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443A - Wearable assisting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assis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443A
KR20220040443A KR1020220032484A KR20220032484A KR20220040443A KR 20220040443 A KR20220040443 A KR 20220040443A KR 1020220032484 A KR1020220032484 A KR 1020220032484A KR 20220032484 A KR20220032484 A KR 20220032484A KR 20220040443 A KR20220040443 A KR 2022004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unit
lower leg
thigh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0153B1 (en
Inventor
나병훈
권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2003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153B1/en
Publication of KR2022004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ssisting device which can adjust the size and shape thereof by corresponding to a wearer's lower leg thigh length, lower leg length, thigh position, lower leg position or ankle position, and can allow an ankle to naturally turn, so that a more natural gait motion is possible.

Description

착용형 보조장치{WEARABLE ASSISTING DEVICE}WEARABLE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은 착용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하지의 대퇴 길이, 하퇴 길이, 대퇴의 위치, 하퇴의 위치 또는 발목의 위치에 대응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및 착용형 보조장치의 형태 조절이 가능하며, 발목의 자연스러운 회전을 허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ssistive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the shap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o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wearer's thigh length, lower leg length, thigh position, lower leg position or ankle position, It relates to a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allows a natural rotation of an ankle to enable a more natural walking motion.

최근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신체능력을 가진 장애인, 환자 또는 노약자를 위한 착용형 보조장치 또는 체력이나 신체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산업용 또는 군사용 착용형 보조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wearable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patients, or the elderly with physical abilities that are impossible for daily living, or industrial or military wearable assistive devices to enhance physical strength or physical ability is in progress.

장애인, 환자 또는 노약자를 위한 착용형 보조장치의 경우에는 신체 능력, 요구되는 보조력의 크기 또는 역할에 따라 완전마비 장애인용 착용형 보조장치와 노약자 또는 부분마비 환자 또는 장애인용 착용형 보조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wearable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patients, or the elderly, they are classified into wearable assistive devices for the paralyzed disabled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s for the elderly or partially paralyzed or disabled depending on their physical ability and the size or role of assistive force required. can be

이러한 착용형 보조장치의 경우, 배터리와 컨트롤러 등이 구비되며 착용자의 등에 장착되는 본체, 각각의 관절을 구동하기 위한 고관절 및 슬관절에 장착되는 관절 구동기, 각각의 관절 구동기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 main body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 controller and mounted on the wearer's back, a joint actuator mounted on the hip and knee joints for driving each joint, and connected to each joint actuator and the wearer's thigh or lower leg A form including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

착용자의 하지의 대퇴 길이, 하퇴 길이, 대퇴의 위치, 하퇴의 위치 또는 발목의 위치는 착용자마다 다르고, 일반적으로 장애인용 또는 재활용 착용형 보조장치의 경우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로봇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로봇 제조사의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도 다양한 사이즈의 부품을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는 부담이 크다.The length of the thigh of the wearer's lower extremities, the length of the lower leg, the position of the thigh,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or the position of the ankle are different for each wearer, and in general, in the case of an assistive device for the disabled or recyclable, it plays the role of the robot's skeleton in response to the wearer's body size. In many cases, the cost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burden of separately managing parts of various sizes is high in terms of maintenance of robot manufacturers.

또한, 능동 보조력을 제공하는 착용형 보조장치의 경우, 고관절 또는 슬관절의 보조토크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독립적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장치들이 소개된 바가 있으나, 발목관절의 경우 무게 또는 비용 등의 이유로 발목관절 보조력 제공을 위한 별도의 구동기를 장착하지 않고 발목의 움직임을 하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발목의 능동 보조력 제공과 별개로 발목의 움직임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Also, in the case of wearable assistive devices that provide active assistive power, assistive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o assist the wearer in walking independently by providing an assist torque for the hip or knee joint. In many cases, the movement of the ankle is not used without a separate actuator to provide joint suppor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natural gait mo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ankle itself is not allowed separately from the provision of the active assisting force of the ankle.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하지의 대퇴 길이, 하퇴 길이, 대퇴의 위치, 하퇴의 위치 또는 발목의 위치에 대응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및 착용형 보조장치의 형태 조절이 가능하며, 발목의 자연스러운 회전을 허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the shap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wearer's thigh length, lower leg length, thigh position, lower leg position or ankle position, and natural rotation of the ankle It is a task to be solved to provide a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allows a more natural walking mo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및 전원 제공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후방에 장착되며, 착용자의 허리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체유닛;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유닛 양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 상기 고관절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대퇴 지지유닛; 상기 대퇴 지지유닛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 상기 슬관절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하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단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족유닛; 및,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며,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의 후방을 감싸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보조력을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and a main body including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a body unit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wrapped around the wearer's waist region, and extending to the wearer's hip joint side region; a pair of hip joint actuator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ody unit extending to the side area of the wearer's hip joint; a femoral support unit driven by the hip actuator and providing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s;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mounted on the end of the femoral support unit; a lower leg support unit driven by the knee joint actuator and providing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 and a foot unit mounted on an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to support the wearer's foot; And, at least one is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respectively, and wraps around the rear of the wearer's thigh or lower leg to transmit the assisting force of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to the thigh or lower leg of the wearer. At least one wearable unit; includes, wherein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is a wearable auxilia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re portion and a sliding portion that can be changed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core portion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상기 코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스크류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의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코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screw rotatably mounted to the core portion, the sli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rew nut driven by the scre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of the core portion The sliding part may be slid with respect to the core part so that the length of the femoral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may be adjusted.

이 경우, 상기 코어부는 상기 스크류에 베벨기어를 매개로 체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노브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e par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knob having a rotation shaft fastened to the screw via a bevel gear, and rotate the rotation knob to rotate the screw.

