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771A -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771A
KR20220053771A KR1020200137901A KR20200137901A KR20220053771A KR 20220053771 A KR20220053771 A KR 20220053771A KR 1020200137901 A KR1020200137901 A KR 1020200137901A KR 20200137901 A KR20200137901 A KR 20200137901A KR 20220053771 A KR20220053771 A KR 2022005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fighting
vehicle
parked
par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엽
송승준
김보미
김희선
김홍현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771A/ko
Publication of KR2022005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의 소방시설에 또는 옥외 소방시설 인근의 도로 시설물에 설치되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서, 주정차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주정차 차량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스피커 및 발광부, 주정차 차량의 인접 여부가 감지된 후 경과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주정차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부, 주정차 차량에 대한 감지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시스템에 감지되는 주정차 차량 정보 및 전원부와 센서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Parking Prohibition Notification and fire support System around Fire-fight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화전 주변 등 소방시설 인근에 소정 시간 이상 정차하는 차량에 대해 주정차 금지에 대해 안내하는 한편, 소방대원에게 인근 소화전을 안내하여 소방활동을 지원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한 해 동안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화재 사고는 그 발생원인을 찾아내어 미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며, 화재가 발생된 후에는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인명 사고 및 재산 손실의 확대를 막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그런데 건물 밀집 지역이나 차량의 이동 및 주정차가 많은 지역에서는 화재 발생 시 불법 주차된 차량으로 인하여 소방차의 진입이 늦어지거나 소화전 연결이 어려워 화재 진압을 더디게 하고 이로 인하여 인명피해가 증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도 1 참고). 화재 현장에서 사용되는 소방차량의 분당 방수량은 2800L로 추가적인 소방용수 공급이 없으면 3~4분 내 전량 소진하기 때문에 중도 급수를 해주는 소방용수시설은 초기 화재진압의 성패를 좌우한다. 최근에는 소방차가 긴급출동할 때 사고 현장 진입을 방해하는 차량은 강제로 이동하거나 견인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이 변경되었지만, 불법 주정차 차량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강제처분의 정당성을 소방관이 직접 입증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 법에 근거한 차량 강제 이동 등은 실효를 거두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국내 도로교통법의 규정에 따르면 소방용수 시설 등 소방시설 주변 5m 이내에는 주정차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주차 공간의 부족과 안전 의식의 결여로 인하여 불법 주정차가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용수 시설 주변의 도로 경계석에는 5m 반경으로 붉은색 페인트를 칠하여 주정차 금지에 대한 경고표시(일명, 레드코트)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용수시설, 비상소화장치 또는 소방시설 등이 설치된 장소로부터 각각 5m 이내 주정차 시 과태료가 부가되고 있다. 레드코트에서의 불법 주정차 단속으로는 담당 공무원의 순찰, 주민들의 신고 등이 있다. 직접 순찰의 경우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주민 불편 신고는 주민들의 자발성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단속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주차 금지 안내와 관련하여 다수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등록특허 10-1604391호에 따르면, 주차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가 상기 주차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될 때 동작되는 이동감지 스위치; 상기 이동감지 스위치가 동작될 때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수단; 상기 이동감지 스위치가 동작될 때 상기 경고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기회로; 상기 전기회로, 상기 경고수단에 전기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메인 스위치를 포함하는 주차금지 안내장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10-1671327호에 따르면, LED 전광판과 음성통보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으로서, 불법주정차 구역을 촬영하여 감시영상을 생성하는 복수의 현장감시부, 및 복수의 현장감시부로부터 전송되는 감시영상들 중에서 실제주차금지라인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불법 주정차 구역 알림 메시지를 불법 주정차가 발생한 현장에 설치된 현장감시부로 전송하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불법 주정차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고 제안된 바 있다.
제안된 종래의 기술들은 정식 주차 구역에서만 주차를 금지시키기 위해 설치할 수 있거나 불법 주정차 단속을 위해 막대한 시스템과 비용을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도로 인근이나 건물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소방설비 근처에 잠시 주정차하는 차량들을 안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로는 소방관들이 소방용수설비에 신속히 접근하지 못해 자칫 대형화재로 번질 가능성을 낮추기 어렵다.
