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487A -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487A
KR20220039487A KR1020200122622A KR20200122622A KR20220039487A KR 20220039487 A KR20220039487 A KR 20220039487A KR 1020200122622 A KR1020200122622 A KR 1020200122622A KR 20200122622 A KR20200122622 A KR 20200122622A KR 20220039487 A KR20220039487 A KR 2022003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predetermined
displayed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경숙
Original Assignee
윤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숙 filed Critical 윤경숙
Priority to KR102020012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487A/en
Priority to PCT/KR2021/008389 priority patent/WO2022005238A1/en
Publication of KR2022003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4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In 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ing device, characters belonging to mutually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on the keyboar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on the keyboard. 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anner is performed from among second character input manners including one type of character input manner, which is derived in a specific rule from mutually different manners, under a situation in which manners of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mutually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y one character, which belongs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ncluded in second character input systems including one type of character system, which is derived in the specific rule from the mutually different character systems, is input. A character input manner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 character system including the input character is changed, and the sequence of performing works performed after performing any one character inputting manner is not considered.

Description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문자입력방식text input method

참고로, 본 발명은, 특히,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형 전자장치에 내재된 소형 가상 키보드에서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을 자동으로 변경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이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st helpful in automatically changing a character input mode or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small virtual keyboard embedded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종래에는 In the past

특히 스마트폰 키보드에서,Especially on smartphone keyboards,

문자입력모드가 변경되려면, 문자입력모드만을 변경시키는 신호가 발생되어야만 문자입력모드가 변경되었다.In order to change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character input mode was changed only when a signal for changing only the character input mode was generated.

예를 들어,E.g,

영문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쉬프트'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고,In order to change from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to the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the 'shift' button had to be operated,

영문대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역시나 '쉬프트'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고,To change from the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to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the 'shift' button had to be operated again,

한글입력모드에서 영문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역시나 언어모드 변경버튼인 '한영'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하는 것처럼,In order to change from the Hangul input mode to the English input mode, the 'Korean/English' button, which is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must be operated.

입력 언어 자체가 변경되려면, 언어모드 변경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다.In order to change the input language itself,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had to be operat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수단항 1][Sudan 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Character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In a situation in which 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변경되거나 추가되는changed or adde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The order of execution of the tasks performed after the "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 does not matter.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2][Sudan 2]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변경되거나 추가되는““changed or added”

silver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 character belongs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or add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3][Sudan 3]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 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This i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that have been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re input.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After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변경되거나 삭제되는changed or delet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4][Sudan 4]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3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3 ,

"변경되거나 삭제되는""Changed or Deleted"

silver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Changed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5][Sudan 5]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4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4 ,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Changed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lver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are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y were input,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6][Sudan 6]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 (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the subject matter of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표시되는 영역 the displayed area

변경될 수 있는 subject to change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7][Sudanese Port 7]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6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6,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표시되는 영역 the displayed area

변경될 수 있는“subject to change

silver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표시되는 영역 the displayed area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제1 소정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can be changed to a first predetermined area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8][Sudan 8]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Character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In a situation where 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lural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거나,(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a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or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with (one or mor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s is change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The order of execution of the tasks performed after the "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 does not matter.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9][Sudan 9]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제1 소정의 영역The "first predetermined area "" 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ny of the writing systems indicated in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After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other areas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0][Sudan 10]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9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9,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other areas "

silver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cluding a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a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1][Sudan 11]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0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0,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regions

silver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y were displaye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2][Sudan 12]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 (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the subject matter of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변경될 수 있는 subject to change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3][Sudan 13]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2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2,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변경될 수 있는"subject to change"

silver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sign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Can be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4][Sudan 14]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express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After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may (or be displayed) in a different de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5][Sudan 15]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4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4,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May be (or displayed) in a different design "

silver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sign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May be displayed (or displayed) with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6][Sudan 16]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15항에 있어서,16. 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15,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May be displayed (or displayed) with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silver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by the design of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were displaye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수단항 17][Sudan 17]

앞의 항들에 있어서, 특히, 제8항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ceding claims, in particular according to claim 8,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이란 What is a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탭 방법 또는 tap method or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인Although it is a tap method, it is a method of tapping (=short tap) so that the touched stat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특히,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형 전자장치에 내재된 소형 가상 키보드에서, In particular, in the small virtual keyboard embedded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라는 신호가 발생되면(예: 어떠한 문자가 입력되면), When a signal to input a certain character is generated (eg, when a certain character is input),

언어모드 변경버튼, 쉬트트 버튼 또는 기호모드로의 변경버튼 필요없이No need for language mode change button, sheet button, or change button to symbol mode

상기 어떠한 문자가 포함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로 또는 그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t is changed to an input mode for inputting a character system including any of the above characters or to a keyboard state that looks like the input mode.

그래서, 쉬프트 버튼 또는 언어모드 변경버튼 또는 기호모드로의 변경버튼이 불필요하게 된다.Therefore, the shift button or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or the symbol mode change button becomes unnecessary.

도1: 본원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관계도.
도2: 종래의 영문 소문자 모드(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용됨)에 대한 예시도.
도3: 종래의 영문 대문자 모드(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용됨)에 대한 예시도.
도4: 종래의 한글 2벌식 자판(본원의 기술이 적용되어도 사용됨)에 대한 예시도.
도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상측 영역의 폰트가 하측 영역의 폰트보다 크며, 상측 영역의 바탕색까지 회색으로 되어있어,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10: 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상측 영역의 폰트가 하측 영역의 폰트보다 크며, 상측 영역의 바탕색까지 회색으로 되어있어,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11: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2에 대한 예시도(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큼)
도12: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2에 대한 예시도.(도10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큼)
도14: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도9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는 더 크게, 영문 소문자는 더 작게 표시됨)
도17: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상측 영역의 폰트가 하측 영역들의 폰트보다 크며, 상측 영역의 바탕색까지 회색으로 되어있어,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들보다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18: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괄호 안의 설명은 도17의 것과 동일)
도1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괄호 안의 설명은 도17의 것과 동일)
도22: 도17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한글이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괄호 안의 설명은 도17의 것과 동일)
도43: 도17에 비하여,
상측 영역의 폰트와 하측 영역들의 폰트가 동일하며, 한글(문자)이 표시된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한글이 표시된 상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44: 도43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좌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좌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음.
도45: 도17에 비하여,
상측 영역의 폰트와 하측 영역들의 폰트가 동일하며,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이 더 두드러지게 보이게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또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음.
도43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되어,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49: 각각의 문자버튼에 한글, 기호,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서, 한글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0: 도49에 비하여 기호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1: 도4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2: 도49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5: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서,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6: 도55대비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7: 도55대비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8: 도55대비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5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도 회색이 아님(=흰색임)
(((((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하면서 폰트도 다른 영역보다 크게 하여,
회색으로 된 영역이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다른 영역과 더욱 차별화되게 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이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도59처럼)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어느 한 영역의 바탕색까지 차별화하면서까지 그 어느 한 영역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을
도59처럼 생략하여 조금만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으로 할 수도 있다.
)))))
도60: 도9에 비하여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해주는 점선이 없음.
도61: 도17에 비하여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해주는 점선이 없음.
도62: 도60에 비하여 동일한 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문자의 크기 폰트가 하측 영역의 크기 폰트와 동일하면서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하측 영역의 바탕색과 동일한 흰색이다
도72~도79: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고,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는데,
도72,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2와 도73의 차이점은
도72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4, 도75는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4와 도75의 차이점은
도74는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5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6, 도77은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78, 도79은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도80: 각각의 문자버튼에 한글 단자음, 한글 쌍자음, 기호,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서, 한글 단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1: 도80에 비하여 한글 쌍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2: 도80에 비하여 기호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3: 도80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4: 도80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5: 도80에 비하여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공통문자가 배정된 버튼에서만은, 키보드가 간단히 보이도록,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과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을 합쳐놓았고,
한글 단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6: 도85에 비하여 한글 쌍자음이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7: 도85에 비하여 기호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8: 도85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89: 도85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0: 도86에 비하여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ㄲ,ㄸ,ㅃ,ㅆ,ㅒ,ㅖ'를 '§'으로 통일해버린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1: 도86에 비하여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ㄲ,ㄸ,ㅃ,ㅆ,ㅒ,ㅖ'를 아예 표시하지 않은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도91: 도49에 비하여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를 없게 하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한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즉, 도49 대비,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한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
Figure 1: A system relationship diagram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Figure 2: An exemplary view of a conventional lowercase English mode (which is used even if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Figure 3: An exemplary view of a conventional uppercase English mode (used even if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Figure 4: Exemplary diagram of a conventional Hangul 2-beol-sik keyboard (used even if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Figure 9: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and uppercase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The font of the upper area is larger than the font of the lower area,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s also grayed out, making the upper area more prominent than the lower area ).
Figure 10: Compared to Figure 9,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side of the same letter button.
(The font of the upper area is larger than the font of the lower area,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s also grayed out, making the upper area more prominent than the lower area ).
Fig. 11: An exemplary view of Keyboard 2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and upper case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side in the same letter button (the upper area in the same letter button is larger than the lower area compared to Fig. 9)
Fig. 12: An exemplary view of Keyboard 2 in which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and lower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side in the same letter button. (Compared to Fig. 10, the upper area in the same letter button is larger than the lower area)
Figure 14: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and uppercase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Fig. 17: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Korean charac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left side,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right side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The font in the upper region is larger than the font in the lower region,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region is also grayed out, making the upper region stand out more than the lower regions ).
Fig. 18: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Korean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left side,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right side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Explanations in parenthese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7)
Fig. 19: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Hangul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left side, and English lowercase letters are allocated to the lower right side within the same letter button.
(Explanations in parenthese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7)
Figure 22: Compared to Figure 17,
An example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lower English lowercase letters are placed on the lower left side, and Korean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side within the same letter button.
(Explanations in parenthese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7)
Figure 43: Compared to Figure 17,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the font of the upper region and the font of the lower regions are the same,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region in which Hangul (characters) is displayed is gray, so that the upper region in which Korean is displayed is the most prominent .
Figure 44: Compared to Figure 43,
The background color of the lower left area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s gray, so that the lower left area in which English lowercase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prominent.
Figure 45: Compared to Figure 17,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the font of the upper region and the font of the lower regions are the same,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lower right region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gray, so that the lower right region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more prominent .
Or you could say:
Compared to Figure 43,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the lower right area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gray, so that the lower right area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prominent .
Fig. 49: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Hangul, symbols, uppercase English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on each character button, and the area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is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
Fig. 50: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 region marked with a symbol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49;
Fig. 51: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49;
Fig. 52: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49;
Figure 55: While lowercase Russian letters, uppercase Russian letters,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An example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Russian lowercase mode because the area with lowercase Russian letters is most prominent.
Figure 56: Compared to Figure 55
An example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Russian capitalization mode because the area marked with Russian capital letters is most prominent.
Figure 57: Compared to Figure 55
An example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mode because the area marked with lowercase English is most prominent.
Figure 58: Compared to Figure 55
An example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n English capitalization mode because the area marked with English capital letters is most prominent.
Figure 59: An example of a keyboard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to the upper side and uppercase letters are assigned to the lower side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Compared to FIG. 9, the upper background color in the same text button is not gray (=white))
(((((
In more detail,
Inside each of the text buttons on most drawings of reference number 8 or higher as shown in FIGS. 9 and 17, the background color of any one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ny one letter button is gray while the font is larger than the other areas. So,
I made the gray area stand out more while making it more differentiated from other areas within any one character button.
This was also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asy to understand manner,
In actual implementation by apply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Like Figure 59)
inside each of the text buttons
A design that makes any one area stand out more while differentiating the background color of any one area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59, it may be omitted to design a slightly conspicuous design.
)))))
Fig. 60: Compared to Fig. 9, there is no dotted line indicating that the regions within the same button are separated .
Fig. 61: Compared to Fig. 17, there is no dotted line indicating that the regions within the same button are separated .
Figure 62: Compared to Figure 60, the font size of the text in the upper area within the same button is the same as the font size of the lower area,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s the same white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lower area.
72-79:
72, 73, 74, 75, 76, 77, 78, and 79 in each character button of the eight keyboards.
In the upper area , any one of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Russian letters is displayed,
In the lower area , either lowercase English or uppercase English is displayed.
72 and 73 are exemplary diagrams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Russian letter input mode because lowercase Russian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The difference between Fig. 72 and Fig. 73 is
72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Figure 73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74 and 75 are exemplary diagrams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Russian capital capital input mode, in which Russian capital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The difference between Fig. 74 and Fig. 75 is
74 shows uppercase Russian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Figure 75 shows upp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76 and 77 are exemplary diagrams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becaus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shown,
(The difference between Fig. 76 and Fig. 77 is
76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77 shows uppercase Russian characters and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78 and 79 are exemplary views of a keyboard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most conspicuously displayed, so that it looks like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
(The difference between Fig. 76 and Fig. 77 is
76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Figure 77 shows upp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Figure 80: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the Korean terminal sound, the Korean double consonant, the symbol, the English uppercase letter, and the English lowercase letter are displayed on each character button, and the area where the Korean terminal sound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 .
Fig. 81: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the area in which the Korean double consonant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0.
Fig. 82: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marked with a symbol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0;
Fig. 83: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0;
Fig. 84: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0;
Figure 85: Compared to Figure 80, only in the button to which common character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are assigned, the area to which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s assigned and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are assigned so that the keyboard can be seen simply areas were merged,
An example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the area marked with Hangul terminal sounds is most prominent .
Fig. 86: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the region in which the Korean double consonant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5.
Fig. 87: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the area marked with a symbol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5.
Fig. 88: Compared to Fig. 85,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in which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
Fig. 89: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in which an area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 compared to Fig. 85;
Figure 90: Compared to Figure 86
An example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ㄲ, ㄸ, ㅃ, ㅆ, ㅒ, ㅖ', which are replaced (or different) characters in the Korean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compared to the Korean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s unified into '§' .
Figure 91: Compared to Figure 86
An example diagram of a keyboard that does not display 'ㄲ, ㄸ, ㅃ, ㅆ, ㅒ, ㅖ', which are alternate (or different) characters in the Korean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compared to the Korean monophonic character system.
Figure 91: Compared to Figure 49
There should be no area for displaying the Hange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An example diagram of a state keyboard that looks like a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put mode with a different design in the state that looks like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nput mode and the state that looks like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put mode.
(In other words, in contrast to Fig. 49, on the keyboard in a state that looks like a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put mode with a different design that looks like a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nput mode and a state that looks like a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put mode example for 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

용어의 설명Explanation of terms

..

..

..

용어5. '키보드' (=자판) Terminology 5. 'keyboard' (= keyboard)

텍스트(특수문자(이모티콘, 이모지, 문장부호 포함)포함)를 전자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으로써,Any means by which text (including special characters (including emoji, emoji, and punctuation marks)) can be entered electronically;

물리적 키보드와 가상 키보드를 모두 포함하는 키보드임.A keyboard that includes both physical and virtual keyboards.

상기 ‘가상 키보드’는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키보드와 공중에 나타나는 홀로그램 키보드도 포함함.The 'virtual keyboard' includes a virtual keyboard on a touch screen and a holographic keyboard appearing in the air.

..

..

..

용어10..'버튼'(=KEY)Terminology 10..'Button' (=KEY)

물리적 버튼과 가상 버튼를 모두 포함하는 버튼임.A button that contains both physical and virtual buttons.

상기 ‘가상 버튼’은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버튼과 공중에 나타나는 홀로그램 버튼도 포함함.The 'virtual button' also includes a virtual button on the touch screen and a hologram button that appears in the air.

..

..

..

용어15..'조작'Terminology 15..'manipulation'

'직접 조작'과 '간접 조작'으로 나눌 수도 있다.It can also be divided into 'direct manipulation' and 'indirect manipulation'.

직접 조작 : 직접 터치되는 조작. Direct operation : Direct touch operation.

예를 들어, 물리적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상의 가상버튼이 외부물체(예:손가락 또는 정전식펜) 또는 프로그램 내의 객체(예: 마우스 포인터)로 직접 터치되는 조작이 있다.For example, there is an operation in which a physical button or a virtual button on a touch screen is directly touched with an external object (eg, a finger or a capacitive pen) or an object within a program (eg, a mouse pointer).

간접 조작 : 직접 터치되지 않는 조작. Indirect operation : operation that is not directly touched.

예를들어, 버튼 상공에서의 어떠한 손동작에 의한 조작 또는 뇌파에 의한 조작이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n operation by a certain hand gesture over the button or an operation by brain waves.

..

..

..

용어20..'문자버튼'Terminology 20..'Text Button'

입력될 수 있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으로써, 문자가 입력될 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As a button to which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are assigned, it is a button that allows characters to be input.

참고로, 문자버튼에도 입력될 수 있는 문자 외의 어떠한 기능을 배정하여, 바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 버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다.For reference, it is possible to assign any function other than text that can be input to the text button, so that it can serve as a function button, which will be described immediately below.

..

..

..

용어30..'기능버튼'Terminology 30..'Function Button'

문자버튼 외의 버튼으로써, 문자를 입력하게 하는 기능외의 기능이 배정된 버튼이다.As a button other than the character button, it is a button to which a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to input a character is assigned.

예를 들어, 쉬프트 버튼, 삭제 버튼, 엔터 버튼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이 있다.( 본원에서는 도면들 각각에 표시된 F1~F8과 같은 버튼들 이다.)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function buttons such as a shift button, a delete button, and an enter button.

참고로, 기능 버튼에도 입력될 수 있는 문자를 배정하여 문자버튼의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다.For reference, it is possible to assign characters that can be input to the function buttons so that they can also function as the character buttons.

..

..

..

용어40..'문자체계'Terminology 40..'Writing System'

본원의 기술이 적용될 때의 '문자체계'를 서로 구분하는 기준(=정의)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When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he criteria (= definition) for distinguishing the 'letter systems' from each other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숫자', '기호’라는 문자체계를 구분하는 기준(=정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The criteria (=definition) for classifying the character system of ' Hangul ', ' English lowercase ', ' English uppercase ', ' number ', and ' symbol ' may be as follows.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는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으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The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eul '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system composed of Hangeul consonants and Hangeul vowels.

(또는 (or

한글 쌍자음이 포함되지 않는 한글 자소들(예: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 )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는 한글 단자음단모음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A character system that consists of Hangul letter elements that do not contain Korean double consonants (e.g., ㄱ ㄴ ㄹ ㅁ ㅇ ㅇ ㅇ ㅋ ㅋ ㅋ ㅎ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ㅐ ㅔ) is can be said,

한글 쌍자음이 포함된 자소들(예: ㄲ ㄸ ㅃ ㅆ ㅉ ㅒ ㅖ)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는 한글 쌍자음복모음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A character system that consists of alphabets containing double consonants (eg, ㄲ ㄸ ㅃ ㅆ ㅒ ㅖ) can be said to be the Hangeul double consonant vowel writing system .

즉, 한글 단자음단모음 문자체계한글 쌍자음복모음 문자체계는 서로 다른 한글 문자체계로 간주할 수도 있는 등 그야말로 '문자체계'를 서로 구분하는 기준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character systems' from each other can be set arbitrarily, such as the Hangul monophonic consonant vowel character system and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onsonant vowel character system can be regarded as different Hangul character systems.

한글, 영문을 포함한 모든 문자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The same is true for all characters including Korean and English )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26개의 영어 소문자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The ' English lowercase letter ' is a character system that consists of 26 lowercase English letters.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26개의 영어 대문자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The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capital letters ' can be said to be a writing system consisting of 26 uppercase English letters.

'숫자'라는 문자체계는 0~9라는 10개의 숫자로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The character system called ' number '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system with 10 numbers 0 to 9,

'기호'라는 문자체계는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문자가 아닌 문장부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기호들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특수문자' 문자체계라고 할 수도 있다.)The character system called ' symbol ' is not a character to express language, but a character system composed of symbols including punctuation marks and emoticons. (It can also be called a ' special character ' character system.)

그래서,therefore,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 각각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Each of the Hangeul consonants and Hangeul vowel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belonging to (=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eul '.

(또는 (or

한글 쌍자음이 포함되지 않는 한글 자소들(예: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 )은 '한글 단자음단모음'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Korean alphabets that do not contain Korean double consonants (eg, ㄱ ㄴ ㄹ ㅁ ㅇ ㅇ ㅇ ㅋ ㅋ ㅋ ㅎ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ㅐ ㅔ ) are written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eul monophonic vowels '. It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belonging to (= containing),

한글 쌍자음이 포함된 한글 자소들(예: ㄲ ㄸ ㅃㅆㅉㅒㅖ은 '한글 쌍자음복모음'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다,)Korean alphabets containing double consonants (eg, ㄲ ㄸ ㅃㅆㅒㅖ can be said to be characters belonging to (= containing)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eul double consonant vowels ')

26개의 영어 소문자 각각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Each of the 26 lowercase English letter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belonging to (=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lowercase letter ',

26개의 영어 대문자 각각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Each of the 26 capital letters in English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belonging to (=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capital letter ',

0~9라는 10개의 숫자 각각은 '숫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Each of the 10 numbers 0 to 9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belonging to (=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number ',

문장부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기호들 각각은 '기호'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고 할 수 있다.Each of the symbols, including punctuation marks and emoticon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belonging to (= included) a character system called ' symbol '.

그리고, 예를 들어,And, for example,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으며,' Hangul ', ' English lowercase letters ', and ' English uppercase letters ' can be said to be three different character systems,

'한글', '영문'(=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은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라고도 할 수 있다.' Hangeul ' and ' English ' (= 'English lowercase letter' + 'English uppercase letter') can be said to be two different character systems.

..

..

..

용어50..'버튼 디자인'Terminology 50..'Button Design'

버튼의 디자인에는 버튼 테두리 디자인, 버튼의 바탕 디자인, 또는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디자인을 예로 들 수 있다. The design of the button includes, for example, the button border design , the button background design , or the design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button .

상기 '버튼 테두리 디자인'에는 버튼테두리의 색깔, 문양, 두께가 포함될 수 있다.The ' button border design' may include the color, pattern, and thickness of the button border.

상기 '버튼의 바탕 디자인'에는 버튼의 바탕 색깔, 버튼의 바탕 문양이 포함될 수 있다.The ' background design of the button' may include a background color of the button and a background pattern of the button.

상기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디자인'에는표시된 문자의 색깔, 문자크기, 문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The ' design of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button ' may include the color, character size, and font of the displayed character.

버튼디자인은 button design

버튼의 바탕 색깔, 버튼의 문양(예: 버튼의 바탕 또는 버튼 테두리 또는 버튼 주변의 문양),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체,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색깔 등으로 어떠한 버튼이 (다른 버튼과 디자인이 다른지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버튼과 구별되게 할 수 있다.The button's background color, the button's pattern (e.g., the button's background or button border or the pattern around the button), the font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button, the text color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button, etc.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uttons that are compared).

상기에서 '버튼의 문양'에 대하여 예를 들어 조금 더 보충 설명하자면, To explain a little more about the 'pattern of the button' above with an example,

버튼의 바탕 색깔은 동일하여도 버튼의 문양이 다르면 '버튼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If the button's background color is the same, but the button's pattern is different, the 'button design' is different.

