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05A -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405A
KR20220045405A KR1020200128099A KR20200128099A KR20220045405A KR 20220045405 A KR20220045405 A KR 20220045405A KR 1020200128099 A KR1020200128099 A KR 1020200128099A KR 20200128099 A KR20200128099 A KR 20200128099A KR 20220045405 A KR20220045405 A KR 2022004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bypass
heat exchanger
total hea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9304B1 (en
Inventor
박상하
백승철
김우현
황정묵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304B1/en
Publication of KR2022004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Flow Control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A ventilation system is disclosed. The disclosed ventilation system separately has an inlet of an exhaust flow passage passing a total heat exchanger and a bypass flow passage which does not pass the total heat exchanger. The system has the bypass flow passage in a tilted shape to allow indoor air to flow to bypass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system.

Description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일반적으로 전열 교환기는 공동주택, 사무실 또는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건물에 설치된다. 전열 교환기는 환기 시스템에 포함된다. 환기 시스템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한다.In general, total heat exchangers are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apartment houses, offices, department stores, and large marts. A total heat exchanger is included in the ventilation system. The ventilation system exhausts the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supplies fresh air from the outside to the indoor spac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환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도 1 내지 도 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2411의 도면(도 4 내지 도 6)를 발췌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표현된 도면 부호들은 도 1 내지 도 3의 구성 요소에만 한정한다.1 to 3 are excerpts from the drawings ( FIGS. 4 to 6 )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2411.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 to 3 limit only the components of FIGS. 1 to 3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환기 장치는 일측에 외기구(130) 및 배기구(160)가 타측에 급기구(140) 및 내기구(150)가 형성되며, 내부에 전열 교환부(200)가 각각 설치된다. 1 to 3, in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an external port 130 and an exhaust port 160 are formed on one side, and an air supply port 140 and an internal port 150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total heat exchange unit ( 200) are installed respectively.

종래의 환기 장치는, 전열 교환부(200)를 거쳐서 내기(실내의 공기)와 외기(실외의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환기유로(170) 및 배기유로(190)가 환기 장치의 제1 층에 형성되고, 전열 교환부(200)를 경유하지 않고 배기구(160)로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배출유로(210)가 제2 층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환기유로(170) 및 배기유로(190)는 전열 환기 모드와 대응되고, 내기 배출유로(210)는 일반 환기 모드 또는 바이패스 모드와 대응된다. In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a ventilation flow path 170 and an exhaust flow path 190 through which bet (indoor air) and outside air (outdoor air) flow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unit 200 are provided on the first floor of the ventilation device. The bet discharge passage 210 through which the bet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6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unit 200 is formed in the second layer. The ventilation flow path 170 and the exhaust flow path 190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and the bet discharge flow path 210 corresponds to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or the bypass mode.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일반 환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내기 배출유로(210)가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구부러진 지점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풍량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et discharge flow path 210 is bent at a right angle to implement a general ventilation mode, and a vortex is generated at the bent point, resulting in loss of air volume.

또한, 전열 환기 모드 및 일반 환기 모드 별로 댐퍼를 작동해 유로를 차단 및 변경하는데, 이 경우 환기 장치의 내부에 모터가 상당수 들어가고 모터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 로직이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제어 로직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low path is blocked and changed by operating the damper for each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and general ventilation mod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control logic becomes complic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환기 모드로 구동될 때 발생되는 풍량 손실을 감소시키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that reduces the loss of air volume generated when driven in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열 환기 모드 및 일반 환기 모드의 구동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simp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and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전열 교환기를 거치는 배기 유로의 입구와 전열 교환기를 거치지 않는 바이패스 유로를 서로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ir volume loss by separately forming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bypass passage no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제1 방향으로 배기 유로의 입구를 형성하고, 제2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를 형성하되, 환기 시스템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 요소를 우회하도록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Specifically, in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of the exhaust flow path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an inlet of a bypass flow path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is formed, but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system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a bypass flow path is formed to bypass the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내기구과 연통하고 배기 유로의 입구 및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와 연결되는 제1 공간에 하나의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모터로 내기의 유동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mechanism and installs one damper in the first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thereby reducing the flow path of the bet with one motor.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1 공간에 하나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전열 환기 모드와 일반 환기 모드(바이패스 모드) 모두에서 내기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information of the bet in both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and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bypass mode) without adding a sensor by installing one sensor in the first spa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측면부에 내기구, 급기구, 외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의 설치 영역에 배치되는 전열 교환기,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팬 및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배기 유로, 급기 유로 및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몸체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 교환기는 상기 제2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몸체의 중심부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팬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는 상기 배기 유로의 입구와 서로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를 정의하는 바이패스 흡입 유로는 상기 제1 몸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전열 교환기 및 상기 복수의 팬을 우회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body in which an inner port, an air inlet, an outer air outlet and an exhaust port are formed on the side portion, a total heat exchanger disposed in an installation area inside the apparatus body, the inside of the apparatus body A plurality of fans disposed in the device body and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including an exhaust flow path, an air supply flow path, and a bypass flow path, wherein the device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first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which becomes a, wherein the total heat exchanger penetrat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plurality of fan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nd the bypass suction passage defining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bypass The flow path is formed to bypass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plurality of fans.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 유로의 입구와 바이패스 유로를 서로 별개로 형성하되, 바이패스 유로를 3차원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of the exhaust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ut by implementing the bypass flow path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ir volume los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 유로의 입구 및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의 공유 공간에 하나의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내기의 유동 경로의 제어를 단순화하고, 환기 시스템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one damper in the shared space of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trol of the flow path of the bet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ntil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를 통해 배기 유로 및 바이패스 유로로 유동되는 내기의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추가적인 센서를 설치하지 않으며, 환기 시스템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information of the bet flowing to the exhaust passage and the bypass passage through one sens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ntilation system without installing an additional sensor.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환기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제1 몸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몸체에 전열 교환기, 제1 팬 및 제2 팬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전열 교환기, 제1 팬 및 제2 팬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평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된 제1 몸체, 제2 몸체 및 제3 몸체에 전열 교환기, 제1 팬 및 제2 팬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각 몸체 간의 결합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ody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a total heat exchanger,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are installed in a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a total heat exchanger,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are installed in the combined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a total heat exchanger, a first fan and a second fan are installed in the combined first body, the second body and the thir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upling between each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upper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tot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장치 몸체(100) 및 전열 교환기(200), 복수의 플렌지(310, 320, 330, 340) 및 컨트롤 박스(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body 100 and a total heat exchanger 200 , a plurality of flanges 310 , 320 , 330 , 340 , and a control box 400 .

