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844A -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 Google Patents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844A
KR20220040844A KR1020200124060A KR20200124060A KR20220040844A KR 20220040844 A KR20220040844 A KR 20220040844A KR 1020200124060 A KR1020200124060 A KR 1020200124060A KR 20200124060 A KR20200124060 A KR 20200124060A KR 20220040844 A KR20220040844 A KR 20220040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space
plate
lower plate
toas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상
오성재
전창현
Original Assignee
조준상
오성재
전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상, 오성재, 전창현 filed Critical 조준상
Priority to KR102020012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844A/ko
Publication of KR2022004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는, 토스터 형태로써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자외선 램프가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스마트폰 등 소지품에 대한 자외선 살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가 구비된 토스터 형태의 하우징; 및 투입구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살균부;를 포함하되,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승강 이동하는 승강거치유닛; 및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수용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고, 승강거치유닛은, 투입구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으로 수용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거치상판; 거치상판의 하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거치상판의 하면을 따라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상판모션휠;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의 거치하판; 거치하판의 상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거치하판의 상면을 따라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하판모션휠; 일단 상판모션휠과 타단 하판모션휠을 연결하고, 타단 상판모션휠과 일단 하판모션휠을 연결하며, 중심부가 교차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암;을 포함하며, 수용공간 하부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축이 거치하판의 중심부로 상향 돌출되고 회전축에 권취된 와이어의 양단이 복수의 하판모션휠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Toaster Type Ultraviolet Sterilizer}
본 발명은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토스터 형태로써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스마트폰 등 소지품에 대한 자외선 살균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는, 복수의 투입구가 구비된 토스터형 살균기로써 투입구를 통해 내부 수용공간에 스마트폰, 지갑, 마스크 등이 삽입되면 적외선 센서가 대상물의 삽입을 인지하고 승강거치유닛이 대상물을 거치한 채 자동으로 하강하여 수용공간에 구비된 자외선살균부로 이동시키며 복수의 측면에 다수 구비된 자외선램프가 대상물에 360°방향에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서 전 방위 살균이 이뤄지고 소정 시간이 지나 살균이 완료되면 승강거치유닛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함으로써 물로써 씻을 수 없는 전자제품, 가죽제품, 부직포제품 등 소지품에 대해 간편한 방법으로 높은 살균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 속 코로나바이러스감영증-19(COVID-19)로 인해 사람들이 많은 고통을 받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영증-19와 같이 전염성이 큰 바이러스가 있는 경우에는 손 씻기를 강조하고 있지만, 바이러스는 주로 밖에서 오염이 되어 들어오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정, 사무실 등 실내로 복귀하게 되면 손 씻기 뿐 아니라 외부에서 사용한 물건들 또한 살균하는 것에 집중을 해야 한다
집에 귀가한 후 아무리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고 해도 또다시 오염된 물건을 만지게 된다면 그것은 아무 의미 없는 행동이 될 수 있으므로, 외출 후 귀가하였을 때 외부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스마트폰, 지갑, 마스크 등 물로 세척 할 수 없는 제품들을 대상으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살균 램프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제품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235호(2009년11월04일 공개))의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가 출원된 바 있으나, 상기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이긴 하지만, 설치식으로써 설치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이동성이 제약되며, 가전제품을 위주로 살균을 