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067A -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 Google Patents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067A
KR20220051067A KR1020200134364A KR20200134364A KR20220051067A KR 20220051067 A KR20220051067 A KR 20220051067A KR 1020200134364 A KR1020200134364 A KR 1020200134364A KR 20200134364 A KR20200134364 A KR 20200134364A KR 20220051067 A KR20220051067 A KR 2022005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plunger
connecting pin
slid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1300B1 (en
Inventor
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아이윈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윈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이윈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3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00B1/en
Priority to PCT/KR2021/014333 priority patent/WO2022080931A1/en
Publication of KR2022005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0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pin comprises: a first plunger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member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 second plunger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member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a coil spring support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o provide elastic force thereto. The first plunger includes a 1-1 sliding plate and a 1-2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plunger includes a 2-1 sliding plate and a 2-2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Description

대용량 전류 전송이 가능한 연결핀{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본 발명은 양단사이의 탄성적 완충과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대용량의 전류 전송을 가능케 하는 연결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pin that enables elastic buffer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oth end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pin that enables large-capacity current transmission.

종래 포고핀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외통속에 내장되며 전기적 경로는 외통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데, 근래 이러한 외통을 없애고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전기적 경로를 구성하는 연결핀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핀에서는 상부 플런저의 하단과 하부 플런저의 상단이 코일스프링의 내부 공간에서 상호 접촉한 상태로 상대적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상부 플런저 및 하부 플런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 경로가 형성된다.In the conventional pogo pin, the coil spring is built into the outer cylinder and the electrical path is formed via the outer cylinder. Recently, a connection pin that eliminates the outer cylinder and penetrates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to configure the electrical path is known. In this connection pin, relative sliding is possible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unge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ung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and an electrical path is formed through direct contact between the upper plunger and the lower plunger.

그런데, 이와 같은 연결핀을 이용하여 대용량 전류의 신호 또는 전원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플런저 사이의 접촉 저항 등이 작아야 하는데, 종래 연결핀의 구조로는 접촉 저항등을 낮추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transmit a large-capacity current signal or power supply using such a connection pin,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plungers must be small.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lower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conventional connection pin structure.

이상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oblem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have been described abov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and problems is not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전기적 경로를 구성하는 연결핀이되 접촉 저항이 낮은 연결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pin having a low contact resistance as a connection pin constituting an electrical path through the inner space of a coil spring.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전기적 경로를 구성하는 연결핀이되 대용량의 전류 전송이 가능한 연결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pin capable of transmitting a large-capacity current as a connection pin constituting an electrical path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금속 판형재에 대한 절단 및 절곡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1 플런저; 금속 판형재에 대한 절단 및 절곡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2 플런저; 상기 제 1 플런저 및 상기 제 2 플런저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런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플런저는 서로 마주보는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unger formed through cutting and bending with respect to a metal plate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 second plunger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the metal plate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a coil spring support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o apply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first plunger includes a 1-1 sliding plate and a 1-2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plunger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2-1 sliding plate and a 2-2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호 접촉되고,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nection pin, the 2-2 sliding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1-1 sliding plate and the 1-2 sliding plat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2-2 sliding plate The 1-1 sliding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sliding plates to perform relative sliding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 사이의 접촉을 위하여 이용되는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접촉면은 금속판형재의 절단면이 아니라 금속판형재의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nection pin, the 1-1 sliding plate, the 1-2 sliding plate,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used for contact betwee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2 The contact surface of the slid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riginates from the plane of the metal plate shape, not the cut surface of the metal plate shape.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한쪽 평면과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양쪽 평면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nection pin, when the second plunger is viewed as a reference,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one plane of the 2-1 sliding plate and both planes of the 2-2 sliding plate.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는, 제 1 몸통부를 개재하여 상기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몸통부에서의 절곡을 통하여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플런저는, 제 2 몸통부를 개재하여 상기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통부에서의 절곡을 통하여 상기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in, the first plung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1-1 sliding plate and the 1-2 sliding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body part, and the first plunger is bent through the first body part. -1 so that the sliding plate and the 1-2 sliding plate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plunger is connected to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2-2 sliding plate with a second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By bending the second body part, the 2-1 th sliding plate and the 2-2 th sliding plate are made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금속 판형재에 대한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1 플런저; 금속 판형재에 대한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2 플런저; 상기 제 1 플런저 및 상기 제 2 플런저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런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몸통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몸통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몸통부에서의 절곡을 통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unger formed through processing on a metal plate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 second plunger formed through processing on a metal plate and composed of a single body; and a coil spring support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o apply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first plunger includes a first sliding plate and a second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a body portion, and at least the body portio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connect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face each other through bending at the body.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경사부의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경사부의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nection pin, a first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sliding plate, and i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t has a second incline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전,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necting pin, before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between the free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gap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된 후,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서 양쪽의 절곡 각도가 선정된다.In the connecting pin, after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parallel to each other. Both bending angles are selected 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ㄷ'자의 상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상기 'ㄷ'자의 하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in, the body portion is bent to have a 'C' shape in its cross section, the first slid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 shap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the '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uler.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를 조립하기전 'ㄷ'자의 입구간격이 내측간격 보다 더 좁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전, 폭방향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간격은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간격 보다 좁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in, the body portion is bent so that its cross section becomes a 'C' shape, before assembl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so that the 'C'-shaped inlet gap is narrower than the inner gap. , before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at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narrowed.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반대쪽에서 상기 몸통부에 연결되는 접촉부가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PCB의 패드에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뾰족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nection pin, the first plung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 contacting the pad of the PCB and has a pointed ti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는 상기 몸통부의 일측방 또는 양측방에 연결되는 날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날개부는 절곡되어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의 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in, the first plunger has a w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are bent to have a cylindrical or quadrangular tubular column shape.