장치 몸체(100)의 외관은 사각 박스 형상과 대응되며, 장치 몸체(100)의 내부에는 홈 형상의 설치 영역이 형성된다. 설치 영역의 내부에 전열 교환기(200)가 수용된다.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body 100 corresponds to a rectangular box shape, and a groove-shaped installation area is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100 .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installation area.

장치 몸체(100)의 제1 측면부(BS1)에는 제1 흡입구 플렌지(310) 및 제2 배출구 플랜지(340)가 설치되고, 장치 몸체(100)의 제2 측면부(BS2)에는 제2 흡입구 플렌지(320) 및 제1 배출구 플렌지(330)가 설치된다. 장치 몸체(100)의 제1 측면부(BS1) 및 제2 측면부(BS2)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이다. A first inlet flange 310 and a second outlet flange 340 are installed on the first side part BS1 of the device body 100, and a second inlet flange 310 on the second side part BS2 of the device body 100 ( 320) and the first outlet flange 330 are installed. The first side part BS1 and the second side part BS2 of the device body 100 are side parts facing each other.

제1 흡입구 플렌지(310)는 내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플렌지로서, 내기구(RA)인 제1 흡입구(311)에 설치된다. 제2 흡입구 플렌지(320)는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플렌지로서, 외기구(OA)인 제2 흡입구(321)에 설치된다. 제1 배출구 플렌지(330)는 내기를 실외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플렌지로서, 배기구(EA)인 제1 배출구(331)에 설치된다. 제2 배출구 플렌지(340)는 외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플렌지로서, 급기구(RA)인 제2 배출구(341)에 설치된다. The first inlet flange 310 is a flange for guiding the inflow of the bet, and is installed in the first inlet 311 which is the inner mechanism (RA). The second inlet flange 320 is a flange for guid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and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let 321 which is the outdoor air OA. The first outlet flange 330 is a flange for discharging the bet to the outdoor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first outlet 331 which is the exhaust port EA. The second outlet flange 340 is a flange for discharging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second outlet 341 which is the air supply port RA.

또한, 장치 몸체(100)의 제1 측면부에는 컨트롤 박스(400)가 설치된다. 컨트롤 박스(400)는 전열 교환기(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열 교환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box 400 i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device body 100 . The control box 400 is a device for applying power to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controlling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장치 몸체(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제3 몸체(130) 및 제4 몸체(140)를 포함한다. The device body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 a second body 120 , a third body 130 , and a fourth body 140 .

여기서, 제1, 제2, 제3 및 제4 몸체(110, 120, 130, 140) 각각은 EPP(Expanded Polypropylene) 또는 EPS(Expanded Polystyrene) 재질로 형성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체결되고, 단열 기능 및 차음 기능을 수행한다. Her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ies 110, 120, 130, 140 are each formed of EPP (Expanded Polypropylene) or EPS (Expanded Polystyrene) material to form an air flow path, and a ventilation system The components constituting it are fastened and perform a heat insulation function and a sound insulation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천정 등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기 시스템을 뒤집어진 형상으로 표현하였다. 즉, 환기 시스템이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몸체(110)가 천정에 접하고, 제4 몸체(140)가 환기 시스템의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installed on the ceiling, etc., in Figure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ntilation system is expressed in an inverted shape. That is, when the ventilation system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first body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the fourth body 1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ventilation system.

제1, 제2, 제3 및 제4 몸체(110, 120, 130, 140) 각각은 적층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110)의 상부에 제2 몸체(120)가 결합하고, 제2 몸체(120)의 상부에 제3 몸체(130)가 결합하고, 제3 몸체(130)의 상부에 제4 몸체(140)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4 몸체(140)는 제3 몸체(130)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들(110, 120, 130, 140)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장치 몸체(100)가 구성된다.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ies 110 , 120 , 130 , and 140 may be stacked. That is, the second body 1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 the third body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120 , and the third body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130 . 4 The body 140 may be coupled. In this case, the fourth body 140 may be hinge-coupled to the third body 130 . One device body 100 is configur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bodies 110 , 120 , 130 , and 140 .

제1, 제2, 제3 및 제4 몸체(110, 120, 130, 140)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ies 110 , 120 , 130 and 140 will be described later.

전열 교환기(200)는 장치 몸체(100) 내부의 설치 영역에 수용된다. 설치 영역은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열 교환기(200)의 외측 테두리는 장치 몸체(100)의 내측벽과 일정 각도, 일례로 45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된다.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is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area inside the device body 100 . The installation area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and the outer edg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45 degre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body 100 . d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2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2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 교환기(20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tal heat exchang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열 교환기(200)은 열교환 소자(210) 및 필터 설치부(220)를 포함한다. 5 to 7 ,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includes a heat exchange element 210 and a filter installation unit 220 .

열교환 소자(210)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소자(21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소자(210)는 4개의 외측면을 갖는다. 외측면은 제1 측면(S1), 제2 측면(S2), 제3 측면(S3) 및 제4 측면(S4)이다. The heat exchange element 2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The heat exchange element 210 is formed in a cube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heat exchange element 210 has four outer surfaces. The outer side surfaces are the first side surface S1 , the second side surface S2 , the third side surface S3 , and the fourth side surface S4 .

필터 설치부(220)는 열교환 소자(210)의 제3 측면(S3)에 설치된다. 필터 설치부(220)는 브라켓(221)을 갖는다. 브라켓(221)은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221)의 상단에는 상하로 천공되는 슬라이딩 홀(221a)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홀(221a)에는 직각 형상으로 절개된 삽입홈(221b)이 형성된다. The filter installation unit 220 is installed on the third side surface S3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210 . The filter installation unit 220 has a bracket 221 . The bracket 2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sliding hole 221a drilled vertically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221 . An insertion groove 221b cut in a right angle shape is formed in the sliding hole 221a.

