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03A -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03A
KR20220040603A KR1020200123480A KR20200123480A KR20220040603A KR 20220040603 A KR20220040603 A KR 20220040603A KR 1020200123480 A KR1020200123480 A KR 1020200123480A KR 20200123480 A KR20200123480 A KR 20200123480A KR 20220040603 A KR20220040603 A KR 20220040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ablet
audio
kitchen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20012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603A/ko
Publication of KR2022004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활용 가능한 태블릿 기기를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Kitchen TV system able to attach or detach a tablet}
본 발명은 주방용 화상 기기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5892호(2012.06.01)에서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에 고정되는 주방용 화상기기를 제안하였다. 이 주방용 화상기기는 디스플레이부재가 본체와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재를 독립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최근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이동이 용이한 태블릿(Tablet) 기기를 사용해 주방에서 요리 레시피를 검색하는 등 주방에서의 태블릿 기기 활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존의 주방용 화상기기와 태블릿 기기를 통합한 새로운 개념의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5892호(2012.06.01)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활용 가능한 태블릿 기기를 착탈식 디스플레이로 운용할 수 있는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이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에 고정되되, TV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영상 처리 회로가 내장되는 본체(Main Body)와; 본체에 결합되는 거치 홀더(Cradle Holder)와; 거치 홀더에 착탈되되, 본체에 의해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태블릿(Table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거치 홀더는 거치된 태블릿을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회로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거치 홀더는 본체에 결합되되, 무선 충전 회로가 모듈되는 배면체와; 배면체의 전면에 결합되되, 거치되는 태블릿을 상하에서 고정하는 유연성 고정구를 구비하는 전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영상 처리 회로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TV 방송 신호 중 채널 선택된 특정 채널 방송 신호만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채널 방송 신호에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태블릿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비디오 신호 처리 제어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제어를 포함하는 TV 방송 신호처리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영상 처리 회로가 비디오폰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폰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비디오 신호 처리부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비디오폰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WiFi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태블릿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 처리부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비디오 복조부와; 비디오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 변환부와; 비디오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오디오 복조부와; 오디오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와; 오디오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태블릿이 TV 방송 채널 조작, 비디오폰 조작 및 오디오 볼륨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TV 방송 채널 조작 명령, 비디오폰 조작 명형 및 오디오 볼륨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제반 명령을 본체의 영상 처리 회로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방송 제어 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이 거치 홀더와 본체 하부 사이에 결합되어, 거치 홀더를 본체 하부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팬틸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활용 가능한 태블릿 기기를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로 운용할 수 있어,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 제작 비용도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본체에 구현되는 영상 처리 회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팬틸트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100)은 본체(Main Body)(110)와, 거치 홀더(Cradle Holder)(120)와, 태블릿(Tablet)(130)을 포함한다.
본체(Main Body)(110)는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도면 도시 생략)에 고정되되, TV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영상 처리 회로(200)가 내장된다.
