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552A -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 Google Patents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552A
KR20220040552A KR1020200122957A KR20200122957A KR20220040552A KR 20220040552 A KR20220040552 A KR 20220040552A KR 1020200122957 A KR1020200122957 A KR 1020200122957A KR 20200122957 A KR20200122957 A KR 20200122957A KR 20220040552 A KR20220040552 A KR 20220040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unit
arm
robot device
for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9993B1 (en
Inventor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12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993B1/en
Publication of KR2022004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9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77Elb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61H2201/1223Frequency controlled A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tholog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ce sensor which measures the strength of force generated in a stroke motion which is repeated forward and backward during liposuction using a cannula; a forc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and a force control motor unit operated by a signal of the force control unit. Therefore, user's elbow movement is minimized to protect joints and reduce muscle fatigue.

Description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본 발명은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 하게는, 손과 팔꿈치 움직임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장시간 사용가능한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fatigue of hand and elbow movements and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최근 현대인들이 외적인 모습을 가꾸는데 많은 투자를 하면서 성형수술, 지방 흡입 수술 및 시술등 성형을 하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지방흡입 수술은 미용목적 외에도 건강, 치료의 목적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수술로, 지방 흡입은 일반적으로 캐뉼라를 지방층에 삽입하여 캐뉼라에 형성된 홀로 지방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즉, 지방 흡입술은 피부층, 지방층, 근육층으로 이루어진 피부에 캐뉼라를 지방층에 삽입하여 지방읍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것으로 복부, 허벅지, 엉덩이, 팔뿐만 아니라 얼굴의 지방까지도 제거할 수 있고, 지방종 제거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방 흡입은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스트로크 동작으로 인해 시술자의 손목 및 팔꿈치에 무리가 가게 되어 시술자의 체력적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as modern people make a lot of investment to improve their external appearance, the number of people who undergo plastic surgery, liposuction and other procedures is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liposuction is a surgery that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not only for cosmetic purposes, but also for health and treatment purposes. In general, liposuction removes fat by inserting a cannula into the fat layer and sucking the fat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cannula. In other words, liposuction involves inserting a cannula into the skin layer consisting of the skin layer, the fat layer, and the muscle layer, and sucking and discharging the fat. is becoming Such liposuc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or's wrist and elbow are strained due to repeated stroke motions,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or's physical fatigue.

한국등록특허 제10-1979707호(2019.05.13.)는 착용자 팔의 하박 외측에 배치되며 착용자 손목의 롤링시 절대 위치가 유지되는 베이스부; 착용자의 손등에 결합되어 착용자 손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손고정부; 베이스부와 손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베이스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손고 정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링크; 및 베이스부와 손고정부의 사이에서 제1링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손고정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9707 (2019.05.13.) discloses a base par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arm of the wearer's arm and maintaining an absolute position when the wearer's wrist is rolled; a hand fix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wearer's hand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wearer's hand is rotated; a first link dispos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hand fixing part, one e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art, and the other e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hand fixing part; and a second link disposed so as to cross the first link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hand fixing part, one e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art, and the other e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 fixing part.

한국등록특허 제10-1979707호(2019.05.13.)는 착용자의 상완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착용자에 작용하는 힘을 감지하여 마이컴부에 전달하도록 상완부 링크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근력측정장치 및 구동모터를 고정시키는 상완부 프레임과, 상완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근력을 측정하는 근력측정장치와, 상완부 링크의 상단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어깨를 감싸며 착용자의 팔에 웨어러블 로봇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완고정 어깨걸이로 이루어진 상완부 링크와, 착용자의 전완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착용자의 손목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이컴부에 전달하는 전완부 링크와, 상완부 링크와 전완부 링크의 사이에 형성되어 팔꿈치의 각도변화 및 회전속도의 정보를 전달받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착용자의 근력을 보조하고, 팔꿈치 회전에 따라 상완부 링크와 전완부 링크를 유연하게 상호 회전시키는 관절부로 구성되는 상완이두근의 근력측정·팔꿈치 움직임을 이용한 팔꿈치 근력 증강용 웨어러블 로봇에 있어서, 상기 상완부 링크는 상완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U'자 형상 측정장치의 양 끝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탄성 측정밴드가 결합되어 상완이두근의 근력 사용여부를 측정하는 근력측정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Korea Patent No. 10-1979707 (2019.05.13.) is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er's upper arm to sense the force acting on the wearer and transmit the overall support to the upper arm link,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 driving motor It consists of a frame for fixing the upper arm,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coupled to the frame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and a shoulder strap tha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nk of the upper arm and wraps around the wearer's shoulder so that the wearable robot can be fixed on the wearer's arm. The upper arm link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rm link and the forearm link, which is fixed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er's forearm,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earer's wrist and transmits it to the microcomputer. I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biceps brachii and converts it into mechanical energy to assist the wearer's muscle strength, and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biceps brachii muscle, which is composed of a joint that flexibly rotates the upper arm link and forearm lin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lbow. In the wearable robot, the upper arm link is a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whether or not to use the muscle strength of the biceps brachii by combining three elastic measuring bands at regular intervals at both ends of a 'U' shape measuring devi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arm frame. is comprised of

