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562A -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562A
KR20220040562A KR1020200123044A KR20200123044A KR20220040562A KR 20220040562 A KR20220040562 A KR 20220040562A KR 1020200123044 A KR1020200123044 A KR 1020200123044A KR 20200123044 A KR20200123044 A KR 20200123044A KR 20220040562 A KR20220040562 A KR 2022004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machine set
unmanned vending
unmann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석남
Original Assignee
현석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석남 filed Critical 현석남
Priority to KR102020012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562A/ko
Publication of KR2022004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가 인터넷망(60)을 통해 설정아이디로 가입하여 판매물품을 주문하고, 무인판매기세트(10)의 판매 재고를 파악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안내하는 어플을 제공하는 메인서버(30); 메인서버(30)와 연동하여 물품구매 대금을 스마트기기(20) 가입자가 결제하는 결제서버(40); 및 메인서버(30)에서 무인판매기세트(10) 내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에 보충토록 관리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된 시스템이며; 무인판매기세트(10)는 해당 물품을 인식하는 센서부, 선택되어 작동하는 센서부((S10~S1n)~ (Sn0~Snn))중의 센싱값을 제어부(18)가 인식 가능토록 변환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 (17)를 포함하고; 인터넷망(60)과 쌍방향통신하는 모뎀(11); 사용자가 구매시 지불할 카드를 가입자스마트기기(20) 화면을 통해 인식하는 카메라(12); 제어부(18)에서 카드를 인식하여 구매품목 수량 및 가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a); 디스플레이(15a)의 품목을 선택하는 키보드(15); 및 키보드(15)의 선택을 제어부(18)에서 인식하여 출하하는 출하구동부(14)를 포함하며, 어플을 통하여 메인서버에서 가입자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결제하고, 묶음물품 구매시 묶음 내에서 반복 출하토록 하여 구매의 편리와 유지비 축소의 이익창출이 가능토록 한다.

Description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Auto take-out slot machine set and it's Sale method}
본 발명은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무인점포 시스템 관련 기술은 국내특허등록 10-0988754호로 개시되어 있고, 온라인 상거래와 오프라인 상거래의 복합적인 전자상거래 기술은 국내공개특허10-2000-0037269호로 알려져 있고, 통합음식제공 서비스관련 기술은 국네특허등록 10-1645157호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무인점포들을 일괄 관리하고, 판매한 물품 보충은 별도의 물류저장관리서버에서 담당하는 방법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점포판매기를 매장 시설 및 다수의 사람이 이동하는 공공기관, 공원, 지하철, 대로변 등에 설치하고 이들을 인터넷 통신망으로 메인서버의 관리하에 판매량과 재고량을 관리토록 하고, 사용자는 메인서버와 결제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물품을 카드 등으로 구입토록 하여 사용자에게는 현금 사용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선결제 여부를 확인하여 일시에 묶음물품을 구입한 경우, 결제금액 내에서 하나씩 출하 가능토록 하는 새로운 판매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용을 결제하는 결제서버와, 물품을 관리하여 무인판매기에 보충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를 두고 무인판매기는 물품의 구매 및 관리를 하지 않아도 판매 및 관리가 가능토록 하는 무인 테이크아웃 판매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메인서버를 매개로 설정아이디로 가입하여 판매물품을 주문토록하고, 해당 무인판매기세트의 판매현황 및 재고를 파악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안내하는 어플을 제공하는 메인서버;
메인서버와 연동하여 물품구매 대금을 스마트기기 가입자가 결제토록하는 결제서버; 및
메인서버에서 무인판매기세트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부족한 물품을 해당 무인판매기세트로 운송하여 보충토록 관리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로 시스템을 이루고;
상기 무인판매기세트는 해당 물품별, 위치별로 인식하는 센서부, 선택되어 작동하는 센서부의 센싱값을 제어부가 인식 가능토록 변환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인터넷망과 설정 아이디로 쌍방향 통신하는 모뎀;
사용자가 구매시 지불할 카드 등의 지불수단을 가입자스마트기기 화면이나 별도의 카드를 통해 인식하는 카메라;
카메라를 통해 제어부에서 인식하면 구매할 품목,수량 및 가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한 품목 중에 원하는 상품 및 개수를 선택하는 키보드;
키보드의 선택을 제어부에서 인식하여 선택 상품을 출하하도록 구동하는 출하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무인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인판매기세트와 가입자스마트기기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로그인단계(S10);
로그인을 수행하면 메인서버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로 안내하는 안내단계(S15);
안내단계(S15)에 의한 무인판매기세트의 안내물품에서 구매물품 및 개수를 선택하여 구매결정토록하는 구매단계(S20);
구매단계(S20)에 이어 결제서버에서 구매물품 및 개수에 따라 비용을 결제하면 메인서버는 무인판매기세트에서 해당 물품을 출하토록 하는 결제단계(S30); 및
메인서버는 판매 및 출하한 물품을 확인하여 물류저장 관리서버로 통보하고, 해당 무인판매기세트의 물품재고 현황도 통보하는 통보단계(S40)를 순차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테이크아웃 판매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무인판매기세트를 메인서버와 연동하여 무인으로 관리하고, 가입자는 가입자스마트기기 내장카드나 별도의 카드나 별도의 현찰대용 쿠폰 등의 지불수단을 카메라 인식이나 별도의 지불인식수단으로 확인하여 구매토록 하므로 별도의 판매공간과 유지비 없이도 무인으로 운영 가능하다.