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자주 사용하는 소형 제품, 소지품을 살균하는 데에는 부적합한데다가 살균을 해주는 자외선이 장치의 일 측면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대상물에 골고루 살균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살균할 대상물 제품을 뒤집어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살균이 완료되기 전에 제품을 손으로 만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070호(2016년04월08일 공개)의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는 휴대폰을 살균을 하는데 360°살균하지 못해 살균 작업 후 휴대폰에 바이러스가 남을 우려가 있으며, 휴대폰에 잔존하는 바이러스로 인해 집, 사무실 등 내부 공간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타이머 기능이 없어서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살균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살균이 덜 된 상태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한 번에 한 개의 휴대폰만을 살균 할 수 있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자외선 살균기의 경우 휴대용, 설치용, 침구용으로 많이 나와 있으며, 360°전체를 살균해줄 간단한 목적에 맞는 제품이 없으며, 또한 살균기의 조작을 위해 살균기를 만지게 된다면 살균기가 오염이 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로 인하여 물에 넣고 씻을 수 없는 제품, 소지품에 대하여 단면이 아닌 제품의 360°전체 살균을 할 수 있어 골고루 완벽한 살균이 이뤄질 수 있고, 집, 사무실, 학교 등에 복귀 시 간단하게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단 한 번의 사용과정으로 제품의 전원과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제품을 손으로 만져야 하는 경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살균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3907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복수의 투입구가 구비된 토스터형 살균기로써 투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스마트폰, 지갑, 마스크 등이 삽입되면 적외선 센서가 대상물의 삽입을 인지하여 승강거치유닛이 대상물을 거치한 채 자동으로 하강하여 수용공간에 구비된 자외선살균부로 이동시키며 복수의 측면에 다수 구비된 자외선램프가 대상물에 360°방향에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서 전 방위 살균이 이뤄지고 소정 시간이 지나 살균이 완료되면 승강거치유닛이 자동으로 상승하여 사용자에게 반환함으로써 물로써 씻을 수 없는 전자제품, 가죽제품, 부직포제품 등 소지품에 대해 간편한 방법으로 높은 살균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가 구비된 토스터 형태의 하우징; 및 투입구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살균부;를 포함하되,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승강 이동하는 승강거치유닛; 및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수용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고, 승강거치유닛은, 투입구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으로 수용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거치상판; 거치상판의 하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거치상판의 하면을 따라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상판모션휠;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의 거치하판; 거치하판의 상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거치하판의 상면을 따라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하판모션휠; 일단 상판모션휠과 타단 하판모션휠을 연결하고, 타단 상판모션휠과 일단 하판모션휠을 연결하며, 중심부가 교차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암;을 포함하며, 수용공간 하부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축이 거치하판의 중심부로 상향 돌출되고 회전축에 권취된 와이어의 양단이 복수의 하판모션휠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 일측에 수용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고 자외선살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외선살균부에 종료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토스터 형태로써 투입구에 스마트폰, 지갑, 마스크 등 물로 씻기 어려운 소지품을 얹어주기만 하면 대상물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하강하고 자외선 살균을 거친 후 다시 상승하여 돌려줌으로써 매우 편하고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소지품에 대해 살균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대상물에 대하여 360°전 방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함으로써 살균 효과가 매우 높고, 고른 자외선 조사를 위해 대상물의 위치나 방위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매우 간편하며, 대상물에 세균, 바이러스가 잔존할 위험성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셋째, 토스터 형태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에 제약이 없으며 설치비용 또는 설치장치가 소요되지 않아 활용도가 높고 비용 경제적이다.
