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649A - 지대치용 컴퓨터 모델 제조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대치용 컴퓨터 모델 제조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649A
KR20220053649A KR1020227010433A KR20227010433A KR20220053649A KR 20220053649 A KR20220053649 A KR 20220053649A KR 1020227010433 A KR1020227010433 A KR 1020227010433A KR 20227010433 A KR20227010433 A KR 20227010433A KR 20220053649 A KR20220053649 A KR 2022005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computer
dimensional
platform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오 케른
Original Assignee
이에이피® 프로덕션스- 운트 파텐트페르베르퉁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피® 프로덕션스- 운트 파텐트페르베르퉁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에이피® 프로덕션스- 운트 파텐트페르베르퉁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5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8Pins, needles; Head struct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3)를 통해 특정 환자를 위한 치아 임플란트(12)용 지대치(2)의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대치(2)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4), 연결 구조체(5), 관상 플랫폼 표면(6) 및 나사 채널(7)을 구비하되,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 컴퓨터(3)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환자 턱의 3차원 표현(10)을 제공하는 단계, - 환자의 개별 잇몸선을 따라 제조 마진의 정의를 선택하는 단계, -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제조 마진 위의 지대치(2)의 3차원 형상을 정의하는 단계, -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지대치(2)의 출현 윤곽(E)을 정의하는 단계, - 컴퓨터(3)에 의해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플랫폼 표면(6)의 판상 디자인은 플랫폼의 3차원 형상을 위한 제조 마진 아래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대치용 컴퓨터 모델 제조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또는 청구항 2의 분류 부분의 특징을 갖는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뿐만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전송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데이터 캐리어와 데이터 캐리어 신호 및 이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고/수행하거나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지대치(abutment)(때로는 "어태치먼트(attachment)"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라는 용어는 치과에서 핀 형상의 치아 임플란트와 보철 피팅(예컨대, 단일 치아 부품, 브리지 부품, 의치 등) 사이의 연결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보철 피팅에 대한 연결은 직접적으로 또는 메조구조체(mesostructure)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지대치는 EP 2 825 124 B1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문서에서 공개된 지대치에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관상 플랫폼 표면(coronally looking platform surface)의 메조구조체나 보철 피팅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관상 플랫폼 표면의 판형상 구성을 포함하는 플랫폼이 있다. 지대치의 후속 치료 가능성은 특정 환자에 대한 지대치의 개별화 가능성을 제공한다.
출현 윤곽(emergence profile)이라는 용어는, 치아 임플란트 치료에서, 치아 임플란트로부터 치은선(gingiva line)까지의 관상 확장 영역에서, 지대치가 배치될 치은의 3차원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환자의 턱 내의 치료 위치에서 특정 요인에 맞게 지대주를 적응시키기 위해 복잡하고 고가인 절차를 거쳐 치과 기공소에서 수동으로 후퇴시켜야 하는 조립식 표준 지대치 외에도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patient-individualized abutment)를 직접 생산하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3차원 컴퓨터 모듈을 통해 생성될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에 의해 수행된다. 3차원 컴퓨터 모델은 디지털화된 환자 턱의 아날로그 치아 임플란트를 기반으로 생성되거나 디지털 형태로 직접 제공된다(예컨대, 구강 스캐너 또는 실험실 스캐너를 사용함).
환자에 대해 개별화된 치은 구성은 지대치가 배치될 알고리즘 또는 시술자(예컨대, 치과 기공사 또는 치과의사)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개별 치은 구성에 의해 사전 결정된 제조 한계(preparation limit) 위에 있는 지대치의 3차원 형상은 시술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지대치의 3차원 형상의 정의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지대치를 핀 형상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고정하기 위해 지대치에서 연장되는 나사 통로의 위치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이 위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 지대치의 관상 플랫폼 표면의 폭을 정의한다.
- 지대치의 높이를 정의한다.
- 나사 통로가 있는 지대치의 중앙 융기 부분의 폭을 정의한다.
