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635A -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635A
KR20220050635A KR1020200134538A KR20200134538A KR20220050635A KR 20220050635 A KR20220050635 A KR 20220050635A KR 1020200134538 A KR1020200134538 A KR 1020200134538A KR 20200134538 A KR20200134538 A KR 20200134538A KR 20220050635 A KR20220050635 A KR 20220050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discharge
metering
unit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238B1 (ko
Inventor
강용수
강정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유프레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유프레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유프레시
Priority to KR102020013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2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84Undercarriages, frame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92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2Pan-type mixers, i.e. mixers in which the stirring elements move along the bottom of a pan-shaped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27/91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forcing the material through orifices or slits, e.g. in a stationary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01F35/8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using flow rate controls for feeding the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4Mixing biocidal, pesticidal or herbicidal ingredients used in agriculture or horticulture, e.g. for spra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형으로 형성되되 내측 바닥면에 정량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연결된 농약통;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면에 끌리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배출연동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농약통 내에 투입된 농약을 저어주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 및 상기 농약통의 외측에서 상기 정량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내측으로부터 상기 농약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농약이 상기 배출연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정량배출부를 구비하는 정량투입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Quantitative Provis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본 실시예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대규모 평야지대에서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함에 있어서 기계화된 작업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산악이나 구릉이 많은 우리나라 지형의 경우 농약의 자동 살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과수원이나 경사진 밭의 경우에는 물탱크 형태의 농약 탱크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양한 형태의 농약 탱크에는 농약과 물이 일정한 비율로 희석되어 저장되고, 농약 탱크 내부에 저장된 농약이 외부 동력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농작물에 살포하기 위하여 분무기로 옮겨지게 된다.
기존의 농약 탱크는 많은 양의 농약을 수용하기 위해 그 부피가 매우 크도록 제작된 것이 일반적이다. 농약 탱크의 부피가 큰 경우 농약 탱크의 보관에 큰 공간이 필요하고 농약 탱크의 세척 및 관리에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큰 부피의 농약 탱크에 대용량의 농약을 미리 만들어놓는 경우 농약 살포 작업 후 농약이 남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이러한 잔여 농약이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 하천이나 바다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잔여 농약이 발생하는 경우 과도한 농약 사용을 유발하게 되어 농작물에 해를 입히거나 기준치를 초과하는 농약 잔류 농산물을 생산하게 될 가능성을 높일 우려가 있다.
따라서, 농약을 사용할 때마다 필요양 만큼만 농약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매번 희석비율에 맞추어 농약 원액의 양과 물의 양을 맞추어 교반통에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실시예는 원하는 희석비율에 맞는 양의 농약을 자동으로 교반하여 희석농약을 공급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형으로 형성되되 내측 바닥면에 정량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연결된 농약통;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면에 끌리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배출연동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농약통 내에 투입된 농약을 저어주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 및 상기 농약통의 외측에서 상기 정량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내측으로부터 상기 농약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농약이 상기 배출연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정량배출부를 구비하는 정량투입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비된 회전날개의 회전수에 비례한 양의 농약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를 이용한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 교반대상 농약을 저장한 정량투입기 식별정보 및 교반대상 농약의 필요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필요양 대비 해당 정량투입기의 1회 배출 부피의 비율에 해당하는 회전수만큼 상기 해당 정량투입기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교반대상 농약이 상기 해당 정량투입기로부터 교반통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교반대상 농약을 선택하여 해당 농약의 희석비율에 맞는 양의 농약 원액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물과 함께 교반하여 분무용 희석 농약을 실시간으로 조제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닥날개의 중앙부를 절곡시킴으로써 농약통 내부의 농약을 정량배출부로 용이하게 유입시키게 한다.
정량배출부에 진동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정량배출부에 분말농약이 유입된 경우, 진동모터의 진동에 의해 정량배출부 내의 농약 분말이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량투입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배출연동부에서 중공부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배출연동부의 타단부의 위치와 정량홀의 위치를 서로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개폐부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정량투입기를 구비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량투입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배출연동부에서 중공부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량투입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량투입기(100)는 농약통(110), 회전축(120),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130), 배출연동부(140), 정량배출부(150) 및 공기연통부(160)를 포함한다.
