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49A -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49A
KR20220048149A KR1020200130953A KR20200130953A KR20220048149A KR 20220048149 A KR20220048149 A KR 20220048149A KR 1020200130953 A KR1020200130953 A KR 1020200130953A KR 20200130953 A KR20200130953 A KR 20200130953A KR 20220048149 A KR20220048149 A KR 2022004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ay system
pay
serv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은
안상일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Priority to KR102020013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49A/ko
Publication of KR2022004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a)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financial service using pay system}
본 발명은 결제 금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앱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페이 시스템 기반 QR 코드를 가맹점에 비치된 가맹점 단말을 통해 스캔하고, 결제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페이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각 사용자마다 여러 종류의 페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반면,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이 모든 페이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지 않아 결제 진행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를 위해, 가맹점 단말을 각 페이 시스템과 연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전국의 가맹점 단말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고, 연동 및 교체에 따른 대규모 비용으로 인해 이러한 방식은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이용 확대를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999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가맹점에서 물건을 구매, 용역 서비스 등 이용 시에 지불하는 대가에 계좌 기반의 지역화폐를 이용하는 경우, 전국 단위 제로페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a)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d)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가맹점 단말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결제대행사(Value Added Network, VAN) 서버와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금융결제원 서버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가맹점 단말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결제대행사(Value Added Network, VAN) 서버와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금융결제원 서버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역기반의 각종 화폐형태의 지원(예: 지역축제페이, 지역상품권, 재난보조금 등)에 대하여 전국민 보급된 단말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금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금융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결제 금융 시스템(100)은 단말(110), 가맹점 단말(120), 결제대행사(Value Added Network, VAN) 서버(130), 금융결제원 서버(140), 결제사업자 서버(150), 펌뱅킹 서버(160), 은행 서버(170) 및 페이결제 서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110)은 페이 어플을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페이 어플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제2 페이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제1 페이 시스템이 등록된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120)은 POS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제대행사 서버(130)는 제1 페이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VAN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금융결제원 서버(14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통한 결제 중개기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페이 시스템은 은행 서버(170)와 연계된 은행 계좌로부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페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페이 시스템은 계좌기반 지원금, 기관포인트 또는 지역화폐를 처리하기 위한 페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페이 시스템은 다른 은행 서버(미도시)와 연계된 은행 계좌로부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페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는 지원금 또는 지역화폐의 페이 운영 사업자의 페이결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 운영 사업자는 지자체, 기관, 병원, 대학 등 회원제 기반으로 페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1 페이 시스템과 관련하여 결제대행사 서버(130) 및 금융결제원 서버(140)와 연동 가능하고, 동시에, 제2 페이 시스템과 관련하여 페이결제 서버(180)와 연동할 수 있다.
즉,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펌뱅킹 서버(160)와 은행 서버(170)를 통해 전체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를 통해 전체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페이 시스템은 연동되어 있으나, 제2 페이 시스템이 연동되지 않은 가맹점 단말(120)의 경우라도, 결제사업자 서버(150)가 제1 페이 시스템과 제2 페이 시스템 모두와 연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가맹점 단말(120)이 제2 페이 시스템을 통해 전체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15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S201 단계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결제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201 단계 이전에,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에게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단말(110)의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가맹점 단말(120)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결제대행사 서버(130)와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금융결제원 서버(14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S203 단계는,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이다.
