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675A -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 Google Patents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675A
KR20220042675A KR1020200125767A KR20200125767A KR20220042675A KR 20220042675 A KR20220042675 A KR 20220042675A KR 1020200125767 A KR1020200125767 A KR 1020200125767A KR 20200125767 A KR20200125767 A KR 20200125767A KR 20220042675 A KR20220042675 A KR 2022004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s
file
pixels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가브리엘
Original Assignee
천가브리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가브리엘 filed Critical 천가브리엘
Priority to KR102020012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675A/en
Publication of KR2022004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6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4Transformations for image registration, e.g. adjusting or mapping for alignment of images
    • G06T3/006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conversion device for classifying webtoon backgr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e conversion apparatus comprises: an input unit receiving an original image for a webtoon background created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a pixel value acquisition unit acquiring RGB values of a plurality of pixels forming the original image; a layer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the original image into an entire layer, a shading layer, a lineart layer, a color layer, a texture layer, and any one layer selected among other layers required for drawing work by using RGB values of pixels corresponding to preset parameters; and a control unit storing the extracted plurality of layers in the form of individual files or merging and saving the layers in a single file, and providing the layers in the form of a file compatible with all drawing creation programs including webtoons. Accordingly, a webtoon background created with Sketchup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aturation, time of day (AM/PM), color, brightness, and shade, and the layers to be stored in files and the files are conver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an artist's program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nabling the artist to utilize the webtoon background as a background in the artist's program without separately using a character program and a background program.

Description

웹툰 배경을 위한 파일 변환 장치{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본 발명은 웹툰 배경을 위한 파일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창작물을 복수의 레이어로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레이어를 사용자 프로그램에 호환되도록 변환된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conversion device for a webtoon background, and more particularly, extracts a creation created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provides a converted file for the extracted plurality of layers to be compatible with a user program It relates to a file conversion device that does.

웹툰은 인터넷을 뜻하는 ‘웹(web)’과 만화를 의미하는 ‘카툰(cartoon)’이 합쳐져 만들어진 신조어다. 웹툰은 플래시로 제작된 웹애니메이션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고 웹에서 형성된 모든 만화 형식을 대표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했지만, 현재는 웹사이트에 게재된 세로로 긴 이미지 파일 형식의 만화를 뜻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Webtoon is a new word created by combining the words 'web', meaning the Internet, and 'cartoon', meaning comics. Webtoon was also used as a term to refer to web animations made with Flash and was also used as a term to represent all forms of comics formed on the web. is being used as

웹툰과 만화 및 일러스트등 드로잉 작품을 그리는 작가들은 빠른 작업속도와 비용 절감을 위해 만화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웹툰을 제작한다. 대표적인 웹툰 제작 프로그램으로는 클립스튜디오, 메디방 페인트, 스케치업,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등을 포함한다. Writers who draw webtoons, cartoons, and illustrations, use cartoon-related programs to create webtoons in order to speed up work and reduce costs. Representative webtoon production programs include Clip Studio, MediBang Paint, Sketchup, Photoshop, and Illustrator.

먼저 클립 스튜디오는 만화제작을 위한 말풍선, 컷 만들기에 최적화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브러시와 패턴으로 화려한 색감과 스타일 표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것으로서, 웹툰 제작에 최적화되어 있어 많은 작가들이 사용중인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First of all, Clip Studi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functions optimized for making speech balloons and cuts for comics production,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ress colorful colors and styles with various brushes and patterns. one of them

클립스튜디오 포함 일반적인 드로잉 프로그램들은 배경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그리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드로잉 작가들은 건물조감도와 도면을 그릴 때 사용하는 다양한 3D 프로그램을 포함 관축 관련 프로그램인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웹툰 배경을 제작하고 있다.Common drawing programs including Clip Studio have the disadvantage of taking time because they draw the background in an analog way. Therefore, drawing artists are making webtoon backgrounds using SketchUp, a program related to building, including various 3D programs used for drawing bird's eye views and drawings.

스케치업은 3D로 되어 있어 같은 공간의 배경도 컷마다 다시 그려야 하는 수고를 덜어주고, 고퀄리티의 배경을 짧은 시간에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Since SketchUp is made in 3D, it reduces the effort of having to redraw the background of the same space for each cu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plete a high-quality background in a short time.