농약통(1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농약통 내에는 액상 농약 또는 분말 농약이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농약통(110)의 내측 바닥면(111)에 정량홀(112)이 구비되며, 바닥면(111)의 중앙부에 회전축(120)이 연결된다.
회전날개(13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일단부가 회전축(120)에 연결되어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농약통(110) 내에 투입된 농약을 저어준다.
배출연동부(140)는 그 일단부(141)가 회전축(120)에 연결되어 바닥면(111)에 끌리면서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한다.
농약통(110)의 외측에 정량배출부(150)의 일단이 정량홀(112)과 연결되며, 회전날개(130)의 회전과 연동하여 농약통(110)의 내측으로부터 정량배출부(150) 내부로 농약이 유입된다. 정량배출부(150) 내부로 유입된 농약은 배출연동부(140)의 회전과 연동하여 정량배출부(15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정량배출부(150)의 타단에 형성된 배출구(151)에는 개폐부(170)가 연결되고 배출연동부(140)의 회전과 연동하여 개폐부(170)가 개폐된다. 회전축(120)에 연결된 배출보조 막대(121)가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개폐부(170)를 열거나 닫는 동작을 수행한다. 배출연동부(140)가 회전하는 도중에 배출연동부(140)가 정량홀(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배출보조 막대(121)가 개폐부(170)를 열어서 정량배출부(150)에 유입된 농약이 정량배출부(15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농약이 정량배출부(15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배출연동부(140)가 계속 회전하여 배출연동부(140)의 위치가 정량홀(112)의 상부를 벗어나는 경우 배출보조 막대(121)가 개폐부(170)를 움직여서 개폐부(170)가 닫히도록 한다.
배출연동부(140)가 회전하여 배출연동부(140)의 타단부(142)가 정량홀(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배출연동부(140)의 타단부(142)의 하부는 정량홀(112)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배출연동부(140)의 타단부(142)의 하부에 정량홀(112)을 둘러쌀 수 있도록 중공부(143)가 형성되고, 중공부(143)로부터 배출연동부(140)의 일단부(141) 및 회전축(120) 내부를 경유하여 외기(外氣)가 드나들 수 있는 공기연통부(16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배출연동부(140)의 타단부(142)의 위치와 정량홀(112)의 위치를 서로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중공부(143)의 면적은 정량홀(112)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한다. 배출연동부(140)가 회전하여 중공부(143)의 중앙부에 정량홀(112)이 위치하는 경우 중공부(143) 내에 정량홀(112) 전체가 완전히 들어가는 크기가 되도록 중공부(143)를 형성한다.
배출연동부(140)의 타단부(142)는 배출연동부(14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중공부(143)의 앞부분에 제1영역(a), 중공부(143)의 뒷부분에 제2영역(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영역(a)의 폭 및 제2영역(b)의 폭(I)은 정량홀(112)의 폭(C)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만일, 제1영역(a)의 폭(I)이 정량홀(112)의 폭(C)보다 작은 경우, 농약통(110) 내부의 농약이 정량홀(112)을 경유하여 중공부(143) 및 공기연통부(160)로 누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농약통(110) 내부의 농약이 중공부(143) 및 공기연통부(160)로 누출되는 경우 정량배출부(150)에서 1회 배출되는 농약의 양이 부정확해진다.
도 4는 개폐부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개폐부(170)가 정량배출부(150)의 배출구(151)를 막은 상태에서는 정량배출부(150) 내에는 농약이 가득찬 상태가 된다. 정량배출부(150) 내부의 부피는 기설정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배출연동부(140)의 회전과 연동하여 배출보조 막대(121)가 회전하고, 정량홀(112)의 절반이 중공부(143) 내로 진입한 경우 개폐부(170)가 열리기 시작하도록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정량홀(112)의 절반이 중공부(143) 내로 진입하면 배출보조 막대(121)가 개폐부(170)의 걸림부(171)에 힘을 가하여 개폐부(170)를 열기 시작하고, 정량홀(112) 전체가 중공부(143) 내로 완전히 진입한 경우 배출보조 막대(121)가 걸림부(171)에 가한 힘에 의해 개폐부(170)가 완전히 열리도록 형성한다.
