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01A -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01A
KR20220048101A KR1020200130849A KR20200130849A KR20220048101A KR 20220048101 A KR20220048101 A KR 20220048101A KR 1020200130849 A KR1020200130849 A KR 1020200130849A KR 20200130849 A KR20200130849 A KR 20200130849A KR 20220048101 A KR20220048101 A KR 2022004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ing
classified
audio
synchronized
sn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726B1 (ko
Inventor
권오진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726B1/ko
Priority to PCT/KR2021/012034 priority patent/WO2022080670A1/ko
Publication of KR2022004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using preemphasis of the signal before modulation and deemphasis of the signal after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SNACK CULTURE CONTENTS}
본 발명은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속성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낵 컬처(snack culture)란 과자를 먹는 5분 내지 15분의 짧은 시간에 문화 컨텐츠를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웹툰, 웹 소설과 웹 드라마가 대표적인 스낵 컬처이다. 또한, 스낵 컬처는 시간과 장소와 관계없이 즐길 수 있는 간식(snack)처럼 출퇴근 시간이나 점심 시간 등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문화생활을 즐기는 라이프 스타일 또는 문화 트렌드를 의미한다.
현재 스낵 컬처 컨텐츠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에 오디오, 자막 및 커서가 삽입되어 비디오 또는 애니메이션 파일 형태로 저장되고 유통되고 있다. 다만,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에 오디오, 자막 및 커서가 삽입된 비디오 또는 애니메이션은 한번 저장된 파일로부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복구할 수 없고,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과 분리하여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재편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컨텐츠로부터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분류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류된 컨텐츠를 통해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재편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낵 컬처 컨텐츠에서 영상만을 분류하여 복구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의 프레임들을 컷 단위로 분류함으로써 컨텐츠 고압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a는 스낵 컬처 컨텐츠 자막의 제 1 예시도이다.
도 1b는 스낵 컬처 컨텐츠 자막의 제 2 예시도이다.
도 1c는 스낵 컬처 컨텐츠 자막의 제 3 예시도이다.
도 2a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1 예시도이다.
도 2b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2 예시도이다.
도 2c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3 예시도이다.
도 2d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4 예시도이다.
도 3a는 와이핑의 제 1 예시도이다.
도 3b는 와이핑의 제 2 예시도이다.
도 3c는 와이핑의 제 3 예시도이다.
도 3d는 와이핑의 제 4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스낵 컬처 컨텐츠 자막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1b는 스낵 컬처 컨텐츠 자막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1c는 스낵 컬처 컨텐츠 자막의 제 3 예시도이다.
현재 글로벌 디지털 미디어 소비 추세를 볼 때, 정보를 빠르고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이미지가 점점 더 풍부해져 대중 교통 통근 시간과 같은 짧은 여가 시간에 스낵 컬처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스낵 컬처 컨텐츠는 프레임의 전체 또는 일부가 이미지를 조작하여 생성되는 이미지 시퀀스로 표현되거나, 짧은 재생 시간으로 녹화된 이미지 시퀀스로 표현되거나, 오디오, 자막, 커서 및 그래픽이 적용되거나 전이 효과를 포함하는 이미지 시퀀스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 a를 참조하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영상에 자막으로 테헤이루 두 파쿠(Terreiro do paco)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영상에 자막으로 프라카 두 코메르시우(PRACA DO COMERCIO)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자막 윗부분에 커서도 함께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c를 참조하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영상에 자막으로 내셔널 생츄어리 오브 크라이스트 더 킹(NATIONAL SANCTUARY OF CHRIST THE KING)으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자막 아래부분에 커서도 함께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2b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2c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3 예시도이고, 도 2d는 페이드 인/아웃의 제 4 예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와이핑의 제 1 예시도이고, 도 3b는 와이핑의 제 2 예시도이고, 도 3c는 와이핑의 제 3 예시도이고, 도 3d는 와이핑의 제 4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낵 컬처 컨텐츠는 전이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포커싱은 초점을 흐리게 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고, 페이드 인/아웃은 컨텐츠가 점점 더 또렷해지거나 흐려지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고, 워싱-아웃은 광학적 장면 전환 효과로써 화면이 점차 하얗게 변하면서 사라지고, 이어서 새로운 장면이 나타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와이핑은 한 장면이 화면 한쪽으로 사라지면서 뒤이어 다음 장면이 나타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고, 줌 인/아웃은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도 2b, 도 2c 및 도2d를 참조하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영상이 전이 효과 중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이 적용되어 컨텐츠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영상이 와이핑되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할 수 있고,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인터넷 서버 저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한 영상을 스태틱 컷(static cut)으로 표현할 수 있고,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한 영상을 다이나믹 컷(dynamic cut)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한 영상을 트랜지션 컷(transition cut)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트랜지션 컷은 스태틱 컷과 스태틱 컷 사이, 스태틱 컷과 다이나믹 컷 사이, 다이나믹 컷과 스태틱 컷 사이, 다이나믹 컷과 다이나믹 컷 사이에 전이 효과가 적용되는 시간 동안의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트랜지션 컷의 시작 프레임은 스태틱 컷 또는 다이나믹 컷일 수 있고, 끝 프레임 또한 스태틱 컷 또는 다이나믹 컷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영상은 이어져 있는 컷들의 집합체임을 알 수 있다. 