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843A -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843A
KR20220038843A KR1020200121141A KR20200121141A KR20220038843A KR 20220038843 A KR20220038843 A KR 20220038843A KR 1020200121141 A KR1020200121141 A KR 1020200121141A KR 20200121141 A KR20200121141 A KR 20200121141A KR 20220038843 A KR20220038843 A KR 2022003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detailed
plan
profit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3187B1 (en
Inventor
강상찬
양정주
김경홍
강이경
양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Priority to KR102020012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187B1/en
Priority to PCT/KR2021/001439 priority patent/WO2022059868A1/en
Publication of KR2022003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a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by which a process management system establishes an initial work plan including the number of required work days for each construction with respect to a target construction project, calculates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of climate data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a construction start date, considers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but derives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by using the calculated weather forecast value, compares the derived expected end date with the target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to derive an insufficient number of required processes, and adjusts the initial work plan into detailed work units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extra workers available for the insufficient number of required processes and the extra work days. Therefore, the method enables scheduling of work that minimizes an unnecessary waste of construction period.

Description

기상 예측에 기반한 공사 공정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본 발명은 공사 공정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상 예측에 기반하여 공사 현장에서의 공정을 관리하되 예측된 기상 지표에 따라 작업이 불가능한지 세부 작업에 관한 스케줄을 조정하는 방법,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a construction process, and in particular, a method for managing a process at a construction site based on weather forecasting, but adjusting a schedule for detailed work to determine whether work is impossible according to a predicted weather index, the method It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and a process control system.

공사 현장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작업 스케줄을 수립하거나 이를 조정하는 다양한 공정 관리 기술이 존재하며, 이중 현장의 날씨를 고려하는 기술은 최초에 수립된 작업 계획에서 예상하지 못하였던 변인이나 특이사항을 스케줄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날씨를 고려하는 종래 다수의 공정 관리 기술의 경우, 향후의 기상을 예측해서 적용하기보다는 현시점을 기준으로 단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이내)의 일기예보와 현장의 실시간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즉시적으로 안전을 위한 작업 조정을 수행하였다. 또 다른 종래의 공정 관리 기술의 경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기상 변화의 불확실성에 대한 여유 기간을 미리 적용하여 공사 기간을 필요한 것보다 넉넉하게 설정하였다. 건설 현장의 작업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기상 관련 불확실성(예를 들어, 지진, 황사, 태풍, 낙뢰 등)은 공사 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충분한 여유 기간을 고려하여 공사 기간을 설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 실정이다.Various process management technologies exist to establish or adjust a series of work schedules required at the construction sit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flect In the case of a number of conventional process control technologies that consider the weather, rather than predicting and applying the future weather, it is immediately Work adjustments were made for safety. In the case of another conventional process control technology, the construction period was set longer than necessary by applying a spare period for uncertainty of future weather changes in advance. Various weather-related uncertainties that can affect the working environ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e.g., earthquake, yellow dust, typhoon, lightning, etc.) that is the situation.

통계에 따르면, 세계 경제의 80%가 날씨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해 기상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기상 데이터의 전략적 활용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건설업은 옥외에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날씨, 기후, 내지 계절적인 특성에 취약하여 기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공 및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주로 기온, 강수,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건설업은 날씨 변화에 따른 시공 품질 저하, 부실 시공 가능성, 시설 파손, 안전 사고 및 공정 지연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According to statistics, 80% of the world economy i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weather, and as 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 frequently due to climate change, the importance of strategic use of meteorological data is gradually emerging. However, since most construction industries work outdoors, they are vulnerable to weather, climate, or seasonal characteristics, so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rough weather data analysis are absolutely necessary.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mainly affected by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ind, suffers from deterioration in construction quality due to weather changes, the possibility of poor construction, damage to facilities, safety accidents, and delays in the process.

매우 낮거나 높은 기온은 화학적 변화, 물리적 작용의 정지 및 감퇴, 동결융해는 물론 작업 생산성 저하 등을 초래하여 작업불능 및 불량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온이 0℃ 이하일 때에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응결이 지연되어 콘크리트의 경화에 악영향을 미치고, 기온이 4℃ 이하일 때는 콘크리트 품질이 불량해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강우량은 내부 마감이나 설비 공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토공사, 기초공사, 골조공사 등은 강우 시 작업 진행이 불가능하며, 비가 그친 후에도 건조되기까지 어느 정도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강우로 인한 작업 불가능 여부는 공종별로 다르고, 비가 오는 시기와 강우량에 따라 공사 수행 여부가 결정되지만, 이러한 것을 사전에 모두 고려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강우량이 시간당 10㎜ 이상인 경우 약간 물이 고인 상태가 되므로 대부분의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바람은 철골작업을 비롯한 중량물의 운반, 조립, 용접, 양중작업 등에 영향을 미치며, 풍속이 일정 한도 이상일 경우 안전을 고려할 때 정상적인 작업이 불가능하다.A very low or high temperature may cause chemical changes, cessation and decline of physical action, freeze and thaw, as well as decrease in work productivity, resulting in inability to work and defective parts.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0°C, the setting of cement paste is delaye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hardening of concrete, and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4°C, the quality of concrete is highly likely to deteriorate. In addition, rainfall affects most construction works except for interior finishing and facility construction. In particular, earthworks, foundation works, and frame work cannot be carried out during rain, and some additional time is required for drying even after the rain stops. Whether or not work is impossible due to rain varies by construction type, and whether or not construction is performed depends on the rainy season and rainfall, but it is very difficult to consider all these things in advance in reality. If the rainfall is more than 10 mm per hour, it can be considered that most of the work is impossible because the water is slightly stagnant. Furthermore, the wind affects the transport, assembly, welding, and lifting work of heavy objects including steel frame work, and when the wind speed is above a certain limit, normal work is impossible in consideration of safety.

따라서,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추가 공사 내지 건설 현장의 낭비 요소를 줄이고 예상하지 못한 인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날씨 정보의 전략적인 활용을 통해 기상 상태로부터 발생하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시공 이익의 극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날씨 정보를 활용하여 건설 사업의 기획, 설계 단계에서부터 발주, 시공, 준공, 유지 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건축주(client)를 대신하여 건설의 전반적인 사업 단계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비대면 원격 건설사업관리 서비스와 기상 데이터를 연계하여, 기상 변화로 인해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waste factor of additional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site, which can incur a lot of cost, and to prevent unexpected casualties, the strategic use of weather information minimizes risks from weather conditions and maximizes construction profits. Needs to be. Accordingly, a non-face-to-face remote construction project that utilizes weather information to professionally manage the overall business stage of construction on behalf of the client,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o the ordering, construction, completion, and maintenance stag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losses that may occur at the construction site due to weather changes in advance by linking the management service and meteorological data.

