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78A -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78A
KR20220048178A KR1020200131016A KR20200131016A KR20220048178A KR 20220048178 A KR20220048178 A KR 20220048178A KR 1020200131016 A KR1020200131016 A KR 1020200131016A KR 20200131016 A KR20200131016 A KR 20200131016A KR 20220048178 A KR20220048178 A KR 2022004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input image
image
level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78A/ko
Priority to EP21201824.6A priority patent/EP3982351A1/en
Priority to US17/450,606 priority patent/US20220139310A1/en
Publication of KR2022004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53Controlling or limiting the speed of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와,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및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입력 영상의 해상도 및 수직 동기 주파수가 증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4K 해상도, 8K 해상도 등의 영상에 대한 화질 처리가 화질 처리에 대한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입력 영상의 화질 처리를 신호 처리 장치가 담당할 수 있다. 이에, 신호 처리 장치에서 향상된 화질 처리를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내의 오브젝트에 대해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와,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작은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배경을 추출하고, 추출된 배경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영상 분석부로부터의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를 포함하고,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와,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영상 분석부로부터의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를 포함하고,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와,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내의 배경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작은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배경을 추출하고, 추출된 배경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영상 분석부로부터의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를 포함하고,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와,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내의 배경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영상 분석부로부터의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를 포함하고,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내의 배경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내의 배경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3은 도 10의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4의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도 2의 105)와, 영상 수신 장치(105)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도 2의 170)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내의 배경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작은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도 2의 105)와, 영상 수신 장치(105)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도 2의 170)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보다 패널 응답 속도가 빠르며, 색재현 효과가 뛰어나며, 색재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더라도,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모니터,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 장치(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 장치(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105)는, 입력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 장치(105)는, 방송 영상, 또는 HDMI 영상, 스트리밍되는 영상과 같은 외부 입력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 장치(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 장치(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 수신 장치(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처리부(34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처리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처리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처리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미도시)가 OSD 처리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신호 처리 장치(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전류 검출부(5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는, 패널(210)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51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는, 누적 전류 연산을 위해, 프로세서(27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510)로부터,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되는 누적 전류는,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번인(burn 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300000 A 이상인 경우, 번인된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 중 일부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서브픽셀을, 번인이 예측되는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5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가장 누적 전류가 큰 서브픽셀을, 번인 예측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G1,B1,W1 ~ Rm,Gm,Bm,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sub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R1,SG1,SB1,S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픽셀(Pixel)은, 단위 표시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 동안, 스캔 신호가 인가된 이후, 유기발광층(OLED)에서 계속 발광하는 홀드 타입의 소자이다.
한편, 카메라 및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의 해상도 및 수직 동기 주파수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4K 해상도 및 120Hz의 수직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입력 영상 신호의 화질 처리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7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 분석부(610), 및 화질 처리부(6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입력 영상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되는 제1 입력 영상 신호의 오브젝트 영역과 배경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되는 제1 입력 영상 신호의 오브젝트 영역과 배경 영역의 확률 또는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입력 영상 신호는, 영상 수신 장치(105)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이거나, 도 3의 영상 디코더(320)에서 복호화된 영상일 수 있다.
특히, 영상 분석부(610)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입력 영상 신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 영상 신호의 해상도, 계조(resolution), 잡음 수준, 패턴 여부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입력 영상 신호와 관련된 정보, 특히 화질 설정 정보를, 화질 처리부(635)로 출력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HDR 처리부(705), 제1 리덕션부(710), 인핸스부(750), 제2 리덕션부(790)를 구비할 수 있다.