그리고, 상기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장착 높이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And, the wearing unit may be capable of changing the mounting height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여기서, 상기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내측 방향 장착 위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wearing unit may be capable of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또한,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착용유닛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장착 높이 변경이 가능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에서의 내측 방향 장착 위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moral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aring units, at least one wearing unit can change the mounting height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at least one other wearing unit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in the inner direction in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여기서, 상기 착용유닛은 마운트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지지유닛에 장착되며, Here, the wearing unit is fastened to a mount member, the mount member is mounted to the support unit,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지지유닛에 장착되는 위치결정부재와 수평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형합되는 형상의 위치결정구조를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부재에 상기 위치결정구조의 형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착용유닛의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 방향 수평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The mount member has a positioning structure of a shape to be fitted at various position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positioning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according to the mating position of the positioning structure to the positioning member. An inward horizontal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may be determined.

또한,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결정부재에 상기 마운트 부재의 위치결정구조가 형합되어 장착된 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레버부재가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lever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structure of the mount member is fitted to the positioning member of the support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또한,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착용유닛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코어부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되어, 상기 코어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변위되면 하나의 지지유닛에 장착된 착용유닛 간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aring units, at least one wearing unit is mounted on the core portion, at least one wearing unit is mounted on the sliding portion, the core portion When the sliding part is slidably displaced with respect to ,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ing units mounted on one support unit may be changed.

이 경우, 상기 족유닛은 착용자의 족부를 지지하는 발판부재 및 상기 발판부재를 발목의 회전축 방향에 대응하는 y축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하단에 장착하기 위한 발목축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ot unit may include a footrest member for supporting the wearer's foot and an ankle shaft for mounting the footrest member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rotatably based on the y-axi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ankle. .

그리고, 상기 발목축은 상기 하퇴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슬라이딩부 하단에 장착되는 C자 링 형상의 장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nd, the ankle shaft may be rotatably mounted to a C-ring-shaped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unit constituting the lower leg support unit.

여기서, 상기 발목축은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발목축 양단에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라이딩 스토퍼와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ankle shaft is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a sliding stopper for limiting the sliding range and a rotation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nkle shaf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에 의하면, 착용형 보조장치 착용자의 착용자의 하지의 대퇴 길이, 하퇴 길이, 대퇴의 위치, 하퇴의 위치 또는 발목의 위치에 대응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하부 구조의 크기 및 형태를 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high length, the lower leg length, the position of the thigh,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or the position of the ankle of the weare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shape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에 의하면, 착용형 보조장치의 하부 구조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별로 착용형 보조장치를 제작, 유지 및 보수하는 부담과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착용자의 보조장치 사용중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므로 착용자별 최적의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ze and shape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an be adjusted, the burden and cost of manufactur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each body size of the wearer is greatly increased. It can be lowered, and since the siz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an be finely adjusted while the wearer's auxiliary device is in u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fit for each wearer.

또한, 본 발명은 착용형 보조장치는 미리 결정된 범위로 발목 관절의 회전을 허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a more natural walking motion by allow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to rotate the ankle joi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착용형 보조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조절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착용형 보조장치의 대퇴 지지유닛이 수축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는 대퇴 지지유닛의 수축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의 대퇴 지지유닛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왼쪽 하지 지지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대퇴 지지유닛 또는 하퇴 지지유닛에 장착되는 착용유닛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부와 착용유닛의 위치조절 구조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하퇴 지지유닛에 장착된 하부 착용유닛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족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1 .
3 and 4 show a size adjustment stat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moral support unit in a contracted state and an extended stat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moral support unit in a contracted state and an extended state of the femoral support unit do.
7 shows a front view of the left lower extremity support structur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liding unit and the wearing unit for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wearing unit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9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ower wearable unit mounted on the lower leg support uni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 uni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착용형 보조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은 장애인, 노약자 또는 환자(이하, '착용자'라 함)의 하체에 착용하여, 보행 동작을 보조하는 로봇일 수 있다. 여기서 보행 동작을 보조한다는 의미는 하체의 운동 기능이 일부 존재하는 착용자의 독립적인 보행을 가능하도록 고관절과 슬관절에 부족한 근력 등을 보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및 전원 제공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부(500); 상기 본체부가 후방에 장착되며, 착용자의 허리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체유닛(400);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유닛 양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상기 고관절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상기 대퇴 지지유닛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100c, 100d); 상기 슬관절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단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한 쌍의 족유닛(300a, 3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1000 may be a robot that assists gait motion by being worn on the lower body of a disabled person, the elderly, or a pati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earer'). . Here, assisting the gait motion means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preserving muscle strength that is lacking in the hip and knee joints to enable independent walking of the wearer who has some movement function of the lower bod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and a main body 500 including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a body unit 400 that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wraps around the waist area of the wearer, and extends to the hip joint side area of the wearer; a pair of hip joint actuators (100a, 100b)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ody unit extending to the side area of the wearer's hip joint; a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which is driven by the hip actuator and provides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s;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mounted on the end of the femoral support unit;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that are driven by the knee joint actuator and provide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s; And, i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a pair of foot units (300a, 300b) for supporting the wearer's fee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착용형 보조장치(1000)은 착용자의 등판 후방에 배치되는 본체부(500)와, 상기 본체부(50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각각의 다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0 may include a body part 500 disposed behind the wearer's back plate, and a pair of leg uni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art 500 to support each leg of the wearer. can

상기 본체부(500)는 몸체유닛(400)에 장착되며, 한 쌍의 다리 유닛 역시 몸체유닛(400) 양단에 장착될 수 있다.The body part 500 is mounted on the body unit 400 , and a pair of leg units may also b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ody unit 400 .

여기서, 상기 다리 유닛은 고관절과 슬관절에 각각 구비되어 대퇴와 하퇴에 보조 토크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독립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Here, the leg unit may be provided at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respectively, and provide auxiliary torque to the thigh and lower leg to assist the wearer's independent walking.