한국등록특허 제10-1907964호,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No. 10-1907964,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날씨를 고려하는 건설 공정 관리 기술이 현장의 기상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의 기상 예측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음에도 이를 공사 현장에서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통상적인 기상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여유 기간을 미리 설정하여 실제 필요한 일정보다 작업 스케줄을 길게 수립하는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불필요한 공사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실시간 기상 변화에 따른 상업 예측 데이터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중소 규모의 개인 건축주의 건설 사업 관리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약점을 해소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technology that considers the weather takes an approach that responds immediately to the weather change on the site. By adopting a strateg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that are not being utilized at all and establishing a work schedule longer than the actual required schedule by setting a spare period in advance to respond to normal weather uncertainty, it solves the problem of unnecessary construction delays, Due to the high cost of commercial forecast data according to weather changes, it is intended to solve the weakness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individual client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에 기반한 공정 관리 방법은, (a) 공정 관리 시스템이 대상 건설사업에 관하여 공종별 필요작업일수를 포함하는 최초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b)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후 데이터의 세부 기상 지표별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상기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되 산출된 기상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도출된 상기 예상종료일과 최초에 설정된 작업 계획의 목표종료일을 비교하여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상기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 작업자수 및 추가 작업일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based on weather pred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establishes an initial work plan including the number of required work days for each type of work in relation to the target construction project step; (b) calculat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of the climate data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c) deriv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an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by using the calculated weather forecast value while considering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d)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by comparing the expected end date derived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with the target end date of the initially set work plan; and (e) adjust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the initial work plan into detailed work units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 days available for the required number of hours.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상기 (b) 단계는, (b1)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종래의 기후 데이터로부터 종속 변수인 세부 기상 지표에 관한 복수 개의 독립 변수를 선택하여 다중 회귀(multiple regression) 함수를 설정하는 단계; (b2) 설정된 상기 다중 회귀 함수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목적 함수를 도출하여 회귀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b3) 결정된 회귀 계수에 따른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세부 기상 지표별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독립 변수는 공종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의 개별 기상 지표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b) of calculating a weather forecast value includes: (b1)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a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rom conventional climate data collected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setting a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b2) determining a regression coefficient by deriving an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error of the set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and (b3) calculating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the preset period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ex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gression coefficient; Including, wherein the plur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are preset for each detailed tas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It can be set to correspond to individual weather indicators of the stopping criteria.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에 따라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세부 기상 지표별로 산출된 기상 예측값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산출된 작업가능일을 이용하여 상기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로부터 기산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도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c) of deriving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includes: (c1) the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to set; (c2) deriving a work end date for each detailed task by counting from the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task using the available workable day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weather forecast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with a work stop criterion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task; and (c3) deriving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by sequentially connecting work end dates for each detailed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time-series work order.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도출하는 상기 (c2) 단계는, 세부 기상 지표에 대해 수집된 복수 개의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범위로부터 작업중지기준을 결정하되, 세부 작업별로 외부 및 내부 작업을 분리하여 작업중지범위를 지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중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작업 지역 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가능 여부를 유보하여 판단하는 조정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c2) of deriving the work end date for each detailed work is to determine the work stop standard from the work stop rang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a plurality of work types collected for the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but , separate external and internal work for each detailed work to designate the work cessation range, and determine the adjustment range for judging whether or not work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work area or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in the area where at least one or more work stop ranges do not overlap. can be set.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상기 (d) 단계는, (d1) 도출된 상기 예상종료일이 상기 목표종료일보다 후행하는 경우, 상기 예상종료일과 상기 목표종료일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d2) 산출된 차이에 해당하는 필요작업일과 표준 인력에 기반한 필요작업자수의 곱으로부터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tep (d) of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d1) when the derived expected end date is later than the target end d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end date and the target end date calculating; and (d2)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from the product of the required working day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fference and the number of required workers based on the standard manpower.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상기 (e) 단계는, (e1) 도출된 상기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작업에 대한 후보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e2)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한 비용의 변화 및 일정의 변화로부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하는 단계; 및 (e3) 상기 손익 대표값과 매칭된 상기 후보 계획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o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e) of adjusting the initial work plan to a detailed work unit includes at least the generating candidate plans for one or more detailed tasks; (e2) matching with the candidate plan by calculating a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from the change in cost and schedule change for the generated candidate plan; and (e3) adjusting the initial work plan in a detailed work unit using the candidate plan matched with the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세부 작업에 대한 후보 계획을 생성하는 상기 (e1) 단계는, 세부 작업의 유형이 실외 작업 및 실내 작업별로 분리된 작업중지기준을 고려하여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을 도출하되,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로부터 인접한 기간 내에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순서의 변경이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또는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의 기상 예측값에 따라 상기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대체가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순서 변경 또는 작업 대체에 따른 후보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tep (e1) of generating a candidate plan for detailed work,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A combination of work days is derived, but whether there is a task that satisfies the preset work stop criteria for each detailed task within a period adjacent to the work start date of the detailed task and can change the order, or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value of the work start date of the detailed task It is possible to create a candidate plan according to work order change or work replacement by judging whether there is a work that satisfies the work stop criteria and can be replaced.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후보 계획과 매칭하는 상기 (e2) 단계는,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하여, 상기 필요공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화된 작업자수에 따른 비용,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비용 및 작업의 대체에 따른 비용의 변화로부터 산출된 비용 손익값 및 일정의 지연에 따른 일정 손익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을 선형 결합함으로써 비용 및 일정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한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후보 계획과 매칭하는 상기 (e2) 단계는,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상보적인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비용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 및 일정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를 차별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e2) of calculating a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and matching the candidate plan may include, with respect to the generated candidate plan, a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changed to satisfy the required man-hours, workers By calculating the cost profit and loss value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cost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and the cost change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work and a fixed profit and loss value according to the schedule delay, and linearly combining the calculated cost profit and 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 and loss value, the cost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considering the change of schedule at the same time and store it by matching with the candidate plan. In addition, in the step (e2) of calculating a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and matching the candidate plan, the cost profit/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loss value are set complementary weigh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determine the profit/loss according to the cost change. The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may be calculated by differentially considering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degree and schedule change.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상기 (e3) 단계는, 상기 후보 계획이 복수 개 생성된 경우 산출된 상기 손익 대표값에 따라 손해의 정도가 최소화되는 후보 계획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tep (e3) of adjusting the initial work plan in a detailed work unit, the degree of damage is minimiz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when a plurality of the candidate plans are generated. By selecting a candidate plan, the initial work plan can be adjusted to a detailed work unit.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기재된 공정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below,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is recorded on a computer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종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의 개별 기상 지표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공사 기간 동안의 공공 기상 데이터에 기반한 날씨를 예측함으로써 중소 규모의 건축주의 유연한 일정 관리를 도모하고, 세부 기상 지표별로 산출된 기상 예측값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하여 공사 공정의 지연 여부를 추정하고 작업 지연에 따라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여 순서 변경 또는 작업 대체에 따른 후보 계획을 생성하되 손해를 최소화하는 후보 계획을 선택하여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공사 기간의 낭비가 최소화되는 작업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후보 계획에 대해 비용 및 일정의 손익을 함께 고려하여 손익 대표값을 산출함으로써 복수 개의 건축주의 요구에 부합하는 최적의 후보 계획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 the weather based on public meteorological data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signed to correspond to individual weather indicators of work cessation criteria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truction, so that small and medium-sized clients It promotes flexible schedule management, estimates whether the construction process is delayed by comparing work stop criteria for each detailed task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ices, and derives insufficient man-hours according to the delay in order to change the order or replace work. By selecting a candidate plan that minimizes damage and generating a candidate plan according to By calculating the profit-and-loss representative value in consider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selection of an optimal candidate plan that meets the needs of a plurality of clients.

도 1은 기상 예측에 기반하여 공사의 공정을 관리하는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에 기반한 공정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세부 기상 지표별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작업중지기준을 고려하여 기상 예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중 회귀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현장의 날씨를 세부 기상 지표별로 예측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기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복수 개의 작업중지범위로부터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유보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기상 예측값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가능여부의 판단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세부 작업별 작업가능일의 산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와 기상 예측값에 따른 작업가능여부를 고려하여 목표종료일의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조정된 작업 계획을 도출하는 과정의 고려 요소와 손익 대표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에 기반한 공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anaging the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forecas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management method based on weather pred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calculating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ex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designed to perform weather predi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stoppage criter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predicting the weather at the site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ex.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riving an expected end date of an initial work plan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work stop standard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ferring non-overlapping areas from a plurality of work stop range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work is possible for each detailed task according to a weather forecast valu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culation result of workable days for each detailed task.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target end date is complied with in consideration of a time-series work sequence and whether work is possible according to a weather forecast value.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adjusting an initial work plan into detailed work units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an adjusted work plan and a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ather pred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es"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i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hav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도 1은 기상 예측에 기반하여 공사의 공정을 관리하는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 사업의 기획, 설계 단계부터 발주, 시공, 준공, 유지 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건설 사업 관리 서비스와 기상 상태를 연계하여 작업가능일수를 산출하되, 기상 변화를 예측하여 공사 기간 및 원가 손실을 방지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anaging the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forecas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 meteorological data to order, construct, and complete a construction project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In order to calculate the number of workable days by linking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 and the weather conditions up to the maintenance stag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ical means to predict the weather change and preven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loss.

