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134A -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 Google Patents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134A
KR20220040134A KR1020200122972A KR20200122972A KR20220040134A KR 20220040134 A KR20220040134 A KR 20220040134A KR 1020200122972 A KR1020200122972 A KR 1020200122972A KR 20200122972 A KR20200122972 A KR 20200122972A KR 20220040134 A KR20220040134 A KR 2022004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nnecting rod
clip
pos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명규
김원재
Original Assignee
전명규
김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규, 김원재 filed Critical 전명규
Priority to KR102020012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134A/en
Publication of KR2022004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1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wning apparatus for ginseng cultivation, which includes: pillars installed vertically and upright in a ginseng field; a horizontal connecting rod horizontally connecting the pillars adjac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 inclined connecting rod obliquely connecting the pillars adjace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a horizontal clip fastening the pillar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an inclined clip fastening the pillar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The pilla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include grooves that ar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The horizontal clip includes: a horizontal clip main body including, on one surface, a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pillar o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inser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roove of the pillar o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horizontal clip legs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clip main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and including, at an end, a horizontal clip latch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or the pillar. The inclined clip includes: an inclined clip main body including, on one surface, an inclined fixing protrusion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onnecting rod and inser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roove of the inclined connecting rod; and inclined clip legs extending from the inclined clip main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and including an inclined clip latch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pillar.

Description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본 발명은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인삼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두릅나무과의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을 말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백삼(白蔘: 생 것), 홍삼(紅蔘: 찐 것), 미삼(尾蔘: 가는 뿌리)으로 구분하여 기록했으나 민간에서는 야생삼도 장뇌와 산삼으로 구별한다. 중국에서는 인삼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하며 원삼(재배삼), 홍삼, 산삼(야생삼)으로 구별한다.In Korea and Japan, ginseng is the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of the Araliaceae family, with the fine root and cork layer removed. In particular, in Korea, white ginseng (white ginseng: raw), red ginseng (紅蔘: steamed), and fine ginseng (尾蔘: thin root) were recorded, but wild ginseng is also classified as camphor and wild ginseng in folklore. In China, it refers to the root and rhizome of ginseng and is divided into raw ginseng (cultivated ginseng), red ginseng, and wild ginseng (wild ginseng).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 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준다. 약리작용은 대뇌피질 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 억제, 단백질 합성 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Ginseng is used for body weakness, malaise, fatigue, loss of appetite, vomiting, and diarrhea. Pharmacological action has been reported to include cortical excitability and inhibition, balance, anti-fatigue, anti-aging, immune enhancement, heart contraction, gonadotrophin, hyperglycemia suppression, protein synthesis promotion, homeostasis maintenance, anticancer, and detoxification.

인삼의 생김새는 가늘고 긴 원주형이나 방추형으로 2 내지 5개의 곁뿌리가 나 있고, 바깥 면은 엷은 황갈색이며 세로 주름과 가는 뿌리 자국이 있다.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던 노두가 있다.The appearance of ginseng is long and cylindrical or spindle-shaped, with 2 to 5 side roots, and the outer surface is light yellowish brown, with vertical wrinkles and fine root marks. At the root, there is an outcrop to which the residues of the stem are attached.

이러한 인삼은 특용작물로 분류되고, 그 생태환경이 다른 식물보다 까다로운 반음지성 식물이다. 따라서 직사광선은 좋지 않으며, 광학적으로 볼 때 산란광이 좋은데, 옥외광선의 1/10 내지 1/13 정도면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Such ginseng is classified as a special crop, and its ecological environment is a semi-shade plant that is more difficult than other plants. Therefore, direct sunlight is not good, and scattered light is good from an optical point of view, and it is known that about 1/10 to 1/13 of outdoor light is suitable.

