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309A -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309A
KR20220037309A KR1020200120116A KR20200120116A KR20220037309A KR 20220037309 A KR20220037309 A KR 20220037309A KR 1020200120116 A KR1020200120116 A KR 1020200120116A KR 20200120116 A KR20200120116 A KR 20200120116A KR 20220037309 A KR20220037309 A KR 20220037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exposure
subject
drug exposure
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7234B1 (en
Inventor
서화정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234B1/en
Publication of KR2022003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3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The method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comprises: a drug exposure subject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subject exposing an evaluation target drug; a step of extracting a period during which the evaluation target drug is exposed to the drug exposure subject selected from the step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as a drug exposure period; and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tep of applying the drug exposure period to the selected drug exposure subjec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target drug. Accordingly, drug complianc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by extracting only the period during which a drug is not used in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period to reduce perpetual time bias or time bias to obtain drug compliance evaluation results with improved reliability.

Description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본 발명은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불멸시간 바이어스를 고려하여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in consideration of an immortal time bias.

질병 치료 목적으로 처방하는 약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에 있어서, 불멸 시간 편향(Immortal time bias) 문제가 발생한다. 불멸 시간 편향은 1970년대에 역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편향으로, 관심 질환 발생까지의 기간 중 약물에 노출되지 않은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에 포함시켜 약물 노출 기간을 정의하여 약물을 평가하는 경우, 약물에 노출되지 않은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에 미포함시켜 약물 노출 기간을 정의한 약물 순응도 평가 결과보다 위험비가 과소 추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In observational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rugs prescribe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an immortal time bias problem occurs. Immortality time bias is a bias first mentioned in the field of epidemiology in the 1970s. When a drug is evaluated by defining the duration of drug exposure by including the period of no drug exposure during the period up to the onset of the disease of interest, the duration of drug exposure is def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ratio can be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result, which defines the drug exposure period by not including the period not exposed to the drug exposure period.

