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337A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337A
KR20220039337A KR1020200122351A KR20200122351A KR20220039337A KR 20220039337 A KR20220039337 A KR 20220039337A KR 1020200122351 A KR1020200122351 A KR 1020200122351A KR 20200122351 A KR20200122351 A KR 20200122351A KR 20220039337 A KR20220039337 A KR 2022003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odular
chair
reinforcement
ba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8759B1 (en
Inventor
이학섭
조준구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59B1/en
Publication of KR2022003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The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S100) arranging a lower rebar (100); (S200) placing a founda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0) in an upper part of the arranged lower rebar (100) by using a crane (C); (S300) install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by using the crane (C); (S400) arranging an upper rebar (400) in an upp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s (300); and (S500) forming a foundation by placing concrete. Thus,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0) and the modular bar chairs (300) are prefabricated in a factory and transported in an integrated state, and then, the components are assembled to be constructed in a site through a cran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ducing output personnel and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n comparison to an existing onsite construction scheme, which can lead to a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s.

Description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본 발명은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철근의 상부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 보강재 및 모듈형 바체어를 배치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in which a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a modular bar chair are disposed on top of a lower reinforcing bar using a crane.

건축 구조물의 기초 공사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구조물의 자체 무게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밑바닥을 단단히 안정시키는 공사로서, 프로젝트의 전체 공기에서 매우 중요한 주공정(Critical path)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초의 단순화 및 부재의 선 조립을 통한 공사기간의 단축이 기초공사에서의 핵심적인 과제에 해당한다.The foundation work of a building structure is a work that firmly stabilizes the bottom of the structure so that it can safely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or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herefore, the simplification of the foundation and the reduc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through the pre-assembly of members correspond to the core tasks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건축 구조물의 기초는 크게 전면기초(Mat foundation or Raft foundation)와 독립기초(Independent footing or Individual footing)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대형 건축물의 전면기초는 규모가 매우 크고, 콘크리트는 타설 후 2시간 이내에 경화가 시작되므로, 전면 기초 시공 시 콘크리트를 한번에 타설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당일 타설 가능한 콘크리트 물량을 계산하고, 타설 구역을 구획한 다음 구역별로 분리하여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foundation of a building structu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mat foundation or raft foundation and an independent footing or individual footing. is started, so it is realistically impossible to pour concrete at once when constructing the front foundation. Therefore, in the field, it is common to calculate the amount of concrete that can be poured on the same day, divide the pouring area, and then pour it separately by area.

이때 콘크리트의 분리 타설을 위해서는 구획된 구역을 따라 미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이후, 다시 거푸집을 제거하고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일반 거푸집의 설치는 자재반입, 적재, 조립설치, 탈형, 자재반출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는 노동집약적 공정으로, 다수의 출력인원이 필요하며, 협소한 작업공간에서의 안전 및 간섭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전체 기초 면적이 큰 현장의 경우, 이를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등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이 같은 방식은 시공이음이 많이 발생하고, 하나의 구역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면에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separate pouring of concrete, the formwork is installed in advance along the partitioned area, and after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the formwork is removed and carried out again.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of general formwork is a labor-intensive process that goe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material loading, loading, assembly installation, demolding, and material unloading. occurs frequent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ite with a large total foundation area, thi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The constructability is improved by dividing it into a number of zones, such as, but this method causes a lot of construction joints, and in many cases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formwork on at least two or more sides in one area, so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form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takes a lot.

또한, 기초에는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에 결속되는 전단보강근을 추가적으로 배근하여 펀칭 전단 보강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전단보강근의 배근 공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될 수밖에 없어 시공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어렵다.In addition, punching shear reinforcement is performed by additionally reinforcing shear reinforcing bars bound to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in the founda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homogeneity of construction because it is dependent on the skill level of

이외에도, 하부철근의 상부에는 체어리바, 바체어 또는 스페이서 등으로 불리는 철근 받침 구조물을 설치하여 하부철근과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부에 상부철근(Top Rebar)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을 형성하는데, 이때 철근 받침 구조물은, 설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도중 부재의 좌굴이 쉽게 발생하여 설계 의도대로 지지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하부 철근 위의 협소한 시공 현장에 한번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므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이한 제작 및 설치 과정을 가지며, 안정성 또한 충분히 확보되는 철근 받침 구조물이 요구되어 왔다.In addition, a reinforcing bar support structure called a chair bar, bar chair or spac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and the top rebar is placed on the upp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wer reinforcing bar by a certain distance, and the foundation is established by pouring concrete.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 support structure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install, and buckling of the member occurs easily during work, so it is often not possible to support the structure as designed. There is a problem that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because of this input.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reinforcing bar support structure that has a simpl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process and that has sufficient stability.

결국 전면 기초의 시공은 전체 기초 면적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역에서 거푸집 설치, 전단 보강근 배근, 개별 바체어 설치 및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탈형 등의 일련의 공정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하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의 시공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In the end, the construction of the front foundation divides the entire foundation area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in each zone,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formwork installation, shear reinforcement, individual bar chair installation, and concrete pouring followed by demolding of the formwork are performed. There is a need for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s much as possible and secure stabilit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형 구조물의 매트기초 시공 시, 공장에서 제작된 기초 보강재 및 모듈형 바체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일체로 운반하고 현장에서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출력인원 및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constructing a mat foundation for a large structure, the factory-manufactured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modular bar chair are integrally transported using a crane and installed at the site to ensure worker safety. It is an object of the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that secures and dramatically reduces the number of output personnel and construction perio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M)은, 하부철근(100)을 배근하는 단계(S100); 상기 배근된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기초 보강재(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 복수개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크레인(C)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0);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의 상부에 상부철근(400)을 배근하는 단계(S400);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ruction method (M)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inforc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100); Plac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using a crane (C)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d lower reinforcing bar 100 (S200); Install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300 using a crane (C) (S300); Reinforc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400 on the upp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S400); and pouring concrete to form a foundation (S500).

또한, 모듈형 바체어(300) 설치 단계(S300)는, 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연속 배치하여 제1 모듈형 바체어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S310); 및 상기 제1 바체어 라인과 나란하게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연속 배치하여 모듈형 바체어 라인을 복수로 형성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bar chair 300 installation step (S300) includes: forming a first modular bar chair line by continuously arrang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along one direction (S310); and form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lines by continuously dispos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r chair line (S320).

또한,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 라인 중 일측 외곽에 위치하는 모듈형 바체어 라인에는 외측에 거푸집(350)이 결합된 모듈형 바체어(300)를 설치하여 구역별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bar chair lin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lines may be constructed by zone by install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coupled with the form 350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하부철근(100) 배근 단계(S100) 이전에, 전체 기초 면적에 해당하는 지층을 오픈 컷(open cut)공법으로 굴착하여 굴착 단면이 안정 경사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굴착 단계(S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reinforcement step (S100), an excavation step (S000) of excavating the str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foundation area by an open cut method so that the excavation section maintains a stable slope; may include more.

