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622A -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622A
KR20220048622A KR1020200131714A KR20200131714A KR20220048622A KR 20220048622 A KR20220048622 A KR 20220048622A KR 1020200131714 A KR1020200131714 A KR 1020200131714A KR 20200131714 A KR20200131714 A KR 20200131714A KR 20220048622 A KR20220048622 A KR 2022004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battery cells
battery module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철호
윤미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622A/en
Publication of KR2022004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14Arrangements for moving electrodes or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A battery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an exterior material,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exterior material, and an electrolyte; and a regene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which is configured to filter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re-inject the filtered electrolyte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Description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일반적인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A general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cell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etc. or electric vehicles. In particula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about 3.6V, has about three times the capacity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hydrogen battery, which are often used as power sources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There is a trend of explosive increase in severity.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조를 가진 단위 셀의 집합체인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밀봉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와 상기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액을 포함한다.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which is an assembly of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to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applied, respectively,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exterior case for sealing and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impregnat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containing electrolyte.

이차전지는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전해액의 변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기여할 수 있는 전해액의 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과 용량 유지율이 저하되어 교체를 하거나 폐기 시켜야 하지만 과도한 비용에 의해 경제적 손실이 크게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재사용(reuse) 및 수명개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In the secondary battery, as the charge/discharge cycle is repeated, the electrolyte solution is degenerated. Therefore, as the amount of electrolyte that can contribute to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decreases over time, the charging/discharging efficiency and capacity retention rate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lowered, so it must be replaced or discarded. As part of this, research on reuse and lifespan improvement is being actively conduct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해액 순환구조를 적용한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to which an electrolyte circulation structure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해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an electrolyte stat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capable of improving lifespa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외장재와, 상기 외장재 내부에 수용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전해액을 여과하는 재생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배출된 전해액을 여과하되, 상기 여과된 전해액을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 재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재생장치;를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a casing and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ccommodated inside the casing; and a regene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regeneration device configured to filter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re-inject the filtered electrolyte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상기 재생장치는, 전해액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과 상기 재생장치를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genera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lyte circulates betwe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regeneration device.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layback device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을 가이드하는 아웃렛가이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 전해액 주입을 가이드하는 인렛가이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이 투과하되, 투과되는 전해액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갖는 재생유닛으로서, 상기 아웃렛가이드와 상기 인렛가이드를 연결되어 전해액을 순환시키는 재생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yback device may include: an outlet guide for guiding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 inlet guide for guiding electrolyte injection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electrolyt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generation unit having a filtration member for filtering the transmitted electrolyte, the regeneration unit connecting the outlet guide and the inlet guide to circulate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include.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전해액이 상기 아웃렛가이드와, 상기 여과부재와, 상기 인렛가이드를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 재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genera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passes through the outlet guide, the filtering member, and the inlet guide sequentially and re-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아웃렛가이드와 상기 인렛가이드와 연결되는 전해액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유닛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유동경로를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unit case forming a flow path of the electrolyte connected to the outlet guide and the inlet guide, and the filter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flow path on the flow path.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유동경로를 유동하는 전해액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ing member may include a membrane selectively adsorbing the gas of the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상기 유닛케이스는, 상기 멤브레인에 의해 흡수된 전해액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case may include a gas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of the electrolyte absorbed by the membrane.

상기 멤브레인은, 제올라이트 멤브레인(Zeolite membrane), 폴리머 멤브레인(Polymer membrane), 실리카 멤브레인(Silica membrane), 페로브스카이트 멤브레인(Perovskite membr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bra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zeolite membrane, a polymer membrane, a silica membrane, and a perovskite membrane.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유동경로로 새로운 전해액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전해액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lyte supply unit configured to inject a new electrolyte into the flow path.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전해액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해액이 상기 여과부재를 지나 상기 유동경로를 유동하는 전해액과 합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passes through the filtering member and merges with the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전해액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해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닛케이스에 형성된 공급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공급홀을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ge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hole formed in the unit case so that the supply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flows in, and the filter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supply hole.

상기 아웃렛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배출관; 상기 복수의 서브배출관과 상기 재생유닛을 연결하는 메인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렛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주입관; 상기 복수의 서브주입관과 상기 재생유닛을 연결하는 메인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gui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discharge pip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 main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and the regeneration unit, wherein the inlet guide includes: a plurality of sub injection pip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t may include; a main injection tub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and the regeneration unit.

