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66A -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66A
KR20220048166A KR1020200130988A KR20200130988A KR20220048166A KR 20220048166 A KR20220048166 A KR 20220048166A KR 1020200130988 A KR1020200130988 A KR 1020200130988A KR 20200130988 A KR20200130988 A KR 20200130988A KR 20220048166 A KR20220048166 A KR 2022004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vehicle
vehicle body
ro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현진
신경훈
오헌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66A/en
Publication of KR2022004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de-hipped frame type, i.e. a wide box-shaped mid portion with narrower sections extending from said mid portion in both fore and af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nd a coupl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comprises: a mounting member which is coupled with a mounting uni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vehicle body side seal unit; an inner member which is coupled with the mounting member to be movable, and is provided to support an inner part and an upper part of a side member; and an outer member which is coupled with the mounting member to be rotatable and is provided to support an outer part of the side member. The outer member is rotated by linking with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nd the outer member come close to or separate from each other by the rotation to detachably assemble the side member and the vehicle body side seal unit.

Description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and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coupl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mounting assembly in which the vehicle body and the chassis frame are easily detachable, and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를 말한다. 배터리는 섀시프레임에 조립되고, 섀시프레임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In general, an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powered by electricity, and refers to a vehicle that obtains driving energy by rotating a motor with electricity accumulated in a battery rather than obtaining driving energy from combustion of fossil fuels. The battery is assembled to the chassis frame, and the chassis frame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전기차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하는 자율주행 지상 모빌리티인 다목적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PBV)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모빌리티는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차체로 변경할 수 있다. Recently, electric vehicles with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re being used. In particular, multi-purpose mobility (Purpose Built Vehicle, PBV), which is autonomous driving ground mobility that changes into various forms and functions depending on the use, is being used. This multi-purpose mobility can be changed to various body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user.

따라서 차체를 쉽게 교체하기 위해,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탈착이 용이한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in order to easily replace the vehicle body, a structure in which the vehicle body and the chassis frame can be easily detached is requir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9752호(2009. 10. 2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섀시 프레임)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109752 (published on October 21, 2009, title of the invention: chassis fram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 사이드 실부와 사이드멤버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ounting assembly for easily coupling or separating a vehicle body side seal part and a side member, and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차체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차체부의 전폭, 전장 등이 변하더라도 조립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볼팅, 접착, 용접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ounting assembly that can easily replace a body part, and does not require separate parts for assembling, bolting, bonding, welding,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hassis fra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차체부로 교체가 필요한 다목적 모빌리티를 이용 시에, 사이드멤버와 결합되는 차체부를 쉽게 교체 가능한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ounting assembly that can easily replace a body part coupled with a side member when using multi-purpose mobility that requires replacement of a body part of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a user, and a body and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It aims to provide a bonding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는 차체 사이드 실부의 하면에 구비된 장착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드멤버의 내측부과 상측부를 지지하게 구비되는 이너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멤버의 외측부를 지지하게 구비되는 아우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아우터부재가 회전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이너부재와 상기 아우터부재가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멤버와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를 탈착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 and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to support the inner portion and upp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nd an inner member that is formed into an inner member, and an outer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provided to support an out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wherein the outer member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is rotated by rotation The side member and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are detachably assembled by the member and the outer member being close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마운팅부재와 상기 이너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부재와, 상기 로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부재를 상기 사이드멤버에 밀착시키게 구비되는 홀더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이너부재가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rod member mov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 holder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member and provided to bring the outer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ember is provided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아우터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tension by connecting the rod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ing tension by connecting the outer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상기 사이드멤버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차량의 폭 방향인 차폭방향 중,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사이드멤버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m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s that are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ide member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The member may include an upper plate part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and a side wall part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ly to an end of the upper plate part in the first direction,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ixed.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이너부재를 관통하는 롤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한 쌍의 롤러가이드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부재를 관통하는 베어링부재가 장착되는 베어링홀이 형성된 베어링장착부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아우터스프링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roller guide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guide slot extending lo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passing through the inner member,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aring mounting portion having a bearing hole in which a bearing member that protrudes and passes through the outer member is mounted, and an outer spring connection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fixed.

상기 이너부재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부를 지지하는 내측면지지부와, 상기 사이드멤버의 상측부를 지지하는 상면지지부와, 상기 상면지지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재를 매개로 상기 롤러가이드부와 상기 로드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 가이드홀이 상기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이너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ner member includes an inner surfac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n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n upper surfac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nd the roller guide portion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roller member It may include an inner body connected to the rod member and through which a roller guide hole into which the roller member is movably inserted is elonga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상기 이너바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에 구비된 베어링고정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우터슬라이딩홈과, 상기 아우터슬라이딩홈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구비되는 아우터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ner body is provided with an outer sliding groove that is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 which a bearing fixing part provided in the outer member is slidably accommodated, and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liding groove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ut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pressing portion provided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member.

상기 아우터부재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면지지부와, 상기 외측면지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이너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상단경사부를 포함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우터바디와, 상기 상단경사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수용홀이 형성되는 베어링고정부와, 상기 베어링고정부의 상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가압부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상단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outer member includes an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toward the inner member to be inclined upward and 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fixed. and an outer body rotatably provided, a bearing fix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an end of the upper inclined part and having a bearing receiving hole into which the bearing member is inserted, and formed flat on an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fixing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upper straight line portion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ressing portion.

