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279A - Shock absorbing desk - Google Patents

Shock absorbing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279A
KR20220041279A KR1020200123841A KR20200123841A KR20220041279A KR 20220041279 A KR20220041279 A KR 20220041279A KR 1020200123841 A KR1020200123841 A KR 1020200123841A KR 20200123841 A KR20200123841 A KR 20200123841A KR 20220041279 A KR20220041279 A KR 2022004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concrete
socket
reinforcing material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3543B1 (en
Inventor
김면수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20012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543B1/en
Publication of KR2022004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9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processing chambers, e.g. modular processing chambers

Abstract

Disclosed is a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isolation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isolation table enables a reinforcement material to be stably aligned and minimizes a joint placement amount of concrete.

Description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Shock absorbing desk}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table {Shock absorbing desk}

본 발명은 반도체 장비를 안정적으로 안착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damping table used to stably seat semiconductor equipment.

일반적으로 이중마루가 설치된 크린룸은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와 같은 첨단 제품의 제조 공장으로 사용되고 이러한 공장에는 매우 정밀한 측정 장비와 수 마이크론 내지 나노 수준의 직접회로를 제작하는 초정밀 가공장비가 설치된다.In general, a clean room with a raised floor is used as a manufacturing plant for high-tech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 or display manufacturing, and very precise measuring equipment and ultra-precision processing equipment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s in the micron to nano level are installed in these factories.

이러한 초정밀 장비는 환경진동에 매우 민감하여 특정 주파수대역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작동 자체가 불가해 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각 장비마다 요구되는 환경진동 수준으로 환경진동을 조절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Since these ultra-precision equipment are very sensitive to environmental vibrations, defects occur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operation itself becomes impossible.

환경진동의 수준은 ISO2631이 제공하는 VC(vibartion criteria)-Curve의 Class구분인 주파수 대역별 가속도의 크기에 따른 등급 구분이 적용되고 있다.The level of environmental vibr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acceler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which is the class classification of VC (vibartion criteria)-Curve provided by ISO2631.

각 장비마다의 요구되는 환경진동수준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댐핑 장치와 감쇠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장비의 바닥투영면적과 동일한 수준의 크기를 가지는 콘크리트 패드를 장비 하부에 설치하고 허용되는 환경진동의 요구 특성에 맞게 콘크리트 패드의 하부에 강성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하부 강성 구조물과 콘크리트 패드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패드와 댐퍼와 하부 강성 구조물이 복합된 구조체로 이중마루용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가 구성된다.In order to create the required environmental vibration level for each equipment, damping devices and damping technologies are used, but in general, a concrete pad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loor projected area of the equipment is installed under the equipment and the required environmental vibration is allow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installing a rigid structure under the concrete pad or installing a damper between the lower rigid structure and the concrete pad is mainly used. A concrete pad is constructed.

상기 콘크리트 패드는 부식과 분진 발생을 억제할 목적으로 바닥과 네 측면이 일정두께의 철판으로 밀봉된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고, 내부는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가 채워지며, 상부면에는 대전방지용 타일이나 도료, 또는 전도체로 마감된다.The concrete pa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ase in which the floor and four sides are sealed with a steel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corrosion and dust generation, the inside is filled with reinforced concrete, and the upper surface is an antistatic tile or paint , or with a conductor.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비의 하부에 장비의 하중을 바닥으로 전달하는 수많은 캐스터(지지점)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고, 장비 내부의 질량도 각 캐스터의 위치마다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너지에 대한 응답도 각위치의 캐스터 마다 다르게 되어 이로 인하여 공진이 발생되거나 특정 주파수의 가속도가 증폭되는 문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Numerous casters (support points) that transmit the load of the equipment to the floor are irregularly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equipment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table, and the internal mass of the equipment is also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because the size of each caster is different in size. The response to the vibration energy is also different for each caster at each position,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resonance may occur or a problem that the acceler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is amplified may occur.

어느 한 장비의 하부에 있는 캐스터는 어느 지점의 캐스터라도 모두 동일한 동특성을 갖는 구조물위에 설치되는 것이 중요한 요건이 되고 이를 위해 콘크리트 패드는 하나의 질량체로 구성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건이나, 장비의 바닥 투영면적이 매우 크거나 복잡한 경우 운반과 설치의 문제로 인하여 각각의 크기로 제작된 콘크리트 패드를 현장에서 맞대어 볼팅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t is an important requirement that all casters at the bottom of any one equipment be installed on a structure having the same dynamic characteristics at any point. In this very large or complex case, due to transport and installation problems, a method of bolting concrete pads manufactured in each size to the site is used.

이러한 핀 접합으로 연결된 콘크리트 패드는 서로 다른 동특성을 보이는 문제가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철재 케이스를 외부에서 제작하여 설비가 설치될 장소에서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동특성의 문제는 크게 없으나 현장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 분진과 오염수로 인하여 크린룸이 오염되는 문제와 콘크리트의 완전 경화에 약 28일이 소요되어 장비 설치까지 상당한 대기 시간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야기 되었다.Concrete pads connected by these pins have a problem of showing different dynamic characteristics, and as another method,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steel case is manufactured from the outside, assembled at the place where the equipment will be installed, and then concrete is poured. In this case,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dynamic characteristics, bu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clean room due to concrete dust and contaminated water during on-site pouring and that it takes about 28 days for the concrete to completely harden, resulting in a considerable waiting time until equipment installation.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패드를 여러 조각으로 만들되 조각과 조각이 이어져야 하는 면에 철판으로 내측과 구분되는 별도의 연결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연결부 공간으로 돌출시켜 철근 커플러와 바닥 철판의 덧대기 이음으로 콘크리트 조각과 조각을 이은 후 연결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하는 공법들이 시도되고 있다.Recently, as a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a concrete pad is made into several pieces, but a separate connection space is formed with an iron plate on the side where the pieces are to be connected, and the reinforcing bar inside the concrete is protruded into the connecting space to connect with the reinforcing bar coupler. Methods are being tried to unify the concrete pieces by connecting the pieces with the padding joint of the floor iron plate and then pouring the concrete into the joint space.

