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222A -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 Google Patents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222A
KR20220046222A KR1020200129381A KR20200129381A KR20220046222A KR 20220046222 A KR20220046222 A KR 20220046222A KR 1020200129381 A KR1020200129381 A KR 1020200129381A KR 20200129381 A KR20200129381 A KR 20200129381A KR 20220046222 A KR20220046222 A KR 2022004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casing
box
supp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현
오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바
Priority to KR102020012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222A/en
Publication of KR2022004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2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room having an air shower and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wherein the clean room can relieve indoor contamination due to dust, and to a multi-party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ied therewith. The clean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an air spray means for removing bacteria and dust; a sterilizing water spray means; an air discharge means provided in a lower part of the casing; and an air purifying means provided outside the casing.

Description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 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붙은 세균과 먼지를 제거하여 세균으로 인한 질병 감염을 억제하고 먼지로 인한 실내 오염을 해소할 수 있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부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to remov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or clothes to suppress disease infection caused by bacteria and to eliminate indoor contamination caused by dust, and a clean with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It relates to a room and a multi-party independent entry-exit clean booth to which it is applied.

최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기관, 공항, 학교, 도서관, 관공서 등과 같은 건물 출입구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을 살균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클린부스가 설치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clean booths with the function of sterilizing the body and clothes of users are being installed at the entrances of buildings such as medical institutions, airports, schools, libraries, and government offices. .

이러한 클린부스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입구와 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입구와 출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처리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바람을 발생시켜 처리공간을 향해 압송하는 송풍기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처리공간을 향해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Such a clean booth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a treatment space for communica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therein, a blow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generate wind and pressurize it toward the treatment space; 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mposed of a sterilization means that radiates infrared or ultraviolet rays toward the processing space.

즉, 클린부스는 사용자가 입구를 통해 본체의 처리공간으로 입장하면 정해진 시간도안 사용자를 향해 바람을 공급하고 사용자를 향해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은 세균을 분리하고 살균 처리하는 구조이다. In other words, when a user enters the treatment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entrance, the clean booth supplies wind to the user for a set period of time and emits infrared or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user to separate and sterilize the bacteria on the user's body and clothes. is the structure

그러나 종래의 클린부스는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서 분리된 세균이 적외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제대로 살균되지 않을 경우 이를 재차 살균하고 흡인하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본체의 내부 바닥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때 본체의 내부 바닥에 그대로 남은 세균은 그 다음 차례부터 본체의 처리공간으로 계속해서 입장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신체나 의복에 옮겨 붙게 되면서 방역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ean booth, when the bacteria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nd clothes are not properly sterilized by infrared or ultraviolet rays, there is no separate means for sterilizing and sucking them again, so that they remain on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cteria remaining on the inner floor of the main body are transferred to the body or clothes of other users who continue to enter the processing space of the main body from the next turn, and thus the prevention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또한 종래의 클린부스는 사용자 간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한 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본체의 처리공간에 입장 가능하도록 본체가 소형 크기로 구성되어 한 번에 다수 사용자가 동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건물을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 건물 출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고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건물 출입을 위해 대기하는 사용자 간의 접촉을 유발하여 사용자 간의 전염 방지가 허술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lean booth is configured in a small size so that only one user can enter the processing space of the main body at a time in order to prevent transmission between users, so that multiple users cannot use it at the same time. Here, if there are many users who want to enter the building, it takes a lot of time to enter the building, and as the waiting time becomes longer, contact between users waiting to enter the building is cau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vention of transmission between users is poor.