또한, 상기 기초 보강재(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는,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받침 가이드(230)를 구비하는 단계(S210); 및 상기 배근된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210)를 상기 받침 가이드(230)의 상부에 구비하여 정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rranging the base reinforcement 200 (S200), the step of providing a support guide 23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illar (S210); And a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d lower reinforcing bar 100 by using a crane C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guide 230 to position It may include; and at the same time placing it on the floor and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220).

또한,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의 이음용 수직 철근(221)의 하단에 기계식 정착구(224)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mechanical anchorage 22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21 for joints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

또한,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 설치 단계(S300)는, 모듈형 바체어(300)의 하부에 구비된 간섭방지구(360)의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320); 및 상기 하부철근(1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를 배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bar chair 300 installation step (S300) includes the steps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S320); and dispos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330).

또한, 상기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 조절 단계(S320) 이전에,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를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가 배치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adjustment step (S320), the step of temporarily dispos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310);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320)는,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너트몸체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 조절바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21); 및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이동 가이드편(363)에 가이드되는 너트몸체(3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S320), the step of moving the height adjustment bar screwed to the nut body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n the vertical direction (S321) ; and moving the nut body 361 guided by the movement guide piece 363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322).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기초 보강재, 모듈형 바체어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하고 일체로 운반한 후, 현장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종래의 현장 시공방식에 비해 출력인원을 감소시키고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공사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s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the modular bar chair at the factory, transports them in one piece, and then constructs it in a prefabricated manner using a crane at the si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ield constru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ople and dramatical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us the construction cost can also be reduced.

또한, 본 발명과 같이 공장 제작 후 현장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매트기초 시공방법은, 종래의 현장 시공방식에 비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시공 품질과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consisting of on-site assembly type after factory produc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lower the risk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site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ant construction without being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I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quality and speed.

구체적으로는 오픈 컷 공법으로 기초부를 터파기 한 후, 전체 기초 면적을 일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시간차 분리 타설로 발생하는 시공이음을 최소화하여 지하수의 건물 내 유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by dividing the entire foundation area in one direction after excavating the foundation with the open cut method,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formwork can be reduced, and the inflow of groundwater into the building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construction joint caused by the time lag separate pouring. can be reduced

또한, 바체어와 거푸집을 일체로 형성한 모듈형 바체어를 각 구역의 최외측에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거푸집 설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특히 거푸집을 리브라스로 형성하는 경우, 거푸집의 제거 및 반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리브라스를 통해 잉여수를 배출하여 콘크리트를 고강도로 유지하고, 매트기초의 시공 조인트로 이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modular bar chair in which the bar chair and the formwork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of each zone, a separate formwork installation process becomes unnecessary. The process can be omitted, and the surplus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ribs to keep the concrete with high strength,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 construction joint of a mat foundation.

기초 보강재의 경우,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를 직립된 상태로 결합하여 격자형 구조의 전단 보강체를 형성하고, 상기 전단 보강체의 공간부에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을 조립하여 형성된 수직 철근 조립체를 일체로 결합한 기초보강재를 현장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배치함으로써, 시공 효율이 향상되고, 공기단축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In the case of a basic reinforcement,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are combined in an upright state to form a lattice-shaped shear reinforcement,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assembly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for joints in the space of the shear reinforcement is integrated. By arrang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combined with a crane in the field using a crane, the constr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brought.

이 외에도 이음용 수직 철근의 하단에는 기계식 정착구가 결합되어 전단 보강체의 거치 후에 수평 철근을 결속할 수 있고,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닥의 상부에 받침가이드를 구비하고, 수직 철근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를 상기 받침 가이드의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전단 보강체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켜 하부철근과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 mechanical anchorage is combin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for joints to bi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fter the shear reinforcement is mounted, and a supporting guid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olumn,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is integrated The combined shear reinforcement body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guide to guide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to the correct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t a certain distance to solve the interferenc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또한, 바체어 하부에도 간섭방지구를 추가로 구비하여, 미리 시공된 하부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모듈형 바체어의 전체의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r chai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pre-constructed lower reinforcing bar and to improve the overall workability of the modular bar chair.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따른 시공현장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전체 기초면적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기초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 보강재를 배치하는 현장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 철근 조립체에 기계식 정착구를 조립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초 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가이드를 매개로 수직 철근 조립체를 정위치에 배치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8a 및 8b은 본 발명의 모듈형 바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모듈형 바체어를 배치하는 현장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간섭방지구를 도시한 도면.
Figures 1a, 1b and 1c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ime series.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base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Figures 4a and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showing a site for arrang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using a crane.
Figure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assembling a mechanical anchorage i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plac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in place through the suppor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dular bar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showing a site for arranging the modular bar chair using a cran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r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n anti-interfere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Hereinafter, before describing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 시공방법(M)의 시계열적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a to 1c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ime series sequence of the prefabricated mat based system construction method (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M)은, 하부철근(100)을 배근하는 단계(S100); 상기 배근된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기초 보강재를 배치하는 단계(S200); 복수개의 모듈형 바체어를 크레인(C)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0); 상기 모듈형 바체어의 상부에 상부철근(400)을 배근하는 단계(S400); 및 콘크리트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시공방법(M)을 이용한 매트기초 시공에서는, 공장에서 제작된 기초 보강재 및 모듈형 바체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일체로 운반하고 현장에서 설치함으로써 출력인원 및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시공방법(M)의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a, the construction method (M)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inforc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100); Placing a foundation reinforcement by using a crane (C)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d lower reinforcing bar 100 (S200); Install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using a crane (C) (S300); Reinforc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400 on the upp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S400); and pouring concrete to form a foundation (S500). As such, in the mat foundation construction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M), the number of output personnel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transport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the modular bar chair manufactured in the factory together using a crane and installing it on the site. This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Hereinafter, each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M)은 상기 하부철근(100) 배근 단계(S100) 이전에, 전체 기초 면적에 해당하는 지층을 오픈 컷(open cut)공법으로 굴착하여 굴착 단면이 안정 경사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굴착 단계(S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onstruction method (M)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avated by excavating the stratum corresponding to the entire foundation area by an open cut method before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reinforcement step (S100). It may further include; an excavation step (S000) to maintain this stable slope.