따라서 소방용수설비 근처에 주정차하려는 차량을 인식하고 강제적 이동이 아닌 자발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새로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 금지를 안내하여 자발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전 등 각종 소방시설 주변의 불법 주정차를 억제하여 긴급 화재진압 시 소방 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방 시설 주변의 불법 주정차를 자발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외의 소방시설에 또는 옥외 소방시설 인근의 도로 시설물에 설치되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서, 주정차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주정차 차량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스피커 및 발광부, 주정차 차량의 인접 여부가 감지된 후 경과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주정차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부, 주정차 차량에 대한 감지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시스템에 감지되는 주정차 차량 정보 및 전원부와 센서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시설 인근의 소정 범위 내로 차량이 진입된 것을 확인하면 해당 차량의 정지 내지 소정 범위 내 위치 시간을 타이머로 측정하고, 일정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와 발광부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주정차 차량의 차주에게 주정차 금지에 관한 안내 문자 및 해당 소방시설 인근의 다른 주정차 가능 지역 정보를 발송하며, 상기 소방시설 인근으로 소방 차량이 진입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동작 또는 소방대원의 단말기나 소방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및 센서부의 동작 상태를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배터리 소모 또는 센서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복수의 소방시설에 대해 관리하며, 주정차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차주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차주에게 주정차 관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원격의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정차 차량의 차주에게 주정차 금지에 관한 안내 문자 및 해당 소방시설 인근의 다른 주정차 가능 지역 정보는 상기 제2 제어부를 통해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부터 일정한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주정차 차량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 또는 센서부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 용수 등 소방설비 근처에 주정차하려는 차량을 인식하여 경고음, 안내방송, 문자 발송 등을 통해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 안내하고, 소화전 등의 소방시설 주변에는 불법 주차를 하면 안 된다는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소방관들이 소방용수설비에 신속히 접근하지 못해 자칫 대형화재로 번질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설치 비용 및 관리 인력을 최소화하면서 소화전 등의 소방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소방 대응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소화전 인근의 불법 주차된 차량의 예를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에 따른 차량감지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설치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설치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에 따른 장치 점검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소화전 등 각종 소방시설 주변의 불법 주정차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소화전 등 소방관련시설 주변에 일정 기준 이상의 시간 동안 주차 또는 정차할 경우 경보가 발생하여 자발적인 이동을 유도하는 한편,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차량의 주정차가 감지되는 정보를 관리부에 전송하여 해당 차량에 인근 주정차 시설을 안내하거나 시스템의 고장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소방대원이 직접 또는 소방차량에서 인근 소화전을 검색하거나, 출동 중인 소방차량에서 무선통신으로 화재 현장 인근의 소화전 인근의 불법주차 차량을 확인하는 등의 소방 지원 기능을 제공하며, 안내 시스템에서 소방차를 인식하게 되면 일반 차량과 달리 소방대원 또는 소방차량에서 무선통신으로 경보 동작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 동작, 소방지원 동작, 시스템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통합 관리부 또는 별도의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일반 차량 모드, 소방대원 전용 모드, 관리자 모드 등의 세분화된 제어 모드로 구별하여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소방 용수시설에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비용을 줄이고,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대형 전기 설비가 직접 포함되지 않아 시스템 구축 시 대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배터리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과태료를 바로 부과하는 것이 아닌 계도 형식으로, 운전자들의 의식 자체를 변화시킬 있어 행정력 낭비를 막고 시민들의 공공안전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관리자 앱 등 야외 설치 시스템과 관리 시스템을 실시간 연동하여 배터리 잔량과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상황 발생 시에는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화재 현장 근처에 있는 소방 용수시설을 검색하여 쉬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적용대상 소방시설은 각종 옥외 소방 시설과 관련된 것으로, 소화전, 스프링클러 설비, 물분무 등 소화설비의 송수구, 소화용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의 송수구,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선기기접속단자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경보 대상은 승용차나 승합차, 화물차 등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소방시설 인근에 임시로 적재한 물건이나 빠른 시간 내에 이동이 어려운 각종 시설물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기존 주차 금지 레드코트는 레드라인을 이용하여 ‘주차금지’라는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주차 금지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지역에서 IOT 기술이 접목된 소화전이 제안된 바 있는데 주차금지 알림 기능과 더불어 온도 센서를 통해 소화전이 동파되면 열선으로 소화전 결빙을 없애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신규 소화전 설치에만 도입 가능하고 소화전 설비를 새롭게 전부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기존 소화전 등의 시설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소방시설 근처 불법 주정차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이 감지되면 경고 메시지를 동작시키며, 다른 곳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관리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불법주정차 안내 설비가 센서에 문제가 없는지, 배터리가 소모되었는지 여부도 원격으로 확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옥외의 소방시설에 또는 옥외 소방시설 인근의 도로 시설물에 설치되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서, 주요 구성요소를 보이고 있다.