스케치업은 생성된 모델링을 웹툰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므로, 클립스튜디오 또는 포토삽 등을 통해 후보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케치업을 통해 제작된 배경은 내용에 따라 필요 부분만 변경하여 보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보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에 따른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SketchUp, the resul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generated modeling is applied to the webtoon, so post-correction must be done through Clip Studio or a photo shovel. However, the background produced through the conventional sketchup has a problem in that the required time for the operation is long because the correc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by changing only the necessary parts according to the contents, but the correction operation must be performed as a whol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7457호(2011.11.25.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27457 (published on 11.25/201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창작물을 복수의 레이어로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레이어를 사용자 프로그램에 호환되도록 변환된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변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e conversion apparatus for extracting a creative work created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providing a converted file for the extracted plurality of layers to be compatible with a user program.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웹툰 배경 분류를 위한 파일 변환 장치에 있어서,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웹툰 배경에 대한 원본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이 가지는 RGB값을 획득하는 픽셀값 획득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픽셀의 RGB값을 이용하여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 및 드로잉 작업에 필요한 기타 레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이어로 분류하는 레이어 분류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레이어를 각각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한 다음, 웹툰을 포함한 전 드로잉 창작 프로그램에 호환되는 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task, in a file conversion device for classifying a webtoon backgrou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riginal image for a webtoon background created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and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This branch uses a pixel valu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RGB values, and uses the RGB values of pixels corresponding to preset parameters to select any one selected from all layers, shading layers, line art layers, color layers and texture layers, and other layers necessary for drawing work. A layer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layers of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상기 파라미터는, 채도, 명도, 시각, 색, 시각 및 음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rame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aturation, brightness, sight, color, sight, and shadow.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채도값이 0이고, 명도값이 100에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음영 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다. The layer classifier may extract a pixel having a saturation value of 0 and a brightness value of 10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classify the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as a shadow layer.

상기 음영 레이어는, 상기 추출된 채도값이 0일 경우에,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중에서 명도값이 30 내지 40에 해당하는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hade layer may further include pixels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30 to 40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when the extracted saturation value is 0.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채도값이 0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확대시켰을 경우에 채도값에 변형이 없으면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선화 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다.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extracts all pixels having a saturation value of 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converts the extracted pixels into an image file and enlarges the converted imag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aturation value You can classify files as line art layers.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이 0 내지 10에 해당하며, 해당 픽셀의 전체 수가 3,000 픽셀 이상이면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선화 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다.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if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the total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ixels is 3,000 pixels or more, extracts the corresponding pixels, and linearizes the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s It can be classified into layers.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 0 내지 100에 해당하며, 착시, 빛, 텍스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 채도에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컬러 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다.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extracts pixels correspon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0 from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corresponding to pure saturation not affected by optical illusions, light, or textures, and includes the extracted pixels Layers can be classified as color layers.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 0 내지 100에 해당하며, 사물의 특성에 따라 질감이 표현된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질감 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다.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extracts a pixel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having a textu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nd classifies a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as a texture layer can do.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사이즈 비율을 변환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vert the size ratio so that all the generated layers, shading layers, line art layers, color layers, and texture layers have the same size.

상기 제어부는, 분류된 각각 레이어를 *.png, *.jpeg, *.jpg 및 기타 드로잉 창작프로그램에 호환되는 어느 하나의 확장자명을 가지도록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vert each classified layer to have any one of extension names compatible with *.png, *.jpeg, *.jpg, and other drawing creation programs and output the converted layer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치업으로 작성된 웹툰 배경을 채도, 시각(오전/오후), 색, 명도 및 음영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로 분류하여 파일화한 다음, 작가들이 작업하는 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변환하여 제공하므로 작가들로 하여금 인물을 작업하는 프로그램과 배경을 작업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리하지 않고, 작업 중이던 프로그램에서 제공받은 웹툰 배경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toon background written in SketchUp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aturation, time (AM/PM), color, brightness, and shading, and then converted into a file, and then converted according to the program environment in which the artists work.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writers to utilize the webtoon background provided by the program they were working on, without separating the program into a program for working with characters and a program for working with the backgr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어 중에서 필요로 하는 레이어만 추출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배경일지라도 내용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배경을 연출할 수 있으며, 배경을 제작하는 데 소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work by extracting only a required layer from among a plurality of layers, even if the same background is the same, different backgrounds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the time required to produce the background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변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툰 배경 분류를 위한 파일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S230단계에서 복수의 레이어로 분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file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le conversion method for classifying a webtoon back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in step S23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변환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le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변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file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변환 장치는 입력부(110), 픽셀값 획득부(120), 레이어 분류부(13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file conversion apparatus includes an input unit 110 , a pixel value obtainer 120 , a layer classification unit 130 , and a control unit.