지층 굴착 단계(S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해당하는 면적의 지층을 굴착하는 터파기 공사를 의미한다. 기초의 면적이나 높이, 흙의 성질이나 형상 등에 따라 어스앵커 공법, 아일랜드 컷 공법, 트렌치컷 공법 등으로 터파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넓은 지역을 얕게 터파기하는 경우 흙막이를 설치하지 않고 흙의 안식각을 고려하여 안정 구배인 사면이 유지되도록 지반을 굴착하는 오픈 컷(open cut) 공법으로 굴착할 수 있다. 오픈 컷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공사비가 저렴하고, 거푸집을 없이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The stratum excavation step (S000) refers to excavation work of excavating the stratum of the corresponding area to form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2 . Depending on the area or height of the foundation, the nature or shape of the soil, etc., the earth anchor method, island cut method, trench cut method, etc. can be used to dig. Considering that, it can be excavated using the open cut method, which excavates the ground so that the slope, which is a stable gradient, is maintained. When the open cut method is applied,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ecause concrete can be poured directly without a formwork.

지층 굴착 단계(S000) 이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기초 면적을 콘크리트의 1일 타설 물량을 고려하여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구역별로 거푸집 설치, 배근, 콘크리트의 분리 타설을 수행한다. After the geological excavation step (S000), as shown in FIG. 3, the entire found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consideration of the daily pouring amount of concrete, and formwork installation, reinforcement, and separate pouring of concrete are performed for each zone. .

이 때 구획 방식은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형태가 아닌,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형태로 전체 기초면적을 일방향으로만 구획하여, 거푸집 필요면적을 감소시켜 출력인원 및 공사기간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이음을 최소화하여 기초 시공 후 지하수가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vision method is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not form,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By dividing the entire foundation area in one direction only, the number of people to outpu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area required for the formwork.

또한, 지층 굴착 단계(S000) 이후, 굴착된 지층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공사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버림 콘크리트 타설은 전체 기초면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ratum excavation step (S000), by pouring the discarded concrete to the excavated stratu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ability of the foundation construction, and the discarded concrete pouring can be performed for the entire foundation surface.

하부철근(100)을 배근하는 단계(S100)는,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기초의 하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공정이며, 철근 롤매트를 시공하는 경우 철근을 반입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일반적인 배근 방식에 비해, 출력인원을 감소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균일한 간격으로 배근이 가능하여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철근 롤매트 시공은 후술할 상부철근(400) 배근 단계(S40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S100) of reinforc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is a process of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in the lower part of the foundation to reinforce the tensile force.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ople outputting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because it is possible to arrange reinforcement at uniform intervals. Rebar roll mat constru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in the upper reinforcing bar 400 reinforcement step (S40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도 1b,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기초 보강재(200) 및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기초 보강재(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b, 4a and 4b, the step (S200) of arrang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and the lower reinforcemen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b는 기초 보강재(200) 배치단계(S200)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a는 기초 보강재(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초 보강재를 배치하는 현장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arrangement step (S200) in time series,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material 200, Figure 4b is a site for arrang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material using a crane is a diagram showing

먼저, 기초 보강재(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보강체(210)와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First, the base reinforcement 200 is formed by integrally combining the shear reinforcement 210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assembly 220 as shown in FIG. 4A .

전단 보강체(210)는 복수의 보강플레이트(211)가 직립된 상태로 결합되어 격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플레이트(211)는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보강플레이트(211)가 상호 결합하여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보강플레이트(211)가 구비되고, 제1 방향과 직각된 제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보강플레이트(2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단 보강체(210)의 상부로 인가되는 하중이 외측 사방으로 분산되어 지지력 및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lates 211 are coupled in an upright state to form a lattice structure, and the reinforcement plate 211 is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lates 211 having different directions coupled to each other. Thus, it can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For exampl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211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211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provided, As a result,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is distributed to the outside in all directions, so that the bearing capacity and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 때, 방향을 달리하는 보강플레이트(211)가 겹쳐지는 부분은 용접이나 덧댐 플레이트에 의한 볼팅 결합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보강플레이트(211)를 형성함에 있어도 복수의 플레이트를 덧댐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211)에는 법선 방향으로 복수의 스터드 볼트(216)가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reinforcing plates 211 in different directions are coupled by welding or bolting by a backing plate, and even when forming one reinforcing plate 211 , a plurality of plates are added to the backing plate. can be combined using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ud bolts 216 are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211 in a normal direction to reinforce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to be poured.

나아가, 상기 전단 보강체(210)를 형성하는 각각의 보강플레이트(21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정착 플랜지(213)를 결합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봉(214)을 구비하여 양 단부가 상기 정착 플랜지(213)에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보강플레이트(211)의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아치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개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단 보강체(210)의 상부에 인가되는 하중은 보강 플레이트(211)의 아치형 구조를 따라 하방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단 보강체(210)의 외측으로 작용되는 변형하중은 상기 강봉(214)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구조적으로 우수한 전단 보강체(210)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fixing flanges 213 are coupl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reinforcing plates 211 forming the shear reinforcement 210 , and the steel bars 214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211 . It may be provided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xing flange 213 . In addition, an opening 215 convex toward the center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reinforcing plate 211 to form an arcuate structure as a whole. Accordingly,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can be transmitted downward along the arcuate structure of the reinforcement plate 211, and at the same time, the deformation load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is the steel bar ( 214),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ally excellent shear reinforcement 210.

본 발명의 기초 보강재(200)는, 보강플레이트(211)를 이용하여 전단 보강체(2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심에 공간부(212)를 마련하고,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21)이 조립 형성된 수직 철근 조립체(220)를 상기 공간부(212)에 구비한 상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이음용 수직 철근이 일체화된 기초 보강재(200)를 현장에서 크레인(C)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이음용 수직 철근을 배근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기초 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키고 출력인원을 절감하여 기초 공사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단 보강체(210)와 공간부(212)에 배치된 수직 철근 조립체(220)는 직접 용접이나 볼팅 결합으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수직 철근 조립체(22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base reinforcem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portion 212 is provided in the center in forming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using the reinforcement plate 21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bars 221 for joints are assembled. The formed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may be integrally coupled while being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212 . As a result, construction can be accomplished only by arrang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in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for joints are integrated at the site using a crane (C), and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for joints can be omitted. 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number of output personnel,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foundation construction.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disposed in the space 212 may be integrated by direct welding or bolting,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는 기둥 단면에 대응는 형상의 타이 프레임(222)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21)이 결속될 수 있다. 상기 타이 프레임(222)의 규격은 기둥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음용 수직 철근(221)의 외측으로 적정피복 두께가 확보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221 for joints along the tie frame 22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The standard of the tie frame 222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an appropriate coating thickness is secur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21 for joints in forming the column.