상기한 연결핀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 좌우 비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nection pi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configured to be located asymmetr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3중의 면접촉을 통하여 전류 및 신호의 전송 및 전달이 되므로 접촉 저항 등을 저감하고 전류 및 신호의 안정적이고 대규모 전송 및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3중 전송 및 전달을 위하여 제 1 플런저 또는 제 2 플런저를 구성할 때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거나 결합시키는 방식과 비교하여 제조 과정에서 부품 핸들링이 매우 쉬운 장점이 있다.The connection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ntact resistance and the like and enabling stable and large-scale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of currents and signals because current and signals are transmitted and transmitted through triple surface contact. In addition, when configuring the first plunger or the second plunger for such triple transmission and deliver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arts hand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easy compared to a method of combining or combining a plurality of parts.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타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접촉함에 있어서 길이방향(X방향)에서의 압입 효과와 함께 폭방향(Y방향)에서의 압입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plate of a plunger contacts the sliding plate of another plunger, the press-in effect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ress-in eff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There are advantages to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폭방향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서 좌우 비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피 공간을 가질 수 있어서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 사이의 슬라이딩 작동을 원활히 하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의 탄성적 접촉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측면과 코일 스프링 사이의 접촉이 항시 안정적으로 가능하여 코일 스프링을 플런저에 접지(전기적 접속)시킴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기생 소자 효과를 방지하거나 저감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positioned asymmetr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rst plunger may have an escape space. It has the effect of ensuring elastic contact between the sliding plate while smoothing the sliding operation between the and the second plunger, and in addition, the contact between the 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the coil spring is always st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so that the coil spring by groun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plunger to prevent or reduce the parasitic effect of the coil spr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플런저와 플런저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을 위한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반대쪽에 뽀족한 접촉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산화막 및 오염물을 뚫고 PCB의 패드 등에 높은 압력으로 파고들 수 있어서 통전 불량의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ointed contact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at the same time as forming a sliding plate of two lobes for sliding contact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lunger, so that the oxide film and contaminants are penetrated and It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energization failure because it can penetrate the pads of the PCB with high pressur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결핀은,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연결된 경사부 및 절곡을 이용함으로써 플런저 사이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탄성적 접촉을 가지면서 pinched sliding이 구현되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lungers by using an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ing plate and bending, and pinched sliding is implemented while having elastic contact to minimize contact resistance and to be stab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the characteristic.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분해도이고 도 1(b)는 조립된 후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제 1 플런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며 도 2(b)는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c)는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제 2 플런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며 도 3(b)는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3(c)는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제 1 플런저의 절곡하기전 전개도이고 도 4(b)는 제 1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c)는 제 1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4(d)는 제 2 플런저의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고 도 4(e)는 제 2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f)는 제 2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제 1 플런저의 절곡하기전 전개도이고 도 5(b)는 제 1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c)는 제 1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5(d)는 제 2 플런저의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고 도 5(e)는 제 2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f)는 제 2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제 1 플런저의 절곡하기전 전개도이고 도 6(b)는 제 1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c)는 제 1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6(d)는 제 2 플런저의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고 도 6(e)는 제 2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f)는 제 2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분해도이고 도 7(b)는 조립된 후의 도면이다.
도 8은 경사부 및 절곡이 없는 경우, 삽입 전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간략도면이다.
도 9는 경사부 및 절곡이 있는 경우, 삽입 전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간략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핀이 가지는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제 1 플런저의 몸통부 이하와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에서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n exploded view, and Fig. 1 (b) is a view after assembly.
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plunger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Figure 2 (b) is a side view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ure 2 (c) is It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Figure 3 shows a second plunger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Figure 3 (b) is a side view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ure 3 (c) is It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Figure 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development view before bending the first plunger, Figure 4 (b) is a view of the first plunger from one direction; 4 (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4 (d) is a developed view of the second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4 (e)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as viewed from one direction. 4(f)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ure 5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development view before bending the first plunger, Figure 5 (b) is the first plunger in one direction This is a side view, FIG. 5(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5(d) is a developed view of the second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5(e)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 5(f)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the first plunger, and FIG. 6 (b) is the first plunger in one direction. 6 (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lunger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6 (d) is a developed view of the second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6 (e)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one direction and FIG. 6(f)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n exploded view, Figure 7 (b) is a view after assembly.
8 is a schematic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before and after insertion when there is no inclined portion and no bending.
9 is a schematic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before and after insertion when there is an inclined portion and a bent por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s of the connecting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shows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below the body of the first plunger, and FIG. 10 (b) is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B cross-section in 10(a).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분해도이고 도 1(b)는 조립된 후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제 1 플런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며 도 2(b)는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c)는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제 2 플런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며 도 3(b)는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3(c)는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a) is an exploded view, and FIG. 1 (b) is a view after assembly. Figure 2 shows a first plunger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Figure 2 (b) is a side view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ure 2 (c) is It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Figure 3 shows a second plunger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Figure 3 (b) is a side view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ure 3 (c) is It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은 제 1 플런저(10), 제 2 플런저(20) 및 코일 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핀은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소켓, 장착 소켓 등에 어레이로 내장되어 반도체 소자의 단자와 PCB의 패드 사이에서 미세한 높이차이를 완충하면서 전기적 경로를 안정적으로 형성한다.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plunger 10 , a second plunger 20 and a coil spring 3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pins are embedded in an array in a test socket or a mounting socket of a semiconductor device to form an electrical path stably while buffering a minute height difference between a terminal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pad of a PCB.