상기 로드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에, 상기 아우터가압부가 상기 상단직선부를 가압하여 상기 아우터부재가 하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inner member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od member, the outer pressing unit may press the upper straight line portion to rotate the outer member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로드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홀더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몸체와, 상기 로드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관통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삽입되는 롤러홀과, 상기 로드몸체에 관통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홀과, 상기 로드몸체의 상기 제2 방향에 관통되고 상기 홀더부재를 관통하는 힌지부재가 삽입되는 힌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od member includes a rod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ide wall portion via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hingedly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passing through an end portion of the rod body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oller member a roller hole into which is inserted, a spr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rod body and fixing an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a hinge penetrating through the rod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holder member into which the hinge member is insert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le.

상기 홀더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힌지부재가 관통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홀더바디와, 상기 홀더바디의 하단부에 상기 이너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에 구비된 돌기삽입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older member has a hinge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member passes at an upper end thereof, a holder body provided to be rotated through the hinge member, and a lower end of the holder body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member, and the out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sertion protrusion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차체 사이드 실부를 포함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를 포함하는 섀시프레임부와,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멤버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의 하면에 구비된 장착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부재와 함께 상기 사이드멤버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너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이너부재와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구비되는 아우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body portion including a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 a chassis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vehicl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side member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 a mounting assembly coupled to the side member to be detachably assembled, the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a mounting uni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unit; and an inner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 an outer provided in the mounting member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inner member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ide member is inserted, provided to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and provided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member by rot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ember.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mounting assemblie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는, 이너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아우터부재가 회전되게 구비됨으로써, 차체 사이드 실부와 사이드멤버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member is provided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so that the side seal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ide member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면 차체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차체부의 전폭, 전장 등이 변하더라도 조립을 위한 별도의 볼팅, 접착, 용접 등의 작업 없이도 다양한 차체부를 섀시프레임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ly,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can be easily replaced, and various body parts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chassis frame without separate bolting, bonding, welding, etc. can do.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특히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차체부로 교체가 필요한 다목적 모빌리티를 이용 시에, 사이드멤버에 다양한 차체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Therefo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various body parts in the side members especially when using multi-purpose mobility that requires replacement of body parts of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사이드 실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가 사이드멤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차량용 장착 조립체에 사이드멤버를 장착하기 위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가 제2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이너부재와 아우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이너부재와 아우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a vehicle body side sea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is mounted on a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8 is a view illustrating an initial state for mounting a side member to a vehicle mounting assembly.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is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inner member and an outer member in FIG. 9 .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member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inner member and an outer member in FIG. 11 .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and install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차량용 장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hassis frame including the sa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사이드 실부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가 사이드멤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a vehicle body side sea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is view It is a view showing a s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ide member,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

도 8은 차량용 장착 조립체에 사이드멤버를 장착하기 위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가 제2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이너부재와 아우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이너부재와 아우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for mounting the side member to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is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ner member and an outer member,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member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inner member and the outer member in FIG. 11 . It is a view,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complete the mountin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체와 섀시프레임(20)의 결합구조는 차체부(10)와, 섀시프레임부(20)와, 장착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1 to 14 ,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body part 10 , a chassis frame part 20 , and a mounting assembly 100 . do.

차체부(10)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체 사이드 실부(11)를 포함한다. 차체 사이드 실부(11)는 하면에 상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장착부(12)를 포함한다. 장착부(12)에는 장착 조립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에는 장착 조립체의 홀더부재(1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0 includes a body side seal part 1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includes a mounting part 12 formed to be concave upwardly on the lower surface. A mounting assembly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12 . In this case, a cutout 13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art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holder member 150 of the mounting assembly.

섀시프레임부(20)는 차체부(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드멤버(21)를 포함한다. 사이드멤버(21)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차체 사이드 실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차체 사이드 실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멤버(21)에는 배터리모듈(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The chassis frame part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10 , and includes a side member 21 . The side member 21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and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A battery module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side member 21 .

장착 조립체(100)는 차체 사이드 실부(11)에 결합되고 사이드멤버(21)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mounting assembly 100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seal 11 and the side member 21 is detachably assembled.

구체적으로 장착 조립체(100)는 차체 사이드 실부(11)와 사이드멤버(21)를 조립하기 위한 부재로, 섀시프레임부(20)와 차체부(10)를 탈착 가능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섀시프레임부(20)에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차체부(10)로 교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assembly 100 is a member for assembling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and the side member 21 , and the chassis frame part 20 and the vehicle body part 10 may be detachably assembled. Thereby, the chassis frame part 20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body parts 10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user.

장착 조립체(100)는 차체 사이드 실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차체 사이드 실부(11)는 차체부(10)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장착 조립체(100)는 각각의 차체 사이드 실부(11)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mounting assemblies 1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may be provided as a pair in the body part 10 , and a plurality of mounting assemblies 100 may be provided in each body side seal part 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100)는 마운팅부재(110)와, 이너부재(120) 및, 아우터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100)는 로드부재(140)와, 홀더부재(150)와, 제1 탄성부재(161) 및 제2 탄성부재(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member 110 , an inner member 120 , and an outer member 130 . In additio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d member 140 , a holder member 150 , a first elastic member 16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62 . there is.

마운팅부재(110)는 차체 사이드 실부(11)의 하면에 구비된 장착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11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1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구체적으로 장착부(12)는 차체 사이드 실부(11)의 하면에 하향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체 사이드 실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부재(110)는 상면이 장착부(12)에 접합됨으로써 차체 사이드 실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팅부재(110)는 차체 사이드 실부(11)의 하면에 부착되거나,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In detail, the mounting parts 12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opened groove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and a plurality of mounting parts 1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The mounting member 110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sill part 11 by bonding the upper surface to the mounting part 12 . For example, the mounting member 11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or may be adhered or weld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이너부재(120)는 마운팅부재(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드멤버(21)의 내측부(23)과 상측부(22)를 지지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member 12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inner portion 23 and the upper portion 22 of the side member 21 .

