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43A -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 Google Patents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43A
KR20220040643A KR1020200123564A KR20200123564A KR20220040643A KR 20220040643 A KR20220040643 A KR 20220040643A KR 1020200123564 A KR1020200123564 A KR 1020200123564A KR 20200123564 A KR20200123564 A KR 20200123564A KR 20220040643 A KR20220040643 A KR 2022004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eedling pot
fastening
line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4488B1 (en
Inventor
이성학
Original Assignee
이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학 filed Critical 이성학
Priority to KR102020012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88B1/en
Publication of KR2022004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board for a seedl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allowing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to be connected to one another to be folded at a boundary line so that the plurality of seedling pots can form a shap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and storage of the seedling pot can be increased, wherein the seedling pot comprises: a base plate which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of the seedling pot; and a plurality of sidewalls which can be folded with respect to a baseline forming a boundary with the base plate,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orm of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ans provided on a sideline side.

Description

모종포트 조립판재{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Seedling pot assembly plate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립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종포트를 형성시킬 수 있는 모종포트 조립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pot assembly board capable of forming at least one seedling pot by assembl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a user.

식물의 모종을 육모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모종포트가 연이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모종포트기판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종을 각각의 모종포트에 심어서 재배하였었다. In order to grow seedlings of plants, a plurality of seedlings were planted and cultivated in each seedling pot using a seedling pot board in which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were combined in succession.

이러한 종래의 모종포트기판은 여러개의 모종포트가 밀집하여 연결된 하나의 모종판 형태로서 하나의 경화성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성형 제작되었었다. 따라서, 유연성이 없을 수 밖에 없었고, 모종포트가 높이와 형상을 갖추고 있다보니 모종포트기판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보관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seedling pot substrate wa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ingle curable plastic material in the form of a single seedling plate in which several seedling pots are densely connected. Therefore, there was no choice but to be flexible, and since the seedling pot had a height and shape, the seedling pot board took up a lot of space, which made storage difficult.

또한 기존의 모종포트기판의 모종포트에서 모종을 재배한 후 밭이나 토양으로 이식하기 위하여 모종포트로부터 모종 작물을 빼내야 하지만, 일정수준 이상 성장이 이루어진 모종을 모종포트로부터 빼내기가 어려웠으며 모종포트의 재사용이나 재활용도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Also, after cultivating seedlings in the seedling pot of the existing seedling pot board, seedlings must be removed from the seedling pot for transplantation into the field or soil, but it was difficult to remove the seedlings that had grown beyond a certain level from the seedling pot, and the seedling pot was reused.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difficult recycling.

아울러, 사용자가 키우고자하는 모종의 개수에 상관없이 다수개의 모종포트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모종포트기판을 하나의 단위로서 사용하게 되므로 한두개의 모종포트만 재배에 이용되고 나머지 모종포트는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을 차지하게는 공간적 낭비와 이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seedlings that the user wants to grow, a seedling pot boar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is used as one unit, so only one or two seedling pots are used for cultivation and the rest of the seedling pots are not used. There was also a waste of space and inconvenience in using the space.

따라서, 이와 같은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overcoming such inconvenien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0848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0084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립할 수 있는 모종포트 조립판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eedling pot assembly plate that is easy to store and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는, 다수개의 모종포트가 연이어 연결된 집합체로 조립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모종포트 조립판재로서, 상기 모종포트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경계를 이루는 베이스라인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소정의 각도로 절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라인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접하면서 이웃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사이드월;을 포함하며, 다수개의 상기 모종포트 각각은 서로 연이어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월의 바운더리라인에서 절첩될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The seedling pot assembl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ate-shaped seedling pot assembling board that can be assembled into an aggreg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edling port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edling pot has a bottom surface. a base plate constituting the; And it is connected to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plate with the base line forming the boundary with the base plate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rough a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line side connected to the base line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ncludes; a plurality of sidewalls coupled to each other in a form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edling ports is connected to be foldable at the boundary line of at least one of the sidewalls so as to form a form connected to each other in succession. It can also be used as a feature.