불멸 시간 편향은 당뇨나 암 등 약물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질환에서 다수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불멸 시간 편향을 방지하는 한 방법으로서, 약물 간 전환(switching)에서 관심 약물이 아닌 다른 약물의 노출 기간을 삭제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 편향(Selection bias)를 초래한다. 약물 순응도 평가와 같이 내적 타당도가 낮아 편향의 통제가 중요한 관찰 연구에서 이러한 시간 편향을 다루는 것은 필요한 절차이나 과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한계점이 있어, 시간 편향을 고려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mmortality time bias can occur in many diseases, such as diabetes or cancer, in which drugs can be used in combination. In this case, as a method of preventing immortality time bias, an error of deleting an exposure period of a drug other than the drug of interest in switching between drugs may occur, which causes selection bias. In observational studies, where control of bias is important due to low internal validity, such as drug adherence evaluation, the necessary procedures and procedures a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deal with,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rug adherence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ime bia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8624(2010.12.1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8624 (published on December 18, 201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약물 노출이군 및 노출기간을 명확히 정의하여 불멸 시간 편향이 방지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여 약물 순응도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rug compliance evaluation by providing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in which immortality time bias is prevented by clearly defining drug exposure groups and exposure period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로부터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step of selecting the target drug exposure target for evaluation,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ed from the step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target drug Extracting the exposure period as a drug exposure period, and applying the drug exposure period to the selected drug exposure subjec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target drug.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약물 노출 대상자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또는 약물 소지여부에 따라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다.The drug exposure subject selection step is a step of extracting a subject who is exposing the evaluation target drug from the database as a drug exposure subject, and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according to the extracted drug exposure or drug possession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It is better to carry out including the steps.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일자별 약물 투여일자 또는 상기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includes disease, gender, age, type of drug being administered, drug prescription date, drug administration date, drug possession by date, disease onset date, and surgery date for a plurality of patient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to classify the drug exposure target set by comparing the drug administration date by date or whether the drug is possessed by the date with a set value in the database.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ug exposure period is extracted using a time-fixed analysis method in which the drug exposure start point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is fixed on a time table as an index date.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상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step is performed to extract the drug exposure period using a time-dependent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the period from the time of diagnosis of the disease of the subject exposed to the drug to the time of the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the drug non-exposure period. characterized.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applying a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model including time-varying covariates.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an odds ratio.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은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에서 선정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subject who is exposed to the evaluation target drug,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ed by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The period during which the evaluation target drug is expo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s the drug exposure period, and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target drug by applying the drug exposure period to the selected drug exposure subject.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환자 정보를 추출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 그리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상환자 정보 중 약물 소지비율 또는 복용 기간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추출된 대상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a drug exposure targe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arget patient information taking or administering the drug to be evaluated from the database, and a drug possession rate or duration of use of the target pati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rug exposure target extra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ug exposure subject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extracted target patient with the set value into a drug exposure target patient group.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일자별 약물 투여일자 또는 상기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base includes disease, sex, age, drug type being administered, drug prescription date, drug administration date, drug possession by date, disease onset date, and surgery date for a plurality of patient data, and the drug exposure subject classification unit includ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comparing the drug administration date by date or whether the drug is possessed by date in the database with a set value,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target set as a set.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ug exposure period is extracted using a time-fixed analysis method in which the drug exposure start point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is fixed on a time table as an index date.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상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extracts the drug exposure period using a time-dependent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the period from the time of diagnosis of the disease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to the time of the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the drug non-exposure period.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luation target drug is evaluated using a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model including time-variable covariates.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the performance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an odds ratio.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 중 약물이 사용되지 않은 기간만을 추출하여 약물 순응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어, 불멸시간 바이어스 또는 시간 편향이 감소되어 신뢰성이 향상된 약물 순응도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se features, drug complianc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by extracting only the period in which the drug is not used during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period.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의 접근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중 약물노출 대상자 선정부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ep of selecting a drug exposure subject in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roach of extracting a drug exposure period in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in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Then,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중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의 접근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roach of extracting a drug exposure period in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는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 그리고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drug exposure subject (S100),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period (S200), and evaluating the drug Step (S300) is included.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는 평가 대상인 약물을 노출할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겪고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S100) of selecting a subject for drug exposure is a step of selecting a subject to be exposed to a drug, which is an evaluation target, and may be performed to select a subject suffering from a specific disease or disease from a database.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환자에 대한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atab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tient data, and for each patient, such as disease, gender, age, type of drug being administered, drug prescription date, drug administration date, drug possession by date, disease onset date, surgery date, etc. may contain information.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는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 및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로 수행될 수 있는데, 먼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인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자로서 추출하도록 수행된다.The step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00) may be performed as a step (S110)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and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20). First, the step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10) is performed to extract a patient taking or administering a drug to be evaluated from the database as a drug exposure subject.

한 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는 평가 대상 약물의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코드에 대한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환자 정보를 추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해당 코드에 대한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했던 기록이 있는 환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In one example, the step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 S110 ) may be performed to retrieve the code of the drug to be evaluated in the database, and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taking or administering the drug for the code. Meanwhile, patient information with a record of taking or administering a drug for the code may be extra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위 단계(S110)는 시작일과 종료일이 지정된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 내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설정 횟수 이상 투여한 환자 정보를 추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약물 순응도 평가 기간으로 정의되는 시작일 및 종료일, 그리고 평가 대상 약물 투여 설정 횟수는 입력되는 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above step (S110) may be performed to extract information on patients who have administered the evaluation target drug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period in which the start date and the end date are specified, the start date and end date defined as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period, and evaluation The number of target drug administration setting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input value.

그리고,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위 단계(S110)에서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가 특정 기간 동안 평가 대상 약물을 소지한 비율 또는 복용기간에 따라 약물 노출 대상자를 적어도 하나의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된다. And,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20), the drug exposure subject extracted in the above step (S110) according to the rate of possess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for a specific period or the period of tak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to at least one target patient It is performed to classify into groups.

한 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위 단계(S11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가 1년의 기간 내에 평가 대상 약물을 소지한 기간을 비율로 환산하여, 그 비율이 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1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고, 그 비율이 제1 설정값 미만이자 제2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2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며, 그 비율이 제3 설정값인 경우 제3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20) converts the period in which the drug exposure subject extracted from the above step (S110) possessed the evaluation target drug within the period of one year into a ratio, and the ratio is the first If the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t is classified as a first target patient group, if the ratio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it is classified as a second target group, and if the ratio is the third set value, it is classified as a third target patient It can be performed to classify into groups.

이때, 약물 노출 대상자의 평가 대상 약물 소지 비율 판단 기간은 입력값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내지 제3 설정값은 질환 또는 평가 대상 약물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riod for determining the rate of possess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by the drug exposure subject may be set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first to third setting value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disease or a drug to be evaluated.