문양의 종류의 예에 빗살무늬, 격자무늬, 꽃무늬 등이 있다. Examples of types of patterns include comb patterns, lattice patterns, and floral patterns.

그리고, 예를 들어, And, for example,

버튼의 바탕 색깔과 버튼에 표시된 (인식되는) 문자가 같아도(예: 진한 글자체의 'b'와 이탤릭체의 'b' 처럼 문자체가 다르더라도 똑같이 영문 소문자 'b'라고 인식되더라도), Even if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utton and the (recognized) character displayed on the button are the same (e.g., even if the font is different, such as ' b ' in bold and ' b ' in italics, even if it is recognized as a lowercase English 'b'),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체가 다르면(예: 진한 글자체의 'b'와 이탤릭체의 'b' 처럼 글자체가 다르면) '버튼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If the font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button is different (eg ' b ' in bold and ' b ' in italics), the 'button design' is different .

..

..

..

용어60..'드래그' 방법(또는 드래그 문자입력방법)Terminology 60.. 'Drag' method (or drag character input method)

"어떠한 버튼을 드래그 하다" 또는 "어떠한 버튼에 대해서 드래그 하다"라는 말은The phrase "drag a certain button" or "drag on a certain button" means

어떠한 버튼을 터치한 후에 After touching any button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기는 것 또는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ile maintaining one or more touch points being touched; or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긴 후에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It refers to releasing the touch after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ile maintaining one or more touch points being touched.

소정의 길이 이상을 드래그 해야 드래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즉, 소정의 길이 미만으로 드래그하면 탭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It may be recognized as a drag by dragg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 That is, if you drag less than a predetermined length, it can be recognized as a tap. )

"드래그"는 "싱글터치 드래그"와 "멀티터치 드래그"로 나뉠 수 있다." Drag " can be divided into " single-touch drag " and " multi-touch drag ".

본원에서, '멀티터치' 또는 '싱글터치' 라는 문구가 빠진 상태의 '드래그' 는 별다른 조건이나 말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싱글터치 드래그' 를 말한다.As used herein, 'drag' without the phrase 'multi-touch' or 'single-touch' generally refers to 'single-touch drag' unless there are special conditions or words.

" 싱글터치 드래그 " : " Single Touch Drag " :

'싱글터치'는 ' Single Touch '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싱글터치로써,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어느 시점에서 터치되어 있는 터치점이 1개이게 터치를 말하며,As it is generally called single touch, there is no need to explain it, but it refers to a touch with one touch point being touched at a certain point.

"싱글터치 드래그"는" Single Touch Drag "

어떠한 버튼을 싱글터치(=)한 후에 After single touch (=) on any button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기는 것 또는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ile maintaining the touch point being touched; or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긴 후에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It refers to releasing the touch after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ile maintaining the touched touch point.

" 멀티터치 드래그 ": " Multi-touch drag " :

'멀티터치'는 ' Multi-touch '

일반적으로 일컬어지는 멀티터치로써,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어느 시점에서 터치되어 있는 터치점이 2개 이상이게 터치를 말하며,Multi-tou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touch, and there is no need to explain it, but it refers to a touch with two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at a certain point.

"멀티터치 드래그"는" Multi-touch drag "

어떠한 버튼을 멀티터치()한 후에 After multi-touch () on any button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기는 것 또는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ile maintaining one or more touch points being touched; or

터치하고 있는 터치점을 1개 이상 유지한 상태로 터치점의 위치를 옮긴 후에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It refers to releasing the touch after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while maintaining one or more touch points being touched.

드래그할 때의 방향에 의해 싱글터치 드래그 또는 멀티터치 드래그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도 있다. by the direction of dragging Single-touch dragging or multi-touch dragging may be classified as follows.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는" Drag in any direction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아무 방향으로나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the drag direction is in any direction.

(참고로, 본원의 기술을 상용화시에는 본원의 실시예들 중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이 적용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또는 비슷한 상황에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을, 탭 방법 중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초과가 되도록 탭(=길게 탭) 방법으로 대체하면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느낄 수도 있는 경우도 있을 것 같기는 하다.)(For reference, when commercializ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same or similar situation as the embodiment to which the " drag in any direction " method is applied amo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rag in any direction " method, the tap method among the tap methods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user may feel more convenient if the tap (= long tap) method is replaced so that the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좌측으로 드래그"는" Drag left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좌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left.

"우측으로 드래그"는" Drag right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우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the drag direction is to the right.

"상측으로 드래그"는" Drag upward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상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upward.

"하측으로 드래그"는" Drag down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하측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downward.

"좌상측으로 드래그"는" Drag left and right"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좌상측 방향(=북서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in the upper left direction (= northwest diagonal direction).

"좌하측으로 드래그"는 "Drag left and right"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좌하측 방향(=남서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downward left (= diagonal direction southwest).

"우상측으로 드래그"는" Drag to right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우상측 방향(=북동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in the right-hand direction (= northeast diagonal direction).

"우하측으로 드래그"는" Drag to the lower right "

드래그 할 때 드래그 방향이 우하측 방향(=남동쪽 대각선 방향) 인 것을 말한다.When dragging, it means that the drag direction is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 diagonal direction to the southeast).

..

..

..

용어70..'탭' 방법(또는 탭 문자입력방법)Terminology 70..'Tab' method (or tab character input method)

"어떠한 버튼을 탭 하다" 또는 "어떠한 버튼에 대해서 탭 하다"라는 말은"Tap on any button" or "tap on any button" means

어떠한 버튼을 터치한 후에 (드래그 없이) 터치를 해제하는 것을 말한다. It refers to releasing the touch (without dragging) after touching any button.

소정의 길이 이상을 드래그 해야 드래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즉, 소정의 길이 미만으로 드래그하면 탭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Dragg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recognized as a drag. (That is, dragging less than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recognized as a tap.)

"탭"은 "싱글터치 탭"과 멀티터치 탭"으로 나뉠 수 있다."Tap" can be divided into " Single-touch tab " and " Multi-touch tab ".

본원에서, '멀티터치' 또는 '싱글터치' 라는 문구가 빠진 상태의 '탭' 는 별다른 조건이나 말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싱글터치 탭' 를 말한다.As used herein, a 'tap' without the phrase 'multi-touch' or 'single-touch' generally refers to a 'single-touch tap' unless there are special conditions or words.

..

..

..

용어의 설명 끝.End of glossary of terms.

==========================================================================

==========================================================================

본원에서 기술을 함축적인 문구로 나타내보자면 다음의 함축적문구들과 같다.If we show the descrip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as implicit phrases, the following implicit phrases are as follows.

참고로, 각 함축적문구들은 청구항문구들과 거의 동일하다.For reference, each of the implied phrases is almost the same as the claim phrases.

..

..

..

[함축적문구1][Implicit phrase 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o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Multiple different writing systems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Characters belonging to are assigned,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In these different situations,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되면,when,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writing system 가 입력되고, is entered,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변경되거나 추가되는changed or added

상기 "remind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The order in which the tasks performed after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먼저,first,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바로 상기 문구 중right in the sentence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Multiple character buttons on the keyboar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참고로, (Note that,

"문자버튼"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겠지만,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이며, '문자버튼'과 '기능버튼'에 대해서 앞의 "용어의 설명"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Text button" does not need to be explained, but it is a button to which a letter is assigned, and 'text button' and 'function button' are explained in the "Explanation of terms" section above.)

원래 키보드에는 문자가 배정된 문자버튼은 복수 개가 있다. The original keyboard has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o which characters are assigned.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이란 바로 그러한 상황을 말한다.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refers to such a situation.

사실상 당연한 말이라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지만 굳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In fact, there is no need to explain it any further, but let me explain it as follows.

예를 들어,E.g,

도9와 같은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에 크게 영문 소문자인 a~z와 영문 대문자인 A~Z가 배정된 26개의 문자버튼과 쉬프트버튼 1개와 F1~F8과 같은 9개의 기능버튼이 있다.There are 26 letter buttons , one shift button, and nine function buttons , such as F1 to F8, to which English lowercase letters a-z and English capital letters A-Z are largely assigned to the smartphone virtual keyboard as shown in FIG. 9 .

도9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 Each letter button of the keyboard of FIG. 9 is assigned with one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uppercase letter.

즉, 도9 키보드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된 문자버튼이 복수개가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keyboard of FIG. 9 has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o which one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uppercase letter are assigned.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의 키보드는The keyboard of Figure 2 is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데 It looks like lowercase English mode.

도2의 키보드와 같은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에도,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음에도,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Althoug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also assigned to each letter button of a keyboard such as the keyboard of FIG. 2 as shown in FIG. 9, only (capital English letters) may not be displayed.

그렇다면 도2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If so, it can be said that one lowercase English letter and one uppercase English letter are assigned to each letter button of the keyboard of FIG. 2 .

결국, 도2 키보드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된 문자버튼이 복수개가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keyboard of FIG. 2 may have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o which one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uppercase letter are assigned.

(그래서, 뒤에서 설명할 것인데 미리 조금 말하자면,(So, as I will explain later, to say a little in advance,

도2 또는 도9와 같은 상태에서 2 or 9 in the same state

각각의 문자버튼을 each letter button

탭하여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고,Tap to enter lowercase English letters,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영문 대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enter capital letters by dragging in any direction.)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17의 키보드도 26개의 문자버튼과 쉬프트버튼 1개와 F1~F8과 같은 9개의 기능버튼이 있다.The keyboard of FIG. 17 also has 26 character buttons, one shift button, and nine function buttons such as F1 to F8.

도17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한글 자소 1개씩과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17. Each character button of the keyboard is assigned with one Korean alphabet, one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capital letter.

결국, 도2 키보드에는 한글 자소 1개씩과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된 문자버튼이 복수개가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keyboard of FIG. 2 has a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o which one Korean alphabet, one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capital letter are assigned.

((((((((((

참고: reference:

1..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영역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는 점선이 있는데,1.. Inside each of the text buttons on most drawings with reference number 8 or more as in FIGS. 9 and 17, there is a dotted line dividing the area within any one text button into two or more areas,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This is also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asy to understand manner,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In actual implementation by apply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과 같은 선분을 생략할 수도 있다.A line segment such as a dotted line dividing an area within any one of the text buttons inside each of the text buttons may be omitted.

예를 들어, E.g,

도9에 있는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이 도60처럼 생략될 수 있고,The dotted line in FIG. 9 (which divides regions within the same button) may be omitted as in FIG. 60,

도17에 있는 (동일한 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이 도61처럼 생략될 수 있다.The dotted line in FIG. 17 (which divides regions within the same button) may be omitted as in FIG.

2..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바탕색을 회색 으로 하면서 폰트도 다른 영역보다 크게 하여,2..In each of the text buttons on most drawings with reference number 8 or higher as in FIGS. 9 and 17, the background color of any one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ny one text button is gray while the font is also different. larger than the area,

회색으로 된 영역이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다른 영역과 더욱 차별화되게 하면서 더욱(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I made the gray area stand out more (or the most) while making it more differentiated from other areas in any one character button.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이었으므로,This was also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asy to understand manner,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In actual implementation by apply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복수의 영역 중Among the plurality of areas inside each of the text buttons

어느 한 영역의 바탕색까지 차별화하면서까지 그 어느 한 영역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을 A design that makes one area stand out more while differentiating the background color of one area

예를 들어, 도9에서 도59로의 변화처럼,For example, like the change from Fig. 9 to Fig. 59,

도9에서의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이 (하측의 바탕색인 흰색과 다르게) 회색인 것을 In Fig. 9, the upper background color in the same character button is gray (different from the lower background color white).

도59처럼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이 (하측의 바탕색인 흰색과 동일하게) 흰색으로 하여, like figure 59 Set the upper background color in the same text button to white (same as the lower background color white),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의 문자 크기 폰트만 다르게 하는 조금만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으로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slightly conspicuous design that differs only in the font size of the upper and lower regions.

3..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크게 또는 굵게 표시하여,3..In each of the text buttons on most drawings of figure number 8 or more as in FIGS. 9 and 17, any one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any one of the text buttons is displayed in large or bold form. ,

크게 또는 굵게 표시된 문자가 그 어느 한 문자가 배정된 그 문자버튼 에 배정된 다른 문자들과 차별화되게하여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The large or bold characters were differentiated from other characters assigned to the character button to which any one character was assigned to make them stand out.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This is also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 easy to understand manner,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In actual implementation by apply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를 차별화하는 디자인을 A design that differentiates any one character inside each of the character buttons

생략할 수도 있다.may be omitted.

예를 들어, 도59에서 도62로의 변화처럼, (점선도 생략하고) For example, like the change from Fig. 59 to Fig. 62 (without the dashed line)

도59에서,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상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를 하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대문자보다 크게 또는 굵게(영문 소문자의 폰트가 대문자 폰트보다 더 크기 때문) 표시하였던 것을In FIG. 59, inside each of the letter buttons,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assigned to the upper area among the plurality of letters allocated within the one letter button are larger or thicker than the uppercase letters of English assigned to the lower area (lowercase letters of English). Because the font is larger than the uppercase font)

도62처럼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상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를 하측 영역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대문자보다 작게 또는 보통의 굵기로(영문 소문자의 폰트가 대문자 폰트와 동일함에도 소문자는 대문자보다 더 작게 보이기 때문)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62, inside each of the letter buttons, the English lowercase letters assigned to the upper area among the plurality of letters assigned to any one letter button are smaller than or with a normal thickness than the English uppercase letters assigned to the lower area (English) Even though the font of lowercase letters is the same as that of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appear smaller than uppercase letters).

어쨌든, 바로 상기 참고의 1, 2, 3번처럼 Anyway, just like No. 1, 2, and 3 of the above reference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는 선분 또는A line segment that divides a plurality of areas within the same text button into two or more areas, or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 또는A design that makes any one area stand out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the same text button; or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포함한Including a design that makes any one character stand out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생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omit a design for making any one character stand out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in the same character button.

물론, sure,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A design that makes any one character stand out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within the same character button

본원에서 소개하지 않는 다양한 행태로 창조해 낼 수 있다.It can be created in various ways that are not introduced here.

))))))))))

이제now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도2, 도9 또는 도17과 같은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에 26개의 문자버튼이 있는데,There are 26 character buttons on the smartphone virtual keyboard as shown in Fig. 2, Fig. 9 or Fig. 17,

예를 들어,E.g,

본원의 기술은 26개의 문자버튼 중 10개의 문자버튼만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하였다.Sinc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only 10 character buttons out of 26 character buttons, it is expressed as such.

즉, 상기 문구의 예로서 다음과 같은 문구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That is, as an example of the phrase, the following phrase may also be present.

"키보드 상의 26개의 문자버튼들 중 10개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10 character buttons out of 26 character buttons on the keyboard,

하지만, 본원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26개 문자버튼에 대해서는 그 전부를 대상으로 설명하겠다.However, in mo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l of the 26 character buttons will be described.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라고Called

표현한 또 다른 이유도 설명하자면,Another reason for expressing

일반적인 스마트폰 가상자판처럼Like a normal smartphone virtual keyboard

'.'버튼, '@'버튼과 같은 '기호'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자버튼이 있거나(예를 들어, 도9 또는 도17에서,,, F6버튼이 '.'버튼이고, F7버튼이 '@'버튼일 수도 있다.) There is an additional character button for inputting characters of a character system called 'symbol', such as a '.' button or a '@' button (for example, in FIG. 9 or FIG. 17, the F6 button is a '.' button and the F7 button may be the '@' button.)

더 나아가 문자버튼들이 있는 영역 외의 상측에 1개의 행으로 0~9라는 10개의 숫자가 배정된 '숫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자버튼들도 있을때(도면 생략),Furthermore, when there are additional character buttons that can input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ystem called 'Number' in which 10 numbers 0 to 9 are assigned in one row on the upper side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buttons are (not shown),

본원의 기술이,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문자버튼들인 26개의 문자버튼만에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도 그렇게 표현하였다.It was expressed that way because it can be applied only to the 26 character buttons, which are character buttons.

이제 now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말 그대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말하겠다는 뜻이다.In other words, it means that an event that occur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이제now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Character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text system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도9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in FIG. 9 has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A character system called 'Capital English'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Characters belonging to two different writing systems are assigned.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에도,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Althoug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also assigned to each letter button of the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mode as shown in FIG. 2, as in FIG. 9, only (capital letters in English) may not be displayed.

그렇다면,then,

도2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도 In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in Fig. 2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A character system called 'Capital English'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It can be said that characters belonging to two different writing systems are assigned.

참고로,Note that,

본원 전체에 있어서, 본원의 기술을 설명할 때에Throughout this application, when describ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 키보드에 본원의 기술이 적용된 실시예에서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mode, as shown in FIG. 2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Althoug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also assigned as shown in FIG. 9, it may be considered that only (English capital letters) are not marked.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another example ,,

도17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in Fig. 17 has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와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s' and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라는 ‘Hangul’ is a character system.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Characters belonging to three different writing systems are assigned.

이제now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 " In a situation where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is different,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도9 또는 도2의 키보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When an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an English uppercase letter are assigned to each of the letter buttons of the keyboard of FIG. 9 or FIG. 2,

' 영문 소문자 '는, ' English lowercase letter ' is,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도9 참조) 또는 중앙(도2 참조)에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지 않기도 하지만, (Although it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see Fig. 9) or the center (see Fig. 2) inside the assigned button, or the mark is not omitted,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s,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If the font size is the largest, the font is thick, or the background color of the displayed area inside the button is gray, etc.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Among the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in any character button,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Because it looks the most prominent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character is displayed most prominently is the 'tap method' It is to make it more clear that you can input

(종래의 일반적인 소문자 모드에서처럼) (as in the conventional lowercase mode)

즉, (해당 문자버튼을) That is, (press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탭하여 입력할 수 있다.You can tap to type.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tab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used) It can be entered using the text input method.

((((((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들에서는For reference,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과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의 차이는 없으므로, 혹시나 실시예들 설명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과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이 혼용될 때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서로 동일한 말로 간주해도 될 것이다.Sinc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ost conspicuous' and 'conspicuously visible', if 'most conspicuous' and 'conspicuous'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can be regarded as the same word.

))))))

((((((((

참고로, 본원 전체에 있어서,For reference, throughout this application,

상기에서 from above

"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character is displayed most prominently is the 'tap metho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common method among general character input methods) in the current state. It's to make it more clear that you can type) "

와 같은 문구는phrases like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character is displayed most prominently is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거나In the current state, the character can be entered by the 'tap method' (which is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common method among general character input methods) or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This is to make it clearer that the character can also be entered using the 'tap method' (which is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common method among general character input methods) "

로 해석할 수도 있다.)can also be interpreted as

))))))))))

' 영문 대문자 ' ' English capital letters '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거나(도9 참조)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기도 하지만(도2 참조), (Although it is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assigned button (see Fig. 9) or the display is omitted (see Fig. 2),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s,

폰트가 가장 작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가 아니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흰색 등인 이유로 Because the font is not the smallest or the font is not thick, or the background color of the displayed area inside the button is white, etc.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Among the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in any character button,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Because it does not stand out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character is shown invisible is to make it more clear that in the current state, input the character by the 'drag method' only (or 'you cannot type by the tap method) ' will be))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I am trying to input by drag method, which is a bit inconvenient rather than tap method)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utton in any direction.)

즉, (해당 문자버튼을) That is, (press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You can input by dragging in any direction .

즉,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you can input text in any direction by dragging .

((((((((((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 전체에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는 방법은 상용화시에, For reference, the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throughout the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ommercialized,

해당 버튼에 대한 누름 시간을 길게(예:0.5초) 하는 방법으로 대체해서 구현하거나 Implement it by replacing it with a method that lengthens the pressing time for the corresponding button (eg 0.5 seconds), or

사용자가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는 방법과 해당 버튼을 길게(예:0.5초) 누름을 유지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추천한다. We also recommend allowing the user to choose between dragging in any direction or holding the button down (eg, 0.5 seconds).

왜냐하면 어차피 해당 버튼에 대한 누름 시간을 길게(예:0.5초) 하는 방법은 해당 버튼에 대한 누름 시간을 짧게(예:0.5초 이하)하는 일반적인 탭방법과는 다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nyway, the method of lengthening the pressing time for the button (eg, 0.5 second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tap method of shortening the pressing time of the button (eg, less than 0.5 seconds).

))))))))))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2의 'r'버튼(R도 배정되어 있지만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뿐임)과The 'r' button of Figure 2 (R is also assigned, but only not marked) and

도9의 'r, R'버튼처럼 Like the 'r, R' buttons in FIG.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When there is a button to which both 'r, R' are assigned

' 영문 소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lowercase English ' is ,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도9 참조) 또는 중앙(도2 참조)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Although 'r, R' are both displayed on the upper side (see Fig. 9) or at the center (see Fig. 2) inside the assigned button,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s,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If the font size is the largest, the font is thick, or the background color of the displayed area inside the button is gray, etc.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문자 중에서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in any character button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Because it looks most conspicuous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character is displayed most prominently is, in the current state, the ' tap method' It is to make it more clear that you can input

(종래의 일반적인 영문 소문자 모드에서처럼) (as in the conventional lowercase English mode)

즉,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That is, (the button to which both 'r, R' are assigned)

탭하여 입력할 수 있다.You can tap to type.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tab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used) It can be entered using the text input method.

((((((((

참고로, 어떠한 1개의 문자버튼 내에 복수의 문자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For reference, if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displayed in any one character button,

즉, 어떠한 1개의 문자버튼 내에 복수의 영역이 경우에, That is,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ny one character button,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To enter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ed characters

해당 문자버튼을 '탭'할 때이든 '드래그'할 때이든 Whether when 'tap' or 'drag'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해당 문자버튼의 아무 영역이나 터치한 후 '탭'이나 '드래그'를 완수 해도 된다.You can also complete 'tap' or 'drag' after touching any area of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예를 들어, 도9에서For example, in Figure 9

'r'이 배정된 버튼은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이 있는데The button assigned 'r' has an area marked with 'r' and an area marked with 'R'.

'r'을 입력하기 위해서 to enter 'r'

'r'이 배정된 버튼을 '탭'할 때이든 '드래그'할 때이든Whether 'tap' or 'drag' the button assigned 'r'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 중 아무 영역이나 터치한 후 '탭'이나 '드래그'를 완수해도 된다.'Tap' or 'drag' may be completed by touching any area between the area marked with 'r' and the area marked with 'R'.

또 다른 예를 들어, 도17에서As another example, in FIG. 17

'r'이 배정된 버튼은 'ㄱ'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이 있는데The button assigned 'r' has an area marked with 'a', an area marked with 'r', and an area marked with 'R'.

'r'을 입력하기 위해서 to enter 'r'

'r'이 배정된 버튼을 '탭'할 때이든 '드래그'할 때이든Whether 'tap' or 'drag' the button assigned 'r'

'ㄱ'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과 'R'이 표시된 영역 중 아무 영역이나 터치한 후 '탭'이나 '드래그'를 완수해도 된다.'Tap' or 'drag' may be completed after touching any of the area marked with 'a', the area marked with 'r', and the area marked with 'R'.