상기 복수의 서브주입관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higher position than a por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are connect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해액 재생구조를 적용하여, 배터리모듈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span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improved by applying the electrolyte regen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할 수 있어서, 배터리셀의 스웰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배터리모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ga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swelling of the battery cell,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아웃렛가이드, 인렛가이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재생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여과부재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attery cell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ttery cell, an outlet guide, and an inlet guid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regeneration uni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iltering member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part", "~ group", "~ block", "~ member", and "~ module"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the terms may refer to at least one hardware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t least one software stored in a memory, or at least one process processed by a processor. there i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matt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모듈(1)은 모듈하우징(10)과, 모듈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배터리셀(20, 도 3, 4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하우징(10)은 그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셀(20)이 배치되는 배치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셀(20)은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셀(20)은 하나의 배터리적층체(22, 도 2 참고)를 구성할 수 있다. 배터리적층체(22)는 복수의 배터리셀(20)이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1 may include a modul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refer to FIGS. 3 and 4 ) provided inside the module housing 10 . The module housing 10 may form an arrangement space 12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re dispose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may constitute one battery stacked body 22 (refer to FIG. 2 ). The battery stacked body 22 may be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re stacked.

배터리모듈(1)은 재생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1 may include a playback device 30 .

재생장치(30)는 배터리적층체(22)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생장치(30)는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을 여과하여, 여과된 전해액을 복수의 배터리셀(20)로 재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재생장치(30)는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존 전해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전해액을 복수의 배터리셀(20)로 공급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킬 수 있다. The regeneration device 30 may be configured to regenerate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constituting the battery stack 22 . The regeneration device 30 filters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is configured to re-inject the filtered electrolyte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at is, the regeneration device 30 may filter the existing electrolyte so as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and circulate the electrolyte to supply the filtered electrolyte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재생장치(30)는 아웃렛가이드(40), 인렛가이드(50), 재생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ayback device 30 may include an outlet guide 40 , an inlet guide 50 , and a playback unit 60 .

아웃렛가이드(40)는 복수의 배터리셀(2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렛가이드(50)는 복수의 배터리셀(20)로의 전해액 주입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utlet guide 40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e inlet guide 50 may be configured to guide electrolyte injection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재생유닛(60)은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를 연결하되, 아웃렛가이드(40)에 의해 배출되는 전해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전해액을 인렛가이드(50)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셀(20)로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unit 60 connects 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 but filters the electrolyte discharged by the outlet guide 40 , and transfers the filtered electrolyte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rough the inlet guide 50 . (20) can be configured to inject.

재생장치(30)는 복수의 배터리셀(2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셀(20)이 동작 중에 재생장치(3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의 배터리셀(20)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재생장치(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재생장치(30)는 복수의 배터리셀(2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해액의 순환 및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재생장치(30)는 하나의 모듈로서 복수의 배터리셀(2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가 복수의 배터리셀(20)과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재생작업시 재생유닛(60)이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재생장치(30)와 복수의 배터리셀(20)의 분리 및 조립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playback device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may be connected to the playback device 30 during operation, or may be connected to the playback device 30 while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is stopped. The regeneration device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so that the circul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electrolyte can be performed. The playback device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s a single module, and 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ar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and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during the regeneration operation. Separation and assembly structures of the playback device 30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re not limi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아웃렛가이드, 인렛가이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cell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ttery cell, an outlet guide, and an inlet guid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배터리셀(20)은 전극탭(25a, 25b)이 마련되는 전극조립체(미도시)와, 전극탭(25a, 25b)이 인출된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24)의 내부에는 전극조립체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셀(20)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외장재(24)에 의해 감싸지는 파우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2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on which the electrode tabs 25a and 25b are provided, and a casing 24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from which the electrode tabs 25a and 25b are drawn out. An electrolyte solution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ing 24 . The battery cell 20 may be formed in a pouch typ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re wrapped by the exterior material 24 .

배터리셀(20)은 전극조립체와 연결된 양극탭(25a) 및 음극탭(25b)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롤 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젤리-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스택킹 형태일 수도 있다. 양극탭(25a) 및 음극탭(25b)은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의 양 단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극탭(25a) 및 음극탭(25b)은 전극조립체의 일단에서 상호 이격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극탭이 전극조립체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battery cell 2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ab 25a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25b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in the form of a jelly-roll wound in a spiral shape by interposing a roll-shaped separator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tacking type in which positive plates, separators, and negative plate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positive electrode tab 25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25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respectively, and may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25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25b may protrude apart from each other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electrode tabs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will be described.