구체적으로 이너부재(120)는 사이드멤버(21)의 내측면과 상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너부재(120)는 후술하는 롤러부재(171)를 매개로 마운팅부재(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member 120 is installed and support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21 . The inner member 12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via a roller member 171 to be described later.

아우터부재(130)는 마운팅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드멤버(21)의 외측부(24)를 지지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부재(130)는 사이드맴버(2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이너부재(120)와 함께 사이드멤버(2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부재(130)는 힌지부재(173)를 통해 마운팅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The outer member 1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outer portion 24 of the side member 21 . Specifically, the outer member 130 may support the side member 21 together with the inner member 120 by being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21 . Also, the outer member 130 may be rotatably assembl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through the hinge member 173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100)는, 이너부재(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아우터부재(130)가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본 발명은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가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사이드멤버(21)와 차체 사이드 실부(11)를 탈착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Also, i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member 130 may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120 . By this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are adjacent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ide member 21 and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can be detachably assembled.

즉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사이드멤버(21)가 삽입되고, 사이드멤버(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아우터부재(130)가 이너부재(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가 서로 근접해져서 사이드멤버(21)를 밀착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side member 21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are spaced apart, and the outer member 130 faces the inner member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member 21 is inserted. rotated,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com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side member 21 can be closely suppor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100)는, 이너부재(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아우터부재(130)가 회전되게 구비됨으로써, 차체 사이드 실부(11)와 사이드멤버(21)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member 130 is provided to be rot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120 , so that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and the side member 21 are provided. )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면 차체부(10)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차체부(10)의 전폭, 전장 등이 변하더라도 조립을 위한 별도 볼팅, 접착, 용접 등의 작업 없이도 쉽게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ly,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10 can be easily replaced, and even if the overall width and overall length of the body part 10 are changed, it is easy to do without separate bolting, bonding, welding, etc. for assembling. can respond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특히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차체부(10)로 교체가 필요한 다목적 모빌리티를 이용 시에, 사이드멤버(21)에 다양한 차체부(1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particular, when using multi-purpose mobility that requires replacement with the body part 10 of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user, the various body parts 10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side member 21 . can do.

로드부재(140)는 마운팅부재(110)와 이너부재(1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rod member 14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and the inner member 120 .

구체적으로 로드부재(140)는 이너부재(120)를 마운팅부재(110)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로, 마운팅부재(110)와 이너부재(120)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고, 이너부재(12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있다. 예를 들어 이너부재(120)는 사이드멤버(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형성될 수 있고, 로드부재(140)는 사이드멤버(2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d member 140 is a member for moving the inner member 120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110 , and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and the inner member 120 , and It may be formed long in the mov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inner member 120 may be form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21 , and the rod member 14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21 . can be

홀더부재(150)는 로드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우터부재(130)를 사이드멤버(21)에 밀착시키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로드부재(14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너부재(120)가 마운팅부재(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holder member 1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member 140 , and may be provided to make the outer member 130 closely adhere to the side member 21 . Her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member 140 , the inner member 120 may be provided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110 .

구체적으로, 홀더부재(150)는 사이드멤버(21)의 유동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 로드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재(150)의 상단부가 로드부재(14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재(150)는 사이드멤버(21)를 결합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이때 홀더부재(150)는 로드부재(140)와 이너부재(120)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가 사이드멤버(21)에 밀착된 상태에서, 홀더부재(150)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우터부재(130)를 사이드멤버(21)에 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older member 150 is a member for additionally preventing the flow of the side member 21 , a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member 140 .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holder member 1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d member 140 . The holder member 150 is rotated upward in the preparation step for coupling the side member 21, and at this time, the holder member 150 moves the rod member 140 and the inner member 120 in a straight direction. It can serve as a handle for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21 , the holder member 150 rotates downward to bring the outer member 13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21 .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이드멤버(21)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차량의 폭 방향인 차폭방향 중, 사이드멤버(2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사이드멤버(2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21 an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21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ide member 21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탄성부재(161)와 제2 탄성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16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62 .

제1 탄성부재(161)는 로드부재(140)와 마운팅부재(110)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부재(161)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일단부가 마운팅부재(110)의 측벽부(117)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로드부재(140)의 제1 방향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탄성부재(16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may provide tension by connecting the rod member 140 and the mounting member 110 . 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may include a coil spring, one end is fixed to the side wall portion 117 of the mounting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is at the end of the rod member 140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fixed. 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may be provided as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로드부재(140)가 제2 방향으로 이동 시에, 제1 탄성부재(161)는 로드부재(140)를 제1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멤버(21)가 삽입되면 제1 탄성부재(161)는 로드부재(140)를 제1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로드부재(140)에 연결된 이너부재(120)와 홀더부재(150)를 제1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부재(130)가 사이드멤버(21)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When the rod member 14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pulls the rod member 140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side member 21 is inserted,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pulls the rod member 140 in the first direction, thereby separating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holder member 150 connected to the rod member 140 . may be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the outer member 130 may be elastically attached to the side member 21 .