S205 단계는,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에 대한 비율 기준에 따라 전체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율 기준은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율 기준은 사용자에 의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율 기준은 제1 페이 시스템과 제2 페이 시스템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201 단계 이후에,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17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170)로부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단말(110), 결제대행사 서버(130), 금융결제원 서버(140) 및 페이결제 서버(18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110)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S301 단계에서, 단말(110)은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의 생성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상기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110)에게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단말(110)은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가맹점 단말(120)은 결제금액에 대하여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가맹점 단말(120)은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결제대행사 서버(13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결제대행사 서버(13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금융결제원 서버(14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금융결제원 서버(140)는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결제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에 대한 비율 기준에 따라 전체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페이결제 서버(180)는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10)을 인식하여, 단말(110)의 제2 페이 시스템 연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페이결제 서버(180)는 상기 결제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즉, 페이결제 서버(180)는 제2 페이 시스템을 통해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펌뱅킹 서버(16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S311 단계에서, 펌뱅킹 서버(160)는 은행 서버(17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나머지 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은행 서버(170)는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10)을 인식하여, 단말(110)의 제1 페이 시스템 연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12 단계에서, 은행 서버(170)는 상기 결제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펌뱅킹 서버(16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은행 서버(17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통해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S313 단계에서, 펌뱅킹 서버(160)는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314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페이결제 서버(180)에게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기반하여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315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금융결제원 서버(14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316 단계에서, 금융결제원 서버(160)는 결제대행사 서버(13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317 단계에서, 결제대행사 서버(130)는 가맹점 단말(12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318 단계에서, 페이결제 서버(180)는 단말(11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3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S4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서, 제2 실시예는 가맹점 단말(120)이 배치된 가맹점에서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제시되는 경우, 단말(110)은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어플을 통해 결제금액에 대하여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즉, 단말(110)은 MPM(Merchant Presented Mode)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단말(110)은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결제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에 대한 비율 기준에 따라 전체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페이결제 서버(180)는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10)을 인식하여, 단말(110)의 제2 페이 시스템 연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페이결제 서버(180)는 상기 결제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즉, 페이결제 서버(180)는 제2 페이 시스템을 통해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펌뱅킹 서버(16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펌뱅킹 서버(16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17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나머지 금액에 대한 정보,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 및 가맹점 단말(120)에 대한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은행 서버(170)는 단말(110)에 대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10)을 인식하여, 단말(110)의 제1 페이 시스템 연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은행 서버(170)는 상기 결제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펌뱅킹 서버(16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펌뱅킹 서버(160)는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은행 서버(17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통해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페이결제 서버(180)에게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기반하여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금융결제원 서버(14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411 단계에서, 금융결제원 서버(160)는 가맹점 단말(12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S412 단계에서,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단말(110)에게 결제금액에 대한 결체 처리 승인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 4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은행 서버(170)는 제1 페이 시스템과 연동된 은행 계좌를 통해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은행 서버(미도시)는 제2 페이 시스템과 연동된 은행 계좌를 통해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은행 서버(170)는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나머지 금액에 대한 입금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은행 서버는 결제사업자 서버(150)에게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입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결제사업자 서버(150)는 금융결제원 서버(140)에게 나머지 금액과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합한 전체 결제금액에 대한 입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금융결제원 서버(140)는 가맹점 단말(120)의 가맹점과 연동된 은행 계좌를 통해 결제금액에 대한 입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성 측면에서, 지역 내 특정화된 대상이 아닌 지역의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역화폐 지원금의 특정인 집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선착순 충전 형식이 아닌 사용 시 지원비율 만큼 지급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산 절감 측면에서, 지역화폐 사용 시 개인 비용을 일부 부담하는 형태로 사용 시 예산할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역화폐 운용사의 부실에 따른 충전금 보전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형태가 