즉, 모든 프레임은 반드시 한 개의 컷에 속하고, 같은 종류의 컷들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스낵 컬처 컨텐츠의 오디오는 여러 개의 오디오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오디오 클립 각각은 시작점과 끝점이 영상의 프레임과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클립은 영상과 달리 연속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자막(캡션)은 여러 개의 자막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캡션 클립 각각의 생성과 소멸은 영상의 프레임과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자막 클립은 영상과 달리 연속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자막 클립은 영상 내 사각형 모양의 일정 영역(자막 박스)을 차지할 수 있고, 영상의 전이 효과와 함께 나타났다 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자막 박스는 사각형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자막 박스는 영상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영상의 내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영상의 내용 등의 투명도 또한 조절될 수 있고, 자막 박스 내에서 영상의 프레임과 동기화되어 좌우상하로 흘러가거나 영상의 전이 효과와 함께 나타났다 사라질 수 있다.
한편, 커서는 여러 개의 커서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커서 클립 각각의 생성과 소멸은 영상의 프레임과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커서 클립은 영상과 달리 연속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서 클립 각각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고,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커서의 위치는 영상의 프레임과 동기화되어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은,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을 각각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여 압축을 진행함으로써 전체 영상을 압축하는 것에 비해 압축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면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류된 영상의 정보, 오디오, 자막 및 커서와 동기화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면서 스태틱 컷에 해당하는 정지 영상의 파일 또는 코드 스트림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고, 다이나믹 컷에 해당하는 움직이는 영상의 파일 또는 코드 스트림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고, 트랜지션 컷이 시작 프레임과 끝 프레임 사이의 전이 효과에 대한 정보, 시작 프레임과 끝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파일 또는 코드 스트림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이 압축될 때 상기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면서 오디오, 자막 및 커서와 동기화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오디오 클립이 영상과 동기화되어 시작되는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오디오 클립이 영상과 동기화되어 끝나는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자막 클립이 영상과 동기화되어 시작되는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자막 클립이 영상과 동기화되어 끝나는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커서 클립이 영상과 동기화되어 시작되는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커서 클립이 영상과 동기화되어 끝나는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면서 자막 클립에 포함된 자막 박스의 위치, 크기, 투명도, 이동, 영상과 동기화되어 나타났다 사라질 때의 전이 효과에 대한 정보, 자막 박스 내 영상의 내용, 영상의 내용의 투명도, 영상의 내용의 흐름, 나타났다 사라질 때의 전이 효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하면서 커서 클립에 포함된 커서 모양, 투명도 및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명령 수행의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100)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또한 서버로부터 수신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각각 저장할 수 있고,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오디오, 자막 및 커서와 동기화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160)는 스낵 컬처 컨텐츠가 각각의 속성으로 분류된 시간, 오디오, 자막 및 커서가 영상과 동기화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낵 컬처 컨텐츠에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의 코딩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는 애니메이션 이미지 시퀀스, 포토 슬라이드, 여러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360도 이미지, 오디오, 자막 및 커서와 영상이 혼합된 미디어에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를 통해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각각 재편집할 수 있고, 스낵 컬처 컨텐츠에 대한 타임라인 및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는 코덱-독립적(codec-independen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에서 영상 및 오디오를 코딩하면 전이 효과를 포함한 애니메이션 이미지 시퀀스에 대해 기존 이미지 코딩 표준을 준수할 수 있고, 계산, 메모리 및 전력 소비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11.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수신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영상, 오디오, 자막 및 커서로 각각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분류된 스낵 컬처 컨텐츠 중 영상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컷 단위로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 및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독립된 컷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이 효과는,