이러한 기존의 시도인 콘크리트 블록을 분할 제작 한 후 재조립하여 일체화하는 방법들이 제공하는 연결부 조성방법은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콘크리트 블록의 취급과정에서 크린룸을 오염시키지 못하도록 철판을 이용하여 모든 면을 밀폐하여 반입되고 있으며, 분진 억제를 위해 연결부도 철판이 접합되게 되고 철판과 콘크리트 접합면 사이의 경계면 분리(크랙)를 억제할 목적으로 철망이나, 앵커류 등을 철판의 양면에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자재와 가공, 조립비용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고, 철근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1점식 철근 연결방법을 사용하므로 연결부에 설치된 철판을 통과하여 연결부 중간 지점까지 철근이 돌출되어 상대 콘크리트 블록에블 돌출되어있는 철근과 나사식 커플러로 조립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계가공이 아니라 수작업으로 배치되고 엮어지는 철근의 설치 작업의 부정확한 특성으로 각각 따로 제작되어진 콘크리트 블록에서 돌출된 철근이 서로 정확한 각도와 거리를 가지고 만나기 어려워 나사식 커플러가 조립되지 않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연결될 콘크리트 블록을 맞대어 커플러를 체결한 상태로 각 조각의 내부 타설을 진행한 후 다시 각 조각을 분리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로 운반후 재조립한 후 연결부를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기간 감소 효과는 적어지고 오히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The connection part formation method provided by these existing methods of dividing and reassembling and reassembling concrete blocks, which is such an existing attempt, uses iron plates to seal all sides so that dust generated from concrete does not contaminate the clean room during the handling of concrete blocks. In order to suppress dust, the connection part is also joined with steel plates, and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separation (crack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concrete joint surface, a method of joining wire mesh or anchors on both sides of the steel plate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material, processing, and assembly costs are very high, and since the one-point rebar connection method is used for connecting rebar, the reinforcing bar protrudes through the steel plate installed in the connecting part to the middle point of the connecting part and protrudes from the other concrete block. It uses a method of assembling a rebar and a screw-type coupler, but due to the inaccurat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work of rebars placed and woven by hand rather than machining, the rebars protruding from each separately manufactured concrete block have the correct angle and distance from each other. Since it is difficult to meet with a screw-type coupler and the problem that the screw-type coupler is not assembled frequently occurs, place the concrete blocks to be connected and place the couplers together and then pour each piece inside, then separate each piece again, and the location where it should be installed Since the method of pouring the connection part after transporting it to the furnace is us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period is less and the cost is rather increased,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9107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91079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중마루가 설치된 크린룸과 같은 뜬바닥 구조에 설치되는 장비(설비, 기계)의 진동 전달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table for minimizing vibration transmission of equipment (equipment, machine) installed in a floating floor structure such as a clean room with a raised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는 바닥면(10)에서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와 일체로 콘크리트 양생으로 성형되는 제2 본체부(200);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에 강도 보강을 위해 구비된 보강재(300, 300a); 상기 보강재(300, 300a)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소켓 홈부(400, 400a); 및 상기 제2 본체부(200)에 구비되고, 이격된 제1 본체부(100, 100a)가 서로 간에 연결되도록 상기 소켓 홈부(400, 400a)에 양단이 결합된 연결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상기 바닥면(10)과 접한 바닥판(102, 102a)에서 상기 제2 본체부(200)를 바라보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외측판(104, 104a)이 일체 형성된다.A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a floor surface 10; a second body part 200 formed by concrete cur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betwee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provided for strength reinforcement on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Socket groove portions (400, 400a)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from the extended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300a); and It is provided on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500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ocket groove parts 400 and 400a so that the spaced apart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ide at positions other than the positions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from the bottom plates 102 and 102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0 . The bent outer plates 104 and 104a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외측판(104, 104a)과 마주보는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102, 102a) 및 상기 외측판(104, 104a)과 연결되고, 홈부(111, 111a)가 형성된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 상기 홈부(111, 111a)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300, 300a)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1,2 삽입부(122, 122a)가 형성된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을 포함한다.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the bottom plate 102, 102a and the outer plate 104, 104a are connected at the opposite position facing the outer plate 104, 104a, and a groove portion 111, 111a) i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110a);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fitted to the groove portions 111 and 111a and hav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122 and 122a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do.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은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가 수평 방향에서 서로 간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결합 부재(20)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re fastened by a coupling member 20 provided so that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가 성형되기 이전에 상기 제1,2 삽입부(122, 122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재(300, 300a)가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단부와 결합되는 소켓부(600, 600a)가 구비된다.Before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is molde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122, 122a) are coupl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are positioned in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coupled with the ends. The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are provided.

상기 소켓부(600, 600a)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부(602, 602a); 상기 보강재(300, 300a)와 동축을 이루며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바디부(602, 602a)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고, 축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소켓 홈(610, 610a); 상기 제1 소켓 홈(610, 610a)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개구되어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소켓부(600, 600a)를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소켓 홈(622, 622a)이 구비된 플랜지(620, 620a)를 포함한다.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include body parts 602 and 602a forming an external shape; A first socket groove (610, 610a) coaxial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300a) and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portion (602, 602a) facing the ends, and having a thread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fter the first socket groove (610, 610a)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spac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curing of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is finished, the socket part (600) , 600a) including flanges 620 and 620a provided with second socket grooves 622 and 622a providing a space for inserting a tool for drawing out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to the outside. do.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제2 본체부(200)와 마주보는 가장 자리를 따라 내측 수직 방향으로 다각형의 요철 홈(G)이 형성된다.A polygonal concave-convex groove G is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in an inner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

상기 요철 홈(G)은 상기 연결부(500)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에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다.The concave-convex grooves 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500 .