제 1 플런저(10)는 금속 판형재에 대한 절단, 절곡, 코이닝 등을 포함하는 가공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며, 제 1 플런저(10)의 각 구성요소는 금속 판형재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제 1 플런저(10)는 단일체로 구성된다. 즉 제 1 플런저(10)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하나의 몸체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first plunger 10 is formed through a machining process including cutting, bending, coining, etc. for a metal plate, and each component of the first plunger 10 is derived from a metal plate, and the first The plunger 10 is constructed as a single body. That is,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plunger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one body.

제 2 플런저(20)도 제 1 플런저(10)와 유사하게, 금속 판형재에 대한 절단, 절곡, 코이닝 등을 포함하는 가공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며, 제 2 플런저(20)의 각 구성요소은 금속 판형재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제 2 플런저(20)는 단일체로 구성된다. 즉 제 2 플런저(20)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하나의 몸체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Similarly to the first plunger 10, the second plunger 20 is also formed through a machining process including cutting, bending, coining, etc. for a metal plate, and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plunger 20 is made of metal. As derived from the plate material, the second plunger 20 is constructed as a single body. That is,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econd plunge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one body.

코일 스프링(30)은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데,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의 양단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축에 대하여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는 코일 스프링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서로 접촉하는 데,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 사이의 일정거리내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면서 견고한 접촉을 보장한다. The coil spring 30 provides elastic force b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plungers, and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external compression applied to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lungers.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and a firm contact is ensured while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플런저는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 및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로 구성되는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몸통부(13), 제 1 경사부(16), 제 2 경사부(17), 걸개부(18a,18b), 스토퍼(19a, 19b), 날개부(14a,14b), 및 접촉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플런저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와 같이 구분하였으나 모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서로의 경계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plunger includes a two-lobed sliding plate composed of a 1-1 sliding plate 11 and a 1-2 sliding plate 12, a body 13, a first inclined portion 16, and a second inclined pl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rtion 17 , hook portions 18a and 18b , stoppers 19a and 19b , wing portions 14a and 14b , and a contact portion 15 .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plunger are divided as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since they are all integrally configured, boundaries or divisions between each other may not be clear.

제 2 플런저는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로 구성되는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몸통부(23), 제 1 경사부(26), 제 2 경사부(27), 걸개부(28a,28b), 스토퍼(29a, 29b), 날개부(24a,24b), 및 접촉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플런저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와 같이 구분하였으나 모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서로의 경계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plunger includes a two-lobed sliding plate composed of a 2-1 sliding plate 21 and a 2-2 sliding plate 22, a body 23, a first slope 26, and a second slo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rtion 27 , hook portions 28a and 28b , stoppers 29a and 29b , wing portions 24a and 24b , and a contact portion 25 . Elements constituting the second plunger are divided as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since they are all integrally configured, the boundary or division between each other may not be clear.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것으로서, 각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금속 판형재로부터 유래하는 대략 바 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 사이에 제 2 플런저의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가 삽입되어 상호 접촉되며,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다.The 1-1 sliding plate 11 and the 1-2 sliding plate 12 face each other with a slight gap, and each sliding plate is a substantially bar-shaped plate derived from a metal plate. The 2-2 sliding plate 22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1-1 sliding plate 11 and the 1-2 sliding plate 12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lative sliding is possible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와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것으로서, 각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금속 판형재로부터 유래하는 대략 바 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와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 사이에 제 1 플런저의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가 삽입되어 상호 접촉되며,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다.The 2-1 sliding plate 21 and the 2-2 sliding plate 22 face each other with a slight distance, and each sliding plate is a substantially bar-shaped plate derived from a metal plate. The 1-1 sliding plate 11 of the first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2-1 sliding plate 21 and the 2-2 sliding plate 22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lative sliding is possible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

제 1 플런저에 구성되는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플런저에 구성되는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교차하면서 지그재그로 서로 끼워지며 적층된 것처럼 보인다. 지그재그로 위치시킬 때 상기에서는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 사이에 제 2 플런저의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가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2 플런저의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가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순서를 바꾼것은 당연히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two-lobed sliding plate constituted by the first plunger and the two-lobe sliding plate constituted by the second plunger are intersected while being sandwiched in a zigzag and appear to be stacked. When positioning in a zigzag manner, the 2-2 sliding plate 22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1-1 sliding plate 11 and the 1-2 sliding plate 12 in the above, but the second plunger Of the 2-1 sliding plate 21 may be inserted, and changing the order in this way is, of course, included in the scope of equality.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 사이의 접촉을 위하여 이용되는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의 접촉면은 금속판형재의 절단면이 아니라 금속판형재의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넓고 평탄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접촉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The 1-1 sliding plate 11, the 1-2 sliding plate 12, the 2-1 sliding plate 21 and the 2-2 sliding plate used for contact betwee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are used. The contact surface in (22) originates from the plane of the metal plate shape, not the cut surface of the metal plate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a wide and flat plane, and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mutual contact area.