거치 홀더(Cradle Holder)(120)는 본체(110)에 결합되어, 태블릿(Tablet)(130)을 거치 및 고정한다. 이 때, 거치 홀더(120)가 거치된 태블릿(130)을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회로(도면 도시 생략)가 내장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 홀더(120)가 본체(110)에 결합되되, 무선 충전 회로가 모듈되는 배면체(121)와, 배면체(120)의 전면에 결합되되, 거치되는 태블릿(130)을 상하에서 고정하는 유연성 고정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유연성 고정구(122)는 고정되는 태블릿(130)이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도 1 과 같이 배면체(12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돌출 결합되는 한쌍의 고무 홀더 또는 도 2 와 같이 배면체(12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돌출 결합되는 두쌍의 고무 홀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태블릿(Tablet)(130)은 거치 홀더(120)에 착탈되되, 본체(110)에 의해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예컨대, 태블릿(Tablet)(130)이 WiFi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본체(110)의 영상 처리 회로(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태블릿(130)이 방송 제어 앱(도면 도시 생략)을 탑재하여 실행할 수 있다. 방송 제어 앱은 TV 방송 채널 조작, 비디오폰 조작 및 오디오 볼륨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TV 방송 채널 조작 명령, 비디오폰 조작 명형 및 오디오 볼륨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제반 명령을 본체(110)의 영상 처리 회로(200)로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한편, 테블릿(130)은 거치 홀더(120)에 거치되어 고정되면, 거치 홀더(120) 내부에 모듈된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해 무선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회로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 출원 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통상의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테블릿(130)은 본체(110)에 의해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거치 홀더(120) 내부에 모듈된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해 무선 충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활용 가능한 태블릿 기기를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로 운용할 수 있어,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 제작 비용도 저렴해진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본체에 구현되는 영상 처리 회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회로(200)는 튜너(210)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와,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튜너(210)는 안테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수신되는 TV 방송 신호 중 채널 선택된 특정 채널 방송 신호만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채널 방송 신호에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TV 방송 신호가 NTSC, PAL 등과 같은 아날로그 방송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성에 기초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나, 무선 랜에 기초한 이동통신용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일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는 튜너(210)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가 비디오 복조부(221)와, 비디오 변환부(222)와, 비디오 코덱(223)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복조부(221)는 튜너(210)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한다. 비디오 변환부(222)는 비디오 복조부(221)에 의해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비디오 코덱(223)은 비디오 변환부(222)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등과 같은 방식으로 압축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는 튜너(21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가 오디오 복조부(231)와, 오디오 변환부(232)와, 오디오 코덱(23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복조부(231)는 튜너(21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한다. 오디오 변환부(232)는 오디오 복조부(231)에 의해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오디오 코덱(233)은 오디오 변환부(232)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MPEG-4 AAC(Advanced Audio Coding) 등과 같은 방식으로 압축하여 출력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태블릿(130)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가 WiFi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태블릿(130)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250)는 비디오 신호 처리 제어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제어를 포함하는 TV 방송 신호처리 전반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50)가 태블릿(13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방송 제어 앱(도면 도시 생략)으로부터 전송되는 TV 방송 채널 조작 명령 등에 의해 비디오 신호 처리 제어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제어를 포함하는 TV 방송 신호처리 제어를 수행한다.
태블릿(13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방송 제어 앱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TV 방송 채널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제반 명령이 본체(110)의 영상 처리 회로(200)로 근거리 무선 전송되면, 제어부(250)가 비디오 신호 처리 제어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제어를 포함하는 TV 방송 신호처리 전반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본체(110)에 구현되는 영상 처리 회로(200)를 통해 TV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태블릿(130)으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전송하여 태블릿(130)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활용 가능한 태블릿 기기를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로 운용할 수 있어,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 제작 비용도 저렴해진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영상 처리 회로(200)가 비디오폰 처리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폰 처리부(260)는 비디오폰(도면 도시 생략)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폰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로 출력한다.
그러면,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는 비디오폰 처리부(260)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는 비디오폰 처리부(26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태블릿(130)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그러면, 태블릿(130)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비디오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비디오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주방에 설치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100)의 거치 홀더(120)에 거치된 태블릿(130)을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100)이 팬틸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틸트부(140)는 거치 홀더(120)와 본체(110) 하부 사이에 결합되어, 거치 홀더(120)를 본체(110) 하부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의 팬틸트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틸트부(140)가 본체(110) 하부에 수평(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팬(Pan)부(141)와, 거치 홀더(120) 배면 상부에 수직(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틸트(Tilt)부(142)와, 팬(Pan)부(141)와 틸트(Tilt)부(14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팬틸트부(140)에 의해 본체(110) 하부에 대해 거치 홀더(120)가 수평(좌우) 방향 및 수직(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거치 홀더(120)에 거치 및 고정된 태블릿(130)이 수평(좌우) 방향 및 수직(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활용 가능한 태블릿 기기를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로 운용할 수 있어,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의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용 티브이 시스템 제작 비용도 저렴하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주방용 화상 기기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110 : 본체