상기 요철 홈(G)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에서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The concave-convex grooves G ar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요철 홈(G)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The concave-convex grooves G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연결부(500)는 축 방향 양단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1 커플러(510); 상기 제1 커플러(510)의 좌우 양단에 상기 보강재(300, 300a)가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N)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500 includes a first coupler 510 having threads at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coupler 510 includes a nut portion N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there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coupler 510 .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일단이 상기 외측판(104, 104a)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판(102, 120a)의 상면에 지지된 보강판(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inforcing plate 50 having one end supported on the outer plate 104 and 104a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2 and 120a is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100a. do it with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외측판(104, 104a)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보강판(50)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 판(106, 106a)이 구비된다.Support plates 106 and 106a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50 is supported are provided on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al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대면적의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를 취급이 용이한 면적으로 나누어 사전 제작하여 설치장소에서 조립 후 연결 및 타설할 수 있게 되어,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고 납기가 빨라지게 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area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damping table is divided into an easy-to-handle area, and pre-fabricat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and poured after assembling at an installation site, making it easy to transport and install, and to speed up delivery.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은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제작을 위한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작이 용이하며, 진동 발생으로 인한 구조적 강도가 향상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of workers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table is improved, manufacturing is easy, and structural strength due to vibration is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보강재의 정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제2 본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이음 타설량이 최소화 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of the reinforcement is made stably, and the amount of joint pouring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second body part is minimiz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되어 반도체 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조립 공차 범위 이내에서 제작이 가능하여 치수 정확도가 향상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ncrete pad for the vibration damping table is improved, so that the semiconductor equipment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dimensional accuracy is improved because it can be manufactured within the assembly toleranc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이전에 보강재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가 제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에 구비된 소켓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제2 본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결합 상태 및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에 구비된 연결부가 보강재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제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before concrete is poured into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isol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cket unit provided in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concrete is poured into a second main body of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to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upling state and the inside of the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part provided in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table is coupled to a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damp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crete pad for a vibration damp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1)는 진동에 취약한 반도체 장비가 안정적으로 안착 되도록 바닥면(10)에 다수개가 서로 간에 조립 되는 제1 본체부(100, 100a)가 구비된다.1 to 7, the concrete pad 1 for the vibration isol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rst body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on the floor surface 10 so that the semiconductor equipment, which is vulnerable to vibration, is stably seated. (100, 100a) is provided.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실제 반도체 장비가 설치되는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선 제작된 이후에 별도의 중장비를 통해 상기 반도체 장비가 설치될 장소로 옮겨 설치 위치가 셋팅된 후에 제2 본체부(200)에 대한 타설 및 양생으로 최종 조립이 완료된다.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pre-fabricated in a place other than the actual semiconductor equipment installation place, and then move to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nstallation place using a separate heavy equipment to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final assembly is completed by pouring and curing for the main body 200 .

또한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가 반도체 장비가 설치될 장소의 크기에 맞춰 가로 및 세로 길이가 도면에 도시된 길이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되어 현장에서 사전 제작이 가능하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 및 길이로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o the lengths shown in the drawings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ce where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s to be installed.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ed shape and length.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다각의 직육면체 형태 또는 원판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necessarily being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for example, a polygon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disk shape.

또한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경우 제2 본체부(200) 또한 서로 간의 맞물림을 위해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hanged to various shapes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second body parts 200 may also be changed for engagement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일 예로 판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및 길이로 제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 본체부(200)를 매개로 서로 간에 조립된다.Therefore, although this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form of a plate as an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lengths, and is assembled with each other via the second body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일 예로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 이후에 제2 본체부(2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진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after assembling and pouring concrete for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is made, the production is made through concrete pouring for the second body part 200 .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와 제2 본체부(200)의 접합면에서의 강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2 본체부(200)의 폭을 최소화 하고, 보강재(300, 300a)의 배치를 최초 설계안 대로 오차 없이 정확히 유지하기 위해 후술할 소켓부(600, 600a)를 이용하여 보강재(300, 300a)에 대한 정확한 정렬을 실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econd body part 200 is minimized so that the strength at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is stably maintained, and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 to accurately maintain the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using the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accurately maintain the arrangement without errors as originally designed.

또한 상기 제2 본체부(200)는 짧아진 폭만큼 정확하게 연결부(500)(도 7 참조)가 보강재(300, 300a)와 결합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진동 및 균열로 인한 구조적인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장 강도 향상을 통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200 changes the structure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500 (see FIG. 7 ) is coupled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precisely by the shortened width, so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due to vibration and cracking is reduced. By preventing it,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ensile strength.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최종 조립 현장이 아닌 제작단계에서 제2 본체부(200)보다 먼저 성형된 이후에 제2 본체부(200)에 대한 콘크리트 주입 및 양생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최종 조립 현장의 다양한 크기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is molded before the second body part 200 in the manufacturing stage rather than the final assembly site, concrete injection and curing for the second body part 200 is performed. It can more accurately cope with the different sizes of the assembly site.

또한 본 실시 예는 제2 본체부(200)를 사전에 제작하지 않고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만을 사전에 규격화 하여 다수개로 제작하고, 현장에서 제2 본체부(200)를 제작하는 방법도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ody part 200 is not manufactured in advance, but only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standardized in advance and manufactured in multiple pieces,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is manufactured in the field. Since this method is also possible, installation in the field can be carried out easily.

