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313A -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313A
KR20220037313A KR1020200120127A KR20200120127A KR20220037313A KR 20220037313 A KR20220037313 A KR 20220037313A KR 1020200120127 A KR1020200120127 A KR 1020200120127A KR 20200120127 A KR20200120127 A KR 20200120127A KR 20220037313 A KR20220037313 A KR 2022003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air
supplied
space
vacuum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수정
Original Assignee
지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수정 filed Critical 지수정
Priority to KR102020012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7313A/ko
Publication of KR2022003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313A/ko
Priority to KR2020220002402U priority patent/KR200497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4Surface a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1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with submerged injectors, e.g. nozzles, for injecting high-pressure jets into a large volume or into 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5Mixing by jets impinging against collis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관에서 원수를 용해공간으로 공급하는 중에 원수의 이동압력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원수와 혼합시키도록 됨에 따라,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및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이송압력을 가지는 원수가 공급되도록 된 원수관과 원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수단을 가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에 있어서; 내부에 구비되는 원수의 이동경로상에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압형성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관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공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Connector for nano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원수에 공기를 용해하여 직경이 미소단위를 가지는 미세 기포인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에서 용해공간에 원수를 공급하도록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관과 용해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관에서 원수를 용해공간으로 공급하는 중에 원수의 이동압력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원수와 혼합시키도록 됨에 따라,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및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버블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초 미세 기포로써, 일반 버블의 1/2,000 크기로 피부의 모공 25㎛ 이하의 미세한 공기 입자이며, 소멸할 때 1) 40KHz의 초음파 발생시키고, 2) 140db의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며, 3) 4,000도~6,000도의 순간적인 고열 발생된다.
즉, 일반기포는 물속에서 상승해 표면에서 파열하지만 나노버블은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멸한다.
이러한 나노버블은 초 극미한 거품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나노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 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 사용분야가 온천욕부터 암진단까지 광범위하며 피부도 재생해주는데다가 살균효과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나노 버블은 선회액체류식, 스테이트믹서식, 아젝터식, 밴추리식, 가압용해식, 초음파식, 전기분해식, 미세기공필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나노버블발생설비 또는 장치를 통해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체가 혼합된 액체(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체를 미세기포로 전환시켜 나노 버블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공급수가 미세기포로 전환되는 과정은 기포가 함유된 공급수(물과 공기가 혼합된)가 미세관로가 구비된 발생수단의 미세관로를 통과하는 중에 분리 및 압축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노버블을 발생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들 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46040호(명칭: 나노버블발생장치)가 있으며, 상기 나노버블 발생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된 버블생성실과, 상기 버블생성실의 물유입구 및 공기유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마련되며 모터의 축에 끼워져 회전되고 물유입구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도되는 다수의 유도공이 구비된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물과 공기의 이동방향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유도공을 통해 유도된 물과 공기를 외 측 방향으로 분기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물과 공기를 교반하도록 회전디스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교반편들이 구비된 고정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물과 공기가 상기 교반편들과 마찰되면서 교반됨은 물론 교반편들의 사이를 지그잭으로 통과하면서 마찰되기 때문에, 으깨어지듯이 물과 공기를 강하게 교반함과 동시에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 방식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5 내지 20 bar의 높은 압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량손실이 크고, 다수의 노즐 및 부피가 큰 혼합탱크가 요구됨으로써, 장치의 구조와 설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선회액체류방식의 미세기포발생장치는, 상기 충격식노즐방식과 같이, 물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수를 와선형으로 공간을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이송압력을 통해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도록 된 것으로, 와선형 관로를 형성하여 혼합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이송되는 중에 발생된 와류압에 의해 나노버블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회액체류방식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단일노즐을 통해서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키지 못하며 높은 압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큰 혼합탱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내부에 공기의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공기의 혼합수에 함유된 공기를 용해하여 나노버블을 발생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혼합수의 공급에 따른 상기 용해공간)에서의 지속적인 공기압의 증대에 따라, 상기 용해공간에 잔존하는 공기의 용해가 발생하는 용해압력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용해공간에서 원수(수돗물)와 공기의 혼합에 따른 혼합수의 발생과 혼합수에 함유된 공기의 용해에 따라 원활하게 나노버블수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4604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노버블잘생장치들은, 혼합수를 구성하는 원수를 공급받도록 원수관과 용해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연결관과, 상기 용해공간으로 혼합수를 구성하는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공급장치가 각각 구비되어야만 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구조적을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별도의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간사용범위가 증대되어 공간사용효율이 떨어져 설계상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관에서 원수를 용해공간으로 공급하는 중에 원수의 이동압력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원수와 혼합시키도록 됨에 따라,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및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은, 이송압력을 가지는 원수가 공급되도록 된 원수관과 원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수단을 