여기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된 상기 모종포트 사이의 경계가 되는 상기 사이드월의 상기 바운더리라인은, 서로 연결된 상기 모종포트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바운더리라인에서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절취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wall, which becomes a boundary between the seedling 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is in the form of a perforation line so that the seedling pots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selectively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boundary lin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can also be characterized a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은 상기 사이드월의 사이드라인 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춘 홀의 형태로 된 체결슬릿; 및 상기 체결슬릿이 마련된 상기 사이드월에 이웃하는 다른 상기 사이드월의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되며 일측 부분이 상기 체결슬릿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체결슬릿에 맞물리거나 걸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편; 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line side includes a fastening slit in the form of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sideline side of the sidewall; and a fastening piece provided on a sideline side of the other sidewall adjacent to the sidewall in which the fastening slit is provided,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lit, and the fastening piece is fastened to engage or catch the fastening slit; may be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사이드월의 사이드라인과 상기 체결편 사이에는, 상기 체결편을 통해 체결되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사이드월의 표면에 접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는 지지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between the side line of the side wall and the fastening piece, it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iece capable of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ther adjacent side wall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piece is provided. .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모종포트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는 흙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되 상기 모종포트의 내측공간에 배치된 모종에게 관수(灌水)된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홀 또는 배수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base plate has a drain hole so that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pot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ut water irrigated to the seedling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pot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a drain slit may be formed as another fea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하나의 평판형태로서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종포트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모종포트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재배공간 활용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When not in use, the seedling pot assembly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store as a single flat plate, and since the seedling pot can be assembl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Furthermore, since each seedling pot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ultivation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로부터 조립된 다수개의 모종포트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로부터 조립된 다수개의 모종포트의 상측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로부터 조립된 모종포트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edling pot assembly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of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assembled from a seedling pot assembly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from the upper side of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assembled from seedling pot assembly boa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seedling pot assembled from a seedling pot assembly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로부터 조립된 다수개의 모종포트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로부터 조립된 다수개의 모종포트의 상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edling pot assembl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surfaces of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assembled from a seedling pot assembl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of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assembled from the seedling pot assembly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10)는 다수개의 모종포트(100)가 연이어 연결된 집합체의 형태로 조립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모종포트 조립판재(10)이며, 여기서 하나의 모종포트(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다수개의 사이드월(210)을 포함한다. 1, the seedling pot assembly pl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shaped seedling port assembly plate 10 that can be assembled in the form of an aggreg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edling ports 100 are connected in series. , Here, one seedling pot 100 includes a base plate 110 and a plurality of sidewalls 210 .

모종포트(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모종포트(100)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는 흙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모종포트(10)의 내측공간에 배치된 모종에게 관수(灌水)된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홀(113) 또는 배수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배수홀(113)이 마련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The base plate 110 of the seedling pot 100 suppresses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pot 1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a drain hole 113 or a drain slit is formed in the base plate 110 so that water irrigated to the seedling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pot 10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the figure in which the drain hole 113 is provided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아울러, 도면에서 참조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는 4각형의 형태를 갖춘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6각형이나 8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를 갖춘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base plate 110 referenced in the drawings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having a shape of a quadrilateral,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have a shape of various polygons such as a hexagon or an octagon.

모종포트(100)의 사이드월(210)은, 조립되는 모종포트(100)의 측벽으로서 모종포트(1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흙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모종포트(100) 내에 식재되는 모종의 생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된 흙이 모여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쳐준다.The side wall 210 of the seedling pot 100 is a side wall of the seedling pot 100 to be assembled, and is planted in the seedling pot 100 by suppressing the leakage of soil accommodated inside the seedling pot 100 to the outside. It supports the soil to keep the housed soil gathered so that the seedlings can grow.

이러한 모종포트(100)의 사이드월(210)은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한 변마다 하나씩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4각형의 형태를 갖춘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테두리 네 변 즉, 네 개의 베이스라인(115) 각각에 사이드월(210)이 마련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wall 210 of the seedling pot 100 is provided for each side of one base plate 110 . Accordingly,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idewall 210 is provided on each of the four edges of the base plate 110 having a quadrangular shape, that is, the four baselines 115 .

사이드월(21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경계를 이루는 베이스라인(115)을 회전중심으로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소정의 각도로 절첩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월(210)은 베이스라인(115)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사이드라인(212, 214) 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접하면서 이웃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idewall 210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110 so as to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line 115 forming the boundary as the center of rotation. In addition, the sidewall 2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lines 212 and 214 connected to the baseline 115 at a predetermined angle.