먼저, 입력부(110)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웹툰 배경에 대한 원본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이때, 웹툰 배경에 대한 원본 이미지는 스케치업과 같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것을 나타낸다. First,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n original image for a webtoon background created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In this case, the original image for the webtoon background is generated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such as SketchUp.

픽셀값 획득부(120)는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값을 획득한다.The pixel value acquisition unit 120 acquires a plurality of pixel values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레이어 분류부(130)는 레이어를 분류하기 위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파리미터에 대응하는 픽셀값을 이용하여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이어로 분류한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채도, 명도, 시각, 색, 시각 및 음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130 sets parameters to classify layers, and classifies them into any one layer selected from among all layers, shading layers, line art layers, color layers, and texture layers using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et parameters. . Here, the parameter includes at least one of saturation, brightness, sight, color, sight, and shade.

전체 레이어는 웹툰 배경 전체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음영 레이어는 웹툰 배경에서 그림자 또는 그늘이 발생된 부분만을 추출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선화레이어는 웹툰 배경에서 색이 삭제된 선으로만 표현된 이미지를 나타내며, 컬러 레이어는 선화 레이어와 반대로 웹툰 배경에서 선이 삭제되고 컬러만 남아있는 상태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질감 레이어는 웹툰 배경에 포함된 사물의 특성에 따라 채도 및 명도를 변화시켜 질감 표현이 된 픽셀들만을 추출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The entire layer represents an image of the entire webtoon background, and the shaded layer represents an image obtained by extracting only a shadow or shaded portion from the webtoon background. And, the line art layer represents an image expressed only with lines from which the color has been deleted from the webtoon background, and the color layer represents an image in which only the color remains after the lines are deleted from the webtoon background, as opposed to the line art layer. Lastly, the texture layer represents an image created by extracting only pixels with textured expression by changing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cluded in the webtoon background.

제어부(140)는 복수의 레이이어로 분류된 이미지를 웹툰 제작 프로그램에 호환되는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부연하자면, 제어부(140)는 복수의 레이어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사이즈 비율을 변환하고, 변환된 각각의 레이어는 *.png, *.jpeg, *.jpg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확장자명을 가지도록 변환한 다음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imag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into a file format compatible with the webtoon production program and provides the converted image.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size ratio so that the plurality of layers have the same size, and each converted layer has any one extension name from *.png, *.jpeg, and *.jpg. and then print

이하에서는 도 2 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툰 배경 분류를 위한 파일 변환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le conversion method for classifying a webtoon back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툰 배경 분류를 위한 파일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le conversion method for classifying a webtoon back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변환 장치(100)는 웹툰 배경에 대한 원본 이미지를 수신한다(S210). As shown in FIG. 2 , the file convers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original image for a webtoon background ( S210 ).

웹툰 작가들은 웹툰에 포함된 각 장면마다 미묘하게 달라지는 배경을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웹툰에 삽입되는 배경을 제작한다. 이때, 웹툰 작가들은 스케치업이라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따라서, 입력부(110)는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제작된 웹툰 배경에 대한 원본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Webtoon writers use modeling programs to create backgrounds that are inserted into webtoons in order to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handle the subtly different backgrounds for each scene included in the webtoon. At this time, webtoon writers use a 3D modeling program called SketchUp. Accordingly,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original image for the webtoon background produced by using SketchU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되는 원본 이미지는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D 모델링이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원본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력되는 원본 이미지의 확장자명도 상이할 수 있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nput original image was produced using SketchU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image may be produced through various programs capable of 3D modeling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extension name of the input original image may be different.