넷째, 휴대폰 등 소지품을 투입구 내측의 승강거치유닛에 거치하면 자동으로 대상물을 인지하고 하강하고,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살균이 이뤄진 후 자동으로 상승하여 반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적정 수준의 살균이 자동으로 이뤄져 매우 간편하고 또한 모터를 이용한 자동 승강 방식을 이용하므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살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섯째, 단 한 번의 사용과정으로 전원 및 시간의 소요가 최소화 되어 경제적이고, 대상물을 투입할 때와 꺼낼 때 외에는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고 살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의 대상물 삽입 전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대상물 삽입 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의 살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의 대상물 삽입 전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대상물 삽입 후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의 살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 자외선살균부(200), 적외선센서(300) 및 타이머(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10)의 외형을 구성하며 토스터 형태로써 직육면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0)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110)는 상부에서 목측 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투입구(110)로부터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공간(1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수용공간(120)은 토스터에서 식빵이 삽입되는 공간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수용공간(120)은 투입구(110)에 대향되는 상면과 바닥에 대향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수용공간(120)을 둘러싸는 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사면은 일측면, 일단면, 타측면, 타단면이 순서대로 4개의 면을 이루되 일측면과 타측면은 넓고 일단면과 타단면은 좁은 형태로 구성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수용공간(120)은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되도록 스마트폰, 지갑, 마스크 등이 삽입되고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어야 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책, 다이어리 등 서적 및 문구류, 또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접시 등 식기류, 수저 등의 소독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크기에 따라 포괄적인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용도에 맞게 여러 사이즈로 형성되어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투입구(110) 및 수용공간(120)은 동일 형상으로 이어진 구성요소이므로 하우징(100)에 동일한 개수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복수로 구성되어 여러 제품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200)는 수용공간(120) 별로 각각 구비되며, 승강거치유닛(210) 및 자외선램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승강거치유닛(210)은 투입구(110)에 삽입되는 스마트폰, 지갑 등 살균 대상물을 거치하고 자외선 살균을 위해 수용공간(120)으로 하강 이동시켜 수용공간(1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 후 자외선 살균이 완료되면 수용공간(120) 상면 투입구(110) 방향으로 대상물을 상승 이동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220)는 수용공간(1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다수 구비되어 대상물의 전면과 후면은 물론 측면까지도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20)의 부피가 크고 수용공간(120)의 일단면과 타단면이 넓은 경우에는 일단면 및 타단면에도 자외선램프(220)가 구비되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책, 다이어리 등 두꺼운 물품이 삽입될 경우에는 4개면 전체에서 자외선 살균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승강거치유닛(210)은 대상물을 거치한 상태에서 투입구(110), 즉 수용공간(120)의 상면에서부터 하강하여 바닥면까지 대상물을 이동시켜 대상물이 수용공간(12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위치를 변경 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로써 대상물에 대한 360°자외선 살균이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거치유닛(210)은 거치상판(211), 상판모션휠(212), 거치하판(213), 하판모션휠(214), 연결암(215) 및 모터(2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상판(211)은 투입구(110)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의 거치대로써, 스마트폰 등 대상물은 거치상판(211)의 상면에 얹히게 된다.
거치상판(211)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기능을 할 수 있는 가이드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은 측단면이 사각형상이되 수용공간(120)의 하면 방향으로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의 양측 가이드홈에 휠이 거치 장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형태의 레일 홈 형상일수 있다.
