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197A -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197A
KR20220046197A KR1020200129341A KR20200129341A KR20220046197A KR 20220046197 A KR20220046197 A KR 20220046197A KR 1020200129341 A KR1020200129341 A KR 1020200129341A KR 20200129341 A KR20200129341 A KR 20200129341A KR 20220046197 A KR20220046197 A KR 2022004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arget
information
access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197A/ko
Publication of KR2022004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NR 시스템에서 mobility 절차 중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MOBILITY CONTROL DEVICE AND MOBILITY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5G NR 시스템에서 단말에 제공하는 접속이동(mobility) 기술과 관련이 있다.
5G NR 시스템은 4G LTE 시스템과 달리 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4G LTE에서는 Omni direction 형태로 무선 신호를 방사하였으나, 5G NR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기반으로 신호를 방사한다.
Beamforming 기술의 목적은, AAU(Active Antenna Unit) 장비로부터 UE에게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빔(Beam)을 형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AU에서는 사용 가능한 Beam의 Candidate 중에서 적절한 Beam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한편, 5G NR에서는 RRC-connected mode 상태에 있는 단말의 경우, 단말 이동에 접속이동(mobility) 제공 시, 기존 LTE-Release 13(TS36 series) 이전부터 정의되어 사용된 핸드오버(cell-level mobility) 컨셉과 5G NR (TS38 series) 이후 정의된 beam-level mobility 컨셉을 기반으로 mobility를 제공한다.
이러한 cell-level mobility 및 beam-level mobility 컨셉은, beamforming 기술로 인해 생성된 candidate beam 중 적절한 beam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된 기법으로서,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candidate beam이 Source gNB에 속한 경우 beam-level mobility(beam to beam), Target gNB에 속한 경우 cell-level mobility(cell to cell)를 수행한다.
기존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의 경우, 단말이 mobility를 트리거(trigger)하는 MR을 보고하여 mobility 절차가 개시된 후 단말은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수행하여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한 업링크 관련정보(TA(Timing Advance) 정보 등)을 획득하고, 랜덤 액세스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하여 mobility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위 설명한 기존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의 경우, 단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중단되는 서비스 단절 시간은, 단말이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해 Random access를 시도/수행하는 시간이 포함된 handover execution time에 해당된다.
3GPP에서 제공되는 기술 문서에서는 평균적으로 handover execution time은 총 50ms 소요됨을 가정하며, 이러한 가정 역시 Random access 실패 없이 한번에 성공할 때를 가정한 것이다.
Random access가 한번에 성공하더라도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 중 Random access가 차지하는 시간이 상당하고, 만약 Random access 실패 상황까지 감안하면 실패 횟수 증가에 따라 서비스 단절 시간 및 사용자가 체감하는 채널의 품질 저하가 심각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 도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한 기술 실현을 통해,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 도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한 기술 실현을 통해,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장치는, 단말이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셀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는 정보확보부; 및 상기 소스 셀에서 상기 타겟 셀로의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접속 시도를 생략하고 상기 확보된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이동 절차에 따른 상기 접속 시도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접속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시도는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이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타겟 셀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과정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되는 업링크 관련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확보부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보고를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 수신 과정에서, 상기 타겟 셀과의 Round Trip Time(RTT)을 측정하고, 상기 소스 셀과의 RTT, 상기 소스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 받은 상기 소스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 상기 측정한 타겟 셀과의 RTT을 근거로, 상기 타겟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를 추정하여 상기 특정 정보로서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 셀 및 상기 타겟 셀은, 서로 다른 기지국의 서로 다른 빔(Beam)에 의해 형성되는 셀이거나, 동일 기지국 내 서로 다른 빔에 의해 형성되는 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접속이동 제어방법은,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상기 타겟 셀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는 정보확보단계; 및 상기 소스 셀에서 상기 타겟 셀로의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접속 시도를 생략하고 상기 확보된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이동 절차에 따른 상기 접속 시도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절차제어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시도는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 액세스이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타겟 셀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과정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되는 업링크 관련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확보단계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보고를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 수신 과정에서, 상기 타겟 셀과의 Round Trip