그 다음, 픽셀값 획득부(12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픽셀에 대한 GRB값을 획득한다(S220). Next, the pixel value obtaining unit 120 obtains a GRB value for each pixel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S220).

이미지는 픽셀들이 모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추출부(120)는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픽셀마다 가지고 있는 값을 획득한다. An image is generated by gathering pixels, and the extraction unit 120 obtains a value of each pixel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그 다음, 레이어 추출부(130)는 획득한 픽셀값을 이용하여 원본이미지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류한다(S230). Next, the layer extractor 130 classifies the original image into a plurality of layers using the acquired pixel values (S230).

레이어 추출부(130)는 복수의 레이어로 분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픽셀값을 이용하여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이어로 분류한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채도, 명도, 시각, 색, 시각 및 음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layer extractor 130 sets parameters for classifying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uses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preset parameters to select any one layer from among all layers, shading layers, line art layers, color layers, and texture layers. classified as Here, the parameter includes at least one of saturation, brightness, sight, color, sight, and shade.

먼저, 레이어 추출부(130)는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이 가지고 있는 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모든 픽셀을 전체 레이어로 분류한다. First, the layer extractor 130 sets values of pixels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as default values, and classifies all pixels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into all layers.

레이어 추출부(13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채도값이 0이고, 명도값이 100에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음영 레이어로 분류한다. 한편, 레이어 추출부(130)는 추출된 채도값이 0일 경우에,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중에서 명도값이 30 내지 40에 해당하는 픽셀을 더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음영 레이어에 포함시킨다. The layer extractor 130 extracts a pixel having a saturation value of 0 and a brightness value of 100 from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classifies a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as a shadow lay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racted saturation value is 0, the layer extractor 130 further extracts pixels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30 to 4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sets the extracted pixels as a shading layer. be included in

그 다음, 레이어 추출부(13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채도값이 0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확대시켰을 경우에 채도값에 변형이 없으면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선화 레이어로 분류한다. 채도값이 0이면 검정색에 해당된다. 따라서, 레이어 추출부(130)는 검정색을 가진 픽셀을 이용하여 선화 레이어를 생성한다. 또한,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이 0 내지 10에 해당하는 픽셀이 3,000 픽셀 이상이면, 레이어 추출부(130)는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선화 레이어로 분류한다. Next, the layer extractor 130 extracts all pixels having a saturation value of 0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when the extracted pixels are converted into an image file and enlarged, there is no change in the saturation value. If not, the converted image file is classified as a line art layer. A saturation value of 0 corresponds to black. Accordingly, the layer extractor 130 generates a line art layer using black pixels. In addition, if a pixel correspon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is 3,000 pixels or more, the layer extractor 130 extracts the corresponding pixel and linearizes the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classify into lay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화 레이어로 분류되는 픽셀의 개수를 3,000으로 기재하였으나, 선화 레이어에 포함된 선들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픽셀의 개수도 3,000 이하 또는 이상으로 조절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ixels classified into the line art layer is described as 3,000, but since the thickness of the lines included in the line art layer can be adjusted, the number of pixels can also be adjusted to 3,000 or less.

그 다음, 레이어 추출부(13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 0 내지 100에 해당하며, 착시, 빛, 텍스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 채도에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컬러 레이어로 분류한다. Next, the layer extractor 130 extracts pixels correspon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0 from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corresponding to pure saturation not affected by optical illusions, light, or textures, and extracts the extracted pixels. A layer containing pixels is classified as a color layer.

마지막으로, 레이어 추출부(130)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 0 내지 100에 해당하며, 사물의 특성에 따라 질감이 표현된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질감 레이어로 분류한다. Finally, the layer extractor 130 extracts a pixel correspon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has a textured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nd a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is classified as a texture layer.

이때, 분류되는 레이어의 개수는 수개에서 수천개에 해당한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classified layers ranges from several to several thousand.