필터 설치부(220)는 필터 고정 프레임(222)을 갖는다. 필터 고정 프레임(222)은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터 고정 프레임(222)은 상술한 슬라이딩 홀(221a)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홀(221a)의 홀 면적은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폭과 두께를 수용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221)의 내부 양측면은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양측면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필터 고정 프레임(222)은 슬라이딩 홀(221a)을 통해 브라켓(221)에 레일 방식으로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다.The filter installation unit 220 has a filter fixing frame 222 . The filter fixing frame 222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filter fixing frame 222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above-described sliding hole 221a. The hole area of the sliding hole 221a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ilter fixing frame 222 .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221 may b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ilter fixing frame 222 in a rail manner. The filter fixing frame 222 may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bracket 221 in a rail manner through the sliding hole 221a.

필터 고정 프레임(222)에는 필터부(230)가 설치된다. 필터부(230)는 프리필터(231)와 헤파필터(232)를 포함한다. 프리필터(231)와 헤파필터(232)는 서로 밀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서로 밀착되는 프리필터(231)와 헤파필터(232)는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내측에 끼워 고정된다. 이에 프리 필터(231)와 헤파 필터(232)의 테두리는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내측 테두리에 고정된다. 고정 방식은 접착제 또는 별도의 결합 구조물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필터 고정 프레임(22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부재(223)가 형성된다. 연장 부재는 상술한 브라켓(221)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221a)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 부재(223)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The filter unit 230 is installed in the filter fixing frame 222 . The filter unit 230 includes a pre-filter 231 and a HEPA filter 232 . The pre-filter 231 and the HEPA filter 232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e-filter 231 and the HEPA filter 232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itted and fixed inside the filter fixing frame 222 . Accordingly, the edges of the pre-filter 231 and the HEPA filter 232 are fixed to the inner edge of the filter fixing frame 222 . The fixing method may be fixed through an adhesive or a separate bonding structure. An extension member 223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fixing frame 222 . The extension member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bove-described bracket 221 . The extension member 223 serves as a handle.

열교환 소자(210)의 제1 측면(S1)에는 다른 필터(233)가 배치된다. 다른 필터(233)는 프리 필터이다..Another filter 233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surface S1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210 . Another filter 233 is a pre-filter.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열 교환기(200)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부는 열교환 소자(210)의 제4 측면(S4)에는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4 측면(S4)는 제3 측면(S3)와 마주보는 면이다. 열교환부는 열교환 시 수반되는 기화 및 액화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 unit. The heat exchange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S4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210 . In this case, the fourth side surface S4 is a surface facing the third side surface S3. The heat exchange unit discharges the liquid generated by vaporization and liquefaction accompanying the heat exchange to the outside.

한편, 장치 몸체(100)의 내부에서 복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로 중 제1 유로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해 내기(즉, 실내 공기)를 실외 공간으로 배출할 때 사용되는 배기 유로이다. 복수의 유로 중 제2 유로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해 외기(즉,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출(즉, 공급)할 때 사용되는 급기 유로이다. 복수의 유로 중 제3 유로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과하지 않고 내기를 실외 공간으로 배출될 때 사용되는 바이패스 유로이다. 제1 유로 및 제2 유로는 전열 환기 모드에 따른 공기의 흐름과 대응되고, 제3 유로는 일반 환기 모드에 따른 공기의 흐름과 대응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100 . The first flow path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an exhaust flow path used when the bet (i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The second flow path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a supply air flow path used to discharge (ie, supply) outdoor air (ie,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The third flow path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a bypass flow path used when the bet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correspond to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and the third flow passage corresponds to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이하,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1, 제2, 제3, 제4 몸체(110, 120, 130, 1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ies 110 , 120 , 130 and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제1 몸체(11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몸체(110)에 전열 교환기(200), 제1 팬(500) 및 제2 팬(600)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에 전열 교환기(200), 제1 팬(500) 및 제2 팬(600)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평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된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제3 몸체(130)에 전열 교환기(200), 제1 팬(400) 및 제2 팬(500)이 설치된 환기 시스템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ody 110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perspective and plan views of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the first fan 500, and the second fan 600 ar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drawing shown. 1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show a total heat exchanger 200, a first fan 500, and a second fan 600 in the combined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ed ventilation system. 15 and 16 show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the first fan 400 in the combined first body 110 ,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ventilation system in which the second fan 500 is installed.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서는 제4 몸체(140)를 생략하였다.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urth body 140 is omitted in FIG. 8 .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 각각의 중심부에는 설치 영역(100a)이 형성되고, 전열 교환기(200)는 설치 영역(100a)으로 수용된다. 이 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열 교환기(200)의 외측 테두리는 장치 몸체(100)의 내측벽과 일정 각도(45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nstallation area 100a is form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is accommodated as the installation area 100a. 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the outer rim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may be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45 degre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body 100 .

제1 몸체(110)는 장치 몸체(110)의 베이스 몸체와 대응된다. 제1 몸체(110)의 제1 측면부(BS1)에는 제1 흡입구(311)의 제1 부분 및 제2 배출구(341)의 제1 부분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0)의 제2 측면부(BS2)에는 제2 흡입구(321)의 제1 부분 및 제1 배출구(331)의 제1 부분이 형성된다. 제1 몸체(110)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설치 영역(100a)의 제1 부분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0)의 내부의 가장자리부에는 환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고정 또는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유로의 제1 부분이 형성된다. The first body 110 corresponds to the base body of the device body 110 . A first portion of the first inlet 311 and a first portion of the second outlet 341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BS1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 A first portion of the second inlet 321 and a first portion of the first outlet 331 are formed in BS2). A first portion of the installation region 100a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110 provides a space for fixing or installing the components of the ventilation system. A first portion and a firs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ow passages are formed.

