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736A -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736A
KR20220052736A KR1020200137018A KR20200137018A KR20220052736A KR 20220052736 A KR20220052736 A KR 20220052736A KR 1020200137018 A KR1020200137018 A KR 1020200137018A KR 20200137018 A KR20200137018 A KR 20200137018A KR 20220052736 A KR20220052736 A KR 2022005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rce
information
live
stor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13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736A/ko
Publication of KR2022005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버 및 방송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및 방송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커머스 정보가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방송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ERVER PROVIDING LIVE COMMERCE SERVICE, SYSTEM PROVIDING LIVE COMMERCE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TV를 이용한 라이브 커머스에서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점이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 서비스란, 웹, 애플리케이션 등의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으로 상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방송의 진행자는 매장이나 산지를 직접 찾아가서 고객을 대신하여 상품을 체험하고, 체험 영상을 촬영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한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촬영된 영상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스튜디오에서 정해진 시나리오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는 홈 쇼핑과는 달리,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에서는 주로 야외, 시장, 백화점 등에서 방송 진행자의 재량에 따라 자유롭게 촬영 및 상품 소개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진행자가 소개하는 상점이나 상품 정보를 정확하게 고객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V를 이용한 라이브 커머스에서 현재 방송되고 있는 상점이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커머스 정보가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방송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상점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상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점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품 인식 결과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복수의 상품 정보 중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오브젝트 인식 결과 및 텍스트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중복 횟수가 더 많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고 중복 횟수가 동일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모두가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상기 커머스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하고, 상기 커머스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커머스 정보의 세부 정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복수의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커머스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방송 출력 장치는, 이전 커머스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마이크 및 사람들의 얼굴을 검출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의 얼굴 및 상기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사람의 얼굴을 제외한 다른 사람의 얼굴을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커머스 정보가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상점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상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상점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품 인식 결과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복수의 상품 정보 중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커머스 정보가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 야외, 시장, 백화점 등에서 방송 진행자의 재량에 따라 자유롭게 촬영 및 상품 소개가 진행되는 라이브 커머스 환경에서, 진행자가 방문한 매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를 모두 이용하여, 그리고 다른 인식 수단 간에 중복 횟수를 고려하여 상품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때문에, 현재 소개되고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소개되는 상점 및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들을 미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보유하고,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을 현재 방문중인 상점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기 때문에 현재 소개되고 있는 상품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놓치고 지나간 방송이 있는 경우 이전 상점 정보나 이전 상품 정보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하는 구간의 VOD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상점 인식 결과 및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품 인식 결과 및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시간 구간을 분할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VOD나 재방송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인물에 대한 마스킹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방송 출력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용어 “서버(100)”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1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서버(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장치(미도시) 및 방송 출력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를 방송용 컨텐트로 변환하여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제어부(12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컨텐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서버의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단일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스트리밍 서버, 커머스 서버 및 VOD 저장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송 출력 장치(200)는 셋탑 박스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는 선국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출력 장치(200)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국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출력 장치(200)는 단일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영상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집합일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출력 장치(200)에 포함되는 영상 처리 장치는 선국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방송 출력 장치(2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될 수 있다.
방송 출력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메모리(230), 출력부(240) 및 입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방송 출력 장치(2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방송 출력 장치(2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처리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는 출력부(24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출력한다는 의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전송하는 것, 또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사운드를 출력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거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30)는 제어부(22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컨텐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방송 출력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50)는 터치 센서, 버튼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50)는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고, 리모콘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S210, S220, S230, S260의 수행 주체는 서버(100)이며, S240, S250, S270의 수행 주체는 방송 출력 장치(200)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S210),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 커머스 정보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커머스 정보를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S230),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S240), 이전 커머스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50),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전송하는 단계(S260),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S210)와 관련하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란, 방송의 진행자(예를 들어 인플루언서)가 시장, 쇼핑몰, 백화점, 매장, 산지 등을 찾아가서 고객을 대신하여 상품을 체험하는 장면들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된 컨텐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장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는 실 시간(real time)으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촬영 및 전송을 실 시간(real time)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실 시간(real time)으로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수신하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방송 컨텐트로써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과정을 실 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실 시간(real time)으로 서버(100)에 전송되고, 서버(100)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실 시간(real time)으로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경우,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는 생방송으로 진행되게 된다.