개폐부(170)가 완전히 열리면 개폐부(170)에 형성된 구멍(172)과 정량배출부(150) 배출구(151)의 위치가 일치되어 정량배출부(150) 배출구(151)로부터 농약이 외부로 배출된다. 참고로, 개폐부(170) 구멍(172)의 형상은 중공부(143)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정량배출부(150) 배출구(151)로부터 농약이 외부로 배출된 후 배출보조 막대(121)가 회전하여 정량홀(112)의 절반이 중공부(143) 내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면 배출보조 막대(121)가 개폐부(170)의 걸림부(171)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한다. 배출보조 막대(121)가 개폐부(170)의 걸림부(171)에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부(170)에 형성된 복원스프링(173)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부(170)가 닫히게 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량배출부(150)에 진동모터(18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진동모터(180)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181)를 포함된다.
스위치(181)는 배출연동부(140)와의 연동으로 온오프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정량홀(112) 전체가 중공부(143) 내로 완전히 진입한 경우 배출보조 막대(121)가 스위치(181)를 누르도록 형성한다. 스위치(181)가 눌리면 진동모터(180)에 진동이 발생하고 진동모터(180)의 진동이 정량배출부(150)에 전달되어 정량배출부(150) 내의 잔여 농약(예컨대, 분말형 농약)이 모두 배출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181)는 배출연동부(140)의 회전 타이밍에 맞추어 제어부(54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540)는 해당 정량투입기(100)에 투입되는 농약이 분말 농약인지 또는 액상 농약인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181)의 온/오프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540)는 DB(531)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정량투입기(100)에 투입되는 농약의 종류가 분말 농약인지 또는 액상 농약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스위치(18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만일, 해당 정량투입기(100)에 투입되는 농약의 종류가 분말 농약인 경우에는 제어부(540)는 배출연동부(140)의 회전과 연동하여 스위치(181)를 온/오프하고, 해당 정량투입기(100)에 투입되는 농약의 종류가 분말 농약인 경우에는 제어부(540)는 스위치(181)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제어부(540)가 배출연동부(140)의 회전 타이밍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센서(미도시)의 의한 배출연동부(140)의 회전 감지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날개(130)는 바닥면(111)에서 끌리면서 회전하되 중앙부(131a)가 회전축(120)의 회전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하는 바닥날개(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부(131a)의 회전반경은 정량홀(112)의 중앙부의 반경과 동일하도록 중앙부(131a)의 절곡 위치가 결정된다.
바닥날개(131)의 중앙부(131a)가 절곡된 형태를 함으로써 농약통(110) 바닥면(111)에 위치하는 농약을 정량홀(112)에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정량투입기를 구비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 교반통(520) 농약정보 획득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 각각은 도 1의 정량투입기(100)로서 구현된다.
교반통(520)은 구비된 물 투입구(521)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로부터 각각 농약을 공급받아 물과 농약을 교반한다.
농약정보 획득부(530)는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와 교반대상 농약의 식별정보 및 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3개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DB(531)에 저장되며 농약정보 획득부(530)는 DB(531)를 참조하여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가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550)에 미리 입력하면, 농약정보 획득부(530)가 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550)로부터 수신하여 DB(531)에 저장한다.
또한, 물의 양에 대한 정보도 DB(531)에 저장되며 농약정보 획득부(530)는 DB(531)를 참조하여 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가 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550)에 미리 입력하면, 농약정보 획득부(530)가 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550)로부터 수신하여 DB(531)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와 사용할 교반대상 농약의 식별정보 및 물의 양에 대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교반대상 농약의 식별정보만 사용자 인터페이스(550)에 입력하고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 및 물의 양에 대한 정보는 농약정보 획득부(530)가 DB(531)를 참조하여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농약정보 획득부(5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550)로부터 교반대상 농약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제어부(540)는 교반대상 농약 식별정보로부터 정량투입기(511, 512, 513)를 식별하고, 교반대상 농약에 대한 기설정 교반비율에 따라 대상농약의 투입 필요양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설정 교반비율은 물과 각 농약의 혼합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DB(531)에 저장되며, 제어부(540)는 DB(531)에 저장된 교반비율을 참조한다.
