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761A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761A
KR20220040761A KR1020200123867A KR20200123867A KR20220040761A KR 20220040761 A KR20220040761 A KR 20220040761A KR 1020200123867 A KR1020200123867 A KR 1020200123867A KR 20200123867 A KR20200123867 A KR 20200123867A KR 20220040761 A KR20220040761 A KR 20220040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handwriting
electronic device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구
민현석
반석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761A/ko
Priority to PCT/KR2021/012551 priority patent/WO2022065792A1/ko
Priority to EP21872821.0A priority patent/EP4202736A4/en
Publication of KR2022004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61A/ko
Priority to US18/124,627 priority patent/US202302297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고,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의 터치에 의한 필기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전자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 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가정뿐 아니라 학교, 기업 등에서도 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전자장치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다양하며,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전자펜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한 화면의 터치에 따른 필기입력을 수신하여, 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에는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인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거나 필기입력에 의해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와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증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또는 태그(tag)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인증방식들은 키보드나, 태그 리더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거나, 인식의 정확도가 낮아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보안 수준이 높으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자인증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고,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펜속성은, 필기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필기영상의 색상, 굵기 또는 펜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펜속성 중 어느 하나의 펜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펜속성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펜속성은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을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순차적으로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기입력의 위치를 더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입력의 위치와,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위치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필기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필기입력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을 더 식별하고, 식별된 입력패턴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패턴은, 필기입력을 구성하는 획의 순서, 방향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필기입력의 입력 순서가, 등록된 순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복수의 필기입력 각각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순서대로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펜속성은, 필기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필기영상의 색상, 굵기 또는 펜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복수의 펜속성 중 어느 하나의 펜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펜속성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펜속성은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을 포함하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식별된 필기입력의 위치와,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위치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필기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필기입력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필기입력을 구성하는 획의 순서, 방향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식별된 입력패턴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필기입력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의 조합을 이용하여, 보안 수준이 높으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사용자인증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를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수신되는 필기입력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내용의 식별에 관해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영상의 펜속성으로서 색상이 상이한 필기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영상의 펜속성으로서 굵기가 상이한 필기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영상의 펜속성으로서 펜타입이 서로 상이한 필기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영역이 구획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모드의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이 식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인증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인증정보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9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순서에 따른 인증정보가 등록된 일례를 도시한다.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UI를 이용한 장치설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인증정보로 등록하기 위한 UI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인증정보로 등록하기 위한 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인증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의 UI에 응답하여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이 수신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를 도시한 예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스크린)에 대해, 소정 입력수단(200)을 이용하여 터치입력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로서 구현된다.
입력수단(20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에서 입력수단(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포인팅, 즉, 터치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로서 전자펜(201)(또는 디지털펜)과,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 사용자의 신체(202)를 포함한다.
전자펜(201)의 구현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펜뿐 아니라 붓(예를 들면, 페인딩 브러시(painting brush)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자펜(201)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일반적인 펜(예를 들면,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패시브(passive) 타입의 펜(패시브 펜)과, 전자펜(201)이 자체적으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액티브 타입의 펜(액티프 펜)을 포함한다.
패시브 펜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패시브 펜의 일단이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스크린)에 터치되면, 전자장치(100)의 후술하는 센서(도 2의 120)에 의해 그 터치위치가 연속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시브 펜은 양 단부의 크기(단면의 너비와 높이)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액티브 펜은, 예를 들면, 선단부(tip)에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액티브 펜의 선단부가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스크린)에 터치, 즉, 접근되거나 접촉되었을 때 발생하는 전자기장을 전자장치(100)가 감지하는 방식으로 터치위치를 연속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수단(200)을 이용한 터치입력으로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스크린) 상에 필기(writing)를 할 수 있다.