또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반도체 장비가 안착될 위치로 차량을 통해 이동될 때 후술할 보강재(300, 300a)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이동 및 보관이 유리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moved through a vehicle to a position where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s to be mounted,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so that movement and storage are advantageous.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와 제2 본체부(200)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나 다른 재질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are made of concrete,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m to other materials.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1)는 바닥면(10)에서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와,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와 일체로 콘크리트 양생으로 성형되는 제2 본체부(200)와,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에 강도 보강을 위해 구비된 보강재(300, 300a)와, 상기 보강재(300, 300a)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소켓 홈부(400, 400a) 및 상기 제2 본체부(200)에 구비되고, 이격된 제1 본체부(100, 100a)가 서로 간에 연결되도록 상기 소켓 홈부(400, 400a)에 양단이 결합된 연결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상기 바닥면(10)과 접한 바닥판(102, 102a)에서 상기 제2 본체부(200)를 바라보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외측판(104, 104a)이 일체 형성된다.To this end, the concrete pad 1 for vibration iso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the floor surface 10 and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The second body part 200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by concrete curing, and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for strength reinforcement. ), and the socket groove portions 400 and 400a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extended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t is provided in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500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ocket groove part 400 and 400a so that the spaced apart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 is the outer plate (104, 104a) bent up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emaining positions except for the position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from the bottom plate (102, 102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0) ) is integrally formed.

제1 본체부(100, 100a)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바닥판(102, 102a)과 일체로 형성된 외측판(104, 104a)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는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이 후술할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에 끼움 결합된다.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are formed in the same size, and in positions other than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lates 102 and 102a,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frames 120 and 120a are provided. It is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은 제1 본체부(100, 100a)가 콘크리트로 양생 될 때 까지만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는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에서 분리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120a)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110a) only until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is cured with concrete, and the first body part ( After the curing for 100, 100a) is finished, 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본체부(100, 100a)는 외형을 이루는 별도의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2 본체부(200)와 마주보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만 바닥판(102, 102a)에서 연결된 외측판(104, 104a)이 구비되므로 보강재(300, 300a)에 대한 정렬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e frame constituting the external shape is not formed as a whole, and only the bottom plates 102 and 102a except for the position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 Since the connected outer plates 104 and 104a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lign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도면 기준으로 외측 마감이 있는 외측변과, 내측 연결부를 갖는 변으로 구성된다.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formed of concrete, and are composed of an outer side having an outer finish and a side having an inner connecting portion based on the drawings.

상기 외측변은 a1과 b1, a2와 b2로 도시된 위치에 해당되고, 내측 연결부는 본체부(200)로 형성될 위치에 해당된다.The outer side corresponds to the positions shown by a1 and b1, a2 and b2, and the inner connection part corresponds to a position to be formed as the main body 200.

본 실시 예는 상기 외측변이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여 커버하고, 다른 부분은 오픈된 노출 콘크리트 상태로 제작하며, 상기 제2 본체부(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와 제2 본체부(200)가 서로 간에 접합되는 형태로 제작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ide bends and covers one iron plate, the other part is manufactured in an open exposed concrete state, an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econd body part 200 to make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are manufactur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보강재(300, 300a)가 내부에 함께 성형된다. 상기 보강재(300, 300a)는 제1 본체부(100, 100a)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후술할 연결부(500)와 각각 결합되므로 외부 노출로 인한 부식 발생 이나 변형 발생이 방지된다.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molded together 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100a. Since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a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500 to be described later, corrosion or deformation due to external exposure is prevented.

상기 보강재(300, 300a)가 제1 본체부(100, 100a)의 외측으로 미 노출될 경우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구조적인 강도가 시간이 경과해도 유지되므로 최초 설계시 반영된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When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is maintained over time, so the strength reflected in the initial design is kept constant.

또한 제1 본체부(100, 100a)가 이동될 때 상기 보강재(300, 300a)의 파손 또는 상기 보강재(300, 300a)와 연결된 제1 본체부(100, 100a)의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아 구조적인 강도가 항시 일정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is moved, there is no problem due to the damage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or the damage of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Structural strength is always kept constant.

또한 제1 본체부(100, 100a)는 블록화 시켜 다수개를 사전에 제작할 경우 적층이 용이하여 보관의 편리성도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made into blocks in advance, they can be easily stack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storage.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외측판(104, 104a)과 마주보는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102, 102a) 및 상기 외측판(104, 104a)과 연결되고, 홈부(111, 111a)가 형성된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과, 상기 홈부(111, 111a)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보강재(300, 300a)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1,2 삽입부(122, 122a)가 형성된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이 구비된다.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the bottom plate 102, 102a and the outer plate 104, 104a are connected at the opposite position facing the outer plate 104, 104a, and a groove portion 111, 111a) i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110a) and the grooves (111, 111a) are fitted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arts 122 at positions fac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on which 122a is formed are provided.

상기 홈부(111, 111a)는 폭 방향에서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의 폭 방향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2 본체부(200)의 폭 방향 길이를 구성한다.The groove portions 111 and 111a extend relatively longer than the widthwis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in th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the widthwise leng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200 .

또한 홈부(111, 111a)는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을 기준으로 보강재(300, 300a)가 설치된 내측 영역은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외측 영역은 연결부(500)의 설치 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작업과 제2 본체부(200)를 타설하기 이전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별도의 분리 작업이 가능해 진다.In addition, as for the grooves 111 and 111a, concrete is poured in the inner region where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install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nd the outer region is for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onnection part 500 Since the space is provided,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ork o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nd the work before pouring the second body part 200, so that a separate separation operation is possible.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가 성형되기 이전에 상기 제1,2 삽입부(122, 122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재(300, 300a)가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단부와 결합되는 소켓부(600, 600a)가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before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are molde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122 and 122a are coupl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positioned in their original positions.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coupled to the ends are provided.