한편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 대신, 녹화된 상태에서 전송 및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일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획득된 상태에서, 단일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는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방송 컨텐트로써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촬영 장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복수의 프레임을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장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복수의 프레임에 복수의 프레임이 획득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커머스 정보는 상점 정보 및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20)는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 상품 인식 모듈(122) 및 상품 정보 추출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상점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점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S430) 및 상품 인식 결과 및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S410과 관련해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점 인식 결과 및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상점 인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고하면,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Faster R-CNN, YOLOv3 등의 오브젝트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에 포함되는 오브젝트(510)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점 점보 추출 모듈(121)은 상호를 표시하는 오브젝트(510), 예를 들어 간판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는 상호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상호를 표시하는 오브젝트 내 상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OC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 내 상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상품 인식 결과(영상에서 인식된 상호)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구체적으로 메모리(130)에는 상점 데이터베이스(310)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점 데이터베이스(310)는 라이브 커머스 방송 진행자가 방문할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브 커머스 방송 진행자는 촬영 전에 미리 자신이 방문할 상점을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점 데이터베이스(310)에는 포탈 서비스에 등록된 상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상점 인식 결과(영상에서 인식된 상호) 및 상점 데이터베이스(310)를 비교하여 해당하는 영상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에서 “바다 수산”이라는 상호가 인식되었고 상점 데이터베이스(310)에 “바다 수산”이라는 상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상점 데이터베이스(310) 내 “바다 수산”이라는 상호에 대응하는 상점 정보(상호명, ID, 취급하는 상품, 대표자 등)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상점 인식 결과(영상에서 인식된 상호)와 함께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영상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앞서 촬영 장치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촬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 경우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으로부터 상점 인식 결과가 획득되면,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상점 인식 결과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b를 참고하면, 메모리(130)에는 상점 데이터베이스(310)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점 데이터베이스(310)는 상점 정보 및 상점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점 정보 추출 모듈(121)은 상점 인식 결과 및 상점 인식 결과가 획득된 영상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상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상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로 야외, 시장, 백화점 등에서 방송 진행자의 재량에 따라 자유롭게 촬영 및 상품 소개가 진행되는 라이브 커머스 환경에서, 진행자가 방문한 매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획득된 상점 정보는, 새로운 상점 정보가 획득되기 전까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시작 후 1분이 되는 시점에 첫번째 상점 정보가 획득되고 방송 시작 후 5분이 되는 시점에 두번째 상점 정보가 획득된 경우, 방송 시작 후 1분부터 5분 까지의 구간에서는 첫번째 상점 정보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즉 방송 시작 후 2분이 되는 시점의 영상에는 상호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상점 정보의 획득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방송 시작 후 2분이 되는 시점의 상점 정보는 방송 시작 후 1분이 되는 시점에 획득된 상점 정보가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S430) 및 상품 인식 결과 및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50)와 관련하여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품 인식 모듈(122)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상품 인식 결과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인식 모듈(122)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오브젝트 인식 결과 및 텍스트 인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품 인식 모듈(122)은 Faster R-CNN, YOLOv3 등의 오브젝트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에 포함되는 오브젝트(611, 612)의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인식 모듈(122)은 영상 내 제1 오브젝트(611)가 파프리카이고 제2 오브젝트(612)가 킹크랩이라는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인식 모듈(122)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영상에 대여 OCR 등의 텍스트 인식을 수행하여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인식 모듈(122)은 가격표(613) 내 텍스트로 표시된 “킹크랩”이라는 카테고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먼저 상품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예를 들어 가격표, 라벨 등)를 먼저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 내 텍스트로 표시된 카테고리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품 인식 모듈(122)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인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인식 모듈(122)은 방송 진행자 또는 게스트의 음성을 인식하고 STT(Speech To Text)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품 인식 모듈(122)은 텍스트로부터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단어(614, 615)를 추출할 수 있다.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획득된 인식 결과(카테고리) 및 인식 결과의 획득 방법(오브젝트 인식, 텍스트 인식, 음성 인식)은 도 5b의 620에서 정리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상품 인식 모듈(122)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620을 참고하면, 카테고리 “킹크랩”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에 포함된다. 따라서 카테고리 “킹크랩”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된다.