제2 몸체(120)는 장치 몸체(110)의 중간 몸체와 대응된다. 즉, 제1 몸체(110)의 상부에서 제2 몸체(120)가 결합된다. 제2 몸체(120)의 제1 측면부(BS1)에는 제1 흡입구(311)의 제2 부분 및 제2 배출구(341)의 제2 부분이 형성되고, 제2 몸체(120)의 제2 측면부(BS2)에는 제2 흡입구(321)의 제2 부분 및 제1 배출구(331)의 제2 부분이 형성된다. 제2 몸체(120)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설치 영역(100a)의 제2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 몸체(120)의 내부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한 공간의 제2 부분 및 복수의 유로의 제2 부분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결합함으로써, 제1 흡입구(311), 제2 흡입구(321), 제1 배출구(331), 제2 배출구(341), 상기한 공간 및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부분은 제2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120 corresponds to the middle body of the device body 110 . That is, the second body 1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 The second part of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part of the second outlet 341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part BS1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econd side part of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outlet 331 are formed in BS2). A secon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region 100a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portion of the space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ow passages are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body 120 . At this time, by combin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inlet 321, the first outlet 331, the second outlet 341, the above A space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are 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par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and may be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한편, 전열 교환기(200)는 제2 몸체(120)의 중심부(설치 영역(100a)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제1 몸체(110)의 중심부(설치 영역(100a)의 제1 부분)에 안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passes through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part of the installation area 100a) to the central part of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part of the installation region 100a). is settled

제3 몸체(130)는 장치 몸체(110)의 상부 몸체와 대응된다. 제2 몸체(120)의 상부에서 제3 몸체(130)가 결합된다. 제3 몸체(120)는 복수의 유로를 외부와 밀폐시키며, 제2 몸체(120)에서 돌출된 전열 교환기(200)의 상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3 몸체(130)에는 센서(104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The third body 130 corresponds to the upper body of the device body 110 . The third body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120 . The third body 120 seals the plurality of flow paths from the outside, and fixes the upper por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protruding from the second body 120 . In addition, a space for installing the sensor 1040 is formed in the third body 130 .

이를 위해, 제3 몸체(130)의 내부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에는 제1 관통 홀(131)이 형성되고, 제3 몸체(130)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제2 관통 홀(132)이 형성된다. 제1 관통 홀(131)에는 센서(10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전열 교환기(200)는 제2 관통 홀(132)를 관통한다. To this end, a first through hole 131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third body 130 , and a second through hole 132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third body 130 . A sensor 1040 is dispos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31 . Then,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32 .

도 4를 참조하면, 제4 몸체(140)는 장치 몸체(110)의 도어 몸체와 대응된다. 제3 몸체(130)의 상부에서 제4 몸체(140)가 힌지로 결합된다. 제4 몸체(140)는 제3 몸체(130)를 개폐하며, 이에 따라, 전열 교환기(200)가 외부로 탈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ourth body 140 corresponds to the door body of the device body 110 . The fourth body 1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130 by a hinge. The fourth body 140 opens and closes the third body 130 , and accordingly,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may be removed to the outside.

한편, 환기 시스템에서, 각 몸체(110, 120, 130) 간의 결합 시, 접촉하는 면에는 각각 돌기(B) 및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때, 돌기(B)가 홈(G)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돌기(B)와 홈(G)을 제외한 접촉면 사이에는 씰링 부재(S)가 구비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entilation system, when the coupling between each body (110, 120, 130), each of the protrusions (B) and the groove (G) may be formed on the contacting surface. This is as shown in FIG. 17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B is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G, and a sealing member S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B and the contact surface except for the groove G to prevent air leakage.

한편, 복수의 공간은 제1 공간(1010), 제2 공간(1020) 및 제3 공간(103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spaces includes a first space 1010 , a second space 1020 , and a third space 1030 .

제1 공간(1010)은 배기구인 제1 흡입구(311)와 연통하는 공간이다. 즉, 제1 공간(1010)은 제1 흡입구(311)와 접하여 형성되며, 내기가 제1 공간(1010)으로 유입된다. 일례로, 제1 공간(1010)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제1 공간(1010)은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가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며, 제3 몸체(130)에 의해 제1 공간(1010)이 외부와 밀폐된다. The first space 1010 i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uction port 311 which is an exhaust port. That is, the first space 101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rst suction port 311, the be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1010). For example, the first space 10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space 1010 is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the first space 1010 is sealed from the outside by the third body 130 .

제3 몸체(130)의 제1 관통 홀(131)은 제1 공간(10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때, 센서(1040)는 내기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제1 관통 홀(131)에 설치된 센서(1030)를 통해 제1 공간(1010)의 내기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특히, 센서(103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유로(700)로 유동하는 내기 및 제3 유로(900)로 유동하는 내기 모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The first through hole 131 of the third body 130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030 . At this time, the sensor 1040 is a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of the bet. Accordingly, through the sensor 1030 insta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31 ,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degree of the bet in the first space 1010 may be measured. In particular, the sensor 1030 may measur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bout both a bet flowing to the first flow path 700 and a bet flowing to the third flow path 900 ,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제1 공간(1010)에는 댐퍼(1050)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1050)는 제1 흡입구(311)에서 흡입된 내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댐퍼(1050)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내기는 제1 유로(700)로 유동되거나 제3 유로(900)로 유동될 수 있다. A damper 105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1010 . Damper 1050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bet sucked in the first suction port (311). By the operation of the damper 1050 , the sucked bet may flow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or flow into the third flow path 900 .

도면들을 참조하면, 댐퍼(1050)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의 회전을 통해 내기가 제1 유로(700)의 입구 또는 제3 유로(900)의 입구로 안내된다. 댐퍼(1050)의 동작은 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댐퍼(10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amper 105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and a door (plate) rotating around the rotating shaft. The bet is guided to the entrance of the first flow path 700 or the entrance of the third flow path 90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door. The operation of the damper 105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motor. The operation of the damper 10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2 공간(1020)은 급기구인 제2 배출구(341)와 연통하는 공간이다. 제2 공간(1020)는 제1 몸체(110)과 제2 몸체(12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1020)에 제1 팬(500)이 설치된다. 즉, 제1 몸체(110)과 제2 몸체(120) 사이에 제1 팬(500)이 배치된다. 제1 팬(500)는 실내 공간으로의 외기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다. The second space 1020 i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341 which is an air supply. The second space 10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the first fan 5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1020 . That is, the first fan 5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The first fan 500 is installed to efficiently discharge outdoor air into an indoor space.