필기는 드로잉(drawing)을 포함하며, 전자장치(100)는,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선(직선 또는 곡선) 등의 다양한 필기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입력의 종류나 타입은 한정되지 않으며, 연속적 혹은 불연속적인 터치가 가능하며, 드래그(drag), 플릭(flick) 등 다양한 종류의 터치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식별된 터치위치에 대응하는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전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펜(201) 또는 손가락(202)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상에 필기한 궤적을 따라 필기영상(210, 220)을 식별된 터치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전자펜(201)을 포함하여 입력수단(200)에 대해 설정된 펜속성(입력 속성)에 대응하여 필기영상(210, 220)을 표시할 수 있다.
펜속성은, 표시되는 필기영상의 색상, 굵기, 또는 펜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펜타입은, 팁(tip) 타입이라고도 하며, 일반펜, 형광펜, 크레용, 붓(페인팅 브러시), 스프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에서는 설정된 펜타입(팁타입)에 대응하여 필기영상(210, 220)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타입이 크레용으로 설정된 경우, 크레용으로 필기한 것과 같이 표현된 필기영상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전자펜(201)에 의한 터치위치와 함께 터치의 폭을 더 식별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후술하는 센서(120)를 이용하여 이동되는 터치 위치에서의 터치의 폭을 연속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용 전자펜이 아닌 필기구로 화면에 필기를 입력하는 경우라도, 그 필기구의 터치에 대응하여 필기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필기입력을 포함한 다양한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한 전자칠판(interactive whiteboard, IWB)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자장치(100)는 화면 상에 입력수단(200)에 의한 터치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터치스크린 장치, 예를 들면, 텔레비전(TV), 모니터, 비디오 월,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으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전자칠판이나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된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화면모드, 즉, 상호 전환 가능한 가로모드(landscape mode)와 세로모드(portrait mode)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칠판으로 구현된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가 세로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110)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가로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칠판으로 구현된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본체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1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11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자장치(100)가 그 구현 방식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즉, 패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대화면의 스크린을 구현하는 구조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내장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기초하여 전자칠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외부의 신호공급원, 즉,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예를 들면, 컨텐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트 데이터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10)에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0)에는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전자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박스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 등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단말장치(terminal apparatus)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장치(100)는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과 같은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모니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가 텔레비전인 경우, 전자장치(100)는 직접 또는 전자장치(100)와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부가기기, 예를 들면, 셋탑박스(set-top box, STB), OC 박스(one-connect box), 미디어박스 등을 통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100)와 부가기기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 컨텐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자장치(100)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에서, 방송 컨텐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신호공급원, 즉, 소스는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도 2의 13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F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DVI,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썬더볼트(Thunderbolt), RGB 케이블,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트,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전자장치(100)는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컨텐트 제공을 위한 소스로서, 서버, 단말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들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통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00)는 후술하는 인터페이스부(13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 컨텐트로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컨텐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장치(100)는, 도 2에 구성된 구성의 일부가 변경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 예를 들면 구동부(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0)는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마련되며,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상에서 전자펜(201)과 같은 입력수단(200)의 터치를 감지한다.
센서(120)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상에서 전자펜(201)의 터치 정보를 획득한다.
센서(120)에 의해 획득된 터치 정보는 후술하는 프로세서(150)에 전달된다. 프로세서(150)는 전달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펜(201)의 터치 터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프로세서(150)는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의 폭을 더 식별할 수 있다.