다른 한편으로, 카테고리 “파프리카”는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만 포함된다. 따라서 카테고리 “파프리카”는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서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품 인식 모듈(122)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킹크랩” 카테고리(630)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를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카테고리가 모두 선택된 경우에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 정보 모두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품 인식 모듈(122)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중복 횟수가 더 많은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킹크랩”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에 포함되고, 카테고리 “파프리카”는 오브젝트 인식 결과 및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 카테고리 “킹크랩”이 다른 인식 방법 간에 중복되어 검출되는 횟수가 더 많다. 이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카테고리 “킹크랩”과 카테고리 “파프리카” 중 카테고리 “킹크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복수의 카테고리는 중복 횟수까지 동일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킹크랩”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고, 카테고리 “파프리카”는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카테고리 “킹크랩” 및 카테고리 “파프리카” 중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 “킹크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가 존재하며, 복수의 카테고리는 중복 횟수가 동일하고, 복수의 카테고리 모두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복수의 카테고리 중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킹크랩”은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고, 카테고리 “파프리카”는 오브젝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 상품 인식 모듈(122)은 카테고리 “킹크랩” 및 카테고리 “파프리카” 중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 “킹크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음성 인식 결과를 모두 이용하여, 그리고 다른 인식 수단 간에 중복 횟수를 고려하여 상품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때문에, 현재 소개되고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복 횟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노이즈가 가장 적은 순서대로, 즉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음성 인식 결과 순으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기 때문에, 현재 소개되고 있는 상품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5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도 존재하는 바, 이 방법을 먼저 소개한 후 다음으로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130)에는 상품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브 커머스 방송 진행자는 촬영 전에 미리 자신이 소개 또는 판매할 상품을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301번에서 방송하는 “OO 시장 탐방”이라는 50분짜리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상품 데이터베이스에는 OO 시장 탐방”이라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소개되는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 추출 모듈(123)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로부터 “킹크랩”이라는 카테고리가 인식되었고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킹크랩”이라는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경우, 상품 정보 추출 모듈(123)은 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복수의 상품 정보 중 “킹크랩”이라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상품명, 상품 ID, 가격, 무게, 개수, 이미지, URL, 등록일자, 유통 기한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품 인식 결과 및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방송 진행자가 복수의 상점을 방문하여 상품을 소개하는 경우, 해당하는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320)는 “싱싱 수산”이라는 상점에서 소개되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는 “똘똘 수산”이라는 상점에서 소개되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정보 추출 모듈(123)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추출 모듈(123)은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복수의 상품 정보 중 상품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로부터 “킹크랩” 카테고리가 획득되었고, “킹크랩” 카테고리가 획득된 구간에 대응하는 상점이 “싱싱 수산”인 경우, 상품 정보 추출 모듈(123)은 “킹크랩” 카테고리 및 “싱싱 수산”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킹크랩”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710)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소개되는 상점 및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들을 미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보유하고,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을 현재 방문중인 상점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기 때문에 현재 소개되고 있는 상품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시간 구간을 분할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점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획득된 상점 정보는, 새로운 상점 정보가 획득되기 전까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번째 프레임에 상점의 간판이 포함되어 n번째 프레임에서 싱싱 수산이라는 상품 정보가 획득되었고, n+20번째 프레임에 또 다른 상점의 간판이 포함되어 n+20번째 프레임에서 똘똘 수산이라는 상품 정보가 획득되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n번째 프레임에서 n+19번째 프레임까지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로써 싱싱 수산의 상점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n+20번째 프레임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로써 똘똘 수산의 상점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복수의 프레임을 복수의 시간 구간(a, b)로 분할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시간 구간(a, b)은 일정 시간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a)이 2초인 경우 제2 시간 구간(b) 역시 2초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a)에 10프레임이 포함되는 경우 제2 시간 구간(b)에도 역시 10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시간 구간(a, b)은 일부 구간이 중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은 n번째 프레임으로부터 n+6번째 프레임까지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시간 구간은 n+2번째 프레임부터 n+8번째 프레임까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은 복수의 시간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시간 구간(a)에서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음성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품 