제3 공간(1030)은 배기구인 제1 배출구(331)와 연통하는 공간이다. 제3 공간(1030)는 제1 몸체(110)과 제2 몸체(120)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1030)에 제2 팬(600)이 설치된다. 즉, 제1 몸체(110)과 제2 몸체(120) 사이에 제2 팬(600)이 배치된다. 제2 팬(600)는 실외 공간으로의 내기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다. The third space 1030 is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331 which is an exhaust port. The third space 10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the second fan 600 is installed in the third space 1030 . That is, the second fan 6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fan 600 is installed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bet to the outdoor spac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1, 제2 및 제3 유로(700, 800, 9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ow paths 700 , 800 , and 9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유로(700)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해 내기를 실외 공간으로 배출할 때 사용되는 배기 유로로서, 결합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3 몸체(130)를 통해 외부와 밀폐된다. The first flow path 700 is an exhaust flow path used when discharging the bet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is formed inside the combined first body 110 and second body 120, 3 It is seal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130).

제1 유로(700)는 제1 흡입 유로(710)와, 제1 열교환 유로(720)와, 제1 배출 유로(730)를 포함한다. The first flow path 700 includes a first suction flow path 710 , a first heat exchange flow path 720 , and a first discharge flow path 730 .

제1 흡입 유로(710)는 제1 흡입구(311)와 전열 교환기(200)의 제1 측면(S1)를 연결하는 제1 유로(700)의 서브 유로이다. 보다 정확하게, 제1 흡입 유로(710)는 제1 공간(1010)의 일면과 연결되고, 제1 흡입 유로(710)는 제1 공간(1010)의 일면과 전열 교환기(200)의 제1 측면(S1)를 연결하는 서브 유로이다. 제1 흡입 유로(710)는 제1 유로(700)의 입구를 정의한다.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is a sub flow path of the first flow path 700 connecting the first suction port 311 and the first side surface S1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More precisely,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and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is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It is a sub flow path connecting S1).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defines an inlet of the first flow path 700 .

한편, 제1 유로(700)로 내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기 위해, 사각 형상인 제1 공간(1010)의 일면의 공칭 단면적은 원형 형상인 제1 흡입구(311)의 단면적 이상일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bet to smoothly flow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 the nominal cross-sectional area of one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having a square shap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uction port 311 having a circular shape.

제1 열교환 유로(720)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과하는 제1 유로(700)의 서브 유로이다. 제1 배출 유로(730)는 전열 교환기(200)의 제2 측면(S2)와 제1 배출구(331)를 연결하는 제1 유로(700)의 서브 유로이다. 제1 배출 유로(330)에는 제1 팬(500)이 설치된다. The first heat exchange flow path 720 is a sub flow path of the first flow path 700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The first discharge flow path 730 is a sub flow path of the first flow path 700 connecting the second side surface S2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331 . A first fan 500 is installed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330 .

제2 유로(800)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해 외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할 때 사용되는 급기 유로로서, 결합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3 몸체(130)를 통해 외부와 밀폐된다. The second flow path 800 is a supply air flow path us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and is formed inside the combined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the third It is seal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130).

제2 유로(800)는 제2 흡입 유로(810)와, 제2 열교환 유로(820)와, 제2 배출 유로(830)를 포함한다. The second flow path 800 includes a second suction flow path 810 , a second heat exchange flow path 820 , and a second discharge flow path 830 .

제2 흡입 유로(410)는 제2 흡입구(321)와 전열 교환기(200)의 제3 측면(S3)를 연결하는 제2 유로(800)의 서브 유로이다. 제2 흡입 유로(810)는 제2 유로(800)의 입구를 정의한다. 제2 열교환 유로(820)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과하는 제2 유로(800)의 서브 유로이다. 제2 배출 유로(830)는 전열 교환기(200)의 제4 측면(S4)와 제2 배출구(341)를 연결하는 제2 유로(800)의 서브 유로이다. 제2 배출 유로(830)에는 제2 팬(600)이 설치된다. The second suction flow path 410 is a sub flow path of the second flow path 800 connecting the second suction port 321 and the third side surface S3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The second suction flow path 810 defines an inlet of the second flow path 800 . The second heat exchange flow path 820 is a sub flow path of the second flow path 800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The second discharge flow path 830 is a sub flow path of the second flow path 800 that connects the fourth side surface S4 of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341 . A second fan 6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830 .

제3 유로(900)는 전열 교환기(200)를 통과하지 않고 내기를 실외 공간으로 배출될 때 사용되는 바이패스 유로로서, 결합된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3 몸체(130)를 통해 외부와 밀폐된다. 일례로서, 제3 유로(900)는 장치 몸체(100)의 제1 측면부(BS1) 및 제4 측면부(BS4)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flow path 900 is a bypass flow path used when the bet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and is formed inside the combined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nd is seal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body 130 . As an example, the third flow path 900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side part BS1 and the fourth side part BS4 of the device body 100 .

제3 유로(900)는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 및 바이패스 배출 유로(930)를 포함한다. The third flow path 900 includes a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 a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 and a bypass discharge flow path 930 .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는 제3 유로(900)의 입구 측에 존재하는 제3 유로(900)의 서브 유로이다.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는 제3 유로(900)의 입구를 정의한다.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는 제1 흡입 유로(710)와 별개로 형성되며, 제1 공간(1010)의 타면과 연결된다. 즉,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는 장치 몸체(100)의 제1 측면부(BS1)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몸체(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is a sub flow path of the third flow path 900 that exists on the inlet side of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defines an inlet of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 That is,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is formed along the first side portion BS1 of the device body 100 ,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

한편, 제3 유로(900)로 내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기 위해, 사각 형상인 제1 공간(1010)의 타면의 공칭 단면적은 원형 형상인 제1 흡입구(311)의 단면적 이상일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smoothly introduce the bet into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nom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suction port 311 having a circular shape.

