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648A - 검체 채취용 면봉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용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648A
KR20220050648A KR1020200134573A KR20200134573A KR20220050648A KR 20220050648 A KR20220050648 A KR 20220050648A KR 1020200134573 A KR1020200134573 A KR 1020200134573A KR 20200134573 A KR20200134573 A KR 20200134573A KR 20220050648 A KR20220050648 A KR 2022005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gear
central shaft
coupled
sw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유경
이충환
조남현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제니클
홍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클, 홍유경 filed Critical (주)제니클
Priority to KR102020013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648A/ko
Publication of KR2022005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검체 채취용 면봉은, 표면에 다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막대 형상의 스틱; 그리고 상기 스틱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용 면봉{SWAB FOR COLLECTING SAMPLES}
본 발명은 검체 채취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의 회전에 의해 검체 샘플의 채취율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검체 채취용 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질병을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건강검진은 피검사자로부터 혈액이나 타액(唾液) 또는 변(便) 등의 검체를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에 대하여 생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혈액학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여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검진하는 것이다.
한편, 최근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에 의하여 전염속도가 빠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라 함)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많은 수의 감염자가 발생되고 있는 것은 물론, 코로나에 의한 다수의 사망자가 보고됨에 따라 코로나의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전국의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같은 코로나의 확진 검사를 위하여는 먼저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여야 하는데, 코로나19의 경우 호흡기 질환이기 때문에 실제 감염이 이루어지는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의 내부에 검체 채취용의 면봉을 삽입한 후 비강이나 구강내벽의 점막으로부터 분비물을 채취한다.
비강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분비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인 비강의 내부벽에 닿도록 검체 채취용 면봉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검체 채취용 면봉을 회전시키면서 분비물이 눈에 보일 정도로 충분한 양의 검체를 채취한다.
또한, 구강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입을 크게 벌리도록 한 다음 설압자(舌壓子)를 이용하여 혀를 누른 상태에서 분비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인 목구멍 내부벽의 편도선 표면이나 인후두 안쪽에 닿도록 검체 채취용 면봉을 삽입하고, 검체 채취용 면봉을 회전시키면서 검체를 충분히 채취한다.
종래의 채취용 면봉은 나무나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스틱과 그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접착된 면 또는 섬유 구조물인 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틱은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거나 변형 및 변질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이 유출 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에서 분리된 미세한 입자가 사용 부위에 묻어나서 비위생적일 수 있다. 또한 헤드의 흡수력이 저하될 수 있고, 외부 접촉에 따라 스틱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등 사용성에 문제가 많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452호(2011.06.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검자의 신체 부위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검체 샘플의 채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검체 채취용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친환경적이고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검체 채취용 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검체 채취용 면봉은, 표면에 다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막대 형상의 스틱; 그리고 상기 스틱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은 홀은 육각형이고, 상기 홈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는, 대나무 섬유(Bamboo Silk),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초산비닐, EVA) 및 폴리락틱산(PLA)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은, 일단이 상기 스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틱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틱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제1기어; 상기 스틱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틱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중심축; 상기 제2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제2기어;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기어에 전달하는 환형의 와이어; 그리고 상기 스틱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조절봉;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채취용 면봉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검자의 신체 부위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검체 샘플의 채취율을 높여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친환경적이고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체 채취용 면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체 채취용 면봉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체 채취용 면봉의 헤드를 접착 및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체 채취용 면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체 채취용 면봉의 내부 구성도이ㄱ고, 도 3은 도 1의 검체 채취용 면봉의 헤드를 접착 및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검체 채취용 면봉(1)은 피검사자의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내에 삽입하여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스틱(10), 헤드(20), 연결봉(17), 제1중심축(11), 제2중심축(12), 제1기어(13), 제2기어(14), 와이어(15), 조절봉(1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10)은 내부공간(C)을 가지며 직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진다. 스틱(10)은 표면에 다수의 홀(10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홀(10a)은 다각형의 형상,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상일 수 있다. 스틱(10)은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벌집 구조 또는 대나무(Bamboo)를 성글게 엮는 방법으로의 구조로 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헤드(2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헤드(20)는 스틱(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10a)이 형성된다. 홈(10a)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20)는, 도 3에서와 같이, 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1차로 스틱(10)에 접착한 후 2차로 타공에 의해 홈(1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홈(10a)을 형성함으로써 헤드(20) 외주면의 단면적을 증가시켜서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내 시약에 더 많은 검체 및 분비물을 용해시킬 수 있게 된다.
헤드(20)는 대나무 섬유(Bamboo Silk)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초산비닐, EVA), 폴리락틱산(PLA) 등의 합성수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자 분리에 의한 오염 우려 및 환경호르몬 위험성이 거의 없거나 100% 생분해 되는 친환경적 성분으로 우수한 투습성(흡수력)과 부드러운 촉감을 갖고 있어서 검체 부위에 물리적 손상을 끼치지 않고도 더 많은 분비물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연결봉(17)은 일단부가 스틱(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1중심축(11)에 일단이 연결된다. 연결봉(17)의 타단은 헤드(20)에 결합되며 헤드(20)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제1중심축(11)은 스틱(10)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내부공간(C)에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중심축(11)은 단면이 원형으로 양단이 스틱(10) 내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중심축(12)은 스틱(1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내부공간(C)에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중심축(12)은 단면이 원형으로 양단이 스틱(10) 내면에 형성된 제2결합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기어(13)는 중앙에 제1중심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된 원반형으로 상기 제1중심홀에 제1중심축(11)이 축결합되어 제1중심축(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14)는 중앙에 제2중심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된 원반형으로 상기 제2중심홀에 제2중심축(12)이 축결합되어 제2중심축(1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기어(13) 및 제2기어(14)의 외주에는 후술할 와이어(15)의 걸림구(미도시)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걸림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형의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에 각각의 상기 걸림구가 걸림으로써 제1기어(13) 및 제2기어(14)가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와이어(15)는 제1기어(13) 및 제2기어(14)에 연결되어 제1기어(13) 및 제2기어(15)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와이어(15)는 제2기어(15)의 회전 구동력을 제1기어(14)에 전달한다. 제1기어(13) 및 제2기어(14)를 감고 도는 와이어(15)의 부위에는 부분적으로 정해진 등간격으로 다수의 걸림구(미도시)가 와이어(15)와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절봉(16)은 스틱(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2중심축(12)에 연결된다. 조절봉(16)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중심축(12)은 조절봉(16)과 함께 회전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면봉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서 피검사자의 비강(鼻腔)이나 구강(口腔)내에 헤드(20)를 삽입한다.
그리고 조절봉(16)을 회전시키면 제2중심축(12)과 함께 제2기어(14)가 회전한다. 이때 제2기어(14)의 회전 구동력은 와이어(15)를 통해 제1기어(13)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제1기어(13)가 회전함에 따라 제1중심축(11)도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중심축(11)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봉(17)도 함께 회전되며, 연결봉(17)에 결합된 헤드(20)가 회전된다. 따라서, 헤드(20)의 회전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검체 체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면봉은 헤드의 회전에 의해 피검자의 신체 부위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검체 샘플의 채취율을 높여줄 수 있고, 친환경적이고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검체 채취용 면봉 10: 스틱
10a: 홀 11: 제1중심축
12: 제2중심축 13: 제1기어
14: 제2기어 15: 와이어
16: 조절봉 17: 연결봉
20: 헤드 20a: 홈