기상 예측에 기반하여 예상 공정을 관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먼저 건설 현장에 필요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제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작업일수를 산정하는데, 이를 위해 과거에 축적된 공사 기간 동안의 온도, 습도, 풍속, 강수량 등의 기상 데이터를 분석한다. 서로 다른 공사 현장에 따라 지역별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가능일수를 도출하여 공사 현장별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예측된 기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단순히 공사 현장의 작업 가능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을 분류하여 세부 작업별로 요구되는 작업중지기준과 비교하였다. 여기서, 작업중지기준은 세부 작업에 따라 현장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것으로 다양한 건설업체 및 현장 기술자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요건으로부터 설정된다. 즉, 기상 예측값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부 기상 지표와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기준을 활용하여 현재 진행 가능한 작업, 가까운 장래에 진행 가능한 작업, 대체 가능한 작업,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작업 등의 다양한 선택지(option)을 도출하고, 최초에 수립된 작업 계획을 참조하여 이러한 선택지를 반영하여 조정된 작업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시간 공정률을 극대화하고, 추후 공정진행사항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anaging the expected process based on the weather forecast, first, the meteorological data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site is collect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working days required in the actual environment. Analyze weather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According to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it is possible to use regional weather data to derive the number of workable days and use it for each construction site. By referring to the predicted weather data, it was not simply judged whether work was possible at the construction site, but detailed work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compared with the work stop standards required for each detailed work. Here, the work stoppage standards are established from work requirements collected from various construction companies and field engineers as accumulated from experience in the field according to detailed work. In other words, various options such as work that can be performed now, work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near future, work that can be replaced, work that can change the order, etc. , and referring to the initially established work plan, it is possible to create an adjusted work plan by reflecting these options.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al-time process rate and accurately predict the process progress in the future.

공종별 작업가능일수를 판단하는 본 발명의 일부 설계 화면을 예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제주도의 지역별 기상 정보를 일자별로 예측하고, 특정 지역의 공사 현장을 선택하여 미리 예정된 세부 작업별로 진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였다. 이러한 판단은 각각의 세부 작업에서 요구되는 세부 기상 지표와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하여 도출된 것으로, 공종별, 공사 기간별 작업가능일수를 도출하는데 도움을 준다.Referring to FIG. 1 , which illustrates a part of the desig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workable days for each type of work,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regional weather information of Jeju Island by date, select a construction site in a specific area, and perform each scheduled detailed work in advance was displayed. This judgment is derived by comparing the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ators required for each detailed work with the work cessation standards, and helps to derive the number of workable days for each work type and construction perio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에 기반한 공정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management method based on weather pred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210 단계에서, 공정 관리 시스템은 대상 건설사업에 관하여 공종별 필요작업일수를 포함하는 최초 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는 통상적인 작업 순서, 인력 투입 및 비용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건설사업에 관한 공종별 세부 작업의 시계열적인 배치가 설정되며, 이로부터 최초 작업 계획을 생성한다.In step S210,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establishes an initial work plan including the number of required work days for each type of work with respect to the target construction project. In this process, the time-series arrangement of detailed work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project is set in consideration of all elements of the normal work sequence, manpower input, and cost, and an initial work plan is created from this.

S220 단계에서,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은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후 데이터의 세부 기상 지표별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한다. 건설 현장은 계절이나 작업일자에 따라 다양한 작업 환경에 놓여지게 되므로, 날씨의 요소를 고려함에 있어서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종래의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연구자들은 시제품 개발시, 과거 30년 간의 공공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상 예측을 수행하였으나, 기후 변화에 따라 분석 대상이 되는 적정 기간을 가감할 수 있을 것이다. 기후 분석시, 기상청 내지 민간 기업에서 제공하는 세부 기상 지표를 모두 활용하는 것은 아니며, 건설 현장의 세부 작업별로 관찰이 필요한 지상 지표를 선택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때 기준이 되는 세부 기상 지표는 이후 소개하는 작업중지기준에서 요구하는 기상 지표에 대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는 강우량/강설량, 기온, 습도, 풍속의 제약이 존재하므로 그에 관한 기상 지표가 필요하다. 과거의 기후 데이터로부터 현 시점의 공사기간 동안의 날씨를 예측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는데, 이후 도 3 및 도 4를 통해 그 일례를 소개하도록 한다.In step S220,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calculates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of the climate data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Since the construction site is placed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 season or work dat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ventional climate data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factor. The researcher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weather prediction using public weather data of the past 30 years when developing a prototype, but may be able to add or subtract an appropriate period to be analyz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climate analysis, not all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ator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private companies are used, but ground indicators that require observation for each detailed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selectively used. In this case, the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es that serve as the standard should correspond to the meteorological indices required by the work cessation standards to be introduced later. For example, there are restrictions on rainfall/snowfall,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in concrete pouring, so meteorological indicators are required. In predicting the weather during the current construction period from the past climate data,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an be used, and an example thereof will be introduc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S230 단계에서,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은 S210 단계를 통해 수립된 상기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되 S220 단계를 통해 산출된 기상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한다. 이 과정에서는 앞서 수립된 최초 작업 계획의 작업 순서에 따라 세부 작업을 진행할 경우, 각각의 작업이 예정된 일자/기간에 예상되는 날씨로 인해 작업의 진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통상적인 건설 현장에서의 처리 방침에 따라 예상되는 날씨의 영향으로 작업의 진행이 불가능하다면 해당 작업을 순연시키게 되며, 순차적으로 작업 스케줄이 조정되어 예상종료일을 얻을 수 있다.In step S230,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considers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established through step S210, but derives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using the weather forecast value calculated through step S220. . In this process, if detailed work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work order of the initial work plan establish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ork can be performed due to the weather expected on the scheduled date/period for each work. If it is impossible to proceed with the work due to the expected weather according to the treatment policy at the typical construction site, the work is postponed, and the work schedule is sequentially adjusted to obtain the expected end date.

S240 단계에서,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은 S230 단계를 통해 도출된 상기 예상종료일과 최초에 설정된 작업 계획의 목표종료일을 비교하여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한다. 이제, 순연된 최초 작업 계획에 따른 예상종료일과 원래 설계시의 목표종료일을 비교하여 순연된 계획이 목표종료일을 준수하기 위해 필요한 공수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공수(man hour)는 표준적인 작업 능력을 전제로 각각의 세부 공정별, 작업 기간별로 작업량을 수치화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표준 작업 능력과 작업 시간(내지 작업 일자)의 조합으로부터 공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예정된 작업 부하(load)와의 대비를 통해 필요공수를 얻을 수 있다.In step S240,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compares the expected end date derived through step S230 with the target end date of the initially set work plan to derive the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Now, by comparing the expected end date according to the deferred initial work plan and the target end date at the time of the original design, the number of work required for the deferred plan to comply with the target end date is calculated. Here, man hour is a quantification of the amount of work for each detailed process and work period on the premise of standard work ability. Accordingly, the man-hour may be determin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worker's standard work ability and the work time (or work day), and the required man-hour may be obtain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cheduled work load.

S250 단계에서,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은 S240 단계를 통해 도출된 상기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 작업자수 및 추가 작업일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한다. 이 과정에서는 최초의 목표종료일을 준수하기 위해 순연된 작업 계획의 수정을 전제로 하는데, 건설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추가 작업자수와 추가 작업일의 조합을 통해 세부 작업을 조정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스케줄 조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부 기상 지표와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기준을 함께 고려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후보 계획으로서 제시하게 되며, 이러한 후보 계획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손익 대표값이라는 지표를 생성하였다. 손익 대표값은 통상적인 비용의 득실뿐만 아니라, 일정의 변경에 따른 정성적인 득실을 정량적인 수치로 변환한 일정 손익을 함께 조합한 지표로서 사용자(건축주)의 성향에 따라 비용 및 일정에 관한 주요 관점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손익 대표값에 관하여는 이후 도 13 및 도 1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In step S250,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adjusts the initial work plan into detailed work units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 days available for the required man-hours derived through step S240. This process presupposes revision of the deferred work plan to comply with the initial target end date, adjusting the detailed work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vailabl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additional working days. In particular, in adjusting the schedu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 various options as a candidate plan in consideration of detailed weather indicators and work stop criteria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ogether,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adequacy of such a candidate plan As a result, an index called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was created.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is an index that combines not only normal cost gains and losses, but also a certain profit/loss ratio that converts qualitative gains and losses resulting from schedule changes into quantitative valu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flect The representative profit and loss valu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세부 기상 지표별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과정(S220 단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로서, 날씨 예측에 관한 다양한 인공지능 방법론 중에서 회귀 분석을 활용한 구현예를 제시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step S220) of calculating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icator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ologies related to weather forecasting. An embodiment using regression analysis is presented.