또한, 지대치의 출현 윤곽은 컴퓨터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출현 윤곽, 즉, 핀 형상의 치아 임플란트까지의 제조 한계 아래의 지대치의 외부 형상은 표준 형태로 사전에 미리 결정되었고, 출현 윤곽과 나사 통로 사이의 영역은 충진된 바디로 정의되어 컴퓨터 작업자가 여기에서 조작할 여지가 전혀 없었다. 결과적으로 조작자나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되거나 정의될 수 있는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너무 깊이 연장되는 제조 한계가 실제로 자주 채택되었다. 이는 지대치와 보철 피팅 사이의 소위 접착형 조인트가 치과용 임플란트 방향으로 변위되어 환자의 턱뼈가 치은과 턱뼈에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환자를 위한 의도된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의 3차원 컴퓨터 모델 및 컴퓨터 모델 또는 그에 따라 생산된 지대치가 환자의 치은과 턱뼈에 더 잘 호환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지대치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청구항 1 및/또는 청구항 2의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청구항 7의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이러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캐리어뿐만 아니라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전송하는 데이터 캐리어 신호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고/수행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목적은 청구항 8의 특징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청구항 9의 특징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청구항 10의 특징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캐리어, 청구항 11의 특징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 신호 및 청구항 12의 특징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는 본 발명이 적어도 지대치가 배치될 턱 영역 내의 환자의 턱의 이미 존재하는 3차원 표현에서 시작되므로 환자의 신체 외부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EP 2 825 124 B1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관상 플랫폼 표면의 판 형상 구성은 플랫폼의 3차원 기하학의 제조 한계 아래에 제공된다. 판 형상 구성에는 지대치와 보철 피팅 사이에 치아 임플란트로부터 유리하게 멀리 떨어져 있는 접착형 조인트가 포함된다. 지대치의 플랫폼의 재료 두께가 정의된 출현 윤곽, 즉, 제조 한계 아래에서 시작하는 것이 컴퓨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다는 것이 추가로 제공되므로, 컴퓨터 조작자는 자신의 조작 공간을 늘리기 위해 자체적으로 너무 깊게 연장되는 제조 한계를 더는 선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자로 하여금 제조 한계 아래에 지대치의 3차원 형상을 미리 디자인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유해한 구성을 피하고 컴퓨터에 의해 제공된 3차원 컴퓨터 모델에 따라 생성된 지대치의 경우에 지대치가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구성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대치의 3차원 형상이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영역 내에서만 제조 한계 아래에서 작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관상 플랫폼 표면의 판 형상 구성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관상 방향으로 만곡된 구성인 플랫폼의 하면(재료의 두께에 의해 관상 플랫폼 표면으로부터 변위된 플랫폼의 표면)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조작자가 정의된 출현 윤곽에서 시작하여 지대치의 플랫폼에 대한 재료 두께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즉, 관상 플랫폼 표면과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플랫폼 표면 사이의 정상 거리) 내에서 제조 한계 아래의 지대치의 3차원 형상이 조작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조 한계 아래의 지대치의 3차원 형상이 컴퓨터 조작자가 이하를 선택하는 범위까지 조작자에 의해 추가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 나사 통로 벽의 재료 두께(즉, 나사 통로를 정의하는 내벽과 나사 통로가 있는 지대치의 관상 연장 영역의 내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벽 사이의 정상 거리) 및/또는
- 지대치의 베이스의 재료 두께(즉, 연결 구조체에 대향하는 지대치 외부와 관상 플랫폼 표면 사이의 정상 거리), 및/또는
- 관상 플랫폼 표면과 지대치의 베이스 사이의 전환 및/또는 지대치의 베이스와 나사 통로의 벽 사이의 전환인 경우,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범위 내의 전환 반경.