소켓부(600, 600a)는 보강재(300, 300a)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에 선 삽입되어 상기 보강재(300, 300a)에 대한 정확한 정렬 상태를 유지시켜 오차 범위 이내에서 정확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are pre-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fter the work on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is completed to maintain an accurate alignment state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Therefore, accurate installation can be made within the error range.

상기 소켓부(600, 600a)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부(602, 602a)와, 상기 보강재(300, 300a)와 동축을 이루며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바디부(602, 602a)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고, 축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소켓 홈(610, 610a)과, 상기 제1 소켓 홈(610, 610a)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개구되어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소켓부(600, 600a)를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소켓 홈(622, 622a)이 구비된 플랜지(620, 620a)를 포함한다.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are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parts 602 and 602a forming the outer shape and the body parts 602 and 602a coaxial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nd facing the ends, and , The first socket grooves 610 and 610a having threads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socket grooves 610 and 610a are opened to a predetermined depth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socket grooves 610 and 610a. After curing for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is finished, a space into which a tool for withdrawing the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is inserted. and flanges 620 and 620a provided with second socket grooves 622 and 622a provided therein.

상기 소켓부(600, 600a)는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에 설치된 후에,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에서 분리된다.After 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before concrete pouring for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ured. After this is finished, 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상기 소켓부(600, 600a)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보강재(300, 300a)가 공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정렬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are provided to align a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dispos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within a tolerance range.

상기 보강재(300, 300a)는 소켓부(600, 600a)가 설치될 경우 연장된 일측 단부가 상기 소켓부(600, 600a)에 형성된 제1 소켓 홈(610, 610a)의 정 중앙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보강재(300, 300a)의 위치가 서로 간에 비뚤어지거나 정렬이 불일치 되어 오조립되는 현상이 예방된다.Since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socket grooves 610 and 610a formed in the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the one end extended when the socket portions 600 and 600a are installed. A phenomenon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skewed or misaligned with each other are prevented from being assembled.

바디부(602, 602a)는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해 원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에서 분리될 때 제2 소켓 홀(622, 622a)에 공구를 삽입한 후에 회전시킬 경우 손쉽게 분리된다.Since the body parts 602 and 602a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a cone shape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the second socket If the tool is rotated after inserting it into the holes 622 and 622a, it is easily separated.

상기 제1 소켓 홀(610, 610a)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보강재(300, 300a)가 결합될 때 나사 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ocket holes 610 and 610a are threaded inside, so that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coupled, they may be coupled in a screw coupling shape.

상기 플랜지(620, 620a)는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된다.Since the flanges 620 and 620a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a stable installation state is maintained.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제2 본체부(200)와 마주보는 가장 자리를 따라 내측 수직 방향으로 다각형의 요철 홈(G)이 형성된다.A polygonal concave-convex groove G is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n inner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

상기 요철 홈(G)은 콘크리트가 제1 본체부(100, 100a)로 타설될 경우 콘크리트가 주입되지 않고 공간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2 본체부(200)가 타설될 때 주입된 콘크리트로 채워진다.The concave-convex groove G is a space formed as a space without concrete being inject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and is filled with the injected concrete when the second body part 200 is poured. .

요철 홈(G)은 제2 본체부(20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 제2 본체부(200)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 개구 영역이 콘크리트로 채워진다.The concave-convex groove G has an opening area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 so that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econd body part 200 , the opening area is filled with concrete.

요철 홈(G)은 제1 본체부(100, 100a)와 제2 본체부(200)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지지 보강하기 위해 형성되므로 반도체 장비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반복적인 충격으로 인한 제1,2 본체부(100, 100a, 200)의 균열 발생을 감소시킨다.The concave-convex groove G is formed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stress appli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so that vibration or repeated shock transmitted to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s provided. Reduces cracks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100a, and 200 due to this.

요철 홈(G)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연결부(500)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에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concave-convex grooves G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changed to other shape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500 .

이 경우 요철 홈(G)을 향해 좌측 또는 우측 어느 방향에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특정 위치로 응력 집중이 가해지지 않아서 제1 본체부(100, 100a) 및 제2 본체부(200)의 구조적 안정성과 강도가 향상된다.In this case, even when vibration is applied from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toward the concave-convex groove G, stress concentration is not applied to a specific location, so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strength is improved.

본 실시 예에 의한 요철 홈(G)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에서 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요철 홈(G)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요철 홈(G)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는 이유는 불특정 위치에서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이다.The concave-convex grooves 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cave-convex grooves G may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o be prepared in case it happens.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일단이 상기 외측판(104, 104a)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판(102, 120a)의 상면에 지지된 보강판(50)이 설치된다.A reinforcing plate 50 has one end supported on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s 102 and 120a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상기 보강판(50)은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이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외측판(104, 104a)에만 설치되며,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된다.The reinforcing plate 50 is installed only on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except for the posi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are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s.

보강판(50)은 전술한 바닥판(102, 102a)과 외측판(104, 104a)의 변형을 방지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와 접합되어 제1 본체부(100, 100a) 중 외측판(104, 104a)의 위치에 대한 지지 강성을 보강하여 외부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제1 본체부(100, 100a)의 변형 및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50 prevents de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bottom plates 102 and 102a and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and is bonded to the poured concrete to form the outer plates 104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104a),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and cracking of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from external vibrations and shocks by reinforcing the support rigidity for the position.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외측판(104, 104a)의 내측면 중 최상단 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를 따라 상기 보강판(50)의 연장된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 판(106, 106a)이 구비된다.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the extended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50 is supported along a position spaced from the top to the lower sid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106a) is provided.

상기 지지 판(106, 106a)은 외측판(104, 104a)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판(50)의 상측 단부가 상기 외측판(104, 104a) 및 지지 판(106, 106a)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어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lates 106 and 106a serve as ribs for reinforcing structural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50 is connected to the outer plates 104 and 104a and supports. Since it can be we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s 106 and 106a, stable installation can be achieved.