외장재(24)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24)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은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를 하는 동시에, 혹독한 열적 환경과 기계적 충격을 견디기 위함일 수 있다. 그러나 외장재(24)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The exterior material 24 may include aluminum. The use of aluminum for the exterior material 24 may be to reduce the size, weight, and thickness while at the same time withstand a harsh thermal environment and mechanical shock. However, the material of the exterior material 24 is not limited.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는 복수의 배터리셀(20)과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셀(20) 내부에 위치한 전해액의 배출을 가이드하거나, 전해액의 주입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are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electrolyte located insid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or to guide the injection of the electrolyte.

아웃렛가이드(40)는 메인배출관(44)과,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guide 40 may include a main discharge pipe 44 and a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은 복수의 배터리셀(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은 복수의 배터리셀(20)과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 배출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메인배출관(44)은 복수의 서브배출관(42)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배출관(44)은 복수의 서브배출관(42)에 의해 배출되는 전해액을 재생유닛(60)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은 일측이 복수의 배터리셀(20)과 연결되며, 타측이 메인배출관(4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discharge pipe 44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 The main discharge pipe 44 is configured to guide the electrolyte discharged by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to the regeneration unit 60 . That is,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discharge pipe 44 .

인렛가이드(50)는 메인주입관(54)과,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let guide 50 may include a main injection tube 54 and a plurality of sub injection tubes 52 .

메인주입관(54)은 복수의 서브주입관(52)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주입관(54)은 재생유닛(60)에 의해 여과된 전해액을 복수의 배터리셀(20)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The main injection tube 54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b injection tubes 52 . The main injection pipe 54 is configured to guide the electrolyte filtered by the regeneration unit 60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은 메인주입관(54)과, 복수의 배터리셀(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은 메인주입관(54)에 의해 가이드되는 여과된 전해액을 각 배터리셀(20)로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 injection tubes 52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injection tube 54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e plurality of sub injection tubes 52 may be configured to inject the filtered electrolyte guided by the main injection tube 54 into each battery cell 20 .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은 복수의 배터리셀(20)에서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이 연결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터리셀(20)에서 전해액이 배출되는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은 전해액이 주입되는 복수의 서브주입관(52)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셀(20)의 내부로 서브주입관(52)을 통해 여과된 전해액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배터리셀(20)의 전체적으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20)의 외부로 서브배출관(42)을 통해 전해액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higher position than a por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are connect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at is,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may be disposed below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is, the electrolyte solution filtered through the sub-injection tube 52 is injected into the battery cell 20 so that the entire battery cell 20 is spread.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smoothly discharged by gravity while the electrolyte is discharged through the sub discharge pipe 42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20 .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은 복수의 배터리셀(20)에서 복수의 서브배출관(42)과 대각선으로 상호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은 복수의 배터리셀(20)에서 일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은 복수의 배터리셀(20)에서 타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서브주입관(52)으로부터 복수의 서브배출관(42)에 이르는 경로를 최대한 길게 함으로서, 복수의 배터리셀(20)내의 전해액 중 유동하는 전해액의 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배터리셀(20) 내에서 유동하지 않고 정체된 전해액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in a diagonal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disposed on on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and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 Through this configuration, by making the path from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to the plurality of sub-discharging tubes 42 as long as possible, the ratio of the flowing electrolyte among the electrolytes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can be maximized. That 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tagnant electrolyte solution without flowing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용량이 동일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므로, 복수의 서브배출관(42)과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을 통해 유동하는 전해액의 유동양이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전해액의 유동양은 상호 동일할 수 있으며, 메인주입관(54)에서 분배되어 복수의 서브주입관(52)으로 유동하는 전해액의 유동양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ase where the capacity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is the same will be describe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and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the same. . That is, the flow amount of the electrolyt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may be the same, and the flow amount of the electrolyte distributed from the main injection tube 54 and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the same. can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서브배출관(42)과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을 유동하는 전해액의 유동량은 상호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터리셀(20)이 상호간에 용량 또는 크기를 달리한 경우에, 복수의 서브배출관(42)과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을 통해 유동하는 전해액 유동양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제어방법 또는 복수의 배터리셀(20) 의 배치등으로 인해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셀에서 가스발생이 많은 경우, 복수의 서브배출관(42)과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을 유동하는 전해액 유동양을 상호 달리하도록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and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have different capacities or sizes, the amount of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tubes 42 and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52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when there is a lot of gas generation in at least some of the battery cells due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o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and the plurality of sub injection pipes ( 52) may be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unit (not shown) so as to vary the amount of electrolyte flowing through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재생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여과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regeneration uni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filtering member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생유닛(60)은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전해액을 다시 복수의 배터리셀(20)로 공급할 수 있다. 재생장치(30)는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이 아웃렛가이드(40)와, 이후 설명하는 여과부재(70)와 인렛가이드(50)를 순차적으로 지나 복수의 배터리셀(20)로 재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생유닛(60)은 전해액이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의 예는 한정되지 않으며, 전해액이 재생장치(30)와 복수의 배터리셀(20)을 유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The regeneration unit 60 may filter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supply the filtered electrolyte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gain. The regeneration device 30 sequentially passes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through the outlet guide 40 and the filtration member 70 and the inlet guide 5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troduced.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circulate the electrolyt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ump. However, the example of the driving unit is not limited, and if the electrolyte is configured to flow through the regeneration device 30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is is satisfied.