제 1 플런저를 기준으로 보면,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양쪽 2개의 평면과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한쪽 평면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 2 플런저를 기준으로 보면,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한쪽 평면과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양쪽 2개의 평면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된다.When the first plunger is viewed as a reference,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wo planes on both sides of the 1-1 sliding plate and one plane of the 1-2 sliding plate. And when the second plunger is viewed as a reference,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one plane of the 2-1 sliding plate and two planes of both sides of the 2-2 sliding plate.

따라서 접촉 영역의 대규모 확대가 가능하며 전류(신호)는 3개의 평면을 이용하여 3중으로 전송 및 전달되므로 접촉 저항 등을 저감하고 전류(신호)의 안정적인 전송 및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3중 전송 및 전달을 위하여 제 1 플런저 또는 제 2 플런저를 구성할 때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거나 결합시키는 방식과 비교하여 제조 과정에서 부품 핸들링이 매우 쉬운 장점이 있다. 가정하여 제 1 플런저의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한다면 제조 과정 중 부품 핸들링이 보다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Therefore, a large-scale expansion of the contact area is possible, and since the current (signal) is transmitted and transmitted in three planes using three planes, the contact resistance is reduced, and the stable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of the current (signal) is effective. In addition, when configuring the first plunger or the second plunger for such triple transmission and deliver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arts hand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easy compared to a method of combining or combining a plurality of parts. Assuming that the 1-1 sliding plate and the 1-2 sliding plate of the first plung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andling of part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more difficult.

제 1 몸통부(13)는 제 1 플런저(10)의 몸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 1 몸통부(13)를 개재하여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는 제 1 경사부(16)를 개재하여 제 1 몸통부(13)에 연결되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는 제 2 경사부(17)를 재개하여 제 1 몸통부(13)에 연결된다.The first body 13 constitutes the body of the first plunger 10 , and the 1-1 sliding plate 11 and the 1-2 sliding plate 12 are interposed with the first body 13 interposed therebetwee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1-1 sliding plate 11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3 via the first inclined part 16, and the 1-2 sliding plate 12 is restarted by the second inclined part 17.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3).

제 1 몸통부(13)는 복수의 절곡선(d1)에서 절곡되는데, 제 1 몸통부(13) 및 날개부(14a,14b)를 포함하여 대략 사각통형의 기둥 모양을 하게 된다. 또는 뚜렷한 절곡선이 없이 곡률을 가지도록 절곡됨으로써 제 1 몸통부(13) 및 날개부(14a,14b)가 대략 원통형의 기둥 모양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각통형 또는 원통형의 기둥은 소켓등에 구성될 때 소켓의 관통홀 내에서 연결핀의 자세를 직립상태로 유지하고 가이드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The first body 13 is bent at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d1, and includes the first body 13 and the wing portions 14a and 14b to have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tubular column shape. Alternatively, the first body portion 13 and the wing portions 14a and 14b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lumn shape by being bent to have a curvature without a clear bending line. Such a square or cylindrical column helps to maintain and guide the posture of the connecting pin in an upright state within the through hole of the socket when it is configured in a socket or the like.

제 1 몸통부(13)를 개재하여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 및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상대적 자세를 유지하고, 제 1 몸통부(13)에서의 절곡(절곡선이 뚜렷한 절곡과 곡률을 가지는 절곡을 모두 포함한다)을 통하여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 및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한다.The 1-1 sliding plate 11 and the 1-2 sliding plate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body 13 interposed therebetween to maintain a relative posture with each other, and The 1-1 sliding plate 11 and the 1-2 sliding plate are made to face each other through bending (including both bending with a clear bending line and bending with curvature).

제 2 몸통부(23)도 제 1 몸통부(13)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 2 몸통부(23)는 제 2 플런저(20)의 몸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 2 몸통부(23)를 개재하여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와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는 제 2 경사부(26)를 개재하여 제 2 몸통부(23)에 연결되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는 제 2 경사부(27)를 재개하여 제 1 몸통부(13)에 연결된다.The second body part 23 is also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irst body part 13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ody 23 constitutes the body of the second plunger 20, and the second body 23 is interposed between the 2-1 sliding plate 21 and the 2-2 sliding plate. The plates 2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2-1 sliding plate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23 via the second inclined part 26, and the 2-2 sliding plate 22 is restarted by the second inclined part 27.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3).