지대치 플랫폼의 재료 두께 및/또는 나사 통로 벽의 재료 두께 및/또는 지대치의 베이스의 재료 두께에 대하여 일정한 재료 두께가 선호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러한 재료 두께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구배가 있을 수도 있다(가변 재료 두께). 구배는 하나 이상의 지지점을 사전 결정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재료 두께 또는 전환 반경의 가능한 선택에 대한 각각의 범위는 지대치에 사용될 재료(예컨대, 세라믹, 티타늄, 플라스틱 또는 하이브리드 재료) 및/또는 제조 한계 위의 지대치의 정의된 3차원 형상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해당 단계에서 방법을 실행하는 동안 컴퓨터가 자연스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전자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범위는 각각 경험치 및/또는 시뮬레이션 및/또는 측정 시리즈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재료 두께는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 지대치의 베이스의 두께는 약 0.05 mm 내지 약 4 mm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 플랫폼의 두께는 약 0.05 mm 내지 약 2 mm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 나사 통로의 벽의 두께는 약 0.05 mm 내지 약 3 mm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턱의 컴퓨터에 의해 제공된 판독 가능한 3차원 표현으로부터 시작되는 판 형상 구성의 관상 플랫폼 표면을 포함하는 지대치용 3차원 컴퓨터 모델을 직접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 시의 방법과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해당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제공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 먼저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의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은 종래의 방법 및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생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지대치 모델은 지대치의 나사 통로와 지대치의 출현 윤곽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재료로 채워진 것으로 표현되는 형태이다. 그런 다음 컴퓨터는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로부터 3차원 컴퓨터 모델을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환을 수행한다. 이 3차원 모델은 관상 플랫폼 표면의 판 형상 구성으로 플랫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제조 한계 아래에 제공되고 정의된 출현 윤곽에 기반하는 컴퓨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지대치의 플랫폼의 재료 두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것과 동일한 선택적 특징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말(예컨대, 세라믹, 티타늄, 플라스틱 또는 하이브리드 재료)이 에너지 작용에 의해 층별로 경화되는 적층 제조 방법(예컨대, 레이저 소결)은 개별화된 환자 지대치의 재료가 감소된 3차원 컴퓨터 모델 - 해당 모델은 앞선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됨 - 을 사용하는 치아 임플란트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의 제조를 위해 제안된다.
지대치의 제조를 위한 종래의 기계 가공이나 절단 방법과 비교하여 적층 제조 방법은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기계 가공이나 절단 방법은 종종 복잡한 재클램핑 작업을 해야 한다. 기계 가공이나 절단 후처리는 적층 제조 방법을 사용할 때에도 필요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나사 통로는 지대치의 연결 구조체의 중심 공칭축(central notional axis)에 대해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추가로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배열체의 두 가지 변형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방법의 결과를 이용한 지대치의 제조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될 지대치의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d와 같이 재료 두께의 치수를 측정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동안 변환될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의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양한 도면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될 지대치의 실시예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로부터 시작하여 변환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지대치의 컴퓨터 모델이 있는 환자의 턱이나 지대치가 없는 환자의 턱과 치은 마스크 및 크라운 형태의 보철 피팅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지대치에 대한 컴퓨터 판독 가능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1a는 컴퓨터(3)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12)를 위한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의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 지대치(2)(도 3a 내지 도 3d 참조)는,
- 베이스(4),
- 지대치(2)를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5)(도 7(b) 참조),
- 보철 피팅을 지지하기 위한 지대치(2)의 플랫폼의 관상 플랫폼 표면(6), 및
- 지대치(2)를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통로(7)
를 구비한다.
지대치(2)의 연결 구조체(5)의 중심 공칭축(Z)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절차에는 적어도 지대치(2)가 배치될 턱 영역에서 환자의 턱의 컴퓨터(3)에 의해 판독 가능한 3차원 표현(10)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3차원 표현은 알려진 방식, 즉, 디지털화된 환자 턱의 치과 임프린트에 기반하거나, (예컨대, 구강 스캐너 및/또는 실험실 스캐너를 사용하여) 디지털 형태로 직접 생성될 수 있다.