센서(120)가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감압식(Resistive), 정전용량식(Capacitive), 초음파(SAW) 방식, 적외선(IR) 방식 등이 있다. 센서(120)는 앞서 언급된 여러 터치 감지 방식 중 의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필요한 센싱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자장치(100)가 서버를 포함하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HDMI, HDMI-CFC, USB, 컴포넌트(Component), 디스플레이 포트(DP), DVI, 썬더볼트, RGB 케이블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소스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여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지상파/위성방송 등 방송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연결되거나, 케이블 방송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내장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하는 비디오/오디오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트랜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튜너와 디모듈레이터는 통합된 형태의 단일 칩으로 설계되거나, 상호 분리된 2개의 칩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외부 마이크 또는 마이크를 구비한 외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기기가 연결되며, 오디오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통해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서버 등과 1:1 또는 1:N (N은 자연수)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외부기기에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별개로 전송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는 전자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00)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전자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통신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해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억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으로 전자장치(100)와 외부장치 사이에 1 대 1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등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가 외부장치와 다이렉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40)에는 통신 대상 기기인 외부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과 무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 자기장을 포함하는 EM 통신, 가시광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등의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적외선 통신규격에 따라 IR(Infrared)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IR송신부 및/또는 IR수신부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리모컨신호를 수신 또는 입력하거나, 다른 외부장치로 리모컨신호를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른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리모컨 또는 다른 외부장치와 리모컨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소리수신부(130)로서 마련된 마이크(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음성의 정보로서 소정 데이터를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태/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신호로부터 추출된 음성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해당 사용자음성의 처리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처리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소리출력부(140)로서 마련된 내부 또는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로서, 사용자음성을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전자장치(100)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가 STT(speech to text)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전자장치(10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음성에 대응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100)에서,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는, 서버와 이더넷 모뎀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리모컨과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전자장치(100)에서,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리모컨과 통신하는 통신모듈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서버 및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132)는 전자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전자장치(100)의 커넥터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0)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을 수 있으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4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UX, UI/UX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또는 이미지,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40)에는 전자장치(100)가 텔레비전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TV 어플리케이션 또는 TV 클라이언트와,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VOD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40)는 유선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전자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40), 프로세서(150) 내 롬(ROM)(도시되지 아니함), 램(RAM)(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장치(100)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전자장치(100)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5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소스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1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영상신호를 전자장치(100)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1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예를 들어, H.264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디코더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영상처리부가 처리하는 컨텐트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컨텐트는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뿐 아니라, JPEG 파일과 같은 사진, 배경화면 등의 정지화상, UI/UX의 메뉴항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0)에는 튜너,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5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50)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서버 등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장치(100)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례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01).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수신되는 필기입력의 예들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전자펜(201)과 같은 입력수단(2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필기입력을 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숫자, 기호, 도형, 선(직선 또는 곡선) 등의 다양한 필기입력(410, 420, 430, 440)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단계 301에서 수신된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302).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센서(120)에 의해 검출되는 터치정보에 기초하여, 필기입력(410, 420, 430, 440)의 경로를 따라 수신되는 연속적인 터치들에 대한 터치 위치, 터치 폭 등을 순차적으로 식별함으로써, 필기입력(410, 420, 430, 440)의 필기내용(판서내용)과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내용의 식별에 관해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필기입력(410, 420, 430, 440)의 연속적인 터치들에 대한 터치 위치의 식별된 값들에 기초하여, 그 연속적인 터치들의 경로, 즉,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상기와 같이 식별된 패턴을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기준 패턴과 비교하여, 식별된 패턴에 대응하는 필기내용(510, 520, 530, 540)을 결정할 수 있다.
펜속성은, 필기입력(410, 420, 430, 44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필기영상의 색상, 굵기 또는 펜타입(팁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영상의 펜속성으로서 색상이 상이한 필기영상의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영상의 펜속성으로서 굵기가 상이한 필기영상의 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영상의 펜속성으로서 펜타입(팁 타입)이 서로 상이한 필기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내용이 "우리나라"인 필기입력(610, 620)이 서로 다른 색상의 펜타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필기내용이 "우리나라"인 필기입력(710, 720, 730)이 서로 다른 굵기의 펜타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필기내용이 “우리나라”인 필기입력(810, 820)이 서로 다른 펜타입, 예를 들면, 각각 일반펜과 형광펜의 펜타입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펜타입을 가지는 필기입력에 대해 그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펜속성 중 어느 하나의 펜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펜속성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필기입력의 펜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UI(900, 1000)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UI(900)는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에 대응하며, 사용자에 의해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910, 920, 9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메뉴항목(910, 920, 930) 중 어느 하나의 항목(910), 예를 들면, 색상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91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위메뉴항목(911, 912, 913, 914, 915)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하위메뉴항목(911, 912, 913, 914, 915) 중 어느 하나의 항목(912), 예를 들면, 빨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그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펜속성이 설정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펜속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1010, 1020, 1030) 중 어느 하나의 항목(1020), 예를 들면, 굵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항목(102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위메뉴항목(1021, 1022, 1023, 1024, 1025)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표시된 하위메뉴항목(1011, 1012, 1013, 1014, 1015) 중 어느 하나의 항목(1024), 예를 들면, 1.00 mm 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그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굵기로 펜속성이 설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으로서 펜타입(팁타입)에 대하여도, 도 9 또는 도 10과 같은 방식으로, UI를 통해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메뉴항목(1010, 1020, 1030) 중 펜타입(1030)이 선택되면, 펜타입(103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위메뉴항목, 예를 들면, 일반펜, 형광펜, 크레용, 붓(페인팅 브러시), 스프레이 등의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항목, 예를 들면, 형광펜에 대응하는 펜타입으로 펜속성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 예를 들면, 색상, 굵기, 펜타입(팁타입)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각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상에 수신된 필기입력의 펜속성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100)가 펜속성을 식별하는 방식은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필기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대해 수신된 터치의 폭에 대응하는 픽셀수를 식별하고, 식별된 픽셀수에 대응하여 펜속성으로서 굵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단계 302에서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303).