도 3은 S230단계에서 복수의 레이어로 분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in step S2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픽셀값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픽셀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들로 구성된 이미지를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이어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레이어 추출부(130)는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RGB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본값에서 명도 및 채도값을 가감시켜 변화된 RGB값을 가진 픽셀들로 이루어진 레이어로 분류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pixels are extracted using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preset parameters, and an image composed of the extracted pixels is converted to an entire layer, a shading layer, a line art layer, and a color. It was classified as any one layer selected from a layer and a texture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yer extractor 130 sets the RGB values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as default values, and classifies the layers into a layer composed of pixels having changed RGB values by adding or subtracting brightness and saturation values from the set default values. You may.

S230단계에서 레이어 분류가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분류된 각각의 레이어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사이즈 비율을 변환한다(S240). When the layer classification is completed in step S230,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size ratio so that each classified layer has the same size (S240).

그 다음, 제어부(140)는 분류된 복수의 레이어를 각각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한 다음, 웹툰 제작 프로그램에 호환되는 파일 형태로 제공한다(S250). Next, the control unit 140 stores the classified plurality of layers in the form of respective files, or merges them and stores them as one file, and then provides them in the form of a file compatible with the webtoon production program (S250).

자세히는, 제어부(140)는 분류된 복수의 레이어를 각각의 파일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일부 레이어만 추출하여 파일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140 may output a plurality of classified layers in the form of respective files, or may extract only some layer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output them in the form of a file.

그 다음, 제어부(140)는 출력되는 파일이 웹툰 제작 프로그램에 호환되도록 변환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웹툰 제작 프로그램이 클립 스튜디어(CLIP STUDIO) 페인팅 프로그램이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40)는 출력되는 파일의 확장자를 클립 스튜디어(CLIP STUDIO) 포멧의 *.jpg(*.jpeg) 혹은 *.png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Then, the controller 140 converts the output file to be compatible with the webtoon production program and provides it.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webtoon production program is a CLIP STUDIO painting program, the controller 140 selects the extension of the output file as *.jpg (*.jpeg) in the Clip Studio format or Converted to *.png file and outpu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치업으로 작성된 웹툰 배경을 채도, 시각(오전/오후), 색, 명도 및 음영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로 분류하여 파일화한 다음, 작가들이 작업하는 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변환하여 제공하므로 작가들로 하여금 인물을 작업하는 프로그램과 배경을 작업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리하지 않고, 작업 중이던 프로그램에서 제공받은 웹툰 배경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toon background written in SketchUp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saturation, time (AM/PM), color, brightness, and shading, and then files are created, and then the program environment in which the writers work. As it is conver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writers to utilize the webtoon background provided by the program they are working on without separating the program into a program for working with characters and a program for working with the backgrou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어 중에서 필요로 하는 레이어만 추출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배경일지라도 내용에 따라 각각 상이한 배경을 연출할 수 있으며, 배경을 제작하는 데 소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work only a required layer from among a plurality of layers, even with the same background, different backgrounds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the time required to produce the background can be reduced. there i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파일 변환 장치
110 : 입력부
120 : 픽셀값 획득부
130 : 레이어 분류부
140 : 제어부
100: file converter
110: input unit
120: pixel value acquisition unit
130: layer classification unit
140: control unit

Claims (10)