Time(RTT)을 측정하고, 상기 소스 셀과의 RTT, 상기 소스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 받은 상기 소스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 상기 측정한 타겟 셀과의 RTT을 근거로, 상기 타겟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를 추정하여 상기 특정 정보로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이동 제어부; 및 상기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수행을 통해 상기 타겟 셀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는 보고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타겟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되는 업링크 관련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이동 제어부는, 주변의 셀에 대한 측정 신호세기를 근거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셀의 정보를 소스 셀로 보고하여, 상기 소스 셀에 의해 상기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보고 절차는, 주변의 셀에 대한 측정 신호세기를 근거로 상기 제1 이벤트 조건 보다 빠른 시점에 만족하도록 설정된 제2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셀의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소스 셀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에 따라 상기 타겟 셀로부터의 신호에서 보고를 위해 획득한 정보를 소스 셀로 전달하는 절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의 신호 수신 과정에서, 상기 타겟 셀과의 Round Trip Time(RTT)을 측정하고, 상기 소스 셀과의 RTT, 상기 소스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 받은 상기 소스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 상기 측정한 타겟 셀과의 RTT을 근거로, 상기 타겟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를 추정하여 상기 특정 정보로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에 의하면, 5G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 혹은 Target beam 정보를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가 개시되지 전에 미리 확보할 수 있는 기술 실현을 통해, Mobility 절차 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시스템에서 Mobility 절차 중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기존의 cell-level Mobility 절차를 보여주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정보를 Mobility 절차 개시 이전에 확보하기 위해 정의한 특정 보고 절차(예: report CGI)의 개념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장치/단말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cell-level mobility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절차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beam-level mobility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절차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방법(방안)을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5G NR 시스템에서 단말에 제공하는 접속이동(Mobility) 기술과 관련이 있다.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5G NR에서는, RRC-connected mode 상태에 있는 단말의 경우, 단말 이동에 접속이동(Mobility) 제공 시, 기존 LTE-Release 13(TS36 series) 이전부터 정의되어 사용된 핸드오버(cell-level mobility) 컨셉과 5G NR (TS38 series) 이후 정의된 beam-level mobility 컨셉을 기반으로 mobility를 제공한다.
이러한 cell-level mobility 및 beam-level mobility 컨셉은, beamforming 기술로 인해 생성된 candidate beam 중 적절한 beam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된 기법으로서,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candidate beam이 Source gNB에 속한 경우 beam-level mobility(beam to beam), Target gNB에 속한 경우 cell-level mobility(cell to cell)를 수행한다.
기존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의 경우, 단말이 mobility를 트리거(trigger)하는 MR을 보고하여 Mobility 절차가 개시된 후 단말은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수행하여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한 업링크 관련정보(TA(Timing Advance) 정보 등)을 획득하고, 랜덤 액세스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하여 Mobility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존 cell-level Mobility 절차를 간단히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도 1에 도시된 기존 cell-level Mobility 절차 전체 중 본 발명과 관련이 낮은 일부 과정들에 대해서는 생략 또는 간략히 설명하겠다.
기존 cell-level mobility에 관계된 C-plane(Control Plane)은, 3GPP TS38.300 에 정의된 절차에 따라 동작한다. Source gNB가 전송하는 RRC-reconfig(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내 measurement control에서 measID를 정의한다.
measID는, handover(cell-level mobility)를 트리거시키는 이벤트(일반적인 intra-frequency handover의 경우, event A3)에 해당하는 report config ID와, 측정 대상인 measurement object로 구성된다.
UE는, measurement control에 정의된 measID에 따라, 해당 measurement object의 측정된 정보가 report config ID에 정의된 이벤트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measID 및 측정된 정보(default value: RSRP, optional value: RSRQ)를 포함한 MR(Measurement Report)를 Source gNB에 전송/보고하게 된다.
이에, cell-level mobility를 위해, mobility control에 측정 대상인 measurement object로 gNB를 매핑하고 report config ID 로 event A3를 매핑한 measID를 정의하는 경우, UE는 mobility control에 정의된 measID에 따라, 주변 셀(gNB)의 측정된 정보가 event A3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measID 및 측정된 정보(default value: RSRP, optional value: RSRQ)를 포함한 MR를 Source gNB에 전송/보고할 것이다(1.).
Source gNB는 수신한 MR 정보에 담긴 measurement object를 Target gNB로 하여 handover request를 송신한다(2. 3.). Target gNB에게서 accept handover response 를 수신하면(4. 5.), Source gNB는 Target gNB의 bearer 및 mobility control info(information) IE를 포함한 RRC reconfig message를 UE에게 송신한다(6.).
RRC reconfig message를 수신한 UE는, 타겟 셀(Target gNB)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여 이전 셀(Source gNB)과의 접속을 끊고 새로운 셀(Target gNB)과의 접속/동기화를 준비하며, Target gNB에 대한 Random access를 성공하고 Target gNB에게서 TA(Timing Advance) 정보 등 업링크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 타겟 셀(Target gNB)에게 RRC reconfig complete(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를 송신한다(A. 8.).