상판모션휠(212)은 거치상판(211)의 하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거치되어 가이드홈에서 하면 방향으로 분리되지는 않으면서 가이드홈을 따라 거치상판(211)의 하면 길이방향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거치하판(213)은 거치상판(211)에 대응되며, 하판모션휠(214)은 상판모션휠(2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거치하판(213)은 수용공간(120)의 바닥면, 즉 수용공간(120)의 하면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으로써 상면에는 가이드홈이 개구부를 상부 방향으로 구비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하판모션휠(214)은 거치하판(213)의 상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로 거치하판(213)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홈을 타고 길이방향으로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결암(215)이 상판모션휠(212)과 하판모션휠(214)을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연결암(215)은 거치상판(211) 하면 일단에 구비된 일단 상판모션휠(212)과 거치하판(213) 상면 타단에 구비된 타단 하판모션휠(214)을 연결하고, 타 연결암(215)은 거치상판(211) 하면 타단에 구비된 타단 상판모션휠(212)과 거치하판(213) 상면 일단에 구비된 일단 하판모션휠(214)을 연결하며, 연결암(215)과 상판모션휠(212) 및 하판모션휠(214)의 연결부위는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결암(215)은 상호 교차되면서 중심부가 만나며 엑스자 형상을 갖게 되는데 교차되는 지점은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판모션휠(214)이 거치하판(213)의 중심부에서 양단 방향으로 상호 이격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연결암(215)은 힌지 결합된 중심부는 제자리 회전하면서 거치상판(211) 및 거치하판(213)의 양단 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이 되어 위아래가 눌려 납작해진 엑스자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상판모션휠(212)도 거치상판(211)의 양단 방향으로 멀이지게 되면서 결국 거치상판(211)은 수평 위치는 수용공간(120)의 하면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반대로 하판모션휠(214)이 거치하판(213)의 양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상호 인접해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연결암(215)은 거치상판(211) 및 거치하판(213)의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이 되면서 좌우가 눌려 세로로 홀쭉해지고 길어지는 엑스자를 형성하고, 한 쌍의 상판모션휠(212)도 거치상판(211)의 중심부 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면서 거치상판(211)의 수평 위치는 수용공간(120)의 상면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결국 하판모션휠(214)이 거치하판(213)의 상면에서 양단과 중앙부 사이를 이동하면서 연결암(215)을 움직이면, 연결암(215)이 상판모션휠(212)을 이동시켜 거치상판(211)의 수평 위치를 승강시키게 되는데, 하판모션휠(214)의 이동을 위해서 수용공간(120) 하부에는 모터(216)가 내장되고 모터(216)의 회전축(217)이 거치하판(213)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며 회전축(217)에는 와이어(218)가 권취된 후 와이어(218)의 양단이 하판모션휠(21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모터(216)가 기동하여 회전축(217)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218)는 회전축(217)을 중심으로 권취되면서 와이어(218) 양단이 회전축(217)으로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하판모션휠(214)이 거치하판(213)의 중심부 방향으로 인접 이동하게 된다.
모터(216)가 반대 방향으로 기동하면 회전축(217)은 타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축(217)에 권취된 와이어(218)는 풀려지면서 거치하판(213)의 양단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그 힘에 의해서 하판모션휠(214)도 거치하판(213)의 양단으로 이격 이동하게 된다.
결국 모터(216)의 기동과 회전축(217)의 회전에 의해 하판모션휠(214)이 이동하게 되면 그에 따라 연쇄적으로 연결암(215)이 움직이고 상판모션휠(212)이 수평으로 움직이며 거치상판(211)이 상하 이동하는 구조로써 승강거치유닛(210)의 승강 이동이 이뤄질 수 있다.
적외선센서(300)는 수용공간(120)을 둘러싸는 4개면 중 일면에 수용공간(12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120)의 일단면 또는 타단면에 구비되어 일측면 및 타측면에 구비된 자외선램프(220)를 가리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자외선살균 및 적외선 센싱의 효과를 모두 극대화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외선센서(300)는 수용공간(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거치상판(211)과 수평한 방향으로 센싱을 하도록 구비되며, 거치상판(211)이 상승된 상태에서 거치상판(211)의 상부 쪽을 수평하게 센싱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상판(211)이 상승 배치된 상태에서 투입구(110)를 통해 스마트폰 등 소지품을 거치상판(211)에 올려놓으면 적외선센서(300)는 거치상판(211)의 상부에 대상물이 투입된 것을 감지하게 되고, 대상물의 감지신호를 자외선살균부(200)에 전달하게 된다.
대상물의 투입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자외선살균부(200)는 승강거치유닛(210)을 가동하여 거치상판(211)을 수용공간(120) 하부로 하강 이동시키고, 동시에 자외선램프(220)를 작동시켜 수용공간(120)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타이머(400)는 하우징(100)의 외측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외선살균부(200) 및 적외선센서(300)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타이머(400)는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능에 저해되지 않는 한 구성 위치 및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자외선살균부(200)가 기동되면서 자외선램프(220)가 작동되어 대상물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시작되면 타이머(4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맞춰 자외선살균부(200)에 종료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자외선살균부(200)는 자외선램프(220)의 가동을 중지시켜 자외선 조사를 종료하고 승강거치유닛(210)을 기동시켜 거치상판(211)을 상승함으로써 투입구(110) 방향으로 대상물을 밀어 올리게 된다.