한국등록특허 제10-1478102호(2014.12.24.)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8102 (2014.12.24.) 한국등록특허 제10-1979707호(2019.05.1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9707 (2019.05.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팔꿈치 앞뒤 움직임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많이 쓰는 사용자의 팔꿈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관절을 보호하고 근육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that protects joints and reduces muscle fatigue by minimizing the elbow movement of a user who repeatedly uses the elbow fore and aft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세하게 같은 힘을 유지하며 계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일을 할 때 힘의 강도를 모니터링하여 과학적,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되는 지 확인 가능한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orce that can be accurately performed scientifically and numerically by monitor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when doing the work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maintaining the same fine force. provid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왼손과 오른손에 모두 착용 가능한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force that can be worn on both the left and right hand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실시예들 중에서, 캐뉼라를 이용한 지방 흡입 시술 시 전진 및 후진을 왕복하며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스트로크 동작에서 발생하는 힘의 강도를 측정하는 포스 센서부(Force Sensor)와, 상기 포스 센서부에서 측정된 힘의 강도를 기초로 일정 범위 내에서 힘의 강도를 조절하는 포스 조절 신호를 발생하는 포스 조절부와, 상기 포스 조절부의 포스 조절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포스 조절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force senso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force generated in a stroke motion that is repeatedly performed forward and backward during a liposuction procedure using a cannula, and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rc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orc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force control unit, and a force control motor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force control signal of the force control unit.

상기 포스 센서부에서 측정된 힘의 강도를 데이터화 한 후 이를 저장하는 포스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c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ata after the strength of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unit.

상기 포스 센서부는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관절의 움직임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ce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measured through the motion sensor in the data storage unit.

상기 팔 보조 로봇 장치는 다수의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피부 조직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 지방 흡입 부위에 해당하는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또는 상기 캐뉼라의 위치를 감지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m-assisted robo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units, wherein the measuring unit measures a change in a patient's skin tissue,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fat layer corresponding to a liposuction site, or a measur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nnul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wealth.

상기 측정부는 상기 캐뉼라의 삽입 각도 및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캐뉼라의 삽입 각도 또는 삽입 깊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의 동작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surement unit further includes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insertion angle and depth of the cannula, and when the insertion angle or insertion depth of the cannul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of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stops characterized.

상기 팔 보조 로봇 장치는 시술자의 팔 상단을 감싸는 제1 스트랩과, 상기 제1 스트랩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시술자의 손목에 인접한 제2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 사이에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includes a first strap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or's arm, a second strap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ap, and adjacent to the operator's wrist,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s mounted therebetween.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는 상기 시술자의 팔꿈치에 위치하며,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와 인접하여 상기 팔꿈치를 보호하는 보호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s positioned on the operator's elbow, and adjacent to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elbow.