S221 단계에서는,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종래의 기후 데이터로부터 종속 변수인 세부 기상 지표에 관한 복수 개의 독립 변수를 선택하여 다중 회귀(multiple regression) 함수를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S221 , a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may be set by selec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detailed weather indica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rom conventional climate data collected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작업중지기준을 고려하여 기상 예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중 회귀 모델을 설명하고 있는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단일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를 연계하여 시각화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고자 하는 날씨 예측의 경우 다수의 독립 변수가 활용되어야 하므로 다차원의 독립 변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중 회귀 함수가 필요하다. 이때, 복수 개의 독립 변수는 공종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의 개별 기상 지표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예시된 수학식을 살펴보면, 먼저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기준(410)에 따라 독립 변수(x1, x2, ..., xn)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각각의 독립 변수와 결합된 회귀 계수(b1, b2, ..., bn)를 결정하여 종속 변수(y)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최종적인 회귀 함수를 모델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llustrat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designed to perform weather predi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stoppage criterion, the graph is visualized by linking a single independent variable and a dependent variable. For weather prediction, multiple independent variables must be utilized, so a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that can select multidimensional independent variables is nee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be set to correspond to the individual weather indicators of the work stop criteria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4, it can be seen that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x 1 , x 2 , ..., x n ) is made according to the work stop criteria 410 for each detailed task first, and each independent The final regression function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 (y) can be modeled by determin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b 1 , b 2 , ..., b n ) associated with the variable.

S222 단계에서는, S221 단계를 통해 설정된 상기 다중 회귀 함수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목적 함수를 도출하여 회귀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중 회귀 함수의 정확도 측정을 위한 평가 지표로서, RMSE(root mean square error) 내지 MAE(mean absolute error) 등이 활용될 수 있다.In step S222, a regression coefficient may be determined by deriving an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error of the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set in step S221. As an evaluation index for measuring the accuracy of the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 mean absolute error (MAE), or the like may be used.

구현의 관점에서,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및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한 API 인증키를 이용하거나 또는 XML을 이용하여 일별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강우량, 평균풍속, 최대풍속 풍향, 습도, 일조시간, 일사량 등의 날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세부 기상 지표를 독립 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 함수를 모델링하고, 각각의 독립 변수에 관한 회귀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개발된 프로토타입을 통해, 과거 30년 간의 기상 정보의 기후평년값을 산출하여 장기예보 및 평년기후를 확인하고, 날씨공공데이터 API 연계 후, 건설 사업 관리를 위한 작업중지기준에 따른 공종별 공사기간 및 작업인원을 산출할 수 있었다.From an implementation point of view, daily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rainfall, average wind speed, maximum wind speed, wind direction, humidity, sunshine by using the API authentication key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 and public data portal or using XML Weather data such as time and solar radiation can be obtained. A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may be modeled using the obtained detailed weather index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regression coefficient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may be determined. In particular, through the prototype develop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term forecast and the average climate are check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climate value of the weather information for the past 30 years, and after linking the public weather data API,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t wa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number of workers for each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work suspension criteria.

S223 단계에서는, S222 단계를 통해 결정된 회귀 계수에 따른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세부 기상 지표별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상 예측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제, 다중 회귀 함수를 활용하여 예정된 세부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기간 동안의 기상 예측값을 도출할 수 있다.In step S223,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the preset period may be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ex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coefficient determined in step S222. Now, multiple regression functions can be utilized to derive weather forecasts for the period over which scheduled detailed work should be performed.

이상에서는 다중 회귀 분석을 활용한 기상 예측 방식을 제안하였으나, 관측 대상을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기준(410)에서 요구하는 기상 지표를 선택하는 한, LSTM(long short-term memory) 내지 DNN(deep neural network) 등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도 좋다.In the above, a weather prediction metho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proposed, but as long as the weather index required by the work stop criterion 410 for each detailed task is selected as the observation target, long short-term memory (LSTM) or deep neural (DNN) network) may be used.

도 5는 현장의 날씨를 세부 기상 지표별로 예측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단기간으로 예시된 날짜의 시간 추이에 따라 일기예보와 같이 세부 기상 지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건설 사업이 진행되는 전체 공사 일정의 구간별(예를 들어, 월 단위 내지 주 단위)로는 이러한 날씨 예측이 어려우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는 통계에 기반한 날씨 예측을 활용하여 현장의 작업 개시일로부터 구간별 날씨 예측이 가능하다. 즉, 세부 작업이 진행되는 시점에 인접한 구간별 날씨 예측을 활용하여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predicting the weather of the site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ices. It can be confirmed that detailed weather indices such as weather forecasts are specifically presented according to the time trend of the date exemplified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such weather by section (for example, monthly or weekly) of the entire construction schedule in which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weather for each section from the start date.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truction can proceed normally by using the weather forecast for each section adjacent to the time when detailed work is being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과정(S230 단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step S230) of deriving an expected end date of an initial work plan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231 단계에서는,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에 따라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을 설정한다. 최초 작업 계획에 따라 수립된 세부 작업들의 진행 순서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개별 작업들의 작업개시일 역시 알 수 있다. 즉, 이 과정을 통해 개발 작업이 어느 시점에 수행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231, the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is set according to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Since the order of the detailed task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initial work plan is determined, the work start date of individual tasks can also be known. In other words, through this process, you can check at what point in time development work is being performed.

다음으로, S232 단계에서는, 세부 기상 지표별로 산출된 기상 예측값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산출된 작업가능일을 이용하여 상기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로부터 기산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도출할 수 있다. 앞서 해당 일자별로 도출된 기상 지표들의 예측값이 존재하므로 이를 작업중지기준과 연계하여 작업이 진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사 기간을 구성하는 세부 구간(세부 작업이 포함된 소구간으로서 예를 들어, 5일 단위 내지 10일 단위가 될 수 있다.)에서 작업 진행이 가능한 날짜(작업가능일)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상 악화로 인해 작업가능일이 줄어든다면 작업 순연에 따라 작업개시일로부터 기산되는 작업종료일이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Next, in step S232, the workable dat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weather forecast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with the work stop criteria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task is used to calculate from the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task, and the work end date for each detailed task is derived can do. As there are forecast values of the weather indicators derived earlier for each day,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work can proceed by linking it with the work stop criteria,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 can proceed, For example, it may be a unit of 5 days to a unit of 10 day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vailable days (working days) in which the work is possible. Therefore, if the available work days are reduced due to bad weather, the work end date calculated from the work start date may be later than expected due to work delay.

이어서, S233 단계에서는, 상기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순연될 수 있는 개별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최초 작업 계획이 현재 예상된 기상 조건하에서 언제 종료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예상종료일을 얻을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233,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may be deriv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work end dates for each detailed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time-series work order. In this process, the individual processes that can be deferred are sequentially linked to obtain an expected end date that predicts when the initial work plan will end under the currently anticipated weather conditions.

즉, 상기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예측된 날씨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종별 공사 기간 및 작업인원을 산출하고 공사일반표준시방서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등을 적용하여 작업가능일수을 산정할 수 있다.That is, by using the weather data predicted through the above series of processe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number of workers by type of work, and to calculate the number of workable days by applying the general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and rul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도 7은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기준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work stop standard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공사 현장에서 활용되는 기상 지표는 기상청에서 관찰하는 기상 지표 전체와는 상이하며, 공사 공정에서 관심을 갖는 기상 지표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토목공사 일반표준시방서를 적용한 작업불가능일수 산정은 콘크리트 공사의 경우 기온이 0℃ 이하이거나 30℃ 이상인 경우에 작업 중지한다. 또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의 경우 기온이 5℃ 이하인 경우에 작업 중지하고 있다. 나아가,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을 적용한 작업불가능일수 산정시 순간풍속이 10m/s를 초과하는 강풍의 경우 작업 중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As previously introduced, the meteorological indices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different from the overall meteorological indices observ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re are meteorological indices of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crete work,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days unavailable to work applying the general standard specification for civil engineering works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0℃ or above 30℃. In addition, in the case of asphalt concrete pavement work, work is stopped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5℃. Furthermore, when calculating the number of days unavailable to work to which the rule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are applied, in the case of a strong wind with an instantaneous wind speed exceeding 10 m/s, work suspension is the standar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기상 지표별로 산출된 기상 예측값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산출된 작업가능일을 이용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로부터 기산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도출함에 있어서, 세부 기상 지표에 대해 수집된 복수 개의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범위로부터 작업중지기준을 결정하되, 세부 작업별로 외부 및 내부 작업을 분리하여 작업중지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by comparing the weather forecast value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ork stop criteria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task, the workable days calculated by using the available work days are counted from the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task, and the work end date for each detailed task In deriving , the work stop criteria are determined from the work stop ranges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a plurality of work types collected for detailed weather indicators, but it is preferable to designate the work stop range by separating external and internal work for each detailed work .