이처럼, LTE 계열 및 5G NR 시스템에서는, 최초 접속 시도 시 업링크 동기화를 위한 정보(업링크 관련정보) 즉 TA 정보는 Random access MSG2(Random access Response, RAR)를 통해 단말이 전달받게 된다.
이후 Source gNB와 Target gNB 간 user plane의 path switch가 완료되고(9. 10.11.), Target gNB에서 Source gNB로 UE context release를 전송하면 Source gNB는 기존 UE의 정보를 삭제하며 handover(cell-level mobility) 절차가 완료된다(12.).
한편, 기존의 beam-level Mobility 절차의 경우, 위 기존 cell-level Mobility 절차와 일부 과정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Mobility 절차 중 Source gNB로부터의 RRC reconfig message를 수신한 UE가, 타겟 셀(Target beam)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여 이전 셀(Source beam)과의 접속을 끊고 새로운 셀(Target beam)과의 접속/동기화를 준비하며, Target beam에 대한 Random access를 성공하고 Target beam에게서 TA(Timing Advance) 정보 등 업링크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 타겟 셀(Target beam)에게 RRC reconfig complete(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를 송신하는 과정은 동일하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위 설명한 기존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의 경우, 단말(UE)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중단되는 서비스 단절 시간은, 단말(UE)이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해 Random access를 시도/수행하는 시간이 포함된 handover execution time에 해당된다.
3GPP에서 제공되는 기술 문서에서는 평균적으로 handover execution time은 총 50ms 소요됨을 가정하며, 이러한 가정 역시 Random access 실패 없이 한번에 성공할 때를 가정한 것이다.
Random access가 한번에 성공하더라도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 중 Random access가 차지하는 시간이 상당하고, 만약 Random access 실패 상황까지 감안하면 실패 횟수 증가에 따라 서비스 단절 시간 및 사용자가 체감하는 채널의 품질 저하가 심각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 도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한 기술 실현을 통해,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되도록 하는 특정 보고 절차를 정의하고, 이 특정 보고 절차 과정에서 단말이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 혹은 Target beam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되도록 정의하는 특정 보고 절차로서, 주변 셀(gNB 또는 beam)에 대한 CGI를 측정/보고하도록 하는 절차(이하, Report CGI 절차)를 정의하고자 한다.
이렇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UE)이 Source(gNB 또는 beam)에서 Target(gNB 또는 beam)로 이동하던 중, “UE position(1)” 과 같은 지점을 지날 때 단말의 MR 송신에 의해 report CGI 절차가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단말은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또는 Target beam)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UE)이 "UE position(2)” 와 같은 지점을 지날 때 단말의 MR 송신에 의해 Mobility 절차가 개시되며, 단말은 앞서 수행한 report CGI 절차에서 미리 확보한 Target gNB(또는 Target beam)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Random access를 생략하고 Mobility 절차에 따른 이후 단계(예: 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제안 기술을 실현하는 접속이동 제어장치/단말장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장치(50)는, 단말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접속이동 제어부(10), 정보확보부(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접속이동 제어장치(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접속이동 제어부(10), 보고제어부(30, 정보확보부(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통신부(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6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통신부(60)를 기반으로, 기지국(예: gNB)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이동 제어장치(50)/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접속이동 제어장치(50)/단말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접속이동 제어장치(50)/단말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장치(50)/단말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 즉 5G NR 시스템에서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 도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한 기술을 실현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접속이동 제어장치(50)/단말장치(100) 관점에서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장치(50)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정보확인부(20)는, 단말(UE)이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단말(UE)이 상기 타겟 셀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 셀 및 상기 타겟 셀은, 서로 다른 기지국(gNB)의 서로 다른 빔(Beam)에 의해 형성되는 셀이거나, 동일 기지국(gNB) 내 서로 다른 빔에 의해 형성되는 셀일 수 있다.
이에, 전술의 접속이동 절차는, 상기 소스 셀 및 상기 타겟 셀이 서로 다른 기지국(gNB)의 서로 다른 빔(Beam)에 의해 형성되는 셀인 경우라면, Source gNB에서 Target gNB로 handover하는 cell-level mobility를 의미한다.
또한, 전술의 접속이동 절차는, 상기 소스 셀 및 상기 타겟 셀이 동일 기지국(gNB) 내 서로 다른 빔에 의해 형성되는 셀인 경우라면, Source beam에서 Target beam으로 접속 이동되는 beam-level mobility를 의미한다.