또한 박스로 구입한 상품은 선결제 인지를 확인하여 집에 적재할 필요없이 필요시에만 무인판매기세트에서 출하하여 편리하게 쓸 수 있어, 경제 개념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이 물품구매 및 출하하기에 좋다.
메인서버는 결제서버와 협력하여 무인점포 개념의 무인판매기세트를 임대할 수도 있고 판매도 하며, 관리도 해줌으로써 무인판매기세트 구매자는 별도의 시간 소비 없이 이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신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인판매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인판매기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부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도 1 과 같이,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가 인터넷망(60)을 통해 메인서버(30)를 매개로 설정아이디로 가입하여 판매물품을 주문토록하고,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의 판매현황 및 재고를 파악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안내하는 어플을 무인판매기세트(10)에 제공하는 메인서버(30);
메인서버(30)와 연동하여 물품구매 대금을 스마트기기(20) 가입자가 결제토록하는 결제서버(40); 및
메인서버(30)에서 무인판매기세트(10)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부족한 물품을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로 운송하여 보충토록 관리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시스템을 이루고;
상기 무인판매기세트(1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해당 물품별, 위치별로 물품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부((S10~S1n)~(Sn0~Snn)), 선택되어 작동하는 센서부((S10~S1n)~(Sn0~Snn))중의 해당 센싱값을 제어부(18)가 인식 가능토록 변환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17)를 포함하고;
인터넷망(60)과 설정 아이디로 쌍방향 통신하는 모뎀(11);
사용자가 구매시 사용한 가입자스마트기기(20) 내장카드 화면이나 별도의 카드를 인식하는 카메라(12);
카메라(12)를 통해 제어부(18)에서 인식한 카드로 구매할 품목, 개수 및 해당 가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a);
디스플레이(15a)에서 표시한 품목 중에 원하는 물품 및 개수를 선택하는 키보드(15);
키보드(15)의 선택을 제어부(18)에서 인식하여 선택 상품을 출하하도록 구동하는 출하구동부(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무인판매기세트(10)에는 도 2 와 같이 추가로 엔에프시리더(13)를 부가하고, 엔에프시리더(13)의 인식은 제어부(18)에서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도 1 에보인 (32)는 메인서버(30)에서 무인판매기세트(10)에 관한 정보와, 판매내역 및 가입자스마트기기(20) 사용자의 아이디와 결제서버(40)로부터 받은 결제내역 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 (42)는 결제서버(40)에서 결제금액과 결제한 가입자스마트기기(20)의 아이디나 카드번호 등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매하는 방법은,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가 인터넷망(60)을 통해 설정아이디로 가입하여 판매물품을 주문하도록하고,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의 판매현황 및 재고를 파악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Deep Running) 구매시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안내하는 어플을 제공하는 메인서버(30);
메인서버(30)와 연동하여 물품구매 대금을 스마트기기(20) 가입자가 내장카드나 별도의 카드 또는 지불가능한 디지탈 쿠폰(화폐) 등의 결제가능수단으로 결제토록하는 결제서버(40); 및
메인서버(30)에서 무인판매기세트(10)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부족한 물품을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로 운송하여 보충토록 관리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어플은 도 5 와 같이 메인서버(30)는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에 어플을 설치할 때 아이디를 부여하여 메인서버(30)의 저장장치(32)에 아이디별로 저장하는 로그인단계(S10)를 수행한다.
이어 로그인하면 메인서버(30)는 인공지능(AI) 을 이용하여(Deep Running)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안내하는 안내단계(S15);
안내단계(S15)에 이어 무인판매기세트(10)의 상품(판매 물품)을 가입자스마트기기(20) 화면이나 무인판매기세트(10)의 디스플레이(15a)를 통하여 선택하여 물품 및 개수를 선택하는 구매단계(S20); 및
구매단계(S20)에 이어 메인서버(30)는 결제서버(40)에서 선택물품 가격을 결제하고, 박스형 묶음 구매 물품을 결제한 경우 무인판매기세트(10)의 제어부(18)에서는 구매 금액 및 묶음구매 여부를 확인하고, 결제금액 한도 내에서 원하는 물품을 나누어 무인판매기세트(10)에서 출하토록 하는 결제단계(S30)를 수행한다.
