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113A -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 Google Patents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113A
KR20220050113A KR1020220044113A KR20220044113A KR20220050113A KR 20220050113 A KR20220050113 A KR 20220050113A KR 1020220044113 A KR1020220044113 A KR 1020220044113A KR 20220044113 A KR20220044113 A KR 20220044113A KR 20220050113 A KR20220050113 A KR 2022005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bdominal
foundation
buttocks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961B1 (ko
Inventor
임상우
Original Assignee
임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우 filed Critical 임상우
Priority to KR102022004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9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는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가 상기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수용부는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둔부 패드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둔부 커버가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 개폐 장치가 상기 둔부 커버와 상기 패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둔부 커버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둔부 커버는 각각 제1연장고정부재 및 제2연장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는 끝단에 고정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통홀 내부로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 및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사용 시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에 함침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밴딩부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와 상기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밴딩부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ABDOMINAL BAND INTEGRATED CORRECTIVE UNDERWEAR}
실시예들은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는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보정 속옷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복대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감싼다. 다만, 이러한 보정 속옷은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상승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복대의 형상을 갖는 상술한 보정 속옷은 체형 보정의 효과를 복부에만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하여 체형 보정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용자 전신에 대하여 체형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보정 속옷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으며, 특히 남성용 보정 속옷 중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한 체형 보정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보정 속옷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체형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남성용 보정 속옷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는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가 상기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수용부는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둔부 패드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둔부 커버가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 개폐 장치가 상기 둔부 커버와 상기 패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둔부 커버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둔부 커버는 각각 제1연장고정부재 및 제2연장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는 끝단에 고정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통홀 내부로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 및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사용 시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에 함침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밴딩부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와 상기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밴딩부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는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한다.
복부 파운데이션부는 사용자의 신체 중 복부를 감싸 복부를 보온하는 동시에 복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 사용자의 둔부 및 다리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의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남성용 보정 속옷을 착용하더라도 이물감이 없으며, 보정 속옷 외부의 겉옷에 드러나지 않아 효율적으로 착용이 은폐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는 또한 둔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패드의 삽입을 선택하고, 둔부 패드의 삽입에 따라 둔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한 체형 보정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의 활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의 또 다른 활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의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는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는 신축성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신체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보온 기능을 갖거나 발열 기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115)가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밴딩부(115)의 탄성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탄성보다 높을 수 있다. 밴딩부(115)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밴딩부(115)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에게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밴딩부(115)의 탄성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에게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싼다. 즉,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남성의 생식기 및 다리 일부를 감싸는 팬티의 형상일 수 있다.
하체 파운데이션부(120) 중 사용자의 다리 일부를 감싸는 부분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무릎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둔부로부터 무릎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되는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의 연장 길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보온 및 보정 효과가 제공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또한 심리스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가 심리스 공법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를 이물감 없이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심리스 공법에 의하여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 외부의 겉옷에 드러나지 않아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의 착용이 은폐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정 내의(100)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정 내의(100)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정 내의(100)을 뒤집었을 때의 정면도이다. 즉, 도 2에서 외측에 배치되도록 도시된 부분은 사용자가 보정 내의(1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내측에 배치되도록 도시된 부분은 사용자가 보정 내의(100)를 착용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100)의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전방에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1211)가 형성된 외피(121) 및 외피(121)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신체 국부를 감싸는 내피(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의 외피(121)에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1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생리 현상 시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관통부(1211)를 통과할 수 있다.
내피(122)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와 접촉할 수 있다. 내피(122)의 적어도 일부는 외피(121)에 부착되며 내피(122)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가 관통부(121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내피(122)는 변형된 후 다시 복원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피(122)의 모서리 중 일부만이 외피(12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 시 내피(122)를 파지하여 가압함으로써 변형시킬 수 있다. 내피(122)가 변형됨에 따라 사용자의 국부는 내피(122)를 지나쳐 외피(121)로 접근할 수 있으며, 외피(121)의 관통부(1211)를 통과하여 보정 속옷(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정 내의(100)의 외피(121)를 구성하는 제 1 소재와 내피(122)를 구성하는 제 2 소재는 서로 상이한 소재일 수 있다. 이때, 제 2 소재는 사용자의 신체 국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메쉬(mesh) 소재일 수 있다. 외기는 외피(121)의 관통부(1211)를 통하여 내피(122)의 메쉬 소재를 통과할 수 있다. 외기가 내피(122)의 메쉬 소재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국부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국부 부분에 쾌적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100)의 배면도이다.