아닌 거래 시 정해진 비율에 따른 자부담 및 지원금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속성 측면에서, 개인이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 연계하므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업을 연계(일반적으로 예산 소진 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상의 확장성 측면에서, 기부금 연계, 지역사랑 포인트 반환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사의 확장성 측면에서, 지자체뿐만 아니고 회원제 기반으로 하는 모든 기관에서 활용 가능(병원페이, 대학페이 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지역화폐 100% 사용형태가 아니고 분할부담(개인과 지역화폐) 형태로 진행시 지속적인 소비가 2~3배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맹점 수수료 절감효과 측면에서, 계좌기반 뱅킹 시스템 진행이므로 저렴한 가맹점 수수료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원절약 측면에서, 모바일을 활용하여 지역화폐 보급, 모바일 수단의 결제, 모바일로 전송되는 전자영수증 등 지류 절약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오염 방지 측면에서, 각종 지류와 홍보를 위한 물품 등에 대하여 최대한 모바일 기반으로 진행시 환경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진행 측면에서, 지류와는 다르게 모바일로 앱 활용시 앱푸시를 통한 긴급 이벤트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15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150)는 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에게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며,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180)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5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미리 정의된 기준에 따라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에 대한 비율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0)는 사용자에 의한 기준에 따라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에 대한 비율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0)는 제1 페이 시스템과 제2 페이 시스템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과 나머지 금액에 대한 비율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결제 처리 요청 및 결제 처리 승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5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530)는 제어부(5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150)는 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150)는 도 5에 설명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5에 설명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결제 금융 시스템
110: 단말
120: 가맹점 단말
130: 결제대행사 서버
140: 금융결제원 서버
150: 결제사업자 서버
160: 펌뱅킹 서버
170: 은행 서버
180: 페이결제 서버
510: 통신부
520: 제어부
530: 저장부

Claims (14)

  1. (a)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d)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가맹점 단말에 의해 스캔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결제대행사(Value Added Network, VAN) 서버와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금융결제원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에 의해 스캔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가 스캔됨에 따라 생성되는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수신하고,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제2 페이 시스템을 위한 페이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에게 상기 결제금액 중 적어도 일부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수신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를 송신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가맹점 단말에 의해 스캔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요청은,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결제대행사(Value Added Network, VAN) 서버와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금융결제원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 및 상기 나머지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에 대응하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승인을 송신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 시스템을 위한 QR 코드는, 상기 제2 페이 시스템 기반 페이어플을 사용하는 단말에 의해 스캔되는,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결제사업자 서버 장치.
KR1020200130953A 2020-10-12 2020-10-12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48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53A KR20220048149A (ko) 2020-10-12 2020-10-12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53A KR20220048149A (ko) 2020-10-12 2020-10-12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49A true KR20220048149A (ko) 2022-04-19

Family

ID=8139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53A KR20220048149A (ko) 2020-10-12 2020-10-12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1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993A (ko) 2018-12-26 2020-07-06 이상복 큐알코드를 이용한 주문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993A (ko) 2018-12-26 2020-07-06 이상복 큐알코드를 이용한 주문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8676B2 (en) Short-term authorized pass
US11107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ayment via quick response (QR) code
US11151535B1 (en) Utilizing APIs to facilitate open ticket synchronization
US2015033224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beacon-enabled mobile pos
US11443299B2 (en) Gift card use notification
US11030550B2 (en) Computing system implementing reservation monitoring and shared fund transaction processing
CN106710081A (zh) 寄件方法、智能快递柜及服务器
US20130254051A1 (en) Apparatus for issuing receipts and user terminal using the receipts
KR101740121B1 (ko) 해외 선불화폐로 결제한 자금에 대한 실시간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7587B1 (ko) 수신자 선택형 모바일 선물교환권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EP308470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US8086533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ayment authorization based on a variable payment authorization score
CN101841809A (zh) 一种支持仿真pos交易的移动电话终端和系统
CN111435498B (zh) 跨境支付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066450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校园卡支付方法、装置及设备
CN112651729A (zh) 现金提取交易方法、收单行服务器及系统
KR102313173B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8149A (ko) 페이 시스템을 이용한 결제 금융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A2368577A1 (en) A method of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KR101547553B1 (ko) 선불형 결재 수단의 잔액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서버 장치
KR20040029819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및 과금 대행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2775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이체방법 및 시스템
KR102163747B1 (ko) 쿠폰 전송을 위한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쿠폰 전송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9690595B (zh) 移动推送支付
CN111401971A (zh) 通过关联路线提供激励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