제2 탄성부재(162)는 아우터부재(130)와 마운팅부재(110)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162)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일단부가 마운팅부재(1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아우터부재(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례로 제2 탄성부재(16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may provide tension by connecting the outer member 130 and the mounting member 110 .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may include a coil spring, and one end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outer member 130 .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may be provided as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우터부재(130)가 이너부재(120)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되기 전에, 제2 탄성부재(162)는 아우터부재(130)를 마운팅부재(110)의 상측면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당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부재(130)가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 사이에 사이드멤버(21)가 삽입되기 용이할 수 있다. Before the outer member 130 is rotated downward by the inner member 120 ,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is provided to elastically pull the outer member 130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110 . can be As a result, the outer member 130 maintains the upwardly rotated state, so that the side member 21 may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운팅부재(110)는 상판부(111)와 측벽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7 , the mounting member 110 may include a top plate part 111 and a side wall part 117 .

상판부(111)는 장착부(12)에 부착될 수 있다. 상판부(111)는 수평한 판 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면이 차체 사이드 실부(11)의 하면에 접합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part 111 may be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12 . The upper plate part 111 may be provided in a horizontal plate shape,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

측벽부(117)는 상판부(111)의 제1 방향의 단부에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탄성부재(161)의 일단부가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부(117)는 상판부(111)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판 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측벽부(117)의 제2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제1 탄성부재(161)의 단부가 고정되는 홀이 구비된 로드스프링연결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wall portion 117 may extend vertically downwardly to an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111 in the first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may be fixedly provided. Specifically, the side wall part 117 may extend from an end of the upper plate part 111 and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A load spring connection part 118 having a hole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is fixed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117 facing the second direction.

마운팅부재(110)는 롤러가이드부(112)와, 베어링장착부(114)와, 아우터스프링연결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110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guide part 112 , a bearing mounting part 114 , and an outer spring connection part 116 .

롤러가이드부(112)는 상판부(111)의 하면에 돌출되고, 이너부재(120)를 관통하는 롤러부재(17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가이드슬롯(113)을 구비하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roller guide part 112 is provided with a guide slot 11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111 and penetrating lo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member 171 penetrating the inner member 120, A pair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롤러가이드부(112)는 판 상으로 구비되고 상판부(111)의 하면에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롤러가이드부(112)는 롤러부재(171)에 대응되게 한 쌍이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가이드부(112)의 사이에는 이너부재(120)에 구비된 이너바디(123)가 위치할 수 있다. 롤러부재(171)는 이너부재(120)와 롤러가이드부(112)에 동시에 관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ller guide unit 1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may be provided vertic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unit 111 . A pair of roller guide parts 11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oller member 17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inner body 123 provided in the inner member 1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roller guide parts 112 . The roller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roller guide part 112 at the same time.

롤러가이드부(112)에는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가이드슬롯(113)을 포함할 수 있고, 롤러부재(171)는 가이드슬롯(113)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슬롯(113)의 내면에서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슬롯(113)이 롤러부재(171)의 차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롤러가이드부(112)가 이너부재(120)와 로드부재(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roller guide part 112 may include a guide slot 113 penetrating lo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roller member 171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113 and performs rolling mo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slot 113 . may be arranged to do so. That is, since the guide slot 113 guides the movement of the roller member 171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roller guide part 112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rod member 140 .

베어링장착부(114)는 상판부(111)의 하면에 돌출되고 아우터부재(130)를 관통하는 베어링부재(172)가 장착되는 베어링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earing mounting part 114 may be formed with a bearing hole 115 in which the bearing member 172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111 and penetrates the outer member 130 is mounted.

예를 들어 베어링장착부(114)는 판 상으로 형성되고 상판부(111)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장착부(114)는 베어링부재(172)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earing mounting part 11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plate part 111 . In addition, the bearing mounting part 114 may be provided as a pair to support both ends of the bearing member 172 .

아우터스프링연결부(116)는 제2 탄성부재(162)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16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아우터스프링연결부(116)는 이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스프링연결부(116)는 베어링장착부(114)의 제2 방향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부재(130)재는 베어링장착부(11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탄성부재(162)에 의해 마운팅부재(110)에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may be fixed to the outer spring connection part 116 .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outer spring connection part 116 may be provided as a pair corresponding thereto. The outer spring connection part 116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earing mounting part 114 in the second direction. As a result, the outer member 130 may be rotated around the bearing mounting part 114 , and may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110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

이너부재(120)는 내측면지지부(122), 상면지지부(121) 및 이너바디(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member 120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2 , an upper surface support part 121 , and an inner body 123 .

내측면지지부(122)는 사이드멤버(21)의 내측부(23)를 지지할 수 있고, 상면지지부(121)는 사이드멤버(21)의 상측부(22)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지지부(122)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지지부(121)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지지부(122)와 상면지지부(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면지지부(122)의 하단에는 사이드멤버(2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된 하단 절곡부분(12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2 may support the inner part 23 of the side member 21 , and the upper surface support part 121 may support the upper part 22 of the side member 21 . Here, the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2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urface support part 121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support part 122 and the upper surface support part 121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support portion 122 may include a lower bent portion 122a bent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21 .

이너바디(123)는 상면지지부(121)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롤러부재(171)를 매개로 롤러가이드부(112)와 로드부재(140)에 연결되고, 롤러부재(17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 가이드홀(125)이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될 수 있다. The inner body 123 is provid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upport par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roller guide part 112 and the rod member 140 via the roller member 171, and the roller member 171 is movable. The roller guide hole 125 to be inserted may be long penetra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너바디(123)는 한 쌍의 롤러가이드부(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롤러부재(171)를 통해 롤러가이드부(112)와 연결되며, 가이드슬롯(113)과 롤러 가이드홀(125)에 의해 차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body 123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roller guide parts 112 and is connected to the roller guide part 112 through the roller member 171, and the guide slot 113 and the roller guide hole ( 125) to be movabl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측벽부(117)는 사이드멤버(21)의 조립 시에 이너부재(1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하단부가 상면지지부(121)에 접촉되게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17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pport portion 121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inner member 120 when the side member 21 is assembled.