제 2 몸통부(23)는 복수의 절곡선(d2)에서 절곡되는데, 제 2 몸통부(23) 및 날개부(24a,24b)를 포함하여 대략 사각통형의 기둥 모양을 하게 된다. 또는 뚜렷한 절곡선이 없이 곡률을 가지도록 절곡됨으로써 제 2 몸통부(23) 및 날개부(24a,24b)가 대략 원통형의 기둥 모양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각통형 또는 원통형의 기둥은 소켓등에 구성될 때 소켓의 관통홀 내에서 연결핀의 자세를 직립상태로 유지하고 가이드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The second body 23 is bent at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d2, and has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tubular column shape including the second body 23 and the wing portions 24a and 24b. Alternatively, the second body portion 23 and the wing portions 24a and 24b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lumn shape by being bent to have a curvature without a clear bending line. Such a square or cylindrical column helps to maintain and guide the posture of the connecting pin in an upright state within the through hole of the socket when it is configured in a socket or the like.

제 2 몸통부(23)를 개재하여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22)가 서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상대적 자세를 유지하고, 제 2 몸통부(23)에서의 절곡(절곡선이 뚜렷한 절곡과 곡률을 가지는 절곡을 모두 포함한다)을 통하여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21) 및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한다.The 2-1 sliding plate 21 and the 2-2 sliding plate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second body 23 interposed therebetween to maintain a relative posture with each other, and Through bending (including both bending with a clear bending line and bending having a curvature), the 2-1 sliding plate 21 and the 2-2 sliding plate are made to face each other.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에 있어서 날개부(14a,14b,24a,24b)는 제 1 몸통부 또는 제 2 몸통부의 일측방 또는 양측방에 연결된다. 제 1 몸통부의 양측방에 구성되는 경우 절곡후 2개의 날개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거나(도 7의 S와 같다), 서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데 날개부의 폭을 이용하여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또는 제 1 몸통부의 일측방에 날개부가 구성되는 경우 절곡후 날개부와 몸통부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거나, 서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데 날개부의 폭을 이용하여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컨트롤 할 수 있다.I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he wing portions 14a, 14b, 24a, 24b are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portion or the second body portion. In the case of being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part, the two wing parts after bending can be made to have a certain distance (same as S in FIG. 7) or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control Alternatively, when the wing part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the gap between the two sliding plates is controlled by using the width of the wing part to have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wing part and the body part after bending, or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do.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에 있어서 접촉부(15,25)는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연결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것으로서, 왕관 모양, 산 모양, 원통 모양, 바 모양 등일 수 있으며 접촉 상대방에 맞추어서 적절한 형상이 선택될 수 있다. 걸개부(18a,18b,28a,28b)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코일 스프링(30)과의 조립시 코일 스프링의 끝부분이 진입하기 용이한 경사를 가지며 진입후에는 그 후속공정 등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턱을 가진다. 스토퍼(19a,19b,29a,29b)는 몸통부(13,23)의 외경보다 크게 돌출됨으로써, 연결핀을 소켓의 관통홀에 장착시 관통홀의 양단에 마련된 턱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he contact portions 15 and 25 extend from the body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may have a crown shape, a mountain shape, a cylindrical shape, a bar shape, etc. A suitable shape can be selected. The hook portions 18a, 18b, 28a, and 28b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when assembling with the coil spring 30, the end of the coil spring has a slope that makes it easy to enter. has a chin to prevent The stoppers 19a, 19b, 29a, and 29b protrud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s of the body parts 13 and 23, so that when the connecting pin is mounted on the through hole of the socket, it is caught on the jaw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제 1 플런저(10)에 있어서, 제 1 몸통부(13)와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11) 사이에 제 1 경사부(16)를 구비하되 제 1 경사부(16)의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제 1 몸통부(13)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12) 사이에 제 2 경사부(17)를 구비하되 제 2 경사부(17)의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 몸통부로부터 2개의 경사부를 개재하여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되는 데, 경사부를 이용하여 두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좁히며 접촉면적의 증대를 도모한다.In the first plunger (10), a first inclined portion (1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3) and the 1-1 sliding plate (11), but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6) direction,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portion 17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3 and the 1-2 sliding plate 12, but bent in opposite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7 has been Two sliding plates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through two inclined portion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sliding plates is narrowed by using the inclined portion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도 8 및 도 9는 경사부 및 절곡이 없는 경우와 경사부 및 절곡이 있는 경우를 비교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간략도면이다.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re is no inclined part and bending and a case in which there is an inclined part and bending.

플런저에 경사부 및 절곡이 없는 경우 도 8과 같이 유격(도 8의 A 참조)이 발생되어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도 9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연결된 경사부(6,7)와 절곡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접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탄성적 접촉을 가지면서 pinched sliding이 구현되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후술할 제 2 실시예와 같이 한쪽 플런저가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가지고 다른 쪽 플런저가 1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가지는 구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양쪽 모두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가지는 구조인 경우에는 위와 같은 차별적 장점이 더욱 심화된다.When the plunger does not have an inclined portion or a bent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gap (refer to A of FIG. 8 )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8 , so that the contact area is relatively sma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ending with the inclined portions 6 and 7 connected to the sliding plate as shown in FIG. 9 , the contact area can be maximized and pinched sliding is implemented while having elastic contact to minimize contact resistance and provide stable characteristic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8 and 9 show a structure in which one plunger has two lobes sliding plates and the other plunger has a single lobe sliding plat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but as in the first embodiment, both In the case of a structure having a sliding plate of two lobes, the above-mentioned differential advantage is further deepen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제 1 플런저의 절곡하기전 전개도이고 도 4(b)는 제 1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c)는 제 1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4(d)는 제 2 플런저의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고 도 4(e)는 제 2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f)는 제 2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Figure 4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the first plunger, Figure 4 (b) is a view of the first plunger from one direction; 4 (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4 (d) is a developed view of the second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4 (e)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 4(f)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상기 변형예에서는 제 1 플런저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전,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과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플런저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전,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과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제 1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modification, in the first plunger, before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ree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plate of the plunger. In addition, in the second plunger, before the sliding plate of the first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ree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the first plung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plate.