상기 타이 프레임(222)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이음용 수직 철근(221)이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타이 프레임(222)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이음용 수직철근(221)을 구비하고 결합 고정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 프레임(222)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어 견고한 일체화를 꾀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인접된 타이 프레임(222)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23)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221 for joints are coupled by wel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e frame 222, or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221 for splicing are provided and fixed to pass through the tie frame 222. can be produced At this time, the tie frame 222 is formed in plural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chieve solid integration, and as shown in FIG. 5 , the vertical frame 223 is additionally coupled between the vertically adjacent tie frames 222 . can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용 수직 철근(221)의 하단에는 기계식 정착구(224)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계식 정착구(224)는 확대머리 철근이라 지칭되는 원뿔대형 정착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C)을 이용한 배치 이전에 미리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개별 이음용 수직 철근(21)에 상기 기계식 정착구(24)를 결합함으로써,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철근(100)과 이음용 수직 철근(221)간의 간섭을 해소하여 시공 효율을 꾀함은 물론 배치 이후에는 충분한 정착 길이가 확보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mechanical anchorage 224 may be assemb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21 for the joint. The mechanical anchorage 224 is preferably a truncated cone-shaped anchorage referred to as an enlarged head reinforcing bar. That is, by combining the mechanical anchorage 24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1 for individual joints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0 in advance prior to placement using the crane (C), the lower reinforcing bars 100 and By resolv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21 for joints, construction efficiency is achieved, and a sufficient anchorage length is ensured after arrangement.

받침 가이드(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닥의 상부에 미리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210)를 상기 받침 가이드(230)의 상부에 거치함으로써 상기 전단 보강체(2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 가이드(230)에 의하여 전단 보강체(21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므로 하부철근(100)과의 간섭도 해소할 수 있다.The support guide 230 is provided in advance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illar as shown in FIG. By moun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230),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can be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since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upport guide 230,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and interference can also be eliminated.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가이드(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가이드 공(231a)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231)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에는 상기 가이드 공(2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22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받침 가이드(230)를 구비하면, 크레인(C)을 이용하여 전단 보강체(21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수직 철근 조립체(220)의 가이드 핀(225)을 유도부재(231)를 매개로 가이드 공(231a)에 삽입시킴으로써 중량의 기초 보강재(200)를 오차범위 이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A support guide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231 having a guide ball 231a formed thereon as shown in FIG. 7 ,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ncludes the guide ball ( 231a), a plurality of guide pins 22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hat is, if the support guide 23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illar, the guide pin 225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ntegrated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using the crane (C). By inserting the guide member 231 into the guide ball 231a through the medium, the weight of the base reinforcement 200 can be stab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in the error range.

이때, 상기 유도부재(231)의 내주면은 가이드 공(231a)을 향하여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함으로써 인력에 의한 보조 없이 크레인(C)을 이용한 배치만으로도 가이드 핀(225)이 유도부재(231)의 내주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가이드 공(231a)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인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생략하고, 시공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31 is formed to have a tapered cross-section that is inclined inwardly downward toward the guide hole 231a, so that the guide pin 225 is only arranged using a crane C without assistance by manpower. Since it can be natural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31a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31, unnecessary consumption of manpower can be omitted, and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크레인(C) 시공이 가능한 철근 일체화 기초 보강재(200)는 하부철근(100) 이후에 받침 가이드(230)를 배치할 수도 있으나, 받침 가이드(230)를 배치한 이후에 하부철근(10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시공 효율을 위하여 받침 가이드(230)의 위치에는 하부철근(100)을 생략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inforcing bar integrated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capable of crane (C)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guide 230 may be disposed after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 but after disposing the supporting guide 230 , the lower reinforcing ba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100). Howev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is omitted 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guide 230 for construction efficiency is also possible.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에는 상기 전단 보강체(21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 철근 조립체를 추가적으로 결속하여 크레인(C)을 바탕으로 수직 철근 조립체(220) 및 하부 철근 조립체가 일체화된 전단 보강체(210)를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 철근 조립체도 추가적으로 결속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is cas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assembly are integrated based on the crane C by additionally bind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assembl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ear reinforcement 210 . A shear reinforcement 210 may be disposed.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bind the upper reinforcing bar assembly.

상기 하부 철근 조립체(240) 및 상부 철근 조립체(250)를 일체화하는 경우 배근과정에서 이 부분을 제외하고 배근이 가능한 바, 기초 보강재(200)와의 간섭 없이 손쉽게 배근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발휘된다.When the lower reinforcing bar assembly 240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assembly 250 are integrated, reinforcement is possible except for this part in the reinforcement process, so the advantage of easy reinforcement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is exhibited.

상기 기초 보강재(200)는 이처럼 전단 보강체(210)와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서, 기둥이 위치하는 곳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전단 보강근을 현장에서 조립, 배근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시공 효율의 향상, 공기 단축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may be disposed using a crane (C) where the column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hear reinforcement 210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are integr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ear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fiel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assembling and arranging, it can bring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construction efficiency, shortening of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reduction.

이하 각 기초 보강재(200)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210) 및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210)는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바닥에 받침 가이드(23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받침 가이드(230)는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210)를 정위치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each base reinforcement 200 in detail, as shown in FIG. 1B , it may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support guide ( S210 ) and a step of arranging a shear reinforcement ( S220 ). The step of providing the support guide ( S210 ) is a step of providing the support guide 230 on the floo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illar. The support guide 230 serves to guide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o space it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받침 가이드 구비단계(S210)는 하부철근(100)을 배근한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받침 가이드(230)가 구비된 이후에 하부철근(100) 배근 단계가 진행될 수도 있다.The supporting guide providing step S210 may be performed after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is reinforced, but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reinforcing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supporting guide 230 is provided.

한편, 상기 받침 가이드(230)는 상부에 가이드 공(231a)이 형성된 복수의 유도부재(231)가 구비되어 후술할 수직 철근 조립체(220)의 가이드 핀(225)이 상기 유도부재(231)의 가이드 공(231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231)의 내주면은 가이드 공(231a)을 향하여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225)이 유도부재(231)의 내주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가이드공(231a)으로 삽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guide 2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231 having guide balls 231a formed thereon, so that the guide pins 225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on the guide members 231 of the guide pin 225 . It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ball (231a). 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31 is formed to have a tapered cross sec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ly inward toward the guide hole 231a, so that the guide pin 225 naturally rid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31 and guides the guide hole. (231a) can be inserted.

상기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20)는,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210)를 받침 가이드(230)의 상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단 보강체(210)를 정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켜 하부철근(100)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In the shear reinforcement arrangement step (S220),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s integrally couple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guide 230 using a crane C to reinforce the shear. Interferenc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can be avoided by disposing the sieve 210 in the correct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certain distan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에는 상기 가이드 공(2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핀(22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크레인(C)을 이용하여 전단 보강체(210)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된 수직 철근 조립체(220)의 가이드 핀(225)을 유도부재(231)를 매개로 가이드 공(231a)에 삽입시킴으로써 중량의 기초 보강재(200)를 오차범위 이내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guide pins 22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ball 231a i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shear reinforcement using a crane C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sieve 210, by inserting the guide pin 225 of the integrated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nto the guide ball 231a via the guide member 231, the weight of the base reinforcement 200 is within the error range. It can be stab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in.