즉,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모두 인증데이터(기설정값)로서 미리 등록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매칭된 경우에만,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필기입력을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복수의 필기입력 각각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인증데이터로서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필기입력의 입력 순서가 기설정값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필기입력 각각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순서대로 인증데이터(인증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전자장치(100)에서 사용자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303에서 사용자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304).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필기입력 기반으로 전자장치(100)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150)의 동작은 전자장치(10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고,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장치(10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프로세서(1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0)의 동작은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즉, 데이터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직접 액세스되어 실행되거나,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전송매체를 통해 전자장치(100)로 다운로드되어 실행됨으로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학습부 및 인식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예를 들면,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식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식(또는, 추론, 예측, 추정,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저장부(140)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등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전에, 획득된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학습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학습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부는 전처리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또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가중치를 가지며,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들은 일 신경망 네트워크의 출력 값이 다른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 값으로 이용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에서, 프로세서(150)는 필기입력의 위치(판서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와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위치 간 매칭 여부에 더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필기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필기입력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영역이 구획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례를 도시하며, 도 1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 즉, 화면은 복수의 영역(1101, 1102, 1103, 1104, 1105, 1106)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펜(201)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1101, 1102, 1103, 1104, 1105, 1106)으로 구분된 디스플레이(110)의 일 위치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필기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의 복수의 영역(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중 필기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필기입력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위치에서 기호 "?!"를 필기입력(1210)으로 수신하고, 복수의 영역(1201, 1202, 1203, 1204) 중 해당 필기입력(1210)이 수신된 영역(1201)을 필기입력의 위치로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58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위치에서 문자 "우리나라"를 필기입력(1310)으로 수신하고, 복수의 영역(1301, 1302, 1303, 1304, 1305) 중 해당 필기입력(1310)이 수신된 영역(1303, 1304)을 필기입력의 위치로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필기입력의 각 부분(1311, 1312) 별로 수신된 영역(1303, 1304)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에 의해 필기입력의 필기내용(판서내용), 필기위치(판서위치) 및 펜속성(입력속성)이 인증데이터(기설정값)로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판서내용), 필기위치(판서위치) 및 펜속성(입력속성)과 매칭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도 3의 S303에서 필기내용 및 펜속성뿐 아니라, 필기입력의 필기위치를 더 식별하고, S303에서 필기위치의 매칭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데이터, 다시 말해, 사용자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기설정값은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세로모드의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이 수신되면,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뿐 아니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를 세로모드로서 더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식별된 화면모드, 즉, 세로모드에 대해 인증데이터로서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의 화면모드가 세로모드인 상태에서, 문자 "우리나라", 도형 "별모양(오각별)", 기호 "?!"를 필기하는 복수의 필기입력(1410, 1420, 1430)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프로세서(150)는 각 필기입력(1410, 1420, 1430)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입력 순서대로 세로모드의 인증데이터(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가 가로모드로 식별된 경우,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식별된 화면모드, 즉, 가로모드에 대해 인증데이터로서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프로세서(150)는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을 더 식별하고, 식별된 입력패턴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 간 매칭 여부에 더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은, 필기입력을 구성하는 획(stroke)의 순서(획순), 방향 또는 개수(획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이 식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기입력(1510)으로서 도형 “별모양”을 필기, 즉, 드로잉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는 해당 필기입력(1510)을 구성하는 획(선)의 개수(획수) 및 각 획을 드로잉하는 순서(획순)(①, ②, ③, ④, ⑤)가 인증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과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필기입력(1520)으로서 문자 “리”를 필기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는 해당 필기입력(1520)을 구성하는 획(1521, 1522)의 개수와 방향(①, ②)이 인증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과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필기입력(1530)으롯, 문자 "D"를 필기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는 해당 필기입력(1530)을 구성하는 획(1531. 