일 실시에에 관한 보정 내의(100)에서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116)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조절부(116)는 사용 시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함침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통하여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함으로써 복부에 대한 압박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통해 밴딩부(115)의 탄성을 상승시킴으로써 복부 파운데이션부(110)가 보다 긴밀하게 사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상부가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통해 밴딩부(115)의 탄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복부 파운데이션부(110)가 사용자의 복부를 압박시키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하게 보정 내의(100)를 착용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사용 시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조절하기 위해 탄성 조절부(116)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이후 탄성 조절부(116)를 통하여 밴딩부(115)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사용 후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함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탄성 조절부(116)를 사용한 후 탄성 조절부(116)를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 조절부(116)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탄성 조절부(116)를 고정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탄성 조절부(116)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 함침된 후, 밴딩부(11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 조절부(116)를 고정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밴딩부(115)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116a)와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밴딩부(115)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115)의 제 1 외주와 제 2 외주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외주와 제 2 외주의 이격 거리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1 외주와 제 2 외주의 이격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밴딩부(115)가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를 덮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제 1 탄성 조절부(116a)는 밴딩부(115)의 제 1 외주를 감싸 제 1 외주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고, 제 2 탄성 조절부(116b)는 밴딩부(115)의 제 2 외주를 감싸 제 2 외주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외주와 제 2 외주의 탄성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보정 효과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탄성 조절부(116)는 복수 개로서, 탄성 조절부의 개수는 상술한 2 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100)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의 활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100)에서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커버(125)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200)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둔부 커버(125)는 패드 수용부(126)를 개폐하며, 사용자는 보정 내의(100)의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에는 형성된 둔부 커버(125)를 통하여 패드 수용부(126)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둔부 커버(125)를 개방함으로써 패드 수용부(126)에 접근할 수 있으며, 패드 수용부(126)에 둔부 패드(200)를 삽입할 수 있다.
둔부 패드(200)는 패드 수용부(126)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패드(200)를 패드 수용부(126)에 삽입한 후, 이후 둔부 커버(125)를 폐쇄할 수 있다. 둔부 패드(200)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둔부 패드(200)의 높이, 형상, 및,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보정 내의(100)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다.
한편, 둔부 패드(200) 내부에는 둔부 패드(200)의 형상을 지탱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둔부의 라인 형상을 따라 다수개의 형상기억합금 소재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20도 - 40도 사이,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사람의 체온 범위 내에서의 형상을 기억하는 소재로 구성된다. 다만 착용하였을 때 불편하지 않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력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통해 둔부의 라인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패드 수용부(126)는 하체 파운데이션부(12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둔부 패드(200)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둔부 패드(200)를 패드 수용부(126) 중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둔부 패드(2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에 따라 둔부의 높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둔부 커버(125)가 패드 수용부(126)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125) 개폐 장치가 둔부 커버(125)와 패드 수용부(12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둔부 커버(125)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개폐 장치(1251)는 벨크로 테잎일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커버(125)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벨크로 테잎 사이를 이격시켜 패드 수용부(126)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 수용부(126)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패드 수용부(126)에 둔부 패드(200)를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둔부 패드(200)를 삽입한 후, 사용자는 둔부 커버(125)와 패드 수용부(126) 사이에 형성된 벨크로 테잎을 결합함으로써 패드 수용부(126)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100)의 정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정 내의(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사용자의 어깨로 연장되는 어깨 파운데이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깨 파운데이션부(130)는 어깨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깨 커버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어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어깨 패드가 삽입 가능한 어깨 패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어깨 커버는 어깨 패드 수용부를 개폐하며, 사용자는 보정 내의(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에는 형성된 어깨 커버를 통하여 어깨 패드 수용부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깨 커버를 개방함으로써 어깨 패드 수용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어깨 패드 수용부에 어깨 패드를 삽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보정 내의(100)은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110) 및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를 포함한다.