본 실시 예에 의한 보강재(300, 300a)는 이형 철근이 사용되므로 콘크리트와의 부착 강도가 향상되고 구조적인 강도가 증가되어 인장 및 압축 응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다.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 a deformed reinforcing bar, so the adhesion strength with concrete is improved and structural strength is increased, so that deformation due to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 can be minimized.

상기 보강재(300, 300a)는 상기 본체부(100, 100a)의 내측 가로 방향(장변방향)을 향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 철근(310, 310a)과, 상기 제1 철근(310, 310a)과 직교하며 세로 방향(단변 방향)에 상하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2 철근(320, 320a)을 포함한다.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include first reinforcing bars 310 and 310a disposed to face each other up and down in the inner transverse direction (long side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s 100 and 100a,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s 310, 310a) and orthogonal to and includes second reinforcing bars 320 and 320a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rt side direction).

상기 제1 철근(310, 310a)과 제2 철근(320, 320a)은 격자 형태로 서로 간에 동일한 제1 간격(D1)으로 이격 되므로 반도체 장비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제1 본체부(100, 100a)의 특정 위치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reinforcing bars 310 and 310a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320 and 320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first interval D1 in a lattice form, when the load of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s applied,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It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the load bei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sition of the

상기 제1,2 철근(310, 310a, 320, 320a)이 제1 간격(D1)으로 배치될 경우 제1 본체부(100, 100a)는 상면 어느 위치에 반도체 장비가 위치되는 경우에도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되므로 안정적인 장비 운영과 함께 반도체 장비가 가동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10, 310a, 320, and 320a are arranged at a first interval D1,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are formed by vibration even when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s positioned at any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Since it is affected to a minimum, it is possible to reduce errors that may occur when semiconductor equipment is operated along with stable equipment operation.

만약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동일하게 제1 간격(D1)이 유지되지 않고 서로 다른 간격이 유지될 경우 제1 철근(310, 310a) 또는 제2 철근(320, 320a)의 이격된 간격이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구간에 집중 하중이 가해지면서 제1 본체부(100, 100a)에서 변형이 발생되거나 진동 흡수 측면에서 불리해지므로 본 실시 예와 같이 제1,2 철근(310, 310a, 320, 320a)이 서로 간에 동일한 제1 간격(D1)으로 이격 되는 것이 유리해 진다.If the first interval D1 is not main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different intervals are maintained, the spaced interval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310 and 310a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s 320 and 320a are relatively As a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to a section spaced away from each other, deformation occurs 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or become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vibration absorption, so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10, 310a, 320, 320a It is advantageou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first interval D1.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은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가 수평 방향에서 서로 간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결합 부재(20)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re fastened by a coupling member 20 provided so that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이 수평 방향에서 결합 부재(20)에 의해 체결될 경우 작업자가 체결을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바닥판(102, 102a)에서 상측으로 작업하는 방식이 아닌 측면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발생이 방지되어 안전한 작업환경이 유지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re fastened by the coupling member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ork for the fastening is easily made by the operator, and the bottom plate 102, 102a works upward. Because the work is done from the side position rather than the method, human damage due to safety accidents is prevented and a safe working environment is maintained.

또한 본 실시 예와 같이 바닥판(102, 102a)의 크기가 큰 경우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결합 부재(20)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도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bottom plates 102 and 102a is larg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install the coupling member 20,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 사이가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을 통해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 부재(20)를 매개로 밀착됨으로써 연결부(500) 단독으로 이격된 제1 본체부(100, 100a) 사이를 결합하지 않고, 상기 연결부(500)와 함께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 및 결합 부재(20)를 통해 용이한 조립과 동시에 결합 강도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0, the connection part 500 alone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nd the coupling member 20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art 500 allow for easy assembly and simultaneous coupling without coupling between the spaced apart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strength.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은 단면을 잘라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L자 형태로 바닥판(102, 102a)의 상면에 접합되므로 상기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이 제거된 이후에 제2 본체부(200)에 대한 타설을 위해 콘크리트가 주입된 후에 상기 제2 본체부(20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 접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특정 방향에서 전달된 진동에 대한 저항성과 접착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re cut in cross section and join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bottom plates 102 and 102a in an L-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are After removal, after concrete is injected for pouring into the second body part 200, the joined stat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second body part 200 is maintained, so resistance to vibration transmitted from a specific direction and adhesive strength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연결부(500)는 축 방향 양단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1 커플러(510)와, 상기 제1 커플러(510)의 좌우 양단에 상기 보강재(300, 300a)가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N)를 포함한다.7 to 9, the connection par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upler 510 with threads at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at both ends of the first coupler 510 on the left and right. (300, 300a) includes a nut portion (N) form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each is coupled.

상기 연결부(500)는 제2 본체부(200)에 보강재(300, 300a)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본체부(200)에서의 노출량이 최소화 된다. 상기 보강재(300, 300a)는 제2 본체부(200)에서 미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노출길이를 감소할 수 있어 상기 제2 본체부(200)의 폭 방향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500 minimizes the exposure amount in the second body part 200 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from being exposed to the second body part 200 . I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maintained in an unexposed state in the second body part 200 , the exposure length may be reduced, and thus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body part 200 may be minimized.

또한 보강재(300, 300a)가 제2 본체부(200)로 노출되는 길이는 최소화 되면서 제1 커플러(510)와 너트부(N)를 통해 결합과 길이 조절이 보다 용이해지고 정확해 진다.In addition, the length at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expos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s minimized, and coupling and length adjustment through the first coupler 510 and the nut portion N are easier and more accurate.