보다 상세하게, 제1 몸체(110)의 제1 측면부(BS1)을 따라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의 제1 부분이 형성된다.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의 제1 부분은, 제1 격벽(911) 및 제1 경사면(912)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912)은 제1 몸체(110)의 제1 측면부(BS1)과 제1 격벽(911)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몸체(120)의 제1 측면부(BS1)을 따라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의 제2 부분이 형성된다.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의 제2 부분은, 제2 격벽(913) 및 제2 경사면(914)을 포함한다. 제2 경사면(914)은 제2 몸체(120)의 제1 측면부(BS1)과 제2 격벽(913)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격벽(911)의 상부면이 제2 격벽(913)의 하부면과 결합되고, 제1 경사면(912)의 타단이 제2 경사면(914)의 일단과 결합되여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가 형성된다. In more detail, the first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passage 910 is formed along the first side portion BS1 of the first body 110 . A first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passage 910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911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912 . The first inclined surface 91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BS1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911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second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passage 910 is formed along the first side surface BS1 of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passage 910 includes a second partition wall 913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914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91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BS1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913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91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913 ,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91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914 to thereby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 is formed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을 통해 제1 흡입구(311)로 흡입된 내기는 장치 몸체(100)의 상부로 유동한다. 이 때, 제1 격벽(911) 및 제2 격벽(913)을 통해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에 유동되는 내기는 전열 교환기(200)를 만나지 않는다. The bet sucked into the first suction port 311 through the bypass suction passage 910 flow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100 . At this time, the bet flowing in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through the first partition wall 91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913 does not meet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제3 유로(900)의 입구 측과 제3 유로(900)의 출구 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유로(900)의 서브 유로이다.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제2 몸체(120)의 제1 측면부(BS1)와 수직한 제2 몸체(120)의 제4 측면부(BS4)을 따라 형성된다.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장치 몸체(100)의 제1 측면부(BS1)에 형성된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와 곡선으로 연결된다.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제1 몸체(110)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제2 몸체(120)에만 형성된다.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일직선 형상으로 구현된다.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is a sub flow path of the third flow path 900 disposed between the inlet side of the third flow path 900 and the outlet side of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is formed along the fourth side surface BS4 of the second body 120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ortion BS1 of the second body 120 .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is connected to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formed in the first side part BS1 of the device body 100 in a curved line.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is not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 but is formed only in the second body 120 . The bypass transfer flow path 920 is implemented in a straight line shape.

보다 상세하게,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제3 격벽(921) 및 수평면(922)를 포함한다. 수평면(922)는 제2 몸체(110)의 제4 측면부(BS3)과 제3 격벽(921) 사이에 배치되며, 수평으로 형성된다. 제3 격벽(921)는 제1 격벽(911) 및 제2 격벽(913)과 연결되고, 수평면(922)의 일단은 제2 경사면(914)의 타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와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가 연결된다. In more detail, the bypass transfer flow path 920 includes a third partition wall 921 and a horizontal surface 922 . The horizontal surface 922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side part BS3 of the second body 110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921 and is formed horizontally. The third partition wall 921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ition wall 91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913 ,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surface 92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914 . Accordingly, the bypass suction passage 910 and the bypass transmission passage 920 are connected.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팬(500)은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1020)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팬(500)의 상부에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 및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가 배치되고,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 및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제1 팬(500)과 마주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 및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을 정의하는 격벽(911, 913, 921)에 따라,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 및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는 설치 영역(100a)과 구분된다. Meanwhile,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fan 500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020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Accordingly,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and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are disposed above the first fan 500 , and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and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are formed by the first fan ( 500) so as not to collide with it. And, according to the partition walls 911, 913, and 921 defining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and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and the bypass transmission flow path 920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area ( 100a).

바이패스 배출 유로(930)는 제3 유로(900)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제3 유로(900)의 서브 유로이다. 바이패스 배출 유로(930)는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와 연결되며,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로 유동하는 내기가 제1 배출구(331)로 안내된다. 이 때, 제2 팬(600)을 통해 내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된다. The bypass discharge flow path 930 is a sub flow path of the third flow path 900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bypass discharge passage 930 is connected to the bypass transfer passage 920 , and the bet flowing into the bypass transfer passage 920 is guided to the first outlet 331 . At this time, the bet is e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an (600).

요컨대, 전열 환기 모드와 대응되는 제1 유로(700) 및 제2 유로(800)는 2차원 유로이고, 일반 환기 모드와 대응되는 제3 유로(900)는 3차원 유로이다. 이 때,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는 제1 몸체(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로 유동되는 내기는 제2 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바이패스 전달 유로(920)와 연결된다. 따라서, 3차원 형태의 제3 유로(900)가 구현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flow path 700 and the second flow path 80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are two-dimensional flow paths, and the third flow path 900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is a three-dimensional flow path. At this time,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 and the bet flowing into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is a bypass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120 . It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ssage 920 . Accordingly, the third flow path 900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implemented.

그리고, 격벽들(911, 913, 921)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인 제3 유로(900)는 전열 교환기(200)와 마주치지 않으며, 제3 유로(900)로 유동하는 내기는 전열 교환기(200)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팬(500)의 상부에 제3 유로(900)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3 유로(900)는 전열 교환기(200) 및 제1 팬(500)을 만나지 않고 우회하도록 형성된다. And, according to the partition walls 911 , 913 , and 921 , the third flow path 900 , which is a bypass flow path, does not meet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and the bet flowing into the third flow path 900 goes to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 not transmitted In addition, the third flow path 900 is disposed above the first fan 500 . Accordingly, the third flow path 900 is formed to bypass without meeting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the first fan 500 .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댐퍼(1050)는 제1 공간(1010)에 설치되어 제1 흡입구(311)에서 흡입된 내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damper 1050 is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1010 to adjust the flow direction of the bet sucked in the first suction port (311).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50)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damper 10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을 참조하면, 댐퍼(105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동작한다. Referring to FIG. 18 , the damper 1050 operates in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이 때,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댐퍼(1050)의 도어는 제1 흡입 유로(710)를 개방(즉, 제1 공간(1010)의 일면을 개방)하고,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를 폐쇄(즉, 제1 공간(1010)의 타면을 폐쇄)한다. 따라서, 제1 유로(700)로 내기가 전달되고, 제3 유로(900)로 내기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1 모드는 전열 환기 모드와 대응된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18 (a), in the first mode, the door of the damper 1050 opens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that is, opens one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910 is closed (i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is closed). Accordingly, the be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flow path 700 , and the bet is not transmitted to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first mode corresponds to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mode.