따라서, 각각의 다리 유닛의 고관절과 슬관절 대응영역에는 구동 토크 제공을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장치는 각각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관절 구동기(100)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driving device for providing a driving torque may be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of each leg unit. Each driv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 joint actuator 100 having a driving motor, respectively.

각각의 다리유닛은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각각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대퇴를 지지 또는 보조하는 한 쌍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한 쌍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하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100c, 100d),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하퇴를 지지 또는 보조하는 한 쌍의 하퇴 지지유닛(200c, 200d) 그리고 각각의 하퇴 지지유닛(200c, 200d) 하단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한 쌍의 족유닛(300a, 3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Each leg unit is connected to a pair of hip joint actuators (100a, 100b), respectively, a pair of hip joint actuators (100a, 100b) to support or assist the wearer's thigh (200a, 200b),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connected to the bottom of a pair of femoral support units (200a, 200b),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ing or assisting the lower leg of the weare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and each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foot units (300a, 300b) for supporting the wearer's feet.

상기 관절 구동기(100a, 100b, 100c, 100d)를 착용자의 고관절과 슬관절 관절부위에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골반과 대퇴가 만나는 부위에 고관절 구동기(100a, 100b)가 설치되고, 대퇴와 하퇴 경계의 무릎 부위에 슬관절 구동기(100c, 100d)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착용형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고관절과 슬관절에만 관절 구동기(100)가 구비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발목관절에도 별도의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joint actuators 100a, 100b, 100c, and 100d may be installed in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region of the wearer, respectively, and the hip joint actuators 100a and 100b are installed at the site where the pelvis and the thigh meet, and the knee between the thigh and lower thigh The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may be installed in the region. Although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is an example in which the joint actuator 100 is provided only in the hip and knee joints of the wearer, a separate driving device may also be provided in the ankle joint if necessary.

그리고, 각각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는 착용자의 대퇴와 하퇴를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관절 구동기(10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은 결국 착용유닛(600)를 통해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에 전달되어 독립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And, each of the femoral support units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has the wearer's thighs and lower thighs at least for fixing to the femoral support units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One wearing unit 600 may be provided, and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each joint actuator 100 is eventually transmitted to the thigh or lower leg of the wearer through the wearing unit 600 to assist in independent walking.

이와 같은 한 쌍의 다리유닛은 착용자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전술한 상기 본체부(500)는 착용자의 상체 등판 후방에 배치되므로, 상기 몸체유닛(400)을 통해 상기 본체부가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몸체유닛(400)은 착용자의 허리 영역 또는 고관절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몸체유닛(400)의 양단은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 구성될 수 있다.Such a pair of leg units is arranged along the side of the wearer, and since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part 500 is arranged behind the wearer's upper body back plate, the main body part is mounted to the rear through the body unit 400, The body unit 400 may be mounted to surround the wearer's waist region or hip joint region, and both ends of the body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the wearer's hip joint lateral reg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사이즈 조절 상태를 도시한다.3 and 4 show a size adjustment stat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및 전원 제공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부(500); 상기 본체부(500)가 후방에 장착되며, 착용자의 허리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착용자의 허리 측면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체유닛(400);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유닛(400) 양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상기 고관절 구동기(100a, 100b)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100c, 100d); 상기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단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족유닛(300a, 300b); 및,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며,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의 후방이 착용되어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보조력을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을 포함하고,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코어부(210) 및 상기 코어부(210)에 대하여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슬라이딩부(2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and a main body 500 including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The body unit 500 is mounted to the rear, is mounted to surround the wearer's waist region, the body unit 400 extending to the wearer's waist side region; a pair of hip joint actuators (100a, 100b)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ody unit (400) extending to the side area of the wearer's hip joint; a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which is driven by the hip actuator (100a, 100b) and provides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mounted on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end;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that are driven by the knee joint actuators (100c, 100d) and provide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s; And, i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the foot unit (300a, 300b) for supporting the wearer's feet; And, at least one is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respectively, the wearer's thigh or the rear of the lower leg is worn,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and the At least one wearing unit 600 for transmitting the auxiliary force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to the thigh or lower leg of the wearer; includes,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 200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re part 210 and a sliding part 230 capable of changing a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part 21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도 3에 도시된 상태는 하지의 대퇴와 하퇴의 길이가 긴 착용자의 착용을 위하여 대퇴 지지유닛(200a, 200b)과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을 신장시킨 상태로, 이 경우 각각의 지지유닛의 코어부(210)로부터 슬라이딩부(230)를 슬라이딩 변위시켜 지지유닛의 길이를 확대한 상태이며,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하지의 대퇴와 하퇴의 길이가 짧은 착용자의 착용을 위하여 대퇴 지지유닛(200a, 200b)과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을 수축시킨 상태로, 이 경우 각각의 지지유닛의 코어부(210, 도 5 참조)와 슬라이딩부(230, 도 5 참조)가 중첩되도록 슬라이딩부(230)를 슬라이딩 변위시켜 지지유닛(200)의 길이를 축소한 상태를 도시한다.The state shown in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and 200b and the lower thigh support units 200c and 200d are extended for wear by a wearer with a long thigh and lower thigh, in this case each support unit It i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is enlarged by slidingly displaced the sliding part 230 from the core part 210 of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in a contracted state, in this case, sliding so that the core portion (210, see Fig. 5) and the sliding portion (230, see Fig. 5) of each support unit overlap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200 is reduced by sliding and displacing the part 230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과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은 독립적으로 그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퇴 지지유닛(200a, 200b)과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대퇴와 하퇴를 감싸 관절 구동기(100)에서 제공되는 보조토크를 전달하는 착용유닛(600)의 위치도 변경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하지의 대퇴 길이, 하퇴 길이, 대퇴의 위치, 하퇴의 위치에 대응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크기와 형태를 미세하게 튜닝할 수 있으므로, 착용형 보조장치 착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3 and 4, each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is independently adjustable in its length,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mounted on the wearer's thigh and lower leg,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to transmit the auxiliary torque provided by the joint actuator 100 can also be changed, so that the wearer's lower leg Since the size and shape of the wearable assistive device can be finely tuned in response to the thigh length, lower leg length, thigh position, and lower leg pos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sponding to various body sizes of wearable assistive device wearers .