이를 통해 보강재(300, 300a)의 동심이 일치되고, 제1 커플러(510)의 휘어짐이 방지되며, 제2 본체부(200)는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타설량이 최소화 될 수 있어 반도체 장비가 설치되는 클린룸에서의 분진 발생이 최소화 되어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centric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is matched, bending of the first coupler 510 is prevented, and the amount of pouring for concrete inj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200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semiconductor equipment is installed in a clean environment. The generation of dust in the room is minimized to prevent contamination.

또한 보강재(300, 300a)가 제2 본체부(200)에서 미 노출될 경우 서로 간에 연결을 위한 연결부(500)의 연장 길이도 감소될 수 있어 상기 연결부(500)의 연장된 경로가 휘어지는 문제가 예방된다.In addition,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re not exposed in the second body part 200, the extension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500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may also be reduced, so that the extended path of the connection part 500 is bent. Prevented.

상기 연결부(500)는 보강재(300, 300a)와 동심이 일치하도록 2개의 너트부(N)를 이용하여 제1 커플러(510)의 축 방향 좌우측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N)에 보강재(300, 300a)가 각각 결합된다.The connection part 50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upler 510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using two nut parts N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nd concentricity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nut part N. (300, 300a) is combined, respectively.

연결부(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N)가 제외된 길이로 연장되므로, 제2 본체부(200)의 폭 방향 길이 또한 기존에 비해 짧아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portion 500 extends to a length excluding the nut portion N, so that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200 may also be shorten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너트부(N)는 축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에 격벽(W)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보강재(300, 300a)와 연결부(500)가 각각 나사결합 되고, 최대 결합 깊이가 격벽(W)에 의해 제한되므로 제한된 삽입 깊이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된다.The nut part (N) has a partition wall (W) formed on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nd the connection part 500 are screwed,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coupling depth is Since it is limited by the partition wall (W), it is stably coupled within a limited insertion depth.

너트부(N)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보강재(300, 300a)와 연결부(500)의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길이가 축 방향에서 손쉽게 조절 가능하여 공차 범위 이내에서 정확하게 결합이 가능해 진다.The nut portion N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lengths into which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0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easily adjustable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tolerance range. can be accurately combined.

따라서 보강재(300, 300a)는 연결부(500)와 동일 축선을 유지할 수 있고 축 방향에서 서로 간에 정렬된 상태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Accordingly,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may maintain the same axis as the connecting portion 500 and the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s maintained.

상기 연결부(500)가 너트부(N)를 매개로 보강재(300, 300a)와 결합된 이후에는 제2 본체부(200)의 내부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진다. After the connection part 500 is coupled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via the nut part 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econd body part 200 .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제1 본체부(100, 100a)와 제2 본체부(200)에 대한 제작을 위해 제1 본체부(100, 100a)에 형성된 홈부(111, 111a)에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을 설치한다.10 to 11, in this embodiment, a groove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for manufacturing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re installed on 111 and 111a.

제1 본체부(100, 100a)에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이 설치될 경우 제2 본체부(200)를 바라보는 부분이 막힌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가장자리를 따라 일종의 거푸집이 형성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ar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the part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is kept blocked while the first body part 100, A kind of formwork is formed along the edge for pouring concrete in 100a).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에 보강재(300, 300a)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설치한다.12 to 13, the operator installs the reinforcement (300, 300a) on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in the form of a grid as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소켓부(600, 600a)를 제1,2 삽입부(122, 122a)에 결합시켜 상기 보강재(300, 300a)에 대한 정렬을 실시한다.Then, 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arts 122 and 122a to align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그리고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양생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 제작이 완료된다.And when the curing is completed after pouring concrete into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inside the manufacturing is completed in the state shown in FIG.

작업자는 콘크리트에 대한 양생 상태를 확인하고 소켓부(600, 600a)를 제1,2 삽입부(122, 122a)에서 모두 분리한 후에 제2 본체부(200)에 대한 작업을 실시하여 제1 본체부(100, 100a)와 제2 본체부(200)에 대한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The operator checks the curing state of the concrete, separates all 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from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arts 122 and 122a, and then performs the work on the second body part 200 to the first body part. What is necessary is to perform the work on the parts 100 and 100a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a : 제1 본체부
102, 102a : 바닥판
104, 104a : 외측판
110, 110a : 제1,2 측면 프레임
120, 120a : 제1,2 지지 프레임
122, 122a : 제1,2 삽입부
200 : 제2 본체부
300, 300a : 보강재
400, 400a : 소켓 홈부
500 : 연결부
600, 600a : 소켓부
610, 610a : 제1 소켓 홈
620, 620a : 플랜지
622, 622a : 제2 소켓 홈
100, 100a: first body part
102, 102a: bottom plate
104, 104a: outer plate
110, 110a: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20, 120a: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2, 122a: first and second insertion parts
200: second body part
300, 300a: reinforcement
400, 400a: socket groove
500: connection
600, 600a: socket part
610, 610a: first socket groove
620, 620a: flange
622, 622a: second socket groove

Claims (6)