그리고, 약물 노출 대상자의 평가 대상 약물 소지 비율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환자에 대해 저장된 일자별 약물 소지여부를 참조하여 이를 비율로 환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te of possess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by the subject exposed to the drug may be converted into a ratio and applied with reference to whether or not the drug is possessed by date stored for each patient in the database.

다른 한 실시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의 설정 기간 내 약물 처방횟수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대상환자 군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20) may be performed to classify in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target patient groups with reference to the number of drug prescriptions within the set period of the extracted drug exposure subject. .

자세하게는,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가 1년의 기간 내에 평가 대상 약물을 처방받은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인 경우 제1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고, 처방받은 횟수가 제1 횟수 미만이자 제2 횟수 이상인 경우 제2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며, 처방받은 횟수가 제3 횟수인 경우 제3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number of times the extracted drug exposure subject was prescribed the drug to be evaluated within a period of one year or more, it is classified as a first target patient group, and if the number of prescriptions is less than the first number and more than the second number It may be classified into a second target patient group, and if the prescribed number of times is the thir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to a third target patient group.

제1 내지 제3 대상환자 군은 복수의 약물 노출 대상자를 포함하는 집합이거나 또는 한 명의 약물 노출 대상자를 포함하지 않는 집합일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target patient groups may be a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drug-exposed subjects or a set that does not include one drug-exposed subject.

이때, 약물 처방횟수 판단기간 및 제1 내지 제3 횟수는 입력값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고, 특히, 제1 내지 제3 횟수는 질환 또는 평가 대상 약물에 따라 설정 변경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ug prescription count determination period and the first to third counts may be set and changed according to an input value, and in particular, the first to third counts may be set and changed according to a disease or a drug to be evaluated.

이와 같이,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 및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수행됨에 따라,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자 중에서, 약물을 지속적으로 소지하거나 처방 받은 환자를 효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as the step (S100)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is performed including the step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10) and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S120), the evaluation target drug is being taken or administered Among the subject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lect a patient who has a drug continuously or has been prescribed.

이는, 평가 대상 약물을 단순히 일회성으로 처방 받은 후 소지하지 않는 증상이 경미한 환자와, 약물을 꾸준히 복용 중이거나 지속적으로 처방 받은 실질적 환자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약물 적용대상환자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확히 추출하여 약물을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patients with mild symptoms who do not possess the drug to be evaluated after a one-time prescription and those who are taking the drug steadily or have been prescribed it continuously.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계속해서 설명하면,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는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중인 환자가 해당 약물에 노출된 기간과 비노출된 기간을 분류하여, 이 단계(S200)에서 분류 및 추출된 약물 노출기간을 약물 순응도 평가에 사용할 약물 노출 기간으로 사용하도록 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method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tinuously described.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period (S200), the patient taking or administering the drug to be evaluated is exposed to the drug. By classifying the period and the non-exposure period, the drug exposure period classified and extracted in this step (S200) is used as the drug exposure period to be used for drug compliance evaluation.

한 예에서, 위 단계(S20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환자에 대해 저장된 약물 처방일자 또는 약물 투여일자를 참조하여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above step (S200) may be performed to extract the drug exposure period with reference to the drug prescription date or drug administration date stored for each patient in the database.

이때, 약물 노출기간은 평가 대상 약물이 단 1회 처방된 경우, 약물 노출 설정기간으로 대체되도록 추출되고, 평가 대상 약물이 적어도 2회 이상 처방된 경우에는 약물 노출 설정기간에 처방횟수를 곱한 값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위 단계(S200)에서 약물 노출기간은 약물 최초 처방일자부터 환자의 질환 완치 진단일자까지의 기간으로 추출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is case, the drug exposure period is extracted to be replaced by the drug exposure setting period when the drug to be evaluated is prescribed only once, and when the drug to be evaluated is prescribed at least twice or more, the drug exposure period is multiplied by the number of prescriptions. can be extracted. Alternatively, the drug exposure period in the above step (S200) may be extracted as the period from the initial drug prescription date to the patient's disease cure diagnosis d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위 단계(S200)에서 평가 대상 약물이 환자에게 실제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기간으로 추출함으로써, 약물을 평가함에 있어서, 다수의 약물이 복합 노출됨에 따른 약물 노출기간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bove step (S200), by extracting the actual exposure period of the drug to be evaluated to the patient as the drug exposure period, in evaluating the dru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errors in the drug exposure period due to multiple exposure to multiple drugs. .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약물 노출 대상자에 대한 약물 노출기간이 추출됨에 따라, 평가 대상 약물이 특정 대상환자 군에 노출된 기간 및 비노출 기간이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타임 테이블 상에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As the drug exposure period for the drug-exposed subject is extracted from the above steps (S100, S200), the period in which the drug to be evaluated is exposed to a specific target patient group and the non-exposure period are clearly on the time table as shown in FIG. can be distinguished.