또한 적외선센서(300)에도 타이머(400)의 종료신호가 전달되어 자외선 살균 완료 후 거치상판(211)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감지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타이머(400)는 살균 대상물에 따라 사용자가 살균 할 때마다 시간을 설정하여 작동될 수도 있고, 또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매번 해당 시간만큼 자외선살균부(200)를 기동시키며 사용자가 특별히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만 해당 특정 시간에 맞춰 자외선살균부(200)를 기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을 토대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10)의 투입구(110)를 통해서 수용공간(120)의 상부에 상승 배치되어 있는 거치상판(211)에 스마트폰, 지갑 등 소독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올려놓는다.
이때 승강거치유닛(210)은 한 쌍의 상판모션휠(212) 및 한 쌍의 하판모션휠(214) 모두 거치상판(211)의 하면 및 거치하판(213)의 상면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상호 인접된 상태로써 거치상판(211)을 수용공간(120)의 상부 방향으로 투입구(110)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놓은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센서(300)가 수용공간(12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기치상판의 상부를 향해 거치상판(211)과 수평한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대상물이 거치상판(211)에 올려놓아지면 적외선센서(300)가 대상물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자외선살균부(200) 및 타이머(400)에 송신할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200)는 대상물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승강거치유닛(210)을 작동시켜 대상물을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자외선살균부(200)가 승강거치유닛(210)에 하강 이동을 명령하면 모터(216)가 작동하면서 회전축(217)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와이어(218)를 거치하판(213)의 상면 양단 방향으로 늘어나게 작동을 시키게 되고, 와이어(218)의 양 선단에 각각 결합된 하판모션휠(214) 또한 거치하판(213)의 상면 양단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각각 이동하게 된다.
하판모션휠(214)이 이격되면서 하판모션휠(214)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연결암(215) 하단 또한 이격이 이뤄지고 연결암(215)의 중심부 교차점은 힌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한 쌍의 연결암(215) 상단 또한 연결암(215) 하단과 동일하게 벌어지면서 이격이 이뤄지게 되어 연결암(215)은 전체적으로 상하로 눌려 납작해지는 엑스자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암(215) 상단에 연결된 한 쌍의 상판모션휠(212)도 이격 이동하게 되고 상판모션휠(212)에 레일 결합된 거치상판(211)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 이동할 수 있으며, 거치상판(211)의 상면에 거치된 대상물은 수용공간(120) 내부로 들어와 자외선살균부(200)에 위치하게 된다.
승강거치유닛(210)의 하강 이동과 동시에 자외선램프(220)가 가동되면서 수용공간(120)에는 자외선이 조사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수용공간(1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서 자외선이 동시에 조사되므로 수용공간(120)에 수용되는 대상물에는 360°자외선 살균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이머(4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살균 시간이 기 저장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적외선센서(300)가 대상물 감지신호를 자외선살균부(200) 및 타이머(400)에 동시에 송신하고, 자외선살균부(200)가 승강거치유닛(210)을 하강시켜 자외선 살균을 시작하면 타이머(400)가 동시에 작동하여 살균 시간 체크를 하게 된다.
타이머(400)는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즉시 자외선살균부(200)에 종료신호를 송신하며, 자외선살균부(200)는 종료신호의 수신에 따라 자외선램프(22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승강거치유닛(210)에 상승 명령을 전달한다.