도 7을 참조하면, 공정별 작업에 따라 외부 공사와 내부 공사가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 세부 기상 지표에 따른 작업중지기준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우량(비), 강설량(눈), 풍속의 경우 실내외에 따라 차등화된 기준이 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반면 기온이나 습도의 경우 실내외 모두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부 작업에 대해 외부 및 내부 공사를 분리하되, 각각에 대해 작업중지의 판단 기준을 달리하여 설정함으로써 악천후의 영향으로 인해 최초 예정된 공사 완료시점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의 스케줄 조정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악천후로 통칭되는 기상 상황의 악화만으로 전체 공사를 중지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경량기포 콘크리트 공사'의 경우 비가 많이 오는 상황과 무관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작업이 기온에만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건설 공사를 구성하는 세부 작업들마다의 환경적 제약 조건을 세분화하고, 또한 내부 및 외부 작업 여부를 분류하되, 각각의 제약 조건을 예측된 기상 지표와 연계하여 판단함으로써 세부 작업의 진행 가능 여부를 보다 정교하게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external construction and the internal construction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work for each process, and the work stop criteria according to the detailed weather indicators are differ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rainfall (rain), snowfall (snow), and wind speed, it can be seen that differentiated standards are presented according to indoor and outdoor conditions, whereas in the cas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same standard is applied both indoors and outdoors. In this way, separate external and internal construction works for detailed work, but by setting different criteria for suspending work for each, schedule adjustment in case of failure to comply with the initially scheduled construction completion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bad weather is more flexible can be applie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reason to suspend the entire construction project solely due to the worsening of the weather condition,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bad weather. Referring to FIG. 7 , for example, in the case of 'light foam concrete construction', work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a heavy rain situation, because the work is limited only by temperature. Therefore, the detailed work progresses by subdividing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for each detailed work constituting one construction work, and classifying whether the work is inside or outside, and judging each constraint in connection with the predicted weather indices. You can make more precise decisions about whether or not this is possible.

도 8은 복수 개의 작업중지범위로부터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유보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ferring non-overlapping areas from a plurality of work stop rang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안하는 작업중지기준은 단일의 법규나 합의된 기준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다수의 건설시공사들이 자체 경험에 기반하여 추적된 기준이 존재하며, 또한 산업계의 공통 인식으로부터 축적된 기준도 존재한다. 따라서, 작업 주체별, 기술수준별, 심지어 지역별로도 작업중지기준이 부분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The work stoppage standards propos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exist in a single legal or agreed standard. There are standards tracked by many construction companie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there are also standards accumulated from common perceptions in the industry. Therefore, the work cessation standards may be partially different for each work subject, skill level, and even reg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복수 개의 작업중지기준을 수집하고, 이를 비교/누적하여 하나의 작업중지기준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치하지 않는 범위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도 8에서는 다수의 작업중지기준(810)이 갖는 상이한 세부 기준으로부터 크게 '작업가능', '작업불가'에 해당하는 분류 이외에 '작업유보'에 해당하는 구간을 도출하였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설에 관한 3개의 작업중지기준이 예시되어 있으며, 각각 강우량(비)과 습도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도 8의 (b)에서는 강우량(비) 및 습도에 관하여 중첩된 수치 구간에 대해서는 작업 가능 및 불가능의 기준을 설정하되, 작업중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유보 구간(821, 822)을 설정하여, 스케줄링 조정시에 현장의 판단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 a plurality of work stoppage standards from various sources, and compare/accumulate them to derive one work stop standard. In this process, there was a problem about how to handle the inconsistent range, and in FIG. 8 , in addition to the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workable' and 'work impossible', from the different detailed criteria of a plurality of work stop standards 810, A section corresponding to 'work reservation' was derived. Referring to Fig. 8 (a), three work stop criteria for concrete pouring are exemplifi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ainfall (rain) and humidity, respectively. Now, in FIG. 8 (b), the standards of workable and impossible are set for the overlapping numerical sections with respect to rainfall (rain) and humidity, but reserved sections 821 and 822 for the area where the work stop range does not overlap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respond flexibly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field when scheduling adjustments.

요약하건대, 세부 기상 지표에 대해 수집된 복수 개의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범위로부터 작업중지기준을 결정하되, 세부 작업별로 외부 및 내부 작업을 분리하여 작업중지범위를 지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중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작업 지역 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가능 여부를 유보하여 판단하는 조정범위를 설정하였다.In summary, the work stop criteria are determined from the work stop rang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work types collected for detailed weather indicators, but the work stop range is specified by separat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work for each detailed work, and at least one work For the area where the stopping range does not overlap, the adjustment range was set for judging whether or not work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work area or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도 9는 기상 예측값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가능여부의 판단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도 8을 통해 작업중지기준을 '작업가능', '작업불가'에 더하여 '작업유보'의 3가지 분류 기준을 설정하였고, 그에 따라 각각의 세부 작업별로 예측된 기상 상황에 따라 판단한 결과를 예시하였다. 예를 들어, '파일항타'에 대해서는 7/9(목)에 작업이 불가능한 것을 확정할 수 있는 반면, '용접'에 대해서는 작업 유보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숙련된 작업자를 보유한 현장에서는 제시된 기후 지표에 따라 '용접' 작업의 진행 여부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work is possible for each detailed task according to a weather forecast value. Previously, thre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k reservation' were set by adding the work stop criteria to 'work possible' and 'work impossible' through FIG. did For example, it can be confirmed that work is impossible on 7/9 (Thu) for 'pilling driving', while it can be confirmed that work is reserved for 'welding'. Therefore, a site with skilled workers will be able to flexibly decide whether to proceed with the 'wel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uggested climate index.

도 10은 세부 작업별 작업가능일의 산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기상 예측값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작업가능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작업유보' 항목에 대한 최종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면, 세부 작업별 작업가능일을 소구간별로 산출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월 단위로 작업가능일수를 산출한 것을 예시하였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culation result of workable days for each detailed task. If it is determined whether work is possible for each detailed task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value, and a final decision is made on the 'work reservation' item, the workable days for each detailed task can be calculated for each sub-section. 10 exemplifies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workable days on a monthly basis.