구체적으로 사이드멤버(21)가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의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사이드멤버(21)에 의해 롤러부재(171)가 롤러 가이드홀(125)에서 이동되어 이너부재(120)가 외측으로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마운팅부재(110)의 측벽부(117)의 하단부가 이너부재(120)의 상면지지부(121)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이너부재(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너부재(120)가 정위치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ile the side member 21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 the roller member 171 is moved from the roller guide hole 125 by the side member 21 to the inner member. A problem in which the member 120 rotates outward may occur.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17 of the mounting member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upport portion 121 of the inner member 12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inner member 120 . As a result, the inner member 120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normal position range.

한편 이너바디(123)는 아우터슬라이딩홈(127)과, 아우터가압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ner body 123 may include an outer sliding groove 127 and an outer pressing part 126 .

아우터슬라이딩홈(127)은 제2 방향으로 개구되고 아우터부재(130)에 구비된 베어링고정부(134)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The outer sliding groove 127 may be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bearing fixing part 134 provided in the outer member 130 may be slidably accommodated.

아우터가압부(126)는 아우터슬라이딩홈(127)의 상부에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아우터부재(130)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outer pressing part 126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liding groove 127 and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outer member 130 .

아우터부재(130)는 베어링부재(172)가 장착되는 베어링고정부(134)를 포함하고, 아우터부재(130)가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베어링고정부(134)는 아우터슬라이딩홈(127)의 제2 방향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도 9, 도 10 참조). 그리고 이너부재(1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아우터가압부(126)가 아우터부재(130)의 상단부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아우터부재(13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베어링고정부(134)가 아우터슬라이딩홈(127)의 제1 방향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도 11, 도 12 참조).The outer member 130 includes a bearing fixing part 134 on which the bearing member 172 is mounted, an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member 130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bearing fixing part 134 is formed in the outer sliding groove 127 . )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direction (see FIGS. 9 and 10 ). And when the inner member 12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outer pressing unit 126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outer member 130, whereby the outer member 130 rotates downward and the bearing fixing unit 134.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outer sliding groove 127 in the first direction (see FIGS. 11 and 12 ).

한편 아우터부재(130)는 아우터바디(131), 베어링고정부(134), 상단직선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uter member 130 may include an outer body 131 , a bearing fixing part 134 , and an upper straight part 133 .

아우터바디(131)는 사이드멤버(21)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면지지부(131a)와, 외측면지지부(131a)의 상단부에서 이너부재(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 탄성부재(162)의 단부가 고정되는 상단경사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바디(131)는 하단에 제1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단 절곡부(131b)를 포함하여, 사이드멤버(21)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outer body 131 includes an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31a for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21, and an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31a to extend obliquely upw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member 120 and extend with a second elasticity. It may include an upper inclined portion 131c to which the end of the member 162 is fixed. The outer body 131 may include a lower bent portion 131b bent in the first direc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ide member 21 .

베어링고정부(134)는 상단경사부(131c)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베어링부재(172)가 삽입되는 베어링수용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부재(130)는 베어링부재(172)에 의해 베어링고정부(13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부재(130)의 회전 시에, 베어링고정부(1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우터슬라이딩홈(12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bearing fixing part 13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of the upper inclined part 131c and a bearing receiving hole 135 into which the bearing member 172 is inserted may be formed. The outer member 130 may rotate around the bearing fixing part 134 by the bearing member 172 . And when the outer member 130 rotates, the bearing fixing part 134 may move along the outer sliding groove 127 as described above.

상단직선부(133)는 베어링고정부(134)의 상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되고 아우터가압부(126)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traight part 133 may be formed fla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fixing part 134 and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pressing part 126 .

구체적으로 로드부재(140)에 의해 이너부재(1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 시에, 아우터가압부(126)가 상단직선부(133)를 가압하여 아우터부재(130)가 하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부재(130)가 이너부재(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inner member 12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od member 140, the outer pressing part 126 presses the upper straight part 133 so that the outer member 130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can do. Accordingly, the outer member 130 may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120 .

한편 로드부재(140)는 로드몸체(141)와, 롤러홀(142)과, 스프링홀(143) 및, 힌지홀(144)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od member 140 may include a rod body 141 , a roller hole 142 , a spring hole 143 , and a hinge hole 144 .

로드몸체(141)는 일단부가 제1 탄성부재(161)를 매개로 측벽부(117)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홀더부재(15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rod body 141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wall portion 117 via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and the other end may be hinge-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150 .

롤러홀(142)은 로드몸체(141)의 제1 방향의 단부에 관통되고 롤러부재(171)가 삽입될 수 있다. 롤러부재(171)는 롤러홀(1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roller hole 142 is penetrated through the end of the rod body 141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oller member 171 may be inserted thereinto. The roller member 171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oller hole 142 .

스프링홀(143)은 로드몸체(141)에 관통되고 제1 탄성부재(161)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홀(143)은 롤러홀(142)의 제1 방향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pring hole 143 may pass through the rod body 141 and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may be fixed. The spring hole 14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rection of the roller hole 142 .

힌지홀(144)은 로드몸체(141)의 제2 방향에 관통되고 홀더부재(150)를 관통하는 힌지부재(173)가 삽입될 수 있다. The hinge hole 144 is penetr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rod body 141 and the hinge member 173 penetrating the holder member 150 may be inserted thereinto.