출하시에는 디스플레이(15a)에 지불한금액과 출하 가능한 상품 및 개수(박스형태의 묵음 구매시)를 리스트업하면, 가입자스마트기기(20) 사용자는 키보드(15)로 원하는 상품(번호) 및 개수를 눌러서 출하를 요청한다. 그러면 제어부(18)는 해당 상품의 적재대에 있는 상품 출하 구동부(14)를 구동시키고(예를 들어 도어 개폐식, 언로딩 방식 등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 출하 설명은 생략한다), 출하시에는 해당 상품이 적재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하는 센서부(16)의 해당 센서(예를 들어 포토커플러, 마이크르스위치센서 등)의 변동을 인식하여 출하 여부와 개수를 제어부(18)에서 확인토록 한다. 구입 후 출하 요청시 인출구(19a)를 통하여 출하하면 무인으로 구매 가능하게 된다.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는 판매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어부(18)에서 인식하고 이를 모뎀(11)을 통하여 도 1 에 보인 인터넷망(60)을 통하여 메인서버(30)로 통보한다. 메인서버(30)는 판매한 물품 재고를 확인하여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통보하는 통보단계(S40)를 순차 수행한다.
상기, 통보단계(S40) 후에 메인서버(30)에서는 저장장치(32)를 통하여 구축한 데이타베이스를 기초로,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 내의 판매 가능한 물품이 하루 예상판매 개수 미만으로 확인되면, 메인서버(30)는 물류저장 관리서버(50)에서 별도의 운송라인을 통해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에 보충토록하고,
무인판매기세트(10)는 보충 여부를 내장 물품확인센서(16)를 통하여 인터넷망으로 메인서버(30) 및 물류저장 관리서버(50)에 통지하여 보충하는 물류보충단계(S50)를 더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카드는 가입자스마트기기(20)내에 내장한 내장형카드나 별도의 카드를 사용 할 수 있고, 이 카드 인식은 카메라(12)외에 별도의 카드결제기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추가하는 결제방식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부가설명은 생략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주문 물품 선택(구매단계(S20))은 무인판매기세트(10)의 디스플레이(15a)화면을 통하여 선택할수도 있고, 가입자스마트기기(20) 화면에서 제공하는 어플제공 선택화면을 통하여 선택 가능함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결제 또한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가 메인서버(30)를 매개로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연동토록 하여, 구매단계(S20) 와 결제단계(S30)를 수행토록 하고 물품 출하만 해당위치의 무인판매기세트(10)에서 출하도록 하면, 예를들어 묶음 구매의 경우 A위치의 무인판매기세트(10)에서 하나를 출하하고, B위치의 무인판매기세트(10)에서 다른 하나를 출하토록 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10;무인판매기세트 11;모뎀 12;카메라 13;엔에프시리더 14;출하구동부 15;키보드 15a;디스플레이 16;센서부 17;입출력인터페이스 18;제어부 19;벡도어 19a;인출구 20;가입자스마트기기 30;메인서버 32;저장장치 40;결제서버 42;저장장치 50;물류저장 관리서버 60;인터넷망

Claims (4)

  1.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가 인터넷망(60)을 통해 설정아이디로 가입하여 판매물품을 주문토록하고,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의 판매현황 및 재고를 파악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Deep Running)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로 안내하는 어플을 제공하는 메인서버(30);
    메인서버(30)와 연동하여 물품구매 대금을 스마트기기(20) 가입자가 결제토록하는 결제서버(40); 및
    메인서버(30)에서 무인판매기세트(10)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부족한 물품을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로 운송하여 보충토록 관리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시스템을 이루고;
    상기 무인판매기세트(10)는 해당 물품별, 위치별로 인식하는 센서부((S10~S1n)~(Sn0~Snn)), 선택되어 작동하는 센서부((S10~S1n)~(Sn0~Snn))중의 센싱값을 제어부(18)가 인식 가능토록 변환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17)를 포함하고;
    인터넷망(60)과 설정 아이디로 쌍방향 통신하는 모뎀(11);
    사용자가 구매시 지불할 내장카드나 별도의 카드를 선택하여 가입자스마트기기(20)화면이나 별도의 카드를 인식하는 카메라(12);
    카메라(12)를 통해 제어부(18)에서 인식한 카드로 구매할 품목, 개수 및 해당 가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a);
    디스플레이(15a)에서 표시한 품목 중에 원하는 상품 및 개수를 선택하는 키보드(15);
    키보드(15)의 선택을 제어부(18)에서 인식하여 선택 상품을 출하하도록 구동하는 출하구동부(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무인판매기세트(10)에는 카드 인식용 엔에프시리더(13)를 부가하고, 엔에프시리더(13)의 인식은 제어부(18)에서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3.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가 인터넷망(60)을 통해 설정아이디로 가입하여 판매물품을 주문하도록하고,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의 판매현황 및 재고를 파악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Deep Running) 구매시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인내하는 어플을 제공하는 메인서버(30);