그리고, 다수개의 모종포트(100) 각각이 서로 연이어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드월(210)의 바운더리라인(boundary line)(218)에서 절첩될 수 있게 모종포트(100)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다. And,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seedling ports 100 can form a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sidewalls 210 can be folded at the boundary line 218 of the seedling pot 100 between each other. is connected to

여기서 사이드월(210)의 바운더리라인(218)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된 모종포트(100) 사이의 경계가 되는 선 또는 변을 말한다. 이러한 바운더리라인(218)은 서로 연결된 모종포트(100)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운더리라인(218)에서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절취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undary line 218 of the sidewall 210 refers to a line or a side that becomes a boundary between the seedling pots 100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boundary line 218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perforated line so that the seedling pot 100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selectively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boundary line 218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여기서, 도 4를 더 참조하여 사이드라인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인 체결슬릿과 체결편에 대해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Here, the description of the fastening slit and the fastening piece, which ar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line side, will be continu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로부터 조립된 모종포트의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seedling pot assembled from a seedling pot assembl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더 참조하면,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의 바람직한 일 예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체결슬릿(310) 및 체결편(330)이 가능하다.Referring further to FIG. 4 ,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line side, the fastening slit 310 and the fastening piece 330 as referenced in the drawings are possible.

체결슬릿(310)은 사이드월(210)의 사이드라인(212) 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춘 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슬릿(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T'자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단순히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slit 310 is in the form of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sideline 212 side of the sidewall 210 . Such a fastening slit 310 may be formed in a 'T' shape as shown or may be simp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체결슬릿(310)이 'T'자의 형태로 형성되면, 체결을 위해 삽입되는 체결편(330)이 체결슬릿(31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fastening slit 3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fastening piece 330 inserted for fastening can be suppressed from escaping from the fastening slit 310 .

그리고, 체결편(330)은, 체결슬릿(310)이 마련된 사이드월에 이웃하는 다른 사이드월(210)의 사이드라인(212) 측에 마련된다. 체결편(330)의 일측 부분이 체결슬릿(310)에 삽입되어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체결편(330)의 일부분이 체결슬릿(310)에 맞물리거나 걸리는 형태로 체결된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iece 330 is provided on the sideline 212 side of the other sidewall 210 adjacent to the sidewall provided with the fastening slit 310 . One side portion of the fastening piece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lit 310 and a portion of the fastening piece 330 is engaged or caught in the fastening slit 310 as shown in FIG. 2 or 4 .

이와 같이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공유하는 4개의 사이드월(210)이 서로 이웃하는 사이드월(210)의 체결슬릿(310)에 체결편(330)을 삽입시켜서 체결시킴으로써 모종포트(100)가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모종포트(100)는 도 2 또는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모종포트(100)는 바운더리라인(218)에서 연이어 연결되는 형태로 조립이 된다. In this way, the seedling pot 100 by inserting the fastening piece 330 into the fastening slit 310 of the sidewall 210 adjacent to the four sidewalls 210 sharing one base plate 110 as described above and fastening them. can be assembled. The seedling pot 100 assembled in this way is assembled in a form in which the seedling ports 1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one after another at the boundary line 218 as referenced in FIG. 2 or FIG. 3 .

체결슬릿(310)에 체결편(330)이 삽입되어 체결편(330)이 체결슬릿(310)에 맞물리거나 걸리는 형태로 체결되면,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결슬릿(310)으로부터 체결편(330)을 빼냄으로써 조립된 상태를 해제하여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piece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lit 310 and the fastening piece 330 is engaged in or caught on the fastening slit 310, the fastening piece 330 from the fastening slit 3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You can release the assembled state by pulling out and return to the flat plate shape.

따라서, 조립된 상태를 해제시켜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보관시킬 수 있으므로 보관상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으며,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assembled state can be released and stor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the convenience of storage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for storage can be saved.

그리고, 사이드월(210)의 사이드라인(212)과 체결편(330) 사이에는, 체결편(330)을 통해 체결되는 이웃하는 다른 사이드월(210)의 표면에 접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는 지지편(320)이 마련되어 있다. And, between the side line 212 and the fastening piece 330 of the sidewall 210, a support piece capable of being in contact with and supporting the surface of another adjacent sidewall 210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piece 330 . (320) is provided.