재배환경으로는 연평균 기온 9℃ 내지 10.8℃, 하절기 20℃ 내지 25℃가 적당하며, 특히 하절기에 35℃를 초과하는 경우 생리적 장애가 발생한다. 강우량은 연간 700mm 내지 2,000mm이나 적당량은 1,100mm 내지 1,300mm이며 강설량은 적은 곳, 토양의 표토는 사양토 또는 식양토, 심토는 점토질이 다소 많은 식양토로서 토층의 구분이 명확한 곳, 특히 배수가 잘 이루어지는 곳이 좋다. 지세는 우리나라 기준으로 북쪽과 동북쪽으로 경사진 곳이 적지로 알려져 있다.A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 average annual temperature of 9°C to 10.8°C and summer 20°C to 25°C are suitable. The annual rainfall is 700mm to 2,000mm, but the appropriate amount is 1,100mm to 1,300mm, where there is little snowfall. this is good The topography is known as the right place for a place that slopes to the north and northeast by Korean standards.

인삼 재배에 있어서 생태환경에 가깝게 재배환경을 조절하기 위해 해가림 시설물(차양장치)을 이용하는 방법이 과거로부터 알려져 왔는데, 현재도 일부 시설물을 빼면 이러한 전통적이고 전근대적인 시설물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In ginseng cultivation, the method of using a sun-shielding facility (shading device) to control the cultivation environment close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has been known from the past.

차양시설을 나열하면, 일광 상태를 차단하거나 조절하기 위한 차양막, 차양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주, 수평 연결대 및 경사 연결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각종 연결부재 및 끈 또는 클립 등이 있다.If the shading facilities are listed, there are a shading screen for blocking or controlling the state of sunlight, a frame supporting the awning membrane (posts, horizontal connecting rods and inclined connecting rods), various connecting members and strings or clips for connecting the frame.

차광막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은 보통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운 반면 보통 5 내지 6년을 재배하는 인삼의 특성상 외부의 눈비 및 햇빛에 노출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내구성이 떨어져 강풍, 폭설 등의 자연재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Most of the frames for installing the light-shielding film were made of wood, but while the price is cheap and light, the durability of ginseng is exposed to external snow and rain and sunlight due to the nature of ginseng, which is grown for 5 to 6 years. It is often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또한, 인삼은 초기 1 내지 2년은 70cm 내지 80cm 높이에 차광막을 설치하고 생육 시기에 따라 높이를 올려 일조량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부가 수직으로 지면에 매립되는 지주와 연결대를 단순히 못으로 연결 고정하는 경우가 많아 분리 고정하는 과정에서 목재가 손상되고 많은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for ginseng,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light-shielding film at a height of 70 cm to 80 cm in the first 1 to 2 years and raise the height according to the growing season to change the amount of sunlight. Since there are many cases of fix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ood is damaged and a lot of manpower is consumed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fixing.