))))))))

' 영문 대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English capital letter ' is ,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기도 하지만,(Although 'r, R' are both displayed or omitted inside the assigned button,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s,

폰트가 가장 작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가 아니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흰색 등인 이유로 Because the font is not the smallest or the font is not thick, or the background color of the displayed area inside the button is white, etc.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문자 중에서 Among the characters displayed in any character button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It doesn't stand out (by the way, the reason I've made the character invisible is to make it clearer that in the current state, you should only type the character by the 'drag method' (or 'you can't type it using the tap method )' will be))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I am trying to input by drag method, which is a bit inconvenient rather than tap method)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For buttons to which 'r, R' are assigned, you can drag in any direction to input.)

즉,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That is, (the button to which both 'r, R' are assigned)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으로 드래그하여서도 입력할 수 있다.You can input by dragging in any direction . For example, you can als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right.

즉,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you can input text in any direction by dragging .

이렇게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In this way , there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English uppercase letter system'.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일 수 있다. There may be situations in which character input methods for entering characters belonging to two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17의 키보드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When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of the keyboard of FIG. 17 is assigned one Korean,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capital letter,

' 한글 ' ' Hangul ' is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Although it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inside the assigned button,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s,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If the font size is the largest, the font is thick, or the background color of the displayed area inside the button is gray, etc.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Among the two or more characters displayed in any character button,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 Because it looks most conspicuous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character is displayed most prominently is, in the current state, the 'tap method' It is to make it more clear that you can input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2벌식 키보드에서처럼) (As in the conventional two-beol keyboard of Korean Hangul)

즉, (해당 문자버튼을) That is, (press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탭하여 입력하고, Tap to enter ,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 That is,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used) called tab It can be entered using the text input method,

' 영문 소문자 '는, ' English lowercase letter ' is,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Althoug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displayed button, For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t doesn't stand out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text is not prominently displayed is that, in the current state, enter the text by the 'drag method' only (or 'Enter with the tap method) It's to make it clearer that you can't ))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I am trying to input by drag method, which is a bit inconvenient rather than tap method)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Sinc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displayed button,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text button to the left )

즉, (해당 문자버튼을)That is, (press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o the left ,

즉,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to the left .

' 영문 대문자 ' ' English capital letters '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Althoug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displayed button, For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it doesn't stand out (for reference, the reason that the text is not prominently displayed is that, in the current state, enter the text by the 'drag method' only (or 'Enter with the tap method) It's to make it clearer that you can't ))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I am trying to input by drag method, which is a bit inconvenient rather than tap method)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Sinc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displayed button,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text button to the right .)

즉, (해당 문자버튼을)That is, (press the corresponding text button)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o the right .

즉, 우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you can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17의 키보드에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When there is a button to which 'a, r, R' are all assigned on the keyboard of FIG.

'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ㄱ'은 ' ㄱ' belongs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eul ' .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일반적인 문자입력방법 조작법들 중 가장 빠르고 쉽고,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탭 방법'으로(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Although 'a, r, and R' are all displayed on the top inside the assigned button , for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they look the most conspicuous (for reference, the reason , in the current state, it is to make it clearer that the character can be entered using the ' tap method' (which is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common method among general character input methods))

즉,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That is, (the button to which all 'a, r, R' are assigned)

탭하여 입력할 수 있다.You can tap to type.

즉,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That is, (the fastest, easiest and most used) called tab It can be entered using the text input method.

' 영문 소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lowercase English ' is ,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Although 'a, r, and R' are all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assigned button , for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they do not stand out. In its current state, it is more clear that the character should only be entered using the 'drag method' (or 'you cannot type using the tap method )')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I am trying to input by drag method, which is a bit inconvenient rather than tap method)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Sinc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displayed button,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o the left for buttons to which 'a, r, and R' are all assigned.)

즉,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That is, (the button to which all 'a, r, R' are assigned)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You can input by dragging to the left .

즉,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entered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

' 영문 대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English capital letters ' is,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기도 하지만, 현재 도면에서의 더 큰 이유로는,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으므로 (참고로, 해당 문자를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게 나타낸 이유는, 현재 상태에서는 해당 문자를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라(또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다)라는 것을 더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다))(Although 'a, r, and R' are all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assigned button , for a bigger reason in the current drawing, they do not stand out. In its current state, it is more clear that the character should only be entered using the 'drag method' (or 'you cannot type using the tap method )')

(탭 방법보다는 조금 불편한, 드래그 방법으로 입력해보려고 하는데 있어서)(I am trying to input by drag method, which is a bit inconvenient rather than tap method)

(해당 문자가 표시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Sinc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displayed button,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You can input by dragging to the right for buttons to which 'a, r, R' are all assigned.)

즉,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That is, (the button to which all 'a, r, R' are assigned)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You can input by dragging to the right .

즉, 우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you can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

이렇게 like this '한글'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re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Hangeul',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uppercase letters'.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일 수 있다.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ree different character system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제now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되면,when,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entered and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먼저 first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먼저,"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First, "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앞의 도17과 관련된 실시예에서In the embodiment related to FIG. 17 above,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되어 있는 17 is assigned to each of the character buttons

'한글'은, (도4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2벌식 키보드에서처럼) 하여 입력할 수 있고,' Hangul ' can be entered by tapping (as in the conventional two-beol keyboard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4),

'영문 소문자'는,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여 입력할 수 있고,' Lower English lowercase letters ' can be entered by dragging to the left,

'영문 대문자'는,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언급 했었다.It was mentioned that ' English capital letters ' can be entered by dragging it to the right.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the phrase as an example,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text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text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

정도의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explained by way of example.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left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right is

상기에서 언급한 mentioned above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고, It is also included in "Character input method with drag method applied" ,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된다.It is also included in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

그래서,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S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is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포함된다.It is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만약, 도17에서 (바로 상기 실시예를 포함한 같은 기본 실시예 설명에서와는 다르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탭 방법 뿐만 아니라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도 있었다고 할지라도,If, in FIG. 17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ame basic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 embodiment), not only the tap method but als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multi-touch drag in any direction as a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s provided ,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 역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포함되므로(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포함되므로) Since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text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or is included in the text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포함된다.A text input method of multi-touch drag in any direction is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 .

====================================================================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을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라고 할 수 있다.A (mainly one) character input method not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In the embodiment citing FIG. 17 immediately above,

드래그 방법이 적용 Drag method applied 안된unsuccessful (주로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 (mainly one) character input metho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지 Tap method does not apply 않은not (주로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 (mainly one) character input method

결국은eventually

탭 방법이how to tap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t may be called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 되면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자면,To summarize and explain the phrase,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3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One of thre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namely the above-mentioned tap method , a character input method, left drag , or right drag , character input method.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The text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or the text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is called

1가지 이상인 2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wo character input methods,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can be explained as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For buttons to which all of 'a, r, R' in FIG. 17 are assigned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3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One of thre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namely the above-mentioned tap method , a character input method, left drag , or right drag , character input method.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The text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or the text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is called

1가지 이상인 2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wo character input methods,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dragging to the right, is performed"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can be explained a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another example ,,

도2 또는 도9의 문자버튼들에 각각에 배정되어 있는 2 or 9 is assigned to each of the character buttons

'영문 소문자'는, ' English lowercase letter ' is,

(종래의 일반적인 쿼티 키보드에서처럼) (as on a conventional QWERTY keyboard)

하여 입력하고, Tap to enter,

'영문 대문자'는, ' English capital letter ' is,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했는데,I said that you can input by dragging in any direction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

이라는 문구는the phrase is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text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text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It can be described as an example.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How to input text by dragging in any direction

상기에서 언급한 mentioned above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고,It is also included in "Character input method with drag method applied" ,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된다.It is also included in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이라는 문구는the phrase is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2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One of two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the text input method called the tap method , and the text input method called drag in any direction .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It is a text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1가지 이상인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어느 하나의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which is one method, is performed"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can be explained as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For buttons to which 'r, R' of FIG. 2 or 9 are all assigned

상기 탭 방법이라는 문자입력방법,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2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two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the text input method called the tap method and the text input method called drag in any direction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이라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It is a text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1가지 이상인 1가지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input method

어느 하나의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If a single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s performed in any direction, either method,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can be explained as

이제now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 Among the “plural different writing systems” above,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entered and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먼저,"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First," th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앞의 도17과 관련된 실시예에서In the embodiment related to FIG. 17 above,

도17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in Fig. 17 has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와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s' and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라는 ‘Hangul’ is a character system.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언급했었다.It was mentioned that characters belonging to three different writing systems were assigned.

도17의 키보드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When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of the keyboard of FIG. 17 is assigned one Korean, one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one English uppercase letter,

' 한글 ' ' Hangul ' is

tab 이라는called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I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 영문 소문자 '는, ' English lowercase letter ' is,

좌측으로 드래그drag left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It can be entered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 영문 대문자 ' ' English capital letters '

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I mentioned that i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17의 키보드에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When there is a button to which 'a, r, R' are all assigned on the keyboard of FIG.

'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ㄱ'은 ' ㄱ' belongs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eul ' .

tab 이라는called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I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 영문 소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lowercase English ' is ,

좌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고,It can be entered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

' 영문 대문자 '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English capital letters ' is,

우측으로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It was mentioned that it can be entered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

이제 now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참고로, 사실 바로 상기 문구는 필수적인 문구는 아니다. For reference, in fact, the above phrase is not an essential phrase.

그래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owever, let me explain with an example: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the phrase as an example,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 It can be described as an example.

====================================================================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 대해 설명하자면,To describe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문자체계을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A (mainly one) character system that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In the embodiment citing FIG. 17 immediately above,

드래그 방법이 적용 Drag method applied 안된unsuccessful (주로 1가지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mainly on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지 Tap method does not apply 않은not (주로 1가지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mainly on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결국은eventually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the tap method is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I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 Among the “plural different writing systems” above,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an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자면,To summarize and explain the phrase,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있는 “In each of the text buttons in Fig. 17,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re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 Hangul ', a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lowercase ', and a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uppercase' .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One of the three different writing systems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라는 It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1가지 이상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2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s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system of ' English lowercase ' and ' English uppercase' , two character systems are included.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 (which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 which is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can be explained as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For buttons to which all of 'a, r, R' in FIG. 17 are assigned

“상기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 above-mentioned ' Hangeul '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 English uppercase letter system'

"서로 다른 3개의 (복수의) 문자체계 중 " Among the three (plural) writing systems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인It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left or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인 one or more writing systems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2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s including two character systems: a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a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uppercase letters'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가 입력되고," 'R', a character belonging to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 (which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 which is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can be explained a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another example ,,

앞의 도2 또는 도9와 관련된 실시예에서In the previous embodiment related to FIG. 2 or FIG. 9

도2 또는 도9의 (26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Each of the (26) character buttons of FIG. 2 or FIG. 9 has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A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 case English'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 character system called 'Capital English'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언급했었다.It was mentioned that characters belonging to two different writing systems were assigned.

도2 또는 도9의 키보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When an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an English uppercase letter are assigned to each of the letter buttons of the keyboard of FIG. 2 or FIG. 9,

' 영문 소문자 '는, ' English lowercase letter ' is,

tab 이라는called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It can be entered using the text input method,

' 영문 대문자 ' ' English capital letters '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I mentioned that i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2의 'r'버튼('R'도 배정되어 있지만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뿐임)과The 'r' button of Figure 2 ('R' is also assigned, but only not marked) and

도9의 'r, R'버튼처럼 Like the 'r, R' buttons in FIG.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When there is a button to which both 'r, R' are assigned

'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lowercase English ' is ,

tab 이라는called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고,It can be entered using the text input method,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 ' 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 English capital letters ' is ,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I mentioned that i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자면,To explain the phrase,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can be explained as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는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is

상기에서 언급한 mentioned above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에도 포함되고,It is also included in the "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에도 포함된다.It is also included in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b method is not applied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 Among the “plural different writing systems” above,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writing system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an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자면,To summarize and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For example, to explain

“도2 또는 도9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있는 “In each of the character buttons in Fig. 2 or Fig. 9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re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a character system called ' English uppercase letters' .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Among two different writing systems,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라는 It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1가지 이상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s that include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called ' English capital letters'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 (which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 which is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can be explained as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with a more detailed example,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For buttons to which 'r, R' of FIG. 2 or 9 are all assigned

“상기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 above-mentioned ' English lowercase letter system' and ' English uppercase letter system'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Among two different writing systems,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p method is not appli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라는 It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1가지 이상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1가지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s that include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called ' English capital letters'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가 입력되고,"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 (which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 which is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 can be explained as

이제now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변경되거나 추가되는,changed or added;

상기 "remind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The order in which the tasks performed after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먼저first

"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변경되거나 추가되는"changed or adde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상기 문구에 대한 것은 함축적문구2을 통하여 설명하겠다. The above phrase will be explained through implicit phrase 2.

함축적문구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implicit phrase 2.

이제now

"상기 ""remind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The order in which the tasks performed after they are performed is irrelevant"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말 그대로, Literally,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된 후의 작업인"Working after becoming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writing system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는 작업과 The operation of inputting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and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변경되거나 추가되는되는 작업을 포함하여including tasks being changed or added

제2항 이후의 after paragraph 2

종속항에서의 작업들까지도Even the works in the subclaims

순서를 꼭 지킬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This means you don't have to follow the order.

관념상으로는 순서를 지키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으나, Conceptually, it may be natural to follow the order, but

실제 시행시에는 순간적으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작업들이므로, 순서는 굳이 지킬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In actual implementation, the tasks are performed almost instantaneously at the same time, so it may not be necessary to keep the order.

하지만, 본원 전체의 실시예에서는 빠른 이해를 위해서,However, in the examples of the entire application, for quick understanding,

상기 "remind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writing system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는 작업이 먼저 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first,

그 다음에 Then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1개 이상의) 문자가 (1 or mor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 character belongs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작업이 되고,work that is changed or added,

제2항 이후의 after paragraph 2

종속항에서의 작업들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때가 많을 것이다.The operations in the dependent claims will often be described as being in progress.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2][Implicit phrase 2]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변경되거나 추가되는““changed or added”

silver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is changed to or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is adde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이제now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상기 문구는 함축적문구1에도 있는 문구로서 함축적문구1 설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 이상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 phrase is also a phrase in the implicit phrase 1 a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mplicit phrase 1, s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그리고, 함축적문구1의 설명의 거의 마지막 부분까지해서And, until almost the last part of the explanation of implicit phrase 1,

함축적문구1의 문구 중Among the phrases of implicit phrase 1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writing system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writing system 가 입력되고"is entered"

이라는 문구까지 설명하였다.The phrase was also explained.

그때에 더 상세한 실시예로써 Then as a more detailed example

도17'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For a button to which all of 'a, r, R' in FIG. 17 is assigned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인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drag to the right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re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Hangeul',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uppercase letters'.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One of the three different writing systems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었고,Taking the example of inputting R , a let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

도2 또는 도9'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For buttons to which 'r, R' of FIG. 2 or 9 are all assigned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Drag in any direction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There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a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uppercase letters'.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Among two different writing systems,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었었다.As an example, R, a letter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English capital letter', was input .

그런 후에 이번의 함축적인 문구와 같이 될 수 있다.Then it could be something like this implied phrase.

이제now

""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의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of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is changed to or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is added"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도17과 같은 상황에서 In the same situation as in Figure 17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After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s' is input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

이다.)am.)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English uppercase let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capital letter system, which is the letter system to which the uppercase letter 'R', which is an input (eg, input), belongs to"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tter buttons ((one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 above) characters) is input is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또는 될 수 있거나)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is changed (or may be) to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것이다.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which is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is added .

상기에서from above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To explain a little mor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For example, to explain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17 in the same state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enter uppercase English letters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뿐이었을 때,When the only way to input text was dragging to the right,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 is entered,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이다.)am.)

도17 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설명할 수 있지만Although it can be described in a state where the same state as in FIG. 17 is maintained,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While it is being explained, let's add an example that will be explained lat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22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If it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과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맞교환됨에 따라, 각 문자버튼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영문 대문자로 변경된다면)(In other words, if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to an English capital letter as the areas marked with Korean and English capital letters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within each letter button)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In the state shown in Fig. 22

영문 대문자 를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enter uppercase English letters

" "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된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explained to the extent that it is changed to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 tab ”.

(이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Now how to enter uppercase English letters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뿐이게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It can be explained to the extent that "tap" became the only character input method.)

상기에서from above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 Additional text input method called “tap”, which is the first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To explain a little mor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For example, to explain

도17과 같은 상태에서17 in the same state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enter uppercase English letters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뿐이었을 때,When the only way to input text was dragging to the right,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English capital letter', is entered,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이다.)am.)

도17 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설명할 수 있지만Although it can be described in a state where the same state as in FIG. 17 is maintained,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While it is being explained, let's add an example that will be explained lat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바로 상기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22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실시예처럼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표시된 영역을 예로 들수 있는 복수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문자체계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기본 실시예 설명에서와는 다르게) (Just lik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 the area in which any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are displayed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 systems, for example, the regions displayed in Korean,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changed.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basic embodiment )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45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If it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대로 이고 ,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바탕색이 회색인 영역)만 한글이 표시된 영역에서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으로 변경 된다면)(In other words, the area marked with Korean, lowercase English, and uppercase letters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remains the same, and only the most prominent area (= area with a gray background) is changed from the area marked with Korean to the area with uppercase letters of English)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In the state shown in Fig. 45,

영문 대문자 를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enter uppercase English letters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 된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explained to the extent that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is added .

(이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Now how to enter uppercase English letters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과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 2가지가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It can be explained to the extent that there are two character input methods, namely , dragging to the right and “tapping” .)

(참고로, 만약, 바로 상기 45와 관련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본 문서 끝 부분에 있는 " 정리실시예6 "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if you ne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related to the 45,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of " Corrected Example 6 " at the end of this document.)

참고로, Note that,

함축적문장1에서 설명하기를To explain in Implicit Sentence 1

도17의 of Figure 17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Before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s',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전에는 late ""

이다.)am.)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은 An English uppercase letter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1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 above) characters) is input is

좌측으로 드래그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2가지 방법이 포함된Two methods are included, dragging left or dragging right.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인,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었었다.It was a text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

즉,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였다.That is,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s' w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그런데,By the way,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any character system is changed or add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may be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영문 대문자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enters a certain character system called uppercase English.

바로 앞의 (도17과) 도22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에서 탭이라는 방법으로 변경되거나As in the embodiment citing the preceding (Fig. 17 and Fig. 22),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is changed to the method of tab, or

바로 앞의 (도17과) 도45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탭이라는 방법이 추가되면,As in the embodiment citing FIG. 45 immediately preceding (FIG. 17 and FIG. 45), when a method called tab is added,

영문 대문자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What kind of writing system is the English capital letter?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ny one of the character systems) is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Because, in the rule in the embodiment of the implicit phrase 1 description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b method is not applied"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i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using the tap method"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이제 부터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탭하여 입력해도 된다.From now on, all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uppercase English can be entered by tapping.

참고로,Note that,

바로 다음의 "또 다른 예"에서도 바로 상기의In the immediately following "another example", the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면"If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ystem is changed or add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It can be changed from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는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The same principle applie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 또는 도9의 2 or 9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After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s' is input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The operation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

이다.)am.)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English uppercase let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capital letter system, which is the letter system to which the uppercase letter 'R', which is an input (eg, input), belongs to"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etter buttons ((one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 above) characters) is input is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또는 될 수 있거나)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is changed (or may be) to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것이다.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which is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is added .

참고로, 함축적문장1에서 설명하기를For reference, to explain in Implicit Sentence 1

도2, 또는 도9의 2 or 9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Before '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s',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The operation of dragging is performed in any direction that allows input of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전에는late ""

이다.)am.)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되는(예: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은 An English uppercase letter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1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 above) characters) is input is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1가지 방법으로 구성된Consists of one method: drag in any direction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인,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었었다.It was a text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

즉,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였다.That is, the character system of 'English capital letters' wa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그런데,By the way,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ertain character system is chang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may be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영문 대문자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enters a certain character system called uppercase English.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에서 탭이라는 방법으로 변경되거나Changed from the text input method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to the method of tapping

탭이라는 방법이 추가되면,When a method called tab is added,

영문 대문자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What type of writing system is the English capital letter?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ny one of the character systems) is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Because, in the rule in the embodiment of the implicit phrase 1 description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b method is not applied"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is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using the tap method"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탭하여 입력해도 된다.From now on, all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uppercase English can be entered by tapping.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3][Implicit phrase 3]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Section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In the "above different text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전에는late ,,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입력되는 being input 문자입력방법How to enter text this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In the "above different text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has been performed" 후에는after ,,

변경되거나 삭제되는changed or delet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4][Implicit phrase 4]

제3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변경되거나 삭제되는""Changed or Deleted"

silver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Changed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5][Implicit phrase 5]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Changed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lver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to be "performed" 전에before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are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y were input,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3, 함축적문구4, 함축적문구5를 통합하여 실시예적 문구로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If the implied phrase 3, the implied phrase 4, and the implied phrase 5 are integrated and expressed as an exemplary phrase, it may be as follows.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This i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that have been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re input .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After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Before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A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were input 으로 변경되거나changed to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i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implicit phrases can be converted into detailed phrases as follows.

도17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 17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전에는 late ""

이다.)am.)

"탭" 방법이라는 It's called the "tap" method.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which was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Korean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are input is thi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

이다.)am.)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전에 before ""

이다.)am.)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변경되거나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are changed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which is a character input method,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i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참고로, 상기에서(For reference, above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변경되거나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are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which is the character input method, or "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To explain a little mor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For example, to explain

도17과 같은 상태에서17 in the same state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input Korean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 뿐이었을 때,When there was onl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p",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이다.)am.)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While it is being explained, let's add an example that will be explained lat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22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If it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맞교환됨에 따라,각 문자버튼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문자체게가 영문 대문자로 변경된다면)(In other words, as the area marked with Korean and English capital letters within each letter button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if the font system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letter button is changed to English capital letters)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In the state shown in Fig. 22

한글를 입력하는 방법은How to input Korean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어,Changed to the text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이제 한글를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input Hangul

"우측으로 드래그"이라는 문자입력방법뿐이게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explained to the extent that only a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 to the right" has become the only method.

..

..

이제는 상기에서now from above

"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 It becomes impossible to input with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

을 조금 더 설명하자면,To explain a little mor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For example, to explain

도17과 같은 상태에서17 in the same state

(바로 상기 실시예를 포함한 기본 실시예 설명에서와는 다르게)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basic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 embodiment)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How to input Hangul ,

""이라는 문자입력방법과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2가지가 있었을 때 , When there were two types of text input method: " Tap " and " Multi-touch drag in any direction" ,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An operation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이다.)am.)