그리고, 제 1 플런저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된 후에는, 도 9(b)와 같이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서 양쪽의 절곡 각도가 선정된다. 또한, 제 2 플런저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된 후, 도 9(b)와 같이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서 양쪽의 절곡 각도가 선정된다.And, in the first plunger, after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9(b). The bending angles of both sid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re selected so as to be possible. Also, in the second plunger, after the sliding plate of the first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9(b). Both bending angles are selected 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핀이 가지는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제 1 플런저의 몸통부 이하(즉 경사부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 등을 포함한다)와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에서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vantages of the connecting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a) is below the body of the first plunger (that is, including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sliding plate) and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shown, and FIG.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0(a).

본 발명에서 날개부(14a,14b)를 제외하고 몸통부(13)를 보면, 몸통부(13)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되며, 제 1 플런저의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11)는 상기 'ㄷ'자의 상변에 연결되어 있고, 제 1 플런저의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12)는 상기 상기 'ㄷ'자의 하변에 연결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body part 13 except for the wing parts 14a and 14b, the body part 13 is bent so that its cross-section becomes a 'C' shape, and the first sliding plate 11 of the first plunger )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 shap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12 of the first plung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 shape.

몸통부(13)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함에 있어서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를 조립하기전 'ㄷ'자의 입구간격(S1)이 내측간격(S2) 보다 더 좁게 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12) 사이에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41)가 삽입되기 전, 폭방향의 일측에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간격(S3)은 폭방향의 타측에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12)의 간격(S4) 보다 좁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에 따라 폭방향으로 보면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각도(C)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다.The body 13 is bent so that its cross section becomes a 'C' shape, before assembl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so that the 'C'-shaped inlet gap (S1) is narrower than the inner gap (S2). , before the sliding plate 41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11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12, the gap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S3) ) is narrower than the interval S4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11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12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sliding plate is inclined at an angle C relative to the second sliding plate.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를 조립하기전 'ㄷ'자의 입구간격(S1)은 삽입될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41)의 두께 보다 작으며, 삽입시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11)와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12) 사이를 벌리면서 삽입되고 벌어지는 과정에서 탄성이 발생하여 접촉을 확실히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폭방향(Y방향)에서의 압입 효과를 가진다.Before assembl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he 'C'-shaped inlet gap (S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plate 41 of the second plunger to be inserted, and when inserted, the first sliding plate 11 and the second The sliding plate 12 has an effect of ensuring contact by generating elasticity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and opened while spreading between the sliding plates 12 . Thereby, it has the press-fitting effect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길이방향(X방향)에서의 압입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길이방향에서의 압입 효과와 함께 폭방향(Y방향)에서의 압입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fitting eff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s basically provided by the sliding plate of two lea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fitting eff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ress-fitting eff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the press-fitting effect at the same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제 1 플런저의 절곡하기전 전개도이고 도 5(b)는 제 1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c)는 제 1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5(d)는 제 2 플런저의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고 도 5(e)는 제 2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5(f)는 제 2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Figure 5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developed view before bending the first plunger, Figure 5 (b) is the first plunger in one direction This is a side view, FIG. 5 (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5 (d) is a developed view of the second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5 (e)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 5(f)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스토퍼(19c,19d,29c,29d)가 걸개부(18c,18d,28c,28d)쪽으로 연장되고 스토퍼와 걸개부 사이에 걸개홈(51c,51d,52c,52d)이 형성된다. 걸개홈에는 코일스프링의 끝단이 안착되며, 걸개부에 의해서 코일스프링이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토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 외부로 연결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이 접촉부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s 19c, 19d, 29c, and 29d extend toward the hook portions 18c, 18d, 28c, and 28d, and a hook groove ( 51c, 51d, 52c, 52d) are formed. The end of the coil spring is seated in the hanger groove, and the hanger prevents the coil spring from being sepa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liding plate. Prevents devi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제 1 플런저의 절곡하기전 전개도이고 도 6(b)는 제 1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c)는 제 1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6(d)는 제 2 플런저의 절곡하기전의 전개도이고 도 6(e)는 제 2 플런저를 일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f)는 제 2 플런저를 타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rst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6 (b) is the first plunger in one direction. 6(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lunger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6(d) is a developed view of the second plunger before bending, and FIG. 6(e)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one direction and FIG. 6(f)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plung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및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폭방향에 있어서 몸통부와 접촉부까지를 포함하는 연결핀의 중심선으로터 일측 수직변까지의 거리(W1)와 타측 수직변까지의 거리(W2)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연결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위치할 때 코일 스프링의 중심에 몸체부가 정렬되는 것에 비하여, 각 슬라이딩 프레이트의 일측 수직변은 코일 스프링에 접하지만 타측 수직변은 이격되어 있다.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distance W1 from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pin including the body and the contact portion to the vertical side of one side and the distance W2 from the vertical side of the other side are mutually make it different As shown, the sliding plate is locat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in. Therefore, when the sliding plate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one side vertical side of each sliding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coil spring, but the other side vertical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where the body portion is aligned at the center of the coil spring.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및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폭방향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서 좌우 비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피 공간을 가질 수 있어서 제 1 플런저와 제 2 플런저 사이의 슬라이딩 작동을 원활히 하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의 탄성적 접촉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측면과 코일 스프링의 접촉이 항시 가능하여 코일 스프링을 플런저에 접지(전기적 접속)시킴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기생 소자 효과를 방지하거나 저감한다.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configured to be located asymmetr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y can have an escape space and slide while smoothing the slid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It has the effect of ensuring elastic contact between the plates, and the side of the sliding plate and the coil spring can always be in contac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prevent or reduce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분해도이고 도 7(b)는 조립된 후의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is an exploded view and FIG. 7 (b) is a view after assembly.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에서는 제 2 플런저(40)가 단일의 슬라이딩 플레이트(41)를 구비하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하다. 그러나, 제 1 플런저(10)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가진다.The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econd plunger 40 has a single sliding plate 41 . However, the first plunger 10 has a sliding plate of two lobe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예의 제 1 플런저 또는 제 2 플런저와 유사하게, 제 1 플런저(10)는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반대쪽에서 몸통부에 연결되는 접촉부가 구성되며, 이러한 접촉부는 PCB의 패드에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뾰족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imilar to the first plunger or the second plunger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plunger 10 is configured with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nd this contact portion is a pad of the PC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inted shape as for contacting the.