도 11은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와 기상 예측값에 따른 작업가능여부를 고려하여 목표종료일의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공종별로 세부 작업이 명시되어 있고, 이들을 시계열적으로 연결하여 수립된 작업 계획에 따라 각각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일정이 결정된다. 또한 해당 일자의 기상 예측값이 도출되어 세부 기상 지표와 함께 제시되었다. 시간의 추이에 따라 각각의 작업들이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여 정상적으로 진행되던 중 '콘크리트 타설'의 예정일에 이르렀을 때, 기상 예측값에 따라 작업중지기준에 해당함을 감지하였다. 따라서, 통상적인 작업 지연(1110)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의 작업들이 순연되어 최종적인 작업이 목표종료일을 준수하지 못하고 도과(1120)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종료일의 준수를 위해 일정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그 원인이 단지 악천후라는 표현으로 통칭될 수 없음을 이미 강조한 바 있다. 즉, 세부 작업별로 충족되어야 하는 작업중지기준이 상이하므로 각각의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중지기준에 설정된 기상 지표를 개별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정교한 일정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target end date is complied with in consideration of a time-series work sequence and whether work is possible according to a weather forecast value. Referring to FIG. 11 , detailed work is specified for each work type, and a schedule for performing each work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work plan established by connecting them in time series. In addition, weather forecast values for the day were derived and presented together with detailed weather indicator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ime, when the scheduled date of 'concrete pouring' was reached while each work satisfies the work stop criteria and was proceeding normally, it was detected that it met the work stop criteria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value.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a typical task delay 1110 occurs, and subsequent tasks are delayed so that the final task does not comply with the target end date and passes 1120 . In this case, it may be judged that schedule adjustmen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target end date, but it has already been emphasized that the cause cannot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just bad weather. That is, since the work stop criteria that must be satisfied for each detailed job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observe the weather indicators set in the work stop criteria corresponding to each job, and accordingly, more sophisticated schedule adjustment is possibl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과정(S240 단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step S240) of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241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된 예상종료일이 상기 목표종료일보다 후행하는 경우, 상기 예상종료일과 상기 목표종료일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S242 단계에서는 산출된 차이에 해당하는 필요작업일과 표준 인력에 기반한 필요작업자수의 곱으로부터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할 수 있다. 필요공수는 목표종료일을 준수하기 위해 현재 필요하다고 예상되는 작업량을 의미하므로, 표준 인력이 수행 가능한 단위 작업 능력과 투입 시간/날짜의 조합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In step S241, when the previously derived expected end date is later than the target end date,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end date and the target end date is calculated. Then, in step S242,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from the product of the required work days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fference and the number of required workers based on the standard manpower. Since the required man-hour refers to the amount of work that is currently expected to be required to meet the target end date, it can be determin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unit work capacity that a standard man can perform and the input time/dat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공정 관리 방법에서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과정(S250 단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rocess (step S250) of adjusting an initial work plan in a detailed work unit i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251 단계에서는 도출된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작업에 대한 후보 계획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는, 세부 작업의 유형이 실외 작업 및 실내 작업별로 분리된 작업중지기준을 고려하여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을 도출하되,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로부터 인접한 기간 내에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순서의 변경이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또는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의 기상 예측값에 따라 상기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대체가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순서 변경 또는 작업 대체에 따른 후보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작업의 유형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작업중지기준을 차별적으로 살펴보되, 기상 예측값이 제시하는 세부 기상 지표를 적용하여 현재의 작업 지연을 만회할 수 있는 후보들을 도출한다. 이때, 작업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지, 또는 최초 설정된 작업을 다른 작업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여 풍부한 후보군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251, a candidate plan for at least one detailed task is genera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ing days available for the derived required man-hours. In this process,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 days i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cessation criteria separated by outdoor work and indoor work, in which the type of detailed work is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work within a period adjacent to the work start date of the detailed wor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job that satisfies the job cessation criteria and the order can be changed, or whether there is a job that satisfies the job cessation criteria and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value of the job start date of the detailed job. Candidate plans according to substitution can be created. In other words, the criteria for stopping work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re differentiated, and candidates that can make up for the current work delay are derived by applying the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ators suggested by the weather forecast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ich candidate group by examining whether the order of the tasks can be changed or whether the initially set task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task.

S251 단계에서는 S251 단계를 통해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한 비용의 변화 및 일정의 변화로부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한다. 이 과정에서는,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하여, 상기 필요공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화된 작업자수에 따른 비용,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비용 및 작업의 대체에 따른 비용의 변화로부터 산출된 비용 손익값 및 일정의 지연에 따른 일정 손익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을 선형 결합함으로써 비용 및 일정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한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앞서 생성된 후보 계획들 중 어떠한 후보가 가장 적절한 후보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판단 기준으로서 '손익 대표값'이라는 지표를 제공한다. In step S251, a representative profit and loss value is calculated from a change in cost and a change in schedule for the candidate plan generated in step S251 to match the candidate plan. In this process, with respect to the generated candidate plan,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changed to satisfy the required man-hours, the cost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and the cost profit/loss value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the cost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 job and the schedule delay Calculates a fixed profit and loss value according to , and by linearly combining the calculated profit and 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 and loss value, a representative profit and loss value that considers changes in cost and schedule at the same time is calculated and matched with the candidate plan and stor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ex of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is provid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ich candidate is the most appropriate candidate among the previously generated candidate plans.

후보 계획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는 단순히 최초의 목표종료일을 준수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볼 수도 있으나, 목표종료일을 완벽하게 준수하지 못하더라도 비용 측면에서 큰 손실을 회피할 수 있다면 그 역시 가치있는 선택이 될 수 있다. 반면, 비용에서의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기간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비용 및 일정의 변화를 동시에 함께 관찰하면서, 각각의 손익을 나타내는 지표의 도입이 필요하였다. 통상적으로 계획 변경이나 스케줄 조정에 따른 비용의 증감은 산술적으로 계산하기 용이하나, 일정의 변화에 따른 손익을 독립적이고 정량적으로 수치화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용의 손익과 일정 변화의 손익(일정의 조기 완료에 따른 기간의 이득 또는 지연에 따른 기간의 손실을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을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손익 대표값'이라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였다.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adequacy of the candidate plan, it is possible to simply look at whether the initial target end date can be met. can be an option.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situations whe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ofit in the period even at the expense of a loss in cost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an index indicating each profit or loss while simultaneously observing changes in cost and schedule. In general, it is easy to calculate the increase or decrease of cost due to plan change or schedule adjustment, but it is not easy to quantify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schedule change independently and quantitatively.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ss of profit and loss' is obtained by linearly combining the profit and loss of cost and the profit and loss of schedule change (meaning that the gain of the period due to the early completion of the schedule or the loss of the period due to the delay is digitized.) A new indicator called 'representative value' was develope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비용손익값은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세부 작업의 비용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후보 계획 내에 포함된 세부 작업의 비용의 변화된 값(비용의 증감 값) 내지 정도(비용의 증감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일정손익값은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세부 작업의 수행 기간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후보 계획 내에 포함된 세부 작업의 수행 기간의 변화된 값(기간의 증감 값) 내지 정도(기간의 증감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a는 비용손익값에 대한 가중치이고, b는 일정손일값에 대한 가중치로서 양자의 합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현의 편의를 위해, a 및 b는 각각 '0' 초과이며 '1' 미만의 값으로 설정되어 양자의 합이 '1'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비용 손익값 및 일정 손익값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상보적인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비용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 및 일정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를 차별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st/loss value is to be calculated as a changed value (increase/decrease value of cost) or degree (increase/decrease ratio of cost) of the cost of the detailed work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candidate plan based on the cost of the detailed work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can In addition, the constant profit and loss value is a changed value (increase/decrease value of period) or degree (increase/decrease ratio of period) of the execution period of the detailed task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candidate plan based on the execution period of the detailed task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can be calculated. Furthermore, a is a weight for the cost/loss value, and b is a weight for a constant hand/loss valu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both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For convenience of implementation, each of a and b may be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0' and set to a value less than '1' so that the sum of both is '1'. That is, the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is calculated by differentially considering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cost change and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schedule change by setting complementary weight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or each of the cost profit and 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 and loss value. It is desirable to induce

이제, S253 단계에서는 상기 손익 대표값과 매칭된 상기 후보 계획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만약, 후보 계획이 복수 개 생성된 경우 산출된 상기 손익 대표값에 따라 손해의 정도가 최소화되는 후보 계획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후보 중에 어떠한 후보 계획이 사용자(건축주)의 요구에 부응하는지를 정량적인 수치로서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요구는 비용에 관한 사용자의 관점(예를 들어, 비용 증가를 얼마만큼 민감하게 수용할 수 있는지) 및 일정에 관한 사용자의 관점(예를 들어, 일정의 지연을 얼마만큼 민감하게 수용할 수 있는지)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된 수학식 1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Now, in step S253, the initial work plan may be adjusted in a detailed work unit by using the candidate plan matched with the representative profit/loss value. If a plurality of candidate plans are generated, the initial work plan may be adjusted in a detailed work unit by selecting a candidate plan in which the degree of damage is minimiz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candidate plan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s meets the needs of the user (the building owner) as a quantitative numerical value. In this case, the user's request is based on the user's point of view regarding cost (eg, how sensitively it can accommodate an increase in cost) and the user's point of view regarding the schedule (eg, how sensitively it can accommodate the delay of the schedule). I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above Equation 1 to mean).

도 14는 조정된 작업 계획을 도출하는 과정의 고려 요소와 손익 대표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3의 처리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an adjusted work plan and a representative profit/loss value, and the processing process of FIG. 13 is visually expressed.