홀더부재(150)는 홀더바디(151)와 삽입돌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member 150 may include a holder body 151 and an insertion protrusion 153 .

홀더바디(151)는 상단부에 힌지부재(173)가 관통되는 힌지공(152)이 형성되고, 힌지부재(173)를 통해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힌지공(152)과 힌지홀(144)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힌지부재(173)는 힌지공(152)과 힌지홀(144)에 관통될 수 있다. 홀더부재(150)는 힌지공(152)을 중심으로, 작업자의 회전조작 등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The holder body 151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hole 152 through which the hinge member 173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and rotated through the hinge member 173 . That is, the hinge hole 152 and the hinge hole 144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hinge member 173 may penetrate the hinge hole 152 and the hinge hole 144 . The holder member 150 may be rotated around the hinge hole 152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rotation operation of an operator.

삽입돌기(153)는 홀더바디(151)의 하단부에 이너부재(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아우터부재(130)에 구비된 돌기삽입홀(131d)에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rotrusion 153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member 120 at the lower end of the holder body 151 and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31d provided in the outer member 130 .

구체적으로 사이드멤버(21)의 외측부(24)에 돌기삽입공(25)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아우터부재(130)의 외측면지지부(131a)에는 돌기삽입홀(131d)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53)는 돌기삽입공(25)과 돌기삽입홀(131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25 may be formed through the outer part 24 of the side member 21 ,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31d may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support part 131a of the outer member 130 . . The insertion protrusion 15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25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31d.

홀더바디(151)가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탄성부재(161)가 로드부재(140)를 당기는 탄성력에 의해 홀더바디(15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삽입돌기(153)는 돌기삽입공(25)과 돌기삽입홀(131d)에 삽입된다. 그리고 홀더바디(151)는 제1 탄성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아우터부재(130)를 사이드멤버(21)에 밀착시킬 수 있다. When the holder body 151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holder body 151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pulling the rod member 140,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153 is a protrusion.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5 and the projection insertion hole (131d). In addition, the holder body 151 may bring the outer member 13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member 2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

한편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사이드멤버(21)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Meanwhile, a process of assembling the side member 21 using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4 .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사이드멤버(21)가 조립되기 전 초기상태에서, 로드부재(140)와 이너부재(120)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롤러부재(171)는 롤러 가이드홀(125)과 가이드슬롯(113)의 제1 방향 단부에 위치한다. 이때 아우터부재(130)와 홀더부재(150)는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8 , in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side member 21 is assembled, the rod member 140 and the inner member 120 ar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e roller member 171 is formed through the roller guide hole ( 125) and at the end of the guide slot 113 in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outer member 130 and the holder member 150 are rotated upward.

이러한 상태에서 A 방향으로 사이드멤버(21)가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삽입되는 사이드멤버(21)에 의해 이너부재(120)가 회전할 수 있는데(도 8의 점선 참조), 마운팅부재(110)의 측벽부(117) 하단부에 의해 이너부재(120)의 회전이 제한되어 정위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side member 21 may enter in the A direction. At this time, the inner member 120 can be rotated by the inserted side member 21 (refer to the dotted line in FIG. 8 ), and the rotation of the inner member 120 is prevented by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17 of the mounting member 110 It is limited and can be positioned in place.

다음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에 의해 홀더부재(150)가 제2 방향(화살표방향 참조)으로 당겨지면, 제1 탄성부재(161)가 인장되면서 로드부재(140)가 이동하고, 롤러부재(171)에 의해 이너부재(1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Next, referring to FIGS. 9 and 10, when the holder member 150 is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refer to the arrow direction) by the operator, the rod member 140 moves while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is tensioned, The inner member 12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oller member 171 .

이때 이너부재(120)의 아우터가압부(126)가 아우터부재(130)의 상단직선부(133)를 가압하면서, 아우터부재(130)가 베어링고정부(134)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10 참조). 이때 제2 탄성부재(162)는 회전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ile the outer pressing part 126 of the inner member 120 presses the upper straight part 133 of the outer member 130, the outer member 130 may be rotated around the bearing fixing part 134 ( see Fig. 10). In this case,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may be rotate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홀더부재(150)를 제2 방향으로 더 당기게 되면, 아우터부재(130)가 더 회전되어 베어링고정부(134)는 아우터슬라이딩홈(127)의 제1 방향의 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아우터부재(130)와 이너부재(120)는 밀착된다. 이에 의해 아우터부재(130)된 이너부재(120)는 삽입된 사이드멤버(21)에 밀착될 수 있다. 11 and 12 , when the holder member 150 is further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outer member 130 is further rotated so that the bearing fixing part 134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outer sliding groove 127 . It can move to the end, and the outer member 130 and the inner member 120 are in close contact. Accordingly, the inner member 120 having the outer member 1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ed side member 21 .

