 사용자 단말
30 :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
40 : 콘텐츠 서버
110 : 사용자 특성 정보 수집부
120 : AI 기반 의미 분석부
130 : 최적 콘텐츠 검색부
140 : 콘텐츠 융합부
150 : 정보 데이터 변환부

Claims (11)

  1.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사용자들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정보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수신하는 단계;
    (c) 인공지능 기반의 의미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의미 분석 결과에 따라서 콘텐츠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검색된 콘텐츠들을 결합하여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을 각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변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키워들을 추출하고,
    상기 (d) 단계는, 각 키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청각 장애 및 시각 장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나이, 색맹 및 색약 여부, 모국어, 선호하는 정보 제공 방식(문자, 음성,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정보 데이터의 논리적 순서 또는 상기 정보 데이터에 제시된 키워들의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로서 추출된 이미지들을 배치하고 결합하여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의 크기 및 색상을 변형하거나, TTS 엔진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형하거나, 음성 데이터의 볼륨 또는 특정 음역의 피치를 조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6. 프로세서 및 소정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한 상기 프로세서는
    (a)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사용자들의 사용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정보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정보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수신하는 단계;
    (c) 인공지능 기반의 의미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의미 분석 결과에 따라서 콘텐츠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의 의미에 대응되는 콘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검색된 콘텐츠들을 결합하여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을 각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변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서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키워들을 추출하고,
    상기 (d) 단계는, 각 키워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장애 유형(청각 장애 및 시각 장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나이, 색맹 및 색약 여부, 모국어, 선호하는 정보 제공 방식(문자, 음성,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정보 데이터의 논리적 순서 또는 상기 정보 데이터에 제시된 키워들의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로서 추출된 이미지들을 배치하고 결합하여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사용자 특성 정보에 따라서, 상기 임시 변환된 정보 데이터들의 크기 및 색상을 변형하거나, TTS 엔진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형하거나, 음성 데이터의 볼륨 또는 특정 음역의 피치를 조정하여 최종 변환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데이터 변환 장치.
  11.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38230A 2020-10-23 2020-10-23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239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30A KR102398980B1 (ko) 2020-10-23 2020-10-23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30A KR102398980B1 (ko) 2020-10-23 2020-10-23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05A true KR20220053905A (ko) 2022-05-02
KR102398980B1 KR102398980B1 (ko) 2022-05-17

Family

ID=8159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30A KR102398980B1 (ko) 2020-10-23 2020-10-23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9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668A (ko) * 2014-01-28 2016-10-05 조몰 초어친 게엠베하 자동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검출하고 텍스트의 일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KR20170110216A (ko) * 2016-03-22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을 위한 재난 경보 메시지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668A (ko) * 2014-01-28 2016-10-05 조몰 초어친 게엠베하 자동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검출하고 텍스트의 일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KR20170110216A (ko) * 2016-03-22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인을 위한 재난 경보 메시지 전송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변윤관 외 4명, ‘재난문자 서비스에서의 이미지 표출 방안’, 방송공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페이지 401-403, (2020.05.3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980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4327B2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5516651B (zh) 用于在成像设备中提供组合摘要的方法和设备
CN106384593B (zh) 一种语音信息转换、信息生成方法及装置
Garg et al. Challenges of the deaf and hearing impaired in the masked world of COVID-19
US201402676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action selection based on image context
US202002360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41408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system commands based oh captured image data
US20140250219A1 (en) Synchronizing translated digital content
CN106933807A (zh) 备忘录事件提醒方法及系统
KR101584685B1 (ko) 시청 데이터를 이용한 기억 보조 방법
KR102398980B1 (ko) 사용자 특성에 따른 정보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Alkhalifa et al. Enssat: wearable technology application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Madahana et al. A propos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al-time speech-to-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or for South African official languages for the COVID-19 era and beyond: In pursuit of solutions for the hearing impaired
WO2017036516A1 (en) Externally wearable treatment device for medical application, voice-memory system, and voice-memory-method
KR102236358B1 (ko) 사회적 취약계층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0359B1 (ko)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 편집 방법
KR20190002386A (ko) 캐릭터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102148021B1 (ko) 딥러닝 텍스트 탐지 기술을 활용한 실생활 영상 속의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RU2715792C1 (ru) Учебно-демонстрационный модуль и система обучения глухих, немых и глухонемых людей разговорной речи
JP2007156888A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KR102652991B1 (ko) 재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 및 재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83069B1 (ko)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베리어프리 키오스크 장치 및 시스템
CN113362105B (zh) 用户标签形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NL1044018B1 (nl) Slimme Converter van Spraakberichten naar Gebarentaal (SCSG)
Gupta et al. Video Conferencing with Sign languag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