상기 팔 보조 로봇 장치는 시술 부위를 평평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뉼라를 사용하는 손의 반대 손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m-assisted robot device further includes a fixing unit for flatly fixing the treatment site, and the fix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opposite hand of the hand using the cannula.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는 팔꿈치 앞뒤 움직임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많이 쓰는 사용자의 팔꿈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관절을 보호하고 근육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joints and reducing muscle fatigue by minimizing the elbow movement of a user who repeatedly uses the elbow fore and aft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는 미세하게 같은 힘을 유지하며 계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일을 할 때 힘의 강도를 계속 모니터링하여 과학적,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되는 지 확인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scientifically and numerically accurately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when doing the work to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fine force.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check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는 왼손과 오른손에 모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하는 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worn on both the left and right hands,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는 지방 흡입 시술을 진행하는 시술자에게 장착할 수 있으며, 팔 보조 로봇 장치의 모터부를 동작시켜 팔의 힘을 덜 사용하면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시술자의 팔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시술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can be installed on the operator performing liposuction, and it operates the motor unit of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to allow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while using less arm power, and is placed directly on the operator's arm. It serves to reduce the operator's fatigue by disper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먼저, 팔 보조 로봇 장치(100)는 포스 센서부(110), 포스 데이터 저장부(120), 포스 조절부(130) 및 포스 조절 모터부(140)를 포함한다.First,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100 includes a force sensor unit 110 , a force data storage unit 120 , a force control unit 130 , and a force control motor unit 140 .

포스 센서부(110)는 지방흡입 시술 시 시술자의 근육 및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힘의 강도를 측정한다. 캐뉼라를 이용한 지방 흡입 시술 시 시술자의 팔은 전진 및 후진을 왕복하며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스트로크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포스 센서부(110)를 통해 스트로크 동작 시 발생되는 힘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포스 센서부(110)에서 힘의 강도를 측정함에 따라 미세하게 같은 힘을 유지하며 계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일을 할 때 힘의 강도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과학적,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되는 지 확인할 수 있다.The force sensor unit 110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forc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or's muscles and joints during liposuction. During a liposuction procedure using a cannula, the operator's arm performs a stroke operation that is repeatedly performed by reciproc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trength of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stroke operation can be measured through the force sensor unit 110 . As the force sensor unit 110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force, it maintains the same force finely and monitors the strength of the forc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when doing the work that needs to be done continuously to check whether it is performed scientifically and numerically accurately. can

포스 데이터 저장부(120)는 포스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힘의 강도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포스 데이터 저장부(120)는 스트로크 동작 시 발생하는 힘의 강도를 다수의 기준을 두고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시술자별로 분석하거나 환자의 신체 조건 유사도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force data storage unit 120 converts the strength of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unit 110 into data and stores it. The force data storage unit 120 may classify and store the strength of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stroke operatio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riteria and set criteria.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nalyze data for each operator or to analyze and store data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또한, 포스 데이터 저장부(120)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의 저장 데이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전에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받아 재저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orce data storage unit 12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so that the stored data can be transmitted to external stored data, and can also receive and re-store previously measured data.

포스 조절부(130)는 포스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힘의 강도를 기초로 힘의 강도를 조절하는 포스 조절 신호를 발생한 후 송신한다. 포스 조절부(130)는 포스 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직접 전달받거나 포스 데이터 저장부(120)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포스 조절부(130)는 기 설정된 조절 범위 내에서 힘의 강도를 어느 정도 조절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시술자가 임의로 조절 범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The force adjustment unit 130 generates and then transmits a force adjustment signal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unit 110 . The force adjusting unit 130 receives measured data directly from the force sensor unit 110 or receives stored data through the force data storage unit 120 . The force adjusting unit 130 determines to what extent the strength of the force is to be adjusted within a preset adjustment range, and the operator may arbitrarily change the adjustment range.

포스 조절 모터부(140)는 포스 조절부(130)로부터 전달받은 포스 조절 신호에 따라 모터부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포스 조절 모터부(140)의 동작이 결정되면, 정해진 속도로 모터부가 작동하여 지방 흡입 과정의 시술자의 스트로크 동작을 보조한다. 포스 조절 모터부(140)는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동작할 수 있으며, 시술자의 설정에 따라 속도가 점차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포스 조절 모터부(140)가 동작함에 따라 시술자의 팔꿈치 및 손목에 들어가는 힘이 줄어들어 시술자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motor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forc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orce control unit 130 . When the operation of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140 is determined, the motor unit operates at a predetermined speed to assist the operator's stroke operation in the liposuction process.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140 may operat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eed, and may operate such that the speed is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operator. As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140 operates, the force entering the operator's elbow and wrist is reduced, so that the operator's fatigue can be reduc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팔 보조 로봇 장치(200)는 포스 센서부(210), 데이터 저장부(230) 및 측정부(2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200 includes a force sensor unit 210 , a data storage unit 230 , and a measurement unit 240 .