먼저 최초 작업 계획(1410)이 수립되고, 기상 예측값(1452)에 따라 작업중지기준(1451)을 부합하지 못하는 세부 작업들로 인한 지연이 발생(1420)하여 목표종료일을 준수할 수 없게 되었다고 가정하자. 이에, 기상 예측값(1452)과 작업중지기준(1451)을 함께 고려하여 새로운 후보 계획(1430)이 도출된다. 즉, 세부 작업의 유형이 실외 작업 및 실내 작업별로 분리된 작업중지기준을 고려하여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을 도출하되,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로부터 인접한 기간 내에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순서의 변경이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또는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의 기상 예측값에 따라 상기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대체가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순서 변경 또는 작업 대체에 따른 후보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work plan 1410 is established, and the delay due to detailed tasks that do not meet the work stop standard 1451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1452 occurs 1420 and it is impossible to comply with the target end date. . Accordingly, a new candidate plan 1430 i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prediction value 1452 and the work stoppage criterion 1451 together.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 days is derived by considering the work stop criteria separated by the type of detailed work for outdoor work and indoor wor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job that satisfies the criteria and can change the order, or whether there is a job that satisfies the above job stop criteria and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value of the job start date of the detailed job. Candidate plans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다음으로, 각각의 후보들(1470)은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으로부터 결정되고, 대응하는 비용 및 일정의 변화로부터 수학식 1에 따른 손익 대표값(1480)이 산출되어 매칭된다.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하여, 상기 필요공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화된 작업자수에 따른 비용,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비용 및 작업의 대체에 따른 비용의 변화로부터 산출된 비용 손익값 및 일정의 지연에 따른 일정 손익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을 선형 결합함으로써 비용 및 일정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한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상보적인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비용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 및 일정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를 차별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each of the candidates 1470 is determined from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ing days, and a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1480 according to Equation 1 is calculated and matched from the corresponding cost and schedule change. With respect to the generated candidate plan,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changed to satisfy the required man-hours, the cost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and the cost profit/loss value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the cost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 job, and the constant profit and loss due to the delay of the schedule A value is calculated, and by linearly combining the calculated cost/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loss value, a representative profit/loss value that considers changes in cost and schedule at the same time is calculated and matched with the candidate plan and stored. At this time, by setting complementary weights for each of the cost profit and 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 and loss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cost change and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schedule change are differentially considered, and the representative profit and loss value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이제, 손익 대표값(1480)을 기준으로 하나의 후보 계획이 선택되어 조정된 작업 계획(1490)이 생성될 수 있다. 후보 계획이 복수 개 생성된 경우 산출된 상기 손익 대표값에 따라 손해의 정도가 최소화되는 후보 계획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Now, one candidate plan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1480 to generate an adjusted work plan 1490 . When a plurality of candidate plans are generated, the initial work plan may be adjusted in a detailed work unit by selecting a candidate plan in which the degree of damage is minimiz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에 기반한 공정 관리 시스템(50)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2의 각 단계를 하드웨어 구성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각 구성의 기능 및 동작에 집중하여 그 개요만을 약술하도록 한다.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management system 50 based on weather pred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each step of FIG. 2 is reconstructed in terms of hardware configuration. Therefore,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here, only the outline will be outlined by focusing on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공정 관리 시스템(50)의 입력부(10)는 미리 설정된 기간에 대한 기후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 개의 작업중지기준을 입력받아 통합된 작업중지기준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of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50 may receive the climate data for a preset period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30, and also receive a plurality of work stoppage criteria to generate an integrated work stoppage standard, and the database ( 30) can be stored.

공정 관리 시스템(50)의 처리부(20)는 대상 건설사업에 관하여 공종별 필요작업일수를 포함하는 최초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후 데이터의 세부 기상 지표별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처리부(20)는, 상기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되 산출된 기상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예상종료일과 최초에 설정된 작업 계획의 목표종료일을 비교하여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며, 상기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 작업자수 및 추가 작업일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한다.The processing unit 20 of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50 establishes an initial work plan including the required number of work days for each work type with respect to the target construction project, and weathers by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ators of climate data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Calculate the predicted value. Then, the processing unit 20 derives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by using the calculated weather forecast value while considering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and the derived expected end date and initially set The required man-hours insufficient are derived by comparing the target end dates of the work plans, and the initial work plan is adjusted in a detailed work unit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the additional work days available for the required man-hours.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종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의 개별 기상 지표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공사 기간 동안의 공공 기상 데이터에 기반한 날씨를 예측함으로써 중소 규모의 건축주의 유연한 일정 관리를 도모하고, 세부 기상 지표별로 산출된 기상 예측값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하여 공사 공정의 지연 여부를 추정하고 작업 지연에 따라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여 순서 변경 또는 작업 대체에 따른 후보 계획을 생성하되 손해를 최소화하는 후보 계획을 선택하여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공사 기간의 낭비가 최소화되는 작업 스케줄링이 가능하며, 후보 계획에 대해 비용 및 일정의 손익을 함께 고려하여 손익 대표값을 산출함으로써 복수 개의 건축주의 요구에 부합하는 최적의 후보 계획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dicting the weather based on public meteorological data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signed to correspond to individual weather indicators of work suspension criteria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The order is changed by facilitating flexible schedule management of large-scale clients, and estimating delay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by comparing work stop criteria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and deriving insufficient man-hours according to the delay.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reate a candidate plan according to work substitution, but select a candidate plan that minimizes damage and adjust the initial work plan into detailed work units to minimize unnecessary construction period wast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selection of an optimal candidate plan that meets the needs of a plurality of clients by calculating the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by considering the profit and loss of both.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Meanwhi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inly review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410, 810, 1451: 작업중지기준
821, 822: (작업 유보를 위한) 조정 범위
1410: 최초 작업 계획
1420: 지연된 작업 계획
1430, 1470: 후보 계획
1452: 기상 예측값
1480: 손익 대표값
1490: 조정된 작업 계획
50: 공정 관리 시스템
10: 입력부
20: 처리부
30: 데이터베이스
410, 810, 1451: Criteria for stopping work
821, 822: Adjustment range (for work hold)
1410: Initial work plan
1420: Deferred work plan
1430, 1470: Candidate Plan
1452: weather forecast
1480: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1490: Coordinated work plan
50: process control system
10: input
20: processing unit
30: Database

Claims (10)