도 5는 본 발명의 착용형 보조장치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이 신장된 상태와 수축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는 대퇴 지지유닛의 수축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의 대퇴 지지유닛의 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tended state and a contracted state, Figure 6 is the femoral support in the contracted state and the extended state of the femoral support unit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는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코어부(210) 및 상기 코어부(210)에 대하여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슬라이딩부(2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core part 210 and the core part 210 so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It can be configured by having a sliding part 230 that can do this.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코어부(210)는 각각 고관절 구동기(100a, 100b)와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고, 슬라이딩부(230)는 그 코어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코어부(210)와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각각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되, 제한된 범위에서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코어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며 지지유닛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The core part 210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constitut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p joint actuator 100a, 100b and a knee joint actuator 100c, respectively. , 100d) and rotationally driven, the sliding part 230 is slidably fastened to the core part 210 . The core part 210 and the sliding part 230 are each configured in a frame structure, and the sliding part 2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core part 210 in a limited rang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구체적으로, 도 5(a)에 되된 바와 같이, 대퇴 지지유닛(200a, 200b)을 구성하는 코어부(210)에서 슬라이딩부(23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전체의 길이를 확대하는 조절이 가능하여, 대퇴의 길이가 긴 착용자에 대응할 수 있고, 도 5(b)에 되된 바와 같이, 대퇴 지지유닛(200a, 200b)을 구성하는 슬라이딩부(230)가 코어부(210)와 중첩되는 방향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전체의 길이를 축소하는 조절이 가능하여, 대퇴의 길이가 짧은 착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조절 메커니즘은 대퇴 지지유닛과 하퇴 지지유닛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5 (a), when the sliding part 230 in the core part 210 constituting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to the downward sliding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of the enti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to expand the length, so it can correspond to a wearer with a long thigh, and as shown in FIG. 210) and sliding upward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can be adjusted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of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200b),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 wearer with a short thigh length. Such a length adjustment mechanism may be commonly applied to the femoral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코어부(210)와 슬라이딩부(23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이 장착되어, 지지유닛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착용유닛(600)의 간격도 조절되어, 지지유닛의 길이와 비례하는 길이를 갖는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the core portion 210 and the sliding portion 230 of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is at least one wearing unit 600, respectively. It is mounted, and the interval of the wearing unit 600 is also adjust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so that the thigh or lower leg of the wearer having a length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각각의 착용유닛(600) 중 적어도 하나는 코어부(210) 또는 슬라이딩부(230) 내에서 별도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추가적인 형태 수정 또는 피팅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each of the wearing units 600 may be separately positioned within the core part 210 or the sliding part 230 to allow additional shape modification or fitting to fit the wearer's body type.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대퇴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코어부(210)와 슬라이딩부(230)의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상기 코어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215)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30)에 상기 스크류(215)와 체결 구동되는 스크류 너트(235)가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210)의 스크류(2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코어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상기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6,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core part 210 and the sliding part 230 constituting each of the thigh support units,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is the core part ( A screw 215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210 is provided, the sliding part 230 is provided with a screw nut 235 that is fastened with the screw 215 , and a screw (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215), the sliding part 230 slides with respect to the core part 210 so that the length of the femoral support units 200a and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and 200d can be adjusted.

즉, 상기 코어부(210)에는 볼스크류 구동 방식의 스크류(21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30)에는 상기 스크류(215)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 너트(235)가 구비되어 코어부(210)에서 스크류(215) 구동시 슬라이딩부(230)가 승강 구동하는 구조를 적용하였다.That is, a ball screw driving type screw 21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re part 210 , and a screw nut 235 driven by the screw 215 is provided on the sliding part 230 to provide the core. When the screw 215 is driven in the unit 210, a structure in which the sliding unit 230 is driven up and down is applied.

또한, 상기 코어부(210)는 상기 스크류(215)에 베벨기어(213)를 매개로 체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노브(211)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노브(211)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215)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part 21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knob 211 having a rotation shaft fastened to the screw 215 via a bevel gear 213 , and by rotating the rotation knob 211 , the screw (215) can be rotated.

물론, 상기 스크류(215)의 스크류 너트(235)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관절 구동기에 연결되는 코어부(210)에 스크류 너트를 구비하고, 슬라이딩부(230)에 스크류, 베벨기어 및 회전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screw nut 235 of the screw 215 may be mutually changed. That is, a screw nut may be provided on the core part 210 connected to each joint actuator, and a screw, a bevel gear and a rotary knob may be provided on the sliding part 230 .