또한, 철재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사용하고 연결부위는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되도록 하는 경우도 이으나 초기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무게가 무거워 설치와 해체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볼트와 너트 등이 부식되어 차양막을 높이는 작업 및 해체작업이 어려워지며 부분 부품의 지속적인 구입이 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a pipe made of iron is used and the connection part is assembled by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but the initial cost is high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dismantle because the weight is heavy, and the bolts and nuts are corroded. The work to raise and dismantle the awn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continuous purchase of partial parts becomes necessar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킨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with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는, 인삼밭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연결대, 상기 지주와 상기 수평 연결대를 체결하는 수평 클립 및 상기 지주와 상기 경사 연결대를 체결하는 경사 클립을 포함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클립은,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수평 연결대와 접하고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수평 연결대의 상기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수평 고정 돌기부를 일면에 포함하는 수평 클립 본체 및 상기 수평 클립 본체에서 상기 수평 고정 돌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말단부에 상기 수평 연결대 또는 상기 지주의 상기 홈에 체결되는 수평 클립 걸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평 클립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클립은, 상기 경사 연결대와 접하고 상기 경사 연결대의 상기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경사 고정 돌기부를 일면에 포함하는 경사 클립 본체 및 상기 경사 클립 본체에서 상기 경사 고정 돌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의 상기 홈에 체결되는 경사 클립 걸쇠부를 복수의 경사 클립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connecting post horizont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sts installed vertically in a ginseng field, and adjacent pos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shading apparatus for ginseng cultivation comprising a connecting rod, an inclined connecting rod for obliquely connecting adjacent post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horizontal clip for fastening the post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an inclined clip for fastening the post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clip is in contact with the pole o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pole o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 horizontal clip body including a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 correspondence to the groove of one surface and a horizontal clip body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in the horizontal clip body and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or the post at the distal end The inclined clip body and the inclined clip compris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clip leg parts including clip clasps, wherein the inclined clip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onnecting rod and includes an inclined fix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hat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inclined connecting rod. The inclined clip clasp part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from the main body and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po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ined clip leg par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 말단에 볼록 체결부 및 타측 말단에 오목 체결부를 포함하는 단위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의 단위 모듈의 상기 볼록 체결부와 다른 단위 모듈의 상기 오목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include a unit module including a convex fastening part at one end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vex fastening of one unit module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unit and the other unit module may be formed by fastening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는 내부에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therei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길이 방향 일측 말단에 지면 매설을 위한 매설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t may include a buried part for burying the groun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클립 걸쇠부 및 상기 경사 클립 걸쇠부는, 상기 수평 클립 다리부 및 상기 경사 클립 다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and the inclined clip clasp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clip leg portion and the inclined clip leg portion.

상기 수평 클립 걸쇠부 및 상기 경사 클립 걸쇠부는, 상기 수평 클립 다리부 및 상기 경사 클립 다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탈리용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clip clasp and the inclined clip clasp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or detach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clip leg and the inclined clip le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의 너비 대비 0.05배 내지 0.2배 범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pth of the groove may be in the range of 0.05 to 0.2 times the width of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를 통하여 차양장치 설치 작업 시간 및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차양막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e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working time and efficiency of the shading device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aw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말단부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말단부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말단부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수평 연결대가 수평 클립으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클립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경사 연결대가 경사 클립으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클립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rst distal end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distal end uni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third distal end uni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re fastened with a horizontal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horizontal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t and an inclined connecting rod are fastened with an inclined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clined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는 인삼밭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00),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200),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연결대(300), 지주(100)와 수평 연결대(200)를 체결하는 수평 클립(400) 및 지주(100)와 경사 연결대(300)를 체결하는 경사 클립(500)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for horizont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sts (100) installed and installed vertically in a ginseng field, and adjacent pos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200) , Inclined connecting rod 300 for obliquely connecting adjacent posts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rizontal clip 400 for fastening post 100 and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and inclined clip for fastening post 100 and inclined connecting rod 300 (5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10)은 길이 방향으로 일 말단에 볼록 체결부(11)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 오목 체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ogether with FIG. 1 , the unit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x fastening part 11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12) may be included.

하나의 단위 모듈의 볼록 체결부(11)가 다른 하나의 단위 모듈의 오목 체결부(12)와 결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주(100), 수평 연결대(200) 및 경사 연결대(300)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vex fastening part 11 of one unit module is coupled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12 of the other unit modul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post 100 ,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 can do.

단위 모듈(1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구조(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구조(14)에는 굴곡 하중 향상을 위하여 별도의 보강재를 삽입할 수 있다. 보강재는 목재, 금속재,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나열한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nit module 10 may include a through structure 14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parat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structure 14 to improve flexural loa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and plastic may be used, bu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s listed above.

도 2에서는 관통 구조(14)의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것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타원형 등 단면 형상에 별도의 제한은 없다.In FIG. 2 , the cross-section of the through structure 14 is shown to be circula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on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polygons and ovals.

볼록 체결부(11)는 단위 모듈(10)의 길이 방향으로 일 말단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고, 오목 체결부(12)는 단위 모듈(10)의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onvex fastening part 1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modul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ave fastening part 12 may be configur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modul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constructed by being depressed.