따라서 방역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어 있는 세균이나 먼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분리되어 바닥에 떨어진 세균이나 먼지까지 살균 및 집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사용자가 서로 독립된 처리공간에서 동시 사용 가능하여 대기시간을 없애고 사용자 간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클린부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perform the quarantine function,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dust not only th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but also the bacteria and dust that have fallen on the floor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nd clothes. It is urgent to research and develop a clean booth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users to simultaneously use it in an independent processing space, eliminating waiting time and avoiding contact between user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942호, 2018.02.13.자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8942, 2018.02.13.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 대한 방역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어 있는 세균이나 먼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분리되어 바닥에 떨어진 세균이나 먼지까지 살균 및 집진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사용자가 서로 독립된 처리공간에서 동시 사용 가능하여 대기시간을 없애고 사용자 간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nd clothes as well as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so that the quarantine function against highly contagious diseases can be properly performed. The air shower and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re not only capable of sterilizing and collecting dust that have fallen on the floor, but also that multiple users can use it at the same time in an independent treatment space, eliminating waiting time and avoiding user-to-user contac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clean room with a clean room and a multi-person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to which it is appli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and can be sufficiently included 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림 룸은 건물의 출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세균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처리공간이 마련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가폐문이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고 공급팬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흡입된 공급공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은 세균과 먼지를 털어내는 공기분사수단;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살균수를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살균 처리하는 살균수분사수단;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구비되고 배출팬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흡입팬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제습 처리하고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급공기로부터 분리되게 집진 처리하며 상기 공급공기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한 다음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An air shower and a clean room having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provid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to remov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body and clothes of a user who enters through the entrance; a casing provided with a processing space inside, the front and the back open, and a closing door on the front and back, respectively; an air spray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and spraying the supplied air suck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supply fan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downward to blow off th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a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casing by expanding and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ide of the casing; an air exhaust mean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and for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from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through an exhaust fan and discharg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nd after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provided outside the casing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a suction fan, the supply air and the dust are dehumidified, and the dust is collected so that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supply air. and an air purifying means for sterilizing the bacteria remaining in the supply air and then discharging to the out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는 건물의 출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복수 명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출입하면서 각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세균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덕트함과,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부덕트함이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덕트함과 상기 하부덕트함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좌우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공간이 마련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고 확대분사공이 형성되는 확대관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배출발판으로 이루어지는 클린 룸;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된 정화처리함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처리함의 상부에 공기출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혼입함이 설치되는 기계실; 상기 클린 룸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덕트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혼입함으로부터 공급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확대관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세균과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공급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살균수탱크와 연결되어 살균수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수분사노즐; 상기 클린 룸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측에 배출안내관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상기 배출발판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흡입한 후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하측에서 상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팬; 및 상기 정화처리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상방으로 흡입한 후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제습 처리하고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급공기로부터 분리되게 집진 처리하며 상기 공급공기에 잔존하는 상기 세균을 살균 처리한 다음 상기 공기혼입함으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exit clean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users who enter and exit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independently enter and exit while removing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body and clothes of each user. to do; a frame in which an upper duct box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duct box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are install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casing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rom side to side between the upper duct box and the lower duct box inside the frame, a processing space is provided therein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ing open and close, respectively. A clean room comprising: an operably installed opening/closing door, an enlarged pip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nd having an enlarged injection hole formed therein; a machine room in which an air mixing box is installed in the frame,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having an open upper side is installed therein,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air inlet at the top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lean rooms, is installed in the upper duct box, sucks the supply air from the air mixing box, and then expands and sprays it from the inside of the casing to the bottom through the enlargement pipe to the user's body a supply fan to separate bacteria and dust adhering to clothes; a sterilizing water spray nozzl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connected to a sterilizing water tank to expand and spray sterilizing wat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to sterilize the bacteria present in the casing;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lean rooms,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a discharge guide pipe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ide to dissipate the supply air and the dus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of the discharge scaffolding. an exhaust fan that sucks in through the air exhaust hole and then discharges it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a dehumidifying treatment for the supply air and the dust after suction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upward, and collecting the dust so that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supply air, and remaining in the supply air. Air purification means for sterilizing bacteria and then discharging to the air mixing box; may be configured.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클린 룸이 좌우 다단으로 인접되게 독립 설치되고 클린 룸의 일측에 기계실이 마련되며 각각의 클린 룸에 공급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과 살균수를 분사하는 살균수분수단과 분사된 공급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이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클린 룸에서 배출된 공급공기를 함께 정화 처리하는 공기정화수단이 기계실에 구비됨에 따라 복수 명의 사용자가 독립된 공간을 동시에 출입하면서 신체와 의복에 붙거나 신체와 의복에서 떨어진 세균과 먼지를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집진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따른 대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간의 접촉을 없애 질병 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clean rooms are independently install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left and right multi-stage, and a machine roo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lean room. Moisture means and air exhaust means for discharging the sprayed supply air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as an air purification means for purifying and processing the supplied air discharged from each clean room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 plurality of users can enter and exit an independent space at the same time. As it can effectively sterilize and collect dust and bacteria that adhere to the body and clothes or fall from the body and clothes, it can greatly shorten the waiting time for use and effectively prevent disease transmission by eliminating contact between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의 공기분사수단과 공기배출수단과 공기정화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의 공기배출수단과 공기정화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의 살균수분사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 and exit type clean boo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 and exit type clean boo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injection means, the air exhaust means, and the air purification means of the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 and exit type clean boo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exhaust means and the air purification means of the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and-out type clean boo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of the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 and exit type clean boo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염이나 실내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기관, 공황, 학교, 도서관, 관공서, 반도체공장 등의 건물 출입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어 있는 세균, 먼지, 모래 등을 제거하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such as a medical institution, panic, school, library, government office, semiconductor factory, etc.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or indoor pollution, and removes bacteria, dust, sand, etc.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It relates to a clean room with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and to a multi-person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to which it is appli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는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 대한 방역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은 세균과 먼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분리되어 바닥에 떨어진 세균이나 먼지까지 살균 및 집진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사용자가 서로 독립된 처리공간에서 동시 사용 가능하여 대기시간을 없애고 사용자 간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In particular, the clean room with air shower and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and-exit clean booth to which it is applied can properly prevent bacteria and clothes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so as to properly perform the quarantine function against highly contagious diseases. Not only dust, but also germs and dust that have fallen on the floor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nd clothes can be sterilized and dust-collected. It's a great feature to have.

