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834A - 휴대용 전동 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동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834A
KR20220053834A KR1020200138039A KR20200138039A KR20220053834A KR 20220053834 A KR20220053834 A KR 20220053834A KR 1020200138039 A KR1020200138039 A KR 1020200138039A KR 20200138039 A KR20200138039 A KR 20200138039A KR 20220053834 A KR20220053834 A KR 2022005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caffold
handle
coupled
port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300B1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20013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3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floor 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동 보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형성되고 확장 가능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는 보드 발판; 상기 보드 발판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방향 조절을 위해 회전 가능한 핸들; 및 상기 보드 발판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구동되는 전동휠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폴딩 구조로 구현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사용 안정성과 편리성을 강화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동 보드{PORTABLE 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은 휴대용 전동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폴딩 구조로 구현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사용 안정성과 편리성을 강화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킥보드는 가볍고 작아 다루기가 쉬우므로 어린이들이 부담없이 타고 노는 기구이다. 킥보드는 전륜 및 후륜, 발판과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쪽 발로 땅을 박차 앞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킥보드는 한 쪽 발은 발판에 올리고 다른 쪽 발로 땅을 밀어 그 힘으로 킥보드를 밀고 나아가야 하므로, 예를 들어 한 쪽 다리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킥보드를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이동거리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킥보드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힘이 빠질 수 있고 더욱이 오르막길일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킥보드를 이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전동 킥보드를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 킥보드는 자동차 시동시와 같이 배터리 혹은 건전지 전원에 의해 모터가 시동되고, 이후에도 배터리(건전지)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동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전동주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집과 대중 교통 정류장, 대중 교통 정류장과 사무실 등 대도심 내 짧은 거리의 이동수단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마땅한 이동수단이 없는 대학의 캠퍼스에서도 전동 킥보드를 사용하는 학생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좁고 긴 발판과 앞, 뒤에 하나씩 장착된 바퀴로 인해 탑승자가 균형을 잡기가 쉽지 않아 초보자나 중장년층이 사용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크기가 크고 무거워 건물 내 실내로 이동하거나 대중교통 탑승시에는 휴대나 보관이 쉽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5241호 (2016.06.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드 발판 크기 조절 및 핸들 폴딩 구조를 구현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사용 안정성과 편리성을 강화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발로 전면을 응시한 상태에서 탑승 가능한 보드 구조, 안정적인 3륜 바퀴 구조 및 사용자 신체 맞춤형 크기 조절 구조를 통합 적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개선한 휴대용 전동 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휴대용 전동 보드는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형성되고 확장 가능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는 보드 발판; 상기 보드 발판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방향 조절을 위해 회전 가능한 핸들; 및 상기 보드 발판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구동되는 전동휠을 포함한다.
상기 보드 발판은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전방을 향해 나란히 배치되도록 직사각형 구조의 탑승 영역을 포함하는 메인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발판의 후단부 모서리를 따라 결합된 상태로 가동 범위 내에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탑승 영역의 확장을 제공하는 확장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보드 발판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핸들축과 상기 전동휠의 앞바퀴를 연결하는 힌지; 일단이 상기 힌지와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핸들축; 및 상기 핸들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축 및 상기 손잡이 각각은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폴딩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축이 상기 보드 발판의 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보드 발판의 상단면에 나란히 접하도록 동작하고, 탑승 주행시 상기 핸들축의 전·후방으로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핸들축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휠은 상기 메인 발판의 전단부 중앙에 결합되고 핸들축과 함께 상기 핸들축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앞바퀴; 및 상기 메인 발판의 후단부 양쪽에 결합된 두개의 뒷바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휠은 적어도 하나의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 발판은 하단면에 상기 배터리 모듈이 결합되는 제1 영역 또는 전동 보드 휴대용 접이식 가방을 보관하는 가방 보관함이 결합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는 휴대 가능한 폴딩 구조로 구현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사용 안정성과 편리성을 강화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는 