즉, cell-level mobility의 경우, 정보확인부(20)는, 단말(UE)이 Source gNB에서 Target gNB로 접속을 이동하는 cell-level mobility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단말(UE)이 Target gNB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beam-level mobility의 경우, 정보확인부(20)는, 단말(UE)이 Source beam에서 Target beam으로 접속을 이동하는 beam-level mobility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단말(UE)이 Target beam으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 시도는,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즉 본 발명에서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 도중 생략하고자 하는 Random access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 정보는,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해 Random access를 수행하는 경우 Random access 과정 중 상기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되는 업링크 관련정보 즉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정보확인부(20)는, 단말(UE)의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가 개시되지 이전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단말(UE)이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관련정보 즉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정보확인부(20)가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확보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되도록 정의하는 특정 보고 절차로서, 주변 셀(gNB 또는 beam)에 대한 CGI를 측정/보고하도록 하는 절차(이하, Report CGI 절차)를 정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Source(gNB 또는 beam)에 단말(UE)이 attach되었을 때, RRC reconfig message를 통해 mobility 관련 설정을 위한 mobility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하면서, Report CGI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report CGI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report config ID에 매핑하는 이벤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mobility의 트리거(trigger)를 위해 사용하는 이벤트(예: event A3)와 같은 종류의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mobility 개시를 위한 measurement report(MR)를 measID 13으로 report 하도록 설정하고 이때 report config ID로 event A3(a3-Offset 0), measurement object로 주변 셀(gNB 또는 beam)을 매핑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UE, 100)은, Source(gNB 또는 beam)에서 Target(gNB 또는 beam)으로 이동하던 중, “UE position(2)” 와 같은 지점을 지날 때 측정한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의 RSRP와 Source gNB(또는 Source beam) RSRP의 차이가 report config ID 13 번으로 설정한 A3 offset threshold 인 0dB 이상인 경우(즉, RSRP_diff > 0dB), measID 13에 해당하는 MR을 송신하게 되고, 이에 Target gNB(또는 Target beam)로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Mobility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Report CGI 개시를 위한 measurement report(MR)를 measID 1으로 report 하도록 설정하고 이때 report config ID로는 Mobility 절차 이전에 개시되도록 하는 event A3(예: a3-Offset -10), measurement object로 주변 셀(gNB 또는 beam)을 매핑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report CGI 정의 시, mobility 개시 보다 먼저 수행/개시될 수 있도록 event threshold를 설정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report CGI 정의 시 report CGI의 트리거(trigger)를 위한 이벤트(제2 이벤트 조건)로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측정 신호세기(RSRP)를 근거로, mobility의 트리거(trigger)를 위해 사용하는 이벤트(제1 이벤트 조건, 예: event A3(a3-Offset 0)) 보다 빠른 시점에 만족하도록 하는 event threshold(예: event A3(a3-Offset -10))을 설정해야 한다.
예컨대 전술처럼 event A3에서 event threshold를 -10, 즉 -5dB로 설정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UE, 100)은, Source(gNB 또는 beam)에서 Target(gNB 또는 beam)으로 이동하던 중, “UE position(1)” 과 같은 지점을 지날 때 단말(UE, 100)이 측정한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의 RSRP와 Source gNB(또는 Source beam) RSRP의 차이가 report config ID 1 번으로 설정한 A3 offset threshold 인 -5dB 이상인 경우(즉, RSRP_diff > -5dB), measID 1 에 해당하는 MR을 송신하고 이에 report CGI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정보확인부(20)는, 특정 보고 절차 즉 전술의 report CGI 절차를 통해, 단말(UE, 100)이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관련정보 즉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UE, 100)로부터 report CGI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한 (MR, 예: measID 1)를 수신한 기지국(gNB)은, report CGI를 개시하고 절차에 따라 단말(UE, 100)에게 report CGI를 위한 새로운 measID 및 drx, Target object를 설정한다.
이렇게 되면, 단말(UE, 100)은, 설정된 drx 유휴기간 내에 Target object(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수신 신호로부터 MIB, SIB1 등을 decoding하여 해당 단말(UE, 100)의 ECGI를 포함한 정보 즉 report CGI 절차 중 보고를 위한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측정한 report CGI 결과를 포함한 MR을 Source(gNB 또는 beam)에게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과정에서 단말(UE, 100) 구체적으로는 정보확인부(20)는, Target object(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의 Round Trip Time(RTT)를 측정한다.