도 3을 참고로 하는 한 예에서, 약물 노출 대상자는 서로 다른 대상환자 군들(MPR>=80%, MPR<80%, MPR=0%)중 적어도 두 개의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 대상환자 군에 대한 질병 진단시점,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 질병 진단시점으로부터 1년이 되는 시점, 그리고 이벤트 발생시점을 타임 테이블 상에 도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시점은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이벤트로서, 암 발생 등일 수 있다.In one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drug-exposed subject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two target patient groups among different target patient groups (MPR>=80%, MPR<80%, MPR=0%), each The time of diagnosis of disease for the target patient group, the time of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the time of one year from the time of diagnosis of the disease, and the time of event occurrence may be shown on the time table. Here, the event occurrence time is an event related to a patient's disease, and may be cancer occurrence.

이때, 추출된 약물 노출기간이 타임 테이블 상에 도시됨에 따라, 타임 테이블 상의 약물 노출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이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물을 평가함에 있어서, 약물 노출 기간으로 추출된 기간에 대해 약물을 평가할 수 있게 되어 약물 순응도 평가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as the extracted drug exposure period is shown on the time table, the remaining period excluding the drug exposure period on the time table may be regarded as the drug non-exposure period, and thus, in evaluating the drug, extraction as the drug exposure period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drug for the prescribed period,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rug compliance evaluation.

도 3의 (a)를 참고로 하는 한 예에서,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추출된 대상환자 군에 대한 약물 노출기간은,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일자(Index date)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하는 시간 고정형 분석(Time-fixed analysis)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 상의 약물 첫 처방시점이 지표일자로 설정됨에 따라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에서 지표일자를 약물 노출기간의 시작점으로 참조하여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할 수 있다.In one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ure 3, the drug exposure period for the target patient group extracted from the above steps (S100, S200), the drug exposure start point as an index date (Index date) on the time table It may be shown in the form of a time-fixed analysis that is fixed. At this time, as the first prescription time of the drug on the time table is set as the index date, the drug exposure period may be extracted by referring to the index date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rug exposure period in the step (S200)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period.

도 3의 (b) 내지 (c)를 참고로 하는 다른 한 예에서,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추출된 대상환자 군에 대한 약물 노출기간은, 타임 테이블 상에서 질병 진단시점부터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Unexposed)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Time-dependent analysis)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이때, 타임 테이블 상의 약물 첫 처방시점 이후의 기간을 약물 노출기간으로 설정됨에 따라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에서 약물 노출기간 및 약물 비노출기간을 참조하여 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s. 3 (b) to (c), the drug exposure period for the target patient group extracted from the above steps (S100, S200) is the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from the time of diagnosis of the disease on the time table It may be shown in the form of a time-dependent analysis in which the period up to the time point is regarded as the drug-unexposed period. In this case, as the period after the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on the time table is set as the drug exposure period, the drug exposure period can be extracted by referring to the drug exposure period and the drug non-exposure period in the step (S200)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period.

마지막으로,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는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로부터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와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기간을 토대로 약물을 평가한다. Finally, the step of evaluating the drug (S300) evaluates the drug based on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ed from the step (S200)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and the drug exposure period selected from the step (S100)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do.