그리고,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 댐퍼(1050)의 도어는 제1 흡입 유로(710)를 폐쇄(즉, 제1 공간(1010)의 일면을 폐쇄)하고, 바이패스 흡입 유로(910)를 개방(즉, 제1 공간(1010)의 타면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3 유로(900)로 내기가 전달되고, 제1 유로(700)로 내기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2 모드는 일반 환기 모드와 대응된다. And, referring to FIG. 18B , in the second mode, the door of the damper 1050 closes the first suction flow path 710 (ie, closes one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 and the The pass suction passage 910 is opened (that i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is opened). Accordingly, the bet is transmitted to the third flow path 900 , and the bet is not transmitted to the first flow path 700 . The second mode corresponds to the general ventilation mode.

이에 따라, 하나의 모터로 제어되는 하나의 댐퍼(1050)를 사용하여 제1 유로(700)과 제3 유로(900) 사이의 내기의 유동 방향이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low direction of the bet between the first flow path 700 and the third flow path 900 can be simply adjusted using one damper 1050 controlled by one motor.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치 몸체(100)로의 원활한 내기의 유동을 위해, 제1 공간(1010)의 일면 및 타면의 공칭 단면적과 대응되는 댐퍼(1050)의 도어의 공칭 단면적은 제1 흡입구(311)의 단면적 이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for the smooth flow of the bet to the device body 100 , the nom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or of the damper 1050 corresponding to the nominal cross-sectional area of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pace 1010 is the first I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port 311 .

요컨대, 장치 몸체(10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몸체(110, 120, 130, 140)로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유로를 구성하고, 환기 시스템의 구성 부품을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2, 제3 및 제4 몸체(110, 120, 130, 140)는 EPS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 및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돌기(B) 및 홈(G) 결합을 통해 내기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evice body 100 is composed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ies 110 , 120 , 130 , 140 to constitute a plurality of flow paths and to fix the components of the ventil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odies 110 , 120 , 130 , and 140 may be made of EPS parts, and accordingly, heat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effects may be increased. And, the protrusion (B) and the groove (G) through the coupling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e bet.

또한, 배기 유로인 제1 유로(700)과 바이패스 유로인 제3 유로(900)를 서로 별개로 형성한다. 이 때, 전열 교환기(200) 및 제1 팬(500)를 우회하도록 제3 유로(900)를 3차원 형상으로 구현한다. 이에 따라, 장치 몸체(100)의 남는 공간으로 제3 유로(900)를 형성할 수 있고, 제3 유로(900)로 유동되는 내기의 손실 양, 즉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low path 700 as the exhaust flow path and the third flow path 900 as the bypass flow path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hird flow path 900 is implement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to bypass the total heat exchanger 200 and the first fan 500 . Accordingly, the third flow path 900 may be formed as the remaining space of the device body 100 , and the loss amount of the bet flowing into the third flow path 900 , that is, the loss of air volume may be reduced.

그리고, 배기구과 접하는 제1 공간(1010)에 센서(1040)를 설치함으로써, 센서(1040)가 공유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700)로 내기가 유동되는 경우 및 제3 유로(900)로 내기가 유동되는 경우에도, 센서(1040)는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환기 시스템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And, by installing the sensor 1040 in the first space 1010 in contact with the exhaust port, the sensor 1040 can be shared and used. That is, even when the bet flows to the first flow path 700 and when the bet flows to the third flow path 900 , the sensor 1040 may measure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additional sensor,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ntilation system can be reduced.

더불어, 제1 공간(1010)에 하나의 댐퍼(1050)를 설치함으로써, 내기의 유동 경로의 제어를 단순화하고, 환기 시스템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one damper 1050 in the first space 1010,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trol of the flow path of the bet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entilation syste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ethods can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ethods can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5)