HDR 처리부(705)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HDR)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R 처리부(705)는, 스탠다드 다이내믹 레인지(Standard Dynamic Range; SDR) 영상 신호를 HDR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HDR 처리부(705)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를 위한, 계조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HDR 처리부(705)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SDR 영상 신호인 경우, 계조 변환을 바이패스하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HDR 영상 신호인 경우, 계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HDR 처리부(705)는, 저계조와 고계조 중 저계조를 강조하고 고계조가 포화되도록 하는 제1 계조 변환 모드, 또는 저계조와 고계조 전반에 대해 다소 균일하게 변환되도록 하는 제2 계조 변환 모드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HDR 처리부(705)는, 제1 계조 변환 곡선 또는 제2 계조 변환 곡선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R 처리부(705)는, 제1 계조 변환 곡선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 내의 데이터 또는 제2 계조 변환 곡선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 내의 데이터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DR 처리부(705)는, 제1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룩업 테이블 내의 제1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HDR 처리부(705)는, 제1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입력 데이터에 관한 연산식, 및 상기 연산식에 따라 결정되는 룩업 테이블 내의 제1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HDR 처리부(705)는, 제2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룩업 테이블 내의 제2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HDR 처리부(705)는, 제2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입력 데이터에 관한 연산식, 및 상기 연산식에 따라 결정되는 룩업 테이블 내의 제2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HDR 처리부(705)는,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에서의 제3 계조 변환 모드 또는 제4 계조 변환 모드에 따라, 제1 계조 변환 모드, 또는 제2 계조 변환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제3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룩업 테이블 내의 제3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제3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입력 데이터에 관한 연산식, 및 상기 연산식에 따라 결정되는 룩업 테이블 내의 제3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제4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룩업 테이블 내의 제4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제4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입력 데이터에 관한 연산식, 및 상기 연산식에 따라 결정되는 룩업 테이블 내의 제4 계조 변환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R 처리부(705)는,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에서, 제4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제2 계조 변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HDR 처리부(705)는,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에서, 제3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제1 계조 변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HDR 처리부(705)에서의 계조 변환 모드에 따라, 수행되는 계조 변환 모드를 가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HDR 처리부(705)에서 제2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제4 계조 변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리덕션부(790) 내의 고계조 증폭부(851)는, HDR 처리부(705)에서 제1 계조 변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제3 계조 변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R 처리부(705)는, 저계조와 고계조가 균일하게 변환되도록 계조 변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HDR 처리부(705)는, 제1 계조 변환 곡선이 아닌, 제2 계조 변환 곡선에 기초하여, 계조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HDR 처리부(705)에서의, 제2 계조 변환 모드에 따라, 제4 계조 변환 모드를 수행하며, 이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의 상한 레벨을 증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 리덕션부(reduction unit))(710)는, 입력 영상 신호 또는 HDR 처리부(70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덕션부(reduction unit))(710)는, 입력 영상 신호 또는 HDR 처리부(705)로부터의 HDR 영상에 대해, 상기 다단계 노이즈 제거 처리, 및 제1 단계 계조 확장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리덕션부(710)는, 다단계로 노이즈 제거를 위한 복수의 노이즈 제거부(715,720)와, 계조 확장을 위한 계조 확장부(725)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인핸스부(enhancement unit)(750)는, 제1 리덕션부(710)로부터의 영상에 대해, 다단계 영상 해상도 향상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인핸스부(750)는, 오브젝트 입체감 향상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인핸스부(750)는, 컬러 또는 컨트라스트 향상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핸스부(750)는, 다단계로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복수의 해상도 향상부(735,738,742), 오브젝트의 입체감 향상을 위한 오브젝트 입체감 향상부(745), 컬러 또는 컨트라스트 향상을 위한 컬러 컨트라스트 향상부(749)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 제2 리덕션부(790)는, 제1 리덕션부(710)로부터 입력된 노이즈 제거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단계 계조 확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입력되는 신호의 계조의 상한 레벨을 증폭하고, 입력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신호의 전 계조 영역에 대해 균일하게 계조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영상의 영역에 대해 균일한 계조 확장이 수행되면서, 고계조 표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제1 계조 확장부(725)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계조 증폭 및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SDR 영상 신호인 경우, 증폭의 정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고계조 표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HDR 영상 신호인 경우, 설정된 값에 따라, 증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HDR 영상 신호인 경우, 증폭의 정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고계조 표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계조 확장시, 계조 확장의 정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고계조 표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리덕션부(790)는, HDR 처리부(705)에서의, 계조 변환 모드에 따라, 계조의 상한 레벨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를 조절하는 HDR 처리부(705)와, HDR 처리부(705)로부터의 영상 신호의 휘도를 증폭하고, 영상 신호의 계조 해상도를 증가시켜, 인핸스드(enhance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리덕션부(790)를 포함하고, 앤핸스드 영상 신호는, 표시되는 HDR 이미지 내의 하이다이나믹 레인지를 유지하는 동안, 영상 신호의 증가된 휘도와 계조 해상도를 제공한다.
한편, 영상 신호의 휘도 범위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조절된다.
한편,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HDR 신호인지 SDR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HDR 처리부(705)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HDR 신호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조절된다.