1532, 1533)의 개수 및 각 획의 순서와 방향(①, ②, ③)이 인증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매턴과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이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인증정보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의 인증정보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인증정보 설정 메뉴가 선택됨에 기초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정보 설정을 안내하는 UI(1610)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UI(1610)의 표시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11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표시되는 UI(1610)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전자펜(201)과 같은 입력수단(2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인증정보로 사용자고자 하는 필기입력(1611)으로서 도형 "별모양"을 드로잉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동일한 별모양의 필기입력(1611)이 2회 이상 입력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해당 필기입력(1611)을 인증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필기입력(1611)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식별하여 인증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인증정보를 인증패턴(1620)으로서 사용자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필기내용과 펜속성 외, 필기입력(1611)의 위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의 구획된 영역 중 필기입력(1611)이 수신된 영역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인증패턴(1620)을 확인(1621)하면, 해당 인증정보(인증패턴)이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정보(인증데이터)로서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인증정보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50)는,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인증정보 설정 메뉴가 선택됨에 기초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정보 설정을 안내하는 UI(1710)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되는 UI(1710)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전자펜(201)과 같은 입력수단(2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인증정보로 사용자고자 하는 필기입력(1711)으로서 문자 "우리나라"를 필기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필기입력(1711)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식별하여 인증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인증정보를 인증패턴(1720)으로서 사용자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필기내용과 펜속성 외, 필기입력(1711)의 위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의 구획된 영역 중 필기입력(1711)이 수신된 영역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인증패턴(1720)을 확인(1721)하면, 해당 인증정보(인증패턴)이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정보(인증데이터)로서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필기입력, 예를 들면, 도 16과 도 17의 필기입력(1611, 1711)의 순차적 조합을 사용자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필기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각 필기입력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등록된 인증정보와 순서대로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인증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인증 메뉴가 선택됨에 기초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필기입력을 안내하는 UI(1810)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되는 UI(1810)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전자펜(201)과 같은 입력수단(2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1820)으로서 도형 “별모양”을 드로잉 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필기입력(1820)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인증정보로서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6의 실시예에서 설정된 인증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필기내용과 펜속성 외, 필기입력(1820)의 위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의 구획된 영역 중 필기입력(1820)이 수신된 영역이 인증정보로서 등록된 필기입력의 위치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50)는,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인증 메뉴가 선택됨에 기초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필기입력을 안내하는 UI(1910)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되는 UI(1910)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전자펜(201)과 같은 입력수단(2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1920)으로서 문자 “우리나라”를 필기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필기입력(1920)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인증정보로서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7의 실시예에서 설정된 인증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필기내용과 펜속성 외, 필기입력(1920)의 위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의 구획된 영역 중 필기입력(1920)이 수신된 영역이 인증정보로서 등록된 필기입력의 위치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필기입력, 예를 들면, 도 18과 도 19의 필기입력(1820, 1920)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각 필기입력(1820, 1920)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을, 복수의 필기입력의 순차적 조합으로 등록된 인증정보와 순서대로 비교하여, 매칭된 경우,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의 필기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필기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의 실시예는, 필기입력의 필기내용과 펜속성에 기초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점에서 도 3과 공통되며,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필기입력의 입력순서 및 필기입력 각각의 필기내용, 펜속성, 입력위치를 인증정보와 비교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00)는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정보로 사용할 복수의 필기입력을 순서에 따라 미리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입력을 인증정보로서 등록된 필기입력과 입력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순서에 따른 인증정보가 등록된 일례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00)에는,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모양" 도형(2110), “?!”의 기호(2120), "우리나라”의 문자(2130)의 순서로 이루어진 복수의 필기입력이 인증정보로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인증정보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가 가로모드인 경우에 대해 등록된 것으로, 각 필기입력(2110, 2120, 2130) 별로 미리 정해진 필기내용, 펜속성 및 입력위치(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110)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인증을 위한 복수의 필기입력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2001).