양발로 전면을 응시한 상태에서 탑승 가능한 보드 구조, 안정적인 3륜 바퀴 구조 및 사용자 신체 맞춤형 길이 조절 구조를 통합 적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의 보드 발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의 핸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의 폴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보드 발판(110), 핸들(130) 및 전동휠(15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드 발판(110)은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휴대용 전동 보드(100)의 본체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보드 발판(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바닥면이 편평한 형태, 즉 판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드 발판(110)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견고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구성이 강한 카본 파이버 재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드 발판(110)은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주행 중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충격 흡수가 좋은 재질의 바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닥부재는 고무 등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발판(110)은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보드(100)은 압력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연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연산 모듈을 통해 탑승자의 무게에 따른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의 무게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전동휠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동 보드(100)은 추가적인 센서(예를 들어, 거리 센서)를 통해 전동 보드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발을 굴러 전동 보드를 기준거리만큼 이동시킨 경우 전동휠의 구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소정의 운동을 강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을 간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보드 발판(110)은 확장 가능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드 발판(110)은 접이식 구조가 적용되어 일방의 발판이 타방의 발판에 회전하여 접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보드 발판(110)은 확장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서 슬라이딩 구조가 적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핸들(130)은 보드 발판(110)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방향 조절을 위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핸들(130)은 보드 발판(110)에서 사용자의 전방 쪽을 향해 결합되어 사용자가 전동 보드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들(130)은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앞바퀴의 축과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핸들(130)의 회전에 따라 앞바퀴의 회전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핸들(130)은 상단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손잡이를 양손으로 움켜쥔 상태로 전동 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핸들(130)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손잡이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동휠(150)은 휴대용 전동 보드(100)의 이동을 위한 바퀴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드 발판(110)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전동휠(150)은 보드 발판(110)의 형상에 맞춰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드 발판(110)이 직사각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각 모서리 인근에 바퀴들이 배치되어 보드 발판(11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만약 보드 발판(110)이 전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후면 모서리 인근에는 양쪽 각각에 바퀴가 설치되는 반면, 전면에는 중앙 부분에 단독으로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동휠(150)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하도록 비행기와 유사한 3륜 구조를 적용하여 탑승 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휠(150)은 전체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전동 스케이트 보드용 바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 스케이트 보드용 바퀴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동휠(150)은 적어도 하나의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및 구동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동휠(150)은 구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독립적으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배터리 모듈은 구동 모듈 및 제어 모듈 각각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은 충전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보드 발판(1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 모듈은 각 바퀴에 독립적인 설치되어 바퀴별로 독립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앞바퀴를 제외한 뒷바퀴들에 대해서만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의 보드 발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확장 가능한 물리적 구조가 적용된 보드 발판(11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드 발판(110)은 가늘고 긴 킥보드 형태가 아니라 직사각형의 넓은 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를 확장하여 사용자의 탑승감을 높이고 주행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발판(110)은 사용자의 양발이 전방을 향해 나란히 배치되도록 직사각형 구조의 탑승 영역(117)을 포함하는 메인 발판(111) 및 메인 발판(11)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메인 발판(111)의 후단부 모서리를 따라 결합된 상태로 가동 범위 내에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됨으로써 탑승 영역(117)의 확장을 제공하는 확장 발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드 발판(110)은 기본적으로 보드의 좌우 너비가 넓어 사용자가 전면을 향해서 양발을 좌우로 나란히 배치한 상태로 탑승 가능할 수 있고, 휴대 시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발판(111)은 핸들(130)과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전단부에 힌지 결합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확장 발판(113)은 메인 발판(111)의 후단부 모서리를 둘러싼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둘러싼 구조는 필요에 따라 메인 발판(111)의 모서리 인근만을 둘러싼 구조이거나 메인 발판(111)의 상단면과 하단면 모두를 둘러싼 구조일 수 있다. 