볼록 체결부(11)와 오목 체결부(12)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vex fastening part 11 and the concave fastening part 12 may be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볼록 체결부(11)는 오목 체결부(12)와의 결합에서 단위 모듈(10)의 폭 방향으로의 직선 또는 회전 움직임을 억제하여 고정하기 위한 돌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오목 체결부(12)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convex fastening part 11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or fixing by suppressin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nit module 10 in coupling with the concave fastening part 12 and , the concave fastening portion 12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볼록 체결부(11)는 그 말단부에서 외주면에 돌기부를 포함하고, 오목 체결부(12)는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내측 말단에는 상기 돌기부가 회전해서 들어갈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을 억제하여 고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nother example, the convex fastening part 11 includes a protrusion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t its distal end, and the concave fastening part 12 includes a concave part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concave part The inner end may include a slot into which the projection can be rotated. Through this, it can be fixed by suppress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2에서는 단위 모듈(10) 각각이 길이 방향으로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에 각각 볼록 체결부(11)와 오목 체결부(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양측 단위 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예에서, 단위 모듈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은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재의 양측에 상기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는 단위 모듈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FIG. 2 , each of the unit modules 10 is shown to include a convex fastening part 11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12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a separat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both unit modu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connecting member. In this case, in one example, fasten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sten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nother example, fastening groov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sten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단위 모듈(10)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의 깊이(d)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위 모듈(10)의 너비 대비 0.05배 내지 0.2배 범위일 수 있다. 홈(13)의 깊이(d)가 단위 모듈(10)의 너비 대비 0.05배 미만이면 클립이 홈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고, 0.2배 초과인 경우 홈(13) 부위 너비가 작아져 지주(100), 수평 연결대(200) 및 경사 연결대(300)의 굴곡하중 등 물성이 나빠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unit module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The depth d of the groove 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0.05 to 0.2 times the width of the unit module 10 . If the depth (d) of the groove 13 is less than 0.05 times the width of the unit module 10, there is a risk that the clip may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bending load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may deteriorate.

단위 모듈(10)의 폭 방향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기능과 미감에 맞도록 선택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형 형상에 모서리 부분만 라운드 처리한 형상도 가능할 수 있고, 홈(13) 형상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nit modul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to suit functions and aesthetics such as polygons, circles, and ovals. In some cases, a polygonal shape in which only the corners are rounded may be possible, and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shape of the groove 13 .

단위 모듈(10)은 그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강도, 내구성 및 내후성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unit modul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material, but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dur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a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and in one preferred example, recycled plastic may be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말단부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말단부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first end uni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nd uni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제1 말단부 단위 모듈(10-1)은 길이 방향으로 일 말단에 볼록 체결부(11)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는 별도의 오목 체결부 없이 막혀 있을 수 있다.3 and 4 together with FIGS. 1 and 2 , the first end unit module 10-1 includes a convex fastening part 11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parate en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blocked without a recessed joint of

제2 말단부 단위 모듈(10-2)은 길이 방향으로 일 말단에는 별도의 볼록 체결부 없이 막혀 있고,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는 오목 체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nd unit module 10 - 2 may be closed without a separate convex fastening part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concave fastening part 12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지주(100), 수평 연결대(200) 및 경사 연결대(300)의 길이 방향 말단부에 위치하는 단위 모듈은 도 2에서 설명한 바 있는 단위 모듈(10)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볼록 체결부(11) 또는 오목 체결부(12)가 개방되어 있어 빗물 등이 유입되고 이로 인한 내구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The unit module locat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post 100,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may use the unit module 10 as described in FIG. 2, but in this case, the convex fastening part 11 Alternatively, since the concave fastening part 12 is open, rainwater or the like flows in, which may cause a durability problem.