제어부(540)는 투입 필요양 대비 대상농약의 해당 정량투입기(100)의 정량배출부(150)의 내부 부피(즉, 정량투입기(100)의 1회 배출 부피)의 비율에 해당하는 회전수만큼 해당 정량투입기(100)의 회전축(120)을 회전시켜 교반대상 농약이 투입 필요양만큼 해당 정량투입기(100)로부터 교반통(520)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교반통(520)으로 공급된 정량의 농약과 물은 교반팬(522)에 의해 교반되어 희석된 농약을 생성한다.
생성된 희석 농약은 희석농약 배출구(5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농약의 분무에 사용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농약 교반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하였듯이, 정량투입기(100)는 구비된 회전날개의 회전수에 비례한 양의 농약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장치이다. 이하 이러한 정량투입기를 하나 또는 복수개(511, 512, 513) 이용하여 실시간 농약 교반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농약정보 획득부(530)가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와 교반대상 농약의 식별정보 및 교반대상 농약의 필요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610).
3개의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DB(531)에 저장되며 농약정보 획득부(530)는 DB(531)를 참조하여 정량투입기(511, 512, 513)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물의 양에 대한 정보도 DB(531)에 저장되며 농약정보 획득부(530)는 DB(531)를 참조하여 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농약정보 획득부(5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550)로부터 교반대상 농약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제어부(540)는 교반대상 농약 식별정보로부터 정량투입기(511, 512, 513)를 식별하고, 교반대상 농약에 대한 기설정 교반비율에 따라 대상농약의 투입 필요양을 결정한다(S620).
여기서, 기설정 교반비율은 물과 각 농약의 혼합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DB(531)에 저장되며, 제어부(540)는 DB(531)에 저장된 교반비율을 참조한다.
제어부(540)는 투입 필요양 대비 대상농약의 해당 정량투입기(100)의 정량배출부(150)의 내부 부피의 비율에 해당하는 회전수만큼 해당 정량투입기(100)의 회전축(120)을 회전시킨다(S630),
정량투입기(100)의 회전축(120)을 회전함에 따라 교반대상 농약이 회전수와 해당 정량배출부의 부피를 곱한 양만큼이 대상 농약이 해당 정량투입기(100)로부터 교반통(520)으로 공급된다(S64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정량투입기 110: 농약통
111: 바닥면 112: 정량홀
120: 회전축 121: 배출보조 막대
130: 회전날개 131: 바닥날개
131a: 절곡부 140: 배출연동부
141: 일단부 142: 타단부
143: 중공부 150: 정량배출부
151: 배출구 160: 공기연통부
170: 개폐부 171: 걸림부
172: 구멍 173: 복원스프링
180: 진동모터 181: 스위치
511, 512, 513: 정량투입기 520: 교반통
521: 물 투입구 522: 교반팬
523: 희석농약 배출구 530: 농약정보 획득부
531: DB 540: 제어부
55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1)

  1. 통형으로 형성되되 내측 바닥면에 정량홀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연결된 농약통;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면에 끌리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배출연동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농약통 내에 투입된 농약을 저어주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 및
    상기 농약통의 외측에서 상기 정량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내측으로부터 상기 농약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농약이 상기 배출연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정량배출부
    를 구비하는 정량투입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부에 개폐부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연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폐되어 상기 유입된 농약이 배출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연동부가 회전하다가 상기 배출연동부의 타단부가 상기 정량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출연동부의 타단부의 하부는 상기 정량홀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연동부가 상기 정량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정량배출부에 유입된 농약이 상기 배출연동부와 연동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연동부의 타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정량홀을 둘러쌀 수 있는 위치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배출연동부의 일단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를 경유하여 외기(外氣)가 드나들 수 있는 공기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연동부의 타단부는 상기 배출연동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공부의 앞부분에 제1영역과, 상기 중공부의 뒷부분에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폭은 상기 정량홀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는,
    상기 바닥면에 끌리면서 회전하되 중앙부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하는 바닥날개를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배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정량배출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모터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배출연동부와의 연동으로 온오프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구비된 물 투입구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로부터 농약을 공급받아 물과 농약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통;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 교반대상 농약을 저장한 정량투입기 식별정보 및 교반대상 농약의 필요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농약정보 획득부;
    상기 필요양 대비 해당 정량투입기의 정량배출부의 내부 부피의 비율에 해당하는 회전수만큼 상기 해당 정량투입기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교반대상 농약이 상기 해당 정량투입기로부터 상기 교반통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통은, 액상 농약 또는 분말 농약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장치.