가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에 있어서; 내부에 구비되는 원수의 이동경로상에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압형성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관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공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되도록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에는 상기 원수관과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원수를 공급받도록 된 유입구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와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원수를 상기 용해공간으로 공급하도록 된 공급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공급구의 사이에는 원수가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가지는 연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본체에서 상기 이동경로는,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압형성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공기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관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공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되도록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은, 연결본체의 양단에 원수관 및 나노버블발생장치를 각각 접속하여 공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원수관에서 원수를 용해공간으로 공급하도록 됨은 물론, 연결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수의 이동경로상에서의 원수의 이동압력에 의해 진공압형성공간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이 형성되어, 공기공급공으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인되어 원수와 혼합됨에 따라, 나노버블발생시 소모되는 공기를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및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을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은, 이송압력을 가지는 원수가 공급되도록 된 원수관(100)과 원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A)이 구비된 용해수단(210)을 가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200)를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용해공간(A)으로 원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미도시된 원수공급설비(수도설비 포함)와 연결되어 원수(수돗물 포함)가 공급되는 상기 원수관(100)을 통해 상기 원수공급설비에 의해 발생된 이송압력을 가지는 원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수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라 상기 용해공간(A))에서의 지속적인 수압의 증대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용해공간(A)에서 고압의 수압에 의한 공기에 대한 용해압력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해공간(A)에서 원수와 공기의 혼합에 따른 혼합수의 발생과 혼합수에 함유된 공기의 용해에 따라 원활하게 나노버블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원수관(100)은, 수도관과 연결된 '급수관' 또는/및 상기 급수관에 접속된 '수도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수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급수장치와 연결된 '급수관' 또는/및 상기 급수관에 접속된 '수도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은, 내부에 구비되는 원수의 이동경로상에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10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압형성공간(B)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공기공급공(2)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원수관(100)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원수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에서 진공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공(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됨과 아울러,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200)의 용해수단(21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용해공간(A)에서의 나노버블발생시 소모되는 공기를 별도의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및 공간사용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진공압형성공간(B)은,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직경의 축소 및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에 형성되며, '파스칼원리'와 '베르누이의 정리 이론'에 따라, 축소되는 직경을 가지는 공간에서 '케비테이선(공동화)'가 발생된다..
즉,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이 원수의 이동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공(2)으로의 진공흡입력이 발생되어, 외부의 공기가 자연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은, 일단에는 상기 원수관(100)과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원수를 공급받도록 된 유입구(3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200)와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원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공급하도록 된 공급구(32)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31)와 상기 공급구(32)의 사이에는 원수가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가지는 연결본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본체(3)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유입구(31)와 상기 공급구(32)에 상기 원수관(100) 및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200)를 각각 접속하여 공간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수관(100)에서 원수를 상기 용해공간(A)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유입구(31) 및 상기 공급구(32)는, 상기 원수관(100) 및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200)와 각각 나사결합되면서 연결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입구(31)와 상기 공급구(32)는, '나사형상'의 '나사부'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에서, 상기 연결본체(3)의 상기 이동경로는,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10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공기공급공(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원수관(100)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원수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에서 진공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공(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됨과 아울러,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200)의 용해수단(A)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에서, 상기 연결본체(3)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유입구(31) 및 상기 공급구(32)가 형성되면서 내부가 관통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공급공(2)은, 상기 연결본체(3)의 외부와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을 각각 관통하면서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본체(3)가 성형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에 적합한 설계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은, 상기 연결본체(3)의 외부에서 상기 공기공급공(2)과 접속되면서 연결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에서 진공압의 형성유무에 따라, 공기의 공급에 대한 개폐를 하도록 된 일방향체크밸브(4)가 접속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원수관(100)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원수의 이동압력에 의해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에서 진공압이 형성되면 상기 일방향체크밸브(4)가 개방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공(2)을 경유하여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으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된 후,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200)의 상기 용해공간(A)으로 공급된다.