설명하는 도중인데 더 이해하기 쉽도록 나중에 설명할 실시예까지 추가하여 설명해 보자면While it is being explained, let's add an example that will be explained lat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도17 과 같은 상태에서 도45 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기까지 한다면,If it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대로 이고, 각 문자버튼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만 한글이 표시된 영역에서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으로 변경된다면)(In other words, if the area marked with Korean, lowercase English, and uppercase letters within each letter button remains the same, and only the most prominen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is changed from the area marked with Korean to the area with uppercase letters in English)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In the state shown in Fig. 45,

한글를 입력하는 방법은How to input Korean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이 삭제 되어, The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Tab" has been deleted ,

이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How to input Hangul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1가지만 남게 되었다라는 정도로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only one character input method, which is multi-touch drag in any direction.

(만약, 바로 상기 45와 관련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 정리실시예6 " 설명을 참조 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related to 45,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of " Corrected Example 6 ".)

(참고로, (Note that,

실제 상용화시에는 도17과 같은 경우에는, 마치 한글입력 모드처럼 보이므로, '한글'은 탭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In actual commercialization, in the case of Figure 17, it looks like a Hangul input mode, so it is natural that 'Hangul' can be input by tapping,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As an additional input method,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it is displayed on the top inside the assigned button,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 정도가 더 개연성이 있기는 하다.The upward drag method is more probable than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

그래서, 실제 사용화시에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한다.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drag method upwards in actual use.

그래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는However, the reason for applying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is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은 다른 도면들을 인용한 실시예 설명에도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자입력방법일 수 있을 뿐이다.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may only be a text input method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which other drawings are cited.

바로 상기 밑줄친 문구를 설명하자면,To explain the underlined phrase,

예를 들어, 도2, 도3, 도9, 도10을 포함한 동일한 1개의 문자버튼 내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라는 2개의 문자체계만 배정되어 있을 때(또는 배정되어 있다고 간주될 때)에는 For example, when only two character systems, an English lowercase letter and an English uppercase letter, are assigned (or considered to be assigned) within the same one character button including FIGS. 2, 3, 9, and 10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써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을 사용하는데,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drag method is used in any direction as a method of input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도17에서의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써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사용한다면, If the upward drag method is used as an additional method for inputting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n FIG. 17 ,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은 상기 도2, 도3, 도9, 도10 등에서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방법에 포함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은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없어 버린다.Since the upward drag method is included in the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 which is a method of input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n FIGS. 2, 3, 9, 10, etc., the upward drag method is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t cannot be presented as an additional way to enter the system .

그래서, 부득이 바로 상기에서 언급한 도2, 도3, 도9, 도10 등에서도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본원의 도면들 중 거의 모든 도면을 인용한) 실시예들에서의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추가적인 방법으로 제시되는 것이다.)Therefore, inevitably ,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that is not included in the method for input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n Figs. It is presented as an additional method of inputting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n the embodiments (with all figures cited).

따라서,therefore,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ystem is changed or delet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may be changed to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한글이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ertain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바로 앞의 (도17과) 도22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탭이라는 방법에서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As in the embodiment citing the preceding (FIG. 17 and FIG. 22), the method of tab is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dragging to the right, or

바로 앞의 (도17과) 도45를 인용한 실시예처럼, 탭이라는 방법이 제거되면,As in the embodiment citing FIG. 45 immediately preceding (FIG. 17 and FIG. 45), when the tab method is removed,

한글이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What kind of writing system is Hangeul?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ny one of the character systems).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Because, in the rule in the embodiment of the implicit phrase 1 description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b method is not applied"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is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using the tap method"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이제 부터는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면 된다.From now on, all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can be entered using the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to the right.

바로 다음의 "또 다른 예"에서도 바로 상기의In the immediately following "another example", the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If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ystem is changed or delet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It can be changed from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o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는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The same principle applie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 또는 도9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 2 or Fig. 9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The operation of dragging is performed in any direction that allows input of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전에는late ""

이다.)am.)

"탭" 방법이라는 It's called the "tap" method.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which was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This i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lower case English" are input.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된 The operation of dragging in any direction to input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후에는after ""

이다.)am.)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자면, (For reference, if I say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connotative way,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R'을 입력하게 하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조작이 수행되기 The operation of dragging is performed in any direction that allows input of '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전에before ""

이다.)am.)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were input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으로 변경되거나It can be changed to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ging in any direction or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It i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따라서,therefore,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haracter system is changed or delet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may be changed to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영문 소문자라는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탭이라는 방법에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ny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is changed from the tab method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drag in any direction,

영문 소문자라는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로 변경된다.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ny one of the character systems).

왜냐하면, 함축적문구1 설명시의 실시예에서의 규칙에서Because, in the rule in the embodiment of the implicit phrase 1 description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drag method is applied"

또는or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to which the tab method is not applied"

가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이고, is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Character system that can be entered using the tap method"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이제 부터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포함된 모든 문자는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면 된다.From now on, all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can be entered in the direction or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alled drag.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6][Implicit phrase 6]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Section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표시되는 영역visible area this

변경될 수 있는 subject to change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7][Implicit phrase 7]

제6항에 있어서,7. The method of claim 6,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표시되는 영역visible area this

변경될 수 있는“subject to change

silver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표시되는 영역visible area thi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제1 소정의 영역으로to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변경될 수 있는“ subject to change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먼저 '소정의 영역'이라는 개념부터 설명하겠다First, I will explain the concept of 'predetermined area'.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The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 제 2소정의 영역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the ' second predetermined area ' as an example.

도17에서는17 in Fig.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among multiple areas within the same button.

하측 영역을 제2 소정의 영역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 2소정의 영역"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that the lower area is defined as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of multiple areas within the same button.

하측의 좌측 영역과 동일한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은 The lower right area within the same button as the lower left area

상기에서 언급한 mentioned above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among multiple areas within the same button.

하측 영역"에 포함된다.is included in the " lower region ".

====================================================================

' 제 1소정의 영역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For the ' first predetermined area ' as an example,

제2 소정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영역(mainly one) area not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을 제1 소정의 영역라고 할 수 있다.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region.

도17에서는 17 in Fig.

하측의 영역이 아닌 영역을 제1 소정의 영역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The area other than the lower area is defined as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결국은eventually

상측의 영역을 the upper area

제1 소정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I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area.

====================================================================

이제 상기 함축적문구에 맞추어서 상기 함축적문구를 설명하겠다.Now, 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 in accordance with the implied phrase.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implicit phrases can be converted into detailed phrases as follows.

도17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17,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An area in which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which is a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i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s displayed

도17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 17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서In the lower right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도22와 같이22 as shown

제1 소정의 영역인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may be changed to an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9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9,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An area in which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which is a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i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s displayed

도9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in Fig.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에서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도10과 같이as in Fig.

제1 소정의 영역인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may be changed to an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11, 도12를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1 and 12,

도11, 도12에서의11 and 12 in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The status of the character assignment to each character button is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9, 도10과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9=도11, 도10=도12),It is the same as Fig. 9 and Fig. 10 cited in the description above (assignment state Fig. 9 = Fig. 11, Fig. 10 = Fig. 12),

도11과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11 and 12 in each character button.

...상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보다 크고, ... the upper area is larger than the upper area 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9 and 10;

...하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보다 적다, ...the lower area is smaller than the lower area 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앞의 도9키보드를 인용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Assuming that 'R'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keyboard of FIG. 9 is cited, it can be converted into detailed phrases as follows.

도11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11,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An area in which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which is a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i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s displayed

도11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 11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에서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도12와 같이12 as shown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may be changed to an upp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도2, 도3에서의2 and 3 in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The status of the character assignment to each character button is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It is the same as Fig. 11 and Fig. 12 cited in the description above (assignment state Fig. 11 = Fig. 2, Fig. 12 = Fig. 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In each character button of Figs. 2 and 3,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 The upper area is the result of the upper area increasing to the limit (within the limit of the vertical length of each letter button)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n each letter button of FIGS. 11 and 12 is changed from gray to white,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 The lower area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of FIGS. 11 and 12 being reduced to the limit (converging to = 0), that is, completely missing.

즉, 도2, 도3은 That is, FIGS. 2 and 3 are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low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is too small to be seen or not at all, so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where only the upper area is visible.

도2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2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Assuming that 'R'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keyboard of FIG. 9, it can be converted into detailed phrases as follows.

도2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2,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An area in which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which is a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i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s displayed

도2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ure 2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에서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도3과 같이3 as shown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may be changed to an upp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

이렇게 like this

도2, 도3을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2 and 3, as previously mentioned,

즉,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That is, "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2 and 3,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 The upper area is the result of the upper area increasing to the limit (within the limit of the vertical length of each letter button)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n each letter button of FIGS. 11 and 12 is changed from gray to white,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the lower area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처럼 해석(또는 간주)한 상태에서의In the state interpreted (or considered) as

도2와 같은 종래의 영문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디자인에서 도3과 같은 종래의 영문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디자인으로 변경되는 것은,The change from the keyboard design that looks like the conventional lowercase English mode as shown in FIG. 2 to the keyboard design that looks like the conventional uppercase English mode as shown in FIG. 3 is,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모드에서 영문 대문자모드로 변경되는 것과 동일하게 해석(또는 간주)될 수도 있다.The character input mode may be interpreted (or considered) the same as changing from the lowercase English mode to the uppercase English mode.

그래서 다음과 같은 함축적문구1을 변형한 다음과 같은 함축적문구가 생산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implicit phrase can be produced by transforming the following implicit phrase 1.

[함축적문구8][Implicit phrase 8]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o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Multiple different writing systems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Characters belonging to are assigned,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In a situation where 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lural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되면,when,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writing system 가 입력되고, is entered,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거나,(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a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or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1 or mor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is changed,

상기 "remind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The order in which the tasks performed after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그런데,By the way,

"문자입력 모드가"Text input mode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는"" Changes to the character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이라는 문구 앞과 뒤에 있는 다음의 상당히 긴 문구는 여기 함추적문구8의 대부분인데 The following fairly long phrases before and after the phrase is most of the phrase 8 here.

함축적문구1의 문구와 공통문구라서 설명을 생략하겠다.Since it is a common phrase with the phrase of Implicit Phrase 1, I will omit the explanation.

==================================================================================

상기 문구 앞에 있는 문구:The phrase before the above phrase: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 In 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o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Multiple different writing systems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Characters belonging to are assigned,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In a situation where 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lural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되면,when,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고,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and

상기 문구 뒤에 있는 문구:The phrase after the above phrase:

"상기 ""remind "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The order in which the tasks performed after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이제now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거나 " "(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or "

이라는 문구에 대한 설명은The explanation for the phrase is

함축적문구7에서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하였었다.It has been explained by citing FIGS. 2 and 3 in the implicit phrase 7.

그래도 다시 한번 상기의 함축적문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바로 상기의 함축적문구 부분은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However, once again, if the implicit phrase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implicit phrase part can be converted into a detailed phrase as follows.

"(문자입력 모드가)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모드에서) 입력된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모드로 (즉, 도3과 같은 모드로) 변경되거나" "(Character input mode) (In the mode of inputting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as shown in Fig. 2)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R',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ted with the character system called uppercase English to (that is, to the same mode as in Figure 3) or"

이라고 할 수 있다.It can be said that

이제now

"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 "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with (one or mor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s is changed, "

이라는 문구에 대해 설명하자면Let's explain the phrase

다음과 같은 함축적문구17과 함께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it with the following implicit phrase 17.

[함축적문구17][Implicit phrase 17]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이란 What is a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탭 방법 또는 tap method or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인Although it is a tap method, it is a method of tapping (=short tap) so that the touched stat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다시again

"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 "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with (one or mor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s is changed, "

이라는 문구에 대해 예를 설명하자면Let us give an example of the phrase

"(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There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tap method" which is an example of "(one or more) specific input methods".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인데,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2, it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도2, 도3외의 함축적문구7에서 언급한 다른 도면들로도 다음의 1~4번과 같이 예로도 설명할 수 있다.2 and 3, other drawings mentioned in implied phrase 7 can also be described as examples 1 to 4 below.

1.."(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1..."(one or more) specific input method" There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ap method"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문자)이라는 문자체계인데,In the state shown in Fig. 17, it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character),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2, the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참고로, 아래 도45는 함축적문구1에서 언급했었다.)(For reference, Figure 45 below was mentioned in Implicit Phrase 1.)

2.."(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2... There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ap method" which is an example of "(one or more) specific input method"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문자)이라는 문자체계인데,In the state shown in Fig. 17, it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character),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In the state shown in FIG. 45, the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English capital letters.

3.."(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3... There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ap method" which is an example of "(one or more) specific input method"

도9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인데,In the state shown in Fig. 9, it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도10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0, the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4.."(1가지 이상의) 특정의 입력방법"의 예인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4... There is a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by the "tap method" which is an example of "(one or more) specific input methods".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인데,In the state shown in Fig. 11, it is a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로 변경된다는 것이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2, the character system is changed to English capital letters.

그리고, And,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은" It is a tap method, but the method of tapping (=short tap) so that the touched stat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 is

"탭 방법"에 속하는 방법으로써, As a method belonging to the "tap method",

"탭 방법"이라 함은 "Tap method" means

일반적으로는 "짧게 탭"하는 것을 일컫지만, Commonly referred to as "short tap", but

(일반적인 것과는 다르게) "길게 탭"하는 방법(=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초과)가 되도록 탭하는 방법)도 있으므로,There is also a method of "long tapping" (unlike normal) (= a method of tapping, but also a method of tapping so that the touched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길게 탭"하는 방법을 다시 한번 나열해 본 것에 불과하다.It's just a re-list of how to "tap and hold".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9][Implicit phrase 9]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Section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to be "performed" 전에는late ,,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was performed" 후에는after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other areas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함축적문구10][Implicit phrase 10]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other areas ""

silver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11][Implicit phrase 11]

제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

silver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to be "performed" 전에before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ed area. 있는(또는 표시되는)“ present (or displaye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9, 함축적문구10, 함축적문구11을 통합하여 실시예적 문구로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If the implied phrase 9, the implied phrase 10, and the implied phrase 11 are integrated and expressed as an exemplary phrase, it may be as follows.

..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After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Before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can be displayed in the displayed area. (또는 표시되는)(or display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implicit phrases can be converted into detailed phrases as follows.

도17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17,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 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17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17 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 17

각 문자버튼의 ' 상측 '의 영역이라는 It is called the ' upper '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which was display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 (one or more) Hangul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Hangul '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17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22 와 같이 22 as shown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17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각 문자버튼의 of each character button, which is an area in whic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is displayed. 하측의 우측lower right 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 area call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9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9,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 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9 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 9

각 문자버튼의 ' 상측 '의 영역이라는It is called the ' upper '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which was display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If (one or more)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 English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 After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10과 같이as in Fig.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표시되었던 영역인the displayed area 각 문자버튼의 of each character button 하측lower side 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 area call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도2, 도3에서의2 and 3 in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The character assignment status to each character button is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It is the same as Fig. 11 and Fig. 12 cited in the description above (assignment state Fig. 11 = Fig. 2, Fig. 12 = Fig. 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In each character button of Figs. 2 and 3,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결과이고, ... The upper area is the result of the upper area increasing to the limit (within the limit of the vertical length of each letter button)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n each letter button of FIGS. 11 and 12 is changed from gray to white,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 the lower area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즉, 도2, 도3은 That is, FIGS. 2 and 3 are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low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is too small to be seen or not at all, so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where only the upper area is visible.

도2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2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Assuming that 'R'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keyboard of FIG. 9, it can be converted into a detailed phrase as follows.

도2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2,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 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2 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 2

각 문자버튼의 '상측' 의 영역이라는The area on the 'upper side' of each character button is called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which was display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If (one or more)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 English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 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3 과 같이 3 as shown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표시되었던 영역각 문자버튼의 하측 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The area 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the area below each character button, which is the area that has been display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12][Implicit phrase 12]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Section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변경될 수 있는 subject to change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13][Implicit phrase 13]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변경될 수 있는"subject to change"

silver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sign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제1 소정의 디자인first predetermined design 으로 변경될 수 있는“can be changed to “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먼저 '소정의 디자인'이라는 개념부터 설명하겠다.First, I will explain the concept of 'predetermined design'.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to explain:

' 제 2소정의 디자인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 with an example,

도17에서는17 in Fig.

동일한 버튼 내의 복수의 디자인 중 Among multiple designs within the same button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을 제2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 2소정의 디자인"A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from a predetermined rule stating that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white'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displayed character is 'small' is defined as a second predetermined design"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described as an example.

(참고로, 더 추가적인 예를 소개하자면 도11과 같은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하측 영역처럼,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떤 영역의 높이(또는 넓이)가 다른 영역보다 작은 디자인도 제2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될 수도 있을 수 있다.)(For reference, to introduce a further example, like the lower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 certain letter button as shown in FIG. 11, a design in which the height (or width) of one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 letter button is smaller than another area is also provided. 2 It may be included in a given design.)

====================================================================

' 제 1소정의 디자인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To explain '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 with an example,

제2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주로 1가지의) 디자인(mainly one) design not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을 제1 소정의 디자인라고 할 수 있다.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design.

도17에서는 17 in Fig.

제2 소정의 디자인아닌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a design oth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as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예를 들어,E.g,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 아닌 디자인이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지 않는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that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not 'white'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displayed character is not displayed 'small' is defined as a first predetermined design,

결국은eventually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을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certain character displayed is 'large'

제1 소정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It can be called a first predetermined design.

(참고로, 더 추가적인 예를 소개하자면 도11과 같은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상측 영역처럼, 어떤 문자버튼 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떤 영역의 높이(또는 넓이)가 다른 영역보다 디자인도 제1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될 수도 있을 수 있다.) (For reference, to introduce a further example, like the upper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 certain letter button as shown in FIG. 11, a design in which the height (or width) of one area among a plurality of areas within a certain letter button is larger than another area is also provided. 1 It may be included in a given design.)

====================================================================

이제 상기 함축적문구에 맞추어서 상기 함축적문구를 설명하겠다.Now, 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 in accordance with the implied phrase.

바로 이탤릭체는 문장들은 위에 반영되었으므로 삭제요망Italicized text is reflected above, so please delete it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Let's take the phrase as an example,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을 제2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Deduced by a predetermined rule that specifies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white'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displayed character is displayed as 'small' as a second predetermined design"

정도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다.It can be described as an example.

====================================================================

제2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문자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라고 할 수 있다.A character design not included in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or a design of an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edetermined design.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In the embodiment citing FIG. 17 immediately above,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white' 아닌not 디자인이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지 The design or any displayed text is not displayed as 'small' in size. 않는not 디자인을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The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that defines the design as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결국은eventually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을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certain character displayed is 'large'

제1 소정의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It can be called a first predetermined design.

====================================================================

이제 상기 함축적문구에 맞추어서 상기 함축적문구를 설명하겠다.Now, 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 in accordance with the implied phrase.

예를 들어,E.g,

도17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 17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The design of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let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letter system, which is the let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etter buttons belongs, or the design of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도22 또는 도45와 같이22 or 45,

제1 소정의 디자인인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각 문자버튼 내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The background color of the corresponding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can be changed to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displayed characters are displayed large .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For reference,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Fig. 22 and Fig. 45,

도22는 도17에 비하여22 is compared with FIG.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As the area marked with the character system of Hangul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are swapped ,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The design of the color of the area marked with the character system of Hangul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and the design of the siz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were also chang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n more detail,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As the area marked with the character system of Hangul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are swapped ,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 The design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Hangeul ’ is one example of area design, where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is changed to ‘white’, and the design of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Hangul’ is the letter design One example of this is that the size of the displayed text is changed to a 'small' design. )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 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The design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English capital letters is changed to the design ‘gray’ i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which is one example of the area design , and the design of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English capital letters’ The size of the displayed text, which is an example of one of the designs, is changed to a design that is displayed as 'large'.

도45는 도17에 비하여Figure 45 is compared to Figure 17.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While the area marked with the character system of Hangul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do not change,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The design of the color of the area marked with the character system of Hangul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and the design of the siz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were also chang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n more detail,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While the area marked with the character system of Hangul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do not change,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The design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Hangeul’ is one example of area design, where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is changed to ‘white’, and the design of the letters in the letter system ‘Hangeul’ is the letter design. One example of this is that the size of the displayed text is changed to a 'small' design.)

'영문 대문자''English capital letters' 라는 in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system is displayed ,,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이다.(참고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One example of the area design is that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has been changed to a design called 'grey'. 문자의 디자인character design 이,this,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표시되었다.The siz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which is an example of one of the character designs, is indicated as 'same size'.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9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9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The design of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let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letter system, which is the let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etter buttons belongs, or the design of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도10 또는 도14와 같이As in Fig. 10 or Fig. 14

제1 소정의 디자인인a first predetermined design person

각 문자버튼 내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The background color of the corresponding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can be changed to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displayed characters are displayed large .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참고로, 도10와 도14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For reference,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Fig. 10 and Fig. 14,

도10은 도9에 비하여Figure 10 is compared to Figure 9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As the area marked with th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system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system are swapped with each other,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The design of the color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lowercase English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and the design of the size of the displayed letters were also chang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n more detail,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As the area marked with th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system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system are swapped with each other,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The design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Lower English lowercase ’ is an example of the area desig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is changed to ‘White’, and the design of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Lower English lowercase’ The size of the displayed text, which is an example of one of the text designs, is changed to a 'small' design.)

' ' 영문 대문자English capital letters '라는 'in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system is displayed,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As an example of the area desig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has been changed to a design called 'gray', 문자의 디자인이,The design of the letter,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The size of the displayed characters, which is an example of one of the character designs, is changed to a 'large' display design.

도14는 도9에 비하여14 is compared with FIG.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While the area marked with th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system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system do not change with each other,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이라는 디자인 및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라는 디자인도 서로 바뀐 것이다.The design of the color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lowercase English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and the design of the size of the displayed letters were also chang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n more detail,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lowercase English and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do not change.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The design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Lower English lowercase ’ is an example of the area desig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is changed to ‘White’, and the design of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Lower English lowercase’ The size of the displayed text, which is an example of one of the text designs, is changed to a 'small' design.)

'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 이, 영역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해당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의 디자인이, 문자 디자인 중의 하나의 예인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이다. The design of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 system ' English capital letter ',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rea, which is an example of area design, is changed to the design "gray", and the design of the letter belonging to the letter system "English capital letter" is The size of the displayed text, which is an example of one of the designs, is changed to a design that is displayed as 'large'.

))))))))))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11, 도12를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1 and 12,

((((((((((

참고로, Note that,

도11, 도12에서의11 and 12 in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The character assignment status to each character button is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9, 도10과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9=도11, 도10=도12),It is the same as Fig. 9 and Fig. 10 cited in the description above (assignment state Fig. 9 = Fig. 11, Fig. 10 = Fig. 12),

도11과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11 and 12 in each character button.

상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보다 크고, The upper area is larger than the upper area 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9 and 10,

하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보다 적다, The lower area is smaller than the lower area 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문구로 설명될 수 있다.Assuming that 'R'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keyboard of FIG. 9, it can be described with the following phrase.