지주(100), 수평 연결대(200) 및 경사 연결대(300)는 제1 말단부 단위 모듈(10-1) 및 제2 말단부 단위 모듈(10-2)을 길이 방향 양측 말단에 각각 사용할 수 있다.The post 100,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may use the first end unit module 10-1 and the second end unit module 10-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이 외 다른 구성은 도 2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2 ,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말단부 단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third distal end uni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말단부 단위 모듈(10-3)은 길이 방향으로 일 말단에는 지면 매설을 위한 매설부(110)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는 단위 모듈(10)의 볼록 체결부(11)와의 체결을 위한 오목 체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S. 1 to 4 , the third end unit module 10-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ied part 110 for burying in the groun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include a concave fastening part 12 for fastening with the convex fastening part 11 of the unit module 10 .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제3 말단부 단위 모듈(10-3)의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 오목 체결부(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길이 방향으로 일 말단에 지면 매설을 위한 매설부(110)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타 말단에는 단위 모듈(10)의 오목 체결부(12)와의 체결을 위한 볼록 체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5 exemplarily shows that the third end unit module 10-3 includes a concave fastening portion 12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round surfac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mbedding part 110 may be included for embedding, and a convex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ncave coupling part 12 of the unit module 10 may be includ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매설부(110)는 지면 매설을 위하여 지면을 파헤치고 들어가기 좋은 구조면 어느 구조나 가능하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예로 쐐기 형상으로 표현하였지만, 이것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uried unit 11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is a good structure to dig into the ground for burial in the ground. In FIG. 5 , it is expressed as a wedge shape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외 다른 구성은 도 2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2 ,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수평 연결대가 수평 클립으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클립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t and a horizontal connecting rod are fastened with a horizontal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horizontal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지주(100)와 수평 연결대(200)는 수평 클립(400)을 통해 서로 수직으로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ogether with FIGS. 1 and 2 , the post 100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may be vert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rizontal clip 400 .

수평 클립(400)은 지주(100)와 접하고 지주(100)의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수평 고정 돌기부(420)를 포함하는 수평 클립 본체(410)와 수평 클립 본체(410)에서 수평 고정 돌기부(4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클립 다리부(430)를 포함하고, 수평 클립 다리부(430)의 말단부에는 수평 연결대(200)의 홈에 체결되는 수평 클립 걸쇠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clip 400 is in contact with the post 100 and includes a horizontal clip body 410 including a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420 inserted in correspondence to the groove of the post 100 and a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in the horizontal clip body 410 ( It may include a horizontal clip leg portion 430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420), and a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clip leg portion 430 may include a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440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there is.

수평 클립 걸쇠부(440)는 수평 클립 다리부(430)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클립 걸쇠부(44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체결을 쉽게 하기 위하여 수평 클립 다리(430)의 말단부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줄어드는 형상일 수도 있다.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440 may be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clip leg portion 430 . The shape of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4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ne preferred example, the protrusion length may be reduc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clip leg 430 to facilitate fastening.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수평 클립 걸쇠부(440)는 그 말단에 수평 클립 다리부(4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 클립 탈리용 지지부(4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클립 탈리용 지지부(450)는 수평 클립(400)을 해체할 때 수평 클립 다리부(430)를 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클립 다리부(430)가 연장되어 수평 클립 탈리용 지지부(450)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44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450 for horizontal clip detach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clip leg portion 430 at the distal end thereof. The horizontal clip detachment support 450 may be used to spread the horizontal clip leg 430 when disassembling the horizontal clip 400 . In some cases, the horizontal clip leg portion 430 may extend to serve as a support portion 450 for horizontal clip detachment.