한편, 제어 신호는, 신호 처리와 연관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수신되고, 영상 표시 장치의 설정에 대응한다.
한편, 계조의 해상도는, 영상 신호의 조정된 휘도의 증폭에 기초하여 증가된다.
한편, 계조의 해상도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증가된다.
한편, 제어 신호는, 신호 처리와 연관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수신되고, 영상 표시 장치의 설정에 대응한다.
한편, 리덕션부(790)는, 입력되는 신호의 계조의 상한 레벨을 증폭하는 고계조 증폭부(851)와, 고계조 증폭부(851)로부터의 증폭된 계조의 해상도를 확장하는 디컨투어부(842,8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덕션부(790)는, 제2 단계 계조 확장을 위한 제2 계조 확장부(729)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화질 처리부(635)는, 도 7과 같이, 4단계의 리덕션 처리와, 4단계의 영상 향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4단계 리덕션 처리는, 2단계의 노이즈 제거 처리와, 2단계의 계조 확장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단계의 노이즈 제거 처리는, 제1 리덕션부(710) 내의 제1 및 제2 노이즈 제거부(715,720)가 수행하며, 2단계의 계조 확장 처리는, 제1 리덕션부(710) 내의 제1 계조 확장부(725)와, 제2 리덕션부(790) 내의 제2 계조 확장부(729)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4단계 영상 향상 처리는, 3단계의 영상 해상도 향상 처리(bit resolution enhancement)와, 오브젝트 입체감 향상 처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3단계의 영상 해상도 향상 처리는, 제1 내지 제3 해상도 향상부(735,738,742)가 처리하며, 오브젝트 입체감 향상 처리는, 오브젝트 입체감 향상부(745)가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170)의 제1 특징은, 다단계 화질 처리로서 동일 또는 유사한 알고리즘을 다중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화질 처리부(635)는, 동일 또는 유사 알고리즘을 2회 이상 적용하여, 화질 처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화질 처리부(635)에서 수행되는 동일 또는 유사 알고리즘은, 각 단계별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다르며, 점진적으로 다단계 화질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1 단계에 모든 화질을 처리하는 것 대비하여, 영상의 아티팩트(Artifact)가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으며, 보다 자연스럽고 보다 선명한 영상 처리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동일 또는 유사 알고리즘을, 다른 화질처리 알고리즘과 교차하면서 다중으로 적용함으로써, 단순 연속 처리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170)의 다른 특징은, 다단계로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는 것에 있다. 각 단계의 노이즈 제거 처리는 시간(Temporal) 처리와, 공간(Spatial)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HDR) 기법은, 스탠다드 다이내밀 레인지(SDR) 등의 기존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휘도(단위 nit) 영역을 사용하여, 보다 풍부한 명암을 표현할 수 있다.
최근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은 고사양의 카메라 등에 의해,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스탠다드 다이내믹 레인지 영상 등은 일반적인 다이내믹 레인지 수준으로서, 방송 표준에서는 대략 100 니트(nit) 이하까지 표현된다.
그러나, 최근 사용되고 있는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기법은, 대략 10000 니트(nit) 까지의 넓은 범위를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기법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일반 다이내믹 레인지에 비해서 영상 특성이 크게 변하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한 영상 포맷, 관련 메타데이터(metadata), 압축 방식, 장치 간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180) 등의 전체 시스템 상의 변경이 요구된다.
한편, 보다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로 발전하고 있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기존의 일반 다이내믹 레인지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또는,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소스 영상의 화질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톤 매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영상의 다이내믹 레인지가 디스플레이(180)의 다이내믹 레인지와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영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디스플레이(180)의 다이내믹 레인지에 적합하도록 매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표현 가능한 영역의 휘도(밝기)는 그대로 표현하고, 표현할 수 없는 범위의 밝기 성분에 대해서는 소스 영상 대비 화질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화질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의도도 반영되는 변환 기능도 요구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도 8a는 입력 영상의 휘도 매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 영상의 휘도 매핑은, 제1 커브(CVo)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커브(CVo)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휘도(input)가 바이패스되어, 그대로 출력 휘도(output)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상의 휘도(input)는,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라 명명될 수 있으며, 출력 휘도(output)는, 휘도 조정 레벨 또는 휘도 매핑 레벨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
다음, 도 8b는 입력 영상의 휘도 매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 영상의 휘도 매핑은, 제2 커브(CVy)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커브(CVo)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휘도(input)가 Ly1 보다 작은 경우는, 제1 커브(CVo)의 출력 휘도(output) 보다 작아지며, 입력 영상의 휘도(input)가 Ly1 과 ly2 사이인 경우는, 제1 커브(CVo)의 출력 휘도(output) 보다 커지며, 입력 영상의 휘도(input)가 Ly2 보다 큰 경우는, 제1 커브(CVo)의 출력 휘도(output) 보다 작아질 수 있다.