즉, 그림 (b)와 같이 확장 발판(113)은 메인 발판(111)의 후단부 모서리를 따라 둘러싼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직사각형 영역인 탑승 영역(117)은 메인 발판(111)의 크기에 상응할 수 있다. 그림 (a)와 같이 확장 발판(113)이 메인 발판(111)을 따라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되면 탑승 영역(117)은 확장 발판(113)의 크기만큼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발판(111)과 확장 발판(113) 간의 슬라이딩을 위한 물리적 구조는 해당 발판들을 고정하는 고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모듈은 메인 발판(111)과 확장 발판(113) 간의 슬라이딩 전과 후에 각 발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휴대 시 또는 주행 시 발생 가능한 발판들의 이탈에 의한 위험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발판(110)은 메인 발판(111) 및 확장 발판(113) 간의 슬라이딩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슬라이딩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드 발판(110)은 핸들(130)의 손잡이(135) 부분에 결합된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발판 확장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드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135)에 결합된 제어 장치를 통해 발판 확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구동 모듈의 동작이 개시되어 확장 발판(113)의 확장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통해 발판 축소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구동 모듈의 동작이 개시되어 확장 발판(113)의 축소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발판(110)은 메인 발판(111)의 상단면에 슬라이딩 동작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재는 발바닥을 통해 입력 가능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재는 슬라이딩 구동 모듈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드에 탑승한 상태에서 메인 발판(111) 상에 설치된 제어 버튼을 발로 눌러 발판 확장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보드 발판(110)이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 버튼을 다시 눌러 발판 축소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발판(110)의 제어부재는 다양한 센서들과 연동하여 슬라이딩 동작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재는 보드 발판(110) 상의 압력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탑승자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탑승자의 무게를 기초로 슬라이딩 동작의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재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보드 발판(110)의 탑승 영역의 확장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탑승감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휴대용 전동 보드의 핸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보드 발판(110)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방향 조절을 위해 회전 가능한 핸들(13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핸들(130)은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주행 시 전동 보드의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핸들(130)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적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130)은 보드 발판(110)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전동휠(150)의 앞바퀴와 연결되는 힌지(131), 일단이 힌지(131)와 결합되고 앞바퀴에 대응되어 회전 가능한 핸들축(133) 및 핸들축(133)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13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131)는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전동 보드를 휴대할 경우 핸들(130)을 보드 발판(110)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힌지(131)는 보드 발판(110)과 결합할 수 있고, 특히 메인 발판(111)의 전단부에 형성된 힌지 결합홈(115)을 통해 고정됨과 동시에 하단면에 결합된 전동휠(150)의 앞바퀴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축(133) 및 손잡이(135) 각각은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들축(133)은 3단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축(133)은 3단을 최대 확장 시 100cm, 최대 축소 시 35cm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35)는 1단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대 확장 시 30cm, 최대 축소 시 24cm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체적 예시들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들(130)은 보드 발판(110)과 결합되는 힌지(131)를 통해 전동휠(150)의 앞바퀴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동휠(150)의 앞바퀴는 지면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구조로 보드 발판(110)의 하단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핸들축(133)은 앞바퀴 몸체와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핸들(130)의 회전 시 앞바퀴 몸체가 동시에 회전하여 전동 보드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드 발판(110)의 길이가 짧아 사용자와 핸들(130) 사이의 거리가 짧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들축(133)은 앞바퀴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동 보드 바깥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핸들축(133)은 사용자의 신장과 팔길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자 별로 핸들(130)의 사용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즉, 핸들축(133)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보드 