프로세서(150)는, 단계 2001에서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필기입력의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인증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2002).
프로세서(150)는 단계 2002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단계 2001에서 입력된 필기입력의 데이터와 인증정보의 매칭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2003).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계 2001에서 사용자로부터 "별모양" 도형(2210), "우리나라”의 문자(2220), “?!”의 기호(2230)의 순서로 필기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21의 등록된 인증정보와 필기입력의 순서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이렇게 순서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인증정보 오류(error)로 인하여, 로그인 실패(FAIL)가 된다.
다른 예로서, 단계 2001에서 사용자로부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모양" 도형(2310), “?!”의 기호(2220), "우리나라”의 문자(2330)의 순서로 필기입력이 수신된 경우, 첫번째 필기입력인 도형(2310)의 입력위치가 도 21의 등록된 첫번째 인증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이렇게 입력위치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인증정보 오류(error)로 인하여, 로그인 실패(FAIL)가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단계 2001에서 사용자로부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모양” 도형(2410), “!?”의 기호(2420), “우리나라”의 문자(2430)의 순서로 필기입력이 수신된 경우, 두번째 필기입력인 기호(2420)의 필기내용이 도 21의 등록된 두번째 인증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이렇게 필기내용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인증정보 오류(error)로 인하여, 로그인 실패(FAIL)가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단계 2001에서 사용자로부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모양” 도형(2510), “?!”의 기호(2520), “우리나라”의 문자(2530)의 순서로 필기입력이 수신된 경우, 세번째 필기입력인 문자(2530)의 펜속성(굵기)가 도 21의 등록된 두번째 인증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이렇게 펜속성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인증정보 오류(error)로 인하여, 로그인 실패(FAIL)가 된다.
단계 2003에서, 프로세서(150)는 단계 2001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입력순서가 등록된 인증정보의 순서와 매칭되며, 각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펜속성(색상, 크기, 펜타임(팁타입) 등), 입력위치가 모두 순서대로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입력된 필기입력의 데이터가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계 2003에서 필기입력의 데이터와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0)에서 사용자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2004). 그에 따라, 사용자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수행된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2005).
상기와 같은 인증정보의 매칭 식별은, 전자장치(100)의 화면모드가 세로모드인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00)에는,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문자(2610), "별모양" 도형(2620), “?!”의 기호(2630)의 순서로 이루어진 복수의 필기입력이 인증정보로서 등록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인증정보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가 세로모드인 경우에 대해 등록된 것으로, 도 21에서 설명한 가로모드의 인증정보와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에는, 각 필기입력(2610, 2620, 2630) 별로 미리 정해진 필기내용, 펜속성 및 입력위치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복수의 필기입력에 대해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0의 단계 2001에서 사용자로부터, "별모양" 도형(2710), “?!”의 기호(2720), "우리나라”의 문자(2730)의 순서로 필기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26의 등록된 인증정보와 필기입력의 순서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또한, 도 27의 각 필기입력(2710, 2720, 2730)의 필기내용도 도 26의 등록된 인증정보(2610, 2620, 2630)과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도 27은 전자장치(100)의 화면모드가 세로모드인 상태에서 복수의 필기입력(2710, 2720, 2730)이 순차적으로 입력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6에서 설명한 세로모드에 대해 설정된 인증정보와의 매칭 여부를 식별한다.