도11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11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The design of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let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uppercase letter system, which is the let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 character,"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etter buttons belongs, or the design of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도12와 같이12 as shown

제1 소정의 디자인인a first predetermined design person

각 문자버튼 내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The background color of the corresponding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can be changed to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displayed characters are displayed large .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

참고로, Note that,

도2, 도3에서의2 and 3 in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The character assignment status to each character button is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It is the same as Fig. 11 and Fig. 12 cited in the description above (assignment state Fig. 11 = Fig. 2, Fig. 12 = Fig. 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In each character button of Figs. 2 and 3,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결과이고, ... The upper area is the result of the upper area increasing to the limit (within the limit of the vertical length of each letter button)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n each letter button of FIGS. 11 and 12 is changed from gray to white,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 the lower area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즉, 도2, 도3은 That is, FIGS. 2 and 3 are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low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is too small to be seen or not at all, so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where only the upper area is visible.

))))))))))

도2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2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문구로 설명될 수 있다.Assuming that 'R' is input in the same way as in the keyboard of FIG. 9, it can be described with the following phrase.

도2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2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의 디자인이 The design of (one or more)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English capital letter system that is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belongs to

도3과 같이3 as shown

제1 소정의 디자인에 포함된includ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표시되는 문자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The displayed characters may be changed to a large display design .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Now let's look at another implicit phrase.

[함축적문구14][Implicit phrase 14]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Section 1)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to be "performed" 전에는late ,,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express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was performed" 후에는after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may (or be displayed) in a different de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함축적문구15][Implicit phrase 15]

제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that may (or be displayed) in a different design ""

silver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sign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capable of (or being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Regarding the above connotation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와 통합적으로 설명하겠다. 바로 다음의 함축적문구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I will explain it in an integrated way with the implied phrases that follow. Please refer to the explanation of the implied phrase immediately following.

..

..

..

[함축적문구16][Implicit phrase 16]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capable of (or being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silver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to be "performed" 전에,before,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Design of an area in whic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were displayed sign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으로 표시될 수can be displayed as 있는(또는 표시되는)“ present (or displayed)

sign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14, 함축적문구15, 함축적문구16을 통합하여 실시예적 문구로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If the implied phrase 14, the implied phrase 15, and the implied phrase 16 are integrated and expressed as an exemplary phrase, it may be as follows.

..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indicated by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After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Before th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can be displayed by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y were displayed. (또는 표시되는)(or displayed)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

..

..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implied phrases above.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implicit phrases can be converted into detailed phrases as follows.

도17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17,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17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17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 17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이라는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certain character displayed is 'large'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which was marked with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one or more) Hangul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17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22 또는 도45와 같이22 or 45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17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17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abov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인 The design of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abov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or an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which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with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n area is displayed as 'white'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ny displayed characters is displayed as 'small'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함축적문구13의 설명 중의 그에 대한 내용을 참조바란다.For reference,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FIG. 22 and FIG. 45, refer to the content of the implicit phrase 13 in the description.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도9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9,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9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in Fig.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회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디자인이라는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gray',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 certain character displayed is 'large'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which was marked with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one or more)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of "lower case English"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10 또는 도14와 같이As in Fig. 10 or Fig. 14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The design of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인 The design of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abov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or an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흰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는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which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with 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n area is displayed as 'white' or a design in which the size of any displayed characters is displayed as 'small'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함축적문구13의 설명 중의 그에 대한 내용을 참조바란다.For reference,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FIG. 22 and FIG. 45, refer to the content of the implicit phrase 13 in the description.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To explain with another example ,

(참고로, 아래의 설명은 애매하기는 하지만, 그렇게 간주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FYI, the explanation below, although vague, means that it can also be regarded as such.)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도2, 도3에서의2 and 3 in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The character assignment status to each character button is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배정상태 도11=도2, 도12=도3),It is the same as Fig. 11 and Fig. 12 cited in the description above (assignment state Fig. 11 = Fig. 2, Fig. 12 = Fig. 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In each character button of Figs. 2 and 3,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면서, (각 문자버튼 세로 길이 한도내에서)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결과이고, ... The upper area is the result of the upper area increasing to the limit (within the limit of the vertical length of each letter button)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upper area in each letter button of FIGS. 11 and 12 is changed from gray to white,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0으로 수렴한) 즉, 아예 없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 the lower area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n Figs.

즉, 도2, 도3은 That is, FIGS. 2 and 3 are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low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is too small to be seen or not at all, so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where only the upper area is visible.

도2의 키보드에서 On the keyboard of Figure 2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Assuming that 'R' is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keyboard of FIG. 9, it can be converted into a detailed phrase as follows.

도2의 키보드와 관련되게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relation to the keyboard of Fig. 2,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Before 'R', which is the abov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2의 키보드와 같은 like the keyboard of Figure 2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라는The area on the 'upper side' of each character button is called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which was display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If (one or more)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 English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After 'R', which is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도3과 같이3 as shown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Before 'R', which is the "a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를 순전히 함축적문구방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 중 도2 또는 도9을 인용한 부분을 포함한 앞의 설명을 참조 바란다)(For reference, please refer to the previous explanation including the part quoting FIG. 2 or FIG. 9 among the descriptions of implicit phrase 5 for speaking the phrase in a purely implicit way)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디자인인 The design of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above "character system to which 'R', which is an inputted character," or an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어떤 영역의 바탕 색깔이 '알 수 없는 그 어떤 색'이라는 디자인 또는 표시되는 어떤 문자의 크기가 '알 수 없는 그 어떤 크기'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A design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of a certain area is 'some unknown color' or the size of a certain character displayed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as 'any unknown size'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is i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참고로, 바로 상기 밑줄친 문구에서 "알 수 없는 그 어떤 색", "알 수 없는 그 어떤 크기'라는 문구가 작성된 이유는 조금 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2,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은 너무 작아서 안보이거나 아예 없어서, 상측 영역만 보이는 상태라고 간주 할 수도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For reference, the reason why the phrases "any unknown color" and "any unknown size" are written in the underlined phrase is as mentioned earlier, in each of the letter buttons of FIGS. 2 and 3 This is because the lower region is too small to be seen or does not exist at all, so it can be regarded as a state where only the upper region is visible)

..

..

..

..

..

..

..

..

..

이제 본원의 개념을 정리하기 위하여 Now, in order to summarize the concept of this

여태까지의 설명을 요약하여 여태까지의 실시예와 동일한 맥락의 실시예로 설명하고, Summarize the description so far and describe it as an embodiment in the same context as the previous embodiment,

동일한 원리에 의한 더 추가적인 간단한 정리 실시예들을 소개하겠다.Further simple theorem embodiments based on the same principle will be introduced.

======================================================================================

======================================================================================

"규칙1" 도입 부분 시작Start of "Rule 1" intro

잠시 후 소개될 정리실시예1~5번까지는 다음의 "규칙1"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rule such as the following "Rule 1" until the organized Examples 1 to 5, which will be introduced later.

규칙1:Rule 1: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enter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the character button, tap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 영역 두드러지지 않게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If you want 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hat is no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the character button, you can enter it by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is assigned.

드래그drag 하여 입력하는 데 있어서,to input,

a..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 영역이 도9, 도10, 도11, 도12처럼 1개의 영역만 있는 경우에는(도2, 도3도 그렇게 간주한다.) a. In the case where there is only one lower area within a certain character button as shown in Figs. 9, 10, 11, and 12 (Figs. 2 and 3 are also regarded as such).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

b..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 영역이 도17, 도18, 도19, 도22처럼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b. When the lower area within a certain character button is divided into two areas,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S. 17, 18, 19, and 22,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a character button , drag the button to the lef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haracter button , drag the button to the right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Rules for changing keyboard state: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tap to enter any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drag and type a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each character button,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is most prominent.

규칙1 끝.End of Rule 1.

======================================================================================

======================================================================================

정리실시예1..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자체에 대한 설명.Summary Embodiment 1. Description of the state itself as shown in Figs. 2, 9, 11, and 18.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 같은 경우 자체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itself in case of input mode for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를 보게 되면,2, 9, 11, 18 when you see the same stat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letter button.

(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i.e., i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입력한다.Enter lowercase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in the following way.

1.a.. 영문 소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1.a.. You can see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must be entered by tapping the button marked with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you want to enter,

(즉, 영문 소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enter only lowercase English letters consecutively, you only need to enter it using the tap method.)

1.b.. 영문 대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b.. You can see that uppercase English letters must be entered by dragging ,,,.

바로 상기 '1.b'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Let's explain '1.b' in a little more detail,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영문 대문자의 영문 소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2 , no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so (to input uppercase English letters), you m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lowercase letters (=lower letters) of any uppercase English you want to enter in any direction . know that you do,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It can be seen that in the state shown in Figs. 9 and 11, it is necessary to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marked with any English capital letter to be inputted in any direction ,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8 , since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ertain letter button,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must be performed by dragging the button on which an English capital letter to be input is displayed to the right .

(참고로,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 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한글 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어느 한글 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or reference, if you want to input Hangul in the state shown in FIG. 18 , since Hangul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a certain character button, you need to drag the button displaying any Korean character you want to input to the left to input it. Able to know.)

..

..

..

..

..

정리실시예2..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Summary Example 2. Description including a case in which the state shown in Figs. 2, 9, 11, and 18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s. 3, 10, 12, and 19, respectively.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Description that includes the case of changing from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to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without using the shift button)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2, 9, 11, and 18 in the same state (that is, in a state where it appears as if it is in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2.a..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탭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여전히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도 상기 정리실시예1번(=1.a+1.b)과 같이 그대로 유지되며, 2.a.. If any character button is tapped once, as one lowercase English letter assigned to (or related to) a certain character button is input , the state shown in FIGS. 2, 9, 11 and 18 is displayed. It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is also maintained as in the arrangement example No. 1 (=1.a+1.b) above ,

(즉, 영문 소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enter only lowercase English letters consecutively, you only need to enter it using the tap method.)

2.b..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드래그하면(=도2, 도9, 도11에서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도18에서는 우측으로 드래그),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2.b..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once (= dragging in any direction in FIGS. 2, 9 and 11, dragging to the right in FIG. 18), English assigned to (or related to) any character button As one uppercase letter is entered, ,,,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 Even without the shift button being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상태로 변경 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 된다.(Same state as Fig. 2, Fig. 9, Fig. 11, Fig. 18) Same as Fig. 3, Fig. 10, Fig. 12, and Fig. 19, respectively In each character button, the upp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state, and now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s changed .

(참고로,(Note that,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로 변경된다"는 말은 "The state shown in Figs. 2, 9, 11, and 18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s. 3, 10, 12, and 19, respectively"

도2와 같은 상태는 도3과 같은 상태로, The state shown in Figure 2 is the same as the state shown in Figure 3,

도9와 같은 상태는 도10과 같은 상태로, The state as shown in Fig. 9 is the same as the state in Fig. 10,

도11와 같은 상태는 도12과 같은 상태로, The state shown in Fig. 11 is the same as the state shown in Fig. 12,

도18와 같은 상태는 도19과 같은 상태로, 변경된다는 뜻이다.The state as shown in Fig. 18 is the same as the state shown in Fig. 19, meaning that it is changed.

이하에서도 상기 밑줄친 문구와 비슷한 맥락의 문구는 그렇게 해석하면 된다.)In the following, phrases similar to the underlined phrases should be interpreted as such.)

바로 상기 '2.b'에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f we explain in a little more detail in '2.b' above,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의 영문 대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대문자)인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2와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3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 no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so if any letter button is dragged in any direction once , English capital letter 1 , which is the letter (= English capital letter) of the English uppercase version of the English lowercase letter displayed on any letter button As characters are entered , without using the ,,, shift button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English uppercase input mode),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are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3, where the most prominent is shown, and now the method of inputting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capital letters is changed. (The changed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would.)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9, 도11과 같은 상태가) 각각 도10, 도12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In the state shown in FIGS. 9 and 11,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in any direction once, one uppercase English character displayed on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 and without using the ,,, shift button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English capital letter) As if changing to the input mode) , (the state shown in Figs. 9 and 11) is changed to the state where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conspicuous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as shown in Figs. 10 and 12, respectively Now,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and uppercase English is changed. (The changed method will be explained later.)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8과 같은 상태가) 도19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8,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to the right once, one uppercase English character displayed on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 and without using the ,,, shift button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 , (the state as in Fig. 18) as in Fig. 19 English uppercase letters (or the area marked with the letters) within each letter button have been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state, and now the method of enter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s changed. (The changed method will be explained later.)

바로 상기에서 설명을 잠시 미룬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A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n English will be describ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which has been postponed for a while.

상기에서 언급된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를 보게 되면,3, 10, 12, and 19 mentioned above when looking at the stat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It can be said that upp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letter button.

(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In other words, it looks as if it is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2.b.a.. 영문 대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2.ba. You can see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must be entered by tapping the button marked with the English capital letters you want to enter,

(즉,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That is, from now on, if you want to enter only uppercase English letters in a row, you can enter only using the tap method.)

2.b.b.. 영문 소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다") 2.bb. You can see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 must be entered by dragging . ( You cannot enter by tapping .)

상기 '2.b.b'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explain the above '2.b.b' in a little more detail,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의 영문 대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3 , since no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to enter lowercase English letters), you m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uppercase English version of the English lowercase letters you want to enter (=English uppercase letters) in any direction . know that,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It can be seen that in the state shown in Figs. 10 and 12, it is necessary to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marked with lowercase English letters to be inputted in any direction ,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9 , sinc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ertain letter button,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must be performed by dragging the button on which the desired English lower-case letters are displayed to the right .

(참고로,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 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한글이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or reference, if you want to input Hangul in the state shown in FIG. 19 , you can see that Hangul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so you have to drag the button where the Hangul character you want to input is displayed to the left to input it. there is.)

여기까지가 여태까지 함축적문구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맥락의 내용의 일부였다.So far, this was part of the content of the context described in the implicit phrases.

이제부터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소개하겠다.(원리는 여태까지의 설명과 동일하다.)From now on, an additional embodiment will be introduced. (The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so far.)

..

..

..

..

..

정리실시예 3..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가 각각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Summary Embodiment 3 .. Description including a case in which the state shown in Figs. 3, 10, 12, and 19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s. 2, 9, 11, and 18, respectively.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Explanation including the case of changing from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to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without using the shift button)

도3, 도10, 도12, 도19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3, 10, 12, 19 in the same state (that is, in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in the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3.a..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탭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여전히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도 상기 '2.b' 중 '2.b.a', '2.b.b' 같이 그대로 유지되며, 3.a.. If any character button is tapped once , one uppercase English letter assigned to (or related to) a certain character button is input, and the state shown in Figs. 3, 10, 12, and 19 remains the same. is maintained , and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and uppercase English is also maintained as in '2.b.a' and '2.bb' of '2.b' above ,

(즉,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That is, from now on, if you want to enter only uppercase English letters in a row, you can enter only using the tap method.)

3.b..만약,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드래그하면(=도3, 도10, 도12에서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 도19에서는 우측으로 드래그), 어떠한 문자버튼에 배정된(또는 연관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가) 각각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상태로 변경 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 된다. 3.b..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once (= dragging in any direction in FIGS. 3, 10, and 12, dragging to the right in FIG. 19), English assigned to (or related to) any character button As one lowercase letter is input, ,,, without the shift button being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 (the same state as in FIGS. 3 , 10, 12, 19) , 9 , 11 and 18,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and now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s changed .

바로 상기 '3.b'에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f we explain in a little more detail in '3.b' above,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면)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의 영문 소문자 버전의 글자(=영문 소문자)인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3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도2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In the state shown in Fig. 3, no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so if you drag any letter button once in any direction (to input lowercase English letters), As one lowercase English letter (lowercase English) is input, the ,, and shift buttons are not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as if changed) , (the state as shown in Fig. 3) In each character button, the English lowercase letter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 is displayed)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2 in which it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and now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s changed. (The changed method will be updated after a while I will explain.)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0, 도12와 같은 상태가) 각각 도9, 도11과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In the state shown in FIGS. 10 and 12,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in any direction once, on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displayed on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 and without using the ,,, shift button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a lowercase English letter) As if changing to the input mode) , (the same state as in FIGS. 10 and 12)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letter button, and the method of enter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s now changed . (The changed method will be explained later.)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9와 같은 상태가) 도18와 같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변경된다..(변경된 방법은 잠시 후에 설명하겠다.) In the state shown in Fig. 19,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to the right once, on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displayed on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 and the ,,, shift button is not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 (the state as in Fig. 19) as in Fig. 18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and now the method of enter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is changed . )

바로 상기에서 설명을 잠시 미룬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how to input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which have been postponed for a while.

그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정리실시예1번(=1.a+1.b) 방법과 동일하다.The method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arrangement Example 1 (=1.a+1.b) method.

..

..

..

..

..

정리실시예 4..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Summary Example 4 .. Description including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8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언어모드 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한글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Explanation including the case of changing from English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to Korean input mode without using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참고로,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한글 문자 1자를 입력하려면, For reference, to input one Korean character without using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in the same state as in FIG.

도18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 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한글 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한글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8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17과 같은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소문자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음과 변경된다. In the state shown in Fig. 18, since Hangul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a certain character button, if any character button is dragged to the left once, one Korean character displayed on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ted and the language mode is changed. Even if the button is not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Hangul input mode) , (the state as shown in Fig. 18) within each text button In each character button, Hangul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where it is most conspicuous, and now the method of inputting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Korean is changed as follows.

도17과 같은 상태는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The state as shown in Fig. 17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In other words, it looks like it is in Hangul input mode)

4.a.. 한글 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4.a.. Hangul characters can be seen that,,, must be entered by tapping the button marked with the Korean character to be input,

(즉, 이제부터는 한글 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In other words, from now on, if you want to input only Korean characters in a row, you can input only using the tap method.)

4.b..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b.. You can see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have to be entered by dragging ,,,.

상기 '4.b'에 대하여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f we explain the above '4.b' in a little more detail,

도17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면 영문 소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7, to input lowercase English letters, it can be seen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 certain character button, so it is necessary to drag the button displaying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to be input to the left .

(참고로, 도17과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or reference, if you want to input uppercase English letters in the state shown in FIG. 17 , know that you must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on which you want to enter uppercase letters to the right since the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can.)

..

..

..

..

..

정리실시예 5..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22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 Summary Example 5 .. Description including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한글 입력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Explanation including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Korean input mode to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without using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참고로,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려면, For reference, to input one uppercase English letter without using the shift button or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in the same state as in FIG.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7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2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대문자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음과 변경된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7, since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within a certain letter button, if any letter button is dragged to the right once, one letter of uppercase English letter displayed on any letter button is inputted, ,,, shift button or Even if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is not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English uppercase input mode), (the state shown in Fig. 17) In each character button, the upp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 are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in the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where the English capital letters and the Korean letters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The method is changed as follows.

도22와 같은 상태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22 is Because it can be said that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letter button.

(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In other words, it looks as if it is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5.a. .영문 대문자 는,,,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5.a. .You can see that uppercase English letters ,,, must be entered by tapping the button marked with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you want to enter,

(즉, 이제부터는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하고 싶으면 탭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된다.)(That is, from now on, if you want to enter only uppercase English letters in a row, you can enter only using the tap method.)

5.b.. 한글 문자와 영문 소문자 는,,,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b.. You can see that Korean characters and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must be entered by dragging ,,,.

상기 '5.b'에 대하여 조금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explain in a little more detail about '5.b',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글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한글이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이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2, if you want to input Hangul , you can see that Hangul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ertain character button, so you have to drag the button on which you want to input Hangul to the right to input.

(참고로, 도22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영문 소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가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or reference, if you want to input lowercase English in the state shown in FIG. 22 , know that you must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on which you want to enter lowercase English letters to the left because the lowercase English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can.)

..

..

..

..

..

정리실시예6Summary Example 6 ....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45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가 포함된 설명.A description including a case of changing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7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Even if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is not used, 마치 한글 입력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것 같은 경우가 포함된 설명2).Description including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Korean input mode to the English uppercase input mode 2).

참고로, 바로 상기 정리실시예5번과는 다르게,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22와 같은 상태가 아니라) 도45와 같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알아보자.For reference, a case in which the state shown in FIG. 17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rather than the state shown in FIG. 22) will also be described, unlike the fifth embodiment .

(도17과 도45의 차이점은 바로 알아차릴 수 있으나 혹시나 못 알아차렸다면, [함축적문구13]에 대한 설명에서 "도45는 도17에 비하여"라는 문구가 있는 곳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곳을 참조바란다.(The difference between Fig. 17 and Fig. 45 is immediately noticeable, but if you did not notice it,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13], it is explained in detail where the phrase “Fig. 45 is compared to Fig. 17” is there, so Please refer to

간단히 말하자면,Simply put,

도17이나 도45에서나17 or 45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동일하다.The area marked with lowercase letters in Korean and English and uppercase letters in English is the same.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은 다르다)The highlighted areas are different)

======================================================================================

======================================================================================

"규칙2" 도입 부분 시작Beginning of "Rule 2" introductory part

도17, 도45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에 17 and 45, within any character button

상측 영역은 1개의 영역이 있고, The upper area has one area,

하측 영역은the lower area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If it is divided into two areas, left and right,

다음의 "규칙2"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해보자.Assume that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rule as in "Rule 2" below.

규칙2:Rule 2: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character system of Hangeul .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ny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you can input by multi-touch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any character you want to input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

(참고로,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실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이 더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 사용화시에도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부득이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를 [함축적문구1]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 이다.)(For reference, since it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in fact, the upward drag method is more probable than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 and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upward drag method even in actual use. The reason for applying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inevitably in this embodiment was also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1]. The same applies hereafter.)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letter system of low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a character button , drag the button to the lef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haracter button , drag the button to the right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 또는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만 However , only the most prominent character system among multiple character systems displayed within the same button or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prominently displayed region among multiple regions.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As an additional input method,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You can also type by tapping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Rules for changing keyboard state: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tap to enter any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drag and type a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each character button,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is most prominent.

((((((((((

참고로,Note tha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keyboard state 변경change 되기는 하였는데,It did becom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If you typed a character by dragging,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In each character button, even if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enter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Anyway,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As a result, the keyboard state remains 유지maintain 되어 버린다.become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So, if the keyboard state changes as a result,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Which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않은not 상태에서 in the state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When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규칙2 끝.Rule 2 ends.

======================================================================================

======================================================================================

상기와 같은 가정하에서는Under the above assumption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의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put method of Korean,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in the state shown in FIG. 17 is as follows.

한글은Hangul i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한글이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다가Since it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you can input by multi-touch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Hangul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

상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 그래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처럼 보이기도 하므로,the upper area Because it is displayed most prominently , so it looks like a Hangul input mode,

tab 하여도 입력할 수도 있고,You can also enter

(탭 방법 또는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한글만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If you input only with the tap method or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only Korean can be entered continuously.)

영문 소문자 low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Since i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and is not prominently displayed, 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to the left wher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영문 대문자 English capital letter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대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Since i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and is not prominently displayed,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assigned to the right .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려면,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7 (that is, in a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Korean input mode) , to input one uppercase English letter without using the shift button or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도17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문 대문자가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자버튼을 1번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어떠한 문자버튼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1자가 입력되면서,,, 쉬프트버튼이나 언어모드변경 버튼이 사용되지 않고도 (마치 문자입력모드가 영문 대문자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것처럼), (도17과 같은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45와 같은 상태 (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변경되어, 이제는 영문 대문자와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음과 변경될 수 있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17, since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within a certain letter button, if any letter button is dragged to the right once, one uppercase letter of English displayed on any letter button is inputted, ,,, shift button or Even if the language mode change button is not used (as if the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the state shown in Fig. 17) In each letter button, English capital letters (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 The method may be changed as follows.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의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put method of Korean,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in the state shown in FIG. 45 is as follows.