재생유닛(60)은 복수의 배터리셀(20)과 함께 도 2와 같이, 모듈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재생유닛(60)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재생유닛(60)은 모듈케이스의 외부에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재생유닛(60)이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셀(20)과 연결되어 전해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The regeneration unit 60 may be disposed in the module housing 10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s shown in FIG. 2 .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regeneration unit 60 is not limited, and for example,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be detachably arranged outside the module case from 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 If the regeneration unit 6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through 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to circulate the electrolyte, this is satisfied.

재생유닛(60)은 유닛케이스(62)와, 유닛케이스(62) 내부에 배치되는 여과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include a unit case 62 and a filtration member 70 disposed inside the unit case 62 .

유닛케이스(62)는 아웃렛가이드(40)의 메인배출관(44)과, 인렛가이드(50)의 메인주입관(54)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닛케이스(62)는 그 내부에 전해액이 유동하는 유동공간(62a)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닛케이스(62)는 유동공간(62a)상에 아웃렛가이드(40)와 인렛가이드(50)와 연결되어 전해액이 유동하는 유동경로(P)를 형성할 수 있다. The unit case 6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discharge pipe 44 of the outlet guide 40 and the main injection pipe 54 of the inlet guide 50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nit case 62 may have a flow space 62a in which the electrolyte flows. In addition, the unit case 62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guide 40 and the inlet guide 50 on the flow space 62a to form a flow path P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flows.

여과부재(70)는 복수의 배터리셀(2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이 투과하되, 투과되는 전해액을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과부재(70)는 도 5, 6에서의 A와 같이 배출되는 전해액 중 포함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되는 가스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재(70)는 전해액의 유동경로(P)를 가로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생유닛(60)으로 유입되는 전해액은 모두 여과부재(70)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ration member 70 transmits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but may be configured to filter the transmitted electrolyte. The filtering member 70 may remove gas contained in the discharged electrolyte as shown in A in FIGS. 5 and 6 . The gas to be removed may include carbon dioxide. The filtering member 70 may be disposed to block the flow path P of the electrolyte. Through this, all of the electrolyte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ltering member 70 .

여과부재(70)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전해액에 포함된 가스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제올라이트 멤브레인(Zeolite membrane), 폴리머 멤브레인(Polymer membrane), 실리카 멤브레인(Silica membrane), 페로브스카이트 멤브레인(Perovskite membrane)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유닛(60)으로 유입되는 전해액은 유동경로(P)를 따라 유동하며 멤브레인을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전해액의 유동과정에서 전해액으로부터 가스를 흡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ing member 70 may include a membrane. The membrane can selectively adsorb the ga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The type of the membrane is not limited, and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y one of a zeolite membrane, a polymer membrane, a silica membrane, and a perovskite membrane. The electrolyte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flow along the flow path P and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membrane. The membrane may be configured to adsorb gas from the electrolyte during the flow of the electrolyte.

재생유닛(60)은 가스배출홀(64)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unit 60 may include a gas discharge hole 64 .

가스배출홀(64)은 여과부재(70)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과부재(70)에 의해 흡착된 가스는 가스배출홀(64)을 통해 재생유닛(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배출홀(64)은 유닛케이스(62)상에 배치되되, 여과부재(70)와 연결되어 여과부재(70)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as discharge hole 64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ltering member 70 . The gas adsorbed by the filtering member 7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generation unit 60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64 . The gas discharge hole 64 may be disposed on the unit case 62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ing member 70 so that the gas filtered by the filtering member 70 can be discharged.