한편, 상기 전단 보강체 배치단계(S220) 이전에 미리 수직 철근 조립체(20)의 개별 이음용 수직 철근(21)에 기계식 정착구(24)를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정착 길이가 확보되도록 한다. 이로써, 시공 과정에서는 바닥의 상부에 배근된 하부 철근(BR)과 이음용 수직 철근(21)간의 간섭을 해소하여 시공 효율을 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coupling the mechanical anchorage 24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1 for individual joints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0 in advance before the shear reinforcement arrangement step (S220), a sufficient anchorage length is ensured. Accordingly,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ower reinforcing bar (BR)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1) for joint use can be eliminated to achieve construction efficiency.

다음으로 도 1c, 8a 및 8b를 참조하여, 모듈형 바체어(300) 및 복수개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크레인(C)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c, 8a and 8b, the step of install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and the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using the crane C (S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c는 모듈형 바체어 설치 단계(S300)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a는 모듈형 바체어(3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모듈형 바체어(300)를 배치하는 현장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c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dular bar chair installation step (S300) in time series,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Figure 8b is a lower reinforcing bar 100 using a crane It is a view showing a site for plac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on the upper part of the.

먼저 모듈형 바체어(300)는 공장에서 선 조립되어 일체로 운반되고 설치되는 것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바체어(310a), 복수개의 제2 바체어(310b) 및 수평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modular bar chair 300 is pre-assembled at a factory, transported and installed integrally, and as shown in FIG. 8A , a plurality of first bar chairs 310a, a plurality of second bar chairs 310b and a horizontal material (320).

바체어(310a,310b)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부재는 바람직하게는 4개의 L형강이 이격된 채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들의 수직 좌굴을 방지하고, 수직부재들을 연결하는 수평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는 수직부재와의 절점에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bar chairs 310a and 310b may include at least three or more vertical members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s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vertical member may be preferab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our L-shaped steels spaced apart. In addition, a horizontal member for preventing vertical buckling of the vertical members and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horizontal member may be coupled by welding at a node with the vertical member.

또한, 상기 바체어(310a,310b)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만나는 절점의 대각선 방향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만나는 또 다른 절점을 잇는 가새를 배치하여 용접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osing a brace connecting another node where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meet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node where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meet of the bar chairs 310a and 310b, they can be welded.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체어(310a,310b)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바체어(310a) 또는 제2 바체어(310b)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복수개의 제1 바체어(310a)들이 종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바체어(310a)의 횡방향 측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바체어(3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2 바체어(310b)들이 배치되며, 수평재(320)가 상기 제1 바체어(310a) 또는 제2 바체어(310b)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바체어(310a) 및 제2 바체어(310b)를 수평으로 상호 결합한다.As shown in FIG. 8A , the bar chairs 310a and 310b may be divided into a first bar chair 310a or a second bar chair 310b according to their arrangement positions. First, a plurality of first bar chairs 310a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ateral side of the first bar chair 310a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r chairs 310a. A plurality of second bar chairs 310b are disposed, and a horizontal member 320 is adjacent to the first bar chair 310a or the second bar chair 310b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ar chair 310b is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제1 바체어(310a)와 제2 바체어(310b)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듈형 바체어(300)가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의 평면상 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the first bar chair 310a and the second bar chair 310b, but preferably the modular bar chair 300 is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It may be provided so as to form a rectangular shape on the plane of.

수평재(320)는 제1 바체어(310a)와 인접하는 제1 바체어(310a), 제1 바체어(310a)와 인접하는 제2 바체어(310b) 또는 제2 바체어(310b)와 인접하는 제2 바체어(310b)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부재이다.The horizontal member 320 is adjacent to the first bar chair 310a adjacent to the first bar chair 310a, the second bar chair 310b adjacent to the first bar chair 310a, or the second bar chair 310b adjacent to the first bar chair 310a. It is a member for coupling the second bar chair 310b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수평재(320)는 바람직하게는 형강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바체어의 상하부 동일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후, 모듈형 바체어(300)의 외측방향에서 바체어의 수직부재에 각각 태그 용접되어 바체어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수평재(320)는 수평 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하는 역할 뿐 아니라, 복수개의 제1,2 바체어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The horizontal member 320 may preferably be selected as a section steel, and after being provided on the sam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djacent bar chair, each tag is welded to the vertical member of the bar chair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 The bar chair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such, the horizontal member 320 not only serves to additionally secure horizontal support, but also connect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ar chairs to form one modular bar chair 300 .

상기와 같은 모듈형 바체어(300)는, 현장에서 개개의 바체어 및 수평재(320)가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바체어(310a) 및 제2 바체어(310b)를 배치하고, 바체어 사이에 수평재(320)를 결합함으로써 선 조립상태로 모듈을 이루게 되며, 모듈형 바체어(300)를 현장으로 일체 운반하고, 크레인(C)을 이용하여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출력인원 및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 위험도가 높은 체어리바 설치 공정을 크레인(C)을 이용한 모듈형 바체어(300) 설치로 대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modular bar chair 300 as described above is pre-fabricated in a factory rather than assembled on-site with individual bar chairs and horizontal members 320, the first bar chair 310a and the second bar chair 310b By placing and combining the horizontal member 320 between the bar chairs to form a module in a pre-assembled state, by integrally transport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to the site and installing it integrally using a crane (C), It will be possible to dramatically reduce the number of people printing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n particular, by replacing the chair bar installation process, which has a high work risk,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using a crane (C),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and sufficiently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s.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바체어(300)는 제1 바체어(310a) 또는 제2 바체어(310b)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바체어(310a) 및 제2 바체어(310b)를 대각선으로 결합하는 가새(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 the modular bar chai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r chair 310a or a first bar chair 310a adjacent to the first bar chair 310a or the second bar chair 310b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may include a brace 330 for diagonally coupling the second bar chair 310b.

가새(330)는 하나의 바체어의 수직부재 상부 및 하부에서, 인접하는 바체어의 수직부재 하부 및 상부로 배치되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태그 용접되어, 상기 수평재(320)와 동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바체어 및 수평재(320)에 가새(330)를 더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모듈형 바체어(300)에 가해지는 수직 및 수평 지지력이 더욱 강화되고 수직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모듈형 바체어(300)가 기초 상부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Bracing 33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member of one bar chair,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adjacent vertical member of the bar chair, and is tag welded to form an X-shape, to be installed on the same plane as the horizontal member 320 . can As such, by adding and installing a brace 330 to the bar chair and the horizontal member 320,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 forces applied to the modular bar chair 300 are further strengthened, and vertical bucklin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modular bar chair (300) makes it possible to more stably support the upper basal muscle.