도 13과 같이 힌지부재(173)를 중심으로 홀더부재(150)를 회전시키면, 삽입돌기(153)가 돌기삽입홀(131d)과 돌기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When the holder member 15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member 173 as shown in FIG. 13 , the insertion protrusion 153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31d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이 후 도 14와 같이 제1 탄성부재(161)의 인장력에 의해 로드부재(14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돌기(153)가 돌기삽입홈과 돌기삽입홀(131d)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된 후에도 제1 탄성부재(16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드부재(140)가 당겨지면서 홀더부재(150)가 아우터부재(130)를 당김으로써 아우터부재(130)를 사이드부재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14 , the insertion protrusion 153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31d while the rod member 14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tensile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 . And even after being inserted, the rod member 140 is pull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and the holder member 150 pulls the outer member 130 to make the outer member 130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member. can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이드멤버(21)가 차량용 장착 조립체(100)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사이드멤버(21)와 차체 사이드 실부(11)가 결합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side member 21 is fixed to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100 , whereby the side member 21 and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1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 후에, 차체부(10)의 교체를 위해 차체부(10)와 섀시프레임부(20)를 분리 시에, 상기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함으로써, 사이드멤버(21)를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의 사이에서 분리할 수 있다.After that, when the body part 10 and the chassis frame part 20 are separated for replacement of the body part 10,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so that the side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inner member 120. It can be separated between the outer members 130 .

즉 사이드멤버(21)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14 참조), 홀더부재(150)를 제1 방향으로 당겨서 삽입돌기(153)를 돌기삽입홀(131d)에서 빼낸 후(도 13 참조), 홀더부재(15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11, 도 12 참조). 이때 제1 탄성부재(1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로드부재(14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side member 21 is assembled (refer to FIG. 14), the holder member 15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to remove the insertion protrusion 153 from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131d (refer to FIG. 13), the holder The member 150 may be rotated upward (see FIGS. 11 and 12 ). At this time, the rod member 140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tensile force cau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1 .

로드부재(14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아우터가압부(126)가 아우터부재(130)의 상단직선부(133)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이때 제2 탄성부재(16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아우터부재(130)가 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9, 도 10 참조). 이에 의해 이너부재(120)와 아우터부재(130) 사이가 이격되면서 사이드멤버(21)를 분리할 수 있다.As the rod member 14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pressing force pressing the upper straight part 133 of the outer member 130 by the outer pressing part 126 is released, and at this ti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2 is released. Thus, the outer member 130 may be rotated upward (refer to FIGS. 9 and 10). Accordingly, the side member 21 can be separated while being spaced apart between the inner member 120 and the outer member 13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장착 조립체는, 이너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아우터부재가 회전되게 구비됨으로써, 차체 사이드 실부와 사이드멤버를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member is provided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so that the side seal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ide member can b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면 차체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차체부의 전폭, 전장 등이 변하더라도 조립을 위한 별도의 볼팅, 접착, 용접 등의 작업 없이도 다양한 차체부를 섀시프레임과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can be easily replaced, and various body parts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chassis frame without separate bolting, bonding, welding, etc. and can be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특히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차체부로 교체가 필요한 다목적 모빌리티를 이용 시에, 사이드멤버에 다양한 차체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Therefo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various body parts in the side members especially when using multi-purpose mobility that requires replacement of body parts of various shap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use of the user.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체부 11: 차체 사이드 실부
12: 장착부 13: 절개부
20: 섀시프레임 21: 사이드멤버
22: 상측부 23: 내측부
24: 외측부 25: 돌기삽입공
100: 차량용 장착 조립체 110: 마운팅부재
111: 상판부 112: 롤러가이드부
113: 가이드슬롯 114: 베어링장착부
115: 베어링홀 116: 아우터스프링연결부
117: 측벽부 118: 로드스프링연결부
120: 이너부재 121: 상면지지부
122: 내측면지지부 122a: 하단 절곡부분
123: 이너바디 125: 롤러 가이드홀
26: 아우터가압부 127: 아우터슬라이딩홈
130: 아우터부재 131: 아우터바디
131a: 외측면지지부 131b: 하단 절곡부
131c: 상단경사부 131d: 돌기삽입홀
132: 스프링고정부 133: 상단직선부
134: 베어링고정부 135: 베어링수용홀
140: 로드부재 141: 로드몸체
142: 롤러홀 143: 스프링홀
144: 힌지홀 150: 홀더부재
151: 홀더바디 152: 힌지공
153: 삽입돌기 161: 제1 탄성부재
162: 제2 탄성부재 171: 롤러부재
172: 베어링부재 173: 힌지부재
10: body part 11: body side seal part
12: mounting part 13: cutout
20: chassis frame 21: side member
22: upper part 23: inner part
24: outer part 25: protrusion insertion hole
100: vehicle mounting assembly 110: mounting member
111: upper plate part 112: roller guide part
113: guide slot 114: bearing mounting portion
115: bearing hole 116: outer spring connection part
117: side wall portion 118: rod spring connection portion
120: inner member 121: upper surface support part
122: inner side support portion 122a: lower bent portion
123: inner body 125: roller guide hole
26: outer pressing unit 127: outer sliding groove
130: outer member 131: outer body
131a: outer surface support portion 131b: lower bent portion
131c: upper inclined portion 131d: projection insertion hole
132: spring fixing part 133: upper straight part
134: bearing fixing part 135: bearing receiving hole
140: rod member 141: rod body
142: roller hole 143: spring hole
144: hinge hole 150: holder member
151: holder body 152: hinge ball
153: insertion protrusion 161: first elastic member
162: second elastic member 171: roller member
172: bearing member 173: hinge member

Claims (13)