바닥면(10)에서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1 본체부(100, 100a);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와 일체로 콘크리트 양생으로 성형되는 제2 본체부(200);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에 강도 보강을 위해 구비된 보강재(300, 300a);
상기 보강재(300, 300a)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소켓 홈부(400, 400a); 및
상기 제2 본체부(200)에 구비되고, 이격된 제1 본체부(100, 100a)가 서로 간에 연결되도록 상기 소켓 홈부(400, 400a)에 양단이 결합된 연결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는 상기 바닥면(10)과 접한 바닥판(102, 102a)에서 상기 제2 본체부(200)를 바라보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외측판(104, 104a)이 일체 형성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The first body portions 100 and 100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10;
a second body part 200 formed by concrete cur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part 100 and 100a between the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provided for strength reinforcement on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Socket groove portions (400, 400a) formed from the extended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t is provided in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500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ocket groove parts 400 and 400a so that the spaced apart first body parts 100 and 10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ide at positions other than the position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from the bottom plates 102 and 102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0.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table in which the bent outer plates (104, 104a) are integrally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외측판(104, 104a)과 마주보는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바닥판(102, 102a) 및 상기 외측판(104, 104a)과 연결되고, 홈부(111, 111a)가 형성된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
상기 홈부(111, 111a)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300, 300a)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1,2 삽입부(122, 122a)가 형성된 제1,2 지지 프레임(120, 120a)을 포함하는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the bottom plate 102, 102a and the outer plate 104, 104a are connected at the opposite position facing the outer plate 104, 104a, and a groove portion 111, 111a) i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110a);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20 and 120a fitted to the groove portions 111 and 111a and hav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122 and 122a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and 300a.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tabl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은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가 수평 방향에서 서로 간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 결합 부재(20)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110a) are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table that is fastened by a coupling member (20) provided to couple the first body parts (100, 100a)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가 성형되기 이전에 상기 제1,2 삽입부(122, 122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재(300, 300a)가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단부와 결합되는 소켓부(600, 600a)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부(600, 600a)는 외형을 이루는 바디부(602, 602a);
상기 보강재(300, 300a)와 동축을 이루며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바디부(602, 602a)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고, 축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소켓 홈(610, 610a);
상기 제1 소켓 홈(610, 610a)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개구되어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 대한 양생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소켓부(600, 600a)를 상기 제1,2 측면 프레임(110, 110a)의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소켓 홈(622, 622a)이 구비된 플랜지(620, 620a)를 포함하는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3. The method of claim 2,
Before the first body portion (100, 100a) is molde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122, 122a) are coupl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are positioned in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coupled with the ends. A socket portion (600, 600a) is provided,
The socket parts 600 and 600a include body parts 602 and 602a forming an external shape;
A first socket groove (610, 610a) coaxial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300a) and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portion (602, 602a) facing the ends, and having a thread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fter the first socket groove (610, 610a)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spac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curing of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is finished, the socket part (600) , 600a) including flanges 620 and 620a provided with second socket grooves 622 and 622a providing a space for inserting a tool for drawing out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10 and 110a to the outside.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tab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100, 100a)에는 상기 제2 본체부(200)와 마주보는 가장 자리를 따라 내측 수직 방향으로 다각형의 요철 홈(G)이 형성된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According to claim 1,
A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table in which a polygonal concave-convex groove (G) is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100, 100a) in an inner vertical direction along an edge facing the second body part (20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0)는 축 방향 양단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1 커플러(510);
상기 제1 커플러(510)의 좌우 양단에 상기 보강재(300, 300a)가 각각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N)를 포함하는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500 includes a first coupler 510 having threads at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Concrete pad for vibration damping table including a nut portion (N)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coupler (510).
KR1020200123841A 2020-09-24 2020-09-24 Shock absorbing desk KR102483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41A KR102483543B1 (en) 2020-09-24 2020-09-24 Shock absorbing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41A KR102483543B1 (en) 2020-09-24 2020-09-24 Shock absorbing de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79A true KR20220041279A (en) 2022-04-01
KR102483543B1 KR102483543B1 (en) 2023-01-03

Family

ID=8118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841A KR102483543B1 (en) 2020-09-24 2020-09-24 Shock absorbing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5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351A (en) * 2022-06-20 2023-12-28 주식회사 해광 Shock absorbing des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711A (en) * 1999-03-31 2000-10-10 Hazama Gumi Lt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for tower structure
KR100791079B1 (en) 2007-01-22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Pedestal for control vibr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190068866A (en) * 2017-12-11 2019-06-19 박구현 Prefabricated house having concrete panel and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KR102002804B1 (en) * 2019-05-20 2019-07-23 주식회사 브이원 All-in-one mold type separable vibration isolation table with same structure dynamic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711A (en) * 1999-03-31 2000-10-10 Hazama Gumi Lt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for tower structure
KR100791079B1 (en) 2007-01-22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Pedestal for control vibr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190068866A (en) * 2017-12-11 2019-06-19 박구현 Prefabricated house having concrete panel and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KR102002804B1 (en) * 2019-05-20 2019-07-23 주식회사 브이원 All-in-one mold type separable vibration isolation table with same structure dynamic characterist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351A (en) * 2022-06-20 2023-12-28 주식회사 해광 Shock absorbing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543B1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141B1 (en) Shock absorbing desk
US20080174057A1 (en) Vibration control pedesta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982195B1 (en) Separable vibration isolation table capable of integrated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1850121U (en)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wall boards
KR20110134352A (en) Coupler
KR20220041279A (en) Shock absorbing desk
KR102177827B1 (en)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by with textile reinforced concret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10248159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pad for vibration isolation pad
KR101679666B1 (en) Core structure dor modular building and constructio method therefor
KR101469145B1 (en) Centrifugal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panel zone
KR102022598B1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Vulnerable Building
JP608304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light-weight embankment side wall and wall panel used therefor
KR20210122368A (en) Shock absorbing desk
CN213709883U (en) Modularization steel construction building connection structure
JP3837450B2 (en) Beam reinforcing bracket and beam through-hol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292542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CN115997063A (en)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al member
US4413927A (en) Element for use in concrete pile casting to align coupling members on end fittings
JP2008111238A (en) Reinforcing structure
JP2001295225A (en) Auxiliary jig for assembling/installing precast panel
JPH108556A (en) Column base for steel column
JP7474393B2 (en) Method of installing anchor bolts and formwork for box removal used in said method
TWI841365B (en) Buckling restraint support, and installation method of buckling restraint support
KR102180899B1 (en) the improved hollow core slab structure with Light Weight material
KR200490849Y1 (en) Groove Clamp for Euro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