본 시스템은 주정차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110), 주정차 차량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고부(120)로서 스피커 및 발광부, 주정차 차량의 인접 여부가 감지된 후 경과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130), 주정차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부(140), 주정차 차량에 대한 감지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50), 안내 시스템의 센싱, 경고 동작, 카메라 동작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 및 시스템에 감지되는 주정차 차량 정보 및 전원부와 센서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소방 시설 등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통합적인 관리 시스템(300)에 원격으로 연결되어 데이타 송수신, 안내 메시지 전달, 시스템의 정상 동작 유무 정보 등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시스템은 직접 또는 관리 시스템을 통해 소방 시설 인근의 주정차 차량의 운전자 단말기(200)에 무선 통신으로 경고 메시지 또는 주정차 정보 안내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지역 소방서 또는 소방 시설을 관할하는 공공기관에 설치되어 개별 소방 시설에 설치된 안내 시스템과 연동될 수도 있고,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대원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소방차량의 전자기기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통해 관련 기능 및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소방대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소방차량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개별 소방 시설의 안내 시스템의 경고 동작을 제어하거나 배터리 또는 센서 등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소방시설 인근의 소정 범위 내로 차량이 진입된 것을 확인하면, 해당 차량의 정지 내지 소정 범위 내 위치 시간을 타이머로 측정하고, 일정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와 발광부를 통해 주정차 금지 구역임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안내 시스템은 소방시설 인근의 소정 범위 내로 차량이 진입한 후 일정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카메라부에서 해당 차량 정보(차량 번호)를 확인하고 주정차 차량의 차주에게 주정차 금지에 관한 안내 문자 및 해당 소방시설 인근의 다른 주정차 가능 지역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소화전 등 소방 시설 인근에 소방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경고 메시지 전달 동작을 중단할 수 있고, 소화전 진입 전에 소방차량에서 원격으로 해당 소방 시설의 안내 시스템에서 경고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주정차 차량의 차주에서 발송되는 안내 문자 등의 정보는 차량 정보로부터 차주의 정보를 관리 시스템에서 확인하여 차주의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발송할 수도 있으나, 차주의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기 설치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경고 메시지 또는 차량 이동 안내 메시지, 인근의 다른 주정차 가능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및 전자기파 센서를 포함하는 이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 등의 전원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소방 시설에 각도를 달리하여 두 개 이상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는 방수 기능을 구비하여 장마철이나 겨울의 폭설 등과 같은 기상악화에 따른 감지 동작의 손상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상기 전원부 및 센서부의 동작 상태를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배터리 소모 또는 센서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복수의 소방시설에 대해 관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소방 시설에 직접 또는 인근에 설치되는 안내 시스템의 규모 및 설치 비용 등을 감안하여 상기 제2 제어부는 전술한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도록 하고, 안내 시스템과는 원격으로 데이타 송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방 시설 근처에 설치된 시스템을 통해 주정차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 시스템이 해당 차량의 차주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차주에게 제2 제어부를 통해 주정차 금지에 관한 안내 문자 및 해당 소방시설 인근의 다른 주정차 가능 지역 정보를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부터 일정한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주정차 차량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 또는 센서부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 및 동작,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에 따른 차량감지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이다. 