다음으로 도 8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바체어(310a) 상부는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받침멍에(340a)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바체어(310b) 상부는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받침멍에(340b)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2 받침멍에는 ㄷ형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체어의 상단 중앙에서 용접 또는 볼팅 결합 되어, 복수의 바체어들을 연결하며, 기초 상부근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Next, referring to FIG. 8A ,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bar chairs 310a are coupled by a first support yoke 340a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r chairs 310b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coupled by the second support yoke (340b)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may be provided with a C-shaped steel, and are welded or bol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ar chair to connect a plurality of bar chairs and serve to support the upper base of the base.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간섭방지구(3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은 바체어에 간섭방지구(360)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는 간섭방지구(360)의 사시도이며, 도 10b는 간섭방지구(360)의 너트몸체(361), 높이 조절바(362) 및 브라켓(364)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c는 간섭방지구(360)의 정면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s provided in the bar chair,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and FIG. 10b is the nut body 361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bar 362 and the bracket 364 are coupled, and FIG. 10c is a front view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바체어(300)는, 너트몸체(361), 높이 조절바(362), 이동 가이드편(63)으로 구성되는 간섭방지구(360)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dular bar chai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nti-interference device 360 comprising a nut body 361 , a height adjustment bar 362 , and a movement guide piece 63 .

모듈형 바체어(300)는 복수개의 바체어를 포함하고 있어, 설치과정에서 기 시공된 하부철근(100)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버림 콘크리트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모듈형 바체어(300)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아 전체 구조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바체어(300)는 간섭방지구(360)를 구비하여 하부철근(100)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모듈형 바체어(300)가 하부철근(100) 위에 안착되도록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modular bar chair 300 includes a plurality of bar chairs, interference with the previously installed lower reinforcing bar 100 may occur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if the height of the discarded concrete is not constant, the modular bar chair (300) is not seated correctly, a problem may occur in the overall structural stability. Therefore, the modular bar chai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 and to allow the modular bar chair 300 to be seated on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can be adjusted.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구성에 대해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너트몸체(361)는 중공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 몸체에는 나선형 철근으로 제작되는 높이 조절바(362)가 나사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바(362)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바체어의 하부로 돌출함으로써, 모듈형 바체어(300)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하부철근(10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의 버림 콘크리트 층이 불균일한 경우에도 높이를 조절하여 전체 구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C , the nut body 361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and the nut body has a height adjustment bar made of spiral reinforcing bars. 36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screwed. That is, by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bar 362 and protru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bar chair,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odular bar chair 300 is seated, and discard the lower part. Even when the concrete layer is uneven, the entire structure can be stably supported by adjusting the height.

너트몸체(361)는 상부바디(361a)와 하부바디로 형성되어 선택적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한 철근 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바디(361a)(361b) 사이에 이동 가이드편(363)이 구비되어 너트몸체(361)의 선택적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The nut body 361 is formed of an upper body 361a and a lower body, and may be composed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capable of selectively fastening and releasing, and a movement guide piece 363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361a and 361b. This may be provided to enable selective fastening and release of the nut body 361 .

또한, 이동 가이드편(363)은 C형 단면부재의 플랜지가 상부를 향하고 개방부위가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제1 바체어(310a) 및 제2 바체어(310b)의 하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너트몸체(36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 가이드편(363)의 플랜지에는 장홀 형태의 레일 공(363a)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guide piece 363 has the flange of the C-shaped cross-section member facing the upper part and the open pa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is coup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r chair 310a and the second bar chair 310b and the nut The body 361 may be guided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 this purpose, a rail ball 363a in the form of a long hole may be provided on the flange of the movement guide piece 363 .

이동 가이드편(363)은 복수개의 바체어의 수직부재 중 직각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수직부재 사이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수직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바체어의 일측면으로 치우치지 않게 위치하고, 중앙부에서 바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하부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높이 조절바(362)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이동 가이드편(363)을 따라 이동하므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하부철근(100)과의 간섭을 동시에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vement guide piece 363 may be coupled between two vertical members adjac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of the bar chair, but preferably, as shown in FIG. 9 , between two vertical members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It is coupled to the bar chair so that it is not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bar chair, supports the bar chair stably in the central part, and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lower muscles. In particular, since the height adjustment bar 362 moves along the movement guide piece 363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imultaneously avoid interferenc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that is reinforc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크레인(C)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연속 배치하여 제1 모듈형 바체어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S310); 및 상기 제1 모듈형 바체어 라인과 나란하게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연속 배치하여 바체어 라인을 복수로 형성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듈형 바체어 라인은 구획된 구역의 면적에 따라 적절한 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초면적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모듈형 바체어(3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step (S300)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using a crane C is performed by continuously dispos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along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1C. 1 Forming a modular bar chair line (S310); and continuously dispos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in parallel with the first modular bar chair line to form a plurality of bar chair lines (S320). In this case, an appropriate number of modular bar chair line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partitioned area, and the modular bar chair 300 may b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ine dividing the base area into a plurality of zones.

한편,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 라인 중 일측 외곽에 위치하는 바체어 라인에는 외측에 거푸집(350)이 결합된 모듈형 바체어(300)를 설치하여 구역별 시공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B , a modular bar chair 300 with a mold 350 coupled to the outside is installed in a bar chair line located outside one side of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lines, so that construction by area is possible. Do.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바체어(300)는, 제1 바체어(310a) 또는 제2 바체어(310b)의 외측면에서 종방향으로 거푸집(35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의 분리 타설이 필요한 전면기초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모듈형 바체어(300) 와 거푸집(350)을 일체화하여, 바체어 내지 체어리바의 기능과 거푸집(350)의 기능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350) 설치에 소요되는 출력인원을 감소시키고, 공사기간 역시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8A and 8B , in the modular bar chai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work 350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r chair 310a or the second bar chair 310b. can be That is, in the process of front foundation construction that requires separate pouring of concrete, the necessary modular bar chair 300 and the form 350 are integrat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bar chair or chair bar and the function of the form 350 can be express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output personnel required to install the formwork 350, and great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특히, 거푸집(350)을 리브라스(Rib-Lath)로 형성하는 경우, 잉여수 배출로 인해 콘크리트를 고강도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푸집(350)을 설치한 후 이를 제거, 반출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이를 하기에서 설명 할 매트 기초의 시공 이음으로 이용함으로써, 전체 기초 공사기간에 큰 영향을 주는 거푸집 공정에 소요되는 기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리브라스 거푸집(350)은 시공 현장 외에서 모듈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형강을 이용하여 선조립된 프레임에 리브라스를 용접하여, 상기 제작한 모듈형 바체어(300)와 결합한 일체로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ormwork 350 is formed of Rib-Lath, the concrete can be maintained at high strength due to the discharge of surplus water, and the process of removing and carrying out the form 350 after installing it is omitted. And by using it as a construction joint of the mat found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eriod required for the formwork process, which greatly affects the entire foundation construction period, can be further shortened. The rib brass formwork 350 is manufactured in a modular form outside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rib brass is welded to the frame pre-assembled using a section steel, and is combined with the manufactured modular bar chair 300 and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as an integral part. can be installed.