이러한 특징은 입구문과 출구문이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처리공간이 구비된 케이싱와,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외기와 정화공기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수단과, 케이싱의 내부에 살균수를 분사하는 살균수분사수단과, 케이싱의 내부 하측에서 외기와 정화공기를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과, 케이싱의 외부에서 배출된 내기와 정화공기를 제습 처리하고 살균 처리하며 정화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을 포함하는 클린 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se features include a casing provided with an entrance door and an exit doo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having a treatment space therein, an air spraying means for spraying outside air and purified air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and spraying sterilizing water inside the casing. a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and purified air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It can be achieved by a clean room including an air purifying means for discharging to the furnace.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상부덕트함과 하부덕트함이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덕트함과 하부덕트함의 사이에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설치공간에 복수 개가 좌우 다단으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클린 룸과, 공기분사수단과, 살균수분사수단과, 공기배출수단과, 공기정화수단을 포함하는 클린 부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nd these features include a frame in which an upper duct box and a lower duct box are provided at the top and the bottom,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duct box and the lower duct box, and a plurality of clean install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multi-stages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frame It can be achieved by a clean booth including a room, an air spraying means, a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an air exhausting means, and an air purify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룸 및 이를 적용한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clean room having an air shower and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exit clean booth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린룸은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일부이므로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air shower and the clean room with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are a part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ulti-person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the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 type clean boot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10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클린 룸(200), 기계실(300), 공기분사수단, 살균수분사수단, 공기배출수단 및 공기정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ulti-person independent entry-and-exit clean booth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clean room 200, a machine room 300, an air spray means, and a sterilization water spra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ans, an air exhaust means and an air purification means.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직윤면체 형상을 가지고 건물의 출입구 전방 또는 후방 바닥 등에 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First, the frame 100 has an overall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front or rear floor of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이때 프레임(100)은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덕트함(110)과,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부덕트함(110)과는 상하 일정거리 이격되는 하부덕트함(120)과, 상부덕트함(110)과 하부덕트함(120)의 상하 이격에 따라 그 사이에 마련되는 설치공간(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rame 100 includes an upper duct box 110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a lower duct box 120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low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duct box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 and down, and an upper duct box According to the vertical spacing of the 110 and the lower duct box 120, it may be composed of an installation space 130 provided therebetween.

그리고 상부덕트함(110)과 하부덕트함(120)의 사이인 설치공간(130)의 전면 바닥과 후면 바닥에는 소정높이를 가진 디딤발판이 설치될 수 있다. And a stepp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floor and the rear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130 between the upper duct box 110 and the lower duct box 120 .

다음으로, 상기 클린 룸(200)은 프레임(100)의 설치공간(130)에 복수 개가 좌우로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Next, a plurality of the clean rooms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stallation space 130 of the frame 100 .

여기서 클린 룸(200)은 사용자가 출입하고 기립 가능하도록 내부에 처리공간(211)이 마련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케이싱(210)과, 케이싱(2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220)과, 케이싱(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확대관(230)과, 케이싱(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발판(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lean room 200 is a casing 210 having a processing space 211 provided therein so that a user can enter and stand up and have front and rear open sides, and a front and rear side of the casing 210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It may be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door 220 to be used, an enlargement pipe 2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10 , and a discharge foot plate 240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asing 210 .

그리고 확대관(230)에는 케이싱(210)의 내부를 상부덕트함(110)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확대분사공(23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단, 확대분사공(231)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larged injection hole 231 for communicating the interior of the casing 210 with the interior of the upper duct box 110 may be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enlarged pipe 230 . However, the enlarged injection hole 231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may be radially disposed,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increased toward the bottom.

또한 배출발판(240)에는 케이싱(210)의 내부를 하부덕트함(120)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공기배출공(24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4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casing 210 with the inside of the lower duct box 120 may be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discharge scaffold 240 .

이때 공기배출공(241)은 배출발판(240)의 전측단과 후측단에 각각 좌우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공(241)을 포함하는 제1그룹과, 배출발판(24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공(241)을 포함하는 제2그룹과, 배출발판(240)의 중앙측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하게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공(241)을 포함하는 제3그룹과, 배출발판(240)의 중앙측에서 제3그룹에 포함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공(241)의 사이사이에 사선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배출공(241)을 포함하는 제4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outlet hole 241 is a first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241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scaffold 240, respectively, and the discharge scaffold 240. A secon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241 penetrating up and dow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and on the central side of the discharge scaffold 240 to cross each other in the front-rear and left-right directions A third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241 formed through,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 holes 241 included in the third group on the central side of the outlet footboard 240 pass through in an oblique direction It may be divided into a fourth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41 formed.

한편 케이싱(210)의 내부 양측에는 하단이 배출발판(240)의 양측단에 접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처리공간(211)이 좁아지도록 케이싱(210)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배출유도판(25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casing 210, the discharge guide plate 250 inclined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casing 210 so that the processing space 211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discharge foot plate 240. ) can be installed separately.

그리고 케이싱(210)과 개폐문(220)에는 개폐문(22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n/close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n open/close state of the open/close door 220 may be installed in the casing 210 and the opening/closing door 220 .

또한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210 .