현재, 5G NR 시스템에서 단말(UE)은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gNB와의 path delay에 따른 round trip time(RTT)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인접 gNB의 신호를 측정 가능한 경우라면 마찬가지로 인접 gNB와의 RTT 역시 측정 가능하다.
즉, 정보확인부(20)는, report CGI 절차 중 Target object(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부터의 신호 수신 과정에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과의 Round Trip Time(RTT)를 측정할 수 있다.
정보확인부(20)는, 전술과 같이 측정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과의 RTT를 이용하여,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업링크 관련정보 즉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했던 Target gNB 또는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추정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확인부(20)는,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과의 RTT,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 받은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의 업링크 관련정보(예: TA 정보), 그리고 report CGI 절차 중 측정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과의 RTT을 근거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업링크 관련정보(예: TA 정보)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업링크 관련정보(예: TA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TA_serv, TA_Target은 단말이 사용하는 Source gNB(또는 Source beam), Target gNB(또는 Target beam) 대상 TA 정보(업링크 관련정보), RTT_serv, RTT_Target은 단말에서 측정한 Source gNB(또는 Source beam)와의 RTT,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와의 RTT를 의미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Random access를 통해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부터 TA 정보를 전달받는 대신,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 및 단말 간 RTT, 단말이 가지고 있는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의 TA 정보, 신규 정의한 report CGI 절차에서 측정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 및 단말 간 RTT를 이용하여,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TA 정보를 추정하고 있다.
접속이동 제어부(10)는,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에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의 접속이동 절차 즉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가 개시되면,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에 대한 접속 시도 즉 Random access를 생략하고 앞서 report CGI 절차 과정에서 추정/확보된 특정 정보 즉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업링크 관련정보(예: TA 정보)를 기반으로 Mobility 절차에 따른 Random access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접속이동 제어부(10)는,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에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의 접속이동 절차 즉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의 제반 과정(단계)를 수행/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이동 제어부(1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UE, 100)이 Source(gNB 또는 beam)에서 Target(gNB 또는 beam)로 이동하던 중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의 RSRP와 Source gNB(또는 Source beam) RSRP의 차이가 report config ID 13 번으로 설정한 A3 offset threshold 인 0dB 이상인 경우(즉, RSRP_diff > 0dB), measID 13에 해당하는 MR을 송신한다.
이렇게 되면, Source gNB는 수신한 MR 정보에 담긴 measurement object를 Target gNB(또는 Target beam)로 하여 handover request(또는 mobility request)를 송신하고,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에게서 accept handover response(또는, accept mobility response)를 수신하면 Source gNB(또는 Source beam)는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의 mobility control info(information) IE를 포함한 RRC reconfig message를 단말(UE, 100)에 송신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UE, 100) 특히 접속이동 제어부(10)는, 기존처럼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지 않고 생략하며, 대신 앞서 수행한 report CGI 절차에서 미리 추정/확보한 Target gNB(또는 Target beam) 정보(TA_Target)를 기반으로 Mobility 절차에 따른 Random access 이후의 단계(예: 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접속이동 제어부(10)는, 소스 셀(Source gNB 또는 Source beam)에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 즉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를 수행한다.
이러한 접속이동 제어부(10)는, 전술의 접속이동 제어장치(50) 관점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보고 제어부(30)는, 상기 접속이동 절차 즉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 즉 report CGI를 수행하고, report CGI 절차 수행을 통해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 즉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 혹은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보고 제어부(30)는, 본 발명에서 정의/사용하는 특정 절차 즉 report CGI 절차의 제반 과정(단계)를 수행/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보고 제어부(30)는, 예컨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UE, 100)이 Source(gNB 또는 beam)에서 Target(gNB 또는 beam)으로 이동하던 중 Target gNB(또는 Target beam)의 RSRP와 Source gNB(또는 Source beam) RSRP의 차이가 report config ID 1 번으로 설정한 A3 offset threshold 인 -5dB 이상인 경우(즉, RSRP_diff > -5dB), measID 1에 해당하는 MR을 송신한다.
이렇게 되면, Source gNB(또는 Source beam)는 report CGI를 개시하고 절차에 따라 단말(UE, 100)에게 report CGI를 위한 새로운 measID 및 drx, Target object를 설정하고, 단말(UE, 100)의 보고 제어부(30)는, 설정된 drx 유휴기간 내에 Target object(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수신 신호로부터 MIB, SIB1 등을 decoding하여 해당 단말(UE, 100)의 ECGI를 포함한 정보 즉 report CGI 절차 중 보고를 위한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측정한 report CGI 결과를 포함한 MR을 Source gNB(또는 Source beam)에게 송신한다.