따라서, 도 27에서 입력된 복수의 필기입력(2710, 2720, 2730)이, 도 21에서 설명한 가로모드의 인증정보와 입력순서, 각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매칭되더라도, 도 20의 단계 2003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와 인증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필기입력의 입력 순서와, 각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펜속성 및 입력위치가 모두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자칠판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범용장치에서 높은 보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의 화면모드에 따라 인증정보를 서로 다르게 설정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보안정보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장치 설정값을 보안정보로서 활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UI를 이용한 장치설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8의 실시예는, 필기입력의 펜속성에 기초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점에서 도 3과 공통되며, 다만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임의로 입력하는 필기입력의 펜속성이 사용자인증정보로서 미리 설정/등록된 펜속성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장치 설정값 중 전자펜(201)의 펜속성에 대한 설정값을 인증정보로 활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장치(100)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증을 위한 설정값으로서 펜속성을 설정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801). 여기서, 인증정보로서의 펜속성은 UI를 이용하여 등록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인증정보로 등록하기 위한 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30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펜속성을 인증정보로 등록하기 위한 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9 및 도 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증정보로서 펜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UI(2900, 3000)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UI(2900)는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에 대응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2910, 2920, 29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메뉴항목(2910, 2920, 2930) 중 어느 하나의 항목(2910), 예를 들면, 색상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291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위메뉴항목(2911, 2912, 2913)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하위메뉴항목(2911, 2912, 2913) 중 어느 하나의 항목(2912), 예를 들면, 빨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그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사용자인증을 위한 설정값이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설정값이 사용자인증정보로서 등록된다.
같은 방식으로, 도 3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펜속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항목(3010, 3020, 3030) 중 어느 하나의 항목(3020), 예를 들면, 굵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선택된 항목(302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위메뉴항목(3021, 3022, 3023)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표시된 하위메뉴항목(3011, 3012, 3013) 중 어느 하나의 항목(3023), 예를 들면, 1.00 mm 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며, 그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굵기로 사용자인증을 위한 설정값이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설정값이 사용자인증정보로서 등록된다.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으로서 펜타입(팁타입)에 대하여도, 도 29 또는 도 30과 같은 방식으로, UI를 통해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메뉴항목(3010, 3020, 3030) 중 펜타입(팁타입)(3030)이 선택되면, 펜타입(3030)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위메뉴항목, 예를 들면, 일반펜, 형광펜, 크레용, 붓, 스프레이 등의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항목, 예를 들면, 형광펜에 대응하는 펜타입으로 사용자인증을 위한 설정값이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설정값이 사용자인증정보로서 등록된다.
상기와 같이, 단계 2801에서 사용자인증을 위한 장치설정(펜속성)이 이루어진 이후, 전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802).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인증을 위해 필기입력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인증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2는 도 31의 UI에 응답하여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이 수신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잠금(lock)상태의 전자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장치(100)에서 사용자인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50)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증을 위해 사용자에게 필기입력을 안내하는 UI(3110)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50)는, 보안 강화를 위해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필기입력을 안내하는 UI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2에서는 3개 이상의 필기입력을 안내하는 UI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50)는, 도 31와 같이 표시된 UI(3110)에 응답하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대해 복수의 필기입력(3210, 3220, 3230)이 수신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UI 등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에 기초한 필기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단계 2802에서 수신된 필기입력(3210, 3220, 3230)의 펜속성이 단계 2801에서 사용자인증을 위해 설정된 펜속성의 설정값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2803).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화면에 수신된 복수의 필기입력(3210, 3220, 3230)의 펜속성, 예를 들면, 색상, 굵기 및 펜타입(팁타입)이 단계 2801에서 설정된 설정값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2803에서 필기입력(3210, 3220, 3230)의 펜속성이 인증정보로서 등록된 설정값과 매칭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5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인증이 완료되도록 제어한다(2804). 여기서, 프로세서(18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UI(3310)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입력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장치(10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전자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센서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속성은,
    상기 필기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필기영상의 색상, 굵기 또는 펜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펜속성 중 어느 하나의 펜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펜속성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전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속성은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기입력의 위치를 더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필기입력의 위치와,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위치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필기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상기 필기입력의 위치로 식별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을 더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입력패턴과,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은,