측면부에 내기구, 급기구, 외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의 설치 영역에 배치되는 전열 교환기;
상기 급기구와 인접하여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팬; 및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배기 유로, 급기 유로 및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몸체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 교환기는 상기 제2 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몸체의 중심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 및 상기 배기 유로의 입구 각각은 상기 내기구와 연통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를 정의하는 바이패스 흡입 유로는 상기 제1 몸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전열 교환기 및 상기 제1 팬을 우회하도록 형성되는, 환기 시스템.
The device body in which an inner device, an air supply port, an external device and an exhaust port are formed on the side part;
a total heat exchanger disposed in an installation area inside the device body;
a first fan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djacent to the air inlet; and
A plurality of flow passages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including an exhaust flow path, an air supply flow path, and a bypass flow path;
The device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passes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1 a fa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Each of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inner mechanism, and the bypass suction passage defining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The bypass flow path is formed to bypass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내기구과 연통된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 유로의 입구를 정의한 제1 흡입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는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mechanism is formed inside the device body,
A first intake passage defining an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nd the bypass intake passage are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는 상기 장치 몸체의 제1 측면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흡입 유로는 상기 장치 몸체의 제1 측면부와 수직한 상기 장치 몸체의 제3 측면부를 따라 형성되는, 환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is formed along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device body,
The first suction flow path is formed along a third side portion of the device body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device body, ventil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내기구에서 흡입된 내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된 내기는 상기 제1 흡입 유로로 유동되거나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로 유동되는, 환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damper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the bet sucked in the internal mechanism; including,
By the operation of the damper, the sucked bet flows to the first suction flow path or to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the ventil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흡입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흡입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를 개방하는, 환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amper operates in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In the first mode, the damper opens the first suction flow path and closes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In the second mode, the damper closes the first suction flow path and opens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the ventil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내기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pace, the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degree of the sucked bet: further comprising, the ventilation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를 밀폐시키는 제3 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몸체의 내부에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 홀은 상기 제1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 홀에 센서가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evice body further comprises a third body coupled to the second body to seal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side the third body,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nd a sensor is installed in the first through hole, ventilation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몸체는, 상기 제3 몸체와 결합하는 제4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몸체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전열 교환기의 상부가 통과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는 상기 제3 몸체에서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제3 몸체를 개방하는, 환기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evice body includes a fourth body coupled to the third body,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passes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hird body,
The fourth body is fastened to the hinge in the third body to open the third body, ventil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로의 입구의 공칭 단면적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의 공칭 단면적은 상기 내기구의 단면적 이상인, 환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nom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nd a nom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f the bypass passage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제1 측면부에는 상기 내기구의 제1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제1 측면부의 내부에 경사진 형상의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의 제1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제1 측면부에는 상기 내기구의 제2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제1 측면부의 내부에 경사진 형상의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의 제2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내기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내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ortion of the inner mechanism is formed on a first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first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passage having an inclined shape is formed inside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A second portion of the inner mechanism is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passage having an inclined shape is formed inside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dy,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inner mechanism are coupled to form the inner mechanism, and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are coupled to form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the ventilat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제4 측면부에는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와 연결된 바이패스 전달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제2 몸체의 제4 측면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제1 측면부와 수직한, 환기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 bypass transfer passage connected to the bypass suction passage is formed on the fourth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fourth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dy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흡입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전달 유로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전열 교환기와 마주치지 않도록 배치된, 환기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ypass suction flow path and the bypass delivery flow path are disposed so as not to face the first fan and the total heat exchang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전달 유로에서 유동된 내기는 상기 제2 팬을 통해 배출되는, 환기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an disposed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The second fa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bet flowing in the bypass delivery pass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a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제1 측면부에는 상기 급기구의 제1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몸체의 제2 측면부에는 상기 외기구의 제1 부분 및 상기 배기구의 제1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제1 측면부에는 상기 급기구의 제2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몸체의 제2 측면에는 상기 외기구의 제2 부분 및 상기 배기구의 제2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급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외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는, 환기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portion of the air inlet is formed on a first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second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opposite to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first body has a first portion of the outdoor port and the exhaust port A first part of is formed,
A second portion of the air inlet is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second portion of the outdoor port and the exhaust port are formed on a second side of the second body opposite to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body A second portion of is forme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air inlet are coupled to form the air inle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outdoor port are coupled to form the outdoor port, an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exhaust por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outdoor port. wherein the two parts are joined to form the exhaus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로는, 상기 내기구와 상기 전열 교환기의 제1 측면을 연결하는 제1 흡입 유로와, 상기 전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제1 열교환 유로와, 상기 전열 교환기의 제2 측면과 상기 배기구를 연결하는 제1 배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 유로는, 상기 외기구와 상기 전열 교환기의 제3 측면을 연결하는 제2 흡입 유로와, 상기 전열 교환기를 통과하는 제2 열교환 유로와, 상기 전열 교환기의 제4 측면과 상기 급기구를 연결하는 제2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flow path includes a first suc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inner port and a first side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 first heat exchange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connecting the exhaust port comprising a first discharge flow path;
The air supply flow path includes a second suction flow path connecting the external air port and a third side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a second heat exchange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a fourth side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r connecting the air supply port A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second exhaust flow path to:
KR1020200128099A 2020-10-05 2020-10-05 Ventilation system KR102439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99A KR102439304B1 (en) 2020-10-05 2020-10-05 Venti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99A KR102439304B1 (en) 2020-10-05 2020-10-05 Venti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405A true KR20220045405A (en) 2022-04-12
KR102439304B1 KR102439304B1 (en) 2022-08-31

Family

ID=8118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99A KR102439304B1 (en) 2020-10-05 2020-10-05 Venti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30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277A (en) * 2005-03-11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on system
KR20090022643A (en)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ing system
KR20160031658A (en) * 2014-09-12 2016-03-23 은성화학(주) a Heat exchanger ventilator of bypass-type with easy maintenan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826314B1 (en) * 2017-06-09 2018-02-06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Air conditioner
KR101855482B1 (en) * 2017-02-17 2018-05-04 은성화학(주) a Heat recovery ventilating apparatus of floor type
KR20180058180A (en)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Ventilato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20190127329A (en) * 2018-05-04 2019-11-13 (주)정민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KR20200004520A (en)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277A (en) * 2005-03-11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on system
KR20090022643A (en)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ing system
KR20160031658A (en) * 2014-09-12 2016-03-23 은성화학(주) a Heat exchanger ventilator of bypass-type with easy maintenan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80058180A (en)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Ventilato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101855482B1 (en) * 2017-02-17 2018-05-04 은성화학(주) a Heat recovery ventilating apparatus of floor type
KR101826314B1 (en) * 2017-06-09 2018-02-06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Air conditioner
KR20190127329A (en) * 2018-05-04 2019-11-13 (주)정민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KR20200004520A (en)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304B1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644B1 (e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bypass tunnel
KR100826020B1 (en) Air conditioner
KR102439304B1 (en) Ventilation system
KR102439300B1 (en) Ventilation system
JP5061928B2 (en) Ventilation equipment
KR102089784B1 (en) Damper structure for air ventilation unit
JPH09310899A (en) Heat exchanging ventilator
JP6358534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JPH1078245A (en) Air conditioner
KR20200111061A (en) A modula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32412B1 (en) Ventilation System
KR101576217B1 (en) a Total heat exchanger having bypass tunnel
KR102439302B1 (en) Ventilation system
JP2018017421A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20170035824A (en) By-pass apparatus for ventilation system
KR102037528B1 (en) Heat exchange unit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KR20170095785A (en) By-pass apparatus for ventilation system
JPH09217952A (en) Heat exchange ventilation equipment
JP2000130814A (en) Air conditioner
KR102194196B1 (en) Ventilation system
EP4290152A1 (en) Ventilation unit with housing
KR20180055383A (en) Heat exchanger
JP4910323B2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air cond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this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and building equipped with this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20018206A (en) Smart wall
KR20210129879A (en) Smart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