알려진 방식으로, 환자에 대한 특이적인 치은 구성에 따라 제조 한계의 정의를 선택하는 것은 지대치(2)가 배치될 위치에서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조 한계 위의 지대치(2)의 3차원 형상의 정의는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된다. 지대치(2)의 3차원 형상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지대치(2)를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에 고정하기 위해 지대치(2)에서 연장되는 나사 통로(7)의 위치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이 위치는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 지대치(2)의 관상 플랫폼 표면(6)의 폭을 정의한다.
- 지대치(2)의 높이를 정의한다.
- 나사 통로를 유지하는 지대치(2)의 중앙 융기 부분의 폭을 정의한다.
지대치의 출현 윤곽(E)의 정의는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제조 한계 아래에는 관상 플랫폼 표면(6)의 판 형상 구성이 제공된다.
컴퓨터(3)의 조작자는 전자 메모리(8)(도 4 및 도 6 참조)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영역 내에서 정의된 출현 윤곽(E)에 기초하여 다음을 선택한다.
- 지대치(2)의 플랫폼의 재료 두께 d1,
- 지대치(2)의 베이스의 재료 두께 d2 및/또는
- 나사 통로(7)의 벽의 재료 두께 d3 및/또는
- 관상 플랫폼 표면(6)과 지대치(2)의 베이스(4)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전환 반경 R1, 및
- 지대치(2)의 베이스와 나사 통로(7)의 벽 사이의 전환을 위한 전환 반경 R2
3차원 컴퓨터 모델(1)은 컴퓨터(3)에 의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사용하여 치아 임플란트(12)를 위한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를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층 제조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도 1b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 따라 먼저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의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이 턱의 제공된 3차원 표현, 출현 윤곽(E)의 정의 및 제조 한계 위의 지대치(2)의 3차원 형상에 따라 제조된다는 것만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고, 여기서,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은 지대치의 나사 통로(10)와 지대치(2)의 출현 윤곽(E)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재료로 채워진 것으로 표시되는 형태이다(도 5a 내지 도 5d 참조). 이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로부터 시작하면(그 자체로 기능적 지대치를 나타냄), 컴퓨터(3)는 플랫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제조 한계 아래에 관상 플랫폼 표면(6)의 판 형상 구성이 존재하고, 지대치(2)의 플랫폼의 재료 두께 d1 및 추가로 논의된 파라미터를 갖는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로부터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획득하기 위해 알고리즘(예를 들어, 알고리즘은 나사 통로의 각각의 경사에 따라 계산된 하중 피크에 따라 필요한 특정 재료 두께를 계산함)에 의해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재료 두께는 정의된 출현 윤곽(E)에 기초하여 컴퓨터(3)의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다. 도 6은 재료가 충진된 것으로 나타낸 영역(도트 영역(dotted region))을 변환 조작에서 제거할 수 있는 예시이다.
도 7(a)는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의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포함하는 입체 컴퓨터(3)에 의해 판독 가능한 환자 턱의 3차원 표현(10)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b)에서, 도 7(a)에 도시된 지대치(2)는 제거되어,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의 상부 영역을 볼 수 있게 한다. 지대치(2)는 연결 구조체(5)와 함께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의 상부 영역에 삽입된다. 도 7(c)는 치은 마스크를 도시한다(그러나, 도 7(a) 및 도 7(b)에는 제공되지 않음).
도 7(d)는 크라운 형태로 보철 피팅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대치(2)를 도시한다.