한글은Hangul i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이제는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글이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Since it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and is no longer prominently displayed, you can input by multi-touch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Hangul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서 탭 방법이 삭제되어(The tap method has been deleted from the Korean input method.

이제부터는 탭 방법으로는 입력하면 한글을 입력할 수 "없게" 된다.)From now on, if you input using the tap method, you will not be able to input Hangul.)

영문 소문자 low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여전히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문 소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Since i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and is still not prominently displayed, 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with lowercase English letters to the left ,

영문 대문자 English capital letter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있고, 영문 대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다가You can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to the right tha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and has English capital letters assigned to it.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하측의 우측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 그래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기도 하므로, Since the lower right area where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it also looks like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tab 하여도 입력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enter

(즉,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탭 방법이 추가되어(In other words, the tab method is added to the method of entering uppercase English letters.

이제부터는 탭 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방법으로만 입력하면 영문 대문자만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From now on, if you input only by the tap method or the right-drag method, only uppercase English letters can be entered continuously.)

..

..

..

..

..

..

..

..

..

..

..

종합 정리실시예(=문구입력 실시예)Comprehensive summary example (= phrase input example)

이제 종합 정리실시예로써,Now, as a general arrangement example,

" aBdEFghjMNQR", " aBdEFghjMNQR",

" ㄱTㄴㄷyㄹㅁㅂ ", " aTyyuh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 aBdEFghjMNQRaTyrww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라는 4가지의 문구를 다음의 A, B, C, D단원에서 각각 입력해보자.Let's enter the four phrases " aBdEFghjMNQRaTbyrww■♥● " in the following units A, B, C, and D, respectively.

..

..

..

..

..

A..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1~3에 대한 종합 정리실시예 (= " aBdEFghjMNQR " 입력 실시예) A..Comprehensive summary example for the previously described summary examples 1 to 3 (= " aBdEFghjMNQR " input example)

(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1~3 바로 앞에서 언급한 "규칙1" 을 따르는 실시예임)(Examples 1 to 3 of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follow the Rule 1” mentioned immediately above)

"aBdEFghjMNQR" 라는 12글자 입력 실시예를 A.1~A.12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A 12-character input example of " aBdEFghjMNQR "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steps A.1 to A.12.

A.1..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1..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i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a'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a',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는), (The same state as the present (= the state such as Fig. 2, Fig. 9, Fig. 11, Fig. 18),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a')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a')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a')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a') is assigned.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2, 9, 11, and 18.>

A.2..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2..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i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B'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B',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는), (The same state as the present (= the state such as Fig. 2, Fig. 9, Fig. 11, Fig. 18),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2,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2, 9 and 11 in the same state,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B')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 18,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to the right wher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B') is assign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be more specific,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대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2, since no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대문자(='B')의 영문 소문자 버전의 글자(='b')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 J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lowercase English version of the English uppercase letter (='B') you want to input (='b') in any direction.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9 and 11, since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b'와 'B'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letter you want to input (='B') (= button marked with both 'b' and 'B' in the end) in any direction.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18, since Hangul,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charac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ㅠ'와 'b'와 'B'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 to the right (=button with both 'ㅠ' and 'b' and 'B' in the end).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 belongs.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as in FIGS. 3, 10, 12, and 19, respectively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changed to >

A.3..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3..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d'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3,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3, 10, and 12 in the same state,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d')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 19,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to the right wher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d') is assign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be more specific,

도3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소문자가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not displayed at all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영문 소문자(='d')의 영문 대문자 버전의 글자(='D')가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D') of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 d ') you want to enter in any direction.

도10, 도12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shown in FIGS. 10 and 12 , since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d'와 'D'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 d ') (= button marked with ' d ' and 'D' in the end) in any direction.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19, since Korean,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capital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ㅇ'(한글임)와 'd'와 'D'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 d ') to the right (= button marked with 'ㅇ' (in Korean) and ' d ' and 'D' after all).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d')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d') belongs.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2, 도9, 도11, 도18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state of the keyboard is the same as in Figs. 2, 9, 11, and 18, respectively (in the state of Fig. 3, Fig. 10, Fig. 12, and Fig. 19) (i.e., i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changed to >

A.4..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4..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as if In the state that i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E'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A.2'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A.2'단계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A.2', and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A.2' is omitted.)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2, 도9, 도11과 같은 상태에서는,2, 9 and 11 in the same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Just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도18과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 18,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to the right wher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as in FIGS. 3, 10, 12, and 19, respectively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changed to >

A.5..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5..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F'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F',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3, 10, 12, and 19.>

A.6..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6..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g'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g',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A.3'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문구는 'A.3'단계 설명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For you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A.3', and the text is the content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A.3' is omitted.)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3, 도10, 도12와 같은 상태에서는,3, 10, and 12 in the same state,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면 되고,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g')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도19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 19,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to the right wher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g') is assigned.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2, 도9, 도11, 도18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is the same as in Figs. 2, 9, 11, and 18, respectively (i.e., i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is changed to >

A.7..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7..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displayed most conspicuously, as if In the state that i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h'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h',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there is no need for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A.1'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A.1'단계에서의 해당 내용 문구와도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A.1', and most of the contents are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ntent text in 'A.1'.)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2, 9, 11, and 18.>

A.8..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8..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i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소문자인 'j'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j',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7'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A.7'.)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2, 9, 11, and 18.>

A.9..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9..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letter button, as if In the state that i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M'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M',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드래그한다.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4'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keyboard state chang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A.4'.)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2, 도9, 도11,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as in FIGS. 3, 10, 12, and 19, respectively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2, 9, 11, and 18)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changed to >

A.10..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10..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N'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N',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of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A.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3, 10, 12, and 19.>

A.11..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11..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charac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Q'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Q',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of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A.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3, 10, 12, and 19.>

A.12..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A.12..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3, 10, 12, and 1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that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aBdEFghjMNQR" 중) 영문 대문자인 'R'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R',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A.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of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A.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3, 도10, 도12, 도1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s. 3, 10, 12, and 19.>

..

..

..

..

..

B..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4~5에 대한 종합 정리실시예 (= " ㄱTㄴㄷyㄹㅁㅂ " 입력 실시예) B..Comprehensive summary example for the above-described organized examples 4 to 5 (= " ㄱTㄴYㄹㅁㄴ " input example)

(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1 바로 앞에서 언급한 "규칙1" 을 따르는 실시예임)(Example 1 according to "Rule 1" mentioned above)

" ㄱTㄴㄷyㄹㅁㅂ " 라는 8글자 입력 실시예를 B.1~B.8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I will explain the example of inputting 8 letters, " ㄱTㄴYㄹㅁㅁ ", by dividing it into steps B.1 to B.8.

도17, 도18, 도22만을 인용하여 설명하겠다.Only Figs. 17, 18, and 22 will be cited.

B.1.. 도2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1..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ㄱ'를 입력하려면, (in "aTnyㄹㅁㅁ")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ㄱ',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22와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2)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 Hangul input mode)>

B.2..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2..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7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as if it were in the Hangul input mode )

("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T'를 입력하려면, (in "aTnyㄹㅁㅁ")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T',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right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2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7)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22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B.3.. 도2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3..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ㄴ'를 입력하려면, (in "ㄱTㄴYㄹㅁㅁ")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right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22와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2)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 Hangul input mode)>

B.4..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4..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7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ㄷ'를 입력하려면, (in "ㄱTㄴYㄹㅁㅁ")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17.>

B.5..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5..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7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y'를 입력하려면, (in "aTnyㄹㅁㅁ") To enter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y',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to the left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에서) 도18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7)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18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B.6.. 도18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6..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ㄹ'를 입력하려면, (In "aTnyㄹㅁㅁ")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ㄹ',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to the left .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some characters were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18과 같은 상태에서) 도17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8)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to be the Hangul input mode)>

B.7..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7..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7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appear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ㅁ'를 입력하려면, (in "ㄱTㄴYㄹㅁㅁ")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ㅁ',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17.>

B.8.. 도17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B.8.. In the same state as Fig. 17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ㅂ'를 입력하려면, (in "ㄱTㄴYㄹㅁㅁ")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ㄱ',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17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17.>

..

..

..

..

..

C..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6에 대한 종합 정리실시예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 입력 실시예) C..Comprehensive summary example for the above-mentioned summary example 6 (= " aBdEFghjMNQRaTncydww " input example)

(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6에서 언급한 "규칙2" 을 따르는 실시예임)(This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Rule 2"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summary embodiment 6)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 라는 20글자 입력 실시예를 C.1~C.20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An example of inputting 20 characters, " aBdEFghjMNQRaTncydww ",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steps C.1 to C.20.

도43, 도44, 도45만을 인용하여 설명하겠다.43, 44, and 45 will be referred to for explanation.

참고로, 도43은 정리실시예6에서 인용한 도면 중 도17의 역할을 한다.For reference, FIG. 43 serves as FIG. 17 among the drawings cited in Example 6 of arrangement.

C.1..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a'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a',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left ,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lower- case letters in the lower lef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4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a singl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 you can also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to the left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참고로,Note that,

규칙2의 내용 중 참고 내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As mentioned in the reference of Rule 2,

드래그(예: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여도 Any character (eg 'a') can be entered by dragging (eg dragging to the left).

키보드 상태가 keyboard state 변경change 되기는 하는데,It does becom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예: 'a')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44)에서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keyboard state (e.g., Fig. 44) where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e.g., 'a') belongs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였다면,If you entered a character (eg 'a') by dragging,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44)로 변경된다고 하여도,In each character button, even if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enter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eg, Fig. 44 ) ,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예:도44)과 변경후(예:도44)가 동일해버린다.Anyway, the keyboard state before the change (eg, Fig. 44 ) and after the change (eg, Fig. 44) are the same.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As a result, the keyboard state remains 유지maintain 되어 버린다.become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applies below.)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44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 the state as in Fig. 44)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a')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a')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a')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a') is assigned.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 44 >

C.2..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2.. In the state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B'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yd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B',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righ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44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 the state as in Fig. 44)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 not look like an input mode for enter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44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 44,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to the right wher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B') is assign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be more specific,

도44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44, since Hangul,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charac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ㅠ'와 'b'와 'B'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 to the right (=button with both 'ㅠ' and 'b' and 'B' in the en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 belongs.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4)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C.3..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3..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d'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ydㅁㅁ")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d',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to the lef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ure 45,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to the left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d') is assigned.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be more specific,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45, since Hangul,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charac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ㅇ'(한글임)와 'd'와 'D'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d ' ) to the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d')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d') belongs.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4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is changed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C.4..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4..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E'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ydㅁㅁ")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E',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righ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C.2'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C.2'단계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C.2', and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C.2' is omitted.)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44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 44,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to the right wher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4)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C.5..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5..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F'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ydㅁㅁ")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F',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right ,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has English capital letter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5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우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one uppercase English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5.>

C.6..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6..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it appears as if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g'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g',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to the lef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C.3'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문구는 'C.3'단계 설명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C.3' step, and the text is the content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3' step description is omitted.)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45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ure 45,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to the left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g') is assigne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4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5)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4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C.7..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7..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h'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h',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left ,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lower- case letters in the lower lef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4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a singl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C.1'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C.1'단계에서의 해당 내용 문구와도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C.1', and most of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ntent text in step 'C.1'.)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 44 >

C.8..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8..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j'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j',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7'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C.7'.)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in FIG. 44 >

C.9..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9..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M'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yd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M',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right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4'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keyboard state chang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C.4'.)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4)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C.10..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N'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ydㅁㅁ") To enter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N',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C.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5.>

C.11..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1..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it appears as if the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is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Q'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yd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Q',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C.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5.>

C.12..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2..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R'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yd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R',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C.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C.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5.>

C.13..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3..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ㄱ'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ㄱ',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한다 . Multi-touch- drag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n any direction .

(참고로,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실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이 더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 사용화시에도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부득이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를 [함축적문구1]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 이다.)(For reference, since it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in fact, the upward drag method is more probable than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 and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upward drag method even in actual use. The reason for applying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inevitably in this embodiment was also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1]. The same applies hereafter.)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도43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5) to the state shown in Fig. 43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Hangul input mode)>

C.14..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4.. In the same state as Fig. 43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T'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T',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righ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에서) 도45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3)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5 (that is, a state that look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C.15.. 도45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5..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5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ㄴ'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한다 . Multi-touch- drag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n any direction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5와 같은 상태에서) 도43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5) to the state shown in Fig. 43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Hangul input mode)>

C.16..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6.. In the same state as Fig. 43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ㄷ'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ㄴ',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한글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since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Korean characters in the upper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you can also input by multi-touch dragging in any direction.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3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상측 영역 에 표시된 한글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한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displayed in the upper region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that is, the Hangeul characters (or the region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a single Korean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input mode ) , you can also input by multi-touch dragg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in any direction.

참고로,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실은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보다는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이 더 개연성이 있으며, 실제 사용화시에도 상측으로 드래그 방법을 적용하기를 권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부득이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 방법을 적용한 이유를 [함축적문구1]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 이다.)For reference, since it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in fact, the upward drag method is more probable than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 and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upward drag method even in actual use. The reason for applying the multi-touch drag method in any direction inevitably in the embodiment was also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Implicit phrase 1]. The same applies below.)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3.>

C.17..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7.. In the same state as Fig. 43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y'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y',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to the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에서) 도44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3)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4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C.18.. 도44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8..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4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ㄹ'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ㄹ',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아무 방향으로나 멀티터치 드래그한다 . Multi-touch- drag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n any direction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4와 같은 상태에서) 도43과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3 (that is, the state as if it was in the Hangul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4)>

C.19..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19.. In the same state as Fig. 43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ㅁ'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ㅁ',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3.>

C.20.. 도43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C.20.. In the same state as Fig. 43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ㅂ'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ㅅ',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3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43.>

..

..

..

..

..

D..앞서 설명한 정리실시예6과 거의 원리가 동일한 종합 정리실시예D.. A general arrangement example that is almost the same in principle as the arrangement example 6 described above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aBdEFghjMNQRaTncyrww■♥●" 입력 실시예) input example)

다음의 "규칙3" 을 따르는 실시예이다.This is an embodiment that follows "Rule 3" .

다음의 규칙3는 규칙2와 원리는 사실상 동일한데, C단원 실시예에서 인용된 키보드에 비하여 문자체계 1개가 추가되었고, 각 문자체계의 문자입력방법만 다르다고 할 수 있어서, The following rule 3 has substantially the same principle as rule 2, but it can be said that one character system is added compared to the keyboard cited in the example of unit C, and onl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each character system is different,

사실상 바로 상기 C단원의 실시예를 반복하는 것이나 다름없다.In fact, it is just repeating the example of Section C above.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라는 23글자 입력 실시예를 D.1~D.2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겠다.An example of inputting 23 characters, "aBdEFghjMNQRaTbyrww■♥●" ,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steps D.1 to D.23.

도49, 도50, 도51, 도52만을 인용하여 설명하겠다.49, 50, 51, and 52 will be described by reference only.

======================================================================================

======================================================================================

"규칙3" 도입 부분 시작Beginning of "Rule 3" intro

도49, 도50, 도51, 52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에 49, 50, 51, 52 within any character button

상측 영역이 the upper area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It is divided into two areas, left and right.

하측 영역도lower area diagram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If it is divided into two areas, left and right,

다음의 "규칙3"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해보자.Assume that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rule as in "Rule 3" below.

규칙3:Rule 3:

한글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character system of Hangeul .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lef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upper lef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기호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a system of symbol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righ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letter system of low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lower lef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lower right of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 또는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만 However , only the most prominent character system among the multiple character systems displayed within the same button or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prominently displayed region among multiple regions.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As an additional input method,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You can also type by tapping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Rules for changing keyboard state: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tap to enter any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drag and type a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each character button,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is most prominent.

((((((((((

참고로,Note tha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keyboard state 변경change 되기는 하였는데,It did becom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If you typed a character by dragging,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In each character button, even if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enter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Anyway,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As a result, the keyboard state remains 유지maintain 되어 버린다.become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So, if the keyboard state changes as a result,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Which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않은not 상태에서 in the state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When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규칙3 끝.Rule 3 ends.

======================================================================================

======================================================================================

((((((

참고로,Note that,

상기 규칙3처럼like rule 3 above.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입력되는 신호가 발생되면,When a signal to input a certain character input by a specific input method (eg, drag method) is generated,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규칙이 있더라도,Even if there is a rule that the keyboard state changes ,

예를 들어,E.g,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는 기본 규칙이 있더라도,Within each character button, there is a basic rule that changes to the keyboard state in which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 character inputted by a specific input method (eg drag method) belongs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even if there is

기호 문자체계와 같은 특정의 문자체계를 어떤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입력)하지 않아서, Because a specific character system such as a symbol character system is not frequently used (= input) by a user in daily life,

기호 문자체계와 같은 특정의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어 버리면, If it changes to the keyboard state that looks like a specific character system input mode, such as a symbol character system,

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가 기호 문자체계와 같은 특정의 문자체계이고, That is,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a character system to which a character input by a specific input method (eg, drag method) belongs is a specific character system such as a symbol character system,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어 버리면,If,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 character input by a specific input method (eg drag method) belongs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keyboard where the character is most prominent,

자주 사용하는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다시 변경시켜야 하는 것이 번거러워질 수 있다면, 즉, 불편해져버리는 등의 경우가 발생한다면,If it can be cumbersome to change back to the keyboard state that looks like a frequently used character system input mode, that is, if it becomes inconvenient, etc.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도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지 않게 제한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restrict the keyboard state from being changed even if any character is input by a specific input method (eg, a drag method).

예를 들어,E.g,

각 문자버튼 내에서, 특정의 입력방법(예: 드래그 방법)에 의하여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지 않게 제한 할 수도 있다.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 character entered by a specific input method (eg drag method) does not change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may be

))))))

D.1..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a'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a',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lower- case letters in the lower lef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lower left .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1과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a singl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 you can also input by dragging the button to the lower left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참고로,Note that,

규칙3의 내용 중 참고 내용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As mentioned in the reference of Rule 3,

드래그(예: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여도 By dragging (e.g., dragging to the lower left), any character (e.g., 'a') can be entered

키보드 상태가 keyboard state 변경change 되기는 하는데,It does becom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예: 'a')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51)에서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keyboard state (eg, Fig. 51) where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eg 'a') belongs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예: 'a')를 입력하였다면,If you entered a character (eg 'a') by dragging,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예:도51)로 변경된다고 하여도,In each character button, even if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enter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eg, Fig. 51 ) ,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예:도51)과 변경후(예:도51)가 동일해버린다.Anyway, the keyboard state before the change (eg, Fig. 51 ) and after the change (eg, Fig. 51) is the same.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As a result, the keyboard state remains 유지maintain 되어 버린다.become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applies below.)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51과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 the state as in Fig. 51)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a')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a')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a')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a') is assigned.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1.>

D.2..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2..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B'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B',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도51과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 the state as in Fig. 51)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51과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1,

입력하려는 문자(='B')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B')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be more specific,

도51과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51, since Hangul,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B')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ㅠ'와 'b'와 'B'와 '@'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 to the lower right (= eventually a button marked with 'ㅠ' and 'b' and 'B' and '@' ).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B')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대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upp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 belongs.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2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1)>

D.3..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3..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d'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d',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lef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52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2,

입력하려는 문자(='d')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d') is assigned to the lower left.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To be more specific,

도52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문자버튼마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52, since Hangul,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for each letter button,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d')가 표시된 버튼(=결국은 'ㅇ'(한글임)와 'd'와 'D'와 '♨'가 함께 표시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Drag the button marked wit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 d ') to the lower left (= button marked with 'ㅇ' (in Korean) and ' d ' and 'D' and '♨' )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d')가 속한 문자체계(=영문 소문자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for inputting the character system (= English lowercas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d') belongs.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1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1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2)>

D.4..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4.. In the same state as in Figure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E'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E',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D.2'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D.2'단계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D.2', and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D.2' is omitted.)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51과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1,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2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1)>

D.5..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5..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F'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F',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lower right,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English capital letters in the lower righ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2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우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대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one uppercase English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uppercase English input mode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D.6..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6..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upp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g'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g',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left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D.3'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문구는 'D.3'단계 설명의 상세 설명이 생략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D.3', and the text is the content w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description 'D.3' is omitted.)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지 않아서, It doesn't look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belongs.

탭하여서는 입력할 수 없고,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You cannot input by tapping, but you can input by dragging. )

도52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state shown in Figure 52,

입력하려는 문자(='g')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면 된다.Just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g') is assigned to the lower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1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in the state as in Fig. 52) to the state as in Fig. 51 (that is, in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lowercase input mode)>

D.7..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7..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h'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h',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lower- case letters in the lower lef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lower left .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1과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하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영문 소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영문 소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a single lowercase English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

((((((((

참고로, 바로 상기 문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겠으나 그래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above phrase is not necessary, but if you try, it is as follows,

(참고로, 이하 내용은 'D.1'단계 원리와 동일하고, 'D.1'단계에서의 해당 내용 문구와도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For reference, the following cont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step 'D.1', and most of the contents are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ntent text in step 'D.1'.)

(현재와 같은 상태는, (The current state is

마치, 입력하려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여서, It looks like an input mode to input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탭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Because you can type by tapping )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는In the current state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1.>

D.8..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8..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j'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lowercase letter 'j',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7'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detailed explanations 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D.7'.)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1.>

D.9..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9..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with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M'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M',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4'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D.4'.)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각각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2 (that is, the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1)>

D.10..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N'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N',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D.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2.>

D.11..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1..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Q'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Q',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D.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2.>

D.12..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2..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R'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R',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혹시나 문자입력방법, 그 문자입력방법이 필요했던 이유 또는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조작한 후의 키보드 상태변화 등에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D.5'단계를 참조바란다.)(If you ne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input method was necessary, or the change in the keyboard state after operatin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please refer to step 'D.5'.)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2.>

D.13..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3..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where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ㄱ'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d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ㄱ',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upp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 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upper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도49와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9 (that is, the state as if it was in the Hangul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2)>

D.14..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4.. In the same state as Fig. 4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대문자인 'T'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uppercase letter 'T',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righ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where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에서) 도52와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2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9)>

D.15.. 도52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대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5..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2 (that is, it can be said that English capital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ㄴ'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ㄴ',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upp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 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upper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52와 같은 상태에서) 도49와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49 (that is, the state as if it was in the Hangul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2)>

D.16..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6.. In the same state as Fig. 4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ㄷ'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c',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좌측 영역한글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Korean characters in the upper left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you can also input by dragging it to the upper left.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49와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상측의 좌측 영역 에 표시된 한글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한글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regions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displayed in the upper left region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a single Korean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Hangul character input mode ) , you can also input it by dragging the button assigned to the character to be input to the upper left.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D.17..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7.. In the same state as Fig. 4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영문 소문자인 'y'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y',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lower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에서) 도51과 같은 상태(즉,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9)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1 (that is, a state that looks as if it is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D.18.. 도51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영문 소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8.. In the same state as in Fig. 51 (that is, it can be said that lowercase English let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displayed most prominently in each let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the input mode i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ㄹ'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ㄹ',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upper lef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 한다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is assigned to the upper lef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where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51과 같은 상태에서) 도49와 같은 상태(즉,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1) to the state shown in Fig. 49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 Hangul input mode)>

D.19..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19.. In the same state as Fig. 4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ㅁ'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ㅁ',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D.20..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20.. In the same state as Fig. 4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that it appear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한글 문자인 'ㅂ'를 입력하려면, (in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Korean character 'ㅅ',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D.21.. 도49와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한글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한글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21.. In the same state as Fig. 49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angul character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Hangu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기호 문자인 ' '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symbolic character ' ',

입력하려는 문자가,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Since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area inside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한다 . Drag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to the right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 In the state that a certain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not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드래그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는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a state that looks like an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is input.