이때,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로부터 선정된 약물 노출 대상자는 복수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대상환자 군이거나 단일개의 개별 환자정보일 수 있다. 약물 순응도 평가에 이용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가 대상환자 군인 경우,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S20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기간은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복수의 환자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복수의 환자정보에 대응되는 각 약물 노출 기간을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환자정보의 수로 평균내어 약물 노출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약물을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ed in the step (S100)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target may be a target patient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patient information or a single individual patient information. When the drug exposure target used for drug compliance evaluation is a target patient group,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ed from the step (S200)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period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ati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patient group, respectively, By averaging each drug exposure perio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ati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patient group as the number of pati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patient group, the average value of the drug exposure period may be calculated to evaluate the drug.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는 로지스틱 회기분석 또는 생존분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생존분석으로 수행되는 경우, 콕스 비례위험분석(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약물을 평가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evaluating the drug (S300) may be perform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r survival analysis, and when performed as a survival analysis, to evaluate the drug using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t may be performed.

한 예에서, 위 단계들(S100, S200)로부터 추출된 약물 노출 대상자에 따른 약물 노출기간이 도 3의 (b) 내지 (c)에 도시된 시간 의존형 분석 형태의 타임 테이블로 나타나는 경우,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는 외적 공변량(external time dependent covariate)인 시간 가변 공변량(time-dependent covariate)를 분석모델에 추가하여 약물을 평가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when the drug exposure period according to the drug exposure subject extracted from the above steps (S100, S200) appears as a time table in the form of time-dependent analysis shown in (b) to (c) of FIG. 3, the drug The evaluating step ( S300 ) may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drug by adding a time-dependent covariate, which is an external time dependent covariate, to the analysis model.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이 당뇨 질환에 처방되는 약물인 Metformin 및 OHA(oral hypoglycemic agent; 경구혈당강하제)가 복합 노출되는 당뇨 질환 대상자에 대한 Metformin의 암 발생 여부를 평가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일 예를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a diabetic disease subject to which Metformin and OHA (oral hypoglycemic agent; oral hypoglycemic agent), which are drugs prescribed for diabetic disease, are combined. A specific exampl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whether metformin for cancer occu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먼저,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 중 약물 노출 대상자를 추출하는 단계(S1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당뇨 약물 비복용군과 복용군으로 나누어 복용군을 약물 노출 대상자로 추출하도록 수행되고,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S120)는 추출된 당뇨 약물 복용군 중 Metformin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과, Metformin이 아닌 기타 당뇨약물(OHA)를 복용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된다.First, the step (S110) of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during the step (S100)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is performed to extract the drug exposure subject by dividing the diabetic drug non-taking group and the taking group in the database to extract the drug exposure subject, The step of classifying the subject (S120) is performed to classify the target patient group who took Metformin among the extracted diabetes drug group and the target patient group who took other diabetes drugs (OHA) other than Metformin.

다음으로, 약물 노출기간 추출단계(S200)는 위 단계(S100)에서 선정된 Metformin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과, 기타 당뇨약물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으로부터 각 당뇨약물 노출기간을 추출하여, 각 당뇨약물이 180일 미만 노출된 대상환자와 180일 이상 노출된 대상환자로 분류하도록 수행된다.Next,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step (S200) extracts each diabetic drug exposure period from the target patient group who took Metformin selected in the above step (S100) and the target patient group who took other diabetic drugs, It is performed to classify the target patient exposed to the drug for less than 180 days and the target patient exposed for more than 180 days.

마지막으로,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에서는 Metformin을 180일 이상 복용한 대상환자 군에 대한 Metformin 암 예방 효과와 기타 OHA를 180 이상 복용한 대상환자 군에 대한 기타 OHA의 암 예방 효과를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여 대상환자 군의 암 발생 오즈비(odds ratio)를 추출하도록 수행되고, 오즈비 추출시 참조군(ref)은 당뇨 약물 비복용군으로 적용된다. Finally, 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drug (S300), the cancer prevention effect of Metformin for the target patient group who took Metformin for 180 days or more and the cancer prevention effect of other OHAs on the target patient group who took other OHAs for 180 days or more were logistic, respectively. It is performed to extract cancer incidence odds ratio (odds ratio) of the target patient group by regression analysis, and when the odds ratio is extracted, the reference group (ref) is applied to the diabetes drug non-taking group.