수평 클립 다리부(430)는 2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쌍과 제2 쌍 수평 클립 다리부(430)는 수평 연결대(200)의 홈의 양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클립 다리부(430)가 수평 연결대(200)의 홈의 양측면에 접하고, 수평 클립 걸쇠부(440)가 수평 연결대(200)의 홈의 지주(10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체결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lip leg part 430 may be configured in two pairs, and the first pair and the second pair of the horizontal clip leg part 430 may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 In this case, the horizontal clip leg portion 430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 and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440 is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st 100 of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 can be contracted to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수평 고정 돌기부(4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평 클립(400)이 지주(100)와 수평 연결대(200)를 체결하면 수평 고정 돌기부(420)가 탄성에 의해 수평 클립 본체(410)를 수평 연결대(200)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수평 클립 걸쇠부(440)가 수평 연결대(200)를 잡는 힘이 증가되어 체결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420 may us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this case, when the horizontal clip 400 engages the post 100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 the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420 pushes the horizontal clip body 41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by elasticity. As the force acts, the force of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440 to hol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is increased, so that the fastening holding force can be improved.

이러한 체결 구조를 사용할 경우, 지주(100) 매설 이후 수평 연결대(200)를 원하는 높이에 설정하고 수평 클립(400)만 끼워 넣어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되고, 해체 시에도 수평 클립 다리부(430)를 벌려 수평 클립(400)만 제거하면 해체가 완료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such a fastening structure,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sett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at a desired height after the post 100 is buried and inserting only the horizontal clip 400 to fasten the horizontal clip leg part 430 even when dismantling. Dismantling can be completed only by removing the horizontal clip 400 by opening it.

도 6에서는 수평 클립 본체(410)가 지주(100)에 접하는 구조로 표현되었지만, 수평 클립 본체(410)가 수평 연결대(200)에 접하는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FIG. 6 , the horizontal clip body 410 is expressed 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post 100 , but the horizontal clip body 410 may be used 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200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경사 연결대가 경사 클립으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클립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t and an inclined connecting rod are fastened with an inclined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clined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지주(100)와 경사 연결대(200)는 경사 클립(50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ogether with FIGS. 1 and 2 , the post 100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clined clip 500 .

경사 클립(500)은 경사 연결대(300)와 접하고 경사 연결대(300)의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경사 고정 돌기부(520)를 포함하는 경사 클립 본체(510)와 경사 클립 본체(510)에서 경사 고정 돌기부(5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클립 다리부(530)를 포함하고, 경사 클립 다리부(530)의 말단부에는 지주(100)의 홈에 체결되는 경사 클립 걸쇠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clip 500 is inclined in the inclined clip body 510 and the inclined clip body 510 and the inclined clip body 510 including 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5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and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 It includes an inclined clip leg part 530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sion 520 , an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clip leg part 530 includes an inclined clip latch part 540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post 100 . can

경사 고정 돌기부(520)는 경사 연결대(300)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 클립 본체 대비 소정 각도(θ)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52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clip body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

경사 클립 걸쇠부(540)는 경사 클립 다리부(530)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클립 걸쇠부(54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체결을 쉽게 하기 위하여 경사 클립 다리(530)의 말단부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줄어드는 형상일 수도 있다.The inclined clip clasp portion 540 may be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inclined clip leg portion 530 . The shape of the inclined clip clasp 5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ne preferred example, the protrusion length may be reduc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clip leg 530 in order to facilitate fastening.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경사 클립 걸쇠부(540)는 그 말단에 경사 클립 다리부(530)와 평행한 방향으로 경사 클립 탈리용 지지부(5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사 클립 탈리용 지지부(550)는 경사 클립(500)을 해체할 때 경사 클립 다리부(530)를 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 클립 다리부(530)가 연장되어 경사 클립 탈리용 지지부(550)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inclined clip clasp part 54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550 for detaching the inclined clip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lined clip leg part 530 at its distal end. The support 550 for detaching the inclined clip may be used to spread the inclined clip leg 530 when disassembling the inclined clip 500 . In some cases, the inclined clip leg portion 530 may extend to serve as the support portion 550 for detaching the inclined clip.