(a) 공정 관리 시스템이 대상 건설사업에 관하여 공종별 필요작업일수를 포함하는 최초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b)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후 데이터의 세부 기상 지표별로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상기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되 산출된 기상 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도출된 상기 예상종료일과 최초에 설정된 작업 계획의 목표종료일을 비교하여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공정 관리 시스템이 상기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 작업자수 및 추가 작업일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관리 방법.
(a) establish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an initial work plan including the required number of working days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for the target construction project;
(b) calculat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of the climate data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c) deriv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an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by using the calculated weather forecast value while considering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d)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by comparing the expected end date derived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with the target end date of the initially set work plan; and
(e) adjusting, b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the initial work plan to a detailed work unit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 days available for the required number of hours; including, a process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공사착수일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종래의 기후 데이터로부터 종속 변수인 세부 기상 지표에 관한 복수 개의 독립 변수를 선택하여 다중 회귀(multiple regression) 함수를 설정하는 단계;
(b2) 설정된 상기 다중 회귀 함수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목적 함수를 도출하여 회귀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b3) 결정된 회귀 계수에 따른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세부 기상 지표별로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기상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독립 변수는 공종에 따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의 개별 기상 지표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공정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b) is,
(b1) setting a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detailed meteorological indica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from conventional climate data collected for a preset period based on the construction start date;
(b2) determining a regression coefficient by deriving an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error of the set multiple regression function; and
(b3) calculating a weather forecast value for the preset period for each detailed weather index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gression coefficient;
The plur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to correspond to individual meteorological indicators of the work stoppage criteria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최초 작업 계획 내에 포함된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에 따라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세부 기상 지표별로 산출된 기상 예측값과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산출된 작업가능일을 이용하여 상기 세부 작업별 작업개시일로부터 기산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도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시계열적인 작업 순서를 고려하여 세부 작업별 작업종료일을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최초 작업 계획의 예상종료일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c) is,
(c1) setting a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included in the initial work plan;
(c2) deriving a work end date for each detailed task by counting from the work start date for each detailed task using the available workable day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weather forecast calculated for each detailed meteorological index with a work stop criterion set in advance for each detailed task; and
(c3) deriving the expected end date of the initial work plan by sequentially connecting work end dates for each detailed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time-series work sequen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세부 기상 지표에 대해 수집된 복수 개의 공종에 따른 세부 작업별 작업중지범위로부터 작업중지기준을 결정하되, 세부 작업별로 외부 및 내부 작업을 분리하여 작업중지범위를 지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중지범위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작업 지역 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가능 여부를 유보하여 판단하는 조정범위를 설정하는, 공정 관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c2) is,
Determine the work stop criteria from the work stop range for each detailed work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work types collected for detailed weather indicators, but specify the work stop range by separating external and internal work for each detailed work, and at least one work stop range is A process control method for setting an adjustment range for determining whether work is possible with respect to a non-overlapping area based on a work area or the skill level of a wor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도출된 상기 예상종료일이 상기 목표종료일보다 후행하는 경우, 상기 예상종료일과 상기 목표종료일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d2) 산출된 차이에 해당하는 필요작업일과 표준 인력에 기반한 필요작업자수의 곱으로부터 부족한 필요공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d) is,
(d1)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end date and the target end date when the derived expected end date is later than the target end date; and
(d2) deriving insufficient required man-hours from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required workers based on the number of required workers and standard manpower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fference; including, a process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도출된 상기 필요공수에 대하여 활용 가능한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작업에 대한 후보 계획을 생성하는 단계;
(e2)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한 비용의 변화 및 일정의 변화로부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하는 단계; 및
(e3) 상기 손익 대표값과 매칭된 상기 후보 계획을 이용하여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e) is,
(e1) generating a candidate plan for at least one detailed task from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ing days available for the derived required man-hours;
(e2) matching with the candidate plan by calculating a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from the change in cost and schedule change for the generated candidate plan; and
(e3) adjusting the initial work plan in a detailed work unit by using the candidate plan matched with the profit and loss representative value; including, a process management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는,
세부 작업의 유형이 실외 작업 및 실내 작업별로 분리된 작업중지기준을 고려하여 추가작업자수 및 추가작업일의 조합을 도출하되,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로부터 인접한 기간 내에 세부 작업별로 미리 설정된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순서의 변경이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또는 세부 작업의 작업개시일의 기상 예측값에 따라 상기 작업중지기준을 만족하며 대체가 가능한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업 순서 변경 또는 작업 대체에 따른 후보 계획을 생성하는, 공정 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e1) is,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additional workers and additional working days i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cessation criteria, where the type of detailed work is separated by outdoor work and indoor work,
Whether there is a task that satisfies the preset work cessation criteria for each detailed task and whose order can be changed within a period adjacent to the work start date of the detailed task, or satisfies the task cessation criterion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value of the work start date of the detailed task, and replacement is not possible A process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possible operation exists and generating a candidate plan for reordering or replacing operation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2) 단계는,
생성된 후보 계획에 대하여, 상기 필요공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화된 작업자수에 따른 비용,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비용 및 작업의 대체에 따른 비용의 변화로부터 산출된 비용 손익값 및 일정의 지연에 따른 일정 손익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을 선형 결합함으로써 비용 및 일정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한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계획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공정 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Step (e2) is,
With respect to the generated candidate plan,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changed to satisfy the required man-hours, the cost according to the worker's skill level, and the cost profit/loss value calculated from the change in the cost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 job, and the constant profit and loss due to the delay of the schedule calculate the value,
By linearly combining the calculated cost/loss value and the fixed profit/loss value, a representative profit/loss value that considers changes in cost and schedule at the same time is calculated and matched with the candidate plan and stor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2) 단계는,
상기 비용 손익값 및 상기 일정 손익값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상보적인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비용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 및 일정 변화에 따른 손익의 정도를 차별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손익 대표값을 산출하는, 공정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Step (e2) is,
Complementary weights are set for each of the cost profit and loss value and the constant profit and loss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by calculating the representative profit and loss value by differentially considering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change in cost and the degree of profit and loss according to the schedule change. To do, process control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3) 단계는,
상기 후보 계획이 복수 개 생성된 경우 산출된 상기 손익 대표값에 따라 손해의 정도가 최소화되는 후보 계획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최초 작업 계획을 세부 작업 단위로 조정하는, 공정 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Step (e3) is,
When a plurality of candidate plans are generated, the initial work plan is adjusted in detailed work units by selecting a candidate plan in which the degree of damage is minimiz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presentative value of profit and loss.
KR1020200121141A 2020-09-21 2020-09-21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KR102483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41A KR102483187B1 (en) 2020-09-21 2020-09-21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PCT/KR2021/001439 WO2022059868A1 (en) 2020-09-21 2021-02-03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on basis of weather foreca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141A KR102483187B1 (en) 2020-09-21 2020-09-21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43A true KR20220038843A (en) 2022-03-29
KR102483187B1 KR102483187B1 (en) 2023-01-03

Family

ID=8077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141A KR102483187B1 (en) 2020-09-21 2020-09-21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3187B1 (en)
WO (1) WO2022059868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11B1 (en) * 2022-06-14 2022-11-25 주식회사 글로텍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optimized building cost using three dimensional object modu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61303B1 (en) * 2023-02-21 2023-07-28 (주)원빔그룹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olution through linkag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bim data and construction sche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230153A1 (en) * 2022-05-19 2023-11-20 Volvo Lastvagnar Ab Planning of a mission by geographical position and equipment allocation
CN115423446A (en) * 2022-09-20 2022-12-02 广西莲城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operation environment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g data
CN116311088B (en) * 2023-05-24 2023-08-04 山东亿昌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site
CN116862721B (en) * 2023-09-05 2023-11-21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Data analysis-based fabricated structur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946A (en) * 2006-02-20 2007-08-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ediction method for earning rate in construction
KR20130093567A (en) * 2012-02-14 2013-08-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tochastic estimating model for calculating duration of super-tall building project using vertical climate factors
US20150302529A1 (en) * 2014-04-18 2015-10-22 Marshall & Swift/Boeckh, LLC Roof condition evaluation and risk scor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35682A (en) * 2015-09-23 2017-03-31 현대건설주식회사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1907964B1 (en)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146545B1 (en) *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Fiel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y based on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946A (en) * 2006-02-20 2007-08-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ediction method for earning rate in construction
KR20130093567A (en) * 2012-02-14 2013-08-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tochastic estimating model for calculating duration of super-tall building project using vertical climate factors
US20150302529A1 (en) * 2014-04-18 2015-10-22 Marshall & Swift/Boeckh, LLC Roof condition evaluation and risk scor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35682A (en) * 2015-09-23 2017-03-31 현대건설주식회사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1907964B1 (en)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146545B1 (en) *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Fiel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y based on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411B1 (en) * 2022-06-14 2022-11-25 주식회사 글로텍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optimized building cost using three dimensional object modu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61303B1 (en) * 2023-02-21 2023-07-28 (주)원빔그룹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management solution through linkag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bim data and construction sche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9868A1 (en) 2022-03-24
KR102483187B1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187B1 (en)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weather prediction
Hsu et al. Optimal logistics planning for modular construction using two-stage stochastic programming
Chan et al.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durations in Hong Kong
Noshadravan et al. A lifecycle cost analysis of residential buildings including natural hazard risk
US20170357923A1 (en) Construction analytics to improve safety, quality and productivity
Riquelme et al. Adding qualitative context factors to analogy estimating of construction projects
CN115511467A (en) Projec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engineering cost
Gante et al. Forecasting construction cos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road projects in the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region XI
Markiz et al. Integrating fuzzy-logic decision support with a brid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rIMS) at the conceptual stage of bridge design.
Husin et al. Optimizing Time Performance in implementing Green Retrofitting on High-Rise Residential by using System Dynamics and M-PERT
Banks et al. Modelling changes in dimensions, health status, and arboricultural implications for urban trees
Alrefaie et al. Modelling labour productivity of reinforcement bar using polynomial regression: a study on a tropical country's weather
Panou et al. A fuzzy multicriteria evaluation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tunnels vis-à-vis surface roads: theoretical aspects—part I
Hudson et al. Minimum requirements for standard pavement management systems
Chang-Richards et al. A system dynamics model of post-earthquake reconstruction pathways
Hwang et al. Proactive project control using productivity data and time series analysis
Zimoch Life-cycle assessment (LCA) of existing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Tadesse et al. Conceptual cost estimation of road projects in Ethiopia using neural networks
Dell’Isola Detailed cost estimating
KR101846092B1 (en) Apparatus for prediction of process duration based on performed pattern analysis and method for prediction thereof
Mohammadi et al. Asset management decision-making for infrastructure systems
Sarja et al. European guide for life time design and management of civil infrastructures and buildings
Christensen An empirical assessment of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in Norwegian house construction
CN116822925B (en) Engineering project management system
Jamal et al.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dverse Weather Day Estimation in Project Planning: A Framework Utilizing Daily Work Re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