인식 결과(상품의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시간 구간(a)에서의 상품 인식 결과 및 제1 시간 구간(a)의 상점(싱싱 수산)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1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71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2 시간 구간(b)에서 오브젝트 인식 결과, 텍스트 인식 결과, 음성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품 인식 결과(상품의 카테고리)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2 시간 구간(b)에서의 상품 인식 결과 및 제2 시간 구간(b)의 상점(싱싱 수산)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2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2 시간 구간(b)의 다음 시간 구간인 제3 시간 구간에서, 제어부(120)는 제3 시간 구간에서의 상품 인식 결과 및 제3 시간 구간의 상점(똘똘 수산)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3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은 커머스 정보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커머스 정보를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S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커머스 정보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커머스 정보를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커머스 정보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된다는 의미는, 처리의 딜레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실 시간으로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로부터 커머스 정보를 실 시간으로 추출한 후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커머스 정보가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되는 것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되는 것에 비하여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딜레이가 발생하더라도 커머스 정보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딜레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해당하는 커머스 정보와 시간 동기화 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a)에 대응하는 커머스 정보가 싱싱 수산에 대한 상점 정보 및 카테고리 킹크랩에 대한 상품 정보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시간 구간(a)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방송되는 동안 싱싱 수산에 대한 상점 정보 및 카테고리 킹크랩에 대한 상품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제1 시간 구간(a)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해당하는 커머스 정보화 시간 동기화 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로부터 상점 정보는 획득되었으나 상품 정보는 획득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자가 상점에 도달했지만, 아직 상품 소개는 하지 않은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는 상품 정보의 전송 없이, 상점 정보만을 방송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출력 장치(200)는 상품 정보의 출력 없이 상점 정보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품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상점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상점 정보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모든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싱 수산에서 킹크랩, 파프리카, 낚지가 소개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싱싱 수산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로터 킹크랩의 상품 정보, 파프리카의 상품 정보, 낚지의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출력 장치(200)는 상점 정보를 출력하거나 해당하는 상점에서 소개되는 모든 상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S240)에 대하여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송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및 커머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커머스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레이어를 구성하고, 수신된 커머스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제2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제1 레이어를 출력하고, 제1 레이어 위에 제2 레이어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940), 상점 정보(910) 및 상품 정보(920)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커머스 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머스 정보의 미 출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20)는 제2 레이어의 출력 없이 제1 레이어만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커머스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커머스 정보의 미 출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20)는 제1 레이어를 출력하고 제1 레이어 위에 제2 레이어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커머스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레이어 상에 표시되는 커머스 정보는 상점명, 상품 명, 이미지, 가격 등 커머스 정보 내 일부 정보일 수 있으며, 커머스 정보의 세부 정보는 상점 위치, 대표자, 취급 물품, 원산지, 유통기한, 관련 싸이트의 URL 등 커머스 정보 내 나머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커머스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커머스 정보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복수의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상점 정보 및 상품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다시 참고하면,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시간 구간(a)에서의 커머스 정보(상점 정보 및 상품 정보), 제2 시간 구간(b)에서의 커머스 정보(상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해당하는 구간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커머스 정보가 저장된 경로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와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현재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커머스 정보 외, 이전에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된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커머스 정보(930)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제10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전송되는 중, 제어부(120)는 이전 커머스 정보,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a)에서의 커머스 정보(상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함께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전 커머스 정보(930)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제1 레이어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입력부(250)를 통하여 이전 커머스 정보(930)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구간(a)에 대응하는 커머스 정보는 싱싱 수산에 대한 상점 정보 및 킹크랩에 대한 상품 정보이며, 제2 시간 구간(b)에 대응하는 커머스 정보는 싱싱 수산에 대한 상점 정보 및 파프리카에 대한 상품 정보이다.