또한, 베벨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스크류를 구동하도록 회전노브 등을 스크류에 직결시켜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rew may be rotated by directly connecting a rotary knob or the like to the screw to directly drive the screw without using a bevel gear.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및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코어부(210)에 구비된 회전노브(211)는 착용형 보조장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착용형 보조장치 착용자 스스로 지지유닛 길이 조절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and 6, the rotation knob 211 provided in the core part 210 of each of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is the fron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a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convenience when the wearer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djusts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by himself/herself.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왼쪽 하지 지지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7 shows a front view of the left lower extremity support structur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는 각각 대퇴 지지유닛(200a, 200b)과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을 구비하여, 착용유닛(600)이 착용자의 대퇴와 하퇴를 감싸 각각의 고관절 구동기(100a, 100b) 및 슬관절 구동기(100c, 100d)의 보조토크를 전달하게 된다.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earing unit 600 in each of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respectively, the wearing unit 600 is the wearer's thigh It wraps around the hip joint actuator (100a, 100b) and the knee joint actuator (100c, 100d), respectively, and transmits the auxiliary torque of the actuator.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하지 중 대퇴 길이, 하퇴 길이에 대응하여, 대퇴 지지유닛(200a, 200b)과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response to the length of the thigh and lower leg of the wearer's lower extremities, the length of the femoral support units 200a and 200b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and 200d is adjusted. function can be provided.

그러나, 착용자의 체형은 대퇴의 길이 또는 하퇴의 길이 이외에도 대퇴 또는 하퇴 체형 상의 특이성으로 인해 착용유닛(600)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Howev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wearer's body shape require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thigh or lower leg body shape in addition to the length of the thigh or lower leg.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을 구성하는 코어부(210)와 슬라이딩부(230)는 각각 저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이 장착되고,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길이 조절 과정에서 각각의 착용유닛(600)의 간격을 연동하여 조절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re part 210 and the sliding part 230 constituting each of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and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and 200d are each equipped with one wearing unit 600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and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and 200d can be adjusted by interlocking the spacing of each wearing unit 600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length.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로봇은 대퇴 지지유닛 또는 하퇴 지지유닛의 길이 조절 과정에서 연동되는 착용유닛(600)의 위치 조절 기능 외에도 추가적인 착용유닛(600)의 위치 조절기능을 제공한다.However, the wearable auxiliary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ditional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wearing unit 600 in addition to the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of the wearing unit 600 interlocked in the length adjustment process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도 7에 도시된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장착된 상부 착용유닛(600(1), 600(3))은 각각의 지지유닛의 코어부(210)에 장착되고, 대퇴 지지유닛(200a)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에 장착된 하부 착용유닛(600(2), 600(4))은 각각의 지지유닛의 슬라이딩부(230)에 장착된다.The upper wearing units 600(1), 600(3)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s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200d shown in FIG. 7 are the core part 210 of each support unit. The lower wearing units 600(2) and 600(4)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200a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are mounted on the sliding part 230 of each support unit.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상태의 대퇴 지지유닛(200a)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의 상부 착용유닛(600(1), 600(3))은 도 7(b)에 도시된 상태의 상부 착용유닛(600(1), 600(3))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And, the upper wearing unit 600(1), 600(3)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of the state shown in Fig. 7(a) is the state shown in Fig. 7(b). It shows that it can be mounted in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upper wearing unit (600 (1), 600 (3)).

즉, 착용유닛(600)을 지지유닛(200)에 체결하기 위하여 착용유닛(600)을 구성하는 체결블록(61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 등의 체결구조를 지지유닛의 코어부(210)의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 형성하여, 지지유닛의 길이 조절과정에서 발생되는 착용유닛(600)의 높이 조절 기능에 부가적인 높이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fasten the wearing unit 600 to the support unit 200, a fastening structure such as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of the fastening block 610 constituting the wearing unit 600 is formed of the core part 210 of the support unit. By forming a plurality of them at different heigh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ditional height adjustment function to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wearing unit 600 generated during the length adjustment process of the support unit.

따라서, 지지유닛의 길이 조절 과정에서 높이가 조절된 착용유닛(600)에 불편함 또는 통증을 느끼는 착용자를 위하여 개별적으로 착용유닛(6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착용유닛(600) 위치 최적화가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unit, the height of the wearing unit 600 is individually adjusted for the wearer who feels discomfort or pain in the wearing unit 600 whose height is adjusted, and the wear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characteristics. ) position optimization is possible.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대퇴 지지유닛(200a)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에 장착된 하부 착용유닛(600(2), 600(4))은 각각의 지지유닛의 슬라이딩부(230)에 장착될 수 있고, 도 7(a)에 도시된 상태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하부 착용유닛(600(2), 600(4))은 도 7(b)에 도시된 상태의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의 하부 착용유닛(600(2), 600(4))의 위치보다 외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And, the lower wearing unit (600(2), 600(4))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200a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shown in Fig. 7(a) is a sliding part 230 of each support unit ), the lower wearing units 600 (2), 600 (4)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of the state shown in Fig. 7 (a) is The position eccentric to the outside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r wearing units 600 (2), 600 (4) of the femoral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of the state shown in Figure 7 (b) (b) It shows that it can be mounted on

즉, 지지유닛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600)은 수평방향 또는 좌우방향 위치가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 골격의 휨 또는 특징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대퇴와 하퇴를 감싸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at is, the at least one wearing unit 600 mounted on the support unit is positioned so that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djustable so as to wrap the thigh and lower leg at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bending or characteristics of the wearer's thigh or lower leg skeleton. can be adjusted.

착용유닛(600)의 지지유닛에 대한 수평방향 또는 좌우방향 위치 조절과 관련된 구조와 방법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method related to horizontal or left-right position adjustment of the wearing unit 60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은 대퇴 지지유닛(200a, 200b) 또는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장착되는 착용유닛(60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부(230)와 착용유닛(600)의 위치조절 구조를 도시한다.Figure 8 is a position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liding unit 230 and the wearing unit 600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200a, 200b)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shows

각각의 지지유닛의 슬라이딩부(230)는 코어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 프레임(233) 및 착용유닛(600)의 수평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착용유닛(600)을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장착되는 마운트 부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liding part 230 of each support unit is a sliding frame 233 that is slidably fastened to the core part 210 and the wearing unit 600 to the sliding frame ( 233 may be provided with a mount member 250 mounted to.