즉, 키보드 상태가 (도49와 같은 상태에서) 도50과 같은 상태(즉, 마치 기호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변경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0 (that is, a state that appears as if it is a symbol character input mode) (from the state shown in FIG. 49)>

D.22.. 도50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기호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기호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22.. In the same state as Fig. 50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symbol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most conspicuous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as if it was in the symbo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기호 문자인 ' '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symbolic character '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물론, 현재의 키보드 상태가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우측 영역기호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탭하는 것보다 불편하므로 그렇게 하지 않을 뿐이다.( Of course , it is possible to input by dragging to the right as the current keyboard state displays the symbol character in the upper right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However,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tapping.

이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도50과 같은 상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상측의 우측 영역 에 표시된 기호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기호 문자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 )에서 어떤 기호 문자 1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symbol character (or the region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region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When you want to input one symbol character in the state that appears to be in the symbol text input mode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0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0.>

D.23.. 도50과 같은 상태에서(즉, 각 문자버튼 내에서 기호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서, 마치 기호 입력모드인 것처럼 보이는 상태에서) D.23.. In the same state as Fig. 50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symbol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so it looks as if it is in the symbol input mode )

("aBdEFghjMNQRㄱTㄴㄷyㄹㅁㅂ■♥●" 중) 기호 문자인 ' '를 입력하려면, (of "aBdEFghjMNQRaTncyrww■♥●") To enter the symbolic character ' ',

입력하려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을 탭한다 . Tap the button assigned the character you want to enter .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 Since you entered a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50과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50.>

..

..

..

..

..

..

..

..

그리고,And,

바로 상기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에서는In the above-mentioned D.1 ~ D.23 general arrangement example of unit D,

도49, 도50, 도51, 도52를 인용하여 49, 50, 51, and 52 are cited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기호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I learned how to enter four character systems (without the need for a language mode change button and shift button) alternately: English lowercase letters, English uppercase letters, Korean letters, and symbols.

도49, 도50, 도51, 도52 대비49, 50, 51, 52 compared to

(도49, 도50, 도51, 도52에서) 한글이 표시된 영역에 (한글 대신)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In Figs. 49, 50, 51, and 52), lowercase Russian letters (instead of Hangul) are displayed in the area where Hangul is displayed,

(도49, 도50, 도51, 도52에서) 기호가 표시된 영역에 (기호 대신)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in Figs. 49, 50, 51, and 52) In the area where the symbol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ymbol), capital letters of Russian letters are displayed.

도55, 도56, 도57, 도58을 인용하고, 55, 56, 57, and 58 are cited ,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에 있는 규칙3을 그대로 적용하여 By applying rule 3 in the general arrangement example of unit D, D.1 to D.23, as it is,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할 수 있다.You can alternately enter four character systems: lowercase English, uppercase English, lowercase Russian, and uppercase Russian (without the need for a language mode change button and shift button).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를 이해하면 바로 응용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로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If you understand the example of the general arrangement of unit D, D.1 to D.23, you can apply it immediately, so I will not explain it separately as an example )

((((((((((

참고로,Note that,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 대해서 조금만 설명하자면,55, 56, 57, and 58 of the keyboard will be described a little bit,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에In each character button of the keyboard of Fig. 55, Fig. 56, Fig. 57, and Fig. 58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는데,Russian lowercase letters, Russian uppercase letters,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English uppercase letters are displayed.

도55는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5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Russian letter lowercase input mode, as lowercase Russian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도56은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Figure 5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Russian capital capital input mode, as uppercase Russian letters are most prominent;

도57는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5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becaus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도58은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58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most conspicuously displayed, so that it looks like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

((((((((((

참고로, Note that,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 표시된 러시아 문자는 러시아 문자 전체에서 누락된 것이 있다. Some of the Russian characters displayed on the keyboards of Figs. 55, 56, 57, and 58 are omitted from all Russian characters.

즉.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는 원리만 이해시키기 위해 임의로 만들어본 상상의 키보드라고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keyboards of Figures 55, 56, 57, and 58 can be said to be imaginary keyboards arbitrarily created in order to understand only the principle.

하지만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서 소정의 조작방법을 통하여 도55, 도56, 도57, 도58의 키보드에서 (배정은 되어있는데) 표시만 누락된 러시아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However, in the keyboard of FIGS. 55, 56, 57, and 58,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Russian characters in which only the display is omitted from the keyboard of FIGS. there is

))))))))))

..

..

..

..

..

..

그리고,And,

바로 상기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에서는In the above-mentioned D.1 ~ D.23 general arrangement example of unit D,

도49, 도50, 도51, 도52를 인용하여 49, 50, 51, and 52 are cited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기호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I learned how to enter four character systems (without the need for a language mode change button and shift button) alternately: English lowercase letters, English uppercase letters, Korean letters, and symbols.

도49, 도50, 도51, 도52 대비49, 50, 51, 52 compared to

한글 2벌식 키보드 그대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로 분리되어,As it is with the Hangeul 2-beol-style keyboard, the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is divided into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도49, 도50, 도51, 도52에서의 한글이 표시된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동일한 문자버튼에 각각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49, 50, 51, and 52 divide the area in which the Hangul is displayed into two areas, and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are displayed on the same character button, respectively.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를 인용하고,80, 81, 82, 83, 84 are cited,

다음의 '규칙4'을 적용하여By applying the following 'Rule 4'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단자음(문자체계), 한글 쌍자음(문자체계), 기호 라는 5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할 수 있다.You can enter five character systems (without the need for a language mode change button and shift button): English lowercase letters, English uppercase letters, Korean single consonants (character system), Korean double consonants (character system), and symbols.

(D.1~D.23이라는 D단원 종합 정리실시예를 이해하면 바로 응용하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로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다)( If you understand the example of the general arrangement of unit D, D.1 to D.23, you can apply it immediately, so I will not explain it separately as an example )

((((((((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can be defined as follows.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

,ㄴ,,ㄹ,ㅁ,,,ㅇ,,ㅊ,ㅋ,ㅌ,ㅍ,ㅎ,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a ,b, c , r , , f , s to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Hangul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

,ㄴ,,ㄹ,ㅁ,,,ㅇ,,ㅊ,ㅋ,ㅌ,ㅍ,ㅎ,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b, ,d, ㅁ, , , o, tt ,c, blah, t,p, heh, ah,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ㅣ, , ,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ㄱ,ㄷ,ㅂ,ㅅ,ㅈ,ㅐ,ㅔ를 각각 ㄲ,ㄸ,ㅃ,ㅆ,ㅒ,ㅖ로 대체한 것이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이고, 나머지 문자는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공통문자라고 할 수 있다.)(The Korean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s the one in which a, c, o, s, i, ㅐ, ㅔ in the Korean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re replaced with ㄲ, ㄸ, ㅃ, ㅆ, ㅒ, ㅖ, respectively, and the rest of the characters are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mmon character of the Korean alphabet and the Korean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

======================================================================================

======================================================================================

"규칙4" 도입 부분 시작Beginning of "Rule 4" introductory part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처럼 어떠한 문자 버튼 내에 80, 81, 82, 83, 84 within any character button

상측 영역은the upper area 좌측과 중앙과 우측이라는 3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It is divided into three areas: left, center, and right.

하측 영역은the lower area 좌측과 우측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If it is divided into two areas, left and right,

다음의 "규칙4"와 같은 문자입력방법 규칙이 있다고 가정해보자.Assume that there is a character input method rule as in "Rule 4" below.

규칙4:Rule 4:

한글 단자음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character system called Hangul monophonic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lef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upper left corner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한글 쌍자음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Korean alphabet, the double consonant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central area within a character button , drag the button to which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is assigned and enter it,

기호 이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a system of symbols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상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상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righ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영문 소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letter system of low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좌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좌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고,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lef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lower lef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영문 대문자 라는 문자체계처럼 Like the letter system of uppercase English

어떠한 문자 버튼 내의 하측의 우측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어느 문자를 입력하려면, 입력하고자 하는 그 어느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을 우하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To input a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area of a character button, drag the button to the lower right to which any character to be input is assigned.

,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 중 또는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 또는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만 However , only the most prominent character system among the multiple character systems displayed within the same button or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prominently displayed region among multiple regions.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As an additional input method,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 You can also type by tapping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 Rules for changing keyboard state: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tap to enter any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drag and type a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each character button,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is most prominent.

((((((((((

참고로,Note tha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keyboard state 변경change 되기는 하였는데,It did becom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If you typed a character by dragging,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In each character button, even if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enter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Anyway,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As a result, the keyboard state remains 유지maintain 되어 버린다.become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So, if the keyboard state changes as a result,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Which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않은not 상태에서 in the state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When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규칙4 끝.Rule 4 end.

======================================================================================

======================================================================================

((((((((((

참고로,Note that,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의 키보드에 대해서 조금만 설명하자면,80, 81, 82, 83 and 84 of the keyboard will be described a little bit,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에80, 81, 82, 83, and 84 in each character button of the keyboard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한글 단자음(문자체계), 한글 쌍자음(문자체계),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데,English lowercase letters, English uppercase letters, Korean single consonants (character system), Korean double consonants (character system), and symbols are displayed.

도80는 한글 단자음(문자체계)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한글 단자음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8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Hangul monophonic input mode, in which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s most prominently shown,

도81은 한글 쌍자음(문자체계)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한글 쌍자음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8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the Hangul double consonants (character system) are most conspicuously shown, and looks like a Hangul double consonant input mode;

도82은 기호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기호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8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symbol input mode because the symbol is most prominent.

도83는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8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becaus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도84는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8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as English capital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

((((((((((

참고로,Note that,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는 85, 86, 87, 88, and 89 are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80, 81, 82, 83, and 84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공통문자가 배정된 버튼에서만은, 키보드가 간단히 보이도록,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과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가 배정된 영역을 합쳐놓았을 뿐이다.In the buttons to which common character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Korean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 Figs. 80, 81, 82, 83, and 84) are assigned,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s assigned so that the keyboard can be seen simply It is just a combination of the area assigned to the Korean alphabet and the area assigned to the Hangeul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실제로 상용화 할때에는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와 같은 상태보다는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와 같은 상태로 구현해 놓고서 사용방법은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와 같은 상태에서의 사용방법과 동일하게 구현하기를 권장한다. When actually commercialized, it is implemented in a state such as Fig. 85, Fig. 86, Fig. 87, Fig. 88, and Fig. 89 rather than the state shown in Figs. 81, 82, 83, and 84 are recommended to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tate of use.

..

..

..

더 나아가,Furthermore,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에서 85, 86, 87, 88, and 89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달라서,Because the characters of the Korean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Korean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are different,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 3개로 나뉘어진 문자버튼들에서의 3개의 영역의 각 영역이 Each area of the three areas in the letter buttons in which the upper area of each letter button is divided into three

각 문자버튼의 상측 또는 하측의 영역이 2개로 나뉘어진 문자버튼들에서의 2개의 영역의 각 영역보다 The upper or lower area of each letter button is greater than each area of the two areas in the letter buttons divided into two

너비가 많이 작아서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에는,If the width is very small and you feel visually uncomfortable,

어차피, 한글 2벌식 키보드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떠한 한글 단자음을 보면 그 한글 단자음의 한글 쌍자음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After all, users who frequently use the Hangeul 2-beol keyboard can say that they know what Hangul double consonants are when they see any Hangul monophonic consonants.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에서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 3개로 나뉘어진, 85, 86, 87, 88, and 89, the upper area of each character button is divided into three,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80, 81, 82, 83, and 84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모두 표시된 문자버튼에서In the character button where all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 Figs. 80, 81, 82, 83, and 84) are displayed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과 같이,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85, 86, 87, 88, and 89, a character that is replaced (or different) in the Korean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compared to the Korean monophonic character system 'ㄲ,ㄸ,ㅃ,ㅆ,ㅒ,ㅖ'를 '§'과 같은 특정의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통일해버릴 수도 있다'ㄲ, ㄸ, ㅃ, ㅆ, ㅒ, ㅖ' can be unified with specific characters or symbols such as '§' .(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nd symbol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re displayed can be slightly wider.)

즉, 동일한 언어문자(예: 한글)의 서로 다른 문자체계(예: 단자음 문자체계, 쌍자음 문자체계)의 어느 한 문자체계의 문자 전체 또는 일부(예: 공통되지 않는 차이나는 문자)를 '§'과 같은 특정의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통일해버릴 수도 있다.(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That is, all or part of the characters (e.g., different characters that are not common) of any one character system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e.g. monophonic character system,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of the same language character (e.g. Hangul) are '§' It can also be unified with specific characters or symbols such as '.

예를 들어, 도86 대신 도90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Figure 90 may be used instead of Figure 86.

즉, 도90에서That is, in FIG.

'ㅂ'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ㅃ'이고,'§'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b' is 'ㅃ',

'ㅈ'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ㅉ'이고,'§' on the right side of the area marked with 'j' is 'j',

'ㄷ'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ㄸ'이고,'§' on the right side of the area marked with 'c' is 'ㄸ',

'ㄱ'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ㄲ'이고,'§'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a' is 'ㄲ',

'ㅅ'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ㅆ'이고,'§'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ㅅ' is 'ㅆ',

'ㅐ'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ㅒ'이고,'§'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ㅐ' is 'ㅒ',

'ㅔ'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은 'ㅖ'임을 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 on the right side of the area marked with 'ㅔ' can mean 'ㅖ'.

도86외의 도85, 도87, 도88, 도89도 해당 키보드 상의 각 문자버튼의 문자 표시 대신 도90의 표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는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도85, 도87, 도88, 도89처럼 다를 뿐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isplay of FIG. 90 may be used instead of the character display of each character button on the keyboard in FIGS. 85, 87, 88, and 89 other than FIG. Only the most prominently displayed character (or the region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differs as in Figs. 85, 87, 88, and 89. Figs.

..

..

..

더 나아가Furthermore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80, 81, 82, 83, and 84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모두 표시된 문자버튼에서In the character button where all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 Figs. 80, 81, 82, 83, and 84) are displayed

도85, 도86, 도87, 도88, 도89과 같이,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대비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에서의 대체되는(또는 차이나는) 문자인 'As shown in Figures 85, 86, 87, 88, and 89, ', which is a character that is replaced (or different ㄲ,ㄸ,ㅃ,ㅆ,ㅒ,ㅖ'를 아예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ㄲ, ㄸ, ㅃ, ㅆ, ㅒ, ㅖ' may not be displayed at all. (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nd symbol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re displayed can be slightly expanded.)

즉, 동일한 언어문자(예: 한글)의 서로 다른 문자체계(예: 단자음 문자체계, 쌍자음 문자체계)의 어느 한 문자체계의 문자 전체 또는 일부(예: 공통되지 않는 차이나는 문자)를 아예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그러면서,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기호가 표시된 영역을 조금 더 넓힐 수 있다.)In other words, all or part of the characters (e.g., different characters that are not in common) of any one character system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e.g. monophonic character system,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of the same language character (e.g. Hangul) are displayed at all. (In the meantime, you can widen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and symbol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re displayed.)

예를 들어, 도86 대신 도91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Figure 91 may be used instead of Figure 86.

즉, 도91에서That is, in FIG. 91

'ㅂ'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ㅃ'이 배정되어 있고,'ㅃ' is assigned to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ㅅ',

'ㅈ'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ㅉ'이 배정되어 있고,In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j', 'j' is assigned,

'ㄷ'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ㄸ'이 배정되어 있고,'ㄸ' is assigned to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c',

'ㄱ'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ㄲ'이 배정되어 있고,'ㄲ' is assigned to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a',

'ㅅ'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ㅆ'이 배정되어 있고,'ㅆ' is assigned to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ㅅ',

'ㅐ'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ㅒ'이 배정되어 있고,'ㅒ' is assigned to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ㅐ',

'ㅔ'이 표시된 영역 우측의 공란에 'ㅖ'이 배정되어 있음을 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It is possible to make it mean that 'ㅖ' is assigned to the blank on the right of the area marked with 'ㅔ'.

더 나아가Furthermore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대비80, 81, 82, 83, and 84

(도80, 도81, 도82, 도83, 도84에서의)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의 문자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의 문자가 모두 표시된 문자버튼에서In the character button where all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and the characters of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 Figs. 80, 81, 82, 83, and 84) are displayed

도49, 도50, 도51, 도52와 같이,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를 없게 하되, 49, 50, 51, and 52, there is no area itself for displaying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은 규칙4를 따르게 할 수도 있다. 단,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에 변화를 주면 될 것 같은데, The method of inputting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may follow Rule 4. However, I think it would be enough to change the rule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keyboard state ,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와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design that looks the most conspicuous in the state that it looks like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nput mode and the state that looks like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put mode.

즉, 동일한 언어문자(예: 한글)의 서로 다른 문자체계(예: 단자음 문자체계, 쌍자음 문자체계)의 어느 한 문자체계의 문자 전체 또는 일부(예: 공통되지 않는 차이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를 없게 하되, That is, to display all or part of the characters (e.g., different characters that are not in common) of any one character system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e.g. monophonic character system, double consonant writing system) of the same language character (e.g. Hangul) There should be no realm for the

표시하기 위한 영역자체가 없는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을 따로 정해주고,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에 변화를 주면 될 것 같은데I think it would be enough to set a separat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system that does not have an area to display, and change the rule whether to change the keyboard state. ,,

서로 다른 문자체계 각각처럼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디자인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design that is most prominent in what looks like each of the different writing systems.

예를 들어, E.g,

한글 단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는 도49와 같이 무늬없이 바탕색이 회색으로만 나타내고,The state that looks like the Hangul monophonic character system input mode shows only the background color in gray without a pattern, as shown in FIG.

한글 쌍자음 문자체계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상태는 도92와 같이 빗살무늬로 나타낼 수 있다.A state that looks like the Hangul double consonant character system input mode can be represented by a comb pattern as shown in FIG. 92 .

예를 들어, 도86 대신 도92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For example, Figure 92 may be used instead of Figure 86.

즉, 도92에서That is, in FIG. 92

'ㅂ'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ㅃ'이 배정되어 있고,In fact, 'ㅃ' is assigned to the area marked with 'ㅅ',

'ㅈ'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ㅉ'이 배정되어 있고,In fact, 'j' is assigned to the area marked with 'j',

'ㄷ'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ㄸ'이 배정되어 있고,In fact, 'ㄸ' is assigned to the area marked with 'c',

'ㄱ'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ㄲ'이 배정되어 있고,In fact, 'ㄲ' is assigned to the area marked with 'a',

'ㅅ'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ㅆ'이 배정되어 있고,In fact, 'ㅆ' is assigned to the area marked with 'ㅅ',

'ㅐ'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ㅒ'이 배정되어 있고,In fact, 'ㅒ' is assigned to the area marked with 'ㅐ',

'ㅔ'이 표시된 영역에 사실은 'ㅖ'이 배정되어 있음을 뜻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fact is that the area marked with 'ㅔ' can mean that 'ㅖ' is assigned.

)))) ))))

..

..

..

..

..

..

그리고, (바로 상기의 설명과 비슷하게)And, (just like the description above)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도면을 인용하고,72, 73, 74, 75, 76, 77, 78, and 79 are cited,

다음의 규칙5 을 적용하여서By applying the following rule 5

바로 상기의 설명처럼just as described above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라는 4가지 문자체계를 (언어모드 변경버튼과 쉬프트 버튼이 필요없이) 번갈아 입력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enter four character systems (lower English letters,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Russian letters) (without the need for a language mode change button and shift button).

(참고로, 다음의 규칙5는 D단원에 있는 규칙3와 원리는 사실상 비슷한데, D단원 실시예에서 인용된 키보드에 비하여 각 문자체계의 문자입력방법만 다르다고 할 수 있어서, (For reference, the following rule 5 is practically similar in principle to rule 3 in unit D, but it can be said that only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each character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keyboard cited in the embodiment of unit D,

다음의 설명들은 사실상 바로 상기 D단원의 설명을 반복하는 것이나 다름없다.)The following explanations are, in effect, repeating the explanations in Section D above.)

======================================================================================

======================================================================================

규칙5:Rule 5:

a.. 어떠한 문자버튼을 상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a. Start dragging any character button upward ,

a.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a.1 .. If you drag (shortly) through 3 or fewer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고,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 ,

a.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a.2 .. If you drag (long) through more than 3 (ie, 4 or more)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Among the characters of the language character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belongs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Character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and corresponding characters in a lowercase/uppercase relationship are input .

b.. 어떠한 문자버튼을 하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b.. Start dragging any character button downwards ,

b.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b.1 .. If you drag (shortly) through 3 or fewer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고,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is input ,

b.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b.2 .. If you drag (long) through more than 3 (ie, 4 or more)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Among the characters of the language character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belongs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된다. Characters displayed in the lower area and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input in a lowercase/uppercase relationship .

, (상기 a, b 규칙의 예외 조항으로써) However , (as an exception to rules a and b above)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의 문자들 중 또는 Among the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character systems displayed in the same button, or

복수의 영역 중 of multiple areas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 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Only characters of the (most) prominent writing system or only characters of the writing system marked in the (most) prominent area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as an additional input method,)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type by tapping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Rules for changing keyboard state: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Tap to enter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 If you drag and type a character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거나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is entered or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면 When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case/uppercase letter among the characters of the language character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region belongs is inputted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displayed as it is,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 certain inputted character belong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참고로,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그대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므로,(For reference, if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is input (as is) ,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는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또는 안 두드러지게 보이게 변하느냐 마느냐만 변화가 있을 수 있을 뿐이다.) 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 system itself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remains unchanged . It can only change whether or not it changes to be most noticeable or not.)

그리고,And,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입력되거나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is entered or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의 문자들 중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면 When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and lowercase/uppercase among the characters of the language character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belongs is inputted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displayed as it is,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 certain inputted character belongs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참고로,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그대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므로,(For reference, if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is input (as it is),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는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또는 안 두드러지게 보이게 변하느냐 마느냐만 변화가 있을 수 있을 뿐이다.) 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 system itself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remains unchanged . It can only change whether or not it changes to be most noticeable or not.)