이러한 지지편(3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사이드월(210)의 외측표면 일부 부분에 접하면서 사이드월(210)을 받쳐주거나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결슬릿(310)과 체결편(330)이 체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지지편(320)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사이드월(210)이 지지하여 주므로 조립된 모종포트(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The support piece 320 serves to support or support the sidewall 210 whil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eighboring sidewall 210 as shown in the drawings.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slit 310 and the fastening piece 330 are fastened, the sidewalls 210 adjacent to each other support each other through the support piece 320 ,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assembled seedling pot 100 . helps to make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모종포트(100) 각각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드월(210)의 바운더리라인(boundary line)(218)에서 절첩될 수 있게 모종포트(100)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바운더리라인(218)은 서로 연결된 모종포트(100)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운더리라인(218)에서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절취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And, as mentioned above, each of the plurality of seedling ports 1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folded at the boundary line 218 of at least one sidewall 210 of the seedling port 100. In addition, the boundary line 218 is formed in the form of a perforated line so that the seedling pot 100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selectively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boundary line 218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바운더리라인(218)이 절취선으로 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종의 개수만큼 필요한 개수의 모종포트(100)를 바운더리라인(218)에서 간편하게 절취하여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남아있는 모종포트(100)는 조립이 해제된 플레이트의 상태로서 따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이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된다.If the boundary line 218 is a perforated line, the number of seedling pots 100 required as many as the number of seedlings can be easily cut out from the boundary line 218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separated for use, and the remaining seedling pots 100 ) can be stored separately as the disassembled plate, so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10)의 소재는 바이오 플라스틱(bioplastic)인 것도 바람직하다.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의 소재로 이루어지면, 모종을 모종포트(100)로부터 분리해낼 필요 없이 모종포트(100)를 다른 모종포트(100)와 분리시킨 후 모종과 모종포트(100)를 함께 땅에 식재하면 되므로 좀 더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seedling pot assembly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bioplastic. When it is made of a material of bioplastic that can be decomposed into water and carbon dioxide by microorganism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seedlings from the seedling pot 100 , after separating the seedling pot 100 from the other seedling pots 100 , the seedlings and seedlings Since the pot 100 can be planted together in the ground, more convenient use is possible.

이처럼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된 모종포트(100)는 땅속에서 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의 억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As such, the seedling pot 100 made of bioplastic is decomposed in the ground, so it can be helpful in suppressing environmental pollu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종포트 조립판재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하나의 평판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종포트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모종포트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재배공간 활용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edling pot assembl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single flat plate when not in use, so it is easy to store, and the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because the seedling pot can be assembl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can be Furthermore, since each seedling po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ultivation space utilization.

나아가, 바이오 플라스틱의 소재로 하는 경우 모종을 모종포트로 분리해낼 필요없이 각각의 모종포트를 개별적으로 분리한 후 그대로 땅에 식재할 수도 있으므로 이용상의 편의성에 도움이 되며,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된 모종포트가 땅에서 자연분해 되므로 환경오염 억제에 도움이 되는 장점도 있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using bioplastic as a material,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seedlings into a seedling pot, and after separating each seedling pot individually, it can be planted on the ground as it is, which is helpful for convenience of use. Since it is naturally decomposed in the groun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to control environmental pollution.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모종포트 조립판재
100 : 모종포트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3 : 배수홀 115 : 베이스라인
210 : 사이드월 212, 214 : 사이드라인
218 : 바운더리라인 310 : 체결슬릿
320 : 지지편 330 : 체결편
10: seedling pot assembly plate
100: seedling pot 110: base plate
113: drain hole 115: base line
210: side wall 212, 214: side line
218: boundary line 310: fastening slit
320: support piece 330: fastening piece

Claims (6)