이때, 보고 제어부(30, 정보확인부(20))는, 전술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report CGI 절차 중 Target object(Target gNB 또는 Target beam)로부터의 신호 수신 과정에서,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과의 RTT를 측정하고, 전술의 수학식 1에 따라 타겟 셀(Target gNB 또는 Target beam)의 업링크 관련정보(예: TA 정보)를 추정/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cell-level mobility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설명의 편의 상, Source gNB(또는 beam) 및 Served gNB(또는 beam)를 혼용하여 기재하지만 양 자는 UE 관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Served gNB에 단말(UE, 100)이 attach되었을 때, RRC reconfig message를 통해 mobility 관련 설정을 위한 mobility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하면서, report CGI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report CGI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할 수 있다(1.).
이때, 본 발명에서는, report CGI 정의 시, mobility 개시 보다 먼저 수행/개시될 수 있도록 event threshold를 설정/정의해야 한다.
이에, 단말(UE, 100)은, Served gNB에서 Target gNB로 이동하던 중, report CGI에서 정의된 이벤트 예컨대 Target gNB의 RSRP와 Served gNB RSRP의 차이가 event A3(a3-Offset -10)) 만족 시 MR을 송신하고(2.), 단말(UE, 100)이 송신한 MR에 의해 report CGI 절차가 수행되고(3. 4. 5.), 이 과정에서 단말(UE, 100)은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 정보(예: TA 정보)를 미리 추정하여 확보할 수 있다.
이후, 단말(UE, 100)은, Served gNB에서 Target gNB로 이동하던 중, mobility에서 정의된 이벤트 예컨대 Target gNB의 RSRP와 Served gNB RSRP의 차이가 event A3(a3-Offset 0)) 만족 시 MR을 송신하여(6.), cell-level mobility절차가 개시 및 이후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7. 8. 9. 10.).
단말(UE, 100)은, mobility절차에 따라 Served gNB로부터 Target gNB의 mobility control info(information) IE를 포함한 RRC reconfig message가 수신되면(11.) 기존처럼 Target gNB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지 않고 생략하며, 대신 앞서 수행한 report CGI 절차에서 미리 추정/확보한 Target gNB 정보(TA 정보)를 기반으로 mobility 절차에 따른 Random access 이후의 단계(예: 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행할 수 있다(12.).
이상 설명의 도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Random access를 생략함에 따라, mobility 절차 중 단말의 서비스가 단절되는 서비스 단절 시간(handover execution time)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는 beam-level mobility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설명에 앞서, 기존 beam-level mobility에 관계된 C-plane(Control Plane) 은 3GPP TS에서 명확하게 제한하고 있지 않다.
단, 표준에서 명확하게 제한되지 않았기 때문에 beam-level mobility를 트리거(trigger)하는 방식은, handover(cell-level)와 같이 MR을 이용하는 경우, 혹은 (A)Periodic CSI reporting을 이용하는 경우 모두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전술 및 후술의 실시예 설명에서 beam-level mobility를 트리거(trigger)하는 방식으로서 MR을 이용하는 경우로 설명하며, 본 발명이 포함하는 범위는 MR을 이용하는 경우 외에도 (A)Periodic CSI reporting을 이용하는 경우 등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Served beam에 단말(UE, 100)이 attach되었을 때, RRC reconfig message를 통해 mobility 관련 설정을 위한 mobility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하면서, report CGI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report CGI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할 수 있다(1.).
이때, 본 발명에서는, report CGI 정의 시, mobility 개시 보다 먼저 수행/개시될 수 있도록 event threshold를 설정/정의해야 한다.
이에, 단말(UE, 100)은, Served beam에서 Target beam로 이동하던 중, report CGI에서 정의된 이벤트 예컨대 Target beam의 RSRP와 Served beam RSRP의 차이가 event A3(a3-Offset -10)) 만족 시 MR을 송신하고(2.), 단말(UE, 100)이 송신한 MR에 의해 report CGI 절차가 수행되고(3. 4.), 이 과정에서 단말(UE, 100)은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미리 추정하여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beam-level mobility와 관련하여 정의하는 report CGI의 경우, 획득/측정한 report CGI 결과를 포함한 MR 송신을 강제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전파환경 및 signaling overhead를 줄이기 위해 report CGI 결과 MR 송신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UE, 100)은, Served beam에서 Target beam로 이동하던 중, mobility에서 정의된 이벤트 예컨대 Target beam의 RSRP와 Served beam RSRP의 차이가 event A3(a3-Offset 0)) 만족 시 MR을 송신하여(5.), beam-level mobility절차가 개시 및 이후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6. 7. 8.).