복부 파운데이션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복부를 감싸 복부를 보온하는 동시에 복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 사용자의 둔부 및 다리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보정 내의(100)의 복부 파운데이션부(110)와 하체 파운데이션부(120)는 일체로 형성되며,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정 내의(100)을 착용하더라도 이물감이 없으며, 보정 내의(100) 외부의 겉옷에 드러나지 않아 효율적으로 착용이 은폐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보정 내의(100)는 또한 둔부 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둔부 커버(125)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200)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둔부 패드(200)의 삽입을 선택하고, 둔부 패드(200)의 삽입에 따라 둔부에 대한 신체 보정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복부에 대한 압박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신체의 소정 부분에 대한 체형 보정 효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일부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둔부 커버(125)가 커버 개폐 장치(1251)에 의해 패드 수용부(126)를 폐쇄시킨 경우, 사용자의 활동에 의해 커버 개폐 장치(1251)의 결합이 풀리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각각의 둔부 커버(125)는 둔부 커버(125)의 상단 부분에 연장고정부재(127)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고정부재(127)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커버 개폐 장치(1251)를 통해 수용부(126)가 폐쇄되면, 좌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가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좌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 사이의 결합을 통해 커버 개폐 장치(1251)가 개방되더라도 둔부 커버(125)가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묶음 방식, 벨크로 방식, 단추 방식, 후크결합 방식, 자석 방식 등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좌측의 연장고정부재(127)는 끝단에 고정관통홀(128)을 포함한다. 고정관통홀(128) 내부로 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고정관통홀(128) 내부로 삽입된 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의 끝단은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연장 초입부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표면에 점선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의 연장고정부재(127)가 고정관통홀(12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점선을 따라 접힐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우측 연장고정부재(127) 끝단이 우측연장고정부재(127)의 다른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끝단과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연장 초입부 사이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결합부(129)를 통해 두 구성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끝단에 제1자석부(129a)가 형성되고, 우측 연장고정부재(127)의 연장 초입부에 제2자석부(129b)가 형성된다. 우측 연장고정부재(127)가 고정관통홀(128)을 통과한 후 제1자석부(129a)와 제2자석부(129b)가 자성결합됨으로써 좌우측 연장고정부재(127)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커버 개폐 장치(1251)의 결합이 해제되더라도 고정결합부(129)에 의해 둔부 패드(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결합부(129)는 벨크로 방식, 단추 방식, 후크결합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결합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자성 결합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자석의 크기를 작고 평평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누웠을 때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 사용자의 복부를 보온하며 신체 보정 기능을 갖는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체 일부를 감싸는 하체 파운데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상부 말단에는 밴딩부가 상기 상부 말단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와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 및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심리스(seamless) 공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는 후방에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둔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둔부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둔부 패드가 삽입 가능한 패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수용부는 상기 하체 파운데이션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둔부 패드가 개별적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둔부 커버가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둔부 커버 개폐 장치가 상기 둔부 커버와 상기 패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둔부 커버 개폐 장치는 스냅 단추, 후크, 지퍼, 벨크로 