PCB의 패드는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거나 오염물로 덮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플런저와 플런저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을 위한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뾰족한 접촉부를 단일 플런저에 함께 구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플런저와 플런저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을 위한 2엽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반대쪽에 뽀족한 접촉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산화막 및 오염물을 뚫고 PCB의 패드 등에 높은 압력으로 파고들 수 있어서 통전 불량의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d of the PCB may have an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or may be covered with contaminants. In this case, poor conduction may occur. Conventionally, the two-lobed sliding plate for sliding contact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lunger and the pointed contact part could not be configured together in a single plunger. 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form a pointed contact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together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two-lobed sliding plate for sliding contact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lunger, thereby preventing the oxide film and contaminants. It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energization failure because it can penetrate through the pads of the PCB with high pressure.

상기에서는 실시예 및 변형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나타난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플런저에 나타난 특징은 동일 실시예의 다른 플런저 또는 다른 실시예의 플런저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and the modified example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but the features shown in one embodiment may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lso, features shown in one plunger may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plungers of the same embodiment or plungers of other embodiments.

10 : 제 1 플런저 11,12 : 슬라이딩 플레이트
13 : 몸통부 14a,14b : 날개부
15 : 접촉부 16,17 : 경사부
18a,18b : 걸개부 19a, 19b : 스토퍼
20 : 제 2 플런저 21,22 : 슬라이딩 플레이트
23 : 몸통부 4a,24b : 날개부
25 : 접촉부 26,27 : 경사부
28a,28b : 걸개부 29a, 29b : 스토퍼
30 : 코일 스프링 40 : 제 2 플런저
10: first plunger 11, 12: sliding plate
13: body part 14a, 14b: wing part
15: contact part 16, 17: inclined part
18a, 18b: gulgae part 19a, 19b: stopper
20: second plunger 21, 22: sliding plate
23: body part 4a, 24b: wing part
25: contact part 26,27: inclined part
28a, 28b: hanger part 29a, 29b: stopper
30: coil spring 40: second plunger

Claims (14)