단말(UE, 100)은, mobility 절차에 따라 Served beam로부터 Target beam의 mobility control info(information) IE를 포함한 RRC reconfig message가 수신되면(9.) 기존처럼 Target beam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지 않고 생략하며, 대신 앞서 수행한 report CGI 절차에서 미리 추정/확보한 Target beam 정보(TA 정보)를 기반으로 mobility 절차에 따른 Random access 이후의 단계(예: 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행할 수 있다(10.).
이상 설명의 도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Random access를 생략함에 따라, mobility 절차 중 단말의 서비스가 단절되는 서비스 단절 시간(beam mobility execution time)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 혹은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가 개시되지 전에 미리 확보할 수 있는 기술 실현을 통해, mobility 절차 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시스템에서 mobility 절차 중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방법(방안)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주체로서 단말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 상, cell-level mobility의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Source(gNB 또는 beam)에 단말(UE)이 attach되었을 때, attach되었을 때, RRC reconfig message를 통해 mobility 관련 설정을 위한 mobility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하면서, report CGI를 위해 새롭게 정의한 report CGI control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을 단말(UE)에 전달/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소스 셀(Source gNB)로부터 수신되는 mobility control 및 report CGI 관련 information(meas ID, report config ID, measurement object)를 기반으로 mobility 및 report CGI를 설정한다(S10).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report CGI에서 정의된 이벤트 조건 예컨대 Target gNB의 RSRP와 Served gNB RSRP의 차이가 event A3(a3-Offset -10)) 만족 시 MR을 소스 셀(Source gNB)로 전송하고(S20), 이에 소스 셀(Source gNB)은 MR 수신에 트리거(trigger)되어 report CGI를 개시하고, 절차에 따라 Set report CGI 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장치(100)에게 report CGI를 위한 새로운 measID 및 drx, Target object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설정된 drx 유휴기간 내에 Target object(Target gNB)의 수신 신호로부터 MIB, SIB1 등을 decoding하여 해당 단말(UE, 100)의 ECGI를 포함한 정보 즉 report CGI 절차 중 보고를 위한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측정한 report CGI 결과를 포함한 MR을 Source gNB에게 송신/전달할 것이다(S30).
이때,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report CGI 절차 중 Target object(Target gNB)로부터의 신호 수신 과정에서, 타겟 셀(Target gNB)과의 Round Trip Time(RTT)를 측정할 수 있다(S30).
그리고,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수학식 1에 따라 타겟 셀(Target gNB)의 업링크 관련정보(예: TA 정보)를 추정/확보할 수 있다(S40).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mobility에서 정의된 이벤트 조건 예컨대 Target gNB의 RSRP와 Served gNB RSRP의 차이가 event A3(a3-Offset 0)) 만족 시 MR을 소스 셀(Source gNB)로 전송하고, 이에 소스 셀(Source gNB)은 MR 수신에 트리거(trigger)되어 mobility를 개시 및 이후 단계들을 진행할 것이다(S50).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S50단계에서 개시 및 진행되는 mobility 절차에 따라 소스 셀(Source gNB)로부터 타겟 셀(Target gNB)의 mobility control info(information) IE를 포함한 RRC reconfig message가 수신되면, 기존처럼 Target gNB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지 않고 생략하며, 대신 앞서 S30단계에서 미리 추정/확보한 Target gNB의 업링크 관련정보(TA 정보)를 기반으로 Mobility 절차에 따른 Random access 이후의 단계(예: RRC-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수행할 수 있다(S60).