경사 클립 다리부(530)는 2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쌍과 제2 쌍 수평 클립 다리부(430)는 지주(100)의 홈의 양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 클립 다리부(530)가 지주(100)의 홈의 양측면에 접하고, 경사 클립 걸쇠부(540)가 지주(100)의 홈의 경사 연결대(30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체결될 수 있다.The inclined clip leg portion 530 may be configured in two pairs, and the first pair and the second pair of horizontal clip leg portions 430 may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groove of the post 100 . In this case, the inclined clip leg part 530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groove of the post 100 , and the inclined clip latch part 540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pposite to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of the groove of the post 100 . can be contracted.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경사 고정 돌기부(5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사 클립(500)이 지주(100)와 경사 연결대(300)를 체결하면 경사 고정 돌기부(520)가 탄성에 의해 경사 클립 본체(510)를 지주(100)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경사 클립 걸쇠부(540)가 지주(100)를 잡는 힘이 증가되어 체결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520 may us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this case, when the inclined clip 500 engages the post 100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 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520 pushes the inclined clip body 51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upport 100 by elasticity. Due to this action, the force of the inclined clip clasp portion 540 to hold the post 100 is increased, so that the fastening holding force can be improved.

이러한 체결 구조를 사용할 경우, 지주(100) 매설 이후 경사 연결대(300)를 원하는 높이에 설정하고 경사 클립(500)만 끼워 넣어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되고, 해체 시에도 경사 클립 다리부(530)를 벌려 경사 클립(500)만 제거하면 해체가 완료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such a fastening structure,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setting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to a desired height after burying the post 100 and inserting only the inclined clip 500 to fasten the inclined clip leg part 530 even when dismantling. Dismantling can be completed only by removing the inclined clip 500 by opening it.

도 8 및 도 9에서는 경사 클립 본체(510)가 경사 연결대(300)에 접하는 구조로 표현되었지만, 경사 클립 본체(510)가 지주(100)에 접하는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FIGS. 8 and 9 , the inclined clip body 510 is expressed 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onnecting rod 300 , but the inclined clip body 510 may be used 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post 10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본 발명은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의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인삼의 생육 시기에 따른 차양막 위치 조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and can be usefully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hading membrane according to the growth period of ginseng.

10 : 단위 모듈
11 : 볼록 체결부 12 : 오목 체결부
13 : 홈 14 : 내부 공간
100 : 지주
110 : 매설부
200 : 수평 연결대
300 : 경사 연결대
400 : 수평 클립
410 : 수평 클립 본체 420 : 수평 클립 돌기부
430 : 수평 클립 다리부 440 : 수평 클립 걸쇠부
500 : 경사 클립
510 : 경사 클립 본체 520 : 경사 클립 돌기부
530 : 경사 클립 다리부 540 : 경사 클립 걸쇠부
10: unit module
11: convex fastening part 12: concave fastening part
13: home 14: interior space
100: holding
110: buried part
200: horizontal connecting rod
300: inclined connecting rod
400: horizontal clip
410: horizontal clip body 420: horizontal clip protrusion
430: horizontal clip leg 440: horizontal clip clasp
500: inclined clip
510: inclined clip body 520: inclined clip protrusion
530: inclined clip leg 540: inclined clip clasp

Claims (7)