상기 마운트 부재(250)는 착용유닛(600)이 체결되는 체결부(251)와 지지유닛의 슬라이딩부(23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운트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 부재(250)의 체결부(251)와 마운트부(255)는 T자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 member 250 is a mounting part 255 mount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changed on the sliding frame 233 constituting the fastening part 251 to which the wearing unit 600 is fastened and the sliding part 230 of the support unit. It may be composed of As shown in FIG. 8 , the fastening part 251 and the mount part 255 of the mount member 25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shape.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33)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적어도 하나의 요홈이 구비되는 위치결정부재(239)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에 상기 위치결정부재(239)와 형합되어 착용유닛(600)의 위치를 수평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구조(257)가 형성될 수 있다.A positioning member 239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concave groove may be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233, and the positioning member ( 239) and a positioning structure 257 for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may be form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부재(239)는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장착되며, 착용유닛(600)의 위치 조절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와 홈이 물결 형태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구조(257)는 상기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재(239)의 돌기와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과 돌기가 물결 형태로 반복 형성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물론, 위치결정부재가 마운트 부재의 마운트부 내주면에 장착되고, 위치결정구조가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구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positioning member 239 is mounted on the sliding frame 233 and may be a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grooves are formed in a wavy shape in the position adjustment direction of the wearing unit 600 , and the The positioning structure 257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 part 255 of the mounting member 250, and the grooves and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s and the shape of the grooves of the positioning member 239 are repeatedly formed in a wave shape. means Of course, the position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 portion of the mount member, and the position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the sliding frame.

이와 같은 슬라이딩 프레임(233)의 위치결정부재(239)와 마운트부(255)의 위치결정구조(257)의 홈과 돌기의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부(230)의 슬라이딩 프레임(233)과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가 밀착 형합된 상태에서는 결정된 위치로 고정되며, 마운트부(255)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개수에 비례하여 마운트부(255)의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대한 장착위치의 조절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grooves and projections of the positioning member 239 of the sliding frame 233 and the positioning structure 257 of the mount 255 are the same, so that the sliding frame 233 of the sliding part 230 is the same. ) and the mount part 255 of the mount member 250 are fixed to a determined position in a closely-fitted state, and the sliding frame 233 of the mount part 255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grooves and protrusions formed in the mount part 255 . ), the range of adjustment of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increased.

즉,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의 골격의 휨 정도에 따라 수평방향 내측으로 또는 수평방향 외측으로 착용유닛(600)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33)의 위치결정부재(239)에 대한 착용유닛(600)이 체결된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 위치결정구조(257)의 형합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의 착용자에 대응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keleton of the wearer's thigh or lower leg, the positioning member 239 of the sliding frame 233 is By adjusting the mating position of the positioning structure 257 of the mounting unit 255 of the mounting member 250 to which the wearing unit 600 is fastened,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wearers of various body conditions.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33)의 위치결정부재(239)에 대한 착용유닛(600)이 체결된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 위치결정구조(257)의 형합 위치의 조절과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Adjustment of the mating position and the adjusted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55 of the mounting member 250 to which the wearing unit 600 is fastened to the positioning member 239 of the sliding frame 233 and the positioning structure 257 The fix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하퇴 지지유닛(200c)에 장착된 하부 착용유닛(600(4))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대퇴 지지유닛에 장착된 하부 착용유닛의 수평 위치 조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유닛에 장착된 상부 착용유닛의 경우에도 좌우 또는 수평 위치조절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9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ower wearing unit 600 (4) mounted on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 same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ower wearing unit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and it is self-evident that the left and right or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structure may be employed even in the case of the upper wearing unit mounted on each support unit. Do.

먼저, 도 9(a)은 하부 착용유닛(600(4))이 지지유닛 내측 방향으로 치우친 제1 위치에 장착된 상테를 도시하며, 도 9(b)는 하부 착용유닛(600(4))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과 방법을 도시하며, 도 9(c)에 도시된 상태는 하부 착용유닛(600(4))이 지지유닛 외측 방향으로 변위되어 제2 위치로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다.First, Fig. 9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wearing unit 600 (4) is mounted in a first position bia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and Fig. 9 (b) is a lower wearing unit 600 (4)) It shows a process and method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ate shown in Fig. 9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wearing unit 600 (4) is displac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position is changed to the second position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트 부재(250)는 착용유닛(600)이 체결되는 체결부(251)와 지지유닛의 슬라이딩부(23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운트부(25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의 슬라이딩부(23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위치결정부재(239)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8 , the mount member 250 can be positioned on the sliding frame 233 constituting the fastening part 251 to which the wearing unit 600 is fastened and the sliding part 230 of the support unit. The positioning member 239 is mounted on the sliding frame 233 including a mount portion 255 to be mounted so as to constitute the sliding portion 230 of the support unit.

또한, 상기 위치결정부재(239, 도 8 참조)의 반복적인 요철 구조는 상기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에 형성된 위치결정구조(257)와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재(239)가 장착된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상기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가 밀착되는 경우, 착용유닛(600)의 좌우 방향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etitive concave-convex structure of the positioning member 239 (refer to FIG. 8 ) is configured in a shape to match the positioning structure 257 formed on the mount part 255 of the mount member 250 , When the mount portion 255 of the mount member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ing frame 233 on which the member 239 is mounted, the left-right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may be fixed.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부재(239)가 장착된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상기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33)에 탄성 레버부재(236)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레버부재(236)는 위치결정부재(239)와 형합 결합된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 외면을 슬라이딩 프레임(233)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마운트 부재와 슬라이딩 프레임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착용유닛(6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lever member 236 is attached to the sliding frame 233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255 of the mount member 250 can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liding frame 233 on which the positioning member 239 is mounted. ) is provided, and the elastic lever member 236 elastically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 part 255 of the mounting member 250 moldedly coupled to the positioning member 239 in the sliding frame 233 direction, and the mount member and the The coupled state of the sliding frame may be maintain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