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원수관(100)에서의 원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에서 진공압이 해제되고, 상기 나노바블발생장치(200)의 상기 용해공간(A)에서 역류하는 혼합수에 의해 상기 일방향체크밸브(4)가 폐쇄되면서 외부로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공기의 공급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공급공(2)에서의 외부로의 원수 또는/및 혼합수의 누수를 방지도록 되어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1)은, 상기 연결본체(3)의 외부에서 상기 공기공급공(2)과 공간적으로 접속되면서 연결되며 외부에서 상기 공기공급공(2)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단위시간당 이동량을 조절하도록 된 조절밸브(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밸브(5)를 통해 상기 진공압형성공간(B)에서 진공압의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일방향체크밸브(4)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공급공(2)으로 공급될 때, 공기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용해공간(A)에서의 적합한 공기압을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원수관(10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환경에 맞춤되면서 적합한 나노버블발생환경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나노버블발생환경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조절밸브(5)는, 상기 공기공급공(2)과 상기 일방향체크밸브(4)의 사이에 접속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공기공급공(2)과 상기 조절밸브(5) 및 상기 일방향체크밸브(4)들은,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관통된 '관(管;pip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연결튜브(6)들에 의해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튜브(6)들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전체 점유공간에서의 상기 조절밸브(5) 및 상기 일방향체크밸브(4)의 배치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공간사용효율을 증대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연결관 100 : 원수관
200 : 나노버블발생장치 210 : 용해수단
2 : 공기공급공 3 : 연결본체
31 : 유입구 32 : 공급구
4 : 일방향체크밸브 5 : 조절밸브
6 : 연결튜브
A : 용해공간 B : 진공압형성공간

Claims (2)

  1. 이송압력을 가지는 원수가 공급되도록 된 원수관과 원수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용해압력을 형성하도록 된 용해공간이 구비된 용해수단을 가지는 나노버블발생장치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에 있어서;
    내부에 구비되는 원수의 이동경로상에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압형성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압형성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관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공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되도록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에는 상기 원수관과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원수를 공급받도록 된 유입구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나노버블발생장치와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원수를 상기 용해공간으로 공급하도록 된 공급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공급구의 사이에는 원수가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가지는 연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본체에서 상기 이동경로는,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진 후 증대되어 상기 원수관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한 국부적인 진공압이 형성되는 진공압형성공간이 구비되, 상기 진공압형성공간과 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공기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관에서의 원수의 공급시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공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어 원수와 혼합되도록 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KR1020200120127A 2020-09-17 2020-09-17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KR20220037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127A KR20220037313A (ko) 2020-09-17 2020-09-17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KR2020220002402U KR200497600Y1 (ko) 2020-09-17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127A KR20220037313A (ko) 2020-09-17 2020-09-17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402U Division KR200497600Y1 (ko) 2020-09-17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13A true KR20220037313A (ko) 2022-03-24

Family

ID=809358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127A KR20220037313A (ko) 2020-09-17 2020-09-17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KR2020220002402U KR200497600Y1 (ko) 2020-09-17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402U KR200497600Y1 (ko) 2020-09-17 2022-10-11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37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20Y1 (ko) * 2022-10-26 2024-03-08 지수진 나노버블발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040B1 (ko) 2010-07-21 2012-05-14 주식회사 일성종합기계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8106A (ja) * 2019-02-26 2020-09-03 大生工業株式会社 微細気泡生成装置
KR102128202B1 (ko) * 2019-07-04 2020-06-29 주식회사 일성 자동제어가 적용된 나노버블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040B1 (ko) 2010-07-21 2012-05-14 주식회사 일성종합기계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20Y1 (ko) * 2022-10-26 2024-03-08 지수진 나노버블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01U (ko) 2022-11-28
KR200497600Y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3753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용 공기공급장치
KR102313214B1 (ko) 코일형 노즐을 구비하는 초미세기포 발생시스템
KR200497600Y1 (ko)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KR20230000438U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
KR102550189B1 (ko) 조립식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373626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190102811A (ko) 생활용수용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00126528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
KR20220037312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0497820Y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190105419A (ko) 생활용수용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550187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515903B1 (ko) 나노버블시스템
KR102515904B1 (ko) 나노버블시스템
KR102221231B1 (ko) 나노버블발생용해장치
KR102654571B1 (ko) 나노버블용 공기공급 제어시스템
KR102195918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299550B1 (ko) 나노버블발생기
KR20220138062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
KR102541642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102550186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KR20220169855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
KR20240009584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
KR20200126104A (ko) 나노버블발생기
KR20220094025A (ko) 나노버블발생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