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737A -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737A
KR20220051737A KR1020200135496A KR20200135496A KR20220051737A KR 20220051737 A KR20220051737 A KR 20220051737A KR 1020200135496 A KR1020200135496 A KR 1020200135496A KR 20200135496 A KR20200135496 A KR 20200135496A KR 20220051737 A KR20220051737 A KR 20220051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
individual
personal
food
specific 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301B1 (ko
Inventor
신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쿡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쿡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쿡플레이
Priority to KR102020013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3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식단 관리 시스템은,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기 위한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 취득된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의 식품 영양 성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도록 보완 및 가공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을 제작하는 식단 제작부 및 각각의 개인 및 각 개인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일정에 맞는 개별적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SYSTEM OF MANAGEMENT OF PERSONAL DIET MENU}
본 발명은 개인별 식단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임산부 등 특정 관리 목적의 그룹에 해당하는 각 개인들의 식단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서구적인 식습관으로 인해,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 환자와 비만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풍부한 음식이나 영양제의 섭취를 통해 건강을 관리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학교, 회사의 급식과 같이 전문 영양사에 의한 균형 잡힌 식단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에,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춰 식단 관리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를 위해, 한국 실용신안공개 20-2018-0000918호(빅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식단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주문 시스템)에서는 빅 데이터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맞춤형 식단관리 서비스를 제시하였고, 스마트폰 또는 웹 사이트 등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한 고객들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식단을 고객들에게 맞춤형으로 제안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2130772호 (딥러닝을 이용한 음성인식 및 식단관리 시스템)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웹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식단관리와 체질량지수(BMI) 계산, 음식 사진 촬영과 게시판을 통한 다이어트 정보공유를 통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표준화된 식단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임산부와 특정 질병 환자 등에 대한 맞춤형 개인 식단을 제공하거나, 개인 건강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화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616호(2017.11.10 등록, 발명의 명칭 : 레시피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OF PROVIDING RECIPE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2. 한국 등록특허 10-2130772호 (딥러닝을 이용한 음성인식 및 식단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화된 식단이 아닌 임산부나 암환자 등 소정의 특정 목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그룹들 각각에 맞는 맞춤형 개인 식단을 제공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형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특정 목적에 맞는 식품 영양 데이터베이스를 커스터마이징 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개인 식단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는 그룹들의 각 개인들의 이전 식단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제공해야 할 식단을 AI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된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기 위한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 취득된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의 식품 영양 성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영양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도록 보완 및 가공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 상기 커스터마이징 된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을 제작하는 식단 제작부; 및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해당하는 각각의 개인 및 상기 각 개인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일정에 맞는 개별적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식단 제작부에서 제작한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으로부터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에 필요한 영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각 개인에 필요한 영양 정보에 맞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고, 상기 개인에 맞는 식단으로 추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특정 목적 식단으로부터 각 음식 별 칼로리, 식재료별 칼로리, 식품 별 칼로리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에 필요한 칼로리에 맞는 추천 식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 별로, 이전에 제공된 식단을 바탕으로 개인별 제공 식단, 개인별 제공 칼로리, 개인별 제공 영양소를 기록하는, 개인별로 기존에 제공되었던 식단을 제공 식사 내용 별로 기록한 개인별 식사 기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특정 목적이 대상이 되는 그룹별로 특정 그룹별 추천 식단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상기 특정 그룹의 각 개인 별로, 개인별 PHR(personal health record)를 입력 받아, 입력된 PHR를 바탕으로 주 요리, 국, 반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단을 수정하는 프로세스, 상기 입력된 PHR을 바탕으로 개별 식단을 삭제 및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PHR 기반 식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PHR 기반 식단을 이용하여, 상기 PHR 식단 분석 프로세스, 및 식단 정보 제공 및 신규 식단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PHR 식단을 분석하고 추후 식단 정보를 위해 새로 제공되도록 생성된 식단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사람 성별, 몸무게 등에 따라 표준화된 식단이 아니라, 임산부나 암환자 등 소정의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그룹들에 맞는 식단을 커스터마이징 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별 건강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는 그룹의 각 개인들에 맞춤형 개인 식단을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한 후, 각 개인에 맞게 개인 식단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는 그룹들의 각 개인들의 이전 식단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제공해야 할 식단을 AI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을 통한 개인 식단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별 식사 기록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단을 추천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에서 기존 제공 식단을 분석하고 새로운 식단을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100)은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101),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102), 식단 제작부(103) 및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를 포함한다.