다음으로, 상기 기계실(300)은 프레임(100)의 설치공간(130)에 클린 룸(200)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즉, 기계실(300)은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클린 룸(2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최좌측이나 최우측에 배치된 클린 룸(200)의 좌측이나 우측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Next, the machine room 300 may be disposed together with the clean room 200 in the installation space 130 of the frame 100 . That is, the machine room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clean rooms 200 or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lean room 200 disposed on the leftmost or rightmost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때 기계실(30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정화처리함(310)이 설치되고, 정화처리함(310)의 상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공기혼입함(32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정화처리함(310)의 상부와 공기혼입함(320)의 하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with an open upper portion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300 , and an air mixing box 320 with an open lower portion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mixing box 3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리고 공기혼입함(320)의 상부에는 공기출입구(321)가 형성되어 공기혼입함(32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And the air inlet 32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mixing box 320, the inside of the air mixing box 320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단, 공기혼입함(320)은 상부덕트함(110)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부덕트함(110)의 내부공간이 일측공간과 타측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However, the air mixing box 320 is installed to protrude upwar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upper duct box 11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duct box 110 can be divided into one space and the other space.

또한, 기계실(300)의 하부가 하부덕트함(120)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하부덕트함(120)의 내부공간이 일측공간과 타측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300 is installed to protrude downwar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lower duct box 120 ,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duct box 120 can be divided into one space and the other space.

다음으로,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혼입함(32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급공기를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고속 및 고압으로 분사하여 케이싱(210)의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은 세균과 먼지를 털어낼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3, the air injection means injects the supply air existing inside the air mixing box 320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210 of the clean room 200 to the lower side at high speed and high pressure. It is possible to shake off th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located inside the casing 210 .

이를 위해 공기분사수단은 상기한 공기혼입함(320) 및 확대관(230)과 함께 유입덕트(260)와 공급팬(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ir injec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let duct 260 and a supply fan 270 together with the air mixing box 320 and the expansion pipe 230 described above.

상기 공기혼입함(3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덕트함(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공기출입구(321)가 형성되고 하부가 정화처리함(310)의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공기혼입함(320)의 내부에서는 공기출입구(32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와 정화처리함(31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공기가 혼입될 수 있다. The air mixing box 320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duct box 110 as described above, an air inlet 32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 That is, in the inside of the air mixing box 320 ,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321 and the purifi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may be mixed.

상기 유입덕트(260)는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부덕트함(110)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일단이 공기혼입함(320)의 일측에 연통될 수 있다. The inlet duct 26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is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upper duct box 110, and one end of each can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air mixing box 320. there is.

상기 공급팬(270)은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부덕트함(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각 유입덕트(260)의 타단과 각 클린 룸(200)의 확대관(230)의 일측을 서로 연통되게 연결할 수 있다. The supply fan 27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and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duct box 110, and each of the other end of each inlet duct 260 and the other end of each clean room 200 is provided. One side of the enlargement tube 23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즉, 공기혼입함(320)의 내부에서 외기와 정화공기가 혼입된 공급공기는 각 공급팬(270)의 작동에 따라 각 유입덕트(260)을 통과하여 각 공급팬(270)으로 흡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supply air in which the outside air and purified air are mixed in the air mixing box 320 passes through each inlet duct 2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supply fan 270 and can be sucked into each supply fan 270 . there is.

그리고 각 공급팬(270)으로 흡입된 공급공기는 각 클린 룸(200)의 확대관(230)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확대관(230)의 확대분사공(231)에 의해 케이싱(210)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넓게 확대 분사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은 세균과 먼지를 털어낼 수 있다. And the supply air sucked into each supply fan 270 is discharged into the enlarged pipe 230 of each clean room 200 by the enlarged injection hole 231 of the enlarged tube 230 inside the casing 210 . It is widely spray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shake off the germs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다음으로, 상기 살균수분사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에 살균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케이싱(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5 , the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injects sterilizing water into the casing 210 of each clean room 200 at high pressure to sterilize the bacteria present in the casing 210 . can

이를 위해 살균수분사수단은 살균수탱크(410), 살균수공급관(420), 살균수분사노즐(430) 및 단속밸브(400)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may include a sterilizing water tank 410 ,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420 , a sterilizing water spraying nozzle 430 , and a shut-off valve 400 .

상기 살균수탱크(410)는 기계실(3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살균수가 저장되고 마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보충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terilizing water tank 4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room 300, the sterilizing water is stored therein, and a replenishment por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topper may be provided.

상기 살균수공급관(420)은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이 상부덕트함(110)의 내부에 이르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일단이 기계실(300)을 관통하여 살균수탱크(41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42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 each is arranged to reach the inside of the upper duct box 110 , and one end of each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s passes through the machine room 300 . Each of the tanks 41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상기 살균수분사노즐(430)은 각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각 살균수공급관(420)의 타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sterilizing water spray nozzle 43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inside of the casing 210 of each clean room 20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420 .

상기 단속밸브(440)는 각 살균수공급관(420)에 각각 설치되어 살균수공급관(420)을 통과하는 살균수를 단속할 수 있다. The shut-off valve 440 may be installed in each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420 to control the steriliz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420 .

즉, 단속밸브(440)가 개방되면 살균수탱크(410)에 저장된 살균수는 살균수공급관(420)을 통과하여 살균수분사노즐(430)로 유입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hut-off valve 440 is opened, the sterilizing water stored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410 may pass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420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injection nozzle 430 .

그리고 살균수분사노즐(430)로 유입된 살균수는 살균수분사노즐(430)을 통해 케이싱(210)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넓게 확대 분사되면서 케이싱(210)의 내부를 소독 처리할 수 있다. And the steriliz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spray nozzle 430 can be widely spray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210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spray nozzle 430 to disinfect the inside of the casing 210 .