이때,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100)가 Metformin을 180일 이상 복용한 대상환자 군을 30~40대 남성, 40~50대 남성, 50~60대 남성, 60~70대 남성, 70~80대 남성, 30~40대 여성, 40~50대 여성, 50~60대 여성, 60~70대 여성, 그리고, 70~80대 여성 군으로 선정하도록 수행되었을 때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의 수행결과는 남성 50~60대 대상환자 군의 오즈비가 0.664로 암 발생의 오즈비가 낮은 것으로 도출된다.At this time, in the step (S100)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target, the target patient groups who have taken Metformin for 180 days or more are men in their 30s and 40s, men in their 40s and 50s, men in their 50s and 60s, men in their 60s and 70s, and men in their 70s. Evaluating the drug when performed to select a group of men in their 80s, women in their 30s and 40s, women in their 40s and 50s, women in their 50s and 60s, women in their 60s and 70s, and women in their 70s and 80s (S300)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male patients in their 50s and 60s showed that the odds ratio was 0.664, indicating that the odds ratio of cancer occurrence was low.

한편, 30~40대 남성, 70~80대 남성, 30~80대 여성 대상환자 군의 경우 Metformin 및 기타 OHA의 암 예방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analyzed that Metformin and other OHAs have no cancer-preventing effect in the case of male patients in their 30s and 40s, males in their 70s and 80s, and females in their 30s and 80s.

또 다른 한 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위 과정에서, 약물 노출대상자 선정단계(S100)를 Metformin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과, 기타 당뇨약물을 복용한 대상환자 군에서 각 약물 소지비율(MPR)이 80% 이상인 환자를 대상환자 군으로 선정하도록 수행하고,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S200)를 수행한 다음,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in the abov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step (S100) was performed in the target patient group taking Metformin, and each drug possession ratio ( MPR) may be performed to select a patient of 80% or more as a target patient group, perform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step (S200), and then perform the drug evaluation step (S300).

이때, Metformin의 소지비율이 80% 이상인 대상환자 군과 기타 OHA의 소지비율이 80% 이상인 대상환자 군에 대한 Metformin의 암 예방 효과와 기타 OHA의 암 예방 효과를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여 대상환자 군의 암 발생 오즈비(odds ratio)를 추출하도록 수행되며, 오즈비 추출시 참조군(ref)은 당뇨 약물 비복용군으로 적용된다. At this tim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cancer prevention effect of metformin and the cancer prevention effect of other OHAs for the target patient group with a metformin possession ratio of 80% or more and the target patient group with an OHA possession ratio of 80% or more, respectively It is performed to extract cancer occurrence odds ratio, and when the odds ratio is extracted, a reference group (ref) is applied to a group not taking a diabetes drug.

이에 따른 약물을 평가하는 단계(S300)의 수행결과는 남성 50~60대 대상환자 군의 오즈비가 0.559로 Metformin의 암 발생의 오즈비가 낮은 것으로 도출되며, 30~40대 남성, 70~80대 남성, 30~80대 여성 대상환자 군의 경우 Metformin 및 기타 OHA의 암 예방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drug (S300), the odds ratio of the target patient group in male 50s and 60s was 0.559, indicating that the odds ratio of Metformin cancer occurrence was low. , It is analyzed that Metformin and other OHAs have no cancer-preventing effect in the case of female patients in their 30s and 80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에 따라 약물 노출 대상자가 선정되고 약물 노출 기간이 추출되어 약물 순응도 평가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ug exposure subjects are selected and the drug exposure period is extracted, thereby improving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reliability.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중 약물노출 대상자 선정부를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a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in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는 한 실시예에서,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S)은 도 1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처리장치 또는 해당 방법이 프로그램된 기록매체로서,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의 동작 및 실시예를 동일하게 수행하므로, 이하에서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S)을 간략하게 설명하더라도 각 구성 및 동작 실시예는 상기의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on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S) is a processing device that substantially performs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or a record in which the method is programmed As a medium, since the operation and embodiment of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are performed identically, even if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S) is briefly described below, each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ontents previously described in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S)은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200), 약물 순응도 평가부(300)를 포함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100 , a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200 , and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300 .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110)와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120)를 포함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한다.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1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환자 정보를 추출한다.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120)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110)에서 추출된 대상환자 정보 중 약물 소지비율 또는 복용 기간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추출된 대상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한다.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100 includes a drug exposure target extraction unit 110 and a drug exposure target classification unit 120 to select a drug exposure target. The drug exposure subject extraction unit 110 extracts target patient information taking or administering the evaluation target drug from the database. The drug exposure target classification unit 120 classifies the extracted target patient into a drug exposure target patient group by comparing the drug possession ratio or the duration of the drug among the target pati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rug exposure target extraction unit 110 with a set value.