상기 거푸집(350)의 일측에는 수팽창 지수재(351)가 종방향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대형건축물의 전면기초를 구획 별로 분리 타설하게 되는 과정에서는 구 콘크리트와 신 콘크리트 사이에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가 발생하게 되는데, 거푸집(350)의 일측에 지수재를 종방향으로 구비하여, 상기 시공이음을 통해 지하수가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351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ormwork 3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pouring the front foundation of a large building for each division, a construction joint is generated between the old concrete and the new concrete. The joint prevents groundwater from entering the building.

상기 지수재는, 20cm 폭을 갖는 고무재질의 지수판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팽창 지수재(351)(Swelling water stop)을 설치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또는 운송과정에서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팽창 지수재(351)를 제작단계부터 선조립 모듈형 바체어(300)에 일체화하는 경우, 현장에서 별도의 추가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the water stop material, it is common to install a rubber water stop plate having a width of 20 cm, but when the water expansion stop material 351 (Swelling water stop) is install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damaged during concrete pouring or transportation.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351 is integrated into the pre-assembled modular bar chair 300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additional operation can be omitted in the field.

다음으로 하나의 모듈형 바체어(300)의 설치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바체어(300)의 하부에 구비된 간섭방지구(360)의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320); 및 상기 하부철근(1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를 배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looking at the installation method of one modular bar chair 300, as shown in FIG. 1c,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anti-interference device 36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adjusting (S320); and dispos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330).

모듈형 바체어(300)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장에서 선 조립되고 일체로 차량 운반되는 것으로,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하차하되, 모듈형 바체어(300)를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I형 지그를 모듈형 바체어(300)에 결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dular bar chair 300 is pre-assembled at a factory and transported as an integral vehicle. The jig may be coupled to the modular bar chair 300 .

모듈형 바체어(300) 설치에 있어서, 간섭방지구(360) 조절 단계 이전에, 모듈형 바체어 가배치하는 단계(S310)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크레인(C)이 상기 지그를 이용하여 모듈형 바체어(300)를 들어 올린 다음, 하부철근(100)의 상부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격시키는 단계로, 간섭방지구(360) 너트몸체(361)의 수평 위치 및 볼트의 수직 높이를, 설치 위치에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모듈형 바체어(300)의 배치 정확도가 높아지고 구조물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install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before the step of adjusting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a step (S310) of temporarily arranging the modular bar chair may be performed, which is the crane (C) using the jig. In a step of lift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and the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anti-interference device 360 and the nut body 361 and the vertical height of the bolt are installed It can be precisely adjusted at the 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placement accuracy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and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320)는,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너트몸체(361)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 조절바(362)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21); 및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이동 가이드편(363)에 가이드되는 너트몸체(3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모듈형 바체어(300)에 포함된 바체어의 높이를 각각의 지면 상태에 맞게 수평, 수직방향으로 조절하여, 모듈형 바체어(3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기초 상부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tep (S320)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the height adjustment bar 362 screwed to the nut body 361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king (S321); and moving the nut body 361 guided by the movement guide piece 363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n a horizontal direction (S322). As such,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r chair included in the modular bar chair 30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suit each ground condition, the modular bar chair 300 can be stably seated and support the upper basal muscles. make it possible

한편, 상기 수평 위치 조절 단계(S321)과 수직 높이 조절 단계(S322)는 현장 여건이나, 작업 상황에 따라 순서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하부철근(100)의 높이 대응되도록 미리 수직 높이를 조절하고, 가배치 이후에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step (S321) and the vertical height adjustment step (S322) can be flexibly changed in order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or work conditions.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in advance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and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after provisional arrangement.

상기 너트몸체(361)는 슬리브형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철근 커플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바(362)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나 철근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nut body 361 may be manufactured as a reinforcing bar coupler as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type body, and the height adjustment bar 362 may be made of a threaded bolt or reinforcing bar.

기초 보강재(200)를 배치하고(S200), 모듈형 바체어(300)를 설치한 이후(S300)에는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의 상부에 상부철근(400)을 배근하는 단계(S400);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After disposing the base reinforcement 200 (S200) and install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S300), the step of reinforc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400 on the upp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S400) ; and pouring concrete to form a foundation (S5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000: 굴착 단계 S100: 하부철근 배근 단계
S200: 기초 보강재 배치 단계 S210: 받침 가이드 구비 단계
S220: 전단 보강체 배치 단계 S300: 모듈형 바체어 설치 단계
S310: 모듈형 바체어 가배치 단계
S320: 간섭방지구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 조절 단계
S321: 높이 조절바 수직 방향 이동 단계
S322: 너트몸체 수평 방향 이동 단계 S330: 모듈형 바체어 배치 단계
S400: 상부철근 배근 단계 S500: 기초 형성 단계
100: 하부철근 200: 기초 보강재\
210: 전단 보강체 211: 보강플레이트
212: 공간부 213: 정착 플랜지
214: 강봉 215: 개방부
216: 스터드 볼트 220: 수직 철근 조립체
221: 이음용 수직 철근 222: 타이 프레임
223: 수직 프레임 224: 기계식 정착구
225: 가이드 핀 230: 받침 가이드
231: 유도부재 240: 하부 철근 조립체
300: 모듈형 바체어 310a: 제1 바체어
310b: 제2 바체어 320: 수평재
330: 가새 340a: 제1 받침멍에
340b: 제2 받침멍에 350: 거푸집
351: 수팽창지수재 360: 간섭방지구
361: 너트몸체 361a: 상부바디
361b: 하부바디 362: 높이 조절바
363: 이동 가이드편 363a: 레일 공
364: 브라켓 400: 상부철근
S000: excavation stage S100: lower reinforcement stage
S200: Step of plac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S210: Step of providing the support guide
S220: Shear reinforcement body placement step S300: Modular bar chair installation step
S310: Modular bar chair temporary placement stage
S320: Step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anti-interference device
S321: Step of vertical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bar
S322: nut body horizontal movement step S330: modular bar chair arrangement step
S400: upper reinforcement step S500: foundation formation step
100: lower reinforcing bar 200: foundation reinforcement\
210: shear reinforcement 211: reinforcement plate
212: space portion 213: fixing flange
214: steel bar 215: opening
216: stud bolt 220: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1: vertical reinforcement for joints 222: tie frame
223: vertical frame 224: mechanical anchorage
225: guide pin 230: support guide
231: guide member 240: lower reinforcing bar assembly
300: modular bar chair 310a: first bar chair
310b: second bar chair 320: horizontal member
330: brace 340a: first yoke
340b: second yoke 350: formwork
351: water expansion index material 360: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1: nut body 361a: upper body
361b: lower body 362: height adjustment bar
363: movement guide piece 363a: rail ball
364: bracket 400: upper reinforcing bar