  11. 구비된 회전날개의 회전수에 비례한 양의 농약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를 이용한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투입기에 투입된 농약의 종류, 교반대상 농약을 저장한 정량투입기 식별정보 및 교반대상 농약의 필요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필요양 대비 해당 정량투입기의 1회 배출 부피의 비율에 해당하는 회전수만큼 상기 해당 정량투입기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교반대상 농약이 상기 해당 정량투입기로부터 교반통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KR1020200134538A 2020-10-16 2020-10-16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KR10244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38A KR102443238B1 (ko) 2020-10-16 2020-10-16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38A KR102443238B1 (ko) 2020-10-16 2020-10-16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635A true KR20220050635A (ko) 2022-04-25
KR102443238B1 KR102443238B1 (ko) 2022-09-27

Family

ID=8145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538A KR102443238B1 (ko) 2020-10-16 2020-10-16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2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103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화인테크닉스 분체정량공급기 및 이를 갖는 원료공급장치와분체정량공급방법
KR20130009384A (ko) * 2011-07-15 2013-01-23 박혁진 시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39830A (ko) * 2015-10-02 2017-04-12 박보현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1849854B1 (ko) * 2016-11-30 2018-04-18 강명수 농약 정량 공급기
KR101880064B1 (ko) * 2017-12-11 2018-07-19 주식회사 광진에프에이엔지니어링 혼합재료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103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화인테크닉스 분체정량공급기 및 이를 갖는 원료공급장치와분체정량공급방법
KR20130009384A (ko) * 2011-07-15 2013-01-23 박혁진 시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39830A (ko) * 2015-10-02 2017-04-12 박보현 정량분배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KR101849854B1 (ko) * 2016-11-30 2018-04-18 강명수 농약 정량 공급기
KR101880064B1 (ko) * 2017-12-11 2018-07-19 주식회사 광진에프에이엔지니어링 혼합재료 정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238B1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275Y1 (ko) 농약 교반 분무기
US5213264A (en) Spraying device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JPH09117654A (ja) 攪拌槽の洗浄装置
CN107349857A (zh) 一种无人机用的自动配药箱
KR20070026560A (ko) 계량 및 분배 마개
KR101656821B1 (ko) 용액 혼합 장치
KR101716283B1 (ko) 농약 살포장치용 농약 교반기
KR20030011425A (ko) 농약 자동살포장치
KR20160017882A (ko)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KR102443238B1 (ko) 실시간 농약 정량공급 방법 및 장치
KR20200061323A (ko) 농업용 분무기
CN109663540B (zh) 一种基于液体农药的配兑平台
US6637926B1 (en) Fluid mixing device and fluid injection valve for use therewith
CN209714993U (zh) 一种基于液体农药的配兑平台
CN218290626U (zh) 一种火力电厂冷却水循环加药系统
US4638926A (en) Wettable spray box
JP2001327791A (ja) 洗濯機の洗剤溶解装置
CN203353507U (zh) 一种自动配药喷雾器
CN213528246U (zh) 一种药物研发用原材料溶解设备
CN212328070U (zh) 一种除臭剂混合装置
KR101158783B1 (ko) 약제 정량 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약제 정량 분무장치
US3525315A (en) Animal feeding apparatus
CN216253840U (zh) 一种农业种子用高效拌药装置
CN206435142U (zh) 一种均匀加粉搅拌装置
CN221062425U (zh) 一种农产品种植用药液调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