발판(110)의 앞과 뒤로 소정의 각도(α)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힌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들(130)은 보드 발판(110)의 전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전동휠(150)의 앞바퀴(151)와 연결되는 힌지(131) 및 일단이 힌지(131)와 결합되는 핸들축(133)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30)은 핸들축(133)을 기준으로 보드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도록 설계되어 각도 조절을 가능할 수 있고, 힌지 구조를 통해 앞바퀴(151)와 직접 연결되어 360도 회전을 통해 평면 상에서 앞바퀴의 방향 전환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131)는 폴딩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어 핸들축(133)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보드 발판(110)의 상단면에 나란히 접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탑승 주행시 상기 핸들축의 전,후방으로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핸들축(133)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힌지(131)의 물리적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전동 보드를 휴대하는 경우 핸들(130)을 보드 발판(110)에 접하도록 접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동 보드의 전체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7)는 핸들축(133)의 각도를 특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주행 시 핸들(130)의 안정감을 제공하면서 사용자 신체 구조에 맞춰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의 폴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폴딩 구조를 채용하여 접었을 때 노트북용 백팩 등에 들어갈 수 있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휴대를 위해 25cm*38cm*13cm(가로*세로*높이)의 공간 만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보드 발판(110)의 경우 확장 가능한 슬라이딩 구조로 구현되어 최대 확장 시 46cm, 최대 축소 시 38cm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3.5인치(9cm) 크기의 전동 스케이트 보드용 바퀴를 사용하여 핸들(130)을 접었을 때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13cm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체적 예시들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핸들(130)의 경우 슬라이딩 구조로 구현되어 핸들축(133)의 경우 3단으로 확장 및 축소 가능하고, 손잡이(135)의 경우 1단으로 확장 및 축소 가능할 수 있다. 도 6 및 7에서, 손잡이(135)는 최대 축소된 경우 핸들(130)을 접었을 때 보드 발판(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전동휠(150)의 앞바퀴(151)는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회전하면 몸체가 보드 발판(110)의 안쪽으로 들어감으로써 전동 보드를 휴대용 가방에 넣을 경우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드 발판(110)은 하단면에 배터리 모듈(116)이 결합되는 제1 영역 또는 전동 보드 휴대용 접이식 가방(810)을 보관하는 가방 보관함(118)이 결합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사용 후 일반 노트북용 가방에 넣어 이동할 수도 있으나, 보드 바닥에 가방 보관함(118)을 별도로 설치하고 가방 보관함(118) 내에 별도의 접이식 가방(810)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후 이동 시 휴대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다양한 물리적 구조를 채용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보드 발판(110) 및 핸들축(133) 길이의 축소/확장이 용이하여 이동 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사용시 460 * 250 * 130mm의 공간이 필요한 반면, 휴대시 380 * 250 * 130mm의 공간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동 보드(100)는 총 무게가 6kg으로 구현될 수 있어 휴대시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최대 지탱 무게 120kg, 최고 속도 20km/h, 1회 충전 주행거리 20km 및 배터리 용량 10.5Ah 등의 스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체적 예시들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휴대용 전동 보드
110: 보드 발판 130: 핸들
150: 전동휠
111: 메인 발판 113: 확장 발판
115: 힌지 결합홈 116: 배터리 모듈
117: 탑승 영역 118: 가방 보관함
131: 힌지 133: 핸들축
135: 손잡이 137: 고정부재
151: 앞바퀴 153: 뒷바퀴
810: 접이식 가방

Claims (8)

  1. 사용자가 탑승하도록 형성되고 확장 가능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는 보드 발판;
    상기 보드 발판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방향 조절을 위해 회전 가능한 핸들; 및
    상기 보드 발판의 하단면에 배치되어 구동되는 전동휠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발판은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전방을 향해 나란히 배치되도록 직사각형 구조의 탑승 영역을 포함하는 메인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발판의 후단부 모서리를 따라 결합된 상태로 가동 범위 내에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탑승 영역의 확장을 제공하는 확장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보드 발판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핸들축과 상기 전동휠의 앞바퀴를 연결하는 힌지;
    일단이 상기 힌지와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와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핸들축; 및
    상기 핸들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 및 상기 손잡이 각각은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폴딩 가능한 물리적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축이 상기 보드 발판의 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보드 발판의 상단면에 나란히 접하도록 동작하고,
    탑승 주행시 상기 핸들축의 전·후방으로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핸들축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은
    상기 메인 발판의 전단부 중앙에 결합되고 핸들축과 함께 상기 핸들축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앞바퀴; 및
    상기 메인 발판의 후단부 양쪽에 결합된 두개의 뒷바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휠은
    적어도 하나의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발판은
    하단면에 상기 배터리 모듈이 결합되는 제1 영역 또는 전동 보드 휴대용 접이식 가방을 보관하는 가방 보관함이 결합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 보드.