다음으로,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급공기와 먼지를 흡입한 후 기계실(300)의 정화처리함(310)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air discharge means sucks in the supply air and dust present inside the casing 210 of each clean room 200 and then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of the machine room 300 . ) can be discharged internally.

이를 위해 공기배출수단(600)은 상기한 배출유도판(250) 및 배출발판(240)과 함께 공기배출함(280)과 배출덕트(290)와 배출팬(330)과 배출안내관(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ir exhaust means 600 is an air exhaust box 280, an exhaust duct 290, an exhaust fan 330, and an exhaust guide pipe 340 together with the exhaust guide plate 250 and the exhaust foot plate 240 described above. It may be composed of

상기 공기배출함(280)은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이 각 배출발판(2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덕트함(12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가 배출발판(240)의 공기배출공(241)을 통해 케이싱(2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The air exhaust box 28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and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duct box 120 so that each is located under each discharge scaffold 240 , and the inside is discharged. It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asing 210 through the air outlet 241 of the footrest 240 .

이때 공기배출함(280)은 공급공기와 먼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소정깊이를 가지면서 배출발판(240)의 넓이와 대응되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box 280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discharge footrest 240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supply air and dust.

상기 배출덕트(290)는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이 하부덕트함(12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각 공기배출함(28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The exhaust duct 290 is composed of a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each is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lower duct box 120, and each end of each air exhaust box 280 and the inside and can be communicated.

이때 배출덕트(290)는 일단이 공기배출함(280)의 일면 가장자리측에 연결되어 공기배출함(28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급공기와 먼지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자연스럽게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exhaust duct 290 is connected to the edge of one side of the air exhaust box 280 so that the supply air and dust introduced into the air exhaust box 280 can naturally flow into the interior while forming a vortex.

상기 배출팬(330)은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이 정화처리함(3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출덕트(290)와 정화처리함(31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출덕트(290)의 타단과 정화처리함(31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The exhaust fan 33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 each is installed inside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310 , and the interior of the exhaust duct 290 and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310 is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duct 290 and one 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mmunicate.

상기 배출안내관(340)은 클린 룸(2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하단이 각 배출팬(330)의 상측과 연결되고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pipe 34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lean rooms 200 , and the lower end of ea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each discharge fan 330 and may be installed vertically.

즉, 각 케이싱(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급공기와 먼지는 각 배출팬(330)의 작동에 따라 각 배출발판(240)의 공기배출공(241)을 통해 공기배출함(280)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supply air and dust present inside each casing 210 are discharged to the air exhaust box 280 through the air exhaust hole 241 of each exhaust scaffold 2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exhaust fan 330 . can be

여기서 공기배출공(241)은 형성 방향과 위치가 서로 다른 총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됨에 따라 케이싱(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급공기와 먼지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공기배출함(28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as the air exhaust hole 241 is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groups having different formation directions and positions, it smoothly passes through the supply air and dust present inside the casing 210 to be discharged to the air exhaust box 280. make it possible

그리고 공기배출함(241)으로 배출된 공급공기와 먼지는 배출덕트(290)를 통과하여 각 배출팬(3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러면 배출팬(330)에 의해 흡입된 공급공기와 먼지는 배출안내관(340)에 의해 정화처리함(310)의 내부 하측에서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ly air and dust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box 241 may be sucked into each discharge fan 330 through the discharge duct 290 . Then, the supply air and dust sucked by the exhaust fan 330 may be discharged upwardly from the lower in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by the discharge guide pipe 340 .

다음으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정화처리함(310)의 내부로 배출된 공급공기와 먼지를 정화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되거나 공급공기로 재사용되도록 공기혼입함(320)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Next, the air purification means may purify the supply air and dust discharged into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310, and then discharge to the outside or to the inside of the air mixing box 320 to be reused as supply air. .

이를 위해 공기정화수단은 상기한 정화처리함(310)과 함께 먼지분리판(350)과 제1살균램프(360a)와 제습함(370)과 흡입팬(380)과 필터부재(390)와 제2살균램프(36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ir purifying means includes a dust separation plate 350, a first sterilization lamp 360a, a dehumidifying box 370, a suction fan 380, a filter member 390 and 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rilization lamp (360b).

상기 먼지분리판(350)은 정화처리함(3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배출안내관(340)의 상단과는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먼지분리판(350)은 복수 개의 수직지지봉(351)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plate 35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pipe 3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dust separation plate 350 may be supported horizontally by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351 .

상기 제1살균램프(360a)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정화처리함(310)의 내부인 먼지분리판(3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The first sterilization lamp 360a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plate 350 that is inside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310, and can radiate ultraviolet rays to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상기 제습함(370)은 먼지분리판(350)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되고 내부에 제습제(371)가 투입될 수 있다. 단, 제습함(370)은 상부가 개방되어 제습제(371)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The dehumidifying box 370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plate 350 , and a dehumidifying agent 371 may be put therein. However, the dehumidifying box 370 may have an open top so that the dehumidifying agent 371 may be replaced.