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101)는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된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는 정부 기관, 관공서, 각종 연구기관 및 대학에서 각종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을 정리한 공공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101)는 이러한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취득하여 기본적인 식품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102)는 취득된 공공 식품 영양 데이터베이스의 식품 영양 성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영상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도록 보완 및 가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102)는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102)는 임산부에 대한 식단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공 식품 영양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임산부의 임신 및 출산 주기에 맞는 식품 영양 데이터베이스로 커스터마이징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산부인과 관련 의료진이나 영양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임산부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을 바탕으로 각 식품의 칼로리 및 영양 성분을 수정 및 보완하여 임산부에 맞는 식품 영양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식단 제작부(103)는 커스터마이징 된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을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임산부 또는 특정 질병의 환자들에 맞는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들에게 맞는 식단을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해당하는 각각의 개인 및 상기 각 개인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일정에 맞는 개별적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식단 제작부(103)에서 생성된 식단을 이용하여, 특정 개개인 별로, 그리고 각 개인에 따라 날짜 별로 필요한 영양 성분과 칼로리를 보충할 수 있는 개인 식단을 작성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라는 특정 임산부의 경우 10번째 주에 필요한 영양 성분에 따라 A에게 맞는 영양 정보에 맞는 식단을 추천하여 A의 날짜 별 개인 식단을 제작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을 통한 개인 식단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제공 방법은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 단계(S01),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 단계(S02), 다양한 특정 목적 식단 제작 단계(S03) 및 특정 목적 대상이 되는 각 개인에 맞는 개인 식단 추천 단계(S04)를 포함한다.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 단계(S01 단계)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100)의 공공 식품 데이터 베이스 취득부(101)에서 수행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된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 단계(S02 단계)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102)에서, 취득된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의 식품 영양 성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영양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도록 보완 및 가공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제작한다.
다양한 특정 목적 식단 제작 단계(S03 단계)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100)의 식단 제작부(103)에서 커스터마이징 된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을 제작한다.
개인 식단 추천 제작 단계(S04 단계)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1000의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에서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해당하는 각각의 개인 및 상기 각 개인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일정에 맞는 개별적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개인 식단을 추천한다.
한편,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식단 제작부에서 제작한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으로부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에 필요한 영양 정보를 바탕으로 각 개인에 필요한 영양 정보에 맞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고 개인에 맞는 식단으로 추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목적 식단으로부터 각 음식 별 칼로리, 식재료별 칼로리, 식품 별 칼로리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에 필요한 칼로리에 맞는 추천 식단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별 식사 기록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단을 추천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개인의 2020년 4월 01일자 아침 식단으로 야채 죽, 우엉 잡채, 쇠고기 달걀 장조림, 나박 김치가 제공되는 것으로 개인 식단을 추천하였고, 이에 따라 2020년 4월 01자 아침식단으로 특정 개인에게 제공되었다. 이때, 야채 죽은 200g에 300kcal 이 제공되었고, 우엉 잡채는 80g에 40 kal 가 제공되었고, 쇠고기 달걀 장조림은 100g에 150kcal이 제공되었으며, 나박 김치는 60g에 50kcal 이 제공되는 것으로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개인별 식사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개인별 식사 기록부는,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 별로, 이전에 제공된 식단을 바탕으로 개인별 제공 식단, 개인별 제공 칼로리, 개인별 제공 영양소를 기록하는, 개인별로 기존에 제공되었던 식단을 제공 식사 내용 별로 기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에서 기존 제공 식단을 분석하고 새로운 식단을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상기 특정 목적이 대상이 되는 그룹별로 특정 그룹별 추천 식단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상기 특정 그룹의 각 개인 별로, 개인별 PHR(personal health record)를 입력 받아, 입력된 PHR를 바탕으로 주 요리, 국, 반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단을 수정하는 프로세스, 상기 입력된 PHR을 바탕으로 개별 식단을 삭제 및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PHR 기반 식단을 제공한다.