120 : 거치 홀더
121 : 배면체
122 : 유연성 고정구
130 : 태블릿
140 : 팬틸트부
141 : 팬부
142 : 틸트부
143 : 연결부
200 : 영상 처리 회로
210 : 튜너
220 : 비디오 신호 처리부
221 : 비디오 복조부
222 : 비디오 변환부
223 : 비디오 코덱
23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231 : 오디오 복조부
232 : 오디오 변환부
233 : 오디오 코덱
24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50 : 제어부
260 : 비디오폰 처리부

Claims (10)

  1.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에 고정되되, TV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영상 처리 회로가 내장되는 본체(Main Body)와;
    본체에 결합되는 거치 홀더(Cradle Holder)와;
    거치 홀더에 착탈되되, 본체에 의해 실시간 근거리 무선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태블릿(Tablet)을;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거치 홀더는:
    거치된 태블릿을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회로가 내장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거치 홀더는:
    본체에 결합되되, 무선 충전 회로가 모듈되는 배면체와;
    배면체의 전면에 결합되되, 거치되는 태블릿을 상하에서 고정하는 유연성 고정구를 구비하는 전면체를;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처리 회로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TV 방송 신호 중 채널 선택된 특정 채널 방송 신호만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채널 방송 신호에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태블릿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비디오 신호 처리 제어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제어를 포함하는 TV 방송 신호처리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영상 처리 회로가:
    비디오폰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폰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비디오 신호 처리부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비디오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WiFi 기반으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태블릿으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처리부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비디오 복조부와;
    비디오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 변환부와;
    비디오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튜너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오디오 복조부와;
    오디오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와;
    오디오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태블릿이:
    TV 방송 채널 조작, 비디오폰 조작 및 오디오 볼륨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TV 방송 채널 조작 명령, 비디오폰 조작 명형 및 오디오 볼륨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제반 명령을 본체의 영상 처리 회로로 근거리 무선 전송하는 방송 제어 앱을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이:
    거치 홀더와 본체 하부 사이에 결합되어, 거치 홀더를 본체 하부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팬틸트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KR1020200123480A 2020-09-24 2020-09-24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KR20220040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80A KR20220040603A (ko) 2020-09-24 2020-09-24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80A KR20220040603A (ko) 2020-09-24 2020-09-24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03A true KR20220040603A (ko) 2022-03-31

Family

ID=8093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80A KR20220040603A (ko) 2020-09-24 2020-09-24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6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892A (ko) 2010-11-24 2012-06-01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892A (ko) 2010-11-24 2012-06-01 코스텔(주) 주방용 화상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50900A1 (en) Screen projection audio and video playback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211702218U (zh) 音视频传输装置及音视频传输系统
EP1059809A2 (en) Adaptator for data transfer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television and method therefore
JP2007028633A (ja) 映像通信機能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及び映像通信方法
KR100703454B1 (ko) 다양한 화면 방식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KR101368698B1 (ko) 스마트폰 거치아암
JP2002534913A (ja) ピクチャアウトサイドピクチャ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遠隔制御システム
EP1601176A2 (en)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KR20220040603A (ko)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JP4372519B2 (ja) ビデオ電話機能付情報機器、それ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ビデオ電話機能付情報機器による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655453B1 (ko)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KR20130076948A (ko)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7831Y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간이 디엠비 셋톱박스
KR20230001295A (ko) 태블릿 착탈식 주방 티브이 시스템
US20160219324A1 (en) Smartphone television
KR101219899B1 (ko)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160792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home theater using a wireless terminal
KR200419915Y1 (ko) 무선마이크 수신기능을 갖는 티브이
KR19980065037A (ko) 가정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유/무선 자동제어 장치
KR100447584B1 (ko) 오디오/비디오 장치와 이동체 컴퓨터를 구비하는 다기능오디오/비디오 시스템
KR100587426B1 (ko) 휴대용 tv 모듈
KR200290348Y1 (ko) 아이엠티-2000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 및영상신호를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비디오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장치
KR100499521B1 (ko) 개인 통신 기기를 이용한 티브이 시스템의 영상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20060063043A (ko)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장치와 그를 이용한텔레비젼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3018A (ko)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