한편, 단말장치(100)가 S30단계에서 업링크 관련정보(TA 정보)를 확보한 타겟 셀(Target gNB) 및 S50단계에서 MR을 전송한 mobility 대상의 타겟 셀(Target gNB)이 서로 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접속이동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는, 앞서 S30단계에서 업링크 관련정보(TA 정보)를 확보한 타겟 셀(Target gNB) 및 S50단계에서 MR을 전송한 mobility 대상의 타겟 셀(Target gNB)이 서로 다른 경우라면, 소스 셀(Source gNB)로부터 타겟 셀(Target gNB)의 mobility control info(information) IE를 포함한 RRC reconfig message가 수신되는 경우 기존처럼 Target gNB을 향해 Random access를 시도하여 기존 방식으로 Mobility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S7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Random access를 통해 얻어야 하는 Target gNB 혹은 Target beam 정보(예: TA 정보)를 mobility(cell-level 또는 beam-level) 절차가 개시되지 전에 미리 확보할 수 있는 기술 실현을 통해, mobility 절차 중 단말이 수행하는 Random access 생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5G NR 시스템에서 mobility 절차 중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에 따르면, 5G NR 시스템에서 mobility 절차 중 단말의 서비스 단절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기술)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단말장치
10 : 접속이동 제어부 20 : 정보확보부
30 : 보고제어부

Claims (8)

  1. 단말이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셀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는 정보확보부; 및
    상기 소스 셀에서 상기 타겟 셀로의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면,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접속 시도를 생략하고 상기 확보된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이동 절차에 따른 상기 접속 시도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접속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이동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시도는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이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타겟 셀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과정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되는 업링크 관련정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이동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확보부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보고를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 수신 과정에서, 상기 타겟 셀과의 Round Trip Time(RTT)을 측정하고,
    상기 소스 셀과의 RTT, 상기 소스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 받은 상기 소스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 상기 측정한 타겟 셀과의 RTT을 근거로, 상기 타겟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를 추정하여 상기 특정 정보로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이동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셀 및 상기 타겟 셀은,
    서로 다른 기지국의 서로 다른 빔(Beam)에 의해 형성되는 셀이거나, 동일 기지국 내 서로 다른 빔에 의해 형성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이동 제어장치.
  5. 소스 셀에서 타겟 셀로 접속을 이동하는 접속이동 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이동 제어부; 및
    상기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기 이전에 수행하도록 정의된 특정 보고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수행을 통해 상기 타겟 셀로 접속하는데 필요한 특정 정보를 확보하는 보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타겟 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되는 업링크 관련정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동 제어부는,
    주변의 셀에 대한 측정 신호세기를 근거로 기 설정된 제1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셀의 정보를 소스 셀로 보고하여, 상기 소스 셀에 의해 상기 접속이동 절차가 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보고 절차는,
    주변의 셀에 대한 측정 신호세기를 근거로 상기 제1 이벤트 조건 보다 빠른 시점에 만족하도록 설정된 제2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셀의 정보를 보고하고, 상기 소스 셀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에 따라 상기 타겟 셀로부터의 신호에서 보고를 위해 획득한 정보를 소스 셀로 전달하는 절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보고 절차 중 상기 타겟 셀로부터의 신호 수신 과정에서, 상기 타겟 셀과의 Round Trip Time(RTT)을 측정하고,
    상기 소스 셀과의 RTT, 상기 소스 셀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위해 전달 받은 상기 소스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 상기 측정한 타겟 셀과의 RTT을 근거로, 상기 타겟 셀의 업링크 관련정보를 추정하여 상기 특정 정보로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200129341A 2020-10-07 2020-10-07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KR20220046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41A KR20220046197A (ko) 2020-10-07 2020-10-07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41A KR20220046197A (ko) 2020-10-07 2020-10-07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97A true KR20220046197A (ko) 2022-04-14

Family

ID=8121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41A KR20220046197A (ko) 2020-10-07 2020-10-07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1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47776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US20210235333A1 (en) Two-step addition of a primary -secondary cell, pscell, in a multi-connected handover
US20210345211A1 (en) Timing advance for rach-less backhaul handover
KR2014009577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서비스 영역이 작은 셀에 대한 이동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160750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d to manage links
WO2021185259A1 (zh) 通信方法及装置
WO2022147665A1 (en) Methods for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a
CN111148187A (zh) 通信方法和装置
CN111345088B (zh) 无线通信系统及无线基站
US20220264394A1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43738B2 (en) Handover-based connection resume technique
CN116648952A (zh) 用于移动性鲁棒性优化的方法及设备
US20230262566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KR20220046197A (ko) 접속이동 제어장치 및 접속이동 제어방법, 단말장치
US20230247498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KR102155171B1 (ko) 마이크로 기지국 기반 연결 동작 방법 및 단말기, 및 기지국
US11950120B2 (en) MDT measurement log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36277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a mobility robustness optimization mechanism for a conditional handover procedure
KR10224330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US20240179757A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KR102304209B1 (ko) 셀접속제어장치 및 셀 접속 제어방법
WO2022082379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media for propagation delay compensation
WO2023205996A1 (en) Communication for sidelink relay
WO2024011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handover
KR20230012317A (ko)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호 접속 제어방법,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