웹툰 배경 분류를 위한 파일 변환 장치에 있어서,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웹툰 배경에 대한 원본 이미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이 가지는 RGB값을 획득하는 픽셀값 획득부,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픽셀의 RGB값을 이용하여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 및 드로잉 작업에 필요한 기타 레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이어로 분류하는 레이어 분류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레이어를 각각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한 다음, 웹툰을 포함한 전 드로잉 창작 프로그램에 호환되는 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일 변환 장치.
In the file conversion device for webtoon background classification,
The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original image for the webtoon background created through the 3D modeling program,
a pixel valu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RGB values of a plurality of pixels constituting the original image;
A layer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entire layer, shading layer, line art layer, color layer, texture layer, and other layers required for drawing by using the RGB values of pixels corresponding to preset parameters into any one lay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extracted layers in the form of respective files or merging them to store them in the form of a single file, and then providing the extracted layers in the form of a file compatible with all drawing creation programs including webto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채도, 명도, 시각, 색, 시각 및 음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meter is
A file conversion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saturation, lightness, visual, color, visual, and sha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채도값이 0이고, 명도값이 100에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음영 레이어로 분류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A file conversion apparatus for extracting a pixel having a saturation value of 0 and a brightness value of 100 from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classifying a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as a shadow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 레이어는,
상기 추출된 채도값이 0일 경우에,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중에서 명도값이 30 내지 40에 해당하는 픽셀을 더 포함하는 파일 변환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hading layer is
and a pixel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30 to 40 amo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when the extracted saturation value is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채도값이 0에 해당하는 모든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확대시켰을 경우에 채도값에 변형이 없으면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선화 레이어로 분류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When all pixels having a saturation value of 0 are extra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and the extracted pixels are converted into an image file and enlarge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aturation value, the converted image file is converted to a line art layer A file converter that s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이 0 내지 10에 해당하며, 해당 픽셀의 전체 수가 3,000 픽셀 이상이면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선화 레이어로 분류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A file for extracting a corresponding pixel and classifying a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as a line art layer if the brightness value of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is 0 to 10, and the total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ixels is 3,000 or more conver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 0 내지 100에 해당하며, 착시, 빛, 텍스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 채도에 해당하는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컬러 레이어로 분류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pixels correspon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0 and corresponding to pure saturation not affected by optical illusions, light, or textures are extracted, and the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s is used as a color layer. A file converter that s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분류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에서 명도값 0 내지 100에 해당하며, 사물의 특성에 따라 질감이 표현된 픽셀을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질감 레이어로 분류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classification unit,
A file conversion apparatus for extracting a pixel having a brightness value of 0 to 10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having a textu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nd classifying a layer including the extracted pixel as a textur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전체 레이어, 음영 레이어, 선화 레이어, 컬러 레이어 및 질감 레이어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사이즈 비율을 변환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file conversion apparatus for converting a size ratio so that all the generated layers, shading layers, line art layers, color layers, and texture layers have the same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류된 각각 레이어를 *.png, *.jpeg, *.jpg 및 기타 드로잉 창작프로그램에 호환되는 어느 하나의 확장자명을 가지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파일 변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file conversion device that converts each classified layer to have any extension name compatible with *.png, *.jpeg, *.jpg, and other drawing programs.
KR1020200125767A 2020-09-28 2020-09-28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KR202200426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67A KR20220042675A (en) 2020-09-28 2020-09-28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67A KR20220042675A (en) 2020-09-28 2020-09-28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675A true KR20220042675A (en) 2022-04-05

Family

ID=8118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767A KR20220042675A (en) 2020-09-28 2020-09-28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26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g et al. Palette-based photo recoloring.
US8270709B2 (en) Color selection and/or matching in a color image
Wen et al. Color sketch generation
US840656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oft edge masking
US11727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aware enhancement of images
CN112257406A (en) Content cover generator and method based on web front end
CN103198469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220042675A (en) File converter apparatud for webtoon background
CN112652024A (en) Method for replacing colors of image again based on color harmony
Annum et al. Image colouration in adobe photoshop: A digital painting technique for transforming grayscale photographs into colour mode
JP2021033686A (en) Image area extraction processing method and image area extraction processing program
US20040130554A1 (en) Application of visual effects to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n image
Gao et al. PencilArt: a chromatic penciling style generation framework
Hume Fashion and textile design with Photoshop and Illustrator: professional creative practice
CN113706700A (en) Three-dimensional map implementation method based on data visualization
CN115294243A (en) Automatic coloring method and device for line art picture and storage medium
Wu et al. Application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 Color Art Image Shadow Generation
Seo et al. Artistic image generation for emerging multimedia services by impressionist manner
Fotheringham et al. Automated Photo to Watercolor Painting with realistic wet-in-wet
Gunawardhana Computer Graphics: Theory and Practical
Ding et al. Research on computer color recovery system for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Shapoval et al. Computer graphics and photography in terms of design
Andrews Adobe Photoshop Elements 5.0 AZ: Tools and features illustrated ready reference
KR20240019463A (en) Real-time painting style conversion method of vector image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Freeman Michael Freeman's Photo School: Digital Edi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