승강거치유닛(210)은 모터(216)를 작동시켜 회전축(217)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218)를 당김으로써 회전축(217)에 와이어(218)가 권취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하판모션휠(214)이 인접 이동하게 되면서 연결암(215)의 하단 및 상단 또한 각각 상호 근접 이동하게 되면서 상판모션휠(212) 또한 인접 이동이 이뤄지게 되어 거치상판(211)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상승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살균시간이 완료되면 대상물은 자동으로 상승되어 투입구(110)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살균시간은 타이머(400)에 기 설정된 시간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대상물의 종류 및 오염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설정한 후 시작버튼을 눌러 타임 체크를 할 수도 있다.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10)에는 투입구(110)가 복수로 구비되고 따라서 수용공간(120) 및 자외선살균부(200)도 복수도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이 동시에 자외선 살균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거치유닛(210)을 통해 수평이 유지된 상태로 부드럽게 하강 및 상승이 이뤄지므로 제품이 손상되지 않고 살균 작용이 이뤄질 수 있으며, 대상물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에서 다수의 자외선램프(220)가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므로 전 방위에 걸친 살균이 이뤄져 살균 효과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살균이 완료되기 까지 대상물의 위치를 바꿔주거나 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가 불필요하여 매우 간편하고 위생적이며 효율적인 소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닐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100 : 하우징
110 : 투입구
120 : 수용공간
200 : 자외선살균부
210 : 승강거치유닛
211 : 거치상판
212 : 상판모션휠
213 : 거치하판
214 : 하판모션휠
215 : 연결암
216 : 모터
217 : 회전축
218 : 와이어
220 : 자외선램프
300 : 적외선센서
400 : 타이머

Claims (3)

  1.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가 구비된 토스터 형태의 하우징; 및
    투입구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살균부;를 포함하되,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승강 이동하는 승강거치유닛; 및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수용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하고,
    승강거치유닛은,
    투입구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으로 수용공간 상부에 배치되는 거치상판;
    거치상판의 하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거치상판의 하면을 따라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상판모션휠;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수용되는 판 형상의 거치하판;
    거치하판의 상면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거치하판의 상면을 따라 상호 인접 또는 이격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하판모션휠;
    일단 상판모션휠과 타단 하판모션휠을 연결하고, 타단 상판모션휠과 일단 하판모션휠을 연결하며, 중심부가 교차되며 상호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암;을 포함하며,
    수용공간 하부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축이 거치하판의 중심부로 상향 돌출되고 회전축에 권취된 와이어의 양단이 복수의 하판모션휠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공간 일측에 수용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는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구비되고 자외선살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외선살균부에 종료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KR1020200124060A 2020-09-24 2020-09-24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KR20220040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60A KR20220040844A (ko) 2020-09-24 2020-09-24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060A KR20220040844A (ko) 2020-09-24 2020-09-24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844A true KR20220040844A (ko) 2022-03-31

Family

ID=8093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060A KR20220040844A (ko) 2020-09-24 2020-09-24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8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70A (ko)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폰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70A (ko)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폰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390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ultraviolet light sanitizer and light therapy
CN205457153U (zh) 一种新型的多功能智能衣柜
KR101758445B1 (ko) 피씨방용 다기능 컴퓨터책상
KR20190055583A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형 자외선 살균기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20220040844A (ko) 토스터형 자외선 살균기
CN113101385A (zh) 一种桌面消毒器
KR102336440B1 (ko) 이동식 자외선 공기 살균소독기
CN105963738B (zh) 一种用于婴儿室内的全身消毒装置
CN102327628B (zh) 一种简易的家用消毒架
CN213553938U (zh) 一种安全型便携式消毒包
CN208639897U (zh) 智能鞋柜
CN209360010U (zh) 一种杀菌彻底的智能升降餐具柜
CN209154597U (zh) 一种消毒烘干器
KR101965172B1 (ko) 살균소독기가 부착된 수납가구
TWM622112U (zh) 可攜式紫外光殺菌器
CN111773422A (zh) 一种翻盖装置、升降装置及消毒箱
CN111870713A (zh) 一种可拆卸便携式消毒包
CN212308467U (zh) 一种可移动的自动杀菌装置
CN213048367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托盘
CN213553939U (zh) 一种可拆卸消毒包
CN211176413U (zh) 一种带有紫外线消毒功能的台灯
CN111789972A (zh) 一种组合式的智能uv杀菌装置
CN213076666U (zh) 餐厨具净化装置
CN215961255U (zh) 一种磁性吸附效果的防掉落型道具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