즉,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휘도(input)의 휘도 레벨 또는 계조에 따라, 출력 휘도(output)의 레벨이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따라, 입력 영상의 휘도 매핑을 수행하고, 휘도 매핑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의 표시시, 다이나믹 컨트라스트(dynamic)가 가능하게 된다.
도 8c는 제1 입력 영상(810)과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제1 휘도 히스트그램(Hsa)을 예시한다.
도면에서의, 휘도 히스트그램(Hsa)은,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에 따른 도수(frequency)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영상(810)은, 얼굴 오브젝트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얼굴 오브젝트 영역(Arm)은, 제1 휘도 히스트그램(Hsa) 중 Iz1 휘도 레벨과 Iz2 휘도 레벨 사이의 휘도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레벨은 대부분, 0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까지이며, Iz2 휘도 레벨 부터 최대 휘도 레벨 사이는 거의 분포되지 않는다.
이에,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따라, 휘도 매핑을 수행할 경우,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레벨이 0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까지인 경우는, 휘도 매핑에 따른 휘도 조정 레벨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레벨이 z2 휘도 레벨부터 최대 휘도 레벨까지의 경우는, 휘도 매핑시의 휘도 조정 레벨이 과하게 변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도 8d는 제2 입력 영상(860)과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을 예시한다.
도면에서의, 휘도 히스트그램(Hsa)은,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에 따른 도수(frequency)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상(860)은, 꽃 오브젝트 영역(Ara)과 배경 영역(Aub)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꽃 오브젝트 영역(Ara)은,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 중 Iz2 휘도 레벨과 최대 휘도 레벨 사이(WHa)의 휘도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배경 영역(Aub)은,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 중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WHb)의 휘도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레벨은 대부분,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 또는 Iz2 휘도 레벨과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이며, Iz1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사이는 거의 분포되지 않는다.
이에,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따라, 휘도 매핑을 수행할 경우,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레벨이,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 또는 Iz2 휘도 레벨과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인 경우는, 휘도 매핑에 따른 휘도 조정 레벨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레벨이 Iz1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사이인 경우는, 휘도 매핑시의 휘도 조정 레벨이 과하게 변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8c의 제1 입력 영상(810)과 평균 휘도 레벨과, 제2 입력 영상(86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제2 커브(CVy)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영역 별로, 정확한 휘도 매핑이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따라, 적응적으로 휘도 매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610)와, 영상 분석부(610)로부터의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내의 배경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작은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IPTa)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1)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IPT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1)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a)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b)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a)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2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2b) 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3a)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3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3b)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3b)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2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3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3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3b)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입력 영상(810 또는 860)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입력 영상의 배경을 추출하고, 추출된 배경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3은 도 10의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수신 장치(105)는, 입력 영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10).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 영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연산할 수 있다(S1020).
예를 들어, 입력 영상이, 도 12와 같은 제1 입력 영상(810)인 경우, 제1 입력 영상(810)의 제1 휘도 히스토그램(HSa)을 연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영상이, 도 13과 같은 제2 입력 영상(860)인 경우, 제2 입력 영상(860)의 제2 휘도 히스토그램(HSb)을 연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 영상이, 제3 입력 영상(미도시)인 경우, 제3 입력 영상의 제3 휘도 히스토그램(HSm)을 연산할 수 있다.
도 11a는 제3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와 도수를 나타내는 제3 휘도 히스토그램(HSm)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휘도 히스토그램(HSm)은, 저 휘도 레벨의 도수가 피크를 가지며, 중 휘도 레벨의 도수가 거의 제로에 가까우며, 고 휘도 레벨의 도수가 일부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입력 영상의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게인을 연산할 수 있다(S1030).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휘도 히스토그램의 도수에 따른 커브를 연산할 수 있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연산된 게인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매핑하여 휘도 조정된 휘도 조정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S1040). 즉,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연산된 게인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b의 GRa 커브는, 도 11a의 휘도 히스토그램(HSm)에 대응하는 게인 커브일 수 있다.