소화전 등 소방시설 근처, 예를 들어 시설 좌우 5m 범위 내에 무단 주정차하는 차량을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차량 감지는 이종 센서를 통해 다중 감지하여 소방 시설 인근에 정차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 시스템 설치 모습을 보인 것으로, 초음파 센서와 레이더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감지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전면 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각도를 달리하여 복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종 센서에는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차량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제 1 시간) 예를 들어 30초 ~ 1분 이상 감지되면 경고 동작이 개시된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에는 경광등이나 경보음이 동작할 수 있으며,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인 경광등과 청각적인 경보음이 함께 동작하여 주차 금지구역임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고 동작에 의해 차량이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면 최초 감지 동작을 진행하고, 경고 동작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그대로 소방시설의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면 부가적인 조치가 시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조치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부를 통해 해당 차량 번호를 확인한 후 전술한 관리 시스템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 시스템은 관련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무선통신에 의해 불법주정차금지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운전자의 단말기에 전송되는 안내 메시지에는 불법주정차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소방 시설 인근의 다른 주정차 시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정차 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는 전체 안내 시스템과 통합되어 소화전 등의 소방 시설에 장착되거나, 일부분이 분리되어 소방 시설 인근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시스템 설치 모습을 보인 것으로, 경광등과 스피커 등은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하기 용이하게 소화전에 직접 부착되어 있고,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는 주정차 차량의 감지에 용이하도록 레드코트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소방시설 근처 불법 주정차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음파 센서 및 전자기파 센서의 이종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인식하고, 인식이 시작된 순간부터 타이머를 작동시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주정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차량이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정차한 것을 확인하면 주정차로 판단하고, 경고부를 동작시키는 한편, 통신부를 통해 관리 시스템의 제2 제어부에 해당 차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동작에 따라 차량이 이동하게 되면, 제1 제어부는 경고부의 동작을 중단하고, 최초의 감지 동작이 계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은 안내 시스템에 충전식 또는 교체형 배터리를 설치하거나 태양 전지 등을 결합하여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안내 시스템의 부피가 줄어들고 설치 및 관리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에 따른 장치 점검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안내 시스템은 전술한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소방 시설에 설치된 안내 시스템의 자동 점검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시스템이 설치된 소방 시설에 불법으로 주정차하는 차량 정보가 일정 시간(제2 시간) 이상 확인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10시간 ~ 24시간이 경과하여도 주정차 차량에 대한 경고 동작이 발생되지 않거나 차량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리 시스템은 원격으로 안내 시스템의 센서부 또는 경고부, 배터리 등의 전원부의 상태를 점검하여 고장 유무 내지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 또는 센서의 원격 점검에 의해 해당 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장치의 수리 또는 교체 메시지를 발생시켜 담당자에게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검 결과 메시지는 관리 시스템에서 담당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기적 자동 점검 프로세스에 의해 복수의 소방 시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안내 시스템을 간편하게 관리하는 한편, 각 소방 시설과 안내 시스템을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용이하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은 소화전의 정보(위치와 관리번호 등)를 이용하여 소화전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구역을 선택하여 소화전의 위치, 소방용수시설 관리카드 열람, 안내 시스템의 구성 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소방 시설에 관하여 변화가 발생하면 관리카드를 수정하여 관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애플리케이션 등의 방식으로 안내 시스템의 배터리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담당 관리자가 무선통신으로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을 안내 시스템의 제어부와 연결하면, 스피커와 경광등의 배터리에 연결된 센서 등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정보와 함께 소화전 등의 소방 시설 위치 정보 및 각 소방 시설에 설치된 안내 시스템의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리 시스템은 정기적 자동 점검을 통해 불법주정차차량이 소방 시설 근처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센서부에서 해당 차량을 인식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 잔량 부족, 센서 고장 등으로 진단하여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소화전 등 소방 시설 근처에 차량의 불법 주차를 억제할 수 있어, 화재 시 신속하게 소방용수설비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소방 시설 인근 주차 시 계속된 경고 메시지로 운전자가 소방 시설 근처에 주정차 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인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은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관리자 애플리케이션 등의 수단으로 시스템의 정기적 체크도 용이하며 문제 발생 시 실시간 확인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용성으로, 본 발명의 안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좁은 골목길이나 기타 주차 금지 장소에도 설치하여 주정차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내 시스템 110:센서부