상기 흡입팬(380)은 정화처리함(3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fan 38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

상기 필터부재(390)는 초미세먼지와 세균을 걸러낼 수 있는 헤파필터를 포함하고 흡입팬(38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정화처리함(3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390 may include a HEP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ut ultrafine dust and bacteria,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3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fan 380 .

상기 제2살균램프(360b)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공기혼입함(32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살균 작용을 수행하도록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The second sterilization lamp 360b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terior of the air mixing box 320 to radiate ultraviolet rays to perform a sterilization action.

즉, 공기배출수단(600)에 의해 먼지분리판(350)의 하부면과 부딪혀 서로 분리된 공급공기와 먼지는 흡입팬(380)의 작동에 따라 필터부재(390)의 하부로 유입되도록 정화처리함(310)의 내부 상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supply air and dus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ollidi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plate 350 by the air discharge means 600 are purified to flow in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member 39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380 . It may be sucked into the inner upper side of the box 310 .

이때 흡입팬(380)에 의해 정화처리함(310)의 내부 상측으로 흡입된 공급공기와 먼지는 상방으로 압송되면서 제습함(370)에 투입된 제습제(371)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필터부재(39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upply air and dust sucked into the inner upper 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310 by the suction fan 380 are pumped upward while the moisture is removed by the dehumidifying agent 371 injected into the dehumidifying box 370 and the filter member.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390 .

그러면 필터부재(390)의 하부로 유입된 먼지는 필터부재(390)를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필터부재(39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급공기는 잔존 세균이 제거된 상태로 공기혼입함(32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n,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member 390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390, and the supplied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member 390 is air mixed with the remaining bacteria removed. can be discharged inside.

그리고 공급공기가 필터부재(390)를 통과하여 세균과 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는 공기혼입함(320)의 내부에서 외기와 혼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혼입함(320)의 내부에서 정화공기와 외기가 혼입된 공급공기는 제2살균램프(360b)에 의해 재차 살균 처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ified air from which the suppli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er 390 to remove bacteria and dust may be mixed with the outside air inside the air mixing box 320 . In addition, the supply air in which purified air and outside air are mixed in the air mixing box 320 may be sterilized again by the second sterilization lamp 360b.

여기서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클린 룸(200)의 개폐문(220)이 모두 닫힌 것으로 감지되고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급팬(270)과 배출팬(330)과 흡입팬(380)과 제1살균램프(360a)와 제2살균램프(360b)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공기분사수단과 공기배출수단과 공기정화수단이 동작될 수 있다. Here, when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all of the opening/closing doors 220 of the clean room 200 are closed, and the user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a user exists inside the casing 210 of the clean room 200, the supply fan ( 270), the exhaust fan 330, the suction fan 380, the first sterilization lamp 360a,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lamp 360b are automatically operated to operate the air injection means, the air exhaust means, and the air purification means. there is.

단, 각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급공기와 먼지를 완벽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급팬(270)과 배출팬(330)과 흡입팬(380)은 제1시점에 동시에 작동하고, 공급팬(270)은 제1시점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제2시점에 작동을 중지하며, 배출팬(330)과 흡입팬(380)은 제2시점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제3시점에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supply fan 270, the exhaust fan 330, and the suction fan 380 are the first It operates at the same time, the supply fan 270 stops operating at a second time poin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exhaust fan 330 and the suction fan 380 have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at the second time point It can stop working at one third point.

그리고 제3시점 이후에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클린 룸(200)의 개폐문(220)이 모두 닫힌 것으로 감지되고 사용자감지센서에 의해 클린 룸(200)의 케이싱(210)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단속밸브(440)가 일정시간 동안 자동으로 개방되어 살균수분사수단이 동작될 수 있다. And after the third time point, it is detected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20 of the clean room 200 are all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sensor, and the user does not exist inside the casing 210 of the clean room 200 by the user detection sensor. Upon detection, the shut-off valve 440 may be automatically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operate the sterilizing water injection mea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클린 룸이 좌우 다단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복수 명의 사용자가 각각 서로 독립된 공간을 출입하면서 신체와 의복에 뭍거나 신체와 의복에서 떨어진 세균과 먼지를 살균하고 집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따른 대기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신속하게 출입할 수 있고 사용자 간의 접촉을 해소하여 질병 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urality of clean room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left and right multi-level steps, a plurality of users enter and exit an independent space, sterilizing and collecting bacteria and dust on the body and clothes or falling off the body and clothe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greatly shorten the waiting time for use, allowing for quick entry and exit, and effectively preventing disease transmission by eliminating contact between users.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ied other embodiments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other variously modified embodiments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00: 프레임
110: 상부덕트함
120: 하부덕트함
130: 설치공간
140: 디딤발판
200: 클린 룸
210: 케이싱
211: 처리공간
220: 개폐문
230: 확대관
231: 확대분사공
240: 배출발판
241: 공기배출공
250: 배출유도판
260: 유입덕트
270: 공급팬
280: 공기배출함
290: 배출덕트
300: 기계실
310: 정화처리함
320: 공기혼입함
321: 공기출입구
330: 배출팬
340: 배출안내관
350: 먼지분리판
351: 수직지지봉
360a: 제1살균램프
360b: 제2살균램프
370: 제습함
371: 제습제
380: 흡입팬
390: 필터부재
410: 살균수탱크
420: 살균수공급관
430: 살균수분사노즐
440: 단속밸브
1000: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
100: frame
110: upper duct box
120: lower duct box
130: installation space
140: stepping board
200: clean room
210: casing
211: processing space
220: opening and closing door
230: magnifying glass
231: enlarged jet hole
240: discharge scaffold
241: air exhaust hole
250: exhaust guide plate
260: inlet duct
270: supply fan
280: air exhaust box
290: exhaust duct
300: machine room
310: purification treatment box
320: air entrainment
321: air inlet
330: exhaust fan
340: discharge guide pipe
350: dust separation plate
351: vertical support bar
360a: first sterilization lamp
360b: second sterilization lamp
370: dehumidification box
371: desiccant
380: suction fan
390: filter member
410: sterilization water tank
420: sterilized water supply pipe
430: sterilization water spray nozzle
440: shut-off valve
1000: Multi-party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Claims (8)