KR1020200138039A 2020-10-23 2020-10-23 휴대용 전동 보드 KR10240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39A KR102408300B1 (ko) 2020-10-23 2020-10-23 휴대용 전동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39A KR102408300B1 (ko) 2020-10-23 2020-10-23 휴대용 전동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34A true KR20220053834A (ko) 2022-05-02
KR102408300B1 KR102408300B1 (ko) 2022-06-13

Family

ID=8159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39A KR102408300B1 (ko) 2020-10-23 2020-10-23 휴대용 전동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3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901Y1 (ko) * 2000-09-29 2001-04-16 대경하이테크주식회사 휴대용 2륜스쿠터
KR20080002045U (ko) * 2006-12-18 2008-06-23 이충광 시소 구동식 킥보드
KR20140138273A (ko) * 2012-03-13 2014-12-03 휴고 레오나르도 도우라도 휴대용 전동 운송 수단
KR20160065241A (ko) 2014-11-28 2016-06-0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킥보드
KR200486643Y1 (ko) * 2018-03-13 2018-06-14 정대석 전동킥보드용 발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901Y1 (ko) * 2000-09-29 2001-04-16 대경하이테크주식회사 휴대용 2륜스쿠터
KR20080002045U (ko) * 2006-12-18 2008-06-23 이충광 시소 구동식 킥보드
KR20140138273A (ko) * 2012-03-13 2014-12-03 휴고 레오나르도 도우라도 휴대용 전동 운송 수단
KR20160065241A (ko) 2014-11-28 2016-06-0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킥보드
KR200486643Y1 (ko) * 2018-03-13 2018-06-14 정대석 전동킥보드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300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250B2 (en) Powered single-wheeled self-balancing vehicle for standing user
US9045190B2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CN204452718U (zh) 一种轮外侧站立式的电动平衡车
US5820146A (en) Hand cart for the transport of persons and luggage
US8684123B2 (en) Low-profile two-wheeled self-balancing vehicle with exterior foot platforms
JP6423356B2 (ja) 折り畳み式電動スクータ
CN102514662B (zh) 两轮自平衡电动车
JP3981733B2 (ja) 平行2輪乗用台車
WO2002090147A3 (en) Wheeled collapsible personal mobility devices
WO2016196510A1 (en) Foldable electric vehicle
KR20110044232A (ko) 사이클
JP4599907B2 (ja) 走行装置
CN106585813B (zh) 一种可展开式平衡车
KR101837296B1 (ko) 전동식 킥보드
KR102408300B1 (ko) 휴대용 전동 보드
WO2019032566A1 (en) COMPACT ELECTRIC CONVENIENCE VEHICLE
FI111063B (fi) Sähkömoottorikäyttöinen kulkuväline
EP3875355B1 (en) Foldable electric scooter
KR102425553B1 (ko) 접이식 킥보드
KR20130108779A (ko) 속도에 따라 차륜간 거리가 자동 조절되는 병렬형 이륜 구조의 자세제어 기반 전동 이동장치
CN107021169B (zh) 一种后轮独立驱动平衡脚踏车及其使用方法
KR102463433B1 (ko) 접이식 전동킥보드
CN205365929U (zh) 可折叠电动滑板车
CN209931713U (zh) 智能电动行李箱
KR20210094186A (ko) 전동킥보드 겸용 전동휠로 이용 가능한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