그러나,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대응하여 착용유닛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9(b)에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레버부재(236)의 레버를 눌러 탄성 레버부재(236)의 레버의 타단이 상기 마운트부(255)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착용유닛(600)이 장착된 마운트 부재(250)의 마운트부(255)의 위치를 좌우 방향 또는 내외측 방향으로 조절하고, 탄성 레버부재(236)의 레버부의 눌림 상태를 해제하면 탄성 레버부재(236)의 레버의 타단이 다시 상기 마운트부(255)의 외면을 가압하여 변경된 위치로 상기 착용유닛(600)의 변경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However,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in response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wearer, as shown in FIG. 9(b), the lever of the elastic lever member 236 is pressed by pressing the lever of the elastic lever member 236. The other end releases the pressure state of the mount unit 255,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ount unit 255 of the mount member 250 on which the wearing unit 600 is moun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in the inside and outside directions, and the elastic lever member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lever part of 236 is released, the other end of the lever of the elastic lever member 236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 part 255 again to fix the changed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to the changed position. there is.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233) 상에 장착된 탄성 레버부재(236) 하부에 위치결정부재(239)가 장착되며, 위치결정부재(239) 하부에 상기 마운트 부재의 마운트부(255) 하단을 지지하여 마운트부(255)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재(237)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37)는 마운트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마운트 부재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member 239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lever member 236 mounted on the sliding frame 233 ,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mount portion 255 of the mounting member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239 . Thus, a guide member 237 forming a slot for preventing the mounting portion 255 from being displaced may be mounted. Therefore, as shown in FIG. 9(b), the guide member 237 can prevent the mount member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unt member.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은 착용형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하지의 대퇴 길이, 하퇴 길이, 대퇴의 위치, 하퇴의 위치 또는 발목의 위치에 대응하여, 착용형 보조장치의 지지유닛의 길이 사이즈 및 착용형 보조장치의 착용유닛(6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thigh, the length of the lower leg, the position of the thigh, the position of the lower leg or the position of the ankle of the wearer's lower leg, the length size of the support uni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the wear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600 of the type auxiliary device can be adjust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보조장치의 족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 unit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착용형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대퇴 지지유닛 또는 하퇴 지지유닛에 장착된 착용유닛의 수평방향 또는 좌우방향 위치 조절 기능과 같은 목적으로 착용형 보조장치의 족유닛(300)의 수평방향 또는 좌우방향 위치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rizontal direction or left/right direction of the foot unit 300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the same purpose 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orizontal or left/right direction position of a wearable unit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or lower leg support unit constituting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direction position.

도 10에 도시된 족유닛(300b)은 힌지축 방식의 발목축(310)을 구비하고,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을 구성하는 슬라이딩부(230) 하단에 구비된 C자 링 형상의 장착부재(238)에 장착되어 발목축(310)이 장착부재(238) 내에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발목축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목축(310)은 장착부재(238)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The foot unit 300b shown in FIG. 10 is provided with an ankle shaft 310 of a hinge shaft type, and a C-ring-shaped mounting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part 230 constituting the lower leg support units 200c and 200d. It is mounted on the member 238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ankle shaft 310 is rotatable within the mounting member 238 and slidably displa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kle shaft. In addition, the ankle shaft 31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mounting member 238 to provide a more natural walking motion.

이 경우, 상기 발목축(310)에는 상기 장착부재(238)에서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디잉 스토퍼(311)가 구비되고 회전각 제한을 위한 회전 스토퍼(313)가 구비되어 족유닛(300a, 300b)의 수평방향 또는 좌우방향 위치조절 범위를 제한하고 족유닛(300a, 300b)이 하퇴 지지유닛(200c, 200d)에 대한 발목 회전 범위를 제한하여 착용자의 발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kle shaft 310 is provided with a sliding stopper 311 for preventing horizontal deviation from the mounting member 238 and a rotation stopper 313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is provided, so that the foot unit 300a , 300b) by limiting the horizontal or left-right position adjustment range and the foot unit (300a, 300b) by limiting the ankle rotation range f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200c, 200d) can prevent the wearer's ankle injury.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 착용형 보조장치
100 : 관절 구동기
200 : 대퇴 지지유닛, 하퇴 지지유닛
300 : 족유닛
400 : 몸체유닛
500 : 본체부
1000: wearable auxiliary device
100: joint actuator
200: thigh support unit, lower leg support unit
300: foot unit
400: body unit
500: body part