이때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104)는 상기 PHR 기반 식단을 이용하여, 상기 PHR 식단 분석 프로세스, 및 식단 정보 제공 및 신규 식단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PHR 식단을 분석하고 추후 식단 정보를 위해 새로 제공되도록 생성된 식단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사람 성별, 몸무게 등에 따라 표준화된 식단이 아니라, 임산부나 암환자 등 소정의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그룹들에 맞는 식단을 커스터마이징 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별 건강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는 그룹의 각 개인들에 맞춤형 개인 식단을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한 후, 각 개인에 맞게 개인 식단을 관리할 수 있고, 특정 목적으로 관리되는 그룹들의 각 개인들의 이전 식단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제공해야 할 식단을 AI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101 :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
102 :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
103 : 식단 제작부
104 :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

Claims (6)

  1.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된 식품에 대한 영양 성분에 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기 위한 공공 식품 데이터베이스 취득부;
    취득된 공공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의 식품 영양 성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영양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도록 보완 및 가공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추가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커스터마이징부;
    상기 커스터마이징 된 식품 영양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특정 목적에 맞는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을 제작하는 식단 제작부; 및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에 해당하는 각각의 개인 및 상기 각 개인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일정에 맞는 개별적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개인 식단을 추천하는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식단 제작부에서 제작한 다수의 특정 목적 식단으로부터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에 필요한 영양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각 개인에 필요한 영양 정보에 맞는 추천 식단을 검색하고, 상기 개인에 맞는 식단으로 추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특정 목적 식단으로부터 각 음식 별 칼로리, 식재료별 칼로리, 식품 별 칼로리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에 필요한 칼로리에 맞는 추천 식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그룹의 각 개인 별로, 이전에 제공된 식단을 바탕으로 개인별 제공 식단, 개인별 제공 칼로리, 개인별 제공 영양소를 기록하는, 개인별로 기존에 제공되었던 식단을 제공 식사 내용 별로 기록한 개인별 식사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특정 목적이 대상이 되는 그룹별로 특정 그룹별 추천 식단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상기 특정 목적의 대상이 되는 상기 특정 그룹의 각 개인 별로, 개인별 PHR(personal health record)를 입력 받아, 입력된 PHR를 바탕으로 주 요리, 국, 반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단을 수정하는 프로세스, 상기 입력된 PHR을 바탕으로 개별 식단을 삭제 및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PHR 기반 식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식단 추천 제작부는,
    상기 PHR 기반 식단을 이용하여, 상기 PHR 식단 분석 프로세스, 및 식단 정보 제공 및 신규 식단 제안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PHR 식단을 분석하고 추후 식단 정보를 위해 새로 제공되도록 생성된 식단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KR1020200135496A 2020-10-19 2020-10-19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KR10253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96A KR102533301B1 (ko) 2020-10-19 2020-10-19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96A KR102533301B1 (ko) 2020-10-19 2020-10-19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37A true KR20220051737A (ko) 2022-04-26
KR102533301B1 KR102533301B1 (ko) 2023-05-23

Family

ID=8139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96A KR102533301B1 (ko) 2020-10-19 2020-10-19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3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218A (ko) * 2008-02-20 2009-08-25 조영남 식단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92905A (ko) * 2016-03-21 2018-08-20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0772B1 (ko) 2018-01-29 2020-07-06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음식인식 및 식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218A (ko) * 2008-02-20 2009-08-25 조영남 식단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92905A (ko) * 2016-03-21 2018-08-20 하나텍플러스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0772B1 (ko) 2018-01-29 2020-07-06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음식인식 및 식단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대한민국 특허 제10-1798616호(2017.11.10 등록, 발명의 명칭 : 레시피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OF PROVIDING RECIPE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301B1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n et al. Food recommendation: Framework, existing solutions, and challenges
Akresh Dietary assimilation and health among Hispanic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Hardin et al. Body size, body norms and some unintended consequences of obesity intervention in the Pacific islands
CN109346153A (zh) 一种数字化就餐系统和方法
Nag et al. Live personalized nutrition recommendation engine
Soden et al. Modifying diets to satisfy nutritional requirements using linear programming
Holzmann et al. Nutrition apps: Quality and limitations
Contois Guilt-free and sinfully delicious: A contemporary theology of weight loss dieting
Sathiaraj et al. Patient-centered foodservice model improves body weight, nutritional intak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patients undergoing cancer treatment
KR20160063499A (ko) 개인형질 맞춤형 식이성분 정보 제공을 위한 식품평가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2478A1 (en) Diet quality fingerprinting
CN109461490A (zh) 健康饮食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2652378B (zh) 饮食推荐方法及装置
Dennis et al. Ways of Grieving Among Ojibwe Elders: “They’re All Around Us. They’re Always.”
KR102533301B1 (ko) 개인 식단 관리 시스템
Owusu-Addo Midwive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ealth promotion practice in Ghana
CN111128342A (zh) 一种人工智能推荐菜品搭配平台及菜品搭配定制方法
Huynh et al. A novel approach for determining meal plan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hmed et al. Apps and online platforms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ong et al. NutriSonic web expert system for meal management and nutrition counseling with nutrient time-series analysis, e-food exchange and easy data transition
CN113569140A (zh) 信息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84037A (zh) 一种针对慢性病的营养数据分析指导方法
McLennan The rise of nutritionism and decline of nutritional health in Nauru
CN110689944A (zh) 一种饮食打卡系统对用户健康饮食与康复的智能指导方法
Van Esterik Women and nurture in industrial socie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