한편, 휘도 레벨의 도수가 피크인 경우, 게인을 가장 크게 가져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큰 게인을 할당하는 것은, 영상 전체가 부자연스러워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휘도 레벨의 도수가 피크인 경우, 게인을 완화하는 게인 조정 처리를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도 11b의 GRa 커브 연산, GRb 커브 연산, GRc 커브 연산, GRd 커브 연산 등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GRd 커브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휘도 히스토그램의 도수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되, 도수의 피크에 대해 필터링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여, 결국 최종적으로 연산된 휘도 매핑 커브 또는 휘도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오브젝트 기반의 컨트라스트 향상이 가능하며, 배경에 대한 저계조 표현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c는 도 11b의 GRd 커브에 기초한 휘도 매핑 커브(CVa)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c의 휘도 매핑 커브(CVa)는, 도 8a의 바이 패스 커브(CVo)와 비교하여, 저계조 영역에서, 휘도 변환 레벨이 더 작아지며, 도수가 피크인 중계조 영역에서, 휘도 변환 레벨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영역에서의 휘도 표현력이 증대되고, 배경이 배치되는 영역에서의 저계조 표현력이 증대되므로, 결국,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제1 입력 영상(810)과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제1 휘도 히스트그램(Hsa)과 연산된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을 예시한다.
도면에서의, 휘도 히스트그램(Hsa)은,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에 따른 도수(frequency)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영상(810)은, 얼굴 오브젝트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얼굴 오브젝트 영역(Arm)은, 제1 휘도 히스트그램(Hsa) 중 Iz1 휘도 레벨과 Iz2 휘도 레벨 사이의 휘도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레벨은 대부분, 0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까지이며, Iz2 휘도 레벨 부터 최대 휘도 레벨 사이는 거의 분포되지 않는다.
이에,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따라, 휘도 매핑을 수행할 경우,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레벨이 0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까지인 경우는, 휘도 매핑에 따른 휘도 조정 레벨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입력 영상(810)의 휘도 레벨이 z2 휘도 레벨부터 최대 휘도 레벨까지의 경우는, 휘도 매핑시의 휘도 조정 레벨이 과하게 변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휘도 히스트그램(Hsa)에 기초하여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을 연산하고, 연산된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에 따르면,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에의 휘도 조정 레벨, 즉, 출력 레벨은, 바이 패스 커브(CVo)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항상 클 수 있다.
즉, 0 휘도 레벨에서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의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에의 휘도 조정 레벨은, 바이 패스 커브(CVo)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항상 클 수 있다.
다음, 제1 휘도 매핑 커브(CVb1)과 도 8b의 제2 커브(CVy)를 비교하면, 0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까지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도 8b의 제2 커브(CVy)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대략 크게 되며, Iz2 휘도 레벨에서 최대 휘도 레벨 까지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도 8b의 제2 커브(CVy)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대략 작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비해, 휘도 분포가 많은 Iz1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사이의 휘도 조정 레벨이 더 크므로,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휘도 조정 또는 휘도 매핑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 영역(Arm)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는 제2 입력 영상(860)과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는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과 연산된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을 예시한다.
도면에서의, 휘도 히스트그램(Hsa)은,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에 따른 도수(frequency)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상(860)은, 꽃 오브젝트 영역(Ara)과 배경 영역(Aub)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꽃 오브젝트 영역(Ara)은,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 중 Iz2 휘도 레벨과 최대 휘도 레벨 사이(WHa)의 휘도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배경 영역(Aub)은,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 중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WHb)의 휘도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레벨은 대부분,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 또는 Iz2 휘도 레벨과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이며, Iz1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사이는 거의 분포되지 않는다.
이에, 도 8b의 제2 커브(CVy)에 따라, 휘도 매핑을 수행할 경우,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레벨이,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 또는 Iz2 휘도 레벨과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인 경우는, 휘도 매핑에 따른 휘도 조정 레벨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입력 영상(860)의 휘도 레벨이 Iz1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사이인 경우는, 휘도 매핑시의 휘도 조정 레벨이 과하게 변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2의 제1 입력 영상(810)과 평균 휘도 레벨과, 제2 입력 영상(86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제2 커브(CVy)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영역 별로, 정확한 휘도 매핑이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2 휘도 히스트그램(Hsb)에 기초하여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을 연산하고, 연산된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에 따르면,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에의 휘도 조정 레벨, 즉, 출력 레벨은, 바이 패스 커브(CVo)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항상 클 수 있다.