그리고 킹크랩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제1 시간 구간(a) 에 해당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싱싱 수산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제1 시간 구간(a) 및 제2 시간 구간(b)에 해당하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수신된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제1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놓치고 지나간 방송이 있는 경우 이전 상점 정보나 이전 상품 정보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하는 구간의 VOD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VOD나 재방송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커머스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커머스 정보의 일부(상점명, 상품명 등)와 나머지 커머스 정보가 저장된 경로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재방송되거나 VOD로써 방송되는 경우,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커머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인물에 대한 마스킹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라이브 커머스의 진행자는 상점의 대표나 점원 등을 인터뷰 할 수 있다. 다만 시장, 상점, 산지 등을 직접 찾아가서 방송하는 라이브 커머스의 특성 상, 촬영과는 관계 없는 사람들이 함께 촬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내 마이크(1120) 및 사람들의 얼굴(1110, 1130, 1140, 1150, 1160)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라이브 커머스의 진행자와 인터뷰 대상(상점의 대표, 점원 등)은 얼굴이 공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의 진행자와 인터뷰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등장하는 빈도수 및 등장 시간에 기초하여 라이브 커머스의 진행자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검출된 마이크(1120)와 가장 가까운 사람을 인터뷰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20)는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의 얼굴(1110) 및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사람의 얼굴(1130)을 제외한 다른 사람의 얼굴(1140, 1150, 1160)을 마스킹 처리하고, 마스킹 처리된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커머스 정보와 함께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선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내용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2의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촬영 장치(1500),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방송 출력 장치(200), 리모콘(1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트리밍 서버(1210), 커머스 서버(1220), VOD 저장 서버(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머스 서버(1220)는 촬영 장치(1500)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커머스 서버(1220)는 획득된 커머스 정보를 스트리밍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1210)는 촬영 장치(1500)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210)는 커머스 서버(1220)로부터 커머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리밍 서버(121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및 커머스 정보를 방송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21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및 커머스 정보를 VOD 저장 서버(12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출력 장치(200)는 영상 처리 장치(13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31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및 커머스 정보를 수신하고,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및 커머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3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320)는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및 커머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1400)에 이전 커머스 정보의 요청을 입력하면, 영상 처리 장치(1310)은 리모콘(1400)으로부터 이전 커머스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스트리밍 서버(1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리밍 서버(1210)는 VOD 저장 서버(1230)에 요청을 전송하고,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리밍 서버(1210)는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영상 처리 장치(1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1310)는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320)는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서버 200: 방송 출력 장치

Claims (19)

  1. 서버 및 방송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커머스 정보가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방송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상점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상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점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인식 결과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복수의 상품 정보 중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오브젝트 인식 결과 및 텍스트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중복 횟수가 더 많은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 인식 결과 중 둘 이상에 중복으로 포함되고 중복 횟수가 동일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모두가 상기 오브젝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출력 장치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상기 커머스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하고,
    상기 커머스 정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커머스 정보의 세부 정보 또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의 복수의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커머스 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방송 출력 장치는,
    이전 커머스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이전 커머스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의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방송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마이크 및 사람들의 얼굴을 검출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의 얼굴 및 상기 마이크와 가장 가까운 사람의 얼굴을 제외한 다른 사람의 얼굴을 마스킹 처리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 및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머스 정보가 획득된 시간 구간에서 상기 커머스 정보가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상기 커머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상점 인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상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와 함께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점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한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상점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가 촬영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상점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서 소개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인식 결과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에 대한 상품 인식 결과 및 ‘상기 라이브 커머스 컨텐트 내 상점에 대응하는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상점-상품 데이터베이스 내 복수의 상품 정보 중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37018A 2020-10-21 2020-10-21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2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18A KR20220052736A (ko) 2020-10-21 2020-10-21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18A KR20220052736A (ko) 2020-10-21 2020-10-21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36A true KR20220052736A (ko) 2022-04-28

Family

ID=8144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018A KR20220052736A (ko) 2020-10-21 2020-10-21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2524B (zh) 利用多匹配检测和基于位置的消歧的媒体频道识别
US20200065322A1 (en) Multimedia content tags
US95604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ta data of content
US8436911B2 (en) Tagging camera
US20230336837A1 (en) Detection of common media segments
US7730505B2 (en) Stream reproducing device
US20100158391A1 (en) Identification and transfer of a media object segment from one communications network to another
US20150170245A1 (en) Media content instance embedded product marketing
US95445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in media reproducing system
US10043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video summary
US20150256905A1 (en) Server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finger print thereof,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2924071C (en) Creating derivative advertisements
US20200218938A1 (en) Identifying an object within content
KR20160018881A (ko) 제품들을 식별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검색 사용
US20170142176A1 (en) Social media sharing based on video content
JP2006285654A (ja) 商品情報検索システム
JP5483543B2 (ja) 視聴者識別に基づく映像配信サービス実現装置、映像配信サービス実現方法、映像配信サービス実現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5070304A (ja) 視聴番組同定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124472A1 (en)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to a Second Screen Device via a Unidirectional Media Distribution System
KR20190081367A (ko) 동영상 인식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2736A (ko)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서버,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1330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udio feeds to corresponding video feeds
US10650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ound beams associated with visual elements
US20220222739A1 (en) Method for creating ec-integrated metamedia,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US201800122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media and providing supplemental media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