Claims (9)

건축 구조물의 매트기초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부철근(100)을 배근하는 단계(S100);
상기 배근된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기초 보강재(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크레인(C)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300);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의 상부에 상부철근(400)을 배근하는 단계(S400);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mat foundation of a building structure,
Reinforc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100);
Placing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200 using a crane (C)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d lower reinforcing bar 100 (S200);
Install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300 using a crane (C) (S300);
Reinforc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400 on the upp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S400); and
Forming a foundation by pouring concrete (S500);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 설치 단계(S300)는,
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연속 배치하여 제1 모듈형 바체어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S310); 및
상기 제1 바체어 라인과 나란하게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300)를 연속 배치하여 모듈형 바체어 라인을 복수로 형성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installation step (S300),
forming a first modular bar chair line by continuously arrang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along one direction (S310); and
Form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lines by continuously arranging a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s 300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r chair line (S320);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형 바체어 라인 중 일측 외곽에 위치하는 모듈형 바체어 라인에는 외측에 거푸집(350)이 결합된 모듈형 바체어(300)를 설치하여 구역별 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modular bar chair lin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modular bar chair lines is a prefabricated mat base,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a modular bar chair 300 coupled with a form 350 to the outside, construction for each zone is possible. How to build th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철근(100) 배근 단계(S100) 이전에,
전체 기초 면적에 해당하는 지층을 오픈 컷(open cut)공법으로 굴착하여 굴착 단면이 안정 경사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굴착 단계(S000);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reinforcement step (S100),
An excavation step (S000) of excavating the stratum corresponding to the entire base area by an open cut method so that the excavation section maintains a stable slop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보강재(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는,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받침 가이드(230)를 구비하는 단계(S210); 및
상기 배근된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크레인(C)을 이용하여 수직 철근 조립체(220)가 일체로 결합된 전단 보강체(210)를 상기 받침 가이드(230)의 상부에 구비하여 정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posing the base reinforcement 200 (S200),
providing a support guide 23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illar (S210); and
By using a crane (C)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d lower reinforcing bar 100, the shear reinforcement body 210 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ssembly 220 is integrally couple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guide 230 and placed in place. Step (S220) of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t the same time as the arrangement (S220);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철근 조립체(220)의 이음용 수직 철근(221)의 하단에 기계식 정착구(22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cal anchorage 224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221 for joints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assembly 2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 설치 단계(S300)는,
모듈형 바체어(300)의 하부에 구비된 간섭방지구(360)의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320); 및
상기 하부철근(1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를 배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r bar chair 300 installation step (S300),
Step (S320)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anti-interference device 360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dular bar chair 300 (S320); and
Plac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330);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 조절 단계(S320) 이전에,
상기 모듈형 바체어(300)를 하부철근(100)의 상부에 가 배치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Before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adjustment step (S320),
Temporarily disposing the modular bar chair 300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100 (S310);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수평 위치 및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320)는,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너트몸체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 조절바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21); 및
상기 간섭방지구(360)의 이동 가이드편(363)에 가이드되는 너트몸체(3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기초 시스템의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Step (S320) of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and vertical height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moving the height adjustment bar screwed to the nut body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n the vertical direction (S321); and
Step (S322) of moving the nut body 361 guided by the movement guide piece 363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device 3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322);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1020200122351A 2020-09-22 2020-09-22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KR102438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51A KR102438759B1 (en) 2020-09-22 2020-09-22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51A KR102438759B1 (en) 2020-09-22 2020-09-22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337A true KR20220039337A (en) 2022-03-29
KR102438759B1 KR102438759B1 (en) 2022-09-01

Family

ID=8099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351A KR102438759B1 (en) 2020-09-22 2020-09-22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5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35Y1 (en) * 2000-09-29 2001-03-15 김광식 Apparatus for setting a wall mould
KR200394626Y1 (en) * 2005-06-18 2005-09-02 정옥순 Pedestal member for water proof concrete mold having fixing groove lower steel reinforcing
KR101572245B1 (en) * 2014-02-05 2015-11-26 (주)바로건설기술 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KR20190084712A (en) * 2018-01-09 2019-07-17 (주)센벡스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KR20190086286A (en) * 2018-01-12 2019-07-22 디아이메탈텍 주식회사 Steel reinforcement terminator of one-touch type
KR20200093804A (en) * 2019-01-29 2020-08-06 우선애 Column form system using deckplat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35Y1 (en) * 2000-09-29 2001-03-15 김광식 Apparatus for setting a wall mould
KR200394626Y1 (en) * 2005-06-18 2005-09-02 정옥순 Pedestal member for water proof concrete mold having fixing groove lower steel reinforcing
KR101572245B1 (en) * 2014-02-05 2015-11-26 (주)바로건설기술 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KR20190084712A (en) * 2018-01-09 2019-07-17 (주)센벡스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KR20190086286A (en) * 2018-01-12 2019-07-22 디아이메탈텍 주식회사 Steel reinforcement terminator of one-touch type
KR20200093804A (en) * 2019-01-29 2020-08-06 우선애 Column form system using deckplat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759B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93B1 (en)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1271092A (en) Rapid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secondary lining of variable-section subsurface tunnel
CN109778700B (en) Cast-in-place trough beam three-point sliding pushing construction method for crossing existing road
JP3844743B2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3410102A (en) H-shaped double column pier wide-bridge-surface cantilever temporary consoli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3668370B (en) Prefabricated bridge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8622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CN111088760A (en) Large-height large-cantilever concrete structure prefabricated construction suppor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3737475B2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43875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mat foundation system
CN210529747U (en) Composite assembly type integral prefabricated middle longitudinal beam of subway station and node of longitudinal beam and steel upright post
CN115262637B (en) Subway station platform board assembled structure system
CN216892017U (en) Tie beam integral casting template in template connecting piece and lower stand
CN215803440U (en) Demolish transformation node of shear force wall replacement frame roof beam
JP3595517B2 (en) Under-tra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2429105B1 (en) Pier With Stress Reinforced Steel Composite Member
CN212316935U (en) Disassembly-free support rod piece and foundation pit supporting system
KR102296982B1 (en)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CN109083007B (en) Steel truss bridge assembly bracke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420436B1 (en) Modular chair-rebar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US11866939B2 (en) Support module for a structure
KR102597601B1 (en) Prestressed box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4855624B (en) Internal mold hanging bracket structure of diaphragm plate of suspension casting continuous box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8373362U (en) Supporting structure for bridge construction
CN111910760B (en) Construction method of integral counterweight type pretensioning method prestress tension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