1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의 3차원 컴퓨터 모델
2 지대치
3 컴퓨터
4 지대치의 베이스
5 연결 구조체
6 관상 플랫폼 표면
7 나사 통로
8 전자 메모리
9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의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
10 환자의 턱의 3차원 표현
11 생산 설비
12 치아 임플란트
E 지대치의 출현 윤곽
Z 지대치의 연결 구조체의 중심 공칭축
d1 지대치의 플랫폼의 재료 두께
d2 지대치의 베이스의 재료 두께
d3 지대치의 나사 통로 벽의 재료 두께
R1 관상 플랫폼 표면과 지대치의 베이스 사이의 전환 반경
R2 지대치의 베이스와 나사 통로 벽 사이의 전환 반경

Claims (12)

  1. 컴퓨터(3)를 이용하여 치아 임플란트(12)를 위해 환자에게 특정한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의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대치(2)는, 적어도 베이스(4)와, 상기 지대치(2)와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체(5)와, 보철 피팅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대치(2)의 플랫폼의 관상 플랫폼 표면(coronally looking platform surface; 6), 및 상기 지대치(2)를 상기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통로(7)를 구비하여, 다음의 단계, 즉,
    - 적어도 상기 지대치(2)가 배치될 턱의 해당 영역 내에 상기 환자의 턱의 상기 컴퓨터(3)에 의해 판독 가능한 3차원 표현(10)을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지대치(2)가 배치될 상기 환자의 개별적인 치은 구성에 따라 제조 한계의 정의를 선택하는 단계와,
    - 상기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조 한계 위에 상기 지대치(2)의 3차원 형상을 정의하는 단계와,
    - 상기 컴퓨터(3)의 조작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지대치(2)의 출현 윤곽(E)을 정의하는 단계, 및
    - 상기 컴퓨터(3)에 의해 상기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상기 제조 한계 아래에는 상기 관상 플랫폼 표면(6)의 판 형상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지대치(2)의 상기 플랫폼의 재료 두께(d1)는, 전자 메모리(8)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정의된 출현 윤곽(E)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컴퓨터(3)의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컴퓨터(3)를 이용하여 치아 임플란트(12)를 위해 환자에게 특정한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의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은, 베이스(4)와, 상기 지대치(2)를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5)와, 보철 피팅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대치(2)의 플랫폼의 관상 플랫폼 표면(6), 및 상기 핀 형상 치아 임플란트(12)에 상기 지대치(2)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통로(7)를 구비하는 상기 지대치(2)를 나타내고, 다음의 단계, 즉,
    - 상기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의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은, 상기 지대치(2)의 상기 나사 통로(10)와 상기 지대치(2)의 상기 출현 윤곽(E)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재료로 충진된 것으로 표시되는 형태임 - 와,
    - 상기 플랫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제조 한계 아래에 상기 관상 플랫폼 표면(6)의 판 형상 구성이 제공되고, 전자 메모리(8)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정의된 출현 윤곽(E)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컴퓨터(3)의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지대치(2)의 상기 플랫폼의 재료 두께(d1)를 포함하여 상기 3차원 시작 컴퓨터 모델(9)로부터 상기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얻기 위해, 상기 컴퓨터(3)에 의해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통로(7)의 벽의 재료 두께(d3)는, 상기 컴퓨터(3)의 조작자에 의해 상기 전자 메모리(8)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영역 내에서 추가로 선택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2)의 상기 베이스(4)의 재료 두께(d2)는, 상기 컴퓨터(3)의 조작자에 의해 상기 전자 메모리(8)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전환 반경(R1, R2)은, 전자 메모리(8)에 저장된 사전 결정된 영역 내에서,
    - 상기 관상 플랫폼 표면(6)과 상기 지대치(2)의 상기 베이스(4) 사이의 전환, 및/또는
    - 상기 지대치(2)의 상기 베이스(4)와 상기 나사 통로(7)의 벽 사이의 전환
    을 위해 선택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두께(d1, d2, d3)의 가능한 선택 및/또는 전환 반경(R1, R2)에 대한 각각의 범위는, 상기 지대치(2)에 사용되는 재료 및/또는 상기 제조 한계 위에서 상기 지대치(2)의 상기 정의된 3차원 형상에 따라 각기 선택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명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3차원 컴퓨터 모델(1)을 이용하여 치아 임플란트(12)를 위한 환자 개개인에 맞는 지대치(2)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층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방법.
  8. 프로그램이 컴퓨터(4)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9. 프로그램이 컴퓨터(4)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0. 제 8 항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데이터 캐리어.