즉, 0 휘도 레벨에서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의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에의 휘도 조정 레벨은, 바이 패스 커브(CVo)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항상 클 수 있다.
다음,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과 도 8b의 제2 커브(CVy)를 비교하면, 0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도 8b의 제2 커브(CVy)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대략 크게 되며, Iz1 휘도 레벨에서 Iz2 휘도 레벨 사이인 경우는, 휘도 조정 레벨이 대략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휘도 레벨에서 Iz1 휘도 레벨 사이의 저계조 영역(WHb)에서의 휘도 표현력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내의 배경 영역(Arb)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과 도 8b의 제2 커브(CVy)를 비교하면, Iz2 휘도 레벨에서 최대 레벨 사이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도 8b의 제2 커브(CVy)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대략 작아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휘도 매핑 커브(CVb2)의 Iz2 휘도 레벨에서 최대 레벨 사이의 휘도 조정 레벨은, 바이 패스 커브(CVo)에 비해, 커지므로, 결국,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 영역(Ara)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의 제1 입력 영상(810)과 평균 휘도 레벨과, 도 13의 제2 입력 영상(86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할 수 있으며,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휘도 매핑 커브에 기초한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에 적응적인 휘도 매핑이 가능하며 결국, 오브젝트 별 다이내믹 컨트라스트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4의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수신 장치(105)는, 입력 영상을 수신한다.
특히,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수신 장치(105)는, 서로 다른 타이밍에,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을 수신할 수 있다(S1410).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분석부(610)는,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영상 분석부(61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이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S1420), 해당하는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2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도 15의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도 16의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한다(S1430).
한편, 제1420 단계(S1420)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작은 경우,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 ΔV3a)이,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ΔV3b) 보다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40). 즉, 도 15와 도 16의 경우의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을 비교하면,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크게 된다.
도 15의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분포는, 대략 20 레벨에서 35 레벨까지 분포되며, 도 16의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분포는, 대략 90 레벨에서 165 레벨까지 분포된다.
이때,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군 휘도 레벨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군 휘도 레벨은, 모두 127 레벨로 동일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도 15의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에 대해, 휘도 히스토그램을 연산하고,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을 연산하며, 연산된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2 입력 영상(1610)에 대해, 휘도 히스토그램을 연산하고, 휘도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을 연산하며, 연산된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을 비교하면,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대략 20 레벨에서 35 레벨까지 분포되므로, 대략 90 레벨에서 165 레벨까지 휘도가 분포하는 제2 입력 영상(1610) 보다, 휘도 편차가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가 보다 변화율이 더 작도록, 즉, 바이 패스 커브(CVo)에 더 가깝도록 설정하고,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가 보다 변화율이 더 크도록, 즉, 바이 패스 커브(CVo)와 더 차이가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가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 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평균 휘도 레벨(IPTa)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 대해,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 또는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의 휘도 조정 레벨이, 바이 패스 커브(CVo)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휘도 레벨(IPTa) 보다 작은 도 15와 도 16의 WH2 구간의 휘도 레벨에 대해,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 또는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의 휘도 조정 레벨이, 바이 패스 커브(CVo)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평균 휘도 레벨(IPTa) 보다 큰 휘도 레벨에 대해,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 또는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의 휘도 조정 레벨이, 바이 패스 커브(CVo)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휘도 레벨(IPTa) 보다 큰 도 15와 도 16의 WH3 구간의 휘도 레벨에 대해,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 또는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의 휘도 조정 레벨이, 바이 패스 커브(CVo)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평균 휘도 레벨(IPTa)에 대해, 제1 휘도 매핑 커브(CVc1) 또는 제2 휘도 매핑 커브(CVc2)의 휘도 조정 레벨이, 바이 패스 커브(CVo)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과 동일한 LV1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5의 제1 입력 영상(1510) 내의 패턴(PTa)은, 평균 휘도 레벨(IPTa)을 가지는 패턴일 수 있으며, 휘도 매핑부(820)의 휘도 매핑에 따라, 매핑된 휘도 조정 레벨은 LV1일 수 있다.