재생유닛(60)은 전해액공급부(66)와 공급홀(68)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generation unit 60 may include an electrolyte supply unit 66 and a supply hole 68 .

전해액공급부(66)는 유닛케이스(62)로 새로운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과부재(70)에 의해 전해액으로부터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또는 전해액이 복수의 배터리셀(20)과 재생장치(30)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전해액은 일부가 소멸될 수 있다. 전해액공급부(66)는 새로운 전해액을 재생유닛(6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생유닛(60)은 기존의 순환되는 전해액과, 공급되는 전해액을 함께 복수의 배터리셀(20)로 공급함으로서, 전해액의 총량을 유지할 수 있다. 전해액공급부(66)는 공급하는 공급전해액이 여과부재(70)를 지나 유동경로(P)를 유동하는 전해액과 합류되게 유동(J)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해액공급부(66)는 그 배치가 한정되지 않으며, 유닛케이스(62) 내부의 유동공간(62a)으로 새로운 전해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The electrolyte supply unit 66 is configured to supply a new electrolyte to the unit case 62 . In the process of removing gas from the electrolyte by the filtration member 70 or in the process of the electrolyte circulating through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and the regeneration device 30 , some of the electrolyte may be lost. The electrolyte supply unit 66 may supply a new electrolyte into the regeneration unit 60 . Through this, the regeneration unit 60 supplies the existing circulating electrolyte and the supplied electrolyte together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 thereby maintaining the total amount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supply unit 66 may be configured to flow (J) so that the supplied electrolyte flows through the filtration member 70 and merges with the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P).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yte supply unit 66 is not limited, and it is satisfied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supply a new electrolyte to the flow space 62a inside the unit case 62 .

공급홀(68)은 전해액공급부(66)를 통해 공급되는 전해액이 유닛케이스(6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유닛케이스(62)상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급홀(68)은 유닛케이스(62)상에 배치되되, 공급홀(68)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액은 여과부재(70)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급홀(68)은 공급되는 전해액의 유동경로(P)상에 여과부재(7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액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가스를 제거함으로서, 전해액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모듈(1)의 전체적인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pply hole 68 may be provided on the unit case 62 so that the electrolyte supplied through the electrolyte supply unit 66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unit case 62 . The supply hole 68 is disposed on the unit case 62 , and the electrolyt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hole 68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lter member 70 . That is, the supply hole 68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ltering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flow path P of the supplied electrolyte. By removing the ga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uppli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quality of the electrolyte can be improved, and the overall lifespan of the battery module 1 can be improved.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전해액재생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lyte regeneration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전해액은 아웃렛가이드(40)의 복수의 서브배출관(42), 메인배출관(44)을 통해 재생유닛(6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unit 60 through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42 and the main discharge pipes 44 of the outlet guide 40 .

재생유닛(60)으로 유입된 전해액은 유동경로(P)상에 배치되는 여과부재(70)를 지나며 가스가 제거될 수 있다. 제거된 가스는 가스배출홀(64)을 통해 재생유닛(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unit 60 may pass through the filtration member 70 disposed on the flow path P, and the gas may be removed. The removed ga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generation unit 60 through the gas discharge hole 64 .

가스가 제거된 전해액은 인렛가이드(50)의 메인주입관(54), 복수의 서브주입관(52)을 통해 복수의 배터리셀(2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셀(20) 내부의 전해액을 실질적으로 초기상태와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서, 복수의 배터리셀(20)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which the gas has been removed may be re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through the main injection tube 54 and the plurality of sub injection tubes 52 of the inlet guide 50 . Through this, by maintaining the electrolyte insid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itial state, the lifespa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 can be improved.

또한 전해액공급부(66)는 순환되는 전해액에 합류되는 새로운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모되는 전해액을 보충함으로서, 유동하는 전해액의 총량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supply unit 66 may supply a new electrolyte that is joined to the circulating electrolyte. By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consumed through this, the total amount of the flowing electrolyte can be maintain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 배터리모듈 10 : 모듈하우징
20 : 배터리셀 22 : 배터리적층체
30 : 재생장치 40 : 아웃렛가이드
42 : 서브배출관 44 : 메인배출관
50 : 인렛가이드 52 : 서브주입관
54 : 메인주입관 60 : 재생유닛
62 : 유닛케이스 64 : 가스배출홀
66 : 전해액공급부 68 : 전해액공급홀
70 : 여과부재
1: battery module 10: module housing
20: battery cell 22: battery stacked body
30: playback device 40: outlet guide
42: sub discharge pipe 44: main discharge pipe
50: inlet guide 52: sub injection pipe
54: main injection pipe 60: regeneration unit
62: unit case 64: gas discharge hole
66: electrolyte supply unit 68: electrolyte supply hole
70: filtration member