다수개의 모종포트가 연이어 연결된 집합체로 조립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의 모종포트 조립판재로서,
상기 모종포트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경계를 이루는 베이스라인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소정의 각도로 절첩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라인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사이드월;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모종포트 각각은 서로 연이어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월의 바운더리라인에서 절첩될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포트 조립판재.
As a plate-shaped seedling pot assembly board that can be assembled into an aggreg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edling pots are connected in series,
The seedling pot is
a base plat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and
It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so that it can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line forming the boundary with the base plate as a rotation center,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line side connected to the base line at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sidewalls coupled in a neighboring form; including,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edling ports is connected to be foldable at the boundary line of at least one of the sidewalls to form a form connected to each other Seedling pot assembly board.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된 상기 모종포트 사이의 경계가 되는 상기 사이드월의 상기 바운더리라인은,
서로 연결된 상기 모종포트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바운더리라인에서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절취선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포트 조립판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wall, which becomes a boundary between the seedling pots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edling pot assembly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the form of a perforated line so that the seedling 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selectively cut off and separated from the boundary lin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된 체결수단은
상기 사이드월의 사이드라인 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춘 홀의 형태로 된 체결슬릿; 및
상기 체결슬릿이 마련된 상기 사이드월에 이웃하는 다른 상기 사이드월의 사이드라인 측에 마련되며 일측 부분이 상기 체결슬릿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상기 체결슬릿에 맞물리거나 걸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체결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포트 조립판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line side
a fastening slit in the form of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ideline side of the sidewall; and
a fastening piece provided on a sideline side of the other sidewall adjacent to the sidewall in which the fastening slit is provided,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lit, and the fastening piece is fastened to engage or catch the fastening slit; Seedling port assembl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의 사이드라인과 상기 체결편 사이에는,
상기 체결편을 통해 체결되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사이드월의 표면에 접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는 지지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포트 조립판재.

4. The method of claim 3,
Between the side line of the side wall and the fastening piece,
A seedling pot assembly 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iece that can be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ther adjacent sidewall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piece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모종포트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는 흙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되 상기 모종포트의 내측공간에 배치된 모종에게 관수(灌水)된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홀 또는 배수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포트 조립판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late
A drain hole or drain slit is formed so that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pot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ut the water irrigated to the seedling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edling pot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Seedling port assembl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포트 조립판재의 소재는 바이오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포트 조립판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seedling pot assembly plate material is a seedling pot assembl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oplastic.

KR1020200123564A 2020-09-24 2020-09-24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KR102484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64A KR102484488B1 (en) 2020-09-24 2020-09-24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64A KR102484488B1 (en) 2020-09-24 2020-09-24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43A true KR20220040643A (en) 2022-03-31
KR102484488B1 KR102484488B1 (en) 2023-01-04

Family

ID=8093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564A KR102484488B1 (en) 2020-09-24 2020-09-24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8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704A (en) * 1994-09-01 1996-03-19 Takayuki Arai Assembly type flower pot
KR20060129682A (en) * 2005-06-13 2006-12-18 안승대 Single use paper-cup have spoon
KR101200848B1 (en) 2009-07-16 2012-11-14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The seedling pot
KR20130096595A (en) * 2012-02-22 2013-08-30 한국과학기술원 Flowerpot manufacturing kit
KR20160001970U (en) * 2014-12-01 2016-06-09 박한나 Folding type flowerp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704A (en) * 1994-09-01 1996-03-19 Takayuki Arai Assembly type flower pot
KR20060129682A (en) * 2005-06-13 2006-12-18 안승대 Single use paper-cup have spoon
KR101200848B1 (en) 2009-07-16 2012-11-14 농업회사 법인 주식회사 농모두 The seedling pot
KR20130096595A (en) * 2012-02-22 2013-08-30 한국과학기술원 Flowerpot manufacturing kit
KR20160001970U (en) * 2014-12-01 2016-06-09 박한나 Folding type flower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488B1 (en)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7625A1 (en)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and supporting unit and cell plugs to be used in device for raising seedling
US10064344B1 (en) Modular planting system
US8635808B1 (en) Partitioned planter
US10492379B1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20220040643A (en) Assembleable Plate for Seedling Pot
JP3114565U (en) Panel assembly type flower pot
CN2847834Y (en) Planting disk with supporting legs
KR200400137Y1 (en) Cactus supporting apparatus
JP2004275190A (en) Improved vegetable tray
TWM612070U (en) Plant cultivation box
CN107950239B (en) Combined plant planting container
KR20100004168U (en) Pot for planting a seeds having air-passage
KR200425493Y1 (en) Desk Flowerpot Having Frame Function
JP2007259833A (en) Wooden plant pot
JP2517105Y2 (en) Pot for plant cultivation of orchids
JP3214359U (en) Pool seedling frame unit and frame structure
CN214961372U (en) A breeding device for farming
EP1037521A1 (en) Legged pot
KR100347590B1 (en) A seedling pot fixing frame
KR200333838Y1 (en) A cover for cultivation
CN220476410U (en) Forestry device of growing seedlings
KR200406781Y1 (en) Combinative flowerpot
JP2019170282A (en) Yam culture tool and system
CN210470481U (en) Seedling cultivation device placed in greenhouse
CN211210706U (en) Biodegradable seedling raising pot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