건물의 출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세균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처리공간이 마련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가폐문이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고 공급팬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흡입된 공급공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붙은 세균과 먼지를 털어내는 공기분사수단;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살균수를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살균 처리하는 살균수분사수단;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구비되고 배출팬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흡입팬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제습 처리하고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급공기로부터 분리되게 집진 처리하며 상기 공급공기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한 다음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림 룸.
It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remov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body and clothes of the user who enters through the entrance;
a casing provided with a processing space inside, the front and the back open, and a closing door on the front and back, respectively;
an air spray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and spraying the supplied air suck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supply fan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downward to blow off th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clothes;
a sterilizing water spraying means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casing by expanding and spraying the sterilizing water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ide of the casing;
an air exhaust mean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and for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from the lower part of the casing through an exhaust fan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nd
After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ing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a suction fan, the supply air and the dust are dehumidified, and the dust is collected so that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supply air, An air shower and a clean room with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purifying means for sterilizing the bacteria remaining in the supply air and then discharging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외부와 연통되게 공기출입구가 일측에 구비되고 하측을 통해 상기 공기정화수단과 연통되며 상기 공기출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외기와 상기 공기정화수단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정화공기가 혼입되는 공기혼입함;
상기 공기혼입함의 타측에 연통되고 상기 공기혼입함에 의해 상기 외기와 상기 정화공기가 혼입된 상기 공급공기가 통과되는 유입덕트;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과 상기 유입덕트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유입덕트를 연통시켜 상기 공급공기가 상기 유입덕트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게 상기 공급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공급팬;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확대분사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급팬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팬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는 확대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림 룸.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blowing means
An air inlet is provided on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purifying means through the lower side,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air inlet and the purified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air purifying means are mixed. ;
an inlet duct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air mixing box and passing the supply air mixed with the outside air and the purified air by mixing the air;
the supply fan installed betwee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casing and the inlet duct and communicating the casing and the inlet duct to suck the supply air so that the supply air passes through the inlet duct and flows into the casing; a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asing, and an enlarged injec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to communicate with the supply fan, and the supply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asing by the supply fan is expanded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ide of the casing and sprayed. A clean room with an air shower and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nlargement tub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판 중심에 설치되고 공기배출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배출발판;
상기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상기 배출발판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상기 배출발판으로 안내하는 배출유도판;
상기 배출발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배출함;
상기 공기배출함의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함과 연통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의 단부와 일측이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기배출함과 상기 배출덕트를 차례대로 통과하도록 흡입하는 상기 배출팬; 및
상기 배출팬의 상측에 연결되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상방으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배출안내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림 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exhaust means
a discharge foot plat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bottom plate of the casing and having an air discharge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a discharge guide pl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casing and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scaffold toward the lower portion to guide the supply air and the dust to the discharge scaffold;
an air exhaust box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boar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an exhaust duct install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air exhaust box and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exhaust box;
the exhaust fan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one end of the exhaust duct and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to pass through the air exhaust box and the exhaust duct in turn; and
An air shower and a clean room with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uide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fan and installed vertically to guide the supply air and the dust to be discharged up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상기 배출팬과 상기 배출안내관이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정화처리함;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안내관과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배출안내관에 의해 상방으로 배출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가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급공기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분리판;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공기를 살균하는 제1살균램프;
상기 먼지분리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습재가 투입되어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함;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공급공기에 잔존하는 세균을 정화 처리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가 상기 필터부재에 유입되도록 상방으로 흡입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림 룸.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purification means
The exhaust fan and the discharge guide pipe are installed on the lower inn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purification process is opened;
The supply air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interior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guide pipe by a certain distance and discharged upward by the discharge guide pipe and the dust collide with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supply air dust separator;
a first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inside the purifying treatment box and sterilizing the supply air;
a dehumidifying box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ust separation plate and into which a dehumidifying material is inserted to remove the supply air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dust;
a filter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box to collect the dust and purify the bacteria remaining in the supply air; and
An air shower and a clean room with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uction fa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upward to flow into the filter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상기 공기혼입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와 함께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상기 공급공기를 살균하는 제2살균램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워와 집진 및 살균 기능을 가진 클림 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purification means
A second sterilizing lamp installed inside the air mixing box and sterilizing the suppli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Air shower and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lean room.
건물의 출입구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복수 명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출입하면서 각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세균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덕트함과,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부덕트함이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덕트함과 상기 하부덕트함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좌우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처리공간이 마련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고 확대분사공이 형성되는 확대관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배출발판으로 이루어지는 클린 룸;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된 정화처리함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처리함의 상부에 공기출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혼입함이 설치되는 기계실;
상기 클린 룸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덕트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혼입함으로부터 공급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확대관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세균과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공급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살균수탱크와 연결되어 살균수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서 하방으로 확대시켜 분사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수분사노즐;
상기 클린 룸의 개수와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측에 배출안내관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된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상기 배출발판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흡입한 후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하측에서 상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팬; 및
상기 정화처리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상방으로 흡입한 후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를 제습 처리하고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급공기로부터 분리되게 집진 처리하며 상기 공급공기에 잔존하는 상기 세균을 살균 처리한 다음 상기 공기혼입함으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
It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to remove bacteria and dust attached to each user's body and clothes while a plurality of user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entrance independently enter and exit;
a frame in which an upper duct box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duct box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are install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casing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rom side to side between the upper duct box and the lower duct box inside the frame, a processing space is provided therein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ing open and close, respectively. A clean room comprising: an operable opening and closing door; an enlargement pip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and having an enlarged injection hole;
a machine room in which an air mixing box is installed in the frame,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having an open upper side is installed therein,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air inlet at the top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lean rooms, is installed in the upper duct box, sucks the supply air from the air mixing box, and then expands it from the inside of the casing to the bottom through the expansion pipe and sprays it with the user's body a supply fan to separate bacteria and dust adhering to clothes;
a sterilizing water spray nozzl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connected to a sterilizing water tank to expand and spray sterilizing wat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to sterilize the bacteria present in the casing;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clean rooms,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a discharge guide pipe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upper side to remove the supply air and the dus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 of the discharge scaffolding. an exhaust fan that sucks in through the air exhaust hole and then discharges it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The bacteria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after suction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upward, the supply air and the dust are dehumidified, the dust is collected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ly air, and the bacteria remaining in the supply air Air purification means for sterilizing and discharging to the air mixing box;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안내관의 단부와는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가 하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먼지가 상기 공급공기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분리판;
상기 먼지분리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공기를 살균하는 제1살균램프;
상기 먼지분리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습제가 투입되어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함;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공급공기에 잔존하는 세균을 정화 처리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정화처리함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먼지가 상기 필터부재에 유입되도록 상방으로 흡입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ir purification means
a dust separation plate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and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guide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upply air and the dust collide with a lower surface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supply air;
a first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under the dust separation plate and sterilizing the supply air;
a dehumidifying box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plate and having a dehumidifying agent injected therein to remove the supply air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dust;
a filter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box to collect the dust and purify the bacteria remaining in the supply air; and
and a suction fa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processing box and sucking the supply air and the dust upward so tha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상기 정화처리함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기와 함께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상기 공급공기를 살균하는 제2살균램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 독립 출입형 클린 부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purification means
and a second sterilization lamp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box and sterilizing the suppli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KR1020200129381A 2020-10-07 2020-10-07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KR202200462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81A KR20220046222A (en) 2020-10-07 2020-10-07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81A KR20220046222A (en) 2020-10-07 2020-10-07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22A true KR20220046222A (en) 2022-04-14