포스 센서부(210)는 시술자의 스트로크 동작을 감지하여 힘의 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220)를 더 포함한다. 모션 센서(220)는 시술자의 관절 움직임을 측정하여 데이터화 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향후의 지방 흡입 시술 시 비교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The force sensor unit 210 serves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force by detecting the stroke motion of the operator, and further includes a motion sensor 22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The motion sensor 220 measures and converts the motion of the operator's joints into data, and then stores the measured data in the data storage unit 230 . The stored data can be used as comparative data for future liposuction procedures.

측정부(240)는 지방 흡입 시술 시 환자의 피부 조직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250), 지방 흡입 부위에 해당하는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260) 및 캐뉼라의 위치를 감지하는 측정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unit 240 includes a measurement unit 250 for measuring changes in the skin tissue of a patient during liposuction, a measurement unit 260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fat layer corresponding to the liposuction site, and a measurement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nnula (270)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외에도 캐뉼라의 삽입 각도 및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24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되거나, 포스 조절 모터부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측정부(240)에서 측정된 캐뉼라의 삽입 각도 또는 삽입 깊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는 포스 조절 모터부의 동작이 정지된다. 기 설정된 값은 환자의 신체 데이터, 시술 부위의 크기 및 지방의 분포도를 기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시술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unit 280 for measuring the insertion angle and depth of the cannula. Dat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40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30 or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When the insertion angle or insertion depth of the cannul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24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of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s stopped. The preset value may vary based on the patient's body data, the size of the treatment site, and the distribution of fat, and may be changed by the operator.

여기서, 캐뉼라는 몸속에 삽입하는 관으로서, 선단부는 밀폐되고 후단부는 개방되며, 시술 부위인 지방층에 삽 입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지방 세포를 파괴하여 지방 세포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캐뉼라는 밀폐되는 선단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시술 부위 삽입 시 신체 내부 기관 또는 근육에 상처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뉼라는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는 의료 기구에 해당하고 흉강이나 복강에 삽입하여 액체를 추출 또는 혈관 내에 삽입하여 채혈할 수 있으며, 기관절개술을 수행하는 경우 기관 내에 삽입하여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cannula is a tube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 front end is closed and the rear end is open. The cannula is inserted into the fat layer, which is the treatment site, and moved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o destroy the fat cells and extract the fat cells to the outside. The cannula has a streamlined tip that is sealed to prevent injury to internal organs or muscles when inserting a surgical site. In addition, a cannula is a medical device that allows liquid or air to pass through, and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hest cavity or abdominal cavity to extract liquid or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to collect bloo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3 shows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팔 보조 로봇 장치(300)는 시술자의 팔 상단을 감싸는 제1 스트랩(310) 및 제1 스트랩(3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시술자의 손목에 인접한 제2 스트랩(3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300 includes a first strap 310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or's arm, and a second strap adjacent to the operator's wrist ( 320).

팔 보조 로봇 장치(300)는 제1 스트랩(310)과 제2 스트랩(320) 사이에 포스 조절 모터부(330)가 장착된다. In the arm assist robot device 300 , the force control motor 330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strap 310 and the second strap 320 .

포스 조절 모터부(330)는 시술자의 팔꿈치 관절 부분에 위치하며, 제1 스트랩(310)과 결합된 제1 연결부(315)와 연결된 제1 모터부(330a) 및 제2 스트랩(320)과 결합된 제2 연결부(325)와 연결된 제2 모터부(3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부(330a)는 시술자 팔 상단의 움직임을 보조하고, 제2 모터부(330b)는 시술자 손목의 움직임을 보조한다.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330 is located at the operator's elbow joint, and is coupled to the first motor unit 330a and the second strap 32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315 coupled to the first strap 310 .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tor unit 330b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5 . The first motor unit 330a assists the movement of the operator's upper arm, and the second motor unit 330b assists the movement of the operator's wrist.