차체 사이드 실부의 하면에 구비된 장착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재;
상기 마운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이드멤버의 내측부과 상측부를 지지하게 구비되는 이너부재; 및
상기 마운팅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멤버의 외측부를 지지하게 구비되는 아우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아우터부재가 회전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이너부재와 상기 아우터부재가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멤버와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를 탈착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a mounting uni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unit;
an inner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provided to support an inn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nd
and an outer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provided to support an out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wherein the outer member is rotated in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nd the outer member come close to or apart from each other by rotation, whereby the side member and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are detachably assembled.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와 상기 이너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부재를 상기 사이드멤버에 밀착시키게 구비되는 홀더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이너부재가 상기 마운팅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 rod member mov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holder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member and provided to attach the outer member to the side member,
The 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member is provided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아우터부재와 상기 마운팅부재를 연결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rod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to provide tension; and
The vehicle mounting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tension by connecting the outer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멤버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차량의 폭 방향인 차폭방향 중,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사이드멤버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Am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s that are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member, the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ide member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The mounting member is
an upper plate part attached to the mounting part; and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ix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이너부재를 관통하는 롤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한 쌍의 롤러가이드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부재를 관통하는 베어링부재가 장착되는 베어링홀이 형성된 베어링장착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아우터스프링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member is
a pair of roller guide part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and having guide slots extending lo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member passing through the inner member;
a bearing mounting part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and having a bearing hole in which a bear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outer member is mounted; and
and an outer spring connection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fix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부재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부를 지지하는 내측면지지부;
상기 사이드멤버의 상측부를 지지하는 상면지지부; 및
상기 상면지지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재를 매개로 상기 롤러가이드부와 상기 로드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롤러 가이드홀이 상기 차폭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이너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ner member is
an inner sid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n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n upper surfa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nd
The inner body is provid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roller guide part and the rod member via the roller member, and a roller guide hole into which the roller member is movably inserted is elonga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에 구비된 베어링고정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우터슬라이딩홈; 및
상기 아우터슬라이딩홈의 상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구비되는 아우터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ner body is
an outer sliding groove that is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ccommodates a bearing fix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member to be slidably moved; and
and an outer press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liding groove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provided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outer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부재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면지지부와, 상기 외측면지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이너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상단경사부를 포함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아우터바디;
상기 상단경사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수용홀이 형성되는 베어링고정부; 및
상기 베어링고정부의 상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가압부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상단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uter member is
an outer surface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 outer body provided;
a bearing fix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an end of the upper inclined part and having a bearing receiving hole into which the bearing member is inserted; and
and a straight upper end formed flat on an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fixing par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ressing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에, 상기 아우터가압부가 상기 상단직선부를 가압하여 상기 아우터부재가 하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inner member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rod member, the outer pressing part presses the upper straight part to rotate the outer member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측벽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홀더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로드몸체;
상기 로드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관통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삽입되는 롤러홀;
상기 로드몸체에 관통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홀; 및
상기 로드몸체의 상기 제2 방향에 관통되고 상기 홀더부재를 관통하는 힌지부재가 삽입되는 힌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od member
a rod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ide wall portion via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hingedly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a roller hole penetrating through an end of the rod body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roller member is inserted;
a spr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rod body and fixing an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and a hinge hole penetr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rod body and into which a hinge member passing through the holder member is inser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힌지부재가 관통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홀더바디; 및
상기 홀더바디의 하단부에 상기 이너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부재에 구비된 돌기삽입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장착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lder member is
a holder body in which a hinge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member passes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is provided to rotate through the hinge member; and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der body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outer member.
차체 사이드 실부를 포함하는 차체부;
상기 차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는 사이드멤버를 포함하는 섀시프레임부; 및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멤버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착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의 하면에 구비된 장착부에 결합되는 마운팅부재;
상기 마운팅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부재; 및
상기 마운팅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부재와 함께 상기 사이드멤버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너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이너부재와 근접하거나 이격되게 구비되는 아우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a vehicle body portion including a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
a chassis frame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side member coupled to the body side seal part; and
a mounting assem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seal portion and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side member;
the mounting assembly
a mounting member coupled to a mounting part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an inner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and
An outer member provid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inner member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side member is inserted, provided to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and provided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member by rota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hassis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조립체는 상기 차체 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의 결합구조.
13. The method of claim 12,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chassis frame, wherein a plurality of the mounting assemblie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ide seal part.
KR1020200130988A 2020-10-12 2020-10-12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KR20220048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88A KR20220048166A (en) 2020-10-12 2020-10-12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88A KR20220048166A (en) 2020-10-12 2020-10-12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66A true KR20220048166A (en) 2022-04-19

Family

ID=8139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88A KR20220048166A (en) 2020-10-12 2020-10-12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16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96A (en) 2022-10-05 2024-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fram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96A (en) 2022-10-05 2024-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fram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8166A (en)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and combin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and chassis frame having the same
CN102926585A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CA2583451A1 (en) Sliding window assembly
JP2005335484A (en) Sun shade device
US20130307293A1 (en) Sunroof apparatus
WO2014091924A1 (en) Window regulator
KR19990007423A (en) Control Structure of Vehicle Sunroof Panel
CN216977140U (en) Air deflector and air conditioner
US6802560B2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JP2008285934A (en) Slide assisting device for sliding door
CN114608083B (en) Window type air management device
JPH11159233A (en) Pivot device for folding door
CN108397091A (en) It is automobile-used to flush sliding window and its working method
KR101325178B1 (en) Connector driving apparatus for battery of vehicle
CN219351643U (en) Photovoltaic panel assembly cleaning device
JP2011089311A (en) Cable tensioning device and window regulator provided with the same
CN216147963U (en) Mop assembly and cleaning robot
CN219733445U (en) Air door spring booster unit
CN214489425U (en) Supporting device
CN114608082B (en) Method for installing window type air management device
CN212186101U (en) Driving beam sliding mechanism and sun-shading curtain
CN114608080B (en) Window type air management device
CN220645677U (en) Sideslip double door
CN114607252B (en) Window type air management device
CN114608078B (en) Window type air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