Family

ID=8121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81A KR20220046222A (en) 2020-10-07 2020-10-07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22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29B1 (en) * 2023-08-30 2024-04-23 주식회사 삼원기업 Aseptic Disinfec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42B1 (en)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Multipurpose Clean Boo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42B1 (en)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Multipurpose Clean Boo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29B1 (en) * 2023-08-30 2024-04-23 주식회사 삼원기업 Aseptic Disinf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997B1 (en) air shower system
KR100695034B1 (en) A disinfecting system of the person
KR20090040630A (en) The air shower for domestic
US7934981B2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102194329B1 (en) Device for forming negative pressue isokation room
KR102163690B1 (en) Closed Booth Having Air Conditioning Part
JP2007255778A (en) Air shower apparatus
JP2022013577A (en) Indoor air purification structure, air purification device and indoor air purification method
CA2556140C (en) Patient isolation module and use thereof
KR102173979B1 (en) Sterilizer using humidifying air
CN106729786A (en) Personnel's purification channel in GMP workshops
KR20220046222A (en) Clean room with air shower,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ulti-user independent access type clean booth applying it
KR102322052B1 (en) System For Evacuating From And Diminishing Fine Dust
JP2012149864A (en) Contamination blocking air gate
KR102356153B1 (en) Air shower system
JP2010286165A (en) Management target zone preservation method
KR102265910B1 (en) Dry Photocatalyst Air Shower Sterilization Booth
KR100903404B1 (en) A air ventilation cleaning for elevator
KR102286942B1 (en) Air shower gate
KR102450800B1 (en) Stand type air shower sterilizable system
KR102439840B1 (en) Dust trapping device used for indoor construction of buildings
JP2008185265A (en) Air shower device
KR101399089B1 (en) Apparatus for showering and disinfecting body having air shutter
KR20210052165A (en) Apartment air shower system
KR102329069B1 (en) System for preventing indoor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