    상기 필기입력을 구성하는 획의 순서, 방향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필기입력의 입력 순서가, 등록된 순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필기입력 각각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순서대로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11.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펜속성은,
    상기 필기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필기영상의 색상, 굵기 또는 펜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복수의 펜속성 중 어느 하나의 펜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펜속성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속성은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을 포함하며,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펜속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UI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된 UI를 이용한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필기입력의 위치와,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위치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입력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필기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상기 필기입력의 위치로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입력을 구성하는 획의 순서, 방향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입력의 입력패턴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입력패턴과,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입력의 패턴 간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필기입력의 입력 순서가, 등록된 순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필기입력 각각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이 순서대로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인증을 위한 필기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필기입력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필기내용 및 펜속성과, 등록된 사용자의 필기내용 및 펜속성 간의 매칭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인증이 완료된 필기입력에 따라 필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200123867A 2020-09-24 2020-09-2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0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67A KR20220040761A (ko) 2020-09-24 2020-09-2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12551 WO2022065792A1 (ko) 2020-09-24 2021-09-15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872821.0A EP4202736A4 (en) 2020-09-24 2021-09-15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US18/124,627 US20230229753A1 (en) 2020-09-24 2023-03-22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67A KR20220040761A (ko) 2020-09-24 2020-09-2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61A true KR20220040761A (ko) 2022-03-31

Family

ID=8084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867A KR20220040761A (ko) 2020-09-24 2020-09-2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29753A1 (ko)
EP (1) EP4202736A4 (ko)
KR (1) KR20220040761A (ko)
WO (1) WO20220657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O121497B1 (ro) * 2005-02-09 2007-06-29 Softwin S.R.L. Sistem informatic şi metodă pentru achiziţia, analiza şi autentificarea semnăturii olografe
US7953983B2 (en) * 2005-03-08 2011-05-31 Microsoft Corporation Image or pictographic based computer login systems and methods
US8353764B2 (en) * 2006-11-14 2013-01-15 Igt Behavioral biometrics for authentication in computing environments
KR102147086B1 (ko) * 2013-09-03 202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서명 입력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장치
US9235748B2 (en) * 2013-11-14 2016-01-12 Wacom Co., Ltd. Dynamic handwriting verification and handwriting-based user authentication
KR102228812B1 (ko) * 2014-01-10 2021-03-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필기 데이터 처리/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서버
KR101740574B1 (ko) * 2016-02-16 2017-05-26 주식회사 피노텍 확인자의 자필 서명을 이용한 개인 인증 방법 및 이를 활용한 핀테크 시스템
JP6935991B2 (ja) 2016-06-24 2021-09-15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US20180150627A1 (en) * 2016-11-30 2018-05-31 Benjamin Rodefer Authentication using multi-component swipe pattern and color, sound or symbol series unlocking patterns and or codes
US20210216185A1 (en) * 2017-07-07 2021-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pens with sensors coupled to communicative tips
EP4042265A1 (en) * 2019-10-11 2022-08-17 Ricoh Company, Ltd. Display apparatus, color supporting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2736A4 (en) 2024-02-21
WO2022065792A1 (ko) 2022-03-31
EP4202736A1 (en) 2023-06-28
US20230229753A1 (en)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064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27951B2 (en) Display apparatus, voice acquiring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948402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peech recognition thereof
US954463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2802068A (zh) 智能电视遥控方法及系统
US9948979B2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1541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4286173A (zh) 一种显示设备及音画参数调节方法
US2019036984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03869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01655B1 (ko)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US1074288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KR2021008776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343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076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78218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883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471090B1 (en) Electronic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114559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23185A (ko) 디스플레이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96838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18704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9984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16298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5442A (ko)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