제1 모터부(330a) 및 제2 모터부(330b)는 제3 스트랩(340)을 통해 시술자의 팔에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포스 조절 모터부(330)와 인접하여 팔꿈치를 보호하는 보호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otor unit 330a and the second motor unit 330b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operator's arm through the third strap 340 , and adjacent to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330 to protect the elbow It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또한, 팔 보조 로봇 장치(300)는 시술 부위를 평평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캐뉼라를 사용하는 손의 반대 손에 장착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시술자의 시술 방법에 따라 고정부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3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for flatly fixing the treatment site. The fixing part is preferably used after being mounted on the opposite hand of the hand using the cannul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method of the operator.

팔 보조 로봇 장치(300)는 왼손과 오른손에 모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시술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에 따라 손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300 is formed to be worn on both the left and right hand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and mainly used by the operato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n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포스 센서부(도 1의 '110')에서 지방 흡입 시술 과정에서 스트로크 동작 시 발생하는 시술자의 힘의 강도를 측정한다(S410). 포스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힘의 강도를 데이터화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S420). Referring to FIG. 4 , the force sensor unit ( '110' in FIG. 1 )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operator's force generated during a stroke operation during the liposuction procedure ( S410 ). The intensity of the force measured through the force sensor unit is converted into data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S420).

다음으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일정 범위 내에서 힘의 강도를 조절하는 포스 조절 신호를 발생한다(S430). Next, a forc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generated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S430).

포스 조절 신호를 포스 조절 모터부로 전송한다. 포스 조절 모터부는 포스 조절 신호를 전송받아 동작하며,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모터부의 동작 정도를 조절한다(S440). The forc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operates by receiving the force control signal, and adjusts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motor unit within a preset range (S4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 보조 로봇 장치는 팔꿈치 앞뒤 움직임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많이 쓰는 사용자의 팔꿈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관절을 보호하고 근육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joints and reducing muscle fatigue by minimizing the elbow movement of a user who repeatedly uses the elbow fore and aft for a long time.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applica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may be changed.

100, 200, 300 : 팔 보조 로봇 장치
110, 210 : 포스 센서부 120, 230 : 데이터 저장부
130 : 포스 조절부 140, 330 : 포스 조절 모터부
240 : 측정부 250 : 피부 조직 변화 측정부
260 : 지방층 두께 측정부 270 : 캐뉼라 위치 측정부
280 : 캐뉼라 삽입 각도 및 깊이 측정부
310 : 제1 스트랩 315 : 제1 연결부
320 : 제2 스트랩 325 : 제2 연결부
330a : 제1 모터부 330b : 제2 모터부
340 : 제3 스트랩
100, 200, 300: arm assisting robot device
110, 210: force sensor unit 120, 230: data storage unit
130: force control unit 140, 330: force control motor unit
240: measurement unit 250: skin tissue change measurement unit
260: fat layer thickness measurement unit 270: cannula position measurement unit
280: cannula insertion angle and depth measurement unit
310: first strap 315: first connection part
320: second strap 325: second connection part
330a: first motor unit 330b: second motor unit
340: third strap

Claims (8)

캐뉼라를 이용한 지방 흡입 시술 시 전진 및 후진을 왕복하며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스트로크 동작에서 발생하는 힘의 강도를 측정하는 포스 센서부(Force Sensor);
상기 포스 센서부에서 측정된 힘의 강도를 기초로 일정 범위 내에서 힘의 강도를 조절하는 포스 조절 신호를 발생하는 포스 조절부; 및
상기 포스 조절부의 포스 조절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포스 조절 모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A force sensor that measures the strength of a force generated in a stroke motion that is repeatedly performed in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during liposuction using a cannula;
a forc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orce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unit; and
Force control motor unit operated by the force control signal of the force control unit
Arm-assisted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or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센서부에서 측정된 힘의 강도를 데이터화 한 후 이를 저장하는 포스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c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measured by the force sensor unit into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센서부는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관절의 움직임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rce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joint,
An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the joint motion measured through the motion sensor in a data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 로봇 장치는 다수의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피부 조직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부, 지방 흡입 부위에 해당하는 지방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또는 상기 캐뉼라의 위치를 감지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units,
The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change in the patient's skin tissue,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fat layer corresponding to the liposuction site, or a measuring unit sensing the position of the cannula. Assistive Robo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캐뉼라의 삽입 각도 및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캐뉼라의 삽입 각도 또는 삽입 깊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의 동작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easuring unit further comprises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insertion angle and depth of the cannula,
When the insertion angle or insertion depth of the cannul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force controllable arm assisting 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 로봇 장치는
시술자의 팔 상단을 감싸는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1 스트랩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시술자의 손목에 인접한 제2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랩과 상기 제2 스트랩 사이에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A first strap surrounding the upper arm of the operator; and
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ap and includes a second strap adjacent to the operator's wrist,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strap and the second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는 상기 시술자의 팔꿈치에 위치하며,
상기 포스 조절 모터부와 인접하여 상기 팔꿈치를 보호하는 보호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is located on the operator's elbow,
Adjacent to the force control motor unit, the arm assisting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forc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elb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보조 로봇 장치는 시술 부위를 평평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뉼라를 사용하는 손의 반대 손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조절이 가능한 팔 보조 로봇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m-assisted robot device further includes a fixing unit for flatly fixing the treatment site, wherein the fixing unit is mounted on the opposite hand of the hand using the cannula.
KR1020200122957A 2020-09-23 2020-09-23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KR1025299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57A KR102529993B1 (en) 2020-09-23 2020-09-23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57A KR102529993B1 (en) 2020-09-23 2020-09-23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552A true KR20220040552A (en) 2022-03-31
KR102529993B1 KR102529993B1 (en) 2023-05-09