테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둔부 커버는 각각 제1연장고정부재 및 제2연장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는 끝단에 고정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통홀 내부로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고정부재 및 상기 제2연장고정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부가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사용 시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로부터 노출되고, 사용 후 상기 복부 파운데이션부에 함침되고,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밴딩부의 제 1 외주를 감싸는 제 1 탄성 조절부와 상기 제 1 외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밴딩부의 제 2 외주를 감싸는 제 2 탄성 조절부를 포함하는,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KR1020220044113A 2020-03-17 2022-04-08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KR10242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13A KR102426961B1 (ko) 2020-03-17 2022-04-08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77A KR102386307B1 (ko) 2020-03-17 2020-03-17 복대 일체형 남성용 보정 하의 내의
KR1020220044113A KR102426961B1 (ko) 2020-03-17 2022-04-08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77A Division KR102386307B1 (ko) 2020-03-17 2020-03-17 복대 일체형 남성용 보정 하의 내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113A true KR20220050113A (ko) 2022-04-22
KR102426961B1 KR102426961B1 (ko) 2022-07-29

Family

ID=77925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77A KR102386307B1 (ko) 2020-03-17 2020-03-17 복대 일체형 남성용 보정 하의 내의
KR1020220044113A KR102426961B1 (ko) 2020-03-17 2022-04-08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77A KR102386307B1 (ko) 2020-03-17 2020-03-17 복대 일체형 남성용 보정 하의 내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63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305A (ja) * 2001-06-21 2003-01-08 Rose Madam Honpo Kk 簡単調節機能付きパンツ
KR200322640Y1 (ko) * 2003-04-28 2003-08-14 어준호 탈, 착식 힙 패드를 구비한 거들
KR200430682Y1 (ko) * 2006-04-17 2006-11-10 정미진 기능성 팬티
KR20150063942A (ko) * 2013-12-02 2015-06-10 텍스트라 컴퍼니 리미티드 다양한 곡률 및 신축성을 갖는 무재봉 코르셋
WO2015133853A1 (ko) * 2014-03-06 2015-09-11 조은효 바디라인 쉐이핑용 언더웨어
KR200479786Y1 (ko) * 2015-11-25 2016-03-08 김태진 복부 보온 기능을 갖는 복대 일체형 팬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403A (ja) * 1994-08-09 1996-03-05 Hamore:Kk パッド付き着衣
KR200476391Y1 (ko) 2014-09-22 2015-02-25 엠코르셋 주식회사 힙업 팬티
KR200485573Y1 (ko) * 2016-08-23 2018-01-29 남훈균 남성용 기능성 팬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305A (ja) * 2001-06-21 2003-01-08 Rose Madam Honpo Kk 簡単調節機能付きパンツ
KR200322640Y1 (ko) * 2003-04-28 2003-08-14 어준호 탈, 착식 힙 패드를 구비한 거들
KR200430682Y1 (ko) * 2006-04-17 2006-11-10 정미진 기능성 팬티
KR20150063942A (ko) * 2013-12-02 2015-06-10 텍스트라 컴퍼니 리미티드 다양한 곡률 및 신축성을 갖는 무재봉 코르셋
WO2015133853A1 (ko) * 2014-03-06 2015-09-11 조은효 바디라인 쉐이핑용 언더웨어
KR200479786Y1 (ko) * 2015-11-25 2016-03-08 김태진 복부 보온 기능을 갖는 복대 일체형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961B1 (ko) 2022-07-29
KR20210115930A (ko) 2021-09-27
KR102386307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9368C (en) Men's garment with pouch and supporting flap
JP2017053071A (ja) サポート下着
KR101268114B1 (ko) 남성용 기능성 속옷
KR200430682Y1 (ko) 기능성 팬티
US3963022A (en) Comfort athletic supporter
KR200471308Y1 (ko) 남성용 팬티
KR200473136Y1 (ko) 남성용 팬티
KR101888116B1 (ko) 위생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KR102426961B1 (ko) 복대 일체형 보정 내의
KR20190084534A (ko) 남성용 팬티
JP2020521890A (ja) 衣服
KR20210115932A (ko) 남성용 보정 상의 내의
KR20210115931A (ko) 남성용 보정 속옷
KR200447180Y1 (ko) 체형 교정을 위한 속옷
KR101899219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93298Y1 (ko) 남성용 기능성 속옷
US20050278831A1 (en) Garment for enhancing male sexual performance
KR20210090783A (ko) 비뇨기과, 치질 환자용 및 생리, 요실금 팬티와 t 팬티
US20120151662A1 (en) Hygienic underpants
KR19990017472U (ko) 음랑보호대
KR200475693Y1 (ko) 남성용 팬티
CN2556945Y (zh) 一种男性保健内裤
US20170099881A1 (en) Mens underwear brief
KR200482389Y1 (ko) 브래지어
KR102664028B1 (ko) 성기능 보조구를 연결할 수 있는 성기능 보조 연결구가 부착되는 기능성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