한편, 도 16의 제2 입력 영상(1610) 내의 패턴(PTb)은, 평균 휘도 레벨(IPTb)을 가지는 패턴일 수 있으며, 휘도 매핑부(820)의 휘도 매핑에 따라, 매핑된 휘도 조정 레벨은 LV1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IPTa)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1)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IPT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1)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a)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b)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2b)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a)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2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IH2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2b) 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제1 입력 영상(1510) 내의 90 휘도 레벨은, IH2a에 대응할 수 있으며, 휘도 매핑부(820)의 휘도 매핑에 따라, 매핑된 휘도 조정 레벨은 LV2b 보다 큰 LV2a이며, 휘도 조정 변화율은 ΔV2b 보다 작은 ΔV2a일 수 있다.
한편, 도 16의 제2 입력 영상(1610) 내의 90 휘도 레벨은, IH2b에 대응할 수 있으며, 휘도 매핑부(820)의 휘도 매핑에 따라, 매핑된 휘도 조정 레벨은 LV2b이며, 휘도 조정 변화율은 ΔV2b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3a)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3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3b)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ΔV3b)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제1 입력 영상(1510)과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상(1510)의 휘도 편차가, 제2 입력 영상(1610)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제1 입력 영상(15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2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3a)은, 제2 입력 영상(1610)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IH3b)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LV3b)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제1 입력 영상(1510) 내의 165 휘도 레벨은, IH3a에 대응할 수 있으며, 휘도 매핑부(820)의 휘도 매핑에 따라, 매핑된 휘도 조정 레벨은 LV3b 보다 작은 LV2a이며, 휘도 조정 변화율은 ΔV3b 보다 작은 ΔV3a일 수 있다.
한편, 도 16의 제2 입력 영상(1610) 내의 165 휘도 레벨은, IH3b에 대응할 수 있으며, 휘도 매핑부(820)의 휘도 매핑에 따라, 매핑된 휘도 조정 레벨은 LV3b이며, 휘도 조정 변화율은 ΔV3b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입력 영상(810 또는 860)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휘도 매핑부(820)는,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입력 영상의 배경을 추출하고, 추출된 배경의 휘도에 대응하여, 추출된 오브젝트(Arm 또는 Ara)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따라, 적응적으로 휘도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과,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배경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배경의 휘도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로부터의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매핑부는,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디스플레이;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장치;
    상기 영상 수신 장치로부터의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며,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분포 중 도수가 높을수록, 휘도 조정된 휘도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클수록,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 영상의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분포의 편차가 작을수록,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로부터의 상기 입력 영상의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휘도 매핑을 수행하는 휘도 매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매핑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이,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매핑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작은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매핑부는,
    상기 제1 입력 영상과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휘도 편차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변화율 보다 작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은, 상기 제2 입력 영상의 평균 휘도 레벨 보다 큰 휘도 레벨에서의 휘도 조정 레벨 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20200131016A 2020-10-12 2020-10-12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20048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016A KR20220048178A (ko) 2020-10-12 2020-10-12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EP21201824.6A EP3982351A1 (en) 2020-10-12 2021-10-11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7/450,606 US20220139310A1 (en) 2020-10-12 2021-10-12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016A KR20220048178A (ko) 2020-10-12 2020-10-12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78A true KR20220048178A (ko) 2022-04-19

Family

ID=7808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016A KR20220048178A (ko) 2020-10-12 2020-10-12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39310A1 (ko)
EP (1) EP3982351A1 (ko)
KR (1) KR20220048178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861A (ko) * 2002-05-22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감마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6740B1 (ko) * 2005-03-09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이나믹 콘트라스트 조정 방법
KR20100028247A (ko) * 2008-09-04 201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명암 보정 장치 및 방법
WO2018119161A1 (en) * 2016-12-22 2018-06-2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mbient light-adaptive display management
KR102550846B1 (ko) * 2018-03-06 2023-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미지-적응 톤 맵핑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KR102489265B1 (ko) * 2018-04-10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3092B1 (ko) * 2018-04-17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295703B2 (en) * 2019-07-17 2022-04-05 Apple Inc. Displays with content-dependent brightness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9310A1 (en) 2022-05-05
EP3982351A1 (en)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019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61825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27646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62951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17820B1 (ko) 비디오 월
KR20200032584A (ko) 영상표시장치
US1131552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3941041A1 (en) Video wall
KR102661824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10035723A (ko) 신호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03620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20048178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133525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20088419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90109197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20088420A (ko) 신호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200125060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90109198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