인삼밭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지주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연결대, 상기 지주와 상기 수평 연결대를 체결하는 수평 클립 및 상기 지주와 상기 경사 연결대를 체결하는 경사 클립을 포함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클립은,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수평 연결대와 접하고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수평 연결대의 상기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수평 고정 돌기부를 일면에 포함하는 수평 클립 본체 및 상기 수평 클립 본체에서 상기 수평 고정 돌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말단부에 상기 수평 연결대 또는 상기 지주의 상기 홈에 체결되는 수평 클립 걸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평 클립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클립은, 상기 경사 연결대와 접하고 상기 경사 연결대의 상기 홈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경사 고정 돌기부를 일면에 포함하는 경사 클립 본체 및 상기 경사 클립 본체에서 상기 경사 고정 돌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주의 상기 홈에 체결되는 경사 클립 걸쇠부를 복수의 경사 클립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A plurality of posts installed and installed vertically in the ginseng field, a horizontal connecting rod horizontally connecting adjacent pos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 inclined connecting rod obliquely connecting adjacent post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horizontal clip for fastening the posts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s, and In the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omprising an inclined clip for fastening the post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The horizontal clip is the same as the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in the horizontal clip body and the horizontal clip body including a horizontal fix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ole o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pole or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clip leg portions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including a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that is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or the post at a distal end thereof,
The inclined clip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onnecting rod and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fixing protrusion in the inclined clip body and the inclined clip body including an inclined fix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o b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inclined connecting rod and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pole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oblique clip leg portions of the oblique clip clasp that is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 말단에 볼록 체결부 및 타측 말단에 오목 체결부를 포함하는 단위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의 단위 모듈의 상기 볼록 체결부와 다른 단위 모듈의 상기 오목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It includes a unit module including a convex fastening part at one end and a concave fastening part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fastening part of one unit module and the concave fastening part of the other unit module are fasten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는 내부에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wn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길이 방향 일측 말단에 지면 매설을 위한 매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wn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ried part for burying the groun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클립 걸쇠부 및 상기 경사 클립 걸쇠부는,
상기 수평 클립 다리부 및 상기 경사 클립 다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and the inclined clip clasp portion,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clip leg part and the inclined clip le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클립 걸쇠부 및 상기 경사 클립 걸쇠부는,
상기 수평 클립 다리부 및 상기 경사 클립 다리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탈리용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rizontal clip clasp portion and the inclined clip clasp portion,
The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art for detach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clip leg part and the inclined clip le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지주, 상기 수평 연결대 및 상기 경사 연결대의 너비 대비 0.05배 내지 0.2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재배용 차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pth of the groove is a shad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0.05 to 0.2 times the width of the pos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inclined connecting rod.
KR1020200122972A 2020-09-23 2020-09-23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KR202200401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72A KR20220040134A (en) 2020-09-23 2020-09-23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72A KR20220040134A (en) 2020-09-23 2020-09-23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134A true KR20220040134A (en) 2022-03-30

Family

ID=8094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972A KR20220040134A (en) 2020-09-23 2020-09-23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13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398B1 (en) Modular system for securing flat panels to a curved support structure
KR20220040134A (en) Shading device for growing ginseng
KR200439508Y1 (en) Sunshade connector frame for ginseng plot
KR200423356Y1 (en) A supporting joint structure of awning for ginseng farming
KR100892165B1 (en) Vinyl house frame
CN2293175Y (en)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vegetable shed
KR101757632B1 (en) The support fixture of awning for ginsengfarming
KR200324574Y1 (en) structure of coverthe light over for ginseng growing
KR200252379Y1 (en) Structure of shading frame combination in Ginseng cultivation
CN215380397U (en) Detachable sun shading device for mushroom planting
KR200290951Y1 (en) Structure of shading frame in Ginseng cultivation
KR20100087554A (en) Greenhouse using frame with vinylhouse and plastic pannel
KR102031330B1 (en) Shading Tool For Ginseng Cultivation
KR200290950Y1 (en) Structure of shading frame in Ginseng cultivation
KR102626681B1 (en) Greenhouse structure for smart farm system with high functional fluororesin applied
KR200263497Y1 (en) Sun block frame holders specialized in a Ginseng farming
KR20080002896U (en) Sunshade frame connector for ginseng field
CN2266016Y (en) Postless concrete tent frame work
CN215912732U (en) Light and simple grape rain-sheltering facility without arch pipes
KR200237023Y1 (en) The fram device for crops culfivating house
KR200307030Y1 (en) Structure of shading frame in Ginseng cultivation
KR200461786Y1 (en) Canopy structure, equipped with outdoor tables
KR200230310Y1 (en) Structure of shading frame in Ginseng cultivation
KR200282267Y1 (en) built up type sunshade frame for agriculture
CN219437751U (en) Concealed tree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