    메인서버(30)와 연동하여 물품구매 대금을 스마트기기(20) 가입자의 내장 카드나 별도의 카드 또는 지불 가능한 디지탈 쿠폰(화폐) 등의 결제가능수단중의 하나로 결제토록하는 결제서버(40); 및
    메인서버(30)에서 무인판매기세트(10)의 재고량을 파악하여 부족한 물품을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로 운송하여 보충토록 관리하는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시스템을 이루고;
    상기 어플은 무인판매기세트(10)와 가입자스마트기기(20)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로그인단계(S10);
    로그인을 수행하면 메인서버(30)는 인공지능(AI) 을 이용하여(Deep Running) 판매물품별 판매데이타를 기초로 인기상품을 우선순위별로 안내하는 안내단계(S15);
    안내단계(S15)에 이어 무인판매기세트(10)의 상품(판매 물품)을 가입자스마트기기(20) 화면이나 무인판매기세트(10)의 디스플레이(15a)를 통하여 선택하여 상품 및 개수를 선택하는 구매단계(S20);
    구매단계(S20)에 이어 메인서버(30)는 결제서버(40)에서 선택물품 가격을 결제하고, 박스형 묶음 구매 물품을 결제한 경우 무인판매기세트(10)의 제어부(18)에서는 구매 금액 및 묶음구매 여부를 확인하고, 결제금액 한도 내에서 원하는 물품을 나누어 무인판매기세트(10)에서 출하토록 하는 결제단계(S30); 및
    메인서버(30)는 구입한 물품을 확인하여 물류저장 관리서버(50)로 통보하고, 해당 무인판매기 세트(10)의 물품재고 현황도 통보하는 통보단계(S40)를 순차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테이크아웃 판매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통보단계(S40) 후에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 내의 판매 가능한 물품이 하루 예상판매 개수 미만이면 물류저장 관리서버(50)에서 지시한 운송업자나 별도의 운송라인을 통해 해당 무인판매기세트(10)에 보충토록하고,
    무인판매기세트(10) 내의 내장 물품확인센서를 통하여 잔고를 확인하여 인터넷망으로 물류저장 관리서버(50)에 통지하여 부족한 물품을 보충하는 물류보충단계(S50)를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테이크아웃 판매방법.
KR1020200123044A 2020-09-23 2020-09-23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KR20220040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44A KR20220040562A (ko) 2020-09-23 2020-09-23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044A KR20220040562A (ko) 2020-09-23 2020-09-23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562A true KR20220040562A (ko) 2022-03-31

Family

ID=8093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044A KR20220040562A (ko) 2020-09-23 2020-09-23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5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0889B2 (en) Purchased item management and promotional system
US11663646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provision of goods
US63971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vending a combination of products
CN108564444B (zh) 一种自动售货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6710071A (zh) 一种带射频芯片识别的自动售卖系统
US20120004769A1 (en) Automated retail shelf units and systems
US20040249497A1 (en) System, method and process for order and delivery of classified goods and services through an amalgamated drive-thru complex
KR102067398B1 (ko) 벤딩 머신화된 무인 상품판매점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방법
KR101547084B1 (ko)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WO2015131769A1 (zh) 自助商品售货终端机以及配送售卖一体机系统
KR20110012237A (ko) 골드바 자판기
KR101520338B1 (ko)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시각화 매장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의 매장 통합 관리 프로그램
JP2008511914A (ja) 容器を備えた店頭分配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07330765A (zh) 一种基于快捷支付技术的共享租赁式销售方法
CN107705431A (zh) 一种出货控制方法、装置、自动售货机、取货方法及装置
CN107730724A (zh) 自动售货机
WO20191307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
CN108806068A (zh) 售卖机、售卖服务器、售卖客户端及方法
CN207587060U (zh) 自动售货机
KR102041564B1 (ko) 멀티 자판기의 상품 판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5575005B (zh) 光碟自动租赁机及其系统、方法
US202100274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ordered custom-prepared food
KR20220040562A (ko) 무인 테이크아웃 무인판매기세트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RU2723144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дажей товаров
KR20220153720A (ko) 상품 분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