Claims (5)

  1. 표면에 다수의 홀이 관통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막대 형상의 스틱; 및
    상기 스틱의 일단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홀은 육각형이고, 상기 홈은 원형인, 검체 채취용 면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는, 대나무 섬유(Bamboo Silk),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초산비닐, EVA) 및 폴리락틱산(PLA)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검체 채취용 면봉.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스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틱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중심축;
    상기 제1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제1기어;
    상기 스틱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틱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중심축;
    상기 제2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제2기어;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1기어에 전달하는 환형의 와이어;및
    상기 스틱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중심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중심축과 함께 회전 가능한 조절봉;을 더 포함하는 검체채취용 면봉.
KR1020200134573A 2020-10-16 2020-10-16 검체 채취용 면봉 KR20220050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73A KR20220050648A (ko) 2020-10-16 2020-10-16 검체 채취용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73A KR20220050648A (ko) 2020-10-16 2020-10-16 검체 채취용 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648A true KR20220050648A (ko) 2022-04-25

Family

ID=8145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573A KR20220050648A (ko) 2020-10-16 2020-10-16 검체 채취용 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524A (zh) * 2023-05-24 2023-06-23 深圳市华瑞康生物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鼻咽拭子采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524A (zh) * 2023-05-24 2023-06-23 深圳市华瑞康生物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鼻咽拭子采样装置
CN116269524B (zh) * 2023-05-24 2023-07-18 深圳市华瑞康生物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鼻咽拭子采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0648A (ko) 검체 채취용 면봉
US2014031522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strep a
WO2005032377A1 (en) Biological sampling kit comprising an anti-microbial agent and uses thereof
AU2005315339A1 (en) Analyte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08457A (ko) 검체 채취용 면봉
CN216294110U (zh) 一种多断点式的植绒采样拭子
US7147608B2 (en) Blood collecting needle
US11224411B1 (en) Nasopharyngeal collection swab with predetermined decoupling point
CN212879386U (zh) 一种带防护咽拭子采样装置
WO2008071043A1 (fr) Dispositif jetable d'aspiration des expectorations d'un enfant en bas âge
CN211962090U (zh) 一种用于新型冠状病毒肺炎检测的咽拭子病毒采样管
CN205433744U (zh) 一种小型医用叩诊锤
CN219516366U (zh) 一种病原体的采样装置
CN211383255U (zh) 一种u吸及其包装壳
US20220133283A1 (en) Swab
WO1994018891A1 (en)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and recovery of saliva for use in diagnostic assays
McSherry Why not prescribe antibiotics for" heavy colds'?
CN206044703U (zh) 一种儿童多功能鼻腔异物取出器
CN201046260Y (zh) 一次用吸痰器
CN214434294U (zh) 一种具有拆卸功能的咽喉采样拭子
CN219022514U (zh) 一种吸痰器
CN220478868U (zh) 一种抗体检测收集试管
CN212574901U (zh) 一种检验用样本采集装置
CN213488842U (zh) 真空式采血装置
CN217310379U (zh) 一种高可靠性现场检测采样拭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