연결핀에 있어서,
금속 판형재에 대한 절단 및 절곡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1 플런저;
금속 판형재에 대한 절단 및 절곡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2 플런저;
상기 제 1 플런저 및 상기 제 2 플런저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런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플런저는 서로 마주보는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In the connection pin,
a first plunger formed through cutting and bending with respect to a metal plate and composed of a single body;
a second plunger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the metal plate and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a coil spring support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e first plunger includes a 1-1 sliding plate and a 1-2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plunger includes a 2-1 sliding plate and a 2-2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characterized,
connecting p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호 접촉되고,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2-2 sliding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1-1 sliding plate and the 1-2 sliding plat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lid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2-2 sliding plat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late is inserted to perform relative sliding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onnecting p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 사이의 접촉을 위하여 이용되는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접촉면은 금속판형재의 절단면이 아니라 금속판형재의 평면에서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act surfaces of the 1-1 sliding plate, the 1-2 sliding plate,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2-2 sliding plate used for contact between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riginates from the plane of the metal plate shape, not the cut surface of the metal plate shape.
connecting p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런저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한쪽 평면과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양쪽 평면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Based on the second plunger,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one plane of the 2-1 sliding plate and both planes of the 2-2 sliding plate,
connecting p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는, 제 1 몸통부를 개재하여 상기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몸통부에서의 절곡을 통하여 상기 제 1-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플런저는, 제 2 몸통부를 개재하여 상기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통부에서의 절곡을 통하여 상기 제 2-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하는,
연결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unger includes the 1-1 sliding plate and the 1-2 sliding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body part, and the 1-1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bending at the first body part. 1-2 Make sure that the sliding plates face each other,
The second plunger includes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2-2 sliding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cond body part, and the 2-1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bent at the second body part. 2-2 to make the sliding plates face each other,
connecting pin.
연결핀에 있어서,
금속 판형재에 대한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1 플런저;
금속 판형재에 대한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며 단일체로 구성되는 제 2 플런저;
상기 제 1 플런저 및 상기 제 2 플런저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런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몸통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몸통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몸통부에서의 절곡을 통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In the connection pin,
a first plunger formed through processing on a metal plate and composed of a single body;
a second plunger formed through processing on a metal plate and composed of a single body;
and a coil spring support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e first plunger includes a first sliding plate and a second slid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a body,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t least the body part, and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made to face each other through bending at the body part. doing,
connecting pi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1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경사부의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제 2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경사부의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7.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sliding plate, and i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at both sides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connecting pi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전,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8. The method of claim 7,
Before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ree end of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slid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plate,
connecting pi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된 후,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에서 양쪽의 절곡 각도가 선정되는,
연결핀.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inclined part, the bending angles of both sides are selected,
connecting pi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ㄷ'자의 상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상기 'ㄷ'자의 하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ody portion is bent so that its cross-section is 'U'-shaped,
The first slid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 shap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 shape,
connecting pi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그 단면이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를 조립하기전 'ㄷ'자의 입구간격이 내측간격 보다 더 좁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 2 플런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삽입되기 전, 폭방향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간격은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간격 보다 좁아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11. The method of claim 10,
By bending the body portion so that its cross section becomes a 'C' shape, the inlet gap of the 'C' shape before assembling the first plunger and the second plunger is narrower than the inner gap,
Before the sliding plate of the second plunge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narrowed,
connecting pin.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반대쪽에서 상기 몸통부에 연결되는 접촉부가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PCB의 패드에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뾰족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10,
The first plunger,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is configured;
The contact portion is for contacting the pad of the PCB,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inted shape,
connecting pin.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는 상기 몸통부의 일측방 또는 양측방에 연결되는 날개부가 구성되며,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날개부는 절곡되어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의 기둥 모양을 하고 있는,
연결핀.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10,
The first plunger is configured with a w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is bent to have a cylindrical or quadrangular tubular column shape,
connecting pin.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 공간에 좌우 비대칭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핀.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10,
The first sliding plate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are configured to be located asymmetr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coil spring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ing pin.
KR1020200134364A 2020-10-16 2020-10-16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KR102431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64A KR102431300B1 (en) 2020-10-16 2020-10-16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PCT/KR2021/014333 WO2022080931A1 (en) 2020-10-16 2021-10-15 Connection pin capable of transmitting large cur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64A KR102431300B1 (en) 2020-10-16 2020-10-16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067A true KR20220051067A (en) 2022-04-26
KR102431300B1 KR102431300B1 (en) 2022-08-11

Family

ID=8120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364A KR102431300B1 (en) 2020-10-16 2020-10-16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300B1 (en)
WO (1) WO2022080931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245A (en) 2009-09-08 2011-02-23 주식회사 휴먼라이트 Spring type grounding terminal
KR20110036901A (en) 2011-03-25 2011-04-12 박상량 Spring probe pin with inner bridge
KR20180038032A (en) 2016-02-15 2018-04-1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obe pin and inspection device using 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01B1 (en) * 2009-10-12 2012-01-20 (주)아이윈 Sliding type pogo pin an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KR101154519B1 (en) * 2010-05-27 2012-06-13 하이콘 주식회사 Structure of spring contacts
US8547128B1 (en) * 2012-05-06 2013-10-01 Jerzy Roman Sochor Contact probe with conductively coupled plung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245A (en) 2009-09-08 2011-02-23 주식회사 휴먼라이트 Spring type grounding terminal
KR20110036901A (en) 2011-03-25 2011-04-12 박상량 Spring probe pin with inner bridge
KR20180038032A (en) 2016-02-15 2018-04-1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obe pin and inspection device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931A1 (en) 2022-04-21
KR102431300B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391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hielding plate
JP3070762B2 (en) Low loss electrical interconnect
US5573435A (en) Tandem loop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10886650B1 (en) Connector adapted to be connected to flexible conductor
KR20100113086A (en) Interposer assembly and method
US7402049B2 (en) Contact for an interposer-type connector array
KR20000010884A (en) Connection base
KR20040020949A (en) Interposer assembly and method
JP2015153503A (en) connector
US105359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lementary configurations of opposite contacts
US1088665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ifferently shaped contacts in matrix
US5738550A (en) Press-fit pin fitting in a miniaturized through hole formed in a circuit board
KR100280856B1 (en) Layered spring structure and flexible circuit connector incorporating it
JPH07169523A (en) Connector
US20030008535A1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ing same
EP3688844A1 (en) Contact with a press-fit fastener
KR102431300B1 (en) Connection Pin For High Current Carrying
JP200907056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6372675B1 (en) Card edge connection device
CN112563774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4487471A (en) Socket connector
KR101865375B1 (en) Twist-type PION pin of test socket and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EP3787127A1 (en) Shield connector
KR102172401B1 (en) Spring pin for high performance
US20220018875A1 (en) Contact pin and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