그리고,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200)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에서 추출 및 분류된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에 포함된 환자의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한다.And,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200 extracts the drug exposure period of the patient included in the drug exposure target patient group extracted and classified by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100 .

약물 순응도 평가부(300)는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200)에서 추출된 약물 노출기간을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100)에서 선정한 대상환자 군에 적용하여 평가 대상 약물을 평가한다.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300 evaluates the evaluation target drug by applying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ed by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200 to the target patient group selected by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100 .

이에 따라, 특정 질환에서 복합적인 약물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약물 노출 기간을 고려하여 약물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어, 약물 순응도 평가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even when a complex drug is applied in a specific disease, the drug's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rug exposure perio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rug compliance evalu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S :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100 :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
110 :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 120 :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
200 :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 300 : 약물 순응도 평가부
S: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100: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110: drug exposure subject extraction unit 120: drug exposure subject classification unit
200: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300: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Claims (14)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로부터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step, which selects subjects exposed to the drug to be evaluated;
Extract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 target drug was exposed to the drug exposure subject selected from the step of select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as a drug exposure period, and,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target drug by applying the drug exposure period to the selected drug exposure subject.
제1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약물 노출 대상자로서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또는 약물 소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In claim 1,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step is,
Extracting a subject who is exposing the drug to be evaluated as a drug exposure subject in the database, and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performed, includ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according to the extracted drug exposure or drug possession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제2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를 분류하는 단계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일자별 약물 투여일자 또는 상기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In claim 2,
The step of classifying the drug exposure subject includes disease, gender, age, type of drug being administered, drug prescription date, drug administration date, drug possession by date, disease onset date, and surgery date for a plurality of patient data. Method for evaluating drug com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to classify the drug exposure target set by comparing the drug administration date by date or whether the drug possesses the drug by date in the database with a set value.
제1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 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In claim 1,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step is performed to extract the drug exposure period using a time-fixed analysis method in which the drug exposure start point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is fixed on a time table as an index date.
제1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단계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상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In claim 1,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step is performed to extract the drug exposure period using a time-dependent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the period from the time of diagnosis of the disease of the subject exposed to the drug to the time of the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the drug non-exposure period. A method for evaluating drug adherence characterized.
제5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In claim 5,
The drug adherence evaluation step is a drug adherence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applying a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model including time-varying covariates.
제1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방법.
In claim 1,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tep is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target drug as an odds ratio.
평가 대상 약물을 노출 중인 대상자를 선정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에서 선정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이 노출된 기간을 약물 노출 기간으로서 추출하는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 그리고,
선정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에게 상기 약물 노출 기간을 적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A drug exposure subjec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subjects who are exposed to the evaluation target drug;
A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eriod of exposure to the drug exposure subject selected by the drug exposure subject selection unit as a drug exposure period, and,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target drug by applying the drug exposure period to the selected drug exposure subject.
제8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선정부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 대상 약물을 복용 또는 투여 중인 대상환자 정보를 추출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 그리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추출부에서 추출된 대상환자 정보 중 약물 소지비율 또는 복용 기간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추출된 대상환자를 약물 노출 대상환자 군으로 분류하는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In claim 8,
The drug exposure target selection unit,
A drug exposure subjec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subject patient information taking or administering the evaluation target drug from the database, and
Drug exposure target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extracted target patient into a drug exposure target patient group by comparing the drug possession ratio or the duration of the drug among the target pati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rug exposure target extraction unit with a set value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9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질병, 성별, 나이, 투여 중인 약물 종류, 약물 처방일자, 약물 투여일자,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 질환 발병일자, 수술일자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 분류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일자별 약물 투여일자 또는 상기 일자별 약물 소지 여부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약물 노출 대상자 집합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In claim 9,
The database includes disease, gender, age, type of drug being administered, drug prescription date, drug administration date, drug possession by date, disease onset date, and surgery date for a plurality of patient data,
The drug exposure subject classification unit compares the drug administration date by date or whether the drug is possessed by date in the database with a set value, and classifies the drug exposure subject set into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제8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약물 노출 시작점을 지표 일자로서 타임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시간 고정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In claim 8,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is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ing the drug exposure period using a time-fixed analysis method in which the drug exposure start point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is fixed on a time table as an index date.
제8항에서,
상기 약물 노출 기간 추출부는 상기 약물 노출 대상자의 질병 진단시점부터 상기 평가 대상 약물 첫 처방시점에 이르는 기간을 약물 비노출 기간으로 간주하는 시간 의존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약물 노출 기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In claim 8,
The drug exposure period extraction unit extracts the drug exposure period using a time-dependent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the period from the time of diagnosis of the disease of the drug exposure subject to the time of the first prescription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the drug non-exposure period. Compliance Assessment System.
제12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시간 가변 공변량을 포함하여 콕스 비례위험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In claim 12,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is a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luation target drug using a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model including time-variable covariates.
제8항에서,
상기 약물 순응도 평가부는 상기 평가 대상 약물의 성능을 오즈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순응도 평가 시스템.