  11. 제 8 항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전송하는 데이터 캐리어 신호.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고/수행하거나 제 8 항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KR1020227010433A 2019-09-03 2020-09-02 지대치용 컴퓨터 모델 제조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 KR202200536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767/2019 2019-09-03
ATA50767/2019A AT522914A1 (de) 2019-09-03 2019-09-03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Computermodells für ein Abutment und eines Abutments
PCT/AT2020/060328 WO2021042149A1 (de) 2019-09-03 2020-09-0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computermodells für ein abutment und eines abut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649A true KR20220053649A (ko) 2022-04-29

Family

ID=7274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433A KR20220053649A (ko) 2019-09-03 2020-09-02 지대치용 컴퓨터 모델 제조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270253A1 (ko)
EP (1) EP4025157A1 (ko)
JP (1) JP7412567B2 (ko)
KR (1) KR20220053649A (ko)
CN (1) CN114555006A (ko)
AT (1) AT522914A1 (ko)
AU (1) AU2020341251B2 (ko)
BR (1) BR112022003855A2 (ko)
CA (1) CA3153182A1 (ko)
IL (1) IL290934A (ko)
WO (1) WO2021042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4903B (zh) * 2023-05-08 2023-07-25 广东中科安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愈合基台的参数化制造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5076B2 (ja) * 2003-12-11 2009-07-15 株式会社アドバンス 歯科補綴物製造用模型
JP5220626B2 (ja) * 2009-01-06 2013-06-26 株式会社ジーシー 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に対するキーパーの咬合面側の外周位置の三次元データ作成方法
DE102009003650A1 (de) * 2009-03-20 2010-09-30 Degudent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butments
US8712733B2 (en) * 2010-09-17 2014-04-29 Biocad Medical, Inc. Adjusting dental prostheses based on soft tissue
US9089382B2 (en) * 2012-01-23 2015-07-28 Biomet 3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patial gingival soft tissue relationship to implant placement within alveolar bone for immediate-implant placement
AT512281B1 (de) * 2012-03-14 2013-07-15 Kern Mario Dr Aufsatz für ein korrespondierendes stiftförmiges Zahnimplantat
GB201210120D0 (en) * 2012-05-10 2012-07-25 Renishaw Plc Laser sintered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6118661A1 (en) * 2015-01-22 2016-07-28 Simmons Earl Wayne Jr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ants and reconstruction
DE102016008669B4 (de) * 2016-07-20 2018-10-11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41251A1 (en) 2022-03-31
JP2022546751A (ja) 2022-11-07
WO2021042149A1 (de) 2021-03-11
CN114555006A (zh) 2022-05-27
US20220270253A1 (en) 2022-08-25
JP7412567B2 (ja) 2024-01-12
AU2020341251B2 (en) 2023-03-30
IL290934A (en) 2022-04-01
EP4025157A1 (de) 2022-07-13
BR112022003855A2 (pt) 2022-05-31
CA3153182A1 (en) 2021-03-11
AT522914A1 (de)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9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d producing dental prosthesis and appliances
US8480396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abricating a dental superstructure for attachment to an implant
KR100678362B1 (ko) 3차원 매핑 및 디지털화된 양성 모델로부터 치과용 보철을제작하는 방법
US9907630B2 (en) Method for producing dentures comprising shortening by machining of pre-fabricated tooth blanks
KR20070107105A (ko) 치아 보철기구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US20150320520A1 (en) Dental Implant Framework
CN103458820B (zh) 牙植入物桥基
KR20220053649A (ko) 지대치용 컴퓨터 모델 제조 방법 및 지대치 제조 방법
US202002536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dental restorations
JP4537389B2 (ja) 歯科補綴用のcadシステム
RU279659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ьютерной модели для абатмента и абатмент
RU2796598C9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ьютерной модели для абатмента и абатмент
JP2008049113A (ja) 歯科用補てつ物及び装具を設計及び製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294466A (zh) 多功能植牙柱
GB2504471A (en) Method for optimized dental component mi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