Claims (14)

외장재와, 상기 외장재 내부에 수용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전해액을 여과하는 재생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배출된 전해액을 여과하되, 상기 여과된 전해액을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 재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a casing and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ccommodated inside the casing;
a regene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electroly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regeneration device configured to filter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re-inject the filtered electrolyte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전해액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과 상기 재생장치를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yback device is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circulate an electrolyte solu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playback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yback device is
A battery modul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을 가이드하는 아웃렛가이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 전해액 주입을 가이드하는 인렛가이드;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이 투과하되, 투과되는 전해액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갖는 재생유닛으로서, 상기 아웃렛가이드와 상기 인렛가이드를 연결되어 전해액을 순환시키는 재생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yback device is
an outlet guide for guiding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 inlet guide for guiding electrolyte injection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a regeneration unit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passes, but having a filtration member for filtering the permeated electrolyte, and a regeneration unit connecting the outlet guide and the inlet guide to circulate the electroly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전해액이 상기 아웃렛가이드와, 상기 여과부재와, 상기 인렛가이드를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로 재유입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ayback device is
A battery module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s re-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outlet guide, the filtering member, and the inlet gu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아웃렛가이드와 상기 인렛가이드와 연결되는 전해액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유닛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유동경로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ayback unit is
Including; a unit case forming a flow path of the electrolyte connected to the outlet guide and the inlet guide;
The filter member,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block the flow path on the flow pa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유동경로를 유동하는 전해액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lter member,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membrane for selectively adsorbing the gas of the electrolyte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케이스는,
상기 멤브레인에 의해 흡수된 전해액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홀;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nit case is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gas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of the electrolyte absorbed by the membran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제올라이트 멤브레인(Zeolite membrane), 폴리머 멤브레인(Polymer membrane), 실리카 멤브레인(Silica membrane), 페로브스카이트 멤브레인(Perovskite membr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mbrane is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zeolite membrane, a polymer membrane, a silica membrane, and a perovskite membra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유동경로로 새로운 전해액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전해액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layback unit is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lyte supply unit configured to inject a new electrolyte into the flow path.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전해액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해액이 상기 여과부재를 지나 상기 유동경로를 유동하는 전해액과 합류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yback unit is
A battery module configured so that the supplied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passes through the filtering member and merges with the electrolyte flowing in the flow path.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유닛은,
상기 전해액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해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닛케이스에 형성된 공급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공급홀을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yback unit is
Further comprising; a supply hole formed in the unit case so that the supply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flows in;
The filter member,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block the supply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배출관;
상기 복수의 서브배출관과 상기 재생유닛을 연결하는 메인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인렛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주입관;
상기 복수의 서브주입관과 상기 재생유닛을 연결하는 메인주입관;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let guide,
a plurality of sub-discharge pip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a main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 discharge pipes and the regeneration unit;
The inlet guide is
a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a main injection tub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 injection tubes and the regeneration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주입관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lurality of sub-injection tubes,
A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a por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sub-discharge pipes are connect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KR1020200131714A 2020-10-13 2020-10-13 Battery module KR202200486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14A KR20220048622A (en) 2020-10-13 2020-10-13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14A KR20220048622A (en) 2020-10-13 2020-10-13 Batte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22A true KR20220048622A (en) 2022-04-20

Family

ID=8139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714A KR20220048622A (en) 2020-10-13 2020-10-13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6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5035B2 (en) Battery pack
KR101097226B1 (en) Battery pack
KR101327777B1 (en) Battery Module
JP2013541157A (en) Lithium storage battery
JP2015103514A (en) Novel lithium ion battery
KR20090002428A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with having efficient cooling and exhausting structure
JP7004206B2 (en) Batteries assembled
KR20140014839A (en) Secondary battery
JP2017191768A (en) Redox flow battery
CN109478620B (en) Battery pack
JP4660282B2 (en) Power supply
KR20150097019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30402708A1 (en) Battery cell, battery, electr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of battery cell
US20230344059A1 (en)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battery
KR201700946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prismatic secondary battery
KR20220048622A (en) Battery module
KR101357311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86491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102317274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76040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1430849B (en) Lithium air battery
KR101760402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760404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77517A (en) Battery pack having gas discharging unit
KR10224413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