120:경고부 130:타이머
140:카메라부 150:제1제어부
160:전원부 170:통신부
200:운전자 단말기 300:관리 시스템

Claims (3)

  1. 옥외의 소방시설에 또는 옥외 소방시설 인근의 도로 시설물에 설치되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서,
    주정차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주정차 차량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스피커 및 발광부,
    주정차 차량의 인접 여부가 감지된 후 경과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주정차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부,
    주정차 차량에 대한 감지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시스템에 감지되는 주정차 차량 정보 및 전원부와 센서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시설 인근의 소정 범위 내로 일반 차량이 진입된 것을 확인하면 해당 차량의 정지 내지 소정 범위 내 위치 시간을 타이머로 측정하고, 일정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스피커와 발광부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주정차 차량의 차주에게 주정차 금지에 관한 안내 문자 및 해당 소방시설 인근의 다른 주정차 가능 지역 정보를 발송하며,
    상기 소방시설 인근으로 소방 차량이 진입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1 제어부의 동작 또는 소방대원의 단말기나 소방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및 센서부의 동작 상태를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배터리 소모 또는 센서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복수의 소방시설에 대해 관리하며, 주정차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차주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차주에게 주정차 관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원격의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주정차 금지 알림 시스템으로부터 일정한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주정차 차량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 또는 센서부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KR1020200137901A 2020-10-22 2020-10-22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KR2022005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01A KR20220053771A (ko) 2020-10-22 2020-10-22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901A KR20220053771A (ko) 2020-10-22 2020-10-22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771A true KR20220053771A (ko) 2022-05-02

Family

ID=8159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901A KR20220053771A (ko) 2020-10-22 2020-10-22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37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1325B (zh) 一种公路施工区安全联控系统及方法
KR101647990B1 (ko) 화재 진화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장대터널
KR101803806B1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US7075427B1 (en) Traffic warning system
CN109091786B (zh) 一种智能消防栓系统
CN103463789A (zh) 消防栓状态远程监控系统
RU2584852C2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для тягов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KR101849874B1 (ko) 헤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터널 진입 차단장치
CN110354432A (zh) 一种基于可靠数据分析控制平台的社区智能消防系统
KR102450767B1 (ko) 화재 발생 경보 기능을 포함하는 불법 주정차 모니터링 소화전 시스템
CN110538399A (zh) 消防自动检测控制系统
CN212229801U (zh) 一种用于占用应急生命通道及楼宇的报警系统
CN106345092A (zh) 智能化高层建筑消防监控系统
TWI647662B (zh) 行動控制單元,設施管理系統,行動單元控制系統,設施管理方法及行動單元控制方法
CN112002104A (zh) 一种高速公路护栏板的碰撞报警系统
KR101006698B1 (ko) Rfid를 이용한 장대터널 내 소방장치 및 방법
JP2011227548A (ja) 非常覚知設備
KR20220053771A (ko) 소방시설 주변의 주정차금지 안내 및 소방지원 시스템
KR102195411B1 (ko) 건축물 옥외 소방용수 시설 위치감시 및 경보장치
CN206214628U (zh) 一种基于无线传输的停车场火灾检测与报警系统
KR102429226B1 (ko) 스마트 보안등 점멸기를 이용한 안심귀가 시스템
EP0939718A1 (en) Railroad traffic war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0540356B1 (ko) 불법 주정차 단속용 표지장치
CN212302715U (zh) 一种高速公路护栏板的碰撞报警系统
CN217116250U (zh) 一种无人值守停车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