Family

ID=8093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957A KR102529993B1 (en) 2020-09-23 2020-09-23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9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402A (en) * 2007-09-20 2009-03-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uxiliary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of ar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85487A (en)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래보 Surgical robot for liposuction
KR101478102B1 (en) 2013-07-17 2015-01-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asurement of biceps brachii muscular strength and elbow muscle strength reinforcing wearable robot for elbow movement
KR101979707B1 (en) 2017-11-23 2019-05-17 (주)한국미래기술 Arm unit for wearable robot
KR20190129188A (en)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a pow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402A (en) * 2007-09-20 2009-03-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uxiliary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of ar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85487A (en)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래보 Surgical robot for liposuction
KR101478102B1 (en) 2013-07-17 2015-01-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asurement of biceps brachii muscular strength and elbow muscle strength reinforcing wearable robot for elbow movement
KR101979707B1 (en) 2017-11-23 2019-05-17 (주)한국미래기술 Arm unit for wearable robot
KR20190129188A (en) * 2018-05-10 2019-11-20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a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993B1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2051B2 (en) Shoulder monitoring and treatment system
US9687404B2 (en) Garm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muscle or joint activity sensor and at least one actuator responsive to the sensor and related methods
US5830160A (en) Movement guiding system for quantifying diagnosing and treating impaired movement performance
US77251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uromuscular reeducation
JP20145199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ing trauma limbs
US2023016551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9172265A (en) Finger exoskeleton robot
CN104983496B (en) A kind of active rachiopathy rehabilitation Intelligent orthotic device
Park et al. Shoulder-sidewinder (shoulder-side wearable industrial ergonomic robot): Design and evaluation of shoulder wearable robot with mechanisms to compensate for joint misalignment
De Lee et al. Arm exoskeleton rehabilitation robot with assistive system for patient after stroke
CN109646156A (en) A kind of exoskeleton rehabilitation gloves
CN109363672B (en) Intelligent monitoring device and training monitoring method for core muscle group
EP0201883A2 (en) Advanced medical robot
Rahman et al. Analysis of human hand kinematics: Forearm pronation and supination
Pittaccio et al. Shape memory actuators for medical rehabilitation and neuroscience
KR20220040552A (en) Force Adjustable Arm assist Robot Unit
Villa-Parra et al. Design of active orthoses for a robotic gait rehabilitation system
CN105030476B (en) A kind of spondylodynia robots for rehabilitation therapy
EP3698765B1 (en) Finger exerciser
Dufaug et al. Ergonomic surgical practice analysed through sEMG monitoring of muscular activity
CN211356545U (en) Personalized joint rehabilitation system
Ding et al. A novel passive shoulder exoskeleton for assisting overhead work
Veneman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n walking of balance-related degrees of freedom in a robotic gait training device
US20240148593A1 (en) Apparatus for limb rehabilit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RU2739699C1 (en) Method of personalized physic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otor disorders of wrist joints and fin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