    디포커싱(defocusing),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워싱-아웃(washing-out), 와이핑(wiping) 및 줌 인/아웃(zoom in/ou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정지된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한장의 이미지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움직이는 영상의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독립된 컷으로 분류된 전이 효과가 적용되어 연속되는 프레임들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오디오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자막과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과 오디오, 자막 또는 커서가 동기화된 스낵 컬처 컨텐츠를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커서와 동기화된 상기 컷 단위로 분류된 영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장치.
KR1020200130849A 2020-10-12 2020-10-12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243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849A KR102437726B1 (ko) 2020-10-12 2020-10-12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PCT/KR2021/012034 WO2022080670A1 (ko) 2020-10-12 2021-09-06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컨텐츠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849A KR102437726B1 (ko) 2020-10-12 2020-10-12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01A true KR20220048101A (ko) 2022-04-19
KR102437726B1 KR102437726B1 (ko) 2022-08-26

Family

ID=8120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849A KR102437726B1 (ko) 2020-10-12 2020-10-12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7726B1 (ko)
WO (1) WO2022080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2188A (zh) * 2022-05-09 2022-09-13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剪辑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92A (ko) * 2000-06-14 2001-12-20 박성한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신호의 편집 시스템 및편집 방법
KR20020043385A (ko) * 2000-12-04 2002-06-10 김문영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데이터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1570B2 (ja) * 2005-07-01 2009-08-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再生装置、ビデオ復号装置および同期再生方法
KR101290346B1 (ko) * 2009-10-22 2013-07-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다중화/스트리밍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92A (ko) * 2000-06-14 2001-12-20 박성한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신호의 편집 시스템 및편집 방법
KR20020043385A (ko) * 2000-12-04 2002-06-10 김문영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데이터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670A1 (ko) 2022-04-21
KR102437726B1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11435B (zh) 动画处理方法和装置
CN108810622B (zh) 视频帧的提取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US957620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scene-change/non-scene-change transition between frames
US100082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digital footage into a digital cinematographic template
US7439982B2 (en) Optimized scene graph change-based mixed media rendering
US7149974B2 (en) Reduced representations of video sequences
JP7325535B2 (ja) アニメーションレンダリング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機器
CN111899322B (zh) 视频处理方法、动画渲染sdk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184856A (zh) 支持多图层特效及动画混合的多媒体处理装置
US20140068695A1 (en) Advanced Digital TV System
CN111641838A (zh) 一种浏览器视频播放方法、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20201514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text-based subtitl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ext-based subtitle
US201301477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Visual Content
US11972514B2 (en) Animation fil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device
US7483619B2 (en) System for authoring and viewing detail on demand video
CN109819317A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0996150A (zh) 视频融合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37726B1 (ko) 스낵 컬처 컨텐츠 저장 방법 및 장치
CN112802168A (zh) 动画生成方法、装置及电视终端
CN110691246B (zh) 视频编码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462200B2 (en)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for still image-based cloud stre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US10636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of an asset having transparency
US11678019B2 (en) User interface (UI) engine for cloud UI rendering
US20190141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on of an asset into a source dynamic media
WO2023087991A1 (zh) 一种页面跳转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