In claim 8,
The drug compliance evaluation unit, drug compli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rug to be evaluated as an odds ratio.

KR1020200120116A 2020-09-17 2020-09-17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KR102397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116A KR102397234B1 (en) 2020-09-17 2020-09-17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116A KR102397234B1 (en) 2020-09-17 2020-09-17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09A true KR20220037309A (en) 2022-03-24
KR102397234B1 KR102397234B1 (en) 2022-05-12

Family

ID=8093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116A KR102397234B1 (en) 2020-09-17 2020-09-17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23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624A (en) 2007-12-19 2010-08-09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dicting responsiveness to a pharmaceutical therapy for obesity or evaluating investigationsl pharmaceutical agents
JP2017142732A (en)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rug effect evaluation auxiliary system and drug effect evaluation auxiliary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JP2019204247A (en) * 2018-05-23 2019-11-28 地方独立行政法人市立大津市民病院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subject candidate
KR20200086158A (en) * 2019-01-08 202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he method and system for the resolution of bias arising from immeasurable time in the estimation of drug's effe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624A (en) 2007-12-19 2010-08-09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dicting responsiveness to a pharmaceutical therapy for obesity or evaluating investigationsl pharmaceutical agents
JP2017142732A (en)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Drug effect evaluation auxiliary system and drug effect evaluation auxiliary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JP2019204247A (en) * 2018-05-23 2019-11-28 地方独立行政法人市立大津市民病院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subject candidate
KR20200086158A (en) * 2019-01-08 202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he method and system for the resolution of bias arising from immeasurable time in the estimation of drug's eff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234B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kravarthy et al. Characterizing disease burden and progression of geographic atrophy secondary to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Yang et al. Incidence of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epidermal necrolysi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in Korea
Xie et al. Association of diabetic macular edema and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an den Akker et al. Multimorbidity in general practice: prevalence, incidence, and determinants of co-occurring chronic and recurrent diseases
Klein et al. The association of cataract and cataract surgery with the long-term incidence of age-related maculopathy: the Beaver Dam eye study
Hilker et al. Nonlinear progression of Parkinson disease as determined by serial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imaging of striatal fluorodopa F 18 activity
Wang et al. Risk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eyes with macular drusen or hyperpigment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cohort
Dietz et al. Postpartum screening for diabetes after 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affected pregnancy
Lin et al. Out-of-system care and recording of patient characteristics critical for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Ding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the UK (2004–2014):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Gangnon et al. Severity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1 eye and th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fellow eye: the Beaver Dam Eye Study
Gangnon et al. Effect of the Y402H variant in the complement factor H gene on th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results from multistate models applied to the Beaver Dam Eye Study
Iskedjian et al. Cost of glaucoma in Canada: analyses based on visual field and physician's assessment
Hald et al. Trends in incidence of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association with antithrombotic drug use in Denmark, 2005-2018
Kruse et al. Healthcare system effects of pay-for-performance for smoking status documentation
Horsburgh et al. Adherence to metformin monotherapy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New Zealand
Bergson et al. Sestamibi scans and intraoperative parathyroid hormone measurement in the treatment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McIntosh et al. Efficacy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managed without insul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olodinsky et al. Estimating the number of hospital or emergency department presentations for stroke in canada
JP7161688B2 (en) Post-surgery infection prediction device, post-surgery infection prediction device production method, post-surgery infection prediction method and program
Jeganathan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retinopathy in an Asian population without diabetes: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Kim et al. Practice patterns of screening for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 in South Korea
Bellon et al. Perioperative glycaemic control for people with diabetes undergoing surgery
KR1023972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Weiner et al. Hormone therapy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young wo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