Claims (12)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컨트롤러 및 전원 제공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후방에 장착되며, 착용자의 허리 영역을 감싸며 장착되고,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체유닛;
착용자의 고관절 측면 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유닛 양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관절 구동기;
상기 고관절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대퇴 지지유닛;
상기 대퇴 지지유닛 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슬관절 구동기;
상기 슬관절 구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착용자의 대퇴에 회전 보조력을 제공하는 하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단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족유닛; 및,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며,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의 후방을 감싸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보조력을 착용자의 대퇴 또는 하퇴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a main body including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and a battery for providing power;
a body unit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part, mounted to surround a wearer's waist region, and extending to a hip joint side region of the wearer;
a pair of hip joint actuator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body unit extending to the side area of the wearer's hip joint;
a femoral support unit driven by the hip actuator and providing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s;
a pair of knee joint actuators mounted on the end of the femoral support unit;
a lower leg support unit that is driven by the knee joint actuator and provides rotational assistance to the wearer's thigh; and,
a foot unit mounted on an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to support the wearer's feet; and,
At least one is mounted on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respectively, and wraps around the rear of the wearer's thigh or lower leg to transmit the assisting force of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to the wearer's thigh or thigh. Including; a wearing unit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i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re portion and a sliding portion that can be changed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core portion to enable length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상기 코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스크류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의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코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emoral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screw rotatably mounted to the core part, and a screw nut driven by the screw is provided in the sliding part, and the sliding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of the core part.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is adjusted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cor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스크류에 베벨기어를 매개로 체결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노브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re par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knob having a rotation shaft fastened to the screw through a bevel gear, and rotating the rotation knob to rotate the scr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장착 높이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unit i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mounting height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내측 방향 장착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unit i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착용유닛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장착 높이 변경이 가능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대퇴 지지유닛 또는 상기 하퇴 지지유닛에서의 내측 방향 장착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aring units, and at least one wearing unit is capable of changing the mounting height of the thigh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and at least one other wearing unit is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mounting position in the inner direction in the femoral support unit or the lower leg support unit.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유닛은 마운트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지지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지지유닛에 장착되는 위치결정부재와 수평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형합되는 형상의 위치결정구조를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부재에 상기 위치결정구조의 형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착용유닛의 상기 지지유닛의 내측 방향 수평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wearing unit is fastened to a mount member, the mount member is mounted to the support unit,
The mount member has a positioning structure of a shape to be fitted at various position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positioning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wearing unit according to the mating position of the positioning structure to the positioning member.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ward horizontal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is determi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결정부재에 상기 마운트 부재의 위치결정구조가 형합되어 장착된 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레버부재가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lever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structure of the mount member is fitted to the positioning member of the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 지지유닛 및 상기 하퇴 지지유닛은 각각 복수 개의 착용유닛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코어부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착용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장착되어, 상기 코어부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변위되면 하나의 지지유닛에 장착된 착용유닛 간의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gh support unit and the lower leg support unit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earing units, at least one wearing unit is mounted on the core part, and at least one wearing unit is mounted on the sliding part, with respect to the core part.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liding portion is displaced by sli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earing units mounted on one support unit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유닛은 착용자의 족부를 지지하는 발판부재 및 상기 발판부재를 발목의 회전축 방향에 대응하는 y축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퇴 지지유닛의 하단에 장착하기 위한 발목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otrest member for supporting the foot of the wearer and an ankle shaft for mounting the footrest member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eg support unit rotatably based on the y-axi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ank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축은 상기 하퇴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슬라이딩부 하단에 장착되는 C자 링 형상의 장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nkle shaft is a wearable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mounted to a C-ring-shaped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portion constituting the lower leg support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축은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발목축 양단에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라이딩 스토퍼와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kle shaft is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nd a sliding stopper for limiting the sliding range and a rotation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nkle shaft. wearable assistive devices.
KR1020220032484A 2020-07-03 2022-03-16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460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84A KR102460153B1 (en) 2020-07-03 2022-03-16 Wearable assi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16A KR102420256B1 (en) 2020-07-03 2020-07-03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0220032484A KR102460153B1 (en) 2020-07-03 2022-03-16 Wearable assis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16A Division KR102420256B1 (en) 2020-07-03 2020-07-03 Wearable assi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443A true KR20220040443A (en) 2022-03-30
KR102460153B1 KR102460153B1 (en) 2022-11-01

Family

ID=7935587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16A KR102420256B1 (en) 2020-07-03 2020-07-03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0220032483A KR102456142B1 (en) 2020-07-03 2022-03-16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0220032484A KR102460153B1 (en) 2020-07-03 2022-03-16 Wearable assis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16A KR102420256B1 (en) 2020-07-03 2020-07-03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0220032483A KR102456142B1 (en) 2020-07-03 2022-03-16 Wearable assi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2025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89A (en) 2009-01-12 2010-07-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for assisting the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y
KR20130045874A (en) * 2013-02-20 2013-05-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KR20140121371A (en) * 2013-04-05 2014-10-15 (주)헥사시스템즈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71Y1 (en) * 2010-02-05 2012-02-14 이수종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JP6357627B2 (en) * 2014-01-30 2018-07-18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Wearable motion assist device
KR101828256B1 (en) * 2016-03-25 2018-02-13 국방과학연구소 Robot for lower limb with multi-link type knee joi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89A (en) 2009-01-12 2010-07-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for assisting the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y
KR20130045874A (en) * 2013-02-20 2013-05-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KR20140121371A (en) * 2013-04-05 2014-10-15 (주)헥사시스템즈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153B1 (en) 2022-11-01
KR102420256B1 (en) 2022-07-13
KR102456142B1 (en) 2022-10-19
KR20220004461A (en) 2022-01-11
KR20220040442A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5363B1 (en) Exoskeleton for assisting human movement
KR101112119B1 (en) Orthopedic knee joint brace
JP6647225B2 (en) Leg straightening device and straightening device
JP2007275482A (en) Knee joint assist device
US20060069336A1 (en) Ankle interface
TW201639533A (en) Interactive exoskeleton robotic knee system
KR101693795B1 (en)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US10898403B2 (en)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KR20170011125A (en) A frame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CN109124988B (en) Guiding mechanism, lower limb rehabilitation exoskeleton and exoskeleton robot
KR101788567B1 (en) Wheelchair equipped the tilting seat unit
KR20190033963A (en) Motion assist apparatus
KR101043206B1 (en)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KR101767996B1 (en) Ankle joint orthosis
KR101797967B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Lower Limb
KR20120126326A (en) A Knee brace assembly for correcting varus and valgus of knee
KR102456142B1 (en)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369074B1 (en)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416734B1 (en) Wearable assisting device
JP2012183277A (en) Knee orthosis for rehabilitation
KR20110093317A (en) Articulating brace
KR102418860B1 (en) Knee Joint Structure And Wearable Assistanc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10813B1 (en) Wearable assisting device
KR20230049300A (en) Leg correction knee brace
KR20220098532A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