((((((((((

참고로,Note tha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keyboard state 변경change 되기는 하였는데,It did become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하려는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에서In each character button, in the keyboard state where the character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character to be input belongs (or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다면,If you typed a character by dragging,

각 문자버튼 내에서, 입력한 어떤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고 하여도,In each character button, even if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entered character belongs is changed to the most prominent keyboard state,

어차피 키보드 상태는 변경전과 변경후가 동일해버린다.Anyway, the keyboard state is the sam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As a result, the keyboard state remains 유지maintain 되어 버린다.become

그래서,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는, So, if the keyboard state changes as a result,

각 문자버튼 내에서 어떤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되어 있지 Which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않은not 상태에서 in the state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여, By dragging and entering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이다.When 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규칙5 끝.End of Rule 5.

======================================================================================

======================================================================================

((((((

참고로, 상기 규칙5의 내용에 있어서,For reference, in the content of Rule 5 above,

만약,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가 '한글'문자라면,If the language character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or lower area of any one character button belongs is a 'Hangul' character ,

상기 규칙5에서의 "소문자/대문자 관계"(="소문자/대문자 (문자체계) 관계")는 The " lowercase/uppercase relationship"(="lowercase/uppercase (character system) relationship") in Rule 5 is

"한글 단자음/쌍자음 (문자체계) 관계"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고,It can be applied by being replaced with "Hangeul single consonant/double consonant (letter system) relationship" ,

만약,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가 속한 언어문자가 '일본어'문자라면,If the language character to which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or lower area of any one character button belongs is a 'Japanese' character ,

상기 규칙5에서의 "소문자/대문자 (문자체계) 관계"는The "lowercase/uppercase (character system) relationship" in Rule 5 above

"일본어 히라가나/가타가나 (문자체계) 관계"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It can be applied by replacing it with "Japanese Hiragana/Katakana (character system) relationship"

))))))

((((((((((

참고로,Note that,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 대해서 조금만 설명하자면,72, 73, 74, 75, 76, 77, 78, and 79, let me explain a little bit about the eight keyboards,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 내의72, 73, 74, 75, 76, 77, 78, and 79 in each character button of the eight keyboards.

상측 영역에 러시아문자 소문자, 러시아문자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고,In the upper area , any one of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Russian letters is displayed,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는데,In the lower area , either lowercase English or uppercase English is displayed.

도72,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72 and 73 are exemplary diagrams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Russian letter input mode because lowercase Russian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도72와 도73의 차이점은(The difference between Fig. 72 and Fig. 73 is

도72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72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도73은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Figure 73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도74, 도75는 러시아문자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러시아문자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74 and 75 are exemplary diagrams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Russian capital capital input mode, in which Russian capital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도74와 도75의 차이점은(The difference between Fig. 74 and Fig. 75 is

도74는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74 shows uppercase Russian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도75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Figure 75 shows upp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도76, 도77은 영문 소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며, 76 and 77 are exemplary diagrams of a keyboard that looks like a lowercase English input mode becaus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most prominently shown,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The difference between Fig. 76 and Fig. 77 is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고,76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lowercase English letters,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소문자가 표시되어 있다)77 shows uppercase Russian characters and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도78, 도79은 영문 대문자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서, 마치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에 대한 예시도이다. 78 and 79 are exemplary views of a keyboard in which English capital letters are most conspicuously displayed, so that it looks like an English capital letter input mode .

(도76와 도77의 차이점은(The difference between Fig. 76 and Fig. 77 is

도76는 러시아문자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고,76 shows low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도77은 러시아문자 대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표시되어 있다)Figure 77 shows uppercase Russian letters and uppercase English letters)

))))))))))

((((((((((

참고로, Note that,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 표시된 러시아 문자는 러시아 문자 전체에서 누락된 것이 있다. Some of the Russian characters displayed on the eight keyboards of FIGS. 72, 73, 74, 75, 76, 77, 78, and 79 are missing from all Russian characters.

즉.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는 원리만 이해시키기 위해 임의로 만들어본 상상의 키보드라고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eight keyboards of Figures 72, 73, 74, 75, 76, 77, 78, and 79 can be said to be imaginary keyboards arbitrarily created in order to understand only the principle.

하지만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서 소정의 조작방법을 통하여 도72, 도73, 도74, 도75, 도76, 도77, 도78, 도79 라는 8개의 키보드에서 (배정은 되어있는데) 표시만 누락된 러시아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기는 하다. However,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method in the eight keyboards of Figure 72, Figure 73, Figure 74, Figure 75, Figure 76, Figure 77, Figure 78, Figure 79, Figure 72, Figure 73, Figure 74, Figure 75, Figure 76,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Russian characters in which only the mark is omitted on the eight keyboards of FIGS.

))))))))))

상기 규칙5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Rule 5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72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inputting in the state shown in FIG. 72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 어떠한 문자버튼의 예인 a. Example of any text button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인 't'가 표시된 버튼을 Press the button marked with a lowercase Russian letter 'e'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case English letter 't' on the lower area.

상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Start dragging upwards ,

a.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a.1 .. If you drag (shortly) through 3 or fewer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가 입력된다. The lowercase Russian letter 'e', which is the let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letter button, is input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e'가 입력되었으므로, < Since a certain character 'e' was entered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입력되었으므로, Since the letter 'e' displayed in the upper area has been entered,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which is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displayed as it is,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e'가 속한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2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Change to the keyboard state as shown in Fig. 72, in which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lowercase Russian letter system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 do.

결국, 도72 상태에서 도7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키보드 상태는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After all, since the state of FIG. 72 is changed to the state of FIG. 72,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virtually no change in the state of the keyboard.

(참고로,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속한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2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 그런데, 도72 상태에서 도72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변경이 없다고 할 수 있다. (For reference, when the letter 'e', which is displayed in the upper area, is input, a letter belonging to the Russian lowercase letter system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 is displayed) is the most It is changed to the state of the keyboard as shown in Fig. 72 conspicuously, however, since it is changed from the state of Fig. 72 to the state of Fig. 72,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virtually no change.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도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text system itself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remains unchanged.)>

그리고, 규칙5 내중 중의 'b.2' 바로 아래에서And, just below 'b.2' in Rule 5

"단 , (상기 a, b 규칙의 예외 조항으로써) "However , (as an exception to rules a and b above)

동일한 버튼 내에 표시된 복수의 문자체계의 문자들 중 또는 Among the characters of a plurality of character systems displayed in the same button, or

복수의 영역 중 of multiple areas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 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만Only characters of the (most) prominent writing system or only characters of the writing system marked in the (most) prominently marked area

(추가적인 입력방법으로써,) (as an additional input method,) 탭하여서도 입력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type by tapping ."."

라고 하였으므로,Since it was said,

도72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 또는 (가장) 두드러지게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문자체계의 문자가 러시아문자 소문자체계의 문자이므로,In Fig. 72, the characters of the (most) prominently displayed character system or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most) prominently displayed area are characters of the Russian lowercase letter system,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인 't'가 표시된 버튼을 탭하면When you tap the button marked with 'e', a lowercase Russian letter, and 't', a lowercase letter, in the lower area,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가 입력 되고, A lowercase Russian letter 'e' is entered at the top ,

"" 키보드 상태 변경 여부 규칙:Rules for changing keyboard state:

탭하여 어떤 문자를 입력하면Tap to enter any character

키보드 상태가 그대로 유지 된다."The keyboard state remains the same."

라고 하였으므로,Since it was said,

탭하여 어떠한 문자를 입력하였으므로, 키보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Since you entered some character by tapping ,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즉, 키보드 상태가 도72와 같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That is, the keyboard state is maintained as shown in FIG.

a.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a.2 .. If you drag (long) through more than 3 (ie, 4 or more)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가 속한 언어문자인 러시아문자의 문자들 중Among the Russian characters, which are the language characters to which 'e',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belongs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러시아문자 대문자인 'E'가 입력된다.The lowercase Russian letter 'e', which is the let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and the uppercase Russian letter 'E', a letter corresponding to a lowercase/uppercase relationship, are input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E'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E'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상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e'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E'가 입력되었으므로,Since 'e', which is the letter displayed in the upper area, and 'E', which corresponds to the lowercase/uppercase relationship, were input,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The character system called lowercase English, which is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displayed as it is,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E'가 속한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대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4와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In the state of the keyboard as shown in Fig. 74, the letters belonging to the uppercase Russian letter system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re most prominently displayed, which is the letter system to which the letter 'E', which is an inputted letter, belongs. is changed .>

b.. 어떠한 문자버튼의 예인 b.. Example of any text button

상측에 러시아문자 소문자인 'e', 하측 영역에 영문 소문자인 't'가 표시된 버튼을 Press the button marked with a lowercase Russian letter 'e'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case English letter 't' on the lower area.

하측 으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되, Start dragging downwards ,

b.1 ..3개 이하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짧게) 드래그하면, b.1 .. If you drag (shortly) through 3 or fewer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영문 소문자인 't'가 입력된다. A lowercase English letter 't', which is a let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a certain letter button, is input.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t'가 입력되었으므로, < Since a certain character 't' was entered by dragging,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입력되었으므로, Since '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has been entered,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The character system of lowercase Russian letters, which is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displayed as it is,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t'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6과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Change to the keyboard state as shown in Fig. 76, in which the letter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ly displayed becomes

(참고로,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소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6과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되므로,(For reference, when '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is input, the character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 is displayed) is the most prominent Since it changes to the keyboard state as shown in Fig. 76,

사실상,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 자체는 변경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단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게 또는 안 두드러지게 보이게 변하느냐 마느냐만 변화가 있을 뿐이다.)>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text system itself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text button is unchanged. It only changes whether or not it changes to be most noticeable or not.)>

b.2 ..3개 초과(즉, 4개 이상)의 문자버튼을 통과하게 (길게) 드래그하면, b.2 .. If you drag (long) through more than 3 (ie, 4 or more) character buttons, ,

어떠한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가 속한 언어문자인 영문자의 문자들 중Among the characters of English characters, which are the language characters to which '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any character button, belongs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영문 소문자인 't'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영문자 대문자인 'T'가 입력된다. A lowercase English letter 't', which is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and a lowercase letter/uppercase letter, 'T', a corresponding letter, are input .

<드래그하여 어떤 문자인 'T'를 입력하였으므로, < Since I entered a certain character 'T' by dragging ,

키보드 상태가 변경 되는데,The keyboard state is changed .

하측 영역에 표시된 문자인 't'와 소문자/대문자 관계로 대응되는 문자인 'T'가 입력되었으므로,Since '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lower area, and '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 a lowercase/uppercase relationship, were input,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 표시되었던 문자체계인 러시아문자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그대로 표시되고,The character system of lowercase Russian letters, which is 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displayed as it is,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체계가 변경되는데,The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lower area within each character button is changed.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에서,) 입력된 어떤 문자인 'T'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체계에 속한 문자(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도78과 같은 키보드 상태로 변경된다.>(In the upper area within each letter button) Change to the keyboard state as shown in Fig. 78, in which the letter (or the area in which the letter is displayed) is most prominent becomes .>

..

..

..

..

..

..

..

..

..

..

..

이제 또 다른 참고 내용으로써,Now as another reference,

여태까지의 설명 중in the description so far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소정의 문자체계, 소정의 영역, 소정의 디자인에 대한 개념에 대한 설명시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 predetermined area, and a predetermined design

더 구체적으로는more specifically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을 포함한 including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nd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A method for inputting certain characters ,

제1 소정의 문자체계, 제2 소정의 문자체계을 포함한 including 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nd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소정의 문자체계, a certain character system ,

제1 소정의 영역, 제2 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including a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a second predetermined area

소정의 영역, a certain area ,

제1 소정의 디자인, 제2 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소정의 디자인predetermined design

에 대한 개념에 대한 설명시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예를 들어 소정의 문자체계 에 대하여 설명할 때,For example, when explaining a certain character system ,

특히, 함축적문구2, 함축적문구5에 대한 예를 든 설명 내용 중에는 In particular, among the descriptions with examples of implicit phrases 2 and 5,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면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entering a certain character system is changed

그 어떠한 문자체계가 any writing system

..."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거나( 함축적문구5 설명 참조) .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제1 소정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 있다라고 하면서( 함축적문구2 설명 참조) .

그 어떠한 문자체계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라는 개념으로만 설명하였다.It is explained only with the concept that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a certain character system (=whether it belongs to the first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or to the second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may be changed .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In more detail,

소정의 문자체계에 제1 소정의 문자체계와 제2 소정의 문자체계가 포함되어 있는데,A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nd a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are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주로)1개의 문자체계가 One (mainly) one character system constituting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is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도 있고, It may be changed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constitu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제2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1개 이상의 문자체계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가 Any one of the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constitu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제1 소정의 문자체계를 구성하는 (주로)1개의 문자체계로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It has been described with the concept that it may be changed to (mainly) one character system constituting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그렇게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이유는 The reason why I explained it with the concept of "may change"

본원의 기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고,It is also to mak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asy to understand,

본원의 기술을 상용화 할 때, 쉽게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그렇게 설명했다.When commercializing the technology herein, it has been described so as to make programming easier.

하지만, 어떠한 문자체계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되어도However, even if the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any character system is changed,

그 어떠한 문자체계의 구체적 분류(=제1소정의 문자체계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소정의 문자체계에 속하는지)가 변경되지 않는다 라는 개념으로도 본원을 설명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렇게 " 변경되지 않는다" 라는 개념하에 설명을 전개하면 설명이 굉장히 복잡해 지고, 이해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설명하지 않았을 뿐이다. It is also possible to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with the concept that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any character system (=whether it belongs to the first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or to the second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is not changed . But that " doesn't change" If the explanation is developed under the concept, the explanation becomes very complicated and the understanding level is low, so I just did not explain it that way.

바로 상기 소정의 문자체계에 대한 언급과 마찬가지로,Just like the reference to the predetermined writing system,

여태까지의 설명 중in the description so far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소정의 영역, 소정의 디자인에 대한 개념에 대한 설명시 When explaining the concept of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 predetermined area, and a predetermined design

예를 들어 설명할 때, For example, when explaining

역시나I knew it

본원의 기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고,It is also to mak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easy to understand,

본원의 기술을 상용화 할 때, 쉽게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When commercializing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order to easily program

다음의 1, 2, 3번과 같이는 설명하지 않았다. No. 1, 2, and 3 below were not explained.

1..어떠한 문자입력방법 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 1..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a certain character input method (=whether it belongs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or belongs to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may be changed .

2..어떠한 영역 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영역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영역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 2..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a certain area (=whether it belongs to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or to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may be changed .

3..어떠한 디자인 의 구체적 분류(=제1 소정의 디자인에서 속하는지 또는 제2 소정의 디자인에 속하는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 .3..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a certain design (=whether it belongs to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or belongs to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may be changed .

하지만, 바로 상기 1, 2, 3번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렇게 "변경될 수도 있다"라는 개념하에 설명을 전개하면 설명이 굉장히 복잡해 지고, 이해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바로 상기의 1, 2, 3번과 같이 설명하지 않았을 뿐이다. However, it may be possible to directly explain the same as in Nos. 1, 2, and 3 above. However, if the explanation is developed under the concept of " may be changed ", the explanation becomes very complicated and the understanding is lowered, so it is just not explained as in Nos. 1, 2, and 3 above.

..

..

..

..

..

..

..

..

..

..

도1(a)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기기의 블럭도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기기는, 터치스크린(110), 기능블럭(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1 (a)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 As shown in FIG. 1 ( a ),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may include a touch screen 110 , a function block 120 , a control unit 130 , a storage unit 140 ,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 can

터치스크린(110)은 전술한 터치 버튼들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터치 버튼이 터치되는데 이용되는 수단이다.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the above-described touch buttons, and is a means used to touch a desired touch button with a user's finger.

기능블럭(120)은 전자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1) 전자기기가 모바일폰이라면, 기능블럭(120)은 이동전화 기능을 수행하고, 2) 전자기기가 모바일 컴퓨터라면, 기능블럭(120)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고, 3) 전자기기가 모바일 멀티미디어 재생기라면, 기능블럭(120)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4) 전자기기가 일반적인 노트북 또는 PC라면 기능블럭(120)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block 120 perform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f 1)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phone, the function block 120 performs a mobile phone function, 2) if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computer, the function block 120 performs a computing function, 3)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case of a mobile multimedia player, the function block 120 performs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and 4) if the electronic device is a general notebook or PC, the function block 120 performs a computing function.

저장부(140)는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 및 전술한 터치 버튼들로 구성되는 GUI 화면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고,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The storage unit 140 provides a storage space in which programs and data used to perform fun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generate a GUI screen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touch buttons are stored, and a multimedia file is stored.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기능블럭(120)에 의한 기능 수행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버튼들로 구성된 GUI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된 터치 버튼들을 이용되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자 입력, 객체 조정 및 기능 실행 등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30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controls the function execution by the function block 120 , and displays a GUI composed of touch buttons on the touch screen 11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ext input, object adjustment, and function executio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put using touch buttons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

통신부(150)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도1(a)의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in Fig. 1(a) ************

110 : 터치스크린110: touch screen

120 : 기능블럭120: function block

130 : 제어부130: control unit

140 : 저장부140: storage

150 : 통신부150: communication depart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 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of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or a waveguid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도1(b)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1B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device that can be employed to perform a method for providing local information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언급되는 ‘컴퓨터 장치’는 데스크탑PC, 랩탑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한다.The 'computer device' referred to below includes a desktop PC, a laptop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The computer device 8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810 connected to a main memory device including a random access memory (RAM) 820 and a read only memory (ROM) 830 . The processor 810 is also calle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보다는 더 빠른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 또는 외장 SSD와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As is widely known in the art, the ROM 830 serves to unidirectionally transmit data and instructions to the CPU, and the RAM 820 typically transmits data and instructions bidirectionally. is used to RAM 820 and ROM 830 may include any suitable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a. The mass storage device 840 is bidirection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810 to provide additional data storage capability, and may be any of the above-describe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The mass storage device 840 is used to store programs, data, and the like, and is typically an auxiliary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having a slower speed than the main memory or an SSD faster than the hard disk . A specific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CD-ROM 860 or an external hard disk or external SSD may be used. Processor 810 may include one or more input/output interfaces, such as a video monitor, trackball, mouse, keyboard, microphone, touchscreen-type display, card reader, magnetic or paper tape reader, voice or handwriting recognizer, joystick, or other known computer input/output device. (850) is connected. Finally, the processor 810 may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870 . Through such a network connection, the procedure of the above method can be performed. The devices and tools described above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technology.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용어의 설명은 본 기술 내용과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원 전체의 내용을 짧은 문장으로 언급 하기 위함이므로, 기술적 사상은 용어의 설명에서 설명된 단어 또는 문구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단항을 포함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떠한 사항에 한정하여 설명하거나 정의한 것들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그러한 설명 기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above terms is intended to refer to the entire con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the present technical content and claims in a short sentence, so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words or phrase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term, and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descriptions or definitions limited to any mat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means,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such description techniques. it is no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7)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Character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n a situation in which 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

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changed or added

The order of execution of the tasks performed after the "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 does not matter.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 추가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changed or added”
silver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 character belongs
How to input the characters to be entered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or add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 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This i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that have been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are input.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After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changed or deleted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3항에 있어서,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
"Changed or Deleted"
silver

"Changed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or
"It i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4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되거나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는 입력할 수 없게 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

"Changed to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or
"It i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lver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are changed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which they were input, or
"It is impossible to input by the first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method"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the subject matter of paragraph 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he displayed area
subject to change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1 소정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he displayed area
subject to change
silver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he displayed area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can be changed to a first predetermined area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고,

(문자입력 모드가) 입력되는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모드로 변경되거나,
(1가지 이상의)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변경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작업들의 수행 순서는 상관이 없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 keyboard system in a compute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For a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a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Character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In a situation where character input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lural different character systems" are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When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

Among the above "a plurality of different writing system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charact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character systems derived by a given rule)
Any character belonging to any one character system is input,

(character input mode) is changed to a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 character belongs, or
The character system that can be input with (one or more)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s is changed,

The order of execution of the tasks performed after the " any one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s is performed " does not matter.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영역 " 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In the "above different text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displayed in the " first predetermined area "

In the "above different text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After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other area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영역과 제2소정의 영역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영역 중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 that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other areas "
silver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0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regions
silver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areas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y were displayed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as an independent claim including most of the subject matter of paragraph 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subject to change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되는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의 디자인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subject to change"
silver

(one or more)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an inputted character belongs" display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 buttons
The design of the character or the design of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is displayed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sign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Can be chang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는 ,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 또는 그 문자가 표시된 영역이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된 후에는 ,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text buttons on the keyboard,)

In the "above different text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one or more) characters belonging to a certain character system express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or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In the "above different text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After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that may (or be displayed) in a different de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4항에 있어서,
"다른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제1소정의 디자인과 제2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 복수의 소정의 디자인 중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 May be (or displayed) in a different design "
silver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signs including the first predetermined desig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 derived by the predetermined rule
May be displayed (or displayed) with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15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인
“상기 "상기 서로 다른 문자입력방법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May be displayed (or displayed) with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silver

any on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esigns.
“Among the above different character input methods,
Among the second predetermined text input methods including one or more text input methods derived by a predetermined rule,
Before any one character input method is performed,
“Can be displayed (or displayed) by the design of the area in which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character system to which the inputted character belongs” were displayed
sign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제8항에 있어서,
특정의 문자입력방법이란
탭 방법 또는
탭 방법이면서도 터치되어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예:0.5초) 이하가 되도록 탭(=짧게 탭)하는 방법인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at is a specific character input method?
tap method or
Although it is a tap method, it is a method of tapping (=short tap) so that the touched stat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eg 0.5 seconds).
How the keyboard system works.
KR1020200122622A 2020-07-01 2020-09-22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22003948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22A KR20220039487A (en) 2020-09-22 2020-09-22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PCT/KR2021/008389 WO2022005238A1 (en) 2020-07-01 2021-07-01 Character inpu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22A KR20220039487A (en) 2020-09-22 2020-09-22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487A true KR20220039487A (en) 2022-03-29

Family

ID=8099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22A KR20220039487A (en) 2020-07-01 2020-09-22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4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7719C2 (en) Method for operation of fast writing system and fast writing device
US58898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US20060055669A1 (en) Fluent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on touch-sensitive display
KR20050119112A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JP4462120B2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302498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Keyboard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US2016012463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action method for the same
JP2019532428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210030908A (en) The method of changing the text of specific group which is allocatwd in button
TWI475405B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EP3308248B1 (en) Pan-zoom entry of text
KR102322211B1 (en)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090035409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220039487A (en)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220039486A (en)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220118013A (en)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150131662A (en) Enlarging the condition of combination of characters when inputting text
KR20160014329A (en) UI of keyboard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cell phone
KR20230005716A (en) 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US20230044217A1 (en) Text input apparatus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526215B2 (en) Reducing keystrokes require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Indic languages
KR20210015736A (en) Enlarging the condition of combination of characters when inputting text
KR20210012993A (en) The method of noticing alphabet which has been inputted shortly before now when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KR20210041543A (en) UI of keyboard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cell 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